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61891A1 -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의 암 치료 효능 증진 방법 및 조성 - Google Patents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의 암 치료 효능 증진 방법 및 조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61891A1
WO2021261891A1 PCT/KR2021/007834 KR2021007834W WO2021261891A1 WO 2021261891 A1 WO2021261891 A1 WO 2021261891A1 KR 2021007834 W KR2021007834 W KR 2021007834W WO 2021261891 A1 WO2021261891 A1 WO 202126189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ncer
genus
pharmaceutical composition
cell
antagon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783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고용송
이재민
고경윤
이재욱
배서윤
Original Assignee
(주)로제타엑소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제타엑소좀 filed Critical (주)로제타엑소좀
Priority to EP21829916.2A priority Critical patent/EP4169520A1/en
Priority to CN202180051621.0A priority patent/CN116056723A/zh
Priority to JP2022579808A priority patent/JP2023531529A/ja
Priority to KR1020227044481A priority patent/KR20230027050A/ko
Priority to US18/012,498 priority patent/US20230248783A1/en
Priority to AU2021296649A priority patent/AU2021296649A1/en
Publication of WO202126189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6189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proteinaceous materials, e.g. enzymes, hormones, lymphok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6/28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against CD28 or CD15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6/2827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against B7 molecules, e.g. CD80, CD8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4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dose, timing or administration schedu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8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raising an immune response against a target which is not the antigen used for immunisation
    • A61K2039/58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raising an immune response against a target which is not the antigen used for immunisation wherein the target is canc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Abstract

본 발명은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의 암 치료 효능 증진 방법 및 조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 또는 2종 이상이 조합된 다양한 면역관문 억제제를 사용하여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의 암 치료 효능을 증진하는 방법 및 조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각 제제의 단일 투여 제제와 비교해 암 치료에 있어서 상승효과(synergic effect)를 나타내며, 단일 투여 제제의 고용량 투여로 인한 부작용을 경감시키는 작용을 나타내어 암 치료제 개발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의 암 치료 효능 증진 방법 및 조성
본 출원은 2020년 6월 22일에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20-0076053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고, 상기 명세서 전체는 본 출원의 참고문헌이다.
본 발명은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bacteria extracellular vesicle)의 암 치료 효능 증진 방법 및 조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 또는 2종 이상이 조합된 다양한 면역관문 억제제를 사용하여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의 암 치료 효능을 증진하는 방법 및 조성에 관한 것이다.
암은 주요 사망 원인이지만, 질병 발생 초기에 발견된다면 몇몇 경우에서 치료가 가능하다. 그러나 어느 정도 진행되고, 특히 전이를 수반하는 경우에는 암을 여전히 치료하기 쉽지 않다. 대부분의 암에서 존재하는 면역 억제 환경 때문에 암들이 면역 체계(immune system)에 의해 조절되지 않는다는 것이 최근 몇 년 사이 알려지고 인지되어왔다. 그 결과 암을 조절하는 면역 체계를 촉진하는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었다. 암면역치료(cancer immunotherapy)는 신체의 면역기능을 이용하여 암을 치료하는 전략으로, 19세기 후반 William B. Coley가 Coley's toxin으로 알려진 박테리아 혼합물 투여에 의한 암 감소를 관찰한 이후 오랫동안 많은 관심과 기대를 받았지만, 1980-1990년대를 거치면서 시도된 다양한 암면역치료법들의 실망적인 결과들로 인하여 일관되고 재현 가능한 암면역치료방법이 절실히 필요하였다. 하지만 최근 몇년간 개발된 면역관문 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에 대한 단클론항체들이 다양한 암종에 대해 놀라운 치료 효과를 보임으로써 암면역치료 방법이 현실화되고 있다. 하나 이상의 면역관문을 차단함으로써, 면역관문 억제제들은 면역 체계에 대한 장벽들 중 하나를 제거하고 종양들의 면역 억제 환경을 저해한다. 면역관문 억제제로는 cytotoxic T-lymphocyte-associated protein 4(CTLA4), programmed cell death protein 1(PD1) 및 programmed death-ligand 1(PDL1)에 대한 단일 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ies)가 있다.
항원특이 T림프구(T lymphocyte)의 면역반응은 매우 복잡하고 정교하게 조절되며, 세포독성 T림프구(cytotoxic T lymphocyte)가 암세포를 포함한 항원을 가지고 있는 세포를 살해하는 등 대표적인 특이적 면역반응의 하나이다. 항원특이 T림프구가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항원 인지와 동시자극(co-stimulatory) 신호가 필요한데 항원제시세포(antigen presenting cell)에서 발현하는 CD80, CD40 등이 T림프구 세포 표면의 리간드에 해당하는 CD28, CD40L 등과 동시에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활성화된 T림프구는 일정시간 후 동시억제(co-inhibitory) 신호의 활성화를 통해 비활성화됨으로써 과도한 면역자극으로 인한 조직 손상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다양한 동시억제 신호가 있으며 대표적으로 1) T림프구의 CTLA4는 항원보유세포의 리간드인 CD80과 CD86과 결합을 통하여 naive 또는 memory T림프구를 비활성화 시키고, 2) T림프구의 PD1은 항원보유세포의 리간드인 PDL1과 PDL2와 결합을 통하여 말초조직에서 T림프구 기능을 억제한다. 우리 몸의 면역기능은 항원인지와 동시에 이러한 동시자극 신호 및 동시억제신호의 조절을 통하여 전체적인 T림프구 기능을 조절하는데 이를 면역관문이라고 한다.
우리 몸의 면역기능은 암세포에서 발현되는 종양특이항원(tumor-specific neo-antigen)을 감지해 암세포를 제거한다. 암세포는 반대로 이러한 면역공격을 회피하기 위하여 종양미세환경(tumor microenvironment)을 변화시켜 억제 면역관문을 활성화시켜 면역기능을 억제하거나 T림프구 면역관용(immune tolerance) 또는 면역편집(immuno-editing) 등을 통하여 종양특이 킬러 T림프구의 공격을 회피한다. 최근 CTLA4나 PD1 또는 리간드 PDL1에 대한 단클론항체 면역관문 억제제들을 이용하여 억제된 종양특이 세포독성 T림프구를 활성화시켜 악성 흑색종, 신장암이나 비소세포폐암 등 다양한 암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음이 규명되었다. 그러나 면역관문 억제제는 일부 암에서만, 그리고 그러한 암을 가진 환자 중에서도 일부에서만 치료에 차도를 보이는데, 이는 여러 암에서 다른 종류의 면역 억제 기작이 작용함을 시사한다.
상기한 면역관문 억제제들은 놀라운 암 치료 효과에도 불구하고 환자에 따라 치료 효과가 차이가 있어, 환자에 따른 종양미세환경의 특이성(CTLA4, PD1, PDL1 또는 PDL2의 발현 정도 및 T림프구의 수 등)에 대한 연구와 다양한 병용치료(combination therapy)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최근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환자의 장내 세균 분포에 따라 면역관문 억제제의 암 치료 효과가 상이하며 동물시험에서 특정 장내 세균들이 면역관문 억제제들의 암 치료 효과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음이 규명되었다. 하지만 특정 장내 세균들이 어떤 기전으로 그리고 어떤 장내 세균 유래 물질들이 면역관문 억제제들의 암 치료 효과를 증진시키는지에 대해서는 규명되지 않았다.
한편 그람 음성 또는 그람 양성 박테리아(Gram-negative and Gram-positive bacteria)를 포함한 모든 세포는 세포밖 소포체를 자연적으로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그람 음성 박테리아에서 분비되는 세포밖 소포체는 외막 소포체(outer membrane vesicle)로도 알려져 있다.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는 크기가 20-200 nm이고, 단백질(proteins), 지질(lipids), 유전 물질(DNA, RNA) 및 펩티도글리칸(peptidoglycan) 등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물질들을 가지고 있으며, 그람 음성 및 그람 양성 박테리아에서 분비되는 세포밖 소포체는 각각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와 리포테이코산(lipoteichoic acid, LTA)와 같은 독성 인자(virulence factor)도 가지고 있다.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는 동종 간의 단백질 혹은 유전 물질의 전달, 세포 신호 전달과 같은 정보 전달체로서의 기능과 경쟁적 생물체의 제거 혹은 박테리아의 생존 증진에 기여하며, 숙주에 독소 등을 전달함으로써 박테리아 감염 질환의 병인 현상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다양한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가 암을 비롯한 여러 질병에 대한 직접적인 치료 효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 전달체로 사용 가능하며, 뇌수막염 등 다양한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백신 전달체로 임상에 사용되거나 개발되고 있다.
또한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는 면역 체계를 촉진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들을 가지고 있다.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는 박테리아 자체가 제거된 비생명체이기 때문에 박테리아 자체보다 안전하다.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를 암을 가진 마우스의 정맥을 통해 주입할 경우,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는 뚜렷한 부작용 없이 암 조직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장기 항암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Nature Communications. 8:626, 2017). 더 나아가,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는 나노 크기라는 특성 때문에 enhanced permeability and retention(EPR) effects로 암 조직에 특이적으로 누적되고, 자연살해세포와 T림프구로부터 항암 사이토카인인 IFN-γ가 분비되도록 하는 기작으로 항암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Nature Communications. 8:626, 2017).
하지만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와 면역관문 억제제를 포함한 다른 기작의 항암제와 병용치료하면 암 치료 효능을 증진시키는지에 대해서는 규명되지 않았다.
본 발명자는 암 성장을 효과적으로 저해하면서도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는 암 치료 효능 증진 방법 및 암 치료용 병용제제를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를 면역관문 억제제와 병용 투여함으로써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를 면역관문 억제제와 병용 투여함으로써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의 암 치료 효능을 증진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 및 면역관문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 및 면역관문 억제제로 이루어진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 및 면역관문 억제제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그람 음성 박테리아는 외막(outer membrane)과 내막(inner membrane 또는 cytoplasmic membrane) 두개의 막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람 양성 박테리아는 1개의 세포막(cytoplasmic membrane)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는 박테리아(형질전환된 박테리아 포함)가 자연적으로 세포밖으로 분비하는 막(membrane) 유형의 소포체(자연 세포밖 소포체: native extracellular vesicle)와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막 유형의 소포체(인공 세포밖 소포체: artificial extracellular vesicle)를 통칭하는 것이다. 자연 세포밖 소포체는 세포밖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 외막 소포체(outer membrane vesicle), 쉐딩 소포체(shedding vesicle), 마이크로베시클(microvesicle), 마이크로파티클(microparticle), 엑소좀(exosome) 등으로 불리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에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인공 세포밖 소포체는 박테리아(형질전환된 박테리아 포함)를 압출, 초음파 분해, 세포 용해, pH 변화, 온도 변화, 균질화, 냉동-해동, 전기 천공, 기계적 분해, 및 항생제 또는 계면활성제(detergent) 등 다양한 화학 물질 처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방법이나 이들의 조합으로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막 유형의 소포체로, 이들은 모두 본 발명에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인공 세포밖 소포체를 만드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그람 음성 박테리아의 경우 인공 세포밖 소포체는 외막 유래 세포밖 소포체(outer membrane-derived vesicle: OMDV), 내막 유래 세포밖 소포체(inner membrane-derived vesicle: IMDV), 그리고 내막/외막 유래 세포밖 소포체(inner-outer membrane-derived vesicle -외막과 내막 성분이 동시에 존재하거나, 외막 안에 내막이 있는 형태, 반대로 내막 안에 외막이 있는 형태 등), 및 외막 유래 베지클, 내막 유래 베지클 및 내막/외막 유래 베지클을 모두 포함하는 세포막 유래 세포밖 소포체(cell membrane-derived vesicle: CMDV)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크기가 20 nm 내지 1,000 nm 인 것을 의미하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에서 상기 인공 세포밖 소포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박테리아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박테리아는 그람 음성 박테리아 또는 그람 양성 박테리아일 수 있다.
상기 그람 음성 박테리아의 예는 이스체리치아(Escherichia) 속, 헬리코박터(Helicobcater) 속, 헤모필루스(Hemophilus) 속, 나이세리아(Neisseria) 속, 시아노박테리움(Cyanobacterium) 속, 크렙시엘라(Klebsiella) 속, 아세토박터(Acetobacter) 속, 아시네토박터(Acinetobacter) 속, 엔테로박터(Enterobacter) 속, 클라미디아(Chlamydia) 속, 비브리오(Vibrio) 속, 슈도모나스(Pseudomonas) 속, 살모넬라(Salmonella) 속, 티오박터(Thiobacter) 속, 보렐리아(Borrelia) 속, 부르크홀데리아(Burkholderia) 속, 세라티아(Serratia) 속, 트레포네마(Treponema) 속, 리케넬라(Rikenella) 속, 알리스티페스(Alistipes) 속, 마리닐라빌리아(Marinilabilia) 속, 프로테우스(Proteus) 속, 엔히드로박터(Enhydrobacter) 속, 메틸로박테리움(Methylobacterium) 속, 모르가넬라(Morganella) 속, 큐프리아비더스(Cupriavidus) 속, 예르시니아(Yersinia) 속, 시겔라(Shigella) 속, 레지오넬라(Legionella) 속, 스테노트로포모나스(Stenotrophomonas) 속, 및 모락셀라(Moraxella) 속 박테리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람 양성 박테리아의 예는 바실러스(Bacillus) 속, 노카르디아(Nocardia) 속, 클로스트리듐(Clostridium) 속, 프로피오니박테리움(Propionibacterium) 속, 악티노마이세스(Actinomyces) 속,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속,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속, 리스테리아(Listeria) 속,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가드네렐라(Gardnerella) 속, 마이코박테리움(Mycobacterium) 속, 마이코플라스마(Mycoplasma) 속, 스타필로코커스(Staphylococcus) 속,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 속, 마이크로코커스(Micrococcus) 속,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속, 아나에로스티페스(Anaerostipes) 속, 코프로코커스(Coprococcus) 속, 아토포비움(Atopobium) 속, 패칼리박테리움(Faecalibacterium) 속, 락토코커스(Lactococcus) 속, 및 박테로이데스(Bacteroides) 속 박테리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박테리아는 형질전환된 박테리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형질전환된 박테리아는 상기 세포밖 소포체의 독성이 약화되도록 형질전환된 박테리아를 포함하며, 그 예로 내독소(endotoxin) 생성 유전자가 결손되거나 변형된 박테리아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msbB 유전자가 결손되도록(ΔmsbB) 형질전환된 박테리아, 보다 바람직하게는 msbB 유전자가 결손되도록 형질전환된 그람 음성 박테리아, 가장 바람직하게는 msbB 유전자가 결손되도록 형질전환된 대장균(Escherichia coli)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박테리아는 세포밖 소포체를 잘 분비하도록 형질전환된 박테리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박테리아는 특이 세포나 조직으로 타겟팅되도록 형질전환된 박테리아를 포함하며, 그 예로 암 혈관, 암 조직 또는 암 세포로 타겟팅되도록 형질전환된 박테리아를 들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박테리아는 표적세포의 세포막과 융합(fusion)하도록 형질전환된 박테리아, 질병 치료용 및/또는 진단용 물질이 발현되도록 형질전환된 박테리아, 및 상기 특정 물질의 억제와 특정 물질의 발현이 동시에 일어나도록 형질전환된 박테리아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박테리아 세포의 형질전환은 세포에 자극을 주어 단백질 등 물질 발현을 증가 또는 변화시키는 방법, 유전자 도입을 통한 단백질 발현 증가 또는 발현 억제시키는 방법 등이 가능하나 이제 제한되지 아니한다.
특정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방법은 플라스미드(plasmid) DNA, RNA또는 파지(phage)를 이용할 수 있으며, 열충격법(heat shock), 인산 칼슘 침전법(calcium phosphate precipitation), 리포펙타민 형질주입법(lipofectamine transfection), 전기 천공법(electroporation), 미량주사법(microinjection) 등의 방법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알려진 모든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특정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시키기 위해서, 특정 유전자를 세포에서 제거할 수도 있고 안티센스(antisense) RNA등을 이용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알려진 모든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박테리아는 화학 조성 배지(chemically defined medium)에서 배양된 박테리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 조성 배지"는 혈청, 조직 추출물 등 조성이 불분명한 자연 유래 소재를 사용한 "자연 배지"와 대비되는 것으로서, 조성물의 구성과 화학적 성상이 분명한 물질만으로 제조한 합성 배지를 의미한다. 균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세포밖 소포체를 생산하기 위해서 상기 박테리아는 화학 조성 배지에서 배양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 조성 배지는 M9 배지(M9 medium), DMEM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및 RPMI 1640 배지(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 medium 1640)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박테리아는 면역관문 단백질, 세포 접합 분자(cell adhesion molecule), 면역관문 억제제를 포함한 다양한 항체(antibody), IL-12 또는 interferon gamma 등 치료 효능을 증진시키는 단백질(cytokine, chemokine, growth factor), 표적 유도(targeting) 단백질, 세포막 융합(fusion) 물질 또는 이들의 융합 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발현하도록 형질전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외막 단백질 또는 내막 단백질 등 다양한 단백질의 융합단백질(예. 내막단백질인 PrsA와 표적 유도 단백질인 인간 EGF(epidermal growth factor)의 융합단백질)을 이용하면 상기한 물질들을 세포밖 소포체의 표면에 효과적으로 display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박테리아는 세포밖 소포체의 표면에 면역관문 억제제의 효능을 저해하기 위해 인간 면역관문 단백질(PD1, PDL1 등) 또는 이에 대한 항체가 display되도록 형질전환된 박테리아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인간 면역관문 단백질(PD1, PDL1 등) 또는 이에 대한 항체를 발현하도록 형질전환된 그람 음성 박테리아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인간 면역관문 단백질(PD1, PDL1 등) 또는 이에 대한 항체를 발현하도록 형질전환된 대장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지질 다당류의 독성이 약화된 ΔmsbB 대장균을, 인간 EGF와 박테리아 내막 단백질인 PrsA의 융합 단백질을 발현하는 pHCE-prsA-EGF 벡터로 형질전환시켜 ΔmsbB-prsA-EGF 대장균을 제작하고, 이로부터 세포밖 소포체를 분리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 면역관문 억제제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한 독성을 억제시키는 약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물은 내독소에 의한 독성을 억제하는 약물을 포함하며, 그 예로 폴리믹신(polymyxin) B를 들 수 있으며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아스피린(aspirin)을 포함한 항염증제, 항응고제, COX(cyclooxygenase) 저해제 등 일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항암효능을 증가시키는 약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물은 항암제, STING(stimulator of interferon genes) agonist, TGF 베타 저해제, Th17(T helper 17 세포)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약물, 인터루킨(interleukin, IL)-6의 생성 혹은 활성을 억제하는 약물,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의 생성 혹은 활성을 억제하는 약물, STAT3(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3)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약물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17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약물의 예로는 아스피린을 들 수 있으며, VEGF의 생성 혹은 활성을 억제하는 약물의 예로는 VEGF 수용체에 의한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약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의 막이 상기 박테리아의 세포막 이외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세포막 이외의 성분으로서 표적 유도 물질, 세포막 융합 물질(fusogen),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glyco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포막 이외의 성분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추가될 수 있으며, 세포막의 화학적 변형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의 막 성분이 티올기(-SH) 또는 아민기(-NH2)를 이용한 화학적 방법으로 변형되거나, 상기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에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화학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의 막 성분이 화학적으로 변형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는 제조 시 막 성분을 화학적으로 변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는 당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따라 박테리아 배양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박테리아 배양물로부터 세포밖 소포체를 분리하는 기술은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초고속원심분리법(ultracentrifugation), 밀도 구배 초고속원심분리법(density gradient ultracentrifugation), 한외여과법(ultrafiltration),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ion exchange chromatography), 면역친화성 분리법(immunoaffinity capture), 미세유체기술 분리법(microfluidics-based isolation), 수성 2 상 시스템(aqueous two phase system), 또는 침전법(precipitation)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면역관문"은 면역세포 표면에서 면역 반응의 자극 또는 억제 신호를 유발하는데 관여하는 단백질을 총칭하며, 암세포는 이러한 면역관문을 통해 면역반응의 자극 및 이에 따른 암세포의 억제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도록 조작하여 면역체계의 감시망을 회피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면역관문 단백질은 PD1(programmed cell death-1), PDL1(programmed cell death-ligand 1), PDL2(programmed cell death-ligand 2), CD27(cluster of differentiation 27), CD28(cluster of differentiation 28), CD70(cluster of differentiation 70), CD80(cluster of differentiation 80), CD86(cluster of differentiation 86), TIGIT (T cell immunoreceptor with Ig and ITIM domains), CD137(cluster of differentiation 137), CD276(cluster of differentiation 276), KIRs(killer-cell immunoglobulin-like receptors), LAG3(lymphocyte-activation gene 3), TNFRSF4(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superfamily, member 4), GITR(glucocorticoid-induced TNFR-related protein), GITRL(glucocorticoid-induced TNFR-related protein ligand), 4-1BBL(4-IBB ligand), CTLA4(cytotoxic T lymphocyte associated antign-4), A2aR(adenosine A2A receptor), VTCN1(V-set domain-containing T-cell activation inhibitor 1), BTLA(B- and T-lymphocyte attenuator), IDO(indoleamine 2,3-dioxygenase), TIM3(T-cell immunoglobulin domain and mucin-domain containing-3), VISTA(V-domain Ig suppressor of T cell activation), 및 KLRA(killer cell lectin-like receptor subfamily A)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PDL1, TIGIT, CD80 또는 CTLA4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면역관문 억제제"는 상기 면역관문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길항제로서, 면역반응을 자극시키는 단백질을 증진시키거나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단백질을 차단하여 면역반응에 의한 항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면역관문 억제제는 가용성 융합 단백질과 같은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이러한 단백질은 PD1, PDL1, PDL2, CD27, CD28, CD70, CD80, CD86, TIGIT, CD137, CD276, KIRs, LAG3, TNFRSF4, GITR, GITRL, 4-1BBL, CTLA4, A2aR, VTCN1, BTLA, IDO, TIM3, VISTA, 또는 KLRA의 수용체/리간드 결합 도메인(예컨대, 세포 외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수용체/리간드 결합 도메인은 면역글로불린 Fc 도메인에 융합될 수 있다. 이러한 융합 단백질은 표준 재조합 DNA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예컨대,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Ausubel et al., eds., John Wiley & Sons: 1992 참조). 게다가, 이미 융합 부분(fusion moiety)를 코딩하는 많은 발현 벡터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상기 면역관문 억제제는 면역관문 단백질(예컨대, PD1, PDL1, PDL2, CD27, CD28, CD70, CD80, CD86, TIGIT, CD137, CD276, KIRs, LAG3, TNFRSF4, GITR, GITRL, 4-1BBL, CTLA4, A2aR, VTCN1, BTLA, IDO, TIM3, VISTA, 또는 KLRA)에 결합하고 억제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항체"는 온전한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둘 다를 지칭할 수 있다. 상기 항체는 예컨대, 단일클론 항체, 다중클론 항체, 키메라 항체, 인간화 항체, 인간 항체, 다중 특이성 항체(예컨대, 이중 특이성 항체), 단쇄(single-chain) 항체 및 항원-결합 항체 단편을 포함한다. 항체의 항원-결합 단편은 항원에 결합하는 능력을 보유하는 항체의 하나 이상의 단편을 지칭한다. 결합 단편의 예는 Fab, Fab', F(ab')2, Fv, scFv, 디설파이드 결합된 Fv, Fd, 디아바디(diabodies), 단쇄 항체, 낙타 항체(camelid antibody), 분리된 CDR-H3, 및 온전한 항체의 가변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보유하는 다른 항체 단편을 포함한다. 이러한 항체 단편은 종래의 재조합 및/또는 효소 기술을 사용하여 수득될 수 있고, 온전한 항체와 동일한 방식으로 항원-결합에 대해 스크리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상기 면역관문 억제제는 면역관문 단백질(예컨대 PD1, PDL1, PDL2, CD27, CD28, CD70, CD80, CD86, TIGIT, CD137, CD276, KIRs, LAG3, TNFRSF4, GITR, GITRL, 4-1BBL, CTLA4, A2AR, VTCN1, BTLA, IDO, TIM3, VISTA, 또는 KLRA)를 코딩하는 mRN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억제 핵산(예컨대, siRNA 분자, shRNA 분자, 안티센스 RNA)일 수 있다. 억제 핵산 분자는 화학적 합성, 시험관 내(in vitro) 전사, 또는 Rnase III 또는 다이서(Dicer)에 의한 긴 dsRNA의 절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억제 핵산 분자는 시험관 내(in vitro)에서 세포로 또는 생체 내(in vivo)에서, 예컨대, 포유동물의 종양 또는 저산소 조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당 업계에 공지된 전형적인 전달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섭 RNA는, 예컨대, 각각이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되는 PCT 출원 제PCT/US2009/036223호 등에 기재된 방법 및 조성물을 사용하여 전신으로 전달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억제 핵산은 국소적으로 전달된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재된 억제 핵산이 암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될 때, 종양으로의 전달은 예컨대, 각각이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되는 Takahashi et al.,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116:90-95 (2006) 및 Kim et al.,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129:107-116 (2008)에 기재된 바와 같은 종양 내 주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면역관문 억제제는 더발루맙(Durvalumab), 아테졸리주맙(Atezolizumab), 아벨루맙(Avelumab), 트리멜리무맙(Tremelimumab), 이필리무맙(Ipilimumab), 펨브롤리주맙(Pembrolizumab), 니볼루맙(Nivolumab), 피딜리주맙(Pidilizumab), BMS986016, 세미프리맙(Cemiplimab) 및 릴리루맙(lirilumab)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면역관문 억제제는 일반적인 세포 독성 항암제보다 구토나 탈모와 같은 부작용이 적고, 치료 효과가 크다는 장점 이외에도 기억능이 우수한 면역반응 체계를 이용하기 때문에 약물 투여를 중단한 후에도 치료효과가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으나,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와의 병용에 따른 항암 효과 증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며, 따라서 면역관문 억제제와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의 병용에 따른 암 치료 효과의 상승작용(synergic effect)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와 면역관문 억제제는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별도로 병용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동시에"는 2개의 제제가 동시에 투여되는 것을 의미하고, "순차적으로"는 하나의 제제가 다른 제제 후 5분 이내, 10분 이내 또는 수시간 내에 투여되도록 하고, 단, 제1 투여된 제제의 순환 반감기는 이들이 둘 다 동시에 치료학적 유효량으로 존재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별도로 투여되는 방법은 1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 투여 방법이 반복적으로, 또는 혼합되어 투여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와 면역관문 억제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또는 희석제와 함께 동일한 조성물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양태에서,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와 면역관문 억제제는 별도의 약제학적 형태 또는 부품 키트 (kit-of-parts) 하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암은 위암, 폐암, 비소세포성 폐암, 유방암, 난소암, 간암, 기관지암, 비인두암, 후두암, 췌장암, 대장암, 방광암, 결장암, 자궁경부암, 골암, 비소세포성 골암, 혈액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 암, 자궁암, 직장암, 항문 부근암, 결장암, 나팔관암, 자궁내막암, 질암, 음문암, 호지킨병(Hodgkin's disease),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신장 또는 수뇨관암, 신장세포암종, 신장골반암종, 침샘암, 육종암, 가성점액종, 간모세포종, 고환암, 교모세포종, 구순암, 난소생식세포종양, 기저세포암, 다발성골수종, 담낭암, 맥락막흑색종, 바터팽대부암, 복막암, 설암, 소세포암, 소아림프종, 신경모세포종, 십이지장암, 요관암, 성상세포종, 수막종, 신우암, 외음부암, 흉선암,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CNS) 종양, 1차 중추신경계 림프종, 척수종양, 뇌간 신경교종 및 뇌하수체 선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 및 면역관문 억제제만을 포함하거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적합한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으며,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담체로는 모든 종류의 용매, 분산매질, 수중유 또는 유중수 에멀젼, 수성 조성물, 리포좀, 마이크로비드 및 마이크로좀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정맥 내, 근육 내, 동맥 내, 골수 내, 경막 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 내, 비강 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 내 투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전체 용량은 1일당 환자 체중 1 ㎏ 당 약 0.01 μg 내지 10,000 mg,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μg 내지 500 mg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용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적세포"는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 표면이 변형된 세포밖 소포체 또는 면역관문 억제제가 결합하거나 생리적 자극 또는 억제 신호를 유발하는데 관여하는 세포를 총칭하며, 암 세포, 면역 세포(T림프구, B림프구, NK세포, NKT세포,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단핵구, 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 비만세포(mast cell), 골수유래억제세포 등), 내피세포, 상피세포, 섬유아세포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암 치료제를 제조하기 위한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 및 면역 관문 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 및 면역 관문 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유효량’이란 개체에게 투여하였을 때, 암의 개선, 치료, 검출, 진단 또는 암 진행의 억제 또는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양을 말하며, 상기 ‘개체’란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특히 인간을 포함하는 동물일 수 있으며, 동물에서 유래한 세포, 조직, 기관 등일 수도 있다. 상기 개체는 상기 효과가 필요한 환자(patient)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치료’는 암 또는 암으로 인한 증상을 개선시키는 것을 포괄적으로 지칭하고, 이는 암을 치유하거나, 실질적으로 예방하거나, 또는 상태를 개선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암으로부터 비롯된 한 가지 증상 또는 대부분의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치유하거나 예방하는 것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을 포함하는(comprising)”이란 “함유하는(including)” 또는 “특징으로 하는(characterized by)”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방법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추가적인 구성 성분 또는 방법의 단계 등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용어 “로 이루어지는(consisting of)”이란 별도로 기재되지 않은 추가적인 요소, 단계 또는 성분 등을 제외하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essentially consisting of)”이란 조성물 또는 방법의 범위에 있어서, 기재된 물질 또는 단계와 더불어 이의 기본적인 특성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물질 또는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 및 단일 또는 2종 이상이 조합된 다양한 면역관문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각 제제의 단일 투여 제제와 비교해 암 치료에 있어서 상승효과를 나타내며, 단일 투여 제제의 고용량 투여로 인한 부작용을 경감시키는 작용을 나타내어, 결과적으로 암 치료 효능을 증진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암 치료제 개발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대장암 세포(CT26)를 이식한 마우스에 anti-PD1 항체와 자연 세포밖 소포체(EGFEVM9+)를 병용투여하는 실험 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2b를 포함하는 도 2는 대장암 세포(CT26)를 이식한 마우스에 anti-PD1 항체와 자연 세포밖 소포체(EGFEVM9+)를 병용투여하는 기간 동안 동물의 생존율, 종양 부피, 체중변화 및 체온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3a 내지 3g를 포함하는 도 3은 방광암 세포(MB49)를 이식한 마우스에 자연 또는 인공 세포밖 소포체(EVVP-LB, CMDVVP-LB 또는 OMDVVP-LB)를 투여한 후 종양미세환경에 존재하는 세포들을 유세포 분석하여 면역관문 단백질인 PDL1, CTLA4, 및CD80의 발현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4a 내지 4g를 포함하는 도4는 대장암 세포(CT26)를 이식한 마우스에 자연 또는 인공 세포밖 소포체(EVVP-LB, CMDVVP-LB 또는 OMDVVP-LB)를 투여한 후 종양미세환경에 존재하는 세포들을 유세포 분석하여 면역관문 단백질인 PDL1, CTLA4, 및CD80의 발현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방광암 세포(MB49)를 이식한 마우스에 자연 또는 인공 세포밖 소포체(EVVP-LB, CMDVVP-LB 또는 OMDVVP-LB)를 투여한 후 종양미세환경에 존재하는 세포들을 qRT-PCR로 분석하여 면역관문 단백질인 IDO1의 발현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6a 내지 6f를 포함하는 도 6은 마우스 대장암 세포(CT26)을 이식한 마우스에서 추출한 비장 세포에 자연 또는 인공 세포밖 소포체(EVVP-LB, CMDVVP-LB 또는 OMDVVP-LB)를 처리한 뒤 유세포 분석을 통해 면역관문 단백질인 PDL1과 TIGIT의 발현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EV)와 면역관문 억제제의 in vivo 병용투여 효과
실험방법
자연 세포밖 소포체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M9 화학 조성 배지에 비타민과 미량 원소를 첨가한 배지(M9+)을 제조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지질 다당류가 약화된 ΔmsbB 대장균에 인간 EGF와 박테리아 내막 단백질인 PrsA의 융합 단백질을 발현하는 pHCE-prsA-EGF 벡터로 형질전환된 ΔmsbB prsA-EGF 대장균을 배양하였다.
Component Concentration
Salts and glucose
Na2HPO4·2H2O 42.3 mM
KH2PO4 22.0 mM
NH4Cl 9.4 mM
NaCl 8.6 mM
MgSO4·7H2O 1.0 mM
CaCl2·2H2O 0.3 mM
Glucose 0.4%
Vitamins
Thiamine 3.0 μM
Biotin 4.1 μM
Trace elements
EDTA 0.2 mM
FeCl3 30.7 μM
ZnCl2 6.2 μM
CuCl2·2H2O 0.8 μM
CoCl2·6H2O 0.4 μM
H3BO3 1.6 μM
MnCl2 ·4H2O 81.0 nM
배양액을 4℃에서 6,000 x g로 20분간 두 번 원심분리하여 박테리아를 제거하고, 상층액을 0.45 μm인 멤브레인 필터에 1회 통과시킨 후, 100 kDa 분자량 이하의 단백질을 제거할 수 있는 멤브레인을 이용하여 50배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0.22 μm 필터에 1회 통과시킨 후, 여과액을 4℃에서 150,000 x g로 3시간 동안 초고속 원심 분리하였다. 침전물을 50% iodixanol 2.5 mL에 현탁한 후, 5 mL 용량의 초고속 원심 분리 튜브에 넣은 후, 그 위에 40% iodixanol 1.5 mL, 10% iodixanol 1.25 mL을 차례로 담았다. 이후, 4℃에서 200,000 x g로 2시간 동안 초고속원심분리하여, 10% iodixanol과 40% iodixanol 사이의 층에서 순수한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를 얻었다.
최종적으로 분리한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는 자연 세포밖 소포체로 EGFEVM9+라 하였다.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와 면역관문 억제제 병용 실험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와 면역관문 억제제의 병용에 따른 항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마우스(BALB/c, 수컷, 5주령)의 피부 밑에 마우스 대장암 세포(CT26)를 마우스 한 마리당 1x106 개를 주사하고 키웠다. 마우스 대장암 세포 투여 5일 후, 마우스를 5마리씩 총 4개의 실험군으로 나누었다(표 2 참조). 각 그룹별로 상기 분리 정제한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와 면역관문 억제제를 단독 또는 병용 투여하였는데, 실험에 사용된 면역관문 억제제는 anti-PD1 항체로 Bio X Cell(Lebanon, NH, USA) 회사의 InVivoMAb anti-mouse PD1(Cat# BE0273)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우선 세포 투여 5일 후에는 각 그룹별로 PBS 또는 면역관문 억제제(Ab)를 주입하였다.
세포 투여 6일 후 각 그룹별로 PBS 또는 EGFEVM9+(EV)를 주입하였다. 세포 투여 9일 후 다시 각 그룹별로 PBS 또는 Ab을 주입한 다음, 세포 투여 18일 후 다시 각 그룹별로 PBS 또는 EV를 주입하였다. 마지막으로 세포 투여 20일 후 각 그룹별로 PBS 또는 Ab을 주입하였다(도 1).
다음으로 각 실험군 별로 대장암 세포 주입 6일 후부터 24일 후까지 매일 마우스의 생존 여부를 확인하고, 대장암 조직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대장암 조직의 부피(V)는 가장 긴 길이(l)와 이에 수직한 길이(s)를 측정하여 V = l x s2/2의 공식으로 계산하였다.
또한 각 실험군 마우스의 체중과 체온 변화를 대장암 세포 주입 6일 후부터 24일 후까지 매일 지속적으로 관찰하였다.
Group # PBS or Ab PBS or EV
1 PBS PBS
2 PBS EV (0.2 μg)
3 Ab (50 μg) PBS
4 Ab (50 μg) EV (0.2 μg)
실험결과
실험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고하면, PBS-PBS 대조군 및 PBS-EV(0.2 μg), Ab(50 μg)-EV(0.2 μg) 실험군에서 사망하는 마우스는 발생하지 않았고, Ab(50 μg)-PBS 실험군에서 Day 22에 모든 마우스가 사망하였다(도 2A).
PBS-PBS 대조군에 비해서 PBS-EV(0.2 μg) 및 Ab(50 μg)-EV(0.2 μg) 실험군에서 대장암 조직의 최종 크기는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Ab(50 μg)-PBS 실험군에서는 최종적으로 모든 마우스가 사망해서 비교할 수 없었다. 또한 PBS-EV(0.2 μg) 실험군과 비교해서도 Ab(50 μg)-EV(0.2 μg) 실험군에서 대장암 조직의 최종 크기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도 2B).
이와 같이, EV와 Ab의 단독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Ab-EV 병용 투여군에서 암 세포의 성장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상승효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Ab 단독 투여군에서는 Day 22일에 마우스가 모두 사망하였으나, Ab-EV 병용 투여군에서는 실험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사망하는 동물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두 제제의 병용에 따른 독성 감소 효과까지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었다.
모든 실험 기간 동안 대조군 및 모든 실험군에서 체중 및 체온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도 2C, 도 2D).
실시예 2: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의 제조 및 특성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확인한 시너지 효과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와 면역관문 억제제 조합의 시너지 효과)의 과학적 근거를 찾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추가 실험 수행하였다. 추가 실험에 사용된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는 아래 방법으로 제조했다.
자연 세포밖 소포체의 제조
실험에 사용된 자연 세포밖 소포체는 E. coli BL21 (DE3) ΔmsbB 유래로 2021년 6월 21일자로 한국에 출원된 KR10-2021-0080108호의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되었고, 최종적으로 분리한 자연 세포밖 소포체를 EVVP-LB라 하였다.
인공 세포밖 소포체의 제조
실험에 사용된 인공 세포밖 소포체에는 세포막 유래 인공 세포밖 소포체(cell membrane-derived vesicles, CMDV)와 외막 유래 세포밖 소포체(outer membrane-derived vesicles, OMDV)가 있었다. CMDV와 OMDV를 분리하기 위해 vegetable peptone-based lysogeny broth(VP-LB)를 이용하여 E. coli BL21 (DE3) ΔmsbB-AmCyan을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원심분리(6,000 x g 15분)한 뒤 상층액을 제거하여 박테리아 세포 침전물을 얻어 vehicle-2(10 mM Tris-HCl (pH 8.0), 5% sucrose)에 현탁하였다. 현탁액을 microfluidic device(10,000 psi로 5번)를 통과시켜 박테리아 세포를 분쇄하고, 원심분리(6,000 x g, 20분)를 통해 분쇄된 세포 조각을 포함하는 상층액을 얻고 접선유동필터(Tangential flow filtration: >500 kDa filter)를 이용하여 3배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반으로 나누어 반은 CMDV, 반은 OMDV를 분리하는데 활용하였다.
CMDV 제조를 위해, 앞서 준비한 농축액에 benzonase(최종 농도 50 units/mL)를 MgCl2(최종 농도 2 mM)와 함께 37oC에서 30분간 처리하였다. 이후 농축액 부피의 4배 만큼의 vehicle-2를 추가하고 접선유동필터(>500 kDa)를 통과시켜 5배 농축하였다. 이어 밀도구배 초고속원심분리(시료 6.5 mL, 0.8 M sucrose 3.0 mL, 2.5 M sucrose 3.0 mL로 200,000 x g, 2시간)를 통하여, CMDV를 분리하였다.
OMDV 제조를 위해서는, 앞서 준비한 농축액에 sarkosyl(최종 농도 1%)을 상온에서 30분간 처리하였다. 이후 농축액 부피의 4배 만큼의 vehicle-2를 추가하고 접선유동필터(>500 kDa)를 통과시켜 5배 농축하였다. 그 다음 농축액에 benzonase(최종 농도 50 units/mL)를 MgCl2(최종 농도 2 mM)와 함께 37oC에서 30분간 처리하였다. 이후 농축액 부피의 4배 만큼의 vehicle-2를 추가하고 접선유동필터(>100 kDa)를 통과시켜 25배 농축하였다. 이어 밀도구배 초고속원심분리(시료 6.5 mL, 0.8 M sucrose 3.0 mL, 2.5 M sucrose 3.0 mL로 200,000 x g, 2시간)를 통하여, OMDV를 분리하였다.
최종적으로 분리한 CMDV와 OMDV를 각각 CMDVVP-LB, OMDVVP-LB라 하였다.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의 특성 분석
분리한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는 문헌(Biomaterials. 113:68-79, 2017)을 참조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선 크기 분포는 Zetasizer Nano ZS(Malvern Instruments)를 이용한 동적광산란분석(dynamic light scattering)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단백질 농도 및 총 단백질량은 Bradford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입자 농도 및 총 입자수는 LM10-HS(Malvern Instruments)를 이용한 나노입자추적분석(nanoparticle tracking analysis)으로 측정하였다.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의 특성 분석 결과를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Size (nm) Concentration Total amount
Protein (mg/mL) Particle (x1012/mL) Protein (mg) Particle (x1012)
CMDVVP-LB 156.8 ± 61.2 5.3 28.7 5.3 28.7
OMDVVP-LB 127.6 ± 42.8 2.3 24.6 2.5 27.3
실시예 3: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 투여에 따른 종양미세환경(tumor microenvironment, TME) 변화 분석
실험방법
마우스(C57BL/6, 수컷, 7주령 및 BALB/c, 암컷, 7주령)의 피부 밑에 마우스 방광암 세포(MB49: C57BL/6에 주입) 대장암 세포(CT26: BALB/c에 주입)를 마우스 한 마리당 1x106개를 주사한 뒤 7일간 키웠다. 마우스를 각 그룹당 5마리씩 나누어 아래 표2와 같이 EVVP-LB, CMDVVP-LB 또는 OMDVVP-LB를 암 조직에 직접(intratumoral) 투여하였다. EVVP-LB, CMDVVP-LB 또는 OMDVVP-LB 투여 24시간 뒤 각 그룹에서 암 조직을 적출하여 종양미세환경의 변화를 유세포 분석(flow cytometry) 또는 Real-time RT-PCR로 분석하였다.
Group # Sample
1 Vehicle-1 (for EVVP-LB)
2 EVVP-LB 5 μg
3 Vehicle-2 (for CMDVVP-LB and OMDVVP-LB)
4 CMDVVP-LB 10 μg
5 OMDVVP-LB 10 μg
Vehicle -1: 10 mM L-histidine (pH 7.4), 107 mM NaCl, 2% sucroseVehicle-2: 10 mM Tris-HCl (pH 8.0), 5% sucrose
(1) 종양미세환경에 대한 유세포 분석
유세포 분석을 위한 세포 준비는 문헌(Methods Mol Biol. 1458:95-110, 2016)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였고, 항체는 BD Biosciences 사의 anti-PDL1, anti-CTLA4를 사용하였으며, 분석기기는 BD Biosciences의 LSR Fortessa (5 Laser) 모델을 이용하였다.
(2) 종양미세환경에 대한 Real-time RT-PCR 분석
Real-time RT-PCR분석을 위한 RNA 준비는 문헌(Invitrogen, TRIzolTM Reagent User guide)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였고, 준비한 RNA는 GoScirptTM Reverse Transcriptase Kit(Promega)를 이용하여 cDNA로 준비하였다. Internal control로 GAPDH를 사용하였으며, StepOnePlus Real-Time PCR System(Applied Biosystems)에서 real-time PCR을 수행하였고, Real-time PCR에 필요한 프라이머는 Bioneer에서 구입하였다.
실험결과
(1) 종양미세환경에 대한 유세포 분석 결과
종양미세환경에 존재하는 세포들에 대해 유세포 분석을 하여 면역관문 단백질인 PDL1, CTLA4, 및CD80의 발현 변화를 확인하였다(도 3a 내지 3g 및 도 4a 내지 4g)
우선 마우스 방광암 세포(MB49)를 주입했던 마우스에 세포밖 소포체를 투여한 경우를 분석하였다. 대조군에 비하여 EVVP-LB 투여군에서는 PDL1의 발현이 45.0% 늘어났으며(27.7% → 72.7%), CTLA4의 발현은 43.3% 늘어났고(4.5% → 47.8%), CD80의 발현은 14.0% 늘어났다(48.6% → 62.6%) (도 3a 내지 3c). CMDVVP-LB 투여군에서는 경우 PDL1의 발현이 46.8% 늘어났으며(41.5% → 88.3%), TLA4의 발현이 71.9% 늘어났다(24.0% → 95.9%) (도 3d, 3e). 한편 OMDVVP-LB 투여군에서는 PDL1의 발현이 29.1% 늘어났으며(41.5% → 70.6%), TLA4의 발현이 65.3% 늘어났다(24.0% → 89.3%) (도 3f, 3g).
또한 마우스 대장암 세포(CT26)를 주입했던 마우스에 세포밖 소포체를 투여한 경우를 분석하였다. 대조군에 비하여 EVVP-LB 투여군에서는 PDL1의 발현이 65.9% 늘어났으며(27.9% → 93.8%), CTLA의 발현은 61.5% 늘어났고(19.6% → 81.1%), D80의 발현은 16.4% (71.5% → 87.9%) 늘어났다 (도 4a 내지 4c). CMDVVP-LB 투여군에서는 PDL1의 발현이 30.9% 늘어났으며(11.5% → 42.4%), CTLA4의 발현이 38.8% 늘어났다(26.8% → 65.6%) (도 4d, 4e). 한편 OMDVVP-LB 투여군에서는 PDL1의 발현이 17.2% 늘어났으며(11.5% → 28.7%), CTLA4의 발현이 33.9% 늘어났다(26.8% → 60.7%) (도 4g, 4g).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를 투여할 때 마우스 종양미세환경에서 면역관문 단백질인 PDL1, CTLA4, CD80을 발현하는 세포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위 결과는 실시예 1의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와 PDL1의 병용으로 인한 시너지 효과를 과학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나아가,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의 항암 효과는 PDL1 억제제 이외에도 CD80, CTLA4를 억제할 수 있는 물질과의 병용 투여 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2) 종양미세환경에 대한 Real-time RT-PCR 분석 결과
Real-time RT-PCR 하여 면역관문 단백질인 IDO1의 발현 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보듯이 EVVP-LB, CMDVVP-LB 또는 OMDVVP-LB를 투여할 때 마우스 종양미세환경에서 면역관문 단백질인 IDO1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의 항암효과는 IDO 억제 물질과 병용 투여 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실시예 4: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가 비장 세포에 미치는 영향 분석
비장(spleen)은 2차 림프 기관으로서 다양한 면역세포들이 존재하며 전신 면역 반응에 영향을 주고, 암이 존재하는 경우 암 조직과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암을 갖는 마우스로부터 추출한 비장 세포에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를 처리하였을 때의 변화를 보는 것은 암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실험방법
마우스(BALB/c, 암컷, 7주령)의 피부 밑에 마우스 대장암 세포(CT26)를 마우스 한 마리당 1x106개를 주사한 뒤 14일 후 비장을 적출하였고, 적출한 비장으로부터 단일 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비장 단일 세포에 EVVP-LB, CMDVVP-LB 또는 OMDVVP-LB를 1 μg/mL로 24시간 처리하고, 유세포 분석(flow cytometry)을 수행하였다. 유세포 분석을 위한 세포 준비는 문헌(Methods Mol Biol. 1458:95-110, 2016)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였고, 항체는 BD Biosciences 사의 anti-PDL1, anti-TIGIT을 사용하였으며, 분석기기는 BD Biosciences의 LSR Fortessa (5 Laser) 모델을 이용하였다.
실험결과
마우스 대장암 세포(CT26)을 투여한 마우스에서 추출한 비장 세포에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를 처리한 뒤 유세포 분석을 하여 면역관문 단백질인 PDL1과 TIGIT의 발현 변화를 확인하였다(도 6a 내지 6f).
도 6a 내지 6f에서 보듯이, 비장 세포에 EVVP-LB를 처리한 경우 PDL1의 발현이 26.9% 늘어났고(6.0% → 32.9%), IGIT의 발현이 10.0% 늘어났다(15.0% → 25.0%)(도 6a, 6b). CMDVVP-LB를 처리한 경우 PDL1의 발현이 26.2% 늘어났고(7.0% → 33.2%), IGIT의 발현이 14.3% 늘어났다(17.3% → 33.2%), 도 6c, 6d). 한편 OMDVVP-LB를 처리한 경우 PDL1의 발현이 30.2% 늘어났고(7.0% → 37.2%), IGIT의 발현이 10.7% 늘어났다(17.3% → 28.0%)(도 6e, 6f).
암을 갖는 마우스에서 추출한 비장 세포에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를 처리하고 PDL1과 TIGIT의 발현을 관찰한 결과 PDL1과 TIGIT의 발현이 모두 현저히 증가하였다. 따라서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를 PDL1과 TIGIT 억제 물질과 병용 투여하면 항암 효과가 증가할 것을 합리적으로 예상할 수 있다.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 및 단일 또는 2종 이상이 조합된 다양한 면역관문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각 제제의 단일 투여 제제와 비교해 암 치료에 있어서 상승효과를 나타내며, 단일 투여 제제의 고용량 투여로 인한 부작용을 경감시키는 작용을 나타내어, 결과적으로 암 치료 효능을 증진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암 치료제 개발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다.

Claims (27)

  1.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 및 면역 관문 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리아는 그람 음성 박테리아 또는 그람 양성 박테리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람 음성 박테리아는 이스체리치아(Escherichia) 속, 헬리코박터(Helicobcater) 속, 헤모필루스(Hemophilus) 속, 나이세리아(Neisseria) 속, 시아노박테리움(Cyanobacterium) 속, 크렙시엘라(Klebsiella) 속, 아세토박터(Acetobacter) 속, 아시네토박터(Acinetobacter) 속, 엔테로박터(Enterobacter) 속, 클라미디아(Chlamydia) 속, 비브리오(Vibrio) 속, 슈도모나스(Pseudomonas) 속, 살모넬라(Salmonella) 속, 티오박터(Thiobacter) 속, 보렐리아(Borrelia) 속, 부르크홀데리아(Burkholderia) 속, 세라티아(Serratia) 속 및 트레포네마(Treponema) 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람 양성 박테리아는 바실러스(Bacillus) 속, 노카르디아(Nocardia) 속, 클로스트리듐(Clostridium) 속, 프로피오니박테리움(Propionibacterium) 속, 악티노마이세스(Actinomyces) 속,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속,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속, 리스테리아(Listeria) 속,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가드네렐라(Gardnerella) 속, 마이코박테리움(Mycobacterium) 속, 마이코플라스마(Mycoplasma) 속, 스타필로코커스(Staphylococcus) 속,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 속, 마이크로코커스(Micrococcus) 속 및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리아는 형질 전환된 박테리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리아는 세포밖 소포체의 독성이 약화되도록 형질 전환된 박테리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리아는 내독소 생성 유전자가 결손되거나 변형된 박테리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리아는 특이 세포 또는 조직으로 타겟팅되도록 형질 전환된 박테리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리아는 화학 조성 배지에서 배양된 박테리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 조성 배지는 M9 배지(M9 medium), DMEM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및 RPMI 1640 배지(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 medium 1640)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리아는 세포 접합 분자, 항체, 표적 유도 단백질, 세포막 융합 물질, 또는 이들의 융합 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발현되도록 형질 전환된 박테리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막 융합 물질이 인간 EGF(human epidermal growth fac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의 막이 상기 박테리아의 세포막 이외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리아의 세포막 이외의 성분이 표적 유도 물질, 세포막 융합 물질, 사이클로덱스트린, 폴리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의 막 성분이 화학적으로 변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의 막 성분이 티올기 또는 아민기를 이용한 화학적 변형되거나, 상기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에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화학적으로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는 초고속원심분리, 밀도 구배 초고속원심분리, 한외여과법,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면역친화성 분리법, 미세유체기술 분리법, 수성 2상 시스템 및 폴리머 기반 침전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방법으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관문 억제제는 PD1(programmed cell death-1) 길항제, PDL1(programmed cell death-ligand 1) 길항제, PDL2(programmed cell death-ligand 2) 길항제, CD27(cluster of differentiation 27) 길항제, CD28(cluster of differentiation 28) 길항제, CD70(cluster of differentiation 70) 길항제, CD80(cluster of differentiation 80) 길항제, CD86(cluster of differentiation 86) 길항제, TIGIT (T cell immunoreceptor with Ig and ITIM domains) 길항제, CD137(cluster of differentiation 137) 길항제, CD276(cluster of differentiation 276) 길항제, KIRs(killer-cell immunoglobulin-like receptors) 길항제, LAG3(lymphocyte-activation gene 3) 길항제, TNFRSF4(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superfamily, member 4) 길항제, GITR(glucocorticoid-induced TNFR-related protein) 길항제, GITRL(glucocorticoid-induced TNFR-related protein ligand) 길항제, 4-1BBL(4-IBB ligand) 길항제, CTLA4(cytotoxic T lymphocyte associated antign-4) 길항제, A2aR(adenosine A2A receptor) 길항제, VTCN1(V-set domain-containing T-cell activation inhibitor 1) 길항제, BTLA(B- and T-lymphocyte attenuator) 길항제, IDO(indoleamine 2,3-dioxygenase) 길항제, TIM3(T-cell immunoglobulin domain and mucin-domain containing-3) 길항제, VISTA(V-domain Ig suppressor of T cell activation) 길항제, 및 KLRA(killer cell lectin-like receptor subfamily A) 길항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관문 억제제는 단백질, 펩타이드, 항체,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억제 핵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 핵산은 siRNA, shRNA, 또는 안티센스 RN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관문 억제제는 더발루맙(Durvalumab), 아테졸리주맙(Atezolizumab), 아벨루맙(Avelumab), 트리멜리무맙(Tremelimumab), 이필리무맙(Ipilimumab), 펨브롤리주맙(Pembrolizumab), 니볼루맙(Nivolumab), 피딜리주맙(Pidilizumab), BMS986016, 세미프리맙(Cemiplimab) 및 릴리루맙(lirilumab)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와 면역 관문 억제제는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별도로 병용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위암, 폐암, 비소세포성 폐암, 유방암, 난소암, 간암, 기관지암, 비인두암, 후두암, 췌장암, 대장암, 방광암, 결장암, 자궁경부암, 골암, 비소세포성 골암, 혈액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 암, 자궁암, 직장암, 항문 부근암, 결장암, 나팔관암, 자궁내막암, 질암, 음문암, 호지킨병(Hodgkin's disease),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신장 또는 수뇨관암, 신장세포암종, 신장골반암종, 침샘암, 육종암, 가성점액종, 간모세포종, 고환암, 교모세포종, 구순암, 난소생식세포종양, 기저세포암, 다발성골수종, 담낭암, 맥락막흑색종, 바터팽대부암, 복막암, 설암, 소세포암, 소아림프종, 신경모세포종, 십이지장암, 요관암, 성상세포종, 수막종, 신우암, 외음부암, 흉선암,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CNS) 종양, 1차 중추신경계 림프종, 척수종양, 뇌간 신경교종 및 뇌하수체 선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경구적인 방법 또는 비경구적인 방법으로 투여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비경구적인 방법은 정맥 내, 근육 내, 동맥 내, 골수 내, 경막 내, 심장 내, 경피, 피하, 복강 내, 비강 내, 장관, 국소, 설하 및 직장 내 투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6. 암 치료제를 제조하기 위한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 및 면역 관문 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의 용도.
  27.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 및 면역 관문 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 치료 방법.
PCT/KR2021/007834 2020-06-22 2021-06-22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의 암 치료 효능 증진 방법 및 조성 WO2021261891A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829916.2A EP4169520A1 (en) 2020-06-22 2021-06-22 Method and composition for enhancing cancer treatment efficacy of bacteria extracellular vesicles
CN202180051621.0A CN116056723A (zh) 2020-06-22 2021-06-22 增强细菌胞外囊泡的癌症治疗效果的方法和组合物
JP2022579808A JP2023531529A (ja) 2020-06-22 2021-06-22 バクテリア細胞外小胞体の癌治療効能を増進する方法及び組成物
KR1020227044481A KR20230027050A (ko) 2020-06-22 2021-06-22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의 암 치료 효능 증진 방법 및 조성
US18/012,498 US20230248783A1 (en) 2020-06-22 2021-06-22 Method and composition for enhancing cancer treatment efficacy of bacteria extracellular vesicles
AU2021296649A AU2021296649A1 (en) 2020-06-22 2021-06-22 Method and composition for enhancing cancer treatment efficacy of bacteria extracellular ves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053 2020-06-22
KR20200076053 2020-06-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61891A1 true WO2021261891A1 (ko) 2021-12-30

Family

ID=79281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7834 WO2021261891A1 (ko) 2020-06-22 2021-06-22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의 암 치료 효능 증진 방법 및 조성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48783A1 (ko)
EP (1) EP4169520A1 (ko)
JP (1) JP2023531529A (ko)
KR (1) KR20230027050A (ko)
CN (1) CN116056723A (ko)
AU (1) AU2021296649A1 (ko)
WO (1) WO202126189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4571A (zh) * 2022-01-20 2022-04-29 中山大学·深圳 一种装载化疗药物且tigit过表达的工程化载药细胞膜囊泡以及制备方法和应用
CN114712496A (zh) * 2022-04-29 2022-07-08 中山大学·深圳 一种展示新抗原的细菌衍生外膜囊泡疫苗及制备方法和在制备癌症免疫治疗试剂盒中的应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2364A1 (en) * 2016-12-16 2018-06-21 Evelo Biosciences, Inc. Combination therapies for treating melanoma
KR20190037163A (ko) * 2017-09-28 2019-04-05 주식회사 탠덤 암 치료용 신규 재조합 원형질막-기반 소포체
KR20190110942A (ko) * 2018-03-21 2019-10-01 ㈜로제타엑소좀 독성이 약화된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 및 이의 용도
KR20200053531A (ko) * 2017-09-08 2020-05-18 에벨로 바이오사이언시즈, 인크. 박테리아 세포외 소포
KR20200076053A (ko) 2018-12-19 2020-06-29 한국세라믹기술원 균일한 탄소 분포를 가지는 리튬인산철 분말의 제조방법
KR20210080108A (ko) 2019-12-20 2021-06-30 최성욱 홍채 이미지를 사용하여 스트레스 지수를 판별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2364A1 (en) * 2016-12-16 2018-06-21 Evelo Biosciences, Inc. Combination therapies for treating melanoma
KR20200053531A (ko) * 2017-09-08 2020-05-18 에벨로 바이오사이언시즈, 인크. 박테리아 세포외 소포
KR20190037163A (ko) * 2017-09-28 2019-04-05 주식회사 탠덤 암 치료용 신규 재조합 원형질막-기반 소포체
KR20190110942A (ko) * 2018-03-21 2019-10-01 ㈜로제타엑소좀 독성이 약화된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 및 이의 용도
KR20200076053A (ko) 2018-12-19 2020-06-29 한국세라믹기술원 균일한 탄소 분포를 가지는 리튬인산철 분말의 제조방법
KR20210080108A (ko) 2019-12-20 2021-06-30 최성욱 홍채 이미지를 사용하여 스트레스 지수를 판별하는 방법

Non-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1992, JOHN WILEY & SONS
BIOMATERIALS, vol. 113, 2017, pages 68 - 79
KIM ET AL.,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vol. 129, 2008, pages 107 - 116
METHODS MOL BIOL., vol. 1458, 2016, pages 95 - 110
NATURE COMMUNICATIONS, vol. 8, 2017, pages 626
SELIGER BARBARA, FREY BENJAMIN, SELIGER BARBARA: "Combinatorial Approaches With Checkpoint Inhibitors to Enhance Anti-tumor Immunity", FRONTIERS IN IMMUNOLOGY, vol. 10, 22 May 2019 (2019-05-22), XP055883309, DOI: 10.3389/fimmu.2019.00999 *
TAKAHASHI ET AL.,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vol. 116, 2006, pages 90 - 95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4571A (zh) * 2022-01-20 2022-04-29 中山大学·深圳 一种装载化疗药物且tigit过表达的工程化载药细胞膜囊泡以及制备方法和应用
CN114712496A (zh) * 2022-04-29 2022-07-08 中山大学·深圳 一种展示新抗原的细菌衍生外膜囊泡疫苗及制备方法和在制备癌症免疫治疗试剂盒中的应用
CN114712496B (zh) * 2022-04-29 2023-10-13 中山大学·深圳 一种展示新抗原的细菌衍生外膜囊泡疫苗及制备方法和在制备癌症免疫治疗试剂盒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1296649A1 (en) 2023-02-09
KR20230027050A (ko) 2023-02-27
JP2023531529A (ja) 2023-07-24
EP4169520A1 (en) 2023-04-26
US20230248783A1 (en) 2023-08-10
CN116056723A (zh) 202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61891A1 (ko)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의 암 치료 효능 증진 방법 및 조성
EP4353750A2 (en) Chimeric antigen receptors (cars),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WO2017022962A1 (ko) Ripk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10169880A1 (en) Control and modulation of the function of gene-modified chimeric antigen receptor t cells with dasatinib and other tyrosine kinase inhibitors
WO2021235696A1 (ko) Cd22에 특이적인 항체 및 이의 용도
WO2018199593A1 (ko) Her3 및 cd3에 결합하는 이중특이적 항체
WO2019198995A1 (ko) 엑소좀 기반의 면역세포의 교차분화 방법
WO2019182372A1 (ko) 독성이 약화된 박테리아 세포밖 소포체 및 이의 용도
WO2021066420A1 (ko) Cd138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이를 발현하는 면역세포 및 이의 항암 용도
WO2020101361A1 (ko) 형질전환된 t세포를 이용한 제대혈 유래 자연살해세포의 배양방법
WO2023096126A1 (ko) Mdsc 활성 저해 약물의 선별 방법
JP2007537753A (ja) 抗原でパルスされた、二重特異性抗体(BiAb)でコーティングされた樹状細胞の使用
WO2017146538A1 (ko) 조절 t 세포 매개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1158091A2 (ko) 케모카인 억제제, 콜로니 자극 인자 억제제 및 면역항암제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병용 요법
AU2018237024B2 (en) Anti-CEACAM1 antibody and use thereof
WO2022231032A1 (ko) 항-cntn4 특이적 항체 및 그의 용도
WO2023277361A1 (ko) 메소텔린 특이적 항체 및 이의 용도
WO2021235697A1 (ko) Cd22에 특이적인 항체 및 이의 용도
WO2021107635A1 (ko) Il-2 단백질 및 cd80 단백질을 포함하는 융합단백질 및 nk 세포를 포함하는 항암 치료용 조성물
WO2019151836A1 (en) Oncolytic vaccinia virus expressing an immune checkpoint protein antagonist to treat cancer
WO2023090780A1 (ko) 자연살해세포-특이적 키메릭항원수용체 및 이의 용도
WO2023080703A1 (ko) 살모넬라 균주 및 면역관문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WO2023172077A1 (ko) Pd-l1 특이적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면역세포
WO2022220648A1 (ko) Hla-dr 특이적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 이의 용도
WO2022235059A1 (ko) 폐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299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79808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299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0123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296649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210622

Kind code of ref document: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