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6982Y1 - 줌 카메라 - Google Patents

줌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6982Y1
KR0116982Y1 KR2019900008154U KR900008154U KR0116982Y1 KR 0116982 Y1 KR0116982 Y1 KR 0116982Y1 KR 2019900008154 U KR2019900008154 U KR 2019900008154U KR 900008154 U KR900008154 U KR 900008154U KR 0116982 Y1 KR0116982 Y1 KR 01169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om
zoom lens
camera
driving
aper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81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224U (ko
Inventor
기미아끼 오가와
Original Assignee
마쓰모도 도오루
아사히 고오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모도 도오루, 아사히 고오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마쓰모도 도오루
Publication of KR9100012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2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69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69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18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in accordance with light-reducing "factor" of filter or other obturator used with or on the lens of the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46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zoom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줌 카메라는 줌렌즈를 구동하도록 조작하는 줌 스위치를 갖는다. 측광장치는 측광장치에 의해 수행된 측광 결과에 따라서 조리개를 구동하기 위하여 피사체로부터 빛을 측정한다. 줌렌즈 구동과 조리개 구동은 조리개가 구동되도록 지시되었을 때 일시적으로 줌렌즈 구동이 정지되도록 조절된다. 측광 결과에 따라서 조리개가 구동된 후 줌렌즈의 구동이 재개된다.

Description

줌 카메라
제1도는 본 고안의 줌카메라를 전자스틸 카메라에 응용한 경우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모니터 모우드 처리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
제3도는 제2도에 있어서의 줌처리동작의 보다 상세한 처리스텝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줌렌즈 3 : 조리개
4 : 촬상소자(撮像素子) 6 : 줌구동회로
8 : 조리개 구도회로 9 : 촬상회로
10 : 신호처리회로 12 : 모니터
14 : 자기헤드 15 : 자기디스크
22 : 마이크로컴퓨터 23 : 텔레스위치
24 : 와이드스위치 25 :모우드 전환스위치
26 : 릴리즈 스위치 27 : 전원회로
본 고안은 줌기능을 갖는 줌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보급되고 있는 전자스틸카메라에 있어서는, 자기디스크의 1개의 트랙에 1코마(1필드 또는 2필드)의 영상을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자기디스크는 1필드의 주기(NTSC 방식의 경우, 1/60초)로 1회전하도록 제어된다.
기록매체로서의 자기디스크가 이처럼 고속회전되기 때문에 1초 사이에 다수의 코마수(예컨대 1, 2또는 5코마)를 원하는 시간만큼 연속적으로 촬영(연사)할 수가 있다. 이 연사 모우드를 주밍(zooming)과 조합하는데 따라 서서히 확대 또는 축소되어 가는 화상을 연속적으로 촬영할 수가 있다. 또한, 이때 촬영소자에서 판독된 화상을 모니터에 표시시키는 모니터 모우드를 설정함으로써 실제로 촬영하기 전에 화상변화를 확인할 수가 있다. 그런데 주밍을 하면 화각(畵角)의 변화에 따라 휘도(輝度)가 변화하고 조리개를 바꿀 필요가 생긴다. 그러나, 종래 전자스틸카메라는 이처럼 주밍을 행할 경우 줌렌즈를 이동시키면서 조리개를 제어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촬상회로, 기록회로, 조리개 모우터, 트랙킹 모우터, 스핀들 모우터 등이 동시에 동작되어 소비전류의 피크치가 크게 되는 결점이 있다. 이 때문에 전원회로의 부담이 크게 되고, 그 정격용량을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되고, 대형화할 뿐만 아니라 비용도 높아지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장치를 대형화하지 않고 또한 비용도 높이지 않고 주밍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줌카메라는 줌렌즈를 구동(驅動)할 때 조작되는 줌스위치수단과, 줌스위치수단의 조작에 대응하여 줌렌즈를 구동하는 줌구동수단과 , 피사체를 측광하는 측광수단과, 측광수단에 의한 측광결과에 대응해서 조리개를 구동하는 조리개 구동수단과, 줌렌즈의 구동이 지령되었을 때 그 구동을 일시 중단시켜 측광수단의 측광결과에 대응해서 조리개를 구동시킨후, 재차 줌렌즈를 구동시키도록 줌구동수단과 조리개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추고 있다. 상기한 구성의 줌카메라에 있어서는 예컨대 텔레스위치, 와이드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진 줌스위치수단의 조작에 대응해서, 줌모우터 등으로 이루어진 줌구동수단에 의하여 줌렌즈가 또한 와이드방향 텔레방향으로 이동된다. 줌렌즈는 예컨데 일정시간 이동된 후 정지된다. 줌렌즈가 정지하고 있는 사이에 측광수단의 측광결과에 대응해서 조리개 모우터 등으로 이루어진 조리개 구동수단에 의해 조리개가 구동된다. 조리개의 구동이 완료된 후 재차 줌렌즈가 일정시간 이동된다. 이와같이 줌렌즈와 조리개가 번갈아 구동되고, 동시에 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구동전류의 피크값을 작게할 수가 있으며, 전원회로의 용량 및 형상을 작게 하여 저(低) 비용화가 가능하게 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줌카메라를 전자스틸카메라에 응용한 경우의 1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2는 줌렌즈이고 피사체(1)로부터 빛을 조리개(3)를 통하여 CCD등으로 이루어진 촬상소자(4)에 입사시킨다. 5는 줌렌즈(2)를 구동하는 줌모우터이고 줌구동회로(6)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7은 조리개(3)를 구동하는 조리개 모우터이고 조리개 구동회로(8)에 의해 구동된다. 9는 촬상회로이고 촬상소자(4)에 촬상된 신호를 판독해서 신호처리회로(10)에 출력한다. 11은 엔코더이고 신호처리회로(10)의 출력을 예컨채 NTSC방식의 텔레비젼 신호로 엔코더해서 모니터(12)에 공급한다. 13은 기록회로이고 신호처리회로(10)에서 출력된 신호를 자기헤드(14)를 통하여 자기디스크(15)에 기록시킨다. 16은 스핀들 모우터 구동회로이고 자기디스크(15)를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우터(17)를 구동한다. 18은 트랙킹 모우터 구동회로이고 자기헤드(14)를 이동시키는 트랙킹 모우터(19)를 구동한다. 20은 트랙검출회로이고 자기헤드(14)가 출력하는 재생신호에서 그 레벨 DPSK 신호, 콘트롤 코드신호 등을 검출하고, 제어수단으로서의 마이크로 컴퓨터(22)에 출력한다. 21은 측광회로이고 피사체(1)를 측광해서 그 결과를 마이크로 컴퓨터(22)에 출력한다. 23, 24는 각각 텔레스위치(TELE SW)와 와이드 스위치(WIDE SW)이고, 줌렌즈(2)를 텔레방향 또는 와이드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조작된다. 25는 각종 촬영모우드를 설정할 때 조작되는 모우드 전환스위치, 26은 릴리즈 스위치이고, 일련의 기록동작(측광, 노출연산, 조리개 구동, 촬상소자의 노광(露光), 판독, 기록, 트랙이동 등)을 행할 때 조작된다.
릴리즈 스위치(26)는 예컨대 2단의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1단째의 스위치가 온(on)되면 측광, 측거리, 노출연산이 행해지고, 2단째의 스위치가 온(on)되면 그 이후의 화상기록조작이 개시된다. 27은 내부에 전지를 가진 전원회로이고 각 회로, 수단 등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28은 피사체(1)를 확인하는 광학식 파인더이고 내부에 측광용의 수광소자(29)를 가지고 있다. 이어서, 제2도 및 제3도의 플로우 챠트를 참조해서 그 동작을 설명한다.
피사체(1)로부터의 빛이 줌렌즈(2), 조리개(3)를 통해서 촬상소자(4)에 입사된다. 촬상소자(4)에 의하여 광전변환된 신호는 촬상회로(9)에 판독되어 신호처리회로(10)에 입력된다. 신호처리회로(10)는 입력된 신호를 전자스틸카메라의 포맷에 대응한 신호가 되도록 처리된다. 모우드 전환스위치(25)에 의해 모니터 모우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신호처리회로(10)에 의해 처리된 신호는 엔코더(11)에 입력되고, 예컨데 NTSC방식의 포맷의 신호로 변환되어 모니터(12)에 출력된다. 이와 같이하여 모니터(12)에 의해 피사체(1)를 모니터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모니터 모우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측광회로(21)는 수광소자(29)의 출력으로부터의 피사체(1)를 측광하고 그 측광결과를 마이크로 켬퓨터(22)에 출력하고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22)는 측광회로(21)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연산하고 적절한 노출량을 결정한다(스텝 S1, S2).
이 연산된 노출량이 이미 설정되어 있는 경우 노출량은 그대로 되지만 설정되어 있는 노출량이 연산치와 다를 경우, 조리개 구동회로(8)는 이 연산된 노출량에 대응해서 조리개 모우터(7)를 구동한다(S3, S4). 이에 따라 조리개(3)가 소정의 노출을 얻을수 있는 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모니터(12)에는 보통 적정한 노출로 화상이 표시된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컴퓨터(22)는 내장하는 타이머를 스타트시켜 줌처리를 실행시킨다(S6, S6). 즉, 텔레스위치(23)가 온(on)되어 있을 때 텔레방향의 리미트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온(on)되어 있지 않으면, 마이크로 컴퓨터(22)는 줌구동회로(6)를 통해서 줌모우터(5)를 구동하고, 줌렌즈(2)를 텔레방향으로 이동시킨다(S21, S22, S23).
텔레스위치(23)가 오프(off)되어 있는 경우 와이드 스위치(24)의 조작이 판정된다(S21, S24). 와이드 스위치(24)가 온(on)되어 있어 와이드 방향의 리미트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온(on)되어 있지 않다면, 줌렌즈(2)는 와이드방향으로 이동된다(S25, S26). 어느 방향으로 이동되라도 이 리미트 스위치가 온(on)되었을 때는 줌모우터(5)의 구동이 정지된다(S22, S25, S27). 이와 같은 줌처리는 타이머가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을 제시하던지 릴리즈 스위치(26)가 온(on)될 때까지 행해진다(S7, S8). 소정의 시간이 경과했을 때 줌모우터(5)의 구동이 정지되고 스텝 S1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S10). 타이머의 소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릴리즈 스위치(26)가 온(on)되면 릴리즈 처리가 실행된다(S8, S9).
즉, 이때 촬상소자(4)가 출력되는 신호가 촬상회로(9)를 통해서 신호처리회로(10)에 입력된다. 신호처리회로(10)에 의해 전자스틸카메라의 포맷에 대응한 신호로 변환된 신호는 기록회로(13)에 입력되어 FM변조된다. 이 신호는 다시 자기헤드(14)에 공급된다. 이때 마이크로 컴퓨터(22)는 스핀들 모우터 구동회로(16)를 통해서 스핀들 모우터(17)를 구동하고 자기디스크(15)를 3600rpm의 속도로 회전시키고 있다. 따라서, 자기디스크(15)의 소정의 1개(1필드) 또는 2개(2필드) 트랙에 1코마의 화상이 기록된다.
이 기록이 완료하면 마이크로 컴퓨터(22)는 트랙킹 모우터 구동회로(18)를 통해서 트랙킹 모우터(19)를 구동하고, 자기헤드(14)를 자기디스크(15)의 1개 내주측의 트랙에 이동시킨다. 그리고, 그 이동한 트랙으로부터 신호가 재생된다.
이 재생신호는 자기헤드(14)에서 트랙검출회로(20)에 입력된다. 트랙검출회로(20)는 재생신호의 레벨을 검출하고 마이크로 컴퓨터(22)에 출력한다. 마이크로 컴퓨터(22)는 트랙검출회로(20)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그 트랙에 다른 화상신호가 이미 기록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판정한다. 이미 기록되어 있을 때에는 자기헤드(14)가 다음 빈 트랙까지 이동된다. 이와 같이하여 자기헤드(14)가 위치하는 트랙에 화상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된다.
이처럼 릴리즈 처리가 실행된 후 다시 스텝(S1)의 처리로 이행한다.
이상, 본 고안을 전자스틸카메라에 응용한 경우를 예로해서 설명했지만 본 고안은 필름에 촬영하는 통상의 카메라 혹은 비디오 카메라 등에도 응용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줌카메라에 의하면 줌렌즈와 조리개 이동을 번갈아 행하도록 했기 때문에 전력소비의 피이크를 작게 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전원회로의 용량 및 형상을 작게할 수가 있고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어 휴대에 유리하게 된다. 또한 비용도 절감된다.

Claims (7)

  1. 줌렌즈(2)를 구동하도록 조작하는 줌스위치와, 상기 줌렌즈(2)를 구동하는 줌모우터(5) 및 상기 줌모우터(5)를 구동시키는 줌구동회로(6)로 이루어지는 줌구동수단과, 피사체(1)로부터의 빛을 측광하는 수광소자(29) 및 측광회로(21)를 포함하는 측광수단과, 조리개(3)를 구동하는 조리개 모우터(7) 및 상기 조리개 모우터(7)를 구동시키는 조리개 구동회로(8)로 이루어지는 조리개 구동수단과, 및 상기 줌스위치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줌구동회로(6)를 제어하고 상기 측광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상기 조리개 구동회로(8)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줌렌즈(2) 및 상기 조리개(3)가 작동되도록 지령되었을 때, 상기 조리개(3)가 구동되고 동시에 상기 줌렌즈(2)의 이동이 일시 중단되고 상기 조리개(3)가 상기 측광수단에 의해 전달된 측광결과에 따라 구동된 후 상기 줌렌즈(2)가 사전 설정된 크기의 시간에 대해 재차 구동되도록 상기 줌구동수단 및 상기 조리개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줌스위치가 하나 이상의 텔레스위치 또는 와이드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카메라.
  3. 제3항에 있어서, 하나의 이상의 상기 텔레스위치 또는 상기 와이드 스위치가 촬상작동중에 턴온(turn on)될 때, 상기 줌렌즈는 텔레방향 또는 와이드방향으로 상기 줌구동 수단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카메라.
  4. 제1항에 있어서, 연속하는 촬상모우드를 선택하는 모우드 전환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카메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카메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스틸비디오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카메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모니터 모우드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카메라는 모니터 및 상기 모니터 모우드가 설정될때 상기 모니터상에 상기 카메라의 전기적 촬상소자에 의해 검출된 화상을 연속해서 표시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카메라.
KR2019900008154U 1989-06-09 1990-06-09 줌 카메라 KR011698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8104 1989-06-09
JP1148104A JP2816708B2 (ja) 1989-06-09 1989-06-09 ズームカメ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224U KR910001224U (ko) 1991-01-24
KR0116982Y1 true KR0116982Y1 (ko) 1998-04-27

Family

ID=15445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8154U KR0116982Y1 (ko) 1989-06-09 1990-06-09 줌 카메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816708B2 (ko)
KR (1) KR0116982Y1 (ko)
DE (1) DE4018445A1 (ko)
FR (1) FR2648246B1 (ko)
GB (1) GB223377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776A (ko) * 2015-11-24 2018-07-27 가무이 이노베이션 가부시키가이샤 고스트 저감장치와 이것을 구비한 촬상장치, 고스트 감소방법 및 촬상광학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362Y2 (ja) * 1979-08-29 1984-06-23 コニカ株式会社 ズ−ムレンズ鏡胴
JPS56111841A (en) * 1980-02-08 1981-09-03 Canon Inc Exposure control system of camera using physical aperture
JPS5746576A (en) * 1980-09-04 1982-03-17 Canon Inc Magnetic image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incorporating camera
JPS59141332U (ja) * 1983-03-12 1984-09-21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の撮影モ−ド表示の切換え回路
JPS60249112A (ja) * 1984-05-25 1985-12-09 Seiko Koki Kk カメラ用距離検出装置
JPH073546B2 (ja) * 1985-10-08 1995-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
DE3641592A1 (de) * 1985-12-06 1987-06-11 Canon Kk Bilddaten-verarbeitungseinrichtung
DE3706726C2 (de) * 1986-03-03 1996-04-18 Canon Kk Kamera
JPS63113431A (ja) * 1986-10-29 1988-05-18 Konica Corp カメ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776A (ko) * 2015-11-24 2018-07-27 가무이 이노베이션 가부시키가이샤 고스트 저감장치와 이것을 구비한 촬상장치, 고스트 감소방법 및 촬상광학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13071A (ja) 1991-01-22
DE4018445A1 (de) 1990-12-13
FR2648246B1 (fr) 1993-10-01
GB2233773B (en) 1993-07-14
KR910001224U (ko) 1991-01-24
JP2816708B2 (ja) 1998-10-27
FR2648246A1 (fr) 1990-12-14
GB9012747D0 (en) 1990-08-01
GB2233773A (en) 1991-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4200B2 (en) Imaging apparatus with shake detection
KR0116359Y1 (ko) 줌 렌즈 카메라
US4739417A (en) Multi-mode electronic camera
JP3931393B2 (ja) カメラ一体型ビデオレコーダおよび撮影方法
JP3928222B2 (ja) 画像信号撮像および記録装置および方法
KR100211531B1 (ko) 전자스틸카메라
US5341190A (en) Zoom lens camera
JP2005084339A (ja) カメラ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US7317486B2 (en) Electronic image pickup apparatus allowing a longer exposure time
JPH0767027A (ja) 静止画・動画両用カメラ
JPH0336886A (ja) スチルビデオカメラ
KR0116982Y1 (ko) 줌 카메라
US5457512A (en) Focus-switching camera
JP2003319237A (ja)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その自動焦点調節方法
US5258847A (en) Object tracing device
JPH07177527A (ja) 多板式電子カメラのオートフォーカス調整装置
JP2004080561A (ja) 映像記録装置
JPH0514794A (ja) 電子スチルカメラ
JP3278175B2 (ja) 撮像装置
JP2863551B2 (ja) 自動合焦装置を備えたカメラ
JP2580105B2 (ja) 電子カメラ
JP3036067B2 (ja) カメラ装置
JPH02146022A (ja) ビデオカメラのオートフェーダ装置
JP2699646B2 (ja) 自動焦点調節装置
JPH02311833A (ja) 電子スチル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