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7979B1 - 노치백 차체용 트렁크 홀더 - Google Patents

노치백 차체용 트렁크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7979B1
KR0167979B1 KR1019960043072A KR19960043072A KR0167979B1 KR 0167979 B1 KR0167979 B1 KR 0167979B1 KR 1019960043072 A KR1019960043072 A KR 1019960043072A KR 19960043072 A KR19960043072 A KR 19960043072A KR 0167979 B1 KR0167979 B1 KR 0167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fixed
holder
trunk lid
fix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3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3574A (ko
Inventor
이영민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43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7979B1/ko
Publication of KR19980023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7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797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치백 차체용 트렁크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트렁크 리드(TL)의 중앙내측에 형성된 구멍(P)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핀(12,13)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11), 상기 트렁크 리드(TL)의 중앙내측에 형성된 홈(H)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1)에 회전가능하게 관통장착되는 회전축(16)의 일단부에 고정된 쇄정편(15), 및 상기 쇄정편(15)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16)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조절레버(17)를 포함하는 체결수단(10): 및 상기 체결수단(10)에 회전핀(2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트렁크룸(TR)의 홈(H')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고리(23)가 형성된 고정레버(2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트렁크 리드를 견고하고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트렁크 리드와 차체와의 단차를 적정 수준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 도장 불량을 완전방지 할 수 있다.

Description

노치백 차체용 트렁크 홀더
본 발명은 노치백(notch back)차체용 트렁크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렁크 홀더를 트렁크 리드에 체결시 트렁크 리드를 견고하게 지지할 뿐 아니라 트렁크 리드와 차체간의 단차를 감소시켜 도장 공정시 도장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노치백 차체용 트렁크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체, 특히 차체의 트렁크 및 트렁크 리드를 도장 또는 실링 처리하기 위해서는 트렁크 리드를 트렁크 홀더를 이용하여 도장 공정에 적합한 범위만큼 개방 상태로 유지시켜야 한다.
이같은, 트렁크 홀더는 차체의 형태 즉, 노치백 또는 해치백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제조되어 사용된다. 이같은 트렁크 홀더 중 노치백형 차체에 사용되는 트렁크 홀더가 도 1에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노치백 트렁크 홀더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노치백 차체용 트렁크 홀더는 트렁크 리드(TL)에 고정되는 제 1홀더(1) 및 트렁크 룸(TR)의 후방패널에 고정되는 제 2홀더(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홀더(1)에는 트렁크 리드(TL)의 후방 단부내측에 형성된 홈(H)또는 그 주변의 구멍에 고정되는 고정고리(3) 및 제 1홀더(1)를 트렁크 리드(TL)에 고정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회전식 레버(4)가 제공된다.
또한 제 1홀더(1)의 하단부에는 걸쇠(6)가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걸쇠는 상기 고정고리(3)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부(5)의 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제 2홀더(2)는 예컨대 트렁크 룸(TR)의 후방부에 형성되며 상기 도어록 설치홈에 상응하는 홈(H')에 고정되는 고정구(7) 및 상기 지지부(5)에 고정되는 고정고리(8)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홀더(2)에는, 그 홀더를 상기 제 1홀더(1)에 고정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고정레버(9)가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같은 노치백형 트렁크 홀더는 2개의 홀더로 구성되므로써 그 구조가 복잡하고 취급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견고한 체결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예컨대 중도, 상도와 같은 도장 공정시 이같은 트렁크 홀더를 사용하면, 트렁크 리드와 쿼터패널과 같은 차체간의 단차(t)가 과도하게 발생되어 트렁크 리드가 도장액을 차단하게 되면 도장액이 차체에 부족하게 도장되어 도장 불량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이 간편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트렁크 리드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노치백 차체 트렁크 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렁크 리드와 쿼터패널과 같은 차체와의 단차를 적정 수준으로 감소시켜 도장시 도장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노치백 차체용 트렁크 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노치백 차체용 트렁크 홀더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노치백 차체용 트렁크 홀더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치백 차체용 트렁크 홀더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편 및 레버의 형상을 상세히 보여주는 부분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노치백 차체용 트렁크 홀더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체결수단11: 지지플레이트
12,13: 고정핀15: 쇄정편
16: 회전축17: 조절레버
20: 고정레버21: 회전핀
22: 손잡이23: 고정고리
이같은 목적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달성되는바,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트렁크 리드의 중앙내측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핀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상기 트렁크 리드의 중앙내측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관통장착되는 회전축의 일단부에 고정된 쇄정편, 및 상기 쇄정편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조절레버를 포함하는 체결수단; 및 상기 체결수단에 회전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트렁크룸의 홈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고리가 형성된 고정레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치백(notch back)차체형 트렁크 홀더(trunk holder)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르면에 따르면, 상기 쇄정편의 양단부와 지지플레이트사이의 각각의 이격높이가 상호 다르게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중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노치백 차체용 트렁크 홀더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편 및 레버의 형상만을 상세히 보여주는 부분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노치백 차체용 트렁크 홀더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도 4 및 도 5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노치백형 트렁크 홀더는 체결수단(10) 및 고정레버(2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체결수단(10)에는 2개의 고정핀(12,13)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11)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11)상에는 고정편(14)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체결수단(10)에는 쇄정편(15)이 제공되는바, 상기 쇄정편(15)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1)를 관통하는 회전축(16)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16)은 조절레버(17)에 연결되어 있어 쇄정편(15)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켜 홀더를 트렁크 리드에 고정시키거나 그로부터 해제시킨다.
또한, 상기 쇄정편(15)은 부채꼴 형상이 바람직하며, 특히 수평상태에서 볼 때 경사지게 배치되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조여지며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쇄정편(15)의 양측단부(15a,15b)는 지지플레이트(11)에 대해 각각 다른 이격거리에 위치하는 바, 예컨대 지지플레이트(21)에 대한 제 1단부(15a)의 높이(h1)는 제 2단부(15a)의 높이(h2)보다 낮게되어 설치되므로써 레버(17)를 이용해 쇄정편(15)을 화살표(A1)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쇄정편(15)이 트렁크리드의 홈(H)에 삽입된 상태에서 홈(H)의 내측주변과 점차 강하게 밀착되므로써 고정되며, 해제시에는 역으로 쇄정편(15)을 화살표(A2)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쇄정편(15)과 구멍(P)의 내측주변부와의 접촉이 느슨해지면서 그 구멍으로부터 해제된다.(도 5참조)
또한 상기 고정레버(20)는 그것의 일단부가 회전핀(21)에 의해 지지플레이트(1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고정레버(20)의 타단부에는 고정레버(20)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위한 손잡이(22)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고정레버(20)의 적정위치 즉, 중도 또는 상도와 같은 도장 공정시 트렁크 리드와 차체의 쿼터패널(Q)사이의 단차를 예컨대 20mm이하로 감소시켜 유지시킬 수 있는 위치에 고정고리(23)가 형성되어 있어 점선으로 도시된 트렁크 룸(TR)후방패널의 고정홈(H')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같은 본 발명에 따른 노치백형 차체 트렁크 홀더를 이용하여 트렁크 리드(TL)를 고정 및 지지하는 방식에 있어서 먼저 트렁크 홀더의 체결수단(10)의 지지플레이트(11)에 형성된 고정편(12,13)을 트렁크 리드 후방내측에 천공된 구멍(P)에 삽입한다.
이때 쇄정편(15)은 홈(H)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레버(17)를 이용하여 쇄정편(15)을 화살표(A1)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쇄정편(15)이 상기 홈(H)의 내측에 체결된다. 이후 트렁크 리드(TL)를 하강시킨 후 고정레버(20)에 형성된 고정고리(23)를 트렁크 룸(TR)후방패널의 고정홈(H')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레버(20)를 화살표(A3)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트렁크 리드(TL)와 차체, 즉 쿼터패널(Q)간에 예컨대 20mm이하의 적정단차(t')가 유지된 상태로 트렁크 리드(TL)가 고정된다.
역으로 트렁크 홀더의 탈거는 고정레버(20)를 화살표(A4)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고리(23)를 해제시킨 후, 트렁크 리드(TL)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조절레버(17)를 회전시켜 쇄정편(15)을 화살표(A2)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쇄정편(15)이 트렁크 리드(TL)의 홈(H)으로부터 해제된 상태에서 트렁크 홀더를 탈거함으로써 실행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노치백 차체용 트렁크 홀더는 그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용이하며, 노치백 차체의 트렁크 리드를 지지 및 고정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홀더를 사용하면 트렁크 리드가 쇄정편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 및 지지될 뿐 아니라 도장 공정시 트렁크 리드와 차체간에 적정 단차가 유지될 수 있어 도장 불량이 완전방지되는 효고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2)

  1. 트렁크 리드(TL)의 중앙내측에 형성된 구멍(P)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핀(12,13)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11), 상기 트렁크 리드(TL)의 중앙내측에 형성된 홈(H)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1)에 회전가능하게 관통장착되는 회전축(16)의 일단부에 고정된 쇄정편(15), 및 상기 쇄정편(15)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16)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조절레버(17)를 포함하는 체결수단(10); 및
    상기 체결수단(10)에 회전핀(2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트렁크룸(TR)의 홈(H')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고리(23)가 형성된 고정레버(2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치백(notch back)차체형 트렁크 홀더(trunk holder).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쇄정편(15)의 양단부(15a,15b)와 지지플레이트(11)사이의 각각의 이격높이(h1,h2)가 상호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치백(notch back)차체형
    트렁크 홀더(trunk holder).
KR1019960043072A 1996-09-30 1996-09-30 노치백 차체용 트렁크 홀더 Expired - Fee Related KR0167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072A KR0167979B1 (ko) 1996-09-30 1996-09-30 노치백 차체용 트렁크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072A KR0167979B1 (ko) 1996-09-30 1996-09-30 노치백 차체용 트렁크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574A KR19980023574A (ko) 1998-07-06
KR0167979B1 true KR0167979B1 (ko) 1999-06-01

Family

ID=19475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3072A Expired - Fee Related KR0167979B1 (ko) 1996-09-30 1996-09-30 노치백 차체용 트렁크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797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574A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17282A (ja) トラツクにおける荷台のゲ−トヒンジ装置
JP4003946B2 (ja) ドアの固定治具
KR0167979B1 (ko) 노치백 차체용 트렁크 홀더
KR0173654B1 (ko) 도장용 후드 홀더
JPH0717591Y2 (ja) 自動車用小物入れ
JP3221832B2 (ja) スライド式ピボット
KR19980018593U (ko) 해치백 차체용 트렁크 홀더
JP3311585B2 (ja) 点検口
JPH0635565U (ja) 運搬容器におけるドア−の開扉位置保持装置
JP3579934B2 (ja) 自動車用後部車体構造
KR200151640Y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용 홀더
JPH066976Y2 (ja) サンル−フのシェ−ド装置
JPH0114553Y2 (ko)
JPH0717545Y2 (ja) 車両用ドアトリムのポケット構造
KR200156991Y1 (ko) 왜건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닫힘 방지장치
KR19990007351U (ko) 자동차의 리어 도어용 홀더
JPH0311104Y2 (ko)
KR100424886B1 (ko) 트럭의 사이드 게이트 고정장치
JP2538234Y2 (ja) 開閉体の開放時保持装置
JPH054526Y2 (ko)
KR0123441Y1 (ko) 자동차용 도어 핸들 브래킷의 고정구조
KR100435892B1 (ko) 차량 테일게이트의 글래스힌지
JP3834783B2 (ja) 自動車のバックドア構造
JPH067027Y2 (ja) 自動車用ドアの開放防止治具
KR0116033Y1 (ko)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수납실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9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9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8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9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9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2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