KR0128110Y1 - 사이드도어 고정용 스트립힌지구조 - Google Patents

사이드도어 고정용 스트립힌지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110Y1
KR0128110Y1 KR2019960032132U KR19960032132U KR0128110Y1 KR 0128110 Y1 KR0128110 Y1 KR 0128110Y1 KR 2019960032132 U KR2019960032132 U KR 2019960032132U KR 19960032132 U KR19960032132 U KR 19960032132U KR 0128110 Y1 KR0128110 Y1 KR 01281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door
hinge
coupling
fixing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2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8720U (ko
Inventor
하만복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32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110Y1/ko
Publication of KR199800187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7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1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1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이드도어류의 개폐작동을 목적으로 장착된 힌지와 바디 외관에 장착되는 아웃사이드 몰딩을 공용화시킨 사이드도어 고정용 스트립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사이드 도어(10)를 차체(12)에 설치함에 있어서, 차체(12)측에 부착되게 L자형으로 연결된 2개의 결합부(31,32)와, 이 결합부(31,32)의 연결단에서 상방으로 소정의 곡률로 굴곡되어 일측 결합부(31)의 타단에 당접하는 굴곡부(33)와, 말단에 사이드 도어(10)에 강제 삽입되는 고정부(34)를 탄성목부(35)로 연장하여 상기 결합부(31 또는 32)에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이드도어 고정용 스트립힌지구조
본 고안은 사이드도어류의 개폐작동을 목적으로 장착된 힌지와 바디 외관에 장착되는 아웃사이드 몰딩을 공용화시킨 사이드도어 고정용 스트립힌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 1,2에 있어서 사이드 도어(10)는 배터리 등을 수납하기 위하여 개폐 작동시켜 사용되는 것으로, 이 사이드 도어(10)는 차체(12)에 2개소의 힌지(14)로 연결되어 있다. 즉, 사이드 도어(10)는 아웃사이드 몰딩(16)의 하방에 설치된 힌지(14)를 회동지점으로 하여 개폐동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이드 도어(10)를 차체(12)에 설치하기 위해서 별도의 힌지(14)를 설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조립공정이 늘어나고, 조립부품수가 추가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체에 아웃사이드 몰딩을 조립시 사이드 도어도 함께 힌지 조립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립공수를 줄이고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사이드도어 고정용 스트립힌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아웃사이드 도어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도어 고정용 스트립힌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이드 도어 12 : 차체
31,32 : 결합부 33 : 굴곡부
34 : 고정부 35 : 탄성목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차체에 설치함에 있어서, 차체측에 부착되게 L자형으로 연결된 2개의 결합부와, 이 결합부의 연결단에서 상방으로 소정의 곡률로 굴곡되어 일측 결합부의 타단에 당접하는 굴곡부와, 말단에 사이드 도어에 강제 삽입되는 고정부를 탄성목부로 연장하여 상기 결합부에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도어 고정용 스트립힌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차량의 사이드 도어(10)를 차체(12)에 설치함에 있어서, 사이드 도어(10)가 사이드 도어 고정용 스트립힌지(30)(이하 스트립힌지로 약칭함)을 매개로 차체(12)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스트립힌지(30)는 차체(12)의 아웃터 미들 패널(12a)과 사이드 필라(12b) 측에 부착되게 L자형으로 연결된 2개의 결합부(31,32)와, 이 결합부(31,32)의 연결단에서 상방으로 소정의 곡률로 굴곡되어 일측 결합부(31)의 타단에 당접하는 굴곡부(33)와, 말단에 사이드 도어(10)에 강제 삽입되는 고정부(34)를 탄성목부(35)로 연장하여 상기 결합부(31,32) 및 굴곡부(33)에 연결하여서 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스트립힌지(30)는 전체가 소정의 탄성력과 강성을 갖는 몰딩재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스트립 힌지(30)의 고정부(34)는 압입방식을 선택하기 위해 하나 또는 다수개의 돌기로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목부(35)는 스트립 힌지(30)에서 사이드 도어에 연결되는 것을 힌지개소를 고려하여 하나의 사이드 도어에 통상 2개소로 연결되도록 구성함이 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사이드 도어(10)의 상부에 스트립 힌지(30)의 고정부(34)를 고정할 수 있도록 브래킷(10a)을 설치한다.
다음, 스트립 힌지(30)의 결합부(31,32)를 각각 아웃터 미들 패널(12a)의 측면과 사이드 필라(12b)의 저면에 밀착시킨 후 굴곡부(33)를 벌려서 볼트(B)를 결합부(31)에 관통시켜 아웃터 미들 패널(12a), 사이드 필라(12b)에 체결시키고, 스트립 힌지(30)의 고정부(34)를 사이드 도어(10)에 설치된 브래킷(10a)에 압입하여 고정케 함으로써 설치가 완료된다.
이같은 상태에서 사이드 도어(10)를 열개되면 스트립 힌지(30)의 탄성목부(35)가 지지된 상태로 사이드 도어(10)가 열리게 된다.
이때 탄성목부(35)는 소정의 탄성력과 강성을 가지고 사이드 도어(1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트립 힌지(30)는 사이드 도어(10)를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 뿐만 아니라 종래의 아웃사이드 몰딩의 기능을 갖게 됨으로 부품의 단일화가 가능하고, 따라서 조립공수 및 조립부품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아웃사이드 몰딩과 사이드 도어를 힌지결합하는 공용의 단일화된 스트립힌지를 사용함으로써 조립공수 및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1)

  1. 차량의 사이드 도어(10)를 차체(12)에 설치함에 있어서, 차체(12)측에 부착되게 L자형으로 연결된 2개의 결합부(31,32)와, 이 결합부(31,32)의 연결단에서 상방으로 소정의 곡률로 굴곡되어 일측 결합부(31)의 타단에 당접하는 굴곡부(33)와, 말단에 사이드 도어(10)에 강제 삽입되는 고정부(34)를 탄성목부(35)로 연장하여 상기 결합부(31 또는 32)에 연결하여서 된 사이드도어 고정용 스트립힌지구조.
KR2019960032132U 1996-09-30 1996-09-30 사이드도어 고정용 스트립힌지구조 KR01281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132U KR0128110Y1 (ko) 1996-09-30 1996-09-30 사이드도어 고정용 스트립힌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132U KR0128110Y1 (ko) 1996-09-30 1996-09-30 사이드도어 고정용 스트립힌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720U KR19980018720U (ko) 1998-07-06
KR0128110Y1 true KR0128110Y1 (ko) 1998-11-02

Family

ID=19468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2132U KR0128110Y1 (ko) 1996-09-30 1996-09-30 사이드도어 고정용 스트립힌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11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720U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8110Y1 (ko) 사이드도어 고정용 스트립힌지구조
KR0137336Y1 (ko) 버스 차량용 사이드 윈도우를 고정시키기 위한 하부 몰드
KR100398180B1 (ko) 자동차의 트렁크리드용 토션바
KR0181868B1 (ko) 자동차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로드 고정구조
KR200158444Y1 (ko) 자동차의 도어아웃사이드 웨더스트립 설치구조
KR100307142B1 (ko) 트렁크리드의토숀바
KR100326373B1 (ko) 차량 후방문의 후방창문 힌지구조
KR100475792B1 (ko)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
KR100199494B1 (ko) 버스 폴딩 도어의 가이드 롤러 지지구조
KR200142525Y1 (ko) 차량용 도어 윈도우 글래스 채널구조
KR100201472B1 (ko) 백도어의 힌지 취부구조
KR200148407Y1 (ko) 자동차 백도어의 힌지구조
KR200148236Y1 (ko) 사이드도어 힌지구조
JPH0332406Y2 (ko)
KR0133906Y1 (ko) 사이드 도어용 가니쉬
KR100191669B1 (ko) 자동차 루프사이드 브라이트몰딩의 취부구조
KR100239328B1 (ko) 자동차의 도어 사이드 웨더스트립 지지구조
KR0171794B1 (ko) 웨더스트립의 취부구조
KR20010011422A (ko) 차량의 후방문 힌지구조
KR19980035319U (ko) 버스의 플랩 도어 힌지 구조
KR19980018334U (ko) 자동차의 도어 새시
KR19980043765U (ko) 백도어 힌지부 지지구조
KR970000680A (ko) 자동차 도어의 몰딩 취부구조
KR19980023626U (ko) 글로브 박스의 도어구조
KR19990002425U (ko) 차량의 본닛용 스테이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