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71750A1 - 증숙 장치 - Google Patents

증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71750A1
WO2022071750A1 PCT/KR2021/013335 KR2021013335W WO2022071750A1 WO 2022071750 A1 WO2022071750 A1 WO 2022071750A1 KR 2021013335 W KR2021013335 W KR 2021013335W WO 2022071750 A1 WO2022071750 A1 WO 202207175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ngle
nozzle
steam
nozzle unit
horizontal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333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종준
김종길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주)
Priority to US18/021,27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320513A1/en
Priority to EP21876025.4A priority patent/EP4223142A1/en
Priority to CN202180050719.4A priority patent/CN115884686A/zh
Priority to AU2021351595A priority patent/AU2021351595A1/en
Priority to JP2023513594A priority patent/JP7446520B2/ja
Publication of WO202207175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7175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05B1/202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comprising inserted outlet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 대상물을 운반하는 이송 장치의 측부에서 스팀을 분사함으로서, 스팀 투입량이 감소하고, 설비 운영 및 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증숙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증숙 장치
본 발명은 증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 대상물을 운반하는 이송 장치의 측부에서 스팀을 분사함으로서, 스팀 투입량이 감소할 수 있고, 설비 운영 및 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증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증숙 장치는, 예컨대 만두 등의 조리 대상물에 고온 고압의 스팀을 가하여, 조리 대상물을 조리/살균하는 장치이다. 조리 대상물은 증숙 장치 내에서 조리/살균된 후, 제품화될 수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증숙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증숙 장치의 분사 장치(2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증숙 장치는, 조리 대상물(K)을 운반하는 이송 장치(10), 조리 대상물(K)에 대해서 스팀을 제공하는 분사 장치(20), 및 본체프레임(30)을 포함한다.
이송 장치(10)는 네트(net) 형태로 구성된다.
분사 장치(20)는 배관과 노즐을 포함한다. 분사 장치(20)의 배관은 이송 장치(10)의 진행 방향과 나란한 중앙 배관(22)과, 중앙 배관(22)에서 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송 장치(10)의 진행 방향을 가로지르는 브랜치 배관(24)을 포함한다. 노즐(26)은 상기 브랜치 배관(24)에 구비된다.
본체프레임(30)은 고온 고압의 스팀을 견딜 수 있는 격납 용기로 구성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증숙 장치는, 이송 장치(10)(네트) 하부에 분사 장치(20)가 배치되었다. 상기 분사 장치(2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지형 배관으로 구성되며, 이송 장치(10) 하부의 전체 면적에 걸쳐서 배관과 노즐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증숙 장치에서는 화살표 L 와 같이 지면 방향으로 스팀이 분사된다. 상기 분사된 스팀은, 본체 프레임(30) 하부와 부딪힌 후 상승하며, 이송 장치(10) 상부에 위치하는 조리 대상물(K)과 접촉한다.
이에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증숙 장치에서는, 불필요한 설비방열 loss 가 발생하였다. 아울러, 노즐과 조리 대상물(K)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멀어서, 바닥 및 벽면으로 스팀이 분사되어 열손실이 발생하였다.
즉, 종래 기술에 의한 증숙 장치에서는, 스팀의 일부만이 조리 대상물(K)에 전달되며, 나머지는 설비/컨베이어 방열 loss, 배기 loss 형태로 손실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는 스팀의 투입 필요량이 증가하며 설비 운영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증숙 장치는, 이송 장치(10) 하부에 스팀 공급용 배관이 분포되므로, 조리 대상물(K)에서 발생한 유기물(유분, 고형물 등) 등이 낙하했을 때, 네트 하부에 위치하는 배관 및 노즐에 고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기물은 고온(99℃ 이상)에 의해서 탄화되고 잔존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이 막히거나, 탄화물로 인한 제품 오염 발생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노즐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제품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유기물을 주기적으로 청소하고 관리해야 한다. 이때, 기존의 증숙 장치는 네트 전역에 대응하는 범위에 배관이 분포되어 청소가 필요한 개소가 많았다. 또한, 배관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증숙 장치의 네트를 전부 분해하고, 청소 후 재조립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인력과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었다.
따라서, 스팀 투입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운영 및 관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증숙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조리 대상물을 운반하는 이송 장치의 측부에서 스팀을 분사함으로서, 스팀 투입량이 감소할 수 있고, 설비 운영 및 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증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숙 장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을 관통하며 조리 대상물을 운반하는 이송 장치; 상기 이송 장치의 양 측부에 위치하는 분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장치는, 상기 조리 대상물의 운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관부; 및 상기 배관부에 연결되어 스팀을 공급받고 외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부는, 상기 이송 장치의 외측에서 상기 이송 장치의 내측 방향으로 스팀을 분사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송 장치는, 복수 개의 이송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이송 라인은,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다층으로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송 라인은, 네트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배관부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이송 라인 사이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노즐부는, 복수 개이며, 상기 복수 개의 노즐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방향을 향해 스팀을 분사하고, 상기 복수 개의 노즐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방향을 향해 스팀을 분사하며, 상기 제1 방향과 수평면은 제1 사이각을 갖고, 상기 제2 방향과 수평면은 제2 사이각을 갖되, 상기 제1 사이각의 크기와 제2 사이각의 크기는 서로 상이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노즐부는, 복수 개이며, 각각의 상기 노즐부는 분사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노즐부 중 적어도 하나의 분사구는, 제1 방향을 향해 관통되고, 상기 복수 개의 노즐부 중, 적어도 하나의 분사구는, 제2 방향을 향해 관통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수평면은 제1 사이각을 갖고, 상기 제2 방향과 수평면은 제2 사이각을 갖되, 상기 제1 사이각의 크기와 제2 사이각의 크기는 서로 상이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노즐부는, 제1 노즐부, 제2 노즐부, 및 제3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노즐부는 제1 방향을 향해 스팀을 분사하고, 상기 제2 노즐부는 제2 방향을 향해 스팀을 분사하며, 상기 제3 노즐부는 제3 방향을 향해 스팀을 분사하며, 상기 제1 방향과 수평면은 제1 사이각을 갖고, 상기 제2 방향과 수평면은 제2 사이각을 가지며, 상기 제3 방향과 수평면은 제3 사이각을 갖고, 상기 제1 사이각, 제2 사이각, 및 제3 사이각의 크기는 서로 상이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노즐부는, 제1 노즐부, 제2 노즐부, 및 제3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노즐부는 제1 방향을 향해 관통되는 분사구를 갖고, 상기 제2 노즐부는 제2 방향을 향해 관통되는 분사구를 가지며, 상기 제3 노즐부는 제3 방향을 향해 관통되는 분사구를 갖고, 상기 제1 방향은 수평면에 대해서 하향된 제1 사이각을 갖고, 상기 제2 방향은 수평면에 대해서 하향된 제2 사이각을 가지며, 상기 제3 방향은 수평면에 대해서 하향된 제3 사이각을 갖고, 상기 제1 사이각, 제2 사이각, 및 제3 사이각의 크기는 서로 상이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사이각, 제2 사이각, 및 제3 사이각의 크기는 0° 내지 90°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노즐부는, 상기 제1 노즐부, 제2 노즐부, 및 제3 노즐부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노즐 어레이가 상기 배관부를 따라서 복수 개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증숙 장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증숙 장치에 비하여, 스팀 사용량 절감, 노즐 개수에 의한 관리 포인트 절감, 청소 시 분해 필요성 해소, 청소 시간 및 인력 감소 효과, 및 낙하 유기물에 의한 분사 장치 오염 방지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증숙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증숙 장치의 분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증숙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증숙 장치의 본체 프레임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증숙 장치의 분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도 3 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증숙 장치의 분사 장치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노즐부가 형성된 방향에서 배관부를 본 것이며, 도 8 은 도 7 의 X-X 방향에서 보았을 때, 각각의 노즐부의 형성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숙 장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을 관통하며 조리 대상물을 운반하는 이송 장치; 상기 이송 장치의 양 측부에 위치하는 분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장치는, 상기 조리 대상물의 운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관부; 및 상기 배관부에 연결되어 스팀을 공급받고 외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부는, 상기 이송 장치의 외측에서 상기 이송 장치의 내측 방향으로 스팀을 분사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증숙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증숙 장치의 본체프레임(100)의 외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증숙 장치의 분사 장치(3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도 3 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증숙 장치의 분사 장치(300)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증숙 장치는, 본체프레임(100); 상기 본체프레임(100)을 관통하며 조리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이송 장치(200); 및 상기 본체프레임(100) 내에 위치하며 상기 이송 장치(200)의 측부에 위치하는 분사 장치(300);를 포함한다.
본체프레임(100)은 내부 공간을 갖는 통체로 구성된다. 본체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은 고온 고압의 스팀이 충진되는 증숙 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다. 본체프레임(100)은 강도를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온 고압의 스팀이 본체프레임(100) 내부에 충진될 수 있다. 본체프레임(100)의 양 단부에는, 후술하는 이송 장치(200)가 관통할 수 있는 입구와 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본체프레임(100)의 구체적인 형상이 생략되었으며, 본체프레임(100)은 내부에서 이송 장치(200)가 이동 가능하고 고온 고압의 스팀이 충진될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가질 수 있다. 도 4 는 본체프레임(100)의 외관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단, 본체프레임(100)의 외관 및 구성은 도 4 에 도시된 바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체프레임(100)의 내부 구조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본체프레임(100)의 내부 구조는 통상의 기술자가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송 장치(200)는 본체프레임(100) 내에 위치한다. 이송 장치(200)는 상기 본체프레임(100)을 관통한다.
이송 장치(200)는 이송 장치(200) 상에 놓인 조리 대상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실시예에 의하면, 이송 장치(200)는 소정의 방향으로 진행하는 컨베이어 벨트 형태의 장치일 수 있다. 이송 장치(200)의 진행 방향은 도 3 및 도 5 의 화살표 F 와 같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송 장치(200)는, 이송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라인은 조리 대상물이 놓일 수 있는 소정의 벨트 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송 라인은, 네트일 수 있다. 즉, 네트 상에 조리 대상물이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조리 대상물의 위쪽 면 뿐만 아니라, 조리 대상물의 아래쪽 면도 스팀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효과적인 증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조리 대상물과 이송 라인 사이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조리 대상물이 이송 라인에 달라붙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송 라인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이송 라인은,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다층으로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이송 라인 상에 조리 대상물이 놓일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조리 대상물을 동시에 옮기며 증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분사 장치(300)는, 상기 조리 대상물의 운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관부(310); 및 상기 배관부(310)에 연결되어 스팀을 공급받고 외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노즐부(320);를 포함한다.
배관부(310)는 소정의 배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배관부(310)는 외부의 스팀 발생 장치와 연결되어 스팀을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스팀을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부(310)는 이송 장치(20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측부라 함은, 양 측방향 가장자리를 의미한다. 즉, 이송 장치(200)의 양 측방향 단부 부분에 배관부(310)가 위치하며, 이송 장치(200)에 의해서 운반되는 조리 대상물의 운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배관부(310)가 연장될 수 있다. 즉, 이송 장치(200)의 연장 방향(진행 방향)과 평행하게 배관부(310)가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 에서는, 이송 장치(200)의 양 측방향 가장자리의 내측에 배관부(310)가 위치하도록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에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이송 장치(200)의 양 측방향 가장자리보다 더 외측에 배관부(310)가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송 장치(200)의 양 측방향 가장자리와 겹쳐지게 배관부(310)가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이송 라인이 구비될 경우, 상기 배관부(310)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이송 라인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부(320)는, 상기 배관부(310)에 연결되는 소정의 노즐 장치이다. 노즐부(32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즉, 하나의 배관부(310)에 복수 개의 노즐부(32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6 내지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노즐부(320)는, 배관부(310)에 형성되는 통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의하면, 노즐부(320)는, 배관부(310)를 측면을 관통하며, 일정한 방향으로 관통 방향(지향각)을 갖는 통공 형태의 분사구로 구성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각의 노즐부(320)는 배관부(310)로부터 돌출되는 노즐 바디(322)와, 상기 노즐 바디(322)에 형성되는 분사구(324)를 구비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즉, 노즐부(320)의 구성은 한정하지 아니하며, 배관부(310)로부터 전달되는 스팀을 분사할 수 있는 수단이면 일체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노즐부(320)는 이송 장치(200)의 내측 방향으로 오픈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노즐부(320)는 상기 이송 장치(200)의 외측에서 상기 이송 장치(200)의 내측 방향으로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분사 장치(300)가 이송 장치(200)의 아래에 배치되며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스팀을 제공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증숙 장치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증숙 장치를 비교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증숙 장치의 효과는 아래와 같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분사 장치(300)를 구성하는 배관부(310), 및 노즐부(320)가 이송 장치(200)의 양 측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스팀이 이송 장치(200)의 좌우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분사되는 사이드 분사 방식으로 스팀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증숙 장치는, 본체프레임(100) 내부 공간의 습도, 온도가 스팀에 의해서 신속하게 상승하고, 불필요한 설비방열 loss 가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증숙 장치는, 또한, 스팀 투입량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에 의한 증숙 장치에 비해서 증숙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증숙 장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증숙 장치에 비해서 설비방열 loss 가 감소하고 스팀 투입량이 감소하므로, 동일한 양의 증숙 대상물을 증숙하기 위해서 필요한 배관과 노즐의 개수가 감소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증숙 장치는, 분사 장치(300)가 이송 장치(200)의 양 측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조리 대상물에서 각종 부산물(에컨대, 만두피/소 등에서 기인한 각종 유기물 등)이 발생하여 낙하할 경우에도, 상기 부산물이 분사 장치(300)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증숙 장치의 설비 운영, 관리비가 절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노즐부(32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즉, 하나의 배관부(310)에 복수 개의 노즐부(3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노즐부(320)는 서로 소정의 거리를 가지며 이격되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노즐부(320) 사이의 거리는 8.5 cm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노즐부(320)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방향을 향해 스팀을 분사하고, 상기 복수 개의 노즐부(320)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방향을 향해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방향과 수평면은 제1 사이각을 갖고, 상기 제2 방향과 수평면은 제2 사이각을 갖되, 상기 제1 사이각의 크기와 제2 사이각의 크기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수평면이란 지평면, 또는 이송 장치(200)의 상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달리 설명하면, 노즐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노즐부(320A)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노즐부(320B)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노즐부(320A)의 오픈 방향과 제2 노즐부(320B)의 오픈 방향은 서로 상이하다고 설명될 수 있다.
여기서, 오픈 방향이란, 노즐부(320)를 구성하는 통공의 관통 방향을 의미한다. 제1 노즐부(320A)와 제2 노즐부(320B)는, 오픈 방향이 서로 상이함으로서, 제1 노즐부(320A)에서 분사되는 스팀의 분사 방향과 제2 노즐부(320B)에서 분사되는 스팀의 분사 방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즉, 상기 노즐부(320)는 상기 스팀이 분사되는 분사 방향이 서로 상이한 노즐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노즐부(320A)와 제2 노즐부(320B)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다만 오픈 방향이 상이함으로서 구분되는 개념일 수 있다. 즉, 제1 노즐부(320A)와 제2 노즐부(320B)의 차이점은, 통공이 관통되는 관통 방향, 및 그에 의한 스팀의 분사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노즐부(320)가 소정의 방향으로 스팀을 분사한다 함은, 스팀이 특정한 방향 및 공간 범위 내에만 한정적으로 분사되는 것으로 한정하는 의미는 아니다. 본질적으로, 노즐부(320)에서 분사된 스팀은 확산되기 때문이다.
상기 실시예와 같이, 분사 방향이 서로 상이한 노즐부(320)가 구비됨으로서, 입체적인 스팀 제공이 가능해지며, 조리 대상물을 균일하게 증숙할 수 있다. 따라서, 증숙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도 6 내지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부(320)는, 제1 노즐부(320A), 제2 노즐부(320B), 및 제3 노즐부(320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은 도 3 의 A 의 확대도이며, 도 7 은 노즐부(320)가 형성된 방향에서 배관부(310)를 본 것이며, 도 8 은 도 7 의 X-X 방향에서 보았을 때, 각각의 노즐부(320)의 형성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노즐부(320A)는, 화살표 F1 과 같이 제1 방향(W1)을 향해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노즐부(320B)는 화살표 F2 와 같이 제2 방향(W2)을 향해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3 노즐부(320C)는 화살표 F3 과 같이 제3 방향(W3)을 향해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방향을 향해 스팀을 분사한다는 의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노즐부에 구비되는 분사구(324)의 방향이 특정 방향을 향하며, 해당 방향으로 스팀의 분사가 유도된다는 의미로 설명될 수 있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방향(W1)과 수평면(L)은 제1 사이각(A)을 갖고, 상기 제2 방향(W2)과 수평면(L)은 제2 사이각(B)을 가지며, 상기 제3 방향(W3)과 수평면(L)은 제3 사이각(C)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사이각(A), 제2 사이각(B), 및 제3 사이각(C)의 크기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노즐부(320)는, 적어도 3 개의 방향으로 분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입체적인 스팀 제공이 가능해지며, 조리 대상물을 균일하게 증숙할 수 있다. 따라서, 증숙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실시예와 같이 스팀의 분사 방향을 3 원화 할 경우, 이송 장치(200)의 좌측, 중간, 우측의 온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사이각(A), 제2 사이각(B), 및 제3 사이각(C)은, 각각 0 내지 90°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사이각(A), 제2 사이각(B), 및 제3 사이각(C)은, 각각 0°, 22.5°, 45° 일 수 있다.
단, 위에서 기재된 범위에 제한되지 않고, 각각의 사이각은 공정조건 등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사이각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면(L)을 기준으로 하여 하향된 각도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노즐부(320A)는 배관부(310)에서 비교적 멀리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는 조리 대상물(즉, 이송 라인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조리 대상물)에 대해 스팀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노즐부(320C)는 배관부(310)에서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조리 대상물(즉, 이송 라인의 외측에 위치하는 조리 대상물)에 대해 스팀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 라인 상에 위치하는 다수의 조리 대상물에 대해서 균일하게 증숙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노즐부(320)는, 상기 제1 노즐부(320A), 제2 노즐부(320B), 및 제3 노즐부(320C)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노즐 어레이(320L)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 어레이(320L)는 상기 배관부(310)를 따라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명한 균일하고 입체적인 스팀이 제공되며, 증숙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증숙 장치와 종래 기술에 의한 증숙 장치를 비교, 대조하면 아래와 같다.
종래 기술에 의한 증숙 장치는, 네트(이송 장치(10)) 하부에 스팀 공급용 배관(분사 장치(20))이 분포되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증숙 장치에서는 지면 방향으로 스팀이 분사되고, 분사된 스팀은 네트 하부와 부딪힌 후, 상승하여 네트 상부에 위치하는 조리 대상물과 접촉하였다. 아울러, 노즐과 조리 대상물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멀어서, 바닥 및 벽면으로 스팀이 분사되어 열손실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서, 불필요한 설비방열 loss 가 발생하며 스팀 투입량이 증가하였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증숙 장치는, 이송 장치(200) 양 측에 분사 장치(300)의 배관부(310)가 설치되며, 배관부(310)는 이송 장치(200)의 진행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증숙 장치에서는 이송 장치(200)의 양 측으로부터 스팀이 분사되어, 분사된 스팀이 조리 대상물과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설비방열 loss 가 감소하고 스팀 투입량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증숙 장치는, 스팀을 분사하는 노즐부(320)의 각도가 수평면으로부터 소정의 사이각(일 실시예에 의하면, 0°, 22.5°, 45°)을 가지며, 노즐부(320)가 서로 소정의 거리(일 실시예에 의하면 8.5 cm)를 가짐으로서, 이송 장치(200) 좌측, 우측, 중앙부에 분사되는 스팀의 편차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스팀의 원단위가 기존 사용량 대비 약 15~20% 절감 될 수 있다. 여기서, 스팀의 원단위라 함은, 증숙 대상물 1 톤당 필요한 스팀의 kg 량을 의미한다.
즉, 종래 기술에 의한 증숙 장치의 스팀의 원단위는 837.11kg/ton 인 데 반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증숙 장치의 스팀의 원단위는 약 697.74kg/ton 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증숙 장치는 스팀량이 절감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설정온도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스팀의 사용량이, 기존의 배관 구조를 갖는 분사 장치(20)를 사용하는 증숙 장치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한 분사 장치(300)를 포함하는 증숙 장치에서는 약 16%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증숙 장치는, 노즐부(320)의 개수가 줄어들면서 증숙 장치의 운영, 관리의 용이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증숙 장치는, 네트(이송 장치(10)) 하부에 스팀 공급용 배관이 분포되므로, 조리 대상물에서 발생한 유기물 등이 낙하했을 때, 네트 하부의 배관 및 노즐에 고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기물은 고온(99℃ 이상)에 의해서 탄화되고 잔존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제품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유기물을 주기적으로 청소하고 관리해야 한다. 이때, 기존의 증숙 장치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 전역에 대응하는 범위에 배관이 분포되어 청소가 필요한 개소가 많았다. 또한, 배관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증숙 장치의 네트를 분해하고, 청소 후 재조립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인력과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증숙 장치는, 배관부(310) 및 노즐부(320)가 이송 장치(200)의 하부가 아닌 좌우에 위치한다. 따라서, 배관부(310) 및 노즐부(320)에 쌓이는 유기물이 없거나, 또는 유기물의 양이 대폭 감소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증숙 장치는, 청소 시, 이송 장치(200)를 분해할 필요 없이 이송 장치(200)의 좌우에 있는 배관부(310), 노즐부(320)만 청소하면 되기 때문에 청소에 필요한 인력과 시간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아래 표 1 은 종래 기술 대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증숙 장치의 효과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구분 종래 기술(분사 장치(300) 개선 전) 실시예(분사 장치(300) 개선 후) 효과
스팀 사용량 1,350 KG/HR 1,134 KG/HR 16% 개선
관리 포인트(배관 길이/노즐 개수) 133 m / 968개 25 m/ 344개 청소 필요 개소 감소, 낙하 유기물에 의한 오염 개선
청소 방법 이송 장치(10) 분해 후 청소 (10 명, 24 hr) 즉시 청소 (4명, 4 hr) 97% 개선
위 표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증숙 장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증숙 장치에 비하여, 스팀 사용량 절감, 노즐 개수에 의한 관리 포인트 절감, 청소 시 분해 필요성 해소, 청소 시간 및 인력 감소 효과, 및 낙하 유기물에 의한 분사 장치(300) 오염 방지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6)

  1.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을 관통하며 조리 대상물을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장치;
    상기 이송 장치의 양 측부에 위치하는 분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장치는,
    상기 조리 대상물의 운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관부; 및
    상기 배관부에 연결되어 스팀을 공급받고 외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부는, 상기 이송 장치의 외측에서 상기 이송 장치의 내측 방향으로 스팀을 분사하고,
    상기 이송 장치는,
    복수 개의 이송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이송 라인은,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다층으로 배열되며,
    상기 배관부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이송 라인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노즐부는 복수 개이며,
    상기 복수 개의 노즐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방향을 향해 스팀을 분사하고,
    상기 복수 개의 노즐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방향을 향해 스팀을 분사하며,
    상기 제1 방향과 수평면은 제1 사이각을 갖고, 상기 제2 방향과 수평면은 제2 사이각을 갖되,
    상기 제1 사이각의 크기와 제2 사이각의 크기는 서로 상이한 증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복수 개이며,
    각각의 상기 노즐부는 분사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노즐부 중 적어도 하나의 분사구는, 제1 방향을 향해 관통되고,
    상기 복수 개의 노즐부 중, 적어도 하나의 분사구는, 제2 방향을 향해 관통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수평면은 제1 사이각을 갖고, 상기 제2 방향과 수평면은 제2 사이각을 갖되,
    상기 제1 사이각의 크기와 제2 사이각의 크기는 서로 상이한 증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제1 노즐부, 제2 노즐부, 및 제3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노즐부는 제1 방향을 향해 스팀을 분사하고,
    상기 제2 노즐부는 제2 방향을 향해 스팀을 분사하며,
    상기 제3 노즐부는 제3 방향을 향해 스팀을 분사하며,
    상기 제1 방향과 수평면은 제1 사이각을 갖고, 상기 제2 방향과 수평면은 제2 사이각을 가지며, 상기 제3 방향과 수평면은 제3 사이각을 갖고,
    상기 제1 사이각, 제2 사이각, 및 제3 사이각의 크기는 서로 상이한 증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제1 노즐부, 제2 노즐부, 및 제3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노즐부는 제1 방향을 향해 관통되는 분사구를 갖고,
    상기 제2 노즐부는 제2 방향을 향해 관통되는 분사구를 가지며,
    상기 제3 노즐부는 제3 방향을 향해 관통되는 분사구를 갖고,
    상기 제1 방향은 수평면에 대해서 하향된 제1 사이각을 갖고,
    상기 제2 방향은 수평면에 대해서 하향된 제2 사이각을 가지며,
    상기 제3 방향은 수평면에 대해서 하향된 제3 사이각을 갖고,
    상기 제1 사이각, 제2 사이각, 및 제3 사이각의 크기는 서로 상이한 증숙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각, 제2 사이각, 및 제3 사이각의 크기는,
    0°내지 90° 인 증숙 장치.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제1 노즐부, 제2 노즐부, 및 제3 노즐부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노즐 어레이가 상기 배관부를 따라서 반복적으로 구비되는 증숙 장치.
PCT/KR2021/013335 2020-09-29 2021-09-29 증숙 장치 WO2022071750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021,273 US20230320513A1 (en) 2020-09-29 2021-09-29 Steaming apparatus
EP21876025.4A EP4223142A1 (en) 2020-09-29 2021-09-29 Steaming apparatus
CN202180050719.4A CN115884686A (zh) 2020-09-29 2021-09-29 汽蒸装置
AU2021351595A AU2021351595A1 (en) 2020-09-29 2021-09-29 Steaming apparatus
JP2023513594A JP7446520B2 (ja) 2020-09-29 2021-09-29 蒸し調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549 2020-09-29
KR1020200127549A KR102335272B1 (ko) 2020-09-29 2020-09-29 증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71750A1 true WO2022071750A1 (ko) 2022-04-07

Family

ID=78866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3335 WO2022071750A1 (ko) 2020-09-29 2021-09-29 증숙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320513A1 (ko)
EP (1) EP4223142A1 (ko)
JP (1) JP7446520B2 (ko)
KR (1) KR102335272B1 (ko)
CN (1) CN115884686A (ko)
AU (1) AU2021351595A1 (ko)
WO (1) WO202207175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4482A (ja) * 2000-07-28 2002-02-05 Fuji Seisakusho:Kk 麺の糊化装置
JP2007029509A (ja) * 2005-07-28 2007-02-08 Sanden Corp 蒸気噴出ノズル
KR20100045786A (ko) * 2008-10-24 2010-05-04 예인해 어묵제조장치
JP2016127904A (ja) * 2015-01-09 2016-07-14 高技工業株式会社 ラック
KR20200016645A (ko) * 2018-08-07 2020-02-17 (주)한솔기계 만두의 후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3791B2 (ja) * 2001-11-30 2007-06-06 英治 村田 蒸し装置
KR101434754B1 (ko) * 2012-12-07 2014-08-29 김상호 전기 스팀기
KR20170056738A (ko) * 2015-11-13 2017-05-24 심동복 즉석식품 조리장치의 사이클론 분사식 스팀노즐
KR101732846B1 (ko) 2016-03-16 2017-05-04 주식회사 에프시이엔지 만두 증숙장치
KR20200033827A (ko) * 2020-03-19 2020-03-30 (주)한솔기계 만두의 후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4482A (ja) * 2000-07-28 2002-02-05 Fuji Seisakusho:Kk 麺の糊化装置
JP2007029509A (ja) * 2005-07-28 2007-02-08 Sanden Corp 蒸気噴出ノズル
KR20100045786A (ko) * 2008-10-24 2010-05-04 예인해 어묵제조장치
JP2016127904A (ja) * 2015-01-09 2016-07-14 高技工業株式会社 ラック
KR20200016645A (ko) * 2018-08-07 2020-02-17 (주)한솔기계 만두의 후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5272B1 (ko) 2021-12-03
EP4223142A1 (en) 2023-08-09
JP2023540048A (ja) 2023-09-21
US20230320513A1 (en) 2023-10-12
CN115884686A (zh) 2023-03-31
JP7446520B2 (ja) 2024-03-08
AU2021351595A1 (en) 2023-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71750A1 (ko) 증숙 장치
CN110478244B (zh) 一种自动化白芍加工生产线
WO2015102366A1 (ko) 즉석밥 제조 장치 및 즉석밥 제조 방법
US4403425A (en) Apparatus for drying and smoothing articles of clothing
WO2016175531A1 (ko) 토양살균장치
CN207626360U (zh) 一种层叠式蛋鸡笼捡蛋机
DK0765112T3 (da) Skadedyrskontrollerende apparatur til anvendelse i staldbygninger
WO2020017899A1 (ko) 공기 건조 장치
CN111731796A (zh) 一种高低压开关柜配件生产加工用半自动激光送料机
JPS5575800A (en) Drying method of sludge using plurality of sludge drying tank and unit therefor
WO2018194200A1 (ko) 양파 탈피기 및 상기 양파 탈피기를 구성하는 양파 탈피 부재
CN211282792U (zh) 一种零件分流传输装置
EP3329199A1 (en) Drying apparatus for ceramic products
WO2020241967A1 (ko) 양파 탈피 유닛 및 상기 양파 탈피 유닛을 포함하는 농산물 종합 탈피기
DE878307C (de) Geraet zur Bildung von Wassergassen bei der Brandloeschung
WO1989011923A1 (en) Apparatus for washing oriented stoppers in a closed environment
WO2022108059A1 (ko) 제자리세정이 가능한 식품 처리 시스템 및 그 세척방법
WO2019103323A1 (ko) 캐비테이션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강판 이물 제거 장치
CN110241299A (zh) 螺母热处理装置
KR20010095867A (ko) 분사노즐을 이용한 부품의 소제장치
CN216392939U (zh) 一种蛋黄免疫球蛋白粉制备前期用鸡蛋壳消毒机
CN212767927U (zh) 一种烟梗料仓储存系统
CN213022556U (zh) 一种用于土壤检测的干燥箱
CN220343236U (zh) 一种新型肉鸡清粪设备
DE2146883C3 (de) Heizeinrichtung für Backöf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760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513594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351595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210929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760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