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542B1 - 다층구조 충전물체 - Google Patents

다층구조 충전물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542B1
KR0123542B1 KR1019930027134A KR930027134A KR0123542B1 KR 0123542 B1 KR0123542 B1 KR 0123542B1 KR 1019930027134 A KR1019930027134 A KR 1019930027134A KR 930027134 A KR930027134 A KR 930027134A KR 0123542 B1 KR0123542 B1 KR 0123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fiber
web
base fabric
ba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7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111A (ko
Inventor
요시카즈 키타가와
Original Assignee
호도 시게토시
마루산 카이하츠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도 시게토시, 마루산 카이하츠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도 시게토시
Publication of KR950011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5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0All layers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천(2)과 섬유웨브(3)가 일체화된 박층의 섬유시트(1)를 다수층 적층시켜 안솜체로 함으로써 탄발성이 있고, 세탁도 가능하고, 더구이 흡수성, 흡습성, 보온성, 방습성, 경량화, 접어 갰을 때의 콤팩트성 등의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된 다층구조 충전물체에 관한 것이다.
부직포 등의 베이스천(2)과 단섬유(短纖維) 카드(card) 웨브(3)를 니들펀치(needle punch) 장치의 교락(交絡) 처리에 의해 상호 섬유끼리를 교락 일체화하여 섬유시트(1)로 한다. 이것을 10 내지 20매 포개고, 실(4)에 의해 수개소 두께방향을 재봉하여 다층구조 충전물체(5)를 얻게 된다. 이것을 가장자리천(8) 내에 충전하여 충전물체로 한다. 각 층의 섬유시트(1)는 요구에 맞추어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적층된 섬유시트(1)는 상호 독립성을 갖기 때문에 가라앉지 않으면서 형태 유지성이 양호한 충전물체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다층구조 충전물체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충전물체에 사용하는 섬유시트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다층구조 충전물체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통상적인 폭의 섬유시트와, 내부에 부분적으로 폭이 좁은 섬유시트를 배치한 다층구조 충전물체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다층 구조 적층체의 내부에 쿠션체를 존재시킨 요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섬유시트 2 : 부직포의 베이스천
3 : 섬유웨브(web) 4 : 실
5, 6 : 다층구조 충전물체 7 : 쿠션체
8 : 가장자리천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다층구조 충전물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요, 침대패드(bed pad), 이불, 쿠션체, 방석, 의자방석, 베개 등에 유용한 다층구조 충전물체에 관한 것이다.
요, 침대패드, 이불, 쿠션체, 방석, 의자방석, 베개 등의 충전물체는 종래 목면(木綿)이나 합성섬유 등의 원면(原綿)을 카드기(carding machine)에 의해 오프닝하여 섬유웨브로 한 후 소정 형상으로 접어 안솜체를 형성하고, 이 안솜체를 가장자리천 개구부로부터 가장자리천내로 충전하여 상기 가장자리천 개구부를 봉제함으로써 제조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충전물체는 충전되는 솜의 양이 많아 무거운데다, 바닥착상감(실체로 착용된 경우에 인체의 중량에 의해 가라앉은 상태)이 있고, 장기간 사용되게 되면 안솜체가 가라앉기 쉽게 되며, 더욱이 그 상태에서 세탁이 될 수가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개량하기 위해, 오프닝한 단섬유(短纖維)를 압력공기를 이용하여 가장자리천내로 성형하면서 불어넣고, 그 후 가장자리천 개구부를 폐쇄한 다음 가장자리천과 함께 두께방향을 봉제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충전솜으로서 저융점 섬유를 사용하여 융착시킨 경면(硬綿)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특개평 5-137857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 있어서 가장 일반적인 충전물체는 세탁을 할 수 없고, 병원관계나 렌탈관계의 이불에는 부적합했다. 또한, 흡수성, 흡습성, 보온성, 경량화 및접어 갰을 때의 콤팩트성을 개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불어 넣기법의 충전물체나 융착 경면의 충전물체도 마찬가지로 세탁할 수 없고, 병원관계나 렌탈관계의 이불에는 부적합했다. 또한, 흡수성, 흡습성, 보온성, 경량화, 접어 갰을 때의 콤팩트성 등을 개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탄발성이 있고, 세탁도 가능하고, 게다가 흡수성, 흡습성, 보온성, 경량화, 접어 갰을 때의 콤팩트성 등의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는 다층구조 충전물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층구조 충전물체는, 가장자리천의 내부에 안솜체가 충전된 충전물체이며, 상기 안솜체는 베이스천과 섬유웨브가 일체화된 박층의 섬유시트가 다수층 적층된 구조이며, 상기 베이스천과 섬유웨브의 일체화가 베이스천과 섬유웨브의 섬유끼리의 교락(交絡)이며, 상기 베이스천이 부직포, 직물 및 편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백이고, 섬유웨브가 단섬유 카드웨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천과 섬유웨브의 일체화가 상기 베이스천과 섬유웨브의 섬유끼리의 교락(交絡)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교락은, 예컨대 니들펀치(needle punch) 처리나 워터니들(water needle) 처리 등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베이스천이 부직포, 직물 및 편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백(布帛)이고, 상기 섬유웨브가 단섬유 카드웨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로서는 스프레이 파이버(spray fiber)법 부직포, 스판본드(span bond)법 부직포, 스판레이스(span lace)법 부직포, 스판플리스(span fleece)법 부직포, 플래시(flash) 방사법(紡絲法) 부직포, 멜트블로(melt blow)법 부직포, 버스트 파이버(burst fiber)법 부직포, 필름스플리트(film split)법 부직포, 니들펀치(needle punch)법 부직포, 워터제트펀치(water jet punch)법 부직포, 케미컬 본드법 부직포, 스티치본드법 부직포, 더멀본드법 부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직물로서는, 예컨대 태피터(taffeta)를 사용할 수 있고, 편물로서는 안뜨기, 겉뜨기 등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베이스천과 섬유웨브가 일체화된 박층 섬유시트의 두께가 무하중상태에서 0.5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베이스천의 단위무게는 10 내지 100g/㎡ 정도이고, 섬유웨브의 단위무게는 50 내지 200g/㎡ 정도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침구용 요의 경우 상기 섬유시트는 10 내지 20층 정도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침대패드의 경우 상기 섬유시트는 3 내지 10층 정도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불의 경우 상기 섬유시트는 3 내지 7층 정도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쿠션체, 방석, 의자방석, 베개 등의 경우는 두께에 따라 임의 적층수로 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섬유시트가 다수층 적층된 안솜체 자체 또는 상기 안솜체와 상기 가장자리천이 일체로서 두께 방향으로 실에 의해 봉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적층의 층 붕괴나 형상붕괴를 방지함과 더불어 내세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봉제는 재래식 시침이나 누비질기(quilting) 등의 시침방식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충전물체가 요, 침대패드, 이불, 쿠션체, 방석, 의자방석 및 베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쿠션체로서는 응접세트의 위에 사용되는 쿠션체 이외에 자동차나 차량의 시트, 응접세트의 이자 자체내에 충전되는 충전물체 등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다층구조 적층체의 내부로 쿠션체를 존재시켜도 좋다.
더욱이,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쿠션체가 이중 접결(接結) 파일(pile)포백, 수지네트 성형체, 수지발포체 및 융착고정 섬유성형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안솜체는 베이스천과 섬유웨브가 일체화된 박층의 섬유시트가 다수층 적층된 구조로 됨으로써, 탄발성이 있고, 세탁도 가능하고, 더욱이 흡수성, 흡습성, 보온성, 경량화, 접어 갰을 때의 콤팩트성 등의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는 각 섬유시트가 독립적으로 존재하여 각 섬유시트간의 펠트(felt)화가 발생하기 어렵고, 탄발성과 그 내구성이 우수하고, 또 형태 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세탁도 가능하다. 또한 각 섬유시트간에는 공기층이 존재하기 때문에 보온성이 우수하다. 박층의 섬유시트가 다수층 적층되어 있고, 각 섬유시트간에는 공기층이 존재하기 때문에, 전체의 중량이 가볍고, 접어 갰을 때의 콤팩트화가 도모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베이스천과 섬유웨브와 섬유시트의 원료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성, 흡습성, 방습성, 방취성, 소취성(消臭性), 방균방미성(防菌防微性) 또한 난연성(難燃性) 등도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천을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섬유로 하고, 섬유웨브를 목면이나 양모, 캐시미어천, 견사 등의 천연섬유로 하기로 하고, 다수층 적층된 중앙부분의 층에는 흡수성, 흡습성 섬유시트를 배치시키고, 인체에 접촉하는 부분층에는 소수성(疎水性) 섬유시트를 배치시킬 수도 있다. 물론,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요로서, 인체에 접하는 측에 천연섬유를 배치하고, 내부에 합성섬유를 배치해도 된다.
상기에 있어서, 베이스천과 섬유웨브의 일체화가 베이스천과 섬유웨브의 섬유끼리의 교락이면, 베이스천과 섬유웨브의 강고한 일체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천이 부직포, 직물 및 편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백(布帛)이고, 상기 섬유웨브가 단섬유 카드웨브이면 값이 싼 충전물체로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천과 섬유웨브가 일체화된 박층의 섬유시트의 두께가 무하중상태에서 0.5 내지 5㎜이라면, 취급성도 충전물체의 물성의 점에서도 상태가 양호하게 된다.
또한, 섬유시트가 다수층 적층된 안솜체 자체, 또는 안솜체와 가장자리천이 일체이고, 두께 방향으로 실에 의해 봉제되어 있으면, 형태유지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충전물체가 요, 침대패드, 이불, 쿠션체, 방석, 의자방석 및 베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이면, 본 발명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층구조 적층체의 내부에 또 쿠션체를 존재시키게 되면, 탄발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구성에 있어서, 쿠션체가 이중 접결(接結) 파일 포백, 수지네트 성형체, 수지발포체 또는 융착고정 섬유성형체이면, 수면 중 발생하는 땀에 의한 습도를 외부로 보내는 작용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충전물체에 사용하는 베이스천과 섬유웨브가 일체화된 박층의 섬유시트의 단면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참조부호 1은 섬유시트, 2는 부직포 등의 베이스천, 3은 단섬유 카드웨브이다. 상기 베이스천(2)과 섬유웨브(3)는 니들펀치(needle punch) 장치의 교락 처리에 의해 섬유기리가 서로 교락 일체화되어 있다. 베이스천(2)으로서 폴리에스테르 스판본드(토우레사 제품 액스터, 단위무게 20g/㎡)를 사용하고, 단섬유 카드웨브로서 목면 웨브(단위무게 80g/㎡)를 사용하였다.
다음에, 제2도는 섬유시트(1)를 15매 포개고, 실(4)에 의해 수개소 두께방향을 재봉한 예이다. 상기 다층구조 충전물체(5)를 가장자리천(8) 내에 충전하여 요로 했다. 또한, 실(4)의 재봉부는 다층구조 충전물체(5)만의 부분으로 형성하여도 좋고, 다층구조 충전물체(5)와 가장자리천(8)을 일체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요의 안솜체 중량은 단일의 이불에서 약 3㎏이었다. 상기 요를 실제로 3개월간 착용시험을 한 바, 탄발성이 높아 가라앉지 않게 되었다. 이것은 베이스천(2)이 섬유웨브(3)에 비해 섬유밀도가 높고, 또 섬유시트(1)가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여 각 섬유시트(1)간의 펠트화가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각 섬유시트(1) 간에는 공기층이 존재하기 때문에 보온성이 우수하였다. 더욱이, 박층의 섬유시트가 다수층 적층되어 있고, 각 섬유시트간에는 공기층이 존재하기 때문에, 전체의 중량은 가볍고, 접어 갰을 때의 콤팩트화가 도모될 수 있었다. 또한, 세탁을 반복하여도 형태가 붕괴되지 않았다. 더욱이, 섬유웨브(3)로서 목면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흡수, 흡습성에도 우수하였다.
또한, 단섬유 카드웨브(3)로서, 양모를 이용하여 마찬가지로 요를 작성하였지만, 목면과 마찬가지로 우수한 것이 얻어졌다. 이 경우, 인체와 접촉하는 측에 양모를 사용한 시트를 배치하고, 내부에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한 시트를 배치하면, 흡습성과 흡수성과 보온성이 더욱 우수한 요가 얻어졌다.
또, 종래법의 단일 요의 안솜체 중량은 목면의 경우 약 4.5 내지 6.0㎏,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사용의 경우 약 4.0 내지 4.5㎏이었다.
[실시예 2]
제3도는 다른 실시예의 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섬유시트(1)로서 통상의 폭의 시트를 사용하는 외에, 내부에 부분적으로 폭이 좁은 섬유시트를 배치한다. 예를 들면, 단일 요에서는 약 90㎝ 폭의 섬유시트(1)의 적층체의 내부에, 약 70㎝ 폭 정도의 섬유시트를 소정 층 삽입한다. 이와 같이하면, 이른바, 팥소형 형상의 요로 되어 외관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더욱 탄발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실시예 3]
다음에, 제4도는 다층구조 적층체(6)의 내부에 또 쿠션체(7)를 존재시킨 요의 예이다. 쿠션체로서는 이중접결 파일포백, 수지네트 성형체, 수지발포체, 또는 융착고정 섬유성형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쿠션체(7)를 존재시킨 만큼, 다층구조 적층체(6)의 두께를 제2도에 비해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쿠션체(7)를 사용하면, 수면 중 발생하는 땀에 의한 습도를 외부로 보내는 작용을 발휘할 수 있어 쾌적한 요로 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안솜체는 베이스천과 섬유웨브가 일체화된 박층의 섬유시트가 다수층 적층된 구조로 됨으로써, 탄발성이 있고, 세탁도 가능하욱이 흡수성, 흡습성, 방습성, 방취성, 소취성, 방균방미성, 난연성, 보온성, 경량성, 접어 갰을 때의 콤팩트성 등의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베이스천과 섬유웨브의 일체화가 베이스천과 섬유웨브의 섬유끼리의 교락이면, 베이스천과 섬유웨브의 강고한 일체화가 가능하다.
또한, 베이스천이 부직포, 직물 및 편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백이고, 섬유웨브가 단섬유 카드웨브이면, 값이 싼 충전물체로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천과 섬유웨브가 일체화된 박층의 섬유시트의 두께가 무하중상태에서 0.5 내지 5㎜이면, 취급성도 충전물체의 물성의 점에서도 상태가 양호하다.
또한, 섬유시트가 다수층 적층된 안솜체 자체 또는 안솜체와 가장자리천이 일체이고, 두께방향으로 실에 의해 봉제되어 있으면, 형태유지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충전물체가 요, 침대패드, 이불, 쿠션체, 방석, 의자방석, 베개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면, 본 발명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층구조 적층체의 내부에 또 쿠션체를 존재시키면 탄발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구성에 있어서 쿠션체가 이중접결 파일포백, 수지네트 성형체, 수지발포체, 또는 융착고정 섬유성형체이면, 수면 중 발생하는 땀에 의한 습도를 외부로
보내는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Claims (7)

  1. 가장자리천의 내부에 안솜체가 충전된 충전물체이며, 상기 안솜체는 베이스천과 섬유웨브가 일체화된 박층의 섬유시트가 다수층 적층된 구조이며, 상기 베이스천과 섬유웨브의 일체화가 베이스천과 섬유웨브의 섬유끼리의 교락(交絡)이며, 상기 베이스천이 부직포, 직물 및 편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백이고, 섬유웨브가 단섬유 카드웨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충전물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천과 섬유웨브가 일체화된 박층의 섬유시트의 두께가 무하중상태에서 0.5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충전물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시트가 다수층 적층된 안솜체 자체, 또는 상기 안솜체와 상기 가장자리천이 일체이고, 두께방향으로 실에 의해 봉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충전물체.
  4. 제1항에 있어서, 다층구조 적층체의 내부에 또 쿠션체를 존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충전물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체가 이중접결 파일포백과, 수지네트 성형체, 수지발포체 및 융착고정 섬유 형성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충전물체.
  6. 제1항에 있어서, 안솜체의 내부에 베이스천과 섬유웨브가 일체화된 박층의 섬유시트로 이루어지는 부분적으로 폭이 좁은 섬유시트를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충전물체.
  7. 가장자리천의 내부에 안솜체가 충전된 충전물체이며, 상기 안솜체는 베이스천과 섬유웨브가 일체화된 박층의 섬유시트가 다수층 적층된 구조이며, 상기 베이스천과 섬유웨브의 일체화가 베이스천과 섬유웨브의 섬유끼리의 교락이며, 상기 베이스천이 부직포, 직물 및 편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백이고, 섬유웨브가 단섬유 카드웨브이며, 충전물체가 요, 침대패드, 이불, 쿠션체, 방석, 의자방석 및 베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충전물체.
KR1019930027134A 1993-10-18 1993-12-10 다층구조 충전물체 KR01235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259567A JP2500846B2 (ja) 1993-10-18 1993-10-18 多層構造詰物体
JP93-259567 1993-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111A KR950011111A (ko) 1995-05-15
KR0123542B1 true KR0123542B1 (ko) 1997-11-20

Family

ID=17335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7134A KR0123542B1 (ko) 1993-10-18 1993-12-10 다층구조 충전물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500846B2 (ko)
KR (1) KR0123542B1 (ko)
CN (1) CN104296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58404A1 (fr) 1999-03-31 2000-10-05 Toyo Boseki Kabusiki Kaisya Materiau absorbant l'oxygene et objet moule a partir de ce materiau
KR100417731B1 (ko) * 2002-11-26 2004-02-14 (주)뉴크린-탑 극세사 편직물을 이용한 편물의 마감방법
WO2004101273A1 (ja) 2003-05-19 2004-11-25 Toyo Seikan Kaisha, Ltd. 包装用多層構造体
EP1655238B1 (en) 2003-08-14 2013-12-11 Toyo Seikan Kaisha, Ltd. Packaging container
CN101400840B (zh) * 2006-03-04 2011-08-24 卡尔.迈耶.马里莫纺织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用于制造多向织物幅面的方法
CN101906700A (zh) * 2010-07-01 2010-12-08 张延青 一种填充棉及其制作方法
KR101124413B1 (ko) * 2010-07-05 2012-03-20 동진침장 주식회사 표면에 요철주름 무늬가 형성되는 자연섬유 줄누비직포의 제조방법
JP5822289B2 (ja) * 2010-08-23 2015-11-24 倉敷紡績株式会社 詰め物体
CN103963361A (zh) * 2013-01-28 2014-08-06 李军 一种层垫的生产方法
CN105463701A (zh) * 2015-12-22 2016-04-06 安徽三宝棉纺针织投资有限公司 一种双优被填充物的加工工艺
CN105525435B (zh) * 2016-01-26 2018-06-19 浙江大彩绗缝制品有限公司 一种分层结构填充物及其制备方法
CN107411423A (zh) * 2017-06-26 2017-12-01 常熟市大发经编织造有限公司 手工席梦思床垫
JP7115827B2 (ja) 2017-07-26 2022-08-09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耐変色性に優れた樹脂成形体
CN109972332B (zh) * 2019-04-29 2021-10-26 广东溢达纺织有限公司 洗水载体及洗水方法
CN112064201A (zh) * 2020-08-14 2020-12-11 南通芯逸坊家居科技有限公司 一种纤维枕的熔喷成型工艺
KR20240008999A (ko) 2022-07-12 2024-01-22 디제이티 주식회사 세척조를 이용한 조리기능이 부가된 다목적 식기 세척기
KR20240009000A (ko) 2022-07-12 2024-01-22 디제이티 주식회사 세척조 덮개를 이용한 조리기능이 부가된 다목적 식기 세척기
KR20240008998A (ko) 2022-07-12 2024-01-22 디제이티 주식회사 가열조를 이용한 조리기능이 부가된 다목적 식기 세척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7857A (en) * 1974-09-28 1976-03-30 Tokyo Sheet Kk Suhookutoringuno yosetsuk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111A (ko) 1995-05-15
CN1112974A (zh) 1995-12-06
JPH07112503A (ja) 1995-05-02
JP2500846B2 (ja) 1996-05-29
CN1042961C (zh) 1999-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3542B1 (ko) 다층구조 충전물체
US10022000B2 (en) Fabric system
EP1204791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pacer fabrics
WO1994019996A1 (en) Mattress cover
KR101576843B1 (ko)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장섬유 부직포를 갖는 적층 천
CN104379028A (zh) 保暖毯
US20230115100A1 (en) Consumer goods made with pieces of verticaly lapped nonwoven
KR101073119B1 (ko)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퀼팅 포지
JP6792127B1 (ja) 中材布帛
AU2012202375B2 (en) Fabric system
KR100565973B1 (ko) 다층의 공기함유층을 가진 침장용포 및 방한복지
JP2007230086A (ja) 積層体およびクッション材
KR200191087Y1 (ko) 보온성을 갖는 직물구조
JP2005143567A (ja) 多層式の敷布団、敷パッド又はベッド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005094A (ja) 浴用タオル
JPH0542819Y2 (ko)
JP3097602U (ja) 寝具
JP3129646U (ja) 多層構造の寝具
JPH09276110A (ja) 2層式羽毛布団
JP3098707B2 (ja) 積層構造詰物体
JP2005179808A (ja) 立体構造編地
TWM617584U (zh) 阻擋過敏原織物結構及包含該結構的寢具包覆物
JP2002325657A (ja) 多層クッション材
JP2000316702A (ja) 立毛状敷物材
JPH11206520A (ja) 並キルト二層構造羽毛掛け布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