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681B1 - 줄 길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줄 길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681B1
KR101147681B1 KR1020110030946A KR20110030946A KR101147681B1 KR 101147681 B1 KR101147681 B1 KR 101147681B1 KR 1020110030946 A KR1020110030946 A KR 1020110030946A KR 20110030946 A KR20110030946 A KR 20110030946A KR 101147681 B1 KR101147681 B1 KR 101147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ooth
drum
coupling
toot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윤서
Original Assignee
소윤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윤서 filed Critical 소윤서
Priority to KR1020110030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이나 의복 등에 구비된 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줄 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제품보다 작동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고장률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더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줄 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고정하우징; 상기 고정하우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하우징; 상기 고정하우징 및 회전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권취드럼; 상기 고정하우징 및 회전하우징을 결합시키는 결합유닛; 및 상기 회전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자유곡선형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하우징 및 회전하우징 중 어느 한 하우징의 일측에는 제1 톱니치형 및 제2 톱니치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톱니치형 및 제2 톱니치형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다른 한 하우징에는 상기 제2 톱니치형 또는 제1 톱니치형과 선택적으로 맞물려 상호 작용하는 래치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하우징의 하부 영역 및 권취드럼의 상부 영역에는 상호 맞물리면서 작용하는 하우징 결합톱니 및 드럼 결합톱니가 각각 원을 이루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줄 길이 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LENGTH OF LACE}
본 발명은 신발이나 의복 등에 구비된 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줄 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제품보다 작동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고장률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더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줄 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화 등의 신발이나, 가방 또는 운동복, 모자 등과 같은 의류 등에는 필요에 따라 또는 착용한 후에 착용자의 신체에 맞게 허리둘레나 머리둘레 등을 조절하는 조절끈(이하, ‘줄’이라 함)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줄은 통상적으로 줄의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그 끝단에 줄을 따라 움직이는 고정 클립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클립은 중앙부로 줄이 관통되어 통과되면서 줄에 밀착되어 줄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누름 작동에 의해 밀착이 해제되면서 다시 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복이나 모자 등의 둘레 및 형상을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클립은 줄의 길이를 조절할 경우에 사용자가 일일이 별도로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줄의 전체적인 길이는 그대로 유지됨에 따라 여분의 줄이 거치적거리거나 뒤엉키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줄과 클립을 분리하기가 힘들어 의복 등을 세탁할 경우에는 클립이 세탁기의 내부에 부딪혀 파손되거나 의복 또는 세탁기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줄 길이 조절용 클립의 문제점을 해결한 줄 길이 조절장치에 대해 대한민국 특허 제929587호를 등록 받은 바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929587호는 권취드럼의 샤프트(회전축) 하부에 탄성 스프링, 캡 및 볼트로 이루어진 결합유닛을 고정하고, 상기 캡이 스프링 동작에 의해 스프링의 상부 영역에 배치될 때에는 회전하우징이 정역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캡이 스프링 하부 영역에 배치될 때에는 회전하우징이 회전하우징이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한 구조의 줄 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발명의 경우, 장치의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권취드럼의 샤프트를 금속으로 제작하여야 함에 따라 줄 길이 조절장치의 제조단가가 상승하고, 스프링의 변형이나 이탈 등으로 인한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줄이 권취 또는 권취 해제되는 권취부가 회전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항상 함께 동작되므로 사용자가 권취 해제 상태에서 줄을 당겨 신발 등의 줄을 느슨하게 풀지 않고 임의로 손잡이(회전하우징 또는 하우징캡)를 권취 해제방향으로 과도하게 또는 강제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장치 내부에서 줄의 엉킴 등이 발생하여 조작불능 상태가 되거나 줄 길이 조절장치 자체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금속재 샤프트 등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제품단가를 낮추고 조립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권취 상태에서는 회전하우징과 권취드럼이 일체로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권취 해제 상태에서는 회전하우징만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작동의 안정성은 향상시키고 고장률은 낮춘 새로운 줄 길이 조절장치를 개발하고 이를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줄 길이 조절장치보다 제품단가 및 고장률은 낮추고, 제품의 조립성 및 작동의 안정성은 대폭 향상시킴으로써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줄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앙에 회전축이 형성된 고정하우징; 상기 고정하우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하우징; 상기 고정하우징 및 회전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줄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권취부가 구비된 권취드럼; 상기 고정하우징 및 회전하우징을 결합시키는 결합유닛; 및 상기 회전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자유곡선형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하우징 및 회전하우징 중 어느 한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하우징 및 회전하우징이 상호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제1 톱니치형 및 제2 톱니치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하우징 및 회전하우징 중 상기 제1 톱니치형 및 제2 톱니치형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다른 한 하우징에는, 상기 권취드럼에 상기 줄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톱니치형 또는 제1 톱니치형과 선택적으로 맞물려 상호 작용하는 래치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하우징의 하부 영역에는 하우징 결합톱니가 원을 이루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권취드럼의 상부 영역에는 상기 하우징 결합톱니와 맞물리면서 상호작용하는 드럼 결합톱니가 원을 이루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 결합톱니 및 드럼 결합톱니는 직각 또는 둔각 삼각형태로 구비되며, 상호 맞물릴 경우 빗변은 빗변끼리, 높이를 이루는 변은 높이를 이루는 변끼리 접하게 되고, 각 결합톱니는 외부로부터 힘을 받았을 때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한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래치가 상기 제2 톱니치형에 맞물릴 때에는 상기 하우징 결합톱니와 드럼 결합톱니가 상호 맞물리며, 상기 래치가 상기 제1 톱니치형에 맞물릴 때에는 상기 하우징 결합톱니와 드럼 결합톱니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드럼 결합톱니는, 상기 하우징 결합톱니가 정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드럼 결합톱니와, 상기 제1 드럼 결합톱니의 하부 영역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하우징과 권취드럼이 일체로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결합톱니와 상호 맞물리는 형상을 가지는 제2 드럼 결합톱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래치가 상기 제2 톱니치형에 맞물릴 때에는 상기 하우징 결합톱니와 제2 드럼 결합톱니가 상호 맞물리며, 상기 래치가 상기 제1 톱니치형에 맞물릴 때에는 상기 하우징 결합톱니와 제1 드럼 결합톱니가 상호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톱니치형은, 상기 고정하우징의 상부 영역 또는 상기 회전하우징의 하부 영역에 원주 내부 또는 외부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래치가 정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톱니치형은, 상기 제1 톱니치형의 하부 영역 또는 상부 영역에 원주 내부 또는 외부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래치가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래치는 자유단이 반경 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유동 가능한 후크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권취드럼에는 상기 줄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2개의 줄 위치 유지용 원판부가 상호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회전하우징 쪽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고정하우징의 회전축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권취드럼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상기 고정하우징의 회전축을 상호 결합시켜 고정하는 스크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샤프트의 머리부가 상기 자유곡선형 스프링을 기준으로 상기 자유곡선형 스프링의 하부 또는 상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머리부의 측벽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자유곡선형 스프링이 상기 돌출부보다 하부에 배치될 때는 상기 줄이 상기 권취드럼에 권취되는 위치이고, 상기 자유곡선형 스프링이 상기 돌출부보다 상부에 배치될 때는 상기 줄이 상기 권취드럼으로부터 권취해제될 수 있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줄 길 조절장치는, 종래의 제품과 달리 금속재 샤프트 등을 사용하지 않아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고, 사용자가 권취 해제 상태에서 줄을 당겨 신발 등의 줄을 느슨하게 풀지 않고 임의로 손잡이(회전하우징 또는 하우징캡)을 권취 해제방향으로 과도하게 또는 강제로 회전시키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장치 내부에서의 줄 엉킴이나 줄 길이 조절장치 자체의 파손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작동의 안정성 및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하우징의 저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권취드럼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 대비 설명에 앞서, 이하의 ‘줄’ 이란 신발, 가방, 점퍼, 운동복, 모자 등에 마련된 다양한 재질의 ‘줄(lace)’ 일 수 있고, 혹은 헤드폰 줄(wire), 이어폰 줄, MP3 줄, 목걸이 줄, 컴퓨터 전선 줄 등일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이들을 구분하지 않고 ‘줄’ 이라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회전하우징의 저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줄 길이 조절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각각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권취드럼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는 고정하우징(110) 및 회전하우징(120), 고정하우징(110) 및 회전하우징(1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권취드럼(130), 상기 고정하우징(110) 및 회전하우징(120)을 결합시키는 결합유닛(140) 및 상기 회전하우징(1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자유곡선형 스프링(150)으로 구성된다.
고정하우징(110)은 회전하우징(120)과 함께 내부의 공간에 권취드럼(130)을 수용함과 동시에 본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를 신발이나 가방 등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하우징(110)은 권취드럼(130)이 수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중앙 영역에 회전축(111)이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줄 길이 조절장치를 신발이나 가방 등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플랜지(112)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권취드럼(130)에 권취되거나 권취드럼(130)으로부터 권취해제되는 줄이 통과할 수 있는 줄통과공(115)이 형성된다. 줄통과공(115)은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한 쌍(2개)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치는 도 1과 다른 위치가 되어도 무방하다.
회전하우징(120)은 줄 길이 조절장치의 작동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는 부분으로, 고정하우징(110)에 대해 회전하우징(120)을 일방향 또는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줄이 권취되거나 권취해제된다.
상기 회전하우징(120)에는, 사용자가 잡고 회전시킬 때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부(161)가 외주면에 구비되는 하우징캡(160)을 추가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우징캡(160)은 후술할 자유곡선형 스프링(150)이 회전하우징(120)의 상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회전하우징(120)은 일정한 높이(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상을 가지며, 중앙 영역은 후술할 샤프트(142)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공(121)이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회전하우징(120)의 상부 영역에는 자유곡선형 스프링(150)이 결합되는데, 자유곡선형 스프링(140)은 ‘와이어 포밍’이라고도 불리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의 형상에서 양단부가 상호 대칭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자유곡선형 스프링(150)은 회전하우징(120)의 상부에 한 쌍의 스프링 걸림부를 형성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회전하우징(120)의 하부 내부 영역에는 후술할 제1 톱니치형(113) 및 제2 톱니치형(114)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면서 상호작용하는 래치(124)가 형성된다. 래치(124)는 그 자유단이 반경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한 후크 형상을 갖는다(도 2 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래치(124)가 회전하우징(1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4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그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개수를 줄이거나 추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회전하우징(120) 하부 영역의 래치(124)와 결합공(121) 사이 영역에는 복수개의 하우징 결합톱니(127)가 결합공(121) 주위를 따라 원을 이루는 형태로 구비된다. 각각의 하우징 결합톱니(127)는 대략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구비되는데, 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는 둔각삼각형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후술할 권취드럼(130)의 상부 영역(회전하우징과의 결합부위)에는 상기 회전하우징(120)의 하우징 결합톱니(127)와 대응하여 상호 맞물려 동작하는 복수개의 드럼 결합톱니(137)가 원을 이루는 형태로 구비된다. 삼각형 모양으로 구비되는 각각의 하우징 및 드럼 결합톱니(127,137)는 상호 맞물릴 경우, 빗변은 빗변끼리, 높이를 이루는 변은 높이를 이루는 변끼리 접하게 된다. 한편, 각 결합톱니(127,137)는 외부로부터 힘을 받았을 때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한(휠 수 있는) 가요성(flexibility)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결합톱니(127,137) 중 적어도 1개 이상은 가요성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각 결합톱니(127,137)가 모두 가요성을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각 결합톱니(127,137)의 전체 또는 끝단부만 가요성을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며, 끝단부에 가요성을 갖는 돌출부를 추가로 구비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후술할 줄 길이 조절장치의 권취 가능한 상태, 즉 래치(124)가 제2 톱니치형(114)에 맞물리게 되어 회전하우징(120)이 일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하우징(120) 및 권취드럼(130)의 결합톱니(127,137)가 상호 견고히 밀착하여 회전하우징(120)을 회전시킬 때 권취드럼(130)이 일체로서 회전하게 된다(결합톱니의 상호 완전 결합상태, 도 3 참조).
회전하우징(120)이 상방향으로 당겨져 줄 길이 조절장치의 권취해제가 가능한 상태, 즉 래치(124)가 제1 톱니치형(113)에 맞물리게 되어 회전하우징(120)의 정역 방향 회전이 가능한 상태에서는, 각각의 결합톱니(127,137)가 상호 이격됨에 따라 삼각형의 높이를 이루는 변의 끝단만이 상호 약한 간섭상태를 이루게 된다(결합톱니의 상호 불완전 간섭상태, 도 4 참조).
이러한 결합톱니의 상호 불완전 간섭상태에서 회전하우징(120)을 권취 방향(정방향) 또는 권취 해제 방향(역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각 결합톱니(127,137)의 끝단만이 상호 약하게 간섭됨에 따라 가요성을 갖는 결합톱니(127,137) 또는 가요성을 갖는 결합톱니(127,137)의 끝단이 탄성적으로 휘게 되고, 이에 따라 결합톱니(127,137) 또는 결합톱니(127,137)의 끝단이 상호 미끄러질 수 있게 된다.
즉, 줄 길이 조절장치의 권취 해제 가능한 상태에서 회전하우징(12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회전하우징(120)의 결합톱니(127)가 권취드럼(130)의 결합톱니(137)와 상호 약한 간섭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회전하우징(120)의 회전은 약한 힘으로 저지되기는 하지만 회전하우징(12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도 불구하고 권취드럼(130)은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권취 해제 상태에서 줄을 당겨 신발 등의 줄을 느슨하게 풀지 않고 임의로 회전하우징(120)을 권취 해제방향으로 과도하게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권취드럼(130)은 회전하지 않으므로 장치 내부에서의 줄 엉킴이나 줄 길이 조절장치 자체의 파손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권취 해제 상태에서 하우징 결합톱니(127)가 드럼 결합톱니(137)와 상호 약한 간섭을 이루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권취 해제를 위해 줄을 당길 경우에 줄이 아무런 저항 없이 너무 쉽게 풀려 버리지 않고 약한 저항에 의해 부드럽게 풀리게 되어 장치의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고정하우징(110)의 상부 영역 원주 내면에는 고정하우징(110)의 두께(높이) 방향을 따라, 즉 고정하우징(110) 및 회전하우징(120)이 상호 결합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형상으로 가공된 제1 톱니치형(113) 및 제2 톱니치형(114)이 각각 형성된다.
제1 톱니치형(113)은 회전하우징(120)의 래치(124)가 정역 방향(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형상으로 가공되고, 제2 톱니치형(114)은 회전하우징(120)의 래치(124)가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한 형상으로 가공된다.
제1 톱니치형(113)은 제2 톱니치형(114)보다 상부에 위치되는데, 회전하우징(120)의 래치(124)가 제1 톱니치형(113)에 배치되어 맞물리면 래치(124)는 제1 톱니치형(113)을 통해 정역 방향 모두로 회전이 가능하지만, 회전하우징(120)의 래치(124)가 제2 톱니치형(114)에 배치되어 맞물리면 정방향 또는 역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회전된다. 이는 제1 및 제2 톱니치형(113,114)의 톱니 형상에 의해 가능해지는데,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회전하우징(120)의 래치(124)가 제2 톱니치형(114)에 맞물리면 줄을 권취할 수 있고, 래치(124)가 제1 톱니치형(113)에 맞물리면 줄을 당겨 권취드럼(130)으로부터 줄을 권취해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톱니치형(113) 및 제2 톱니치형(114)이 각각 고정하우징(110)의 상부 영역 원주 내면에 상?하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상기 제1 톱니치형(113) 및 제2 톱니치형(114)은 고정하우징(110)의 상부 영역 원주 외면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제1 톱니치형(113) 및 제2 톱니치형(114)의 배치가 상호 바뀔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 톱니치형(113) 및 제2 톱니치형(114)이 구비되는 위치는 상기 고정하우징(110)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하우징(110) 및 회전하우징(120) 중 어느 한 하우징의 일측에 고정하우징(110) 및 회전하우징(120)이 상호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제1 톱니치형(113) 및 제2 톱니치형(114)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면서 상호작용하는 래치(124)는 제1 톱니치형(113) 및 제2 톱니치형(114)이 구비되지 않은 다른 한 하우징에 구비될 수도 있다.
권취드럼(130)은 고정하우징(110) 및 회전하우징(12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실제로 줄이 권취되거나 또는 권취해제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권취드럼(130)에는 실제로 줄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권취부(132)가 구비되고, 권취부(132)에는 줄이 통과되는 한 쌍의 줄통과공(131)이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줄통과공(131)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권취부(132)의 어느 한 부분에 별도의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고, 권취부(132)를 관통하여 형성(미도시)할 수도 있다.
줄은 고정하우징(110)의 일측 줄통과공(115)을 통해 고정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후 권취드럼(130)의 줄통과공(131)을 통과하여 권취부(132)에 권취된 다음 고정하우징(110)의 타측 줄통과공(115)을 통해 고정하우징(110)의 외부로 나가는 경로를 형성한다.
또한, 권취드럼(130)에는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줄의 상향 또는 하향 이동을 저지하면서 줄의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한 2개(한 쌍)의 줄 위치 유지용 원판부(133)가 권취부(132)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결합된다. 물론, 줄 위치 유지용 원판부(133)가 형성되지 않더라도 동작에는 문제가 없으나, 줄 위치 유지용 원판부(133)가 결합되면, 이로 인해 줄이 감기는 위치가 일정해질 수 있어 줄이 꼬이거나 상향 또는 하향으로 몰림으로써 작동에 방해가 되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권취드럼(130)은 고정하우징(110)의 회전축(1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 영역의 상하를 관통하여 통공(135)이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권취드럼(130)의 상부 영역(회전하우징과의 결합부위)에는 상기 회전하우징(120)의 하우징 결합톱니(127)와 대응하여 상호 맞물려 동작하는 복수개의 드럼 결합톱니(137)가 통공(135)을 중심으로 원을 이루는 형태로 구비된다. 각각의 드럼 결합톱니(137)는 하우징 결합톱니(127)와 마찬가지로 대략 직각삼각형의 모양으로 구비되는데, 한 내각이 예각을 이루는 예각삼각형 또는 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는 둔각삼각형의 모양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드럼 결합톱니(137)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삼각형 모양의 톱니가 상방향으로 돌출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삼각형 모양의 톱니가 수평방향으로 돌출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드럼 결합톱니(137)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형상으로 가공된 제1 드럼 결합톱니(137a) 및 제2 드럼 결합톱니(137b)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드럼 결합톱니(137a)는 회전하우징(120)의 하우징 결합톱니(127)가 정역 방향(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형상으로 가공되고, 제2 드럼 결합톱니(137b)는 하우징 결합톱니(127)와 상호 맞물리는 형상으로 가공된다.
제1 드럼 결합톱니(137a)는 제2 드럼 결합톱니(137b)보다 상부에 위치하는데, 회전하우징(120)의 하우징 결합톱니(127)가 제1 드럼 결합톱니(137a)에 배치되어 맞물리면 회전하우징(120)은 제1 드럼 결합톱니(137a)를 통해 정역 방향 모두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지만, 회전하우징(120)의 하우징 결합톱니(127)가 제2 드럼 결합톱니(137b)에 배치되어 맞물리면 권취드럼(130)은 회전하우징(120)과 일체로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드럼 결합톱니(137)의 2단 구조(제1 및 제2 드럼 결합톱니)에 의해 회전하우징(120)의 하우징 결합톱니(127)가 권취드럼(130)의 제2 드럼 결합톱니(137b)에 맞물리면 회전하우징(120)을 일방향(권취방향)으로 회전시켜 줄을 권취할 수 있고, 하우징 결합톱니(127)가 제1 결합톱니(137a)에 맞물리면 권취 해제가 가능한 상태가 되어 줄을 당겨 권취드럼(130)으로부터 권취 해제할 수 있게 된다.
권취 해제 가능 상태에서는 회전하우징(120)의 결합톱니(127)가 권취드럼(130)의 제1 드럼 결합톱니(137a)와 상호 약한 간섭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회전하우징(120)의 회전은 제1 드럼 결합톱니(137a)에 의해 약한 저항을 받기는 하지만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모두 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회전하우징(12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도 불구하고 권취드럼(130)은 회전하우징(120)의 회전과는 관계없이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권취 해제 상태에서 줄을 당겨 신발 등의 줄을 느슨하게 풀지 않고 임의로 회전하우징(120)을 권취 또는 권취 해제방향으로 과도하게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권취드럼(130)은 회전하지 않으므로 장치 내부에서의 줄 엉킴이나 줄 길이 조절장치 자체의 파손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권취 해제 상태에서 사용자가 줄을 당길 경우에 줄이 아무런 저항 없이 너무 쉽게 풀리는 것이 아니라 제1 드럼 결합톱니(137a)가 하우징 결합톱니(127)와 약한 간섭을 이루고 있으므로 권취드럼(130)의 회전시에 하우징 결합톱니(127)와의 간섭에 의한 약한 저항에 의해 줄이 부드럽게 풀리게 되어 사용감이 향상된다.
결합유닛(140)은, 회전하우징(120) 쪽으로부터 삽입되어 고정하우징(110)의 회전축(111)에 삽입됨으로써 권취드럼(130)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는 샤프트(142)와, 상기 샤프트(142)와 고정하우징(110)의 회전축(111)을 상호 결합시켜 고정하는 스크류(141)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샤프트(142)의 머리부(143)는 자유곡선형 스프링(150)과 접하게 되는데, 샤프트의 머리부(143)가 자유곡선형 스프링(150)을 기준으로 자유곡선형 스프링(150)의 하부 또는 상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머리부(143)의 측벽에 돌출부(144)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144)는 대략 삼각형 형상을 가지나 돌출부(144)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이나 마름모 등의 다양한 형상이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샤프트(142)와 스크류(141)로 이루어진 결합유닛(140)에 의해, 고정하우징(110)과 회전하우징(120)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하우징(120)의 결합공을 상부로부터 통과하여 권취드럼(130)의 상부면을 누르는 구조로 결합되는 샤프트(142)에 의해 권취드럼(130)은 고정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상하 유동이 방지되는 상태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운동만을 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곡선형 스프링(150)이 돌출부(144)보다 하부에 배치될 때는 줄이 권취드럼(130)에 권취되는 위치이고, 자유곡선형 스프링(150)이 돌출부(144)보다 상부에 배치될 때는 줄이 권취드럼(130)으로부터 권취해제될 수 있는 위치가 된다.
이에 따라, 우선 줄을 권취드럼(130)에 권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전하우징(120)을 고정하우징(110) 쪽(하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래치(121)가 제2 톱니치형(114)에 맞물리게 됨과 동시에 하우징 결합톱니(127)는 드럼 결합톱니(137)와 맞물리게 되며, 자유곡선형 스프링(150)은 돌출부(144)보다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회전하우징(120) 또는 하우징캡(160)을 일방향(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줄을 권취할 수 있다.
반대로, 줄을 권취드럼(130)으로부터 권취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전하우징(120)을 고정하우징(110)의 반대편, 즉 상방향으로 들어 올린다. 그러면, 래치(121)는 제1 톱니치형(113)과 맞물리게 됨과 동시에 하우징 결합톱니(127)와 드럼 결합톱니(137)는 상호 맞물림이 해제되거나 상호 약한 간섭 상태를 이루게 되며, 자유곡선형 스프링(150)은 돌출부(144)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줄을 잡아 당겨 권취드럼(130)으로부터 줄을 권취해제시켜 줄의 길이를 느슨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줄을 당겨 신발 등의 줄을 느슨하게 풀지 않고 임의로 회전하우징(120) 또는 하우징캡(160)을 권취 방향 또는 권취해제 방향으로 과도하게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권취드럼(130)은 회전하우징(12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회전하지 않으므로 줄 길이 조절장치 내부에서의 줄 엉킴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권취 해제 상태에서 줄을 당겨 신발 등의 줄을 느슨하게 풀지 않고 임의로 손잡이(회전하우징 또는 상부하우징캡)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과도하게 또는 강제로 회전시키는 경우에 권취드럼(130)이 함께 회전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장치 내부에서의 줄 엉킴이나 줄 길이 조절장치 자체의 파손 등의 종래 줄 길이 조절장치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어 작동의 안정성 및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으며,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10: 고정하우징
113: 제1 톱니치형 114: 제2 톱니치형
120: 회전하우징
121: 결합공 124: 래치
127: 하우징 결합톱니
130: 권취드럼
132: 권취부 133: 줄 위치 유지용 원판부
135: 통공 137: 드럼 결합톱니
140: 결합유닛
141: 스크류 142: 샤프트
143: 머리부 144: 돌출부
150: 자유곡선형 스프링
160: 하우징캡 161: 요철부

Claims (10)

  1. 중앙에 회전축이 형성된 고정하우징;
    상기 고정하우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하우징;
    상기 고정하우징 및 회전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줄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권취부가 구비된 권취드럼;
    상기 고정하우징 및 회전하우징을 결합시키는 결합유닛; 및
    상기 회전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자유곡선형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하우징 및 회전하우징 중 어느 한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하우징 및 회전하우징이 상호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제1 톱니치형 및 제2 톱니치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하우징 및 회전하우징 중 상기 제1 톱니치형 및 제2 톱니치형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다른 한 하우징에는, 상기 권취드럼에 상기 줄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톱니치형 또는 제1 톱니치형과 선택적으로 맞물려 상호 작용하는 래치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하우징의 하부 영역에는 하우징 결합톱니가 원을 이루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권취드럼의 상부 영역에는 상기 하우징 결합톱니와 맞물리면서 상호 작용하는 드럼 결합톱니가 원을 이루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결합톱니 및 드럼 결합톱니는 직각 또는 둔각 삼각형태로 구비되며, 상호 맞물릴 경우 빗변은 빗변끼리, 높이를 이루는 변은 높이를 이루는 변끼리 접하게 되고, 각 결합톱니는 외부로부터 힘을 받았을 때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한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3. 청구항 1 있어서,
    상기 래치가 상기 제2 톱니치형에 맞물릴 때에는 상기 하우징 결합톱니와 드럼 결합톱니가 상호 맞물리며, 상기 래치가 상기 제1 톱니치형에 맞물릴 때에는 상기 하우징 결합톱니와 드럼 결합톱니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럼 결합톱니는,
    상기 하우징 결합톱니가 정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드럼 결합톱니와,
    상기 제1 드럼 결합톱니의 하부 영역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하우징과 권취드럼이 일체로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결합톱니와 상호 맞물리는 형상을 가지는 제2 드럼 결합톱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5. 청구항 4 있어서,
    상기 래치가 상기 제2 톱니치형에 맞물릴 때에는 상기 하우징 결합톱니와 제2 드럼 결합톱니가 상호 맞물리며, 상기 래치가 상기 제1 톱니치형에 맞물릴 때에는 상기 하우징 결합톱니와 제1 드럼 결합톱니가 상호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톱니치형은, 상기 고정하우징의 상부 영역 또는 상기 회전하우징의 하부 영역에 원주 내부 또는 외부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래치가 정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톱니치형은, 상기 제1 톱니치형의 하부 영역 또는 상부 영역에 원주 내부 또는 외부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래치가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자유단이 반경 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유동 가능한 후크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권취드럼에는 상기 줄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2개의 줄 위치 유지용 원판부가 상호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회전하우징 쪽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고정하우징의 회전축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권취드럼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상기 고정하우징의 회전축을 상호 결합시켜 고정하는 스크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머리부가 상기 자유곡선형 스프링을 기준으로 상기 자유곡선형 스프링의 하부 또는 상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머리부의 측벽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자유곡선형 스프링이 상기 돌출부보다 하부에 배치될 때는 상기 줄이 상기 권취드럼에 권취되는 위치이고, 상기 자유곡선형 스프링이 상기 돌출부보다 상부에 배치될 때는 상기 줄이 상기 권취드럼으로부터 권취해제될 수 있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KR1020110030946A 2011-04-05 2011-04-05 줄 길이 조절장치 KR101147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946A KR101147681B1 (ko) 2011-04-05 2011-04-05 줄 길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946A KR101147681B1 (ko) 2011-04-05 2011-04-05 줄 길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7681B1 true KR101147681B1 (ko) 2012-05-22

Family

ID=46272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946A KR101147681B1 (ko) 2011-04-05 2011-04-05 줄 길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681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313B1 (ko) * 2012-05-24 2014-03-12 김창준 휴대용 책장 펼침 유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독서대
KR101833680B1 (ko) 2017-08-04 2018-02-28 김정곤 신발끈의 조임장치
WO2018124827A1 (ko) 2016-12-30 2018-07-05 소윤서 줄 길이 조절장치
KR102205258B1 (ko) 2020-07-10 2021-01-20 주식회사 이퓨 신발을 쉽게 신고 벗을수 있는 신발끈 결속장치
KR20210031100A (ko) 2019-09-11 2021-03-19 소윤서 사용자 맞춤형 줄길이 조절장치 및 그 장착방법
JP2022054379A (ja) * 2020-09-25 2022-04-06 ジョンゴン キム ダイヤルタイプのワイヤー締付装置
KR102449997B1 (ko) 2021-09-29 2022-10-04 와인드와이어 주식회사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KR102453511B1 (ko) 2022-08-22 2022-10-12 와인드와이어 주식회사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KR20220161702A (ko) 2021-05-31 2022-12-07 소윤서 일체형 권취 핸들을 구비한 줄 길이 조절장치
KR20230013464A (ko) 2021-07-19 2023-01-26 와인드와이어 주식회사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KR20230125958A (ko) 2022-02-22 2023-08-29 이현규 신발끈 조임장치
KR102598804B1 (ko) * 2022-12-29 2023-11-06 주식회사 다담엔지니어링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3054A (en) * 1996-08-16 1997-11-04 Chen; Tsang-I Wire winding wheel
US6808138B2 (en) * 2003-01-06 2004-10-26 Sheng Hsin Liao Wire-winding box structure with increased use area
KR100929587B1 (ko) * 2009-06-17 2009-12-03 와인드와이어 주식회사 줄 길이 조절장치
KR100959800B1 (ko) * 2009-08-28 2010-05-28 소윤서 줄 길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3054A (en) * 1996-08-16 1997-11-04 Chen; Tsang-I Wire winding wheel
US6808138B2 (en) * 2003-01-06 2004-10-26 Sheng Hsin Liao Wire-winding box structure with increased use area
KR100929587B1 (ko) * 2009-06-17 2009-12-03 와인드와이어 주식회사 줄 길이 조절장치
KR100959800B1 (ko) * 2009-08-28 2010-05-28 소윤서 줄 길이 조절장치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313B1 (ko) * 2012-05-24 2014-03-12 김창준 휴대용 책장 펼침 유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독서대
WO2018124827A1 (ko) 2016-12-30 2018-07-05 소윤서 줄 길이 조절장치
US10874175B2 (en) 2016-12-30 2020-12-29 Youn Seo SO Device for adjusting length of string
KR101833680B1 (ko) 2017-08-04 2018-02-28 김정곤 신발끈의 조임장치
WO2019027122A1 (ko) * 2017-08-04 2019-02-07 김정곤 신발끈의 조임장치
GB2575384A (en) * 2017-08-04 2020-01-08 Jung Gon Kim Shoe lace tightening device
US10945492B2 (en) 2017-08-04 2021-03-16 Jung-Gon Kim Shoe lace tightening device
GB2575384B (en) * 2017-08-04 2021-08-04 Jung Gon Kim Shoe lace tightening device
KR20210031100A (ko) 2019-09-11 2021-03-19 소윤서 사용자 맞춤형 줄길이 조절장치 및 그 장착방법
KR102205258B1 (ko) 2020-07-10 2021-01-20 주식회사 이퓨 신발을 쉽게 신고 벗을수 있는 신발끈 결속장치
JP2022054379A (ja) * 2020-09-25 2022-04-06 ジョンゴン キム ダイヤルタイプのワイヤー締付装置
JP7140811B2 (ja) 2020-09-25 2022-09-21 ジョンゴン キム ダイヤルタイプのワイヤー締付装置
KR20220161702A (ko) 2021-05-31 2022-12-07 소윤서 일체형 권취 핸들을 구비한 줄 길이 조절장치
KR20230013464A (ko) 2021-07-19 2023-01-26 와인드와이어 주식회사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KR102449997B1 (ko) 2021-09-29 2022-10-04 와인드와이어 주식회사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EP4159078A1 (en) 2021-09-29 2023-04-05 Windwire Co., Ltd. Detachable lacing apparatus using shoelace loop for footwear
US11839265B2 (en) 2021-09-29 2023-12-12 Windwire Co. Ltd. Detachable lacing apparatus using shoelace loop for footwear
KR20230125958A (ko) 2022-02-22 2023-08-29 이현규 신발끈 조임장치
KR102453511B1 (ko) 2022-08-22 2022-10-12 와인드와이어 주식회사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KR102598804B1 (ko) * 2022-12-29 2023-11-06 주식회사 다담엔지니어링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7681B1 (ko) 줄 길이 조절장치
KR101107372B1 (ko) 줄 길이 조절장치
KR101040372B1 (ko) 줄 길이 조절장치
KR100959800B1 (ko) 줄 길이 조절장치
KR102148343B1 (ko) 체결 장치
TWI593895B (zh) 緊固裝置及其繫線安裝方法
KR100986674B1 (ko) 탄성스트링 와인딩 및 언와인딩 장치
KR101025134B1 (ko) 동작 성능이 향상된 탄성스트링 와인딩 및 언와인딩 장치
KR20130053552A (ko) 줄 길이 조절장치
US8075365B2 (en) Yo-yo having a string-formed response system
JP6761027B2 (ja) 回転絞り機構を有するモップ
KR101559109B1 (ko) 볼링용 손목 보호대
JP2020505090A (ja) 紐の長さ調節装置
KR100929587B1 (ko) 줄 길이 조절장치
JP2018532669A (ja) ストリング巻取り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履物と服
KR20130028402A (ko)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및 그를 구비하는 신발
KR100890216B1 (ko) 신발의 외줄 쾌속 결속구조
JP2018121890A (ja) 紐巻取装置を備えた物品
KR102143929B1 (ko) 끈 조임장치
KR20110110615A (ko) 줄 길이 조절장치
KR101874925B1 (ko) 스트링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발과 옷
KR102374006B1 (ko)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
TWM537069U (zh) 緊固裝置
KR101982599B1 (ko) 신발의 끈조임장치
KR100888149B1 (ko) 줄 길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