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6297A - 과신전방지를 위한 팔꿈치보호대 - Google Patents

과신전방지를 위한 팔꿈치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6297A
KR20170056297A KR1020150159804A KR20150159804A KR20170056297A KR 20170056297 A KR20170056297 A KR 20170056297A KR 1020150159804 A KR1020150159804 A KR 1020150159804A KR 20150159804 A KR20150159804 A KR 20150159804A KR 20170056297 A KR20170056297 A KR 20170056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arm
engaging portion
elbow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이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민 filed Critical 이상민
Priority to KR1020150159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6297A/ko
Publication of KR20170056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2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5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5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 A41D13/0556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신전방지를 위한 팔꿈치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동시 과신전으로 인한 상해를 예방하기 위해 팔꿈치가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과신전방지를 위한 팔꿈치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과신전으로 인한 부상을 예방함과 동시에 기존의 팔근육압박밴드와 호환 가능하며 스포츠활동시에도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과신전방지를 위한 팔꿈치보호대 {omitted}
본 발명은 과신전방지를 위한 팔꿈치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동시 과신전으로 인한 상해를 예방하기 위해 팔꿈치가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과신전방지를 위한 팔꿈치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야구나 테니스와 같은 운동을 하거나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노동자와 같은 사람들이 입는 상처로는 흔히 "테니스엘보"라고 알려진 외측상과염이 있다. 테니스엘보는 팔꿈치 부근의 신전근건(extensor tendons)을 지나치게 사용해 외측상과가 파열된데서 기인한다. 이런 상처는 볼을 때리거나 라켓이나 해머를 휘드르거나 스크루드라이버를 돌릴 때 팔꿈치의 반복적인 요곡과 움직임을 요하는 활동에서 생긴다. 다른 공통적인 상처는 "골퍼 엘보"라고 알려진 내측상과염이 있다. 골퍼 엘보는 일반적으로 팔꿈치 바고 근처의 굴근건(flexor tendons)의 과사용으로 내측상과 부근의 근육이 파열된데서 기인한다.
이러한 부상에는 고통을 경감하기 위해 팔뚝에 압력을 가하는 압박랩이 사용되는데, 기존의 압박랩은 단순히 팔근육을 압박함으로서 부상 후 통증 경감 및 치료용 제품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부상의 근본적인 원인은 "과신전"에 있다. 과신전이란 몸이 펼쳐지는(신전, 伸展) 범위가 정상의 범위를 지나친 경우로서, 일반적으로 무릎,팔꿈치등의 관절각(關節角)이 180°를 넘은 상태를 말한다.
즉, "테니스엘보", "골퍼 엘보" 등의 부상이 근본적으로 발생하지 않게 하려면 과신전을 방지해야 하는데, 이러한 과신전을 예방하기 위한 스포츠용 제품은 없는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2772호 (2009.09.01)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첫째로, 팔꿈치가 과도하게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밴드를 제시함으로써 과신전으로 인한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
둘째로, 기존의 팔근육압박밴드에 간편하게 탈부착 가능한 과신전방지밴드를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팔근육압박밴드와 호환 가능하며 스포츠활동시에도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과신전방지를 위한 팔꿈치보호대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팔근육을 압박하는 팔근육압박밴드(200);
상기 팔근육압박밴드(200)에 부착하여 과신전을 방지하는 과신전방지밴드(1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팔근육압박밴드(200)는,
압박밴드외측면(210)에 과신전방지밴드의 제1결합부(110)가 결합되는 제4결합부(240),
압박밴드외측면(210)에 상기 제4결합부(24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과신전방지밴드의 제2결합부(120)가 결합되는 제5결합부(250)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과신전방지밴드(100)는,
팔의 과신전을 방지하기 위한 신축성 있는 재질의 밴드로 형성된 밴드몸체(130),
상기 밴드몸체(130) 일측 단부에 상기 제4결합부(240)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110),
상기 밴드몸체(130) 타측 단부에 상기 제5결합부(250)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12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팔근육압박밴드(200)는,
팔근육압박밴드외측면(210)이 암벨크로로 형성되고,
팔근육압박밴드내측면(220) 일측 단부에 위치하며 수벨크로로 형성된 제3결합부(23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4결합부(240) 및 제5결합부(250)는 암벨크로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110) 및 제2결합부(120)는 수벨크로로 형성되어,
과신전방지밴드의 제1결합부(110)가 팔길이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팔근육압박밴드의 제4결합부(240)에 결합되고,
과신전방지밴드의 밴드몸체(130)가 굽어진 팔꿈치 뒤쪽을 감싸며,
과신전방지밴드의 제2결합부(120)가 제1결합부(110)와 교차된 채 팔길이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팔근육압박밴드의 제5결합부(250)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신전방지를 위한 팔꿈치보호대를 제시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과신전으로 인한 부상을 예방함과 동시에 기존의 팔근육압박밴드와 호환 가능하며 스포츠활동시에도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신전방지밴드(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근육압박밴드(200)의 내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근육압박밴드(200)의 외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신전방지를 위한 팔꿈치보호대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신전방지를 위한 팔꿈치보호대의 부착 순서를 나타낸 착용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을 먼저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즉, 팔근육을 압박하는 팔근육압박밴드(200);
상기 팔근육압박밴드(200)에 부착하여 과신전을 방지하는 과신전방지밴드(1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팔근육압박밴드(200)는,
압박밴드외측면(210)에 과신전방지밴드의 제1결합부(110)가 결합되는 제4결합부(240),
압박밴드외측면(210)에 상기 제4결합부(24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과신전방지밴드의 제2결합부(120)가 결합되는 제5결합부(250)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과신전방지밴드(100)는,
팔의 과신전을 방지하기 위한 신축성 있는 재질의 밴드로 형성된 밴드몸체(130),
상기 밴드몸체(130) 일측 단부에 상기 제4결합부(240)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110),
상기 밴드몸체(130) 타측 단부에 상기 제5결합부(250)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12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팔근육압박밴드(200)는,
팔근육압박밴드외측면(210)이 암벨크로로 형성되고,
팔근육압박밴드내측면(220) 일측 단부에 위치하며 수벨크로로 형성된 제3결합부(23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4결합부(240) 및 제5결합부(250)는 암벨크로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110) 및 제2결합부(120)는 수벨크로로 형성되어,
과신전방지밴드의 제1결합부(110)가 팔길이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팔근육압박밴드의 제4결합부(240)에 결합되고,
과신전방지밴드의 밴드몸체(130)가 굽어진 팔꿈치 뒤쪽을 감싸며,
과신전방지밴드의 제2결합부(120)가 제1결합부(110)와 교차된 채 팔길이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팔근육압박밴드의 제5결합부(250)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신전방지를 위한 팔꿈치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신전방지밴드(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신전방지를 위한 팔꿈치보호대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과신전방지를 위한 팔꿈치보호대는 팔근육압박밴드(200)와 과신전방지밴드(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팔근육압박밴드(200)는 팔근육을 압박하여 부상에 의한 통증을 방지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과신전으로 인한 부상 후 통증 경감 및 치료용으로 쓰이는 밴드가 될 수 있다. 또는 도 2,3의 설명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최적화된 형태로서 외측면이 암벨크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압박밴드외측면(210)에는 제4결합부(240)와 제5결합부(250)가 형성된다.
상기 제4결합부(240)에 과신전방지밴드의 제1결합부(110)가 결합되고, 상기 제5결합부(250)에 과신전방지밴드의 제2결합부(120)가 결합되는 것으로서, 제4결합부(240)와 제5결합부(25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과신전방지밴드(100)는 상기 팔근육압박밴드(200)에 부착하여 과신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밴드몸체(130), 제1결합부(110), 제2결합부(1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제1결합부(110)는 상기 밴드몸체(130) 일측 단부에 상기 제4결합부(240)와 결합되고, 제2결합부(120)는 상기 밴드몸체(130) 타측 단부에 상기 제5결합부(250)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밴드몸체(130)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서 팔꿈치 뒤쪽을 감싸는데, 팔관절이 펴질 때 제1결합부(110)와 제2결합부(120)가 결합된 부위를 팔꿈치안쪽으로 당김으로써 과도하게 팔관절이 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신축강도가 너무 세면 팔관절이 너무 펴지지 않아 오히려 팔굽힘상태를 구속하게 되고, 신축강도가 너무 떨어지면 결합부위를 팔꿈치안쪽으로 제대로 당기지 못해 팔이 젖혀짐으로써 과신전 현상이 발생하므로, 사용자의 근육량과 운동종목에 따라 적절한 신축강도를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팔근육압박밴드외측면(210)에 암벨크로가 형성될 경우, 상기 제1결합부(110)와 제2결합부(120)는 팔근육압박밴드외측면(210)의 암벨크로에 결합되기 위해 수벨크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결합부는 지퍼, 단추 등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범위의 탈부착 가능한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근육압박밴드(200)의 내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근육압박밴드(200)의 외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팔근육압박밴드(200)는 팔근육압박밴드내측면(220) 일측 단부에 상기 암벨크로와 결합되는 제3결합부(23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밴드간 결합 용이성과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 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팔근육압박밴드외측면(210)에 암벨크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압박밴드외측면(210)에 형성된 제4결합부(240) 및 제5결합부(250) 역시 암벨크로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3결합부(230), 제2결합부(120), 제1결합부(110)는 각각 암벨크로와 결합될 수 있게 수벨크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팔근육압박밴드내측면(220)은 팔에 부착되는 안쪽면으로 재질은 한정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신전방지를 위한 팔꿈치보호대의 부착 순서를 나타낸 착용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순서대로 이하 착용방법을 설명한다.
s1: 먼저 일측 단부에 제3결합부(230)가 형성된 팔근육압박밴드(200)를 팔꿈치 아래쪽에 착용한다. 팔근육압박밴드(200)의 타측 단부, 즉 제3결합부(230)의 반대쪽을 먼저 대고, 팔근육압박밴드내측면(220)이 팔에 닿도록하여 팔근육압박밴드(200)를 둘러싸면 팔근육압박밴드외측면(210) 위로 제3결합부(230)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3결합부(230)가 팔근육압박밴드외측면(210)의 암벨크로에 결합됨으로써 팔근육압박밴드(200)가 팔에 먼저 장착된다.
s2: 다음으로 과신전방지밴드(100)의 제1결합부(110)를 팔길이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팔근육압박밴드의 제4결합부(240)에 결합한다. 제1결합부(110) 역시 수벨크로로 형성되어 암벨크로에 쉽게 부착될 수 있다.
s3: 제1결합부(110) 결합 후 밴드몸체(130)가 굽어진 팔꿈치 뒤쪽을 감싸도록, 팔꿈치 뒤로 감아돌려 제2결합부(120)를 다시 팔꿈치 앞쪽으로 빼낸다.
s4: 앞으로 빼낸 제2결합부(120)를 제5결합부(250)에 부착한다. 이 때, 제2결합부(120)가 부착되는 형태는 팔길이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제1결합부(110)와 교차된 채 암벨크로로 된 제5결합부(250)에 부착되어, 제1결합부(110)와 제2결합부(120)가 'X'자 형태를 이루도록 한다. 이로써 과신전방지밴드(100)와 팔근육압박밴드(200)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첫째로, 팔꿈치가 과도하게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밴드를 제시함으로써 과신전으로 인한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
둘째로, 기존의 팔근육압박밴드에 간편하게 탈부착 가능한 과신전방지밴드를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팔근육압박밴드와 호환 가능하며 스포츠활동시에도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과신전방지밴드
110 : 제1결합부
120 : 제2결합부
130 : 과신전방지밴드몸체
200 : 팔근육압박밴드
210 : 압박밴드외측면
220 : 압박밴드내측면
230 : 제3결합부
240 : 제4결합부
250 : 제5결합부

Claims (3)

  1. 팔근육을 압박하는 팔근육압박밴드(200);
    상기 팔근육압박밴드(200)에 부착하여 과신전을 방지하는 과신전방지밴드(1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팔근육압박밴드(200)는,
    압박밴드외측면(210)에 과신전방지밴드의 제1결합부(110)가 결합되는 제4결합부(240),
    압박밴드외측면(210)에 상기 제4결합부(24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과신전방지밴드의 제2결합부(120)가 결합되는 제5결합부(250)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과신전방지밴드(100)는,
    팔의 과신전을 방지하기 위한 신축성 있는 재질의 밴드로 형성된 밴드몸체(130),
    상기 밴드몸체(130) 일측 단부에 상기 제4결합부(240)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110),
    상기 밴드몸체(130) 타측 단부에 상기 제5결합부(250)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120)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과신전방지밴드의 제1결합부(110)가 팔길이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팔근육압박밴드의 제4결합부(240)에 결합되고,
    과신전방지밴드의 밴드몸체(130)가 굽어진 팔꿈치 뒤쪽을 감싸며,
    과신전방지밴드의 제2결합부(120)가 제1결합부(110)와 교차된 채 팔길이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팔근육압박밴드의 제5결합부(250)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신전방지를 위한 팔꿈치보호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팔근육압박밴드(200)는,
    팔근육압박밴드외측면(210)이 암벨크로로 형성되고,
    팔근육압박밴드내측면(220) 일측 단부에 위치하며 수벨크로로 형성된 제3결합부(230)를 포함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신전방지를 위한 팔꿈치보호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결합부(240) 및 제5결합부(250)는 암벨크로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110) 및 제2결합부(120)는 수벨크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신전방지를 위한 팔꿈치보호대.

KR1020150159804A 2015-11-13 2015-11-13 과신전방지를 위한 팔꿈치보호대 KR201700562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804A KR20170056297A (ko) 2015-11-13 2015-11-13 과신전방지를 위한 팔꿈치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804A KR20170056297A (ko) 2015-11-13 2015-11-13 과신전방지를 위한 팔꿈치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297A true KR20170056297A (ko) 2017-05-23

Family

ID=59050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804A KR20170056297A (ko) 2015-11-13 2015-11-13 과신전방지를 위한 팔꿈치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62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136A (ko) 2018-06-04 2019-12-12 이상진 팔꿈치 보호대
KR102503656B1 (ko) 2022-11-15 2023-02-28 주식회사 지앤비 영역 구분식 인장강도를 가지는 고정스트랩을 포함하는 팔꿈치 보호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136A (ko) 2018-06-04 2019-12-12 이상진 팔꿈치 보호대
KR102503656B1 (ko) 2022-11-15 2023-02-28 주식회사 지앤비 영역 구분식 인장강도를 가지는 고정스트랩을 포함하는 팔꿈치 보호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82048A1 (en) X splint hand protection device
US9387110B2 (en) Variable tension glove
US20040210179A1 (en) Bandage for the prevention of radial luxation of the thumb
KR101056986B1 (ko) 허리보호대
KR20170056297A (ko) 과신전방지를 위한 팔꿈치보호대
EP3175894B1 (en) Joint movement supporting protector
US20170135837A1 (en) Plantar fasciitis treatment method and device
US20120066809A1 (en) Body Dampener
US20220401816A1 (en) Fight glove
KR200461181Y1 (ko) 레포츠용 토시
US9380820B1 (en) Clench arresting glove
CN204121708U (zh) 关节运动支撑护具
KR102445898B1 (ko) 탄성의 금속 스트립을 갖는 손목보호대
US20140325729A1 (en) Slip resistant knee and elbow pad
US8568345B2 (en) Digit pad for treating trigger finger and trigger thumb
KR200470311Y1 (ko) 무릎 보호대
WO2004028645A1 (ja) 運動用具
US6880347B1 (en) Upper arm protection shoulder pad accessory
JP2020512060A (ja) ヒトの関節のための保護装具
WO2019053493A1 (en) GOLF GLOVE COMPRISING AIR FLOW VENTS
CN205796406U (zh) 手功能锻炼手套
US20180361219A1 (en) Wrist rotation controller for bowlers
KR200251290Y1 (ko) 태권도용 팔보호대
AU2022306749A1 (en) Bandage for the wrist joint or the ankle joint
KR200199666Y1 (ko) 운동용 손목 보호대 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