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4712B1 - 허리 보호대 - Google Patents

허리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4712B1
KR101094712B1 KR1020110070817A KR20110070817A KR101094712B1 KR 101094712 B1 KR101094712 B1 KR 101094712B1 KR 1020110070817 A KR1020110070817 A KR 1020110070817A KR 20110070817 A KR20110070817 A KR 20110070817A KR 101094712 B1 KR101094712 B1 KR 101094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waist
support
fixe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대
Original Assignee
(주)힐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힐닉스 filed Critical (주)힐닉스
Priority to KR1020110070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7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의 허리를 바른 자세로 교정하고 또한 디스크 수술 등의 치료 후 허리움직임의 교정을 위한 허리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일정폭의 밴드형으로 인체의 허리를 감싸서 허리를 보호하고 교정하는 것이며, 좌/우측밴드의 일단이 교차하여 교차된 부분이 허리면에 밀착되도록 연결밴드에 의해 조절가능하도록 하고, 교차되는 좌/우측밴드의 배면이 허리에 닿는 부분의 전체 면적에 걸쳐서 허리를 안정감 있게 받쳐 주도록 하는 허리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허리 보호대{WAIST PROTECTOR}
본 발명은 인체의 허리를 바른 자세로 교정하고 또한 디스크 수술 등의 치료 후 허리움직임의 교정을 위한 허리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일정폭의 밴드형으로 인체의 허리를 감싸서 허리를 보호하고 교정하는 것이며, 좌/우측밴드의 일단이 교차하여 교차된 부분이 허리면에 밀착되도록 연결밴드에 의해 조절가능하도록 하고, 교차되는 좌/우측밴드의 배면이 허리에 닿는 부분의 전체 면적에 걸쳐서 허리를 안정감 있게 받쳐 주도록 하는 허리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이나 가정집 등에서 인체 허리의 교정과 치료 또는 약화된 허리를 안정감있게 받쳐주어 보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허리 보호대는 합성섬유직물을 주재료로 사용한 일정폭의 밴드형으로서 인체 허리의 배면과 측면에는 평평한 모양의 빳빳한 플라스틱 판을 내장하거나 섬유직물을 여러겹 덧댄 구조로 되어 있으며 양단부에 버클이나 매듭 등으로 체결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허리 보호대는 통풍성이 떨어지는 합성섬유직물 등으로 되어 있어 착용시 땀의 흡수가 용이하지 않아 피부염증이나 알레르기를 유발하여 오래도록 착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일정기간 사용시 재질이 늘어나게 되어 정상적인 허리 압박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착용자가 움직일 경우 착용상태가 고정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리고, 단순히 평평한 플라스틱 판이 내장되거나 또는 여러겹의 섬유직물이 덧댄 구조로 되어 있어 단순히 허리를 움직이지 못하는 것 외에는 어떠한 효과도 기대할 수 없으며 전체적으로 압박을 가하므로 개개인의 체형에 맞춘 완벽한 착용감을 제공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허리를 보호하고 받쳐 주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인 요추부분의 독특하게 굴곡된 형태에 효과적인 지지작용을 제공하기 힘든 문제점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은 좌측밴드 일단의 정면에 우측밴드 일단의 배면이 면접하도록 하여 면접된 배면의 상/하부에 좌/우측밴드를 서로 연결하는 신축성을 가진 연결밴드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측밴드의 일단에 각각 지지밴드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밴드에 연결되는 당김밴드에 의해 허리면에 밀착되도록 조절하여 사용자가 허리면에 밀착정도에 따라 손쉽게 당김밴드를 통해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허리보호대를 쉽게 분리하여 관리 및 유지할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허리보호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일측에 제1부착부재가 형성되어 허리를 감싸서 서로 고정되는 좌/우측밴드로 이루어지는 허리 보호대에 있어서,
상기 우측밴드의 타측 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통공된 한쌍의 연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우측밴드 타측의 끝단에 소정의 간격으로 한쌍의 제1연결핀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핀 각각을 연결하도록 일/타단이 각각 고정되는 제1지지밴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밴드에 내속되어 중앙에 위치되도록 제2연결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핀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의 저면에 제2부착부재가 형성되는 제1당김밴드가 구비되고,
상기 좌측밴드 타측의 끝단에 소정의 간격으로 한쌍의 제3연결핀이 형성되어 상기 우측밴드의 연결공에 제3연결핀을 노출시키며, 상기 제3연결핀에 각각 연결하도록 일/타단이 각각 고정되는 제2지지밴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밴드의 내속되어 중앙에 위치되도록 제4연결핀이 형성되고, 상기 제4연결핀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의 저면에 제2부착부재가 형성되는 제2당김밴드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허리 보호대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좌/우측밴드 타측의 일면에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한쌍의 수직형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에 지지편이 삽입되어 형성되는 허리 보호대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좌측밴드의 타측 배면에 형성된 외측 수용부와 상기 우측밴드의 타측 배면에 형성된 외측 수용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하부에 각각 연결밴드가 형성되는 허리 보호대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허리면에 밀착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허리의 적당한 위치에 정확히 밀착하여 허리보호대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허리보호대를 이루는 좌/우측밴드를 먼저 허리에 고정하도록 밸크로 테입에 의해 연결하고, 허리면에 더욱 밀착하도록 당김밴드를 조절하여 상기 좌/우측밴드의 밸크로 테입에 고정시킴으로서, 사용자가 허리보호대를 허리면에 밀착하도록 당김밴드를 손쉽게 당겨 사용자가 자유롭게 밀착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허리 보호대를 제공한다.
또한, 좌/우측밴드의 배면에 서로 연결되는 연결밴드가 신축성을 가져 사용자의 움직임에 제약이 없도록 하며, 허리 보호대의 좌/우측밴드 일단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지지편으로 인해 허리를 지지하도록 하여 자세를 교정하거나 척추를 교정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 보호대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 보호대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 보호대의 분리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 보호대의 좌/우측밴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 보호대에서 좌측밴드의 정면사시도(a)와 배면사시도(b).
도 6은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허리 보호대에서 “A”부위의 확대도.
도 7은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허리 보호대에서 “B”부위의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 보호대에서 우측밴드의 정면사시도(a)와 배면사시도(b).
도 9는 도 8의 본 발명에 따른 허리 보호대에서 “C”부위의 확대도.
도 10은 도 8의 본 발명에 따른 허리 보호대에서 “D”부위의 확대도.
도 11은 도 8의 본 발명에 따른 허리 보호대에서 “E”부위의 확대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도 1에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 양면에 각각 제1부착부재(210)가 형성되는 좌측밴드(200a)와, 일측 일면에 제1부착부재(210)가 형성되어 허리를 감싸서 좌측밴드(200a) 일면에 형성된 제1부착부재(210)에 고정되는 우측밴드(200b)로 이루어지는 허리 보호대(100)에 있어서,
상기 우측밴드(200b)의 타측 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통공된 한쌍의 연결공(201)이 형성되며, 상기 우측밴드(200b) 타측의 끝단에 소정의 간격으로 한쌍의 제1연결핀(220b)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핀(220b) 각각을 연결하도록 일/타단이 각각 고정되는 제1지지밴드(240b)가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밴드(240b)에 내속되어 중앙에 위치되도록 제2연결핀(230b)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핀(230b)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의 저면에 제2부착부재(260)가 형성되는 제1당김밴드(250b)가 구비되고,
상기 좌측밴드(200a) 타측의 끝단에 소정의 간격으로 한쌍의 제3연결핀(220a)이 형성되어 상기 우측밴드(200b)의 연결공(201)에 제3연결핀(220a)을 노출시키며, 상기 제3연결핀(220a)에 각각 연결하도록 일/타단이 각각 고정되는 제2지지밴드(240a)가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밴드(240a)의 내속되어 중앙에 위치되도록 제4연결핀(230a)이 형성되고, 상기 제4연결핀(230a)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의 저면에 제2부착부재(260)가 형성되는 제2당김밴드(250a)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허리 보호대(100)를 제공한다.
도 1, 도 2, 도 5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좌측밴드(200a)의 일측 양면에 각각 제1부착부재(210)가 형성됨에 있어, 상기 제1부착부재(210)는 암/수밸크로 테잎이 사용되며, 상기 좌측밴드(200a)의 일측 양면 중 일면은 암밸크로 테잎이 사용되고, 타면은 수밸크로 테입이 시용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밴드(200a, 200b)의 허리를 감싸 복부측에 고정함에 있어, 상기 좌측밴드(200a)의 일측 타면에 형성된 수밸크로 테잎에 의해 상기 우측밴드(200b)의 일측 일면에 형성된 암밸크로 테잎에 부착되어 좌/우측밴드(200a, 200b)가 고정되어 허리 보호대(100)가 허리를 감싸 고정되게 된다.
즉, 상기 좌/우측밴드(200a, 200b)의 일측 일면에 각각 제1부착부재(210)인 암밸크로 테잎이 일측 일면에 넓게 형성되고, 좌측밴드(200a)의 일측 타면 즉, 저면에 제1부착부재(210)인 수밸크로 테잎이 형성되어 허리 보호대(100)가 허리를 감싸 고정시 좌측밴드(200a)의 일측이 우측밴드(200b)의 일측 일면을 덮어 면접하여 좌측밴드(200a)의 일측 저면에 형성된 제1부착부재(210)인 수밸크로 테잎이 우측밴드(200b)의 일측 일면에 형성된 제1부착부재(210)인 암밸크로 테잎이 부착되어 고정된다.
이에, 상기 좌/우측밴드(200a, 200b)의 일측 일면에 각각 형성된 제1부착부재(210)에 부착되는 제1, 2당김밴드(250a, 250b)의 끝단 저면에 제2부착부재(260)가 수밸크로 테잎형태를 가져 허리면에 밀착되도록 제1, 2당김밴드(250a, 250b)를 조절하여 좌/우측밴드(200a, 200b)의 일측 일면에 형성된 제1부착부재(210)인 암밸크로 테잎에 부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상기 제1, 2부착부재(210, 260)의 선택된 암/수밸크로 테잎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다양한 부착재료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우측밴드(200b) 타측 끝단에 형성된 한쌍의 제1연결핀(220b)에 제1지지밴드(240b)를 연결하여 고정하며, 상기 제1지지밴드(240b)에 제2연결핀(230b)을 내속하여 제1지지밴드(240b)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며, 이렇게 제1지지밴드(240b)의 중앙에 위치한 제2연결핀(230b)에 제1당김밴드(250b)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제1당김밴드(250b)의 타단 저면에 제2부착부재(26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당김밴드(250b)를 당김으로 제1지지부재(240b)가 이동되면서 동시에 우측밴드(200b)가 이동하게 되며, 이렇게 이동이 끝나면 제1당김밴드(250b)의 타단 저면에 형성된 제2부착부재(260)를 우측밴드(200b)의 일측 일면에 형성된 제1부착부재(210)에 부착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도 5에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좌측밴드(200a)의 타측 일부가 우측밴드(200b)의 배면에 면접하게 하여 상기 좌측밴드(200a)의 끝단에 형성된 제3연결핀(220a)을 상기 우측밴드(200b)의 타측 일면에 형성된 연결공(201)에 노출시키게 하고, 이렇게 상기 연결공(201)에 노출된 제3연결핀(220a)에 제2지지밴드(240a)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제2지지밴드(240a)에 제4연결핀(230a)을 내속하여 상기 제4연결핀(230a)에 제2당김밴드(250a)의 일단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제2당김밴드(250a)의 타단 저면에 제2부착부재(26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당김밴드(250b)의 당김과정과 동일하게 제2당김밴드(250a)의 당김도 같은 원리로 작용하게 되며, 이때 사용자는 제1, 2당김밴드(250b, 250a)를 동시에 당겨 허리에 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4연결핀(230b, 230a)에 제1, 2지지밴드(240b, 240a)를 내속함에 있어 먼저 제1, 2지지밴드(240b, 240a)에 각각 제2, 4연결핀(230b, 230a)을 내속시킨 후 상기 제1, 3연결핀(220b, 220a)에 연결하여 고정하도록 한다.
한편, 도 4, 도 , 도 8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밴드(200a, 200b) 타측의 일면에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한쌍의 수직형 수용부(270)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270)에 지지편(275)이 삽입되어 허리를 지지하도록 하며, 좌측밴드(200a)의 내측에 구비된 지지편(275)과 우측밴드(200b)의 내측에 구비된 지지편(275) 사이에 척추를 위치하여 척추를 교정하게 되며, 좌측밴드(200a)의 외측에 구비된 지지편(275)과 우측밴드(200b)의 외측에 구비된 지지편(275)은 척추의 외측면을 지지하여 척추교정을 하게 된다.
한편, 도 2에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좌측밴드(200a)의 타측 배면에 형성된 외측 수용부(270)와 상기 우측밴드(200b)의 타측 배면에 형성된 외측 수용부(270)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하부에 각각 연결밴드(280)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밴드(280)는 탄성과 신축성을 가져 사용자의 활동에 제약을 주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제1, 2당김밴드(250b, 250a)의 조절에 따른 좌/우측밴드(200a, 200b)의 신축과 복귀를 돕는 역할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허리 보호대는 다양하게 설계 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상시 실시예를 통하여 그 원리를 본 발명의 구성으로 한정하여 제작하되 그 원리를 통한 기구에 있어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설계변경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다.
허리 보호대 : 100, 좌측밴드 : 200a, 우측밴드 : 200b, 제1부착부재 : 210, 제1연결핀 : 220b, 제3연결핀 : 220a, 제2연결핀 : 230b, 제3연결핀 : 230a, 제1지지밴드 : 240b, 제2지지밴드 : 240a, 제1당김밴드 : 250b, 제2당김밴드 : 250a, 제2부착부재 : 260 , 수용부 : 270, 지지편 : 275, 연결밴드 : 280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일측 양면에 각각 제1부착부재(210)가 형성되는 좌측밴드(200a)와, 일측 일면에 제1부착부재(210)가 형성되어 허리를 감싸서 좌측밴드(200a) 일면에 형성된 제1부착부재(210)에 고정되는 우측밴드(200b)로 이루어지며, 상기 우측밴드(200b)의 타측 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통공된 한쌍의 연결공(201)이 형성되며, 상기 우측밴드(200b) 타측의 끝단에 소정의 간격으로 한쌍의 제1연결핀(220b)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핀(220b) 각각을 연결하도록 일/타단이 각각 고정되는 제1지지밴드(240b)가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밴드(240b)에 내속되어 중앙에 위치되도록 제2연결핀(230b)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핀(230b)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의 저면에 제2부착부재(260)가 형성되는 제1당김밴드(250b)가 구비되고, 상기 좌측밴드(200a) 타측의 끝단에 소정의 간격으로 한쌍의 제3연결핀(220a)이 형성되어 상기 우측밴드(200b)의 연결공(201)에 제3연결핀(220a)을 노출시키며, 상기 제3연결핀(220a)에 각각 연결하도록 일/타단이 각각 고정되는 제2지지밴드(240a)가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밴드(240a)의 내속되어 중앙에 위치되도록 제4연결핀(230a)이 형성되고, 상기 제4연결핀(230a)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의 저면에 제2부착부재(260)가 형성되는 제2당김밴드(250a)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측밴드(200a, 200b) 타측의 일면에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한쌍의 수직형 수용부(270)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270)에 지지편(275)이 삽입되는 것으로 구성되는 허리 보호대(100)에 있어서,
    상기 좌측밴드(200a)의 타측 배면에 형성된 외측 수용부(270)와 상기 우측밴드(200b)의 타측 배면에 형성된 외측 수용부(270)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하부에 각각 연결밴드(28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보호대.
KR1020110070817A 2011-07-18 2011-07-18 허리 보호대 KR101094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817A KR101094712B1 (ko) 2011-07-18 2011-07-18 허리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817A KR101094712B1 (ko) 2011-07-18 2011-07-18 허리 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4712B1 true KR101094712B1 (ko) 2011-12-16

Family

ID=45506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817A KR101094712B1 (ko) 2011-07-18 2011-07-18 허리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47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353B1 (ko) 2013-02-13 2014-10-06 송기명 허리보호대
KR200481446Y1 (ko) * 2015-05-22 2016-10-04 (주)이원건강의료기 허리보호용 복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7665A (en) 1974-06-21 1975-12-23 Jerome R Wax Lumbo-sacral support
US4245628A (en) 1978-08-29 1981-01-20 Joachim Eichler Back support device
JP2009017932A (ja) 2007-07-10 2009-01-29 Daiya Industry Co 腰部サポーター
KR101056986B1 (ko) * 2010-09-30 2011-08-16 (주)태양메디텍 허리보호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7665A (en) 1974-06-21 1975-12-23 Jerome R Wax Lumbo-sacral support
US4245628A (en) 1978-08-29 1981-01-20 Joachim Eichler Back support device
JP2009017932A (ja) 2007-07-10 2009-01-29 Daiya Industry Co 腰部サポーター
KR101056986B1 (ko) * 2010-09-30 2011-08-16 (주)태양메디텍 허리보호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353B1 (ko) 2013-02-13 2014-10-06 송기명 허리보호대
KR200481446Y1 (ko) * 2015-05-22 2016-10-04 (주)이원건강의료기 허리보호용 복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1562B2 (en) Elastic headgear
US8147438B2 (en) Adjustable wrist brace
KR100221391B1 (ko) 흡수 가멘트용 고정식 벨트
CN103237533B (zh) 一次性尿布及其制造方法
TW200403981A (en) Disposable diaper capable of being put on either from the front or the back of a wearer
US20100122398A1 (en) Sleep Mask
RU2736095C9 (ru) Узел ремешка и пряжки
JP4515802B2 (ja) ウエスト締結手段を有する着用物品
CN107613912B (zh) 颌固定带
US9227039B1 (en) Holder for medical IV or catheter device
JP5291216B1 (ja) 使い捨ておむつ
BR112017026837B1 (pt) Artigo do vestuário descartável
JP5266407B1 (ja) 使い捨ておむつ
US20110083253A1 (en) Pant leg retaining device
JP2016104078A (ja) 展開型着用物品
JP2013212213A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1094712B1 (ko) 허리 보호대
JP5506188B2 (ja) 着用物品群
KR200434837Y1 (ko) 허리 보호대
JPH02502699A (ja) 衛生衣
JPS62243807A (ja) 使い捨て吸収性パンツ
JP2014204777A (ja) 姿勢矯正サポーター
JP5996256B2 (ja) 使い捨ておむつ
CN209899781U (zh) 一种心胸外科固定胸带
KR101361158B1 (ko) 손가락의 욕창방지기능이 구비되는 치매환자용 보호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