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54486A1 - 산업용 자동문 장치 - Google Patents

산업용 자동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54486A1
WO2021054486A1 PCT/KR2019/011969 KR2019011969W WO2021054486A1 WO 2021054486 A1 WO2021054486 A1 WO 2021054486A1 KR 2019011969 W KR2019011969 W KR 2019011969W WO 2021054486 A1 WO2021054486 A1 WO 202105448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air
automatic door
sheet
ba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196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호태
김경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드
Priority to JP2020566994A priority Critical patent/JP7181644B2/ja
Priority to KR1020197029447A priority patent/KR102113163B1/ko
Priority to PCT/KR2019/011969 priority patent/WO2021054486A1/ko
Publication of WO202105448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5448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9/581Means to prevent or induce disengagement of shutter from side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ustrial automatic doo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ustrial automatic door device that can be easily manufactured and can escape in an emergency.
  • industrial automatic doors such as screen shutters are used for various types of factories (e.g. automobiles, foods, machinery, electricity, printing, castings, textiles, plastics, chemicals, electronics, etc.) Distribution sensor), or a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nstalled at the product shipping site, car washer, or the entrance of a maintenance factory, and it means a so-called screen-type door that can open and close much faster than the existing sliding-type sliding door and metal shutter-type door.
  • the high-speed automatic door when opened or closed, it can be reopened by a safety sensor, and natural light is possible because it does not block sunlight by using a special material sheet.
  • FIG. 1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industrial automatic door device.
  • the conventional industrial automatic door is provided with a sprocket 7 inside the drum case 12, and when rotated by the driving source, the teeth of the scrocket 7 are each of the teeth part 5 of the automatic door. It engages with the tooth and opens or closes the automatic door at high speed.
  •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ustrial automatic door device that is easy to manufacture and can reduce cost.
  • the guide frame is formed with a sheet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both ends of the sheet member so that the sheet member moves in an up and down direction;
  • a sheet roller member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frame so that the sheet member is wound;
  • a raised portion formed over the entire vertical direction of both ends of the sheet member so that the sheet member is coupled to the sheet receiving portion of the guide frame, and the raised portion is provided to move up and down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sheet receiving portion.
  • the raised portion a linear connection portion coupled to the sheet member; And a head portion extending from the linear connection portion, wherein a width of the head portion is greater than a width of the linear connection portion
  • the guide frame includes: a support frame; And a coupling frame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and supported by a seat receiving portion to which the head portion of the raised portion is coupled, wherein the coupling frame includes: a first bod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And a second body extending from the first body and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that the head portion of the raised portion is coupled, wherein the second body includes a pair of receiving bars each extending from both ends, and the pair of The receiving bars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to form a space as the sheet receiving portion between the pair of receiving bars, and the head portion of the raised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serving as the sheet receiving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is 2 It can be formed of a harder material than the main body.
  • the receiving bar a straight bar of a straight line shape; And a protruding bar protruding from the straight bar, wherein the space is formed between each straight bar of the pair of receiving bars, and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each of the protruding bars of the pair of receiving bars.
  •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and the head portion of the raised portion may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to be accommodated in the space.
  • a coupling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the support frame includes: a first support bar having a linear shape; A pair of second support bars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bar; And a pair of third support bars extending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from each end of the pair of second support bars, and each of the pair of third support bars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 the head portion includes an inclined extension extending obliquely from the linear connection portion, a linear extension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from the inclined extension, and a curved extension extending in a curve from the linear extension, the protruding bar
  • An inner side positioned toward the space and an outer side position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inner side, and a protruding inclined portion having an inclination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protruding bar is formed, and the inclined extension of the head portion and the protruding bar
  • the protruding inclined portion may be in surface contact to have different inclinations.
  •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effect of being able to easily manufacture and reduce cost by removing components such as a tooth part and a scrotet.
  • the head portion of the raised portion is made of a harder material than the second body of the guide frame, a strong force is forcibly provided to the raised portion in an emergency, thereby separating the raised portion from the guide frame, thereby enabling an emergency escape.
  • FIG. 1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industrial automatic door device.
  • FIG. 2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n industrial automatic do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heet roller member in an industrial automatic do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as viewed from an upper side of a state in which a raised portion formed over the entire vertical direction of both ends of a sheet member is coupled to a seat receiving portion of a guide frame in an industrial automatic do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protrusion of a sheet member is coupled to a guide frame in an industrial automatic do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5.
  • Coupled to is not only when one member and another member are directly coupled or directly connected, but also when one member is indirectly coupled to another member through a joint member, or indirectly It also includes cases connected to.
  • FIG. 1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industrial automatic door device
  • FIG. 2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n industrial automatic do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heet in an industrial automatic do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roller member
  • FIG. 4 is a view from the top of a state in which the raised portions formed over the entire vertical direction of both ends of the sheet member are coupled to the sheet receiving portion of the guide frame in the industrial automatic do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protrusion of a sheet member is coupled to a guide frame in an industrial automatic do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5.
  • an industrial automatic door device 10 is an industrial automatic door provided with a sheet member 300 that moves up and down by a motor 500, and a guide frame 100 ), and a sheet roller member 200, and a raised portion 400.
  • the guide frame 100 is provided with a sheet receiving portion 128 (see FIG. 5) in which both ends of the sheet member 300 are accommodated so that the sheet member 300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guide frame 10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rigidity to support the movement of the sheet member 300.
  • the guide frame 100 may include a support frame 110 and a coupling frame 120.
  • the support frame 110 is coupled to the coupling frame 120 and support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heet member 300.
  • the support frame 11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and may be made of various types of metal, but the material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upport frame 11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frame 140.
  • the outer frame 140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support frame 110 and the coupling frame 120.
  • the support frame 110 may include a first support bar 111, a second support bar 112, and a third support bar 113.
  • the first support bar 111 may be formed in a linear shape.
  • the second support bar 112 is provided in a pair and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bar 111.
  • the third support bar 113 is also provided in a pair, and each of the pair of third support bars 113 extends from each end of the pair of second support bars 112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
  • the pair of third support bars 113 are spaced apart so as not to contact each other.
  • each of the pair of third support bars 113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30 formed in the coupling frame 120 to support the coupling frame 120.
  • the coupling frame 120 is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110.
  • the support frame 110 may be manufactured to surround a part of the coupling frame 120. That is, the support frame 110 may be manufactured to surround the first body 121 of the coupling frame 120.
  • i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eat receiving portion 128 is formed in the coupling frame 120.
  • the head portion 420 of the raised portion 400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the sheet receiving portion 128. That is, the head portion 420 of the raised portion 400 is accommodated in the sheet receiving portion 128 of the coupling frame 120 and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coupling frame 120 may include a first body 121 and a second body 122.
  • the first body 121 is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10 and is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110.
  • the second body 122 extends from the first body 121 and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head portion 420 of the raised portion 400 is coupled.
  • a coupling groove 130 (refer to FIG. 5)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121 and the second body 122 of the coupling frame 120, and as shown in FIG. 4, a pair of third support bars 113 ) Each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30 formed in the coupling frame 120 to support the coupling frame 120.
  • the second body 122 may include a pair of receiving bars 123 respectively extending from both ends.
  • the receiving bar 123 may include a straight bar 124 and a protruding bar 125.
  • the straight bar 124 of the receiving bar 123 is formed in a linear shape.
  • the protruding bar 125 protrudes from the straight bar 124.
  • a space 126 is formed between each straight bar 124 of the pair of receiving bars 123, and each protruding bar 125 of the pair of receiving bars 123 Through-holes 127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re formed therebetween.
  • the head portion 420 of the raised portion 40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27 and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126. That is, a pair of receiving bars 123 ar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provid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to form a space 126, which is a sheet receiving portion 128, between the pair of receiving bars 123, and the raised portion 400 ) Of the head portion 420 may be provided to be accommodated in the space 126 that is the seat receiving portion (128).
  • the sheet roller member 2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frame 100 so that the sheet member 300 is wound. That is, when the seat roller member 200 is coupled to the motor 500 and rotates, the seat member 300 is wound around the seat roller member 200 or released from the seat roller member 200 to open or close a preset space. It has a function as
  • the raised portion 400 is formed over the entire vertical direction of both ends of the sheet member 300 so that the sheet member 300 is coupled to the sheet receiving portion 128 of the guide frame 100.
  • the raised portion 400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to move up and down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sheet receiving portion 128 of the guide frame 100.
  • the raised portion 400 may include a linear connection portion 410 and a head portion 420.
  • the linear connection part 410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sheet member 300, and the head part 420 is provided to extend from the linear connection part 410.
  • the width W1 of the head portion 420 may be provided to be greater than the width W2 of the linear connection portion 410.
  • the head portion 420 may be formed of a harder material than the second body 122 of the coupling frame 120. In this way, if the head part 420 is formed of a harder material than the second body 122, even if the head part 420 collides with the second body 122 of the coupling frame 120 when the automatic door is operated, it is not damaged.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not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body 122.
  • the second body 122 when the second body 122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when a strong force is applied to the raised portion 400, the second body 122 is elastically deformed and widens, and a head portion 420 made of a hard material is provided.
  • the raised portion 400 may be separated from the guide frame 100. That is, in case of an emergency, a strong force is provided to the raised portion 400 to forcibly separate the raised portion 400 from the second body 122 of the guide frame 100 to enable an emergency escape.
  • the head portion 420 may include an oblique extension portion 421, a linear extension portion 422, and a curved extension portion 423.
  • the oblique extension part 421 extends obliquely from the linear connection part 410.
  • the inclined extension portions 421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may be obliquely extended toward opposite directions.
  • the linear extension part 422 extends in a straight line from each of the pair of inclined extension parts 421.
  • the curved extension part 423 extends in a curve from the pair of straight extension parts 422 to connect the pair of straight extension parts 422.
  • the protruding bar 125 of the receiving bar 123 may be formed in an inner side facing the space 126 and an outer side positioned at an opposite side of the inner side, and an inclination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protruding bar 125
  • the protruding inclined portion 129 may be formed.
  • the inclined extension 421 of the head portion 420 and the protruding inclined portion 129 of the protruding bar 125 may be in surface contact to have different inclinations. In this way, when the inclined extension 421 of the head 420 and the protruding inclined portion 129 of the protruding bar 125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as to have different inclinations, the contact area is reduced to reduce friction during operation of the automatic doo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ade.
  • the upper side of the sheet member 300 is wound around the sheet roller member 200, and the weight 60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heet member 300. Further, a raised portion 400 is formed in the entire vertical direction of both ends of the sheet member 300, and the raised portion 400 is accommodated in the sheet receiving portion 128 of the guide frame 100.
  • the seat roller member 200 is coupled to the motor 500 and rotates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500, whereby the seat member 300 is wound or unwound by the seat roller member 200. At this time, the raised portions 400 formed over the entire ends of both sides of the sheet member 300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sheet receiving portion 128 of the guide frame 100.
  • the head portion 420 of the raised portion 400 formed over the entire vertical direction of the sheet member 300 is formed of a harder material than the second body 122 of the guide frame 100, the sheet member 300 Even if it collides, there is an effect that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guide frame 100.
  • the head portion 420 of the raised portion 400 is formed of a harder material than the second body 122 of the guide frame 100, it provides a strong force to the raised portion 400 in case of an emergency. By forcibly separating the from the guide frame 100 has the effect of enabling an emergency escap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ustrial automatic door device, and in particular, can be used in an industry related to an industrial automatic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산업용 자동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자동문 장치는, 모터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시트부재가 구비된 산업용 자동문에 있어서, 시트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시트부재의 양측 단부가 수용되는 시트 수용부가 형성된 가이드프레임; 시트부재가 감기도록 가이드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된 시트롤러부재; 및 시트부재가 가이드프레임의 시트 수용부에 결합되도록 시트부재의 양측 단부의 상하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된 융기부를 포함하며, 융기부가 시트 수용부에 수용된채 상하로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산업용 자동문 장치
본 발명은, 산업용 자동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제작가능하고 비상시 비상 탈출이 가능한 산업용 자동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스크린 셔터와 같은 산업용 자동문은 다양한 형태의 공장(예, 자동차, 식품, 기계, 전기, 인쇄, 주물, 섬유, 플라스틱, 화학, 전자 등)의 출입구, 물류 시설(예, 유통 센서), 또는 제품 출하장, 자동차 세차기 또는 정비 공장 출입구 등에 설치되는 개폐가능한 도어로서, 기존의 슬라이딩 방식의 슬라이딩 도어 및 금속 셔터 타입의 도어 보다 훨씬 더 신속한 개폐가 가능한 소위, 스크린 타입 도어를 의미한다.
이러한 고속 자동문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유용성 때문에 최근 그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첫째, 바람, 열 등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특히 식품제조업 공장의 경우 외부로부터 공장 내부로 먼지, 분진, 곤충 등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뿐만 아니라 공장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유지하는데 유용하다.
둘째, 고속 자동문의 개폐시, 안전 센서에 의해 재개방이 가능하고, 특수 재질의 시트를 사용하여 햇빛을 차단하지 않기 때문에 자연 채광이 가능하다.
셋째, 냉방 또는 난방의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으므로 공간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자동문의 개폐를 위한 구동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므로 공장의 생산성 및 수율 중 적어도 하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물류 이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외관이 수려하고 개폐시 소음이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산업용 자동문 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산업용 자동문은 드럼 케이스(12) 내부에 스포로켓(7)이 구비되며, 구동원에 의해 회전될 때 스크로켓(7)의 치차가 자동문의 투스부(5)의 각각의 투스에 치합되어 자동문을 고속으로 개방하거나, 폐쇄시킨다.
하지만, 종래 산업용 자동문은 자동문의 투스부(5)의 복수의 투스를 모두 제작해야 하므로, 제작이 어렵고 비용이 상승하며 제작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크로켓(7) 또한 제작 비용과 제작 시간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작이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산업용 자동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모터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시트부재가 구비된 산업용 자동문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시트부재의 양측 단부가 수용되는 시트 수용부가 형성된 가이드프레임; 상기 시트부재가 감기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된 시트롤러부재; 및 상기 시트부재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기 시트 수용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시트부재의 양측 단부의 상하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된 융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융기부가 상기 시트 수용부에 수용된채 상하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자동문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융기부는, 상기 시트부재에 결합되는 직선연결부; 및 상기 직선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의 폭이 상기 직선연결부의 폭보다 크도록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상기 융기부의 상기 헤드부가 결합되는 시트 수용부가 형성된 결합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융기부의 상기 헤드부가 결합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된 제2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본체는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수용바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수용바는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고 서로 대칭되도록 마련되어 한 쌍의 수용바 사이에 상기 시트 수용부인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융기부의 상기 헤드부는 상기 시트 수용부인 상기 공간에 수용되되,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2 본체보다 단단한 경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바는, 직선 형상의 직선바; 및 상기 직선바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바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수용바의 각각의 직선바 사이에 상기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수용바의 각각의 돌출바 사이에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융기부의 상기 헤드부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 사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직선형상의 제1 지지바; 상기 제1 지지바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지지바; 및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바의 각각의 단부로부터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3 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3 지지바 각각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직선연결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연장부와, 상기 경사연장부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되는 직선연장부와, 상기 직선연장부로부터 곡선으로 연장되는 곡선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바는 상기 공간을 향하도록 위치한 내측과, 상기 내측의 대향되는 측에 위치한 외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바의 내측에는 경사가 형성되는 돌출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의 상기 경사연장부와 상기 돌출바의 상기 돌출경사부는 서로 다른 경사를 가지도록 면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투스부와 스크로켓 등의 구성들을 제거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트부재의 상하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된 융기부가 가이드프레임의 시트 수용부에 결합되므로 시트부재가 충돌되더라도 가이드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융기부의 헤드부는 가이드프레임의 제2 본체보다 단단한 경성 재질로 형성되므로 비상시 융기부에 강한 힘을 강제로 제공하여 융기부를 가이드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켜 비상 탈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산업용 자동문 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자동문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자동문 장치에서 시트롤러부재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자동문 장치에서 시트부재의 양측 단부의 상하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된 융기부가 가이드프레임의 시트 수용부에 결합된 모습을 상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자동문 장치에서 시트부재의 융기부가 가이드프레임에 결합된 모습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산업용 자동문 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자동문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자동문 장치에서 시트롤러부재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자동문 장치에서 시트부재의 양측 단부의 상하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된 융기부가 가이드프레임의 시트 수용부에 결합된 모습을 상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자동문 장치에서 시트부재의 융기부가 가이드프레임에 결합된 모습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자동문 장치(10)는, 모터(500)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시트부재(300)가 구비된 산업용 자동문으로서, 가이드프레임(100)과, 시트롤러부재(200)와, 융기부(40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프레임(100)에는 시트부재(30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시트부재(300)의 양측 단부가 수용되는 시트 수용부(128, 도 5 참조)가 형성된다. 가이드프레임(100)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시트부재(300)의 이동을 지지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강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프레임(100)은 지지프레임(110)과, 결합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10)은 결합프레임(120)에 결합되며, 시트부재(300)의 상하 이동을 지지한다. 지지프레임(110)은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지만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프레임(110)은 외곽프레임(140)에 결합될 수 있다. 외곽프레임(140)은 지지프레임(110)과, 결합프레임(120)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10)은 제1 지지바(111)와, 제2 지지바(112)와, 제3 지지바(1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지지바(111)는 직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바(112)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제1 지지바(111)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3 지지바(113)도 한 쌍으로 마련되며, 한 쌍의 제3 지지바(113) 각각은 한 쌍의 제2 지지바(112)의 각각의 단부로부터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다만, 한 쌍의 제3 지지바(113)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되어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제3 지지바(113) 각각은 결합프레임(120)에 형성된 결합홈(130)에 결합되어 결합프레임(120)을 지지한다.
결합프레임(120)은 지지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지지프레임(110)이 결합프레임(120)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제작될 수 있다. 즉, 지지프레임(110)이 결합프레임(120)의 제1 본체(121)를 둘러싸도록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조하면, 결합프레임(120)에는 시트 수용부(128)가 형성된다. 시트 수용부(128)에는 후술하는 융기부(400)의 헤드부(420)가 결합된다. 즉, 융기부(400)의 헤드부(420)가 결합프레임(120)의 시트 수용부(128)에 수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결합프레임(120)은 제1 본체(121)와, 제2 본체(12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본체(121)는 지지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지지프레임(110)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제2 본체(122)는 제1 본체(121)로부터 연장되며 융기부(400)의 헤드부(420)가 결합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프레임(120)의 제1 본체(121)와 제2 본체(122) 사이에는 결합홈(130, 도 5 참조)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에서와 같이 한 쌍의 제3 지지바(113) 각각이 결합프레임(120)에 형성된 결합홈(130)에 결합되어 결합프레임(120)을 지지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본체(122)는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수용바(12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바(123)는 직선바(124)와, 돌출바(125)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바(123)의 직선바(124)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돌출바(125)는 직선바(124)로부터 돌출된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한 쌍의 수용바(123)의 각각의 직선바(124) 사이에 공간(126)이 형성되고, 한 쌍의 수용바(123)의 각각의 돌출바(125) 사이에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관통홀(127)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융기부(400)의 헤드부(420)가 관통홀(127)을 통과하여 공간(126) 내에 수용된다. 즉, 한 쌍의 수용바(123)는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고 서로 대칭되도록 마련되어 한 쌍의 수용바(123) 사이에 시트 수용부(128)인 공간(126)이 형성되며, 융기부(400)의 헤드부(420)는 시트 수용부(128)인 공간(126)에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시트롤러부재(200)는 시트부재(300)가 감기도록 가이드프레임(100)의 상측에 설치된다. 즉, 시트롤러부재(200)가 모터(500) 등에 결합되어 회전하면 시트부재(300)가 시트롤러부재(200)에 감기거나 시트롤러부재(200)로부터 풀려서 미리 설정된 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자동문으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융기부(400)는 시트부재(300)가 가이드프레임(100)의 시트 수용부(128)에 결합되도록 시트부재(300)의 양측 단부의 상하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융기부(400)가 가이드프레임(100)의 시트 수용부(128)에 수용된채 상하로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융기부(400)는 직선연결부(410)와, 헤드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직선연결부(410)는 시트부재(300)에 결합되도록 마련되고, 헤드부(420)는 직선연결부(410)로부터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도 6을 참조하면, 헤드부(420)의 폭(W1)이 직선연결부(410)의 폭(W2)보다 크도록 마련될 수 있다.
헤드부(420)는 결합프레임(120)의 제2 본체(122)보다 단단한 경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헤드부(420)가 제2 본체(122)보다 단단한 경성 재질로 형성되면 자동문의 작동시 헤드부(420)가 결합프레임(120)의 제2 본체(122)에 충돌되더라도 손상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2 본체(122)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제2 본체(122)가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융기부(400)에 강한 힘을 제공하면 제2 본체(122)는 탄성변형되면서 벌어지며, 경성 재질의 헤드부(420)가 구비된 융기부(400)가 가이드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비상시 융기부(400)에 강한 힘을 제공하여 융기부(400)를 가이드프레임(100)의 제2 본체(122)로부터 강제로 분리시켜 비상 탈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헤드부(420)는 경사연장부(421)와, 직선연장부(422)와, 곡선연장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연장부(421)는 직선연결부(410)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된다. 여기서, 경사연장부(421)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서로 대향되는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직선연장부(422)는 한 쌍의 경사연장부(421) 각각으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된다. 곡선연장부(423)는 한 쌍의 직선연장부(422)로부터 곡선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직선연장부(422)를 연결한다.
여기서, 수용바(123)의 돌출바(125)는 공간(126)을 향하도록 위치한 내측과, 내측의 대향되는 측에 위치한 외측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돌출바(125)의 내측에는 경사가 형성되는 돌출경사부(129)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헤드부(420)의 경사연장부(421)와 돌출바(125)의 돌출경사부(129)는 서로 다른 경사를 가지도록 면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헤드부(420)의 경사연장부(421)와 돌출바(125)의 돌출경사부(129)가 서로 다른 경사를 가지도록 면접촉되면 접촉 면적이 감소되어 자동문의 작동시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자동문 장치(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시트부재(300)의 상측은 시트롤러부재(200)에 감겨 있고, 시트부재(300)의 하측에는 무게추(60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시트부재(300)의 양측 단부의 상하 방향 전체에는 융기부(400)가 형성되어 있으며, 융기부(400)는 가이드프레임(100)의 시트 수용부(128)에 수용되어 있다.
시트롤러부재(200)는 모터(500)에 결합되어 모터(50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이에 의해 시트부재(300)가 시트롤러부재(200)에 감기거나 풀린다. 이때, 시트부재(300)의 양측 단부의 전체 걸쳐에 형성된 융기부(400)는 가이드프레임(100)의 시트 수용부(128)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 사용되던 자동문의 투스부와 스크로켓이 불필요하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트부재(300)의 상하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된 융기부(400)의 헤드부(420)가 가이드프레임(100)의 제2 본체(122)보다 단단한 경성 재질로 형성되므로 시트부재(300)가 충돌되더라도 가이드프레임(1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융기부(400)의 헤드부(420)는 가이드프레임(100)의 제2 본체(122)보다 단단한 경성 재질로 형성되므로 비상시 융기부(400)에 강한 힘을 제공하여 융기부(400)를 가이드프레임(100)으로부터 강제로 분리시켜 비상 탈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산업용 자동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산업용 자동문과 관련된 산업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5)

  1. 모터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시트부재가 구비된 산업용 자동문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시트부재의 양측 단부가 수용되는 시트 수용부가 형성된 가이드프레임;
    상기 시트부재가 감기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된 시트롤러부재; 및
    상기 시트부재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기 시트 수용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시트부재의 양측 단부의 상하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된 융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융기부가 상기 시트 수용부에 수용된채 상하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자동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는,
    상기 시트부재에 결합되는 직선연결부; 및
    상기 직선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의 폭이 상기 직선연결부의 폭보다 크도록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상기 융기부의 상기 헤드부가 결합되는 시트 수용부가 형성된 결합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융기부의 상기 헤드부가 결합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된 제2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본체는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수용바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수용바는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고 서로 대칭되도록 마련되어 한 쌍의 수용바 사이에 상기 시트 수용부인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융기부의 상기 헤드부는 상기 시트 수용부인 상기 공간에 수용되되,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2 본체보다 단단한 경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자동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바는,
    직선 형상의 직선바; 및
    상기 직선바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바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수용바의 각각의 직선바 사이에 상기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수용바의 각각의 돌출바 사이에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융기부의 상기 헤드부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공간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자동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 사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직선형상의 제1 지지바;
    상기 제1 지지바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지지바; 및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바의 각각의 단부로부터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3 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3 지지바 각각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자동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직선연결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연장부와, 상기 경사연장부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되는 직선연장부와, 상기 직선연장부로부터 곡선으로 연장되는 곡선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바는 상기 공간을 향하도록 위치한 내측과, 상기 내측의 대향되는 측에 위치한 외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바의 내측에는 경사가 형성되는 돌출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의 상기 경사연장부와 상기 돌출바의 상기 돌출경사부는 서로 다른 경사를 가지도록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자동문 장치.
PCT/KR2019/011969 2019-09-17 2019-09-17 산업용 자동문 장치 WO2021054486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566994A JP7181644B2 (ja) 2019-09-17 2019-09-17 産業用自動ドア装置
KR1020197029447A KR102113163B1 (ko) 2019-09-17 2019-09-17 산업용 자동문 장치
PCT/KR2019/011969 WO2021054486A1 (ko) 2019-09-17 2019-09-17 산업용 자동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11969 WO2021054486A1 (ko) 2019-09-17 2019-09-17 산업용 자동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54486A1 true WO2021054486A1 (ko) 2021-03-25

Family

ID=70919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1969 WO2021054486A1 (ko) 2019-09-17 2019-09-17 산업용 자동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181644B2 (ko)
KR (1) KR102113163B1 (ko)
WO (1) WO20210544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523B1 (ko) 2023-06-26 2024-05-13 주식회사 원도어시스템 산업용 자동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2616A (ko) * 1997-08-26 1998-03-30 이경규 풍압의 밀림에 의하여도 셔터가 가이드레일에서 탈리되지 않는 구조로 되는 셔터
JP2003013680A (ja) * 2001-06-29 2003-01-15 Tachikawa Blind Mfg Co Ltd ロールブラインドのスクリーン案内装置
JP2004211298A (ja) * 2002-12-26 2004-07-29 Tachikawa Blind Mfg Co Ltd ロールブラインドのスクリーン案内装置
KR200363450Y1 (ko) * 2004-06-28 2004-10-02 곽재석 방충망의 양측단 지지구조
KR20170061352A (ko) * 2015-11-26 2017-06-05 (주)대주기업 스피드 도어의 시트 이탈 방지 가이드레일 결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6239B2 (ja) * 2003-11-20 2010-01-13 株式会社日建設計 スクリーン装置
JP5316791B2 (ja) * 2008-08-25 2013-10-16 林口工業株式会社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JP6791716B2 (ja) * 2016-10-19 2020-11-25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2616A (ko) * 1997-08-26 1998-03-30 이경규 풍압의 밀림에 의하여도 셔터가 가이드레일에서 탈리되지 않는 구조로 되는 셔터
JP2003013680A (ja) * 2001-06-29 2003-01-15 Tachikawa Blind Mfg Co Ltd ロールブラインドのスクリーン案内装置
JP2004211298A (ja) * 2002-12-26 2004-07-29 Tachikawa Blind Mfg Co Ltd ロールブラインドのスクリーン案内装置
KR200363450Y1 (ko) * 2004-06-28 2004-10-02 곽재석 방충망의 양측단 지지구조
KR20170061352A (ko) * 2015-11-26 2017-06-05 (주)대주기업 스피드 도어의 시트 이탈 방지 가이드레일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163B1 (ko) 2020-05-20
JP7181644B2 (ja) 2022-12-01
JP2022503381A (ja) 202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54486A1 (ko) 산업용 자동문 장치
WO2017217679A1 (ko) 전동접이식 도어 시스템
WO2014021641A1 (ko) 미서기 창호
WO2010002101A2 (ko)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RU2437823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двери лифта
WO2014133237A1 (ko) 선루프용 개폐장치
ES2131359T3 (es) Puerta de secciones.
CA3141089A1 (en) Door operator system
KR100252595B1 (ko) 자동문개폐장치
WO2021240669A1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外れ防止装置
KR102303720B1 (ko) 벨트 구동 자동문의 케이블 베어 구조
DK0978617T3 (da) Vinduesindretning til åbning ved udflytning
EP1314845A3 (en) Hinge for a panel door
RU2814672C2 (ru) Система дверного привода
JP2546524Y2 (ja) 任意区画面単独開閉自在の全開シャッター
DK0729539T3 (da) Port med et vertikalt bevægeligt, med kabler fastholdt portblad
JP3804170B2 (ja) ブラインド装置
CN214460205U (zh) 卷扬式启闭机操纵绳窗口防护装置
JP4229665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20050013983A (ko) 추락방지용 미닫이 창문조립체
JP2507350B2 (ja) 開閉間仕切り
CA2202846A1 (en) Improved counter weight door
WO2014058125A1 (ko) 추락 방지장치가 형성된 창문
JPH0748955Y2 (ja) パネルシャッタの異常検知装置
JP4078675B2 (ja) 吊下式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566994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461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461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