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31428A1 - 오를리스타트 및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를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를리스타트 및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를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31428A1
WO2022131428A1 PCT/KR2020/018965 KR2020018965W WO2022131428A1 WO 2022131428 A1 WO2022131428 A1 WO 2022131428A1 KR 2020018965 W KR2020018965 W KR 2020018965W WO 2022131428 A1 WO2022131428 A1 WO 202213142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orlistat
group
amdk19
akkermansia muciniphila
s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896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서재구
신주현
이도경
이윤미
장서율
변혜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테로바이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테로바이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테로바이옴
Publication of WO202213142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3142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39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our-membered rings, e.g. azeti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comprising Orlistat and the Akermansia muciniphila EB-AMDK19 strain.
  • orlistat a fat absorption inhibitor.
  • orlistat inhibits the absorption of fat-soluble vitamins and has side effects such as steatorrhea, fat excretion, frequent defecation, fecal incontinence, and acute renal failure.
  • One aspect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besity, including Orlistat (Orlistat) and Akkermansia muciniphila ( Akkermansia muciniphila ).
  • Another aspect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etabolic diseases, including Orlistat and Akkermansia muciniphila .
  • Another aspect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including Orlistat and Akkermansia muciniphila .
  • One aspect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besity, including Orlistat (Orlistat) and Akkermansia muciniphila ( Akkermansia muciniphila ).
  • the Akkermansia muciniphila ( Akkermansia muciniphila ) may be an Akkermansia muciniphila EB-AMDK19 strain.
  • the composition may be to alleviate the side effects of the fat absorption inhibitor.
  • the side effect may be the effect of alleviating one or more of abdominal bloating, fatty stool, inflammation in the kidney, fibrosis in the kidney.
  • Another aspect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etabolic diseases, including Orlistat and Akkermansia muciniphila .
  • the Akkermansia muciniphila ( Akkermansia muciniphila ) may be an Akkermansia muciniphila EB-AMDK19 strain.
  • the metabolic disease may be hyperlipidemia, fatty liver, diabetes, hypertension, hypercholesterolemia.
  • Another aspect may b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including Orlistat and Akkermansia muciniphila .
  • the Akkermansia muciniphila ( Akkermansia muciniphila ) may be an Akkermansia muciniphila EB-AMDK19 strain.
  • the inflammatory disease may be colitis, nephritis, hepatitis.
  •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metabolic diseases and inflammatory diseases.
  •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leviate or prevent side effects caused by orlistat.
  • Normal is normal diet group
  • HFD obesity induction group
  • Orlistat is orlistat administered group
  • EB-AMDK19 is Akermansia muciniphila EB-AMDK19 strain administered group
  • ORL+EB-AMDK19 is orlistat
  • Akkermansia It refers to the group administered with the Muciniphila EB-AMDK19 strain.
  • 1A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weight of each group
  • B is a graph showing the weight increase rate of each group after 12 weeks.
  • 2A is data showing the food intake of each group
  • B is data showing the calories consumed by each group.
  • 3 is data comparing the weights of livers of each group.
  • 5 is data showing the difference in weight of mesenteric fat in A and subcutaneous fat in each group.
  • 6 is a graph comparing the glucose tolerance of each group.
  • A is the measurement of blood glucose immediately before glucose administration and B is 30 minutes after glucose administration.
  • A liver triglycerides
  • B is data comparing total cholesterol in the liver.
  • 11 is data confirming the expression concentration of LPL, an adipocyte-related factor, in the liver of each group.
  • 16 is data comparing the expression of TLR4 in the intestinal mucosa of each group.
  • 17 is a photograph comparing the shapes of the small intestine and large intestine of each group.
  • 18 is a graph comparing the amount of triglycerides in the feces of each group
  • 19A is the data obtained by staining whether or not each group's kidneys are inflammatory
  • B is data comparing the level of inflammation through the F4/80 antibody in immunochemical staining in a graph.
  • 20A is data obtained by staining the degree of fibrosis of the kidneys of each group, and B is data comparing the numerical values in a graph.
  • prevention refers to any action that suppresses or delays the onset of obesity, metabolic disease, or inflammatory disease by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reatment refers to temporarily or permanently alleviating the symptoms of obesity, metabolic disease, or inflammatory disease by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moving the cause of the symptom, or the disease or means preventing or delaying the onset of symptoms of a condition.
  • One aspect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besity comprising Orlistat and Akkermansia muciniphila.
  • the Akermansia muciniphila strain may be monococci or dicocci with oval cells having a size of 0.5-1 ⁇ m.
  • the Akermansia muciniphila strain may be anaerobic, non-motile, Gram-negative, non-endospore-forming, mucin-degrading bacteria.
  • the Akermansia muciniphila may be an Akermansia muciniphila EB-AMDK19 strain.
  • Akermansia muciniphila EB-AMDK19 strain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Akermansia muciniphila EB-AMDK19 strain, reference may be made to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128287.
  • the state of Akkermansia muciniphila may be in a liquid state or in a dry state, and the drying method may include ventilation drying, natural drying, spray drying and freeze dry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mposition may be to alleviate the side effects of the orlistat inhibitor.
  • the side effect may be the effect of alleviating one or more symptoms of abdominal bloating, fatty stool, inflammation in the kidney, fibrosis in the kidney.
  • the alleviation may be to improve or suppress symptoms appearing as side effects.
  • composition may exhibit a more pronounced anti-obesity effect than the single effect of orlistat or Akermansia muciniphila EB-AMDK19 strai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orlistat and Akkermansia muciniphila EB-AMDK19 strains separately ingested in each form, or dissolved in a solvent and ingested togeth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refers to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a disease at a reasonable benefit/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and the effective dose level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and severity of the subject, age, sex, I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factors including the type of virus infected, the activity of the drug, the sensitivity to the drug, the time of administration, th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the rate of excretion, the duration of treatment, the concurrently used drugs,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field. An effective amount will vary depending on the route of treatment, the use of excipients, and the potential for use with other agents, as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into a pharmaceutical formulation using methods well known in the art to provide rapid, sustained or delayed release of the active ingredient after administration to a mammal.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oral dosage forms such as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etc., depending on the method, and suitable carriers and excipients commonly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composition or a diluent may be further included.
  •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all, acacia gum,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a diluent or excipient such as a filler, a weight agent, a binder, a wetting agent, a disintegrant, a surfactant, etc. normally used.
  • Another aspect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etabolic diseases comprising orlistat and Akkermansia muciniphila.
  • the Akermansia muciniphila may be an Akermansia muciniphila EB-AMDK19 strain.
  • Akermansia muciniphila EB-AMDK19 strain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Akermansia muciniphila EB-AMDK19 strain, reference may be made to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128287.
  • the metabolic disease may be hyperlipidemia, fatty liver, diabetes, hypertension, hypercholesterolemia.
  • Another aspect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comprising orlistat and Akkermansia muciniphila.
  • the Akermansia muciniphila may be an Akermansia muciniphila EB-AMDK19 strain.
  • Akermansia muciniphila EB-AMDK19 strain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Akermansia muciniphila EB-AMDK19 strain, reference may be made to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128287.
  • the inflammatory disease may be colitis, nephritis, hepatitis.
  • Another aspect is to provide a method for treating obesity,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subject a composition comprising orlistat and Akermansia muciniphila.
  • Another aspect is to provide a method for treating a metabolic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a composition to a subject comprising orlistat and Akermansia muciniphila.
  • the metabolic disease may be hyperlipidemia, fatty liver, diabetes, hypertension, hypercholesterolemia.
  • Another aspect is to provide a method for treating an inflammatory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subject a composition comprising orlistat and Akermansia muciniphila.
  • the inflammatory disease may be colitis, nephritis, hepatitis.
  • Acermansia muciniphila EB-AMDK19 (KCTC 13761BP) was isolated from the feces of healthy Koreans (female, 35 years old, BMI 23.3).
  • the isolated Akermansia muciniphila EB-AMDK19 (hereinafter 'EB-AMDK19') was prepared at a concentration of 1 ⁇ 10 8 CFU per 150 ⁇ l of PBS containing 25% glycerol and 0.05% cysteine.
  • Orlistat Xenical, Orlistat 120 mg, Roche, USA) was purchased and used commercially.
  • mice Animal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otocol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IACUC). Experimental animals purchased an 8-week-old male mouse C57BL and had an adaptation period in an environment of 22°C, 40-60% relative humidity, and 12 hours of light-dark cycle for one week. After tha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12 weeks.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randomly divided into 5 groups as shown in Table 1 below.
  • IACUC 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 Experimental group I the normal diet group, was allowed to freely consume 10% fat feed, and other experimental groups other than experimental group I were allowed to consume high-fat feed (60 kcal fat; Research Diets Inc. NJ, USA), and drinking water was freely consumed by all experimental groups. made to do Experimental group III was orally administered with 10 mg/kg (150 ⁇ l) of orlistat daily.
  • Experimental group IV received 1 ⁇ 10 8 CFU of live EB-AMDK19, and experimental group V orally administered 1 ⁇ 10 8 CFU of 1 ⁇ 10 8 CFU of live EB-AMDK19, followed by oral administration of orlistat 10 mg/kg 150 ⁇ l daily. .
  • the same amount of phosphate buffered saline (25% glycerol, 0.05% cysteine/PBS) was orally administered to experimental groups I and II every day.
  • Experimental group I normal diet group
  • Experimental group II Experimental diet fed obesity induction group
  • Experimental group III Experimental diet fed and orlistat (10 mg/kg, 150 ⁇ l) administration group
  • Experimental group IV Experimental diet and EB-AMDK19 (live cells 1 ⁇ 10 8 CFU) administration group
  • Experimental group V Experimental diet and EB-AMDK19 (live cells 1 ⁇ 10 8 CFU), orlistat (10 mg/kg, 150 ⁇ l) administration group
  • the weight and body fat of each experimental group were measured every week while dieting and administration as in Example 2 for 12 weeks, and the degree of body fat increase was measured after 12 weeks.
  • body weight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group administered with orlistat and the EB-AMDK19 strain, the group administered with the EB-AMDK19 strain, and the group administered with orlistat compared to the obesity induction group that consumed only high-fat feed.
  • the weight increase rate after 12 weeks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weight increase rate of the group administered with orlistat or EB-AMDK19 strain alone.
  • the liver, spleen, mesenteric fat, and subcutaneous fat were extracted under anesthesia with CO 2 , washed with physiological saline, water was removed, and the weight was measured.
  • liver tissue weight of the obesity induction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liver tissue weight of the normal diet group, and although a high fat diet was ingested as in the obesity induction group, Orlistat, EB-AMDK19 strain, Orly It was confirmed that the liver tissue weight was reduced in the group administered with the start and EB-AMKD19 strains compared to the obesity induction group.
  • the weight of the spleen tissue of the obesity induction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weight of the spleen tissue of the normal diet group. It was confirmed that the group that consumed a high-fat diet and administered orlistat sligh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obesity-induced group,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pleen tissue weight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group that consumed a high-fat diet as in the obesity-inducing group but administered the EB-AMDK19 strain, orlistat and EB-AMKD19 strains compared to the obesity-inducing group.
  • the mesenteric fat and subcutaneous fat weight of the obesity induc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mesenteric fat and subcutaneous fat weight of the normal diet group. It was confirmed that the group that consumed a high-fat diet and administered orlistat sligh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obesity-induced group,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esenteric fat and subcutaneous fat weigh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group administered with the EB-AMDK19 strain, orlistat and EB-AMKD19 strains, although the high-fat diet was consumed as in the obesity-inducing group compared to the obesity-inducing group.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weight of mesenteric fat and subcutaneous fat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group administered with orlistat and EB-AMKD19 strain than the group administered with the EB-AMDK19 strain alone.
  • mice were fasted for 18 hours 12 weeks after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and glucose (Glucose 2 g/kg) was orally administered.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tail vein immediately before glucose administration and 30, 60, 90 and 12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and blood glucose was measured with a glucometer.
  • the amount and level of increase in blood glucose levels were lower in all administration groups than in the obesity induction group 30 minutes after glucose administration, and among them, in the group administered with orlistat and the group administered with orlistat and EB-AMKD19 strain, It was confirmed that the blood glucose level was significantly low, similar to that of the normal group.
  • Example 5 After fasting for 18 hours in Example 5, blood was collected from each experimental animal and serum was separated. Insulin levels and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GPT), an indicator of liver function, were measured with the isolated plasma. Insulin concentration was measured using an insulin ELISA kit (Morinaga, Japan), and GPT concentration was quantified using an individual measurement kit purchased from Asan Pharmaceutical.
  • GPT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 Example 7 Analysis of lipid biochemical indicators in the liver
  • TG triglyceride
  • TC total cholesterol
  • Example 8 Analysis of anti-obesity and inflammatory markers in the liver
  • PCR is a Quant Studio 3 real time PCR system (Applied Biosystems, USA), and pre-incubation (for UDG) is 4 minutes at 50°C, 10 minutes at 95°C, and 40 cycles of 15 seconds at 95°C, 1 at 60°C. min. Afterward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lta CT method using the program built into QuantStudio Design & Analysis Software v1.4.3.
  • SEQ ID NO: target primer sequence SEQ ID NO: 1 LPL F: 5’-CTC TGT ATG GCA CAG TGG CT-3’
  • LPL a factor related to adipocyte differentiation
  • the expression of factors related to adipocyte differentiation was reduced as much as in the normal group.
  • the group administered with orlistat and the EB-AMDK19 strain further reduced LPL expression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 the excised liver was made into a tissue section of about 5 ⁇ m, embedded in paraffin, and the morphological change was observed through hematoxtlin & eosin (H&E) or Sirius Red staining. The difference was observed.
  • H&E hematoxtlin & eosin
  • the number of fat cell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obesity induction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ize of the fat cells was also varied.
  • the orlistat-administered group the number of adipocytes decreased,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size of adipocytes was larg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 the size or number of adipocytes decreased compared to the obesity induction group, but those with larger adipocytes were observed compared to the normal diet group.
  • the number or size of fat cells was reduced similarly to the normal diet group.
  • Inflammation-related mediators of the colon were identified IL-6, TLR2, and TLR4.
  • SEQ ID NO: target primer sequence SEQ ID NO: 3 IL-6 F: 5'-TCC TAC CCC AAT TTC CAA TGC-3' SEQ ID NO: 4 IL-6 R: 5'-CAT AAC GCA CTA GGT TTG CCG-3' SEQ ID NO: 5 TLR2 F: 5'-AAG GAG GTG CGG ACT GTT TC-3' SEQ ID NO: 6 TLR2 R: 5'-GAG CCA AAG AGC TCG TAG C-3' SEQ ID NO: 7 TLR4 F: 5'-CCT CTG CCT TCA CTA CAG AGA CTT T-3' SEQ ID NO: 8 TLR4 R: 5'-TGT GGA AGC CTT CCT GGA TG-3'
  • Example 10-1 Check changes in the shape of the large intestine and small intestine
  • Example 10-2 Measurement of triglyceride content in feces
  • Orlistat inhibits the action of lipase so that triglycerides are not absorbed and are excreted in feces. Therefore, in order to confirm the relief of steatorrhea seen in feces, one of the side effects of orlistat, the concentration of triglycerides in feces observed for 24 hours in mice of each experimental group was observed using an ELISA kit (Asan Pharmaceutical, Korea). .
  • Example 10-3 Analysis of anti-inflammatory and fibrotic indicators in the kidney
  • kidney tissue isolated from the mouse was embedded in paraffin, and the difference in morphological change was observed through each staining after making about 5 ⁇ m tissue sections.
  • the degree of kidney damage through each staining was expressed in terms of percentage (%) through the Image J program.
  • kidney fibrosis was small in all groups except for the group administered with orlistat.
  • kidney fibrosis was widely observed, and it was confirmed that kidney fibrosis appeared in a small area in the group administered with the EB-AMDK19 strain and the group administered with the orlistat and EB-AMDK19 strains.
  • Renal fibrosis is a characteristic of chronic renal failure, and it is known that calcium oxalate (CaOx) accumulates in the kidneys, damaging the glomeruli and fibrosis.
  • CaOx calcium oxal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Obesit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를리스타트(Orlistat) 및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Akkermansia muciniphila)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면 비만, 대사성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고, 오를리스타트로 인한 부작용을 완화 또는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를리스타트 및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를 포함하는 조성물
본 발명은 오를리스타트 및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약 3억의 성인 인구가 비만환자이고, 약 17억 인구가 과체중이라고 보고되어 있다. 삼성경제연구소 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 국내 성인 비만으로 인해 발생한 직·간접적인 사회 비용이 3조 4000억 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비만인 사람은 정상 체중인 사람에 비해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혈증 발생 위험이 2배 이상 높아 보건의료비 지출이 증가한다고 한다. 미국의 경우 2006년을 기준으로 비만인 사람들이 정상체중인 사람보다 의료비를 42% 더 지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당뇨병 환자의 80%, 비알콜성지방간 환자의 69% 이상이 비만 환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비만 세포에서는 염증성 신호인자들을 분비하기 때문에 비만인 사람들은 염증성 질환의 발생 위험이 정상인에 비해 높다고 한다.
비만 치료제로 대표적인 것은 지방흡수억제제인 오를리스타트(orlistat)이다. 그러나 오를리스타트는 지방에 용해되는 비타민의 흡수를 억제하고 지방변, 지방배출, 빈번한 배변, 대변 실금, 급성 신부전증 등의 부작용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작용을 억제 또는 완화할 수 있는 조성물 또는 이러한 부작용이 없는 비만 치료제가 필요할 것이며, 단지 비만을 예방하는 차원이 아니라 대사성 질환, 염증성 질환까지 도움이 될 수 있는 치료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일 양상은 오를리스타트(Orlistat) 및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Akkermansia muciniphila)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오를리스타트(Orlistat) 및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 Akkermansia muciniphila)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오를리스타트(Orlistat) 및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 Akkermansia muciniphila)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오를리스타트(Orlistat) 및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Akkermansia muciniphila)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Akkermansia muciniphila)는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Akkermansia muciniphila) EB-AMDK19 균주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흡수 억제제의 부작용을 완화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부작용은 복부 팽만감, 지방변, 신장 내 염증, 신장 내 섬유화 중 하나 이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오를리스타트(Orlistat) 및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Akkermansia muciniphila)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Akkermansia muciniphila)는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Akkermansia muciniphila) EB-AMDK19 균주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고지혈증, 지방간, 당뇨,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일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오를리스타트(Orlistat) 및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Akkermansia muciniphila)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Akkermansia muciniphila)는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Akkermansia muciniphila) EB-AMDK19 균주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대장염, 신장염, 간염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면 비만, 대사성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면 오를리스타트로 인한 부작용을 완화 또는 예방할 수 있다.
도면 내 Normal은 정상 식이 그룹, HFD는 비만 유도 그룹, Orlistat는 오를리스타트 투여 그룹, EB-AMDK19는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 투여 그룹, ORL+EB-AMDK19는 오를리스타트 및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 투여 그룹을 의미한다.
도 1의 A는 각 그룹의 체중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B는 12주 후 각 그룹의 체중 증가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의 A는 각 그룹의 먹이 섭취량을 나타낸 데이터이고, B는 각 그룹의 섭취한 칼로리를 나타낸 데이터이다.
도 3은 각 그룹의 간의 무게를 비교한 데이터이다.
도 4는 각 그룹의 비장의 무게를 비교한 데이터이다.
도 5는 각 그룹에서 A는 장간막지방, B는 피하지방의 무게 차이를 본 데이터이다.
도 6은 각 그룹의 내당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은 각 그룹에서 내당능을 비교한 그래프로, A는 포도당 투여 직전, B는 포도당 투여 후 30분의 혈당을 측정한 것이다.
도 8은 각 그룹에서 인슐린의 농도를 비교한 데이터이다.
도 9는 각 그룹에서 GPT 농도를 비교한 데이터이다.
도 10은 각 그룹에서 간 내 지질생화학적 지표를 분석한 데이터로, A는 간 내 중성지방, B는 간 내 총 콜레스테롤을 비교한 데이터이다.
도 11은 각 그룹의 간에서 지방세포 관련 인자인 LPL 발현 농도를 확인한 데이터이다.
도 12은 간 내 지방 축적 정도를 염색하여 확인한 데이터이다.
도 13는 간 내 섬유화 정도를 염색하여 확인한 데이터이다.
도 14은 각 그룹의 장점막에서 IL-6의 발현을 비교한 데이터이다.
도 15는 각 그룹의 장점막에서 TLR2의 발현을 비교한 데이터이다.
도 16은 각 그룹의 장점막에서 TLR4의 발현을 비교한 데이터이다.
도 17는 각 그룹의 소장 및 대장의 모양을 비교한 사진이다.
도 18는 각 그룹의 분변에서 중성지방의 양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9의 A는 각 그룹 신장의 염증 여부를 염색하여 본 데이터이고, B는 면역화학염색에서 F4/80 항체를 통해 염증 수치를 그래프로 비교한 데이터이다.
도 20의 A는 각 그룹 신장의 섬유화 정도를 염색하여 본 데이터이고, B는 그 수치를 그래프로 비교한 데이터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비만, 대사성 질환, 염증성 질환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비만, 대사성 질환, 염증성 질환의 증상을 완화하거나, 증상의 원인을 제거하거나, 또는 상기 질병이나 병태의 증상의 발현을 방지하거나 늦추는 것을 의미한다.
일 양상은 오를리스타트(Orlistat) 및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오를리스타트는 분자식은 C 29H 53NO 5이고, 화학식은 하기 화학식 1과 같다.
Figure PCTKR2020018965-appb-img-000001
상기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균주는 0.5-1 μm 크기의 타원형 세포로 단구균 또는 쌍구균일 수 있다. 상기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균주는 혐기성 세균이고, 운동성이 없으며, 그람-음성(Gram-negative)이고, 내생포자를 형성하지 않는, 점액-분해 세균(mucin-degrading bacteria)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는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일 수 있다. 상기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의 특성은 등록특허공보 제10-2128287호를 참고할 수 있다.
상기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의 상태는 액상상태 또는 건조상태일 수 있으며, 건조 방법은 통풍건조, 자연건조, 분무건조 및 동결건조가 가능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오를리스타트 억제제의 부작용을 완화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부작용은 복부 팽만감, 지방변, 신장 내 염증, 신장 내 섬유화 중 하나 이상의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완화는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증상을 개선 또는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에 상기 오를리스타트 및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를 병용 투여 했을 때, 오를리스타트 투여한 마우스 대비 장 팽창이 완화되고, 변 내 중성지방이 감소한 것을 확인했으며, 신장 내 염증 및 섬유화가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조성물은 오를리스타트 또는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의 단독 효과보다 더 현저한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에 상기 오를리스타트 및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를 병용 투여하였을 때, 고지방식이로 인해 비만이 유도된 마우스 대비 몸무게, 간, 비장, 장간막지방, 피하지방의 증가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오를리스타트 및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를 각각의 형태로 따로 섭취하거나, 용매에 녹여 함께 섭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감염된 바이러스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유효량은 당업자에게 인식되어 있듯이 처리의 경로, 부형제의 사용 및 다른 약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약학적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형의 제조에 있어서, 활성 성분을 담체와 함께 혼합 또는 희석하거나, 용기 형태의 담체 내에 봉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으로 사용될 수 있고,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부,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오를리스타트와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오를리스타트,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및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설명은 상기에 기재된 설명과 동일하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는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일 수 있다. 상기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의 특성은 등록특허공보 제10-2128287호를 참고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고지혈증, 지방간, 당뇨,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마우스에 오를리스타트 및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를 병용 투여하면 혈중 인슐린 농도, GTP 농도 및 간 내 중성지방, 간 내 콜레스테롤 농도가 오를리스타트 또는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를 단독 투여한 것보다 더욱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마우스에 오를리스타트 및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를 병용 투여하면 오를리스타트 또는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를 단독 투여한 것보다 내당능이 정상 식이한 마우스만큼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 다른 양상은 오를리스타트와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오를리스타트,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및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설명은 상기에 기재된 설명과 동일하므로, 명세서의 과도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는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일 수 있다. 상기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의 특성은 등록특허공보 제10-2128287호를 참고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대장염, 신장염, 간염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마우스에 오를리스타트 및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를 병용 투여하였을 때, 오를리스타트 또는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를 단독 투여한 마우스 보다 염증 사이토카인 IL-6, TLR2, TLR4의 수치가 더욱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마우스에 오를리스타트 및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를 병용 투여하였을 때, 오를리스타트 또는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를 단독 투여한 마우스 보다 간 내 섬유화를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마우스에 오를리스타트 및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를 병용 투여하였을 때, 오를리스타트로 인한 신장염에서 염증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 다른 양상은 오를리스타트와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오를리스타트와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를 포함하는 개체에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고지혈증, 지방간, 당뇨,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일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오를리스타트와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대장염, 신장염, 간염인 것일 수 있다.
이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균주 분리 및 시료 준비
건강한 한국인(여성, 35세, BMI 23.3)의 분변으로부터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KCTC 13761BP)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이하 ‘EB-AMDK19’)는 25% 글리세롤, 0.05% 시스테인을 포함하고 있는 PBS 150 ㎕ 당 1×10 8 CFU의 농도로 제조하였다. 오를리스타트(Xenical, Orlistat 120 mg, Roche, USA)는 시중에 판매하는 것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동물실험 마우스 준비 및 모델 제작
동물실험은 동물실험윤리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IACUC)에 의해 승인된 프로토콜을 준수하여 실험하였다. 실험동물은 8 주령 수컷 마우스 C57BL을 구입하여 일주일 동안 22℃, 상대습도 40~60%, 12시간 명암주기 환경에서 적응기간을 가졌다. 그 후, 12주간 실험을 하였다. 실험 동물은 무작위로 9마리를 한 그룹으로 하여 하기 표 1과 같이 5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정상 식이 그룹인 실험군 Ⅰ은 10% fat 사료를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실험군 Ⅰ 외 다른 실험군들은 고지방 사료(60 kcal fat; Research Diets Inc. NJ, USA)를 섭취하도록 하였고, 음용수는 모든 실험군이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실험군 Ⅲ은 오를리스타트 10 mg/kg(150 ㎕)를 매일 경구 투여하였다. 실험군 Ⅳ는 EB-AMDK19 생균을 1×10 8 CFU를, 실험군 Ⅴ는 EB-AMDK19 생균을 1×10 8 CFU를 150㎕을 경구 투여 후 오를리스타트 10 mg/kg 150㎕을 추가로 매일 경구 투여하였다. 또한, 투여에 따른 스트레스 등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실험군 Ⅰ 및 Ⅱ은 이와 동일한 양의 인산완충식염수(25% 글리세롤, 0.05% 시스테인/PBS)를 매일 경구 투여하였다.
실험군 Ⅰ 정상 식이 그룹
실험군 Ⅱ 실험식이 공급 비만 유도 그룹
실험군 Ⅲ 실험식이 공급 및 오를리스타트(10 mg/kg, 150 ㎕) 투여 그룹
실험군 Ⅳ 실험식이 공급 및 EB-AMDK19(생균 1×10 8 CFU) 투여 그룹
실험군 Ⅴ 실험식이 공급 및 EB-AMDK19(생균 1×10 8 CFU), 오를리스타트(10 mg/kg, 150 ㎕) 투여 그룹
실시예 3. 체중 및 먹이섭취 변화 확인
12주간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식이 및 투여하면서 매 주마다 각 실험군의 체중 및 체지방을 측정하였고, 12주 후 체지방 증가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고지방 사료만 섭취한 비만 유도 그룹 대비 오를리스타트와 EB-AMDK19 균주 투여 그룹, EB-AMDK19 균주 투여 그룹, 오를리스타트 투여 그룹에서 체중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오를리스타트 및 EB-AMDK19 균주 투여 그룹은 12주 후 무게 증가율이 오를리스타트 또는 EB-AMDK19 균주 단독 투여 그룹의 무게 증가율 대비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반면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각 그룹의 먹이섭취량은 정상 식이 그룹이 다른 그룹 대비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섭취한 칼로리는 정상 식이 그룹 대비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다른 그룹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오를리스타트 및 EB-AMDK19 균주 병용 투여하였을 때, 먹이섭취량 또는 섭취 칼로리 대비 무게 증가율이 감소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조직 및 체지방 무게 변화
12주 후 실험 종료시에 CO 2로 마취한 상태에서 간, 비장, 장간막 지방, 피하지방을 적출하여 생리 식염수로 세척하고 수분을 제거한 후 중량을 측정하였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상 식이 그룹의 간 조직 무게 대비 비만 유도 그룹의 간 조직 무게가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비만 유도 그룹과 같이 고지방식이를 섭취하였으나 오를리스타트, EB-AMDK19 균주, 오를리스타트 및 EB-AMKD19 균주를 투여한 그룹에서는 비만 유도 그룹 대비 간 조직 무게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상 식이 그룹의 비장 조직 무게 대비 비만 유도 그룹의 비장 조직 무게가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고지방식이를 섭취하고 오를리스타트를 투여한 그룹은 비만 유도 그룹 대비 미세하게 감소하였으나 유의미하게 감소가 아님을 확인하였다. 반면, 비만 유도 그룹과 같이 고지방식이를 섭취하였으나 EB-AMDK19 균주, 오를리스타트 및 EB-AMKD19 균주를 투여한 그룹에서는 비만 유도 그룹 대비 비장 조직 무게가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상 식이 그룹의 장간막 지방 및 피하지방 무게 대비 비만유도 그룹의 장간막 지방 및 피하지방 무게가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고지방식이를 섭취하고 오를리스타트를 투여한 그룹은 비만 유도 그룹 대비 미세하게 감소하였으나 유의미하게 감소가 아님을 확인하였다. 반면, 비만 유도 그룹과 같이 고지방식이를 섭취하였으나 EB-AMDK19 균주, 오를리스타트 및 EB-AMKD19 균주를 투여한 그룹에서는 비만 유도 그룹 대비 장간막 지방 및 피하지방 무게가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EB-AMDK19 균주 단독 투여 그룹보다 오를리스타트 및 EB-AMKD19 균주를 투여한 그룹에서 더 현저히 장간막 지방 및 피하지방의 무게를 감소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내당능변화 측정
아커마시아 뮤니시필라 EB-AMDK19 균주의 투여가 내당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 수행 12주 후 마우스를 18시간 금식시키고 포도당(Glucose 2 g/kg)을 경구로 투여하였다. 포도당 투여 직전과 투여 후 30, 60, 90 및 120분 후에 꼬리 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혈당을 혈당측정기로 측정하였다.
도 6 및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포도당 투여 30분 후 모든 투여 그룹에서 비만 유도 그룹보다 혈당량의 증가량 및 수치가 낮았으며, 그 중 오를리스타트 투여 그룹과 오를리스타트 및 EB-AMKD19 균주를 투여한 그룹에서는 정상 그룹과 비슷할 정도로 유의미하게 혈당량 수치가 낮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혈중 지질생화학적 지표 분석
상기 실시예 5에서 18시간 금식시킨 후, 각 실험동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고 혈청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혈청(plasma)으로 인슐린(insulin) 수치와 간 기능 지표인 GPT(glutamic pyruvic transaminase)를 측정하였다. 인슐린 농도는 인슐린 ELISA 키트(Morinaga,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GPT 농도는 아산제약에서 구입한 개별 측정 키트를 사용하여 정량 하였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만 유도 그룹에서는 정상 그룹 대비 인슐린 수치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고, 그 외 실험 그룹인 오를리스타트, EB-AMDK19 균주, 오를리스타트 및 EB-AMKD19 균주를 투여한 그룹은 인슐린 수치가 정상 그룹 수치까지 현저히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만 유도 그룹에서는 정상 그룹 대비 GPT 수치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오를리스타트, EB-AMDK19 균주, 오를리스타트 및 EB-AMKD19 균주를 투여한 그룹은 정상 그룹의 수치보다 더 적은 수치까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간 내 지질생화학적 지표 분석
모든 실험을 마치고, 마우스에서 간을 적출한 후, 간 내 중성지방(Triglyceride: TG) 및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TC)의 수치를 분석하였다. 간조직 30 mg에 120 ㎕의 PBS를 넣고,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분쇄 후, 클로로포름 320 ㎕와 메탄올 160 ㎕를 넣어 혼합물을 만들었다. 상기 혼합물을 상온에서 하룻동안 쉐이킹 인큐베이터로 섞어준 후 2000 rpm으로 원심분리하고 상층액만 따로 분리하여 용매를 증발시켰다. 그 후 상기 용매를 증발시킨 상층액을 1 ㎖의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로 녹인 후, TG, TC 측정키트(아산제약, 한국)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상 그룹 대비 비만 유도 그룹에서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오를리스타트, EB-AMDK19 균주, 오를리스타트 및 EB-AMKD19 균주를 투여한 그룹은 비만 유도 그룹 대비 유의미한 정도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간에서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농도가 오를리스타트 및 EB-AMKD19 균주 투여 그룹에서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오를리스타트 및 EB-AMKD19 균주 투여가 간세포 손상을 감소시키고 비만 치료를 위한 당과 지질대사를 개선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간 내 항비만 및 염증 지표 분석
간에서의 지방증 관련 단백질 발현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하기 표 2의 프라이머로 실시간 PCR을 진행하여 지방간 관련 매개체인 LPL의 mRNA 발현을 분석하였다. RNA는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TRI 시약(Sigma, USA)을 이용하여 세포 단층으로부터 추출하고, cDNA는 M-MLV cDNA 합성 키트(Enzynomics, Korea)를 이용하여 1 ㎍의 총 RNA로부터 합성하였다. PCR은 Quant Studio 3 real time PCR system(Applied Biosystems, USA)로 pre-incubation(for UDG)은 50℃에서 4분, 95℃에서 10분, 그리고 40 싸이클은 95℃에서 15초, 60℃에서 1분으로 수행하였다. 이후 데이터는 QuantStudio Design & Analysis Software v1.4.3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delta CT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서열번호 타깃 프라이머 서열
서열번호 1 LPL F: 5’-CTC TGT ATG GCA CAG TGG CT-3’
서열번호 2 LPL R: 5’-TCC ACC TCC GTG TAA ATC AA-3’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만 유도 그룹에서는 정상 그룹 대비 지방세포 분화 관련 인자인 LPL이 높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만 유도 그룹 외 모든 실험 그룹에서는 정상 그룹만큼 지방세포 분화 관련 인자들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오를리스타트 및 EB-AMDK19 균주 투여 그룹이 다른 그룹에 비해 LPL 발현을 더욱 감소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간 내 지방 축적의 정도와 섬유화 정도를 보기 위하여, 적출한 간을 약 5 μm로 조직 절편으로 만든 후 파라핀으로 포매하고 hematoxtlin & eosin(H&E) 또는 시리어스 레드(Sirius Red)염색을 통해 형태학적 변화의 차이를 관찰하였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만 유도 그룹에서는 정상 그룹 대비 지방 세포의 개수가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지방 세포의 크기도 다양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오를리스타트 투여 그룹의 경우에는 지방 세포 개수는 감소하였으나, 지방 세포의 크기가 정상군 대비 큰 것을 확인하였다. EB-AMDK19 균주 투여 그룹의 경우에는 비만 유도 그룹 대비 지방 세포의 크기나 수가 감소하였으나, 지방 세포의 크기가 정상 식이 그룹 대비 큰 것들이 관찰되었다. 반면, 오를리스타트 및 EB-AMDK19 균주를 병용 투여한 그룹의 경우 정상 식이 그룹과 유사하게 지방 세포의 개수나 크기가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다.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만 유도 그룹에서는 섬유화가 증가되는 반면, 오를리스타트 투여 그룹, EB-AMDK19 투여 그룹에서는 비만 유도 그룹 대비 섬유화 정도가 감소되었다. 또한, 오를리스타트 및 EB-AMDK19 균주를 병용 투여한 그룹의 경우, 오를리스타트 또는 EB-AMDK19 단독 투여 그룹 대비 더 현저히 섬유화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9. 대장 내 항염증 지표 분석
대장에서의 염증 관련 단백질 발현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하기 표 3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실시간 PCR을 진행하였다. 대장의 염증 관련 매개체 IL-6, TLR2, TLR4를 확인하였다.
서열번호 타깃 프라이머 서열
서열번호 3 IL-6 F: 5'-TCC TAC CCC AAT TTC CAA TGC-3’
서열번호 4 IL-6 R: 5'-CAT AAC GCA CTA GGT TTG CCG-3’
서열번호 5 TLR2 F: 5'-AAG GAG GTG CGG ACT GTT TC-3’
서열번호 6 TLR2 R: 5'-GAG CCA AAG AGC TCG TAG C-3’
서열번호 7 TLR4 F: 5'-CCT CTG CCT TCA CTA CAG AGA CTT T-3’
서열번호 8 TLR4 R: 5'-TGT GGA AGC CTT CCT GGA TG-3’
도 14 내지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만 유도 그룹이 정상 그룹 대비 염증인자인 IL-6, TLR2, TLR4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그 외 모든 실험 그룹에서는 비만 유도 그룹 대비 염증 인자의 발현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오를리스타트 및 EB-AMDK19 균주 투여 그룹이 오를리스타트 또는 EB-AMDK19 균주 투여 그룹보다 더욱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0. 오를리스타트 약물 부작용 예방 효과 확인
실시예 10-1. 대장 및 소장의 장내 모양 변화 확인
오를리스타트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중 복부 팽만감, 기름변, 대변절박, 대변실금, 장내 출혈 등의 완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실험 그룹 마우스의 대장과 소장 조직을 분리하여 장 모양을 관찰하였다.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를리스타트를 투여한 그룹 외 모든 그룹에서 장내 출혈 또는 장내 팽창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오를리스타트를 투여한 그룹에서는 묽은 변과 장내 팽창이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EB-AMDK19 균주 투여 그룹은 장내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오를리스타트 및 EB-AMDK19 균주 투여 그룹에서도 묽은 변 및 장내 팽창이 관찰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오를리스타트 및 EB-AMDK19 균주 병용 투여시 오를리스타트의 부작용을 완화시켜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0-2. 분변 내 중성지방 함유량 측정
오를리스타트는 리파아제 작용을 억제하여 중성지방이 흡수되지 못하고 분변으로 배출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오를리스타트의 부작용 중 하나인 분변에서 보이는 지방변 완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실험 그룹 마우스에서 24시간 동안 관찰되는 분변에서의 중성지방의 농도를 ELISA kit(아산제약, 한국)를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를리스타트 투여 그룹의 경우 분변 내의 중성지방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외 모든 그룹에서 분변 내 중성지방이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EB-AMDK19 균주는 분변의 중성지방 감소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과 오를리스타트 및 EB-AMDK19 균주 투여 그룹에서는 오를리스타트의 부작용인 분변의 증가된 중성지방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실시예 10-3. 신장에서의 항염증 및 섬유화 지표 분석
오를리스타트가 신장에 미치는 부작용 완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신장의 절단면 면역조직화학법(IHC), Sirius red 염색법을 수행하여 신장염과 섬유화 정도를 관찰하였다. 마우스에서 분리한 신장 조직을 파라핀으로 포매하고, 약 5μm 조직 절편으로 만든 후 각각의 염색을 통해 형태학적 변화의 차이를 관찰하였다. 각각의 염색을 통한 신장 손상의 정도는 Image J 프로그램을 통해 백분율(%)로 환산하여 나타내었다.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를리스타트 투여 그룹에서는 염증이 높은 수치로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는 반면, 그 외 모든 그룹에서는 오를리스타트 투여 그룹 대비 감소된 수치를 확인하였다. 이는 고지방 식이 및 EB-AMDK19 균주 투여는 신장 내 염증 발생 유무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과 오를리스타트 및 EB-AMDK19 균주 병용 투여는 오를리스타트 부작용인 신장 내 염증의 정도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를리스타트를 투여한 그룹 외 모든 그룹에서는 신장의 섬유화가 적게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오를리스타트를 투여한 그룹에서는 신장에서의 섬유화가 넓게 나타났으며, EB-AMDK19 균주 투여 그룹과 오를리스타트 및 EB-AMDK19 균주 투여 그룹에서는 신장의 섬유화가 적은 면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신장 섬유화는 만성신부전증의 특징으로 옥산살칼슘(Calcium oxalate, CaOx)이 신장에 쌓여서 사구체를 손상시키고 섬유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통해, 오를리스타트를 복용하면 발생하는 부작용 중 하나인 신부전증을 오를리스타트 및 EB-AMDK19 균주의 병용 투여로 신장 섬유화를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오를리스타트(Orlistat) 및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Akkermansia muciniphila)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Akkermansia muciniphila)는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Akkermansia muciniphila) EB-AMDK19 균주인,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흡수 억제제의 부작용을 완화하는 것인,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부작용은 복부 팽만감, 지방변, 신장 내 염증, 신장 내 섬유화 중 하나 이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인,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오를리스타트(Orlistat) 및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Akkermansia muciniphila)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Akkermansia muciniphila)는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Akkermansia muciniphila) EB-AMDK19 균주인,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고지혈증, 지방간, 당뇨,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인,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오를리스타트(Orlistat) 및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Akkermansia muciniphila)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Akkermansia muciniphila)는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Akkermansia muciniphila) EB-AMDK19 균주인,
    염증성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대장염, 신장염, 간염인 것인,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CT/KR2020/018965 2020-12-18 2020-12-23 오를리스타트 및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2213142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825 2020-12-18
KR1020200178825A KR102271821B1 (ko) 2020-12-18 2020-12-18 오를리스타트 및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를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1428A1 true WO2022131428A1 (ko) 2022-06-23

Family

ID=76860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8965 WO2022131428A1 (ko) 2020-12-18 2020-12-23 오를리스타트 및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를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271821B1 (ko)
WO (1) WO20221314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65391A (zh) * 2024-03-27 2024-05-03 四川厌氧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嗜黏蛋白阿克曼氏菌Amuci-1及其用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49002B (zh) * 2022-06-08 2024-03-19 广州知易生物科技有限公司 嗜粘蛋白阿克曼菌在制备防治动脉粥样硬化的组合物中的应用
CN114832019A (zh) * 2022-06-08 2022-08-02 广州知易生物科技有限公司 嗜粘蛋白阿克曼菌在制备防治肥胖症的药物组合物中的应用、组合物及其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978A (ko) * 2000-07-28 2003-08-27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리파제 억제제 및 담즙산 격리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WO2010104242A1 (ko) * 2009-03-10 2010-09-16 주식회사 지니스 미생물을 이용한 비만 및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
KR20150133646A (ko) * 2014-05-20 2015-11-3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Akkermansia muciniphila 균에서 유래하는 세포밖 소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128287B1 (ko) * 2019-08-23 2020-06-30 주식회사 엔테로바이옴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 및 그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470B1 (ko) 2007-05-22 2014-09-16 한미사이언스 주식회사 오를리스타트 및 대변 연화제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978A (ko) * 2000-07-28 2003-08-27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리파제 억제제 및 담즙산 격리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WO2010104242A1 (ko) * 2009-03-10 2010-09-16 주식회사 지니스 미생물을 이용한 비만 및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
KR20150133646A (ko) * 2014-05-20 2015-11-3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Akkermansia muciniphila 균에서 유래하는 세포밖 소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128287B1 (ko) * 2019-08-23 2020-06-30 주식회사 엔테로바이옴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 및 그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LI KHAN RASHID, KAPUR PREM, JAIN ABHINAV, FARAH FARRUKH, BHANDARI UMA: "Effect of orlistat on periostin, adiponectin, inflammatory markers and ultrasound grades of fatty liver in obese NAFLD patients", THERAPEUTICS AND CLINICAL RISK MANAGEMENT, vol. 13, 1 January 2017 (2017-01-01), pages 139 - 149, XP055942567, DOI: 10.2147/TCRM.S124621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65391A (zh) * 2024-03-27 2024-05-03 四川厌氧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嗜黏蛋白阿克曼氏菌Amuci-1及其用途
CN117965391B (zh) * 2024-03-27 2024-06-07 四川厌氧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嗜黏蛋白阿克曼氏菌Amuci-1及其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278A (ko) 2022-06-27
KR102527917B1 (ko) 2023-05-02
KR102271821B1 (ko)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131428A1 (ko) 오를리스타트 및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1118976A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he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d the method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using the same
WO2018012834A1 (ko) 퇴행성 뇌질환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균주 및 이의 용도
WO2019199094A1 (ko)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신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WO2021137602A1 (ko)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5160213A1 (ko)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074213A1 (ko)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m1010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7183902A1 (ko) 인진, 지유 및 울금 추출물 및 항바이러스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195355A1 (ko) 필버톤의 신규한 용도
WO2013047958A1 (ko) 감귤과피 추출물 또는 나리루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저해 억제용 조성물 및 감귤과피로부터 나리루틴을 추출하는 방법
WO2023027317A1 (ko) 편도 중간엽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근육 감소 관련 질환 치료용 조성물
WO2017099509A1 (ko)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WO2021182913A1 (ko) 태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22075756A1 (ko) 베타-라파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담즙 정체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2139489A1 (ko) 알코올성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0074453A2 (ko) 잔틴 산화효소 저해효과 및 염증유발효소 저해효과가 있는 참당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풍 치료용 조성물
WO2021020923A1 (ko) 간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간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방법
WO2014007549A2 (ko) 에스-알릴-엘-시스테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의약제제
WO2018030650A1 (ko)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WO2019203555A1 (ko) Progranulin 단백질을 포함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5111971A1 (ko) Gpr119 리간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4136627A1 (ko) 나트륨 포도당 운반체-2 저해제 및 안지오텐신 ⅱ 수용체 차단제를 함유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2139487A1 (ko) 신규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19212202A1 (ko) 강황추출물 및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용 조성물
WO2022145512A1 (ko) 지방간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6608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6608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