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133B1 - 손목 보호대 - Google Patents
손목 보호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3133B1 KR102443133B1 KR1020210119174A KR20210119174A KR102443133B1 KR 102443133 B1 KR102443133 B1 KR 102443133B1 KR 1020210119174 A KR1020210119174 A KR 1020210119174A KR 20210119174 A KR20210119174 A KR 20210119174A KR 102443133 B1 KR102443133 B1 KR 1024431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rist
- area
- safe zone
- region
- ba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8—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61F13/107—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wrist support ; Compression devices for tennis elbow (epicondyliti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8—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 A61F5/05866—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for wrists, hands, fingers or thumb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7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cush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81—Protectors for articul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Dicing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손목 보호대 에 있어서, 손목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손목을 지지하는 밴드본체를 포함하고, 밴드본체는, 내측에 T자 형상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세이프존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손목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수근관(carpal tunnel)과 요측수근굴근(flexor carpi radialis), 척측수근골근(flexor carpi ulnaris) 주행경로의 압박을 방지하고, 손목 관절을 효과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손목의 통증을 호소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가장 흔한 손목 통증의 원인으로 수근관 증후군(손목터널 증후군, carpal tunnel syndorme), 건염(tendinitis) 등이 있다.
수근관 증후군은 압박성 신경병증이며, 정중 신경이 손목 부위에서 압박되어, 손과 손가락의 저림, 통증, 감각 저하, 부종, 힘의 약화 등이 나타나는 말초 신경 압박 증후군이다.
구체적으로 수근관이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좁아지거나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신경이 압박되면, 이곳을 지나는 정중 신경(median nerve)이 자극되어 수근관 증후군이 나타난다.
이러한 수군관 증후군은 통상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손목의 무리한 사용을 줄이는 것이 권장되고 있으나, 증상 정도에 따라 주사요법으로 치료하거나, 심한 경우 신경 수술을 하여야 하는 경우도 있으며, 최근에는 손목의 운동을 제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손목 보호대가 개발되어 수군관 증후군을 예방하도록 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손목 보호대는 손목 부위를 감싸는 밴드 형태로 형성되며, 손목의 외측면에서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고르게 손목 부위를 압박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손목 보호대는 손목 부위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압박하기 때문에 수근관 또한 압박되며, 수근관 내 공간의 압력을 높여 정중 신경이 압박되어 증상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특허공보 10-1136997(헬스용장갑)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수근관(carpal tunnel)과 요측수근골근(flexor carpi radialis) 및 척측수근골근(flexor carpi ulnaris)의 주행경로에 대한 압박을 방지하고, 손목 관절을 고정시켜 손목 통증을 예방할 수 있는 손목 보호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손목 보호대는 손목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손목을 지지하는 밴드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본체는, 내측에 T자 형상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세이프존을 포함한다.
상기 세이프존은, 상기 밴드본체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상태에서 손목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이프존은, 사용자의 손목에 돌출된 주상골 및 두상골이 배치되도록 손목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영역 및 수근관의 일부가 배치되도록 손에서 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밴드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소정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의 중심부에서 상기 제1 영역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의 길이는, 상기 제2 영역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의 폭은, 상기 제2 영역의 폭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테두리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밴드본체는, 상기 세이프존의 개구된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사용자의 손목과 접촉되는 밴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밴드부는, 완충 가능한 쿠션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이프존은, 상기 밴드부의 두께만큼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밴드본체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밴드부가 손목의 일부 영역을 압박하고, 상기 세이프존 영역은 손목을 압박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밴드본체를 둘러싸도록 연장 형성되고, 원주 방향에서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세이프존의 개구된 상면을 덮은 상태로 유지시키고, 사용자의 손목 관절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밴드부는, 사용자의 손바닥에 인접한 손가락의 첫마디에 거치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는 사용자의 손목을 보호하고, 손목 내 신경의 압박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손목 보호대는 수근관, 요측수근골근 및척측수근골근의 주행경로를 압박하지 않은 상태에서 손목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손목의 움직임을 방지할 뿐 아니라 수근관의 압력을 직접적으로 감소시켜 통증완화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손목 보호대는 주상골, 두상골과 인접한 주변 근육 및 주변 인대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를 설명하기 위해 손목의 해부학적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전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a은 도 4에 표시된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4에 표시된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측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를 설명하기 위한 전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를 설명하기 위해 손목의 해부학적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전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a은 도 4에 표시된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4에 표시된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측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를 설명하기 위한 전면도 및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 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제1~", "제2~" 와 같은 서수적인 표현은 "제1~"이 "제2~"보다 앞선 것임을 한정하지 않으며, 유사한 구성을 달리 구분하여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를 설명하기 위해 손목의 해부학적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전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100)는 손목 통증을 예방하면서 손목을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세이프존(110)이 형성된 밴드본체(101)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목 보호대(100)는 손목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손목을 지지하는 밴드본체(101)를 포함하고, 밴드본체(101)는 내측에 T자 형상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세이프존(1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밴드본체(101)는 세이프존(110)의 개구된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사용자의 손목과 접촉되는 밴드부(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밴드본체(101)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상태에서, 세이프존(110)은 세이프존에 대응되는 손목의 일부 영역을 압박하지 않고, 밴드부(120)는 세이프존(110)에 해당하는 일부 영역을 제외한 손목 영역을 압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밴드본체(101)는 손목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손목에 착용되는 것으로,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본체(101)는 탄성력을 갖는 단순한 링 형상의 밴드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밴드부(120)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손목에 용이하게 권취가 가능하고, 사용자의 손목에 직접 접촉되므로 밀착력과 착용감이 우수하다. 밴드부(120)는 손목 내측 중심 방향으로 가압력이 작용하여 손목의 과도한 꺽임을 방지하고 힘을 전달할 때 손목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밴드부(120)는 후술하는 세이프존(110)의 개구된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되므로 세이프존(110)에 해당하는 손목 부분에는 밴드부(120)의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일 예로 밴드본체(101)를 링 형상의 밴드부(120)를 갖는 형태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밴드본체(101)는 손목 착용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밴드본체(101)는 별도의 고정 수단을 통해 링 형상으로 고정될 수 있는 띠 형태의 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부(120)가 띠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양끝단에 밴드본체(101)가 링 형상이 되도록 양단을 고정시킬 수 있는 암벨크로와 수벨크로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벨크로 고정 수단을 통해 사용자는 편리하게 사용자의 손목에 맞도록 그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밴드부(120)의 일단부에는 스트랩 고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스트랩 고리에 걸린 상태로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암벨크로와 수벨크로가 형성되어 링 형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 수단을 벨크로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버클 등과 같이 다양한 고정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밴드본체(101)에는 손목 통증의 가장 주된 원인이 되는 수근관증후근(carpal tunnel syndorme) 및 요측수근골근 건염(flexor carpi radialis tendinitis), 척측수근골근 건염(flexor carpi ulnaris tendinitis)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한 세이프존(110)이 형성된다.
세이프존(110)은 후술하는 수근관과 요측수근골근 및 척측수근골근의 주행경로에 대한 압박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밴드본체(10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손목 보호대(100)를 손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세이프존(110)은 사용자의 손목과 연결될 수 있다.
세이프존(110)은 수근관 및 요측수근골근, 척측수근골근 주행경로의 압박을 방지하기 위해 T형상으로 형성된다.
세이프존(110)은 밴드본체(101)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상태에서 손바닥방향인 손목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밴드본체(101)는 전체 구간 중 세이프존(110)의 개구된 영역을 제외하고 손목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세이프존(110)을 제외한 밴드부(120)는 손목과 손목 주변의 인대를 안정적으로 감싸주고 잡아줄 수 있는 길이 및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세이프존(110)은 도면에 T자형 실선으로 도시한 영역에 해당한다. 세이프존(110)은 손목에 형성된 수근관(carpal tunnel, C). 주상골(scaphoid, S), 두상골(pisiform, P)을 수용하는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근관(C)은 손바닥 쪽에서 손의 움직임에 관여하는 근육의 힘줄, 손의 감각을 담당하는 감각 신경과 운동에 관여하는 운동 신경, 손의 혈액 공급에 필요한 혈관 등이 손목을 지날 때 위에서 덮어주는 가로 손목 인대(수평 손목 인대, 수근관 인대, 횡수근 인대)와 주변 조직에 의해 둘러 싸여진 공간이다.
가장 흔한 손목 통증의 원인 중 하나인 수근관 증후군은 수근관(C) 내의 압력이 증가하여 수근관(C)을 지나가는 구조물 중의 하나인 정중 신경(median nerve, M)이 압박을 받기 때문에 발생한다.
수근관(C)은 손목을 많이 젖히면 공간이 작아지게 되고, 손바닥에 있던 구조물의 일부가 손목 쪽으로 밀려가 수근관(C) 내의 내용물의 부피가 증가하는 효과가 생겨 정중 신경(M)이 눌리는 현상이 더 두드러지게 된다.
이러한 수근관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손목 보호대는 정중 신경(M)이 압박되지 않도록 과도한 손목의 꺾임을 방지하기 위해 손목의 외측면에서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손목 부위를 고르게 압박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손목 보호대는 손목 부위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압박하기 때문에 손목 동맥의 혈류가 원활하지 못하여 손저림 현상이 발생하거나 손이 붓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신경은 힘줄과 달리 조직이 딱딱하지 않고 부드럽기 때문에 손목 보호대의 압박에 의해 손상 받기 쉬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100)는 정중 신경(M)에 미치는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수근관(C)이 위치된 부분을 미 접촉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세이프존(110)을 포함한다.
또 다른 흔한 손목 통증의 원인으로 요측수근골근 건염(flexor carpi radialis tendinitis), 척측수근골근 건염(flexor carpi ulnaris tendinitis)이 있다.
요측수근골근 건염(flexor carpi radialis tendinitis)은 원위요골에서 시작하여 주상골(S)을 지나 주행하는 요측수근골근(FCR)에 반복적인 주상골(scaphoid)의 자극에 의해 건에 염증이 생기는 것이고, 척측수근골근 건염(flexor carpi ulnaris tendinitis)은 원위척골에서 시작하여 두상골(pisiform)을 지나 주행하는 척측수근골근(FCU)에 반복적인 두상골(pisiform)의 자극에 의해 건에 염증이 생기는 것이다.
건의 주행 범위는 굉장히 넓지만 특히 주상골(scaphoid) 및 두상골(pisiform)이 있는 부위에 중점적으로 염증이 생기는 이유는 주상골(scaphoid) 및 두상골(pisiform)이 손목에서 표면으로 돌출되어 있어 가장 많은 외부 자극을 받기 때문이다.
주상골(scaphoid) 및 두상골(pisiform)은 손목 부위에서 외부로 돌출된다. 이렇게 돌출된 뼈는 일상 생활에서 많이 수행하는 컴퓨터 마우스 작업 또는 필기로 인하여 반복적으로 자극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반복적인 자극에 의해 주상골(scaphoid) 및 두상골(pisiform) 부위를 지나는 건에 염증을 일으키게 된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100)는 요측수근골근(FCR)과 척측수근골근(FCU)의 염증을 방지하기 위해 손목에서 돌출된 주상골과 두상골이 관통하여 안착될 수 있는 세이프존(110)을 포함한다. 세이프존(110)은 주상골 및 두상골이 개구된 영역에 의해 감싼 상태로 유지시켜 외부 자극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세이프존(110)은 밴드본체(101)의 내측에 T자 형상으로 밴드본체(10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세이프존(110)은 밴드본체(101)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상태에서 손목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손목 내측에 형성된 수근관, 주상골 및 두상골을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이프존(110)은 사용자의 손목에 돌출된 주상골(S) 및 두상골(P)이 배치되는 제1 영역(111)과, 수근관(C)의 일부가 배치되는 제2 영역(1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영역(111)은 밴드본체(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손목 보호대(100)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상태에서 제1 영역(111)은 손목 반경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111)은 가로 손목 인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개구된 영역에 주상골(S) 및 두상골(P) 모두 안착될 수 있는 폭(W1)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주상골(S)과 두상골(P)의 돌출된 위치는 손목 반경을 따라 위치하므로 제1 영역(111)은 밴드본체(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상골(S)부터 두상골(P)까지 길이에 대응되는 폭(W1)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111)은 주상골(S)과 두상골(P)이 개구된 영역 안에 위치될 수 있는 길이(L1)로 형성될 수 있다.
주상골(S)이 두상골(P)보다 더 굵게 형성되며, 손목 부위에서도 더 넓은 범위에서 돌출 영역이 나타난다. 도 3을 참조하면, 주상골(S)과 두상골(P) 모두를 수용할 수 있도록 더 넓은 범위에서 돌출되는 주상골(S) 영역에 대응되는 길이(L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111)이 주상골(S) 및 두상골(P)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폭(W1)과길이(L1)로 형성됨에 따라 주상골(S)과 두상골(P) 모두 밴드부(120)에 미 접촉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제1 영역(111)이 밴드본체(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영역은 주상골(S)과 두상골(P)을 모두 수용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영역(111)은 주상골(S)과 두상골(P)을 모두 수용하도록 형성되는데 주상골(S) 부위가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을 차지하므로 주상골(S)이 위치하는 오른쪽 영역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길이가 늘어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상골(S)과 두상골(P) 모두 안정적으로 고정하는데 더욱 적합할 수 있다.
주상골(S)과 두상골(P)의 돌출 부위는 정확하게 서로 마주보는 대칭적인 지점이 아니라 다소 어긋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영역(111)은 밴드본체(101)의 중심 라인으로부터 일정 각도(θ)만큼 회전 이동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영역(112)은 손목 보호대(100)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상태에서 제2 영역(112)은 팔에서 손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112)은 수근관이 배치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개구된 영역에 수근관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는 길이(L2)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112)은 개구된 영역에 의해 수근관이 감싸지도록 수근관(C)을 수용할 수 있는 폭(W2)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112)의 폭(W2)은 수근관(C)의 폭과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112)은 제1 영역(111)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영역(111)이 밴드본체(101)의 중심 라인으로부터 일정 각도(θ)만큼 회전 이동한 상태로 형성된 경우, 제2 영역(112)은 제1 영역(111)에 대해 소정 각도(90°+θ)만큼 회전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112)이 수근관(C)을 수용할 수 있는 폭(W2)과 길이(L2)로 형성됨에 따라 수근관(C)의 일부는 밴드부(120)에 미 접촉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제1 영역(111)과 제2 영역(112)은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112)은 제1 영역(111)의 중간부에서 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세이프존(110)은 제1 영역(111)과 제2 영역(112)이 연결되어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의 길이(L1)는 제2 영역의 길이(L2)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의 길이(L1)는 주상골(S)과 두상골(P)의 돌출 영역을 수용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고, 제2 영역(112)의 길이(L2)는 팔에서 손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근관(C)을 수용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제1 영역의 폭(W1)은 제2 영역의 폭(W2)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은 손목 반경 방향을 따라 주상골(S)과 두상골(P)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폭(W1)으로 형성되고, 제2 영역의 폭(W2)은 수근관(C)의 폭을 수용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세이프존(110)의 테두리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111) 및 제2 영역(112)의 테두리 모두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111)의 테두리가 곡선으로 형성됨에 따라 주상골(S) 및 두상골(P)이 안정적으로 제1 영역(111)에 배치될 수 있고, 개구된 영역에서 테두리와의 마찰을 줄여 손목 관절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영역(112)에 배치된 수근관(C)도 곡선형의 테두리를 갖는 개구된 영역에 배치되어 손목 보호대 착용시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a은 도 4에 표시된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4에 표시된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밴드본체(101)는 T형상으로 관통 형성된 세이프존(110)과 세이프존(110)의 개구된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밴드부(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밴드본체(101)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상태에서, 세이프존(110)은 손목과 미 접촉된 영역을 형성하여 손목의 일부 영역을 압박하지 않고, 밴드부(120)는 세이프존(110)을 제외한 손목 영역을 압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밴드부(120)는 완충 가능한 쿠션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밴드부(120)의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두께는 세이프존(110)의 깊이를 형성한다.
밴드부(120)는 세이프존(110)에 안착된 수근관 및 주상골(S), 두상골(P)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세이프존(110)이 소정 높이를 갖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손목에서 돌출된 주상골(S) 및 두상골(P)은 밴드부(120)에 의해 지면과 이격된 상태로 세이프존(11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주상골 및 두상골(P)은 세이프존의 제1 영역(111) 내에 감싸지게 되므로 외부 자극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컴퓨터 마우스 작업 또는 필기를 하는 경우 돌출된 손목 부위 대신에 밴드부(120)가 외부 지면에 접촉하고 주상골(S) 및 두상골(P)이 지면과 떨어진 상태로 유지되므로 손목 보호 효과가 향상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수근관(C)은 밴드부(120)에 의해 지면과 이격된 상태로 세이프존의 제2 영역(112)에 위치할 수 있다. 수근관(C)은 밴드부(120)와 미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고 외부 지면과도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정중 신경에 미치는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200)는 도 1에 개시된 손목 보호대(100)와 동일하게 세이프존(210) 및 밴드부(220)로 구성된 밴드본체(201)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200)는 커버(230)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도 1에 개시된 손목 보호대(100)와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 차이가 있는 커버(230)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손목 보호대(200)는 밴드본체(201)를 둘러싸도록 연장 형성되고, 원주 방향에서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는 커버(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230)는 세이프존(210)의 개구된 상면을 덮은 상태로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손목 관절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230)는 사용자의 손목과 접촉되는 구간에서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함과 동시에 밴드본체(201)와 밀착이 이루어져 손목 보호대(200)가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된 상태가 항시 유지되도록 하여 손목 보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커버(230)는 손목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손목을 감는 기능과 함께 손목의 꺽임을 방지하고 손목 고정력을 높여 손목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밴드본체(201)가 주상골 및 두상골을 세이프존(210) 내에 수용되도록 1차적으로 감싸고, 커버(230)가 세이프존(210)의 상면을 덮어 주상골과 두상골이 커버(230)에 밀착됨으로써 2차적으로 감쌀 수 있다. 커버(230)에 의해 손목 보호대(200)가 손목에 더 밀착되도록 감싸줄 수 있어 손목 관절의 고정력을 강화하고 더 많은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를 설명하기 위한 전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300) 는 도 1에 개시된 손목 보호대(100)와 동일하게 세이프존(310) 및 밴드부(320)로 구성된 밴드본체(301)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300)는 연장부(321)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도 1에 개시된 손목 보호대(100)와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 차이가 있는 연장부(321)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밴드부(320)는, 사용자의 손바닥에 인접한 손가락의 첫마디에 거치되는 연장부(3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321)는 손목 보호대(300)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밴드부(220)에서 손가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321)는 엄지손가락 및 검지손가락 사이에 걸쳐 사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321)는 엄지손가락이 착용되는 단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321)는 엄지손가락 외에 검지, 중지, 약지 및 새끼 손가락이 착용되는 단부도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321)는 엄지 및 검지 손가락 사이에 착용되는 접촉면이 논슬립(non-slip)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손목 보호대 착용시 슬립(slip)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연장부(321)가 밴드본체(301)에 지지된 채로 손가락에 거치됨에 의해 세이프존(310)의 위치를 주상골, 두상골 및 수근관이 수용되는 위치에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고, 손목 보호대와 손목 사이의 밀착력도 높일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바이탈만을 측정하기 위한 기계나 기구는 비용 대비 효용성이 떨어지므로 대부분의 사용자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내장된 바이탈 측정 기구를 기초로 개인의 건강 및 신체 정보에 대해 측정하고 활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는 사용자의 바이탈(혈압, 체온, 맥박, 호흡)을 측정하기 위한 디바이스로 활용될 수 있다.
이때, 밴드부(32)에는 HR(Heart Rate, 맥박) 및 BP(Blood Pressure,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미도시) 및 센서부(미도시)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이때, 맥박 및 혈압을 측정하는 센서부(미도시)는 세이프존(310)의 개구된 가장자리 밴드부(320) 영역 중 요골동맥이 지나가는 내주면을 따라 하나 이상의 센서가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스마트 디바이스의 경우, 바이탈 측정을 위한 각종 센서를 구비하고 있으나, 손목 보호대와 같이 손목의 움직임을 고정할 수 있을 정도의 탄성력 내지는 고정력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정확한 바이탈 측정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반면 본 개시에서 밴드부는 손목 고정을 위한 탄성력 내지는 고정력을 가지므로 밴드부 내주면을 따라 부착된 센서가 요골동맥에 제대로 밀착될 수 있어 정확하게 바이탈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통신부(미도시)는 센서부(미도시)에서 측정된 생체 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미도시)로 전송하여 측정된 바이탈 정보를 기초로 각종 기본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바이탈 측정이 개시되는 시점을 손목보호대 착용 시점으로 인식하여 손목보호대의 총 착용 시간을 기초로 손목보호대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 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 손목 보호대 110, 210, 310 : 세이프존
120, 220, 320 : 밴드부 101, 201, 301 : 밴드본체
120, 220, 320 : 밴드부 101, 201, 301 : 밴드본체
Claims (15)
- 손목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손목을 지지하는 밴드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본체는,
내측에 T자 형상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세이프존;을 포함하고
상기 세이프존은,
사용자의 손목에 돌출된 주상골 및 두상골이 배치되도록 손목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영역; 및
수근관의 일부가 배치되도록 손에서 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영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보호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이프존은,
상기 밴드본체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상태에서 손목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보호대.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밴드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소정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의 중심부에서 상기 제1 영역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보호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보호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길이는,
상기 제2 영역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보호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폭은,
상기 제2 영역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보호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테두리는 곡선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보호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본체는,
상기 세이프존의 개구된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사용자의 손목과 접촉되는 밴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보호대.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완충 가능한 쿠션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보호대.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이프존은,
상기 밴드부의 두께만큼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보호대.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본체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세이프존은 그에 대응되는 손목 영역을 압박하지 않고, 상기 밴드부는 상기 세이프존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손목 영역을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보호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본체를 둘러싸도록 연장 형성되고, 원주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보호대.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세이프존의 개구된 상면을 덮은 상태로 유지시키고, 사용자의 손목 관절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보호대.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사용자의 손바닥에 인접한 손가락의 첫마디에 거치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보호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9174A KR102443133B1 (ko) | 2021-09-07 | 2021-09-07 | 손목 보호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9174A KR102443133B1 (ko) | 2021-09-07 | 2021-09-07 | 손목 보호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43133B1 true KR102443133B1 (ko) | 2022-09-14 |
Family
ID=83279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9174A KR102443133B1 (ko) | 2021-09-07 | 2021-09-07 | 손목 보호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43133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383157B1 (en) * | 1997-07-07 | 2002-05-07 | Stefano Massi | Wrist-band for the prevention and the treatment of the carpal tunnel syndrome and its positioning operating mode |
US20040133137A1 (en) * | 2002-12-04 | 2004-07-08 | Hargis Veronica Rose | Non-compression carpal/wrist keyboard brace |
EP0988841B1 (en) * | 1998-07-22 | 2005-05-04 | Alexander Robert Spitzer | Assembly for preventing carpal tunnel syndrome |
KR101136997B1 (ko) | 2009-12-28 | 2012-04-19 | 조재희 | 헬스용장갑 |
KR101197561B1 (ko) * | 2012-03-13 | 2012-11-06 | 이주혁 | 정맥주사용 손목보호대 |
KR101853070B1 (ko) * | 2017-09-29 | 2018-06-04 | 김용태 | 엄지보호부가 구비된 손목 보호대 |
KR20200119134A (ko) * | 2019-04-09 | 2020-10-19 | 하헌빈 | 기능성 손목 보호대 |
KR20200119133A (ko) * | 2019-04-09 | 2020-10-19 | 하헌빈 | 기능성 손목 보호대 |
-
2021
- 2021-09-07 KR KR1020210119174A patent/KR10244313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383157B1 (en) * | 1997-07-07 | 2002-05-07 | Stefano Massi | Wrist-band for the prevention and the treatment of the carpal tunnel syndrome and its positioning operating mode |
EP0988841B1 (en) * | 1998-07-22 | 2005-05-04 | Alexander Robert Spitzer | Assembly for preventing carpal tunnel syndrome |
US20040133137A1 (en) * | 2002-12-04 | 2004-07-08 | Hargis Veronica Rose | Non-compression carpal/wrist keyboard brace |
KR101136997B1 (ko) | 2009-12-28 | 2012-04-19 | 조재희 | 헬스용장갑 |
KR101197561B1 (ko) * | 2012-03-13 | 2012-11-06 | 이주혁 | 정맥주사용 손목보호대 |
KR101853070B1 (ko) * | 2017-09-29 | 2018-06-04 | 김용태 | 엄지보호부가 구비된 손목 보호대 |
KR20200119134A (ko) * | 2019-04-09 | 2020-10-19 | 하헌빈 | 기능성 손목 보호대 |
KR20200119133A (ko) * | 2019-04-09 | 2020-10-19 | 하헌빈 | 기능성 손목 보호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899763A (en) | Therapeutic appliance for the wrist | |
US5350418A (en) | Gel shell splint | |
US5413553A (en) | Remedial prophylaxis for carpal tunnel syndrome | |
US5921949A (en) | Carpal tunnel wrist corrective support | |
US7081102B1 (en) | Hinged dorsal carpal tunnel brace | |
US11044957B2 (en) | Wrist guard | |
US5417645A (en) | Flexible wrist splint for carpal tunnel syndrome treatment | |
US6852067B2 (en) | Systems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rpal tunnel syndrome | |
CA2422084C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compressive syndrome conditions | |
US20140081188A1 (en) | Wrist support device | |
US6773410B2 (en) | Dorsal carpal tunnel splint | |
KR102389893B1 (ko) | 손목보호대 | |
US2011020810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Carpal Tunnel Syndrome | |
US9387109B2 (en) | Carpal tunnel brace | |
KR102443133B1 (ko) | 손목 보호대 | |
KR101125943B1 (ko) | 손목 보호대 | |
US20180185197A1 (en) | Nail and Nail Bed Protecting Bandage | |
KR102283579B1 (ko) | 기능성 손목 보호대 | |
KR102545049B1 (ko) | 손목 보호대 | |
KR102576770B1 (ko) | 공기 기둥을 포함하는 손목 보호 장치 | |
CN220530331U (zh) | 一种能够保护治疗师手部关节的防护机构 | |
KR20220011495A (ko) | 장갑 형태의 손목 보호대 | |
KR102686583B1 (ko) | 외측상과염의 예방 및 재활을 위한 기구 | |
FI3876878T3 (en) | Flexible orthosis for wrist | |
Citisli et al. | Unusual presentation of multiple nerve entrapment: a case repor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