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17899A1 - 공기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17899A1
WO2020017899A1 PCT/KR2019/008876 KR2019008876W WO2020017899A1 WO 2020017899 A1 WO2020017899 A1 WO 2020017899A1 KR 2019008876 W KR2019008876 W KR 2019008876W WO 2020017899 A1 WO2020017899 A1 WO 202001789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ir
wall
plate body
duc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887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문철
Original Assignee
김문철
이정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철, 이정덕 filed Critical 김문철
Publication of WO202001789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1789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7/0205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by contact of the material with fluids, e.g. drying gas or extracting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6B15/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drying apparatus used for drying agricultural products, aquatic products or livestock products.
  • agricultural products, aquatic products or livestock products are dried and processed by a dryer before they are packaged with packaging materials in order to prevent corruption in the packaging state, to extend the shelf life or to improve the merchandise.
  • the dryer is suitable for quickly removing the moisture from the produce, aquatic products or livestock products to reduce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produce, aquatic products or livestock products an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mold bacteria in the produce, aquatic products or livestock products by the moisture during the shelf life.
  • the dryer improves consumer's preference and purchase desire for packaged goods in the market when packaging agricultural products, fishery or livestock products, and guarantees a certain texture and safe storage within the expiration date to consumers for purchased goods at home.
  • the drye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392617 (referred to as 'prior art 1')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379849 (referred to as 'prior art 2').
  • the dryer includes a heat pump, a high frequency device, and an infrared lamp on a conveyor belt to infiltrate a high frequency into the dry object while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side the main body to dry the dry matter, or a roller
  • a near-infrared lamp, a hot air fan, and a circulation fan on the member are configured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 the inner body to circulate the air in the same shape from the inside of the inner body to the outside through both side walls of the inner body.
  • the dryer dries the article in a static or dynamic state from the point of view of air flow, but the article placed on the roller member because the air flows at a constant spe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inner body even in the dynamic state. It has a limit to drying in a short time.
  • the infrared lamp heats the air
  • the infrared lamp together with the heat pump or hot air fan, keeps the air temperature around the conveyor belt or roller member and thus does not induce air flow.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a conventional problem, and is sequentially stacked on a conveyor housing by using air flowing toward one side wall, an inner space and the other side wall of the conveyor housing, and a near-infrared lamp located inside the conveyor housing.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drying apparatus suitable for shortening the drying time of the workpieces seated on the individual conveyors in a plurality of conveyors, and for uniformly drying the dry items for each conveyo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housing. have.
  • An air drying apparatus comprises a working container including a conveyor housing; A conveyor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conveyors sequentially stacked inside the conveyor housing and two motors driving the plurality of conveyors outside the conveyor housing; And an air inlet duct, an exhaust duct and a blower duct communicating with the exhaust duct on the conveyor housing, the air discharge being communicated with the intake duct through the conveyor housing in the interior of the conveyor housing and located on an individual conveyor And an air circulation unit having air, wherein the intake duct and the blow duct supply external air to the conveyor housing through different air flow paths, and the exhaust duct is directed from the inside of the conveyor housing toward the outside.
  • the inside air It characterized in that with a vortex and the jet stream generated by.
  • the conveyor housing includes two control chambers and a plurality of drying chambers sequentially arranged between the two control chambers, wherein the two control chambers are located at the ceiling of the conveyor housing in the control chamber on one side of the interior of the conveyor housing.
  • the drying chamber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two control chambers.
  • Each control room defines an internal space that is the same size as each drying room, and checks the physical and electrical status of each conveyor and individual motors on the display monitor through image cameras and hall sensors, The rate of input of the penetrating article and the rate of discharge of the article accumulating in the collecting container are confirmed by a speed sensor on the display monitor, and a plurality of sensors related to humidity, temperature and wind strength in the respective drying chambers. Confirming to the display monitor through the image monitor, and confirming the arrangement of the objects on the individual conveyors in the respective drying chambers to the display monitor through an image camera. The dry item can be dried.
  • the individual drying chambers include a first heat insulating wall and an air inflow wall sequentially position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so as to surround the drying space at both sides of the drying space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 An air exhaust wall, a second heat insulating wall, and an air inlet wall sequentially positioned from one side to the one side, wherein the air inlet wall, the air inlet wall, and the air outlet wall have a tubular shape, and the air
  • the inlet wall and the air input wall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 the air inlet wall extends from the other side toward the one side at the upper side of the drying space to contact the air inlet wall, and the air inlet wall, the air inlet wall and the second heat insulation wall are in the drying space.
  • the air outlet wall may communicate with the drying space through the air inlet wall and the second heat insulating wall on the lower side of the drying space.
  • the air inlet wall, the air inlet wall and the air outlet wall respectively define an air inlet passage, an air inlet passage and an air outlet passage, and the air inlet wall communicates with the air ejector through the air inlet passage
  • the air inlet wall may include a plurality of air dispersion holes that open toward the area between the individual conveyor and the air ejector on the side facing the air inlet wall to expose the air inlet to the drying space.
  • the plurality of conveyors extends from the control chamber on one side to the control chamber on the other side via the plurality of drying chambers, and has both ends of the individual conveyors in the two control chambers, the top of which is directly below the feed container. And a bottom conveyor directly above the collection vessel.
  • the two motors are located at both sides of the conveyor housing, and are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control room on one side to belt-couple the odd-numbered or even-numbered conveyors of the plurality of conveyors through a first drive belt, and the other side. It is located on the ceiling of the control room of the belt coupled to the even or odd numbered conveyor through the second drive belt, it is possible to rotate two adjacent conveyors in different directions.
  • the intake duct includes an intake motor, an intake port and an intake tube, wherein the intake motor rotates an internal fan to flow the outside air from the intake port toward the intake pipe, and the intake tube is passed through the air inlet wall. It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ejector.
  • the exhaust duct includes an exhaust motor, an exhaust port and an exhaust pipe, wherein the exhaust motor rotates an internal fan to flow the internal air from the exhaust pipe toward the exhaust port, and the exhaust pipe communicates with the air exhaust wall. And a first diaphragm inclined toward the blowing duct near the blowing duct when viewed along the air passage, wherein the portion of the internal air is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ipe past the periphery of the first diaphragm to the exhaust opening. The remaining internal air may be transmitted to the blowing duct by hitting the first diaphragm in the exhaust pipe.
  • the blower duct includes a blower motor, a blower and a blower tube, the blower motor rotates an internal fan to flow external air from the blower toward the blower tube, and the blower tube communicates with the air inlet wall and the A second diaphragm is disposed between the conveyor housing and the exhaust pipe in the radial direction when viewed along an air passage, wherein the external air of the blower tube and the remaining internal air of the exhaust pipe are formed in the blower tube. The two sides of the second diaphragm may be transmitted to the air input wall.
  • the air ejector is made of stainless steel in a rectangular tube, the first plate body facing the air inlet wall and penetrated by a plurality of inlet holes, protruding from one edge of the first plate body, and the individual conveyors.
  • the first plate body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air inlet wall to communicate with the air inlet wall through the plurality of inlet holes, and introduce external air of the intake duct into the air ejector.
  • the second plate may have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on both sidewalls of the groove and around the groove, and inject the outside air of the intake duct toward the respective conveyor through the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 the near infrared lamps are one in the two regions. Can be arranged.
  • the near-infrared lamp has two adjacent two lamps.
  • the grooves may be disposed one by one and may be positioned in different areas alo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two grooves, or two may be disposed in the respective grooves and both may be located in the two areas.
  • the third plate body may be formed flat or different from the second plate body, and may have the same number of grooves as the second plate body, and shield the inside of the air ejector from the outside.
  • the two adjacent air ejectors and the air input wall form the vortex and the jet stream through the second plate body of one air ejector, the third plate body of the other air ejector, and the air distribution holes of the air input wall.
  • Said vortex reaches external air on said second plate body of said one air ejector, starting from said intake duct, and through said injection holes at both side walls of the groove of said second plate body, said outside of said intake duct A first vortex generated by the collision of streams of air;
  • the air input wall forms a mixed air by mixing a flow line of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the injection holes around the groove of the second plate body with the external air of the blowing duct and the remaining internal air of the exhaust duct in the air input wall to form a mixed air.
  • the jet stream reaches outside air on the second plate body of the one air ejector, starting from the intake duct, to pass through the injection holes around both sidewalls of the groove of the second plate body and around the groove.
  • the remaining internal air of the exhaust duct may be heated to be located between the hot zones that occur from the cold zones to the third plate body of the remaining air ejectors.
  • the flow power of the jet stream combines the velocity of the outside air passing through the injection holes around the groove of the second plate body with the outside air of the blower duct and the remaining inside air of the exhaust duct in the air input wall. It can be obtained by the vector sum or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velocity of the mixed air passing through the air dispersion hole of the air input wall by forming the mixed air.
  • the air inlet duct is provided on the individual conveyors in the intake duct, the exhaust duct and the blowing duct, which are located on the ceiling of the individual drying chambers in the conveyor housing, and the plurality of conveyors sequentially stacked inside the individual drying chambers.
  • the present invention by supplying the outside air of the intake duct to the air ejector through one side wall of the conveyor housing, injects the outside air of the intake duct from both side walls of the groove of the air ejector and the groove surrounding, and blows air from the other side wall of the conveyor housing While mixing some of the air inside the exhaust duct with the outside air of the duct and mixing air from the other side wall into the conveyor housing, vortices are formed on both sidewalls of the groove of the air ejector and around the groove to form individual vortices.
  • the dry item seated on the conveyor can be dried quickly.
  • the present invention when viewed from two adjacent air ejectors, injects outside air of the intake duct provided from one side wall of the conveyor housing through one (or upper side) air ejector and is located directly below one air ejector.
  • the cold zone and the near-infrared lamp located in the groove of one air ejector to heat the outside air supplied from the intake duct and the mixed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duct and the exhaust duct on each conveyor.
  • the jet zone is formed between the cold zone and the hot zone by using the hot zone located between the air ejectors, so that the air temperature and air volume of the hot zone under the jet stream are fixed on the individual conveyor.
  • the dried object can be dried appropriately.
  •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temperature zone, a jet stream and a low temperature zone which are sequentially stacked between one (or upper side) air ejector and the other (or lower side) air ejector when viewed from two adjacent air ejectors.
  • Controllers by a vector sum or difference of the outside air velocity of the intake duct injected from around the groove in one air ejector and the mixed air velocity of the blow duct and the cut duct injected from the other side wall of the conveyor housing to one side wall
  • the flow power can be applied to make the humidity and temperature around the individual conveyors constant so that the drying of the dry goods seated on the individual conveyors can be unifor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housing.
  •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utside of the air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air drying apparatus of FIG.
  • FIG. 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intake duct, an exhaust duct, and a ventilation duct positioned on the ceiling of each drying chamber in the air drying apparatus of FIG. 1.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lurality of conveyors of FIG. 2.
  •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ir ejector positioned on individual conveyors for each drying chamber of FIG. 2.
  •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air ejector of FIG. 5.
  •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air ejector of FIG. 5.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drying apparatus of FIG. 1;
  • 9 to 12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ir drying apparatus of FIG.
  •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utside of the air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air drying apparatus of FIG.
  • FIG. 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intake duct, an exhaust duct, and a ventilation duct positioned on a ceiling of each drying chamber in the air drying apparatus of FIG. 1, and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lurality of conveyors of FIG. 2.
  •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ir ejector located on an individual conveyor for each drying chamber of FIG. 2, and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air ejector of FIG. 5.
  •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air ejector of FIG. 5,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drying apparatus of FIG. 1.
  • the air drying apparatus 290 includes a working container 70, a conveyor unit 150, and an air circulation unit 280.
  • the working container 70 includes a conveyor housing (60).
  • the conveyor unit 150 includes a plurality of conveyors 80, 90, 100, 110, 120 sequentially stacked inside the conveyor housing 60 and a plurality of conveyors 80, 90, outside the conveyor housing 60.
  • the individual conveyors 80, 90, 100, 110 or 120 may include a conveyor belt (B) and a plurality of rollers (R) of the mesh shape (M).
  • the air circulation unit 280 has an intake duct 170, an exhaust duct 190 and a blower duct 210 in communication with the exhaust duct 190 on the conveyor housing 60, and the interior of the conveyor housing 60. And an air ejector 230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ake duct 170 via the conveyor housing 60 and located on the individual conveyors 80, 90, 100, 110 or 120.
  • the intake duct 170 and the blower duct 210 supply external air to the conveyor housing 60 through different air flow paths, and the exhaust duct 190 passes from the inside of the conveyor housing 60 to the outside. During the transfer of the internal air of 60, some of the internal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hile the remaining internal air is resupplied to the conveyor housing 60.
  • the conveyor housing 60 is a vortex (T1, T2 of FIGS. 11 and 12) generated through the outside air and the internal air between the individual conveyors 80, 90, 100, 110 or 120 and the air ejector 230. , T3) and a jet stream (J in FIG. 11).
  • the working container 70, the conveyor unit 150, and the air circulation unit 280 will hereinafter be described again, and the conveyor housing 60 includes two control rooms 10, 20, and two 1 includes a plurality of drying chambers 30 sequentially arranged between the control chambers 10 and 20.
  • the two control chambers 10 and 20 are positioned at the ceiling of the conveyor housing 60 in the control chamber 10 on one side, and the input of a dry object (300 of FIG. 12) exposing the inside of the conveyor housing 60 to the outside.
  • the container 44 and the collection container 48 of the to-be-dried object 300 which are positioned diagonally with the input container 20 in the control room 20 on the other side and protrude outward from the bottom of the conveyor housing 60 are shown. Include as shown in 2.
  • the individual control chambers 10 or 20 define an interior space of the same size as the individual drying chambers 30, and the individual conveyors 80, 90, 100, 110 or 120 and the individual motors 130 or 140.
  • the individual control room 10 or 20 checks the display monitor through a plurality of sensors (not shown) related to humidity, temperature and wind strength in the individual drying room 30, and the individual drying room ( At 30), the arrangement of the object 300 on the individual conveyors 80, 90, 100, 110 or 120 is confirmed by the display monitor through an image camera (not shown).
  • the plurality of drying chambers 30 communicate with two control chambers 10 and 20.
  • the individual drying chambers 30 dry the dry matter (300 in FIG. 12) on individual conveyors 80, 90, 100, 110 or 120.
  • the respective drying chambers 30 are sequentially insulat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so as to surround the drying space 53 at both sides of the drying space 53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 a wall 51, an air inlet wall 52, and an air discharge wall 56, a second heat insulation wall 57 and an air input wall 59 which are sequentially positioned toward one side from the other side are illustrated. Include as shown in 8.
  • the air inlet wall 52, the air outlet wall 56 and the air inlet wall 59 are tubular in shape, and the air inlet wall 52 and the air inlet wall 59 are made of stainless steel.
  • the air input wall 59 extends from the other side toward the one side at the upper side of the drying space 53 to contact the air inflow wall 52.
  • the air inflow wall 52, the second heat insulation wall 57 and the air input wall 59 ar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respective drying chamber 30 on the lower side of the drying space 53.
  • the air discharge wall 52 communicates with the drying space 53 through the second heat insulating wall 57 and the air input wall 59 on the lower side of the drying space 53.
  • the air inlet wall 52, the air outlet wall 56 and the air inlet wall 59 define an air inlet 52A, an air outlet 56A and an air inlet 59A, respectively.
  • the air inlet wall 52 communicates with the air ejector 230 through the air inlet passage 52A.
  • the air inlet wall 59 is opened toward the area between the individual conveyors 80, 90, 100, 110 or 120 and the air ejector 230 on the side facing the air inlet wall 52 to form a drying space ( And a plurality of air dispersion holes 58 exposing the air input passage 59A in the 53.
  • the plurality of conveyors 80, 90, 100, 110, and 120 may start from the control chamber 10 on one side and the plurality of drying chambers 30. 2 extends to the control room 20 on the other side as shown in FIG. 2, and has two ends of the individual conveyors 80, 90, 100, 110, or 120 in the two control rooms 10, 20, and the input container ( 44 just below the top conveyor 120 and the bottom conveyor 80 directly above the collection vessel 48.
  • the two motors 130 and 140 are located at both sides of the conveyor housing 60 in FIGS. 2 and 4, and are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control room 10 on one side to connect the first drive belt B1.
  • a belt drive coupled to the rollers (R) of the odd or even conveyors of the plurality of conveyors (80, 90, 100, 110, 120) through the second drive belt is located on the ceiling of the control room 20 of the other side
  • the intake duct 170 includes an intake motor 163, an intake port 166, and an intake pipe 169 as shown in FIGS. 2, 3, and 8.
  • the intake motor 163 rotates the internal fan to flow external air from the intake port 166 toward the intake pipe 169.
  • the intake pipe 169 communicates with the air ejector 230 through the air inlet wall 52.
  • the exhaust duct 190 includes an exhaust motor 183, an exhaust port 186, and an exhaust pipe 189.
  • the exhaust motor 183 rotates an internal fan to flow the internal air of the conveyor housing 60 from the exhaust pipe 189 toward the exhaust port 186.
  • the exhaust pipe 189 communicates with the air discharge wall 56 of the conveyor housing 60, and the first diaphragm P1 inclined toward the blow duct 210 near the blow duct 210 when viewed along the air flow path. Has A part of the internal air is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ipe 189 to the exhaust port 186 after passing through the periphery of the first diaphragm P1. The remaining internal air strikes the first diaphragm P1 in the exhaust pipe 189 and is transmitted to the blower duct 210.
  • the blower duct 210 includes a blower motor 203, a blower 206 and a blower tube 209.
  • the blower motor 203 rotates the inner fan to flow external air from the blower 206 toward the blower tube 209.
  • the blower tube 209 communicates with the air input wall 59 of the conveyor housing 60 an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lower tube 209 between the conveyor housing 60 and the exhaust tube 189 when viewed along the air passage. It has a second diaphragm P2 which is positioned as. The outside air of the blower pipe 209 and the remaining inner air of the exhaust pipe 189 are transmitted to the air input wall 59 by hitting both surfaces of the second diaphragm P2 in the blower pipe 209.
  • the air ejector 230 is made of stainless steel of a rectangular tube, facing the air inlet wall 52 in the plurality of inlet holes 221
  • the first plate body S1 which is penetrated by the first plate body S1, protrudes from one edge of the first plate body S1 and is located directly above the individual conveyors 80, 90, 100, 110 or 120, and the individual conveyors 80, 90
  • the second plate body S2 having a near-infrared lamp 227 in the groove G by limiting the groove G opening toward the second, 100, 110, or 120 one groove, and the other edge of the first plate body S1. It includes a third plate (S3) protruding from the position is located on the second plate (S2).
  • the fourth plate body (not shown in the drawing) facing the first plate body S1 does not have a plurality of inlet holes 221 unlike the first plate body S1 and similar to the first plate body S1 in the rest. Since it has a shape,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first plate S1 is fixedly coupled to the air inlet wall 52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air inlet wall 52 through the plurality of inlet holes 221, and discharges the outside air of the intake duct 170 to an air ejector ( 230).
  • the second plate body S2 has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229 around both sidewalls 225 of the groove G and the groove G, and the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229 of the intake duct 170. External air is sprayed towards the individual conveyors 80, 90, 100, 110 or 120.
  • the near-infrared lamps 227 are disposed one by one in two regions.
  • the third plate S3 may be flat to be different from the second plate S2 to shield the inside of the air ejector 230 from the outside.
  • the first to third plate bodies S1, S2, and S3 of the air ejector 250 may be the first of the air ejector 230 of FIG. 5. It may have a shape similar to the third plate (S1, S2, S3).
  • the first plate body S1 may have a plurality of inlet holes 241
  • the second plate body S2 may have a plurality of grooves G11 and G12. have.
  • the near-infrared lamp 247 is divided into two adjacent grooves.
  • One by one in (G11, G12) can be located in different areas alo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two grooves (G11, G12), or two in each groove (G11 or G12) can be located in both areas have.
  • the second plate S2 may have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249 around both sidewalls 225 of the respective grooves G11 or G12 and around the respective grooves G11 or G12.
  • the third plate body S3 may be flattened differently from the second plate body S2 to shield the inside of the air ejector 250 from the outside.
  • the first to third plate bodies S1, S2, and S3 of the air ejector 270 are the air ejector 230 of FIG. 5 or 6. Or it may have a shape similar to the first to third plate (S1, S2, S3) of 250).
  • the first plate S1 has a plurality of inlet holes 264
  • the second plate S2 is illustrated to have one groove G21.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 plurality of grooves G21.
  • the second plate body S2 may have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not shown) having the same arrangement as that of FIG. 5 or 6 around the groove G21 and the groove G21.
  • each groove G21 may have a near infrared lamp 268 arranged as shown in FIG. 5 or 6.
  • the third plate S3 may have the same number of grooves G22 as the second plate S2, and may shield the inside of the air ejector 270 from the outside.
  • 9 to 12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ir drying apparatus of FIG.
  • the intake duct 170 of the air circulation unit 280 is the intake port 166 during the operation of the intake motor 163.
  • the outside air may be sucked through the first air line F1 to flow into the intake pipe 169 as shown in FIG. 9.
  • the outside air of the intake pipe 169 flows along the air inlet path 52A of the air inlet wall 52 of the conveyor housing 60 and is located in the drying space 53 of the conveyor housing 60.
  • 80, 90, 100, 110, or 120 may be introduced along the second flow line F2 to the air ejector 230 of the air circulation unit 280.
  • the air ejector 230 injects outside air toward the individual conveyors 80, 90, 100, 110, or 120 through the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229, and causes the outside air to convey the individual conveyors 80, 90, 100, 110 or 120 may be penetrated to reach the bottom of conveyor housing 60 or a neighboring air ejector 230.
  • the external air may hit and reflect the neighboring air ejectors 230 and flow toward the respective conveyors 80, 90, 100, 110 or 120 as shown in FIG.
  • the outside air is heated by the near infrared lamp 227 of the air ejectors 230 located on the upper side to convey the conveyor housing 60.
  • the drying space 53 of the internal air can be converted.
  • the internal air may flow toward the exhaust duct 190 along the fourth flow line F4 through the air discharge path 56A of the air discharge wall 56 at the lower side of the drying space 53.
  • the exhaust duct 190 may allow a part of the internal air to flow around the first diaphragm P1 in the exhaust pipe 189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motor 183 to discharge a part of the internal air to the exhaust port 186. have.
  • the exhaust duct 190 causes the remaining inner air to hit the first diaphragm P1 in the exhaust pipe 189 during operation of the exhaust motor 183 to blow the remaining inner air along the fifth flow line F5. May be transmitted to the duct 210.
  • the blower duct 210 may suck outside air through the blowhole 206 during the operation of the blower motor 203 to flow to the blower tube 209 along the sixth flow line F6.
  • the remaining inner air of the exhaust pipe 189 and the outside air of the blower pipe 209 collide with both sides of the second diaphragm P1 of the blower pipe 209 along the seventh flow line F7 to the conveyor housing 60.
  • the remaining inner air of the exhaust pipe 189 and the outer air of the blower pipe 209 may be mixed in the air input wall 59 to be formed of mixed air. Subsequently, the mixed air may be injected into the drying space 53 of the conveyor housing 60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dispersion holes 58 of the air input wall 59 along the eighth flow line F8. have. That is, the mixed air may be supplied to an area between the air ejector 230 and the individual conveyors 80, 90, 100, 110 or 120 in the drying space 53 of the conveyor housing 60.
  • the conveyor housing 60, the intake duct 170, the exhaust duct 190 and the blow duct 210 can continuously maintain the air flow described abov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ir drying apparatus 290.
  • the two adjacent air ejectors 230 and the air input wall 59 are the second plate body S2 of the one (or upper side) air ejector 230.
  • a turbulence may be formed through the third plate body S3 of the remaining (or lower) air ejector 230 and the air dispersion hole 58 of the air input wall 59.
  • the vortex may include first to third vortices T1, T2, and T3.
  • the first vortex T1 is a second 11 may be generated by collision of the inner branch flow lines F31 of the outside air of the intake duct 170 passing through the injection holes 229 at both sidewalls 225 of the groove G of the plate S2. Can be.
  • the second vortex (T2) is the outer branch flow line (F32) of the outside air passing through the injection holes (229) around the groove (G) of the second plate (S2), and the blowing duct in the air inlet wall (59)
  • the third vortex T3 passes through the first vortex T1 and the second vortex T2 through the respective conveyors 80, 90, 100, 110 or 120, or the bottom or the rest of the conveyor housing 60 (or In contact with the third plate body S3 of the air ejector 30 and along the reflective flow line (see FIG. 12) towards the respective conveyor 80, 90, 100, 110 or 120. have.
  • the third vortex T3 is formed when the third plate body S3 of FIG. 7 corresponds to the third plate body S3 of FIG. 5 or 6 to the remaining (or lower side) air ejector 30. 3 can cause more severe air fluctuations on the plate (S3).
  • the two adjacent air ejectors 230 and the air input wall 59 may include the second plate body S2 of the one (or upper side) air ejector 230 and the remaining (or lower side) air.
  • the jet stream J may be formed through the third plate S3 of the ejector 230 and the air dispersion holes 58 of the air input wall 59.
  • the jet stream J may be located between the low temperature zone CZ and the high temperature zone HZ, which are sequentially stacked between two adjacent air ejectors 230.
  • the low temperature zone CZ is the second plate body S2. It may be generated directly below the second plate (S2) by the outside air of the intake duct 170 passing through the injection holes 229 around the grooves (G) and both sidewalls (225) of the groove (G).
  • the high temperature zone HZ is exhausted together with the outside air of the intake duct 170 and the blowing duct 210 by a near infrared lamp 227 positioned in the ceiling 223 of the groove G of the second plate S2.
  • the remaining internal air of the duct 190 may be heated to be generated from the low temperature zone CZ to the third plate body S3 of the remaining (or lower side) air ejector 230.
  • the jet stream J may be formed by encountering cold air during the rise of hot air from the high temperature zone HZ toward the low temperature zone CZ.
  • the flow power of the jet stream (J) the speed of the outside air passing through the injection holes (229) around the groove (G) of the second plate (S2), and the air blowing duct (
  • the outside air of 210 and the remaining inside air of the exhaust duct 190 are mixed to form a mixed air to add a vector sum or difference to the velocity of the mixed air passing through the air dispersion hole 58 of the air input wall 59.
  • Air circulation unit 230; Air ejector, 280; Air circulation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 건조 장치는, 컨베이어 하우징을 포함하는 작업 컨테이너; 컨베이어 하우징의 내부에서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컨베이어와, 컨베이어 하우징의 외부에서 복수의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두 개의 모터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유닛; 및 컨베이어 하우징 상에 흡기 덕트, 배기 덕트, 그리고 배기 덕트와 연통하는 송풍 덕트를 가지고, 컨베이어 하우징의 내부에서 컨베이어 하우징을 통해 흡기 덕트와 연통하며 개개의 컨베이어 상에 위치되는 공기 토출기를 가지는 공기 순환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 건조 장치
본 발명은 농산물, 수산물 또는 축산물의 건조에 이용되는 공기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산물, 수산물 또는 축산물은 포장을 하여 시장에 유통되는 때 포장 상태에서 부패를 방지하거나 유통 기한을 길게 하거나 상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장재로 포장하기 전 건조기에 의해 건조 처리된다. 상기 건조기는 농산물, 수산물 또는 축산물로부터 수분을 빠른 시간에 적절하게 제거시켜 농산물, 수산물 또는 축산물에 포함된 수분량을 줄이고 수분에 의해 농산물, 수산물 또는 축산물에 곰팡이 균의 발생을 유통 기한 동안 방지시켜 준다.
이를 통해서, 상기 건조기는 농산물, 수산물 또는 축산물을 포장 유통시 시장에서 포장 물품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와 구매 욕구를 향상시키고 가정에서 구매 물품에 대해 소비자에게 유통 기한 내 일정한 식감과 안전한 보관을 보장해 준다. 한편, 상기 건조기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392617 호('종래 기술 1' 로 지칭)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379849 호('종래 기술 2' 로 지칭)에 개시되고 있다.
상기 종래 기술 1 및 2 에서, 상기 건조기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히트 펌프, 고주파 장치와 적외선 램프를 구비하여 본체의 내부에서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피건조물에 고주파를 침투시켜 피건조물을 건조하거나, 롤러 부재 상에 근적외선 램프, 열풍기와 순환 팬을 구비하여 내부 몸체의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 내부 몸체의 양 측벽을 통해 내부 몸체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동일한 형상으로 순환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건조기가 공기 흐름 관점으로 볼 때 정적 상태 또는 동적 상태에서 피건조물을 건조시키지만, 상기 공기는 동적 상태에서도 내부 몸체의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을 향해 일정한 속도로 흐르기 때문에 롤러 부재 상에 위치되는 피건조물을 빠른 시간 내 건조시키는데 한계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적외선 램프가 공기를 가열하지만, 상기 적외선 램프는 히트 펌프 또는 열풍기와 함께 컨베이어 벨트 또는 롤러 부재 주변에 공기 온도를 일정하게 하므로 공기 흐름을 유도하지 못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392617 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379849 호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컨베이어 하우징의 일 측벽, 내부 공간과 타 측벽을 향해 흐르는 공기와 컨베이어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근적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컨베이어 하우징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컨베이어에서 개개의 컨베이어 상에 안착된 피건조물의 건조 시간을 짧게 하고, 컨테이너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개개의 컨베이어 별로 피건조물의 건조를 균일하게 하는데 적합한 공기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건조 장치는, 컨베이어 하우징을 포함하는 작업 컨테이너;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내부에서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복수의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두 개의 모터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유닛; 및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 상에 흡기 덕트, 배기 덕트 그리고 상기 배기 덕트와 연통하는 송풍 덕트를 가지고,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상기 내부에서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을 통해 상기 흡기 덕트와 연통하며 개개의 컨베이어 상에 위치되는 공기 토출기를 가지는 공기 순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 덕트와 상기 송풍 덕트는 서로 다른 공기 유로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배기 덕트는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상기 내부로부터 상기 외부를 향해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내부 공기의 전송 동안 상기 내부 공기 중 일부를 상기 외부에 배출하면서 나머지 내부 공기를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에 재 공급하고,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은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와 상기 공기 토출기 사이에서 상기 외부 공기와 상기 내부 공기를 통해 생성되는 와류와 제트기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은 두 개의 제어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제어실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건조실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제어실은 일 측의 제어실에서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천장에 위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상기 내부를 상기 외부에 노출시키는 피건조물의 투입 용기, 그리고 타 측의 제어실에서 상기 투입 용기와 대각선으로 위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외부를 향해 돌출하는 상기 피건조물의 수거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건조실은 상기 두 개의 제어실과 연통할 수 있다.
개개의 제어실은 개개의 건조실과 동일한 크기의 내부 공간을 한정하며, 개개의 컨베이어와 개개의 모터의 물리적인 그리고 전기적인 상태를 영상 카메라와 홀 센서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확인시켜 주며, 상기 투입 용기를 관통하는 상기 피건조물의 투입 속도와 상기 수거 용기에 쌓이는 상기 피건조물의 배출 속도를 속도 센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확인시켜 주며, 상기 개개의 건조실에서 습도, 온도와 바람 세기에 대해 관련된 복수의 센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확인시켜 주며, 상기 개개의 건조실에서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 상에 피건조물의 배열 상태를 영상 카메라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확인시켜 주고, 상기 개개의 건조실은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 상에서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개개의 건조실은, 중앙 영역에 위치되는 건조 공간의 양 측부에서 상기 건조 공간을 둘러싸도록, 일 측부로부터 타 측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제1 단열벽과 공기 유입 벽체(壁體), 그리고 상기 타 측부로부터 상기 일 측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공기 배출 벽체, 제2 단열벽과 공기 투입 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유입 벽체, 상기 공기 투입 벽체와 상기 공기 배출 벽체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기 유입 벽체와 상기 공기 투입 벽체는 스텐레스 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기 투입 벽체는 상기 건조 공간의 상부 측에서 상기 타 측부로부터 상기 일 측부를 향해 연장하여 상기 공기 유입 벽체와 접촉하고, 상기 공기 유입 벽체, 상기 공기 투입 벽체와 상기 제2 단열벽은 상기 건조 공간의 하부 측에서 상기 개개의 건조실의 바닥으로부터 이격하고, 상기 공기 배출 벽체는 상기 건조 공간의 상기 하부 측에서 상기 공기 투입 벽체와 상기 제2 단열벽을 통해 상기건조 공간과 연통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 벽체, 상기 공기 투입 벽체와 상기 공기 배출 벽체는 공기 유입로, 공기 투입로와 공기 배출로를 각각 한정하고, 상기 공기 유입 벽체는 상기 공기 유입로를 통해 상기 공기 토출기와 연통하고, 상기 공기 투입 벽체는 상기 공기 유입 벽체와 마주보는 면에서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와 상기 공기 토출기 사이의 영역을 향해 개구되어 상기 건조 공간에 상기 공기 투입로를 노출시키는 복수의 공기 분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컨베이어는 상기 일 측의 제어실로부터 시작해서 상기 복수의 건조실을 경유하여 상기 타 측의 제어실에 연장되며, 상기 두 개의 제어실에서 개개의 컨베이어의 양 단부를 가지고, 상기 투입 용기 바로 아래에 최상부의 컨베이어 그리고 상기 수거 용기 바로 위에 최하부의 컨베이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모터는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양 측부에 위치되며, 상기 일 측의 제어실의 바닥과 결합되어 제1 구동 벨트를 통해 상기 복수의 컨베이어 중 홀수 번째 또는 짝수 번째 컨베이어와 벨트 결합하고, 상기 타 측의 제어실의 천장 상에 위치되어 제2 구동 벨트를 통해 짝수 번째 또는 홀수 번째 컨베이어와 벨트 결합하고, 인접한 두 개의 컨베이어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흡기 덕트는 흡기 모터, 흡기 구와 흡기 관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 모터는 내부 팬을 회전시켜 상기 흡기 구로부터 상기 흡기 관을 향해 상기 외부 공기를 흐르게 하고, 상기 흡기 관은 상기 공기 유입 벽체를 통해 상기 공기 토출기와 연통할 수 있다.
상기 배기 덕트는 배기 모터, 배기 구와 배기 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 모터는 내부 팬을 회전시켜 상기 배기 관으로부터 상기 배기 구를 향해 상기 내부 공기를 흐르게 하고, 상기 배기 관은 상기 공기 배출 벽체와 연통하며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볼 때 상기 송풍 덕트 가까이에서 상기 송풍 덕트를 향해 기울어진 제1 격막을 가지고, 상기 내부 공기의 상기 일부는 상기 배기 관에서 상기 제1격막의 주변을 지나 상기 배기 구로 배출되고, 상기 나머지 내부 공기는 상기 배기 관에서 상기 제1 격막에 부딪쳐 상기 송풍 덕트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송풍 덕트는 송풍 모터, 송풍 구와 송풍 관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 모터는 내부 팬을 회전시켜 상기 송풍구로부터 상기 송풍 관을 향해 외부 공기를 흐르게 하고, 상기 송풍 관은 상기 공기 투입 벽체와 연통하며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볼 때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과 상기 배기 관 사이에 상기 송풍관의 직경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2 격막을 가지고, 상기 송풍 관의 상기 외부 공기와 상기 배기 관의 상기 나머지 내부 공기는 상기 송풍 관에서 상기 제2 격막의 양 면에 부딪쳐 상기 공기 투입 벽체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토출기는 사각 통의 스텐레스 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 유입 벽체와 마주보며 복수의 유입 홀에 의해 관통되는 제1 판체(板體), 상기 제1 판체의 일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 바로 위에 위치되며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를 향해 개구되는 그루브(groove)를 적어도 하나로 한정하여 상기 그루브에 근적외선 램프를 가지는 제2 판체, 그리고 상기 제1 판체의 타 가장 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판체 상에 위치되는 제3 판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판체는 상기 복수의 유입 홀을 통해 상기 공기 유입 벽체에 연통되도록 상기 공기 유입 벽체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흡기 덕트의 외부 공기를 상기 공기 토출기에 유입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판체는 상기 그루브의 양 측벽과 상기 그루브 주변에 복수의 분사 홀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분사 홀을 통해 상기 흡기 덕트의 외부 공기를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를 향해 분사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판체의 상기 그루브가 상기 제2 판체에 하나로 위치되고, 상기 그루브의 길이 방향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상기 그루브의 천장을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때, 상기 근적외선 램프는 상기 두 개의 영역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판체의 상기 그루브가 상기 제2 판체에 다수 개로 위치되고, 개개의 그루브의 길이 방향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상기 개개의 그루브의 천장을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때, 상기 근적외선 램프는 인접한 두 개의 그루브에서 하나씩 배치되어 상기 두 개의 그루브의 배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영역에 위치되거나 상기 개개의 그루브에 두 개씩 배치되어 상기 두 개의 영역에 모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판체는 상기 제2 판체와 다르게 편평하게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2 판체와 동일한 개수의 그루브를 가지고, 상기 공기 토출기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인접하는 두 개의 공기 토출기와 상기 공기 투입 벽체는 하나의 공기 토출기의 제2 판체와 나머지 공기 토출기의 제3 판체와 상기 공기 투입 벽체의 공기 분산홀을 통해 상기 와류와 상기 제트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와류는, 상기 흡기 덕트로부터 시작해서 상기 하나의 공기 토출기의 상기 제2 판체 상에 외부 공기를 도달시켜, 상기 제2 판체의 그루브의 양 측벽에서 분사 홀들을 통과하는 상기 흡기 덕트의 상기 외부 공기의 흐름선들의 충돌에 의해 생성되는 제1 와류; 상기 제2 판체의 그루브 주변에서 분사 홀들을 통과하는 외부 공기의 흐름선과, 상기 공기 투입 벽체에서 상기 송풍 덕트의 외부 공기와 상기 배기 덕트의 상기 나머지 내부 공기를 섞어 혼합 공기를 형성하여 상기 공기 투입 벽체의 공기 분산 홀을 통과하는 상기 혼합 공기의 흐름선의 접촉을 통해 벡터적 합성으로 벡터 흐름선에 의해 생성되는 제2 와류; 및 상기 제1 와류와 상기 제2 와류를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를 통과시키면서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상기 바닥 또는 상기 나머지 공기 토출기의 상기 제3 판체에 접촉시켜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를 향하는 반사 흐름선을 따라 생성되는 제3 와류;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트기류는, 상기 흡기 덕트로부터 시작해서 상기 하나의 공기 토출기의 상기 제2 판체 상에 외부 공기를 도달시켜, 상기 제2 판체의 그루브의 양 측벽과 상기 그루브 주변에 분사 홀들을 통과하는 상기 흡기 덕트의 상기 외부 공기에 의해서 상기 제2 판체 바로 아래에 생기는 저온 지대와, 상기 제2 판체의 상기 그루브의 천장에 위치되는 상기 근적외선 램프에 의해 상기 흡기 덕트와 상기 송풍 덕트의 상기 외부 공기와 함께 상기 배기 덕트의 상기 나머지 내부 공기를 가열시켜 상기 저온 지대로부터 상기 나머지 공기 토출기의 상기 제3 판체에 걸쳐 생기는 고온 지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트기류의 흐름 동력은, 상기 제2 판체의 상기 그루브 주변에 분사 홀들을 통과하는 외부 공기의 속도와, 상기 공기 투입 벽체에서 상기 송풍 덕트의 외부 공기와 상기 배기 덕트의 상기 나머지 내부 공기를 섞어 혼합 공기를 형성하여 상기 공기 투입 벽체의 상기 공기 분산 홀을 통과하는 혼합 공기의 속도에 대한 벡터적인 합 또는 차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하우징에서 개개의 건조실의 천장에 위치되는 흡기 덕트, 배기 덕트와 송풍 덕트, 그리고 개개의 건조실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컨베이어에서 개개의 컨베이어 상에 공기 토출기를 구비하므로,
본 발명은, 컨베이어 하우징의 일 측벽을 통해 흡기 덕트의 외부 공기를 공기 토출기에 공급받아 공기 토출기의 그루브의 양 측벽과 그루브 주변으로부터 흡기 덕트의 외부 공기를 분사하고, 컨베이어 하우징의 타 측벽에서 송풍 덕트의 외부 공기에 배기 덕트의 내부 공기의 일부를 섞어 혼합 공기를 타 측벽으로부터 컨베이어 하우징의 내부에 공급받는 동안, 공기 토출기의 그루브의 양 측벽과 그루브 주변에서 와류들을 형성해서 와류들을 통해 개개의 컨베이어 상에 안착된 피건조물을 빠른 시간에 건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접한 두 개의 공기 토출기에서 볼 때, 컨베이어 하우징의 일 측벽으로부터 제공되는 흡기 덕트의 외부 공기를 하나(또는 상부측)의 공기 토출기를 통해 분사하여 하나의 공기 토출기 바로 아래에 위치된 저온지대와, 하나의 공기 토출기의 그루브에 위치되는 근적외선 램프를 통해 개개의 컨베이어 상에 흡기 덕트로부터 공급되는 외부 공기와 송풍 덕트와 배기 덕트로부터 공급되는 혼합 공기를 가열하여 저온지대와 나머지(또는 하부측) 공기 토출기 사이에 위치된 고온지대를 이용해서 저온지대와 고온지대 사이에 제트기류를 형성하므로 제트기류 아래에 고온 지대의 공기 온도와 공기 부피를 일정하게 하여 개개의 컨베이어 상에 안착된 피건조물을 적절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접한 두 개의 공기 토출기에서 볼 때, 하나(또는 상부 측)의 공기 토출기와 나머지(또는 하부측) 공기 토출기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고온지대, 제트기류와 저온지대를 구비하고, 하나의 공기 토출기에서 그루브 주변으로부터 분사되는 흡기 덕트의 외부 공기 속도와 컨베이어 하우징의 타 측벽으로부터 일 측벽으로 분사되는 송풍 덕트와 베기 덕트의 혼합 공기 속도에 대한 벡터적인 합 또는 차에 의해 제어기류에 흐름 동력을 주어서 개개의 컨베이어 주변의 습도와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하여 개개의 컨베이어 상에 안착된 피건조물의 건조를 컨테이너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균일하게 해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건조 장치의 외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 건조 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기 건조 장치에서 건조실 별로 천장 상에 위치되는 흡기 덕트, 배기 덕트와 송풍 덕트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복수의 컨베이어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건조실 별로 개개의 컨베이어 상에 위치되는 공기 토출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의 공기 토출기의 제1 변형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5의 공기 토출기의 제2 변형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1의 공기 건조 장치를 절단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1의 공기 건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건조 장치의 외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기 건조 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기 건조 장치에서 건조실 별로 천장 상에 위치되는 흡기 덕트, 배기 덕트와 송풍 덕트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복수의 컨베이어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건조실 별로 개개의 컨베이어 상에 위치되는 공기 토출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5의 공기 토출기의 제1 변형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5의 공기 토출기의 제2 변형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1의 공기 건조 장치를 절단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건조장치(290)는, 작업 컨테이너(70), 컨베이어 유닛(150)과 공기 순환 유닛(280)을 포함한다. 상기 작업 컨테이너(70), 컨베이어 유닛(150)과 공기 순환 유닛(280)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작업 컨테이너(70)는 컨베이어 하우징(60)을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 유닛(150)은 컨베이어 하우징(60)의 내부에서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120)와 컨베이어 하우징(60)의 외부에서 복수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120)를 구동시키는 두 개의 모터(130, 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는 망사 형상(M)의 컨베이어 벨트(B)와 복수의 롤러(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순환 유닛(280)은 컨베이어 하우징(60) 상에 흡기 덕트(170), 배기 덕트(190) 그리고 배기 덕트(190)와 연통하는 송풍 덕트(210)를 가지고, 컨베이어 하우징(60)의 내부에서 컨베이어 하우징(60)을 통해 흡기 덕트(170)와 연통하며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 상에 위치되는 공기 토출기(230)를 포함한다.
상기 흡기 덕트(170)와 송풍 덕트(210)는 서로 다른 공기 유로를 통해 컨베이어 하우징(60)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고, 배기 덕트(190)는 컨베이어 하우징(60)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컨베이어 하우징(60)의 내부 공기의 전송 동안 내부 공기 중 일부를 외부에 배출하면서 나머지 내부 공기를 컨베이어 하우징(60)에 재 공급한다.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60)은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와 공기 토출기(230) 사이에서 외부 공기와 내부 공기를 통해 생성되는 와류(도 11 및 도 12의 T1, T2, T3)와 제트기류(도 11의 J)를 갖는다. 좀 더 상세하게, 상기 작업 컨테이너(70), 컨베이어 유닛(150)과 공기 순환 유닛(280)을 이후로 다시 설명하면,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60)은 두 개의 제어실(10, 20), 그리고 두 개의 제어실(10, 20)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건조실(30)을 도 1과 같이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제어실(10, 20)은 일 측의 제어실(10)에서 컨베이어 하우징(60)의 천장에 위치되어 컨베이어 하우징(60)의 내부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피건조물(도 12의 300)의 투입 용기(44), 그리고 타 측의 제어실(20)에서 투입 용기(20)와 대각선으로 위치되어 컨베이어 하우징(60)의 바닥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하는 피건조물(300)의 수거 용기(48)를 도 2와 같이 포함한다.
여기서, 개개의 제어실(10 또는 20)은 개개의 건조실(30)과 동일한 크기의 내부 공간을 한정하며,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와 개개의 모터(130 또는 140)의 물리적인 그리고 전기적인 상태를 영상 카메라와 홀 센서(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니터(도면에 미도시)에 확인시켜 주며, 투입 용기(44)를 관통하는 피건조물(300)의 투입 속도와 수거 용기(48)에 쌓이는 피건조물(300)의 배출 속도를 속도 센서(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확인시켜 준다.
또한, 상기 개개의 제어실(10 또는 20)은 개개의 건조실(30)에서 습도, 온도와 바람 세기에 대해 관련된 복수의 센서(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확인시켜 주며, 개개의 건조실(30)에서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 상에 피건조물(300)의 배열 상태를 영상 카메라(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확인시켜 준다.
상기 복수의 건조실(30)은 두 개의 제어실(10, 20)과 연통한다. 상기 개개의 건조실(30)은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 상에서 피건조물(도 12의 300)을 건조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개개의 건조실(30)은, 중앙 영역에 위치되는 건조 공간(53)의 양 측부에서 건조 공간(53)을 둘러싸도록, 일측부로부터 타 측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제1 단열벽(51)과 공기 유입 벽체(壁體; 52), 그리고 타 측부로부터 일 측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공기 배출벽체(56), 제2 단열벽(57)과 공기 투입 벽체(59)를 도 8과 같이 포함한다.
상기 공기 유입 벽체(52), 공기 배출 벽체(56)와 공기 투입 벽체(59)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기 유입 벽체(52)와 공기 투입 벽체(59)는 스텐레스 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 투입 벽체(59)는 건조 공간(53)의 상부 측에서 타 측부로부터 일 측부를 향해 연장하여 공기 유입 벽체(52)와 접촉한다. 상기 공기 유입 벽체(52), 제2 단열벽(57)과 공기 투입 벽체(59)는 건조 공간(53)의 하부 측에서 개개의 건조실(3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한다.
상기 공기 배출 벽체(52)는 건조 공간(53)의 하부 측에서 제2 단열벽(57)과 공기 투입 벽체(59)를 통해 건조 공간(53)과 연통한다. 상기 공기 유입벽체(52), 공기 배출 벽체(56)와 공기 투입 벽체(59)는 공기 유입로(52A), 공기 배출로(56A)와 공기 투입로(59A)를 각각 한정한다. 상기 공기 유입 벽체(52)는 공기유입로(52A)를 통해 공기 토출기(230)와 연통한다.
상기 공기 투입 벽체(59)는 공기 유입 벽체(52)와 마주보는 면에서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와 공기 토출기(230) 사이의 영역을 향해 개구되어 건조 공간(53)에 공기 투입로(59A)를 노출시키는 복수의 공기 분산홀(58)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컨베이어 유닛(150)에서, 상기 복수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120)는 일 측의 제어실(10)로부터 시작해서 복수의 건조실(30)을 경유하여 타 측의 제어실(20)에 도 2와 같이 연장되며, 두 개의 제어실(10, 20)에서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의 양 단부를 가지고, 투입 용기(44) 바로 아래에 최상부의 컨베이어(120) 그리고 수거 용기(48) 바로 위에 최하부의 컨베이어(80)를 갖는다.
상기 두 개의 모터(130, 140)는, 도 2 및 도 4에서, 컨베이어 하우징(60)의 양 측부에 위치되며, 일 측의 제어실(10)의 바닥과 결합되어 제1 구동 벨트(B1)를 통해 복수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120) 중 홀수 번째 또는 짝수 번째 컨베이어의 롤러(R)들과 벨트 결합하고, 타 측의 제어실(20)의 천장 상에 위치되어 제2 구동 벨트(B2)를 통해 짝수 번째 또는 홀수 번째 컨베이어의 롤러(R)들과 벨트 결합하고, 인접한 두 개의 컨베이어(80 & 90, 90 & 100, 100 & 110, 또는 110 & 120)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공기 순환 유닛(280)에서, 상기 흡기 덕트(170)는 흡기 모터(163), 흡기 구(166)와 흡기 관(169)을 도 2, 도 3 및 도 8과 같이 포함한다. 상기 흡기 모터(163)는 내부 팬을 회전시켜 흡기 구(166)로부터 흡기 관(169)을 향해 외부 공기를 흐르게 한다. 상기 흡기 관(169)은 공기 유입 벽체(52)를 통해 공기 토출기(230)와 연통한다. 상기 배기 덕트(190)는 배기 모터(183), 배기 구(186)와 배기 관(189)을 포함한다. 상기 배기 모터(183)는 내부 팬을 회전시켜 배기 관(189)으로부터 배기 구(186)를 향해 컨베이어 하우징(60)의 내부 공기를 흐르게 한다.
상기 배기 관(189)은 컨베이어 하우징(60)의 공기 배출 벽체(56)와 연통하며 공기 유로를 따라 볼 때 송풍 덕트(210) 가까이에서 송풍 덕트(210)를 향해 기울어진 제1 격막(P1)을 갖는다. 상기 내부 공기의 일부는 배기 관(189)에서 제1 격막(P1)의 주변을 지나 배기 구(186)로 배출된다. 상기 나머지 내부 공기는 배기 관(189)에서 제1 격막(P1)에 부딪쳐 송풍 덕트(210)로 전송된다.
상기 송풍 덕트(210)는 송풍 모터(203), 송풍 구(206)와 송풍 관(209)을 포함한다. 상기 송풍 모터(203)는 내부 팬을 회전시켜 송풍 구(206)로부터 송풍 관(209)을 향해 외부 공기를 흐르게 한다. 상기 송풍 관(209)은 컨베이어 하우징의(60)의 공기 투입 벽체(59)와 연통하며 공기 유로를 따라 볼 때 컨베이어 하우징(60)과 배기 관(189) 사이에 송풍 관(209)의 직경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2 격막(P2)을 갖는다. 상기 송풍 관(209)의 외부 공기와 배기관(189)의 나머지 내부 공기는 송풍 관(209)에서 제2 격막(P2)의 양 면에 부딪쳐 공기 투입 벽체(59)로 전송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도 5 참조요)에 따라서, 상기 공기 토출기(230)는 사각 통의 스텐레스 강으로 이루어지고, 공기 유입 벽체(52)와 마주보며 복수의 유입 홀(221)에 의해 관통되는 제1 판체(板體; S1), 제1 판체(S1)의 일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 바로 위에 위치되며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를 향해 개구되는 그루브(groove; G)를 하나로 한정하여 그루브(G)에 근적외선 램프(227)를 가지는 제2 판체(S2), 그리고 제1 판체(S1)의 타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제2 판체(S2) 상에 위치되는 제3 판체(S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판체(S1)와 마주보는 제4 판체(도면에 미도시)는 제1 판체(S1)와 다르게 복수의 유입홀(221)을 가지지 않으며 나머지에서 제1 판체(S1)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 판체(S1)는 복수의 유입 홀(221)을 통해 공기 유입 벽체(52)에 연통되도록 공기 유입 벽체(52)에 고정 결합되며, 흡기 덕트(170)의 외부 공기를 공기 토출기(230)에 유입시킨다.
상기 제2 판체(S2)는 그루브(G)의 양 측벽(225)과 그루브(G) 주변에 복수의 분사 홀(229)을 가지며, 복수의 분사 홀(229)을 통해 흡기 덕트(170)의 외부 공기를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를 향해 분사시킨다. 여기서, 상기 그루브(G)의 길이 방향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그루브(G)의 천장(223)을 두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때, 상기 근적외선 램프(227)는 두 개의 영역에 하나씩 배치된다. 상기 제3 판체(S3)는 제2 판체(S2)와 다르게 편평하게 이루어져 공기 토출기(23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변형예(도 6 참조요)에 따라서, 상기 공기 토출기(250)의 제1 내지 제3 판체(S1, S2, S3)는 도 5의 공기 토출기(230)의 제1 내지 제3 판체(S1, S2, S3)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공기 토출기(250)에서, 상기 제1 판체(S1)는 복수의 유입 홀(241)을 가지고, 상기 제2 판체(S2)는 다수 개의 그루브(G11, G12)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개개의 그루브(G11 또는 G12)의 길이 방향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개개의 그루브(G11 또는 G12)의 천장(243)을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때, 근적외선 램프(247)는 인접한 두 개의 그루브(G11, G12)에서 하나씩 배치되어 두 개의 그루브(G11, G12)의 배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영역에 위치되거나, 개개의 그루브(G11 또는 G12)에 두 개씩 배치되어 두 개의 영역에 모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판체(S2)는 개개의 그루브(G11 또는 G12)의 양 측벽(225)과 개개의 그루브(G11 또는 G12) 주변에 복수의 분사 홀(249)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판체(S3)는 제2 판체(S2)와 다르게 편평하게 이루어져 공기 토출기(25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변형예(도 7 참조요)에 따라서, 상기 공기 토출기(270)의 의 제1 내지 제3 판체(S1, S2, S3)는 도 5또는 도 6의 공기 토출기(230 또는 250)의 제1 내지 제3 판체(S1, S2, S3)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공기 토출기(270)에서, 상기 제1 판체(S1)는 복수의 유입 홀(264)을 가지고, 상기 제2 판체(S2)는 하나의 그루브(G21)를 가지도록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그루브(G21)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2판체(S2)는 그루브(G21)와 그루브(G21) 주변에 도 5 또는 도 6과 동일한 배열을 가지는 복수의 분사 홀(도면에 미도시)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2 판체(S2)에서, 개개의 그루브(G21)는 도 5 또는 도 6과 같이 배열되는 근적외선 램프(268)를 가질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3 판체(S3)는 제2 판체(S2)와 동일한 개수의 그루브(G22)를 가지고, 공기 토출기(27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도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1의 공기 건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건조 장치(290)에서, 공기 순환 유닛(280)의 흡기 덕트(170)가 흡기 모터(163)의 동작 동안 흡기 구(166)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제1 흐름선(F1)을 따라 도 9와 같이 흡기 관(169)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
상기 흡기 관(169)의 외부 공기는 컨베이어 하우징(60)의 공기 유입벽체(52)의 공기 유입로(52A)를 따라 흘러 컨베이어 하우징(60)의 건조 공간(53)에 위치되는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 상에서 공기 순환 유닛(280)의 공기 토출기(230)에 제2 흐름선(F2)을 따라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토출기(230)는 복수의 분사홀(229)을 통해 외부 공기를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를 향해 분사시키고 외부 공기로 하여금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를 관통시켜 컨베이어 하우징(60)의 바닥 또는 이웃하는 공기 토출기(230)에 이르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공기는 이웃하는 공기 토출기(230)에 부딪치고 반사되어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를 향해 도 12와 같이 흐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해 볼 때, 인접한 두 개의 공기 토출기(230) 사이에서, 상기 외부 공기는 상부 측에 위치되는 공기 토출기(230)의 근적외선 램프(227)에 의해 가열되어 컨베이어 하우징(60)의 건조 공간(53)에서 내부 공기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기는 건조 공간(53)의 하부 측에서 공기 배출 벽체(56)의 공기 배출로(56A)를 통해 제4 흐름선(F4)을 따라 배기 덕트(190)를 향해 흐를 수 있다.
상기 배기 덕트(190)는 배기 모터(183)의 동작 동안 배기 관(189)에서 내부 공기의 일부를 제1 격막(P1) 주변으로 흐르게 하여 내부 공기의 일부를 배기 구(186)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 덕트(190)는 배기 모터(183)의 동작 동안 배기 관(189)에서 나머지 내부 공기를 제1 격막(P1)에 부딪치게 하여 나머지 내부 공기를 제5 흐름선(F5)을 따라 송풍 덕트(2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송풍 덕트(210)는 송풍 모터(203)의 동작 동안 송풍 구(206)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제6 흐름선(F6)을 따라 송풍 관(209)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기관(189)의 나머지 내부 공기와 송풍관(209)의 외부 공기는 송풍관(209)의 제2 격막(P1)의 양 측면에 부딪쳐 제7 흐름선(F7)을 따라 컨베이어 하우징(60)의 공기 투입 벽체(59)의 공기 투입로(59A)를 향해 흐를 수 있다.
상기 배기관(189)의 나머지 내부 공기와 송풍관(209)의 외부 공기는 공기 투입 벽체(59)에서 섞여져 혼합 공기로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혼합공기는 제8 흐름선(F8)을 따라 공기 투입 벽체(59)의 복수의 공기 분산홀(58)을 통과하여 컨베이어어 하우징(60)의 건조 공간(53)에 분사될 수 있다. 즉, 상기 혼합공기는 컨베이어 하우징(60)의 건조 공간(53)에서 공기 토출기(230)와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 사이의 영역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60), 흡기 덕트(170), 배기 덕트(190)와 송풍덕트(210)는 공기 건조 장치(290)의 동작 동안 위에 기술된 공기 흐름을 계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흐름을 계속적으로 유지시키는 동안, 인접하는 두 개의 공기 토출기(230) 그리고 공기 투입 벽체(59)는 하나(또는 상부측)의 공기 토출기(230)의 제2 판체(S2)와, 나머지(또는 하부측) 공기 토출기(230)의 제3판체(S3)와, 공기 투입 벽체(59)의 공기 분산홀(58)을 통해 와류(turbulence)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해 볼 때, 상기 와류는 제1 내지 제3 와류(T1, T2, T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류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흡기 덕트(170)로부터 시작해서 하나의 공기 토출기(230)의 제2 판체(S2) 상에 외부 공기를 도달시키는 때, 상기 제1 와류(T1)는 제2 판체(S2)의 그루브(G)의 양 측벽(225)에서 분사 홀(229)들을 통과하는 흡기 덕트(170)의 외부 공기의 내측 분기 흐름선(F31)들의 충돌에 의해 도 11과 같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와류(T2)는 제2 판체(S2)의 그루브(G) 주변에서 분사 홀(229)들을 통과하는 외부 공기의 외측 분기 흐름선(F32)과, 공기 투입 벽체(59)에서 송풍 덕트(210)의 외부 공기와 배기 덕트(190)의 나머지 내부 공기를 섞어 혼합공기를 형성하여 공기 투입 벽체(59)의 공기 분산 홀(58)을 통과하는 혼합 공기의 제8 흐름선(F8)의 접촉을 통해 벡터적 합성으로 벡터 흐름선(FV)에 의해 도 11과 같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와류(T3)는 제1 와류(T1)와 제2 와류(T2)를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를 통과시키면서 컨베이어 하우징(60)의 바닥 또는 나머지(또는 하부측) 공기 토출기(30)의 제3 판체(S3)에 접촉시켜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를 향하는 반사 흐름선(도 12를 참조요)을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와류(T3)는 나머지(또는 하부측) 공기 토출기(30)에 도 5 또는 도 6의 제3 판체(S3)보다 도 7의 제3 판체(S3)를 대응시키는 때 제3 판체(S3) 상에서 더 심한 공기의 요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접하는 두 개의 공기 토출기(230) 그리고 공기 투입벽체(59)는 하나(또는 상부측)의 공기 토출기(230)의 제2 판체(S2)와, 나머지(또는 하부측) 공기 토출기(230)의 제3 판체(S3)와, 공기 투입 벽체(59)의 공기 분산홀(58)을 통해 제트기류(J)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트기류(J)는 인접한 두 개의 공기 토출기(230)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저온 지대(CZ)와 고온 지대(HZ)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흡기 덕트(170)로부터 시작해서 하나(또는 상부측)의 공기 토출기(230)의 제2 판체(S2) 상에 외부 공기를 도달시키는 동안, 상기 저온 지대(CZ)는 제2 판체(S2)의 그루브(G)의 양 측벽(225)과 그루브(G) 주변에 분사 홀(229)들을 통과하는 흡기 덕트(170)의 외부 공기에 의해서 제2 판체(S2) 바로 아래에 생길 수 있다. 상기 고온 지대(HZ)는 제2 판체(S2)의 그루브(G)의 천장(223)에 위치되는 근적외선 램프(227)에 의해 흡기 덕트(170)와 송풍 덕트(210)의 외부 공기와 함께 배기 덕트(190)의 나머지 내부 공기를 가열시켜 저온 지대(CZ)로부터 나머지(또는 하부측) 공기 토출기(230)의 제3 판체(S3)에 걸쳐 생길 수 있다.
상기 제트기류(J)는 고온 지대(HZ)로부터 저온 지대(CZ)를 향해 더운 공기의 상승 동안 찬 공기를 만나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트기류(J)의 흐름 동력은, 제2 판체(S2)의 그루브(G) 주변에 분사 홀(229)들을 통과하는 외부 공기의 속도와, 공기 투입 벽체(59)에서 송풍 덕트(210)의 외부 공기와 배기덕트(190)의 나머지 내부 공기를 섞어 혼합 공기를 형성하여 공기 투입 벽체(59)의 공기 분산 홀(58)을 통과하는 혼합 공기의 속도에 대한 벡터적인 합 또는 차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부호의 설명]
30; 건조실, 44; 투입 용기
48; 수거 용기, 70; 작업 컨테이너
80, 90, 100, 110, 120; 컨베이어, 130, 140; 모터
150; 컨베이어 유닛, 170; 흡기 덕트
190; 배기 덕트, 210; 송풍 덕트
230; 공기 토출기, 280; 공기 순환 유닛
290; 공기 건조 장치, B; 구동 벨트

Claims (21)

  1. 컨베이어 하우징을 포함하는 작업 컨테이너;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내부에서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복수의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두 개의 모터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유닛; 및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 상에 흡기 덕트, 배기 덕트 그리고 상기 배기 덕트와 연통하는 송풍 덕트를 가지고,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상기 내부에서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을 통해 상기 흡기 덕트와 연통하며 개개의 컨베이어 상에 위치되는 공기 토출기를 가지는 공기 순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 덕트와 상기 송풍 덕트는 서로 다른 공기 유로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배기 덕트는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상기 내부로부터 상기 외부를 향해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내부 공기의 전송 동안 상기 내부 공기 중 일부를 상기 외부에 배출하면서 나머지 내부 공기를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에 재 공급하고,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은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와 상기 공기 토출기 사이에서 상기 외부 공기와 상기 내부 공기를 통해 생성되는 와류와 제트기류를 가지는 공기건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은 두 개의 제어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제어실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건조실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제어실은 일 측의 제어실에서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천장에 위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상기 내부를 상기 외부에 노출시키는 피건조물의 투입 용기, 그리고 타 측의 제어실에서 상기 투입 용기와 대각선으로 위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외부를 향해 돌출하는 상기 피건조물의 수거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건조실은 상기 두 개의 제어실과 연통하는 공기 건조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개개의 제어실은 개개의 건조실과 동일한 크기의 내부 공간을 한정하며, 개개의 컨베이어와 개개의 모터의 물리적인 그리고 전기적인 상태를 영상 카메라와 홀 센서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확인시켜 주며, 상기 투입 용기를 관통하는 상기 피건조물의 투입 속도와 상기 수거 용기에 쌓이는 상기 피건조물의 배출 속도를 속도 센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확인시켜 주며, 상기 개개의 건조실에서 습도, 온도와 바람 세기에 대해 관련된 복수의 센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확인시켜 주며, 상기 개개의 건조실에서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 상에 피건조물의 배열 상태를 영상 카메라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확인시켜주고, 상기 개개의 건조실은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 상에서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공기 건조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개개의 건조실은, 중앙 영역에 위치되는 건조 공간의 양 측부에서 상기 건조공간을 둘러싸도록, 일 측부로부터 타 측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제1 단열벽과 공기 유입 벽체(壁體), 그리고 상기 타 측부로부터 상기 일 측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공기 배출 벽체, 제2 단열벽과 공기 투입 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유입 벽체, 상기 공기 투입 벽체와 상기 공기 배출 벽체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기 유입 벽체와 상기 공기 투입 벽체는 스텐레스 강으로 이루어지는 공기 건조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투입 벽체는 상기 건조 공간의 상부 측에서 상기 타 측부로부터 상기 일 측부를 향해 연장하여 상기 공기 유입 벽체와 접촉하고,
    상기 공기 유입 벽체, 상기 공기 투입 벽체와 상기 제2 단열벽은 상기 건조공간의 하부 측에서 상기 개개의 건조실의 바닥으로부터 이격하고,
    상기 공기 배출 벽체는 상기 건조 공간의 상기 하부 측에서 상기 공기 투입벽체와 상기 제2 단열벽을 통해 상기 건조 공간과 연통하는 공기 건조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 벽체, 상기 공기 투입 벽체와 상기 공기 배출 벽체는 공기유입로, 공기 투입로와 공기 배출로를 각각 한정하고, 상기 공기 유입 벽체는 상기 공기 유입로를 통해 상기 공기 토출기와 연통하고,
    상기 공기 투입 벽체는 상기 공기 유입 벽체와 마주보는 면에서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와 상기 공기 토출기 사이의 영역을 향해 개구되어 상기 건조 공간에 상기 공기 투입로를 노출시키는 복수의 공기 분산홀을 포함하는 공기 건조 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베이어는 상기 일 측의 제어실로부터 시작해서 상기 복수의 건조실을 경유하여 상기 타 측의 제어실에 연장되며, 상기 두 개의 제어실에서 개개의 컨베이어의 양 단부를 가지고, 상기 투입 용기 바로 아래에 최상부의 컨베이어 그리고 상기 수거 용기 바로 위에 최하부의 컨베이어를 가지는 공기 건조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모터는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양 측부에 위치되며, 상기 일측의 제어실의 바닥과 결합되어 제1 구동 벨트를 통해 상기 복수의 컨베이어 중 홀수 번째 또는 짝수 번째 컨베이어와 벨트 결합하고, 상기 타 측의 제어실의 천장 상에 위치되어 제2 구동 벨트를 통해 짝수 번째 또는 홀수 번째 컨베이어와 벨트결합하고, 인접한 두 개의 컨베이어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공기 건조 장치.
  9.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덕트는 흡기 모터, 흡기 구와 흡기 관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 모터는 내부 팬을 회전시켜 상기 흡기 구로부터 상기 흡기 관을 향해 상기 외부 공기를 흐르게 하고,
    상기 흡기 관은 상기 공기 유입 벽체를 통해 상기 공기 토출기와 연통하는 공기 건조 장치.
  10.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덕트는 배기 모터, 배기 구와 배기 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 모터는 내부 팬을 회전시켜 상기 배기 관으로부터 상기 배기 구를 향해 상기 내부 공기를 흐르게 하고,
    상기 배기 관은 상기 공기 배출 벽체와 연통하며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볼 때 상기 송풍 덕트 가까이에서 상기 송풍 덕트를 향해 기울어진 제1 격막을 가지고,
    상기 내부 공기의 상기 일부는 상기 배기 관에서 상기 제1 격막의 주변을 지나 상기 배기 구로 배출되고,
    상기 나머지 내부 공기는 상기 배기 관에서 상기 제1 격막에 부딪쳐 상기 송풍 덕트로 전송되는 공기 건조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덕트는 송풍 모터, 송풍 구와 송풍 관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 모터는 내부 팬을 회전시켜 상기 송풍구로부터 상기 송풍 관을 향해 외부 공기를 흐르게 하고,
    상기 송풍 관은 상기 공기 투입 벽체와 연통하며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볼 때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과 상기 배기 관 사이에 상기 송풍관의 직경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2 격막을 가지고,
    상기 송풍 관의 상기 외부 공기와 상기 배기관의 상기 나머지 내부 공기는 상기 송풍 관에서 상기 제2 격막의 양 면에 부딪쳐 상기 공기 투입 벽체로 전송되는 공기 건조 장치.
  12.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토출기는 사각 통의 스텐레스 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 유입벽체와 마주보며 복수의 유입 홀에 의해 관통되는 제1 판체(板體), 상기 제1 판체의 일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 바로 위에 위치되며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를 향해 개구되는 그루브(groove)를 적어도 하나로 한정하여 상기 그루브에 근적외선 램프를 가지는 제2 판체, 그리고 상기 제1 판체의 타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판체 상에 위치되는 제3 판체를 포함하는 공기 건조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체는 상기 복수의 유입 홀을 통해 상기 공기 유입 벽체에 연통되도록 상기 공기 유입 벽체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흡기 덕트의 외부 공기를 상기 공기 토출기에 유입시키는 공기 건조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체는 상기 그루브의 양 측벽과 상기 그루브 주변에 복수의 분사 홀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분사 홀을 통해 상기 흡기 덕트의 외부 공기를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를 향해 분사시키는 공기 건조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체의 상기 그루브가 상기 제2 판체에 하나로 위치되고,
    상기 그루브의 길이 방향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상기 그루브의 천장을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때, 상기 근적외선 램프는 상기 두 개의 영역에 하나씩 배치되는 공기 건조 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체의 상기 그루브가 상기 제2 판체에 다수 개로 위치되고,
    개개의 그루브의 길이 방향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상기 개개의 그루브의 천장을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때, 상기 근적외선 램프는 인접한 두 개의 그루브에서 하나씩 배치되어 상기 두 개의 그루브의 배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영역에 위치되거나 상기 개개의 그루브에 두 개씩 배치되어 상기 두 개의 영역에 모두 위치되는 공기 건조 장치.
  17.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판체는 상기 제2 판체와 다르게 편평하게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2 판체와 동일한 개수의 그루브를 가지고, 상기 공기 토출기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공기 건조 장치.
  18. 제14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두 개의 공기 토출기와 상기 공기 투입 벽체는 하나의 공기 토출기의 제2 판체와 나머지 공기 토출기의 제3 판체와 상기 공기 투입 벽체의 공기 분산 홀을 통해 상기 와류와 상기 제트기류를 형성하는 공기 건조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는, 상기 흡기 덕트로부터 시작해서 상기 하나의 공기 토출기의 상기 제2 판체 상에 외부 공기를 도달시켜, 상기 제2 판체의 그루브의 양 측벽에서 분사 홀들을 통과하는 상기 흡기 덕트의 상기 외부 공기의 흐름선들의 충돌에 의해 생성되는 제1 와류;
    상기 제2 판체의 그루브 주변에서 분사 홀들을 통과하는 외부 공기의 흐름선과, 상기 공기 투입 벽체에서 상기 송풍 덕트의 외부 공기와 상기 배기 덕트의 상기 나머지 내부 공기를 섞어 혼합 공기를 형성하여 상기 공기 투입 벽체의 공기 분산 홀을 통과하는 상기 혼합 공기의 흐름선의 접촉을 통해 벡터적 합성으로 벡터 흐름선에 의해 생성되는 제2 와류; 및
    상기 제1 와류와 상기 제2 와류를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를 통과시키면서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상기 바닥 또는 상기 나머지 공기 토출기의 상기 제3 판체에 접촉시켜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를 향하는 반사 흐름선을 따라 생성되는 제3 와류;를 포함하는 공기 건조 장치.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트기류는, 상기 흡기 덕트로부터 시작해서 상기 하나의 공기 토출기의 상기 제2 판체 상에 외부 공기를 도달시켜, 상기 제2 판체의 그루브의 양 측벽과 상기 그루브 주변에 분사 홀들을 통과하는 상기 흡기 덕트의 상기 외부 공기에 의해서 상기 제2 판체 바로 아래에 생기는 저온 지대와, 상기 제2 판체의 상기 그루브의 천장에 위치되는 상기 근적외선 램프에 의해 상기 흡기 덕트와 상기 송풍덕트의 상기 외부 공기와 함께 상기 배기 덕트의 상기 나머지 내부 공기를 가열시켜 상기 저온 지대로부터 상기 나머지 공기 토출기의 상기 제3 판체에 걸쳐 생기는 고온 지대 사이에 위치되는 공기 건조 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트기류의 흐름 동력은, 상기 제2 판체의 상기 그루브 주변에 분사 홀들을 통과하는 외부 공기의 속도와, 상기 공기 투입 벽체에서 상기 송풍 덕트의 외부 공기와 상기 배기 덕트의 상기 나머지 내부 공기를 섞어 혼합 공기를 형성하여 상기 공기 투입 벽체의 상기 공기 분산 홀을 통과하는 혼합 공기의 속도에 대한 벡터적인 합 또는 차에 의해 얻어지는 공기 건조 장치.
PCT/KR2019/008876 2018-07-19 2019-07-18 공기 건조 장치 WO202001789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122A KR102081238B1 (ko) 2018-07-19 2018-07-19 공기 건조 장치
KR10-2018-0084122 2018-07-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17899A1 true WO2020017899A1 (ko) 2020-01-23

Family

ID=69163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8876 WO2020017899A1 (ko) 2018-07-19 2019-07-18 공기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81238B1 (ko)
WO (1) WO202001789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70057A (zh) * 2021-07-28 2021-11-19 石爽 一种中高温热泵变温干燥设备
CN114111280A (zh) * 2021-11-24 2022-03-01 浙江工业大学 一种用于咸鱼干生产中晾晒阶段的自动晾晒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927Y1 (ko) * 2002-02-27 2002-05-27 순 동 강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1191950B1 (ko) * 2012-02-03 2012-10-17 손명갑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KR101323837B1 (ko) * 2013-07-16 2013-10-31 몽 필 김 고추 건조방법 및 장치
KR101574562B1 (ko) * 2015-06-02 2015-12-0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도경 냉동고추의 건조작업 전 전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01072A (ko) * 2015-06-25 2017-01-04 디엠테크 주식회사 고효율 스마트 웰빙 식품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식품건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617B1 (ko) 2013-05-21 2014-05-12 정천섭 고추건조기
KR101379849B1 (ko) 2013-12-13 2014-03-31 주식회사 네오하이테크 농산물 건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927Y1 (ko) * 2002-02-27 2002-05-27 순 동 강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1191950B1 (ko) * 2012-02-03 2012-10-17 손명갑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KR101323837B1 (ko) * 2013-07-16 2013-10-31 몽 필 김 고추 건조방법 및 장치
KR101574562B1 (ko) * 2015-06-02 2015-12-0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도경 냉동고추의 건조작업 전 전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01072A (ko) * 2015-06-25 2017-01-04 디엠테크 주식회사 고효율 스마트 웰빙 식품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식품건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70057A (zh) * 2021-07-28 2021-11-19 石爽 一种中高温热泵变温干燥设备
CN114111280A (zh) * 2021-11-24 2022-03-01 浙江工业大学 一种用于咸鱼干生产中晾晒阶段的自动晾晒机
CN114111280B (zh) * 2021-11-24 2022-09-30 浙江工业大学 一种用于咸鱼干生产中晾晒阶段的自动晾晒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579A (ko) 2020-01-30
KR102081238B1 (ko) 202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17899A1 (ko) 공기 건조 장치
US5303484A (en) Compact convective web dryer
WO2019135464A1 (ko) 의류 관리기
WO2017018862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16003217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17131367A1 (ko) 순메밀 제면기
PL179131B1 (pl) Urzadzenie do suszenia wzglednie do wypalania materialu ceramicznego PL
WO2015163654A1 (en) Dryer for clothes
EP0218733B1 (en) Process and equipment for quick drying of ceramics
CN101135110B (zh) 用于衣物平整的方法和隧道式整理机
HU216263B (hu) Eljárás és berendezés nyerstéglák szárítására és/vagy kiégetésére
US4696642A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heating an elongated textile article
WO2017010677A1 (ko) 온풍 및 온수 공급이 가능한 세척장치
SE9900214L (sv) Anordning för takmontage för ventilation och samtidig kylning eller värmning av lokaler
CN201093845Y (zh) 具有交错风道的干燥机
WO2021020745A1 (ko) 의류관리장치
KR20000011611A (ko) 가열개스에의한제품처리를위한방법및장치
CN112575483A (zh) 一种具有螺旋形传送带的漂染针织品烘干装置
ITFI20100054A1 (it) "struttura di eiezione di aria calda per forni di essiccazione di prodotti tessili"
US5233764A (en) Turbulent airflow hot shelf tower dryer
IT202000018580A1 (it) Essiccatoio con funzione di raffreddamento
US7845197B2 (en) Triple pass tunnel finisher with an articulated spraying function
CN2196766Y (zh) 立式干燥用的热风抽湿装置
CN217330567U (zh) 纺织烘燥装置
CN212538671U (zh) 一种电加热网带烘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3735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3735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