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563B1 - 카드식 게이트 장치 - Google Patents

카드식 게이트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563B1
KR0125563B1 KR1019930023662A KR930023662A KR0125563B1 KR 0125563 B1 KR0125563 B1 KR 0125563B1 KR 1019930023662 A KR1019930023662 A KR 1019930023662A KR 930023662 A KR930023662 A KR 930023662A KR 0125563 B1 KR0125563 B1 KR 0125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gate device
gate
type gat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3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2189A (ko
Inventor
도시미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나카자토 요시히코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카자토 요시히코,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카자토 요시히코
Publication of KR940012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2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5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1/00Apparatus for validating or cancelling issued tick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드의 조작성을 개선하고, 또한 카드를 연속적으로 접수하여 카드 처리 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카드식 게이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기 카드의 정보를 판독하여 유효, 무효를 판정하고, 이 카드가 유효인 경우에 입장자의 통행을 허가하는 자동 개찰용의 카드식 게이트 장치에 있어서, 카드 삽입구(5)를 위쪽 비스듬히 개구하고, 또 그 배후에 설치한 셔터 기구(8)와 후단의 카드 판정부(9)와의 사이에 카드 삽입구에서 투입한 카드(11)를 기내에 끌어들여 후단의 카드 판정부로 보내는 카드 취입 기구(14)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카드 취입 기구의 입구, 출구단에 카드 센서(15), (16)를 구비하고, 이 카드 센서의 신호를 기초로 선행 카드의 처리중에 다음의 카드를 접수하는 동시에 이사이에 투입된 카드를 취입 기구내에 일시적으로 보류하도록 하여 연속적인 카드의 접수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카드식 케이트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의한 카드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도.
제3도는 종래의 카드식 게이트 장치 전체의 구성도.
제4도는 제3도에 있어서의 게이트 본체 내부의 카드 처리 기구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게이트 본체 3 : 게이트 통로
4 : 게이트문 5 : 카드 삽입구
6 : 카드 취출구 8 : 셔터 기구
9 : 카드 판정부 10 : 카드 반송 기구
11 : 카드 14 : 카드 취입 기구
14a : 카드 취입 통로 14e : 구동모터
15 : 카드 센서(입구측) 16 : 카드 센서(출구측)
17 : 게이트 콘트롤러
본 발명은 유원지등의 닫혀진 구역(closed area) 또는 구역(area)내의 유희시설의 입구에 설치한 자동 개찰용의 카드식 게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자동 개찰용의 게이트 장치로서, 입장구의 게이트 통로에 게이트문이 부착된 게이트 장치를 설치하고, 그 게이트 본체의 카드 삽입구에 투입한 입장자의 자기 카드 (프리페이드카드(prepaid card), 회수권 등)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여 카드의 유효, 무효를 판정하고, 그 카드가 유효인 경우에 상기 게이트문을 개방하여 입장자의 통행을 허가하도록 한 카드식 게이트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제3도 및 제4도는 이와같은 카드식 게이트 장치의 종래에 있어서의 구성도인바, 도면에서 1은 게이트 본체, 2는 게이트 통로(3)를 사이에 두고 게이트 본체(1)와 상호 마주보는 게이트 가이드, 4 는 게이트 본체(1), 게이트 가이드(2)의 출구측에 장비한 플랩 도어로 이루어지는 게이트문이고, 게이트 본체(1)에는 그 입구측의 단면에 수평 방향의 카드 삽입구(5)가 개구하고, 출구측의 상면에는 카드 취출구(6), 표시 디스플레이(7)가 나란히 배치되어 준비되어 있다. 또 게이트 본체(1), 게이트 가이드(2)에는 게이트문(4)의 개폐기구(도시생략)를 내장하고 있고, 또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게이트 본체(1)의 내부에는 카드 삽입구(5)에서 후방의 카드 취출구(6)로 통하는 기내의 카드 반송로에 따라서 카드 삽입구측에서 차례로 카드 삽입구(5)를 닫고 접수를 정지하는 셔터 기구(8), 카드의 유효, 무효를 판정하는 판정부(카드판독/기록기를 포함하는 정보처리부)(9), 및 카드 판정부(9)에서 출력된 카드를 카드 취출구(6)로 반출하는 벨트식 카드 반송 기구(10)를 장비하고 있다. 또 9a, 9b, 9c, 는 카드 정보의 판독용 자기 헤드, 기록용 자기 헤드, 조회(verify)용 자기 헤드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셔터(8)가 열린 카드 접수 상태에서 입장자가 카드(11)를 카드 삽입구(5)의 안속까지 한도껏 끼워 넣으면 카드 판정부(9)에 편입된 반송 롤러가 카드(11)를 내부로 취입함과 동시에 카드 삽입구(5)에 설비된 광전식 카드 센서(12)의 검출 신호로 셔터 기구(8)를 닫고 후속의 카드 접수를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또 카드 판정부(9)는 취입한 카드(11)의 기록 정보를 판독하여 유효인지 뮤효인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카드(11)가 유효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게이트 콘트롤러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게이트문(4)을 열어서 입장자의 통행을 허가하는 동시에 카드 판정부(9)에서 카드 정보를 고쳐 쓴뒤에 카드(11)를 카드 반송 기구(10)로 송출하여 카드 취출구(6)로 반송한다. 그리고 입장자가 카드 취출구(6)로 반출되는 카드(11)를 받아서(카드 취출구(6)에는 카드 센서(13)가 설비되어 있음)게이트 통로(3)를 통하여 빠져나가면(게이트 통로로 부터의 사람의 퇴장은 출구측에 설치한 센서로 검출한다.), 이 신호를 받아서 게이트문(4)이 재차 닫히는 동시에 이때까지 카드 삽입구(5)를 폐쇄하고 있던 셔터 기구(8)를 개방하여 다음의 카드 접수를 개재한다.
한편, 카드 삽입구(5)에 투입한 카드(11)가 판정부(9)에서 무효로 판정되면, 게이트문(4)은 닫인채로 무효 카드가 유효 카드와 동일하게 카드 취출구(6)로 반출된다. 따라서 무효 카드를 가진 사람은 입장이 거부되므로 게이트문(4)의 바로 앞위치에서 카드 취출구(6)로 부터 무효 카드를 받은후, 게이트 통로(3)를 되돌아가서 게이트 입구에서 밖으로 퇴출하게 된다.또 게이트문(4)은 항상 개방해 두고, 무효 카드로 판정된때만 게이트를 닫는 방식도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카드식 게이트 장치에서는 카드의 조작성 및 처리의 기능면에 있어서,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1)게이트안으로 진입할때에 카드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카드(11)를 카드 삽입구(5)의 속까지 넣지 않고 입구에 얹어 놓기만 하고, 게이트 출구를 향해서 통행하고자 하는 일이 많고, 이 경우에는 카드(11)가 카드 판정부(9)로 확실하게 끌려들어가지 않으므로 소정의 카드 처리라 행해지지 않고, 이때문에 입장자는 게이트문(4)(닫혀있다.)의 앞에 멈추어 선 채로 게이트문이 열릴때까지 기다리는 사태가 생긴다. 이 결과, 게이트 입구에서 혼란이 생겨서 열을 지어 순번을 기다리는 후속의 입장자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없다.
(2)카드 삽입구(5)와 카드 판정부(9)가 셔터 기구(8)를 통하여 근접해 있고, 카드 판정부(9)에 복수매의 카드가 중복하여 보내지는 것을 피하도록 선행의 카드가 기내에 들어가면 그 카드가 카드 취출구(6)로 반출될때까지 셔터 기구(8)를 닫고 다음의 카드 접수를 정지하는 매엽(枚葉)처리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때문에 순번을 기다리는 다음 사람은 선행 카드의 처리가 완전히 끝날때까지 게이트 입구에 멈춰서서 기다리게 되고 이 대기 시간이 로스 타임이 되어 케이트 장치의 처리 능력을 저하시키는 큰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카드의 조작성을 개선하여 카드를 연속적으로 받아서 카드 처리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카드식 게이트 장치를 제공하는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게이트 장치는 아래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한다.
(1)카드 삽입구를 위쪽으로 비스듬이 개구하는 동시에 그 배후에 설치한 셔터 기구와 후단의 카드 판정부와의 사이에 카드 삽입구에서 투입한 카드를 기내로 끌어들여서 후단의 카드 판정부로 송출하기 위한 적어도 카드1 매분의 길이에 상응하는 카드의 취입 통로와, 이 취입 통로에 따라서 배치한 반송롤러와, 취입 기구 전용의 구동 모터를 구비하는 카드 취입 기구를 설치하고, 또 카드 삽입구로 취입한 카드를 상기 취입 통로내에서 일시적으로 대기시키는 카드보류 기능을 갖도록 구성한다.
(2)상기한 카드 취입 기구에 대하여, 그 취입 통로의 입구, 출구측에 카드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카드 센서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선행 카드가 카드 취입기구에서 카드 판정부 송출하는 조건에서 셔터를 개방하여 다음의 카드를 접수하고, 또 카드 접수중에 다음 카드가 투입된 경우에는 이 카드를 카드 취입 기구내에 취입하는 동시에 선행 카드의 처리가 완료할 때 까지는 카드 취입 기구의 구동 모터를 정지하여 카드를 취입 통로내에 보류하여 대기시키고, 다시 선행 카드의 처리 종료를 기다려서 취입 통로내에 보류하고 있던 카드를 카드 판정불로 송출하는 동시에 셔터를 개방하여 카드 접수를 재개하도록 한 실시 양태가 있다.
상기 구성의 게이트 장치에 있어서, 먼저 카드 삽입구를 위쪽으로 비스듬히 개구하는 동시에 그배후에 카드 취입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이용자는 손에 쥔 카드의 선단을 카드 삽입구에 맞추어 투입하는 것만으로 카드는 자기 무게로 카드 삽입구 안으로 빠져드는 동시에 카드 취입 기구가 직접 카드를 기내로 끌어들여서 취입하도록 동작한다.
더욱이 카드 취입 기구에 카드 보류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선행 카드의 일련의 처리 공정(카드의 유효, 무효 판정, 카드 취출구로의 반송, 카드의 취출)이 완전히 종료하기 이전에도 선행 카드를 카드 취입 기구에서 후단의 카드 판정부로 송출하는 조건으로 다음 카드를 접수할 수 있게 된다. 즉, 이경우에 카드 취입 기구는 선행 카드가 카드 취출구에서 빼낼때 까지의 사이는 다음에 접수한 카드를 취입 기구내에 일시 보류하여 대기시키고, 상기한 선행 카드의 처리가 종료하는 것을 기다려서 후단의 카드 판정부로 송출한다. 이로 인하여 카드를 연속적으로 접수할 수 있게 되고, 선행 카드의 입장자가 게이트 통로로 빠져나가기 이전에 후속하는 입장자는 카드를 카드 삽입구에 투입하여 그대로 게이트 통로를 나아갈 수 있고 그만큼 로스 타임을 줄여서 많은 입장자가 효율적으로 처리될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1도, 제2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실시예의 도면중에서 제3도, 제4도에 대응하는 동일 부재에는 같은 부호가 붙여져 있다.
먼저 제1도에 있어서, 게이트 본체(1)의 카드 삽입구(5)는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서 개구되어 있고, 또 카드 삽입구(5)으 배후에 구비된 셔터기구(8)와 후단에 늘어선 카드 판정부(9)와의 사이에는 카드 취입기구(14)가 새로이 추가 장비되어 있다. 이 카드 취입 기구(14)는 카드 삽입구(5)와 카드 판정부(9)의 입구에 걸치는 취입 통로(14a)와, 이 통로에 따라서 배치한 반송롤러(14b), (14c)와, 이들 롤러에 벨트(14d)를 통하여 전동 결합한 카드 취입기구 전용의 구동 모터(14e)와, 상기 취입 통로(14a)의 입구, 출구측에 설치한 광전식의 카드 센서(15), (16)으로 조립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카드 취입통로(14a)는 통로 길이가 적어도 카드(11)의 1 매분의 길이에 상응한 길이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고, 취입 통로의 전반(前半)은 비스듬히 상방으로 경사하여 그 입구가 카드 삽입구(5)에 대향하고, 후반(後半)은 수평인 통로로 그 출구단이 카드 판정부(9)의 입구가 마주보도록 배치하고 있다. 또 상기 반송롤러(14b)는 벨트(14d)를 통하여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14f)에 회전 자재로 지지되어 있고, 회전축(14f)의 축상에 세워진 구동핀(14g)과 롤러(14b)의 측면에 돌설한 종동핀(14h)을 커플링으로 하여 롤러(14b)가 회전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카드 삽입구(5)의 배후에 설치된 셔터 기구(8)는 카드 삽입구 통로에 출몰(出沒)하는 셔터판(8a)과, 링크(8b)를 통하여 셔터판(8a)에 연결한 솔레노이드(8c)와, 셔터판(8a)을 닫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8d)과의 조립체로 구성된다. 또 17 은 게이트 콘트롤러이고, 상기한 카드 센서(15), (16) 및 카드 취출구(6)에 설치한 카드 센서(13)(제 4 도 참조)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후술하는 바와같이 셔터 기구(8), 카드 취입 기구(14)에 동작지령을 부여하여 제어한다.
다음에 상기 셔터 기구(8), 카드 취입 기구(14)를 병용한 카드의 접수 동작을 제1도 및 제2도의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게이트 장치의 대기 상태에서 카드 삽입구(5)로 1매째의 카드(11)를 삽입하면 스텝 S1에서 입구측의 카드 센서(15)가 카드를 검출하고 이것을 기초로 게이트 콘트롤러(17)의 지령으로 카드 취입 기구(14)의 구동 모터(14e)가 시동하고 카드 삽입구에서 카드를 취입 통로(14a)로 강제적으로 끌어넣고 다시 1 매째의 카드를 출구단까지 반송하여 카드 판정부(9)로 송출한다.(스텝 S2).
여기서 1매째의 카드(11)가 취입 통로(14a)의 출구측의 카드 센서(16)를 통과하면 취입 통로(14a)는 빈 상태로 되므로, 카드 센서(15), (16)의 신호를 기초로 구동모터(14e)를 정지하는 동시에 셔터 기구(8)를 개방하여 2 매째의 카드를 접수한다.
그리고 2 매째의 카드(11)가 삽입되면, 카드 취입 기구(14)가 시동하여 2 매째의 카드를 취입 통로(14a)로 끌어들이고(스텝 S3), 이어서 셔터 기구(8)를 폐쇄하고 다음의 카드 접수를 정지하며(스텝 S4), 다시 카드(11)가 출구측 카드 센서(16)에 도달한 곳에서 구동 모터(14e)를 정지하여 2 매째의 카드 취입 기구(14)의 취입 통로(14a)안에 일시적으로 보류하여 대기시킨다.(스텝 S5).
이상태에서 다음의 스텝 S6 에서는 선행한 1 매째의 카드의 처리가 종료할때까지는 카드의 보류 상태를 계속하고 카드 처리가 종료하여 카드 취출구(6)로 반송된 카드가 취출되면 카드 센서(13)(제4도 참조)로 부터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구동 모터(14e)를 다시 시동하여 이때까지 대기하고 있던 2 매째의 카드를 카드 판정부(9)로 송출(스텝 S7)하는 동시에 카드 센서(16)의 신호를 기초하여 셔터(8)를 개방하고(스텝 S8), 다음번 카드의 접수를 재개한다.(스텝 S9). 이후는 다시 스텝 S2로 되돌아와서 상기와 같은 스텝 동작을 반복하여 후속 카드를 차례 차례로 연속적으로 접수하여 취입한다.
이상 기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카드식 게이트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카드 삽입구로 투입한 카드는 자기 무게로 기내로 진입하여 카드 취입 기구로 강제적으로 취입된다. 따라서 카드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도 삽입 조작 미스 및 투입 조작 미스에 수반하는 로스 타임의 발생이 없고, 게이트 입구에서 카드를 투입한 입장자는 그대로 게이트 통로내로 진입할 수 없고, 그에따라 입장자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더욱이 1매째의 카드 처리 종료를 기다리지 않고 또 카드 처리에 아무런 지장을 가져오지 않고 2매째의 카드를 접수 할수 있게 되어 후속 입장자의 대기 시간이 단축되는 동시에 게이트 통로를 보행하는 입장자의 흐름도 원활하게 되어 종래의 게이트 장치와 비교하여 게이트 처리 능력을 큰폭으로 높일 수 있다.

Claims (2)

  1. 자기 카드의 정보를 판독하여 유효, 무효를 판정하고, 상기 카드가 유효인 경우에 입장자의 통행을 허가하는 자동 개찰용의 카드식 게이트 장치로서, 게이트 본체의 입구측, 출구측에 카드 삽입구, 카드 취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카드 삽입구와 카드 취출구간의 카드 반송로에 따라서 카드 삽입구의 셔터 기구, 카드의 유효, 무효를 판별하는 카드 판정부, 및 카드 판정부에서 출력된 카드를 카드 취출구로 반출하는 카드 반송기구를 장비한 카드식 게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드 삽입구를 위쪽 비스듬히 개구하는 동시에 그배후에 설치한 셔터 기구와 후단의 카드 판정부와의 사이에 카드 삽입구에서 투입한 카드를 기내에 끌어들여 후단의 카드 판정부로 송출하기 위하여 적어도 카드 1 매분의 길이에 상응하는 카드의 취입 통로와, 이 취입 통로에 따라서 배치한 반송롤러와, 취입 기구전용의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카드 취입기구를 설치하고, 또 카드 삽입구에서 취입한 카드를 상기 취입 통로내에서 일시적으로 대기시키는 카드 보류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식 게이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카드 취입 기구에 대하여 그 취입 통로의 입구, 출구측에 카드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카드 센서의 검출 신호로 기초로 선행 카드가 카드 취입기구에서 카드 판정부로 보내진 조건에서 셔터를 개방하여 다음의 카드를 접수하고, 또 카드 접수중에 다음 카드가 투입된 경우에는 이 카드를 카드 취입 기구내에 취입하는 동시에 선행 카드의 처리가 완료할 때 까지는 카드 취입기구의 구동 모터를 정지하여 카드를 취입 통로내에 보류하여 대기시키고, 다시 선행 카드의 처리 종료를 기다려 취입 통로내에 보류하고 있던 카드를 카드 판정부로 송출하는 동시에 셔터를 개방하여 카드 접수를 재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식 게이트 장치.
KR1019930023662A 1992-11-12 1993-11-09 카드식 게이트 장치 KR0125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301435A JPH06150092A (ja) 1992-11-12 1992-11-12 カード式ゲート装置
JP92-301435 1992-1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189A KR940012189A (ko) 1994-06-23
KR0125563B1 true KR0125563B1 (ko) 1998-04-10

Family

ID=17896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3662A KR0125563B1 (ko) 1992-11-12 1993-11-09 카드식 게이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6150092A (ko)
KR (1) KR01255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9453A (ja) * 2001-03-16 2002-09-27 Toshiba Corp 自動改集札装置
JP5292774B2 (ja) * 2007-11-16 2013-09-18 オムロン株式会社 自動改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189A (ko) 1994-06-23
JPH06150092A (ja) 1994-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9413A (en) Self-service terminal (SS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ST to control movement of a card of the SST
KR0125563B1 (ko) 카드식 게이트 장치
JPH06150090A (ja) カード式ゲート装置
JP4236772B2 (ja) 自動改札機
JP2653929B2 (ja) 自動改札機
JP3839895B2 (ja) 自動改札装置及び改札方法
JP3475795B2 (ja) 自動改札機
JP3064474B2 (ja) 返却機能付き自動改札機
JP2000207593A (ja) 自動改札機
JP3802188B2 (ja) 自動改札装置および自動改札方法
JPS6145574Y2 (ko)
JP3459543B2 (ja) 自動改札機
JPH10261115A (ja) 自動改札機
JP3419646B2 (ja) 自動改札機
JP3432619B2 (ja) 自動改札機
JP2000207594A (ja) 自動改札機
JP3923604B2 (ja) 自動改札装置
JPH11328452A (ja) 自動改札機
JPH026117B2 (ko)
JPS58112183A (ja) 自動改札装置
JP2003308547A (ja) 自動改札機
JPH0816851A (ja) 自動改札機
JPH10124720A (ja) 自動改札機
JPH11265464A (ja) 自動改札装置
JPH06150091A (ja) カード式ゲ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