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592B1 - 호스펌프 - Google Patents

호스펌프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592B1
KR0126592B1 KR1019900700749A KR900700749A KR0126592B1 KR 0126592 B1 KR0126592 B1 KR 0126592B1 KR 1019900700749 A KR1019900700749 A KR 1019900700749A KR 900700749 A KR900700749 A KR 900700749A KR 0126592 B1 KR0126592 B1 KR 0126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housing
pump
primary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0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2236A (ko
Inventor
슈트라이헤르 만프레트
Original Assignee
부흐 흘쯔, 코르베르
알파 라발 플로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흐 흘쯔, 코르베르, 알파 라발 플로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부흐 흘쯔, 코르베르
Publication of KR900702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2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5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0009Special features
    • F04B43/0054Special features particularities of the flexible members
    • F04B43/0072Special features particularities of the flexible members of tubular flexi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12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호스펌프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은 다음에 도면에 표시된 실시예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 기술될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호스펌프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호스펌프에 사용된 호스의 단면의 투시도.
제3도는 압착상태의 제2도의 호스에 대한 도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가압연결부 및 흡입연결부가 있는 하우징, 가압 및 흡입연결부와 연결되어 있고 하우징의 내벽에 접하고 있는 1차 호스, 및 호스가 각 압착부재에 의해 흡입연결부의 방향으로부터 가압연결부의 방향으로 압착될 수 있도록 호스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두개의 압착부재를 가진 호스펌프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상태]
상기 타입의 공지의 호스펌프는 호스를 압착시키기 위하여 호스를 따라 이동하는 압착부재 후방의 흡입부위에서 호스가 다시 복원되는 방식에서 본질적으로 상이하다. 그리하여 비교적 큰 자체 복원력을 가진 탄성호스를 갖춘 호스펌프가 알려져 있다. 그런데 각각의 경우에 원하는 복원력은 펌프의 원하는 흡입높이에 좌우된다. 또 다른 공지타입의 호스펌프에 있어서 호스의 복원력은 펌프내부에서의 부압에 의해 발생된다. 호스펌프내부에서 요구되는 부압의 발생 또는 유지를 위한 여러가지 방법들은 DE-PS 37 03 124에서 알려져 있다. 제1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압착된 호스를 복원시키기 위한 흡입측에 요구되는 부압은 분리장치에 의해 행해질수도 있는데, 이 분리장치는 패킹(실링)부와 분리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패킹부는 탄성패킹으로 되어 있고, 이 패킹은 흡입연결부와 가압연결부 사이에 짧은 부위에서 하우징 주위벽에 연결되어 있고 이 부위에서 분리부, 전방벽, 후방벽 및 주위벽에 기밀 접촉하는, 한편 분리부는 압착부재가 구비된 회전체 주위에 도입되어 전방벽과 후방벽에 밀봉식으로 작용하는 밀봉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타입의 분리장치에 의해, 소정시간에 요구되는 흡입높이(헤드)에 대응하는 크기의 흡입측 부압이 펌프내에 생긴다. 같은 효과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펌프 내부의 모든 자유공간을 액체로 충만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충만상태에서 압착부재가 호스위로 일정한 거리만큼 앞으로 이동되고 그래서 호스의 새로운 부분을 압착하면, 앞서 압착되었던 호스부분은 압착된채 남아 있지 않게되는데, 그 이유는 이 경우 펌프내에 충만된 액체내에 중공의 공간(빈공간)이 생겨야 하는데 이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액체의 작용에 의해 부압이 생기고 이 부압에 의해 압착부재가 앞으로 이동해 가자마자 각 압착된 호스부분이 즉시 다시 팽창회복된다.
결국 호스는 부압에 의해 팽창된다. 그럼으로써 대단히 높은 회전속도와 수송성능이 달성될 수 있다. 압착부재가 앞으로 이동할때 생기는 부압은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그때그때 흡입측 호스내의 부압에 정확히 대응한다. 이 펌프에서도 그처럼 흡입 높이가 자동으로 조정된다.
탄성 호스를 갖춘 펌프에 비하여 부압에 의해 다시 복원되는 호스펌프는 구조상 비용이 많이 드는데 이것은 필요로 하는 진공밀봉식 제작 작업으로부터 충분히 이해될 수 있는바이다. 그래서 분리장치 삽입설치시의 부압의 달성은 하우징내에서 상대적으로 서로 움직이는 부재들의 진공밀봉식 연결에 좌우된다. 액체로 완전히 충만된 진공펌프의 경우에는 진공이 너무 높은 경우 호스펌프의 하우징내에 있는 필요한 소량의 그리스액이 발포하여 호스를 다시 팽창시키는 복원력이 생기지 않거나 약하게 밖에 생기지 않을 우려가 있다.
[발명의 설명]
이러한 공지의 기술상태로부터 출발하여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호스를 다시 팽창시키는 복원력이 원하는 크기를 가진 부압에 의해 안전하게 작동될 수 있는, 상술한 타입의 호스펌프를 제공하는 목적을 기초로 하고 있다.
전술하였고 선행기술에서 알려져 있는 호스펌프에 있어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의 특징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호스펌프는 적어도 하나의 2차 호스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것으로,이 호스는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그의 일단은 호스의 내부에서 끝나고 그의 타단은 하우징의 외부에서 끝나며, 그것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2차 압착부재의 이동에 의해 그 일단의 방향으로부터 그 타단의 방향으로 압착될 수 있도록 하우징내부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호스펌프가 작동시 수송 호스에서 일어나는 것과 같은 식으로 이 2차 호스의 압착에 의해 공기가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흡출되고 그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에 진공이 유지 또는 발생될 수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이 2차 호스는 그 직경이 대단히 작을수 있다. 그래서 원래의 수송을 위해 존재하는 호스는 탄성 변형될 필요가 없고 부압에 의해 다시 팽창될 수 있으며 그리하여 진공 호스펌프의 장점이 이용될 수 있다.
호스펌프의 내부에 진공을 유지 또는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2차 호스는, 수송호스의 압착 역할을 하는 1차 압착부재가 진공을 발생 또는 유지시키기 위해 존재하는 2차 압착부재로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호스펌프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호스펌프에 있어서의 구조의 간략화가 크게 개선된다.
본 발명에 의한 호스펌프는 요구되는 대기 부압이 내부에 형성되었을때 비로소 완전한 기능이 발휘될 수있다. 그러한 호스펌프의 시동시간을 최대한 짧게 하기 위해 2차 호스는 대기 방향으로 개방된 체크밸브를 통해 하우징을 둘러싸는 대기와 연통된다. 그럼으로써 호스펌프가 작동하지 않을때는 하우징의 내부에 공기가 전혀 유입될 수 없고, 따라서 가능한한 오래 호스를 사용하지 않으려는 이유에서 원하는 호스펌프의 정지시 압착부재가 2차 호스에 밀접접촉하지 않을때에도, 소정시간에 존재하는 부압이 손실되지 않는다. 그럼으로써 그러한 호스펌프는 사실상 즉시 그의 완전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2차 호스가 1차 호스의 벽내에 존재할때는 추가적인 간략화가 달성된다. 예컨대 호스를 최초로 설치시 또는 호스 교환시와 같이 1차 호스를 옮길때는 2차 호스도 동시에 옮겨질 것이다. 그리하여 2차 호스가 항상 1차 호스 또한 그와 함께 존재하는 압착부재에 대해 올바른 위치에 정렬되는 것이 보장된다.
2차 호스가 1차 호스의 측벽의 공동에 의해 형성되게 함으로써 이 2차 호스는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있다. 그리하여 2차 호스를 위한 자체 호스벽은 없어도 되는데, 그 이유는 2차 호스는 단지 채널형(통로형)개구부로 1차 호스의 벽내의 오목부이기 때문이다.
2차 호스 또는 채널형 개구부가 1차 호스에서 1차 호스의 외측 보다 내측 가까이 벽층에 존재하면 매우 본질적인 이점이 생긴다. 자명하듯이 2차 호스는 1차 호스가 압착시 그의 단면도 완전히 서로 압착되도록 1차 호스의 주위 위치가 결정되어야만 한다. 그래서 2차 호스는 1차 호스의 만곡부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2차 호스는 그위에 1차 호스의 외측보다는 더 내측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호스는 압착시 최대로 응력을 받는 1차 호스의 외각부에 존재한다. 다소 장시간의 운전후 피할수 없는 1차 호스의 손상시에는, 먼저 2차 호스를 둘러싸는 외각부가 안쪽으로 찢어지며 그리하여 이 2차 호스의 내부는 첫째 호스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이렇게 하면 호스펌프가 작동시 1차 호스내에서 수송되는 매질(媒質)이 2차 호스의 구멍으로부터 유출된다는 이점이 있다. 즉 압착부재가 작동시 이제 1차 호스내에서 수송되는 매질이 2차 호스내로 유입하여 이 2차 호스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이것은 적당한 감시장치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그러면 즉시 호스펌프는 정지될 수 있다. 그래서 2차 호스는 동시에 주호스에 대한 호스 파수꾼 역할도 하는데, 그 이유는 이 호스는 호스의 최대 위험 부위에 위치하고 그리하여 주호스가 부분인열을 나타내어 곧 교환되어야 한다는 것을 즉시 지시해 줄수 있기 때문이며, 이렇게 하여 호스는 호스가 조만간에 완전히 찢어져 파열될 시점까지는 완전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나 보류되는 것이다. 그래서 식품수송에 사용될 경우에는 호스펌프는 주호스가 찢어지기 훨씬전에 정지되어 수송되는 식품이 호스펌프 내에 존재하는 그리스액과 혼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래서 식품의 수송을 위해서는 이제 호스펌프도 아무 염려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발명의 수행을 위한 방법]
호스펌프의 하우징(10)은 2개의 연결부를 가지고 있으며 그중 도면에서 좌측의 연결부는, 흡입연결부(12)로 표시되며 그리고 도면에 있어 우측연결부는 가압연결부(14)로 표시되어 있다. 하우징(10)에 있는 회전자(18)의 회전방향은 반시계 방향이다. 2개의 연결부(12,14)는 하우징(10)의 상부 부분(20)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46)로 뻗어 있고 호스(22)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호스(22)는 하우징(10)의 하부 원통형 압착부위(24)내 하우징(10)의 내면에 직접 또는 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쿠션(패딩)층을 통해 간접적으로 놓여 있다. 회전자(18) 및 회전자에 구비되어 호스에 압접되는 회전자의 압착부재(26)는 외측으로 각각 원통형상의 측면(30)을 형성하고 이 측면은 정면측의 평면에 평행하게 놓인 하우징(10)의 폐쇄벽에 기밀 접촉한다. 여기까지는 본 부재들은 공지의 호스펌프에서 알려진 부재들에 대응한다.
하우징(10)의 내부에 있는 호스(22)의 측벽(31)은 덕트형 개구부(32)를 가지고 있으며 이 개구부는 그 종축(34)에 평행으로 존재한다. 이 덕트형 개구부(32)는 측벽(31)의 외측(38)쪽 보다는 내측(36)에 더 가까이 배열되어 있다. 게다가 이 개구부는 원주에서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좌측 호스(22)의 만곡부(40)에 있도록 배치되어 호스가 압착부재(26)의 작용하는 힘(42)에 의해 그 단면이 180도 편향되고 그와 함께 최대의 부하가 걸리게 된다.
호스(22)의 이 덕트형 개구부(32)는 흡입연결부(12)부위에 하우징 상부에서 하우징(10)의 내부(46)로 연통되는 개구부(44)를 갖추고 있다. 가압연결부(14)의 부위에서 덕트형 개구부(32)는 유출덕트(50)와 기밀연결로 되어 있다. 이 유출덕트는 그의 타단이 하우징(10)의 외부에서 대기로 개방되며 이 덕트(통로)는 패킹링(52)을 통해 뻗어 있다.
가압연결부(14)는 그 상단에 바깥나사(54)를 가지고 있어 그위로 유니온 너트(56)가 패킹링(52)에 대해 또한 하우징(10)의 상부 부위(20)에 대해 나사로 죄어져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흡입연결부(12)도 하우징(10)에 그리고 그와함께 호스(22)에도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흡입연결부(12)는 유출개구부(50)을 가지고 있지 않는데 그 이유는 상기와 같이 덕트개구부(32)가 아래에서 개구부(44)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46)와 연통되기 때문이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의한 호스펌프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회전자(26)가 회전방향(16)으로 회전하면 공기는 내부(46)로부터 개구부(44)를 통해 흡입되어 유출덕트(50)로부터 하우징(10)을 둘러싸고 있는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회전방향(16)으로 회전하는 동안 압착부재(26)는 한 지점에서 호스(22)를 충분히 압착시켜 따라서 이 지점에서 단면을 완전히 폐쇄시키는 방식으로(제3도), 덕트형 개구부(32)도 또한 완전히 압착되어 따라서 호스(22)의 이 위치에서 압착부재(26)에 의해 폐쇄된다.
호스(22)가 시간이 경과하여 찢어지면, 그러한 균열형성은 제일먼저 만곡부위(40,41) 근방 내측에서 나타날 것이다. 또한 덕트형 개구부(32)가 이들 부위중 한 부위에는 구비되어 있으므로, 그러한 균열은 개구부(32)를 내부로 개방시키게 할것이며 그리하여 덕트형 개구부(32)는 그대로로는 더 이상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것이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 호스(22)는 아직 완전히 효과적으로 작동할 것이며, 단지 하우징(2)의 내부를 통해 운반될 매질은 공기대신에 유출개구부(50)를 통해 유출될 것이다. 호스펌프가 식품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될때 예컨대 수프를 운반할때 유출덕트(50)를 통해 이 수프의 일부가 유출된다. 따라서 호스(22) 자체가 아직도 손상받지 않은채 존재하여 하우징(10)의 내부에 존재하는 윤활유와 예컨대 운반될 수프등의 제품사이에 혼합이 발생되지 않는 시점에서 호스펌프를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결국 이와같은 펌프는 식품을 운반하기 위한 법규상의 관점에서 염려없이 식품분야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가압연결부(14) 및 흡입연결부(12)를 갖춘 하우징(10), 가압연결부 및 흡입연결부에 연결되어 있고 하우징(10)의 내벽(24)에 놓여 있는 1차 호스(22), 및 호스가 각 압착부재에 의해 흡입연결부(12)의 방향으로부터 가압연결부(14)의 방향으로 압착될 수 있도록 호스(2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압착부재(26)를 구비한 호스펌프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그의 일단(44)은 하우징(10)의 내부(46)에서 그리고 그의 타단(50)은 하우징(10)의 외부에서 끝나며, 그리고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2차압착부재(26)는 이동에 의해 그의 일단(44)의 방향으로부터 그의 타단(50)의 방향으로 압착될수 있도록 하우징의 내부(46)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2차 호스(32)를 특징으로 하는 호스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1차 압착부재(26)는 동시에 또한 2차 압착부재(2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2차 호스(32)는 대기의 방향으로 개방되는 체크밸브를 통해서 하우징을 둘러싸는 대기와 연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펌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차 호스(32)는 하우징(10)내의 1차호스(22)와 평행으로 정렬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펌프.
  5. 제4항에 있어서, 2차 호스(32)는 1차 호스(22)의 벽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펌프.
  6. 제5항에 있어서, 2차 호스(32)는 공동을 통해 1차 호스(22)의 벽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펌프.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2차 호스(32)의 공동은 1차 호스(22)의 외측(38)에 보다는 내측(36)에 더 가까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펌프.
KR1019900700749A 1988-08-12 1989-09-08 호스펌프 KR01265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827405A DE3827405A1 (de) 1988-08-12 1988-08-12 Schlauchpumpe
DEP3827405,1 1988-08-12
DEP3827405.1 1988-08-12
PCT/DE1989/000522 WO1990001638A1 (de) 1988-08-12 1989-08-09 Schlauchpum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2236A KR900702236A (ko) 1990-12-06
KR0126592B1 true KR0126592B1 (ko) 1998-04-03

Family

ID=6360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0749A KR0126592B1 (ko) 1988-08-12 1989-09-08 호스펌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049048A (ko)
EP (1) EP0394383B1 (ko)
JP (1) JPH03504528A (ko)
KR (1) KR0126592B1 (ko)
AT (1) ATE83047T1 (ko)
DE (2) DE3827405A1 (ko)
DK (1) DK171563B1 (ko)
FI (1) FI100676B (ko)
NO (1) NO171381C (ko)
WO (1) WO199000163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467B1 (ko) * 2000-09-01 2007-08-22 가쓰조 소무라 투명구 입체형 얼음의 제조법과 장치
KR101006479B1 (ko) * 2010-10-06 2011-01-06 김은수 호스 압착력의 미세 조절이 용이한 호스 펌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6267A (en) * 1992-10-27 1994-10-18 Beta Technology, Inc. Peristaltic pump with removable collapsing means and method of assembly
DE19814728A1 (de) * 1998-04-02 1999-10-07 Alfa Laval Flow Gmbh Schlauchpumpe und Verwendung für einen Transportschlauch mit Sicherheitskanal
WO2000028214A1 (en) * 1998-11-06 2000-05-18 Albury Bourne Limited Peristaltic fluid pumping and/or separation apparatus
FR2787835B1 (fr) * 1998-12-23 2004-09-24 Centre Nat Rech Scient Compresseurs peristaltiques adaptes a la compression non relaxante de gaz polarise
NL1012039C2 (nl) * 1999-05-11 2000-11-14 Bornhoud B V Pomp met vacu³mmiddelen.
NL1016948C2 (nl) * 2000-12-21 2002-06-25 Verder Vleuten Bv Peristaltische pomp voorzien van een behuizing.
US20050254879A1 (en) * 2002-06-13 2005-11-17 Gundersen Robert J Adjustable flow texture sprayer with peristaltic pump
US6890161B2 (en) * 2003-03-31 2005-05-10 Assistive Technology Products, Inc. Disposable fluid delivery system
US20050129545A1 (en) * 2003-12-15 2005-06-16 Prosek Michael E.Jr. Peristaltic pumping mechanism with geared occlusion rollers
WO2009006648A1 (en) * 2007-07-04 2009-01-08 Raymond William Hinks Peristaltic pump
US8118049B2 (en) * 2008-03-28 2012-02-21 Cardona Robert D Safety system for fluid conduit
US8215931B2 (en) * 2008-07-14 2012-07-10 Blue-White Industries, Ltd. Safety switch on a peristaltic pump
US9759210B1 (en) 2010-06-08 2017-09-12 Stenner Pump Company, Inc. Peristaltic pump head and related methods
CN112236278A (zh) * 2018-06-04 2021-01-15 吉列有限责任公司 带流体分配的个人护理产品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3178A (en) * 1961-08-11 1963-09-10 Ronald E Thompson High-capacity pump of tube-compression type
US3105447A (en) * 1961-08-28 1963-10-01 Ruppert Robert Gene Pump construction
NL178711C (nl) * 1976-02-24 1986-05-01 Gerritsen Jan Willem Slangpomp en een daarvoor bestemde pompslang.
US4576553A (en) * 1980-12-22 1986-03-18 Black & Decker Inc. Painting applicator with remote supply
US4474082A (en) * 1981-09-11 1984-10-02 Borg-Warner Corporation Control system for power shifted transmission
DE3320091A1 (de) * 1983-06-03 1984-12-06 Streicher, Irmgard, 7141 Beilstein Schlauchpump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467B1 (ko) * 2000-09-01 2007-08-22 가쓰조 소무라 투명구 입체형 얼음의 제조법과 장치
KR101006479B1 (ko) * 2010-10-06 2011-01-06 김은수 호스 압착력의 미세 조절이 용이한 호스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504528A (ja) 1991-10-03
NO171381C (no) 1993-03-03
EP0394383A1 (de) 1990-10-31
DK89590D0 (da) 1990-04-10
DK89590A (da) 1990-04-10
DE3827405A1 (de) 1990-02-15
DK171563B1 (da) 1997-01-13
FI901853A0 (fi) 1990-04-12
EP0394383B1 (de) 1992-12-02
NO171381B (no) 1992-11-23
DE58902903D1 (de) 1993-01-14
KR900702236A (ko) 1990-12-06
FI100676B (fi) 1998-01-30
NO901500L (no) 1990-04-03
WO1990001638A1 (de) 1990-02-22
US5049048A (en) 1991-09-17
ATE83047T1 (de) 1992-12-15
NO901500D0 (no) 1990-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6592B1 (ko) 호스펌프
US5062455A (en) Pressure vessel with diaphragm compression seal
US4515536A (en) Perstaltic pump
CN108820556B (zh) 一种包装盒
US4723670A (en) Pump closure for carbonated beverage container
JPS5912881B2 (ja) 蓄圧器
KR850004306A (ko) 밀폐형 스크로울 압축기
US5888056A (en) Diaphragm pump
JPS61145378A (ja) スラスト・ピストン・ポンプ
JPH1067212A (ja) パンクシーリング剤の抜き取り方法及び抜き取り装置
US3631877A (en) Venting valve for hydraulic jack
JPH0353029Y2 (ko)
CN107651318A (zh) 抽真空杯盖、抽真空杯及抽真空搅拌/粉碎杯
JPH0744554U (ja) ホースポンプ
US3487973A (en) Gastight container
EP1219856A1 (en) Shock absorbing device having air envelopes
KR970003565Y1 (ko) 생수용 에어펌프
CN110067872A (zh) 一种气动截流装置用橡胶套筒及气动截流装置
CN213836893U (zh) 一种伸缩囊及排水阀
JPS6192370A (ja) 非常用軸封装置
CN215246764U (zh) 避免开启后胀气的塑料桶桶盖
KR970011100B1 (ko) 자동펌프의 압력탱크
KR19990037761U (ko) 압축기의 프로세스 튜브용 플러그
JPH07158748A (ja) 隔壁貫通金物
JP2723180B2 (ja) ポ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