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706Y1 - 자동차의 선루프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선루프 개폐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706Y1
KR0118706Y1 KR2019950013617U KR19950013617U KR0118706Y1 KR 0118706 Y1 KR0118706 Y1 KR 0118706Y1 KR 2019950013617 U KR2019950013617 U KR 2019950013617U KR 19950013617 U KR19950013617 U KR 19950013617U KR 0118706 Y1 KR0118706 Y1 KR 01187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roof
rack gear
open
stepping motor
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36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896U (ko
Inventor
남상민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136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706Y1/ko
Publication of KR9700008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8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7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706Y1/ko

Link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선루프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필요에 따라 선루프를 슬라이드식으로 열어 뒷자석의 탑승자가 상체를 루프 외부로 드러낼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선루프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루프(10)에 설치되는 선루프(30)를 열고 개방된 환풍구(20)를 통하여 차실에서 상체를 외부로 드러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오픈카와 같이 카퍼레이드, 선전, 홍보 등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선루프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루프20:환풍구
30:선루프100:레일
200:서포트바210:롤러
300:자동개폐수단310:랙기어
320:피니언기어322:지지구
330:스테핑모터330:절환스위치
BAT:배터리전원400:손잡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선루프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필요에 따라 선루프를 슬라이드식으로 열어 뒷자석의 탑승자가 상체를 루프 외부로 드러낼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선루프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된 선루프는 단순히 차실의 환풍과 개방감을 만족시키는데 주안점을 둔 것으로, 선루프를 완전히 열어도 선루프에 의해 개폐되는 환풍구(20)를 통하여 탑승자가 상체를 외부로 드러낼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선루프가 장착되어 있는 차량을 포함한 일반적인 자동차로는 오픈카(OPEN CAR)와 같이 카퍼레이드, 선전, 홍보 등에 이용할 수 없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한 본 고안은 선루프가 설치된 일반적인 차량을 필요에 따라 오픈카와 같이 카퍼레이드, 선전, 홍보 등의 특수목적에 사용할 수 있도록 선루프를 슬라이드식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평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본 고안은 환풍구(20)를 개폐할 수 있도록 루프(10)에 설치되는 통상의 선루프(30)에 있어서,
상기 환풍구(20)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레일(100)과,
상기 선루프(30)가 상기 루프(10)에 대하여 후방으로 슬라이드되어 상기 환풍구(20)를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도록, 일단을 상기 선루프(30)에 연결하고, 타단은 롤러(210)를 취부하여 상기 레일(100)에 지지시킨 복수개의 서포트바(200)를 포함하며,
상기 선루프(30)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서포트바(200)에 연결한 랙기어(310)와,
상기 랙기어(310)에 맞물리게 피니언기어(320)를 취부시켜 상기 루프(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스테핑모터(330)와,
상기 피니언기어(320)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스테핑모터(330)의 전방에 장착되며 그 하측에 형성된 324으로 상기 랙기어(310)가 삽입되어 상기 피니언기어(320)과 치합되돌고 하는 지지구(322)와,
배터리전원(BAT)에 의해 상기 스테핑모터(33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된 스테핑모터(330)로 구성되는 자동개폐수단(300)을 더 구비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루프(10)에 형성되는 환풍구(20)는 성인의 상체가 충분히 통과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한다. 이때, 선루프(30)가 환풍구(20)에 안착되도록 환풍구(20)의 가장자리가 단이 지게한다. 그리고 선루프(30)를 닫을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회전단부와 밀착되는 환풍구(20)의 일측의 루프(10)에 고무재로 된 시일로 마감처리 하고, 선루프(30)를 닫았을 때 환풍구(20)의 기밀을 위하여 선루프(30)의 테두리에 고무재로 된 시일로 마감한다.
한편, 본 고안은 선루프(30)를 차실에서 열 수 있도록 선루프(30)의 내측에 손잡이(400)를 마련한다.
그리고 환풍구(20)를 형성함에 따른 루프(10)의 강도저하를 보완하기 위하여 환풍구(20)에 인접되게 차량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루프보강용 바(500)를 루프(10)의 상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량외부에서 선루프(30)를 열지못하도록 잠금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레일(100)은 2개 마련하여 각각 환풍구(20)의 양측에 수평으로 설치하며, 하단에 롤러(210)를 취부시킨 서포트바(200)를 2개씩 2조를 마련하여, 선루프(30)의 앞쪽 양측에 서포트바(200)의 상단을 고정시키고 서포트바(200)의 하단은 롤러(210)를 이용하여 레일(100)에 지지된다. 이때, 선루프(30)를 수동으로 사용하고자할 때에는 선루프(30)의 내측에 손잡이(400)를 마련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선루프(30)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할 때에는 자동개폐수단(30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개폐수단(300)은 마련된 랙기어(310)의 일단을 복수개의 서포트바(200)중 어느 한곳에 일체로 연결하고, 피니언기어(320)를 축설한 스테핑모터(330)를 루프(10) 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스테핑모터(330)의 전방에, 상기 피니언기어(320)가 내부에 배치되며 그 하측에 형성된 관통공(324)으로 상기 랙기어(310)가 삽입되어 상기 피니언기어(320)과 치합되도록 하는 지지구(322)를 장착하여 피니언기어(320)와 랙기어(310)가 맞물리게 하며, 스테핑모터(330)를 마련하여 배터리전원(BAT)에 의해 상기 스테핑모터(33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전기회로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절환스위치(330)로서 토글스위치로 선정하여 운전석에 설치하여 운전자가 스위치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조로 설치된 본 고안은 사용시,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절환스위치(330)를 온시키면, 스테핑모터(330)가 구동하여 피니언기어(320)가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피니언기어(320)와 맞물린 랙기어(310)가 후진하게 된다. 이와동시에 선루프(30)가 레일(100)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후방으로 이동하므로 환풍구(20)가 완전히 개방된다. 이때, 서포트바(200)가 레일(100)을 따라 이동할 때 그 단차에 의해 상승되므로, 이에따라 랙기어(310)가 상승되며 따라서, 랙기어(310)에 결합치합된 스테핑모터(330)가 승강하여 지속적으로 랙기어(310)와 결합된다. 따라서, 뒷자석의 이용자가 앞좌석의 시트백을 앞쪽으로 숙이고 일어선 상태로 환풍구(20)를 통하여 상체를 외부로 드러 낼 수 있다.
그리고, 절환스위치(330)를 오프시키면, 스테핑모터(330)가 역전되고, 피니언기어(320)와 랙기어(310)가 연동되어 선루프(30)가 레일(100)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전방으로 이동하므로 환풍구(20)가 폐쇄된다. 이때, 스테핑모터(330)는 랙기어(310)와 같이 하강되어 랙기어(310)와 지속적으로 결합된다.
한편, 본 고안에 자동개폐수단(300)을 적용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선루프(30)에 마련된 손잡이(400)를 후방으로 밀면 인력에 의하여 선루프(3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므로 환풍을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으며, 손잡이(400)를 전방으로 밀면 인력에 의하여 선루프(3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므로 환풍구(20)가 폐쇄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루프(10)에 설치되는 선루프(30)를 열고 개방된 환풍구(20)를 통하여 차실에서 상체를 외부로 드러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오픈카와같이 카퍼레이드, 선전, 홍보 등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환풍구(20)를 개폐할 수 있도록 루프(10)에 설치되는 통상의 선루프(30)에 있어서,
    상기 환풍구(20)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레일(100)과,
    상기 선루프(30)가 상기 루프(10)에 대하여 후방으로 슬라이드되어 상기 환풍구(20)를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도록, 일단을 상기 선루프(30)에 연결하고, 타단은 롤러(210)를 취부하여 상기 레일(100)에 지지시킨 복수개의 서포트바(2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 자동차의 선루프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루프(30)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상기 서포트바(200)에 연결한 랙기어(310)와,
    상기 랙기어(310)에 맞물리게 피니언기어(320)를 취부시켜 상기 루프(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스테핑모터(330)와,
    상기 피니언기어(320)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스테핑모터(330)의 전방에 장착되며 그 하측에 형성된 324으로 상기 랙기어(310)가 삽입되어 상기 피니언기어(320)과 치합되도록 하는 지지구(322)와,
    배터리전원(BAT)에 의해 상기 스테핑모터(33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절환스위치(330)로 구성되는 자동개폐수단(30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선루프 개폐장치
KR2019950013617U 1995-06-16 1995-06-16 자동차의 선루프 개폐장치 KR01187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3617U KR0118706Y1 (ko) 1995-06-16 1995-06-16 자동차의 선루프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3617U KR0118706Y1 (ko) 1995-06-16 1995-06-16 자동차의 선루프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896U KR970000896U (ko) 1997-01-21
KR0118706Y1 true KR0118706Y1 (ko) 1998-06-15

Family

ID=19415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3617U KR0118706Y1 (ko) 1995-06-16 1995-06-16 자동차의 선루프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7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896U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01322A2 (en) Vehicle with sliding roof system
KR101240988B1 (ko) 차량용 파노라마루프 장치
JPH02197416A (ja) 車両のスライドルーフ装置
KR940011844B1 (ko) 차량의 캔버스톱구조
KR0118706Y1 (ko) 자동차의 선루프 개폐장치
US4940283A (en) T-top roofing system
KR100228255B1 (ko) 자동차 썬루프패널의 슬라이딩 개폐장치
JP3508145B2 (ja) スライドルーフ構造
KR950002988Y1 (ko) 지프차용 자동개폐 커버
JPH0370627A (ja) 車両用摺動屋根装置
KR200271485Y1 (ko) 뒷지붕 개방형 오픈카의 뒷지붕 자동 개폐장치
KR200155425Y1 (ko) 자동차 유리창문의 수동 개폐장치
KR950005606Y1 (ko) 차량의 파워윈도우 제어회로
JPH071305Y2 (ja) スライド式サンルーフの通電構造
JP2539910Y2 (ja) 車両のルーフ構造
KR20070035719A (ko) 선쉐이드 밀림 방지구조
KR0172214B1 (ko) 자동차의 도어유리 개폐용 스위치 취부구조
KR0157765B1 (ko) 차량용 환기장치
JPH022668Y2 (ko)
KR970001389Y1 (ko) 자동차 뒷유리 개폐장치
JPH08192693A (ja) 自動車用サンシェードトリム
KR19980023571U (ko) 차량의 빗물 차단막 장치
KR19980038504U (ko) 자동차의 파워윈도우 개폐 장치
KR930006157B1 (ko) 자동차용 루우프 시스템
KR19980017273A (ko) 차량용 벤트(vent) 개/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