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321Y1 - 고기 구이판 - Google Patents
고기 구이판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21321Y1 KR0121321Y1 KR2019950006735U KR19950006735U KR0121321Y1 KR 0121321 Y1 KR0121321 Y1 KR 0121321Y1 KR 2019950006735 U KR2019950006735 U KR 2019950006735U KR 19950006735 U KR19950006735 U KR 19950006735U KR 0121321 Y1 KR0121321 Y1 KR 012132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at
- concave portion
- heating plate
- grill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면이 복수개의 평행한 요철형상으로 되는 상부홈으로 적당한 양의 물이 담겨지도록 하고, 그 위로 상부 홈간 간격보다 직경을 작게 한 다수개의 살을 일체로 형성한 그릴이 얹혀지도록 하므로서 고기를 익히는 열효율을 향상되도록 하면서 판면에서 고기가 타거나 늘러붙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고기 구이판에 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외주벽면의 안쪽을 계단형상이 되도록 절곡시켜 안치면을 형성하고, 복수개의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상부 요입부로는 물을 수장하며, 하부 요입부로는 화염을 수용하도록 바닥면의 단면이 요철형상으로 되는 가열판과; 상기 가열판의 안치면상에 얹혀지는 테두리부를 가지며, 상기 상부 요입부의 개구부를 덮되 상기 상부 요입부의 폭보다 작은 다수개의 살이 격자형으로 상기 테두리부에 일체로 형성된 그릴과로 이루어진 것이며,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은 사용에 따른 편리함과 경제성을 동시에 부여하게 되는 동시에 고기가 잘 타지 않으면서도 알맞게 익을 수 있도록 하여 식욕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지나친 냄새나 연기를 충분히 중화시켜 쾌적한 분위기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깨끗한 조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고안의 명칭}
고기 구이판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기 구이판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절결 확대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구성에 기름 유출구를 형성시킨 상태를 보인 저면 일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가열판11:외주벽면
12:안치면13:돌출부
14:상부 요입부15:재치면
16:하부 요입부17:기름 유출공
20:그릴21:테두리부
22:살
[고안의 상세한 설명}
본 고안은 단면이 복수개의 평행한 요철형상으로 되는 상부홈으로 적당한 양의 물이 담겨지도록 하고, 그 위로 상부 홈간 간격보다 직경을 작게 한 다수개의 살을 일체로 형성한 그릴이 얹혀지도록 하므로서 고기를 익히는 열효율을 향상되도록 하면서 판면에서 고기가 타거나 늘러붙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고기 구이판에 대한 것이다.
고기를 굽기 위하여 사용하는 구이판은 대부분 가운데부분을 상방으로 만곡지게 형성하고, 굽는 바닥면에는 평행하게 다수개의 긴 장공을 형성시켜서 되는 것과 고기가 올려지는 평판에 알루미늄 호일 등을 깔고 고기를 굽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이판들은 열이 가해지는 저면이 단순히 평판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열의 소모량이 많아 열효율이 좋지 못하고, 판상에서 고기가 제대로 익기도 전에 타는 경향이 있어 후자와 같은 경우에는 알루미늄 호일을 수시로 갈아 사용하기도 하지만 호일의 소모가 너무 많기 때문에 이중으로 비용이 지출되는 부담이 있으며, 특히 상기 알루미늄 효일과 같은 쓰레기는 잘 썩지 않는 것이므로 자연환경보존 측면에서도 사용을 억제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또한 고기가 익으면서 생기는 기름은 하부의 화로나 휴지 등으로 제거토록 하는 일이 대부분이므로 냄새를 더욱 악화시키거나 휴지가 다량으로 소모되고 있으며, 이렇게 기름이 빠진 고기는 수분이 제거된 마른 상태가 되어 잘 타기도 하지만 고기가 퍽퍽해져 섭취감이 좋지 못한 상태가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구이판들로 고기를 굽게 되면 연기가 매우 심하게 발생하게 되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고기굽는 냄새가 몹시 심하게 발생되어 도리어 식욕을 해치게되는 문제도 있는 것이다.
한편 일부에서는 전기한 구이판의 저부에 화로를 설치하되 상기 고기판과 화로 사이의 측방으로는 수조가 설치되도록 하여 물이 담겨지게 하므로서 화로의 열에 의해 고기가 구워지면서 동시에 구이판으로부터 떨어지는 기름과 미세한 찌끼거들이 수조내로 담겨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있으나, 이와 같은 시설은 고기가 마르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화로로부터 구이판에 이르는 거리가 멀어 그만큼 열소모량이 많아지게 되며, 여전히 연기가 많이 발생하게 되고, 설비비용과 유지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비경제적인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시킨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고기가 얹혀지는 구이판의 저면을 요입되도록 하여 열손실을 최대한 방지시키므로서 열효율이 향상되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고기가 얹혀지는 면의 양측홈으로 물이 적당히 채워지도록 하여 고기가 구워짐과 동시에 바로 그 밑에서 물이 데워지면서 수증기를 발생시키도록 하여 고기가 말라서 딱딱해지거나 타는 것을 방지토록 하고, 냄새와 연기가 중화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물이 채워지는 구이판의 일측 상부로 기름 유출공을 천공시켜 물 위로 떨어진 기름이 유출공을 통해 자동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제2도는 본 고안의 가열판과 그릴(Grille)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외주벽면(11)이 안쪽으로 계단형상이 되도록 절곡시킨 구성인 가열판(10)과 상기 가열판(10)의 절곡된 상부면으로 테두리부(21)가 얹혀지도록 하는 그릴(20)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 특징이다.
상기 가열판(10)은 상기 그릴(20)이 안치되는 안치면(12)을 제공하는 외에도 안쪽 바닥면을 상부로 돌출시켜 다수개의 요철형상이 되도록 하되 각 요입부(14)와 돌출부(13)는 양측으로 평행하게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외주벽면(11)과의 연접되는 바닥면은 요입되도록 하여서 형성시킨 구성이다.
즉 상기 돌출부(13)는 외주벽면(11)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일측방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돌출부(13)간 상부 요입부(14)로는 물이 일정높이까지 채워질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다.
그리고 외주벽면(11)의 안쪽으로 절곡되는 내측의 수평면은 그릴(20)의 안치면(12)으로서, 상기 안치면(12)의 바깥측면은 상기 가열판(10)이 화로 상부로 재치될 수 있도록 하는 재치면(15)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상기 그릴(20)은 상기 가열판(10)의 상부로 얹혀지는 부분으로서, 일측방으로 평행하게 나열된 다수개의 살(22)들이 테두리부(21)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양단부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한 형상이며, 상기 테두리부(21)는 상기 가열판(10)의 안치면(12)에 걸쳐지고, 상기 다수개의 살(22)들은 가열판(10)의 상부 요입부(14)의 개구부를 덮되 상기 상부 요입부(14)의 폭보다 작은 직경 또는 폭으로서 상기 상부 요입부(14)과 동일한 갯수로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열판(10)의 안치면(12)은 돌출부(13)의 높이보다 더 높지 않도록 하여서 형성하는 것이 좋은데 이는 상기 안치면(12)에 얹혀지는 그릴(20)의 테두리부(21)와 살(22)들이 상기 돌출부(13) 상면보다 지나치게 높아지게 되면 고기가 수평상태로 얹혀지지 못하게 되므로 고기를 굽는데 불편을 겪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가열판(10)과 그릴(20)의 전체 외주형상은 제1도에서와 같이 장방형으로 할 수도 있으나, 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상으로도 실시가 가능하며, 특히 상기 그릴(20)의 테두리부(21)와 각 살(22)들의 단면도 사각형 또는 원형의 봉으로서 형성할 수가 있으며, 재질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로서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가열판(10)의 안치면(12) 직하부면으로는 작은 구멍의 기름 유출공(17)을 천공시키도록 하는 것이 좋은바, 이때 상기 유출공(17)은 가열판(10)이 장방형인 경우에는 도면 제4도에서와 같이 그 모서리측으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가열판(10)의 양측으로는 상기 가열판(10)의 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18)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보다 좋다.
이하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사용방법 및 그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가장 밑쪽에 화로를 구비시키고, 적당한 높이에서 그 위로 가열판(10)이 얹혀지도록 한 후 상기 가열판(10)의 상부 요입부(14)로 적당하게 물을 붓고, 다시 상기 가열판(10)의 안치면(12)으로 테두리부(21)가 얹혀지도록 하여 그릴(20)이 안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가열판(10)을 달구게 되면 상기 가열판(10)의 저면에 형성된 저면 요입부(16)로 열기가 모여 상부의 돌출부(13)를 더욱 가열시키게 됨과 동시에 상부 요입부(14)내의 물을 보다 빠르게 가열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렇게 가열되는 가열판(10)에 의해서 상부에 얹혀진 그릴(20)도 가열되어 그 위로 얹혀지는 고기를 익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가열되는 본 고안에 의해 익혀지게 되는 고기로부터는 당연히 기름과 연기 및 냄새가 생기게 되나 상기의 기름은 가열판(10)의 돌출부(13)와 상기 돌출부(13)의 간격보다 작은 두께로 되는 그릴(20)의 살(22) 사이로 흘러내도록 하므로서 상부 요입부(14)내의 물에 유도되게 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연기와 냄새는 상부 요입부(14)내의 물이 가열되면서 발생시키게 되는 수증기에 의해 중화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수증기의 발생으로 고기에서 기름이 빠져나가므로서 건조해지는 고기에 습기를 제공하게 되므로 고기는 가열판(10)에 붙게되거나 타게 되는 일이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가열판(10)의 상부 요입부(14)로 흘러내린 기름은 도면 제4도에서와 같은 기름 유출공(17)을 통해 유출되어 그 밑에 미리 받쳐둔 용기에 회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름이 기름 유출공(17)으로 유출될 수 있게 되는 까닭은 기름과 물이 성질상 혼합이 될 수가 없기 때문에 물위로 흘러내린 기름은 물 위에서 어느정도의 두께로 기름층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며, 이렇게 쌓이게 되는 기름층이 기름 유출공(17)의 하단부보다 높아지게 되므로서 높아진 만큼의 기름이 유출되는 원리에 기인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회수된 기름은 폐식용수와 함께 모아서 별도로 버리기만 하면 되므로 여기저기에 기름이 묻게 되는 일이 사라지게 되므로 관리가 용이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을 사용시 종래에서와 같은 고기가 타거나 판상에 늘러붙게 되는 일이 없어지게 되므로 양질의 잘 익은 고기를 제공받을 수가 있으며, 지나친 냄새와 연기에 의한 식용상실 등의 폐단이 개선되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사용에 따른 편리함과 경제성을 동시에 부여하게 되는 동시에 고기가 잘 타지 않으면서도 알맞게 익을 수 있도록 하여 식욕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지나친 냄새나 연기를 충분히 중화시켜 쾌적한 분위기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깨끗한 조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 외주벽면의 안쪽에 그릴(20)을 안치시킬 수 있는 안치면(12)이 형성되고 상부 요입부(14)에 물을 채워줄 수 있도록 한 가열판(10)에 있어서, 상기 가열판의 상부 요입부(14) 자체를 요철상으로 형성하여 상측으로는 일정간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돌출부(13)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저면에는 열기가 머물 수 있는 하부 요입부(16)가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06735U KR0121321Y1 (ko) | 1995-04-06 | 1995-04-06 | 고기 구이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06735U KR0121321Y1 (ko) | 1995-04-06 | 1995-04-06 | 고기 구이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33459U KR960033459U (ko) | 1996-11-19 |
KR0121321Y1 true KR0121321Y1 (ko) | 1998-07-01 |
Family
ID=19410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50006735U KR0121321Y1 (ko) | 1995-04-06 | 1995-04-06 | 고기 구이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21321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8598B1 (ko) * | 2004-12-17 | 2006-09-08 | 임근성 | 가열기구 위에 올려 놓는 불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
1995
- 1995-04-06 KR KR2019950006735U patent/KR012132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33459U (ko) | 1996-1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09151A (en) | Barbecuing protective food support | |
KR101060025B1 (ko) | 고기구이 불판 | |
KR0121321Y1 (ko) | 고기 구이판 | |
EP1444937A1 (en) | Grill unit and cooking apparatus with the same | |
KR20090086679A (ko) | 직화구이 석쇠 및 이를 이용한 직화구이기 | |
KR200404452Y1 (ko) | 측면 구이틀 | |
KR20160112425A (ko) |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 |
KR200437645Y1 (ko) | 바베큐 구이기 | |
KR101292351B1 (ko) | 간접 가열식 구이기 | |
KR200320473Y1 (ko) | 승하강식 2중 고기구이판 | |
KR960002359Y1 (ko) | 구이판 | |
KR19990007621A (ko) | 이물질 받이를 구비한 숯불 구이판 | |
US7247824B1 (en) | Disposable utensil for cooking, warming, and heating articles | |
KR200385600Y1 (ko) | 이중석쇠 | |
KR200425481Y1 (ko) | 전기 구이기 | |
KR20090006431U (ko) | 육류조리용 불판 | |
KR101748088B1 (ko) | 친환경 숯 내장 한지 구이판 및 이에 사용되는 프라이팬 | |
KR100690401B1 (ko) |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 | |
KR200414163Y1 (ko) | 구이용 보조 수납용기 | |
KR100368455B1 (ko) | 가열통이 내장된 남비 | |
US2088074A (en) | Cooking utensil | |
KR100466097B1 (ko) | 오리구이장치 | |
KR100972599B1 (ko) | 저수부에 의한 스팀 토출형 구이판 | |
JP3038527U (ja) | ガスバーベキューグリル | |
KR200339850Y1 (ko) | 구이통이 내장된 회전구이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