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986B1 - 허리보호대 - Google Patents

허리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986B1
KR101056986B1 KR1020100095005A KR20100095005A KR101056986B1 KR 101056986 B1 KR101056986 B1 KR 101056986B1 KR 1020100095005 A KR1020100095005 A KR 1020100095005A KR 20100095005 A KR20100095005 A KR 20100095005A KR 101056986 B1 KR101056986 B1 KR 101056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belt
pressing
body portion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5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헌
Original Assignee
(주)태양메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양메디텍 filed Critical (주)태양메디텍
Priority to KR1020100095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2Adjustable pressure 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의 허리부위 및 척추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되는 허리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허리밴드를 3단으로 구성하고, 허리 압박력을 강화시켜주기 위한 보조압박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보조압박부재를 도르래 방식으로 연결하여 손쉽게 허리 압박력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허리를 보호해 주는 허리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일정 폭의 밴드형으로 형성되어 내면(內面)으로 인체의 허리를 감싸 허리를 보호 및 교정하는 허리보호대에 있어서, 일측에 제1부착부가 형성된 제1바디부; 상기 제1바디부와 대향되는 형상으로 위치되되, 일측에 상기 제1부착부에 결합되는 제2부착부가 형성된 제2바디부; 상기 제1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의 사이에 결합되며, 착용시 상기 제1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의 타측과 함께 허리를 압박해주는 압박부; 및 상기 제1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의 타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연결되며, 착용시 좌 또는 우 또는 좌우로 함께 힘을 가한 후 상기 제1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부착하여 상기 제1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의 허리 압박력을 강화시켜주는 보조압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바디부는 일측에 형성된 제1부착부와, 타측에 형성된 제1허리압박부와, 상기 제1부착부 및 상기 제1허리압박부 사이에 결합된 제1신축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바디부는 일측에 형성된 제2부착부와, 타측에 형성된 제2허리압박부와, 상기 제2부착부 및 상기 제2허리압박부 사이에 결합된 제2신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허리압박부는 상기 제2허리압박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호 겹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2허리압박부에는 연결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1허리압박부에 연결된 상기 보조압박부재가 상기 연결홀을 통해 인출되어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허리압박부의 일단에는 제1고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허리압박부의 일단에는 제3고리부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압박부재는 제1벨트, 제2벨트, 제3벨트 및 제4벨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1벨트의 일단은 상기 제2허리압박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고리부를 통해 상기 연결홀로 인출되어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1벨트의 타단에는 제2고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벨트의 일단은 상기 제2부착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고리부와 연결되어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3벨트의 일단은 상기 제1허리압박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3고리부를 통해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3벨트의 타단에는 제4고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4벨트의 일단은 상기 제1부착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4고리부와 연결되어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벨트 및 상기 제4벨트의 타단을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상기 제1벨트와 이와 연결된 상기 제1허리압박부 및 상기 제3벨트와 이와 연결된 상기 제2허리압박부가 함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허리보호대{WAIST PROTECTING BAND}
본 발명은 신체의 허리부위 및 척추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되는 허리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 허리밴드를 3단으로 구성하고, 허리 압박력을 강화시켜주기 위한 보조압박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보조압박부재를 도르래 방식으로 연결하여 손쉽게 허리 압박력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허리를 보호해 주는 허리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허리보호대라 함은 신체의 허리부위 및 척추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것으로서, 주로, 허리 및 척추에 대한 질병을 갖고 있는 경우에 치료 및 보호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산업현장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장시간 앉은 상태로 작업 및 업무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허리 및 척추부위에 과다한 하중이 가해져 통증이나 관절염 및 허리디스크 등의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고 있다.
즉, 물건을 들거나 옮기기 위해 앉거나 일어서는 경우에 이를 위한 동작시 허리부위에 대한 과다한 하중이 가해지게 되어 관절부위나 근육 및 인대 등이 손상되어 질병을 유발하게 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허리보호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보호대가 신축성을 가지며 신체의 허리부위에 착용되어 허리부위를 가압하여 압박된 상태로 장착되어 허리부위에 무리하게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켜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구성되며 통상 밴드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벨트를 더 구비하고 이에 결합수단 등을 장착하여 한번 더 허리를 감싸 고정하는 구조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허리보호대는 신축성에 의해 허리부위에 착용된 상태에서 신축성에 의해 압박된 상태를 유지하며 허리부위를 감싸 보호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사용자가 허리보호대를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을 위해 허리를 구부리거나 장시간 앉아 있는 상태에서 일어나는 경우에, 허리부위에 대한 복원력을 부여하지 못하게 되고, 허리보호대를 착용한 상태이더라도 허리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을 상쇄시키지 못하고, 단순히 감싸 압박하게 되는 기능만을 갖고 있으므로, 신체의 허리 굽힘 동작으로 인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는 폐단을 갖고 있다.
또한, 신체의 허리부위에 장착된 상태에서 가압력에 의해 허리부위에 대한 굽힘작용 및 변형에 따른 하중을 일부 해소할 수는 있으나, 장시간 무리하게 허리를 사용하게 되면, 기능을 상실하여 효과가 없으며, 앉은 상태에서의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허리를 감싸주는 압박력을 일정하게 유지함은 물론, 압박력을 향상시킨 허리보호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이 압박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몸체를 3단으로 구성하고, 허리 압박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보조압박부재를 도르래 방식으로 연결구성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사용이 용이함은 물론 압박력을 강화시킨 허리보호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허리보호대는, 일정 폭의 밴드형으로 형성되어 내면(內面)으로 인체의 허리를 감싸 허리를 보호 및 교정하는 허리보호대에 있어서, 일측에 제1부착부가 형성된 제1바디부; 상기 제1바디부와 대향되는 형상으로 위치되되, 일측에 상기 제1부착부에 결합되는 제2부착부가 형성된 제2바디부; 상기 제1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의 사이에 결합되며, 착용시 상기 제1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의 타측과 함께 허리를 압박해주는 압박부; 및 상기 제1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의 타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연결되며, 착용시 좌 또는 우 또는 좌우로 함께 힘을 가한 후 상기 제1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부착하여 상기 제1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의 허리 압박력을 강화시켜주는 보조압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바디부는 일측에 형성된 제1부착부와, 타측에 형성된 제1허리압박부와, 상기 제1부착부 및 상기 제1허리압박부 사이에 결합된 제1신축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바디부는 일측에 형성된 제2부착부와, 타측에 형성된 제2허리압박부와, 상기 제2부착부 및 상기 제2허리압박부 사이에 결합된 제2신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허리압박부는 상기 제2허리압박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호 겹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2허리압박부에는 연결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1허리압박부에 연결된 상기 보조압박부재가 상기 연결홀을 통해 인출되어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허리압박부의 일단에는 제1고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허리압박부의 일단에는 제3고리부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압박부재는 제1벨트, 제2벨트, 제3벨트 및 제4벨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1벨트의 일단은 상기 제2허리압박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고리부를 통해 상기 연결홀로 인출되어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1벨트의 타단에는 제2고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벨트의 일단은 상기 제2부착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고리부와 연결되어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3벨트의 일단은 상기 제1허리압박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3고리부를 통해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3벨트의 타단에는 제4고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4벨트의 일단은 상기 제1부착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4고리부와 연결되어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벨트 및 상기 제4벨트의 타단을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상기 제1벨트와 이와 연결된 상기 제1허리압박부 및 상기 제3벨트와 이와 연결된 상기 제2허리압박부가 함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상기 압박부에는 수납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에는 복수 개의 허리지지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의 신체와 접촉되는 면에는 미끄럼방지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압박부재를 도르래 방식으로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허리 압박력을 보다 강화시켜 줄 수 있고, 허리지지대를 구비하여 지지력을 향상시켰으며, 사용시 힘에 의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신체에 접촉되는 면에 미끄럼방지부재를 부착하였을 뿐만 아니라, 압박부에 수납부를 구비함으로써 핫팩 등을 수납할 수 있어 허리 보호효과는 물론 찜질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종래의 허리보호대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허리보호대를 나타낸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허리보호대의 일실시예에 의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허리보호대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허리보호대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조압박부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허리보호대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하기에 기술할 표현 중 신체와 접촉되는 면(쪽)을 내면(內面) 또는 내측면이라 하고, 그 반대 면(쪽)을 외면(外面) 또는 외측면이라 통일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폭의 밴드형으로 형성되어 내면(內面)으로 인체의 허리를 감싸 허리를 보호 및 교정하는 허리보호대에 있어서, 일측에 제1부착부(110)가 형성된 제1바디부(100); 상기 제1바디부(100)와 대향되는 형상으로 위치되되, 일측에 상기 제1부착부(110)에 결합되는 제2부착부(210)가 형성된 제2바디부(200); 상기 제1바디부(100)와 상기 제2바디부(200)의 사이 내측면에 결합되며, 착용시 인체의 허리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제1바디부(100) 및 상기 제2바디부(200)의 타측과 함께 허리를 압박해주는 압박부(300); 및 상기 제1바디부(100)와 상기 제2바디부(200)의 타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연결되며, 착용시 좌 또는 우 또는 좌우로 함께 힘을 가한 후 상기 제1바디부(100) 및 상기 제2바디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부착하여 상기 제1바디부(100) 및 상기 제2바디부(200)의 허리 압박력을 강화시켜주는 보조압박부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바디부(100)는 일측에 형성된 제1부착부(110)와 타측에 형성된 제1허리압박부(120)와 상기 제1부착부(110) 및 상기 제1허리압박부(120) 사이에 결합된 제1신축부(130)로 구성되고, 상기 제2바디부(200)는 일측에 형성된 제2부착부(210)와 타측에 형성된 제2허리압박부(220)와 상기 제2부착부(210) 및 상기 제2허리압박부(220) 사이에 결합된 제2신축부(2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허리압박부(120), 상기 1신축부, 상기 제2허리압박부(220), 상기 제2신축부(230) 및 상기 압박부(300)에 통기성이 좋도록 다수 개의 통기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허리압박부(120)는 상기 제2허리압박부(22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호 일부분이 겹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2허리압박부(220)의 일측 중심에는 연결홀(222)이 구비되며, 상기 제1허리압박부(120)에 연결된 상기 보조압박부재(400)가 상기 연결홀(222)을 통해 인출되어 연장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시에는 상기 제1바디부(1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1암벨크로(111)에 상기 제2바디부(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수벨크로(212)를 결합하여 부착한 뒤 상기 보조압박부재(400)를 상기 제2바디부(200) 쪽, 즉 우측으로 잡아당긴 후 상기 보조압박부재(4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수벨크로(212)를 상기 제1암벨크로(111) 또는 상기 제2바디부(2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2암벨크로(211)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부착하여 고정함으로써 허리 압박력을 강화시키게 된다.
또는, 상기 제1허리압박부(120)의 단부에는 제1고리부(121)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압박부재(400)의 일단이 상기 제2허리압박부(220)의 내측면 일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보조압박부재(400)의 타단이 상기 제1고리부(121)를 통해 상기 연결홀(222)로 인출되어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보조압박부재(400)의 타단을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상기 제1허리압박부(120)가 함께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압박부재(400)의 내측면에는 수벨크로(212)가 구비되며, 상기와 같이 구성시에도 상기 제1바디부(1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1암벨크로(111)에 상기 제2바디부(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수벨크로(212)를 결합하여 부착한 뒤 상기 보조압박부재(400)를 상기 제2바디부(200) 쪽, 즉 우측으로 잡아당긴 후 상기 보조압박부재(4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수벨크로(212)를 상기 제1암벨크로(111) 또는 상기 제2바디부(2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2암벨크로(211)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부착하여 고정함으로써 허리 압박력을 강화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허리압박부(120)에는 제1고리부(121)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압박부재(400)는 제1벨트(410) 및 제2벨트(420)로 구성되며, 상기 제1벨트(410)의 일단은 상기 제2허리압박부(220)의 내측면 일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고리부(121)를 통해 상기 연결홀(222)로 인출되어 상기 제2바디부(200)의 외측면 상에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1벨트(410)의 타단에는 제2고리부(411)가 형성되며, 상기 제2벨트(420)의 일단은 상기 제2부착부(210)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고리부(411)와 연결되어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벨트(420)의 타단을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상기 제1벨트(410) 및 상기 제1벨트(410)와 연결된 상기 제1허리압박부(120)가 함께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시 상기 제1바디부(1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1암벨크로(111)에 상기 제2바디부(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수벨크로(212)를 결합하여 부착한 뒤 상기 제2벨트(420)를 상기 제2바디부(200) 쪽, 즉 우측으로 잡아당긴 후 상기 제2벨트(420)의 내측면에 형성된 수벨크로(212)를 상기 제1암벨크로(111) 또는 상기 제2바디부(2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2암벨크로(211)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부착하여 고정함으로써 허리 압박력을 강화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은 일측에만 상기 보조압박부재(400)를 장착하였을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였으며, 하기에는 양측에 모두 상기 보조압박부재(400)를 장착하였을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제1허리압박부(120)의 일단부에는 제1고리부(121)가 구비되고, 상기 제2허리압박부(220)의 일단부에는 제3고리부(221)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압박부재(400)는 상기 제1허리압박부(120)의 외측면 타단 및 상기 제2허리압박부(220)의 내측면 타단에 각각 고정되되, 상기 제2허리압박부(220)에 일단이 고정된 보조압박부재(400)는 타단이 상기 제1고리부(121)를 통해 상기 연결홀(222)로 인출되어 상기 제2바디부(200) 쪽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1허리압박부(120)에 일단이 고정된 보조압박부재(400)는 타단이 상기 제3고리부(221)와 연결되어 상기 제1바디부(100) 쪽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보조압박부재(400)의 타단을 각각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상기 제1허리압박부(120) 및 상기 제2허리압박부(220)가 함께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시에는 상기 제1바디부(1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1암벨크로(111)에 상기 제2바디부(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수벨크로(212)를 결합하여 부착한 뒤 상기 보조압박부재(400)를 양손을 이용하여 각각 상기 제1바디부(100) 및 상기 제2바디부(200) 쪽, 즉 좌우측으로 잡아당긴 후 상기 보조압박부재(4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수벨크로(212)를 상기 제1암벨크로(111) 또는 상기 제2바디부(2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2암벨크로(211)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부착하여 고정함으로써 허리 압박력을 강화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허리압박부(120)의 일단부에는 제1고리부(121)가 구비되고, 상기 제2허리압박부(220)의 일단부에는 제3고리부(221)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압박부재(400)는 제1벨트(410), 제2벨트(420), 제3벨트(430) 및 제4벨트(440)로 구성되고, 상기 제1벨트(410)의 일단은 상기 제2허리압박부(220)의 내측면 타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고리부(121)를 통해 상기 연결홀(222)로 인출되어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1벨트(410)의 타단에는 제2고리부(411)가 형성되며, 상기 제2벨트(420)의 일단은 상기 제2부착부(210)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고리부(411)와 연결되어 상기 제2바디부(200) 쪽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3벨트(430)의 일단은 상기 제1허리압박부(120)의 외측면 타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3고리부(221)를 통해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3벨트(430)의 타단에는 제4고리부(431)가 형성되며, 상기 제4벨트(440)의 일단은 상기 제1부착부(110)의 외측면 일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4고리부(431)와 연결되어 상기 제1바디부(100) 쪽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벨트(420) 및 상기 제4벨트(440)의 타단을 각각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상기 제1벨트(410)와 이와 연결된 상기 제1허리압박부(120) 및 상기 제3벨트(430)와 이와 연결된 상기 제2허리압박부(220)가 함께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구성이라 할 것이며, 상기와 같이 구성시에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바디부(1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1암벨크로(111)에 상기 제2바디부(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수벨크로(212)를 결합하여 부착한 뒤 상기 제2벨트(420) 및 상기 제4벨트(440)를 양손을 이용하여 각각 상기 제1바디부(100) 및 상기 제2바디부(200) 쪽, 즉 좌우측으로 잡아당긴 후 상기 제2벨트(420) 및 상기 제4벨트(440)의 내측면에 형성된 수벨크로(212)를 상기 제1암벨크로(111) 또는 상기 제2바디부(2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2암벨크로(211)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부착하여 고정함으로써 허리 압박력을 강화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압박부(300)는 신축가능한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박부(300)의 외측면에는 수납부(310)를 형성하여 핫팩 등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바디부(100) 및 상기 제2바디부(200)에는 복수 개의 허리지지대(10)가 더 구비되며, 연성 및 복원력이 좋은 합성수지(플라스틱)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인 허리보호대는 상의를 탈의하거나 착용한 후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바디부(100) 및 상기 제2바디부(200)의 신체와 접촉되는 면에는 미끄럼방지부재(20)를 더 구비하며, 도면상에는 상기 허리지지대(10)와 동일한 위치에 배열하였으나, 상기 허리지지대(10) 및 상기 미끄럼방지부재(20)의 부착 위치는 달리할 수 있다.
10 : 허리지지대 20 : 미끄럼방지부재
100 : 제1바디부 110 : 제1부착부
111 : 제1암벨크로 120 : 제1허리압박부
121 : 제1고리부 130 : 제1신축부
200 : 제2바디부 210 : 제2부착부
211 : 제2암벨크로 212 : 수벨크로
220 : 제2허리압박부 221 : 제3고리부
222 : 연결홀 230 : 제2신축부
300 : 압박부 310 : 수납부
400 : 보조압박부재 410 : 제1벨트
411 : 제2고리부 420 : 제2벨트
430 : 제3벨트 431 : 제4고리부
440 : 제4벨트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일정 폭의 밴드형으로 형성되어 내면(內面)으로 인체의 허리를 감싸 허리를 보호 및 교정하는 허리보호대에 있어서,
    일측에 제1부착부가 형성된 제1바디부; 상기 제1바디부와 대향되는 형상으로 위치되되, 일측에 상기 제1부착부에 결합되는 제2부착부가 형성된 제2바디부; 상기 제1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의 사이에 결합되며, 착용시 상기 제1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의 타측과 함께 허리를 압박해주는 압박부; 및 상기 제1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의 타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연결되며, 착용시 좌 또는 우 또는 좌우로 함께 힘을 가한 후 상기 제1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부착하여 상기 제1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의 허리 압박력을 강화시켜주는 보조압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바디부는 일측에 형성된 제1부착부와, 타측에 형성된 제1허리압박부와, 상기 제1부착부 및 상기 제1허리압박부 사이에 결합된 제1신축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바디부는 일측에 형성된 제2부착부와, 타측에 형성된 제2허리압박부와, 상기 제2부착부 및 상기 제2허리압박부 사이에 결합된 제2신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허리압박부는 상기 제2허리압박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호 겹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2허리압박부에는 연결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1허리압박부에 연결된 상기 보조압박부재가 상기 연결홀을 통해 인출되어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허리압박부의 일단에는 제1고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허리압박부의 일단에는 제3고리부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압박부재는 제1벨트, 제2벨트, 제3벨트 및 제4벨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1벨트의 일단은 상기 제2허리압박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고리부를 통해 상기 연결홀로 인출되어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1벨트의 타단에는 제2고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벨트의 일단은 상기 제2부착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고리부와 연결되어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3벨트의 일단은 상기 제1허리압박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3고리부를 통해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3벨트의 타단에는 제4고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4벨트의 일단은 상기 제1부착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4고리부와 연결되어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벨트 및 상기 제4벨트의 타단을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상기 제1벨트와 이와 연결된 상기 제1허리압박부 및 상기 제3벨트와 이와 연결된 상기 제2허리압박부가 함께 이동되는 허리보호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에는 수납부가 더 구비된 허리보호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에는 복수 개의 허리지지대가 더 구비된 허리보호대.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의 신체와 접촉되는 면에는 미끄럼방지부재가 더 구비된 허리보호대.
KR1020100095005A 2010-09-30 2010-09-30 허리보호대 KR101056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005A KR101056986B1 (ko) 2010-09-30 2010-09-30 허리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005A KR101056986B1 (ko) 2010-09-30 2010-09-30 허리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6986B1 true KR101056986B1 (ko) 2011-08-16

Family

ID=44933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5005A KR101056986B1 (ko) 2010-09-30 2010-09-30 허리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986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712B1 (ko) * 2011-07-18 2011-12-16 (주)힐닉스 허리 보호대
KR200472601Y1 (ko) 2013-01-25 2014-05-09 주식회사 신영와코루 산욕용 골반교정 벨트
KR101447353B1 (ko) 2013-02-13 2014-10-06 송기명 허리보호대
KR101488669B1 (ko) 2013-01-28 2015-02-04 권영길 허리지지대 구조
WO2016068388A1 (ko) * 2014-10-31 2016-05-06 서상구 허리 보호대
KR200480836Y1 (ko) 2015-11-13 2016-07-12 주식회사 제이원메딕스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허리보호대
KR20160112243A (ko) * 2015-03-18 2016-09-28 주식회사 와이케이비앤씨 유아용 캐리어
KR101811252B1 (ko) 2017-09-29 2017-12-21 김용태 허리 보호대
CN107714264A (zh) * 2017-11-09 2018-02-23 杭州程天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辅助帮扶机器人帮助人站立的绑带
JP2018154946A (ja) * 2017-03-17 2018-10-04 ダイヤ工業株式会社 腰ベルト
KR102134213B1 (ko) * 2020-04-28 2020-07-15 주식회사 세노컴퍼니 허리 보호대
KR102290480B1 (ko) 2021-01-26 2021-08-18 황윤진 허리 보호대 장치
KR102662161B1 (ko) * 2023-08-14 2024-04-30 주식회사 제니유니 통기성과 착용감을 개선한 이중 지지 구조의 허리 및 척추 보호대
KR102667962B1 (ko) * 2023-03-16 2024-05-23 윤도현 압력 조절이 가능한 온열찜질 핫팩용 무봉제 허리 보호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1162A (ja) * 1996-08-30 1998-03-17 Kinki Gishi Seisakusho:Kk 腰痛の予防及び緩和用の腰バンド
KR200267790Y1 (ko) * 2001-11-21 2002-03-13 정정자 허리 보호대
JP2009017932A (ja) * 2007-07-10 2009-01-29 Daiya Industry Co 腰部サポータ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1162A (ja) * 1996-08-30 1998-03-17 Kinki Gishi Seisakusho:Kk 腰痛の予防及び緩和用の腰バンド
KR200267790Y1 (ko) * 2001-11-21 2002-03-13 정정자 허리 보호대
JP2009017932A (ja) * 2007-07-10 2009-01-29 Daiya Industry Co 腰部サポーター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712B1 (ko) * 2011-07-18 2011-12-16 (주)힐닉스 허리 보호대
KR200472601Y1 (ko) 2013-01-25 2014-05-09 주식회사 신영와코루 산욕용 골반교정 벨트
KR101488669B1 (ko) 2013-01-28 2015-02-04 권영길 허리지지대 구조
KR101447353B1 (ko) 2013-02-13 2014-10-06 송기명 허리보호대
WO2016068388A1 (ko) * 2014-10-31 2016-05-06 서상구 허리 보호대
KR20160112243A (ko) * 2015-03-18 2016-09-28 주식회사 와이케이비앤씨 유아용 캐리어
KR101989880B1 (ko) * 2015-03-18 2019-06-17 주식회사 와이케이비앤씨 유아용 캐리어
KR200480836Y1 (ko) 2015-11-13 2016-07-12 주식회사 제이원메딕스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허리보호대
JP2018154946A (ja) * 2017-03-17 2018-10-04 ダイヤ工業株式会社 腰ベルト
KR101811252B1 (ko) 2017-09-29 2017-12-21 김용태 허리 보호대
CN107714264A (zh) * 2017-11-09 2018-02-23 杭州程天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辅助帮扶机器人帮助人站立的绑带
KR102134213B1 (ko) * 2020-04-28 2020-07-15 주식회사 세노컴퍼니 허리 보호대
KR102290480B1 (ko) 2021-01-26 2021-08-18 황윤진 허리 보호대 장치
KR102667962B1 (ko) * 2023-03-16 2024-05-23 윤도현 압력 조절이 가능한 온열찜질 핫팩용 무봉제 허리 보호대
KR102662161B1 (ko) * 2023-08-14 2024-04-30 주식회사 제니유니 통기성과 착용감을 개선한 이중 지지 구조의 허리 및 척추 보호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6986B1 (ko) 허리보호대
KR20140016791A (ko) 공기주입식 견인 벨트 구조물
US10368594B1 (en) Stabilized support device for a limb guard
US20190364990A1 (en) Stabilized support device for a limb guard
US20140245528A1 (en) Football Shoulder Pads
CN109318217A (zh) 可提高舒适性的穿戴式肩部助力外骨骼
KR101811252B1 (ko) 허리 보호대
KR102608393B1 (ko) 지혈대
KR200470311Y1 (ko) 무릎 보호대
JP3138802U (ja) 膝痛防止ベルト
KR20120005025U (ko) 허리보호대
US20040221353A1 (en) Sk pads
KR20120005141U (ko) 무릎보호대
JP3138002U (ja) 膝カバー
KR20130000452U (ko) 허리보호대
KR20170056297A (ko) 과신전방지를 위한 팔꿈치보호대
JP2010168677A (ja) 係留部材付き膝カバー弾性保護具。
KR102354144B1 (ko) 허리 보호대
CN215347159U (zh) 护腰背带
CN216416121U (zh) 改进的弯腰限位带
CN220695410U (zh) 一种具有多重支撑的拇指护具
KR200448125Y1 (ko) 신축벨트
TWM506592U (zh) 護具結構
JP7461026B2 (ja) 農作業用膝補助装着具
CN211068991U (zh) 一种高强度运动用压力护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