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238B1 - 공기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238B1
KR102081238B1 KR1020180084122A KR20180084122A KR102081238B1 KR 102081238 B1 KR102081238 B1 KR 102081238B1 KR 1020180084122 A KR1020180084122 A KR 1020180084122A KR 20180084122 A KR20180084122 A KR 20180084122A KR 102081238 B1 KR102081238 B1 KR 102081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ll
plate body
duc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9579A (ko
Inventor
김문철
이정덕
Original Assignee
김문철
이정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철, 이정덕 filed Critical 김문철
Priority to KR1020180084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238B1/ko
Priority to PCT/KR2019/008876 priority patent/WO2020017899A1/ko
Publication of KR20200009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7/0205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by contact of the material with fluids, e.g. drying gas or extracting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6B15/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 건조 장치는, 컨베이어 하우징을 포함하는 작업 컨테이너; 컨베이어 하우징의 내부에서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컨베이어와, 컨베이어 하우징의 외부에서 복수의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두 개의 모터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유닛; 및 컨베이어 하우징 상에 흡기 덕트, 배기 덕트, 그리고 배기 덕트와 연통하는 송풍 덕트를 가지고, 컨베이어 하우징의 내부에서 컨베이어 하우징을 통해 흡기 덕트와 연통하며 개개의 컨베이어 상에 위치되는 공기 토출기를 가지는 공기 순환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 건조 장치{AIR DRYING MACHINE}
본 발명은 농산물, 수산물 또는 축산물의 건조에 이용되는 공기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산물, 수산물 또는 축산물은 포장을 하여 시장에 유통되는 때 포장 상태에서 부패를 방지하거나 유통 기한을 길게 하거나 상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장재로 포장하기 전 건조기에 의해 건조 처리된다. 상기 건조기는 농산물, 수산물 또는 축산물로부터 수분을 빠른 시간에 적절하게 제거시켜 농산물, 수산물 또는 축산물에 포함된 수분량을 줄이고 수분에 의해 농산물, 수산물 또는 축산물에 곰팡이 균의 발생을 유통 기한 동안 방지시켜 준다.
이를 통해서, 상기 건조기는 농산물, 수산물 또는 축산물을 포장 유통시 시장에서 포장 물품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와 구매 욕구를 향상시키고 가정에서 구매 물품에 대해 소비자에게 유통 기한 내 일정한 식감과 안전한 보관을 보장해 준다. 한편, 상기 건조기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392617 호('종래 기술 1' 로 지칭)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379849 호('종래 기술 2' 로 지칭)에 개시되고 있다.
상기 종래 기술 1 및 2 에서, 상기 건조기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히트 펌프, 고주파 장치와 적외선 램프를 구비하여 본체의 내부에서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피건조물에 고주파를 침투시켜 피건조물을 건조하거나, 롤러 부재 상에 근적외선 램프, 열풍기와 순환 팬을 구비하여 내부 몸체의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 내부 몸체의 양 측벽을 통해 내부 몸체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동일한 형상으로 순환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건조기가 공기 흐름 관점으로 볼 때 정적 상태 또는 동적 상태에서 피건조물을 건조시키지만, 상기 공기는 동적 상태에서도 내부 몸체의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을 향해 일정한 속도로 흐르기 때문에 롤러 부재 상에 위치되는 피건조물을 빠른 시간 내 건조시키는데 한계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적외선 램프가 공기를 가열하지만, 상기 적외선 램프는 히트 펌프 또는 열풍기와 함께 컨베이어 벨트 또는 롤러 부재 주변에 공기 온도를 일정하게 하므로 공기 흐름을 유도하지 못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392617 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379849 호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컨베이어 하우징의 일 측벽, 내부 공간과 타 측벽을 향해 흐르는 공기와 컨베이어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근적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컨베이어 하우징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컨베이어에서 개개의 컨베이어 상에 안착된 피건조물의 건조 시간을 짧게 하고, 컨테이너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개개의 컨베이어 별로 피건조물의 건조를 균일하게 하는데 적합한 공기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건조 장치는, 컨베이어 하우징을 포함하는 작업 컨테이너;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내부에서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복수의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두 개의 모터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유닛; 및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 상에 흡기 덕트, 배기 덕트 그리고 상기 배기 덕트와 연통하는 송풍 덕트를 가지고,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상기 내부에서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을 통해 상기 흡기 덕트와 연통하며 개개의 컨베이어 상에 위치되는 공기 토출기를 가지는 공기 순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 덕트와 상기 송풍 덕트는 서로 다른 공기 유로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배기 덕트는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상기 내부로부터 상기 외부를 향해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내부 공기의 전송 동안 상기 내부 공기 중 일부를 상기 외부에 배출하면서 나머지 내부 공기를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에 재 공급하고,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은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와 상기 공기 토출기 사이에서 상기 외부 공기와 상기 내부 공기를 통해 생성되는 와류와 제트기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은 두 개의 제어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제어실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건조실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제어실은 일 측의 제어실에서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천장에 위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상기 내부를 상기 외부에 노출시키는 피건조물의 투입 용기, 그리고 타 측의 제어실에서 상기 투입 용기와 대각선으로 위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외부를 향해 돌출하는 상기 피건조물의 수거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건조실은 상기 두 개의 제어실과 연통할 수 있다.
개개의 제어실은 개개의 건조실과 동일한 크기의 내부 공간을 한정하며, 개개의 컨베이어와 개개의 모터의 물리적인 그리고 전기적인 상태를 영상 카메라와 홀 센서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확인시켜 주며, 상기 투입 용기를 관통하는 상기 피건조물의 투입 속도와 상기 수거 용기에 쌓이는 상기 피건조물의 배출 속도를 속도 센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확인시켜 주며, 상기 개개의 건조실에서 습도, 온도와 바람 세기에 대해 관련된 복수의 센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확인시켜 주며, 상기 개개의 건조실에서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 상에 피건조물의 배열 상태를 영상 카메라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확인시켜 주고, 상기 개개의 건조실은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 상에서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개개의 건조실은, 중앙 영역에 위치되는 건조 공간의 양 측부에서 상기 건조 공간을 둘러싸도록, 일 측부로부터 타 측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제1 단열벽과 공기 유입 벽체(壁體), 그리고 상기 타 측부로부터 상기 일 측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공기 배출 벽체, 제2 단열벽과 공기 투입 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유입 벽체, 상기 공기 투입 벽체와 상기 공기 배출 벽체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기 유입 벽체와 상기 공기 투입 벽체는 스텐레스 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기 투입 벽체는 상기 건조 공간의 상부 측에서 상기 타 측부로부터 상기 일 측부를 향해 연장하여 상기 공기 유입 벽체와 접촉하고, 상기 공기 유입 벽체, 상기 공기 투입 벽체와 상기 제2 단열벽은 상기 건조 공간의 하부 측에서 상기 개개의 건조실의 바닥으로부터 이격하고, 상기 공기 배출 벽체는 상기 건조 공간의 상기 하부 측에서 상기 공기 투입 벽체와 상기 제2 단열벽을 통해 상기건조 공간과 연통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 벽체, 상기 공기 투입 벽체와 상기 공기 배출 벽체는 공기 유입로, 공기 투입로와 공기 배출로를 각각 한정하고, 상기 공기 유입 벽체는 상기 공기 유입로를 통해 상기 공기 토출기와 연통하고, 상기 공기 투입 벽체는 상기 공기 유입 벽체와 마주보는 면에서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와 상기 공기 토출기 사이의 영역을 향해 개구되어 상기 건조 공간에 상기 공기 투입로를 노출시키는 복수의 공기 분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컨베이어는 상기 일 측의 제어실로부터 시작해서 상기 복수의 건조실을 경유하여 상기 타 측의 제어실에 연장되며, 상기 두 개의 제어실에서 개개의 컨베이어의 양 단부를 가지고, 상기 투입 용기 바로 아래에 최상부의 컨베이어 그리고 상기 수거 용기 바로 위에 최하부의 컨베이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모터는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양 측부에 위치되며, 상기 일 측의 제어실의 바닥과 결합되어 제1 구동 벨트를 통해 상기 복수의 컨베이어 중 홀수 번째 또는 짝수 번째 컨베이어와 벨트 결합하고, 상기 타 측의 제어실의 천장 상에 위치되어 제2 구동 벨트를 통해 짝수 번째 또는 홀수 번째 컨베이어와 벨트 결합하고, 인접한 두 개의 컨베이어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흡기 덕트는 흡기 모터, 흡기 구와 흡기 관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 모터는 내부 팬을 회전시켜 상기 흡기 구로부터 상기 흡기 관을 향해 상기 외부 공기를 흐르게 하고, 상기 흡기 관은 상기 공기 유입 벽체를 통해 상기 공기 토출기와 연통할 수 있다.
상기 배기 덕트는 배기 모터, 배기 구와 배기 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 모터는 내부 팬을 회전시켜 상기 배기 관으로부터 상기 배기 구를 향해 상기 내부 공기를 흐르게 하고, 상기 배기 관은 상기 공기 배출 벽체와 연통하며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볼 때 상기 송풍 덕트 가까이에서 상기 송풍 덕트를 향해 기울어진 제1 격막을 가지고, 상기 내부 공기의 상기 일부는 상기 배기 관에서 상기 제1격막의 주변을 지나 상기 배기 구로 배출되고, 상기 나머지 내부 공기는 상기 배기 관에서 상기 제1 격막에 부딪쳐 상기 송풍 덕트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송풍 덕트는 송풍 모터, 송풍 구와 송풍 관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 모터는 내부 팬을 회전시켜 상기 송풍구로부터 상기 송풍 관을 향해 외부 공기를 흐르게 하고, 상기 송풍 관은 상기 공기 투입 벽체와 연통하며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볼 때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과 상기 배기 관 사이에 상기 송풍관의 직경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2 격막을 가지고, 상기 송풍 관의 상기 외부 공기와 상기 배기 관의 상기 나머지 내부 공기는 상기 송풍 관에서 상기 제2 격막의 양 면에 부딪쳐 상기 공기 투입 벽체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토출기는 사각 통의 스텐레스 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 유입 벽체와 마주보며 복수의 유입 홀에 의해 관통되는 제1 판체(板體), 상기 제1 판체의 일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 바로 위에 위치되며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를 향해 개구되는 그루브(groove)를 적어도 하나로 한정하여 상기 그루브에 근적외선 램프를 가지는 제2 판체, 그리고 상기 제1 판체의 타 가장 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판체 상에 위치되는 제3 판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판체는 상기 복수의 유입 홀을 통해 상기 공기 유입 벽체에 연통되도록 상기 공기 유입 벽체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흡기 덕트의 외부 공기를 상기 공기 토출기에 유입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판체는 상기 그루브의 양 측벽과 상기 그루브 주변에 복수의 분사 홀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분사 홀을 통해 상기 흡기 덕트의 외부 공기를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를 향해 분사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판체의 상기 그루브가 상기 제2 판체에 하나로 위치되고, 상기 그루브의 길이 방향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상기 그루브의 천장을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때, 상기 근적외선 램프는 상기 두 개의 영역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판체의 상기 그루브가 상기 제2 판체에 다수 개로 위치되고, 개개의 그루브의 길이 방향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상기 개개의 그루브의 천장을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때, 상기 근적외선 램프는 인접한 두 개의 그루브에서 하나씩 배치되어 상기 두 개의 그루브의 배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영역에 위치되거나 상기 개개의 그루브에 두 개씩 배치되어 상기 두 개의 영역에 모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판체는 상기 제2 판체와 다르게 편평하게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2 판체와 동일한 개수의 그루브를 가지고, 상기 공기 토출기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인접하는 두 개의 공기 토출기와 상기 공기 투입 벽체는 하나의 공기 토출기의 제2 판체와 나머지 공기 토출기의 제3 판체와 상기 공기 투입 벽체의 공기 분산홀을 통해 상기 와류와 상기 제트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와류는, 상기 흡기 덕트로부터 시작해서 상기 하나의 공기 토출기의 상기 제2 판체 상에 외부 공기를 도달시켜, 상기 제2 판체의 그루브의 양 측벽에서 분사 홀들을 통과하는 상기 흡기 덕트의 상기 외부 공기의 흐름선들의 충돌에 의해 생성되는 제1 와류; 상기 제2 판체의 그루브 주변에서 분사 홀들을 통과하는 외부 공기의 흐름선과, 상기 공기 투입 벽체에서 상기 송풍 덕트의 외부 공기와 상기 배기 덕트의 상기 나머지 내부 공기를 섞어 혼합 공기를 형성하여 상기 공기 투입 벽체의 공기 분산 홀을 통과하는 상기 혼합 공기의 흐름선의 접촉을 통해 벡터적 합성으로 벡터 흐름선에 의해 생성되는 제2 와류; 및 상기 제1 와류와 상기 제2 와류를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를 통과시키면서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상기 바닥 또는 상기 나머지 공기 토출기의 상기 제3 판체에 접촉시켜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를 향하는 반사 흐름선을 따라 생성되는 제3 와류;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트기류는, 상기 흡기 덕트로부터 시작해서 상기 하나의 공기 토출기의 상기 제2 판체 상에 외부 공기를 도달시켜, 상기 제2 판체의 그루브의 양 측벽과 상기 그루브 주변에 분사 홀들을 통과하는 상기 흡기 덕트의 상기 외부 공기에 의해서 상기 제2 판체 바로 아래에 생기는 저온 지대와, 상기 제2 판체의 상기 그루브의 천장에 위치되는 상기 근적외선 램프에 의해 상기 흡기 덕트와 상기 송풍 덕트의 상기 외부 공기와 함께 상기 배기 덕트의 상기 나머지 내부 공기를 가열시켜 상기 저온 지대로부터 상기 나머지 공기 토출기의 상기 제3 판체에 걸쳐 생기는 고온 지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트기류의 흐름 동력은, 상기 제2 판체의 상기 그루브 주변에 분사 홀들을 통과하는 외부 공기의 속도와, 상기 공기 투입 벽체에서 상기 송풍 덕트의 외부 공기와 상기 배기 덕트의 상기 나머지 내부 공기를 섞어 혼합 공기를 형성하여 상기 공기 투입 벽체의 상기 공기 분산 홀을 통과하는 혼합 공기의 속도에 대한 벡터적인 합 또는 차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하우징에서 개개의 건조실의 천장에 위치되는 흡기 덕트, 배기 덕트와 송풍 덕트, 그리고 개개의 건조실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컨베이어에서 개개의 컨베이어 상에 공기 토출기를 구비하므로,
본 발명은, 컨베이어 하우징의 일 측벽을 통해 흡기 덕트의 외부 공기를 공기 토출기에 공급받아 공기 토출기의 그루브의 양 측벽과 그루브 주변으로부터 흡기 덕트의 외부 공기를 분사하고, 컨베이어 하우징의 타 측벽에서 송풍 덕트의 외부 공기에 배기 덕트의 내부 공기의 일부를 섞어 혼합 공기를 타 측벽으로부터 컨베이어 하우징의 내부에 공급받는 동안, 공기 토출기의 그루브의 양 측벽과 그루브 주변에서 와류들을 형성해서 와류들을 통해 개개의 컨베이어 상에 안착된 피건조물을 빠른 시간에 건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접한 두 개의 공기 토출기에서 볼 때, 컨베이어 하우징의 일 측벽으로부터 제공되는 흡기 덕트의 외부 공기를 하나(또는 상부측)의 공기 토출기를 통해 분사하여 하나의 공기 토출기 바로 아래에 위치된 저온지대와, 하나의 공기 토출기의 그루브에 위치되는 근적외선 램프를 통해 개개의 컨베이어 상에 흡기 덕트로부터 공급되는 외부 공기와 송풍 덕트와 배기 덕트로부터 공급되는 혼합 공기를 가열하여 저온지대와 나머지(또는 하부측) 공기 토출기 사이에 위치된 고온지대를 이용해서 저온지대와 고온지대 사이에 제트기류를 형성하므로 제트기류 아래에 고온 지대의 공기 온도와 공기 부피를 일정하게 하여 개개의 컨베이어 상에 안착된 피건조물을 적절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접한 두 개의 공기 토출기에서 볼 때, 하나(또는 상부 측)의 공기 토출기와 나머지(또는 하부측) 공기 토출기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고온지대, 제트기류와 저온지대를 구비하고, 하나의 공기 토출기에서 그루브 주변으로부터 분사되는 흡기 덕트의 외부 공기 속도와 컨베이어 하우징의 타 측벽으로부터 일 측벽으로 분사되는 송풍 덕트와 베기 덕트의 혼합 공기 속도에 대한 벡터적인 합 또는 차에 의해 제어기류에 흐름 동력을 주어서 개개의 컨베이어 주변의 습도와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하여 개개의 컨베이어 상에 안착된 피건조물의 건조를 컨테이너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균일하게 해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건조 장치의 외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 건조 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기 건조 장치에서 건조실 별로 천장 상에 위치되는 흡기 덕트, 배기 덕트와 송풍 덕트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복수의 컨베이어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건조실 별로 개개의 컨베이어 상에 위치되는 공기 토출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의 공기 토출기의 제1 변형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5의 공기 토출기의 제2 변형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1의 공기 건조 장치를 절단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1의 공기 건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건조 장치의 외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기 건조 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기 건조 장치에서 건조실 별로 천장 상에 위치되는 흡기 덕트, 배기 덕트와 송풍 덕트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복수의 컨베이어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건조실 별로 개개의 컨베이어 상에 위치되는 공기 토출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5의 공기 토출기의 제1 변형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5의 공기 토출기의 제2 변형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1의 공기 건조 장치를 절단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건조장치(290)는, 작업 컨테이너(70), 컨베이어 유닛(150)과 공기 순환 유닛(280)을 포함한다. 상기 작업 컨테이너(70), 컨베이어 유닛(150)과 공기 순환 유닛(280)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작업 컨테이너(70)는 컨베이어 하우징(60)을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 유닛(150)은 컨베이어 하우징(60)의 내부에서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120)와 컨베이어 하우징(60)의 외부에서 복수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120)를 구동시키는 두 개의 모터(130, 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는 망사 형상(M)의 컨베이어 벨트(B)와 복수의 롤러(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순환 유닛(280)은 컨베이어 하우징(60) 상에 흡기 덕트(170), 배기 덕트(190) 그리고 배기 덕트(190)와 연통하는 송풍 덕트(210)를 가지고, 컨베이어 하우징(60)의 내부에서 컨베이어 하우징(60)을 통해 흡기 덕트(170)와 연통하며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 상에 위치되는 공기 토출기(230)를 포함한다.
상기 흡기 덕트(170)와 송풍 덕트(210)는 서로 다른 공기 유로를 통해 컨베이어 하우징(60)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고, 배기 덕트(190)는 컨베이어 하우징(60)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컨베이어 하우징(60)의 내부 공기의 전송 동안 내부 공기 중 일부를 외부에 배출하면서 나머지 내부 공기를 컨베이어 하우징(60)에 재 공급한다.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60)은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와 공기 토출기(230) 사이에서 외부 공기와 내부 공기를 통해 생성되는 와류(도 11 및 도 12의 T1, T2, T3)와 제트기류(도 11의 J)를 갖는다. 좀 더 상세하게, 상기 작업 컨테이너(70), 컨베이어 유닛(150)과 공기 순환 유닛(280)을 이후로 다시 설명하면,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60)은 두 개의 제어실(10, 20), 그리고 두 개의 제어실(10, 20)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건조실(30)을 도 1과 같이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제어실(10, 20)은 일 측의 제어실(10)에서 컨베이어 하우징(60)의 천장에 위치되어 컨베이어 하우징(60)의 내부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피건조물(도 12의 300)의 투입 용기(44), 그리고 타 측의 제어실(20)에서 투입 용기(20)와 대각선으로 위치되어 컨베이어 하우징(60)의 바닥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하는 피건조물(300)의 수거 용기(48)를 도 2와 같이 포함한다.
여기서, 개개의 제어실(10 또는 20)은 개개의 건조실(30)과 동일한 크기의 내부 공간을 한정하며,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와 개개의 모터(130 또는 140)의 물리적인 그리고 전기적인 상태를 영상 카메라와 홀 센서(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니터(도면에 미도시)에 확인시켜 주며, 투입 용기(44)를 관통하는 피건조물(300)의 투입 속도와 수거 용기(48)에 쌓이는 피건조물(300)의 배출 속도를 속도 센서(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확인시켜 준다.
또한, 상기 개개의 제어실(10 또는 20)은 개개의 건조실(30)에서 습도, 온도와 바람 세기에 대해 관련된 복수의 센서(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확인시켜 주며, 개개의 건조실(30)에서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 상에 피건조물(300)의 배열 상태를 영상 카메라(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확인시켜 준다.
상기 복수의 건조실(30)은 두 개의 제어실(10, 20)과 연통한다. 상기 개개의 건조실(30)은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 상에서 피건조물(도 12의 300)을 건조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개개의 건조실(30)은, 중앙 영역에 위치되는 건조 공간(53)의 양 측부에서 건조 공간(53)을 둘러싸도록, 일측부로부터 타 측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제1 단열벽(51)과 공기 유입 벽체(壁體; 52), 그리고 타 측부로부터 일 측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공기 배출벽체(56), 제2 단열벽(57)과 공기 투입 벽체(59)를 도 8과 같이 포함한다.
상기 공기 유입 벽체(52), 공기 배출 벽체(56)와 공기 투입 벽체(59)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기 유입 벽체(52)와 공기 투입 벽체(59)는 스텐레스 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 투입 벽체(59)는 건조 공간(53)의 상부 측에서 타 측부로부터 일 측부를 향해 연장하여 공기 유입 벽체(52)와 접촉한다. 상기 공기 유입 벽체(52), 제2 단열벽(57)과 공기 투입 벽체(59)는 건조 공간(53)의 하부 측에서 개개의 건조실(3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한다.
상기 공기 배출 벽체(52)는 건조 공간(53)의 하부 측에서 제2 단열벽(57)과 공기 투입 벽체(59)를 통해 건조 공간(53)과 연통한다. 상기 공기 유입벽체(52), 공기 배출 벽체(56)와 공기 투입 벽체(59)는 공기 유입로(52A), 공기 배출로(56A)와 공기 투입로(59A)를 각각 한정한다. 상기 공기 유입 벽체(52)는 공기유입로(52A)를 통해 공기 토출기(230)와 연통한다.
상기 공기 투입 벽체(59)는 공기 유입 벽체(52)와 마주보는 면에서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와 공기 토출기(230) 사이의 영역을 향해 개구되어 건조 공간(53)에 공기 투입로(59A)를 노출시키는 복수의 공기 분산홀(58)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컨베이어 유닛(150)에서, 상기 복수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120)는 일 측의 제어실(10)로부터 시작해서 복수의 건조실(30)을 경유하여 타 측의 제어실(20)에 도 2와 같이 연장되며, 두 개의 제어실(10, 20)에서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의 양 단부를 가지고, 투입 용기(44) 바로 아래에 최상부의 컨베이어(120) 그리고 수거 용기(48) 바로 위에 최하부의 컨베이어(80)를 갖는다.
상기 두 개의 모터(130, 140)는, 도 2 및 도 4에서, 컨베이어 하우징(60)의 양 측부에 위치되며, 일 측의 제어실(10)의 바닥과 결합되어 제1 구동 벨트(B1)를 통해 복수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120) 중 홀수 번째 또는 짝수 번째 컨베이어의 롤러(R)들과 벨트 결합하고, 타 측의 제어실(20)의 천장 상에 위치되어 제2 구동 벨트(B2)를 통해 짝수 번째 또는 홀수 번째 컨베이어의 롤러(R)들과 벨트 결합하고, 인접한 두 개의 컨베이어(80 & 90, 90 & 100, 100 & 110, 또는 110 & 120)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공기 순환 유닛(280)에서, 상기 흡기 덕트(170)는 흡기 모터(163), 흡기 구(166)와 흡기 관(169)을 도 2, 도 3 및 도 8과 같이 포함한다. 상기 흡기 모터(163)는 내부 팬을 회전시켜 흡기 구(166)로부터 흡기 관(169)을 향해 외부 공기를 흐르게 한다. 상기 흡기 관(169)은 공기 유입 벽체(52)를 통해 공기 토출기(230)와 연통한다. 상기 배기 덕트(190)는 배기 모터(183), 배기 구(186)와 배기 관(189)을 포함한다. 상기 배기 모터(183)는 내부 팬을 회전시켜 배기 관(189)으로부터 배기 구(186)를 향해 컨베이어 하우징(60)의 내부 공기를 흐르게 한다.
상기 배기 관(189)은 컨베이어 하우징(60)의 공기 배출 벽체(56)와 연통하며 공기 유로를 따라 볼 때 송풍 덕트(210) 가까이에서 송풍 덕트(210)를 향해 기울어진 제1 격막(P1)을 갖는다. 상기 내부 공기의 일부는 배기 관(189)에서 제1 격막(P1)의 주변을 지나 배기 구(186)로 배출된다. 상기 나머지 내부 공기는 배기 관(189)에서 제1 격막(P1)에 부딪쳐 송풍 덕트(210)로 전송된다.
상기 송풍 덕트(210)는 송풍 모터(203), 송풍 구(206)와 송풍 관(209)을 포함한다. 상기 송풍 모터(203)는 내부 팬을 회전시켜 송풍 구(206)로부터 송풍 관(209)을 향해 외부 공기를 흐르게 한다. 상기 송풍 관(209)은 컨베이어 하우징의(60)의 공기 투입 벽체(59)와 연통하며 공기 유로를 따라 볼 때 컨베이어 하우징(60)과 배기 관(189) 사이에 송풍 관(209)의 직경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2 격막(P2)을 갖는다. 상기 송풍 관(209)의 외부 공기와 배기관(189)의 나머지 내부 공기는 송풍 관(209)에서 제2 격막(P2)의 양 면에 부딪쳐 공기 투입 벽체(59)로 전송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도 5 참조요)에 따라서, 상기 공기 토출기(230)는 사각 통의 스텐레스 강으로 이루어지고, 공기 유입 벽체(52)와 마주보며 복수의 유입 홀(221)에 의해 관통되는 제1 판체(板體; S1), 제1 판체(S1)의 일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 바로 위에 위치되며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를 향해 개구되는 그루브(groove; G)를 하나로 한정하여 그루브(G)에 근적외선 램프(227)를 가지는 제2 판체(S2), 그리고 제1 판체(S1)의 타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제2 판체(S2) 상에 위치되는 제3 판체(S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판체(S1)와 마주보는 제4 판체(도면에 미도시)는 제1 판체(S1)와 다르게 복수의 유입홀(221)을 가지지 않으며 나머지에서 제1 판체(S1)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 판체(S1)는 복수의 유입 홀(221)을 통해 공기 유입 벽체(52)에 연통되도록 공기 유입 벽체(52)에 고정 결합되며, 흡기 덕트(170)의 외부 공기를 공기 토출기(230)에 유입시킨다.
상기 제2 판체(S2)는 그루브(G)의 양 측벽(225)과 그루브(G) 주변에 복수의 분사 홀(229)을 가지며, 복수의 분사 홀(229)을 통해 흡기 덕트(170)의 외부 공기를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를 향해 분사시킨다. 여기서, 상기 그루브(G)의 길이 방향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그루브(G)의 천장(223)을 두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때, 상기 근적외선 램프(227)는 두 개의 영역에 하나씩 배치된다. 상기 제3 판체(S3)는 제2 판체(S2)와 다르게 편평하게 이루어져 공기 토출기(23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변형예(도 6 참조요)에 따라서, 상기 공기 토출기(250)의 제1 내지 제3 판체(S1, S2, S3)는 도 5의 공기 토출기(230)의 제1 내지 제3 판체(S1, S2, S3)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공기 토출기(250)에서, 상기 제1 판체(S1)는 복수의 유입 홀(241)을 가지고, 상기 제2 판체(S2)는 다수 개의 그루브(G11, G12)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개개의 그루브(G11 또는 G12)의 길이 방향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개개의 그루브(G11 또는 G12)의 천장(243)을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때, 근적외선 램프(247)는 인접한 두 개의 그루브(G11, G12)에서 하나씩 배치되어 두 개의 그루브(G11, G12)의 배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영역에 위치되거나, 개개의 그루브(G11 또는 G12)에 두 개씩 배치되어 두 개의 영역에 모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판체(S2)는 개개의 그루브(G11 또는 G12)의 양 측벽(225)과 개개의 그루브(G11 또는 G12) 주변에 복수의 분사 홀(249)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판체(S3)는 제2 판체(S2)와 다르게 편평하게 이루어져 공기 토출기(25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변형예(도 7 참조요)에 따라서, 상기 공기 토출기(270)의 의 제1 내지 제3 판체(S1, S2, S3)는 도 5또는 도 6의 공기 토출기(230 또는 250)의 제1 내지 제3 판체(S1, S2, S3)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공기 토출기(270)에서, 상기 제1 판체(S1)는 복수의 유입 홀(264)을 가지고, 상기 제2 판체(S2)는 하나의 그루브(G21)를 가지도록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그루브(G21)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2판체(S2)는 그루브(G21)와 그루브(G21) 주변에 도 5 또는 도 6과 동일한 배열을 가지는 복수의 분사 홀(도면에 미도시)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2 판체(S2)에서, 개개의 그루브(G21)는 도 5 또는 도 6과 같이 배열되는 근적외선 램프(268)를 가질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3 판체(S3)는 제2 판체(S2)와 동일한 개수의 그루브(G22)를 가지고, 공기 토출기(27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도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1의 공기 건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건조 장치(290)에서, 공기 순환 유닛(280)의 흡기 덕트(170)가 흡기 모터(163)의 동작 동안 흡기 구(166)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제1 흐름선(F1)을 따라 도 9와 같이 흡기 관(169)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
상기 흡기 관(169)의 외부 공기는 컨베이어 하우징(60)의 공기 유입벽체(52)의 공기 유입로(52A)를 따라 흘러 컨베이어 하우징(60)의 건조 공간(53)에 위치되는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 상에서 공기 순환 유닛(280)의 공기 토출기(230)에 제2 흐름선(F2)을 따라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토출기(230)는 복수의 분사홀(229)을 통해 외부 공기를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를 향해 분사시키고 외부 공기로 하여금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를 관통시켜 컨베이어 하우징(60)의 바닥 또는 이웃하는 공기 토출기(230)에 이르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공기는 이웃하는 공기 토출기(230)에 부딪치고 반사되어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를 향해 도 12와 같이 흐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해 볼 때, 인접한 두 개의 공기 토출기(230) 사이에서, 상기 외부 공기는 상부 측에 위치되는 공기 토출기(230)의 근적외선 램프(227)에 의해 가열되어 컨베이어 하우징(60)의 건조 공간(53)에서 내부 공기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기는 건조 공간(53)의 하부 측에서 공기 배출 벽체(56)의 공기 배출로(56A)를 통해 제4 흐름선(F4)을 따라 배기 덕트(190)를 향해 흐를 수 있다.
상기 배기 덕트(190)는 배기 모터(183)의 동작 동안 배기 관(189)에서 내부 공기의 일부를 제1 격막(P1) 주변으로 흐르게 하여 내부 공기의 일부를 배기 구(186)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 덕트(190)는 배기 모터(183)의 동작 동안 배기 관(189)에서 나머지 내부 공기를 제1 격막(P1)에 부딪치게 하여 나머지 내부 공기를 제5 흐름선(F5)을 따라 송풍 덕트(2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송풍 덕트(210)는 송풍 모터(203)의 동작 동안 송풍 구(206)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제6 흐름선(F6)을 따라 송풍 관(209)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기관(189)의 나머지 내부 공기와 송풍관(209)의 외부 공기는 송풍관(209)의 제2 격막(P1)의 양 측면에 부딪쳐 제7 흐름선(F7)을 따라 컨베이어 하우징(60)의 공기 투입 벽체(59)의 공기 투입로(59A)를 향해 흐를 수 있다.
상기 배기관(189)의 나머지 내부 공기와 송풍관(209)의 외부 공기는 공기 투입 벽체(59)에서 섞여져 혼합 공기로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혼합공기는 제8 흐름선(F8)을 따라 공기 투입 벽체(59)의 복수의 공기 분산홀(58)을 통과하여 컨베이어어 하우징(60)의 건조 공간(53)에 분사될 수 있다. 즉, 상기 혼합공기는 컨베이어 하우징(60)의 건조 공간(53)에서 공기 토출기(230)와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 사이의 영역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60), 흡기 덕트(170), 배기 덕트(190)와 송풍덕트(210)는 공기 건조 장치(290)의 동작 동안 위에 기술된 공기 흐름을 계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흐름을 계속적으로 유지시키는 동안, 인접하는 두 개의 공기 토출기(230) 그리고 공기 투입 벽체(59)는 하나(또는 상부측)의 공기 토출기(230)의 제2 판체(S2)와, 나머지(또는 하부측) 공기 토출기(230)의 제3판체(S3)와, 공기 투입 벽체(59)의 공기 분산홀(58)을 통해 와류(turbulence)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해 볼 때, 상기 와류는 제1 내지 제3 와류(T1, T2, T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류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흡기 덕트(170)로부터 시작해서 하나의 공기 토출기(230)의 제2 판체(S2) 상에 외부 공기를 도달시키는 때, 상기 제1 와류(T1)는 제2 판체(S2)의 그루브(G)의 양 측벽(225)에서 분사 홀(229)들을 통과하는 흡기 덕트(170)의 외부 공기의 내측 분기 흐름선(F31)들의 충돌에 의해 도 11과 같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와류(T2)는 제2 판체(S2)의 그루브(G) 주변에서 분사 홀(229)들을 통과하는 외부 공기의 외측 분기 흐름선(F32)과, 공기 투입 벽체(59)에서 송풍 덕트(210)의 외부 공기와 배기 덕트(190)의 나머지 내부 공기를 섞어 혼합공기를 형성하여 공기 투입 벽체(59)의 공기 분산 홀(58)을 통과하는 혼합 공기의 제8 흐름선(F8)의 접촉을 통해 벡터적 합성으로 벡터 흐름선(FV)에 의해 도 11과 같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와류(T3)는 제1 와류(T1)와 제2 와류(T2)를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를 통과시키면서 컨베이어 하우징(60)의 바닥 또는 나머지(또는 하부측) 공기 토출기(30)의 제3 판체(S3)에 접촉시켜 개개의 컨베이어(80, 90, 100, 110 또는 120)를 향하는 반사 흐름선(도 12를 참조요)을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와류(T3)는 나머지(또는 하부측) 공기 토출기(30)에 도 5 또는 도 6의 제3 판체(S3)보다 도 7의 제3 판체(S3)를 대응시키는 때 제3 판체(S3) 상에서 더 심한 공기의 요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접하는 두 개의 공기 토출기(230) 그리고 공기 투입벽체(59)는 하나(또는 상부측)의 공기 토출기(230)의 제2 판체(S2)와, 나머지(또는 하부측) 공기 토출기(230)의 제3 판체(S3)와, 공기 투입 벽체(59)의 공기 분산홀(58)을 통해 제트기류(J)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트기류(J)는 인접한 두 개의 공기 토출기(230)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저온 지대(CZ)와 고온 지대(HZ)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흡기 덕트(170)로부터 시작해서 하나(또는 상부측)의 공기 토출기(230)의 제2 판체(S2) 상에 외부 공기를 도달시키는 동안, 상기 저온 지대(CZ)는 제2 판체(S2)의 그루브(G)의 양 측벽(225)과 그루브(G) 주변에 분사 홀(229)들을 통과하는 흡기 덕트(170)의 외부 공기에 의해서 제2 판체(S2) 바로 아래에 생길 수 있다. 상기 고온 지대(HZ)는 제2 판체(S2)의 그루브(G)의 천장(223)에 위치되는 근적외선 램프(227)에 의해 흡기 덕트(170)와 송풍 덕트(210)의 외부 공기와 함께 배기 덕트(190)의 나머지 내부 공기를 가열시켜 저온 지대(CZ)로부터 나머지(또는 하부측) 공기 토출기(230)의 제3 판체(S3)에 걸쳐 생길 수 있다.
상기 제트기류(J)는 고온 지대(HZ)로부터 저온 지대(CZ)를 향해 더운 공기의 상승 동안 찬 공기를 만나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트기류(J)의 흐름 동력은, 제2 판체(S2)의 그루브(G) 주변에 분사 홀(229)들을 통과하는 외부 공기의 속도와, 공기 투입 벽체(59)에서 송풍 덕트(210)의 외부 공기와 배기덕트(190)의 나머지 내부 공기를 섞어 혼합 공기를 형성하여 공기 투입 벽체(59)의 공기 분산 홀(58)을 통과하는 혼합 공기의 속도에 대한 벡터적인 합 또는 차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30; 건조실, 44; 투입 용기
48; 수거 용기, 70; 작업 컨테이너
80, 90, 100, 110, 120; 컨베이어, 130, 140; 모터
150; 컨베이어 유닛, 170; 흡기 덕트
190; 배기 덕트, 210; 송풍 덕트
230; 공기 토출기, 280; 공기 순환 유닛
290; 공기 건조 장치, B; 구동 벨트

Claims (21)

  1. 컨베이어 하우징을 포함하는 작업 컨테이너;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내부에서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복수의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두 개의 모터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유닛; 및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 상에 흡기 덕트, 배기 덕트 그리고 상기 배기 덕트와 연통하는 송풍 덕트를 가지고,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상기 내부에서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을 통해 상기 흡기 덕트와 연통하며 개개의 컨베이어 상에 위치되는 공기 토출기를 가지는 공기 순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 덕트와 상기 송풍 덕트는 서로 다른 공기 유로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배기 덕트는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상기 내부로부터 상기 외부를 향해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내부 공기의 전송 동안 상기 내부 공기 중 일부를 상기 외부에 배출하면서 나머지 내부 공기를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에 재 공급하고,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은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와 상기 공기 토출기 사이에서 상기 외부 공기와 상기 내부 공기를 통해 생성되는 와류와 제트기류를 가지며,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은 두 개의 제어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제어실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건조실을 포함하고,
    개개의 건조실은, 중앙 영역에 위치되는 건조 공간의 양 측부에서 상기 건조공간을 둘러싸도록, 일 측부로부터 타 측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제1 단열벽과 공기 유입 벽체(壁體), 그리고 상기 타 측부로부터 상기 일 측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공기 배출 벽체, 제2 단열벽과 공기 투입 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토출기는 사각 통의 스텐레스 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 유입벽체와 마주보며 복수의 유입 홀에 의해 관통되는 제1 판체(板體), 상기 제1 판체의 일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 바로 위에 위치되며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를 향해 개구되는 그루브(groove)를 적어도 하나로 한정하여 상기 그루브에 근적외선 램프를 가지는 제2 판체, 그리고 상기 제1 판체의 타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판체 상에 위치되는 제3 판체를 포함하는 공기 건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제어실은 일 측의 제어실에서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천장에 위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상기 내부를 상기 외부에 노출시키는 피건조물의 투입 용기, 그리고 타 측의 제어실에서 상기 투입 용기와 대각선으로 위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외부를 향해 돌출하는 상기 피건조물의 수거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건조실은 상기 두 개의 제어실과 연통하는 공기 건조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개개의 제어실은 개개의 건조실과 동일한 크기의 내부 공간을 한정하며, 개개의 컨베이어와 개개의 모터의 물리적인 그리고 전기적인 상태를 영상 카메라와 홀 센서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확인시켜 주며, 상기 투입 용기를 관통하는 상기 피건조물의 투입 속도와 상기 수거 용기에 쌓이는 상기 피건조물의 배출 속도를 속도 센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확인시켜 주며, 상기 개개의 건조실에서 습도, 온도와 바람 세기에 대해 관련된 복수의 센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확인시켜 주며, 상기 개개의 건조실에서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 상에 피건조물의 배열 상태를 영상 카메라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확인시켜주고, 상기 개개의 건조실은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 상에서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공기 건조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 벽체, 상기 공기 투입 벽체와 상기 공기 배출 벽체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기 유입 벽체와 상기 공기 투입 벽체는 스텐레스 강으로 이루어지는 공기 건조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투입 벽체는 상기 건조 공간의 상부 측에서 상기 타 측부로부터 상기 일 측부를 향해 연장하여 상기 공기 유입 벽체와 접촉하고,
    상기 공기 유입 벽체, 상기 공기 투입 벽체와 상기 제2 단열벽은 상기 건조공간의 하부 측에서 상기 개개의 건조실의 바닥으로부터 이격하고,
    상기 공기 배출 벽체는 상기 건조 공간의 상기 하부 측에서 상기 공기 투입벽체와 상기 제2 단열벽을 통해 상기 건조 공간과 연통하는 공기 건조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 벽체, 상기 공기 투입 벽체와 상기 공기 배출 벽체는 공기유입로, 공기 투입로와 공기 배출로를 각각 한정하고, 상기 공기 유입 벽체는 상기 공기 유입로를 통해 상기 공기 토출기와 연통하고,
    상기 공기 투입 벽체는 상기 공기 유입 벽체와 마주보는 면에서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와 상기 공기 토출기 사이의 영역을 향해 개구되어 상기 건조 공간에 상기 공기 투입로를 노출시키는 복수의 공기 분산홀을 포함하는 공기 건조 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베이어는 상기 일 측의 제어실로부터 시작해서 상기 복수의 건조실을 경유하여 상기 타 측의 제어실에 연장되며, 상기 두 개의 제어실에서 개개의 컨베이어의 양 단부를 가지고, 상기 투입 용기 바로 아래에 최상부의 컨베이어 그리고 상기 수거 용기 바로 위에 최하부의 컨베이어를 가지는 공기 건조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모터는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양 측부에 위치되며, 상기 일측의 제어실의 바닥과 결합되어 제1 구동 벨트를 통해 상기 복수의 컨베이어 중 홀수 번째 또는 짝수 번째 컨베이어와 벨트 결합하고, 상기 타 측의 제어실의 천장 상에 위치되어 제2 구동 벨트를 통해 짝수 번째 또는 홀수 번째 컨베이어와 벨트결합하고, 인접한 두 개의 컨베이어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공기 건조 장치.
  9.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덕트는 흡기 모터, 흡기 구와 흡기 관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 모터는 내부 팬을 회전시켜 상기 흡기 구로부터 상기 흡기 관을 향해 상기 외부 공기를 흐르게 하고,
    상기 흡기 관은 상기 공기 유입 벽체를 통해 상기 공기 토출기와 연통하는 공기 건조 장치.
  10.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덕트는 배기 모터, 배기 구와 배기 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 모터는 내부 팬을 회전시켜 상기 배기 관으로부터 상기 배기 구를 향해 상기 내부 공기를 흐르게 하고,
    상기 배기 관은 상기 공기 배출 벽체와 연통하며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볼 때 상기 송풍 덕트 가까이에서 상기 송풍 덕트를 향해 기울어진 제1 격막을 가지고,
    상기 내부 공기의 상기 일부는 상기 배기 관에서 상기 제1 격막의 주변을 지나 상기 배기 구로 배출되고,
    상기 나머지 내부 공기는 상기 배기 관에서 상기 제1 격막에 부딪쳐 상기 송풍 덕트로 전송되는 공기 건조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덕트는 송풍 모터, 송풍 구와 송풍 관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 모터는 내부 팬을 회전시켜 상기 송풍구로부터 상기 송풍 관을 향해 외부 공기를 흐르게 하고,
    상기 송풍 관은 상기 공기 투입 벽체와 연통하며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볼 때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과 상기 배기 관 사이에 상기 송풍관의 직경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2 격막을 가지고,
    상기 송풍 관의 상기 외부 공기와 상기 배기관의 상기 나머지 내부 공기는 상기 송풍 관에서 상기 제2 격막의 양 면에 부딪쳐 상기 공기 투입 벽체로 전송되는 공기 건조 장치.
  12. 삭제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체는 상기 복수의 유입 홀을 통해 상기 공기 유입 벽체에 연통되도록 상기 공기 유입 벽체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흡기 덕트의 외부 공기를 상기 공기 토출기에 유입시키는 공기 건조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체는 상기 그루브의 양 측벽과 상기 그루브 주변에 복수의 분사 홀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분사 홀을 통해 상기 흡기 덕트의 외부 공기를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를 향해 분사시키는 공기 건조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체의 상기 그루브가 상기 제2 판체에 하나로 위치되고,
    상기 그루브의 길이 방향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상기 그루브의 천장을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때, 상기 근적외선 램프는 상기 두 개의 영역에 하나씩 배치되는 공기 건조 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체의 상기 그루브가 상기 제2 판체에 다수 개로 위치되고,
    개개의 그루브의 길이 방향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상기 개개의 그루브의 천장을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때, 상기 근적외선 램프는 인접한 두 개의 그루브에서 하나씩 배치되어 상기 두 개의 그루브의 배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영역에 위치되거나 상기 개개의 그루브에 두 개씩 배치되어 상기 두 개의 영역에 모두 위치되는 공기 건조 장치.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판체는 상기 제2 판체와 다르게 편평하게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2 판체와 동일한 개수의 그루브를 가지고, 상기 공기 토출기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공기 건조 장치.
  18. 제14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두 개의 공기 토출기와 상기 공기 투입 벽체는 하나의 공기 토출기의 제2 판체와 나머지 공기 토출기의 제3 판체와 상기 공기 투입 벽체의 공기 분산 홀을 통해 상기 와류와 상기 제트기류를 형성하는 공기 건조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는, 상기 흡기 덕트로부터 시작해서 상기 하나의 공기 토출기의 상기 제2 판체 상에 외부 공기를 도달시켜, 상기 제2 판체의 그루브의 양 측벽에서 분사 홀들을 통과하는 상기 흡기 덕트의 상기 외부 공기의 흐름선들의 충돌에 의해 생성되는 제1 와류;
    상기 제2 판체의 그루브 주변에서 분사 홀들을 통과하는 외부 공기의 흐름선과, 상기 공기 투입 벽체에서 상기 송풍 덕트의 외부 공기와 상기 배기 덕트의 상기 나머지 내부 공기를 섞어 혼합 공기를 형성하여 상기 공기 투입 벽체의 공기 분산 홀을 통과하는 상기 혼합 공기의 흐름선의 접촉을 통해 벡터적 합성으로 벡터 흐름선에 의해 생성되는 제2 와류; 및
    상기 제1 와류와 상기 제2 와류를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를 통과시키면서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상기 바닥 또는 상기 나머지 공기 토출기의 상기 제3 판체에 접촉시켜 상기 개개의 컨베이어를 향하는 반사 흐름선을 따라 생성되는 제3 와류;를 포함하는 공기 건조 장치.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트기류는, 상기 흡기 덕트로부터 시작해서 상기 하나의 공기 토출기의 상기 제2 판체 상에 외부 공기를 도달시켜, 상기 제2 판체의 그루브의 양 측벽과 상기 그루브 주변에 분사 홀들을 통과하는 상기 흡기 덕트의 상기 외부 공기에 의해서 상기 제2 판체 바로 아래에 생기는 저온 지대와, 상기 제2 판체의 상기 그루브의 천장에 위치되는 상기 근적외선 램프에 의해 상기 흡기 덕트와 상기 송풍덕트의 상기 외부 공기와 함께 상기 배기 덕트의 상기 나머지 내부 공기를 가열시켜 상기 저온 지대로부터 상기 나머지 공기 토출기의 상기 제3 판체에 걸쳐 생기는 고온 지대 사이에 위치되는 공기 건조 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트기류의 흐름 동력은, 상기 제2 판체의 상기 그루브 주변에 분사 홀들을 통과하는 외부 공기의 속도와, 상기 공기 투입 벽체에서 상기 송풍 덕트의 외부 공기와 상기 배기 덕트의 상기 나머지 내부 공기를 섞어 혼합 공기를 형성하여 상기 공기 투입 벽체의 상기 공기 분산 홀을 통과하는 혼합 공기의 속도에 대한 벡터적인 합 또는 차에 의해 얻어지는 공기 건조 장치.
KR1020180084122A 2018-07-19 2018-07-19 공기 건조 장치 KR102081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122A KR102081238B1 (ko) 2018-07-19 2018-07-19 공기 건조 장치
PCT/KR2019/008876 WO2020017899A1 (ko) 2018-07-19 2019-07-18 공기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122A KR102081238B1 (ko) 2018-07-19 2018-07-19 공기 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579A KR20200009579A (ko) 2020-01-30
KR102081238B1 true KR102081238B1 (ko) 2020-02-25

Family

ID=69163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122A KR102081238B1 (ko) 2018-07-19 2018-07-19 공기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81238B1 (ko)
WO (1) WO20200178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70057A (zh) * 2021-07-28 2021-11-19 石爽 一种中高温热泵变温干燥设备
CN114111280B (zh) * 2021-11-24 2022-09-30 浙江工业大学 一种用于咸鱼干生产中晾晒阶段的自动晾晒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927Y1 (ko) * 2002-02-27 2002-05-27 순 동 강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1191950B1 (ko) * 2012-02-03 2012-10-17 손명갑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KR101323837B1 (ko) * 2013-07-16 2013-10-31 몽 필 김 고추 건조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617B1 (ko) 2013-05-21 2014-05-12 정천섭 고추건조기
KR101379849B1 (ko) 2013-12-13 2014-03-31 주식회사 네오하이테크 농산물 건조기
KR101574562B1 (ko) * 2015-06-02 2015-12-0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도경 냉동고추의 건조작업 전 전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756208B1 (ko) * 2015-06-25 2017-07-10 디엠테크 주식회사 고효율 스마트 웰빙 식품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식품건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927Y1 (ko) * 2002-02-27 2002-05-27 순 동 강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1191950B1 (ko) * 2012-02-03 2012-10-17 손명갑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KR101323837B1 (ko) * 2013-07-16 2013-10-31 몽 필 김 고추 건조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17899A1 (ko) 2020-01-23
KR20200009579A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1509A (en) Controlled atmosphere broiler
US8726533B2 (en) Over device of tunnel-type sterilization dryer
KR102081238B1 (ko) 공기 건조 장치
RU2673303C2 (ru) Зерносушилка непрерывного действия
JP4358448B2 (ja) 製品の気体処理装置
KR960014869A (ko) 피건조체의 건조시스템
TWI653424B (zh) Dryer
CN103851888A (zh) 被褥烘干装置
JP6993728B2 (ja) 熱風乾燥炉
JP2017032233A (ja) 熱風乾燥炉
JP5196473B2 (ja) 加熱調理装置
JP2016198255A (ja) 加熱処理装置
US4696642A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heating an elongated textile article
US20140352367A1 (en) Garment tunnel finisher with atomized spray and hot air mix
JP3745323B2 (ja) 殻付加熱処理卵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US7845197B2 (en) Triple pass tunnel finisher with an articulated spraying function
JP5784065B2 (ja) 麺乾燥機
IT202000018580A1 (it) Essiccatoio con funzione di raffreddamento
KR200438439Y1 (ko) 농수산물 건조기
CN104041579B (zh) 红外对流联合干燥装置
WO2017164833A1 (en) Nozzle system
CN212590172U (zh) 一种用于烘干桃的烘干装置
KR200470488Y1 (ko) 농산물 건조기
CN219890082U (zh) 一种喷气式干燥机
NL1006627C1 (nl) Kookov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