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446Y1 - 허리보호용 복대 - Google Patents

허리보호용 복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446Y1
KR200481446Y1 KR2020150003303U KR20150003303U KR200481446Y1 KR 200481446 Y1 KR200481446 Y1 KR 200481446Y1 KR 2020150003303 U KR2020150003303 U KR 2020150003303U KR 20150003303 U KR20150003303 U KR 20150003303U KR 200481446 Y1 KR200481446 Y1 KR 2004814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fastening
band
piec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3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희
Original Assignee
(주)이원건강의료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원건강의료기 filed Critical (주)이원건강의료기
Priority to KR20201500033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4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4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4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박부위에 대한 압박압력이 압박부위를 모아주는 형태로 발생하도록 되어 압박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허리보호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의 압박부위에 밀착되는 압박부와 상기 압박부의 양측에 연결되며 종단부위가 서로 결합되어 사용자의 압박부위에 상기 압박부가 고정되도록 된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허리보호용 복대에 있어서; 서로 접속하여 상기 압박부를 구성하는 압박편과, 서로 체결되어 상기 고정부를 구성하며 상기 압박편의 일측부위에서 연장형성되며 종단에 체결요소가 구비된 고정편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압박분할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압박분할체의 압박편에는 타 압박편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당김밴드부재가 고정되며, 상기 고정편에는 타 압박편의 상기 당김밴드부재의 일단이 결속됨과 아울러 상기 타 압박분할체의 고정편측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고정하도록 된 결속밴드부재가 구비된 허리보호용 복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허리보호용 복대{A waist corset}
본 고안은,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어 착용부위를 압박함으로써 요통 또는 허리디스크의 예방을 도모하도록 된 허리보호용 복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박부위에 대한 압박압력이 압박부위를 모아주는 형태로 발생하도록 되어 압박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허리보호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허리보호용 복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허리보호용 복대는 배와 허리 둘레를 졸라매어, 인체의 관절부위 중에서 허리 및 척추보호 또는 요통이나 척추디스크의 예방을 목적으로 착용하는 물품의 하나이다.
이러한, 복대는,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0132867호에서 공고되어있는 바와 같이 코르셋(복대) 몸체의 후방에 수개의 힘살간이 포지편으로 봉착 고정되며 그 양측면에는 코르셋 몸체를 조일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구멍에 조임끈이 지그재그로 꿰어지고 상기 코르셋 몸체의 전면측에 복부의 압박감을 줄일 수 있도록 탄력밴드가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조임끈의 상, 하부에는 다수의 조임끈을 일시에 당기거나 느슨하게 풀어주는 체결구가 연결되며, 이 체결구에 코르셋 몸체의 전면부에서 연장된 견인끈이 봉착 고정되는 형태의 복대가 일반적이다.
한편,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00508호(명칭: 허리보호용 복대)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단단하고 휘어지지 않으며, 척추의 곡선에 대응하는 곡선으로 형성된 금속재가 삽입되어, 허리를 지지해주는 지지부와; 휘어지는 플라스틱재를 삽입하여,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허리에 어느 정도의 유동성을 갖게 하는 보조지지부와; 12개의 조임홀이 형성된 체결부와 6개의 조임홀이 형성된 체결부가 마주보며 삽입되어, 조임홀에 조임끈이 지그재그로 체결되고, 조임홀을 통해 돌출된 조임끈이 조임부의 조임구멍과 연결됨으로서, 조임부를 당기는 한번의 동작으로 허리보호용 복대전체가 한번에 조여질 수 있게 하는 체결부삽입부와; 허리보호용 복대의 신축성과 탄력성을 갖게 하는 탄력밴드와; 고정부벨크로가 형성되어, 허리보호용 복대가 허리를 감싸고 난 후, 허리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고정부가 허리보호용 복대의 중앙을 기준으로 각각 대칭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복대가 기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임부를 당겨 조임부벨크로로 고정시키는 한번의 동작으로 허리보호용 복대 전체가 한번에 조여지게 되어지며, 조임홀이 형성된 체결부가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되어 조임홀에 녹이 스는 등의 부식이 방지되며, 허리보호용 복대 자체에 조임끈이 삽입되는 구멍을 따로 천공할 필요가 없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709512호(명칭: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고주파 접착부분을 성형시 본체에 수평 방향으로 다수 배열 형성 되는 꺽임부와; 상기 본체 양단부에 각각 위치하고 중간이 안쪽으로 절취되어 꼭지점이 형성되며 이 꼭지점이 각각 바깥쪽으로 당겨질 때 꺽임부가 꺽이면서 접혀 본체를 상하 수축되게 하는 "<" 형상의 절곡단과; 내측단이 일직선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단이 절곡단에 봉착될 시 상기 절곡단의 "<" 형상을 따라 각각 봉재되는 좌,우측 허리띠로 이루어진 복대가 기재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복대를 사용자의 허리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허리띠 양쪽 끝을 당기면 복대는 상하 수축(접힘 상태)되고, 수축된 상태에서 복대 내부에 에어를 주입하면 수축된 복대가 펼쳐지면서 사용자의 허리를 상하 견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허리보호용 복대들은, 허리 압박부위에 발생하는 압박압력이 양측방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허리부위의 근육이 풀어지는 형태의 압박이 인가되어 허리보호기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압박부위가 양측 방향으로 당겨지는 당김 압이 발생하여 압박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허리의 요부에 대한 압박압력이 인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압박부위에 대한 완전밀착을 구현함과 동시에 압박부위에 대한 압박압력이 압박부위를 방향으로 인가되도록 하여 압박부위를 모아주는 형태로 압박하도록 함으로써, 압박효율을 향상시키며 허리보호기능을 더욱 증진할 수 있도록 된 허리보호용 복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허리보호용 복대는, 사용자의 압박부위에 밀착되는 압박부와 상기 압박부의 양측에 연결되며 종단부위가 서로 결합되어 사용자의 압박부위에 상기 압박부가 고정되도록 된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허리보호용 복대에 있어서; 서로 접속하여 상기 압박부를 구성하는 압박편과, 서로 체결되어 상기 고정부를 구성하며 상기 압박편의 일측부위에서 연장형성되며 종단에 체결요소가 구비된 고정편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압박분할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압박분할체의 압박편에는 타 압박편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당김밴드부재가 고정되며, 상기 고정편에는 타 압박편의 상기 당김밴드부재의 일단이 결속됨과 아울러 상기 타 압박분할체의 고정편측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고정하도록 된 결속밴드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 압박분할체에는 타 압박분할체를 구성하는 상기 당김밴드부재가 관통되게 삽입결속되어 상기 당김밴드부재의 종단이 외측방향으로 노출되도록 된 결속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편과 상기 결속밴드부재에 구비되는 체결요소는 벨크로(velcro)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당김밴드부재는, 양단이 상기 압박편에서 수직상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되면서 연결되는 연결밴드와, 상기 연결밴드의 일 부위가 결속하는 결속고리에 일단이 결속하며 타단은 상기 결속밴드부재와 결속하는 체결고리가 구비된 고정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단이 상기 압박분할체들의 압박편들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연결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허리보호용 복대는, 상기 한 쌍의 압박분할체의 압박편들이 서로 적층되게 맞대어지면서 압박부위를 압박함과 동시에, 상기 당김밴드부재들이 타 압박분할체 측방향으로 당김되면서 고정됨에 따라, 상기 압박편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압박압력을 인가받아 압박부위를 압박하도록 되어, 압박부위에 대한 완전밀착이 구현됨과 아울러, 압박부위를 모아주는 형태로 압박하도록 함으로써, 압박효율을 향상되어 허리보호기능이 더욱 증진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허리보호용 복대를 보인 개략 분리 정면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허리보호용 복대를 보인 개략 분리 배면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허리보호용 복대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개략 정면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허리보호용 복대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개략 배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허리보호용 복대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개략 배면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허리보호용 복대에 적용되는 압박분할체를 보인 개략 정면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허리보호용 복대를 보인 개략 분리 정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허리보호용 복대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허리보호용 복대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허리보호용 복대(1)는, 사용자의 압박부위에 밀착되는 압박부와 상기 압박부의 양측에 연결되며 종단부위가 서로 결합되어 사용자의 압박부위에 상기 압박부가 고정되도록 된 고정부를 가진다.
즉, 상기 압박부가 사용자의 압박부위(일 예로, 허리부위)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를 서로 결속하여 고정하면, 상기 고정부들의 당김압력에 의해 상기 압박부가 압박부위에 압박압력을 인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압박부위에 대한 통증의 완화 및 디스크의 발생을 예방하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허리보호용 복대(1)는, 서로 접속하여 상기 압박부를 구성하는 압박편(11)(21)과, 서로 체결되어 상기 고정부를 구성하며 상기 압박편(11)(21)의 일측부위에서 연장형성되며 종단에 체결요소(12)(22)가 구비된 고정편(13)(23)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압박분할체(10)(20)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압박편(11)(21)들이 서로 적층되게 맞대어지면서 압박부위에 밀착되며, 상기 고정편(13)(23)들의 체결요소(12)(22)를 통해 양단이 결합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허리보호용 복대(1)에서, 상기 압박분할체(10)(20)의 압박편(11)(21)에는 타 압박편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당김밴드부재가 고정되며, 상기 고정편(13)(23)에는 타 압박편의 상기 당김밴드부재의 일단이 결속됨과 아울러 상기 타 압박분할체(10)(20)의 고정편(13)(23)측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고정하도록 된 결속밴드부재(14)(24)가 구비된다.
즉, 상기 압박편(11)(21)들이 서로 적층되게 맞대어지면서 압박부위에 밀착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당김밴드부재들이 타 압박분할체(10(20) 측방향으로 당김되면서 고정됨에 따라, 상기 압박편(11)(21)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압박압력을 인가받아 압박부위를 압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압박편(11)(21)들에 인가되는 압박압력이 압박부위를 모아주는 형태로 압박하도록 함으로써, 압박효율이 향상되어 허리보호기능이 더욱 증진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허리보호용 복대(1)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박분할체(10)(20)의 압박편(11)(21)에는, 타 압박편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상으로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당김밴드부재가 고정되며, 상기 고정편(13)(23)에는 타 압박편(11)(21)의 상기 당김밴드부재들의 일단이 각각 결속됨과 아울러 상기 타 압박분할체(10)(20)의 고정편(13)(23)측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고정하도록 된 한 쌍의 결속밴드부재(14)(24)가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당김밴드부재는, 양단이 상기 압박편(11)(21)에서 수직상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되면서 연결되는 연결밴드(15)(25)와, 상기 연결밴드(15)(25)의 일 부위가 결속하는 결속고리(151)(241)에 일단이 결속하며 타단은 상기 결속밴드부재(14)(24)와 결속하는 체결고리(161)(261)가 구비된 고정밴드(16)(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결속밴드부재(14)(24)가 상기 고정밴드(16)(26)를 당기어 상기 압박편(11)(21)에 당김압력을 인가할 때, 상기 연결밴드(15)(25)가 고정된 압박편(11)(21)의 상부 및 하부가 동시에 타 압박편(11)(21) 측방향으로 당겨지는 압력이 발생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압박편(11)(21)이 압박부위에서 완전밀착되어, 압박이 더욱 안정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허리보호용 밴드(1)에서, 상기 일 압박분할체(10)에는 타 압박분할체(20)를 구성하는 상기 당김밴드부재가 관통되게 삽입결속되어 상기 당김밴드부재의 종단이 외측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된 결속공(17)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일 압박편(11)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맞대응되는 타 압박편(21)의 상기 당김밴드부재의 종단이 외측으로 노출됨에 따라, 고정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고정편(13)(23)과 상기 결속밴드부재(14)(24)에는 구비되는 체결요소(12)(22)는 벨크로(velcro)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허리보호용 복대(1)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상기 압박분할체(10)(20)들의 압박편(11)(21)들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연결편(3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압박부위에 밀착되는 부위가 상기 연결편(30)과 밀착되도록 됨에 따라, 압박부위의 피부와의 접촉성이 향상된다.
상기에서, 연결편(30)은 탄성체로 이루어져 인장 및 신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허리보호용 복대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허리를 압박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연결편(30)이 사용자의 피부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압박부위에 밀착시키고, 상기 고정편(13)(23)들의 종단을 서로 체결하여 압박분할체(10)(20)들을 1차 고정한다.
이와 같이 1차 고정된 압박분할체(10)(20)들의 상기 당김밴드부재의 고정밴드(16)(26)의 종단을 상기 결속밴드부재(14)(24)에 통해 결속한 후, 상기 고정밴드(16)(26)를 상기 고정편(13)(23)측 방향으로 당기면서 상기 결속밴드부재(14)(24)의 종단을 상기 고정편(13)(23)의 체결요소(12)(22)에 체결하면, 상기 고정밴드(16)(26)의 당김에 의해 상기 고정밴드(16)(26)가 고정된 압박편(11)(21)들에 각각 당김압력이 부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압박편(11)(21)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압박압력을 인가받아 압박부위를 압박하게 되어 사용자의 압박부위(허리부위)를 보호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복대 10,20 : 압박분할체
11,21 : 압박편 12,22 : 체결요소
13,23 : 고정편 14,24 : 결속밴드부재
15,25 : 연결밴드 151,251 : 결속고리
16,26 : 고정밴드 161,261 : 체결고리
17 : 결속공 30 : 연결편

Claims (6)

  1. 사용자의 압박부위에 밀착되는 압박부와 상기 압박부의 양측에 연결되며 종단부위가 서로 결합되어 사용자의 압박부위에 상기 압박부가 고정되도록 된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허리보호용 복대에 있어서;
    서로 접속하여 상기 압박부를 구성하는 압박편과, 서로 체결되어 상기 고정부를 구성하며 상기 압박편의 일측부위에서 연장형성되며 종단에 체결요소가 구비된 고정편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압박분할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압박분할체의 압박편에는,
    타 압박편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당김밴드부재가 고정되며, 상기 고정편에는 타 압박편의 상기 당김밴드부재의 일단이 결속됨과 아울러 상기 타 압박분할체의 고정편측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고정하도록 된 결속밴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일 압박분할체에는,
    타 압박분할체를 구성하는 상기 당김밴드부재가 관통되게 삽입결속되어 상기 당김밴드부재의 종단이 외측방향으로 노출되도록 된 결속공이 형성되어, 일 압박편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맞대응되는 타 압박편의 상기 당김밴드부재의 종단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하고,
    양단이 상기 압박분할체들의 압박편들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연결편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압박부위에 밀착되는 부위가 상기 연결편과 밀착되도록 됨에 따라, 압박부위의 피부와의 접촉성이 향상시키도록 되며,
    상기 연결편이 사용자의 피부 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압박부위에 밀착시키고, 상기 고정편들의 종단을 서로 체결하여 상기 압박분할체들을 1차 고정하고, 1차 고정된 상기 압박분할체들의 상기 당김밴드부재의 고정밴드의 종단을 상기 결속밴드부재에 통해 결속한 후, 상기 고정밴드를 상기 고정편측 방향으로 당기면서 상기 결속밴드부재의 종단을 상기 고정편의 체결요소에 체결하면, 상기 고정밴드의 당김에 의해 상기 고정밴드가 고정된 압박편들에 각각 당김압력이 부여되어, 상기 압박편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압박압력을 인가받아 압박부위를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보호용 복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과 상기 결속밴드부재에 구비되는 체결요소는,
    벨크로(velcro)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보호용 복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밴드부재는,
    양단이 상기 압박편에서 수직상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되면서 연결되는 연결밴드와, 상기 연결밴드의 일 부위가 결속하는 결속고리에 일단이 결속하며 타단은 상기 결속밴드부재와 결속하는 체결고리가 구비된 고정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보호용 복대.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분할체의 압박편에는,
    타 압박편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상으로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당김밴드부재가 고정되며, 상기 고정편에는 타 압박편의 상기 당김밴드부재들의 일단이 각각 결속됨과 아울러 상기 타 압박분할체의 고정편측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고정하도록 된 한 쌍의 결속밴드부재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보호용 복대.
KR2020150003303U 2015-05-22 2015-05-22 허리보호용 복대 KR2004814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303U KR200481446Y1 (ko) 2015-05-22 2015-05-22 허리보호용 복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303U KR200481446Y1 (ko) 2015-05-22 2015-05-22 허리보호용 복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446Y1 true KR200481446Y1 (ko) 2016-10-04

Family

ID=57139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303U KR200481446Y1 (ko) 2015-05-22 2015-05-22 허리보호용 복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44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712B1 (ko) * 2011-07-18 2011-12-16 (주)힐닉스 허리 보호대
KR20120005025U (ko) * 2010-12-31 2012-07-10 유영호 허리보호대
KR20140102104A (ko) * 2013-02-13 2014-08-21 송기명 허리보호대
KR20150035662A (ko) * 2013-09-28 2015-04-07 주식회사 한메드 복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025U (ko) * 2010-12-31 2012-07-10 유영호 허리보호대
KR101094712B1 (ko) * 2011-07-18 2011-12-16 (주)힐닉스 허리 보호대
KR20140102104A (ko) * 2013-02-13 2014-08-21 송기명 허리보호대
KR20150035662A (ko) * 2013-09-28 2015-04-07 주식회사 한메드 복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38117B (zh) 适于进行体育运动的胸罩
KR101723920B1 (ko) 어깨 및 상체 자세 교정이 가능한 압박 의류
JP5105979B2 (ja) 腰部サポーター
KR20170131735A (ko) 허리보호용 복대
JP6124234B1 (ja) 体幹サポーターおよびそれを備えたインナーウエア
JP2019180456A (ja) 腰部又は骨盤用ベルト
KR200481446Y1 (ko) 허리보호용 복대
US10213332B1 (en) Suprapubic region compression assembly and method
KR20210030140A (ko) 허리 보호 벨트
JP6296811B2 (ja) 腰用サポータ
KR20120005025U (ko) 허리보호대
JP6116289B2 (ja) 妊婦帯
WO2018173098A1 (ja) 骨盤用ベルト
JP2004160075A (ja) 膝サポータ
JP5088176B2 (ja) 脊椎用コルセット
US5913411A (en) Device for compressing and concealing a boot within a trouser leg
KR101386713B1 (ko) 허리보호대
JP5967693B2 (ja) 膝サポータ
KR200163988Y1 (ko) 허리보호및교정용복대
KR200283787Y1 (ko) 허리보호대
JP6899261B2 (ja) 腰ベルト及びこれを含む下衣
KR20130007100U (ko) 허리보호대 및 골반조임대
JPH09299391A (ja) 鎖骨骨折固定帯
CN210541689U (zh) 一种新型压脉带
KR100709512B1 (ko)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