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4894A -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곰취-아로니아 복합추출물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곰취-아로니아 복합추출물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4894A
KR20200064894A KR1020190120807A KR20190120807A KR20200064894A KR 20200064894 A KR20200064894 A KR 20200064894A KR 1020190120807 A KR1020190120807 A KR 1020190120807A KR 20190120807 A KR20190120807 A KR 20190120807A KR 20200064894 A KR20200064894 A KR 20200064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lcohol
hangover
composition
aron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3830B1 (ko
Inventor
배정식
변장원
서태수
안지혜
손일권
김태우
김대중
김경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파인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파인,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파인
Priority to KR1020190120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83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4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취해소, 숙취예방 및 알코올성 손상으로부터 간을 보호할 수 있는 곰취-아로니아 복합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곰취-아로니아 복합추출물과 그 제조방법{Complex extracts for easing Hangover and improving liver function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숙취해소, 숙취예방 및 알코올성 손상으로부터 간을 보호할 수 있는 곰취-아로니아 복합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은 전세계적으로 알코올의 섭취량이 많은 나라에 속하며, 특히 현대의 성인은 학업이나 업무 등으로부터 다가오는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취침(15.9%) 다음으로 음주(12.7%)를 택할 정도로 과도한 알코올섭취로 인한 생체리듬불균형에 노출이 많이 되어 있다. 알코올의 섭취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은 각종 숙취작용(구토, 불안, 발열, 두통, 메스꺼움, 피로감, 단기적인 기억소실 등)부터 만성적으로는 간질환, 신장질환, 생식계질환, 신경질환, 심혈관계질환 등 다양한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생명을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을 하기도 한다. 특히 알코올에 의해 1차적으로 공격을 받는 기관은 간인데, 섭취한 알코올의 대부분이 이곳에서 대사가 이루어지며, 대사과정에서 생성되는 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나 아세트산 등으로 인해 2차적인 공격을 받게 된다. 과도한 알코올의 섭취는 간에서 해독이 되지 못하고 전신을 순환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알코올의 직접적인 공격으로 인해 조직이 손상되기도 한다. 특히 알코올은 섭취직후 확산에 의해 상피조직에서 빠르게 체내로 흡수되는 성질로 인해 1차적으로 해독작용을 하는 간장에 무리를 주며, 만성적으로 이러한 독성에 노출이 될 경우 간의 기능이 떨어짐으로 인해 이로 인해 앞서 언급한 합병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간에서의 알코올 대사는 크게 두 단계를 거쳐 이루어지게 되는데, 알코올이 탈수소하여 아세트알데하이드로 분해되는 단계와 아세트알데하이드가 다시 탈수소화되어 아세트산으로 분해되는 단계가 그것이다. 각 단계에서 주로 관여하는 효소는 알코올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와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가 있다. 이 두 단계의 대사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알코올이나 알코올대사산물로 인한 숙취증세가 예방 또는 해소되며 장기적으로는 체내 조직이나 장기를 이들 알코올 대사산물의 독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곰취(Ligularia fischeri)는 우리나라를 포함하는 동아시아의 서늘한 고산지대에서 자생하는 산나물로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어린잎을 따서 나물로 먹는 식품의 용도로 이용되며, 한방에서는 해수, 백일해, 천식, 요통, 관절통, 타박상 등에 처방하기도 한다. 현대에 이르러 보고된 곰취의 효능으로는 항산화, 항염증, 항암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알코올 대사에 관여하여 숙취증상 및 알코올에 의한 간수치 증가현상을 완화시켜주는 것으로 보고된 바가 있다(Yoo 등).
아로니아(Aronia melanocarpa)는 장미과의 다년생 식물로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나 현재는 동아시아지역에 널리 보급되어 전 세계적으로 재배가 왕성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아로니아는 베리류의 열매 중에서 항산화물질인 안토시아닌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당도도 높지만 탄닌 성분이 다량함유 되어 있어 맛이 떫고 단맛을 느끼기 힘들다. 안토시아닌은 그 강력한 항산화능력 때문에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 졌는데, 항암효과, 당뇨병예방, 간손상예방, 시력개선, 심혈관계질환 예방, 항염작용, 체지방감소 효과 등에 대하여 보고된 바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90453 (2014-07-17)에는 아로니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또는 간 보호용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으나 그 효과가 미비하고 양성대조군과의 비교자료가 없으며, 아세트알데히드탈수소효소(ALDH)활성에는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나 알코올의 대사과정에서 숙취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인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히드를 모두 분해하여 숙쥐해소작용을 나타내는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하는데에는 부족한 것으로 생각된다.
어성초(Houttuynia cordata) 는 약모밀이라고 불리우며, 삼백초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대부분 나무 그늘 등의 어둡고 습한 지역에 살며 취가 독특하다. 한방에서는 곪은 상처, 치질, 자궁염, 임질, 요도염 등의 염증성 질환에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차를 달여 마시면 동맥경화증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 외에 어성초는 다양한 문헌에서 숙취해소용 조성물이나 간건강 증진용 소재의 연구보고 문헌에 자주 포함되고 있다. 비특허문헌에서는 비알코올성 간 손상으로부터 보호효과가 있는 연구보고가 발표되고 있으며, 특허문헌에서는 주요성분으로 활용되지는 않으나 부원료로써 첨가되는 형태의 숙취해소용 조성물 특허로 조사된다.
갈근(Pueraria thunbergiana)은 칡의 뿌리로 단맛이 있어 생으로도 섭취를 많이 하고 특히 말려서 끓여 섭취하는 경우가 많은 식품소재이다. 덩굴성 식물로 우리나라 전국에 걸쳐 산지에 자생하는 식물이며, 푸에라린(puerarin)을 지표성분으로 하고 있다. 갈근은 대한민국 국민에게 친숙한 소재로써 숙취해소용 조성물이나 제조방법으로 60건이 등록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갈근이 유효성분으로써 포함된 문헌은 2건이다. 비특허 문헌에는 비교적 오래전부터 숙취해소작용 및 알코올성 질환 예방과 관련된 유효성으로 연구보고가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꾸준하게 발표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갈근에 함유되어 있는 이소플라본 (isoflavone)성분이 알코올 중독을 치료할 수 있다는 연구가 동물실험을 통해서 입증되었으며, 갈근으로부터 추출된 이소플라본을 섭취할 경우 알코올성 지방간예방, 알코올 기인성 산화적 스트레스 완화 등의 효능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어 있다.
10-2014-0090453 (2014-07-17, 공개) “아로니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또는 간 보호용 조성물” 10-1827326-0000 (2018-02-02, 등록) “숙취해소용 한약재 조성물” 10-1464716-0000 (2014-11-18, 등록) “동충하초를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10-5552398-0000 (2006-02-08, 등록) “작두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10-0372561-0000 (2003-02-04, 등록)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10-0126421-0000 (1997-10-15, 등록) “민물조개류를 주원료로 한 알콜 대사 촉진용 식품조성 물” 10-0608456-0000 (2006-07-27) “손바닥 선인장, 오리나무, 갈근 및 헛개나무의 복합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10-1482719-0000 (2015-01-08) “갈용, 갈근 및 마가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에 언급된 천연물 곰취, 갈근, 어성초 또는 아로니아로부터 추출된 각 추출물의 알코올 분해능을 조사하고 숙취해소작용 및 간보호작용이 상이한, 즉 ADH활성 상승효과가 뛰어난 소재와 ALDH활성을 높게 나타내는 소재를 각각 선별하고 선별된 추출물을 활용한 복합조성물을 조제하여 단독소재보다 숙취해소작용이 개선된 방향으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숙취해소작용이 증진된 복합소재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로니아 추출물과 곰취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개선을 위한 복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갈근, 어성초, 곰취, 아로니아의 각 추출물에 대한 ADH 및 ALDH의 활성을 측정해본 결과 ADH는 곰취 추출물, ALDH는 아로니아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곰취 추출물과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곰취 추출물 및 아로니아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은 ADH 및 ALDH의 활성을 촉진함과 함께 이로 인한 혈중 알코올 농도와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빠르게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곰취는, 그 형태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발명의 조성물은 곰취로부터 얻어진 추출물 및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곰취 추출물 및 아로니아 추출물이라 함은 각 원료를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의미한다. 추출방법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추출대상인 곰취에 상기 추출 용매를 침지시키는 단계를 통하여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고압분산 등에 의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기는 냉침 가온 추출하는 방식이다.
또한 상기의 추출물은 이후 감압여과, 감압농축, 동결건조 등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복합 조성물은 곰취 추출물과 아로니아 추출물을 임의의 양으로 배합한 조성물을 의미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1:9 내지 9:1의 범위가 가장 바람직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숙취예방 또는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숙취예방 또는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복합 조성물을 숙취해소 활성이 나타날 수 있는 임의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식품이라 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각종 식품류, 음료수,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하는 각종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 기능성식품 등을 포함한다.
상기 식품으로 제조시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복합 조성물에 정제수, 감미료, 산미료, 증점제, 향료, 색소 등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감미료는 설탕, 과당, 올리고당, 포도당, 아스파탐, 솔비톨, 자일리톨, 스테비오사이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산미료는 구연산, 비타민C, 비타민B6, 사과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증점제는 펙틴, 덱스트린, 검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향료는 딸기농축과즙, 사과농축과즙 등의 각종 과일농축과즙을 하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알코올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기작이 각각 다른 곰취 추출물과 아로니아 추출물을 복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알코올섭취후 알코올의 대사를 촉진하여 알코올과 그의 대사산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숙취증상을 단독소재들을 각각 사용했을 경우보다 빠르게 해소해 주거나 예방해 줄 수 있으며, 과량의 알코올 섭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각 종 알코올성 지방간, 간경변증, 간경화 등의 간질환에 각별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갈근, 어성초, 곰취 및 아로니아 추출물 각각을 처리한 HepG2 cell을 이용하여 숙취해소 효능평가를 실시간 결과를 양성대조군으로써 헛개나무병과추출분말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곰취 추출물과 아로니아 추출물을 배합비에 따라 조제한 각 복합조성물의 DPPH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곰취 추출물과 아로니아 추출물의 최적 복합비율을 선정하기 위한 시험으로 1:9 내지 9:1의 범위로 혼합한 복합조성물들에 대한 숙취해소 또는 숙취예방 효능평가를 HepG2 cell에서의 ADH활성 및 ALDH활성을 확인하여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곰취 추출물과 아로니아 추출물 및 이들의 복합조성물의 숙취해소 또는 숙취예방 효능평가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로 복합한 조성물의 효가가 더욱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a)건조된 천연물 원료를 분쇄하여 건조원료분말을 얻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건조원료분말과 물이나 알코올 또는 이 둘을 혼합한 용매를 가하되 원료 중량대비 5~40배로 가하고 교반하면서 온도를 상온~60℃의 온도로 30분~8시간 동안 추출한 후 추출액을 여과하고 농축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단계에서 얻은 천연물 추출물을 동결건조하고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얻어진 천연물 건조추출물을 배합하여 복합조성물을 얻는 단계; (f) 상기 단계 (b)단계에서 얻어진 농축 추출물을 두 가지 이상 일정비율로 혼합한 뒤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복합 건조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작용 및 알코올성 손상으로부터 간을 보호하는 작용이 증진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곰취 추출물,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숙취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건조곰취에는 플라보노이드 및 이의 배당체, 페놀류, 환원당, 다당, 유기산, 엽록소가 함유되어 있다. 곰취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플라보노이드에는 카페오일퀴닉산(caffeoylquinic acid)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주로 4-caffeoylquinic acid (4-CQA), 3, 4-dicaffeoylquinic acid (3,4-dCQA), 3, 4-dicaffeoylquinic acid (3,5-dCQA), 3, 4-dicaffeoylquinic acid (4,5-dCQA)로 구성이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아로니아에는 베리류의 열매 중에서 안토시아닌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탄닌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이로 인한 쓴맛, 떫은 맛이 특징이다. 중세유럽의 왕족사이에서 만병통치약으로 통해 활용되었으며, 최근에 보고된 바에 의하면 아로니아는 항산화효과를 비롯한 체지방감소효과, 눈건강증진효과, 항암작용, 당뇨병예방, 간 손상예방, 항염효과,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등이 보고된 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곰취추출물과 아로니아 추출물이 각각 ADH활성 및 ALDH활성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세포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도 1)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곰취, 아로니아 추출물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비율에 따른 총폴리페놀함량과 DPPH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여 가장 항산화능력이 뛰어난 혼합비율을 확인하였으며(도 2), 이들 혼합물에 대한 HepG2 세포실험을 통하여 숙취해소능력이 뛰어난 혼합비율을 확인하였다(도 3).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숙취해소능력이 최적화된 배합비율을 활용한 동물실험에서 알코올 투여후에 혈중 알코올농도 및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가 빠르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3, 4).
본 발명의 상기추출물들은 물 또는 알코올과 같은 친수성 유기용매에, 또는 이들을 혼합한 용매로도 각각 추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곰취추출물은 상기 친수성 유기용매로도 추출이 가능하였으나 열수추출방법이 더 경제적이고 추출공정이 비교적 단순하며, 공정의 안전성 및 곰취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인 카페오일퀴닉산의 안정성 등을 고려할 때 다수의 실험결과 40~60℃에서, 30분~180분 동안 1~3회 번복 추출이 가장 바람직하였다. 이때 1회 추출시 사용되는 정제수의 양은 중량대비 (w/w) 5~20배가 바람직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아로니아추출물은 열수추출방법도 가능하나 다수의 실험결과친수성 유기용매 중에서 알코올을 정제수에 일정량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이 유효성분인 안토시아닌을 효율적으로 용출해 내는데 유용한 방법이었다. 바람직하게는 알코올을 정제수에 용량대비(v/v) 10~70%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공정의 안전성과 유효성분 추출효율 면에서 다수의 실험결과, 20~30%의 알코올을 사용하여 알코올의 양은 중량 대비 13배를 가하고 60~70분간 추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두 종류의 복합물의 제조 방법은 각각의 원료 추출물을 농축한 후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중량부로 계산하여 혼합한 후 동결건조하고 분쇄하는 방법, 각각의 추출물을 따로 동결건조하고 분쇄하여 분말화한 후 혼합하는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건조 분말화된 각각의 추출물을 혼합한 후 blender 등을 활용하여 균질화하는 방법이 효율적이었으나, 특별히 제한할 필요는 없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 발명의 복합조성물에 대하여 항산화활성을 DPPH라디칼소거능 및 폴리페놀함량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HepG2 cell을 활용한 ADH, ALDH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공지된 헛개나무열매추출분말과 비교하여 조사하였으며, 상기 결과를 통해 가장 최적의 복합 조성물을 제조한 시료에 대해서 동물실험을 통하여 알코올 투여후 혈중 알코올농도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농도가 감소되는 경향을 조사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제시한 조성물의 숙취해소 및 숙취예방 효능을 입증하였다.
<실시예 1> 천연물 추출물의 제조 및 이들의 복합조성물의 제조
<1-1> 갈근 추출물의 제조
상기 갈근은 지역시장를 통하여 건조물을 구매하였다. 구매한 천연소재는 blender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분말형태로 제조 후 추출기에 넣고 중량대비 11배의 정제수를 혼합한 후 60℃에서 60분간 추출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종이여과한 후 동결건조하고 건조물을 분쇄하여 건조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1-2> 어성초 추출물의 제조
상기 어성초는 온라인 지역시장를 통하여 건조물을 구매하였다. 구매한 건조 어성초는 blender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분말형태로 제조 후 추출기에 넣고 중량대비 11배의 정제수를 혼합한 후 60℃에서 60분간 추출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종이여과한 후 동결건조하고 건조물을 분쇄하여 건조 어성초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1-3> 곰취 추출물의 제조
상기 곰취는 온라인 판매상을 통하여 건조물을 구매하였다. 구매한 천연소재는 blender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분말형태로 제조 후 추출기에 넣고 중량대비 11배의 정제수를 혼합한 후 60℃에서 60분간 추출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종이여과한 후 동결건조하고 건조물을 분쇄하여 건조 곰취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1-4> 아로니아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서 아로니아추출물은 상기의 다른 원료들과 달리 안토시아닌 추출을 극대화하기 위해 아로니아 분말을 추출기에 넣고 30%의 에탄올(v/v)을 중량대비 13배 가하고 상온에서 66분간 추출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감압농축하고 종이여과한 후 얻어진 여액을 동결건조하고 분쇄하여 아로니아 추출분말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HepG2 cell을 이용한 천연물 추출물의 alcohol dehydrogenase(ADH) 및 acetaldehyde dehydrogenase(ALDH) 활성 측정
본 발명에서 제조한 갈근, 어성초, 곰취 및 아로니아 추출물의 숙취해소효과를 HepG2 cell을 이용하여 ADH 및 ALDH활성 측정법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써 헛개나무병과추출분말과 비교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HepG2 cell의 ADH와 ALDH 측정은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colorimetric assay kit과 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y colorimetric assay Kit (Biovision, CA, USA)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1]에 나타난 결과와 같이 모든 추출물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ADH 및 ALDH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곰취 추출물처리군은 양성대조군인 헛개나무과병추출분말 처리군에 비해 ADH활성을 더 높여 주는 방향으로 나타났고, 아로니아추출물 처리군의 경우는 양성대조군에 비해 ALDH활성에 대해서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일실시예로 제조한 곰취 추출물과 아로니아 추출물을 복합한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ADH와 ALDH활성에 대해서 보다 뛰어난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실시예 3> 복합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곰취 추출물과 아로니아 추출물을 중량대비(w/w) 1:9 내지 9:1의 비율로 0.0001 ~ 99.9999 중량% 범위에서 가장 바람직하기는 혼합하여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복합추출물로 조성하여 제조하고 그 효과를 실험하였다.
<실시예 4> 곰취 및 아로니아의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의 항산화활성 측정
곰취 추출물과 아로니아 추출물의 최적 복합조성비를 선정하기 위한 실험으로 각 추출물의 배합비율에 따른 DPPH라디칼소거능 및 총폴리페놀함량을 측정하였다. [표 1]를 참조하면, 총폴리페놀 함량에서는 아로니아추출물과 곰취추출물의 배합비율이 6:4 또는 1:9였을 때 유의적으로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DPPH라디칼 소거능시험결과에서 아로니아추출물과 곰취추출물의 배합비율이 4:6와 3:7일 경우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으로 6:4, 2:8과 1:9일 때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로니아 : 곰취 Total phenolics compounds (mg/g)
9:1 77.87±17.40c
8:2 05.13±2.95a
7:3 01.54±10.21ab
6:4 02.93±2.91ab
5:5 01.60±2.09ab
4:6 11.32±2.84a
3:7 03.12±14.30ab
2:8 82.29±2.57bc
1:9 12.39±9.40a
<실시예 5> HepG2 cell을 이용한 곰취 및 아로니아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의 alcohol dehydrogenase(ADH) 및 acetaldehyde dehydrogenase(ALDH) 활성 측정
본 발명에서 제조한 곰취-아로니아 복합추출물의 최적 조성비를 최종적으로 선정하기 위해 각 배합비에 따른 ADH활성 및 ALDH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HepG2 cell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HepG2 cell의 ADH와 ALDH 측정은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colorimetric assay kit과 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y colorimetric assay Kit (Biovision, CA, USA)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도 3]와 같다. 그래프에서 보는 것과 같이 아로니아추출물과 곰취추출물의 배합비가 1:9의 경우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도 4]에 나타났듯이 1:9의 비율로 배합한 복합 조성물이 곰취추출물 및 아로니아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3>과 <실시예 4> 및 <실시예 5>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아로니아 추출물과 곰취 추출물을 1:9(w/w)의 비율로 혼합한 조성물이 가장 뛰어난 활성을 나타낸 것으로 판단되었으므로 차후에 실시되는 동물실험에 사용된 복합조성물은 이러한 비율로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되었다.
<실시예 6> 동물실험을 이용한 숙취해소 효능 시험
SD 랫을 이용하여 알코올 투여후 혈중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하이드의 감소 경향을 확인하여 체내 알코올의 분해능력 및 숙취해소능력을 확인하였다. 5주령의 특정병원체가 없는 (specific pathogen free; SPF) 5주령, 수컷 SD랫을 ㈜두열바이오텍에서 구입하여 1주일간의 순화과정을 거친 뒤 건강한 개체를 선별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순화과정이 끝나고 무작위로 선별하여 6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G1) 정상대조군, (G2)알코올 투여군, (G3) 알코올 + 100mg/kg LF+AM투여군, (G4) 알코올 + 250 mg/kg LF+AM투여군, (G5) 알코올 + 500 mg/kg LF+AM투여군, (G6) 알코올 + 250 mg/kg HDT투여군으로 분류하고 18시간 절식시켰다.
각 군에게 시험물질을 경구 투여하고 30분 경과 후 알코올을 경구투여하였으며, 알코올 경구 투여 후 1시간, 3시간에는 안와정맥에서, 5시간에는 심장에서 채혈하였다. 시험물질은 식염수에 용해하여 경구 투여하였으며, 알코올은 발효주정을 40%로 희석하여 3 g/kg의 용량으로 투여하였다.
시험군의 구성
시험군 처리물질
음성대조군(G1) 생리식염수 + 생리식염수
알코올 단독 투여군(G2) 생리식염수 + 알코올 (3g/kg)

복합 추출물 투여군
저농도(G3) 복합추출물(100mg/kg) + 알코올 (3g/kg)
중농도(G4) 복합추출물(250mg/kg) + 알코올 (3g/kg)
고농도(G5) 복합추출물(500mg/kg) + 알코올 (3g/kg)
양성대조군(G6) 헛개나무과병추출분말(250mg/kg) + 알코올(3g/kg)
동물로부터 채혈된 혈액 시료는 30분간 실온에 방치한 후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분석하기 전까지 -70℃의 딥프리저에 보존하였다.
혈청 내의 알코올 함량은 에탄올 측정용 킷트(Abcam社)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킷트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따라 분석을 하였다. 혈청 시료에 분석용 버퍼를 가하여 적절하게 희석한 후 희석된 샘플을 0.05 mL씩 취한 후에 킷트에 구성되어 있는 반응시액을 0.05 mL 가하여 1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반응이 종료되면 570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에탄올 표준용액에 대한 흡광도를 이용하여 표준검량곡선을 산출하고 이로부터 혈청시료내의 에탄올함량을 환산한다.
혈청 내의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은 아세트알데히드 측정용 킷트(Megazyme社)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따라 시험을 진행하였다. 0.05 mL의 혈청에 0.02 mL의 완충용액과 0.02 mL의 반응시액을 혼합하여 2분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340nm의 파장에서 흡광도(A1)를 측정한다. 그 후에 알코올탈수소효소 시액을 0.005 mL 첨가한 다음에 4분간 효소반응을 시킨 후 340 nm의 파장에서 다시 흡광도를 측정 (A2)하였다. 시험이 완료되면 다음의 식에 대입하여 혈청 내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을 산출하였다.
C(g acetaldehyde/L) = (ΔAsample/ΔAstandard) × g/L standard × F
ΔAsample = Sample (A2-A1)
ΔAsample = Standard (A2-A1)
F = Dilution factor
[표 3]에 나타난 결과에서 보듯이 양성대조군(G6)은 알코올 투여 후에 시간이 경과하여도 알코올만 투여한 군(G2)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 반면, 본 발명에서 일실시예로 제조한 복합 조성물을 투여한 모든 군(G3, G4, G5)에서는 알코올 투여 후 3시간 만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알코올의 분해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 투여후 1시간에서 3시간 사이에 줄어든 함량은 저농도 복합 조성물 투여군(G3)에서 65.0%, 중농도 투여군(G4)에서 68.4%, 고농도 투여군(G5)에서 72.8%만큼 각각 감소하였으며, 양성대조군인 G6군에서는 57.1% 감소하였다. 따라서 복합 조성물의 투여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알코올 투여후 혈청 에탄올의 함량은 빨리 줄어드는 것이 확인이 되었으며, 양성대조군(G6)에 비해서도 최대 약 15.7% 이상 빨리 혈청 에탄올을 분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 에탄올 농도 (mM)
알코올 시험물질 1시간 3시간 5시간
G1 - - 0.16 ± 0.02 0.16 ± 0.04 0.27 ± 0.01
G2 + - 0.83 ± 0.06### 0.43 ± 0.03### 0.30 ± 0.00
G3 + 복합추출물
(100mg/kg)
0.83 ± 0.08 0.29 ± 0.02** 0.29 ± 0.01
G4 + 복합추출물
(250mg/kg)
0.79 ± 0.08 0.25 ± 0.05** 0.28 ± 0.01
G5 + 복합추출물
(500mg/kg)
0.81 ± 0.07 0.22 ± 0.01*** 0.23 ± 0.02*
G6 + 헛개나무과병추출분말
(250mg/kg)
0.77 ± 0.07 0.33 ± 0.04 0.27 ± 0.01
모든 결과는 평균 ± 표준오차로 나타내었음# p<0.05, ## p<0.01, ### p<0.001 G1그룹에 대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임* p<0.05, ** p<0.01, *** p<0.001 G2그룹에 대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임
[표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혈청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결과에서는 고농도(500mg/kg)의 복합 조성물을 투여한 군(G5)에서만 3시간 만에 알코올단독투여군(G2)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알코올 투여후 1시간경과 및 3시간경과의 시험결과를 확인하면, 저농도 투여군(G3), 중농도 투여군(G4), 고농도 투여군(G5) 에서 각각 16.0%, 20.5% 및 36.6%만큼 감소하였으며, 양성대조군(G6)에 비해서 (19.8% 감소) 고농도 투여군은 16.8% 빠르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혈청 에탄올과 혈청 아세트알데히드의 결과를 종합하여 봤을 때 알코올 및 그의 1차적인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가 숙취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조한 복합조성물이 양성대조군인 헛개나무과병추출분말에 비해 숙취해소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혈청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mM)
알코올 시험물질 1시간 3시간 5시간
G1 - - 2.07 ± 0.14 1.98 ± 0.05 2.00 ± 0.07
G2 + - 4.33 ± 0.13### 3.39 ± 0.20### 2.43 ± 0.09##
G3 + 복합추출물
(100mg/kg)
3.81 ± 0.27 3.20 ± 0.19 2.27 ± 0.11
G4 + 복합추출물
(250mg/kg)
3.70 ± 0.28 2.94 ± 0.30 2.38 ± 0.09
G5 + 복합추출물
(500mg/kg)
4.10 ± 0.17 2.60 ± 0.15** 2.24 ± 0.07
G6 + 헛개나무과병추출분말
(250mg/kg)
3.39 ± 0.24** 2.72 ± 0.19* 2.25 ± 0.08
모든 결과는 평균 ± 표준오차로 나타내었음# p<0.05, ## p<0.01, ### p<0.001 G1그룹에 대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임* p<0.05, ** p<0.01, *** p<0.001 G2그룹에 대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임
[표 5]는 알코올 투여 5시간 후 희생시킨 동물의 간조직으로부터 alcohol dehydrogenase(ADH)와 acetaldehyde dehydrogenase(ALDH)의 활성을 나타낸 결과이다. 결과에서 나타나듯이 알코올을 투여한 모든 군(G2, G3, G4, G5)에서 정상대조군(G1)에 비하여 ADH와 ALDH의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ADH의 활성은 양성대조군(G6)에서 정상대조군에 비해(G1) 15.8% 증가하였고, 복합물투여군에서는 저농도(G3) 23.4%, 중농도(G4) 24.3%, 고농도 (G5) 36.2% 증가하였다. 이는 복합 조성물 또는 양성대조군의 헛개나무과병추출물이 모두 ADH 및 ALDH의 활성을 촉진하는데 기여하고 있으며, 복합 추출물의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상승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간조직의 alcohol dehydrogenase (ADH), acetaldehyde dehydrogenase(ALDH) 활성
알코올 시험물질 ADH활성
(U/g protein)
ALDH활성
(U/g protein)
G1 - - 5.89 ± 0.54 6.65 ± 0.40
G2 + - 7.39 ± 0.23# 7.92 ± 0.37#
G3 + 복합추출물
(100mg/kg)
7.27 ±0.27 7.73 ± 0.26
G4 + 복합추출물
(250mg/kg)
7.31 ± 0.36 7.31 ± 0.21
G5 + 복합추출물
(500mg/kg)
8.02 ± 0.30 7.78 ± 0.26
G6 + 헛개나무과병추출분말
(250mg/kg)
6.82 ± 0.21 7.44 ± 0.19

Claims (2)

  1. 곰취에 중량대비 5~20 배수의 정제수를 가하고 40~60℃에서 30~180분, 1~3회 추출한 후 이를 여과한 여액을 동결건조 및 분쇄하여 곰취추출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동결건조 아로니아 분말에 중량대비 5~20배수의 10~40% 알코올을 가하고 상온에서 30~180분, 1~3회 추출한 후 이를 여과한 여액을 농축한 후 동결건조 및 분쇄하여 아로니아추출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분말을 중량비 1:9(w/w)로 배합하여 추가로 더 분쇄 및 균질화하여 복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숙취해소용 복합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숙취해소용 건강 보조식품 조성물
KR1020190120807A 2019-09-30 2019-09-30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곰취-아로니아 복합추출물과 그 제조방법 KR102153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807A KR102153830B1 (ko) 2019-09-30 2019-09-30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곰취-아로니아 복합추출물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807A KR102153830B1 (ko) 2019-09-30 2019-09-30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곰취-아로니아 복합추출물과 그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828 Division 2018-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894A true KR20200064894A (ko) 2020-06-08
KR102153830B1 KR102153830B1 (ko) 2020-09-09

Family

ID=71089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807A KR102153830B1 (ko) 2019-09-30 2019-09-30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곰취-아로니아 복합추출물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83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421B1 (ko) 1994-10-01 1997-12-24 한동근 민물조개류를 주 원료로한 알콜대사 촉진용 식품조성물
KR100372561B1 (ko) 2000-11-28 2003-02-1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KR100608456B1 (ko) 2004-09-03 2006-08-02 (주)네추럴에프앤피 손바닥 선인장, 오리나무, 갈근 및 헛개나무의 복합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30101381A (ko) * 2012-03-05 2013-09-13 염장열 아로니아 음료 농축액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90453A (ko) 2013-01-09 2014-07-17 (주) 제이비케이자연의학연구소 아로니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또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101464716B1 (ko) 2013-04-18 2014-11-27 고광록 동충하초를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82719B1 (ko) 2013-06-12 2015-01-14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갈용, 갈근 및 마가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827326B1 (ko) 2016-02-04 2018-02-09 문수영 숙취해소용 한약재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421B1 (ko) 1994-10-01 1997-12-24 한동근 민물조개류를 주 원료로한 알콜대사 촉진용 식품조성물
KR100372561B1 (ko) 2000-11-28 2003-02-1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KR100608456B1 (ko) 2004-09-03 2006-08-02 (주)네추럴에프앤피 손바닥 선인장, 오리나무, 갈근 및 헛개나무의 복합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30101381A (ko) * 2012-03-05 2013-09-13 염장열 아로니아 음료 농축액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90453A (ko) 2013-01-09 2014-07-17 (주) 제이비케이자연의학연구소 아로니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또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101464716B1 (ko) 2013-04-18 2014-11-27 고광록 동충하초를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82719B1 (ko) 2013-06-12 2015-01-14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갈용, 갈근 및 마가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827326B1 (ko) 2016-02-04 2018-02-09 문수영 숙취해소용 한약재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en 등(2014) "Protective effects from Houttuynia cordata aqueous extract against acetamiinophen-induced liver injury" Biomedicine (Taipei). 4(1), 5
Kim et al., Ligularia fischeri extract attenuates liver damage induced by chronic alcohol intake. Pharmaceutical biology. 22 Jan 2016, Vol. 54, No. 8, pp.1465 - 1473 1부.* *
Lee (2004) "Supplementation of Pueraria radix water extract on changes of antioxidant enzymes and lipid profile in ethanol-treated rats" Clinica Chimica Acta. 347(1-2). 121-128
Lin et al., (1996) "Isoflavonoid compounds extracted from Pueraria lobata suppress alcohol preference in a pharmacogenetic rat model of alcoholism" Alcoholism. 20(4), 659-663.
McGregor (2007) "Pueraria lobata(Kudzu root) hangover remedies and acetaldehyde-associated neoplasm risk" Alcohol. 31(7), 469-478.
Yoo 등 (2011) "Hepatoprotective effect of Handaeri-gomchi (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rmis Nakai) extract against chronic alcohol-induced liver damage in rats"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20(6). 1655-166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830B1 (ko) 2020-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0935847B1 (ko) 홍삼 절편의 제조 방법
EP2003988B1 (en) Natural plant extract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recovery of hyperlipidemia and stroke, natural tea containing the same as active ingredien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natural tea
KR101301094B1 (ko)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020586B1 (ko) 동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령친화 식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295125B1 (ko) 항산화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KR102298700B1 (ko) 천마 및 적하수오를 이용한 기능성 액상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
KR102062989B1 (ko) 건강식이 분말을 이용한 다이어트용 식초 젤리의 제조방법
KR101461165B1 (ko)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KR100976241B1 (ko) 알코올분해 및 숙취해소용 돌나물 분획물
KR101490211B1 (ko) 숙취해소 및 소화촉진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127411B1 (ko)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US7399491B2 (en) Health promoting functional foods fortified with herbs
KR100608456B1 (ko) 손바닥 선인장, 오리나무, 갈근 및 헛개나무의 복합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153830B1 (ko)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곰취-아로니아 복합추출물과 그 제조방법
KR102433586B1 (ko) 숙취 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El-Hadidy et al. Omar. Protective Effect on Lipids Profile of Lion’s Foot (Alchemilla Vulgaris) Leaves against Ccl4 Toxicity and its Fortified to Guava and Mango Pulp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2085713B1 (ko) 다이어트용 식초 발포정의 제조방법
KR101668447B1 (ko)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 식품
KR20220087888A (ko) 흑도라지청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11227B1 (ko) 구기자, 복분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진, 피로회복, 생리활성 및 해독작용을 위한 조성물
KR102365198B1 (ko) 천마, 하수오 및 산양삼을 이용한 기능성 액상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
KR102588372B1 (ko)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염 및 소화성 궤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15483A (ko) 곰취와 아로니아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