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581B1 - 기능성 손목 보호대 - Google Patents

기능성 손목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3581B1
KR102283581B1 KR1020190041585A KR20190041585A KR102283581B1 KR 102283581 B1 KR102283581 B1 KR 102283581B1 KR 1020190041585 A KR1020190041585 A KR 1020190041585A KR 20190041585 A KR20190041585 A KR 20190041585A KR 102283581 B1 KR102283581 B1 KR 102283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st
band
joint
user
rad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9134A (ko
Inventor
하헌빈
사욱제
이규성
Original Assignee
사욱제
이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욱제, 이규성 filed Critical 사욱제
Priority to KR1020190041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581B1/ko
Publication of KR20200119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8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41D13/081Hand protectors
    • A41D13/088Hand protectors especially for the wr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81Protectors for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29Arm or parts thereof
    • A61F2007/0035Wrist

Abstract

기능성 손목 보호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손목 보호대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시 척골 골두가 삽입된 상태로 감싸줌으로써 상기 척골 골두의 움직임은 보장하고 주변 인대들은 표면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잡아줌으로써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손목 보호대{Functional wrist protector}
본 발명은 손목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목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성 손목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갑은 손을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것으로써, 손가락부터 손바닥과 손등 및 손목까지 끼워지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장갑은 때로는 산업 현장에서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손을 이용하는 동안 부상과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기도 하고, 주방에서 설거지 등의 작업을 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며, 추운 겨울과 같이 저온 환경에서 손의 체온 유지를 위해 사용되기도 하는 등 다양한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여가 활동의 증가로 인해 운동, 등산 등 다양한 여가 활동 중에도 장갑이 필수적으로 활용되는데, 이 경우, 장갑에는 손바닥 부분에 미끄럼 방지 기능이나 손목을 보호하는 기능이 추가되는 등 단순한 체온 유지 기능을 넘어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예를 들면, 골프의 경우, 스윙 동작시 골프 클럽의 손잡이를 잡는 한 손에 골프 장갑을 끼고, 다른 손으로는 골프 장갑을 낀 손의 손가락 부분을 가볍게 감싼 상태로 스윙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골프 장갑에는 골프의 스윙 동작을 교정하기 위한 손목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기능, 손목 사용에 따른 통증 완화 등 손목을 고정하여 보호하는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다.
인체의 팔을 이루는 관절은, 요골과 척골에 의해 팔목이 형성되고, 8개의 수근골로 손목이 형성되며, 회전, 굴곡, 신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5개의 중수골관절에 의해 손바닥이 형성되고, 다수의 수지골에 의해 물체를 잡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이 형성된다.
이들 관절군은 손으로 잡고 하는 운동 또는 활동시에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과사용으로 상해가 발생될 수 있으며 상해시 때로는 치유가 완전하지 못하게 됨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신체의 손목에 착용하여 상기한 관절 및 뼈를 보호하도록 하는 손목 보호대가 고안되어 사용되어 왔다.
손목 보호대는 팔꿈치 보호대, 발목 및 팔목 보호대 등과 함께 사람들의 연약한 관절부위에 착용하여 이들 관절 부위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각종 경기를 하는 운동선수나 작업을 하는 작업자 또는 놀이를 즐기는 어린이들이 안전을 위하여 착용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손목 보호대는 손목 부위를 감싸는 밴드 형태로 형성되며, 손목의 외측면에서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고르게 손목 부위를 압박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손목 압박을 통해 손목 관절을 보호하고 과도한 손목의 꺽임을 방지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손목 보호대는 손목 부위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압박하기 때문에, 장시간 착용할 경우, 손목 동맥의 혈류가 원활하지 못하게 되어 손저림 현상이 발생하거나 손이 붓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손저림과 같은 불편함 때문에, 운동 중에 손목 보호대를 벗어버리거나 아예 착용하지 않는 등 그 활용도가 매우 제한적이며, 이에 따라 다양한 운동이나 활동 중 손목이 안전하게 보호되지 못하여 부상 위험에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0127814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사용자 손목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척골 골두 및 상기 척골 골두 주변의 인대를 안정적으로 보호 할 수 있는 기능성 손목 보호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손목 보호대는 사용자의 손가락(2)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110)와, 상기 손가락 삽입부(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손바닥에 밀착되는 손바닥 보호부(120)가 형성된 장갑 본체부(100); 및 상기 손바닥 보호부(120)의 일측 단부에서 외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사용자의 손목(10)과 인접되어 연장된 척골(20)과 요골(30)을 상기 손목(1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감싸줌과 동시에 상기 손목(10)을 첫 번째로 감싸는 구간에서 상기 척골(20)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척골 골두(22)의 일부분이 부분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은 접촉 유지되며, 상기 척골(20)과 상기 요골(30) 사이에서 횡 방향에 형성된 원위요척관절(40)과 요골수근관절(50)과 상기 원위요척관절(40) 상기 요골수근관절(50) 사이에 형성된 관절원반(65)을 손목(10)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접촉되어 감싼 상태가 유지되는 띠 형태의 슬릿부(212)가 형성된 제1 밴드부(210)와, 상기 제1 밴드부(210)의 연장된 단부에서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사용자의 손목(10)을 추가로 감싸는 제2 밴드부(220)가 구비된 밴드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슬릿부(212)는 상기 척골 골두(22)의 돌출된 직경(D)에 해당되는 길이(L1) 보다 짧은 폭 방향 길이(L2)로 형성된다.
상기 슬릿부(212)는 상기 제1 밴드부(210)의 길이 방향에서 복수개가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다.
상기 슬릿부(212)는 상기 사용자의 손목(10)의 횡 방향 길이 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된다.
상기 제1 밴드부(210)가 상기 사용자의 손목(10)을 감쌀 경우 상기 원위요척관절(40)의 일부는 상기 슬릿부(212)의 띠 형태로 개구된 영역에 위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 밴드부(210)에 의해 손목(10)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감싼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사용자의 손등을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원위요척관절(4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손목(10)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요골수근관절(50)의 일부는 상기 슬릿부(212)의 띠 형태로 개구된 영역에 위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 밴드부(210)에 의해 손목(10)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감싼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요골수근관절(50)과 인접한여 사용자의 새끼 손가락으로 연장된 척골 측부인대(60) 중의 일부는 상기 손목(10)의 반경 방향에서 감싼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요골수근관절(50)의 연장된 단부와 인접하여 엄지 손가락으로 연장된 요골 측부인대(70)의 일부가 상기 손목(10)의 반경 방향에서 감싼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척골 골두(22)와 상기 요골수근관절(50) 사이에 위치된 관절원반(65)의 일부는 상기 슬릿부(212)의 띠 형태로 개구된 영역에 위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 밴드부(210)에 의해 손목(10)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감싼 상태가 유지된다.
제1 밴드부(210)는 상기 사용자의 손목(10)과 최초 접촉되는 구간에서 피부와 직접적인 접촉과 동시에 밀착이 이루어지고 연성의 재질로 형성된 제1 커버(211); 상기 제1 커버(211)와 마주보며 일체로 제봉된 제2 커버(215); 상기 제1 커버(211)와 상기 제2 커버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밴드부(210)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부재(213)를 포함하고, 상기 슬릿부(212)는 상기 제1,2 커버(211, 212) 및 상기 탄성부재(213)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밴드부(210)는 전체 구간 중 상기 슬릿부 (212)의 개구된 구간과 인접하여 길이 방향(L)과 폭 방향(W)으로 소정의 길이와 폭으로 연장된 스트랩(S)을 포함하되, 상기 스트랩(S)은 상기 슬릿부(212)의 개구된 영역을 제외하고 손목(10)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손목(10)으로 소정의 온도로 열을 가하기 위해 내측에 구비된 열 발생부(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S)은 사용자의 손목(10)으로 원적외선이 방출되도록 소정의 메시로 분쇄된 숯, 게르마늄, 옥, 셀리사이트(sericite), 세레늄, 티탄, 마그네사이트, 제올라이트, 그레파이트, 주석, 마그네슘, 회포석 중에서 소정의 중량으로 선택되는 혼합 분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밴드부(220)는 상기 제1 밴드부(210)에 의해 1차로 감싼 부분을 2차로 감쌀 경우 상기 사용자의 손등을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손목(10)을 구성하는 척골(20)과 요골(30) 사이에 형성된 원위요척관절(4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손목(10)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요골수근관절(50)과, 상기 척골 골두(22)와 상기 요골수근관절(50) 사이에 위치된 관절원반(65)을 손목(10)의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소정의 압력으로 동시에 눌러주는
상기 제1 밴드부(210)는 상기 슬릿부(212)의 개구된 영역의 상면을 덮은 상태로 유지시키는 커버부(214)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214)는 상기 척골 골두(22) 및 척골(20)과 요골(30) 사이에 형성된 원위요척관절(40)의 일부와, 손목(10)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요골수근관절(50)의 일부 및 상기 척골 골두(22)와 상기 요골수근관절(50) 사이에 위치된 관절원반(65)의 일부와 접촉 유지된다.
상기 커버부(214)는 상기 슬릿부(212)의 개구된 가장 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원주 방향에서 탄성 복원력이 발생되는 제1 커버부(214a); 상기 제1 커버부(214a)에 연결되고 상기 슬릿부(212)의 개구된 상면을 커버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제1커버부(214a)와 상이한 방향에서 탄성 복원력이 발생되는 제2 커버부(214b)를 포함하되, 상기 제1,2 커버부(214a, 214b)는 상기 요골수근관절(50)의 일부 및 상기 척골 골두(22)와 상기 요골수근관절(50) 사이에 위치된 관절원반(65)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덮은 상태가 유지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손목 보호대는 사용자의 손가락(2)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110)와, 상기 손가락 삽입부(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손바닥에 밀착되는 손바닥 보호부(120)가 형성된 장갑 본체부(100); 및 상기 손바닥 보호부(120)의 일측 단부에서 외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사용자의 손목(10)과 인접되어 연장된 척골(20)과 요골(30)을 상기 손목(1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감싸줌과 동시에 상기 손목(10)을 첫 번째로 감싸는 구간에서 상기 척골(20)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척골 골두(22)의 일부분이 부분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은 접촉 유지되며, 상기 척골(20)과 상기 요골(30) 사이에서 횡 방향에 형성된 원위요척관절(40)과 요골수근관절(50)과 상기 원위요척관절(40) 상기 요골수근관절(50) 사이에 형성된 관절원반(65)을 손목(10)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접촉되어 감싼 상태가 유지되는 띠 형태의 슬릿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슬릿부(21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 경로에서 상기 슬릿부(212)의 외측으로 연장된 보조 슬릿부(216)를 포함하는 제1 밴드부(210)와, 상기 제1 밴드부(210)의 연장된 단부에서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사용자의 손목(10)을 추가로 감싸는 제2 밴드부(220)가 구비된 밴드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 슬릿부(216)는 상기 슬릿부(212)를 기준으로 직교되어 연장된다.
상기 보조 슬릿부(216)는 상기 슬릿부(212)를 기준으로 방사 형태로 복수개가 대칭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사용자의 손목을 보호하고 척골 골두 및 상기 척골 골두 주위의 인대와 근육에 밀착하여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밴드부가 사용자의 손목을 감쌀 때 척골 골두가 부분 돌출된 상태로 1차로 감싸주면서, 척골 골두 주변의 인대와 근육에 보다 밀착된 상태로 감쌀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목을 상하 방향으로 구부릴 때 슬릿부를 제외한 모두 부분이 사용자의 손목에 밀착되므로 상기 손목이 꺽이면서 발생되는 손목 인대의 부상 및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손목 보호대를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릿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밴드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 발생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손목의 해부학적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손목 보호대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손목 보호대에 형성된 삽입부가 손목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실시 예.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손목 보호대에 형성된 커버부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1의 사용 상태도.
도 1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손목 보호대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손목 보호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손목 보호대를 도시한 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릿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손목 보호대는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장갑 본체부(100)와, 상기 장갑 본체부(100)에서 외측으로 연결된 밴드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고로 상기 밴드부(200)는 띠 형태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다.
상기 장갑 본체부(100)는 사용자의 손가락(2)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110)와, 상기 손가락 삽입부(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손바닥에 밀착되는 손바닥 보호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손가락 삽입부(11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 가능한 크기로 손바닥 보호부(120)에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손바닥 보호부(120)에 재봉 되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삽입시켜 사용할 수 있다.
손바닥 보호부(120)는 사용자의 손 바닥과 직접적인 접촉이 유지되는 부분으로 인조 가죽 또는 천연가죽이 사용되어 마모가 방지되며 전술한 재질 이외의 재질로 변경도 가능할 수 있다.
밴드부(200)는 상기 손바닥 보호부(120)의 일측 단부에서 외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사용자의 손목(10)과 인접되어 연장된 척골(20)과 요골(30)을 상기 손목(1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감싸줌과 동시에 상기 손목(10)을 첫 번째로 감싸는 구간에서 상기 척골(20)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척골 골두(22)의 일부분이 부분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은 접촉 유지되며, 상기 척골(20)과 상기 요골(30) 사이에서 횡 방향에 형성된 원위요척관절(40)과 요골수근관절(50)과 상기 원위요척관절(40) 상기 요골수근관절(50) 사이에 형성된 관절원반(65)을 손목(10)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접촉되어 감싼 상태가 유지되는 띠 형태의 슬릿부(212)가 형성된 제1 밴드부(210)와, 상기 제1 밴드부(210)의 연장된 단부에서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사용자의 손목(10)을 추가로 감싸는 제2 밴드부(220)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 예는 제1 밴드부(210)에 형성된 띠 형태의 슬릿부(212)가 형성되는데, 상기 슬릿부(212)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띠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슬릿부(212)는 제1 밴드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되, 일 예로 사용자의 손목(10)을 기준으로 횡 방향 길이 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된다.
상기 제1 밴드부(210)는 사용자가 착용을 위해 길이 방향으로 잡아 당길 경우 상기 슬릿부(212)가 손목(10)의 횡 방향으로 늘어나게 되므로 위와 같은 길이로 연장된다.
상기 슬릿부(212)는 손목(10)의 횡 방향으로 늘어날 경우 폭 방향(W)에서의 길이는 짧아 지면서 척골 골두(22)의 상단은 상기 슬릿부(212)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제1 밴드부(210)에 밀착된 상태로 접촉 유지된다.
상기 슬릿부(212)는 상기 척골 골두(22)의 돌출된 직경(D)에 해당되는 길이(L1) 보다 짧은 폭 방향 길이(L2)로 형성된다. 슬릿부(212)는 척골 골두(22) 부분이 모두 삽입되지 않고 돌출된 단부 중 일부분이 삽입되므로, 척골 골두(22)의 돌출된 직경(D)에 해당되는 길이(L1) 보다 작은 폭 방향 길이(L2)로 형성된 슬릿부(212)에 손쉽게 삽입된다.
본 발명과 같이 척골 골두(22)의 돌출된 단부 중 일부분만이 삽입되는 경우와 척골 골두(22)가 모두 삽입되는 경우와의 차이점은 도 7에 도시된 상기 척골 골두(22)와 인접한 원위요척관절(40)과 요골 수근 관절(50)과 관절원반(65)과 직접적으로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는지 유무에 따라 구분해 볼 수 있다.
본 발명과 같이 척골 골두(22)의 돌출된 단부 중 일부분만이 삽입될 경우에는 척골 골두(22)의 자유로운 움직임은 가능하게 하고, 나머지 척골 골두(22) 부분은 상기 제1 밴드부(210)에 밀착 유지되도록 하여 인대와 근육을 보다 안정적으로 잡아주게 되므로 급격한 손목(10)의 움직임이 발생되는 경우에 보호 안정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구성에 따른 기능성 손목 보호대를 착용할 경우 손목(10)에 대한 보호 효과가 향상되고, 인대와 근육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어 급격한 손목(10)의 움직임 또는 회전이 발생되는 경우에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슬릿부(212)는 상기 제1 밴드부(210)의 길이 방향에서 복수개가 도면 기준 상하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다. 상기 슬릿부(212)가 이와 같이 배치되는 이유는 척골 골두(22)가 성별과 연령 및 체형에 따라 위치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성별과 연령 및 체형에 상관 없이 밴드부(200)를 손쉽게 착용하게 위해 구비된다.
상기 척골 골두(22)는 손목(10)을 상측에서 바라볼 때 길이 방향에서 위치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즉 A위치에 척골 골두(22)가 위치하거나, B위치에 척골 골두(22)가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서로 다른 A와 B의 위치에 척골 골두(22)가 위치된 경우에도 슬릿부(212)가 복수개로 배치되어 있어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척골 골두(22)가 슬릿부(212)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즉 A위치에 위치된 척골 골두(22)는 복수개로 배치된 슬릿부(212) 중 도면 기준으로 2개가 상하로 배치되었을 때 상측에 배치된 슬릿부(212)에 삽입되고, B위치에 위치된 척골 골두(22)는 도면 기준으로 도면 기준으로 2개가 상하로 배치되었을 때 하측에 배치된 슬릿부(212)에 삽입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사용자가 기능성 손목 보호대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척골 골두(22)의 안전한 삽입이 가능해 지고, 상기 척골 골두(22) 및 주변 인대와 근육을 동시에 보호할 수 있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제1 밴드부(210)는 두께가 제2 밴드부(220)의 두께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손목(10)에 감을 때 밀착력이 향상되므로 손목(10) 주변의 인대 및 근육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밴드부(200)는 장갑 본체부(100)에서 손목(10)을 감는 기능과 함께 사용자가 운동시 손목에 가해진 중량으로 인해 손목(10)의 꺽임을 방지하고, 상기 손목(10)의 주변에 형성된 인대의 부상을 예방하여 염증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는 상기 밴드부(200)가 손목(10)을 감을 때 상기 척골 골두(22)가 슬릿부(212)에 삽입되므로 상기 밴드부(200)와 접촉되는 척골 골두(22) 부위가 벌어지거나 들뜨지 않고 제1 밴드부(210)에 밀착됨으로써 접촉면적 증가로 인한 손목 보호 효과가 향상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손목(10)을 사용할 때 상기 손목(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 또는 원주 방향으로 이동 또는 회전시킬 때 상기 밴드부(200)는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된 상태가 항시 유지되므로 손목(10) 보호 효과가 향상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슬릿부(212)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의 장공 형태로 형성수 있으나 타원 형태로 변경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제1 밴드부(210)는 상기 사용자의 손목(10)과 최초 접촉되는 구간에서 피부와 직접적인 접촉과 동시에 밀착이 이루어지고 연성의 재질로 형성된 제1 커버(211)와, 상기 제1 커버(211)와 마주보며 일체로 제봉된 제2 커버(215)와, 상기 제1 커버(211)와 상기 제2 커버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밴드부(210)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부재(213)를 포함한다.
제1 커버(211)는 사용자의 손목(10)에 직접 접촉되므로 밀착력과 착용감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 하며, 본 실시 예는 벨크로 형태의 메모리 폼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커버(215)는 제1 커버(211)와 동일한 재질과 크기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213)는 사용자가 손목(10)을 따라 밴드부(200)를 감을 때 당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여 손목(10)에 손쉽게 권취가 가능하게 하는 기능과, 손목(10)의 내측 중심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발생시켜 손목(10)의 과도한 꺽임을 방지하고 힘을 전달할 때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슬릿부(212)는 상기 제1,2 커버(211, 215) 및 상기 탄성부재(213)를 관통하여 형성되므로 척골 골두(22)가 용이하게 삽입된다.
상기 제1 밴드부(210)는 전체 구간 중 상기 슬릿부(212)의 개구된 구간과 인접하여 길이 방향(L)과 폭 방향(W)으로 소정의 길이와 폭으로 연장된 스트랩(S)을 포함한다. 상기 스트랩(S)은 상기 슬릿부(212)의 개구된 영역을 제외하고 손목(10)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손목(10)으로 소정의 온도로 열을 가하기 위해 내측에 구비된 열 발생부(1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트랩(S)은 슬릿부(212)의 크기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길이 및 폭과 상이한 길이 및 폭으로 연장되며, 척골 골두(22)와 인접한 주변에 형성된 요골수근관절(50)과 관절원반(65) 및 원위요척관절(40)에 대한 접촉 면적을 상이한 비율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슬릿부(212)가 도면에 도시된 크기보다 커지거나 작아질 경우 상기 스트랩(S)의 길이와 폭이 슬릿부(212)의 크기에 따라 길이가 길이 방향에서 길어 지거나 폭 방향에서의 폭이 변화되면서 전술한 요골수근관절(50)과 관절원반(65) 및 원위요척관절(40)에 대한 접촉 면적을 변화시켜 손목(10)과 상기 손목(10) 주변의 인대를 안정적으로 감싸주고 잡아줄 수 있어 운동 도중 발생될 수 있는 부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스트랩(S)은 사용자의 손목(10)으로 원적외선이 방출되도록 소정의 메시로 분쇄된 숯, 게르마늄, 옥, 셀리사이트(sericite), 세레늄, 티탄, 마그네사이트, 제올라이트, 그레파이트, 주석, 마그네슘, 회포석 중에서 소정의 중량으로 선택되는 혼합 분체로 이루어진다.
스트랩(S)은 사용자가 운동 도중 또는 운동 이후에 소정의 시간 동안 착용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열 발생부(130)를 통해 열이 손목(10)과 주변 인대 및 관절로 가해지므로 온열 효과 및 혼합 분체에 의한 원적외선의 효과가 발생된다.
상기 혼합 분체에 열이 가해져서 손목(10)으로 원적외선이 조사될 경우 인체에 가장 유익한 파장으로 조사되어 흡수되므로 상기 손목(10)의 피부심층(4~5센티)까지 침투하여 병원균 이나 암세포를 살균할 수 있다. 상기 원적외선은 파장이 길어 피부에서부터 지방층과 혈관 및 뼛속까지 침투하여 치료효과가 향상된다.
상기 원적외선은 인체 내 세포를 구성하는 수분과 단백질 분자에 방사되어 1분에 약 2000번씩 미세한 진동으로 공진시켜 세포의 활동을 왕성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포의 활동이 왕성해지는 과정에서 열 에너지가 발생되면서 체온이 자연스럽게 상승되고 미세혈관이 확장되면서 혈액 순환이 활성화되어 신진대사가 강화되며, 조직 재생력이 증가하여 형관 내 혈전을 분해하여 혈액 순환이 촉진된다.
이 경우 손목 주의의 혈액이 맑아지므로 수소이온농도(PH)를 향상시켜 사용자의 체질을 산성에서 약알칼리성으로 개선시키는 능력을 강화 시키고 이완작용으로 인해 성인병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스트레스 해소에도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원적외선이 손목에 조사될 경우 피하층의 온도상승과, 미세혈관의 확장과, 혈액순환의 촉진과, 혈액과 인체와 기타 조직과의 신진대사를 강화하고, 혈액장애를 개선하며, 조직의 재생능력이나 항 경련능력의 증가가 동시에 유발된다.
예를 들어 손목(10)에 염증이 발생되지는 않았거나 발생된 경우에 상기 손목 보호대를 착용할 경우 염증이 예방되거나, 최대로 완화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목(10) 보호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첨부된 도 6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열 발생부(130)는 박판의 면상 발열체가 사용되나 다른 구성으로 변경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열 발생부(130)는 별도로 구비된 전원부(300)를 통해 작동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된다.
상기 슬릿부(212)는 척골 골두(22)의 기능적인 움직임을 자유롭게 유지되도록 삽입되므로 사용자가 운동 도중 손목(10)을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척골 골두(22)의 삽입 안정성은 유지되고, 상기 슬릿부(212)를 제외한 제1 밴드부(210)와 손목(10) 피부와의 접촉면은 벌어지거나 들뜨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밀착된다.
상기 척골 골두(22)가 삽입되는 이유는 상기 제1 밴드부(210)가 손목(10)을 감싼 이후에 척골 골두(22)가 손목(10)의 내측 방향으로 눌리는 현상은 최소화 하면서도 자유로운 움직임은 가능하게 하며, 상기 척골 골두(22) 주변의 인대 조직은 상기 제1 밴드부(210)에 의해 밀착되게 접촉 유지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감싼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의 손목(10) 부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제1 밴드부(210)가 상기 사용자의 손목(10)을 감쌀 경우 상기 원위요척관절(40)의 일부는 상기 슬릿부(212)의 띠 형태로 개구된 영역에 위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 밴드부(210)에 의해 손목(10)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감싼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손등을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원위요척관절(4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손목(10)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요골수근관절(50)의 일부는 상기 슬릿부(212)의 띠 형태로 개구된 영역에 위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 밴드부(210)에 의해 손목(10)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감싼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요골수근관절(50)과 인접한여 사용자의 새끼 손가락으로 연장된 척골 측부인대(60) 중의 일부는 상기 손목(10)의 반경 방향에서 감싼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요골수근관절(50)의 연장된 단부와 인접하여 엄지 손가락으로 연장된 요골 측부인대(70)의 일부가 상기 손목(10)의 반경 방향에서 감싼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척골 골두(22)와 상기 요골수근관절(50) 사이에 위치된 관절원반(65)의 일부는 상기 슬릿부(212)의 띠 형태로 개구된 영역에 위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 밴드부(210)에 의해 손목(10)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감싼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원위요척관절(40)과 요골수근관절(50) 및 관절원반(65)은 상기 슬릿부(212)의 개구된 영역에 일부가 위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1 밴드부(210)에 밀착 유지되므로 손목(10)의 다양한 움직임 또는 회전이 발생되는 경우에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다.
상기 슬릿부(212)는 길이 방향에서는 길게 연장되고, 폭 방향에서는 소정의 길이로 개구 되므로 전술한 원위요척관절(40)과 요골수근관절(50) 및 관절원반(65)의 일부분이 슬릿부(212)의 개구된 영역에 위치되고, 대부분 제1 밴드부(210)에 밀착되므로 잡아주는 힘이 증가하게 된다. 이 경우 손목(10)의 사용에 따라 보다 큰 힘이 필요하여 상기 손목(10)의 회전 또는 이동 각도가 증가될 때 보다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제1 밴드부(210)가 상기 사용자의 손목(10)을 감쌀 경우 상기 손목을 구성하는 척골(20)과 요골(30) 사이에 형성된 원위요척관절(40)의 일부는 상기 슬릿부(212)의 개구된 영역에 위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 밴드부(210)에 의해 손목(10)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감싼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원위요척관절(40)은 손목(10)을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릴 때 사용되는 관절로서 후술할 요골수근관절(50)과 척골 골두(22) 사이에 일부가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는 척골(20)과 요골(30) 사이를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다.
상기 원위요척관절(40)은 전술한 방향으로 손목(10)의 움직임에 관여하고,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손목(10)을 이동시키는 동작에도 관여하므로 상기 원위요척관절(40)의 일부 구간을 제1 밴드부(210)에 의해 감싸서 보호할 경우 안정적인 움짐임을 보장하고, 손목(10)에 힘이 가해지거나, 손목에서 힘을 전달하고자 할 때 주변에 형성된 관절원반(65) 또는 요골수근관절(50)에 무리를 발생시키지 않고 보다 큰 힘을 내는데 유리하게 작용한다.
상기 슬릿부(212)에 척골 골두(22)가 삽입될 경우 손목(10)의 움직임에 따른 기능적인 움직임은 자유롭게 보장되므로 사용자의 안정적인 움직임이 보장되고, 상기 슬릿부(212)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피부에 밀착 유지되어 상기 요골수근관절(50)과 원위요척관절(40) 및 관절원반(60)을 손목(1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눌러주게 되어 사용자의 손목(10)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밴드부(210)는 상기 사용자의 손등을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원위요척관절(4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손목(10)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요골수근관절(50)의 일부는 상기 슬릿부(212)의 개구된 영역에 위치되고, 상기 요골수근관절(50)과 인접한여 사용자의 새끼 손가락으로 연장된 척골 측부인대(60) 중의 일부는 상기 손목(10)의 반경 방향에서 감싼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요골수근관절(50)의 연장된 단부와 인접하여 엄지 손가락으로 연장된 요골 측부인대(70)의 일부가 상기 손목(10)의 반경 방향에서 감싼 상태가 유지된다.
본 실시 예는 단순히 손목(10)을 감싸는 것이 아니라, 척골(20)과 요골(30)을 손목(1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눌러줌과 동시에, 원위요척관절(40)과, 요골수근관절(50) 및 관절원반(65)의 일부는 피부의 상면에 접촉하여 눌러주고, 일부는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여 손목(10)의 과도하게 가해지는 응력을 안정적으로 지지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손목(10)이 다양한 방향으로 사용될 때 상기 원위요척관절(40) 또는 요골수근관절(50) 또는 관절원반(65) 중의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파열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손목(10)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목(10)을 이용하여 특정한 힘을 내고자 할 때 전술한 원위요척관절(40) 또는 요골수근관절(50) 또는 관절원반(65)이 제1 밴드부(210) 및 슬릿부(212)에 의해 감싼 상태가 유지되거나, 개구된 영역에 위치되므로 보다 강한 힘을 발휘할 수 있어 사용자의 손목(10) 손상 및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1 밴드부(210)를 이용하여 손목(10)을 감싸기 위해서는 손가락 삽입부(110)에 손가락을 삽입한 후에 상기 제1 밴드부(210)를 손목의 상측으로 1회 감싸되, 돌출된 척골 골두(22)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부(212)에 위치하도록 감싼다.
이 경우 척골 골두(22)는 슬릿부(212)의 개구된 영역에 돌추된 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척골 골두(22) 주변의 원위요척관절(40) 또는 요골수근관절(50)이 부분적으로 상기 슬릿부(212)의 개구된 영역에 일부는 위치하고 나머지 일부는 제1 밴드부(210)에 의해 손목(10)의 내측 중심 방향으로 감싼 상태가 유지되며, 관절원반(65) 또한 상기 슬릿부(212)의 개구된 영역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2 밴드부(220)를 상기 제1 밴드부(210)의 상측 방향으로 한번 더 감싼 이후에 벨크로(5)가 형성된 부분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밴드부(220)의 외측에 접착시키면 착용이 완료된다.
첨부된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관절원반(22)은 요골수근관절(50)과 원위요척관절(40)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요골수근관절(50)과 원위요척관절(40)의 안정적인 움직임과 기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슬릿부(212)는 도면에 실선으로 도시한 영역에 해당되고, 상기 관절원반(22)을 피부의 상면에서 손목(10)의 중심 방향으로 누르기 보다는 자유롭게 움직임이 보장되도록 슬릿부(212)의 개구된 영역안에 위치되는 크기로 형성되므로 상기 관절원반(22)의 안정적인 기능이 유지된다.
요골수근관절(50)은 손목(10)을 상측에서 발라볼 때 좌측에 형성된 척골 측부인대(60)에서부터 우측 요골 측부인대(70)를 향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이동 궤적이 유지된다.
상기 요골수근관절(50)은 하측에 형성된 관절원반(65)을 매개로 원위요척관절(40)의 안정적인 기능과 움직임 및 척골 측부인대(60) 및 요골 측부인대(70)의 파열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고, 상기 척골(20)과 요골(30)을 밀착되게 잡아 줌으로써 사용자의 손목(10)이 원하는 방향과 각도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 예는 상기 요골수근관절(50)의 일부가 슬릿부(212)의 개방된 영역에 위치되고 일부는 제1 밴드부(210)에 의해 감싼 상태가 유지되므로 기능적인 움직임과 힘 발생에 필요한 사용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밴드부(210)는 척골 골두(22)의 기능적인 움직임은 보장하되, 척골 측부인대(60)와는 밀착된 상태로 손목(10)의 내측 방향으로 감싸줌으로써 안정적인 움직임과 보호 기능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밴드부(220)는 상기 제1 밴드부(210)에 의해 1차로 감싼 부분을 2차로 감쌀 경우 상기 사용자의 손등을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손목(10)을 구성하는 척골(20)과 요골(30) 사이에 형성된 원위요척관절(4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손목(10)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요골수근관절(50)과, 상기 척골 골두(22)와 상기 요골수근관절(50) 사이에 위치된 관절원반(65)을 손목(10)의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소정의 압력으로 동시에 눌러준다.
본 실시 예는 제1 밴드부(210)가 1차로 감싼 후에, 2차로 제2 밴드부(220)에 의해 감싸게 되므로 손목(10)의 저림으로 인한 통증 유발이 감소된다.
특히 제1 밴드부(210)가 제2 밴드부(220) 보다 얇은 두께로 손목에 1차로 감기게 되므로 적은 압력으로 손목을 감는 경우에도 피부에 최대한 밀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 경우 사용자의 손목(10) 또는 손목(10) 주변의 저림 현상이 완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밴드부(22)의 두께가 제1 밴드부(21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손목(10) 꺽임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된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제1 밴드부(210)는 상기 슬릿부(212)의 개구된 영역의 상면을 덮은 상태로 유지시키는 커버부(21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214)는 상기 척골 골두(22) 및 척골(20)과 요골(30) 사이에 형성된 원위요척관절(40)의 일부와, 손목(10)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요골수근관절(50)의 일부 및 상기 척골 골두(22)와 상기 요골수근관절(50) 사이에 위치된 관절원반(65)의 일부와 접촉되어 덮을 수 있게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제1 밴드부(210)는 슬릿부(212)의 개구 영역을 통해 척골 골두(22)가 돌출된 상태로 손목을 감싸주고, 이와 동시에 상기 슬릿부(212)에서 돌출된 척골 골두(22)의 상측을 상기 커버부(214)의 상측에서 추가로 감싸도록 하여 손목(10)을 보호하고, 상기 척골 골두(22)의 상면에 커버부(214)가 접촉되어 접촉면이 증가됨으로써 손목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이에 대응하는 손목(10)의 힘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척골 골두(22)의 단부 표면을 커버부(214)에 의해 감싸는 경우 손목(10)으로 전달된 힘을 전달할 때 보다 많이 전달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척골 골두(22)가 슬릿부(212)에 삽입된 상태로 움직임이 보장되는 조건에서 특정한 힘을 발생시킬 때 커버부(214)에 의해 척골 골두(22)와 접한 피부상면을 잡아주게 되어 보다 많은 힘을 유발하는데 유리해 진다.
제1 밴드부(210)는 상기 척골 골두(22)의 돌출된 부분은 피해서 1차로 감되, 상기 돌출된 척골 골두(22)는 커버부(214)를 통해 밀착된 상태로 감싸줌으로써 새끼 손가락을 따라 연장된 척골 측부인대(60)와, 요골수근관절(50)과 관절원반(65) 및 원위요척관절(40)을 커버하면서 감싸줄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의 손목(10)에 대한 보호 역할과 동시에 척골 골두(22)를 함께 감싸게 되므로 손목으로 전달된 힘을 주변 인대 및 관절로 보다 정확하게 전달하여 힘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고, 보다 많은 힘을 전달할 수 있게 한다.
기존의 경우 상기 척골 골두(22)를 상면과 접촉된 상태로 손목(10)의 중심 방향을 향해 최소한으로 누루면서 감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피부와 척골 골두(22) 사이에 이격된 간격이 발생되거나 들뜨는 부분이 발생되므로, 손목으로 힘이 전달될 경우 안정적으로 힘을 전달하기 어려웠지만 본 실시 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용자의 손목(10)으로 전달되는 힘을 안정적으로 수용하고 전달할 수 있는 차이점을 갖는다.
특히 커버부(214)는 슬릿부(212)의 개구된 영역에서 척골 골두(220)의 외측에 밀착됨으로써 척골 골두(220)와 직접적으로 접촉을 통해 상기 척골 골두(220)와 상기 척골 측부인대(60)와, 요골수근관절(50)과, 관절원반(65) 및 원위요척관절(40)에 대한 보호와 동시에 힘 발생이 원활하게 유지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커버부(214)는 상기 슬릿부(212)의 개구된 가장 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원주 방향에서 탄성 복원력이 발생되는 제1 커버부(214a)와, 상기 제1 커버부(214a)에 연결되고 상기 슬릿부(212)의 개구된 상면을 커버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제1커버부(214a)와 상이한 방향에서 탄성 복원력이 발생되는 제2 커버부(214b)를 포함한다.
제1 커버부(214a)와 제2 커버부(214b)는 모두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일 예로 라텍스 또는 고무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커버부(214a)는 원주 방향에서 탄성 복원력이 유지되므로 척골 돌기(22)의 돌출되지 않은 영역에서 피부에 밀착됨과 동시에 손목(10)의 회전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밀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손목(10)의 주변의 인대 손상을 방지한다.
제2 커버부(214b)는 방사 형태로 탄성 복원력이 발생되는데, 일 예로 상기 제2 커버부(214b)가 척골 골두(22)의 상면을 덮은 방사 형태로 형성되므로, 방사형태의 탄성 복원력이 유지된다.
이 경우 제2 커버부(214b)는 손목(10)의 움직임에 따라 척골 골두(22)가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움직임을 잡아줄 수 있어 상기 척골 골두(220)에 가해진 힘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척골 골두(22)가 어느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제2 커버부(214b)에 의해 감싼 상태로 접촉 유지되는 조건에서는 보다 많은 힘을 전달할 수 있어 운동에 따른 퍼포먼스가 향상된다.
제1 커버부(214a)는 상기 제2 커버부(214b) 사이에서 제1 메쉬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커버부(214b)는 상기 척골 골두(22)를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으로 연장되고 제2 메쉬로 형성된다.
제1,2 커버부(214a, 214b)가 소정의 간격을 갖는 제1,2 메쉬로 형성되므로 다양한 방향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척골 골두(22) 및 주변 인대를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2 커버부(214a, 214b)가 척골 골두(22)의 상면을 단순히 덮는 구조일 경우 다양한 방향에서 힘이 가해지면 척골 골두(22)의 움직임에 따른 보호가 불리해질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2 커버부(214a, 214b)가 제1,2 메쉬로 구성되므로 어느 방향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척골 골두(22) 및 주변 인대를 보호할 수 있어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고 손목(10)에 전달되는 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메쉬는 상기 제1 메쉬 보다 짧은 간격이 유지되는데, 척골 골두(22)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척골 골두(22)가 손목(10)의 움직임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이러한 이동에 따른 움직임을 밀착된 조건에서 잡아 주기 위해 제1 메쉬 보다 짧은 간격이 유지된다.
제2 커버부(214b)는 척골 골두(22)를 신축성 있게 밀착되므로 주변의 인대를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다.
상기 제2 커버부(214b)는 상기 사용자의 체온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형상 기억 소재가 사용된다. 상기 척골 골두(22)는 사용자에 따라 성별에 따라 크기가 다양 해지므로 사용자에 상관 없이 상기 척골 골두(22)의 표면에 밀착되기 위해 전술한 소재가 사용된다.
상기 형상 기억 소재는 척골 골두의 크기가 지나치게 크지 않은 경우 대부분 표면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손목 움직임에 따른 다양한 모션을 수용할 수 있게 밀착되므로 상기 척골 골두(22)를 보호하고, 가해진 힘을 보다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사용자의 손목 부상을 방지하고, 운동시 보다 많은 힘을 낼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손목 보호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는 사용자의 손가락(2)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110)와, 상기 손가락 삽입부(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손바닥에 밀착되는 손바닥 보호부(120)가 형성된 장갑 본체부(100); 및 상기 손바닥 보호부(120)의 일측 단부에서 외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사용자의 손목(10)과 인접되어 연장된 척골(20)과 요골(30)을 상기 손목(1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감싸줌과 동시에 상기 손목(10)을 첫 번째로 감싸는 구간에서 상기 척골(20)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척골 골두(22)의 일부분이 부분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은 접촉 유지되며, 상기 척골(20)과 상기 요골(30) 사이에서 횡 방향에 형성된 원위요척관절(40)과 요골수근관절(50)과 상기 원위요척관절(40) 상기 요골수근관절(50) 사이에 형성된 관절원반(65)을 손목(10)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접촉되어 감싼 상태가 유지되는 띠 형태의 슬릿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슬릿부(21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 경로에서 상기 슬릿부(212)의 외측으로 연장된 보조 슬릿부(216)를 포함하는 제1 밴드부(210)와, 상기 제1 밴드부(210)의 연장된 단부에서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사용자의 손목(10)을 추가로 감싸는 제2 밴드부(220)가 구비된 밴드부(20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다르게 슬릿부(212)에서 직교되어 외측으로 보조 슬릿부(216)가 연장되고, 상기 슬릿부(212)와 상기 보조 슬릿부(216)의 연결 위치에 척골 골두(22)의 단부 중 일부가 부분 삽입된다.
상기 보조 슬릿부(216)는 척골 골두(22)의 위치 변화와 상관 없이 삽입되기 위해 복수개로 이루어져 슬릿부(212)의 길이 방향에 배치된다.
척골 골두(22)는 사용자 마다 상이할 수 있으므로 상기 보조 슬릿부(216)가 길이 방향에서 복수로 배치됨으로써 척골 골두(22)의 용이한 삽입이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 슬릿부(216)는 상기 슬릿부(212)를 기준으로 직교되어 연장되는데, 연장된 길이는 도면에 도시된 길이로 한정하지 않는다.
보조 슬릿부(216)는 도면에 도시된 개수 보다 증가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개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보조 슬릿부(216)는 상기 슬릿부(212)를 기준으로 방사 형태로 복수개가 대칭으로 연장된다. 전술한 실시 예와 다르게 방사형태로 연장될 경우 척골 골두(22)의 삽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어 사용자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척골 골두(22)가 위치된 경우에도 삽입이 용이 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2 : 손가락
10 : 손목
20 : 척골
22 : 척골 골두
30 : 요골
40 : 원위요척관절
50 : 요골수근관절
65 : 관절원반
110 : 손가락 삽입부
100 : 장갑 본체부
200 : 밴드부
210 : 제1 밴드부
211 : 제1 커버
213 : 탄성부재
214 : 커버부
214a, 214b : 제1,2 커버부
215 : 제2 커버
212 : 슬릿부
220 : 제2 밴드부

Claims (6)

  1. 사용자의 손가락(2)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110)와, 상기 손가락 삽입부(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손바닥에 밀착되는 손바닥 보호부(120)가 형성된 장갑 본체부(100); 및
    상기 손바닥 보호부(120)의 일측 단부에서 외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사용자의 손목(10)과 인접되어 연장된 척골(20)과 요골(30)을 상기 손목(1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감싸줌과 동시에 상기 손목(10)을 첫 번째로 감싸는 구간에서 상기 척골(20)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척골 골두(22)의 일부분이 부분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은 접촉 유지되며, 상기 척골(20)과 상기 요골(30) 사이에서 횡 방향에 형성된 원위요척관절(40)과 요골수근관절(50)과 상기 원위요척관절(40)과 상기 요골수근관절(50) 사이에 형성된 관절원반(65)을 손목(10)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접촉되어 감싼 상태가 유지되는 띠 형태의 슬릿부(212)가 형성된 제1 밴드부(210)와, 상기 제1 밴드부(210)의 연장된 단부에서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사용자의 손목(10)을 추가로 감싸는 제2 밴드부(220)가 구비된 밴드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밴드부(210)는 상기 슬릿부(212)의 개구된 영역의 상면을 덮은 상태로 유지시키는 커버부(214)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214)는 상기 척골 골두(22) 및 척골(20)과 요골(30) 사이에 형성된 원위요척관절(40)의 일부와, 손목(10)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요골수근관절(50)의 일부 및 상기 척골 골두(22)와 상기 요골수근관절(50) 사이에 위치된 관절원반(65)의 일부와 접촉 유지되는 기능성 손목 보호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212)는 상기 제1 밴드부(210)의 길이 방향에서 복수개가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기능성 손목 보호대.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부(210)가 상기 사용자의 손목(10)을 감쌀 경우 상기 원위요척관절(40)의 일부는 상기 슬릿부(212)의 띠 형태로 개구된 영역에 위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 밴드부(210)에 의해 손목(10)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감싼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사용자의 손등을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원위요척관절(4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손목(10)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요골수근관절(50)의 일부는 상기 슬릿부(212)의 띠 형태로 개구된 영역에 위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 밴드부(210)에 의해 손목(10)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감싼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요골수근관절(50)과 인접한여 사용자의 새끼 손가락으로 연장된 척골 측부인대(60) 중의 일부는 상기 손목(10)의 반경 방향에서 감싼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요골수근관절(50)의 연장된 단부와 인접하여 엄지 손가락으로 연장된 요골 측부인대(70)의 일부가 상기 손목(10)의 반경 방향에서 감싼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척골 골두(22)와 상기 요골수근관절(50) 사이에 위치된 관절원반(65)의 일부는 상기 슬릿부(212)의 띠 형태로 개구된 영역에 위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 밴드부(210)에 의해 손목(10)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감싼 상태가 유지되는 기능성 손목 보호대.
  4. 삭제
  5. 사용자의 손가락(2)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110)와, 상기 손가락 삽입부(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손바닥에 밀착되는 손바닥 보호부(120)가 형성된 장갑 본체부(100); 및
    상기 손바닥 보호부(120)의 일측 단부에서 외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사용자의 손목(10)과 인접되어 연장된 척골(20)과 요골(30)을 상기 손목(1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감싸줌과 동시에 상기 손목(10)을 첫 번째로 감싸는 구간에서 상기 척골(20)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척골 골두(22)의 일부분이 부분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은 접촉 유지되며, 상기 척골(20)과 상기 요골(30) 사이에서 횡 방향에 형성된 원위요척관절(40)과 요골수근관절(50)과 상기 원위요척관절(40) 상기 요골수근관절(50) 사이에 형성된 관절원반(65)을 손목(10)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접촉되어 감싼 상태가 유지되는 띠 형태의 슬릿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슬릿부(21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 경로에서 상기 슬릿부(212)의 외측으로 연장된 보조 슬릿부(216)를 포함하는 제1 밴드부(210)와, 상기 제1 밴드부(210)의 연장된 단부에서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사용자의 손목(10)을 추가로 감싸는 제2 밴드부(220)가 구비된 밴드부(200)를 포함하는 기능성 손목 보호대.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슬릿부(216)는 상기 슬릿부(212)를 기준으로 직교되어 연장된 기능성 손목 보호대.
KR1020190041585A 2019-04-09 2019-04-09 기능성 손목 보호대 KR102283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585A KR102283581B1 (ko) 2019-04-09 2019-04-09 기능성 손목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585A KR102283581B1 (ko) 2019-04-09 2019-04-09 기능성 손목 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134A KR20200119134A (ko) 2020-10-19
KR102283581B1 true KR102283581B1 (ko) 2021-07-29

Family

ID=73042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585A KR102283581B1 (ko) 2019-04-09 2019-04-09 기능성 손목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35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765A (ko) 2020-12-21 2022-06-29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손목 보호용 골프장갑
KR102346600B1 (ko) 2021-03-24 2022-01-05 (주)에이더 미세전류가 흐르는 보호대 장치
KR102443133B1 (ko) * 2021-09-07 2022-09-14 황재호 손목 보호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425091U (zh) * 2013-09-12 2014-02-12 苗传军 一种手腕、手指矫形器
CN204709099U (zh) 2015-06-09 2015-10-21 宜昌市第二人民医院 手部固定托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711B1 (ko) 2011-05-16 2013-03-12 주식회사 박의지 회전조작형 밴드 타이트너
KR101997789B1 (ko) * 2017-06-23 2019-07-08 이승훈 통증 완화용 손목 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425091U (zh) * 2013-09-12 2014-02-12 苗传军 一种手腕、手指矫形器
CN204709099U (zh) 2015-06-09 2015-10-21 宜昌市第二人民医院 手部固定托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134A (ko) 2020-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3581B1 (ko) 기능성 손목 보호대
US6120472A (en) Forearm splint system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carpal tunnel syndrome and other cumulative trauma disorders
AU641564B2 (en) Elbow brace for attenuating tennis elbow
AU2004257658B2 (en) Orthotic protective device
KR101837187B1 (ko) 손목 보호대
US4732142A (en) Deep friction massage orthosis
KR102283579B1 (ko) 기능성 손목 보호대
US20140088473A1 (en) Massage device
US11931284B2 (en) Multi-digit braces and methods of use
RU276507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лучшения хвата, содержащее вставку
US20110138513A1 (en) Protective device
KR200461181Y1 (ko) 레포츠용 토시
US20080262536A1 (en) Apparatus for treating soft tissue injuries during physical activity
US20130296986A1 (en) Therapeutic Cold Compress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US20120160229A1 (en) Athletic warming device
US6902574B2 (en) Temperature therapy apparatus
KR20190140119A (ko) 찜질팩 수납공간을 구비한 보호밴드
CN215020219U (zh) 腱鞘防护修复贴片
KR200487438Y1 (ko) 관절보호대
CN207356164U (zh) 一种腱鞘炎护腕按摩牵引器
GB2088729A (en) Boxing gloves
KR20180060850A (ko) 엄지손가락 관절의 꺾임을 방지하는 염좌 보호용 장갑
TWM654741U (zh) 魚鱗人體震動支架護具
KR20230079835A (ko) 팔꿈치 보호 패치
Bailly et al. 11.1 Rehabilitation and Principles of Injury Prevention in Ball Spo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