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426Y1 - 자동차용 보조타이어 보관함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보조타이어 보관함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426Y1
KR0120426Y1 KR2019940005684U KR19940005684U KR0120426Y1 KR 0120426 Y1 KR0120426 Y1 KR 0120426Y1 KR 2019940005684 U KR2019940005684 U KR 2019940005684U KR 19940005684 U KR19940005684 U KR 19940005684U KR 0120426 Y1 KR0120426 Y1 KR 01204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auxiliary tire
press
trunk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56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7335U (ko
Inventor
임재찬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056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426Y1/ko
Publication of KR9500273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73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4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4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6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 B62D43/1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and arrang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보조타이어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트렁크 저면을 활용하여 보조타이어 보관함을 설치하되, 보관함에 개폐가 용이한 잠금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운행시 진동으로 인한 소음 및 보조타이어의 마멸이나 파손의 우려를 없애는 한편, 트렁크의 저면에 보관함을 설치함으로써, 트렁크의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보조타이어 보관함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보조타이어 보관함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타이어 보관함의 전체 단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바닥판 2:덮개
3:힌지 4:잠금장치
5:리벳 6:지지대
7-1,7-2:스프링 8,8-1:압입작동부재
9:걸쇠 10:걸림부재
11:깔개 12:타이어
본 고안은 자동차용 보조타이어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함의 덮개를 편리하게 개폐함으로써, 보조타이어의 안정성과 보관성 및 공간활용성을 제고시킨 자동차용 보조타이어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조타이어를 보관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보조타이어를 단순히 자동차의 트렁크에 넣어두거나, 혹은 보관함에 넣어 보관할 때에도 잠금장치가 없거나 있어도 극히 미비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보조타이어 보관방법은 보조타이어를 보관했을 때 외관상 보기에 좋치 않았고 특히, 보조타이어를 보관한 상태로 차량을 운행할 때 진동으로 인한 소음은 물론, 보조타이어의 마멸이나 파손의 우려가 있었다.
또한, 보조타이어를 단순히 트렁크에 넣어 보관함으로써 트렁크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가 힘들었다.
이런점을 개선하여 일부에서는 트렁크 바닥면에 타이어를 함몰되게 넣고 너트로 장착하는 방법도 사용하고 있으나, 이 경우 트렁크 바닥면이 고르지 못하고 이탈과 장착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트렁크 저면을 활용하여 보조타이어 보관함을 설치하되, 보관함에 개폐가 용이한 잠금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운행시 진동으로 인한 소음은 물론, 보조타이어의 마멸이나 파손의 우려를 없앨 수 있고, 또한, 트렁크의 저면에 보관함을 설치함으로써, 트렁크의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보조타이어 보관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트렁크 저면에 설치되는 자동차용 보조타이어 보관함에 있어서, 트렁크 저면으로 보관함 하부의 바닥면(1)을 구성하고 보관함 상부는 보관함 덮개(2)로 씌워 구성하되, 상기 바닥판(1)과 덮개(2) 사이에는 자동차 전면방향의 일측 선단에 힌지(3)로 고정되어 있고, 그 반대측 선단에는 잠금장치(4)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잠금장치(4)는 보관함 덮개(2)에 리벳(5) 고정된 지지대(6)와, 그 지지대 중앙에 관통하여 끼워진 채로 스프링(7-1)에 의해 탄성력을 받으면서 상,하 이동하게 구성된 압입작동부재(8), 그리고 상기 압입작동부재(8)의 하단에 형성된 누름판(8-1) 이동에 따라 스프링(7-2)에 의한 탄성을 받으며 상기 지지대(6) 하단에 고정된 상태로 회동하는 걸쇠(9)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걸쇠(9)는 상기 바닥판(1)에 용접된 걸림부재(10)의 상단면에 덮여진 깔개(11)와 접하면서 상기 걸림부재(10)에 걸려 끼워지거나 해제되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기 깔개(11)와 접하면서 상기 걸림부재(10)에 걸려 끼워지거나 해제되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기 깔개(11)는 고무, 부직포 또는 코르크로 이루어져 있다.
미설명 부호 12는 타이어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대한 구성과 작용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단면을 도시한 제1도를 참고하여 보면, 상기 타이어 보관함은 트렁크의 저면에 설치하면서, 상,하부 모양은 사각형 혹은 원형으로 하고, 보관함의 폭과 넓이는 보조타이어(12) 보다 약간 크게 형성한다.
또한, 차량 전면방향의 일측 선단에 힌지(3)를 설치하여 보관함의 개폐위치와 트렁크의 개폐위치를 일치되게 하면서, 그 반대측 일측 선단에는 개폐가 편리한 잠금장치(4)를 설치한다.
여기서, 제1도의 A부분을 확대한 제2도를 참고하여 상기 잠금장치에 대해 살펴보면, 지지대(6)는 보관함 덮개(2)에 리벳(5)으로 고정되어 있어, 압입작동부재(8)와 스프링(7-1) 및 걸쇠(9)로 이루어진 잠금장치(4)의 상부를 덮개(2)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압입작동부재(8)는 스프링(7-1)에 의해 탄성력을 받으면서 상,하로 작동되며, 걸쇠(9)는 압입작동부재(8)로 부터 하중을 받아 잠금장치(4) 상부와 하부를 연결 혹은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걸쇠(9)의 걸림, 해제작용의 고정부재인 걸림부재(10)는 바닥면(1)에 용접되어 있어, 잠금장치(4)의 하부를 고정하며, 상면에는 완충작용을 하는 깔개(11)가 탄지되어 있다.
이러한 보관함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잠금장치(4)의 작동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압입작동부재(8)에 하중을 가하여 누르면 압입작동부재(8)가 하강하면서 압입작동부재(8)의 돌출부(8-1)가 걸쇠(9) 상단을 누르고 걸쇠(9) 상단이 하강하면서 탄성력을 받는 회동운동에 의해 걸쇠(9)가 회전되면서 그 하단이 좌,우로 벌어진다.
이 때 걸쇠(9)는 걸림부재(10)로 부터 이탈되면서 결국 잠금장치(4)가 해제되어 바닥판(1)에 덮혀 있던 보관함의 덮개(2)가 열려질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압입작동부재(8)에 하중을 가하면서 덮개(2)를 닫게 되면 압입작동부재(8)의 하단돌출부(8-1)가 걸쇠(9) 상단을 누르고 걸쇠(9) 하단은 깔개(11)와 접하면서 하강하고 일단 하강이 종료된 후 압입작동부재(18) 상단의 하중을 제거하면 압입작동부재(8)는 스프링(7-1)의 반력에 의해 상승하여 초기의 위치로 복원되고 걸쇠(9)의 하단은 스프링(7-2)에 의한 탄성회동운동으로 바닥판(1)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부재(10)에 결착되면서 잠금장치(4)의 상부와 하부가 결합된다. 또한, 압입작동부재(8)를 누르지 않고 그대로 덮개(2)를 눌러 닫아주는 경우에도 걸쇠(9) 하단의 구조에 의해 걸쇠(9)가 탄성회동되면서 바닥판(1)에 형성된 걸림부재(10)에 자연스럽게 결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보관함은 잠금장치(4)를 구비하므로서 타이어의 보관 및 사용시 손쉬운 작동으로 트렁크 내에서 타이어의 보관 및 이탈이 가능토록 이루어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타이어 보관함은 트렁크 저면에 설치하므로, 트렁크의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고 외관상응로도 별 무리가 없으며, 해체 및 결합이 간단하고 편리하여 누구나 손쉽게 개폐할 수 있는 잠금장치를 설치하므로써, 차량운전시 진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이나 마찰 및 마멸을 없애는 한편, 보조타이어를 안전하고 견고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량 트렁크 룸의 저면에 형성되는 보조타이어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을 덮는 보관함 덮개와, 상기 덮개의 개폐를 단속하는 잠금해제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보조타이어 보관함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수단은 상기 보관함 덮개에 고정지지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통해 지지되는 탄발부재에 의해 탄성 상하운동을 하는 압입작동부재와, 상기 압입작동부재의 하강운동에 연계되어 상기 수납공간의 저면에 고정된 걸림부재와의 잠금결합이 해제되도록 상기 지지대에 고정된 걸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타이어 보관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는 지지대의 하측에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탄성회동을 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압입작동부재의 누름판과 접촉가능하면서 상기 걸림부재와잠금결합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타이어 보관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의 윗면에는 고무나 부직포 또는 코르크로 이루어진 깔개가 덮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타이어 보관함.
KR2019940005684U 1994-03-21 1994-03-21 자동차용 보조타이어 보관함 KR01204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5684U KR0120426Y1 (ko) 1994-03-21 1994-03-21 자동차용 보조타이어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5684U KR0120426Y1 (ko) 1994-03-21 1994-03-21 자동차용 보조타이어 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335U KR950027335U (ko) 1995-10-18
KR0120426Y1 true KR0120426Y1 (ko) 1998-07-15

Family

ID=19379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5684U KR0120426Y1 (ko) 1994-03-21 1994-03-21 자동차용 보조타이어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42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335U (ko) 1995-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3850A (en) Opening/closing device
JPH0714080Y2 (ja) 車両用仕切板
US7410081B2 (en) Support structure for a spare tire on a vehicle
US5478126A (en) Vehicle storage compartment latch assembly with anti-rattle device
KR0120426Y1 (ko) 자동차용 보조타이어 보관함
JP4943603B2 (ja) 車載用ルーフボックス
JPH0717591Y2 (ja) 自動車用小物入れ
KR0146843B1 (ko) 자동차 스페어타이어의 격납구조
JP2000071884A (ja) 車両のラゲッジルーム構造
JPH0679650U (ja) 自動車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のカバー取付構造
KR19980050865A (ko) 스페어 타이어 인출장치
KR200200111Y1 (ko) 자동차의 스패어타이어 고정구조
JPH0530528Y2 (ko)
KR19990020943U (ko) 스페어 타이어 수납장치
KR19980021197U (ko)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수납구조
KR200197154Y1 (ko) 자동차용 경고삼각대
KR100207219B1 (ko) 스페어 타이어 인출장치
KR0123739Y1 (ko) 자동차용 뒷좌석 등받이
KR970003556Y1 (ko) 자동차용 트렁크 룸의 로워 트림(Lower Trim)
KR100528517B1 (ko)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수납 구조
KR19990034978A (ko)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고정구조
KR0177339B1 (ko)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보관구조
KR950003234Y1 (ko) 스키 캐리어
JPS647089Y2 (ko)
KR0133779Y1 (ko)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