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893Y1 - 안전띠의 관성록킹 버클 - Google Patents

안전띠의 관성록킹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893Y1
KR0124893Y1 KR2019940020679U KR19940020679U KR0124893Y1 KR 0124893 Y1 KR0124893 Y1 KR 0124893Y1 KR 2019940020679 U KR2019940020679 U KR 2019940020679U KR 19940020679 U KR19940020679 U KR 19940020679U KR 0124893 Y1 KR0124893 Y1 KR 01248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tongue
locking
inertial
gu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06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6860U (ko
Inventor
김지호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206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893Y1/ko
Publication of KR9600068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8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8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8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5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 A44B11/2515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속충돌시 버클에서 텅이 해제되지 못하도록 하는 안전띠의 관성폭킹 버클에 관한 것으로, 관성력을 이용하여 고속충돌시 텅이 반력에 의하여 버틀로 부터 해제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는 안전띠의 관성록킹 버클을 제공하기 위하여, 텅(1)이 버튼(2)과 가이드 프레임 베이스(3)사이로 텅리턴쇠(4)를 밀고 들어가 가이드 프레임(5)내의 록킹 플레이트(6)가 텅(1)에 걸려 있게 한 것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5)상에 록킹 홀(7)을 형성하고, 고속충돌시 버클(10)에 작용하는 반력의 반대방향으로 관성에 의하여 상기 록킹 홀(7)내로 전진하여 상기 록킹 플레이트(6)를 고정할 수 있는 관성록킹 바(8)와 이 관성록킹 바(8)를 지지할 수 있는 스테이(9)를 버클(10)내에 설치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띠의 관성록킹 버클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종래의 버클과 텅의 종단면도.
제5도는 충돌시 버클에 작용하는 벨트하중 분포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텅 2 : 버튼
5 : 가이프 프레임 6 : 록킹 플레이트
7 : 록킹 홀 8 : 관성록킹 바
9 : 스테이 10 : 버클
14 : 지지핀
본 고안은 고속충돌시 버클에서 텅이 해제되지 못하도록 하는 안전띠의 관성록킹 버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3도와 같이 텅(31)이 버튼(32)과 가이드 프레임 베이스(33)사이로 텅리턴쇠(34)를 밀고 들어가 가이드 프레임(35)내의 록킹 플레이트(36)가 텅(31)에 걸려 있게 하므로서 버클(37)에 텅(31)이 구속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고속충돌시(약 50km 이상)에는 고감속도(600G 이상)작용에 따른 반력에 의하여 텅(31)이 해제되었다. 다시 말해서 충돌초기에는 고정부(38)쪽에서 텅(31)쪽으로 벨트 하중이 걸리다가 충돌후기에는 제5도의 포물선 하강부분처럼 벨트 하중이 하강하기 때문에 그 반력이 고정부(38)쪽으로 작용하여 제4도와 같이 버튼(32)이 버튼복귀스프링(39)의 힘을 이기고 밀려들어가 록킹 플레이트(36)를 상향으로 밀어올리므로서 텅리턴쇠(34)는 텅복귀스프링(40)에 의하여 록킹 플레이트(36)하단으로 밀려나오고 동시에 텅(31)은 해제되어 안전띠가 풀려지므로서 충격을 받은 승객 또는 운전자가 관성에 의하여 튕겨나가거나 불안정한 자세로 쓰러지면서 상해를 입는 등의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었다.
본 고안은 관성력을 이용하여 고속충돌시 텅이 반력에 의하여 버클로 부터 해제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는 안전띠의 관성록킹 버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이드 프레임상에 록킹 홀을 형성하고 고속충돌시 버클에 작용하는 반력의 반대방향으로 관성에 의하여 상기 록킹 홀내로 전진하여 록킹 플레이트를 고정할 수 있는 관성록킹 바와 이 관성록킹 바를 지지할 수 있는 스테이클 버클내에 설치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텅(1)이 버튼(2)과 가이드 프레임 베이스(3)사이로 텅리턴쇠(4)를 밀고 들어가 가이드 프레임(5)내의 록킹 플레이트(6)가 텅(1)에 걸려 있게 한것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5)상에 록킹 홀(7)을 형성하고, 고속충돌시 버클(10)에 작용하는 반력의 반대방향으로 관성에 의하여 상기 록킹 홀(7)내로 전진하여 상기 록킹 플레이트(6)를 고정할 수 있는 관성록킹 바(8)와 이 관성록킹 바(8)를 지지할 수 있는 스테이(9)를 버클(10)내에 설치한 것이다.
상기 버튼(2)은 가이드 프레임(5)내의 록킹 플레이트(6)를 상향으로 밀어올리거나 하향으로 내릴 수 있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버튼복귀스프링(11)에 의하여 외부로 밀려나도록 설치된 것이며, 텅리턴쇠(4)는 텅복귀스프링(12)에 의하여 외부로 밀려나도록 설치되어 있고, 버클(10)은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부(13)에 고정되어 있다.
스테이(9)에는 중앙에 지지핀(14)이 플레시블하게 돌출되어 있어 이 지지핀(14)에 관성록킹 바(8)의 중간이 끼워져 있고, 스테이(9)는 가이드 프레임 베이스(3)상에 고정되어 있다.
제1도는 텅(1)이 버클(10)내에 끼워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텅(1)을 버클(10)내의 버튼(2)과 가이드 프레임 베이스(3)사이로 텅리턴쇠(4)를 밀면서 끼우면 록킹 플레이트(6)가 하향으로 이동해 텅(1)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체결상태에서 약 50km 이상의 고속충돌이 일어나면 벨트하중이 고정부(13)쪽으로 가해졌다가 충돌후 바로 이 벨트하중이 급속히 감쇄되는 바 이 감쇄되는 속도상의 감속도는 600G 이상으로서 곧 반력으로 버클(10)에 작용하여 버튼(2)을 내부(제1도 및 제2도의 우측)로 밀려들어가게 하는 모멘트를 발생시키지만 버튼(2)은 관성록킹 바(8)에 의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움직이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텅(1)은 해제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충돌에 의하여 고정부(13)쪽에 벨트 하중이 걸리면서 관성록킹 바(8)가 관성에 의하여 제2도와 같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록킹 홀(7)내로 들어가게 되고 곧 바로 버클(10)에 우측으로 작용하는 반력에 의하여 버튼(2)이 록킹 플레이트(6)를 상향으로 밀어올리려는 힘을 작용시켜 관성록킹 바(8)는 록킹 홀(7)과 록킹 플레이트(6)사이에 꽉 물리게 되므로서 결국 관성록킹 바(8)는 충돌후기에 작용하는 반력에 따라 우측으로 복귀되지 않고 좌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여 텅(1)이 록킹 플레이트(6)로 부터 해제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고속충돌시 관성력을 이용하여 관성록킹 바가 록킹 플레이트를 잡아주므로 텅이 버클에서 해제되지 않아 종래와 같이 고속충돌시 텅이 해제되어 승객 또는 운전자가 상해를 입는 일은 없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텅이 버튼과 가이드 프레임 베이스 사이로 텅리턴쇠를 밀고 들어가 가이드 프레임내의 록킹 플레이트가 텅에 걸려 있게 한 것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 상에 록킹 홀을 형성하고, 고속충돌시 버클에 작용하는 반력의 반대방향으로 관성에 의하여 상기 록킹 홀내로 전진하여 상기 록킹 플레이트를 고정할 수 있는 관성록킹 바와 이 관성록킹 바를 지지할 수 있는 스테이를 버클내에 설치한 안전띠의 관성록킹 버클.
KR2019940020679U 1994-08-17 1994-08-17 안전띠의 관성록킹 버클 KR01248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0679U KR0124893Y1 (ko) 1994-08-17 1994-08-17 안전띠의 관성록킹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0679U KR0124893Y1 (ko) 1994-08-17 1994-08-17 안전띠의 관성록킹 버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860U KR960006860U (ko) 1996-03-13
KR0124893Y1 true KR0124893Y1 (ko) 1998-10-15

Family

ID=19390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0679U KR0124893Y1 (ko) 1994-08-17 1994-08-17 안전띠의 관성록킹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89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860U (ko) 1996-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6608A (en) Seat belt system
US3929351A (en) Comfort clip for a shoulder belt of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belt system
KR0124893Y1 (ko) 안전띠의 관성록킹 버클
JPS5914293Y2 (ja) シ−トベルトアンカ−装置
KR014909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0410722B1 (ko)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 트랙
KR0120175Y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버클 보강장치
KR0125124Y1 (ko)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구조
KR100324377B1 (ko) 자동차의 유아용시트 벨트 길이 조절장치
KR200170699Y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벨트 고정구조
KR0150900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0229743B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텅 플레이트
KR19980017488A (ko) 리어시트 분할 방지장치
KR0123274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앵커취부구조
KR100196280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구속장치
KR20050036560A (ko) 시트벨트용 텅플레이트
KR960012099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KR015089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30713Y1 (ko) 자동차의 충돌시 안전벨트의 벨트 자동 조정장치
KR890007002Y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73598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0315566B1 (ko) 소성변형을 이용한 자동차용 시트벨트 로드 리미터
KR015090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JPH0825978A (ja) 車両の重量物保持装置
KR200152924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