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67626A1 - 김치속넣기 장치, 김치속넣기 장치용 분사기구, 및 김치속넣기 장치용 덤핑 리프터 - Google Patents

김치속넣기 장치, 김치속넣기 장치용 분사기구, 및 김치속넣기 장치용 덤핑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67626A1
WO2020067626A1 PCT/KR2019/007140 KR2019007140W WO2020067626A1 WO 2020067626 A1 WO2020067626 A1 WO 2020067626A1 KR 2019007140 W KR2019007140 W KR 2019007140W WO 2020067626 A1 WO2020067626 A1 WO 202006762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easoning
kimchi
hopper
pip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714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동윤
김인재
박경택
송일규
오지영
이가영
임희정
정찬수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CN201980063049.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2770636A/zh
Priority to EP19865497.2A priority patent/EP3858144B1/en
Priority to US17/280,022 priority patent/US20220030926A1/en
Priority to PL19865497.2T priority patent/PL3858144T3/pl
Priority to JP2021540998A priority patent/JP7126621B2/ja
Publication of WO202006762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6762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5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23P20/18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by spray-coating, fluidised-bed coating or coating by cas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mchi filling device, an injection device for a kimchi filling device, and a dumping lifter for a kimchi filling device. More specifically, a certain amount of seasoning is periodically sprayed to a certain position by the spraying mechanism, and the operator is required to simply place the cabbage in the position where the seasoning is sprayed, and then spread the cabbage leaves according to the spraying period, so that the kimchi is put in. It has an effect that the efficiency of can be improved.
  • the kimchi industry has a high labor cost ratio among manufacturing costs.
  • seasoning process during kimchi manufacturing is difficult to implement by automation, it is mostly hand-centered and cannot escape the form of home-made crafts.
  • it is urgent to improve the process of adding kimchi. Do. If the seasoning process of kimchi is mechanized during the kimchi manufacturing process, the manufacturing cost of kimchi can be reduced to secure the price competitiveness of the kimchi product.
  • the kimchi seasoning is not uniform in size, and the size of the cabbage filling the kimchi seasoning is also not uniform, thus limiting the overall mechanization of the kimchi filling proc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mproved kimchi filling device for improving productivit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kimchi filling process.
  • the aim is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kimchi filling process by automating the process of filling the cabbage with the kimchi seasoning in the kimchi filling proces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imchi filling device that can be conveniently operated by an operator.
  • the kimchi filling device includes a hopper through which the spice is supplied from the transfer pipe to temporarily store the spice, and an injection mechanism installed to selectively spray the spice at the end of the hopper.
  • the injection mechanism can be turned on (ON) or off (OFF), and is provided to periodically spray a certain amount of seasoning when turned on.
  • the injection device for a kimchi filling apparatus periodically sprays a predetermined amount of seasoning and can be turned on or off by a user's manipulation. , It is provided to be able to adjust the spraying period and the spraying amount per spraying cycle.
  • a docking member provided to be coupled with a movable tank, and a tower member coupled to the docking member and provided to raise or lower the docking member It includes.
  • the tower member includes a base provided with a contact surface with the floor, a driving unit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elevating the docking member, a vertical extending upward from the base, and receiving a power transmission membe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to the docking member It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and a guide rail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from an upper e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first direction may be defined as a direction in which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ground is the main component, but is directed to the other side, which is the opposite side of one side where the docking member and the movable tank are coupled based on the vertical extension.
  • the docking member includes a docking unit coupled to the movable tank, a driving arm coupled to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and a guide arm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and provided above the driving arm, so that the docking member has a predetermined height. After rising, the guide arm is provided t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the guide rail and the driving arm continues to move upwards, so that the docking member and the movable tank are rotated.
  • the injection device for the kimchi filling device can be turned on or off by the user's operation, and the spraying period and the amount of spraying per spraying cycle can be adjusted,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spraying device as needed and insert the kimchi. It is possible to perform efficiently.
  • the setting of the injection mechanism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material waste and to produce kimchi of a certain quality.
  • the dumping lifter can be used to raise and rotate the movable tank to supply seasoning to the kimchi seasoning storage tank, which reduces labor and enables efficient processing.
  •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kimchi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lan view of the kimchi filling apparatus of FIG. 1.
  • 3A and 3B are side views of the kimchi filling apparatus of FIG. 1.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mping lifter provided in a kimchi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umping lifter of FIG. 4.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ckaging mechanism provided in a kimchi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jection mechanism provided in a kimchi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injection mechanism of FIG. 7 is separated.
  •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kimchi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kimchi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kimchi filling device 100 includes a kimchi filling storage tank 105, a seasoning transfer pump 130, a hopper 140, and a spraying mechanism 150.
  • the kimchi seasoning storage tank 105 stores kimchi seasoning.
  • the seasoning transfer pump 130 receives the seasoning from the kimchi seasoning storage tank and supplies it to the transfer pipe 131.
  • the hopper 140 receives seasoning from the transfer pipe 131 through the branch pipe 133 branched from the transfer pipe 131 to temporarily store the seasoning.
  • the injection mechanism 150 is installed to selectively spray seasoning at the end of the hopper 140.
  • the injection mechanism 150 can be turned on and off, and is provided to periodically spray a certain amount of seasoning when turned on.
  • the kimchi filling apparatus includes an injection mechanism that periodically injects a certain amount of kimchi seasoning. More specifically, the kimchi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basic feature that an operator includes only a spraying mechanism to perform the work of opening the cabbage leaf and spraying the kimchi seasoning by an automated device.
  • the kimchi fill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dumping lifter 110 which is a device for supplying seasoning to the kimchi seasoning storage tank 105 by lifting and dumping the mobile tank 10 that accommodates the kimchi seasoning.
  • a dumping lifter 110 which is a device for supplying seasoning to the kimchi seasoning storage tank 105 by lifting and dumping the mobile tank 10 that accommodates the kimchi seasoning.
  • the movable tank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heels at the bottom, so it can be easily moved.
  • the movable tank 10 includes a box-shaped seasoning storage, and may have a shape opened upward.
  • the dumping lifter 110 is provided so that the movable tank 10 can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so that the sauce in the movable tank 10 is poured into the kimchi seasoning storage tank 105 after the movable tank 10 is elevated to a certain height. Can be.
  • the kimchi inner seasoning storage tank 105 may be opened upward and a seasoning inlet may be provided.
  • the kimchi inner seasoning storage tank 105 may be provided in a narrower shape toward the lower end, and may be provided to allow seasoning to be introduced into the seasoning transfer pump 130.
  • the kimchi inner seasoning storage tank 105 may further include a seasoning tank detecting unit (not shown) for detecting the amount of seasoning contained in the kimchi inner seasoning storage tank 105.
  • the dumping lifter 110 is set to lift and dump the mobile tank 10 when the amount of seasoning accommodated in the kimchi seasoning storage tank 105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amount, and the seasoning is automatically seasoned in the kimchi seasoning storage tank 105 It may be provided to be supplied additionally.
  • the seasoning transfer pump 130 may receive seasoning from the kimchi seasoning storage tank 105 and supply it to the transfer pipe 131.
  • the seasoning can be supplied from the kimchi seasoning storage tank 105 to the seasoning transfer pump 130 by the weight of the seasoning in the kimchi seasoning storage tank 105.
  • the seasoning transfer pump 130 may be installed under the kimchi seasoning storage tank 105.
  • the seasoning transfer pump 130 may be any one of various types of pumps.
  • the seasoning transfer pump 130 may be configured using a masosine pump.
  • Maso sine pump is a positive displacement pump, and has a sine wave type rotor, whereby a plurality of chambers are provided inside the pump by the rotor and the pump body,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chambers performs a function of pushing substances while being closed to each other. do.
  • the masosine pump has almost no pulsation and can effectively pump fluid containing lumps, and is suitable for conveying seasonings containing lumps unevenly as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transfer pipe 131 may form a supply flow path so that the seasoning discharged from the seasoning transfer pump 130 is supplied to the hopper 140.
  • the branch pipe 133 may include a plurality of branch pipes 133 branched from a plurality of points of the transfer pipe 131.
  • the kimchi fill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branch pipe valves 134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ranch pipes 133.
  • the branch pipe valves 134 may control the inflow of seasoning from the transfer pipe 131 to the hopper 140.
  • the hopper 140 may receive the seasoning from the transfer pipe 131 through the branch pipe 133 and temporarily store it.
  • the hopper 140 is opened upward and seasoning can be introduced from the branch pipe 133.
  • the hopper 140 is provided with a wider opening than the lower end of the hopper 140, so that the supply of seasoning from the branch pipe 133 to the hopper 140 can be advantageously provided.
  • the kimchi fill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hopper detector (not shown) for detecting the amount of seasoning accommodated in the hopper 140.
  • the hopper detector may include a laser sensor.
  • the seasoning transfer pump 130 when the amount of seasoning accommodated in the hopper 140 is less than a certain amount, the seasoning transfer pump 130 is driven while the branch pipe valve 134 is open, and the seasoning is transferred to the hopper 140. It can be set to be supplied.
  • the injection mechanism 150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hopper 140 to selectively spray seasoning supplied from the hopper 140.
  • the kimchi fill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kimchi filling work table 160 for placing the cabbage B.
  • the kimchi filling work table 160 may be disposed at a location where the seasoning is sprayed from the injection mechanism 150. That is, the spraying mechanism 15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seasoning is sprayed toward the kimchi filling work table 160.
  • the kimchi fill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cabbage inlet conveyor 171a, 171b that is provided to enable continuous transportation in the form of an endless track.
  • a cabbage inlet conveyor 171a, 171b that is provided to enable continuous transportation in the form of an endless track.
  • the kimchi fill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single cabbage inlet conveyor, or may include three or more batch inlet conveyors,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 Kimchi filling work table 16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bbage inlet conveyor (171a, 171b), the user (P) the cabbage inlet conveyor (171a, 171b) supplied by the cabbage (B) to the kimchi filling work table 160 You can put it in and put it on.
  • the injection mechanism 150 may include an injection mechanism switch 151 capable of turning the injection mechanism 150 on (ON) or off (OFF).
  • the injection mechanism switch 151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user P can operate without deviating from the working position in front of the kimchi filling work table 160.
  • the user P can conveniently turn the spraying mechanism 150 on or off at the work position,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 the injection mechanism (151) simply sprays the injection mechanism at the working position. After the 150 is turned off, the injection mechanism 150 can be adjusted and the injection mechanism 150 is turned on again to resume work.
  • the injection mechanism 150 may be provided to be able to change at least one of the amount of the seasoning and the period of injection.
  • the kimchi fill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seasoning recovery pump 180 for recovering the seasoning supplied to the transfer pipe 131 to the kimchi seasoning recovery tank 20.
  • the seasoning recovery pump 180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pipe 131 which is opposite to one end connected to the seasoning transfer pump 130.
  • the seasoning recovery pump 180 may be configured as a positive displacement pump.
  • the seasoning recovery pump 180 is composed of a hose-type pump, and when the pump is driven, a portion that becomes a vacuum is generated and the seasoning can be effectively recovered.
  • the kimchi fill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recovery valve 136 for allowing or blocking seasoning from entering the seasoning recovery pump 180.
  • the recovery valve 136 may be set to close while the branch pipe valve 134 is open.
  • the seasoning recovery pump 180 is set so that the seasoning recovery pump 180 is driven while the branch pipe valve 134 is closed and the recovery valve 136 is opened and the seasoning is recovered into the kimchi seasoning recovery tank 20 Can be. Through this, the pump pressure by the seasoning recovery pump 180 is prevented from flowing out to the branch pipe 133 and is effectively applied to the transfer pipe 131, so that the seasoning can be effectively recovered by the kimchi seasoning recovery tank 20. have.
  • a pig ball inlet 138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transfer pipe 131 connected to the seasoning transfer pump 130, and transferred
  • a pig ball discharge port 139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tube 131, which is the opposite side of one end.
  • the pig ball is inserted into the tube and moves along the tube by pressure of air or the like to discharge fluid remaining in the tube or clean the tube.
  • a pig ball of a siz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tube may be used.
  • FIG. 2 is a plan view of the kimchi filling apparatus of FIG. 1
  • FIGS. 3A and 3B are side views of the kimchi filling apparatus of FIG. 1.
  • a plurality of kimchi stuffing units may be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 the kimchi fill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cabbage inlet conveyors 171a and 171b which are provided to enable continuous transportation in the form of a caterpillar in order to transport cabbage in a front and rear direction in which a plurality of kimchi filling units are arranged.
  • Cabbage can be transported toward each of the kimchi filling units by the cabbage inlet conveyors 171a and 171b.
  • the cabbage inlet conveyors 171a and 171b may have first and second cabbage inlet conveyors 171b arranged side by side.
  • the kimchi fill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kimchi discharge conveyor 173 that is provided to enable continuous transportation in the form of a caterpillar to transport kimchi with seasoning.
  • First and second cabbage inlet conveyors 171b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based on the kimchi discharge conveyor 173 located in the center.
  • the kimchi discharge conveyor 173 may be install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cabbage inlet conveyor (171a, 171b).
  • the worker moves the cabbage (B) flowing through the cabbage inlet conveyor (171a, 171b) to the kimchi filling work table 160 so that the kimchi seasoning is sprayed on the cabbage (B), and the cabbage is seasoned
  • the phosphorus kimchi (K) is transferred to the kimchi discharge conveyor 173.
  • Kimchi discharge conveyor 173 is install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cabbage inlet conveyor (171a, 171b), it can be easily provided to the operator to move the kimchi from the kimchi filling work table 160 to the kimchi discharge conveyor 173.
  • the injection mechanism switch 151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bbage inlet conveyor (171a, 171b).
  • the injection mechanism switch 151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cabbage inlet conveyors 171a and 171b,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side where the kimchi discharge conveyor 173 is provided. That is, the injection mechanism switch 151 may be installed in a direc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kimchi filling device 100.
  • the injection mechanism switch 151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cabbage inlet conveyor 171a, 171b to a height that the user can reach the knee, so that the user P can conveniently operate the switch even during work. Can be.
  • the type is not limited and can be used for the injection mechanism switch 151.
  • the injection mechanism switch 151 may be configured as a push-type switch including a moving member moved between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by a pressing operation.
  • the injection mechanism switch 151 may be configured as a lever-type switch including a moving member that is moved between a third position and a fourth position by pulling and meme manipulation.
  • the kimchi fill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kimchi filling unit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abbage inlet conveyor 171a and a plurality of second kimchi filling unit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abbage inlet conveyor 171b. You can.
  • the first and second kimchi filling units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kimchi filling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based o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first and second kimchi filling units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non-overlapping regions are wider than at least the regions overlapping each other based o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injection mechanism Each of the kimchi filling units including 150
  • the size of the kimchi filling device 100 is further miniaturized and configur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rrangement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 the kimchi filling units are seasoned in order from the hopper 140 close to the hopper 140 close to the spice transfer pump 130, but one or two hoppers 140 are set to supply seasoning Can be.
  • the seasoning transfer pump 130 is driven, and one or two hoppers 140 are supplied with seasoning. You can.
  • the seasoning supply order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seasoning is supplied in the order of the hopper 140 distant from the hopper 140 close to the spice transfer pump 130, but may be set to simultaneously supply the seasoning to all hoppers 140. In this case, the seasoning transfer pump 130 is driven in a state where all the branch pipe valves 134 are open, and all hoppers 140 can supply seasoning.
  • the kimchi filling device 100 may include a control unit (not shown). The overall components of the aforementioned kimchi filling apparatus 100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 the control unit includes dumping lifter 110, seasoning transfer pump 130, branch pipe valves 134, injection mechanisms 150, cabbage inlet conveyors 171a, 171b, kimchi discharge conveyor 173, recovery valve ( 136), and the seasoning recovery pump 180 can be controlled.
  •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umping lifter 110 to lift and dump the mobile tank 1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mount of seasoning accommodated in the kimchi seasoning storage tank 105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amount based on the signal provided from the seasoning tank detection unit. Can provide a signal.
  • the control unit may provide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seasoning transfer pump 130 is driven in order to receive seasoning from the kimchi seasoning storage tank 105 and supply seasoning to the transfer pipe 131.
  •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seasoning is supplied to the hopper 140 through the branch pipe 133, the seasoning transfer pump 130 is driven while the branch pipe valve 134 is open, the branch pipe valve 134 and seasoning A control signal may be provided to the transfer pump 130.
  • control unit is supplied with seasoning in the order of the hopper 140 far from the hopper 140 close to the spice transfer pump 130, one or two hoppers 140 branch pipe valve so that the supply of seasoning is made
  • Control signals may be provided to the 134s.
  • the control unit so that one or two branch pipe valves 134 are opened and the other branch pipe valves 134 are closed, the seasoning transfer pump 130 is driven, and one or two hoppers 140 are seasoned. Control signals may be provided to the branch pipe valves 134 and the seasoning transfer pump 130.
  •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injection mechanism 150 to be turned on (ON) or off (OFF).
  • control unit may provide a control signal to the injection mechanism 150 so that a certain amount of seasoning is periodically injected.
  • the control unit may provide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cabbage inlet conveyors 171a and 171b and the kimchi discharge conveyor 173 are driven.
  • the control unit may provide a control signal to drive the cabbage inlet conveyors 171a and 171b and the kimchi discharge conveyor 173 when the injection mechanism 150 is turned on.
  •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branch valve 134 to be opened and the recovery valve 136 to be kept closed while the seasoning is supplied to the hopper 140.
  •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seasoning recovery pump 180 is driven while the branch pipe valves 134 are closed and the recovery valve 136 is opened in order to recover the seasoning in the transfer pipe 131 to the kimchi seasoning recovery tank 20. Can be controlled.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mping lifter provided in a kimchi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umping lifter of FIG. 4.
  • the dumping lifter 110 includes a docking member 111 provided to be coupled with the movable tank 10 and a tower member 113 coupled to the docking member 111 and provided to raise or lower the docking member 111. It can contain.
  • the movable tank 10 may include a movable tank docking portion that engages the docking member 111 of the dumping lifter 110.
  • the tower member 113 includes a base 1131 provided with a contact surface with the floor, a driving unit 1134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elevating the docking member 111, and an upp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base 1131, and driving unit ( 1134) a vertical extension (1132) for receiving a power transmission member (not shown)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ocking member 111, and a predetermined length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top in the first direction
  • An extended guide rail 1133 may be included.
  • the first directio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ground as the main component, based on the vertical extension portion 1132, the docking member 111 and the movable tank 10 is defined as a direction toward the other side, which is the opposite side of one side to be coupled. You can.
  • the first direction may be defined as a direction paralle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movable tank 10 is moved to engage the docking member 111 or a direction in which the parallel direction is a main component.
  • the base 1131 is a member for firmly supporting the dumping lifter 110 so that it does not fall to one side.
  • the dumping lifter 110 lifts and rotates the movable tank 10 at a certain height during operation. It is necessary for the dumping lifter 110 to be firmly fixed during this operation, and the base 1131 is the dumping lifter 110. And it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and weight of the movable tank (10).
  • the driving unit 1134 may include a driving motor. Referring to FIG. 4, the driving unit 1134 may be disposed above the vertical extension unit 1132.
  • the drive motor may be provided to rotate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made of a chain to perform lifting and rotating of the movable tank 10.
  • the driving motor can effectively use the driving force to raise and rotate the movable tank 10 while pulling up the chain that is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 the vertical extension portion 1132 extends upward from the base 1131 and may provide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is accommodated.
  • a guide rail 1133 may be provided in the vertical extension portion 1132.
  • the guide rail 1133 may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bend and extend in a first direction from an upper e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guide rail 1133 may be smoothly connected to a bent portion where a portion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and a portion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meet and be rounded.
  • the docking member 111 is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docking portion 1111 coupled with the movable tank 10, a driving arm 1112 coupled with a power transmission member, and a guide rail 1133, and a driving arm 1112 ) It may include a guide arm 1113 provided on the upper side.
  • the docking portion 1111 may be coupled with the movable tank docking portion, and may have a fixing device so that the movable tank 10 is not separated in the coupled state.
  • the driving arm 1112 may be combined with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so that the movable tank 10 is raised.
  • the driving arm 1112 may be moved up and down by the driving unit 1134.
  • the tower member 113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driving arm 1112.
  • the guide arm 1113 may b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1133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1133.
  • the movable tank 10 is coupled to the docking member 111.
  • the driving unit 1134 is driven, and the docking member 111 is raised together with the movable tank 10.
  • the guide arm 1113 moves along the guide rail 1133 in the first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drive arm 1112 continues to move upward. At this time, the guide arm 1113 moves the horizontal direction as the main component, and the driving arm 1112 rotates the docking member 111 as the vertical direction moves as the main component, and is coupled to the docking member 111.
  • the movable tank 10 is also rotated together with the docking member 111.
  • the guide arm 1113 moving along the guide rail 1133 is retracted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 the movable tank 10 may be rotated 90 degrees or more based on the original position. Through this, the seasoning stored in the mobile tank 10 can be effectively discharged to the kimchi seasoning storage tank 105.
  • the dumping lifter 110 when the dumping lifter 110 is operated and supplies the seasoning of the removable tank 10 to the kimchi seasoning storage tank 105, in order to ensure that the seasoning is not leaked and is accurately supplied to the kimchi seasoning storage tank 105, the kimchi seasoning
  • the dumping lifter 110 should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and shape of the storage tank 105.
  • the dumping lifter 110 when the horizontal distance (L1) is 50cm, when the dumping lifter 110 is operated, the movable tank 10 must be moved to the kimchi seasoning storage tank 105 by 50 cm or more.
  • the length L3 in which the guide rail 1133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is designed to be larger than 50 cm, and the guide arm 1113 must also be designed to be larger than 50 cm. That is, the dumping lifter 110 should be designed such that the L1, L2, and L3 have a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ckaging mechanism provided in a kimchi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kimchi fill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packaging mechanism 190 for packaging kimchi.
  • the packaging mechanism 190 includes a funnel-shaped guiding member 191 and a gripping member 192 for closely fixing the wrapping paper fitted to one end of the guiding member 191 to the guiding member 191. You can.
  • the gripping member 192 may be driven toward or away from the guiding member 191.
  • the gripping member 192 may be driven toward or away from the guiding member 191 by the user's manipulation.
  • a member capable of improving the frictional force may be provided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of the wrapping paper.
  • a portion of the gripping member 192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rapping paper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uiding member 191.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jection mechanism provided in the kimchi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ome components of the injection mechanism of FIG. 7 are separated.
  • the injection mechanism 150 may include a body portion 1501, a spice control cylinder 1502, a transfer portion 1503, and a discharge valve 1504.
  • the body portion 1501 may include an inlet end 1501-1 through which seasoning is introduced, and an outlet end 1501-2 through which seasoning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inlet end 1501-1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hopper 140, and may be provided to introduce seasoning from the hopper 140 to the body portion 1501 by the weight of the seasoning.
  • the body portion 1501 may have a cylindrical interior space, and may be a shape opened to one side based on the center axis direction of the cylinder.
  • the seasoning amount adjusting cylinder 1502 is provided at one end to communicate with the body portion 1501, and by sliding the piston, inhale the seasoning from the body portion 1501 and discharge the seasoned inhalation back to the body portion 1501. Can be.
  • the transfer unit 1503 may be provided to transfer the seasoning discharged from the seasoning amount control cylinder 1502 to the discharge end 1501-2.
  • the conveying unit 1503 includes a screw 1503-1 installed to be axially rotatable in the body portion 1501, and screw driving members 1503-2 and 1503 for providing driving force to rotate the screw 1503-1. -3).
  • the screw 1503-1 may be inserted into the opened side of the body part 1501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part 1501.
  • the screw 1503-1 may be siz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1501 contacts the inner surface.
  •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501 that can contact the screw 1503-1 may be provided to reduce friction.
  •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501 may be smoothly treated.
  • the body portion 1501 may be padded with a member for reducing frictional force on an inner surface contactable with the screw 1503-1.
  • the screw driving members 1503-2 and 1503-3 may include a driving rod 1503-2 and a transport cylinder 1503-3.
  • the driving rod 1503-2 has one end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screw 1503-1,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1501, and the transfer cylinder 1503-3 straightens the driving rod 1503-2. It is installed to move, i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crew 1503-1 by the linear movement of the drive rod (1503-2).
  • the discharge valve 1504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end 1501-2.
  • the discharge valve 1504 may include a valve cap and a valve driving cylinder for driving the valve cap.
  • the injection mechanism 15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to be able to control at least one of the amount of seasoning and the period of seasoning.
  • the seasoning amount injected per cycle by the injection mechanism 150 may be adjusted.
  • the seasoning injection cycle may be adjusted by increasing the operating speed of the seasoning amount adjusting cylinder 1502, the transfer cylinder 1503-3, and the valve driving cylinder.
  •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kimchi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differs from on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is that the mobile tank 10 that accommodates kimchi seasoning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easoning transfer pump 130 The point is that it is provided as possible, and includes an ejector 220 and an ejecting tube 221 for allowing kimchi soy sauce to flow effectively to the conveying tube 131 at the beginning of seasoning.
  • the kimchi fill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inly described with respect to a portion different from the kimchi fill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kimchi filling device 200 may be provided to directly connect the mobile tank 10 and the seasoning transfer pump 130 that accommodate the kimchi seasoning without the dumping lifter 110.
  • the movable tank 10 and the seasoning transfer pump 130 may be directly connected through the movable tank connector 210.
  • the kimchi filling device 200 may not include the kimchi seasoning storage tank 105.
  • the kimchi seasoning started from the mobile tank 10 may not arrive autonomously to the seasoning transfer pump 130.
  • the kimchi filling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n spice transfer pump 130 and an ejector 220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131.
  • the ejector 220 can effectively remove the air inside the pipe by discharging the air in the transfer pipe 131 and the movable tank connecting pipe 210 to the outside. Through this, the kimchi sauce seasoned from the mobile tank 10 can effectively reach the seasoning transfer pump 130.
  • the ejector 220 may be configured as a vacuum ejector.
  • the kimchi filling apparatus 200 may include an ejector 220, an ejecting tube 221, and an ejecting valve 222.
  • the ejecting pipe 221 may branch from the transfer pipe 131 upstream of the branch pipe 133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seasoning in the transfer pipe 131.
  • Ejecting valve 222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ejecting pipe (221).
  • the ejector 220 may be provided to forcibly flow the fluid (eg, air, kimchi seasoning, etc.) from the transfer pipe 131 to the ejecting pipe 221.
  • the fluid eg, air, kimchi seasoning, etc.
  • Kimchi filling device 200 is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the seasoning in the transfer pipe 131, the transfer pipe valve 223 of the transfer pipe 131, which is installed downstream than the point at which the ejecting pipe 221 is branched It may further include.
  • the kimchi filling device 200 is installed at a point upstream from the point at which the ejecting tube 221 branches off or the point at which the ejecting tube branches off,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seasoning in the transport tube 131. It may further include a seasoning detection unit 224 to detect the seasoning.
  • the seasoning detecting unit 224 may be provided on the transfer pipe 131, and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automatic valve, the second automatic valve, and the seasoning transfer pump 130.
  • the position of the above-described sensing sensor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easoning detection unit 224 generates a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ejector 220, the ejecting valve 222, the transfer pipe valve 223, or the seasoning transfer pump 130 when the kimchi seasoning is detected. Can be provided.
  • the seasoning detecting unit 224 may be provided to provide a control signal to at least one of the ejector 220, the ejecting valve 222, the transfer pipe valve 223, or the seasoning transfer pump 130 when the kimchi seasoning is detected. You can.
  • the seasoning detecting unit 224 determines whether the aforementioned kimchi genus seasoning has reached the sensing region of the seasoning sensing unit 224 after passing through the seasoning transfer pump 130, and if the kimchi seasoning is included in the sensing region, the ejector 220 , Ejecting valve 222, transfer pipe valve 223, or seasoning transfer pump 130, at least one of the driving state can be changed.
  • the seasoning detecting unit 224 may transmit sensing data to a control unit (not shown), and the control unit (not shown) may control each component of the kimchi filling apparatus 200.
  • the seasoning detecting unit 224 includes a transparent tube (not shown) installed upstream from the point at which the ejecting tube 221 branches,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asoning flows inside the transfer tube 131 Can be configured.
  • control of the ejecting valve 222 and the transfer pipe valve 223 can be made manually, and when it is made manually, when the seasoning is confirmed in the transparent tube of the seasoning detecting unit 224 by the naked eye, the ejecting valve ( 222) is closed and the transfer pipe valve 223 is opened, so that kimchi seasoning can be transferred to the hopper 140.
  • a light-receiving unit (not shown) and a light-emitting unit (not shown) are installed in the transparent tube of the seasoning detection unit 224 to sense that kimchi seasoning is introduced into the transparent tube. For example, when light is not sensed in the light-receiving unit more than a certain amoun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emitting unit may be seen as blocked by seasoning, so that the ejecting valve 222 is closed and the transfer pipe valve 223 is opened. Can be prepared. Also, when the ejecting valve 222 is closed, the ejector 220 may be provided to stop.
  • Such control may be achieved by a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seasoning detecting unit 224 to the ejecting valve 222, the transfer pipe valve 223, and the ejector 220, or the control unit (not shown) in the seasoning detecting unit 224 City), it may be made by a control signal provided to the ejecting valve 222, the transfer pipe valve 223, and the ejector 220 from the control unit.
  • the rotation speed (rpm) of the seasoning transfer pump 130 in the state in which the ejector 220 is operating is referred to as the first rotational speed
  • the seasoning transfer pump 130 in the state in which the ejector is stopped is higher than the first rotational speed. It may be provided to be driven at two rotational speeds.
  • the first rotational speed can be set to about 20 rpm.
  • the second rotation speed may be set to about 40 rpm.
  • the rotation speed of the seasoning transfer pump 13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asoning from flowing into the ejector 220 in the first step to damage the ejector 220.
  • the first step it is sufficient if the kimchi seasoning only reaches the sensing position of the seasoning detection unit 224, so it is preferable to drive at a relatively low rpm and prevent damage to the ejector 220 compared to the second step.
  • the rotation speed of the seasoning transfer pump 130 is set to high rpm to effectively transfer the kimchi seasoning. can do.
  • the kimchi filling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 seasoning recovery tube 231 and a seasoning recovery valve 232.
  • the seasoning recovery pipe 231 may be provided by branching from the transfer pipe 131.
  • the seasoning recovery valve 232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seasoning recovery pipe 231.
  • the operation of the kimchi filling device 200 further comprising a seasoning recovery pipe 231 and a seasoning recovery valve 232 is as follows.
  • the transfer pipe valve 223 and the plurality of branch pipe valves 134 are closed and the seasoning recovery valve 232 is opened to allow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transfer pipe 131, and the seasoning recovery tank 180 ) Is driven and the kimchi seasoning recovery tank 20 can recover the kimchi seasoning.
  • the kimchi filling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 transparent tube 240 installed on the transport tube 131 to visually confirm the kimchi seasoning being transported through the transport tube 131.
  • the transparent tube 240 forms a part of the transfer tube 131,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nsparent tube 240 may be provided to make it possible to check the kimchi seasoning passing through the transparent tube 240 with the naked eye.
  •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ny kind of recording device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a hard disk drive (HDD), solid state disk (SSD), silicon disk drive (SDD),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 This includes, and is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Also, the computer may include a processor or a control unit.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는, 김치속양념저장탱크와, 김치속양념저장탱크로부터 양념을 공급받아 이송관으로 공급하는 양념이송펌프와, 이송관에서 분기되는 분기관을 통해, 이송관으로부터 양념을 공급받아 임시로 양념을 저장하는 호퍼와, 호퍼의 단부에 양념을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분사기구를 포함한다. 분사기구는 온(ON) 또는 오프(OFF)가 가능하고, 온 되었을 시 일정량의 양념을 주기적으로 분사하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김치속넣기 장치, 김치속넣기 장치용 분사기구, 및 김치속넣기 장치용 덤핑 리프터
본 발명은 김치속넣기 장치, 김치속넣기 장치용 분사기구, 및 김치속넣기 장치용 덤핑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분사기구에 의해 일정량의 양념이 일정 위치에 주기적으로 분사되고 작업자는 양념이 분사되는 위치에 배추를 위치시킨 후 분사되는 주기에 맞춰 배추잎을 벌리기만 하면 되도록 마련되어, 김치속넣기 제조공정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국내의 김치 시장은 핵가족화에 따른 외식문화의 확대, 학교급식의 확대 등으로 매년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다. 산업적으로 생산되는 김치의 수요는 계속 증대되고 소비자 기호 또한 다양한 형태로 요구되고 있다.
김치산업은 제조원가 중 노무비 비율이 높다. 특히, 김치 제조공정 중 양념 속 넣기 공정은 자동화로 구현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 수작업 중심으로 이루어져 가내 수공업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김치제조 공정의 자동화와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김치 속 넣기 공정의 개선이 시급하다. 김치제조공정 중 양념 속 넣기 공정을 기계화한다면 김치 제조원가를 감소시켜 김치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김치 가공공정의 개선을 통해 품질이 균일화되고 제품생산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김치속양념은 건더기의 크기가 균일하지 못하고 김치속양념을 채우는 배추의 크기 또한 균일하지 못하여 김치 속 넣기 공정의 전면적인 기계화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김치 속 넣기 공정의 특성을 고려하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된 김치속넣기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김치 속 넣기 공정에서 김치속양념을 배추에 채워주는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김치속넣기 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작업자가 편리하게 조작 가능한 김치속넣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김치를 담아서 운송하는 이동식탱크에서 김치속양념이 저장되는 김치속양념저장탱크로 양념을 용이하게 공급하기 위한 덤핑 리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는, 김치속양념저장탱크와, 김치속양념저장탱크로부터 양념을 공급받아 이송관으로 공급하는 양념이송펌프와, 이송관에서 분기되는 분기관을 통해, 이송관으로부터 양념을 공급받아 임시로 양념을 저장하는 호퍼와, 호퍼의 단부에 양념을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분사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기구는 온(ON) 또는 오프(OFF)가 가능하고, 온 되었을 시 일정량의 양념을 주기적으로 분사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용 분사기구는, 기 설정된 일정량의 양념을 주기적으로 분사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온(ON) 또는 오프(OFF)가 가능하고, 양념의 분사주기 및 분사주기당 분사량를 조절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용 덤핑 리프터는, 이동식탱크와 결합되게 마련되는 도킹부재와, 도킹부재와 결합되고 도킹부재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타워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타워부재는 바닥과의 접촉면이 마련되는 베이스와, 도킹부재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베이스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구동부의 구동력을 도킹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수용하는 수직연장부와,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상단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방향은, 지면에 수평한 방향을 주 성분으로 하되, 수직연장부를 기준으로 도킹부재와 이동식탱크가 결합하는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도킹부재는 이동식탱크와 결합하는 도킹부와, 동력전달부재와 결합하는 구동암과,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구동암보다 상측에 마련되는 가이드암을 포함하여, 도킹부재가 소정 높이 상승한 후, 가이드암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구동암이 상측으로 계속 이동하는 것에 의해, 도킹부재 및 이동식탱크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분사기구에 의해 일정량의 양념이 일정 위치에 주기적으로 분사되고 작업자는 양념이 분사되는 위치에 배추를 위치시킨 후 분사되는 주기에 맞춰 배추잎을 벌리기만 하면 되므로, 김치속넣기 제조공정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김치속넣기 장치용 분사기구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온 또는 오프 가능하고, 양념의 분사주기 및 분사주기당 분사량을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분사기구를 조작하며 김치속넣기 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조환경에 따라 분사기구의 설정을 변경 가능하므로, 불필요한 재료 낭비를 막을 수 있고 일정한 품질의 김치를 생산할 수 있게 되는 이점도 있다.
셋째, 덤핑 리프터를 이용해 이동식탱크를 승강 및 회전시키려 김치속양념저장탱크로 양념을 공급할 수 있어, 노동력을 저감하고 능률적으로 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김치속넣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은 도 1의 김치속넣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에 마련되는 덤핑 리프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덤핑 리프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에 마련되는 포장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에 마련되는 분사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분사기구의 일부 구성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전(Front), 후(Rear)"는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정의된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이와는 다르게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전(Front), 후(Rear)"가 정의될 수도 있다.
김치속넣기 장치의 전반적인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100)는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 양념이송펌프(130), 호퍼(140), 및 분사기구(150)를 포함한다.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는 김치속양념을 저장한다.
양념이송펌프(130)는 김치속양념저장탱크로부터 양념을 공급받아 이송관(131)으로 공급한다.
호퍼(140)는 이송관(131)에서 분기되는 분기관(133)을 통해, 이송관(131)으로부터 양념을 공급받아 임시로 양념을 저장한다.
분사기구(150)는 호퍼(140)의 단부에 양념을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분사기구(150)는 온(ON) 및 오프(OFF)가 가능하고, 온 되었을 시 일정량의 양념을 주기적으로 분사하도록 마련된다.
종래에는 김치를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수작업에 의존하는 비중이 높아 생산성을 일정 이상 향상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특히, 배추에 김치속양념을 넣는 공정은 작업자가 일일이 배추잎을 벌리고 김치속양념을 넣는 작업을 반복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동화 장치가 부재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는 일정량의 김치속양념을 주기적으로 분사하는 분사기구를 포함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는, 작업자가 배추잎을 벌리는 작업만 수행하고 김치속양념을 분사하는 것은 자동화 장치에 의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분사기구를 포함하는 것에 기본적인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의 특징을 이하에서 보다 상술한다.
김치속넣기 장치(100)는 김치속양념을 수용하는 이동식탱크(10)를 승강 및 덤핑시켜,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로 양념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인 덤핑 리프터(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식탱크(10)는 아래쪽에 다수의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이 용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동식탱크(10)는 박스 형상의 양념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측으로 개구된 형상일 수 있다.
덤핑 리프터(110)는 이동식탱크(10)를 일정 높이 승강시킨 후, 이동식탱크(10) 내의 양념이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로 쏟아지도록 이동식탱크(10)를 일정 각도 이상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는 상측으로 개구되어 양념투입구가 마련될 수 있다.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는 아래쪽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양념이송펌프(130)로 양념이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는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에 수용된 양념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양념탱크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덤핑 리프터(110)는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에 수용된 양념의 양이 일정량 미만이 되면, 이동식탱크(10)를 승강 및 덤핑시키도록 설정되어,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에 자동으로 양념이 추가로 공급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양념이송펌프(130)는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로부터 양념을 공급받아 이송관(131)으로 공급할 수 있다. 양념은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 내의 양념의 자중에 의해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에서 양념이송펌프(130)로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양념이송펌프(130)는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양념이송펌프(130)는 다양한 종류의 펌프들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념이송펌프(130)는 마소사인 펌프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소사인펌프는 용적식 펌프로서, 사인파형 형태의 로터를 구비하여, 로터와 펌프바디에 의해 복수의 챔버가 펌프 내부에 마련되고, 복수의 챔버 각각은 서로 밀폐된 채로 물질을 밀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소사인펌프는 맥동이 거의 없으며 덩어리들이 포함된 유체도 효과적으로 펌핑할 수 있어, 본 발명에서와 같이 불균일하게 덩어리들이 포함된 양념을 이송하는데 적합하다.
이송관(131)은 양념이송펌프(130)에서 배출되는 양념이 호퍼(140)로 공급되도록 공급 유로를 형성할 수 잇다. 분기관(133)은 이송관(131)의 복수의 지점에서 분기되는 복수의 분기관(133)들을 포함할 수 있다.
김치속넣기 장치(100)는 분기관(133)들을 개폐하기 위한 분기관 밸브(134)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기관 밸브(134)들은 이송관(131)에서 호퍼(140)로 양념의 유입을 조절할 수 있다.
호퍼(140)는 분기관(133)을 통해, 이송관(131)으로부터 양념을 공급받아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호퍼(140)는 상측으로 개구되어 분기관(133)으로부터 양념이 투입될 수 있다. 호퍼(140)는 상측으로 개구된 투입구가 호퍼(140)의 하단보다 넓게 구비되어, 분기관(133)에서 호퍼(140)로 양념의 공급이 유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김치속넣기 장치(100)는 호퍼(140)에 수용된 양념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호퍼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호퍼 감지부는 레이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양념이송펌프(130)는, 호퍼(140)에 수용된 양념의 양이 일정량 미만이 되면, 분기관 밸브(134)가 개방된 상태에서 양념이송펌프(130)가 구동되며 호퍼(140)로 양념이 공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분사기구(150)는 호퍼(140)의 단부에 설치되어, 호퍼(140)로부터 공급받은 양념을 선택적으로 분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김치속넣기 장치(100)는 배추(B)를 올려놓기 위한 김치속넣기작업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김치속넣기작업대(160)는 분사기구(150)로부터 양념이 분사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분사기구(150)는 김치속넣기작업대(160)를 향하여 양념이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김치속넣기 장치(100)는 배추를 이송하기 위해, 무한궤도 형태로 연속 이송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배추유입컨베이어(171a, 17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현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김치속넣기 장치(100)는 단일의 배추유입컨베이어를 포함하거나, 셋 이상의 다수의 배치유입컨베이어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김치속넣기작업대(160)는 배추유입컨베이어(171a, 171b)의 상측에 설치되어, 사용자(P)가 배추유입컨베이어(171a, 171b)에 의해 공급되는 배추(B)를 김치속넣기작업대(160)에 올려 김치속넣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분사기구(150)는 분사기구(150)를 온(ON) 또는 오프(OFF)시킬 수 있는 분사기구 스위치(151)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기구 스위치(151)는 사용자(P)가 김치속넣기작업대(160) 앞의 작업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고 조작이 가능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P)가 작업 위치에서 편리하게 분사기구(150)를 온 또는 오프 시킬 수 있어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P)가 분사기구(150)의 분사주기나 분사량을 조절하기 위해 분사기구(150)를 오프 시키고자 할 경우, 분사기구 스위치(151)로 작업 위치에서 간단하게 분사기구(150)를 오프 시킨 후 분사기구(150)를 조정하고 다시 분사기구(150)를 온 시켜 작업을 재개할 수 있다.
분사기구(150)는 양념의 분사량과 분사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김치속넣기 장치(100)는 이송관(131)으로 공급된 양념을 김치속양념회수탱크(20)로 회수하기 위한 양념회수펌프(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양념회수펌프(180)는 이송관(131)의, 양념이송펌프(130)와 연결되는 일단의 반대측인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념회수펌프(180)는 용적식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양념회수펌프(180)는 호스식 펌프로 구성되어, 펌프의 구동시 진공이 되는 부분이 생성되며 양념이 효과적으로 회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김치속넣기 장치(100)는 양념회수펌프(180)로 양념이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회수밸브(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수밸브(136)는 분기관 밸브(134)가 개방되는 동안은 폐쇄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양념회수펌프(180)는 분기관 밸브(134)가 폐쇄되고 회수밸브(136)가 개방된 상태에서 양념회수펌프(180)가 구동되며 양념이 김치속양념회수탱크(20)로 회수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양념회수펌프(180)에 의한 펌프압이 분기관(133)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송관(131)에 효과적으로 가해지도록 하여, 김치속양념회수탱크(20)로 양념이 효과적으로 회수될 수 있다.
피그볼을 이용하여 이송관(131)의 내부에 잔류하는 양념을 회수하기 위해, 이송관(131)의, 양념이송펌프(130)와 연결되는 일단에는 피그볼투입구(138)가 구비되고, 이송관(131)의, 일단의 반대측인 타단에는 피그볼배출구(139)가 구비될 수 있다.
피그볼은 관내에 삽입되어 공기 등의 압력에 의해 관을 따라 이동하며 관내에 잔류하는 유체를 배출시키거나 관내를 청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관 내부에 밀착되는 크기의 피그볼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김치속넣기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은 도 1의 김치속넣기 장치의 측면도이다.
호퍼(140)와, 분사기구(150)와, 김치속넣기작업대(160)를 김치속넣기 유닛이라고 할 때, 복수의 김치속넣기 유닛들이 전후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김치속넣기 장치(100)는 복수의 김치속넣기 유닛들이 배치되는 전후 방향으로 배추를 이송하기 위해, 무한궤도 형태로 연속 이송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배추유입컨베이어(171a, 171b)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추유입컨베이어(171a, 171b)에 의해 배추가 각각의 김치속넣기 유닛들을 향하여 이송될 수 있다.
배추유입컨베이어(171a, 171b)는 제1 및 제2 배추유입컨베이어(171b)가 좌우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김치속넣기 장치(100)는 양념이 분사된 김치를 이송하기 위해, 무한궤도 형태로 연속 이송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김치배출컨베이어(1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앙에 위치하는 김치배출컨베이어(173)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제1 및 제2 배추유입컨베이어(171b)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a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김치배출컨베이어(173)는 배추유입컨베이어(171a, 171b)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김치속넣기 작업 시, 작업자는 배추유입컨베이어(171a, 171b)를 통하여 유입되는 배추(B)를 김치속넣기작업대(160)로 이동시켜 김치속양념이 배추(B)에 분사되도록 하고, 양념이 분사된 배추인 김치(K)를 김치배출컨베이어(173)로 올려 이송되도록 한다. 김치배출컨베이어(173)는 배추유입컨베이어(171a, 171b)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김치를 김치속넣기작업대(160)에서 김치배출컨베이어(173)로 이동시키기에 용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분사기구 스위치(151)는 배추유입컨베이어(171a, 171b)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분사기구 스위치(151)는 배추유입컨베이어(171a, 171b)의, 김치배출컨베이어(173)가 마련되는 내측의 반대측인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분사기구 스위치(151)는 김치속넣기 장치(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사기구 스위치(151)는 사용자가 무릎으로 닿을 수 있는 높이로 배추유입컨베이어(171a, 171b)의 외측에 설치되어, 작업 도중에도 사용자(P)가 편리하게 스위치 조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조작이 간단하게 마련될 수 있는 스위치라면 그 종류가 한정되지 않고 분사기구 스위치(151)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사기구 스위치(151)는 누름 조작에 의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푸쉬식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사기구 스위치(151)는 당김 및 밈 조작에 의해 제3 위치와 제4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레버식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김치속넣기 유닛은 제1 배추유입컨베이어(171a)의 상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 김치속넣기 유닛들과, 제2 배추유입컨베이어(171b)의 상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 김치속넣기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김치속넣기 유닛들은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게 인접한 제1 김치속넣기 유닛들의 사이에 제2 김치속넣기 유닛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김치속넣기 유닛들은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적어도 서로 중첩되는 영역보다 중첩되지 않는 영역이 더 넓도록 배치될 수 있다.도 2 및 도 3a을 참조하면, 분사기구(150)를 포함하는 김치속넣기 유닛들 각각은 설치를 위해 일정 공간이 필요로 한다. 제1 및 제2 김치속넣기 유닛들을, 좌우로 서로 중첩되지 않게 또는 적어도 중첩되는 영역보다 중첩되지 않는 영역이 더 넓도록, 지그재그로 배치함으로써, 김치속넣기 장치(100)의 크기를 보다 소형화하고 구성의 배치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김치속넣기 유닛들은 양념이송펌프(130)로부터 가까운 호퍼(140)부터 먼 호퍼(140) 순으로 양념이 공급되되, 하나 또는 두 개의 호퍼(140)씩 양념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하나 또는 두 개의 분기관 밸브(134)가 개방되고 나머지 분기관 밸브(134)들은 폐쇄된 상태에서 양념이송펌프(130)가 구동되며 하나 또는 두 개의 호퍼(140)씩 양념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양념공급순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념이송펌프(130)로부터 가까운 호퍼(140)부터 먼 호퍼(140) 순으로 양념이 공급되되, 모든 호퍼(140)에 양념의 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든 분기관 밸브(134)가 개방된 상태에서 양념이송펌프(130)가 구동되며, 모든 호퍼(140)가 양념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김치속넣기 장치(100)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김치속넣기 장치(100)의 구성들 전반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는 덤핑 리프터(110), 양념이송펌프(130), 분기관 밸브(134)들, 분사기구(150)들, 배추유입컨베이어(171a, 171b)들, 김치배출컨베이어(173), 회수밸브(136), 및 양념회수펌프(18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양념탱크 감지부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에 수용된 양념의 양이 일정량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식탱크(10)를 승강 및 덤핑시키도록 덤핑 리프터(11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로부터 양념을 공급받아 이송관(131)으로 양념을 공급하기 위해, 양념이송펌프(130)가 구동되도록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분기관(133)을 통하여 호퍼(140)로 양념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분기관 밸브(134)가 개방된 상태에서 양념이송펌프(130)가 구동되도록, 분기관 밸브(134)와 양념이송펌프(13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양념이송펌프(130)로부터 가까운 호퍼(140)부터 먼 호퍼(140) 순으로 양념이 공급되되, 하나 또는 두 개의 호퍼(140)씩 양념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분기관 밸브(134)들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하나 또는 두 개의 분기관 밸브(134)가 개방되고 나머지 분기관 밸브(134)들은 폐쇄된 상태에서 양념이송펌프(130)가 구동되며 하나 또는 두 개의 호퍼(140)씩 양념이 공급되도록, 분기관 밸브(134)들과 양념이송펌프(13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분사기구 스위치(151)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분사기구(150)가 온(ON) 또는 오프(OFF)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분사기구(150)가 온 되었을 시, 일정량의 양념이 주기적으로 분사되도록 분사기구(15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배추유입컨베이어(171a, 171b)와 김치배출컨베이어(173)가 구동되도록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분사기구(150)가 온 되었을 시, 배추유입컨베이어(171a, 171b)와 김치배출컨베이어(173)가 구동되도록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분기관 밸브(134)가 개방되며 호퍼(140)로 양념이 공급되는 동안에는 회수밸브(136)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이송관(131) 내의 양념을 김치속양념회수탱크(20)로 회수하기 위해, 분기관 밸브(134)들이 폐쇄되고 회수밸브(136)가 개방된 상태에서 양념회수펌프(180)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덤핑 리프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에 마련되는 덤핑 리프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덤핑 리프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덤핑 리프터(110)는 이동식탱크(10)와 결합되게 마련되는 도킹부재(111)와, 도킹부재(111)와 결합되고 도킹부재(11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타워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식탱크(10)는 덤핑 리프터(110)의 도킹부재(111)와 결합하는 이동식탱크 도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타워부재(113)는 바닥과의 접촉면이 마련되는 베이스(1131)와, 도킹부재(111)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134)와, 베이스(1131)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구동부(1134)의 구동력을 도킹부재(111)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미도시)를 수용하는 수직연장부(1132)와,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상단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1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향은, 지면에 수평한 방향을 주 성분으로 하되, 수직연장부(1132)를 기준으로 도킹부재(111)와 이동식탱크(10)가 결합하는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제1 방향은 이동식탱크(10)가 도킹부재(111)와 결합하기 위해 이동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 또는 평행한 방향을 주 성분으로 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베이스(1131)는 덤핑 리프터(110)가 일측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덤핑 리프터(110)는 작동 시 이동식탱크(10)를 일정 높이 승강시키고 회전시키는데, 이러한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덤핑 리프터(110)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필요하고, 베이스(1131)는 덤핑 리프터(110) 및 이동식탱크(10)의 크기 및 무게를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1134)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구동부(1134)는 수직연장부(113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모터는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부재를 회전시켜 이동식탱크(10)의 승강 및 회전이 수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를 통해, 구동 모터가 동력전달부재인 체인을 끌어올리며 이동식탱크(10)를 상승 및 회전시키는데 구동력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수직연장부(1132)는 베이스(1131)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동력전달부재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수직연장부(1132)에는 가이드레일(1133)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133)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상단에서 제1 방향으로 굴곡져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133)은 상하로 연장된 부분과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만나는 굴곡부가 라운드 처리되어 매끄럽게 연결될 수 있다.
도킹부재(111)는 이동식탱크(10)와 결합하는 도킹부(1111)와, 동력전달부재와 결합하는 구동암(1112)과, 가이드레일(113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구동암(1112)보다 상측에 마련되는 가이드암(11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킹부(1111)는 이동식탱크 도킹부와 결합되고,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식탱크(10)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암(1112)은 동력전달부재와 결합하여 이동식탱크(10)가 상승되도록 할 수 있다. 구동암(1112)은 구동부(1134)에 의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타워부재(113)에는 구동암(1112)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암(1113)은 가이드레일(1133)에 일부 삽입되어 가이드레일(113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덤핑 리프터(110)의 작동 원리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도킹부재(111)가 이동범위의 최하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동식탱크(10)가 도킹부재(111)에 결합된다.
구동부(1134)가 구동되며, 이동식탱크(10)와 함께 도킹부재(111)가 상승된다.
도킹부재(111)가 일정 높이까지 상승하면, 가이드레일(1133)을 따라 가이드암(1113)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그와 동시에 구동암(1112)은 상측으로 계속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암(1113)은 수평 방향을 주 성분으로 이동하게 되고 구동암(1112)은 수직 방향을 주 성분으로 이동함에 따라 도킹부재(111)가 회전되게 되고, 도킹부재(111)와 결합된 이동식탱크(10) 또한 도킹부재(111)와 함께 회전되게 된다.
구동암(1112)이 계속해서 상승하게 되면, 가이드레일(1133)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암(1113)은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소정 거리 후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덤핑 리프터(110)가 작동되면서, 이동식탱크(10)는 원래의 위치를 기준으로 90도 이상 회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식탱크(10) 내에 저장된 양념이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로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덤핑 리프터(110)가 작동되며 이동식탱크(10)의 양념을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로 공급할 때, 양념이 누설되지 않고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로 정확히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의 위치 및 형상 등을 고려하여 덤핑 리프터(110)가 설계되어야 한다.
덤핑 리프터(110)에 이동식탱크(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식탱크(10)와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의 수평 거리(L1)를 고려하여, 도킹부재(111)의 가이드암(1113)과 구동암(1112) 사이의 상하 거리(L2) 및 가이드레일(1133)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L3)가 설계되어야 한다. 도 5에서 보인 것과 같이, 덤핑 리프터(110)가 동작하는 동안 이동식탱크(10)는 상승하고 소정 거리 제1 방향으로 전진하며 회전되게 된다.
예를 들면, 수평 거리(L1)가 50cm인 경우, 덤핑 리프터(110)의 작동 시 이동식탱크(10)가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로 50cm이상 이동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가이드레일(1133)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L3)가 50cm보다 크게 설계되고, 가이드암(1113) 또한 50cm보다 크게 설계되어야 한다. 즉, 상기 L1, L2, 및 L3가 서로 비례관계를 가지도록 덤핑 리프터(110)가 설계되어야 한다.
한편, 이동식탱크(10)가 하강할 때는 전술한 상승 과정이 반대로 수행될 수 있다.
포장기구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에 마련되는 포장기구의 사시도이다.
김치속넣기 장치(100)는 김치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기구(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포장기구(190)는 깔때기 모양의 가이딩부재(191)와, 가이딩부재(191)의 일단에 끼워지는 포장지를 가이딩부재(191)에 밀착 고정하기 위한 그리핑부재(19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핑부재(192)는, 가이딩부재(191)를 향해 접근하거나 가이딩부재(191)로부터 떨어지도록 구동될 수 있다.
그리핑부재(192)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가이딩부재(191)를 향해 접근하거나 가이딩부재(191)로부터 떨어지도록 구동될 수 있다.
그리핑부재(192)의 포장지와 닿게 되는 부분에는, 포장지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그리핑부재(192)의 포장지와 닿게 되는 부분은 가이딩부재(19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포장지를 잡고 배추를 포장지에 넣어 포장하기 위해서는, 포장지를 잡는 사람과 포장지에 배추를 넣는 사람인, 두 명 이상의 작업자가 필요하여 포장의 능률일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기구(190)를 김치속넣기 장치(100)에 구비함으로써, 1인의 작업자가 김치의 포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분사기구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에 마련되는 분사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사기구의 일부 구성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분사기구(150)는 바디부(1501), 양념량조절 실린더(1502), 이송부(1503) 및 배출밸브(1504)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501)는 양념이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단(1501-1)과, 양념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단(1501-2)을 구비할 수 있다. 유입단(1501-1)은 호퍼(140)의 하단에 연결되어, 양념의 자중에 의해 호퍼(140)에서 바디부(1501)로 양념이 유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디부(1501)는 원통 형상의 내부 공간을 마련하고, 원통의 중심축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개구된 형상일 수 있다.
양념량조절 실린더(1502)는 일단이 바디부(1501)와 연통되고, 피스톤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바디부(1501)로부터 양념을 흡입하고 흡입한 양념을 다시 바디부(1501)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송부(1503)는 양념량조절 실린더(1502)에서 배출되는 양념을 배출단(1501-2)으로 이송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송부(1503)는, 바디부(1501) 내에 축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1503-1)와, 스크류(1503-1)가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크류구동부재(1503-2, 1503-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1503-1)는 바디부(1501)의 개구된 일측으로 삽입되어 바디부(150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1503-1)는 바디부(1501)의 내측면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되도록 크기가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501)의 스크류(1503-1)와 접촉 가능한 부분은 마찰력이 저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디부(1501)는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매끄럽게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디부(1501)는 스크류(1503-1)와 접촉 가능한 내측면에 마찰력 저감을 위한 부재가 덧대어질 수 있다.
스크류구동부재(1503-2, 1503-3)는 구동로드(1503-2)와 이송 실린더(1503-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로드(1503-2)는 일단이 스크류(1503-1)의, 바디부(1501)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과 연결되고, 이송 실린더(1503-3)는 구동로드(1503-2)를 직선 운동시키도록 설치되어, 구동로드(1503-2)의 직선 운동에 의해 스크류(1503-1)의 회전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출밸브(1504)는 배출단(1501-2)을 개폐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배출밸브(1504)는 밸브캡과 밸브캡을 구동하기 위한 밸브구동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분사기구(150)는 양념의 분사량 및 양념의 분사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념량조절 실린더(1502)의 전후 슬라이딩 범위를 조절함으로써, 분사기구(150)에 의해 주기당 분사되는 양념량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념량조절 실린더(1502), 이송 실린더(1503-3) 및 밸브구동 실린더의 작동 속도를 높여서 양념의 분사주기가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은 김치속양념을 수용하는 이동식탱크(10)가 양념이송펌프(130)와 직접 연결되도록 마련된다는 점, 양념 이송 초기에 김치속양념이 이송관(131)으로 효과적으로 유동하도록 하기 위한 이젝터(220) 및 이젝팅관(221)을 포함하는 점에 있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200)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속넣기 장치(100)와 차이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김치속넣기 장치(200)는 덤핑 리프터(110) 없이 김치속양념을 수용하는 이동식탱크(10)와 양념이송펌프(130)가 직접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식탱크(10)와 양념이송펌프(130)는 이동식탱크 연결관(210)를 통해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김치속넣기 장치(200)는 김치속양념저장탱크(105)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직접 연결 방식의 경우 김치속양념의 점도로 인하여 이동식탱크(10)로부터 출발한 김치속양념이 양념이송펌프(130)에 자율적으로 도착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김치속넣기 장치(200)는 양념이송펌프(130) 및 이송관(131)과 연결되는 이젝터(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젝터(220)는 이송관(131) 및 이동식탱크 연결관(21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관 내부의 에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식탱크(10)로부터 출발한 김치속양념은 효과적으로 양념이송펌프(130)에 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젝터(220)는 진공이젝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김치속넣기 장치(200)는 이젝터(220), 이젝팅관(221), 및 이젝팅밸브(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젝팅관(221)은 이송관(131) 내에서 양념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분기관(133)보다 상류에서 이송관(131)으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이젝팅밸브(222)는 이젝팅관(221)을 개폐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젝터(220)는 이송관(131)으로부터 이젝팅관(221)으로 유체(예를 들면, 공기, 김치속양념 등)의 유동을 강제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김치속넣기 장치(200)는 이송관(131) 내에서 양념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이송관(131)의, 이젝팅관(221)이 분기되는 지점보다 하류에 설치되는 이송관밸브(2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김치속넣기 장치(200)는 이송관(131) 내에서 양념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이송관(131)의, 이젝팅관(221)이 분기되는 지점 또는 이젝팅관이 분기되는 지점보다 상류 지점에 설치되어 양념을 감지하는 양념감지부(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양념감지부(224)는 이송관(131) 상에 마련되며, 제1 자동밸브, 제2 자동밸브 및 양념이송펌프(130)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감지센서의 위치는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양념감지부(224)는 김치속양념이 감지되면 이젝터(220), 이젝팅밸브(222), 이송관밸브(223), 또는 양념이송펌프(13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양념감지부(224)는 김치속양념이 감지되면 이젝터(220), 이젝팅밸브(222), 이송관밸브(223), 또는 양념이송펌프(13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어 신호를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양념감지부(224)는 전술한 김치속양념이 양념이송펌프(130)를 지나 양념감지부(224)의 센싱 지역까지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센싱 지역까지 김치속양념이 포함한 경우에는 이젝터(220), 이젝팅밸브(222), 이송관밸브(223), 또는 양념이송펌프(13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념감지부(224)는 제어부(미도시)에 센싱 데이터를 전달하고, 제어부(미도시)는 김치속넣기 장치(2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양념감지부(224)는 이송관(131)의 내부에서 양념이 유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이젝팅관(221)이 분기되는 지점보다 상류에 설치되는 투명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젝팅밸브(222) 및 이송관밸브(223)의 제어는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동으로 이루어질 경우 육안에 의해 양념감지부(224)의 투명관에 양념이 확인될 시 이젝팅밸브(222)를 폐쇄하고 이송관밸브(223)를 개방하여, 호퍼(140)로 김치속양념이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양념감지부(224)의 투명관에는 수광부(미도시)와 발광부(미도시)가 설치되어, 투명관으로 김치속양념이 유입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광부에서 빛이 일정량 이상 감지되지 않는 경우, 양념에 의해 발광부에서 발광된 빛이 가로막힌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이젝팅밸브(222)가 폐쇄되고 이송관밸브(223)가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젝팅밸브(222)가 폐쇄될 때 이젝터(220)는 정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는 양념감지부(224)에서 이젝팅밸브(222), 이송관밸브(223), 및 이젝터(220)로 제공한 제어 신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양념감지부(224)에서 제어부(미도시)로 제공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에서 이젝팅밸브(222), 이송관밸브(223), 및 이젝터(220)로 제공한 제어 신호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김치속넣기 장치(200)의 구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 이동식탱크(10)가 이동식탱크 연결관(210)과 연결되고 이젝팅밸브(222)가 개방되고 이송관밸브(223)가 폐쇄된 상태에서 이젝터(220)가 구동됨에 따라, 이동식탱크(10)로부터 이젝팅관(221)으로 이송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점도가 높은 김치속양념이 이동식탱크(10)로부터 양념이송펌프(130)까지 효과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젝터(220)가 구동될 때 양념이송펌프(130)도 함께 구동되며 김치속양념이 이송관(131)으로 이송되도록 펌핑할 수 있다.
(제2단계) 양념감지부(224)에서 김치속양념이 감지되면, 이젝터(220)의 구동이 정지되고, 이젝팅밸브(222)가 폐쇄되고, 이송관밸브(223)가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념이송펌프(130)는 김치속양념을 이송관(131)을 따라 호퍼(140)로 이송할 수 있다.
이젝터(220)가 동작 중인 상태에서 양념이송펌프(130)의 회전속도(rpm)를 제1 회전속도라고 할 때, 이젝터가 정지된 상태에서 양념이송펌프(130)는 제1 회전속도보다 높은 제2 회전속도로 구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회전속도는 20rpm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회전속도는 40rpm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념이송펌프(130)의 회전속도를 제1단계와 제2단계에서 달리 설정함으로써, 제1단계에서 이젝터(220)로 양념이 유입되어 이젝터(2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단계에서는 김치속양념이 양념감지부(224)의 센싱 위치까지만 도달하면 족하므로, 제2단계에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저 rpm으로 구동하며 이젝터(220)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단계에서는 김치속양념을 이송관(131)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호퍼(140)들까지 이송하여야 하므로, 양념이송펌프(130)의 회전속도를 고 rpm으로 설정하여 김치속양념을 효과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김치속넣기 장치(200)는 양념회수관(231) 및 양념회수밸브(2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양념회수관(231)은 이송관(131)으로부터 분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양념회수밸브(232)는 양념회수관(231)을 개폐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양념회수관(231) 및 양념회수밸브(232)을 더 포함하는 김치속넣기 장치(2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양념회수 시 이송관밸브(223) 및 복수의 분기관 밸브(134)들이 폐쇄되고 양념회수밸브(232)가 개방되어 이송관(131)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이와 함께 양념회수탱크(180)가 구동되며 김치속양념회수탱크(20)으로 김치속양념을 회수할 수 있다.
한편, 김치속넣기 장치(200)는 이송관(131)을 통하여 이송되는 김치속양념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 이송관(131) 상에 설치되는 투명관(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투명관(240)은 이송관(131)의 일부를 형성하며,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하게 마련되어 육안으로 투명관(240)을 통과하는 김치속양념을 확인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Claims (22)

  1. 김치속양념저장탱크;
    상기 김치속양념저장탱크로부터 양념을 공급받아 이송관으로 공급하는 양념이송펌프;
    상기 이송관에서 분기되는 분기관을 통해, 상기 이송관으로부터 양념을 공급받아 임시로 양념을 저장하는 호퍼; 및
    상기 호퍼의 단부에 양념을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분사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기구는, 온(ON) 또는 오프(OFF)가 가능하고, 온 되었을 시 일정량의 양념을 주기적으로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김치속넣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배추를 이송하기 위해, 무한궤도 형태로 연속 이송이 가능하게 마련되고,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분사기구의 하측에 배치되는 배추유입컨베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기구는,
    상기 분사기구를 온(ON) 또는 오프(OFF)시키기 위해, 상기 배추유입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김치속넣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을 개폐하기 위한 분기관 밸브; 및
    상기 호퍼에 수용된 양념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호퍼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기관 밸브와 상기 양념이송펌프는, 상기 호퍼에 수용된 양념의 양이 일정량 미만이 되면, 상기 분기관 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양념이송펌프가 구동되며 상기 호퍼로 양념이 공급되도록 마련되는, 김치속넣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은, 상기 이송관에서 분기되는 복수의 분기관들을 포함하고,
    상기 호퍼는, 각각의 분기관들로부터 양념을 공급받는 복수의 호퍼들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기구는, 각각의 호퍼들의 단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분사기구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사기구들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배추를 이송하기 위해, 무한궤도 형태로 연속 이송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배추유입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김치속넣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양념이 분사된 김치를 이송하기 위해, 상기 배추유입컨베이어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무한궤도 형태로 연속 이송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김치배출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김치속넣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은, 상기 이송관에서 분기되는 복수의 분기관들을 포함하고,
    상기 호퍼는, 각각의 분기관들로부터 양념을 공급받는 복수의 호퍼들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기구는, 각각의 호퍼들의 단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분사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기관들을 각각 개폐하기 위한 복수의 분기관 밸브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기관 밸브들과 상기 양념이송펌프는,
    상기 양념이송펌프로부터 가까운 호퍼부터 먼 호퍼 순으로 양념이 공급되되, 하나 또는 두 개의 분기관 밸브가 개방되고 나머지 분기관 밸브들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양념이송펌프가 구동되며 하나 또는 두 개의 호퍼씩 양념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되는, 김치속넣기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으로 공급된 양념을 김치속양념회수탱크로 회수하기 위한 양념회수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양념회수펌프는, 상기 이송관의, 상기 양념이송펌프와 연결되는 일단의 반대측인 타단에 연결되는, 김치속넣기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을 개폐하기 위한 분기관 밸브; 및
    상기 양념회수펌프로 양념이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회수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수밸브는, 상기 분기관 밸브가 개방되는 동안은 폐쇄되고,
    상기 양념회수펌프는,
    상기 분기관 밸브가 폐쇄되고 상기 회수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양념회수펌프가 구동되며 양념이 상기 김치속양념회수탱크로 회수되도록 마련되는, 김치속넣기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에는,
    피그볼을 이용하여 상기 이송관의 내부에 잔류하는 양념을 회수하기 위해, 상기 이송관의, 상기 양념이송펌프와 연결되는 일단에 피그볼투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관의, 상기 일단의 반대측인 타단에 피그볼배출구가 구비되는, 김치속넣기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김치속양념을 수용하는 이동식탱크를 승강 및 덤핑시켜, 상기 김치속양념저장탱크로 양념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인 덤핑 리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덤핑 리프터는,
    상기 이동식탱크를 일정 높이 승강시킨 후, 양념이 상기 김치속양념저장탱크로 쏟아지도록 상기 이동식탱크를 회전시키는, 김치속넣기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덤핑 리프터는,
    상기 이동식탱크와 결합되게 마련되는 도킹부재; 및
    상기 도킹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도킹부재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타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타워부재는,
    바닥과의 접촉면이 마련되는 베이스와,
    상기 도킹부재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베이스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도킹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수용하는 수직연장부와,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상단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은, 지면에 수평한 방향을 주 성분으로 하되, 상기 수직연장부를 기준으로 상기 도킹부재와 상기 이동식탱크가 결합하는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을 향하는 방향이고,
    상기 도킹부재는,
    상기 이동식탱크와 결합하는 도킹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재와 결합하는 구동암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구동암보다 상측에 마련되는 가이드암을 포함하여,
    상기 도킹부재가 소정 높이 상승한 후, 상기 가이드암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구동암이 상측으로 계속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도킹부재 및 상기 이동식탱크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되는, 김치속넣기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덤핑 리프터에 상기 이동식탱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식탱크와 상기 김치속양념저장탱크 사이의 수평 거리를 L1, 상기 도킹부재의 상기 가이드암과 상기 구동암의 상하 방향 거리를 L2,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L3라고 할 때,
    상기 덤핑 리프터는, 상기 L1, L2 및 L3가 서로 비례관계를 가지도록 설계되는, 김치속넣기 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김치속양념저장탱크에 수용된 양념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양념탱크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덤핑 리프터는, 상기 김치속양념저장탱크에 수용된 양념의 양이 일정량 미만이 되면, 상기 이동식탱크를 승강 및 덤핑시키도록 마련되는, 김치속넣기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김치를 포장하기 위한 장치인 포장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장기구는,
    깔때기 모양의 가이딩부재와, 상기 가이딩부재의 일단에 끼워지는 포장지를 상기 가이딩부재에 밀착 고정하기 위한 그리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그리핑부재는, 상기 가이딩부재를 향해 접근하거나 상기 가이딩부재로부터 떨어지도록 구동되는, 김치속넣기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기구는, 양념의 분사량과 분사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 가능하게 마련되는, 김치속넣기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 내에서 양념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분기관보다 상류에서 상기 이송관으로부터 분기되는 이젝팅관;
    상기 이젝팅관을 개폐하기 위해 마련되는 이젝팅밸브; 및
    상기 이송관으로부터 상기 이젝팅관으로 유체의 유동을 강제하기 위해 마련되는 이젝터;를 더 포함하는, 김치속넣기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 내에서 양념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송관의, 상기 이젝팅관이 분기되는 지점 또는 상기 이젝팅관이 분기되는 지점보다 상류 지점에 설치되어 양념을 감지하는 양념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양념감지부에서 양념이 감지되면, 상기 이젝팅관이 폐쇄되도록 상기 이젝팅밸브가 작동되고, 상기 이젝터가 정지하도록 마련되는, 김치속넣기 장치.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양념이송펌프는,
    상기 이젝터가 동작 중인 상태에서는 제1 회전속도로 구동되고,
    상기 이젝터가 정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회전속도보다 높은 제2 회전속도로 구동되도록 마련되는, 김치속넣기 장치.
  19. 양념이 분사된 김치를 이송하기 위해, 무한궤도 형태로 연속 이송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김치배출컨베이어; 및
    배추를 이송하기 위해, 상기 김치배출컨베이어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무한궤도 형태로 연속 이송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배추유입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양념이송펌프로부터 양념을 공급받아 임시로 저장하는 호퍼, 상기 호퍼의 단부에 양념을 선택적으로 분사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사기구, 및 배추를 올려놓기 위한 김치속넣기작업대를 김치속넣기 유닛이라고 할 때,
    상기 제1 배추유입컨베이어의 상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김치속넣기 유닛과, 상기 제2 배추유입컨베이어의 상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김치속넣기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김치속넣기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배추유입컨베이어가 배열되는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게 인접한 상기 제1 김치속넣기 유닛의 사이에 상기 제2 김치속넣기 유닛이 배치되거나, 또는 적어도 서로 중첩되는 영역보다 중첩되지 않는 영역이 더 넓도록 배치되는, 김치속넣기 장치.
  20. 김치속양념저장탱크;
    상기 김치속양념저장탱크로부터 양념을 공급받아 이송관으로 공급하는 양념이송펌프;
    복수의 분기관들 각각으로부터 양념을 공급받는 복수의 호퍼들;
    각각의 호퍼들의 단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분사기구들;
    상기 복수의 호퍼들로의 양념의 유입을 조절하기 위해, 각각의 분기관들에 설치되는 복수의 분기관 밸브들;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양념이송펌프로부터 가까운 호퍼부터 먼 호퍼 순으로 양념이 공급되되, 하나 또는 두 개의 분기관 밸브가 개방되고 나머지 분기관들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양념이송펌프가 구동되며 하나 또는 두 개의 호퍼씩 양념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분기관 밸브들과 상기 양념이송펌프를 제어하는, 김치속넣기 장치.
  21. 양념이송펌프로부터 양념을 공급받아 임시로 양념을 저장하는 호퍼의 단부에 설치되는, 김치속넣기 장치용 분사기구에 있어서,
    기 설정된 일정량의 양념을 주기적으로 분사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온(ON) 또는 오프(OFF)가 가능하고, 양념의 분사주기 및 분사주기당 분사량를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는, 김치속넣기 장치용 분사기구.
  22. 김치속양념을 수용하는 이동식탱크를 승강 및 덤핑시켜서 김치속양념저장탱크로 양념을 공급하기 위한, 김치속넣기 장치용 덤핑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탱크와 결합되게 마련되는 도킹부재; 및
    상기 도킹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도킹부재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타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타워부재는,
    바닥과의 접촉면이 마련되는 베이스와,
    상기 도킹부재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베이스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도킹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수용하는 수직연장부와,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상단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은, 지면에 수평한 방향을 주 성분으로 하되, 상기 수직연장부를 기준으로 상기 도킹부재와 상기 이동식탱크가 결합하는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을 향하는 방향이고,
    상기 도킹부재는,
    상기 이동식탱크와 결합하는 도킹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재와 결합하는 구동암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구동암보다 상측에 마련되는 가이드암을 포함하여,
    상기 도킹부재가 소정 높이 상승한 후, 상기 가이드암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구동암이 상측으로 계속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도킹부재 및 상기 이동식탱크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되는, 김치속넣기 장치용 덤핑 리프터.
PCT/KR2019/007140 2018-09-28 2019-06-13 김치속넣기 장치, 김치속넣기 장치용 분사기구, 및 김치속넣기 장치용 덤핑 리프터 WO2020067626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80063049.2A CN112770636A (zh) 2018-09-28 2019-06-13 泡菜馅料添加装置、用于泡菜馅料添加装置的喷洒机构、以及用于泡菜馅料添加装置的倾倒升降器
EP19865497.2A EP3858144B1 (en) 2018-09-28 2019-06-13 Kimchi stuffing adding device, spraying mechanism for kimchi stuffing adding device, and dumping lifter for kimchi stuffing adding device
US17/280,022 US20220030926A1 (en) 2018-09-28 2019-06-13 Kimchi stuffing adding device, spraying mechanism for kimchi stuffing adding device, and dumping lifter for kimchi stuffing adding device
PL19865497.2T PL3858144T3 (pl) 2018-09-28 2019-06-13 Urządzenie do dodawania farszu kimchi, rozpylający mechanizm do urządzenia do dodawania farszu kimchi i zrzucający podnośnik do urządzenia do dodawania farszu kimchi
JP2021540998A JP7126621B2 (ja) 2018-09-28 2019-06-13 キムチ具材投入装置、キムチ具材投入装置用噴射機構、及びキムチ具材投入装置用ダンピングリフタ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367 2018-09-28
KR1020180116367A KR102176374B1 (ko) 2018-09-28 2018-09-28 김치속넣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67626A1 true WO2020067626A1 (ko) 2020-04-02

Family

ID=69952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7140 WO2020067626A1 (ko) 2018-09-28 2019-06-13 김치속넣기 장치, 김치속넣기 장치용 분사기구, 및 김치속넣기 장치용 덤핑 리프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030926A1 (ko)
EP (1) EP3858144B1 (ko)
JP (1) JP7126621B2 (ko)
KR (1) KR102176374B1 (ko)
CN (1) CN112770636A (ko)
HU (1) HUE063665T2 (ko)
PL (1) PL3858144T3 (ko)
WO (1) WO20200676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152B1 (ko) 2021-04-30 2021-10-06 주식회사 이그린테크 김치 양념 투입장치
KR20240030735A (ko) * 2022-08-31 2024-03-07 씨제이제일제당 (주) 양념 분사 장치
KR102570664B1 (ko) * 2022-09-27 2023-08-25 농업회사법인 천지 주식회사 친환경 김치 제조가 가능한 김치 제조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2915A (ko) * 2008-03-27 2009-10-01 한국생산성본부 포기김치 양념 속 넣기 혼합 자동화 장치
KR20090126758A (ko) * 2008-06-05 2009-12-09 (주)아산테크 통합형 관로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11062580A (ja) * 2009-09-15 2011-03-31 Tatech Kogyo:Kk 攪拌装置
KR101163096B1 (ko) * 2012-03-12 2012-07-09 이경옥 김치 속 공급용 김치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KR20120128383A (ko) * 2011-05-17 2012-11-27 (주)라이스코리아 배추속넣기장치
KR20150111847A (ko) * 2014-03-26 2015-10-06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봉지충전 포장방법 및 봉지충전 포장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5348A (ja) * 1987-12-21 1989-06-29 Kisaku Suzuki ライススナツクの製造方法
GB0206540D0 (en) * 2002-03-20 2002-05-01 Apv Systems Ltd Coating of food products
KR100495303B1 (ko) * 2002-12-05 2005-06-14 정남수 자동 책장넘기는 장치
CN102823912A (zh) * 2012-08-29 2012-12-19 广州王老吉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植物饮料的在线调配系统
CN203913273U (zh) * 2014-04-01 2014-11-05 郑州思念食品有限公司 一种馅料自动化投送和定位清洗系统
US20160374354A1 (en) 2014-05-09 2016-12-29 General Mill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seasoning taco shells
KR101495303B1 (ko) 2014-07-14 2015-02-26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배추김치 속넣기 장치
JP6902828B2 (ja) 2016-05-31 2021-07-14 ライオンハイジーン株式会社 野菜殺菌方法およびカット野菜製造方法
CN108208723A (zh) * 2017-12-27 2018-06-29 北京味食源食品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膏状香味料的制备方法及设备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2915A (ko) * 2008-03-27 2009-10-01 한국생산성본부 포기김치 양념 속 넣기 혼합 자동화 장치
KR20090126758A (ko) * 2008-06-05 2009-12-09 (주)아산테크 통합형 관로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11062580A (ja) * 2009-09-15 2011-03-31 Tatech Kogyo:Kk 攪拌装置
KR20120128383A (ko) * 2011-05-17 2012-11-27 (주)라이스코리아 배추속넣기장치
KR101163096B1 (ko) * 2012-03-12 2012-07-09 이경옥 김치 속 공급용 김치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KR20150111847A (ko) * 2014-03-26 2015-10-06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봉지충전 포장방법 및 봉지충전 포장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E063665T2 (hu) 2024-02-28
EP3858144B1 (en) 2023-08-30
EP3858144A4 (en) 2022-07-06
KR102176374B1 (ko) 2020-11-09
JP2022501069A (ja) 2022-01-06
JP7126621B2 (ja) 2022-08-26
CN112770636A (zh) 2021-05-07
US20220030926A1 (en) 2022-02-03
EP3858144A1 (en) 2021-08-04
KR20200036569A (ko) 2020-04-07
PL3858144T3 (pl) 202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67626A1 (ko) 김치속넣기 장치, 김치속넣기 장치용 분사기구, 및 김치속넣기 장치용 덤핑 리프터
US3680677A (en) Conveying of glass sheets
TWI445501B (zh) 貝類固定及打開裝置與其方法
DE3664894D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rticles
WO2019212117A1 (ko) 케미컬 용기 자동이송장치 및 자동이송방법
US6481560B2 (en) Robotic feeding system
WO2020054958A1 (ko) 트롤리 컨베이어 및 이를 이용한 식물재배시스템
FI970190A (fi) Menetelmä ja laitteisto kuormayksiköiden siirtämiseksi kahden kannattimen välillä
KR102176386B1 (ko) 김치속넣기 장치
WO2018084430A1 (ko) 관정용 이음매와 파이프의 용접 시스템
WO2015020305A1 (ko) 패널 부착장치
WO2022065597A1 (ko)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
WO2016076625A1 (ko) 염전 소금채집장치
KR20090030516A (ko) 컨베이어 리턴벨트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CN205771949U (zh) Smd led分光机的移送装置
DK0425969T3 (da) Anordning til at fjerne maling fra bæltetransportører i anlæg til sprøjtemaling
WO2013027924A1 (ko) 도장 장치
EP3693298A1 (en) Article accumulating apparatus
WO2020138648A1 (ko) 물품 박스 공급 장치
WO2020138649A1 (ko) 물품 박스 공급 장치용 메인 공급 유닛
WO2011152587A1 (ko)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
CN215438440U (zh) 检测装置及烟料输送设备
WO2020153742A1 (ko) 검사 장치용 이송 기구,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대상물 검사 방법
KR20180106362A (ko) 벨트컨베이어용 분진 비산 방지장치
CN215438441U (zh) 提升装置及烟料输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654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540998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8654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