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54824A1 -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 Google Patents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54824A1
WO2023054824A1 PCT/KR2022/005567 KR2022005567W WO2023054824A1 WO 2023054824 A1 WO2023054824 A1 WO 2023054824A1 KR 2022005567 W KR2022005567 W KR 2022005567W WO 2023054824 A1 WO2023054824 A1 WO 202305482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hoelace
detachable
loop
housing
tighte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556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소윤서
Original Assignee
와인드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인드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인드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AU2022353336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22353336A1/en
Publication of WO202305482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5482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shoelace tightening device using a shoelace loop, and more particularly, to one side of the length adjustment means, by inserting and fixing the shoelace loop via the shoelace hole to wind the length adjustment means and By providing a detachable part for length adjusting means in which a hooking groove that can be fastened and released according to winding is formed, a shoelace loop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attach the desired string length adjusting means to the user's shoes, etc. It relates to a detachable shoelace tightening device.
  • Shoes such as sneakers are provided with shoelaces to ensure that the shoes fit each person's feet well. After putting on the shoes to enable safe and comfortable walking, the wearer properly pulls and tightens the shoelaces so that their feet and shoes are in close contact.
  • Korean Patent No. 959800 Announced on May 28, 2010
  • a fixed housing a rotating housing coupled to the fixed housing to be relatively rotatable, provided in the fixed and rotating housing, and a winding drum in which a line is wound or unwound
  • a first tooth tooth shape and a second tooth tooth shape provided on one side of one of the fixed and rotating housings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fixed and rotating housings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tooth tooth shape and the second tooth tooth shape among the fixed and rotating housings.
  • a latch that is provided in another housing not provided with a toothed tooth and engages with and interacts with the first toothed tooth or the second toothed tooth so that the line can be wound or unwound on the winding drum, protruding upward from the top of the winding drum.
  • At least one guide protrusion provided, a protrusion guide portion formed in the rotating housing and receiving and guiding the guide protrusion, a free-curved spring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housing, and a latch having a first tooth tooth shape and a second tooth tooth shape.
  • a line length adjusting device is disclose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a fixed and rotating housing to be selectively engaged with one.
  • Korean Patent No. 1147681 discloses a fixed housing, a rotating housing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housing, a winding drum inserted into the fixed housing and the rotating housing, and a device that combines the fixed housing and the rotating housing.
  • a string length adju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housing coupling teeth and drum coupling teeth are provided in a circle, respectively.
  • a line length adjusting device including a coupling unit guide shaft for guiding an up/down motion of a rotating housing for winding or unwinding of a line.
  • the above line length adjusting device is integrally attached to shoe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shoes such as sneakers. Therefore, such a line length adjusting device can be applied to shoes manufactured without a line length adjusting device attached, that is, shoes such as ready-made sneakers manufactured and sold in the form of basically having a shoelace as in the prior art. There is a limit to no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t and fix a shoelace loop through a shoelace hole on one side of the length adjustment means to wind and unwind the length adjustment means.
  • a shoelace loop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loosen or tighten the shoelace by easily attaching the length control means to the user's shoes, etc. by having a detachable part for length adjustment means having a locking groove that can be tightened and release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t and fix two shoelace loops via two adjacent shoelace holes on one side of the length adjustment means, so that the length adjustment means can be tightened and released according to the winding and unwinding of the two shoelace loops.
  • a detachable part for length adjusting means formed with a hooking groove, a shoelace loop that can be easily fixed and attached in a form in which the cylindrical overall length adjusting means stably adheres to the shoe to more stably and easily loosen or tighten the shoelac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tachable shoelace tightening devic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rther provide a cylindrical detachable housing to the length adjusting means, so that each shoelace loop of two lines fitted and fixed to two opposing locking grooves is attached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through two adjacent shoelace holes. After passing downward, each branched into two first and second lines, the first line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line, which is the other two lines, being separated and connected to the winding drum.
  • a detachable shoelace tightening device using a shoelace loop is a shoelace connected via a plurality of shoelace holes or shoelace rings formed in a shoe. ; and a length adjusting means for winding and connecting the shoelace inside the shoelace and tightening the shoelace by rotation, wherein the length adjusting means is a shoelace loop passing through a shoelace hole or a shoelace loop.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ixed.
  • the length adjus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detachable length adjusting unit to which the shoelace loop is fixed, and the length adjusting unit to which the shoelace loop is fitted and fixed is provided with a hooking groove.
  • the lock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wo shoelace loops are formed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upper side of the length adjusting means detachable portion, and two shoelace loops via two adjacent shoelace holes are fitted and fixed to face each other.
  • the length adjus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detachable housing having an open cylindrical receiving portion therein, and the length adjusting unit detachable portion may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detachable housing.
  • the length adjusting means is seated and fixed 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detachable housing, the fixed housing having a through portion passing through the top and bottom; a winding drum disposed in the penetrating part and having a winding part through which shoelaces are wound or unwound; and a rotating housing that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housing and rotates the winding drum while being movably coupled in an axial direction with the winding drum as an axis.
  • the detachable adjust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between two adjacent shoelace holes through which two shoelace loops pass when the length adjusting unit is attached.
  • the detachable housing is formed on the lower side, and after each shoelace loop of two lines fitted and fixed to the two opposing locking grooves passes through the upper through the two adjacent shoelace holes, each of the two a shoelace loop branching part which is branched into first and second lines so that the first line is interconnected and the second line, which is the other two lines, is separated and connected to the winding drum; and a shoelace passage hol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adjacent to the shoelace loop diverging portion and through which two second lines branched from the shoelace loop divergent portion pass through and are connected to the winding drum.
  • shoelace loop branching portion two shoelace loops passing through the upper through the two adjacent shoelace holes are oppositely passed and diverged to the first and second lines so that the two opposite sides pass.
  • shoelace loop through hole ; and a shoelace loop connection groove for connecting the two first lines formed between the two opposing shoelace loop passage holes and branching each other, so that the second lines, which are the two line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two sho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parated through the lace loop passage hole and connected to the winding part of the winding drum through the shoelace passage hole.
  • the second line which is two lines connected to the winding drum, is separated from the winding unit to face each other and is wound or unwound.
  • the shoelace hole, the shoelace ring, or the shoelace loop via the tongue are inserted and fixed to wind the length adjustment means and
  • a detachable part for length adjusting means in which a locking groove that can be tightened and released according to unwinding is formed the user can easily loosen or tighten the shoelace by easily attaching the length adjusting means of the string desired by the user to the user's shoes, etc. It works.
  • a cylindrical detachable housing is further provided in the length adjusting means, and each shoelace loop of two lines fitted and fixed to two opposing locking grooves passe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through the two adjacent shoelace holes.
  • 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etachable shoelace tightening device utilizing a shoelace lo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shoe.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ength adjusting unit of a detachable shoelace tightening device utilizing a shoelace lo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3a and 3b are top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the detachable housing of the length adjusting means of the detachable shoelace tightening device utilizing a shoelace lo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4a and 4b are top and rear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length adjusting means of the detachable shoelace tightening device utilizing a shoelace lo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etachable shoelace tightening device using a shoelace lo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shoe
  • FIG. 2 is a shoelace lo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A and 3B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ength adjusting unit of a detachable shoelace tightening device using a shoelace lo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a and 4b are top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a detachable housing
  • FIGS. 4a and 4b are top and rear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length adjusting means of a detachable shoelace tightening device using a shoelace lo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mit.
  • the shoelace tightening device 100 which is detachable using a shoelace lo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hoelace hole 12 or a shoelace loop (not shown), as shown in FIG.
  • the length adjustment means for the length adjustment means 30 detachably coupled to the shoelace hole 12 (or shoelace loop) using a shoelace wire It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portion 31 so that the shoelace can be easily loosened or tightened, and the wire 20, which is a shoelace connected via a plurality of shoelace holes 12 formed in the shoe 10, and the shoe Length adjusting means provided with locking grooves 311 and 312 into which the shoelace loop 21 via the lace hole 12 (or shoelace loop) is fitted and fixed Length adjusting means 30 provided with a detachable portion 31 ), including
  • the hooking grooves 311 and 312 are formed in two opposite to the upper side of the length adjusting means detachable part 31, and two shoelace loops pass through the two shoelace holes 12. (21; see Fig. 4a) is preferably fitted and fixed facing each other.
  • the illustrated example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length adjustment means 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hoelace hole 12 (shoelace loops are also possible), it is connected to the lace loop 14 formed in the tongue 11 of the shoe. Of course, i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 the wire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a wire added to the detachable shoelace tightening device 100 using a shoelace loop, which is a shoelace loop,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type of wire. It is not necessary to be limited to, and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wire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is natural that various materials and types of wires can be covered. That is, the shoelace wire 20 can be formed of any of a wide variety of polymeric or metallic materials or combinations thereof that exhibit sufficient axial strength and bendability for this application. For example, any of a wide variety of solid core wires, solid core polymers, or multifilament wires or polymers, which may be woven, braided, twisted or otherwise configured, may be used. A solid or multifilamentary metal core may be provided with a polymeric coating such as PTFE or the like known in the art to reduce friction.
  • a polymeric coating such as PTFE or the like known in the art to reduce friction.
  • the illustrated example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tightening device 100 is provided in shoes, but clothes worn by tightening wires or strings, such as hats, belts, gloves, bags, water skis, snowboarding, etc., accessories, and exercise equipment It can be applied to a tightening device tha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for items such as
  • the tongue 11 is formed vertically in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shoelace holes 12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ongue 11, so that the wire 20 are connected in a crosswise fashion.
  • the tongue 11 is formed with one or more lace loops 14 through which wires 20 are connected and passed through a plurality of shoelace holes 1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crosswise manner.
  • the intervals of the shoelace holes 12 corresponding to each other may be the same, or the intervals may increase from the lower side of the tongue 11 (a portion where the upper and the tongue ar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 the length adjusting means 30 is connected by winding the wire 20 inside, and at the same time serves to tighten the wire 20 by rotation, and at the same time, on one side, two
  • the shoelace loop 21 passing through the shoelace hole 12 of the dog is provided with a length adjusting means detachable portion 31 formed with locking grooves 311 and 312 into which the shoelace loop 21 is inserted and fixed, and uses the tightening of the shoelace loop 21.
  • the length adjustment means 30 can be stably fixed and supported.
  • the length adjusting means detachable part 31 formed with the locking grooves 311 and 312 has a substantially square shape on one side of the detachable housing 32 of the substantially cylindrical length adjusting means 30. It is preferable that a pair of engaging grooves 311 and 312 are formed to protrude and face upward.
  • the length adjusting means detachable part 31, in which the pair of opposing hooking grooves 311 and 312 are formed to face upward, is adjacent to the length adjusting means 30 when attaching the shoes. It is preferably located between the two shoelace holes 12 (upper side of the shoe upper 13) through which the two shoelace loops pass.
  • the length adjusting means 30 includes a detachable housing 32 in which a detachable adjusting means 31 is formed, a fixed housing 33, and a winding drum 34. , and a rotating housing 35.
  • the length adjusting device includes components, it is not limited to any length adjusting means.
  • the length adjusting means 30 has a detachable adjusting means 31 formed on one side and a cylindrical receiving part 32-1 with an open top therein.
  • a detachable housing 32 a fixed housing 33 that is seated and fixed to the accommodating part 32-1 and has a through part 331 penetrating vertically;
  • a winding drum 34 having a winding part 34-1 disposed in the penetrating part 331 to which the wire 20 is wound or unwound, and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housing 33, wherein the winding
  • the drum 34 is coupled to the axis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rotating housing 35 for rotating the winding drum 34 is included.
  • the detachable housing 32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a cylindrical accommodating portion 32-1 with an open top is formed therein so that the fixed housing 33, the winding drum 34, and the rotating housing 35 are accommodated therein. to provide a space for the length adjusting means 30 to operate, and the length adjusting means detachable part 3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wo shoes through a pair of opposing locking grooves 311 and 312.
  • the two shoelace loops 21 (see FIG. 4A) passing through the lace hole 12 are fitted and fixed to face each other so that the length adjusting means 30 can be fixed to the shoe.
  • the detachable housing 32 has two lines of shoelace loops 21 fitted and fixed to a pair of hooking grooves 311 and 312 at its lower side;
  • FIG. 4a passe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13 through the two adjacent shoelace holes 12, and then branches into two first and second lines 211 and 212, respectively, to form the first line 211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line 212, which is the other two lines, is separated to form a shoelace loop branch 321 to be connected to the winding drum 34, and the shoelace loop branch 321 ) is further formed with a shoelace passage hole 322 connected to the winding drum 34 through which the two second lines 212 branched from the shoelace loop branching portion 321 pass through the center portion adjacent to ).
  • the shoelace loop divergence portion 321 has an overall cross section of a “ ⁇ ” shape, and the upper 13 passes through two adjacent shoelace holes 12.
  • Two shoelace loop passage holes (321-1) facing each other so that the two shoelace loops 21 passing through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pass through and branch into two lines (211, 212) to pass through. ) is formed, and the first line 211 in the two first and second lines 211 and 212 diverging between the two shoelace loop passage holes 321-1 are connected and fixed to each other in the form of a groove.
  • a shoelace loop connection groove 321-2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lines 212, which are two separate lines, pass through the two shoelace loop passage holes 321-1, respectively, and pass through the shoelace. It is connected to the winding drum 34 via the hole 322.
  • the fixed housing 33 has a through portion 331 penetrating vertically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so as to be se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32-1 of the detachable housing 32. has been
  • the fixed housing 33 is formed with a toothed tooth (not shown) processed into a shape that allows rotation of the rotation housing 35 in one direction only when engaged with a latch (not shown) of the rotation housing 35 to be described later. do. Since the interlocking structure of the fixed housing and the rotating housing is a well-known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winding drum 34 when the fixed housing 33 is se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32-1 of the detachable housing 32, the penetrating portion of the fixed housing 33 331 is provided with a winding portion 34-1 on which the wire 20 is wound or unwound.
  • the second lines 212 (see FIG. 4B), which are two lines separated after passing through the two shoelace loop passage holes 321-1, are separated through the shoelace passage hole As two lines via 322, they are separated from the winding part to face each other and are wound or unwound.
  • the rotating housing 35 serves as a handle when winding the wire,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housing 33 and movable upward or downward in the axial direction.
  • the rotary housing 35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housing 33, and is coupled to rotate the winding drum 34 while being movable vertically in the axial direction with the winding drum 34 as an axis. . Since the structure of such a rotating housing is also a well-known technology, additional explanations will be omitted.
  • the cylindrical overall length adjusting means 30 is stably adhered to the shoe 10. It is easily fixed and attached so that the shoelace can be stably and easily loosened or tightene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shoelace tightening device using a shoelace loop, and relates not only to shoes, but also to clothes or accessories worn by tightening wires or laces, such as hats, belts, gloves, bags, water skis, snowboarding, etc. It can be widely used by applying it to a tightening device tha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for items such as , exercise equipment, etc.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 조절 수단의 일측에, 신발끈 구멍을 경유한 신발끈 루프를 끼움고정하여 길이 조절 수단의 권취 및 권취 해제에 따라 조임 및 조임 해제될 수 있는 걸림홈부가 형성되는 길이 조절 수단 탈부착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줄 길이 조절 수단을 맞춤형으로 사용자의 신발 등에 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된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본 발명은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 조절 수단의 일측에, 신발끈 구멍을 경유한 신발끈 루프를 끼움고정하여 길이 조절 수단의 권취 및 권취 해제에 따라 조임 및 조임 해제될 수 있는 걸림홈부가 형성되는 길이 조절 수단 탈부착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줄 길이 조절 수단을 맞춤형으로 사용자의 신발 등에 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된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운동화 등의 신발에는 신발이 각 개인의 발에 잘 맞도록 하기 위한 신발끈이 구비된다. 착용자는 안전하고 쾌적한 보행이 가능하도록 신발을 신은 후 신발끈을 적절히 당겨 조임으로써 자신의 발과 신발이 밀착되도록 한다.
한편, 신발을 신고 벗을 때마다 신발끈을 풀거나 다시 조이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인데,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한 줄 길이 조절장치들이 다수 개발,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제959800호(2010 5 28 공고)에는, 고정 하우징, 고정 하우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하우징, 고정 및 회전하우징 내에 마련되며, 줄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권취 드럼, 고정 및 회전하우징 중 어느 한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되, 고정 및 회전하우징이 상호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 톱니치형 및 제2 톱니치형, 고정 및 회전하우징 중 상기 제1 톱니치형 및 제2 톱니치형이 구비되지 않은 다른 한 하우징에 마련되며, 권취 드럼에 줄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될 수 있도록 제1 톱니치형 또는 제2 톱니치형과 맞물려 상호 작용하는 래치, 권취 드럼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돌기, 회전하우징에 형성되고 가이드돌기가 수용되어 안내되는 돌기안내부, 회전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자유곡선형 스프링, 및 래치가 제1 톱니치형 및 제2 톱니치형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고정 및 회전하우징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줄 길이 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147681호(2012 5 22 공고)에는, 고정 하우징과, 고정 하우징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하우징, 고정 하우징 및 회전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권취 드럼, 고정 하우징 및 회전하우징을 결합시키는 결합유닛, 및 회전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자유곡선형 스프링을 포함하며, 고정 하우징 및 회전하우징중 어느 한 하우징의 일측에는 제1 톱니치형 및 제2 톱니치형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톱니치형 및 제2 톱니치형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다른 한 하우징에는 제2 톱니치형 또는 제1 톱니치형과 선택적으로 맞물려 상호 작용하는 래치가 구비되며, 회전하우징의 하부 영역 및 권취 드럼의 상부 영역에는 상호 맞물리면서 작용하는 하우징 결합톱니 및 드럼 결합톱니가 각각 원을 이루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 제1107372호(2012 1 19 공고)에는, 중앙 영역에 드럼 회전축이 형성되는 고정 하우징과, 고정 하우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하우징, 고정 하우징과 회전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며, 줄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권취부가 구비되는 권취 드럼, 및 고정 하우징 및 회전하우징을 결합시키며 줄의 권취 또는 권취해제 동작을 위하여 회전하우징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가이드하는 결합유닛 가이드 샤프트를 포함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줄 길이 조절장치는 운동화 등 신발의 제조의 제조단계에서 신발에 일체로 부착되어 제공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줄 길이 조절장치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로 제작된 신발, 즉 종래와 같이 기본적으로 신발끈이 구비된 형태로 제작, 판매되는 기성 운동화 등의 신발에는 사후적으로 이러한 줄 길이 조절장치를 적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 조절 수단의 일측에, 신발끈 구멍을 경유한 신발끈 루프를 끼움고정하여 길이 조절 수단의 권취 및 권취 해제에 따라 조임 및 조임 해제될 수 있는 걸림홈부가 형성되는 길이 조절 수단 탈부착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줄 길이 조절 수단을 맞춤형으로 사용자의 신발 등에 쉽게 부착하여 신발끈을 쉽게 풀거나 조일 수 있도록 한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길이 조절 수단의 일측에 두 개의 인접하는 신발끈 구멍을 경유한 두 개의 신발끈 루프를 끼움고정하여 길이 조절 수단의 권취 및 권취 해제에 따라 조임 및 조임 해제 될 수 있는 두 개의 걸림홈부가 형성되는 길이 조절 수단 탈부착부를 구비함으로써, 원통형의 전체 길이 조절 수단이 안정적으로 신발에 밀착되는 형태로 용이하게 고정 부착하여 신발끈을 보다 안정적으로 쉽게 풀거나 조일 수 있는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길이 조절 수단에 원통형의 탈부착 하우징을 더 구비하여 대향하는 두 개의 걸림홈부에 끼움 고정된 두 줄로 된 각 신발끈 루프가 인접하는 두 개의 신발끈 구멍을 통해 갑피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한 후, 각각 두 개의 제 1 및 제 2 줄로 분기되어 제 1 줄은 상호 연결되고 다른 두 개의 줄인 제 2 줄은 분리되어 상기 권취 드럼으로 연결하도록 하는 신발끈 루프 분기부를 별도로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탈부착이 용이하면서도 더욱 안정적으로 길이 조절 수단을 신발에 밀착한 상태에서 신발 끈을 풀거나 조일 수 있는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는, 신발에 형성된 복수 개의 신발끈 구멍 또는 신발끈 고리를 경유하여 연결되는 신발끈; 및 상기 신발끈이 내부에 권취되어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신발끈을 조일 수 있는 길이 조절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길이 조절 수단은 신발끈 구멍 또는 신발끈 고리를 경유한 신발끈 루프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길이 조절 수단은 상기 신발끈 루프가 고정되는 길이 조절 수단 탈부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길이 조절 수단 탈부착부는 상기 신발끈 루프가 끼움고정되는 걸림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홈부는 상기 길이 조절 수단 탈부착부의 상측에 대향되게 2개 형성되어 인접하는 두 개의 신발끈 구멍을 경유한 두 개의 신발끈 루프가 대향되게 끼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길이 조절 수단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수용부를 내부에 갖는 탈부착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길이 조절 수단 탈부착부는 상기 탈부착 하우징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길이 조절 수단은, 상기 탈부착 하우징의 상기 수용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며,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부를 갖는 고정 하우징; 상기 관통부 내에 배치되어 신발끈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권취부를 구비하는 권취 드럼; 및 상기 고정 하우징에 대해 회전가능하며, 상기 권취 드럼을 축으로 축방향으로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권취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 수단 탈부착부는 길이 조절 수단의 부착시에 두 개의 신발끈 루프가 통과하는 인접하는 두 개의 신발끈 구멍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부착 하우징은, 그 하측에 형성되며, 대향하는 두 개의 걸림홈부에 끼움 고정된 두 줄로 된 각 신발끈 루프가 상기 인접하는 두 개의 신발끈 구멍을 통해 갑피를 통과한 후, 각각 두 개의 제 1 및 제 2 줄로 분기되어 제 1 줄은 상호 연결되고 다른 두 개의 줄인 제 2 줄은 분리되어 상기 권취 드럼으로 연결하도록 하는 신발끈 루프 분기부; 및 상기 신발끈 루프 분기부에 인접한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신발끈 루프 분기부로부터 분기된 두 개의 제 2 줄이 통과하여 상기 권취 드럼으로 연결되는 신발끈 통과 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발끈 루프 분기부는, 인접하는 두 개의 신발끈 구멍을 통해 갑피를 통과하여 경유한 두 개의 신발끈 루프가 대향되게 통과하면서 제 1 및 제 2 줄로 분기되어 통과하도록 양측으로 대향하는 2개의 신발끈 루프 통과홀; 및 상기 대향하는 2개의 신발끈 루프 통과홀 사이에 형성되어 분기되는 두 개의 제 1 줄은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신발끈 루프 연결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두 개의 줄인 상기 제 2 줄은 각각 상기 2개의 신발끈 루프 통과홀을 통해 분리되어 상기 신발끈 통과 홀을 통해 상기 권취 드럼의 권취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권취 드럼으로 연결된 두 개의 줄인 상기 제 2 줄은 상기 권취부에서 대향되게 분리되어 권취 또는 권취해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에 의하면 신발끈 구멍, 신발끈 고리 또는, 설포를 경유한 신발끈 루프를 끼움고정하여 길이 조절 수단의 권취 및 권취 해제에 따라 조임 및 조임 해제될 수 있는 걸림홈부가 형성되는 길이 조절 수단 탈부착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줄 길이 조절 수단을 맞춤형으로 사용자의 신발 등에 쉽게 부착하여 신발끈을 쉽게 풀거나 조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길이 조절 수단의 일측에 두 개의 인접하는 신발끈 구멍을 경유한 두 개의 신발끈 루프를 끼움고정하여 길이 조절 수단의 권취 및 권취 해제에 따라 조임 및 조임 해제 될 수 있는 두 개의 걸림홈부가 형성되는 길이 조절 수단 탈부착부를 구비함으로써, 원통형의 전체 길이 조절 수단이 안정적으로 신발에 밀착되는 형태로 용이하게 고정 부착하여 신발끈을 보다 안정적으로 쉽게 풀거나 조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길이 조절 수단에 원통형의 탈부착 하우징을 더 구비하여 대향하는 두 개의 걸림홈부에 끼움 고정된 두 줄로 된 각 신발끈 루프가 인접하는 두 개의 신발끈 구멍을 통해 갑피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한 후, 각각 두 개의 제 1 및 제 2 줄로 분기되어 제 1 줄은 상호 연결되고 다른 두 개의 줄인 제 2 줄은 분리되어 상기 권취 드럼으로 연결하도록 하는 신발끈 루프 분기부를 별도로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으로 길이 조절 수단을 신발에 밀착한 상태에서 신발 끈을 풀거나 조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를 신발에 부착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의 길이 조절 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의 길이 조절 수단의 탈부착 하우징의 상면 및 배면 사시도들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의 길이 조절 수단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 및 배면 사시도들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를 신발에 부착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의 길이 조절 수단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의 길이 조절 수단의 탈부착 하우징의 상면 및 배면 사시도들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의 길이 조절 수단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 및 배면 사시도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100)는,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끈 구멍(12) 또는 신발끈 고리(미도시)가 구비되어 신발끈을 결속하도록 제작된 기성 운동화 등의 신발에 있어서, 신발 끈인 와이어를 활용하여 신발끈 구멍(12)(또는 신발끈 고리) 쪽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길이 조절 수단(30)에 길이 조절 수단 탈부착부(31)를 구비하여, 신발끈을 쉽게 풀거나 조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신발(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신발끈 구멍(12)를 경유하여 연결되는 신발끈인 와이어(20)와, 신발끈 구멍(12)(또는 신발끈 고리)을 경유한 신발끈 루프(21)가 끼움고정되는 걸림홈부(311, 312)가 구비되는 길이 조절 수단 탈부착부(31)가 구비되는 길이 조절 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홈부(311, 312)은 상기 길이 조절 수단 탈부착부(31)의 상측에 대향되게 2개 형성되어 두 개의 신발끈 구멍(12)을 경유한 두 개의 신발끈 루프(21; 도 4a 참조)가 대향되게 끼움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예에서는 길이 조절 수단(30)이 신발끈 구멍(12)(신발끈 고리도 가능)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나, 신발의 설포(11)에 형성된 레이스 루프(14)에 연결하여 탈부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할 와이어는 신발끈 루프인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100)에 부가되는 와이어(wire)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 종류의 와이어에 국한될 필요는 없으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등에서 와이어로 통칭하지만, 다양한 재질과 종류의 와이어를 모두 포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신발끈인 와이어(20)는, 본 출원에 대해 충분한 축방향 강도 및 굽힘성을 보이는 임의의 매우 다양한 중합체 또는 금속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조되거나, 땋거나(braided), 꼬거나 또는 달리 구성될 수 있는, 임의의 매우 다양한 중실 코어 와이어, 중실 코어중합체, 또는 다중 필라멘트 와이어 또는 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중실 또는 다중 필라멘트 금속 코어에는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PTFE 등과 같은 중합체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된 예에서는 조임 장치(100)가 신발에 구비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모자, 벨트, 장갑, 가방, 수상스키, 스노우보딩 등과 같이 와이어 내지 끈을 조임으로써 착용되는 옷이나 악세사리, 운동기구 등의 물품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조임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신발(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의 상하로 설포(11)가 형성되고 설포(11) 상측 좌우에 복수 개의 신발끈 구멍(12)가 대향되어 형성되어 와이어(20)가 교차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설포(11)에는 상하로 이격되어 대향하는 복수 개의 신발끈 구멍(12)을 교차 형태로 연결되는 와이어(20)가 연결되어 관통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레이스 루프(14)가 형성된다. 상호 대응하는 신발끈 구멍(12)의 간격은 동일하거나, 설포(11) 하측(갑피와 설포가 연결된 부분)에서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질 수 있다.
상기 길이 조절 수단(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20)가 내부에 권취되어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20)를 조이는 역활을 수행함과 동시에, 일측으로는 두 개의 신발끈 구멍(12)을 경유한 신발끈 루프(21)가 끼움고정되는 걸림홈부(311, 312)가 형성된 길이 조절 수단 탈부착부(31)를 구비하여 신발끈 루프(21)의 조임을 이용하여 길이 조절 수단(30)을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홈부(311, 312)가 형성된 길이 조절 수단 탈부착부(31)는 대략 원통형상의 길이 조절 수단(30)의 탈부착 하우징(32)의 일측에 대략 사각 형상으로 돌출되고 그 상측으로 대향하여 한 쌍의 걸림홈부(311, 31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하는 한 쌍의 걸림홈부(311, 312)가 상측으로 대향되게 형성된 길이 조절 수단 탈부착부(31)는 길이 조절 수단(30)의 신발 부착시에는 인접하여 두 개의 신발끈 루프가 통과하는 두 개의 신발끈 구멍(12) 사이(신발 갑피(13)의 상측)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 조절 수단(30)은 조절 수단 탈부착부(31)가 형성된 탈부착 하우징(32), 고정 하우징(33), 권취 드럼(34), 및 회전 하우징(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 수단의 타입에는 어떠한 한정이 없으며, 다양한 길이 조절수단에 상기 세가지의 구성요소는 필수로 포함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경우 길이 조절 수단의 타입에 어떠한 한정이 없으며, 필수 구성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길이 조절 장치라면 어떠한 길이 조절 수단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길이 조절 수단(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는 조절 수단 탈부착부(31)가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수용부(32-1)를 내부에 갖는 탈부착 하우징(32), 상기 수용부(32-1)에 안착되어 고정되며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부(331)를 갖는 고정 하우징(33); 상기 관통부(331) 내에 배치되어 와이어(20)가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권취부(34-1)를 구비하는 권취 드럼(34), 및 상기 고정 하우징(33)에 대해 회전가능하며, 상기 권취 드럼(34)을 축으로 축방향으로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권취 드럼(34)을 회전시키는 회전 하우징(35)이 포함되어 구성되어진다.
상기 탈부착 하우징(32)은 대략 원통형으로서,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수용부(32-1)가 형성되어 고정 하우징(33) 권취 드럼(34), 및 회전 하우징(35)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되어 길이 조절 수단(30)이 동작할 수 있는 공간을 부여하며, 일측에는 상기 길이 조절 수단 탈착부(31)가 형성되어 대향하는 한 쌍의 걸림홈부(311, 312)를 통해 두 개의 신발끈 구멍(12)을 경유한 두 개의 신발끈 루프(21; 도 4a 참조)가 대향되게 끼움 고정되도록 하여 길이 조절 수단(30)이 신발에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탈부착 하우징(32)은, 도 3b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측에 한 쌍의 상기 걸림홈부(311, 312)에 끼움 고정된 두 줄로 된 각 신발끈 루프(21; 도 4a 참조)가 상기 인접하는 두 개의 신발끈 구멍(12)을 통해 갑피(13)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한 후, 각각 두 개의 제 1 및 제 2 줄(211, 212)로 분기되어 제 1 줄(211)은 상호 연결되고 다른 두 개의 줄인 제 2 줄(212)은 분리되어 상기 권취 드럼(34)으로 연결하도록 하는 신발끈 루프 분기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신발끈 루프 분기부(321)에 인접한 중앙부에는 상기 신발끈 루프 분기부(321)로부터 분기된 두 개의 제 2 줄(212)이 통과하여 상기 권취 드럼(34)으로 연결되는 신발끈 통과 홀(322)이 더 형성된다.
상기 신발끈 루프 분기부(321)는, 도 3b 및 도 도 4b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단면이 대략 "∪" 자의 형태로서, 인접하는 두 개의 신발끈 구멍(12)을 통해 갑피(13)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하여 경유한 두 개의 신발끈 루프(21)가 대향되게 통과하면서 2개의 줄(211, 212)로 분기되어 통과하도록 양측으로 대향하는 2개의 신발끈 루프 통과홀(321-1)이 형성되고, 상기 2개의 신발끈 루프 통과홀(321-1) 사이에는 분기되는 2개의 제 1 및 제 2 줄(211, 212)에서 제 1 줄(211)은 상호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홈형태로 형성된 신발끈 루프 연결홈(321-2)이 형성되어, 분리된 두 개의 줄인 제 2 줄(212)은 각각 상기 2개의 신발끈 루프 통과홀(321-1)을 통해 통과하여 상기 신발끈 통과 홀(322)를 경유한 권취 드럼(34)으로 연결되어 진다.
상기 고정 하우징(3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으로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부(331)를 가지며, 상기 탈부착 하우징(32)의 수용부(32-1)내에 안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 하우징(33)에는 후술하는 회전 하우징(35)의 래치(미도시)와 맞물릴 경우 회전 하우징(35)의 일 방향 회전만 허용하는 형상으로 가공된 톱니치형(도면 번호 미부여)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 하우징과 회전 하우징의 맞물림 구조는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권취 드럼(3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하우징(33)이 탈부착 하우징(32)의 수용부(32-1)내에 안착된 경우, 상기 고정 하우징(33)의 관통부(331) 내에 배치되어 와이어(20)가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권취부(34-1)를 구비한다.
즉, 상기 권취부(34-1)에는 2개의 신발끈 루프 통과홀(321-1)을 통해 분리되어 통과한 후 분리된 두 개의 줄인 제 2 줄(212; 도 4b 참조)이 신발끈 통과 홀(322)를 통해 경유하여 두 개의 줄로서 상기 권취부에서 대향되게 분리되어 권취 또는 권취해제 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회전 하우징(35)은 와이어를 권취할 때 손잡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고정 하우징(3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으로 상향 또는 하향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회전 하우징(35)은 고정 하우징(33)에 대해 회전가능하며, 상기 권취 드럼(34)을 축으로 축방향으로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권취 드럼(34)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 하우징의 구조도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추가적인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해서, 길이 조절 수단(30)의 일측에 두 개의 인접하는 신발끈 구멍을 경유한 두 개의 신발끈 루프(21)의 단부를 끼움고정하여 길이 조절 수단(30)의 권취 및 권취 해제에 따라 조임 및 조임 해제 될 수 있는 걸림홈부(311, 312)가 형성되는 길이 조절 수단 탈부착부(31)를 구비함으로써, 원통형의 전체 길이 조절 수단(30)이 안정적으로 신발(10)에 밀착되는 형태로 용이하게 고정 부착하여 신발끈을 안정적으로 쉽게 풀거나 조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신발 뿐만 아니라, 모자, 벨트, 장갑, 가방, 수상스키, 스노우보딩 등과 같이 와이어 내지 끈을 조임으로써 착용되는 옷이나 악세사리, 운동기구 등의 물품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조임 장치에 적용하여 널리 사용할 수 있다.

Claims (9)

  1. 신발에 형성된 복수 개의 신발끈 구멍 또는 신발끈 고리를 경유하여 연결되는 신발끈; 및
    상기 신발끈이 내부에 권취되어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신발끈을 조일 수 있는 길이 조절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길이 조절 수단은,
    신발끈 구멍 또는 신발끈 고리를 경유한 신발끈 루프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 수단은,
    상기 신발끈 루프가 고정되는 길이 조절 수단 탈부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길이 조절 수단 탈부착부는,
    상기 신발끈 루프가 끼움고정되는 걸림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부는,
    상기 길이 조절 수단 탈부착부의 상측에 대향되게 2개 형성되어 인접하는 두 개의 신발끈 구멍을 경유한 두 개의 신발끈 루프가 대향되게 끼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 수단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수용부를 내부에 갖는 탈부착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길이 조절 수단 탈부착부는 상기 탈부착 하우징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 수단은,
    상기 탈부착 하우징의 상기 수용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며,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부를 갖는 고정 하우징;
    상기 관통부 내에 배치되어 신발끈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권취부를 구비하는 권취 드럼; 및
    상기 고정 하우징에 대해 회전가능하며, 상기 권취 드럼을 축으로 축방향으로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권취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수단 탈부착부는 길이 조절 수단의 부착시에 두 개의 신발끈 루프가 통과하는 인접하는 두 개의 신발끈 구멍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하우징은,
    그 하측에 형성되며, 대향하는 두 개의 걸림홈부에 끼움 고정된 두 줄로 된 각 신발끈 루프가 상기 인접하는 두 개의 신발끈 구멍을 통해 갑피를 통과한 후, 각각 두 개의 제 1 및 제 2 줄로 분기되어 제 1 줄은 상호 연결되고 다른 두 개의 줄인 제 2 줄은 분리되어 상기 권취 드럼으로 연결하도록 하는 신발끈 루프 분기부; 및
    상기 신발끈 루프 분기부에 인접한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신발끈 루프 분기부로부터 분기된 두 개의 제 2 줄이 통과하여 상기 권취 드럼으로 연결되는 신발끈 통과 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끈 루프 분기부는,
    인접하는 두 개의 신발끈 구멍을 통해 갑피를 통과하여 경유한 두 개의 신발끈 루프가 대향되게 통과하면서 제 1 및 제 2 줄로 분기되어 통과하도록 양측으로 대향하는 2개의 신발끈 루프 통과홀; 및
    상기 대향하는 2개의 신발끈 루프 통과홀 사이에 형성되어 분기되는 두 개의 제 1 줄은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신발끈 루프 연결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두 개의 줄인 상기 제 2 줄은 각각 상기 2개의 신발끈 루프 통과홀을 통해 분리되어 상기 신발끈 통과 홀을 통해 상기 권취 드럼의 권취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드럼으로 연결된 두 개의 줄인 상기 제 2 줄은 상기 권취부에서 대향되게 분리되어 권취 또는 권취해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PCT/KR2022/005567 2021-09-29 2022-04-19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WO2023054824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22353336A AU2022353336A1 (en) 2021-09-29 2022-04-19 Detachable shoelace tightening device using shoelace loo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051 2021-09-29
KR1020210129051A KR102449997B1 (ko) 2021-09-29 2021-09-29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4824A1 true WO2023054824A1 (ko) 2023-04-06

Family

ID=78617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5567 WO2023054824A1 (ko) 2021-09-29 2022-04-19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839265B2 (ko)
EP (1) EP4159078B1 (ko)
JP (1) JP7420398B2 (ko)
KR (1) KR102449997B1 (ko)
CN (1) CN115868772A (ko)
AU (1) AU2022353336A1 (ko)
WO (1) WO20230548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44503A (zh) * 2022-11-21 2023-03-07 江馨月 一种正反转松紧系绳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9351U (ja) * 2015-05-26 2015-08-20 基宏 長生 靴紐締め付け固定保持具
KR200480235Y1 (ko) * 2015-09-16 2016-04-27 소윤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KR20160147231A (ko) * 2016-04-22 2016-12-22 케이투코리아 주식회사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
KR20200113644A (ko) * 2019-03-26 2020-10-07 최명국 이동식 신발끈 조임장치
KR102176243B1 (ko) * 2020-04-22 2020-11-09 이동훈 신발끈 풀림 방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93578B (it) * 1981-01-28 1988-07-08 Nordica Spa Dispositivo di chiusura particolarmente per scarponi da sci
US5157813A (en) * 1991-10-31 1992-10-27 William Carroll Shoelace tensioning device
DE4305671A1 (de) * 1993-02-24 1994-09-01 Pds Verschlustechnik Ag Schuh
FR2706743B1 (ko) * 1993-06-21 1995-08-25 Salomon Sa
US20040221433A1 (en) * 2003-05-06 2004-11-11 Flyclip Llc Lace retention clip
US7516914B2 (en) * 2004-05-07 2009-04-14 Enventys, Llc Bi-directional device
DE102005037967A1 (de) * 2005-08-11 2007-02-15 Head Germany Gmbh Drehverschluss für einen Schuh
US20070169378A1 (en) * 2006-01-06 2007-07-26 Mark Sodeberg Rough and fine adjustment closure system
KR100959800B1 (ko) 2009-08-28 2010-05-28 소윤서 줄 길이 조절장치
US8321999B2 (en) * 2010-07-06 2012-12-04 Boden Robert O Self-locking cord lock with housing and slide piece
KR101147681B1 (ko) 2011-04-05 2012-05-22 소윤서 줄 길이 조절장치
KR101107372B1 (ko) 2011-05-30 2012-01-19 소윤서 줄 길이 조절장치
KR20130028402A (ko) * 2011-09-09 2013-03-19 소윤서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및 그를 구비하는 신발
WO2014165541A2 (en) * 2013-04-01 2014-10-09 Boa Technology Inc. Methods and devices for retrofitting footwear to include a reel based closure system
US9681705B2 (en) * 2013-09-13 2017-06-20 Boa Technology Inc. Failure compensating lace tension devices and methods
US20160058130A1 (en) * 2014-08-28 2016-03-03 Boa Technology Inc. Multi-purpose closure system
JP6529593B2 (ja) 2015-10-07 2019-06-12 プーマ エス イーPuma Se 靴、特に運動靴
WO2018107050A1 (en) * 2016-12-09 2018-06-14 Boa Technology Inc. Reel based closure system
US9918516B1 (en) * 2017-02-08 2018-03-20 LNZ Products Inc. Lace 'N lock shoe tying system
US11357279B2 (en) * 2017-05-09 2022-06-14 Boa Technology Inc. Closure components for a helmet layer and methods for installing same
US10772384B2 (en) * 2017-07-18 2020-09-15 Boa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s for minimizing dynamic lace movement
CN108451098B (zh) 2018-03-09 2019-11-01 深圳市菲特奥科技有限公司 绳带调整装置及组件
KR20230066129A (ko) * 2018-09-06 2023-05-12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피드백 메커니즘을 갖는 동적 끈 조절 시스템
WO2020217176A1 (en) 2019-04-23 2020-10-29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automatic lacing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9351U (ja) * 2015-05-26 2015-08-20 基宏 長生 靴紐締め付け固定保持具
KR200480235Y1 (ko) * 2015-09-16 2016-04-27 소윤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KR20160147231A (ko) * 2016-04-22 2016-12-22 케이투코리아 주식회사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
KR20200113644A (ko) * 2019-03-26 2020-10-07 최명국 이동식 신발끈 조임장치
KR102176243B1 (ko) * 2020-04-22 2020-11-09 이동훈 신발끈 풀림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39265B2 (en) 2023-12-12
KR102449997B1 (ko) 2022-10-04
AU2022353336A1 (en) 2024-02-29
US20230097542A1 (en) 2023-03-30
JP2023050056A (ja) 2023-04-10
EP4159078A1 (en) 2023-04-05
EP4159078B1 (en) 2024-04-24
CN115868772A (zh) 2023-03-31
JP7420398B2 (ja)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24827A1 (ko) 줄 길이 조절장치
CN108741424B (zh) 鞋制品
US6286233B1 (en) Internally laced shoe
EP3549473A1 (en) Wire tightening device
WO2023054824A1 (ko)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WO2015163594A1 (ko) 와이어 조임장치
KR102635805B1 (ko) 구역 동적 레이싱 시스템
WO2013036006A1 (ko)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및 그를 구비하는 신발
WO2011025243A2 (ko) 줄 길이 조절장치
JPS59200606A (ja) 結び目確保器
JP2015229111A (ja) スポーツブーツ用の単一リールの区分された締め紐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備えたスポーツブーツ
WO2010147330A2 (ko) 줄 길이 조절장치
WO2010030066A1 (ko) 신발의 외줄 쾌속 결속구조
WO2013122382A1 (ko)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
WO2022065715A1 (ko)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
WO2017078419A1 (ko) 신고 걸으면 끈이 조여지며 끈 교체가 가능한 운동화
KR102550045B1 (ko)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WO2010087534A9 (ko) 신발끈 조임장치
KR101982599B1 (ko) 신발의 끈조임장치
KR102453511B1 (ko)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WO2018203665A1 (ko) 신발끈 풀림방지 및 매듭장치
JPH10179210A (ja) 新規な緊締部品を備えた靴
WO2020166733A1 (ko) 샌들
WO2021040229A2 (ko) 와이어 조임장치
KR20180062475A (ko) 릴시스템의 와이어 묶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765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AU2022353336

Country of ref document: AU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353336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220419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