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321B1 - 제진 합금 - Google Patents

제진 합금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321B1
KR0121321B1 KR1019930702517A KR930702517A KR0121321B1 KR 0121321 B1 KR0121321 B1 KR 0121321B1 KR 1019930702517 A KR1019930702517 A KR 1019930702517A KR 930702517 A KR930702517 A KR 930702517A KR 0121321 B1 KR0121321 B1 KR 0121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oy
weight
iron
vibration damping
d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2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3475A (ko
Inventor
사토시 와타나베
겐조 미우라
도시노부 오카쿠
히토시 오카모토
요이치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호시노 지로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노 지로,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노 지로
Publication of KR930703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3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3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탁월한 제진 특성, 고강도, 가동성 및 용접성을 갖는 제진 합금은 금속, 니켈 및 망간의 비율을 도시하는 삼각형 선도내에서 점 A(금속중량 89%, 니켈중량 0.2%, 망간중량 10.8)%, 점 B(금속중량 75%, 니켈중량 15%, 망간중량 10%), 및 점 C(금속중량 75%, 니켈중량 0.2%, 망간중량 24.8%)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삼각형에 의해 정의되는 합성을 구비한다. 금속(M)은 철과 실리콘, 철과 인, 철과 알루미늄, 철, 니오브 및 탄소, 철과 구리, 철, 몰리브덴 및 탄소 또는 철, 티타늄 및 탄소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제진 합금
제1도는 M, Ni 및 Mn의 조성을 나타내는 삼성분계 도표이다.
본 발명은 제진 합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쌍정 이동과 적층 결함(stacking fault)의 가탄성거동(pseudo-elastic behavior)에 의존하고, 강도, 가공성 및 용접성이 우수하며 저렴하고 다양한 구조적 용도에 적합한 제진 합금과 관련된다
기술의 배경
외부 진동원으로부터 진동을 흡수하고, 그 흡수된 진동을 신속히 감소시키는 제진 합금은, 예컨대 진동의 전달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의 방지를 목적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실용화하기 위한 연구가 행해져왔다.
상기 제진 합금은 이들의 제진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아래에 열거하는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1) 연성 강자성 합금
(2) 열탄성적 마르텐사이트 합금
(3) 알루미늄-아연 합금
(4) 가타성 거동(擧動)에 의존하는 합금
상기 (1)에 기재된 합금은 내부 응력이 존재시에는 진동을 제거할 수 없으므로, 그 응용 범위에 제약이있다. 상기 (2)에 기재된 합금 역시 작업성이 너무 낮고 실제 사용시 비용이 고가이다. 상기 (3)에 기재된 합금은 강도가 너무 낮기 때문에 구조 재료로서 충분한 내구성이 없다. 상기 (4)에 기재된 합금은 상기 결점들이 없는 재료로서, 개발되어 있다. 적층 결함의 가탄성 거동에 의존하는 제진 합금은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162746/1989호에 제안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니켈 함량이 10 내지 30%인 오스테나이트 구조를 갖는 Fe-Ni-Mn 또는 Fe-Ni-Cr 합금을 제진 합금의 예로서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합금의 강도는 단지 SUS 304 스테인레스강의 강도 정도 밖에 높지 않으므로, 이들 합금의 제진 특성을 저하시키는 일이없이 이들의 강도를 개선시키는 일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제진 합금은, 상기 합금에 이것의 고용(固溶) 강화를 돕는 Si 및 P와, 석출 경화를 돕는 Cu, Al, Ti, Nb, Be, N 및 B와 같은 원소들 중에서 선발되는 1종 이상의 소량의 원소를 상기 합금에 첨가함으로써, 제진 특성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이 상기 합금들 중의 하나의 합금의 강도를 개선하기 위한 합금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쌍정 이동과 적층 결함의 가탄성 거동에 의존하며, 강도와 가공성 및 용접성이 우수하고 저렴하며 다양한 구조 부재 또는 재료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고강도의 제진 합금을 제공하기위 한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제진 합금은 M, Ni의 Mn의 조성을 도시하는 삼성분계(三成分系) 도표내의 접 A(M 80중량%, Ni 0.2중량%, Mn 10.8중량%), 점 B(M 75중량%, Ni 15중량%, Mn 10중량%) 및 점 C(M 75중량% Ni 0.2중량%, Mn 24.8중량%)를 연결할때 생기는 삼각형에 의해 설정되는 조성을 갖는 M-Ni-Mn의 합금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합금은 M 성분이 Fe 및 Si일때 얻게 되는 Fe, Ni, Mn 및 Si으로 이루어지는 사원계 합금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합금은, 진술한 M-Ni-Mn 합금에 있어서 M 성분이 Fe 및 P일때 얻게 되는 Fe, Ni, Mn 및 P로 이루어진 사원계 합금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합금은, 전술한 M-Ni-Mn 합금에 있어서, M성분이 Fe 및 Al일때 얻게되는 Fe, Ni, Mn 및 Al로 이루어진 사원계 합금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합금은, 전술한 M-Ni-Mn 합금에 있어서 M 성분이 Fe, Nb 및 C일때 얻게 되는 Fe, Ni, Mn, Nb 및 C로 이루어진 오원계 합금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합금은, 전술한 M-Ni-Mn 합금에 있어서 M 성분이 Fe 및 Cu일때 얻게되는 Fe, Ni, Mn 및 Cu로 이루어진 사원계 합금이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합금은, 전술한 M-Ni-Mn 합금에 있어서 M 성분이 Fe, Mo 및 C일때 얻게 되는 Fe, Ni, Mn, Mo 및 C로 이루어진 오원계 합금이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합금은, 상기 M-Ni-Mn 합금에 있어서 M 성분이 Fe, Ti 및 C일때 얻게되는 Fe, Ni, Mn, Ti 및 C로 이루어진 오원계 합금이다.
본 발명의 제진 합금은, 아래의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M, Ni 및 Mn의 비율을 정하는 점 A∼C에 의해 형성되고 빗금 부분으로 표시된, 제1도의 삼성분계 도표 중의 빗금 구역 내의 범위에 드는 조성으로 이루어진다.
[표 1]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합금은 M 성분으로서 Fe 및 Si을 함유하고, 제2실시예에 따른 합금은 M성분으로서 Fe 및 P을 함유하며, 제3실시예에 따른 합금은 M 성분으로서 Fe 및 AL을 함유하며, 제4실시예에 따른 합금은 M 성분으로서 Fe, Nb 및 C를 함유하며, 제5실시예에 따른 합금은 M 성분으로서 Fe 및 Cu를 함유하며, 제6실시예에 따른 합금은 M 성분으로서 Fe, Mo 및 C를 제7실시예에 따른 합금은 M 성분으로서 Fe, Ti 및 C를 함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l∼제7실시예에 따른 각 제진 합금은 Si, P, Al, Nb, C, Cu, Mo 및 Ti(이하 첨가원소라고 부른다.)으로부터 선발되는 합금의 석출 경화용 원소들의 소량을 Fe-Ni-Mn 합금에 첨가함으로써 제진 특성을 지하시키는 일이 없이 그의 내산화성과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진 합금은 그 제진 기능이 그 구조 내에서 일어나는 쌍정이동 및 적층 결함의 가탄성거동에 의존한다. 이러한 유형의 제진 합금에 있어서, 만약 적층 결함의 에너지 수준이 매우 낮은 경우, 그 결함은 그 결정체 내에서 크게 전개되고, 가탄성 거동을 나타내는 진동 응력 수준은 높아지게 되므로, 합금은 그 응력에 용이하게 대응하지 못한다. 적층 결함의 에너지 수준이 너무 높을 경우에는, 적층 결함은 만족스런 제진 작용을 할 수 있을 만큼 전게되지 못한다. 에너지도 역시 쌍정 이동에 의해 흡수된다.
제1도중의 점 A, B 및 C에 의해 형성되는 삼각형에 의해 구획되는 조성으로 되는 M-Ni-Mn 합금은 적절한 에너지 수준과 쌍정 이동을 갖는 적층 결함이 가탄성 거동 덕택에 만족스런 제진 작용을 나타내게 된다.
아래에 나타낸 표 2는 본 발명의 제1∼제7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합금 내에서 M으로 표시되는 첨가 원소의 적당한 비율을 보여주고 있다. 첨가 원소의 비율이 표 2에 나타낸 범위 보다 낮을때에는 합금은 만족스런 강도와 내산화성을 갖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범위 보다 높을때에는 합금은 제진 특성이 낮아지게된다.
[표 2]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이하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표 3에 나타낸 조성의 M-Ni-Mn 합금의 제진 특성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제진 합금은 탁월한 제진 특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
표 3에 도시된 조성의 M-Ni-Mn 합금들은 인장 강도가 60㎏/mm2이상이고, 연신율이 35% 이상이라는 것이 판명되었다.
[ 표 3]
산업상 이용성
본 발명은 적층 결함의 가탄성 거동에 의존하여 높은 제진 특성을 나타내며, 강도, 가공성, 용접성이 우수하며 저렴하고,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구조 부재 또는 재료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고성능의 M(Fe 및 특정의 첨가 원소들)-Ni-Mn계 제진 합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진 합금은 사용 형식에 제한이 없고, 광범위한 구조 부재 또는 재료를 제조하는데 사용 가능하고, 주물을 주조하는 데에도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이 합금은 내부 응력의 작용하에서도 양호한 제진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진 합금은 산업상 이용성이 매우 높다.

Claims (4)

  1. 제진 특성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이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합금으로, 주성분이 Ni 0.2∼1.5중량%, Mn 10∼24.8중량%, Nb 0.01∼5.0중량%, C 0.01∼2.0중량% 및 Fe 잔부인 조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오원계 제진 합금.
  2. 제1항에 있어서, C : Nb의 중량비는 1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원계 제진 합금.
  3. 제진 특성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이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합금으로, 구성분이 Ni 0.2∼1.5중량%, Mn 10∼24.8중량%, Ti 0.01∼5.0중량%, C 0.01∼2.0중량% 및 Fe 잔부인 조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원계 제진 합금.
  4. 제3항에 있어서, C : Ti의 중량비는 1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원계 제진 합금.
KR1019930702517A 1991-12-26 1991-12-26 제진 합금 KR0121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1/001770 WO1993013234A1 (en) 1991-12-26 1991-12-26 Damping allo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3475A KR930703475A (ko) 1993-11-30
KR0121321B1 true KR0121321B1 (ko) 1997-12-04

Family

ID=14014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2517A KR0121321B1 (ko) 1991-12-26 1991-12-26 제진 합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380483A (ko)
EP (1) EP0574582B1 (ko)
KR (1) KR0121321B1 (ko)
DE (1) DE69129157T2 (ko)
WO (1) WO19930132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422504D0 (en) * 1994-11-08 1995-01-04 Robertson Patricia M B Blood testing
WO2000060616A1 (en) * 1999-04-06 2000-10-12 Crs Holdings, Inc. Workable, semi-hard magnetic alloy with small magnetostriction and article made therefrom
KR100430967B1 (ko) * 2001-12-19 2004-05-12 주식회사 우진 내식·내후성이 우수한 철-망간계 진동감쇠합금강
JP2003277827A (ja) * 2002-03-20 2003-10-02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NbC添加Fe−Mn−Si系形状記憶合金の加工熱処理方法
JP5003785B2 (ja) * 2010-03-30 2012-08-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延性に優れた高張力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308424B2 (ja) * 2014-02-28 2018-04-11 株式会社日本製鋼所 Fe基制振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Fe基制振合金材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9057A (en) * 1952-10-24 1956-03-20 Crucible Steel Co America Alloy steel of high expansion coefficient
US3330651A (en) * 1965-02-01 1967-07-11 Latrobe Steel Co Ferrous alloys
JPS51139518A (en) * 1975-05-29 1976-12-01 Res Inst Electric Magnetic Alloys Silent alloy
JPS5930783B2 (ja) * 1975-05-19 1984-07-28 (財) 電気磁気材料研究所 吸振合金
US4009025A (en) * 1976-03-05 1977-02-22 Crucible Inc. Low permeability, nonmagnetic alloy steel
JPS56163241A (en) * 1981-04-20 1981-12-15 Res Inst Electric Magnetic Alloys Damping alloy
JPS5794558A (en) * 1981-10-08 1982-06-12 Res Inst Electric Magnetic Alloys Damping alloy and its manufacture
AT377287B (de) * 1982-04-13 1985-02-25 Ver Edelstahlwerke Ag Kaltverfestigender austenitischer manganhartstah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JPH01162746A (ja) * 1987-12-18 1989-06-27 Satoshi Watanabe 制振合金
US5069871A (en) * 1989-11-08 1991-12-03 Esco Corporation Method of using an austenitic steel alloy as a wear part subject to gouging abrasion type metal lo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74582A4 (ko) 1994-04-06
DE69129157T2 (de) 1998-11-05
EP0574582B1 (en) 1998-03-25
KR930703475A (ko) 1993-11-30
US5380483A (en) 1995-01-10
DE69129157D1 (de) 1998-04-30
EP0574582A1 (en) 1993-12-22
WO1993013234A1 (en) 199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6636A (en) Two-phase high damping capacity F3-Mn-Al-C based alloy
EP0545753A1 (en) Duplex stainless steel having improved strength and corrosion resistance
KR0121321B1 (ko) 제진 합금
US3854937A (en) Pitting corrosion resistant austenite stainless steel
JP2536255B2 (ja) 制振合金
JPH03158437A (ja) 耐濃硫酸腐食性に優れた二相ステンレス鋼
JP2867641B2 (ja) 制振合金
JP2607594B2 (ja) Cr−Mo系低合金鋼用被覆アーク溶接棒
JP2867640B2 (ja) 制振合金
JP4018021B2 (ja) 冷間伸線加工性と耐食性に優れる非磁性の硫黄快削ステンレス鋼線材
JP2536256B2 (ja) 高強度制振合金
JP2921025B2 (ja) 制振合金
JPH0215148A (ja) 耐食性に優れた高Mn非磁性鋼
US5173254A (en) Steel having excellent vibration-dampening properties and weldability
JP3598364B2 (ja) ステンレス鋼
JP2867639B2 (ja) 制振合金
JPH0711061B2 (ja) 冷間鍛造用電磁ステンレス鋼
JPH01283341A (ja) ニッケル−銅系防振鋳鉄
JPH04232228A (ja) Fe−Mn系振動減衰合金鋼とその製造方法
JPS63210256A (ja) 振動減衰能が大きいオ−ステナイト鋳鉄
GB2205854A (en) Erosion resistant alloys
JP2792364B2 (ja) 高強度、高靭性制振合金
JPH01195258A (ja) 振動減衰能が大きいオーステナイト鋳鉄
JPH06271995A (ja) 低クロム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S582262B2 (ja) 振動減衰特性の優れた構造用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