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083Y1 - 예비타이어 캐리어의 바아 고정구 - Google Patents

예비타이어 캐리어의 바아 고정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083Y1
KR0126083Y1 KR2019950019322U KR19950019322U KR0126083Y1 KR 0126083 Y1 KR0126083 Y1 KR 0126083Y1 KR 2019950019322 U KR2019950019322 U KR 2019950019322U KR 19950019322 U KR19950019322 U KR 19950019322U KR 0126083 Y1 KR0126083 Y1 KR 01260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pare tire
carrier
ball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93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5618U (ko
Inventor
정민수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20199500193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083Y1/ko
Publication of KR9700056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6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0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0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2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프나 미니버스와 같이 예비타이어가 차량외부의 캐리어에 지지되는 형식에 있어서, 캐리어 개방시에 개방각도를 제한하여 타부품파손을 방지하고, 예비타이어 교체나 탈거시에도 캐리어의 흔들거림을 방지하도록 고안된 예비타이어 캐리어의 바아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채커핀(26)은 자주분실되는 까닭에 이를 알지 못하고 바아(16)를 열게되는 사용자를 당황하게 하고, 심하면 차체를 손상시키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바아(16)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되, 필요에 따라서는 180。회전도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하힌지에 볼을 설치하고, 바아에는 볼이 수납되는 요홈을 형성시켜서 바아가 상기 볼위치까지 회전된 후 요홈에 안착되면 바아가 더 이상 회전되지않게 되고, 필요시에는 볼위치로부터 바아를 빼내어 더욱 회전시키면 180。정도까지도 회전가능하도록 설계한 것이다.

Description

예비 타이어 캐리어의 바아 고정구
제1도는 종래의 예비 타이어 캐리어의 바아 고정구의 설치위치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예비 타이어 캐리어의 바아 고정구의 구성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예비 타이어 캐리어 바아 고정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예비 타이어 캐리어의 바아 고정구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백도어 12 : 캐리어
14 : 예비 타이어 16 : 바아
18, 20 : 힌지 22 : 볼트
24 : 핀 26 : 첵커핀
28 : 요홈 30 : 볼
본 고안은 예비 타이어 캐리어의 바아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지프나 미니버스와 같이 예비 타이어가 차량외부의 캐리어에 지지되는 차량에 있어서, 캐리어 개방시에 개방각도를 제한하여 타부품파손을 방지하고, 예비 타이어 교체나 탈거시에도 캐리어의 흔들거림을 방지하도록 하는 예비 타이어 캐리어의 바아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행도중에 타이어가 펑크나게 되면 이를 교체하기 위한 예비타이어가 필수적으로 장착된다. 특히, 지프나 미니버스는 상기한 예비타이어를 보관하기 위한 캐리어가 특정한 위치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종래의 예비 타이어 캐리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예비 타이어 바아 고정구의 설치위치도이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예비 타이어 캐리어(12)는 백도어(10)의 뒤에 설치되며, 예비 타이어(14)가 지지되는 바아(16)와 상기 바아(16)를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힌지(18, 20)가 볼트(22)로 체결되고, 상기 바아(16)는 그 상하선단이 핀(24)으로 힌지(18, 20)에 고정되어서, 백도어(10)를 열고자 할 때 먼저 바아(16)를 당겨 핀(24)을 중심으로 회전시킨 후 백도어(10)를 열게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예비 타이어 캐리어는, 백도어(10)를 닫고서 예비 타이어(14)가 지지된 바아(16)를 닫을 때는 상관이 없지만, 백도어(10)를 열고자 할 때는 바아(16)가 힌지(18, 20)를 중심으로 거의 180도 회전되기 때문에 바아(16)나 예비 타이어(14)가 차체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하힌지(20)에 수직의 첵커핀(chaker pin)(26)을 설치하여 바아(16)가 약90도 정도만 회전하도록 하는 방식을 채용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첵커핀(26)은 자주 분실되는 까닭에 사용자가 이를 알지 못하고 바아(16)를 열게 되는 경우에 사용자를 당황하게 하거나, 심하면 차체를 손상시키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아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되, 필요에 따라서는 180도 회전도 가능하도록 하는 예비 타이어 캐리어 바아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구성은, 하힌지에 볼을 설치하고, 바아에는 볼이 수납되는 요홈을 형성시켜서 바아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하고, 필요시에는 볼위치로부터 바아를 빼내어 더욱 회전시키면 180도 정도까지도 회전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예비 타이어 캐리어의 바아 고정구의 구성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예비 타이어 캐리어의 바아 고정구의 사용 상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예비 타이어 캐리어의 바아 고정구의 단면도이다.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예비 타이어 캐리어의 바아 고정구의 구성은, 타이어 캐리어(12)를 구성하는 바아(16) 지지용의 하힌지(20)에 있어서, 바아(16)가 원위치로부터 90도되는 위치의 하힌지(20)내에 스프링(32)으로 탄지되는 볼(30)을 설치하고, 상기 볼(30)과 교차되는 바아(16)에 요홈(28)을 형성시켜서, 상기 바아(16)가 회전되어 요홈(28)에 볼(30)이 안착됨에 따라 상기 바아(16)의 회전범위가 한정되게 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볼(30)은 일직선상에 상하로 한쌍이 설치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 상부 혹은 하부 한곳을 선택하여 설치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 바아(16)에 형성시킨 요홈(28)도 볼(30)이 있는 곳에만 형성시켜도 좋고, 바아(16)에는 볼(30)의 갯수에 상관없이 요홈(28)을 한쌍으로 형성시켜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예비 타이어 캐리어의 바아 고정구의 작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바아(16)를 핀(24)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때, 바아(16)가 볼(30)에 닿더라도 더욱 회전시키게 되면 볼(30)이 스프링(32)을 누르고 들어갔다가 요홈(28) 위치에서 스프링(32)의 환원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되면서 결국 요홈(28)에 볼(30)이 안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바아(16)는 사용자가 임의로 바아(16)를 회전시키지 않는 한 볼(30)에 의해 회전됨이 없이 캐리어(12)가 열려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한 볼(30)은, 윗쪽부분의 지름이 볼(30)의 지름보다 작게 하힌지(20)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에 스프링(32)에 의해 안착되며, 상기한 하힌지(20)의 통공은 플러그와의 스크류 결합에 의해서 아랫부분이 막혀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작업이 완료되어 사용자가 캐리어(12)를 환원시키기 위해 바아(16)를 힘껏 당기면, 상기한 역동작으로 바아(16)가 볼(30)의 탄착곡면으로부터 이탈되어 백도어(10)의 뒤로 설치되는 과정은 종래와 동일하다.
한편, 캐리어(12)가 상기와 같이 요홈(28)이 볼(30)에 안착되어 열려진 상태가 유지된다 하더라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더욱 캐리어(12)를 열어야 할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 경우는, 열려진 캐리어(12)를 닫는 경우와 반대동작으로 힘을 가하여 열면(하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되므로 실용성을 배가시킬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하힌지내에 볼을 설치하고 바아에 요홈을 형성시켜 종래의 첵커핀 기능을 하면서도 분실의 염려가 없음은 물론, 바아를 탄지하게 되므로 백도어를 개펴하는 작업중에 닫히거나 회전되는 일이 없어 원활한 작업을 돕는 효과를 가진 예비 타이어 캐리어의 바아 고정구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 고안의 이러한 효과는 자동차 타이어 캐리어 분야에서 이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이용될 수가 있다.

Claims (2)

  1. 타이어 캐리어(12)를 구성하는 바아(16) 지지용의 하힌지(20)에 있어서, 바아(16)가 원위치로부터 90도되는 위치의 하힌지(20)내에 스프링(32)으로 탄지되는 볼(30)을 상부 혹은 하부 위치에 선택적으로 하나만 설치하고, 상기 볼(30)과 교차되는 바아(16)에 요홈(28)을 형성시켜서, 상기 바아(16)가 회전되어 요홈(28)에 볼(30)이 안착됨에 따라 상기 바아(16)의 회전범위가 한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 타이어 캐리어의 바아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볼(30)은 하힌지(20)의 상하부 일직선상에 한쌍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 타이어 캐리어의 바아 고정구
KR2019950019322U 1995-07-28 1995-07-28 예비타이어 캐리어의 바아 고정구 KR01260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9322U KR0126083Y1 (ko) 1995-07-28 1995-07-28 예비타이어 캐리어의 바아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9322U KR0126083Y1 (ko) 1995-07-28 1995-07-28 예비타이어 캐리어의 바아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618U KR970005618U (ko) 1997-02-19
KR0126083Y1 true KR0126083Y1 (ko) 1998-09-15

Family

ID=19419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9322U KR0126083Y1 (ko) 1995-07-28 1995-07-28 예비타이어 캐리어의 바아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08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618U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6083Y1 (ko) 예비타이어 캐리어의 바아 고정구
CN107059357B (zh) 一种用于滚筒洗衣机门的旋转铰页机构
KR20020040354A (ko) 자동차의 도어체커 겸용 도어힌지
JP3195311B2 (ja) 7軸型蝶番
KR100412901B1 (ko) 트렁크 처짐 방지장치
KR950004171Y1 (ko) 버스의 화물실 도아 잠금장치
KR0118772Y1 (ko) 예비타이어 케리어의 바아 고정구
KR200156991Y1 (ko) 왜건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닫힘 방지장치
KR0119720B1 (ko) 코일스프링이 구비된 자동차 트렁크리드 개방장치
KR0160380B1 (ko) 자동차의 키 실린더
KR100510292B1 (ko) 글로브박스의 체결구조
KR100877874B1 (ko) 자동차용 선글라스케이스
KR970001533Y1 (ko)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캐리어 개폐각도 제한구조
KR0126195Y1 (ko) 차량 콘솔박스용 암레스트 힌지구조
KR100316338B1 (ko) 스페어타이어캐리어의 힌지연결구조
KR200379717Y1 (ko) 차량 도어 체커의 고정 브라켓 구조
KR0167979B1 (ko) 노치백 차체용 트렁크 홀더
KR100216814B1 (ko) 자동차 도어의 첵커 구조
KR100269092B1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 힌지부의 구조
KR100290809B1 (ko) 자동차트렁크리드개방장치
KR19990033284A (ko) 차량의 트렁크매트 회동 장치
JP3346529B2 (ja) マンホール用鉄蓋の蝶番
KR0115386Y1 (ko)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의 작동구조
KR200176762Y1 (ko) 버스스윙도어의드라이브샤프트결합구조
KR19990001437U (ko) 차량용 도어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