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713Y1 - 자동차의 충돌시 안전벨트의 벨트 자동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충돌시 안전벨트의 벨트 자동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713Y1
KR0130713Y1 KR2019930026716U KR930026716U KR0130713Y1 KR 0130713 Y1 KR0130713 Y1 KR 0130713Y1 KR 2019930026716 U KR2019930026716 U KR 2019930026716U KR 930026716 U KR930026716 U KR 930026716U KR 0130713 Y1 KR0130713 Y1 KR 01307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lide body
collision
tension spring
b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67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8133U (ko
Inventor
오성하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300267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713Y1/ko
Publication of KR9500181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1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7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7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60R2022/281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for b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충돌시 안전벨트의 자동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돌시에 순간적인 벨트의 압박을 해소하기 위해 충돌이후 벨트가 약간 느슨해지게 하여 허리부분의 압박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안전벨트의 벨트 자동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버클에 고정된 슬라이드 몸체의 중간부에 설정된 인장력을 가하면 압축되는 텐션스프링과 하부의 양측에 스위치접점을 형성한 스토퍼를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 몸체에 조립되는 마운팅 하우징이 시트에 고정되고 그 내부에 걸림홈과 스위치접점을 갖는 안내장홈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에는 슬라이드 몸체에 형성된 텐션스프링이 걸려 고정되게 하고 안내장홈에는 스토퍼가 위치되게 하여 자동차의 주행 중 충돌이 발생하여 버클에 인장력이 발생됨에 따라 텐션스프링이 걸림홈에서 빠지면서 슬라이드 몸체가 이동함과 동시에 스위치접점이 이루어져 이와 연결된 리트렉터에 의해 벨트가 록킹되고 슬라이드 몸체는 안내장홈을 따라 이동하여 이 이동거리만큼 벨트의 이완효과에 의해 순간적인 벨트의 압박을 줄일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충돌시 안전벨트의 벨트 자동 조정장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작용상태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버클 12 : 슬라이드 몸체
14 : 텐션스프링 18 : 스토퍼
30 : 마운팅 하우징 32 : 걸림홈
36 : 안내장홈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충돌시 안전벨트의 벨트 자동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돌시에 순간적인 벨트의 압박을 해소하기 위해 충돌이후 벨트가 약간 느슨해지게 하여 허리부분의 압박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안전벨트의 벨트 자동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안전벨트는 차량의 충돌시에 운전자를 시트에 구속하여 안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같은 종래의 안전벨트는 차량의 충돌시에 벨트가 리트렉터의 잠금장치에 의해 벨트가 정지됨에 따라 운전자의 몸체는 벨트에 의해 시트에 구속되는데, 이때 충돌에 따른 벨트가 운전자를 압박하여 충돌의 정도에 따라 벨트의 압박에 의해 또다른 사고에 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하체부분의 허리벨트 압박에 의해 많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충돌시에 허리부분의 벨트 압박을 최소화시켜 허리부분의 압박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충돌시 안전벨트의 벨트 자동 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버클에 고정된 슬리이드 몸체의 중간부에 설정된 인장력을 가하면 압축되는 텐션스프링과 하부의 양측에는 스위치접점을 형성한 스토퍼를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 몸체에 조립되는 마운팅 하우징이 시트에 고정되고 그 내부에 걸림홈과 스위치접점을 갖는 안내장홈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에는 슬라이드 몸체에 형성된 텐션스프링이 걸려 고정되게 하고 안내장홈에는 스토퍼가 위치되게 하여 자동차의 주행 중 충돌이 발생하여 버클에 인장력이 발생됨에 따라 텐션스프링이 걸림홈에서 빠지면서 슬라이드 몸체가 이동함과 동시에 스위치접점이 이루어져 이와 연결된 리트렉터에 의해 벨트가 록킹되고 슬라이드 몸체는 안내장홈을 따라 이동하여 이 이동거리만큼 벨트의 이완효과에 의해 순간적인 벨트의 압박을 줄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작용상태의 예시도로서, 도면부호 10은 버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버클(10)은 텅(tongue:20)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하부에 슬라이드 몸체(12)를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하고 슬라이드 몸체(12)의 중간부에 양측에 커버(14a)를 씌운 텐션스프링(14)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스위치접점(16)을 보유한 스토퍼(18)가 형성되며, 이 슬라이드 몸체(12)에 조립되는 마운팅 하우징(30)은 고정수단에 의해 시트(도시생략)에 고정되고 그 내부에는 걸림홈(32)과 스위치접점(34)이 형성된 안내장홈(36)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32)에는 슬라이드 몸체(12)에 형성된 텐션스프링(14)의 커버(14a)가 걸려 고정되게 하고 안내장홈(36)에는 스토퍼(18)가 위치되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에서 텐션스프링(14)은 시속 약 20km 이상에서 충돌시 작동할 수 있는 스프링의 강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자동차의 주행 중 시속 약 20km 이상에서 충돌이 발생하면 가슴벨트(24)와 허리벨트(26)에 압박이 가해져 텅(20)을 체결한 버클(10)에 인장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버클(10)에 고정된 슬라이드 몸체(12)의 텐션스프링(14)이 인장력에 의해 커버(14a)가 걸림홈(32)에서 빠지게 되어 슬라이드 몸체(12)가 마운팅 하우징(30)에서 신속히 슬라이딩하여 스토퍼(18)가 안내장홈(36)의 상단에 걸려 이동이 완료됨과 동시에 스위치접점(16,34)이 이루어져 이와 연결된 리트렉터(28)에 의해 벨트(24,26)가 록킹된다. 이와같이 록킹이 이루어져 운전자는 슬라이드 몸체(12)의 이동량(L)만큼 허리벨트(26)의 이완효과를 갖게 되어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충격이 허리부분에 먼저 발생되는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의 충돌시 안전벨트의 벨트 자동 조정장치에 의하여 자동차의 충돌이후 벨트가 약간 느슨해지게 하여 허리부분의 압박을 해소함에 따라 인명사고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게 되었다.

Claims (2)

  1. 버클(10)에 고정된 슬라이드 몸체(12)의 중간부에 설정된 인장력을 가하면 압축되는 텐션스프링(14)과 하부의 양측에는 스위치접점(16)을 형성한 스토퍼(18)를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 몸체(12)에 조립되는 마운팅 하우징(30)이 시트에 고정되고 그 내부에 걸림홈(32)과 스위치접점(34)을 갖는 안내장홈(36)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32)에는 텐션스프링(14)이 걸려 고정되게 하고 안내장홈(36)에는 스토퍼(18)가 위치되게 하여 주행 중 일정속도 이상에서 충돌이 발생하여 버클(10)에 인장력이 발생됨에 따라 텐션스프링(14)이 걸림홈(32)에서 빠져 슬라이드 몸체(12)가 이동함과 동시에 스위치접점(16,34)이 이루어져 이와 연결된 리트렉터(28)에 의해 벨트가 록킹되고 슬라이드 몸체(12)는 안내장홈(36)의 상단까지 이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돌시 안전벨트의 벨트 자동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스프링(14)은 시속 약 20km 이상에서 충돌시 작동할 수 있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돌시 안전벨트의 벨트 자동 조정장치.
KR2019930026716U 1993-12-08 1993-12-08 자동차의 충돌시 안전벨트의 벨트 자동 조정장치 KR01307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716U KR0130713Y1 (ko) 1993-12-08 1993-12-08 자동차의 충돌시 안전벨트의 벨트 자동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716U KR0130713Y1 (ko) 1993-12-08 1993-12-08 자동차의 충돌시 안전벨트의 벨트 자동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133U KR950018133U (ko) 1995-07-22
KR0130713Y1 true KR0130713Y1 (ko) 1998-12-15

Family

ID=19370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6716U KR0130713Y1 (ko) 1993-12-08 1993-12-08 자동차의 충돌시 안전벨트의 벨트 자동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7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133U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7428A (en) Position-adjustment device for a belt-guide, and safety-belt provided therewith
US4452469A (en) Seat belt junction ring
KR0130713Y1 (ko) 자동차의 충돌시 안전벨트의 벨트 자동 조정장치
DE10163917C1 (de) Sicherheitsgurtverschluß-Befestigungsanordnung mit integrierter Kraftmessung
GB1601104A (en) Safety restraint apparatus
WO2004045924A1 (en) A safety arrangement for a vehicle
KR100206434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
KR0120175Y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버클 보강장치
KR0133480Y1 (ko)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
KR100229743B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텅 플레이트
KR940007464Y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66178B1 (ko) 자동차 시트 벨트 로커에 설치한 로드 리미터
KR960012099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KR100356213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꼬임 방지 장치
KR200169507Y1 (ko) 차량의 앞좌석 안전벨트 유동 방지장치
KR0124233Y1 (ko) 시트 벨트의 스풀 아웃 감소장치
KR960007729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가이드버클 고정구조
KR100391538B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
KR0138888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잠금장치
KR19980064665U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구조
KR0124893Y1 (ko) 안전띠의 관성록킹 버클
KR015090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200143426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착용구조
KR0145388B1 (ko)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KR19980042216U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