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422B1 - 손목 보호대 - Google Patents
손목 보호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00422B1 KR101900422B1 KR1020170092915A KR20170092915A KR101900422B1 KR 101900422 B1 KR101900422 B1 KR 101900422B1 KR 1020170092915 A KR1020170092915 A KR 1020170092915A KR 20170092915 A KR20170092915 A KR 20170092915A KR 101900422 B1 KR101900422 B1 KR 1019004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rist
- pressing
- pad
- pressing member
- coupl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41D13/081—Hand protectors
- A41D13/088—Hand protectors especially for the wris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8—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 A61F5/05866—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for wrists, hands, fingers or thumb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 A61F2005/0167—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adjustab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7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cush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압박 패드를 이용하여 손목의 요골 부위 및 척골 부위만을 손목 중심방향으로 압박하도록 함으로써, 손저림이나 손이 붓는 등의 부작용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손목 보호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압박 부재에 대한 상호 결합력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손목의 요골 부위 및 척골 부위에 대한 압박 하중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더욱 편리하고 최적화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손목 보호대의 내부 직경을 전체적으로 확장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어 손목 보호대를 손목에 착용하거나 제거하는 과정을 더욱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다이얼 방식의 조작부를 통해 간편하게 압박 부재를 회동시켜 손목을 압박하거나 압박 해제할 수 있으며, 압박 강도 또한 조작부를 통해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손목 보호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손목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압박 패드를 이용하여 손목의 요골 부위 및 척골 부위만을 손목 중심방향으로 압박하도록 함으로써, 손저림이나 손이 붓는 등의 부작용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손목 보호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압박 부재에 대한 상호 결합력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손목의 요골 부위 및 척골 부위에 대한 압박 하중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더욱 편리하고 최적화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손목 보호대의 내부 직경을 전체적으로 확장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어 손목 보호대를 손목에 착용하거나 제거하는 과정을 더욱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다이얼 방식의 조작부를 통해 간편하게 압박 부재를 회동시켜 손목을 압박하거나 압박 해제할 수 있으며, 압박 강도 또한 조작부를 통해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손목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팔을 이루는 관절은, 요골과 척골에 의해 팔목이 형성되고, 8개의 수근골로 손목이 형성되며, 회전, 굴곡, 신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5개의 중수골관절에 의해 손바닥이 형성되고, 다수의 수지골에 의해 물체를 잡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이 형성된다.
이들 관절군은 손으로 잡고 하는 운동 또는 활동시에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과사용으로 상해가 발생될 수 있으며 상해시 때로는 치유가 완전하지 못하게 됨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신체의 손목에 착용하여 상기한 관절 및 뼈를 보호하도록 하는 손목 보호대가 고안되어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손목 보호대는 팔꿈치 보호대, 발목 및 팔목 보호대 등과 함께 사람들의 연약한 관절부위에 착용하여 이들 관절 부위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각종 경기를 하는 운동선수나 작업을 하는 작업자 또는 놀이를 즐기는 어린이들이 안전을 위하여 착용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손목 보호대는 손목 부위를 감싸는 밴드 형태로 형성되며, 손목의 외측면에서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고르게 손목 부위를 압박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손목 압박을 통해 손목 관절을 보호하고 과도한 손목의 꺽임을 방지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손목 보호대는 손목 부위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압박하기 때문에, 장시간 착용할 경우, 손목 동맥의 혈류가 원활하지 못하게 되어 손저림 현상이 발생하거나 손이 붓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손저림과 같은 불편함 때문에, 운동 중에 손목 보호대를 벗어버리거나 아예 착용하지 않는 등 그 활용도가 매우 제한적이며, 이에 따라 다양한 운동이나 활동 중 손목이 안전하게 보호되지 못하여 부상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박 패드를 이용하여 손목의 요골 부위 및 척골 부위만을 손목 중심방향으로 압박하도록 함으로써, 손저림이나 손이 붓는 등의 부작용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손목의 고정력을 효과적으로 보완해줄 수 있어 손목의 과도한 꺽임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손목 통증을 완화시켜 줄 수 있는 등 손목 보호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손목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박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하고 압박 부재에 대한 상호 결합력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손목의 요골 부위 및 척골 부위에 대한 압박 하중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더욱 편리하고 최적화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손목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압박 부재 및 연결 부재를 통해 손목 보호대의 내부 직경을 전체적으로 확장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어 손목 보호대를 손목에 착용하거나 제거하는 과정을 더욱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압박 부재는 변경하지 않고 연결 부재의 크기만 변경함으로써, 내부 직경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부품 관리 및 제작이 더욱 용이한 손목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이얼 방식의 조작부를 통해 간편하게 압박 부재를 회동시켜 손목을 압박하거나 압박 해제할 수 있으며, 압박 강도 또한 조작부를 통해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손목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손목의 요골 부위 및 척골 부위를 압박하는 압박 패드의 위치 및 두께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조건이나 환경 조건 등에 따라 최적의 상태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손목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보호하는 손목 보호대에 있어서, 내측면 일측에 손목의 요골 부위 및 척골 부위 중 어느 하나를 손목의 중심 방향으로 압박할 수 있도록 제 1 압박 패드가 장착되는 제 1 압박 부재; 내측면 일측에 손목의 요골 부위 및 척골 부위 중 나머지 하나를 손목의 중심 방향으로 압박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압박 패드와 대향되는 위치에 제 2 압박 패드가 장착되는 제 2 압박 부재; 양단부가 상기 제 1 및 제 2 압박 부재의 일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압박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 및 일측에는 상기 제 1 압박 부재의 타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 2 압박 부재의 타단부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결합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요골 부위 및 척골 부위 이외에는 손목을 압박하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결합 바디는 상기 제 1 및 제 2 압박 부재의 상기 요골 부위 및 척골 부위에 대한 압박 하중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 2 압박 부재의 결합 상태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보호대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결합 바디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제 2 압박 부재의 타단부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 바디의 중심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조작부가 장착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 2 압박 부재가 상기 삽입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압박 부재의 타단부에는 별도의 연결 와이어가 관통 결합되어 상기 결합 바디의 조작부에 연결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연결 와이어가 견인되어 상기 제 2 압박 부재가 상기 삽입 가이드홀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바디의 삽입 가이드홀에는 상기 제 2 압박 부재의 연결 와이어가 상기 조작부에 연결되는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와이어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결합 바디에 고정 결합되고, 개방된 상단부에는 내주면에 래칫 기어가 형성되는 고정 바디; 상기 고정 바디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향 이동시 일방향 회전이 구속되도록 일측에 상기 래칫 기어에 맞물림되는 스토퍼 돌기가 형성되며, 상향 이동시에는 상기 스토퍼 돌기와 래칫 기어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는 회전 바디; 및 상기 회전 바디와 함께 일체로 상하 이동 및 회전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 바디와 결합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다이얼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압박 부재에 관통 결합된 연결 와이어는 상기 회전 바디에 일방향으로 권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바디에는 상기 연결 와이어가 관통하여 상기 회전 바디에 권취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와이어의 관통 경로를 가이드하는 와이어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압박 패드는 상기 제 1 및 제 2 압박 부재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일정 구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압박 패드의 상기 제 1 및 제 2 압박 부재에 대한 접촉면에는 각각 삽입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압박 부재에는 각각 상기 삽입 돌출부가 삽입 수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패드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패드 수용부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삽입 돌출부가 맞물림된 상태로 외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압박 패드의 손목에 대한 접촉면에는 별도의 보조 압박 패드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압박 패드의 손목에 대한 접촉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다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압박 패드의 일면에는 다수개의 상기 결합홈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 결합될 수 있는 결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박 패드를 이용하여 손목의 요골 부위 및 척골 부위만을 손목 중심방향으로 압박하도록 함으로써, 손저림이나 손이 붓는 등의 부작용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손목의 고정력을 효과적으로 보완해줄 수 있어 손목의 과도한 꺽임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손목 통증을 완화시켜 줄 수 있는 등 손목 보호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박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하고 압박 부재에 대한 상호 결합력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손목의 요골 부위 및 척골 부위에 대한 압박 하중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더욱 편리하고 최적화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압박 부재 및 연결 부재를 통해 손목 보호대의 내부 직경을 전체적으로 확장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어 손목 보호대를 손목에 착용하거나 제거하는 과정을 더욱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압박 부재는 변경하지 않고 연결 부재의 크기만 변경함으로써, 내부 직경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부품 관리 및 제작이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다이얼 방식의 조작부를 통해 간편하게 압박 부재를 회동시켜 손목을 압박하거나 압박 해제할 수 있으며, 압박 강도 또한 조작부를 통해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목의 요골 부위 및 척골 부위를 압박하는 압박 패드의 위치 및 두께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조건이나 환경 조건 등에 따라 최적의 상태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착용 해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압박 하중 조절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조작부에 대한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압박 패드에 대한 다양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압박 패드 이동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보조 압박 패드에 대한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착용 해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압박 하중 조절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조작부에 대한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압박 패드에 대한 다양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압박 패드 이동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보조 압박 패드에 대한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착용 해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압박 하중 조절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조작부에 대한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는 사용자의 손목(H)에 착용되어 손저림과 같은 부작용 없이 손목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것으로, 제 1 압박 부재(110)와, 제 2 압박 부재(120)와, 연결 부재(130)와, 결합 바디(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압박 부재(110) 및 제 2 압박 부재(120)는 손목(H)을 감쌀 수 있도록 내측면이 오목하게 만곡진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면 일측에는 손목의 요골(H1) 부위 및 척골(H2) 부위를 손목의 중심 방향으로 각각 압박할 수 있도록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가 장착된다. 연결 부재(130)는 양단부가 제 1 압박 부재(110) 및 제 2 압박 부재(120)의 일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 1 압박 부재(110) 및 제 2 압박 부재(120)를 연결한다.
예를 들면, 제 1 압박 부재(110)는 제 1 압박 패드(210)가 손목(H)의 척골(H2) 부위를 감싸며 손목의 중심 방향으로 압박하도록 배치되고, 제 2 압박 부재(120)는 이에 대향되도록 제 2 압박 패드(220)가 손목(H)의 요골(H1) 부위를 감싸며 손목의 중심 방향으로 압박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부재(130)는 제 1 압박 부재(110) 및 제 2 압박 부재(120)의 일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 1 압박 부재(110) 및 제 2 압박 부재(120)를 연결한다.
결합 바디(300)는 일측에 제 1 압박 부재(110)의 타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는 제 2 압박 부재(120)의 타단부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손목 보호대는 제 1 압박 부재(110) 및 제 2 압박 부재(120)의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에 의해 손목(H)의 요골(H1) 부위 및 척골(H2) 부위가 압박되는데, 이때, 요골(H1) 부위 및 척골(H2) 부위 이외에는 손목(H)을 압박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요골(H1) 부위 및 척골(H2) 부위 이외의 영역에서는 손목(H)으로부터 이격되거나 또는 압박하지 않고 단순 접촉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는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에 의해 손목(H)의 요골(H1) 부위와 척골(H2) 부위가 압박되기 때문에, 손목(H)의 고정력을 보완해줄 수 있어 손목(H)의 과도한 꺽임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손목 통증을 완화시켜 줄 수 있는 등 손목 보호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에 의한 요골(H1) 부위와 척골(H2) 부위 이외에는 손목(H)의 다른 부위가 압박되지 않아 혈액 순환을 방해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손저림이나 손이 붓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에는 지르코늄(Zr) 또는 게르마늄(Ge) 등으로 형성되는 건강 보조구(500)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손목 부위에 대한 다양한 건강 보조 효능을 부가할 수 있다.
한편, 결합 바디(300)는 일측에 제 1 압박 부재(11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제 2 압박 부재(120)가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형성되는데, 이때, 제 1 압박 부재(110) 및 제 2 압박 부재(120)의 요골(H1) 부위 및 척골(H2) 부위에 대한 압박 하중이 조절되도록 제 2 압박 부재(120)의 결합 상태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결합 바디(300)의 타측 단부에는 제 2 압박 부재(120)의 타단부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 가이드홀(310)이 형성되며, 결합 바디(300)의 중심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조작부(400)가 장착되고, 조작부(400)는 제 2 압박 부재(120)가 삽입 가이드홀(310)에 삽입되는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 2 압박 부재(120)의 타단부에는 별도의 연결 와이어(W)가 관통 결합되어 결합 바디(300)의 조작부(400)에 연결되고, 조작부(400)의 조작에 의해 연결 와이어(W)가 견인되어 제 2 압박 부재(120)가 삽입 가이드홀(310)에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결합 바디(300)의 조작부(400)를 조작하여 연결 와이어(W)를 견인 해제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압박 부재(120)를 결합 바디(3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결합 바디(300)의 조작부(400)를 조작하여 연결 와이어(W)를 견인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압박 부재(120)를 결합 바디(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손목 보호대는 제 2 압박 부재(120)가 결합 바디(300)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도 연결 와이어(W)를 통해 연결되므로, 손목 보호대가 전체적으로 항상 링 형상을 유지하게 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압박 부재(120)를 결합 바디(300)로부터 분리한 개방 상태에서 손목 보호대의 내부 공간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손목을 위치시킨 이후, 조작부(400)를 조작하여 견인 와이어(W)을 견인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H)을 압박할 수 있다.
이때, 제 1 압박 부재(110)의 결합 바디(300)에 대한 회전축(M), 연결 부재(130)의 제 1 압박 부재(110)에 대한 회전축(M), 제 2 압박 부재(120)의 연결 부재(130)에 대한 회전축(M) 이상 3개의 회전축(M)을 중심으로 각각의 부재가 회동하게 되므로, 손목 보호대는 내부 공간을 전체적으로 확장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손목(H)을 손목 보호대의 내부 공간으로 집어넣거나 뺄 때, 더욱 여유롭게 손목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손목(H)의 굵기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손목 보호대가 적용될 필요가 있는데, 이 경우, 제 1 압박 부재(110) 및 제 2 압박 부재(120)는 동일한 크기로 제작하고, 연결 부재(130)만 그 길이가 서로 다른 크기로 제작하여 결합함으로써, 손목 보호대의 내부 공간의 직경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 2 압박 부재(120)의 삽입 가이드홀(310)에 대한 삽입 깊이가 조작부(400)의 조작에 의해 조절됨으로써, 제 1 압박 부재(110) 및 제 2 압박 부재(120)의 요골(H1) 부위 및 척골(H2) 부위 압박 하중이 조절되는데, 예를 들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압박 부재(120)가 삽입 가이드홀(310)에 상대적으로 깊게 삽입되도록 조작부(400)를 조작하면, 제 1 압박 부재(110) 및 제 2 압박 부재(120)의 요골(H1) 부위 및 척골(H2) 부위에 대한 압박 하중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압박 부재(120)가 삽입 가이드홀(310)에 상대적으로 얕게 삽입되도록 조작부(400)를 조작하면, 제 1 압박 부재(110) 및 제 2 압박 부재(120)의 요골(H1) 부위 및 척골(H2) 부위에 대한 압박 하중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한편, 조작부(400)는, 결합 바디(300)에 고정 결합되고 개방된 상단부에는 내주면에 래칫 기어(411)가 형성되는 고정 바디(410)와, 고정 바디(41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향 이동시 일방향 회전이 구속되도록 일측에 래칫 기어(411)에 맞물림되는 스토퍼 돌기(431)가 형성되며 상향 이동시에는 스토퍼 돌기(431)와 래칫 기어(411)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는 회전 바디(430)와, 회전 바디(430)와 함께 일체로 상하 이동 및 회전 이동하도록 회전 바디(430)와 결합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도록 형성되는 다이얼 노브(420)를 포함하고, 제 2 압박 부재(120)에 관통 결합된 연결 와이어(W)는 회전 바디(430)에 일방향으로 권취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다이얼 노브(420)를 가압하여 하향 이동시킨 상태에서, 다이얼 노브(420)를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다이얼 노브(420)와 함께 회전 바디(430)가 회전하게 되고, 연결 와이어(W)가 회전 바디(430)에 권취된다. 이에 따라 연결 와이어(W)가 결합 바디(300) 측으로 견인되어 제 2 압박 부재(120)가 삽입 가이드홀(310)에 삽입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회전 바디(430)는 스토퍼 돌기(431)가 고정 바디(410)의 래칫 기어(411)에 맞물림되기 때문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속되므로, 제 2 압박 부재(120)는 다이얼 노브(420)를 회전 조작함에 따라 계속해서 삽입 가이드홀(310)에 더 깊이 삽입되어 요골(H1) 부위 및 척골(H2) 부위에 대한 압박 하중이 증가하게 되고, 그 상태로 유지된다.
반대로, 요골(H1) 부위 및 척골(H2) 부위에 대한 압박 하중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제 2 압박 부재(120)를 결합 바디(30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다이얼 노브(420)를 상향 인출하여 회전 바디(430)의 스토퍼 돌기(431)와 고정 바디(410)의 래칫 기어(411)와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하고, 이 상태에서 제 2 압박 부재(120)를 결합 바디(300)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거나 또는 다이얼 노브(4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결합 바디(300)의 삽입 가이드홀(310)에는 제 2 압박 부재(120)의 연결 와이어(W)가 회전 바디(430)에 권취되는 형태로 조작부(400)에 연결되도록 연결 와이어(W)의 연결 경로를 가이드하는 와이어 가이드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가이드부(320)는 제 2 압박 부재(120)를 관통하는 연결 와이어(W)를 삽입 가이드홀(310)의 양측면 가장자리 부분으로 가이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바디(410)에는 제 2 압박 부재(120)로부터 연결되는 연결 와이어(W)가 관통하여 회전 바디(430)에 권취될 수 있도록 연결 와이어(W)의 관통 경로를 가이드하는 와이어 유입구(412)가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유입구(412)는 와이어 가이드부(320)와 대응되는 형태로 삽입 가이드홀(310)의 양측면 가장자리 부분에 인접한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 가이드부(320)와 와이어 유입구(412)에 의해 연결 와이어(W)는 일정한 경로로 배치 상태가 유지되므로, 제 2 압박 부재(120)가 결합 바디(300)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경우에도 서로 꼬이거나 엉키는 등의 문제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압박 패드에 대한 다양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골(H1) 부위를 압박하는 제 2 압박 패드(220)의 길이(L1)가 척골(H2) 부위를 압박하는 제 1 압박 패드(210)의 길이(L2)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팔을 이루는 뼈는 요골(H1)과 척골(H2)이 있는데, 손목(H) 부위에는 이러한 요골(H1)과 척골(H2)이 외부 돌출된다. 요골(H1)이 척골(H2)보다 더 굵게 형성되며, 손목(H) 부위에서도 더 넓은 범위에서 돌출 영역을 나타낸다. 따라서, 요골(H1) 부위가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을 차지하므로, 요골(H1) 부위를 압박하는 제 2 압박 패드(220)의 길이를 더 길게 형성하는 것이 요골(H1)과 척골(H2) 부위를 압박하는데 더욱 적합할 수 있다.
또한,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는 도 5의 (b)의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 중간 부위에서 손목(H)에 접촉하는 표면이 오목하게 만곡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가 균일한 두께로 형성된 경우, 손목(H)에 대한 접촉면이 제 1 압박 부재(110) 및 제 2 압박 부재(120)의 내측면 곡선 라인과 평행하게 S1 라인을 따라 형성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손목(H)에 대한 접촉면이 오목하게 만곡진 형태로 S2 라인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손목(H)에 대한 접촉면이 오목하게 만곡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가 손목(H)에 더욱 밀착될 수 있으며, 손목(H)의 요골 부위 및 척골 부위를 더욱 안정적으로 압박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압박 패드 이동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압박 부재(110) 및 제 2 압박 부재(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마다 다를 수 있는 요골 및 척골 부위를 정확하게 압박할 수 있다.
손목 보호대를 손목(H)에 착용하게 되면,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손목(H)의 요골(H1) 부위 및 척골(H2) 부위를 압박하게 되는데, 이때, 손목(H)의 형상, 요골(H1) 및 척골(H2)의 위치 등은 사람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 따라서는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가 정확한 지점을 압박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를 자신에게 적합하도록 이동시켜 위치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위치에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를 위치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요골(H1) 및 척골(H2) 부위를 정확하게 압박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의 위치 이동을 위해,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의 제 1 압박 부재(110) 및 제 2 압박 부재(120)에 대한 접촉면에는 제 1 압박 부재(110) 및 제 2 압박 부재(12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는 삽입 돌출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압박 부재(110) 및 제 2 압박 부재(120)에는 삽입 돌출부(230)가 삽입 수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패드 수용부(101)가 형성되며, 패드 수용부(101)의 내부 공간에는 삽입 돌출부(230)가 맞물림된 상태로 외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가이드부(102)가 형성된다. 이때, 제 1 압박 부재(110) 및 제 2 압박 부재(120)의 내측면에는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의 삽입 돌출부(230)가 삽입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개구부(103)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 돌출부(230)는 개구부(103)를 통해 패드 수용부(101)에 삽입 수용되고, 패드 수용부(101)의 내부에 배치된 이동 가이드부(102)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 가이드부(102)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요철부가 형성되며, 삽입 돌출부(230)는 요철부와 맞물림된 상태로 외력에 의해 분할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손목 보호대를 손목(H)에 착용한 상태에서,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를 길이 방향을 따라 밀거나 당겨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정확한 요골 부위 및 척골 부위를 압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보호대의 보조 압박 패드에 대한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보조 압박 패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압박 패드(250)는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의 손목(H)에 대한 접촉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압박 패드(250)는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의 손목(H)에 대한 접촉면에 결합되어 실질적으로 손목(H)의 요골(H1) 부위 및 척골(H2) 부위를 압박하도록 구성되며, 가죽이나 실리콘과 같은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압박 패드(250)를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에 결합하거나 제거함으로써,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보조 압박 패드(250)를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에 결합하게 되면, 전체적으로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보조 압박 패드(250)를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로부터 제거하면, 전체적으로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의 두께가 얇아진다.
이와 같이 보조 압박 패드(250)를 이용하여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의 전체적인 두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조건이나 환경 조건 등에 따라 적절한 두께로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의 손목(H)에 대한 접촉면에는 결합홈(240)이 형성될 수 있고, 보조 압박 패드(250)의 일면에는 결합홈(24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는 결합 돌기(251)가 형성되며, 결합홈(240)과 결합 돌기(251)의 결합을 통해 보조 압박 패드(250)가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압박 패드(250)가 결합되는 결합 위치에 대한 조절을 통해 실질적으로 요골 부위 및 척골 부위를 압박하는 부위에 대한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결합홈(240)은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압박 패드(250)의 결합 돌기(251)를 제 1 압박 패드(210) 및 제 2 압박 패드(220)의 다수개 결합홈(24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보조 압박 패드(250)의 결합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보조 압박 패드(250)를 통한 손목(H)의 압박 위치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제 1 압박 부재 120: 제 2 압박 부재
130: 연결 부재
210: 제 1 압박 패드 220: 제 2 압박 패드
300: 결합 바디
310: 삽입 가이드홀 320: 와이어 가이드부
400: 조작부
410: 고정 바디 411: 래칫 기어
420: 다이얼 노브 430: 회전 바디
130: 연결 부재
210: 제 1 압박 패드 220: 제 2 압박 패드
300: 결합 바디
310: 삽입 가이드홀 320: 와이어 가이드부
400: 조작부
410: 고정 바디 411: 래칫 기어
420: 다이얼 노브 430: 회전 바디
Claims (10)
-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보호하는 손목 보호대에 있어서,
내측면 일측에 손목의 요골 부위 및 척골 부위 중 어느 하나를 손목의 중심 방향으로 압박할 수 있도록 제 1 압박 패드가 장착되는 제 1 압박 부재;
내측면 일측에 손목의 요골 부위 및 척골 부위 중 나머지 하나를 손목의 중심 방향으로 압박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압박 패드와 대향되는 위치에 제 2 압박 패드가 장착되는 제 2 압박 부재;
양단부가 상기 제 1 및 제 2 압박 부재의 일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압박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 및
일측에는 상기 제 1 압박 부재의 타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 2 압박 부재의 타단부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결합 바디
를 포함하고, 상기 요골 부위 및 척골 부위 이외에는 손목을 압박하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결합 바디는 상기 제 1 및 제 2 압박 부재의 상기 요골 부위 및 척골 부위에 대한 압박 하중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 2 압박 부재의 결합 상태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압박 패드는 상기 제 1 및 제 2 압박 부재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일정 구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압박 패드의 상기 제 1 및 제 2 압박 부재에 대한 접촉면에는 각각 삽입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압박 부재에는 각각 상기 삽입 돌출부가 삽입 수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패드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패드 수용부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삽입 돌출부가 맞물림된 상태로 외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보호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바디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제 2 압박 부재의 타단부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 바디의 중심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조작부가 장착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 2 압박 부재가 상기 삽입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보호대.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압박 부재의 타단부에는 별도의 연결 와이어가 관통 결합되어 상기 결합 바디의 조작부에 연결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연결 와이어가 견인되어 상기 제 2 압박 부재가 상기 삽입 가이드홀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보호대.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바디의 삽입 가이드홀에는 상기 제 2 압박 부재의 연결 와이어가 상기 조작부에 연결되는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와이어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보호대.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결합 바디에 고정 결합되고, 개방된 상단부에는 내주면에 래칫 기어가 형성되는 고정 바디;
상기 고정 바디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향 이동시 일방향 회전이 구속되도록 일측에 상기 래칫 기어에 맞물림되는 스토퍼 돌기가 형성되며, 상향 이동시에는 상기 스토퍼 돌기와 래칫 기어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는 회전 바디; 및
상기 회전 바디와 함께 일체로 상하 이동 및 회전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 바디와 결합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다이얼 노브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압박 부재에 관통 결합된 연결 와이어는 상기 회전 바디에 일방향으로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보호대.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바디에는 상기 연결 와이어가 관통하여 상기 회전 바디에 권취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와이어의 관통 경로를 가이드하는 와이어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보호대.
- 삭제
- 삭제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압박 패드의 손목에 대한 접촉면에는 별도의 보조 압박 패드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보호대.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압박 패드의 손목에 대한 접촉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다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압박 패드의 일면에는 다수개의 상기 결합홈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 결합될 수 있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보호대.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2915A KR101900422B1 (ko) | 2017-07-21 | 2017-07-21 | 손목 보호대 |
PCT/KR2018/007339 WO2019017609A2 (ko) | 2017-07-21 | 2018-06-28 | 손목 보호대 |
CN201880048727.3A CN110996701A (zh) | 2017-07-21 | 2018-06-28 | 手腕保护带 |
JP2020502946A JP2020528502A (ja) | 2017-07-21 | 2018-06-28 | 手首保護帯 |
US16/632,541 US20210161697A1 (en) | 2017-07-21 | 2018-06-28 | Wrist protecting band |
EP18835303.1A EP3679819B1 (en) | 2017-07-21 | 2018-06-28 | Wrist protecting ban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2915A KR101900422B1 (ko) | 2017-07-21 | 2017-07-21 | 손목 보호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00422B1 true KR101900422B1 (ko) | 2018-09-20 |
Family
ID=63719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2915A KR101900422B1 (ko) | 2017-07-21 | 2017-07-21 | 손목 보호대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10161697A1 (ko) |
EP (1) | EP3679819B1 (ko) |
JP (1) | JP2020528502A (ko) |
KR (1) | KR101900422B1 (ko) |
CN (1) | CN110996701A (ko) |
WO (1) | WO2019017609A2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58236A (ko) * | 2018-11-19 | 2020-05-27 | 주식회사 휴먼자숨 | 개량된 압박구조를 갖는 건근육 접합부 압박밴드 |
KR20210111570A (ko) | 2020-03-03 | 2021-09-13 | 이상진 | 손목 보호대 |
WO2024101834A1 (ko) * | 2022-11-07 | 2024-05-16 | 이상진 | 동맥혈 측정이 가능한 밴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0294B1 (ko) | 2014-11-11 | 2016-12-28 | 김재홍 | 조임수단이 구비된 스포츠 장갑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130864A (en) * | 1918-11-12 | 1919-08-14 | John Cornelius O'brien |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racelets. |
GB452762A (en) * | 1936-03-25 | 1936-08-28 | W H Wilmot Ltd | Improvements connected with bracelets and the like |
CH652010A5 (en) * | 1983-04-08 | 1985-10-31 | G Et F Chatelain S A | Metallic bracelet having links with a decoration |
JPH02107225A (ja) * | 1988-10-15 | 1990-04-19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手首血圧計のカフ帯 |
US5468220A (en) * | 1995-02-27 | 1995-11-21 | Sucher; Benjamin M. | Carpal tunnel bracelet |
US5921949A (en) * | 1996-02-12 | 1999-07-13 | Dray; James A. | Carpal tunnel wrist corrective support |
US6120472A (en) * | 1998-11-06 | 2000-09-19 | Singer, Jr.; Richard F. | Forearm splint system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carpal tunnel syndrome and other cumulative trauma disorders |
KR100320301B1 (ko) * | 1999-05-24 | 2002-01-18 | 정의배 | 볼링용 보호대의 보조패드 |
SE516039C3 (sv) * | 2000-03-23 | 2002-01-09 | Philippe Kopylov Ab | Ledyteersätnning för distala radioulnarleden |
JP3818220B2 (ja) * | 2002-06-03 | 2006-09-06 |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 手首式血圧計用カフ |
US7618386B2 (en) * | 2004-07-22 | 2009-11-17 | Nordt Development Co., Llc | Two-component compression collar clamp for arm or leg |
JP2006288484A (ja) * | 2005-04-06 | 2006-10-26 | Yuki Sokenbi Club:Kk | 健康リストバンド |
EP2076224B1 (en) * | 2006-09-12 | 2016-08-24 | Boa Technology, Inc. | Closure system for braces, protective wear and similar articles |
KR101242711B1 (ko) * | 2011-05-16 | 2013-03-12 | 주식회사 박의지 | 회전조작형 밴드 타이트너 |
EP3171831B1 (en) * | 2014-07-25 | 2020-04-08 | Vasishtha Md., Deepak | Device for applying pressure to bones of arm |
KR101559109B1 (ko) * | 2014-12-10 | 2015-10-13 | 구연욱 | 볼링용 손목 보호대 |
CN204306189U (zh) * | 2014-12-18 | 2015-05-06 | 蒋贵万 | 在表壳连接臂与表带的挂式滑槽连接装置 |
KR20160147231A (ko) * | 2016-04-22 | 2016-12-22 | 케이투코리아 주식회사 | 착탈식 조임 조절 패드 구조체 |
CN106360896A (zh) * | 2016-09-18 | 2017-02-01 | 山东梦金园电子商务有限公司 | 一种组合式环状首饰 |
-
2017
- 2017-07-21 KR KR1020170092915A patent/KR10190042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6-28 WO PCT/KR2018/007339 patent/WO2019017609A2/ko unknown
- 2018-06-28 US US16/632,541 patent/US2021016169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8-06-28 EP EP18835303.1A patent/EP3679819B1/en active Active
- 2018-06-28 JP JP2020502946A patent/JP2020528502A/ja active Pending
- 2018-06-28 CN CN201880048727.3A patent/CN110996701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0294B1 (ko) | 2014-11-11 | 2016-12-28 | 김재홍 | 조임수단이 구비된 스포츠 장갑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58236A (ko) * | 2018-11-19 | 2020-05-27 | 주식회사 휴먼자숨 | 개량된 압박구조를 갖는 건근육 접합부 압박밴드 |
KR102208627B1 (ko) | 2018-11-19 | 2021-01-28 | 주식회사 휴먼자숨 | 개량된 압박구조를 갖는 건근육 접합부 압박밴드 |
KR20210111570A (ko) | 2020-03-03 | 2021-09-13 | 이상진 | 손목 보호대 |
KR102368941B1 (ko) | 2020-03-03 | 2022-03-03 | 이상진 | 손목 보호대 |
WO2024101834A1 (ko) * | 2022-11-07 | 2024-05-16 | 이상진 | 동맥혈 측정이 가능한 밴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017609A9 (ko) | 2019-05-31 |
WO2019017609A2 (ko) | 2019-01-24 |
CN110996701A (zh) | 2020-04-10 |
EP3679819A2 (en) | 2020-07-15 |
EP3679819B1 (en) | 2024-01-31 |
US20210161697A1 (en) | 2021-06-03 |
EP3679819A4 (en) | 2020-12-16 |
WO2019017609A3 (ko) | 2019-04-11 |
JP2020528502A (ja) | 2020-09-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92573B1 (ko) | 조작 성능이 향상된 손목 보호대 | |
JP6865292B2 (ja) | 手首保護帯 | |
KR101900422B1 (ko) | 손목 보호대 | |
JP4904259B2 (ja) | 手首整形器具 | |
KR102121933B1 (ko) | 팔꿈치 보호대 | |
KR20190029063A (ko) | 어깨 보조 기구 | |
KR101849639B1 (ko) | 손목 보호용 장갑 | |
KR102368941B1 (ko) | 손목 보호대 | |
KR102143991B1 (ko) | 손목 보호대 | |
EP3171831B1 (en) | Device for applying pressure to bones of arm | |
CN210785266U (zh) | 一种外骨骼机器人腿部调节结构 | |
KR102085862B1 (ko) | 테니스 엘보 환자를 위한 치료용 보조기 | |
KR20110075579A (ko) | 헬스용장갑 | |
KR102545049B1 (ko) | 손목 보호대 | |
JP6831140B1 (ja) | リハビリ器具及び上肢装具 | |
KR20240065720A (ko) | 동맥혈 측정이 가능한 밴드 | |
JP6840373B2 (ja) | 母指cm関節症装具 | |
JP2022509923A (ja) | 柔軟な手首装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