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421B1 - 민물조개류를 주 원료로한 알콜대사 촉진용 식품조성물 - Google Patents

민물조개류를 주 원료로한 알콜대사 촉진용 식품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421B1
KR0126421B1 KR1019940025236A KR19940025236A KR0126421B1 KR 0126421 B1 KR0126421 B1 KR 0126421B1 KR 1019940025236 A KR1019940025236 A KR 1019940025236A KR 19940025236 A KR19940025236 A KR 19940025236A KR 0126421 B1 KR0126421 B1 KR 0126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reshwater
clam
alcohol
herb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5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230A (ko
Inventor
안종현
이병순
김영걸
선보경
Original Assignee
한동근
주식회사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근, 주식회사태평양 filed Critical 한동근
Priority to KR1019940025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421B1/ko
Publication of KR960013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4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23V2250/2042Marine animal, fish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콜대사 촉진 작용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조성물은 민물조개류 엑기스와 진피, 갈근, 감초, 어성초 및 나복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생약재 추출물을 4.0∼5.0 : 1의 중량비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며, 우수한 알콜대사 촉진의 상승효과를 갖기 때문에 음주 전 또는 후에 복용하면 음주에 의한 숙취 또는 주독의 예방 및 처치에 유용하다. 본 발명에서 유용하게 이용되는 민물조개류는 재첩, 콩조개, 칼조개 또는 민물담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다.

Description

민물조개류를 주 원료로한 알콜대사 촉진용 식품조성물
본 발명은 음주후의 취기 및 숙취 증상을 현저히 경감시키는데 효용이 있는 알콜대사 촉진용 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알콜 대사를 촉진시키므로써 숙취를 경감시키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는 민물조개류의 유동 엑기스를 주원료로 하여 여기에 갈근, 진피, 어성초, 나복자, 감초 등 생약재를 배합하여 알콜대사촉진에 뚜렷한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는 취기 및 숙취제거에 효과가 있는 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옛부터 술에 덜 취하고 숙취를 경감시키는데 효용이 있다 하여 조개국이나 북어국, 콩나물국을 비롯하여 선지국, 추어탕 및 기타 생약재를 우려낸 액을 술을 마신 후 즐겨 복용하여 왔으나 이러한 전래되는 식품의 경우 경험적으로만 사용되어 왔으며 효과면에 있어서 과학적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이 있다.
보다 우수한 알콜대사 작용을 나타내는 식품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해수 혹은 담수에 서식하는 각종 패류와 생약재들의 혈액중 알콜농도 감소효과를 동물실험을 통해 광범위하게 검색하였으며 그 결과 민물조개류가 특히 혈중알콜 농도 감소효과면에서 우수하며 여기에 특정 생약재들을 첨가하면 현저한 혈중 알콜농도 감소의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민물조개류 엑기스와 진피, 갈근, 감초, 어성초 및 나복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생약재 추출물을 4.0∼5.0 : 1의 중량비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콜대사 촉진의 상승효과를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과 다른 목적 및 적용은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지금까지 음주후의 숙취증상을 경감시키는 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여러 특허문헌이 발표되었으나, 그중 비교적 잘 알려진 것은 다음과 같다 : 일본 특허공보번호 平3-22371(1991년 3월 26일 공고, 알콜의 생체내 대사 촉진처방물)에는 난백을 단백질 분해효소로 가수분해 처리하여 얻어진 난백 가수분해물을 주성분으로 한 알콜대사 촉진처방물이 개시되어 있고, 일본 특허공보번호 平5-37122(1993년 6월 2일 공고, 항알콜성 간장해 조성물)에는 알라닌이나 알라닌염과 오르니틴이나 오르니틴염이 1 : 0.001 이상의 몰농도 비로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알콜성 간장해를 경감시키는 조성물이 보고되어 있으며, 또한 한국특허공보번호 92-2910(1992년 4월 10일 공고, 숙취제거용 주류 첨가제 및 제조방법)에는 홍삼, 대추, 오미자, 구기가, 갈근 등의 생약재를 조합하여 주류에 첨가하는 방법 등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위에 열거한 발명들과는 달리 민물조개류의 유동 엑기스를 주원료로 하여 여기에 특정 생약재를 적정량 첨가시킴으로써 알콜대사 촉진 상승효과를 갖게 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과 같이 민물조개류를 주원료로 하고 생약재를 첨가한 조성물이 알콜대사 촉진 상승효과를 얻기 위해 이용된 예는 전무한 상태이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음료, 차류를 비롯하여 각종의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알콜대사 촉진의 상승효과를 갖기 때문에 음주 전 또는 후에 복용하면 음주에 의한 숙취 또는 주독의 예방 및 처치에 유용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민물조개류는 재첩, 콩조개, 칼조개 또는 민물담치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이다. 이중 재첩(Corbicula fluminea)은 하천의 하류지역에 다생하며 우리나라에서는 낙동강, 섬진강, 금강, 한강 등의 하류에 널리 분포한다. 지역에 따라 재치, 가막조개, 갱조개 등으로 불려지고 있다.
콩조개(Corbicula felnouilliana)는 재첩과에 속하며 담수와 해수가 약간 혼합되는 대동강, 한강 등의 하류에 다생하며 마포 바지라기라고도 불리운다.
칼조개(Lanceolaria acrorhyncha)는 길쭉한 모양으로 길이가 10㎝ 안팎이며 큰 하천의 중·하류나 흐름이 완만한 곳에 서식한다.
민물담치(Limnoperma lucustris)는 한강의 중·하류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바위 등에 착생하여 서식 한다.
조개류중 위와 같은 민물조개류가 특히 숙취제거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는 이유에 대해서는 정확하지는 않으나 다른 수산물과 비교하여 단백질 중 알콜대사에 관여하는 아미노산인 글루타민산이나 타우린, 라이신, 알라닌 등의 함량이 특히 높고 글리코겐 함량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예측되며, 이중 한가지의 성분에 의한 효과라기보다는 이와 같은 아미노산류 및 베타인, 헥산류, 글리코겐, 호박산 등 조개류 성분의 복합적인 작용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즉, 이들 유효성분들이 간에 존재하는 알콜대사 효소인 알콜탈수소효소(ADH) 및 알데히드 탈수소 효소(ALDH)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알콜섭취 후 알콜 및 알데히드의 대사속도를 촉진시켜 체내 알콜농도의 저하 및 숙취의 해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민물조개류의 유동엑기스는 상기한 민물조개류를 물에 끓이거나 70∼90℃의 온도에서 장시간 방치하여 우러나온 국물을 감압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러한 방법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 포함되는 생약재로는 갈근, 진피, 감초, 어성초 또는 나복자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생약재 추출물은 진피 : 갈근 : 감초 : 어성초 : 나복자가 3∼4 : 2∼3 : 2∼3 : 1 : 1중량비의 혼합물이다.
이중 갈근(Puerariae Radix)은 다이진(Daizin)이 그의 주요성분으로서 두통이나 구토, 주독을 풀어주는 작용을 하며, 진피(Citrus unshku Mareovich)는 Limone이 주요 성분으로서 소화불량이나 거담, 간장을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감초(Glycyrrhizae Radix)는 옛부터 다른 약재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을 막아주며 사포닌의 일종인 글리시리진(Glycyrrhizin)이 주요성분으로 음주후 갈증이나 숙취해독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는 삼백초라고도 불리우며 고전문전에 이뇨작용과 함께 자양강장 효과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나복자(Raphani Semen)는 무우의 종자를 말하는 것으로 건위작용과 담(痰)을 다스리는 작용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생약재의 추출물은 통상의 생약재 추출방법에 따라 얻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들의 추출방법에 의해 제한받지 않는다.
민물조개류의 유동 엑기스 대 생약재 추출물의 혼합비는 4.0∼5.0 : 1중량비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성인 체중 1㎏당 0.05∼1.0g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1∼0.3g의 범위의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민물조개류의 유동엑기스를 주원료로 하고 여기에 갈근, 진피, 감초, 어성초 또는 나복자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생약재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음료, 인스턴트차류를 비롯하여 엑기스 제제, 캅셀제, 환제 등 다양한 성상의 식품에 첨가할 수 있고 음주후 취기 및 숙취중상의 경감 목적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험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에 국한 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 예 1
각종 패류 엑기스 투여에 따른 혈중알콜농도 측정 동물실험
해수와 담수에 서식하는 각종 패류를 사용하여 동물실험을 통해 혈중알콜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광범위하게 측정하였다. 해수에 서식하는 패류로서 꼬막, 새조개, 피조개, 대합, 홍합, 전복, 모시조개, 굴 등을 사용하였고 담수에 서식하는 패류로서 재첩, 민물담치, 두드럭조개, 소라 민물고동, 콩조개, 말조개, 도끼조개, 칼조개, 논우렁이 등을 사용하였다.
위에 열거한 각종 패류를 각각 껍질째 100g씩 평량하여 추출 플라스크에 넣은 후 8배량의 정제수로써 75∼85℃에서 8시간씩 3회 추출하여 잔사를 제거한 후 추출액을 합하여 100g이 될 때까지 80∼85℃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감압농축하여 각 패류의 유동엑기스를 제조하였다.
동물실험은 평균 체중 30g의 휜쥐(ICR mouse) 10마리를 한개의 실험군으로 하여 각 패류의 유동엑기스를 1g/체중kg의 양으로 경구투여용 주사기로 구강내에 직접 투여하고 대조구 군은 같은 양의 생리식염수를 경구투여 하였다.
시료를 투여한지 40분이 지난 후 40w/v%의 알콜을 5g/체중㎏의 양으로 구강투여하고, 그로부터 120분 및 240분 경과시 혈액을 안와정맥에서 0.2㎖씩을 채취하여 EDTA-처리한 수기에 받은 후 즉시 6.25%의 TCA용액 1.8㎖를 가하여 2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에 0.l㎖를 취하여 시그마사의 NAD-ADH 효소액 2.9㎖에 각각 넣고 이를 37℃에서 10분간 정치시킨 후 3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혈중알콜 농도를 계산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각종 패류 엑기스 투여에 따른 혈중알콜농도
주 : ( )은 대조군과 비교한 혈중알콜농도 감소율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해수와 담수에 서식하는 각종 패류의 혈중알콜농도 감소효과를 측정한 결과 담수에 서식하는 조개류의 효과가 특히 우수하였으며 120분 경과시 재첩, 콩조개, 칼조개, 민물담치의 순으로 뛰어난 혈중알콜농도 감소효과를 나타내었고 대조군과 비교하였을때 약 19.5±0.7%의 감소를 보였다.
실험예 2
각종 생약제 엑기스 투여에 따른 혈중알콜농도 측정 동물실험
생약재중 숙취에 효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갈근, 진피, 오미자, 황정, 건강, 구기가, 참마, 나복자, 감초, 황금, 양강, 갈화, 어성초 등을 건조시켜 분쇄한 후 각 100g씩 평량하여 추출 플라스크에 넣고 8배량의 정제수로써 70∼85℃에서 8시간씩 3회 추출하여 잔사를 제거하였다. 각 추출액을 합하여 100g이 될때까지 80∼85℃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감압 농축하여 각 생약재의 유동엑기스를 제조하였다.
이들 생약재의 유동엑기스를 이용하여 상기 실험에 1과 동일하게 혈중알콜농도를 측정하고, 결과를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표 2] 각종 생약제 엑기스 투여에 따른 혈중알콜농도 측정
주 : ( )은 대조군과 비교한 혈중알콜농도 감소율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각종 생약제 엑기스를 1g/체중kg의 양으로 투여했을때 혈중알콜농도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알콜농도가 모두 감소하였다. 120분 경과시 효과가 우수한 생약재는 진피, 갈근, 나복자, 어성초, 감초순이었으며 8±0.5%의 혈중알콜농도 감소율을 보였다.
전기 실험예 1의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각 생약재의 경우 같은 조건하에서 민물조개류보다 혈중알콜 감소 효과가 다소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실험 예 3
생약제 첨가에 따른 상승효과 실험
상기 실험예 1 및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민물조개류 엑기스와 생약재 엑기스를 준비하고, 각 민물 조개류 엑기스를 동등한 비율로 혼합하여 민물조개류 혼합물을 만들고 한편으로는 모든 생약재 엑기스를 동등한 비율로 혼합하여 생약재 혼합물을 만들었다.
민물조개류 혼합물과 생약재 혼합물을 각각 단독으로 또한 민물조개류 혼합물과 생약재 혼합물을 각각 1 : 1, 2 : 1, 3 : 1, 4 : 1, 5 : 1, 6 : 1 또는 7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시료를 준비하고 ICR마우스에 1g/체중㎏ 투여한 후,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알콜투여 120분 경과후의 혈중알콜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민물조개류 엑기스와 생약재 엑기스 혼합비율에 따른 혈중알콜농도 측정
주 : ( )은 대조군과 비교한 혈중알콜농도 감소율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민물조개류와 생약재의 혼합비를 달리하여 효과를 측정하였을때 민물조개류와 생약재의 혼합중량비가 4 : 1과 5 : 1 구간에서 우수한 상승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민물조개류와 생약재를 혼합비에 해당하는 중량으로 단독투여 했을때 각각의 알콜농도 감소율을 합친 것보다 월등히 높은 감소율을 보이므로 혼합비 4 : 1과 5 : 1 구간에서 생약재 첨가로 높은 상승효과를 나타냄을 확인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2종 또는 3종씩의 민물조개류의 혼합물과 2종 또는 3종씩의 생약재 혼합물을 첨가하여 실험하였을 때에도 동일하게 얻어졌다.
실험 예 4
민물조개류와 생약재 혼합비에 따른 혈중알콜농도 임상실험
실험예 1및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민물조개류와 생약재의 유동 엑기스 혼합물에 대하여 혈중알콜농도에 대한 임상실험을 진행하였다.
시료는 민물조개류 엑기스와 생약재 엑기스가 합쳐서 12.5g이 되도록 하되 아래(예 1∼7)과 같은 혼합비로 하였다.
예 1. 민물조개류 유동엑기스와 생약재 유동엑기스를 1 : 1비로 혼합한 후 12.5g을 정평하고 과당 및 구연산, 아스코빈산 등을 첨가한 후 정제수를 부어 100㎖로 한다. 여기에 방향제로서 레몬향을 적정 첨가한다.
예 2. 민물조개류 유동엑기스와 생약재 유동엑기스를 2 : 1비로 혼합한 후 예 1과 동일하게 한다.
예 3. 민물조개류 유동엑기스와 생약재 유동엑기스를 3 : 1비로 혼합한 후 예 1과 동일하게 한다.
예 4. 민물조개류 유동엑기스와 생약재 유동엑기스를 4 : 1비로 혼합한 후 예 1과 동일하게 한다.
예 5. 민물조개류 유동엑기스와 생약재 유동엑기스를 5 : 1비로 혼합한 후 예 1과 동일하게 한다.
예 6. 민물조개류 유동엑기스와 생약재 유동엑기스를 6 : 1비로 혼합한 후 예 1과 동일하게 한다.
예 7. 민물조개류 유동엑기스와 생약재 유동엑기스를 7 : 1비로 혼합한 후 예 1과 동일하게 한다.
임상실험을 위해 체중 및 주량이 비슷한 30대의 남자 10명을 선정하여 실험대상으로 하였으며 피실험자는 실험기간 중 철저히 금주를 실시하였고 실험 시행일의 아침은 모두 금식을 시켰다.
대조실험은 피실험자 10명에게 체중 60kg 기준으로 알콜농도 25%의 시판 소주 300㎖를 일정량의 안주와 함께 음주토록 한 다음 120분 경과후 혈액을 채취하여 알콜 농도를 측정하였다.
5일 간격으로(예 1∼7)의 음료 샘플을 복용시키되, 알콜 농도 25%의 시판 소주 300㎖를 음주시키기 30분 전에(예 1∼7)의 각 음료샘플을 차례로 복용시켜 같은 방법으로 알콜농도를 측정하였으며 실험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음료샘플 복용시 인체 알콜농도 변화측정
표 4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임상실험에 있어서 혈중알콜농도 감소율은 예 4와 예 5 구간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민물조개류와 생약재의 혼합비가 4 : 1과 5 : 1 구간으로서 실험예 3의 결과와 동일하다.
따라서 민물조개류와 생약재의 혼합비는 실험에 3의 동물실험과 실험예 4의 임상실험에서의 결과와 같이 4 : 1∼5 : 1중량비가 가장 우수한 혈중알콜농도 감소효과를 보이며 이러한 혼합비에서 알콜 농도 감소의 월등한 상승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알콜대사 촉진용 조성물 또는 이 조성물을 함유하는 각종 식품은 성인 체중 1kg에 대하여 약 0.1∼0.3g의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는 1회 복용양으로서 민물조개류와 생약재가 합쳐져 약 12물 14.5g이 제공되도록 하는 양이 좋으며, 민물조개류와 생약재의 혼합비는 4.0∼5.0 : 1이 되도록 하고 각 생약재 첨가량은 진피, 갈근, 감초, 어성초, 나복자의 순으로 많이 하는 것이 가장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음료, 인스턴트차 및 그밖의 제형으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감미제로서 설탕, 과당, 포도당, 마니톨, 유당, 꿀중 선택된 1종 혹은 그 이상의 감미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당과 산의 조화로운 맛을 위해 산미제로서는 구연산, 사과산, 아스코빈산 등을 1종이상 첨가할 수 있으며, 효과증진 목적으로 비타민 B그룹(B1,B2,B6,B12)과 니코틴산아미드, 또는 각종 아미노산을 첨가할 수도 있다.
실시예 1
재첩 15.5g, 콩조개 13.5g, 칼조개 11g, 민물담치 10g을 껍질째 달아 추추 플라스크에 넣었다. 이들 민물조개류와 생약재의 중량비가 약 4 : 1이 되도록 생약재 12.5g 넣되 진피, 갈근, 감초, 어성초, 나복자의 순으로 중량비가 4 : 2 : 2 : 1 : 1이 되도록 진피 5g, 갈근 2.5g, 감초 2.5g, 어성초 1.25g, 나복자 1.25g으로 하였다.
총중량의 8배수인 500㎖의 정제수를 투입하고 75∼85℃에서 8시간씩 3회 추출하여 추출액을 합쳤다. 6000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불용분을 제거하고 85℃에서 약 500㎖로 될때까지 감압 농축하여 민물조개와 생약재의 혼합엑기스를 만들었다.
이 혼합 엑기스에 적당량의 정제수와 과당 50g, 구연산 0.65g, 아스코빈산 0.30g 및 방향제로써 레몬향을 첨가한 후 비타민 B1, B2, B6, 니코틴산 아미드 등을 소량 첨가하여 음료형태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진피, 갈근, 감초, 어성초, 나복자의 첨가비가 3 : 3 : 2 : 1 : 1이 되도록 진피 3.75g, 갈근 3.75g, 감초 2.5g, 어성초 1.05g, 나복자 1.05g을 사용하였다.
실시 예 3
재첩 15.5g, 콩조개 13.5g, 칼조개 13g, 민물담치 10g을 껍질째 달아 추출플라스크에 넣었다. 이들 민물조개류와 생약재의 중량비가 약 5 : 1이 되도록 생약재를 10.5g을 넣되, 진피, 갈근, 감초, 어성초, 나복자의 첨가비가 4 : 2 : 2 : 1 : 1이 되도록 진피 4.2g, 갈근 2.1g, 감초 2.1g, 어성초 1.05g, 나복자 1.05g을 사용하였다.
실시 예 4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진피, 갈근, 감초, 어성초, 노복자의 첨가비가 3 : 3 : 2 : 1 : 1이 되도록 진피 3.15g, 갈근 3.15g, 감초 2.1g, 어성초 1.05g, 나복자 1.05g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민물조개류와 생약재의 혼합 추출액을 고형분 50∼60% 정도 될때까지 감압 농축하여 엑기스를 제조한 후, 이 엑기스 8.5%에 부형제로서 포도당 89.5%, 식이섬유 1.3%, 구연산 0.7% 되도록 혼합하여 40∼60℃의 열풍으로 약 8∼9시간 건조하여 그의 함수율이 10% 이하인 인스턴트 차 형태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민물조개류와 생약재의 혼합 추출액을 고형분 50∼60%로 될 때까지 감압 농축하여 엑기스를 제조한 후, 이 엑기스 8.0%에 부형제로서 포도당 69.5%, 분말설탕 20%, 식이섬유 2%, 구연산 0.5% 되도록 혼합하여 40∼60℃의 열풍으로 약 8∼9시간 건조한 후 그의 함수율이 10% 이하인 인스턴트 차 형태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민물조개류와 생약재의 혼합 추출액을 고형분 50∼60%로 될 때까지 감압 농축하여 엑기스로 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민물조개류와 생약재의 혼합 추출액을 고형분 50∼60%로 될 때까지 감압 농축하여 엑기스를 제조한 후, 여기에 덱스트린, 사이클로 덱스트린, 포도당을 넣고 진공 또는 분무건조 하여 분말엑기스로 하였다.

Claims (2)

  1. 재첩(Corbicula fluminea), 콩조개(Corvicula felnouilliana), 칼조개 (Lanceolaria acrohyncha) 및 민물담치(Limnoperma licustris)로 이루어진 민물조개류 엑기스와 갈근(Puerariae Radix), 진피(Citrus unshku Mareovich), 감초(Glycyrrhizae Radix),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 및 나복자(Raphani Semen)로 이루어진 생약재 추출물을 4.0∼5.0 : 1의 중량비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콜대사 촉진의 상승효과를 갖는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재 추출물은 진피 : 갈근 : 감초 : 어성초 : 나복자를 3∼4 : 2∼3 : 2∼3 : 1 : 1의 중량비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19940025236A 1994-10-01 1994-10-01 민물조개류를 주 원료로한 알콜대사 촉진용 식품조성물 KR0126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236A KR0126421B1 (ko) 1994-10-01 1994-10-01 민물조개류를 주 원료로한 알콜대사 촉진용 식품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236A KR0126421B1 (ko) 1994-10-01 1994-10-01 민물조개류를 주 원료로한 알콜대사 촉진용 식품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230A KR960013230A (ko) 1996-05-22
KR0126421B1 true KR0126421B1 (ko) 1997-12-24

Family

ID=19394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5236A KR0126421B1 (ko) 1994-10-01 1994-10-01 민물조개류를 주 원료로한 알콜대사 촉진용 식품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42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650B1 (ko) * 2000-02-08 2002-07-26 박재규 키토산이 함유된 재첩국의 원액 제조방법
KR20030018127A (ko) * 2001-08-27 2003-03-06 한국수산주식회사 숙취완화기능성재첩음료조성물
KR20200064894A (ko) 2019-09-30 2020-06-08 주식회사 웰파인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곰취-아로니아 복합추출물과 그 제조방법
KR20210031147A (ko) 2019-09-11 2021-03-19 주식회사 웰파인 곰취추출물과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및 개선 기능성 복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45966A (ko) 2021-04-14 2021-04-27 주식회사 웰파인 곰취와 아로니아 복합조성물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650B1 (ko) * 2000-02-08 2002-07-26 박재규 키토산이 함유된 재첩국의 원액 제조방법
KR20030018127A (ko) * 2001-08-27 2003-03-06 한국수산주식회사 숙취완화기능성재첩음료조성물
KR20210031147A (ko) 2019-09-11 2021-03-19 주식회사 웰파인 곰취추출물과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및 개선 기능성 복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64894A (ko) 2019-09-30 2020-06-08 주식회사 웰파인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곰취-아로니아 복합추출물과 그 제조방법
KR20210045966A (ko) 2021-04-14 2021-04-27 주식회사 웰파인 곰취와 아로니아 복합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20015483A (ko) 2021-04-14 2022-02-08 주식회사 웰파인 곰취와 아로니아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06727A (ko) 2021-04-14 2022-07-29 주식회사 웰파인 곰취와 아로니아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230A (ko)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63106A (ko) 관절염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0558255C (zh) 藿香和紫苏复合鱼酱的制备方法
JP2003192605A (ja) リパーゼ阻害剤
JP4432069B2 (ja) 肥満抑制剤
KR20210068967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식품조성물
KR0126421B1 (ko) 민물조개류를 주 원료로한 알콜대사 촉진용 식품조성물
KR101122586B1 (ko) 전복 동결건조 육을 함유한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
TW200841829A (en) Instant tea
KR100762448B1 (ko) 잔대를 포함하는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건강식품 조성물
KR20160000695A (ko) Dha 함유 기억력 강화 및 피로회복 증진용 한약재 조성물 수능환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78467A (ko) 간기능 회복을 위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JPH1149690A (ja) 脂肪分解促進用組成物
KR101350222B1 (ko)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020012434A (ko) 간장보호용 건강식품 조성물
KR20000026785A (ko) 알코올대사 생약 촉진제
KR101896815B1 (ko) 식욕부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식욕부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642801B1 (ko)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당뇨 식품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JP2006213608A (ja) 抗鬱物質とその利用
KR20080107883A (ko) 해삼, 사물탕 약재 및 갈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20200061446A (ko) 함초를 이용한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8125454A (ja) 健康補助食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14567A (ko) 엉겅퀴를 함유하는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0179088B1 (ko)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
KR20140043176A (ko) 간 손상에 대한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CN115607629B (zh) 一种具有保肝解酒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