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8136A - 팔꿈치 보호대 - Google Patents

팔꿈치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8136A
KR20190138136A KR1020180064312A KR20180064312A KR20190138136A KR 20190138136 A KR20190138136 A KR 20190138136A KR 1020180064312 A KR1020180064312 A KR 1020180064312A KR 20180064312 A KR20180064312 A KR 20180064312A KR 20190138136 A KR20190138136 A KR 20190138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bow
pressing
coupled
pad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1933B1 (ko
Inventor
이상진
Original Assignee
이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진 filed Critical 이상진
Priority to KR1020180064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933B1/ko
Publication of KR20190138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61F13/107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wrist support ; Compression devices for tennis elbow (epicondyl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8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2Adjustable pressure 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팔꿈치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조작부를 통한 압박 부재의 견인을 통해 압박 패드에 의한 팔꿈치 압박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고, 압박 패드를 결합 바디의 조작부와 동일 직선상에 정렬 배치함으로써, 압박 부재의 견인 과정에서도 압박 패드의 위치가 고정되어 압박 패드가 정상 압박 부위를 정확하게 압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더욱 편리한 사용이 가능함과 동시에 통증 완화 성능이 향상되고, 압박 부재를 견인하는 연결 와이어에 별도의 보호 패드를 장착함으로써, 팔꿈치 압박시에 압박 패드 이외의 부분에서 연결 와이어의 피부 압착에 따른 불편함 및 통증을 방지하여 더욱 쾌적하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2개 조작부를 통해 2개 압박 패드에 대한 압박 위치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팔꿈치 보호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팔꿈치 보호대{Elbow Guard}
본 발명은 팔꿈치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조작부를 통한 압박 부재의 견인을 통해 압박 패드에 의한 팔꿈치 압박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고, 압박 패드를 결합 바디의 조작부와 동일 직선상에 정렬 배치함으로써, 압박 부재의 견인 과정에서도 압박 패드의 위치가 고정되어 압박 패드가 정상 압박 부위를 정확하게 압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더욱 편리한 사용이 가능함과 동시에 통증 완화 성능이 향상되고, 압박 부재를 견인하는 연결 와이어에 별도의 보호 패드를 장착함으로써, 팔꿈치 압박시에 압박 패드 이외의 부분에서 연결 와이어의 피부 압착에 따른 불편함 및 통증을 방지하여 더욱 쾌적하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2개 조작부를 통해 2개 압박 패드에 대한 압박 위치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팔꿈치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팔을 이루는 관절은, 요골과 척골에 의해 팔목이 형성되고, 8개의 수근골로 손목이 형성되며, 회전, 굴곡, 신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5개의 중수골관절에 의해 손바닥이 형성되고, 다수의 수지골에 의해 물체를 잡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이 형성된다.
이들 관절군은 손으로 잡고 하는 운동 또는 활동시에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과사용으로 상해가 발생될 수 있으며 상해시 때로는 치유가 완전하지 못하게 됨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
야구나 테니스와 같은 운동을 하거나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노동자와 같은 사람들이 입는 상처로는 흔히 "테니스 엘보"라고 알려진 외측상과염이 있다. 테니스엘보는 팔꿈치 부근의 신전근건(extensor tendons)을 지나치게 사용해 외측상과가 파열된데서 기인한다. 이런 상처는 볼을 때리거나 라켓이나 해머를 휘드르거나 스크루드라이버를 돌릴 때 팔꿈치의 반복적인 요곡과 움직임을 요하는 활동에서 생긴다. 다른 공통적인 상처는 "골퍼 엘보"라고 알려진 내측상과염이 있다. 골퍼 엘보는 일반적으로 팔꿈치 근처의 굴근건(flexor tendons)의 과사용으로 내측상과 부근의 근육이 파열된데서 기인한다.
이러한 부상을 예방하고 통증을 경감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팔꿈치 보호대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팔꿈치 보호대는 팔꿈치 부위를 감싸는 밴드 형태로 형성되며, 팔꿈치의 외측면에서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고르게 팔꿈치 부위를 압박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팔꿈치 보호대는 팔꿈치 부위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압박하기 때문에, 장시간 착용할 경우, 팔꿈치 동맥의 혈류가 원활하지 못하게 되어 손저림 현상이 발생하거나 손이 붓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특히, 테니스 엘보 및 골퍼 엘보와 같은 부상의 경우, 팔꿈치 주변의 특정 근육을 압박하는 것이 통증 완화에 효과적인데, 일반적인 팔꿈치 보호대는 팔꿈치 주변을 전체적으로 압박하기 때문에, 특정 부위를 집중 압박하지 못하여 통증 완화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팔꿈치 보호대는 팔꿈치 주변의 특정 부위를 압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착용 과정에서 해당 부위를 정확하게 압박하도록 착용하기가 쉽지 않아 사용상의 불편함이 많았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7-0056297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조작부를 통한 압박 부재의 견인을 통해 압박 패드에 의한 팔꿈치 압박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고, 압박 패드를 결합 바디의 조작부와 동일 직선상에 정렬 배치함으로써, 압박 부재의 견인 과정에서도 압박 패드의 위치가 고정되어 압박 패드가 정상 압박 부위를 정확하게 압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더욱 편리한 사용이 가능함과 동시에 통증 완화 성능이 향상된 팔꿈치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박 부재를 견인하는 연결 와이어에 별도의 보호 패드를 장착함으로써, 팔꿈치 압박시에 압박 패드 이외의 부분에서 연결 와이어의 피부 압착에 따른 불편함 및 통증을 방지하여 더욱 쾌적하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팔꿈치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개의 압박 패드를 2개의 결합 바디에 각각 장착함으로써, 2개 결합 바디의 각 조작부를 통해 2개의 압박 부재를 견인하는 과정에서 2개 압박 패드의 위치 모두 고정되고, 이에 따라 2개의 압박 패드가 각각 정상 압박 부위를 정확하게 압박할 수 있고, 특히, 2개의 조작부를 통해 2개 압박 패드의 위치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어 필요한 압박 부위를 정확하게 압박할 수 있고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팔꿈치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팔꿈치에 착용되어 팔꿈치를 보호하는 팔꿈치 보호대에 있어서, 내측면에 팔꿈치의 제 1 압박 부위를 압박할 수 있도록 제 1 압박 패드가 장착되고, 외측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제 1 조작부가 장착되는 제 1 결합 바디; 및 상기 제 1 결합 바디와 함께 팔꿈치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 1 결합 바디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제 1 연결 와이어가 결합되어 상기 제 1 결합 바디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내측면에는 팔꿈치의 제 2 압박 부위를 압박할 수 있도록 제 2 압박 패드가 장착되는 압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연결 와이어가 상기 제 1 결합 바디 측으로 견인되어 상기 제 1 압박 패드 및 제 2 압박 패드가 팔꿈치의 제 1 및 제 2 압박 부위를 팔꿈치의 중심 방향으로 압박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압박 패드는 상기 제 1 조작부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정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꿈치 보호대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 1 연결 와이어에는 연성 재질의 보호 패드가 상기 제 1 연결 와이어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압박 패드는 각각 다수개 형상의 종류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결합 바디 및 압박 부재에 각각 교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압박 패드의 다수개 형상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는 팔꿈치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지는 가압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압박 패드의 중심부에는 팔꿈치를 감싸는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박 부재는, 내측면에 상기 제 2 압박 패드가 장착되고, 외측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제 2 조작부가 장착되는 제 2 결합 바디; 일단부가 상기 제 1 결합 바디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제 2 연결 와이어가 결합되어 상기 제 2 결합 바디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 1 압박 부재; 및 일단부가 상기 제 2 결합 바디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 1 연결 와이어가 결합되어 상기 제 1 결합 바디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 2 압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2 연결 와이어가 상기 제 2 결합 바디 측으로 견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압박 패드는 상기 제 2 조작부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정렬 배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압박 패드의 팔꿈치에 대한 압박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결 와이어에는 연성 재질의 보호 패드가 상기 제 2 연결 와이어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압박 부재는, 일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형태로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 1 결합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메인 바디와, 상기 제 1 메인 바디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제 2 연결 와이어가 결합되는 제 1 연결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압박 부재는, 일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형태로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 2 결합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메인 바디와, 상기 제 2 메인 바디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제 1 연결 와이어가 결합되는 제 2 연결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바디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보다 탄성 변형이 어려운 강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조작부는, 상기 결합 바디에 고정 결합되고, 개방된 상단부에는 내주면에 래칫 기어가 형성되는 고정 바디; 상기 고정 바디에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향 이동시 일방향 회전이 구속되도록 일측에 상기 래칫 기어에 맞물림되는 스토퍼 돌기가 형성되며, 상향 이동시에는 상기 스토퍼 돌기와 래칫 기어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어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회전 바디; 및 상기 회전 바디와 함께 일체로 상하 이동 및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 바디의 상부에 결합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다이얼 노브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 바디에 결합된 제 2 연결 와이어는 상기 제 2 조작부의 회전 바디에 일방향으로 권취되고, 상기 제 2 연결 바디에 결합된 제 1 연결 와이어는 상기 제 1 조작부의 회전 바디에 일방향으로 권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조작부를 통한 압박 부재의 견인을 통해 압박 패드에 의한 팔꿈치 압박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고, 압박 패드를 결합 바디의 조작부와 동일 직선상에 정렬 배치함으로써, 압박 부재의 견인 과정에서도 압박 패드의 위치가 고정되어 압박 패드가 정상 압박 부위를 정확하게 압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더욱 편리한 사용이 가능함과 동시에 통증 완화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박 부재를 견인하는 연결 와이어에 별도의 보호 패드를 장착함으로써, 팔꿈치 압박시에 압박 패드 이외의 부분에서 연결 와이어의 피부 압착에 따른 불편함 및 통증을 방지하여 더욱 쾌적하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2개의 압박 패드를 2개의 결합 바디에 각각 장착함으로써, 2개 결합 바디의 각 조작부를 통해 2개의 압박 부재를 견인하는 과정에서 2개 압박 패드의 위치 모두 고정되고, 이에 따라 2개의 압박 패드가 각각 정상 압박 부위를 정확하게 압박할 수 있고, 특히, 2개의 조작부를 통해 2개 압박 패드의 위치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어 필요한 압박 부위를 정확하게 압박할 수 있고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꿈치 보호대의 착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꿈치 보호대의 착용 해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꿈치 보호대의 착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꿈치 보호대의 조작부에 대한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꿈치 보호대의 압박 패드 교체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팔꿈치 보호대의 착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꿈치 보호대의 착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꿈치 보호대의 착용 해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꿈치 보호대의 착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꿈치 보호대의 조작부에 대한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꿈치 보호대의 압박 패드 교체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꿈치 보호대는 사용자의 팔꿈치(H)에 착용되어 손저림과 같은 부작용 없이 팔꿈치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것으로,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1 조작부(401)가 장착된 제 1 결합 바디(301)와, 제 2 압박 패드(220)가 장착된 압박 부재(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결합 바디(301)는 내측면에 팔꿈치(H)의 제 1 압박 부위를 압박할 수 있도록 제 1 압박 패드(210)가 장착되고, 외측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제 1 조작부(401)가 장착된다.
압박 부재(100)는 제 1 결합 바디(301)와 함께 팔꿈치(H)를 감쌀 수 있도록 일측 구간이 개방된 링 형태로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부가 제 1 결합 바디(301)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제 1 연결 와이어(W1)가 결합되어 제 1 결합 바디(301)의 타단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압박 부재(100)의 내측면에는 팔꿈치(H)의 제 2 압박 부위를 압박할 수 있도록 제 2 압박 패드(220)가 장착된다.
제 1 결합 바디(301)에 장착된 제 1 조작부(401)는 제 1 결합 바디(301)의 타단에 연결된 제 1 연결 와이어(W1)를 제 1 결합 바디(301) 측으로 견인하거나 견인 해제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제 1 조작부(401)의 조작에 의해 제 1 연결 와이어(W1)를 제 1 결합 바디(301) 측으로 견인하면,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가 팔꿈치(H)의 제 1 및 제 2 압박 부위를 팔꿈치(H)의 외측에서 중심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압박하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테니스 엘보와 같은 외측상과염은 요골 부위의 장요측수근신근(ECRL: 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이나 또는 단요측수근신근(ECRB: extensor carpi radialis brevis)의 염증과 관련이 깊으며, 골퍼 엘보와 같은 내측상과염은 척골 부위의 척측수근굴근(FCU: Flexor carpi ulnaris)이나 또는 요측수근굴근(FCR: Flexor carpi radialis)의 염증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통증 완화를 위해서는 이들 근육 부위를 집중적으로 압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꿈치 보호대는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에 의해 제 1 및 제 2 압박 부위, 예를 들면, 요골 부위의 외측 및 척골 부위의 외측을 팔꿈치의 중심 방향으로 집중 압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이러한 압박 부위 이외에는 팔꿈치를 압박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제 1 및 제 2 압박 부위 이외의 영역에서는 팔꿈치로부터 이격되거나 또는 압박하지 않고 단순 접촉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꿈치 보호대는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에 의해 팔꿈치(H)의 제 1 및 제 2 압박 부위가 압박되기 때문에, 팔꿈치 부근의 근육을 고정하여 팔꿈치의 과도한 회전 등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고, 팔꿈치 통증을 완화시켜 줄 수 있는 등 팔꿈치 보호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에 의한 압박 부위 이외에는 팔꿈치(H)의 다른 부위가 압박되지 않아 혈액 순환을 방해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손저림이나 손이 붓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에는 지르코늄(Zr) 또는 게르마늄(Ge) 등으로 형성되는 건강 보조구(미도시)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팔꿈치 부위에 대한 다양한 건강 보조 효능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의 중심부에는 압박 부재(100)가 팔꿈치를 감싸는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폭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2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201)은 압박 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다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관통홀(201)이 형성됨에 따라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가 팔꿈치를 압박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이 상대적으로 쉽게 일어나고, 이에 따라 사용 과정에서 과도한 압박이 가해지더라도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의 관통홀(201)에 의한 탄성 변형이 발생하여 압박 하중을 감쇄시킬 수 있다.
한편, 제 1 결합 바디(301)는 일측에 압박 부재(100)의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는 삽입 가이드홀(310)이 형성되어 제 1 연결 와이어(W1)가 삽입 결합되며, 제 1 결합 바디(301)의 제 1 조작부(401)를 조작하여 제 1 연결 와이어(W1)를 견인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 1 조작부(401)의 조작 상태에 따라 제 1 연결 와이어(W1)에 대한 견인력을 조절하여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의 팔꿈치에 대한 압박 하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팔꿈치 보호대는 압박 부재(100)의 타단부가 제 1 연결 와이어(W1)를 통해 제 1 결합 바디(301)에 연결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연결 와이어(W1)를 견인 해제한 경우에도 팔꿈치 보호대가 전체적으로 항상 링 형상을 유지하게 되고, 이와 같이 제 1 연결 와이어(W1)를 견인 해제한 상태에서 팔꿈치 보호대의 내부 공간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팔꿈치를 위치시킨 이후, 제 1 조작부(401)를 조작하여 제 1 연결 와이어(W1)을 견인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꿈치(H)를 압박할 수 있다.
이때, 압박 부재(100)의 제 1 결합 바디(301)에 대한 회전축(M)을 중심으로 압박 부재(100)가 회동함과 동시에 압박 부재(100)가 탄성 변형하게 되므로, 팔꿈치 보호대는 내부 공간을 전체적으로 확장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고, 팔꿈치(H)를 팔꿈치 보호대의 내부 공간으로 집어넣거나 뺄 때, 더욱 여유롭게 팔꿈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꿈치 보호대는 팔꿈치를 팔꿈치 보호대의 내부 공간으로 집어넣은 상태에서 제 1 조작부(401)의 조작을 통해 제 1 연결 와이어(W1)를 견인하여 팔꿈치를 압박하게 되는데, 제 1 압박 패드(210)가 압박 부재(100)에 형성되면, 압박 부재(100)의 견인 과정에서 제 1 압박 패드(210)의 위치가 변화되므로, 사용자는 제 1 압박 패드(210)를 정상 압박 부위에 위치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 1 압박 패드(210)가 제 1 결합 바디(301)에 결합되고, 제 1 조작부(401)와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정렬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 1 조작부(401)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제 1 압박 패드(210)를 정상 압박 부위에 위치시킨 상태로 한 손으로 제 1 결합 바디(301)를 누르고 제 1 조작부(401)를 조작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제 1 연결 와이어(W1) 및 압박 부재(100)가 견인되더라도 제 1 압박 패드(210)는 제 1 조작부(401)와 동일 직선 상에서 기준 위치로 고정되므로, 정상 압박 부위에 제 1 압박 패드(210)를 위치시킬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압박 부재(100)는 탄성 변형 가능한 링 형태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링 바디(110)와, 연결 바디(120)로 분리 형성될 수도 있다.
메인 링 바디(110)는 일부 구간이 개방된 링 형상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면에 제 2 압박 패드(220)가 장착되고, 일단부가 제 1 결합 바디(301)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 바디(120)는 메인 링 바디(110)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다. 이때, 연결 바디(120)의 회전축(M)은 메인 링 바디(110)의 길이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며, 연결 바디(120)는 메인 링 바디(110)보다 탄성 변형이 어려운 강성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메인 링 바디(110)는 우레탄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연결 바디(120)는 강성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조작부(401)에 의해 견인되는 제 1 연결 와이어(W1)는 연결 바디(120)의 끝단에 관통 결합되어 연결 바디(120)를 견인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압박 부재(100)가 메인 링 바디(110)와 연결 바디(120)로 분리 형성됨에 따라 압박 부재(100)의 전체적인 형상 변형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다양한 형상의 팔꿈치에 더욱 안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즉, 압박 부재(100)의 타단부는 제 1 연결 와이어(W1)에 의해 견인되는데, 이때, 압박 부재(1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면, 압박 부재(100)의 타단부가 향하는 방향은 제 1 연결 와이어(W1)의 견인 방향과 일정 각도만큼 달라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압박 부재(100)가 팔꿈치의 외주면을 안정적으로 감싸는 형태가 아니라 타단부에서 팔꿈치로부터 이격되는 형태로 되는 등의 이유로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의 압박 기능이 정상적으로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압박 부재(100)에 대해 제 1 압박 패드(210)와 제 2 압박 패드(220)가 장착된 링 형상의 메인 링 바디(110)의 끝단부에 강성 재질의 연결 바디(120)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연결 바디(120)의 끝단부에 제 1 연결 와이어(W1)가 관통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제 1 연결 와이어(W1)를 통해 압박 부재(100)의 타단부, 즉, 연결 바디(120)를 견인하게 되면, 연결 바디(120)가 제 1 연결 와이어(W1)의 견인력에 의해 회전축(M)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제 1 연결 와이어(W1)의 견인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압박 부재(100)에 대해 연결 바디(120)에 의한 형상 변형의 자유도를 향상시켜 팔꿈치의 압박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연결 와이어(W1)는 연결 바디(120)에 관통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연결 바디(120)에는 제 1 연결 와이어(W1)가 관통 결합되는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관통 가이드 홀(121)이 형성된다. 관통 가이드 홀(121)은 연결 바디(120)의 폭 방향으로 연결 바디(12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데, 이때, 직선 경로를 갖는 것이 아니라 제 1 연결 와이어(W1)가 견인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곡선 경로를 갖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관통 가이드 홀(121)이 곡선 경로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제 1 연결 와이어(W1)가 견인되는 과정에서 관통 가이드 홀(121)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어 견인 과정이 더욱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 연결 와이어(W1)의 이동에 따른 마찰 등이 최소화되어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 1 연결 와이어(W1)에는 연성 재질의 보호 패드(500)가 제 1 연결 와이어(W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제 1 연결 와이어(W1)에 의해 팔꿈치 주변 부위의 피부가 압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제 1 연결 와이어(W1)를 견인하여 압박 부재(100)의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가 제 1 및 제 2 압박 부위를 압박하게 되면, 팔꿈치의 압박 부위의 피부가 눌려 인접한 부위로 밀려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 1 연결 와이어(W1)에 의해 팔꿈치 주변의 밀려난 피부들이 압박될 수 있다. 제 1 연결 와이어(W1)에 의해 피부가 압박되면, 제 1 연결 와이어(W1)의 직경이 작아 사용자에게 압박에 따른 통증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연성 재질 보호 패드(500)가 제 1 연결 와이어(W1)에 결합될 수 있고, 보호 패드(5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 1 연결 와이어(W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 1 조작부(401)는, 제 1 결합 바디(301)에 고정 결합되고 개방된 상단부에는 내주면에 래칫 기어(411)가 형성되는 고정 바디(410)와, 고정 바디(410)에 상하 이동 및 회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향 이동시 일방향 회전이 구속되도록 일측에 래칫 기어(411)에 맞물림되는 스토퍼 돌기(431)가 형성되며 상향 이동시에는 스토퍼 돌기(431)와 래칫 기어(411)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어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회전 바디(430)와, 회전 바디(430)와 함께 일체로 상하 이동 및 회전 이동하도록 회전 바디(430)의 상부에 결합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도록 형성되는 다이얼 노브(420)를 포함하고, 연결 바디(120)에 관통 결합된 제 1 연결 와이어(W1)는 회전 바디(430)에 일방향으로 권취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다이얼 노브(420)를 가압하여 하향 이동시킨 상태에서, 다이얼 노브(420)를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다이얼 노브(420)와 함께 회전 바디(430)가 회전하게 되고, 제 1 연결 와이어(W1)가 회전 바디(430)에 권취된다. 이에 따라 제 1 연결 와이어(W1)가 제 1 결합 바디(301) 측으로 견인되어 압박 부재(100)의 타단부가 제 1 결합 바디(301) 측으로 견인되어 팔꿈치를 압박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회전 바디(430)는 스토퍼 돌기(431)가 고정 바디(410)의 래칫 기어(411)에 맞물림되기 때문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속되므로, 연결 바디(120)는 다이얼 노브(420)를 회전 조작함에 따라 계속해서 삽입 가이드홀(310)에 더 깊이 삽입되어 팔꿈치에 대한 압박 하중이 증가하게 되고, 그 상태로 유지된다.
반대로, 팔꿈치에 대한 압박 하중을 감소 또는 해제하기 위해서는 다이얼 노브(420)를 상향 인출하여 회전 바디(430)의 스토퍼 돌기(431)와 고정 바디(410)의 래칫 기어(411)와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하고, 이 상태에서 연결 바디(120)를 제 1 결합 바디(301)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거나 또는 다이얼 노브(4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제 1 결합 바디(301)의 삽입 가이드홀(310)에는 연결 바디(120)의 제 1 연결 와이어(W1)가 회전 바디(430)에 권취되는 형태로 제 1 조작부(401)에 연결되도록 제 1 연결 와이어(W1)의 연결 경로를 가이드하는 와이어 가이드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가이드부(320)는 연결 바디(120)를 관통하는 제 1 연결 와이어(W1)를 삽입 가이드홀(310)의 양측면 가장자리 부분으로 가이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바디(410)에는 연결 바디(120)로부터 연결되는 제 1 연결 와이어(W1)가 관통하여 회전 바디(430)에 권취될 수 있도록 제 1 연결 와이어(W1)의 관통 경로를 가이드하는 와이어 유입구(412)가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유입구(412)는 와이어 가이드부(320)와 대응되는 형태로 삽입 가이드홀(310)의 양측면 가장자리 부분에 인접한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 가이드부(320)와 와이어 유입구(412)에 의해 제 1 연결 와이어(W1)는 일정한 경로로 배치 상태가 유지되므로, 제 1 연결 와이어(W1)의 견인 및 견인 해제 과정에서 제 1 연결 와이어(W1)가 서로 꼬이거나 엉키는 등의 문제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다수개 형상의 종류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 1 결합 바디(301) 및 압박 부재(100)에 각각 교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1 압박 패드(210)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압박 패드(210)가 팔꿈치를 감싸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물론, 이 경우, 폭 방향으로도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압박 패드(210)가 제 1 결합 바디(301)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제 1 압박 패드(210)의 후면에는 결합 돌기(202)가 형성되고, 제 1 결합 바디(301)의 내측면에는 결합 돌기(202)가 삽입 맞물림되도록 결합홈(33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압박 패드(210)가 도 5의 (a)에 도시된 제 1 압박 패드(210) 보다 그 폭과 길이가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압박 패드(210)가 팔꿈치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단순히 볼록하게 만곡진 가압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 부위를 더욱 집중적으로 압박할 수 있어 통증 완화 효과를 더욱 배가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2 압박 패드(220) 또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에 따라 팔꿈치의 통증 정도 및 통증 부위가 다 다르므로, 이와 같이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의 종류를 다양하게 하여 교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상태로 팔꿈치에 대한 통증 완화 및 보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팔꿈치 보호대의 착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팔꿈치 보호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결합 바디 및 조작부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를 통해 2개의 압박 패드의 위치를 정확한 압박 부위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압박 부재(100)는, 내측면에 제 2 압박 패드(220)가 장착되고 외측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제 2 조작부(402)가 장착되는 제 2 결합 바디(302)와, 일단부가 제 1 결합 바디(301)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제 2 연결 와이어(W2)가 결합되어 제 2 결합 바디(302)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 1 압박 부재(130)와, 일단부가 제 2 결합 바디(302)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제 1 연결 와이어(W1)가 결합되어 제 1 결합 바디(301)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 2 압박 부재(140)를 포함하고, 제 2 조작부(402)의 조작에 의해 제 2 연결 와이어(W2)가 제 2 결합 바디(302) 측으로 견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압박 패드(220)는 제 2 조작부(402)와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정렬 배치되며, 제 1 조작부(401) 및 제 2 조작부(402)의 조작을 통해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의 팔꿈치에 대한 압박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압박 패드(210)를 제 1 결합 바디(301)의 제 1 조작부(401)와 동일 직선상에 정렬 배치함으로써, 제 1 연결 와이어(W1)를 견인하는 과정에서도 제 1 압박 패드(210)의 위치가 고정되어 제 1 압박 패드(210)를 정상 압박 부위에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데, 이때, 제 2 압박 패드(220)는 압박 부재(100)에 장착되므로, 제 1 연결 와이어(W1)를 통한 압박 부재(100)의 견인 과정에서 제 2 압박 패드(220)의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압박 패드(220)를 정상 압박 부위에 위치 고정시키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압박 부재(100)를 제 2 결합 바디(302)와, 제 1 압박 부재(130)와, 제 2 압박 부재(140)로 분리하고, 제 2 결합 바디(302)에 제 2 압박 패드(220)를 장착함으로써, 제 1 압박 패드(210)와 마찬가지로, 제 2 압박 패드(220)의 위치를 정상 압박 부위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제 1 압박 패드(210)를 제 1 압박 부위에 위치 고정시킨 상태로 제 1 조작부(401)를 조작하여 제 2 압박 부재(140)를 견인하고, 이후, 제 2 압박 패드(220)를 제 2 압박 부위에 위치 고정시킨 상태로 제 2 조작부(402)를 조작하여 제 1 압박 부재(130)를 견인하는 방식으로 팔꿈치 보호대를 팔꿈치에 착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를 모두 정상적인 압박 부위에 편리하게 위치 고정시킨 상태로 해당 부위를 압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압박 부재(130) 및 제 2 압박 부재(140)는 연결 와이어(W1,W2)에 의한 견인 과정에서 위치가 변화하므로,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를 각각 별도의 제 1 결합 바디(301) 및 제 2 결합 바디(302)에 장착함으로써,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로 정상 압박 부위를 편리하게 압박할 수 있다.
이때, 제 1 압박 부재(130)는, 일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형태로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제 1 결합 바디(30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메인 바디(131)와, 제 1 메인 바디(131)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제 2 연결 와이어(W2)가 결합되는 제 1 연결 바디(132)를 포함하고, 제 2 압박 부재(140)는, 일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형태로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제 2 결합 바디(30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메인 바디(141)와, 제 2 메인 바디(141)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제 1 연결 와이어(W1)가 결합되는 제 2 연결 바디(1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압박 부재(100)의 분리 구조와 마찬가지 구조로 형성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 2 결합 바디(302)에 장착된 제 2 조작부(402) 또한 제 1 결합 바디(301)에 장착된 제 1 조작부(401)와 마찬가지 구조로 구성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하며, 제 2 연결 와이어(W2)에도 제 1 연결 와이어(W1)와 마찬가지로 연성 재질의 보호 패드(50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압박 부재
110: 메인 링 바디 120: 연결 바디
121: 관통 가이드 홀
130: 제 1 압박 부재 140: 제 2 압박 부재
210: 제 1 압박 패드 220: 제 2 압박 패드
301: 제 1 결합 바디 302: 제 2 결합 바디
401: 제 1 조작부 402: 제 2 조작부
410: 고정 바디 411: 래칫 기어
420: 다이얼 노브 430: 회전 바디
500: 보호 패드
W1: 제 1 연결 와이어 W2: 제 2 연결 와이어

Claims (11)

  1. 팔꿈치에 착용되어 팔꿈치를 보호하는 팔꿈치 보호대에 있어서,
    내측면에 팔꿈치의 제 1 압박 부위를 압박할 수 있도록 제 1 압박 패드가 장착되고, 외측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제 1 조작부가 장착되는 제 1 결합 바디; 및
    상기 제 1 결합 바디와 함께 팔꿈치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 1 결합 바디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제 1 연결 와이어가 결합되어 상기 제 1 결합 바디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내측면에는 팔꿈치의 제 2 압박 부위를 압박할 수 있도록 제 2 압박 패드가 장착되는 압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연결 와이어가 상기 제 1 결합 바디 측으로 견인되어 상기 제 1 압박 패드 및 제 2 압박 패드가 팔꿈치의 제 1 및 제 2 압박 부위를 팔꿈치의 중심 방향으로 압박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압박 패드는 상기 제 1 조작부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정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꿈치 보호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 와이어에는 연성 재질의 보호 패드가 상기 제 1 연결 와이어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꿈치 보호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압박 패드는 각각 다수개 형상의 종류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결합 바디 및 압박 부재에 각각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꿈치 보호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압박 패드의 다수개 형상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는 팔꿈치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지는 가압 돌기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꿈치 보호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압박 패드의 중심부에는 팔꿈치를 감싸는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꿈치 보호대.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는
    내측면에 상기 제 2 압박 패드가 장착되고, 외측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제 2 조작부가 장착되는 제 2 결합 바디;
    일단부가 상기 제 1 결합 바디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제 2 연결 와이어가 결합되어 상기 제 2 결합 바디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 1 압박 부재; 및
    일단부가 상기 제 2 결합 바디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 1 연결 와이어가 결합되어 상기 제 1 결합 바디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 2 압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2 연결 와이어가 상기 제 2 결합 바디 측으로 견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꿈치 보호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압박 패드는 상기 제 2 조작부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정렬 배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압박 패드의 팔꿈치에 대한 압박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꿈치 보호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 와이어에는 연성 재질의 보호 패드가 상기 제 2 연결 와이어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꿈치 보호대.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박 부재는
    일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형태로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 1 결합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메인 바디와, 상기 제 1 메인 바디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제 2 연결 와이어가 결합되는 제 1 연결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압박 부재는
    일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형태로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 2 결합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메인 바디와, 상기 제 2 메인 바디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제 1 연결 와이어가 결합되는 제 2 연결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꿈치 보호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바디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보다 탄성 변형이 어려운 강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꿈치 보호대.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조작부는
    상기 결합 바디에 고정 결합되고, 개방된 상단부에는 내주면에 래칫 기어가 형성되는 고정 바디;
    상기 고정 바디에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향 이동시 일방향 회전이 구속되도록 일측에 상기 래칫 기어에 맞물림되는 스토퍼 돌기가 형성되며, 상향 이동시에는 상기 스토퍼 돌기와 래칫 기어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어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회전 바디; 및
    상기 회전 바디와 함께 일체로 상하 이동 및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 바디의 상부에 결합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다이얼 노브
    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 바디에 결합된 제 2 연결 와이어는 상기 제 2 조작부의 회전 바디에 일방향으로 권취되고,
    상기 제 2 연결 바디에 결합된 제 1 연결 와이어는 상기 제 1 조작부의 회전 바디에 일방향으로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꿈치 보호대.
KR1020180064312A 2018-06-04 2018-06-04 팔꿈치 보호대 KR102121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312A KR102121933B1 (ko) 2018-06-04 2018-06-04 팔꿈치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312A KR102121933B1 (ko) 2018-06-04 2018-06-04 팔꿈치 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136A true KR20190138136A (ko) 2019-12-12
KR102121933B1 KR102121933B1 (ko) 2020-06-11

Family

ID=69004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312A KR102121933B1 (ko) 2018-06-04 2018-06-04 팔꿈치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9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6706A (ko) * 2020-05-27 2021-12-06 이석규 근육통증 완화장치
KR20220040246A (ko) * 2020-09-23 2022-03-30 이석규 체결 편의성이 향상된 밴드 체결구조
KR20230064320A (ko) * 2021-11-03 2023-05-10 (주)에스원바이오 압박 치료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54348A1 (en) * 2020-08-18 2022-02-24 Kun-Yen Chung Wearable cubital tunnel syndrome prevention and treatment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975Y1 (ko) * 2004-06-16 2004-09-13 류실근 팔 통증치료를 위한 팔 보호대
US20080039765A1 (en) * 2004-07-22 2008-02-14 Nordt Development Company, Llc Collar clamp apparatus
KR20160147231A (ko) * 2016-04-22 2016-12-22 케이투코리아 주식회사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
KR20170056297A (ko) 2015-11-13 2017-05-23 이상민 과신전방지를 위한 팔꿈치보호대
KR300923966S (ko) * 2017-07-21 2017-09-21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975Y1 (ko) * 2004-06-16 2004-09-13 류실근 팔 통증치료를 위한 팔 보호대
US20080039765A1 (en) * 2004-07-22 2008-02-14 Nordt Development Company, Llc Collar clamp apparatus
KR20170056297A (ko) 2015-11-13 2017-05-23 이상민 과신전방지를 위한 팔꿈치보호대
KR20160147231A (ko) * 2016-04-22 2016-12-22 케이투코리아 주식회사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
KR300923966S (ko) * 2017-07-21 2017-09-21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손목통증에 좋은 손목보호대:피코, 2018.4.13., [2019.5.9. 검색]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6706A (ko) * 2020-05-27 2021-12-06 이석규 근육통증 완화장치
KR20220040246A (ko) * 2020-09-23 2022-03-30 이석규 체결 편의성이 향상된 밴드 체결구조
KR20230064320A (ko) * 2021-11-03 2023-05-10 (주)에스원바이오 압박 치료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933B1 (ko)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86635B2 (ja) 操作性能が向上された手首保護帯
KR102121933B1 (ko) 팔꿈치 보호대
JP6865292B2 (ja) 手首保護帯
KR101853070B1 (ko) 엄지보호부가 구비된 손목 보호대
KR101900422B1 (ko) 손목 보호대
KR102283581B1 (ko) 기능성 손목 보호대
KR101707195B1 (ko) 엘보우 예방 및 증상완화 장치
KR102368941B1 (ko) 손목 보호대
KR101849639B1 (ko) 손목 보호용 장갑
KR102023369B1 (ko) 손목보호대
KR102143991B1 (ko) 손목 보호대
KR102283579B1 (ko) 기능성 손목 보호대
KR200361975Y1 (ko) 팔 통증치료를 위한 팔 보호대
JP5941090B2 (ja) 手指関節用サポーター
KR102496230B1 (ko) 근육통증 완화장치
KR102085862B1 (ko) 테니스 엘보 환자를 위한 치료용 보조기
KR101927593B1 (ko) 와이어를 이용한 발목 지지대
KR102545049B1 (ko) 손목 보호대
US20230398012A1 (en) Hand-and-wrist accessory device for people that facilitates extension movements
EP3993659B1 (de) Vorrichtung in art einer persönlichen schutzausrüstung zur stabilisierung und entlastung des menschlichen daumensattelgelenkes
KR20220011495A (ko) 장갑 형태의 손목 보호대
KR20230079835A (ko) 팔꿈치 보호 패치
TWM539810U (zh) 腳踝護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