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285B1 -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285B1
KR0127285B1 KR1019930001835A KR930001835A KR0127285B1 KR 0127285 B1 KR0127285 B1 KR 0127285B1 KR 1019930001835 A KR1019930001835 A KR 1019930001835A KR 930001835 A KR930001835 A KR 930001835A KR 0127285 B1 KR0127285 B1 KR 0127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le
engine
target
rotation speed
rotational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1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8147A (ko
Inventor
가즈히데 도가이
Original Assignee
나까무라 히로까즈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무라 히로까즈,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무라 히로까즈
Publication of KR930018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8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2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1/00Use of speed-sensing governors to control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1/001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 F02D31/002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controlling air supply
    • F02D31/003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controlling air supply for idle speed control
    • F02D31/005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controlling air supply for idle speed control by controlling a throttle by-p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13/06Cutting-out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8Controlling each cylinder individually
    • F02D41/0087Selective cylinder activation, i.e. partial cylinder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01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regulation method
    • F02D41/1402Adaptiv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02D9/1035Details of the valve housing
    • F02D9/1055Details of the valve housing having a fluid by-p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02D2011/101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actuating the throttles
    • F02D2011/102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actuating the throttles at least one throttle being moved only by an electric actu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02D2011/101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actuating the throttles
    • F02D2011/103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actuating the throttles at least one throttle being alternatively mechanically linked to the pedal or moved by an electric actu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F02D2041/001Controlling intake air for engines with variable valve actuation
    • F02D2041/0012Controlling intake air for engines with variable valve actuation with selective deactivation of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01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regulation method
    • F02D2041/1413Controller structures or design
    • F02D2041/1422Variable gain or coeffici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의 운전 상태에 따라 일부의 기통을 휴지시키기 위해 엔진의 엔진 회전 속도 정보를 출력하는 엔진 회전속도 검출 수단과, 엔진의 작동 기통수를 판별하여 작동 기통수의 정보를 출력하는 기통수 판별 수단과, 엔진의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로서 최소한 목표 회전 속도 및 목표 포지션을 상기 작동 기통수의 정보에 의하여 산출하는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 산출 수단과, 엔진의 아이들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아이들 회전 속도 제어 수단과, 엔진 회전 속도와 목표 엔진 회전 속도의 편차를 배제하도록 상기 아이들 회전 속도 제어 수단과, 엔진 회전 속도와 목표 엔진 회전 속도의 편차를 배제하도록 상기 아이들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제어하는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를 도시한 전체적인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아이들 제어 장치에 사용되는 작동 밸브 장치에서 주요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작동 밸브 장치의 Ⅲ-Ⅲ 선을 따라 절단된 모양을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작동 밸브 장치의 Ⅳ-Ⅳ 선을 따라 절단된 모양을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제2도에 도시된 작동 밸브 장치 내에서 밸브 정지 기구(M)가 결합 상태로 있는 경우의 주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각종 밸브 장치 내에서 밸브 정지 기구(M)가 Ⅵ-Ⅵ선을 따라 절단된 모양을 도시한 단면도.
제7도는 제1도에 도시된 아이들 제어 장치에서 앞쪽 부분의 제어 블럭도.
제8도는 제1도에 도시된 아이들 제어 장치에서 뒤쪽 부분의 제어 블럭도.
제9도는 제1도에 도시된 아이들 제어 장치가 사용되는 맵(map) 보간 계수(Ki)의 시간 경과에 따른 특성 곡선을 도시한 선도.
제10도는 제1도에 도시된 아이들 제어 장치에 대한 메인 루틴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제11도는 제1도에 도시된 아이들 제어 장치의 아이들 회전 속도 제어 루틴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제1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아이들 제어 장치의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 산출 루틴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제1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아이들 제어 장치의 학습치 연산 루틴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흡기 통로2 : 스로틀 밸브
3 : 스로틀 레버4 : 회전수 제어 밸브
5 : 스텝퍼 모터10 : 포지션 센서
11 : 수온 센서12 : 회전 센서
13 : 차속 센서14 : 크랭킹 위치
40 : 캠41 : 로커 샤프트
42 : 로커 아암45 : 제어 나사
46 : 너트59 : 부-로커 아암
61 : 피스톤63 : 실린더 헤드
66 : 유압 펌프67 : 오일 탱크
본 발명은 내연 기관에서 설정된 기통의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만을 정지시켜서 설정된 기통을 적시에 휴통(休筒) 운전할 수 있으며, 내연 기관에 장착되고, 특히 내연 기관의 아이들(idle) 운전시에는 아이들 회전속도를 예정된 목표 아이들 회전 속도로 제어할 수 있는 휴통 기구가 부착된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엔진 회전 속도 정보를 출력하는 엔진 속도 검출 수단과, 엔진의 작동 기통수를 판별하여 작동 기통수의 정보를 출력하는 기통수 판별 수단과, 설정된 기통의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 중 한개 혹은 2개 모두를 정지시키는 밸브 정지 수단과,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 산출 수단과, 그리고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특히,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 산출 수단은 목표 아이들 회전 속도 및 목표 아이들 포지션을 작동 기통수의 정보에 대응시켜 엔진의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를 산출한다.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은 엔진 회전 속도와 목표 엔진 회전 속도의 편차를 배제하도록 회전수 제어 밸브를 제어하고, 목표 편차 보정 게인(gain) 또는 산출 포지션에 보정 수단에서 얻어진 수정 목표 포지션에 대응하여 회전수 제어 밸브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서, 아이들 운전시, 즉, 전통(全筒) 운전에서 휴통(休筒) 운전으로 전환됨에 따라서 토크의 변동이 제공된다 할지라도, 아이들 운전시의 안정화에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내연 기관을 운전하는 동안, 적시에 출력 적마이나 저 연비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일부 기통의 흡기 및 연료의 공급을 정지시켜, 휴통 운전을 할 수 있는 밸브 정지 기구를 구비한 내연 기관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내연 기관에서 각종 운전 정보에 따라 밸브 정지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설정운정 영역으로 들어가면 그것의 운전 영역 내에서는 휴통 기통의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의 개폐 작동을 정지시킴과 더불어, 휴통 기통으로의 연료 공급을 정지시키고, 설정 운전 영역을 이탈하면 휴통 기통의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의 개폐 작동을 정상 상태로 되돌리는 방식으로 휴통 기통으로 연료 공급을 재개시키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종래부터 아이들 운전시의 엔진 회전 속도는 엔진의 흡기 공기량이나 공연비를 조작해서 부하 변동시의 저하를 방지하거나, 아이들 회전 속도 변동을 방지하는 제어 방법이 종종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엔진 회전 속도의 저하나 변동의 발생을 검출하여 흡기량이나 연료량을 추가하여도, 추가한 연료량에 의해 엔진 회전 속도가 저하되거나 변동에 대해서 유효하게 작용하는 토크를 발생하는 것은 회전 속도가 저하된 후로부터의 지정된 시정수를 경과한 후이며, 그 응답성은 기관이나 각 제어수단의 고유 특성에 관련하여 각각 다르게 주어진다.
특히, 4기통 중 2기통만이 휴통 가능한 엔진에서는 휴통 운전시에 흡기 행정이 2회에서(크랭크 각동 360도의 경과할 때마다) 1회로 저하하고, 흡기량이 1/2로 떨어진다. 또한, 다음의 표 1에는 1.6리터짜리 엔진(흡기 계 3.6리터)의 경우, 전통의 운전시(700rpm)와 아이들 운전시(850rpm)의 아이들 회전 속도에서 각 제어 수단에 대한 응답성의 상위한 예를 표시하였다.
[표 1]
표 1에서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휴통 운전시에는 출력 행정 간격이 1/2로 됨과 동시에, 등가적인 흡기계의 용량이 2배로 되고, 공기량 제어의 응답성이 약 1/2로 된다. 이 밖에도 휴통시에는 점화 시기제어 및 연료량 제어되는 경우도 그 시정수가 커지고 전기 부하 제어만이 동등하게 유지되고 있다.
그런데, 엔진의 아이들 회전 속도의 제어 수단은 전통 운전시에 가장 적합하도록 각 제어 파라미터에 의해 제어를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휴통 운전시에는 응답성이 일반적으로 저하되어 제어성이 저하하고, 특히, 오버 슈트(over shoot)되는 등의 불합리함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더욱이, 아이들 수행시의 기관의 진동수는 전통인 경우에 대해서 휴통시 진동수가 1/2로 되며, 아이들 회전수가 공진 영역 내로 들어가기 쉽고, 이 점에서 제어 정밀도의 요구가 엄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통 전환시에도 안정된 아이들 운전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제1구성은, 휴통 엔진의 엔진 회전 속도 정보를 출력하는 엔진 회전 속도 검출 수단과, 휴통 엔진의 작동 기통수를 판정하여 작동 기통수 정보를 출력하는 기통수 판정 수단과,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로서 최소한 목표 아이들 회전 속도 및 목표 아이들 포지션을 상기 작동 기통수의 정보에 대응하여 산출하는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 산출 수단과, 휴통 엔진의 아이들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엔진 회전 속도와 목표 엔진 회전 속도의 편차를 배제하도록 상기 아이들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제어하는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 산출 수단은 엔진수의 온도에 따라서 설정되는 기본 목표 포지션과, 에어콘의 작동 상태에 따라서 산출하는 목표 포지션과, 대시 포트의 작동 상태에 따라 산출하는 목표 포지션과, 엔진수이 온도에 따라서 설정되는 기본 목표 회전 속도와, 목표 편차 보정 게인을 각각 상기 작동 기통수의 정보에 따라 산출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는 맵을 포함하고, 특히, 작동 기통수의 정보의 변경 전의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로 변경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특히, 보간 처리에 사용되는 보간 계수가 작동 기통수의 정보에 의해 산출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 산출 수단은 각각의 지정된 제1크랭크 마다 상기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를 산출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시동시 이외의 운전 상태에서, 상기 엔진의 보기(補機)의 전환후 일정한 전환 시간내에는 상기 목표 포지션에 따라 상기 아이들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시동시 이외의 운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보기의 전환 후 일정한 전환 시간 경과 후에는 상기 목표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아이들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특히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로서 최소한 목표 회전 속도 및 목표 포지션을 작동 기통수의 정보에 따라 산출하고, 엔진 회전 속도와 목표 엔진 회전 속도의 편차를 배제하도록 아이들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제어하기 때문에, 휴통 전환시에도 안정된 아이들 운전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엔진수의 온도와 에어콘의 작동 상태, 대시 포트(dash pot)의 작동 상태에 의해 목표포지션을 산출하는 경우에든, 엔진수의 온도에 의거해서 설정되는 기본 목표 회전 속도를 산출하는 경우에든, 목표 편차 보정 게인을 산출하는 경우에든 간에 휴통 전환시에 안정된 아이들 운전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맵(map)으로부터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특히,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가 작동 기통수의 정보의 변경 전부터 변경 후로 변환할 때에 그 값을 보간(補間)처리하고, 혹은, 거기에서의 보간 계수가 작동 기통수의 정보에 의해 산출되는 경우에는 휴통 전환시에 안정된 아이들 운전 특성을 확보할 수 있고, 특히 제어의 헌팅(hunting)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각의 지정된 제1크랭크 마다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경우에는 안정된 아이들 운전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엔진의 보기의 전환후 일정한 전환 시간내에 목표 아이들 포지션에 의해 아이들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제어하면 휴통 전환시, 특히, 과도기에 안정된 아이들 운전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 산출 수단이 엔진의 보기의 전환후 일정한 전환 시간 경과 후에는 목표 회전 속도에 의해 아이들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제어하면, 휴통 전환시, 특히, 전환 후의 안정 시기에서 안정된 아이들 운전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기본적인 제2구성은 휴통 엔진의 엔진 회전 속도 정보를 출력하는 엔진 회전 속도 검출 수단과, 휴통 엔진의 작동 기통수를 판별하여 작동 기통수의 정보를 출력하는 기통수 판정 수단과, 휴통 엔진의 크랭킹을 판정하는 크랭킹 판정 수단과, 휴통 엔진의 아이들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아이들 회전 속도 제어 수단과, 휴통 엔진이 안정되어 있을 때 선택하는 회전수 피드 백 제어 영역, 또는 상기 엔진이 안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선택하는 비회전수 피드 백 제어 영역 중 어느 운전 상태인지를 판정하는 제어영역 판별 수단과, 상기 제어 영역 판별 수단에 의해 상기 회전수 피드 백 제어 영역임을 판정하면 상기 엔진의 작동 기통수의 정보에 의해서 산출되는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로서의 최소한 목표 포지션과, 흡기 온도에 의해서 산출되는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로서의 최소한 목표 포지션과 흡기 온도에 의해서 산출되는 흡기 온도 목표 포지션과의 크기를 비교해서, 최대치를 산출 목표 포지션으로 하여 산출하는 포지션 최대치 산출 수단과, 이 산출 포지션을 보정하는 산출 포지션 보정 수단과, 상기 제어 영역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회전수 피드 백 제어 영역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엔진의 작동 기통수의 정보에 의해서 산출되는 상기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로서의 최소한 목표 회전 속도와, 흡기 온도에 의해서 산출되는 흡기 온도 목표 회전 속도와의 크기를 비교해서 최대치를 산출 목표 회전 속도로서 산출하는 회전 속도 최대치 산출 수단과, 상기 산출 목표 회전 속도와 상기 엔진 회전 속도의 편차에 의해 목표 편차 보정 게인을 산출하는 목표 편차 보정 게인 산출 수단과, 이 목표 편차 보정 게인 또는 상기 산출 포지션 보정 수단에서 얻어진 수정 목표 포지션에 의해 상기 아이들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제어하는 회전 속도 제어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목표 포지션은 엔진수의 온도에 따라서 설정되는 기본 목표 포지션과, 에어콘의 작동 상태에 의한 목표 포지션과, 대시 포트의 작동 상태에 의한 목표 포지션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목표 아이들 회전 속도는 엔진수의 온도에 따라서 설정되는 기본 목표 회전 속도로 형성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목표 편차 보정 게인은 상기 엔진의 작동 기통수의 정보에 따라서 산출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산출 포지션 보정 수단은 상기 산출 포지션에 학습치 연산 수단으로부터 연산된 수정 목표 포지션의 학습치를 가산한 것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아이들 회전수 피드 백 제어 영역이라고 판정하면 학습치 연산 수단을 상기 아이들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의 실제 포지션과 상기 산출 목표 포지션의 편차에 의해 수정 목표 포지션의 학습치를 연산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특히, 여기에서의 학습치를 작동 기통수의 정보에 의해 설정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특히, 여기에서의 학습치를 일정한 제2크랭크 각도에서 마다 연산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제2발명은, 특히, 비회전수 피드 백 제어 영역에서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로서의 목표 포지션과 흡기 온도 목표 포지션과의 크기를 비교하여 최대치를 산출 포지션으로서 산출하여, 이 산출 포지션을 보정하고, 다른편으로는, 회전수 피드 백 제어 영역이면 작동 기통수의 정보에 의해 목표 회전 속도와, 흡기 온도에 의해 산출되는 흡기 온도 목표 회전 속도와의 크기를 비교하여 최대치를 산출 목표 회전 속도로서 산출하고, 또한 산출 목표 회전 속도와 엔진 회전 속도의 편차에 의한 목표 편차 보정 게인을 산출하여, 목표 편차 보정 게인 또는 수정 목표 포지션에 의한 아이들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제어하므로써, 휴농 전환시에 가장 적합한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를 선택하여 아이들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제어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안정된 아이들 운전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목표 포지션을 기본 목표 포지션과 에어콘의 작동 상태에 의한 목표 포지션 및 대시 포트의 작동 상태에 의한 목표 포지션으로 형성되도록 휴통 전환시에 안정된 아이들 운전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목표 회전 속도가 기본 목표 회전 속도로 형성되며, 목표 편차 보정 게인이 엔진의 작동 기통수의 정보에 의해 산출되도록 설정하면 휴통 전환시에 안정된 아이들 운전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산출 포지션으로서의 학습치 연산 수단에서 연산되는 수정 목표 포지션의 학습치를 가산한 경우에도 휴통 전환시에 안정된 아이들 운전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이들 회전수 피드 백 제어 영역이라고 판단하면 실제 포지션과 기본 목표 포지션의 편차에 따라서 수정 목표 포지션의 학습치를 연산하고, 특히, 학습치가 작동 기통수의 정보에 의해서 설정되고 학습치가 일정한 제2크랭크 각도마다 연산되도록 한 경우에도 휴통 전환시에 안정된 아이들 운전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의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를 제1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는, 휴통 기통이 부착된 직렬 4기통 엔진(이하, 엔진(E)라고만 기재하기로 한다)에 장착된다.
특히, 엔진(E)은 에어콘이 부착된 A/T 차에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엔진(E)은 그것의 흡기 통로(1)에 스로틀 밸브(2)를 갖고, 상기 스로틀 밸브(2)의 축(201)은 흡기 통로(1)의 외부에서 스로틀 레버(3)에 연결되어 있다.
액셀 페달(도시않음)을 밟으면, 스로틀 레버(3)를 거쳐서 스로틀 밸브(2)를 제1도에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액셀 케이블(도시않음)이 스로틀 레버(3)에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스로틀 밸브(2)에는 이것을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대시 포트(도시않음)가 장착되어 있어서, 상기 액셀 케이블의 인장력을 약하게 하면, 동일한 상기 대시 포트에 의해 스로틀 밸브(2)가 닫혀지도록 되어 있다. 도한, 스로틀 밸브(2)에는 동일한 밸브의 열림 정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스로틀 개도(開度) 센서(8)와, 스로틀 밸브(2)가 완전히 닫힌 위치에 있을 때 작동되는 아이들 스위치(9)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스로틀 밸브(2)를 우회하는 공기 바이패스 통로(101)에는, 아이들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아이들 회전 속도 제어 수단으로서의 회전수 제어(ISC) 밸브(4)가 장착되고, 밸브(4)는 스프링(401)에 의해 닫히게 되고, 작동기로서의 스텝퍼 모터(5)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고속 아이들 제어 밸브(16)는 아이들시의 난기 보정을 냉각수 온도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행되는 것이다. 상기 아이들 회전수 제어(ISC) 밸브(4)에는 밸브(4)의 개도에 대응하는 개도의 위치 정보를 발하는 ISC 포지션 센서(10)가 장착된다. 흡기 통로(1)에는 흡기 온도 정보를 출력하는 흡기 온도 센서(34)가 장착된다.
또한, 도시하지 아니한 실린더 블럭에도 엔진의 난기 온도로서의 냉각수 온도를 검출하는 수온 센서(11)가 설치되고, 점화 코일(도시않음)에는 엔진 회전수를 점화 펄스로 검출하는 회전 센서(12)가 설치되어 있다. 동력 전달 시스템(도시않음)에는 차속을 이것에 비례한 주파수의 펄스 신호로 검출하는 차속 센서(13)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엔진의 크랭킹 상태를 검출하는 크랭킹 판정 수단으로서의 크랭킹 스위치(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크랭킹 스위치(14)는 스타터 모터가 온(ON)되었을 때에 온(ON)(닫힘) 또는 오프(OFF)(열림)되는 스위치다.
또한, 변속기(도시않음)에는 인히비터 스위치(inhibitor switch)(20)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 스위치(20)는 P. N 범위시에 온(ON)으로 되고, D. R 범위시에는 오프(OFF)로 된다.
또한, 에어콘(도시않음)에는 에어콘 스위치(22)가 설치되어져 있으나, 이 에어콘 스위치(22)는 에어 컨디셔너의 작동시에 온(ON)으로 되고, 에어컨디셔너의 부작동시에 오프(OFF)로 된다.
또한, 엔진(E)의 크랭크 샤프트(도시않음)에는 크랭크 각도 정보를 출력하는 크랭크 각도 센서(33)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각각의 센서 형태들(8, 9, 10, 11, 12, 13, 14, 20, 22, 33, 34)로부터 검출 신호를 받아, 이들 신호에 의거한 제어 신호를 스텝퍼 모터(5)에 출력하는 제어 수단으로서의 엔진 콘트롤 유니트(ECU)(15)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ECU(15)는 아이들 스위치(9)에 의한 아이들 운전 상태 검출기(아이들 스위치가 온(ON)되어 있을 때)에 설정된 조건(Ⅰ)으로 회전수 피드 백 제어 모드(M-1)하에서 회전수 피드 백 제어를 수행하고, 아이들 운전 상태 검출시의 다른 설정된 조건(Ⅱ)에서 비회전수 피드 백 제어 모드(M-2)하에서는 ISC 포지션 센서(10)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ISC 밸브(4)의 비회전수 피드 백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조건 Ⅰ은 엔진이 비교적 안정된 경우를 말하며, 예를 들자면, 아이들 스위치(9)가 오프(OFF)로부터 온(ON)으로 변환하여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으며, 차속이 매우 낮고, 실제 회전과 목표 회전의 어긋남이 일정한 범위 내에 있으며, 쿨러 릴레이의 전환이 매우 낮고, 실제 회전과 목표 회전이 어긋남이 일정한 범위 내에 있으며, 쿨러 릴레이의 전환후 일정 시간의 경과시 등의 조건이 없어진 경우로 된다.
조건 Ⅱ는 조건 Ⅰ이 만족되지 않고, 엔진이 비교적 안정되어 있지 않으며 신속한 제어를 필요로하는 경우로 된다.
이 엔진(E)에는 각 기통(#1 내지 #4)에 연통이 가능한 흡기 분기 통로 및 배기 분기 통로가 각각 형성되고, 각 분기 통로는 흡기 밸브(도시않음) 및 배기 밸브(도시않음)에 의해 각각 개폐된다.
상기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 중, 제2기통(#2) 및 제3기통(#3)의 각 밸브는 언제나 개폐 작동이 가능하고, 제1기통(#1)과 제4기통(#4)의 각 밸브는 소정시에 개폐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밸브 정지 기구(M)가 부착된 밸브 장치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밸브 정지 기구(M)를 구비한 밸브 장치를 제2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엔진(E)의 크랭크 샤프트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캠 샤프트(도시생략)에는 일정한 흡기용 캠 프로필을 구비한 캠(40)이 각각의 기통마다 설치되어 있다. 이 캠 샤프트와 병행하게 설치되는 로커 샤프트(41)에는 밸브(47)와 마주하는 주-로커 아암(42)과 밸브(47)와 마주하지 않는 부-로커 아암(59)이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주-로커 아암(42)은 로커 샤프트(41)에 대해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원추형 접합되거나, 밸브 정지 기구(M)에 의해 로커 샤프트(41)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로커 아암의 선단에는 너트(46)에 의해 고정된 제어 나사(45)가 장착되고, 그 하단면에는 흡기 밸브(47)의 상단이 걸어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로커 샤프트(41)로부터의 회전력을 받은 때에는 주-로커 아암(42)의 선단부가 제2도의 상하 방향으로 요동되고, 제어 나사(45)를 통과해서 밸브(47)가 상하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부-로커 아암(59)의 아암 부분에는 롤러(43)를 원추 받침하는 샤프트(44)가 고정된다. 이 롤러(43)의 상부는 캠(40)에 걸쳐 맞추어져 있다. 즉, 로커 아암(42)은 롤러(43) 및 샤프트(19)를 거쳐서 캠(40)에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부-로커 아암(59)도 또한 로커 샤프트(41)에 원추 받침되거나, 양자간에 끼워진 반달형 키(60)에 의해 로커 샤프트(41)와 항상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한, 부-로커 아암(59)의 요동단쪽 하단면(즉, 롤러(43))은 받침 스프링(62)이 부착된 피스톤(61)을 거쳐서 실린더 헤드(63)측으로 받쳐져 있으며, 받침 스프링(62)의 부가력이 부-로커 아암(59)의 요동시에 복귀력으로서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캠(40)이 회전하면 부-로커 아암(59)의 요동과 동시에 항상 로커 샤프트(41)가 반복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밸브 정지 기구(M)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커 아암(42)의 원추 받침 부분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48)이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연결핀(49)이 느슨하게 끼워져 있다.
연결핀(49)은 유압 회로(30)에 의해 로커 샤프트(41)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주-로커 아암(42)의 로커 샤프트(41)로의 원뿔 받침부 내부 주위의 회전면에는 연결핀(49)의 돌출시에 이 핀이 끼워 맞추어지는 걸어 맞춤 구멍(5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핀(49)의 중앙부 외주 주위에는 기름 홈(51)이 형성되고, 기름 홈(51)에서 연결핀(49)의 후단으로 연결하는 유로(52)가 연결핀의 외부 주위면에서 축심부에 설치되고 있고, 기름 홈(51)과 유로(52)를 거쳐서 연결핀(49)의 후단측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연결핀(49)의 후단부 외주에는 클립 부분(53)이 형성되고, 관통 구멍(48)은 클립 부분(53)이 미끄럼 운동하는 큰 지름부(54)와, 연결핀(49) 상부가 미끄럼 운동하는 작은 지름 부분(55)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관통 구멍(48)의 작은 지름 부분(55)에서 큰 지름 부분(54)으로 이르는 층 부분과 연결핀(49)의 클립부분(53) 사이에는 스프링(56)이 끼워져 있으며, 연결핀(49)을 수용 위치 쪽으로 밀고 있다.
그런데 작동 밸브 장치에 부설되는 밸브 정지 기구(M)에는 로커 샤프트(41)의 중앙부에 연장되는 기름통로(57)를 거쳐서 밸브 정지 기구(M)에 유압을 공급하고, 밸브 정지 기구(M)를 작동시켜서 로커 샤프트(41)와 주-로커 아암(42)과의 결합 또는 해제를 하게 하는 유압 회로(30)가 연결되어 있다.
유압 회로(30)는 연결핀(49)의 후단측의 유실(58) 및 기름 통로(57) 측에 공급 유로(65)를 거쳐서 고압의 기름을 공급하는 유압 펌프(66)와, 공급 유로(65)에 설치되어 고압의 기름을 기름통으로 (57)측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휴통 전자 밸브(31)로 구성된다.
휴통 전자 밸브(31)는 유압 펌프(66)로부터의 고압의 기름을 기름 통로(57)에 공급하는 제1위치와, 유압펌프(66)와 기름 통로(57)를 차단하고 기름 통로(57)를 저압측의 오일 탱크(67)에 연통하는 제2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휴통 전자 밸브(31)는 ECU(15)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또한, 제2도 내지 제6도에는 흡기용의 캠(40)과, 주-로커 아암(42)과, 부-로커 아암(59) 및 밸브(47) 등에 관련하는 흡기측의 밸브 정지 기구(M)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배기측의 밸브 정지 기구(도시않음)(M) 및 상기 기구(M)와 관련하는 배기측의 캠과, 주-로커 아암과, 부-로커 아암 및 배기측의 밸브 등도 동일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서, 작동 밸브 장치에 부설되는 흡기측 및 배기측의 각 밸브 정지 기구(M)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엔진(E)이 전통 운전되고 있는 경우에는 휴통 전자 밸브(31)는 제 1 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로 유지되어 고압의 기름을 기름 통로(57)에 공급한다.
이 경우, 로커 샤프트(41)에서의 기름 통로(57)에 유압이 공급되어, 제3도와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커 아암(42)과 로커 샤프트(41)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된다. 이때, 로커 샤프트(41)는 부-로커 아암(59)을 통과해서 캠(40)으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서 이 구동력으로 구동이 되기 때문에, 이 캠(40)으로부터의 구동력(흡기 캠 리프트 량에 의한 힘)을 받아서 밸브(47)를 구동시킨다. 이것으로 인하여, 이 밸브는 캠(40)의 캠 프로필에 대응한 왕복 운동을 한다.
한편 엔진(E)이 휴통 운전되고 있을 경우에는, 휴통 전자 밸브(31)는 제2위치로 유지되고, 기름 통로(57)측의 고압의 기름이 저압측의 오일 탱크(67)로 되돌려진다.
이 경우, 제3도와 제4도에 도시하는 스프링(56)의 부가력에 의해 연결핀(49)은 결합 구멍(50)으로부터 로커 샤프트(11)내로 후퇴한다.
이로 인하여, 주-로커 아암(42)은 로커 샤프트(41)에 대해서 자유 상태로 되고 부-로커 아암(59)과 일체적으로 구동하는 로커 샤프트의 운동이 주-로커 아암(42)에 전달되지 않으며, 밸브(47)는 작동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여 제1기통(#1)과 제4기통(#4)의 각 밸브가 개폐 작동을 정지하는 휴통 운전을 행하게 된다.
상술한 밸브 정지 기구(M)는 주-로커 아암(42)과, 부-로커 아암(59) 및 로커 샤프트(11)와 주-로커 아암(42)을 결합 및 이탈시키는 연결핀(49) 등을 구비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었으나, 이것에 대신해서, 각 로커 아암(도시않음) 위에 밸브 가압편(도시않음)을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이 밸브 가압편을 유압전환 수단에 의해 밸브 대항 위치와 후퇴 위치로 전환 이동시켜 로커 아암의 밸브 가압 작동을 밸브 정지시에 공진동시키는 주지의 구성을 채택하여도 좋다.
상기 ECU(15)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그 요부가 형성되고, 엔진(E)으로의 연료 공급 제어와, 점화시기 제어와, 스로틀 밸브 구동 제어 등의 주지의 제어 처리를 행함과 함께 휴통 제어를 행하고, 그것에 부수해서 휴통 전환 제어를 행한다. 이로 인하여 ECU(15)에는 크랭크 각도 센서(33)로부터의 단위 크랭크 각도신호(△8)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ECU(15)는 기통수 판별 수단으로서 ECU(15)로부터 출력되는 휴통 전자밸브(31)의 구동 신호를 판별함으로써 기통수 신호(#n)를 판별한다. 또한 ECU(15)는 크랭킹 판정 수단으로서 엔진(E)의 크랭킹시에 이 크랭킹 판정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ECU(15)는, 특히,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 산출 수단(A1)과, 회전 속도 제어 수단(A2)과, 제어 영역 판정 수단(A3)과, 포지션 최대치 산출 수단(A4)과, 산출 포지션 보정 수단(A5)과, 회전 속도 최대치 산출 수단(A6)과, 목표 편차 보정 게인 산출 수단(A7)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한다.
즉,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 산출 수단(A1)은 엔진(E)의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로서 최소한 목표 아이들 회전 속도(Aea) 및 목표 아이들 포지션(Po)을 작동 기통수 정보(기통수신호 ; #n)에 의해서 산출한다.
또한 회전 속도 제어 수단(A2)은 엔진 회전 속도(Ne)와 목표 엔진 회전 속도, 예를 들자면 산출 목표 회전 속도(Nea)와의 편차(△Ne)를 배제하도록 회전수 제어(ISC) 밸브(4)를 제어하고, 혹은, 목표 편차 보정게인 I(△Ne) 또는 산출 포지션 보정 수단(A5)으로부터 얻어진 수정 목표 포지션(Pob)에 의해 회전수 제어(ISC) 밸브(4)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 영역 판정 수단(A3)은 엔진(E)이 안정되어 있을 때에 선택하는 회전수 피드 백 제어 영역(M-1), 또는 엔진이 안정되지 아니한 때에 선택하는 비회전수 피브 백 제어 영역(M-2) 중의 어느 편의 운전 상태인가를 판정한다.
또한, 포지션 최대치 산출 수단(A4)은 비회전수 피드 백 제어 영역(M-2)이라고 판단하면 엔진(E)의 기통수 신호(#n)에 의해 산출되는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로서 최소한 목표 포지션(PA/C등)과 흡기 온도(AT)에 의해 산출되는 흡기 온도 목표 포지션(PAT)의 크기를 비교해서 최대치를 산출 포지션(Poa)으로서 산출한다.
또한, 산출 포지션 보정 수단(A5)은 산출 포지션(Poa)을 보정한다.
또한, 회전 속도 최대치 산출 수단(A6)은 회전수 피드 백 제어 영역(M-1)이라고 판단하면 엔진의 기통수 신호(#n)에 의해서 산출되는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로서 최소한 목표 회전 속도, 예를 들자면 기본 목표 회전 속도(NeB)와 흡기 온도에 의해 산출되는 흡기 온도 목표 회전 속도(NeAT)의 크기를 비교해서 최대치를 산출 목표 회전 속도(Nea)로서 산출한다.
또한, 목표 편차 보정 게인 산출 수단(A7)은 산출 목표 회전 속도(Nea)와 실제 엔진 회전 속도(Ne)의 편차(△Ne)에 의해 목표 편차 보정 게인 I(△Ne)을 산출한다.
다음에, 제1도의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의 작동을 ECU(15)의 제어 프로그램(제10도 내지 제13도 참조) 및 제9도의 맵 보간 계수(Ki)의 설명도에 따라 설명한다.
ECU(15)는 엔진키를 온(ON)시킴으로써 메인 루틴을 실행한다.
여기에서는 초기치와 플러그 세트 등을 행하고 각 센서로부터의 데이타를 읽는다. 그래서 스텝(a3)에서는 점화 시기 연산 처리를, 스텝(a4)에서는 연료분사량 연산 처리를, 스텝(a5)에서는 후술하는 아이들 회전 속도 제어량 연산 처리를, 스텝(a6)에서는 기타의 처리를 차례로 행하여 리턴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여기에서는, 주지의 휴통 제어 루틴(도시않음)이 일정한 삽입 조건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휴통 제어 루틴에서는 엔진(E)의 휴통 운전 명령을 받으면, 휴통 전자 밸브(31)가 제3도와 제6도에 도시된 기름 통로(57)측의 고압의 기름이 공급 기름(65)로부터 저압측의 오일 탱크(67)로 되돌려지고, 스프링(56)에 의해 연결핀(49)은 로커 샤프트(11)내로 후퇴하고, 주-로커 아암(42)은 로커 샤프트(41)에 대해서 자유로운 상태로 되며, 밸브(47)는 작동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여 제1기통(#1)과 제4기통(#4)의 각 밸브(47)는 개폐 작동을 정지한다.
이 휴통 제어 루틴에 있어서 제1과 제4기통(#1, #4)이 휴통 처리되면, 휴통 플러그(ICFLG)의 전환 셋트가 이루어진다. 이 휴통 플러그(ICFLG)이나 그밖의 플러그의 클리어 처리 등의 초기 기능 셋트가 메인 루틴의 스텝(a1)에서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메인 루틴의 도중의 일정한 크랭크 각도마다 삽입이 실시되어,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 산출 루틴(제12도 참조)으로 들어간다. 여기에서는 스텝(b1)에서 휴통 플러그(ICFLG)의 온/오프를 감지하여, 휴통 중에서는 계수(U)를 1로, 또는 0으로 설정하고 스텝(b4)에 도달한다. 여기에서, 맵 보간 계수(Ki)를 아래식(1)으로부터 산출한다.
Ki=(1-α)Ki-1+αU ……………………… (1)
이때, α는 엔진 고유의 값이며, 0α≤1로 설정된다. 이로 인하여, Ki는 제어 싸이클의 경과에 의해서 증가하고,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시 변화한다. 스텝(b5)에 도달하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의 값을 각각 산출하여 일정한 영역에 저장한다. 이 경우, 특히, 휴통 플러그(ICFLG)의 온(ON)에서의 값을 각 맵 내의 휴통용 맵(제7도, 제8도에서의 msn로 표시하였다)에 의거해 산출하고, 오프(OFF)에서의 값을 각 맵내의 전통용 맵(제7도, 제8도중의 mdn로 표시하였다)에 의거해서 산출한다. 그리하여, 기본 목표 포지션(PB; 수온에 의한 값), 에어콘 목표 포지션(PA/C; 수온에 의한 값), 기본 목표 회전 속도(NeB ; 수온에 의한 값), 대시 포프 목표 포지션(PDP; 단위 크랭크 각도 θ에 의한 값), 목표 편차 보정 게인 I(△Ne(=실제 Ne=목표 Nea)에 의한 값)의 각 값의 최신의 값이 산출된다.
또한, 스텝(b6)에서는 (b5)에서 산출한 각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를 전통 운전과 휴통 운전의 전환시에 다음의 (2)식에 의거해 각 보간치(Pn)를 각각 연산한다.
Pn=KiP2+(1-Ki)P4 ……………………… (2)
이 경우 맵 보간 계수(Ki)의 증감에 의해서 각 값이 전통시의 값 P4(=f4(WT))과 휴통시의 값 P2(=f2(WT))으로 서서히 변동하고, 급격한 전환을 억제하여 제어의 헌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루틴의 도중 일정 크랭크 각도 마다 삽입이 실시되어, 제13도의 학습치 연산 루틴이 실행된다.
여기에서는, 제어 영역 판정 수단(A3)으로서 현재의 엔진 운전 정보보다 조건(I)이 만족되어, 회전수 피드 백 제어 모드(M-1)에 있는가의 여부를 판정하여 없으면 그대로 리턴하고, 모드(M-1)에 있으면 스텝(c2)으로 진행한다. 여기에서는, 휴통 플러그(ICFLG)가 온(ON)이면 스텝(c4)으로, 전통 운전시에는 스텝(c3)으로 진행한다. 스텝(c4)에서는 휴통 운전시의 실제 포시션(Pi)를 ISC 포지션 센서(10)로부터 취해서, 금번의 산출 포지션(Poa)와 실제 포지션(Pi)의 편차에 의해 학습치(PLR2)를 갱신하고, 메인 루틴에 리턴한다. 마찬가지로, 스텝(c3)에서는 전통 운전시의 실제 포지션(Pi)를 ISC 포지션 센서(10)로부터 취해, 산출 포지션(Poa)과 실제 포지션(Pi)의 편차에 의해 학습치(PLR1)를 갱신하고 메인 루틴으로 리턴한다.
메인 루틴 내의 아이들 회전 속도 제어량 연산 루틴을 제11도에 의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각 운전 데이터와, 각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와, 학습치(PLR1, PLR2)등이 취해지고, 이어서 크랭킹 판정 수단으로서의 크랭킹 스위치(14)가 온(ON)인가 아닌가에 의거해서 크랭킹시 면 스텝(d3)으로 진행하고, 시동 기본 목표 포지션(Pc(WT))을 맵(m2)에 의해 산출한다. 또한, 스텝(d4)에서 휴통시 혹은 전통시의 학습치(PLR1, PLR2)에 의한 수정을 하기 식(3)에 의거해서 실시하여, 수정된 수정 목표 포지션(Pob)을 산출하고 스텝(d5, d6)으로 진행한다.
Pob=Pc(WT)+PLR1(또는, PLR2) ……………………… (3)
스텝(d5)에서는 수정 목표 포지션(Pob)의 상하한의 클립 처리를 행하고, 목표 포지션(Po)을 산출하고, ISC 밸브(4)의 현재의 포지션(Pi)을 목표 포지션(Po)으로 수정하도록 스텝퍼 모터(5)를 피드 백 제어하게 된다.
다른 편으로, 크랭킹시가 아닌 것으로 인해 스텝(d7)으로 진행하면, 여기에서는 제어 영역 판정 수단(A3)으로서 현 엔진 운전 정보로부터 조건 Ⅱ가 만족되는 것을, 즉, 회전수 피드 백 제어 모드(M-2)에 있는이 아닌가를 판정하고, No에서 스텝(d8)으로 진행한다. 여기에서는, 비회전수 피드 백 제어 모드(M-2)에서 사용하는 각 데이타, 즉, 기본 목표 포지션 PB(ms1, md1로부터), 흡기 온도 목표 포지션 P(AT)(m3로부터), 에어콘 목표 포지션 PA/C(ms2, md2로부터), 대시 포트 목표 포지션 PDP(ms3, md3로부터)을 취해, 이들의 최대치를 산출 포지션(P)으로서 산출하는 포지션 최대치 산출 수단(A4)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텝(d9, d5)에서는 산출 포지션(Poa)를 휴통시 및 전통시의 각 학습치(PLR1, PLR2)에 의해 수정하고 필요한 수정 목표 포지션(Pob)을 구한다. 그 위에 수정 목표 포지션(Pob)의 상하한의 클립 처리를 행하여 목표 포지션(Po)을 산출하고 스텝(d6)에 도달하고, ISC 밸브(4)의 현재의 포지션(Pi)을 목표 포지션(Po)으로 수정하도록 스텝퍼 모터(5)를 피드 백 제어하게 된다.
스텝(d7)에서 예(YES)측의 스텝(d10)으로 진행하면, 여기에서는, 현 엔진 운전 정보로부터 조건 I이 만족되어 회전수 피드 백 제어 모드(M-1)에 있다고 하고, 기본 목표 회전 속도(NeB(ms4, md4로부터), 흡기 목표 회전 속도 Ne(AT)(m4로부터)를 취해, 이들의 최대치를 산출 목표 회전 속도(Nea)로서 산출하는 회전 속도 최대치 산출 수단(A6)으로서 구성된다.
또한 스텝(d11, d12)에서는 실제 회전 속도(Ne)와 산출 목표 회전 속도(Nea)의 편차(△Ne)를 구해 그 편차(△Ne)에 해당하는 휴통시 및 전통시의 각 목표 편차 보정 게인 I(ms5, md5으로부터)를 구한다. 그래서, 필요한 수정 목표 포지션(Pob)을 목표 편차 보정 게인 I(△Ne)와 현재의 목표 포지션(Po)의 가산에 의해 구해서 스텝(d5, d6)으로 진행하고, 그 위에 수정 목표 포지션(Pob)의 상하한의 클립 처리를 행하며, 최신의 목표 포지션(Po)을 산출하고, ISC 밸브(4)의 현재의 포지션(Pi)을 최신의 목표 포지션(Po)을 산출하고, ISC 밸브(4)의 현재의 포지션(Pi)을 최신의 목표 포지션(Po)으로 수정하도록 피드 백 제어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엔진 회전 속도(Ne)와 목표 엔진 회전 속도, 예를 들자면 산출 목표 회전 속도(Nea)와의 편차를 배제하도록 내연 기관의 아이들 속도 제어 수단을 제어할 때에 최소한 목표 아이들 회전속도 및 목표 아이들 포지션을 작동 기통수의 정보의 변경에 의해 별도로 산출하고, 선택적으로 채용하므로 휴통 전환시에도 안정된 아이들 운전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는 자동차, 그밖의 아이들 회전수 제어를 ISC 밸브를 사용해서 행함과 함께 휴통 기통을 설치한 엔진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특히, 엔진 회전수 등의 사용 운전 조건이 광범위하게 전통 운전과 휴통 운전이 변화하기 쉬운 자동차의 엔진에 채용된 경우에 그 효과를 충분하게 발휘할 수 있다.

Claims (20)

  1. 엔진의 운전 상태에 따라 일부의 기통을 휴지시키는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엔진 회전 속도 정보를 출력하는 엔진 회전 속도 검출 수단과, 상기 엔진의 작동 기통수를 판별하여 작동 기통수의 정보를 출력하는 기통수 판별 수단과, 상기 엔진의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로서 최소한 목표 회전 속도 및 목표 포지션을 상기 작동 기통수의 정보에 의하여 산출하는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 산출 수단과, 상기 엔진의 아이들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아이들 회전 속도 제어 수단과, 상기 엔진 회전 속도와 목표 엔진 회전 속도의 편차를 배제하도록 상기 아이들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제어하는 회전 속도 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 산출 수단은 엔진수의 온도에 의거해서 설정되는 기본 목표 포지션을 상기 작동 기통수의 정보의 변경에 의해 각각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 산출 수단은 에어콘의 작동 상태에 따라 목표 포지션을 상기 작동 기통수의 정보에 의해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 산출 수단은 대시 포트의 작동 상태에 의해서 목표 포지션을 상기 작동 기통수의 정보에 의해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 산출 수단은 엔진수의 온도에 의거해서 설정되는 기본목표 회전 속도를 상기 작동 기통수의 정보에 의해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 산출 수단은 목표 편차 보정 게인을 상기 작동 기통수의 정보에 의해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작동 기통수의 정보에 의해 설정되는 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기통수의 정보가 변경되면, 변경 전의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에서 보간되면서 변경 후의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간 처리에 사용되는 보간 계수가 상기 작동 기통수의 정보에 의해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는 일정한 제1크랭크 각도마다 상기 아이들 제어 파리미터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시동시 이외의 운전 상태에서 상기 엔진의 보기(輔機)의 전환 후 일정한 전환 시간내에는 상기 목표 포지션에 의해 상기 아이들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시동시 이외의 운전 상태에서 상기 엔진의 보기의 전환 후 일정한 전환 시간 경과후는 상기 목표 회전 속도에 의해서 상기 아이들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
  13. 엔진의 운전 상태에 의해서 일부의 기통을 휴지시키는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엔진 회전 속도 정보를 출력하는 엔진 회전 속도 검출 수단과, 상기 엔진의 작동 기통수를 판별하여 작동 기통수의 정보를 출력하는 기통수 판별 수단과, 상기 엔진의 크랭킹을 판정하는 크랭킹 판정 수단과, 상기 엔진의 아이들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아이들 회전 속도 제어 수단과, 상기 엔진이 안정되어 있을 때에 선택하는 회전수 피드 백 제어 영역 또는 상기 엔진이 안정되어 있지 않을 때 선택하는 비회전수 피드 백 제어 영역 중 어느 것의 운전 상태인가를 판정하는 제어 영역 판정 수단과, 제어 영역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비회전수 피드 백 제어 영역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엔진의 작동 기통수의 정보에 의해서 산출되는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로서 최소한 목표 포지션과 흡기 온도에 의해 산출되는 흡기 온도 목표 포지션과의 크기를 비교해서 최대치를 산출 포지션으로 하여 산출하는 포지션 최대치 산출 수단과, 이러한 산출 포지션을 보정하는 산출 포지션 보정 수단과, 상기 제어 영역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회전수 피드 백 제어 영역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엔진의 작동 기통수의 정보에 의해 산출되는 상기 아이들 제어 파라미터로서 최소한 목표 회전 속도와, 흡기 온도에 의해 산출되는 흡기 온도 목표 회전 속도와의 크기를 비교해서 최대치를 산출 목표 회전 속도로서 산출하는 회전 속도 최대치 산출 수단과, 상기 산출 목표 회전 속도와 상기 엔진 회전 속도의 편차에 의한 목표 편차 보정 게인을 산출하는 목표 편차 보정 게인 산출 수단과, 이러한 목표 편차 보정 게인 또는 상기 산출 포지션 보정 수단에서 얻어진 수정 목표 포지션에 의해 상기 아이들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제어하는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포지션은 엔진수의 온도에 의거해서 설정되는 기본 목표 포지션과, 에어콘의 작동 상태에 의한 목표 포지션과, 대시 포트의 작동 상태에 의한 목표 포지션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회전 속도는 엔진수의 온도에 의거해서 설정되는 기본 목표 회전 속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편차 보정 게인은 상기 엔진의 작동 기통수의 정보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포지션 보정 수단은 상기 산출 포지션에 학습치 연산 수단에서 연산되는 수정 목표 포지션의 학습치를 가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치 연산 수단은 상기 아이들 회전수 피드 백 제어 영역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아이들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의 실제 포지션과 상기 기본 포지션의 편차에 의해 수정 목표 포지션의 학습치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치는 작동 기통수의 정보에 의해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치는 일정한 제2크랭크 각도 마다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
KR1019930001835A 1992-02-12 1993-02-11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 KR01272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025049A JP2913980B2 (ja) 1992-02-12 1992-02-12 吸排気弁停止機構付きエンジンのアイドル制御装置
JP92-25049 1992-0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147A KR930018147A (ko) 1993-09-21
KR0127285B1 true KR0127285B1 (ko) 1997-12-29

Family

ID=12155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1835A KR0127285B1 (ko) 1992-02-12 1993-02-11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415143A (ko)
EP (2) EP0684373B1 (ko)
JP (1) JP2913980B2 (ko)
KR (1) KR0127285B1 (ko)
AU (1) AU662953B2 (ko)
DE (2) DE6933193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07347B1 (fr) * 1993-07-06 1995-09-22 Siemens Automotive Sa Procédé et dispositif de commande du régime d'un moteur à combustion interne en phase de ralenti.
JP3378094B2 (ja) * 1994-10-18 2003-02-17 三信工業株式会社 2サイクルエンジンの運転制御装置
JP3864451B2 (ja) * 1996-06-05 2006-12-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のアイドル回転数制御装置
US5875759A (en) * 1996-08-12 1999-03-02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for improving spark ignit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starting and idling using poor driveability fuels
KR100284795B1 (ko) * 1997-05-26 2001-03-15 하나와 요시카즈 엔진의 공회전 속도 제어 장치
JP3772518B2 (ja) 1998-02-27 2006-05-10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の運転制御装置
DE19831515A1 (de) * 1998-07-14 2000-01-20 Bayerische Motoren Werke Ag Betriebsverfahren für eine Fahrzeugkraftmaschine
US6055971A (en) * 1998-07-21 2000-05-02 Chrysler Corporation Plateau linearization curves with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 theory
DE19924862C1 (de) * 1999-05-31 2000-08-31 Daimler Chrysler Ag Verfahren zur Einstellung einer vorgebbaren Zielgeschwindigkeit in einem Fahrzeug
AUPQ729500A0 (en) * 2000-05-04 2000-05-25 Orbital Engine Company (Australia) Proprietary Limited Air valve control method
KR100412703B1 (ko) * 2001-09-26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엔진 공회전 제어방법
KR20030037637A (ko) * 2001-11-07 2003-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실린더 부분 운전 제어장치 및 방법
AU756938B1 (en) * 2002-04-04 2003-01-30 Hyundai Motor Company Engine idle speed control device
JP4142983B2 (ja) * 2003-02-07 2008-09-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気筒休止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4332660A (ja) * 2003-05-09 2004-11-25 Honda Motor Co Ltd 可変気筒式内燃機関の制御装置
DE10349428A1 (de) * 2003-10-21 2005-05-19 Behr Gmbh & Co. Kg Kraftfahrzeug-Klimaanlage mit Standklimatisier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olchen
US6990953B2 (en) * 2004-05-24 2006-01-31 Nissan Motor Co., Ltd. Idle rotation control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60048981A1 (en) * 2004-08-23 2006-03-09 Bychkovski Vitali N High output and efficiency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6070788A (ja) * 2004-09-01 2006-03-16 Keihin Corp 単気筒用のスロットルボデーにおけるアイドルスピードコントロール装置
US20060180210A1 (en) * 2005-02-11 2006-08-17 Delphi Technologies, Inc. Design of an air flow control valve with double valves
US20080124667A1 (en) 2006-10-18 2008-05-2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Gas pressure control for warm air furnaces
US20100147258A1 (en) * 2008-12-17 2010-06-17 Caterpillar Inc. Engine control system having gradual cylinder cutout
JP5719734B2 (ja) * 2011-09-15 2015-05-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制御装置
US9267446B2 (en) * 2012-06-15 2016-02-23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Engine speed management control system for cold planers
US9708993B2 (en) * 2015-02-04 2017-07-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exhaust catalyst warming
CN111102090B (zh) * 2019-11-19 2022-04-26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断缸模式下对喷油量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
US20230243315A1 (en) * 2023-03-17 2023-08-03 Michael J. Holihan Method to mitigate reverse oil flow to the combustion chamber via hybrid cylinder cutout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51420B (en) * 1979-04-24 1983-12-14 Nissan Motor Intake air flow control system to control idling speed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3013052A1 (de) * 1980-04-03 1981-10-15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Zuend- und kraftstoffeinspritzanlage fuer mehrzylindrige brennkraftmaschinen
JPS57191428A (en) * 1981-05-20 1982-11-25 Nissan Motor Co Ltd Idling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number of operating cylinders of engine
US4494502A (en) * 1982-01-27 1985-01-22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Idling controller of variable displacement engine
JPS58131337A (ja) * 1982-01-30 1983-08-05 Mitsubishi Motors Corp エンジンのアイドル調整装置
GB2157028B (en) * 1982-01-30 1986-04-16 Mitsubishi Motors Corp Automatic control engine speed
US4520272A (en) * 1982-01-30 1985-05-28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Engine speed regulating system
JPS58143143A (ja) * 1982-02-19 1983-08-25 Mitsubishi Motors Corp エンジンの回転速度制御装置
JPS5960050A (ja) * 1982-09-29 1984-04-05 Mitsubishi Motors Corp エンジン回転数制御装置
JPS5960048A (ja) * 1982-09-29 1984-04-05 Mitsubishi Motors Corp エンジン回転数制御装置
JPS5960049A (ja) * 1982-09-29 1984-04-05 Mitsubishi Motors Corp 休筒エンジン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S5960051A (ja) * 1982-09-29 1984-04-05 Mitsubishi Motors Corp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S5965531A (ja) 1982-10-07 1984-04-13 Nippon Denso Co Ltd 内燃機関の回転速度制御装置
JPS5974347A (ja) 1982-10-21 1984-04-26 Mazda Motor Corp 気筒数制御エンジンのアイドル回転数制御装置
DE3313038A1 (de) * 1983-04-12 1984-10-18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Mehrzylinder-brennkraftmaschine mit abschaltbaren zylindergruppen
JPS6027740A (ja) * 1983-07-25 1985-02-12 Mazda Motor Corp 気筒数制御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S6045740A (ja) * 1983-08-23 1985-03-12 Mazda Motor Corp 気筒数制御エンジンの回転数検出装置
JPS6073026A (ja) * 1983-09-27 1985-04-25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アイドル回転制御装置
JPS6155345A (ja) * 1984-08-24 1986-03-19 Toyota Motor Corp 電子制御デイ−ゼルエンジンの気筒別噴射量補正方法
JP2572266B2 (ja) * 1988-07-11 1997-01-16 富士カプセル株式会社 滑走性及び崩壊性を改良したカプセル
JP2595737B2 (ja) * 1990-01-18 1997-04-0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アーム中継式往復動装置
US5083541A (en) * 1990-12-10 1992-01-28 Ford Mo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ngine idle spe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55816B1 (en) 1996-12-18
EP0684373B1 (en) 2002-05-15
AU3297093A (en) 1993-08-19
DE69331934T2 (de) 2002-11-28
DE69306602D1 (de) 1997-01-30
EP0684373A2 (en) 1995-11-29
EP0555816A3 (ko) 1994-02-02
EP0555816A2 (en) 1993-08-18
KR930018147A (ko) 1993-09-21
DE69306602T2 (de) 1997-07-17
JPH05222990A (ja) 1993-08-31
US5415143A (en) 1995-05-16
JP2913980B2 (ja) 1999-06-28
AU662953B2 (en) 1995-09-21
EP0684373A3 (en) 1998-12-30
DE69331934D1 (de) 200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7285B1 (ko)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
US5140955A (en) Method of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672060B1 (en) Coordinated control of electronic throttle and variable geometry turbocharger in boosted stoichiometric spark ignition engines
US5611309A (en) Throttle valve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4933863A (en) Control system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U663749B2 (en) Engine for automobile
CA2581533A1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nd engine control unit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701867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an engine
EP1065117B1 (en) Negative pressure control apparatus for engine mounted in vehicle
JP2652879B2 (ja) エンジンにおけるバルブタイミングの切換制御方法
JP2619696B2 (ja) エンジンにおけるバルブタイミングの切換制御方法
US4938188A (en) Engine control apparatus
US4966110A (en) Intake air flow control apparatu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
US5381768A (en) Air-fuel ratio control apparatu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0149512B1 (ko) 내연기관 급기 시스템
EP0824186B1 (en)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730103A (en) Fuel supply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57223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intake air flow rat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014559B2 (ja) 車両用制御装置
JP2001032737A (ja) 内燃機関のスロットル制御装置
JP2720636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5765526A (en) Fuel supply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2734899B2 (ja) 自動車用エンジン
JPH0716927Y2 (ja) 車輌用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0373048B1 (ko) 자동차의 연료량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