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565Y1 - 생수용 에어펌프 - Google Patents

생수용 에어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565Y1
KR970003565Y1 KR2019940018734U KR19940018734U KR970003565Y1 KR 970003565 Y1 KR970003565 Y1 KR 970003565Y1 KR 2019940018734 U KR2019940018734 U KR 2019940018734U KR 19940018734 U KR19940018734 U KR 19940018734U KR 970003565 Y1 KR970003565 Y1 KR 9700035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d water
inlet
tubular portion
pressing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87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5060U (ko
Inventor
박경서
Original Assignee
박경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서 filed Critical 박경서
Priority to KR20199400187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565Y1/ko
Publication of KR9600050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0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5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5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12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the whole dispensing unit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 B67D1/0425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the whole dispensing unit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comprising an air pump system

Landscapes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생수용 에어펌프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생수용 에어펌프의 외관을 보인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 구성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부재 2 : 밀폐부재
10 : 에어벤트 20 : 관체부
21 : 마개부 22 : 연성관체부
23 : 가압부 200 : 제1나선부
210 : 경사면 211 : 접촉면
212 : 가압링 220 : 압착턱
221 : 분할링
본 고안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생수용기에 담겨진 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사용자가 배출된 생수를 식음할 수 있도록 한 생수용 에어펌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수용기 입구 크기에 구애받음이 없이 생수 용기 입구를 완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한 생수용 에어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수용 에어펌프는 생수용기를 거꾸로 세우지 않고서도 생수용기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수 있도록 한 장치로서, 전원공급에 의한 모터의 구동으로 흡입팬을 회전시켜 이의 흡입력으로 생수용기 내부의 물을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 에어펌프와, 사용자의 누름 및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내부공기 압력차이로 생수용기 내부의 물을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 및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수동 에어펌프로 대분된다.
이러한 상기 생수용 에어펌프에서 상기 수동 에어펌프는 다시 사용자의 누름 및 스프링의 자체 탄성에 의한 복원력으로 압축 및 팽창되는 자바라식의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에 의한 내부공기압 차이에 의해서 생수용 기내의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과 연이어 통하는 배출관을 통해 용기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 및 차단시킬수 있도록 흡·배기 밸브가 설치된 통로부재와, 상기 가압부재 및 작동부재와 함께 생수용기의 입구에 고정 설치되는 마개부재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생수용 에어펌프는 먼저 사용자가 생수용기 내부의물을 식음하기 위해서 자바라식으로 형성된 가압부재를 누르게 되면, 흡·배기 밸브에 의한 작동부재에 의해서 상시 대기압과 평형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생수용기 내부 수면상의 내부 공기압측으로 가압부재내의 공기압이 가해지게 되고, 이의 공기압으로 생수용기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대기압보다 높아지게 되므로서 생수용기 내부의 물이 연결관 및 배출관을 통해 압력이 낮은 외부로 배출되므로서 사용자는 배출된 생수용기 내부의 물을 받아 마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가압부재에 대한 누름을 해제하게 되면, 자바라식으로 형성된 가압부재에 내재된 스프링이 자체 탄성의 의해서 팽창하게 되고, 이의 팽창에 의한 가압부재의 복원력으로 가압부재 내부에 공기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어 생수용기 내부의 공기압이 낮아지게 되므로서 연결관 및 배출관을 통한 생수용기 내의 물 배출이 차단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의 구성으로 된 생수용 에어펌프는 생수용기의 입구 크기에 따라서 각각 별도로 제작된 생수용 에어펌프를 제작해야만 한다. 이는 생수용기의 용량 및 제작상의 공차에 따른 생수용기 입구의 밀폐성 저하에 기인하는 것으로, 이와같이 생수용기 입구와 생수용 에어펌프간의 공차가 발생하게 되면, 생수용 에어펌프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않게됨은 물론 자바라식으로 형성된 가압부재의 누름에 의한 물 배출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서 기능상실 및 작동의 비효율성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생수용 에어펌프는 생수용기 입구에 따라 각각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해야만 되므로 사용의 비호환성을 가져와 사용의 불편성 및 번거로움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제작에 따른 비용부담으로 원가상승을 유발시키게 되는 결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생수용기 입구 크기에 관계없이 생수용기 입구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내부공기압에 의한 작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생수용 에어펌프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상기 생수용 에어펌프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가압으로 팽창되어 생수용기 입구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한 밀폐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고안 일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외관을 보인 정면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구성 결합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의 누름에 의한 가압으로 생수용기(100) 내부의 물을 배출관(11)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자바라식의 몸체부재(1)와, 상기 몸체부재(1)의 하부에 위치되고, 사용자의 회전에 의한 조임 및 가압에 의해서 팽창되어 몸체부재(1)를 생수용기(100)의 입구(110)측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한 밀폐부재(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밀폐부재(2)는 몸체부재(1)의 저면 중앙에서 하부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부측에는 제1나선부(200)가 형성된 관체부(20)와, 상기 관체부(20)의 외측에 삽입되어 생수용기(100)의 입구(110) 상부측에 씌워지는 마개부(21)와, 상기 마개부(21)의 저면에서 관체부(20)의 하부측 외주연부에 생수용기(100)의 입구(110)와 상응하는 길이로 감싸여지는 연성관체부(22)와, 상기 관체부(20)의 제1나선부(200)에 나선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연부에 제2나선부(230)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회전에 의한 마개부(21)의 누름 및 관체부(20)의 나선에 의한 상승으로 연성관체부(22)를 팽창시켜 생수용기(100)의 입구(110)에 밀착 고정되게 하는 가압부(23)가 구비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2는, 누름구이고, 13은 흡입관, 111은 생수용기(100)의 입구(110)측 중간부에 형성된 고정홈이다.
그리고, 상기 연성관체부(22)의 중간부에는 분할링(221)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가압부(23)의 회전에 의한 연성관체부(22)가 팽창될 때, 이 분할링(221)에 의해 상, 하에서 각각 분리된 팽창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이 분할링(221)의 상,하에서 완전한 팽창부를 동시에 서로 다른 위치에서 형성되는 결과로 그 밀폐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체부(20)의 하단부측 외주연에는 하부로 경사진 경사면(210)을 형성하여 연성관체부(22)가 팽창되도록 그 하단을 받쳐진 상태로 압축될 때, 이 연성관체부(22)의 하단부가 팽창되는 것에 대하여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하단측에서 연성관체부(22)가 팽창되는 그 직경이 보다 확대될 수 있으며, 생수용기의 입구 내벽과 밀착되는 힘이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210)과 부합되게 접촉면(211)을 연성관체부(22) 하단부에 형성하여 이 관체부(20)의 상승에 의한 연성관체부(22)의 팽창력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이 팽창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관체부(20)의 경사면(210)에는 가압링(212)이 구비된다.
이 가압링(212)은 관체부(20)의 경사면(210)이 상승될 때 그 직경이 확대되며 연성관체부(22)를 외주면 방향으로 강제 확대, 팽창토록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연성관체부(22)의 하부측이 확대되는 것에 도움을 줌과 아울러 보다 정확한 위치에서 원주방향으로 하나의 링형상으로 된 팽창부가 강력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이 가압링(212)에는 일측이 절취된 것을 선택하게 되면 그 직경확대 작용이 보다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 가압에 의한 밀폐효과가 크게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압부(23)는 사용자의 잡음력 및 회전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방사선상으로 손잡이(231)가 구비되고, 상기 연성관체부(22)의 상단부에는 가압부(23)에 의한 마개부(21)의 연성관체부(22) 가압이 정확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압착턱(22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몸체부재(1)의 일측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누름 및 스프링(14)의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서 몸체부재(1)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 및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에어벤트(AIR VENT)(10)가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관계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관체부(20)의 제1나선부(200)에 제2나선부(230)가 나선 결합된 가압부(23)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가압부(23)는 관체부(20)의 제1나선부(200)를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서 가압부(23)의 하부에 위치된 마개부(21)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 가압에 의해서 마개부(21)는 연성관체부(22)를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누르게된다.
이와 함께 상기 관체부(20)도 나선에 의해 함께 상부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연성관체부(22)는 상, 하부측으로부터 압력을 받아 외측으로 팽창하게 되고, 이의 팽창으로 상기 연성관체부(22)가 생수용기(100)의 입구(110) 내측에 밀착 고정되므로서 몸체부재(1)를 생수용기(100)의 입구(110)내측에 밀착 고정되므로서 몸체부재(1)를 생수용기(100)의 입구(110)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밀폐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생수용기(100)의 입구(110)측 중간부에 형성된 고정홈(111)에 삽입된 분할링(221)은 사용자의 가압부(23) 회전에 의한 연성관체부(22)의 팽창이 상, 하로 분리 팽창되게 하므로서 생수용기(100)의 입구(110)측에 대한 밀폐력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게되고, 이의 밀폐력은 다시 관체부(20)의 하단부측에 형성된 경사면(210)가 상기 경사면(210)에 위치되고 가압링(212)에 의한 연성관체부(22)의 팽창 증가로 더욱 생수용기(100)의 입구측을 완전 밀폐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생수용기의 입구 크기에 구애받음이 없이 생수용기에 밀착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고, 이의 밀폐력으로 자바락식의 몸체부재 누름에 의한 물의 배출이 정확하면서도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서 사용의 간편성 및 제작비용의 절감, 그리고 작동의 효율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6)

  1. 사용자의 누름에 의한 가압으로 생수용기(100) 내부의 물을 배출관(11)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자바라식 몸체부재(1)와; 이 몸체부재(1)의 저면 중앙에서 하부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부측에는 제1나선부(200)가 형성된 관체부(20)와; 상기 관체부(20)의 외측에 삽입되어 생수용기(100)의 입구(110) 상부측에 씌워지는 마개부(21)와; 상기 마개부(21)의 저면에서 관체부(20)의 하부측 외주연부에 생수용기(100)의 입구(110)와 상응하는 길이로 감싸여지는 연성관체부(22)와; 상기 관체부(20)의 제1나선부(200)에 나선 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연부에 제2나선부(230)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회전에 의한 마개부(21)의 누름 및 관체부(20)의 나선에 의한 상승으로 연성관체부(22)를 팽창시켜 생수용기(100)의 입구(110) 내측벽에 밀착 고정되게 하는 가압부(23)가 구비되어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생수용 에어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1)에는 사용자의 누름 및 스프링(14)의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서 몸체부재(1)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 및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에어벤트(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생수용 에어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관체부(22)의 중간부에는 사용자의 가압부(23)의 회전에 의한 연성관체부(22)이 팽창이 상,하부로 분리 팽창될 수 있도록 생수용기 (100)의 입구(110)측 중간부에 형성된 고정홈(111)에 삽입 고정되는 분할링(22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생수용 에어펌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부(20)의 하단부측 외주연에는 하부로 경사진 경사면(210)을 형성하고, 연성관체부(22)의 하단부측에는 상기 경사면(210)과 부합되게 형성된 접촉면(21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생수용 에어펌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210)에는 관체부(20)의 상승에 의한 연성관체부(22)의 팽창이 증가되도록하는 가압링(21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생수용 에어펌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관체부(22)의 상단부에는 가압부(23)에 의한 마개부(21)의 연성관체부(22) 가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압착턱(2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생수용 에어펌프.
KR2019940018734U 1994-07-26 1994-07-26 생수용 에어펌프 KR9700035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8734U KR970003565Y1 (ko) 1994-07-26 1994-07-26 생수용 에어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8734U KR970003565Y1 (ko) 1994-07-26 1994-07-26 생수용 에어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060U KR960005060U (ko) 1996-02-16
KR970003565Y1 true KR970003565Y1 (ko) 1997-04-18

Family

ID=19389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8734U KR970003565Y1 (ko) 1994-07-26 1994-07-26 생수용 에어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56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060U (ko) 199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15452A1 (en) Receiving bag with enhanced airtight effect
US5338166A (en) Evacuation pump system for both rigid and flexible containers
US20070060873A1 (en) Milking apparatus
US20050184075A1 (en) One-piece soft spout valve assembly for a no-spill drinking cup
US5564581A (en) Vacuum canister
CA2021787C (en) Pressure vessel with diaphragm compression seal
KR0126592B1 (ko) 호스펌프
JP4505757B2 (ja) 搾乳器
KR970003565Y1 (ko) 생수용 에어펌프
JPH0679883A (ja) 流体移送ポンプ
JP3691930B2 (ja) 容器用ポンプ
US5740949A (en) Air pump for natural mineral water barrel
EP1512572A3 (en) Cap device
CN210769398U (zh) 一种可内、外置的气泵组件和充气产品
US5615596A (en) Inflated ball container repressurizer
US6758236B2 (en) Self-acting valve
CN210397054U (zh) 一种充气装置及充气件
CN211243113U (zh) 一种便携式洁身器
JP2004261639A (ja) ポンプユニット及び容器
JP4505756B2 (ja) 搾乳器
JP2006015004A (ja) 搾乳器
KR970005830Y1 (ko) 생수용기 밀페캡
CN219242721U (zh) 一种充泄气一体式气嘴结构
US7152619B2 (en) Air tap assembly
CN110792583A (zh) 一种充气装置及充气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