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7231A -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 - Google Patents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7231A
KR20160147231A KR1020160049168A KR20160049168A KR20160147231A KR 20160147231 A KR20160147231 A KR 20160147231A KR 1020160049168 A KR1020160049168 A KR 1020160049168A KR 20160049168 A KR20160049168 A KR 20160049168A KR 20160147231 A KR20160147231 A KR 20160147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wire
pad structure
detachable
structure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기
Original Assignee
케이투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투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투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9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7231A/ko
Publication of KR20160147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2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44Cuff por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2Hats; Caps; Hoods adjustable in size ; Form-fitting or self adjusting head coverings; Devices for reducing hat siz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4Devices or coupling-pieces designed for easy formation of adjustable loops, e.g. choker hooks; Hooks or eyes with integral parts designed to facilitate quick attachment to cables or ropes at any point, e.g. by forming lo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는 임의의 대상물에 착탈식으로 부착 가능한 베이스 패드와, 상기 베이스 패드에 부착되고, 일방 회전에 의해 루프 형태의 체결 와이어를 외부로부터 내부에 감을 수 있는 권취 모드와 내부에 권취된 체결 와이어를 해제하여 수동으로 외부로 인출 가능한 인출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한 권취 릴과, 상기 임의의 대상물에 부착되고, 상기 권취 릴을 출입하는 것을 통해 길이 조절되는 체결 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와이어 가이드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A DETACHABLE ADJUSTING FASTENER PAD STRUCTURE}
본 발명은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대상물에 탈부착 가능한 베이스 패드와 해당 패드에 고정되는 기구로서, 일방 회전에 의해 루프 형태의 체결 와이어를 외부로부터 내부에 감을 수 있는 권취 모드와 내부에 권취된 체결 와이어를 해제하여 수동으로 외부로 인출 가능한 인출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한 권취 릴을 포함하는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와 이를 포함하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여가를 즐기기 위해 아웃도어와 레저 활동이 붐이 일고 있고, 이에 관한 다양한 제품이 개발 및 시판되고 있다.
스포츠 장갑, 모자, 신발, 베낭 등 이러한 제품들 중 상당수는 제품 착용자의 신체에 맞도록 간극 조절을 위해 해당 제품에 고정 부착된 체결 요소를 손으로 직접 조여서 체결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해당 제품에 개별적으로 고정된 체결 요소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기계적 수단으로 손쉽게 유격을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어떤 제품에도 착탈식으로 고정 가능한 용품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일방 회전에 의해 루프 형태의 체결 와이어를 외부로부터 내부에 감을 수 있는 권취 모드와 내부에 권취된 체결 와이어를 해제하여 수동으로 외부로 인출 가능한 인출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한 권취 릴을 포함하고, 착탈식 구성으로 인해 어떤 용품에도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한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용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는 임의의 대상물에 착탈식으로 부착 가능한 베이스 패드와, 상기 베이스 패드에 부착되고, 일방 회전에 의해 루프 형태의 체결 와이어를 외부로부터 내부에 감을 수 있는 권취 모드와 내부에 권취된 체결 와이어를 해제하여 수동으로 외부로 인출 가능한 인출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한 권취 릴과, 상기 임의의 대상물에 부착되고, 상기 권취 릴을 출입하는 것을 통해 길이 조절되는 체결 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와이어 가이드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패드는 상기 대상물과 결합 가능한 패스너를 저면에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패스너는 억지 끼움 기구와 벨크로 테이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패드는 고정된 위치에서 상기 체결 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와이어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는 상기 베이스 패드 상에 설치된 체결 릴을 중심으로 일측에 나란히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는 상기 베이스 패드 상에 설치된 체결 릴을 중심으로 양측에 나란히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는 체결 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 섹션은 체결 고리, 체결 링, 벨크로 테이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패드는 상기 대상물의 간극 조절 영역에 부착되며, 상기 대상물은 장갑류, 모자류, 가방류, 신발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를 포함하는 장갑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를 포함하는 모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를 포함하는 신발이 제공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일방 회전에 의해 루프 형태의 체결 와이어를 외부로부터 내부에 감을 수 있는 권취 모드와 내부에 권취된 체결 와이어를 해제하여 수동으로 외부로 인출 가능한 인출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한 권취 릴을 구비한 베이스 패드를 임의의 대상물에 착탈식으로 부착할 수 있으므로, 필요시 어떤 용품에도 부착하여 해당 용품 착용자의 신체에 맞게 용품의 간극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를 전후방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의 권취 릴의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를 장착한 장갑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장갑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다른 실시예의 장갑 및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의 분해 및 장착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의 장갑 및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의 분해 및 장착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의 상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의 하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수용 하우징과 패스너 릴부로 이루어진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의 권취 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체결 위치에서 수용 하우징의 치부와 탄성 체결 부재의 치부가 상호 맞물리는 상태(상부 도면)와 회전 커버를 제외한 상태로 수용 하우징 내에 패스너 릴부가 설치된 상태(하부 도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체결 위치의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의 권취 릴의 일부 절단 단면 사시도 및 전체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패스너 릴부가 수용 하우징으로부터 상향 이동된 체결 해제 위치의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의 권취 릴의 일부 절단 단면 사시도 및 전체 사시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각각 도 1의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를 모자와 신발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는 임의의 대상물에 착탈식으로 부착 가능한 베이스 패드(190)와, 상기 베이스 패드(190)에 부착되고, 일방 회전에 의해 루프 형태의 체결 와이어(W)를 외부로부터 내부에 감을 수 있는 권취 모드와 내부에 권취된 체결 와이어를 해제하여 수동으로 외부로 인출 가능한 인출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한 권취 릴(100)과, 상기 임의의 대상물에 부착되고, 상기 권취 릴(100)을 출입하는 것을 통해 길이 조절되는 체결 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와이어 가이드 섹션(213)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패드(190)는 상기 대상물과 결합 가능한 패스너(도 4의 191, 도 7의 191')를 구비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패스너(도 4의 191)는 억지 끼움 기구와 벨크로 테이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패드(190)는 고정된 위치에서 상기 체결 와이어(W)의 이동을 안내하는 와이어 가이드(1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가이드(193)는 상기 베이스 패드(190) 상에 설치된 권취 릴(100)을 중심으로 양측에 나란히 고정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권취 릴(100)을 중심으로 일측에 나란히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 가이드(193)의 배치는 권취 릴(100)의 권취 모드에서 와이어 유입구(182a, 182b)를 통해 양단측 각각이 릴 내로 권취되고 릴로부터 풀리는 체결 와이어(W)의 가이드 방향과 관련된다.
구체적으로, 권취 릴(100)을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시, 체결 와이어가 일측으로만 이동됨으로써, 소정의 대상물의 간격 조정을 일측에서만 행할 수 있고, 권취 릴(100)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시, 체결 와이어가 양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소정의 대상물의 간격 조정을 양측에서만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 가이드(193)의 배치는 소정의 대상물에 부착되는 후술하는 와이어 가이드 섹션(213)의 배치와도 연계되므로, 해당 와이어 가이드 섹션(213)도 동일하게 배치가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어 가이드(193)는 와이어가 끼워져서 이동이 안내되는 체결 링일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 가이드 섹션(213)은 체결 고리, 체결 링, 벨크로 테이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패드(190)는 소정 대상물의 간극 조절 영역에 부착되며, 상기 대상물은 장갑류, 모자류, 가방류, 신발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은 도 1 및 도 2의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를 장갑(200)에 적용한 예를 보여주는데, 상기 장갑은 상기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가 착탈식으로 부착되고, 착용자의 손등의 폭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 와이어 가이드 섹션(213)을 갖는 손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 패드(190)와 장갑의 손등부에는 상호간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를 구비한다. 상기 손등부는 가장자리부를 제외한 중심 부분이 빈 형태로 형성되되, 베이스 플레이트(190)와 손등부 하부 측에 상호 대응하는 체결구(191', 211'; 도 7 참조)를 구비하여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도 7-8 참조).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는 상기 손등부에 착탈식으로 부착 가능한 베이스 패드(190)와, 상기 베이스 패드(190)에 부착되고, 일방 회전에 의해 루프 형태의 체결 와이어(W)를 외부로부터 내부에 감을 수 있는 권취 모드와 내부에 권취된 체결 와이어를 해제하여 수동으로 외부로 인출 가능한 인출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한 권취 릴(100)을 포함하고, 상기 권취 릴을 출입하는 것을 통해 길이 조절되는 체결 와이어(W)는 상기 와이어 가이드 섹션(213)을 통해 이동이 안내된다.
유사하게, 상기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자와 신발에도 동일하게 착탈식으로 부착할 수 있으며, 그 구성도 유사하다.
상기 와이어 가이드 섹션(213)은 체결 고리, 체결 링, 벨크로 테이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데, 도면에는 벨크로 테이프로 부착되어 루프를 이루는 체결구가 예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가이드 섹션(213)을 구성하는 체결구는 절반으로 접혀진 작은 직사각형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절반부가 손등부(장갑의 경우)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된 절반부와 접을 수 있는 나머지 절반부는 상호 결합시 체결되는 구성을 갖는데, 도면에서는 벨크로 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가이드 섹션(213)은 와이어(W)가 걸릴 수 있는 좁은 슬릿(213c)을 갖는 경질의 절곡형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와이어가 슬릿을 통해 삽입되면 쉽게 빠져나올 수 없고, 필요한 경우 와이어를 분리할 수도 있으므로, 별도의 체결구를 요하지 않고도 베이스 패드를 대상물에 대해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권취 릴(100)을 권취 모드에서 일방 회전시키면, 와이어 가이드(193)와 와이어 가이드 섹션(213)에 끼워져서 안내되는 체결 와이어가 감기면서 길이가 줄어들어 장갑, 모자, 신발 등의 대상물에 부착된 와이어 가이드 섹션(213)을 당기게 되어 간극을 줄일 수 있으며, 권취 릴(100)을 인출 모드로 바꾸어 수동으로 체결 와이어를 인출하면, 반대로 체결 와이어가 풀리면서 장갑, 모자, 신발 등의 대상물의 간극 조절 영역의 간극을 넓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권취 릴(100)은 일방 회전에 의해 루프 형태의 체결 와이어(W)를 외부로부터 내부에 감을 수 있는 권취 모드와 내부에 권취된 체결 와이어를 해제하여 수동으로 외부로 인출 가능한 인출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한 어떤 권취 릴도 본 발명의 구성에 속하는데, 도 9 내지 도 16에 도시된 권취 릴을 예로 들어 그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권취 릴(100)은 크게 와이어 권취용 스풀(170)을 수용하는 원통형 수용 하우징(180)과, 체결 위치에서 일방향으로만, 즉 상기 스풀(170)을 와이어 권취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고, 체결 해제 위치, 즉 상향 이동된 위치에서는 어느 방향으로의 회전시에도 상기 스풀(170) 및 원통형 수용 하우징(180)과 공전되는 패스너 릴부를 포함한다.
상기 원통형 수용 하우징(180)은 베이스(182)의 대향 벽부에 와이어(W)의 통로(182a, 182b)가 형성되고 바닥에 중심 보스(181)가 형성되며, 원통형 벽부(183)의 상부에 내주 치부(183a)가 형성된 상부 개방형의 원통형 수용 하우징이다.
상기 스풀(170)은 와이어(W)가 권취되는 원통형의 릴부로서 상기 수용 하우징(180)에 수용되고, 상기 중심 보스(181)가 삽입되는 중심 구멍(171)과, 상기 중심 구멍(171)의 상하부에 상하부 둘레 연장부(172)와, 그 사이에 와이어 권취부(173)를 가진다.
상기 와이어 권취부(173)에는 상기 와이어 통로(182a, 182b)에 대응하는 대향 와이어 고정부(174a, 174b)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둘레 연장부(172)와 상기 중심 구멍(171) 사이에는 후술하는 원통형 수용 부재와 맞물리는 상부 치부(175)가 형성된다.
상기 패스너 릴부는 수용 하우징(180) 내에 수용된 와이어 권취용 스풀(170)의 치부(175) 및 수용 하우징(180)의 내주 치부(183a)와 상호 작용하여, 상호 간의 체결 위치에서는 와이어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스풀(170)에 와이어(W)가 권취되도록 하여 와이어(W)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체결 해제 위치에서는 스풀 및 수용 하우징과 공전됨으로써 와이어(W)를 손으로 당김으로써 스풀(170)로부터 와이어(W)가 풀려나와 와이어의 길이를 늘일 수 있게 한다.
상기 패스너 릴부는 상기 체결 위치에서 상기 수용 하우징(180)의 내주 치부(183a)와 맞물리는 체결 치부(153a)를 갖는 탄성 체결 부재(150)와, 상기 탄성 체결 부재(150)를 수용하는 수용 홈(164, 164a), 중심 구멍(161) 및 상기 체결 위치에서 상기 스풀(170)의 상부 치부(175)와 맞물리는 하부 치부(165)를 갖는 원통형 수용 부재(160)와, 상기 원통형 수용 부재(160)의 중심 구멍(161)에 삽입되고 중심 구멍(141)과 상부 플랜지(142)를 갖는 원통형 고정핀 수용 부재(140)와, 상기 원통형 수용 부재(160)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핀 수용 부재(140)의 플랜지(142) 둘레에 탄성 유지되는 스프링 부재(120)와, 상기 고정핀 수용 부재(140)의 중심 구멍(141)에 거치되는 상태로 삽입되어 상기 중심 보스(181)에 고정되는 고정핀(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스너 릴부는 상기 원통형 수용 부재(160)를 고정되게 커버하는 회전 커버(11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커버(110)의 외주에는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그립 노브(11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통형 수용 부재(160)와 상기 회전 커버(110)는 상호 고정을 위한 체결부가 존재하는데, 예컨대, 원통형 수용 부재(160)의 외주면과 상기 회전 커버(110)의 내주면에 각각 체결 돌기(166)와 체결 홈(115a)이 형성될 수 있고, 그 반대의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탄성 체결 부재(150)는 상기 원통형 수용 부재(160)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접촉 연장부(151a)를 갖는 축부(151)와 상기 접촉 연장부(151a)와 동일한 측면에 상기 체결 치부(153a)를 갖도록 상기 축부(151)로부터 연장되는 제1 아암(153)과, 상기 접촉 연장부(151a)와 상기 원통형 수용 부재(160)의 접촉시 상기 축부(151)를 중심으로 탄성력이 인가되도록 만곡된 제2 아암(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수용 부재(160)는 상기 탄성 체결 부재(150)가 수용되는 수용 홈(16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축부(151)와 상기 접촉 연장부(151a)는 상기 수용 홈(164)의 일부(164a) 내에 밀착 상태로 수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아암(153, 152)은 상기 수용 홈(164) 내에 간극을 두고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만곡된 제2 아암(152)은 원통형 수용 부재(160)의 회전시 상기 접촉 연장부(151a)에 힘이 인가될 때 상기 수용 홈(164)의 벽에 접촉 지지되는 말단 돌기(152a)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수용 홈(164)의 벽에 말단 돌기(152a)가 접촉될 때 받는 힘에 의해 상기 축부(151)를 중심으로 한 탄성 회전력을 발생시켜 제1 아암(153)을 내외측으로 선회시킴으로써 제1 아암(153)의 외측에 형성된 치부(153a)가 원통형 수용 하우징(180)의 내주 치부(183a)에 탄발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 체결 부재(150)는 상기 원통형 수용 부재(160)의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체결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면에서는 3개의 체결 부재가 예시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부재(120)는 서로 대향하는 절곡 단부(121a)와 상기 절곡 단부로부터 나란히 직선 연장되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어(123a) 연결되는 연결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수용 부재(160)는 상기 대향 절곡 단부(121a)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제1 지지 돌기(162)와 상기 나란한 직선부의 말단부인 절곡부(123a)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제2 지지 돌기(163)를 포함하는 스프링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 수용 부재(140)의 플랜지(142)는 실질적으로 반원형의 반경 방향 단면을 가지며, 상기 고정핀 수용 부재의 플랜지(142)에 탄성 고정되는 스프링 부재(120)는 상기 플랜지의 반원형 단면을 가로질러 상하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는 체결 릴부가 수용 하우징(180)으로부터 상향 이동되어 체결 해제 위치로 이동되더라도 고정핀 수용 부재(140)의 플랜지(142) 위에 걸려 있는 상태가 되므로, 체결 릴부가 상향 위치에서도 하강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상의 구성에 따른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의 권취 릴(100)의 작동을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릴의 정상 위치는 체결 릴부가 하강된 상태로 체결 릴부가 수용 하우징(180)의 치부(183a)와 스풀(170)의 치부(175)에 맞물린 체결 위치에 있는 상태를 말하며, 이 위치에서는 체결 릴부의 일방향 회전시(즉, 와이어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 스풀(170)을 연동회전시켜 와이어(W)가 스풀(170)에 감겨지고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은 불가하다.
즉, 체결 위치에서, 원통형 수용 부재(160)의 하부 치부(165)는 스풀(170)의 상부 치부(175)가 맞물리며, 이와 동시에 탄성 체결 부재(150)의 치부(153a)는 원통형 수용 하우징(180)의 내주 치부(183a)와 맞물린다.
이 상태에서, 체결 릴부 또는 회전 커버(110)를 화살표로 나타낸 와이어 권취 방향(도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 커버(110)에 고정된 원통형 수용 부재(160)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스풀(170)을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와이어를 귄취함으로써 와이어를 당기게 되며, 이와 같은 회전시, 수용 하우징(180)의 내주 치부(183a)에 맞물린 상태의 탄성 체결 부재(150)의 치부(153a)는, 치부의 경사 방향이 내주 치부(183a)와 동일하므로, 내주 치부(183a)의 각 이빨부를 하나씩 연속으로 타고 넘어가게 되므로, 딸깍거리는 소리와 함께 수용 하우징(180)의 내주 치부(183a)의 각 이빨부와 탄발적으로 맞물리면서 회전이 이루어져 와이어 권취가 행해진다.
이때, 이러한 회전시 탄성 체결 부재(150)의 축부(151)의 접촉 연장부(151a)가 수용 부재(160)의 내주면에 접촉되면서 축부(151)를 중심으로 제2 아암(152)이 수용 홈(164)의 벽에 접촉되도록 이동시키고, 이러한 접촉에 따른 제2 아암의 역방향의 탄성에 의해 제1 아암(153)을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아암(153)의 외측면의 치부(153a)가 항상 수용 하우징(180)의 치부(183a) 측으로 가압됨으로써, 회전시 딸깍거리는 소리가 나는 것과 함께 양측의 치부가 항상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게 되므로, 회전의 정지시, 그 위치에서 역방향의 이동은 일어나지 않고 고정된다.
그러나,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은 수용 하우징(180)의 내주 치부(183a)의 각 이빨부의 경사가 탄성 체결 부재(150)의 치부(153a)가 타고 넘을 수 없게 되어 있으므로 회전이 불가하기 때문에, 체결 릴부의 회전 방향은 일방향, 즉 와이어 권취 방향으로만 가능하다.
체결 위치에서의 체결 릴부의 회전 조작으로 줄어든 와이어의 길이를 늘이기 위해서는 체결 릴부를 체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행한다.
구체적으로, 체결 해제 위치는 체결 릴부를 수용 하우징(180)에 대해 상향 이동시켜 원통형 수용 부재(160)의 하부 치부(165)가 스풀(170)의 상부 치부(175)로부터 떨어지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탄성 체결 부재(150)의 치부(153a)가 원통형 수용 하우징(180)의 내주 치부(183a)로부터 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달성된다.
이때, 상향 이동된 체결 릴부는 스프링 부재(120)가 고정핀 수용 부재(140)의 플랜지(142)를 위로 타고 넘어가서 탄성 고정된 상태가 되므로, 상향 이동시키는 힘을 제거하더라도 플랜지(142)의 돌출부 때문에 하강되지 않고 그 위치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체결 릴부는 스풀(170) 및 수용 하우징(180)의 치부와 맞물림이 해제된 상태이므로 체결 릴부를 어느 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다른 연동 동작을 유발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와이어를 손으로 잡아당겨 적절하게 길이를 늘일 수 있으며, 다시 정확한 와이어 길이 조절을 위해 체결 릴부를 체결 위치로 하강시킨 후 체결 릴부의 일방향 회전을 통해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일방 회전에 의해 루프 형태의 체결 와이어를 외부로부터 내부에 감을 수 있는 권취 모드와 내부에 권취된 체결 와이어를 해제하여 수동으로 외부로 인출 가능한 인출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한 권취 릴을 구비한 베이스 패드를 임의의 대상물에 착탈식으로 부착할 수 있으므로, 필요시 어떤 용품에도 부착하여 해당 용품 착용자의 신체에 맞게 용품의 간극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Claims (12)

  1.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로서,
    임의의 대상물에 착탈식으로 부착 가능한 베이스 패드와, 상기 베이스 패드에 부착되고, 일방 회전에 의해 루프 형태의 체결 와이어를 외부로부터 내부에 감을 수 있는 권취 모드와 내부에 권취된 체결 와이어를 해제하여 수동으로 외부로 인출 가능한 인출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한 권취 릴과, 상기 임의의 대상물에 부착되고, 상기 권취 릴을 출입하는 것을 통해 길이 조절되는 체결 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와이어 가이드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드는 상기 대상물과 결합 가능한 패스너를 구비하는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억지 끼움 기구와 벨크로 테이프 중 어느 하나인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드는 고정된 위치에서 상기 체결 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와이어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는 상기 베이스 패드 상에 설치된 체결 릴을 중심으로 일측에 나란히 고정된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는 상기 베이스 패드 상에 설치된 체결 릴을 중심으로 양측에 나란히 고정된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는 체결 링인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 섹션은 체결 고리, 체결 링, 벨크로 테이프 중 어느 하나인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드는 상기 대상물의 간극 조절 영역에 부착되며, 상기 대상물은 장갑류, 모자류, 가방류, 신발류를 포함하는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를 포함하는 장갑.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를 포함하는 모자.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를 포함하는 신발.
KR1020160049168A 2016-04-22 2016-04-22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 KR201601472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168A KR20160147231A (ko) 2016-04-22 2016-04-22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168A KR20160147231A (ko) 2016-04-22 2016-04-22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345 Division 2015-06-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231A true KR20160147231A (ko) 2016-12-22

Family

ID=57723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168A KR20160147231A (ko) 2016-04-22 2016-04-22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723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7609A3 (ko) * 2017-07-21 2019-04-11 이상진 손목 보호대
KR20190138136A (ko) * 2018-06-04 2019-12-12 이상진 팔꿈치 보호대
KR102063257B1 (ko) * 2018-07-23 2020-01-07 재단법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조절 가능한 의복형 착용 로봇 및 무릎 근력 보조를 위한 의복형 착용 로봇
JP2020204127A (ja) * 2019-06-19 2020-12-2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サイズ調整可能な帽子
KR20210057504A (ko) * 2019-11-12 2021-05-21 주식회사 휴먼자숨 개량된 압박 조임구조를 갖는 건근육 접합부용 국부 압박 밴드장치
KR20210057507A (ko) * 2019-11-12 2021-05-21 주식회사 휴먼자숨 향상된 착용감을 갖는 건근육 접합부용 국부 압박 밴드장치
WO2023054824A1 (ko) * 2021-09-29 2023-04-06 와인드와이어 주식회사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7609A3 (ko) * 2017-07-21 2019-04-11 이상진 손목 보호대
CN110996701A (zh) * 2017-07-21 2020-04-10 李相真 手腕保护带
EP3679819A4 (en) * 2017-07-21 2020-12-16 Sang Jin Lee WRIST PROTECTION TAPE
KR20190138136A (ko) * 2018-06-04 2019-12-12 이상진 팔꿈치 보호대
KR102063257B1 (ko) * 2018-07-23 2020-01-07 재단법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조절 가능한 의복형 착용 로봇 및 무릎 근력 보조를 위한 의복형 착용 로봇
US11331240B2 (en) 2018-07-23 2022-05-17 Daegu Gyeongbuk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uit type exoskeleton adjustable to user's body size and suit type exoskeleton for knee power assistance
JP2020204127A (ja) * 2019-06-19 2020-12-2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サイズ調整可能な帽子
KR20210057504A (ko) * 2019-11-12 2021-05-21 주식회사 휴먼자숨 개량된 압박 조임구조를 갖는 건근육 접합부용 국부 압박 밴드장치
KR20210057507A (ko) * 2019-11-12 2021-05-21 주식회사 휴먼자숨 향상된 착용감을 갖는 건근육 접합부용 국부 압박 밴드장치
WO2023054824A1 (ko) * 2021-09-29 2023-04-06 와인드와이어 주식회사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7231A (ko)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
JP7030282B2 (ja) 一体化されたクロージャー装置部品および方法
US20220022607A1 (en) Integrated closure device components and methods
US11771179B2 (en) String adjustment device
US20190008236A1 (en) Wire tightening apparatus
KR101559109B1 (ko) 볼링용 손목 보호대
KR100953398B1 (ko) 신발끈 조임장치
KR200485472Y1 (ko) 끈을 자동으로 묶을 수 있는 회전식 버클
KR101053551B1 (ko) 신발끈 조임장치
US11064767B2 (en) Fastening device
KR20100111031A (ko) 신발끈 조임장치
JP2017513679A (ja) ワイヤー締付装置
US20170255082A1 (en) Mounting structure for a camera system
US8280242B2 (en) Camera-steadying device
US11849810B2 (en) Fastening device
CN113531002A (zh) 旋转控制松紧离合器
KR20170122462A (ko) 와이어 조임 장치
KR20190030580A (ko) 끈 조임장치
KR20170130340A (ko) 스트링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발과 옷
TWM551934U (zh) 多功能面罩
US11998087B2 (en) String adjustment device
JP7406197B1 (ja) ゴルフマーカーホルダー
CN108685270B (zh) 一种基于转子和定子的系带系统及其使用方法
CN216796707U (zh) 一种旋钮装置
KR20170109518A (ko) 끈 조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