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152587A1 -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152587A1
WO2011152587A1 PCT/KR2010/004314 KR2010004314W WO2011152587A1 WO 2011152587 A1 WO2011152587 A1 WO 2011152587A1 KR 2010004314 W KR2010004314 W KR 2010004314W WO 2011152587 A1 WO2011152587 A1 WO 201115258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tact
nozzle
transfer
fluid
repulsive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431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영태
장영배
Original Assignee
Kim Young-Tae
Chang Young-Bae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Kim Young-Tae, Chang Young-Bae filed Critical Kim Young-Tae
Publication of WO201115258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15258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1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 being handled substantially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with air blasts producing partial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65G49/064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in a horizontal position
    • B65G49/065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in a horizontal position supported partially or completely on fluid cushions, e.g. a gas cush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1/00Conveying articles through pipes or tubes by fluid flow or pressure; Conveying articles over a flat surface, e.g. the base of a trough, by jets located in the surface
    • B65G51/02Directly conveying the articles, e.g. slips, sheets, stockings, containers or workpieces, by flowing gases
    • B65G51/03Directly conveying the articles, e.g. slips, sheets, stockings, containers or workpieces, by flowing gases over a flat surface or in trough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8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using air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4Arrangements of vacuum systems or suction cups
    • B65G2249/045Details of suction cups suction cup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rrange the attraction and repulsion generating unit in the non-contact plate so that the attraction and repulsive force is generated at the same time to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in parallel so that the object is not inclined to one side during the non-contact transfer of the object an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contact conveying apparatus using a vacuum pad to safely convey a conveying object by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conveying means without shaking of the conveying object.
  • in-line FPD automatic optical inspection captures an image of an inspection object using an optical lens and a CCD camera while guiding a display panel such as a TFT LCD panel, a PDP, a color filter, etc. It is a device that detects various defects that a user wants to find by applying an image processing algorithm.
  • the inline inspection equipment is largely divided into a scan section, a review section and an unlaod section for detecting a defect.
  •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determine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detected defect, but the role of the conveying means for guiding the carrier from the scanning section to the unloading section is also important.
  • an air-floating flat panel conveying apparatus configured to convey and convey a flat panel such as LCD, PDP, DLP, FPD, etc. It is put to practical use.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76337 discloses ⁇ A lower plate having a chamber formed thereon, a middle plate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overlapp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communicating with the chamber, and overlapping the upper surface of the middle plate.
  • a non-contact conveying plate having a suction force including a top plate having an air ejec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coupling holes, and an air ejection bolt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air ejection hole and receiving air in the chamber and leading to a gap between the air ejection holes and the air ejection hole.
  • the air ejection bolt In the upper end of the air ejection bolt is formed with a head so that the air is ejected in the upper oblique direc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is formed as a diagonal line is formed as it extends upward, the top of the air ejection hole is rounded, Non-contact type having a suction for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ejection bolt This technology has been posted on the Bar Song plate ".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13298 discloses that “a vacuum chamber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d a ejection chamber i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to apply suction force from an external vacuum pump to the vacuum chamber.
  • a base receiving compressed air from an external compressor;
  • An ejection plate mounted on the ejection chamber, the ejection plate having a plurality of ejection passages communicating with the ejection chamber therein, the ejection plate penetrating upwards to eject compressed air;
  • the description of the carrier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been published.
  •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86532 as a related technology
  • the air-floating flat panel conveying device configured to supply the air sucked through the air suction box in the blower through the filter body to the air blower box
  • the air spray nozzles Air is supplied to the flat panel by injecting ai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conveying drive roller conveys the air-flat flat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axis has the same inclination angle and the support jaw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 a conventional conveying apparatus is a device for conveying a conveying object in a non-contact manner so as to generate a repulsive force i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fluid to support the conveying object and then not damage the abnormal object.
  • the transfer of the transfer object is unstable, because the object is injured, the balance of the transfer object is not balanced, or tilting to one side or shaking of the supported transfer object occurs.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arranging the man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repulsive force generating unit in the non-contact plate to cause the attraction and repulsive force to occur at the same time the transfer object is a non-contact transfer of the transfer object.
  • a vacuum pad that can be parallel to the one side and without the shaking of the conveying object to safely convey the conveying object by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conveying means. It is a task.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contact conveying apparatus using a vacuum pad to install a non-contact conveying apparatus using a vacuum pad in an inclined manner to significantly reduce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non-contact conveying apparatus using a vacuum pad.
  • a vertical section formed of a vertic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contact plate parallel to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to form a closed curved surface when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conveyed and an arc surface connecting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vertical section of the non-contact plate.
  • a coupling hole consisting of an arc section, a fluid supply path perforated inside the non-contact plate to communicate with the coupling hole, and is installed in the coupling hole, the circumference is installed opposite to the arc section and the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passage passes through
  • a vacuum pad for generating a attraction force by arranging a attraction force generating portion, which includes a nozzle portion forming a Coanda nozzle and a nozzle member comprising a nozzle neck extending upwardly from the nozzle portion, in the non-contact plate.
  • a vertical section formed of a vertic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contact plate parallel to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to form a closed curved surfac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transferred and the width of the inner diameter is narrower toward the upper side toward the bottom of the non-contact plate
  • a coupling hole formed of an acute inclined section formed of an acute inclined surface that forms an acute angle with a high center line, and an arc section consisting of an arc surface connecting between the acute inclined sectio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contact plate, and a perforation inside the non-contact plat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upling hole.
  • Including nozzle member made of nozzle neck W unit and generating force comprising a problem to be solved is to provide a non-contact transfer system using a vacuum pad to generate a force by disposing the internal contact plate.
  • a non-contact conveying apparatus using a vacuum pad provided with a screw head in the upper part of the nozzle neck and a screw part corresponding to the screw hole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joining hole directly below the nozzle to easily fasten the nozzle member. Let's do the task.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contact conveying apparatus using a vacuum pad which protrudes from an upper surface of a non-contact plate and is coupled with a fastening nut to easily fasten the nozzle member.
  • a non-contact conveying apparatus using a vacuum pad is provided so that the nozzle member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joining hole so that the outer peripheral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joining hole.
  •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upport is formed with a tooth that the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hole to install the nozzle member in the center of the coupling hole, as well as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fluid through the space area between the tooth and the tooth using a vacuum pad It is a problem to be solved to provide a non-contact transfer device.
  • a problem to be solved to provide a non-contact transfer device using a vacuum pad configured to generate a repulsive force by forming a repulsive force generating unit with a pinhole or repulsive force forming unit to discharge the fluid to the transfer object.
  • the repulsive force forming portion has a bottom flat portion that is parallel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ing object and forms a non-contact gap with the conveying object, and has an upper periphery formed by a rounded porti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anda bar above the round portion of the coanda bar. It is composed of a nozzle block to be discharged to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along the round portion of the coanda bar through the Koanda nozzle is formed by being installed in close proximity along the coanda nozzle to generate a repulsive force to the objec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contact transfer apparatus using a vacuum pad.
  • the convey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 conveying block having an input end formed in a norm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ing object, the lower part of which is formed as a round part over the entire section, and a coanda nozzle of a normal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ing object.
  • the lower end is formed closer to the input end than the bottom of the transfer block and discharges the fluid through the Coanda nozzle in contact with the outer side of the input end to induce fluid to flow to the bottom of the transfer block along the round part of the input end.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contact conveying apparatus using a vacuum pad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convey a conveying object in a flow direction of a fluid, comprising a nozzle block for simultaneously applying repulsive force and a conveying force to a conveying object facing the block. .
  • the bottom surface is a non-contact plate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object; At the same time, the attraction force and the repulsive force are simultaneously generated toward the object to be conveyed by the fluid discharged by being arranged inside the non-contact plate, so that the object to be conveyed can be conveyed in parallel with the non-contact plate without tilting to either side.
  • a manpower generating unit and a repulsive force generating unit It is installed inside the non-contact plat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attraction of the attraction of the attraction portion and the generation of repulsive force of the repulsive force generation portion is arranged in the arrangement between the arrangement and the arrangement of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on portion and the repulsion force is arranged in a non-contact manner by the fluid discharged Transfer means for transferring a transfer object;
  • a non-contact transfer device using a vacuum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including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 the man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repulsive force generating unit is arranged alternately,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ame type of manpower generating unit or repulsive force generating unit is repeatedly installed, and both the man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repulsive force generating unit at both ends of the manpower generating unit or repulsive force generating unit.
  • the non-contact transfer device using the vacuum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type is installed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s a means of solving the problem.
  • the non-contact conveying apparatus using the vacuum pad the upper surface of the non-contact plate is installed at an inclination inclined to either of the left and right so as to form an acute angle with the horizontal ground, the repulsive force generated from the attraction force and the repulsive force generating portion generated by the manpower generating portion
  • the non-contact transfer device using a vacuum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feed roller is provided to help the transfer of the solution to the problem.
  • the vertical section is formed with a vertic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contact plate parallel to the transfer object to form a closed curved surfac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transfer object,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vertical section of the non-contact plate Coupling hole consisting of an arc section consisting of an arc surface for connecting the;
  • a fluid supply passage drilled inside the non-contact plate to communicate with the coupling hol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the circumference is installed in the circumferentially opposed to the arc section and the nozzle portion for forming a Coanda nozzle through which the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passage passes, and the nozzle neck extending upward from the nozzle portion Nozzle member;
  • a non-contact transfer device using a vacuum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including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 the vertical section is formed in a vertic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contact plate parallel to the transfer object to form a closed curved surfac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transfer object, and upwards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contact plate
  • An engaging hole consisting of an arcuate section formed of an acute inclined section formed of an acute inclined surface that forms an acute angle with a center line and a circular arc section connecting an acute inclined section and a bottom surface of a non-contact plate;
  • a non-contact transfer device using a vacuum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including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 the non-contact conveying apparatus using a vacuum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 head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nozzle neck and the thread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crew hol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upling hole is formed directly below it.
  • a non-contact conveying apparatus using a vacuum pa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nozzle neck is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non-contact plate is coupled by the fastening nut is a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 a non-contact conveying apparatus using a vacuum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teeth are formed in the end of the nozzle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hole as a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 one end of the nozzle neck is a non-contact conveying apparatus using a vacuum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ortion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hole so that the nozzle member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coupling hole as a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 a non-contact conveying apparatus using a vacuum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teeth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hole as a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 the non-contact conveying apparatus using a vacuum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memb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hole in the center of the coupling hole so that the nozzle neck of the nozzle member can be coupled inside the coupling portion. It is a solution.
  • the repulsive force generating unit a non-contact conveying apparatus using a vacuum pa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pinhole or repulsive force forming unit to discharge the fluid to the transfer object to generate a repulsive force to solve the problem.
  • the repulsive force forming portion having a bottom flat portion parallel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ing object and forming a non-contact interval with the conveying object, the lower periphery is formed with a round portion;
  • the convey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 conveying block having an input end formed in a norm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conveying direction of the object to be conveyed, and a lower portion of the input end formed as a round part over the entire section; The lower end is formed along the input end above the bottom of the transfer block so as to form a normal coanda nozzle with respect to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object to be transferred, and the fluid is discharged in a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input end through the coanda nozzle.
  • a non-contact transfer device using a vacuum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including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 the attraction object and the repulsive force generating unit are arranged inside the non-contact plate so that the attraction and repulsion force are simultaneously generated for the object to be conveyed, so that the object to be conveyed is inclined to one side when the object is not contacted.
  • the transport object can be safely transported by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transport means to achieve parallelism without losing the conveyance of the transport object.
  • a vertical section formed of a vertic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contact plate parallel to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to form a closed curved surface when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conveyed and an arc surface connecting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vertical section of the non-contact plate.
  • a coupling hole consisting of an arc section, a fluid supply path perforated inside the non-contact plate to communicate with the coupling hole, and is installed in the coupling hole, the circumference is installed opposite to the arc section and the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passage passes through
  • the attraction force can be generated by arranging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ng portion, which includes a nozzle portion that forms a Coanda nozzle and a nozzle member formed of a nozzle neck extending upwardly from the nozzle portion, inside the non-contact plate.
  • a vertical section formed of a vertic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contact plate parallel to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to form a closed curved surfac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transferred and the width of the inner diameter is narrower toward the upper side toward the bottom of the non-contact plate
  • a coupling hole formed of an acute inclined section formed of an acute inclined surface that forms an acute angle with a high center line, and an arc section consisting of an arc surface connecting between the acute inclined sectio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contact plate, and a perforation inside the non-contact plat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upling hole.
  • Including nozzle member made of nozzle neck W by arranging installed inside the non-contact plate force generating unit is configured can produce the force.
  • a screw head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nozzle neck, and a screw part corresponding to the threaded hol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upling hole is directly formed below the nozzle neck, so that the nozzle member can be easily fastened.
  • the upper part of the nozzle neck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non-contact plate to form a screw portion that is coupled by the fastening nut, so that the nozzle member can be easily fastened.
  • the space area between the teeth and the teeth can regulate the flow rate of the fluid.
  • one end of the nozzle neck may be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coupling hole by installing a support portion in which the outer peripheral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hole so that the nozzle member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coupling hole.
  •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to form a tooth that the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hole to install the nozzle member in the center of the coupling hole, as well as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fluid through the space area between the tooth and the tooth.
  • the repulsive force forming portion has a bottom flat portion that is parallel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ing object and forms a non-contact interval with the conveying object, and has a coanda bar having an upper circumference formed by a round portion, and coda above the round portion of the coanda bar.
  • Fluid supplied to the Coanda nozzle formed by being install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r is composed of a nozzle block which is discharged to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along the round part of the Coanda Bar through this Coanda nozzle to generate a repulsive force on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Can be.
  • the conveying means includes a conveying block having an input end formed in a norm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ing object, the lower part of the input end being formed into a rounded portion over the entire section, and a coordinating direction of the normal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ing object.
  • the lower end is formed closer to the input end than the bottom of the transfer block to form a nozzle, and the fluid is discharged in a direction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put end through the Coanda nozzle to induce the fluid to flow to the bottom of the transfer block along the round part of the input end.
  • it is composed of a nozzle block for imparting repulsive force and a conveying force to the conveying object opposite to the conveying block at the same time to convey the conveying object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 FIG. 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4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ng unit of FIGS.
  • FIGS. 5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ng unit of FIGS.
  • FIGS. 6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ng unit of FIGS.
  • FIGS. 7 is a fourth embodiment of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ng unit of FIGS.
  • FIGS. 8 is a fifth embodiment of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ng unit of FIGS.
  • FIGS. 9 is a sixth embodiment of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on unit of FIGS.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according to FIG. 9;
  • FIGS. 11 is a seventh embodiment of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on unit of FIGS.
  • FIGS. 12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repulsive force generation unit of FIGS.
  • FIGS. 13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repulsive force generation unit of FIGS.
  • FIG. 1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veying means of FIGS.
  •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veying means according to FIG. 14;
  • Feed roller 70 Fluid injection hose 211: Vertical section
  • Nozzle part 232 Coanda nozzle 233: Nozzl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n-contact plate, the bottom surface of which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object; At the same time, the attraction force and the repulsive force are simultaneously generated toward the object to be conveyed by the fluid discharged by being arranged inside the non-contact plate, so that the object to be conveyed can be conveyed in parallel with the non-contact plate without tilting to either side.
  • a manpower generating unit and a repulsive force generating unit It is installed inside the non-contact plat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attraction of the attraction of the attraction portion and the generation of repulsive force of the repulsive force generation portion is arranged in the arrangement between the arrangement and the arrangement of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on portion and the repulsion force is arranged in a non-contact manner by the fluid discharged Transfer means for transferring a transfer object;
  • a non-contact transfer device using a vacuum pad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a feature of the technical configuration.
  • man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repulsive force generating unit is arranged alternately,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ame type of manpower generating unit or repulsive force generating unit is repeatedly installed, and both the man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repulsive force generating unit at both ends of the manpower generating unit or repulsive force generating unit
  • Non-contact transfer device using a vacuum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type is installed among the features of the technical configuration.
  • the non-contact conveying apparatus using the vacuum pad the upper surface of the non-contact plate is installed at an inclination inclined to either of the left and right so as to form an acute angle with the horizontal ground, the repulsive force generated from the attraction force and the repulsive force generating portion generated by the manpower generating portion
  • the non-contact transfer device using a vacuum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feed roller is provided to help the transfer of the features of the technical configuration.
  • the vertical section is formed with a vertic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contact plate parallel to the transfer object to form a closed curved surfac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transfer object,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vertical section of the non-contact plate Coupling hole consisting of an arc section consisting of an arc surface for connecting the;
  • a fluid supply passage drilled inside the non-contact plate to communicate with the coupling hol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the circumference is installed in the circumferentially opposed to the arc section and the nozzle portion for forming a Coanda nozzle through which the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passage passes, and the nozzle neck extending upward from the nozzle portion Nozzle member;
  • a non-contact transfer device using a vacuum pad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a feature of the technical configuration.
  • the vertical section is formed in a vertic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contact plate parallel to the transfer object to form a closed curved surfac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transfer object, and upwards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contact plate
  • An engaging hole consisting of an arcuate section formed of an acute inclined section formed of an acute inclined surface that forms an acute angle with a center line and a circular arc section connecting an acute inclined section and a bottom surface of a non-contact plate;
  • a nozzle which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and has a circumference opposite to the circular arc section, the nozzle part forming a coanda nozzle through which the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passage passes and the nozzle neck extending upward from the nozzle part; Absence;
  • a non-contact transfer device using a vacuum pad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a feature of the technical configuration.
  • the non-contact conveying apparatus using a vacuum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 head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nozzle neck and a screw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crew hol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hole is formed directly below it.
  • the non-contact conveying apparatus using a vacuum pa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chnical configu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nozzle neck is formed from a threaded portion that is coupled by a fastening nut while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non-contact plate.
  • the non-contact conveying apparatus using the vacuum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nozzl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hole is characterized by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nozzle.
  • one end of the nozzle nec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contact conveying apparatus using a vacuum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ortion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hole so that the nozzle member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coupling hole.
  •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contact conveying device using a vacuum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teeth are formed in the teet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hole.
  •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non-contact conveying device using a vacuum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hole to form a coupling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hole so that the nozzle neck of the nozzle member can be coupled inside the coupling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 the repulsive force generat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contact conveying apparatus using a vacuum pa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inhole or repulsive force forming unit to discharge the fluid to the transfer object to generate a repulsive force.
  • the repulsive force forming portion having a bottom flat portion parallel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ing object and forming a non-contact interval with the conveying object, the lower periphery is formed with a round portion;
  • the convey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 conveying block having an input end formed in a norm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conveying direction of the object to be conveyed, and a lower portion of the input end formed as a round part over the entire section; The lower end is formed along the input end above the bottom of the transfer block so as to form a normal coanda nozzle with respect to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object to be transferred, and the fluid is discharged in a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input end through the coanda nozzle.
  • the conveying object such that the bottom face 11 faces one surface of the conveying object 50 such as a steel or a flexible object having a flat or curved surface.
  • Manpower arranged in the non-contact plate 10 while being in communication with the non-contact plate 10 installed above the 50 and toward the bottom 11 so as to discharge the fluid to the bottom 11 of the non-contact plate 10.
  • the generator 20 and the repulsive force generating unit 30 and the conveying means 40 is installed inside the non-contact plate 10 to be located between the arrangement and arrangement thereof.
  • the non-contact plate 10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while the bottom surface 11 is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object 50 by the attraction and repulsive force during non-contact transfer.
  •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on unit 20 and the repulsive force generation unit 30 is arranged in the non-contact plate 10 so that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fluid toward the bottom surface 11 of the non-contact plate 10.
  •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on unit 20 and the repulsion force generation unit 30 discharge the flui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object 50 and simultaneously issue the attraction force and the repulsive force so that the transfer object 50 does not incline to either side. At the same time as pulling parallel to the () can be stably maintained the gap between the non-contact plate 10 and the transfer object (50).
  • the transfer means 40 of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on unit 20 and the repulsion force generation unit 30 as shown in Figure 1 so as not to affect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on of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on unit 20 and the repulsive force generation of the repulsive force generation unit 30 It is installed inside the non-contact plate 10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array and the arrangement.
  •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on unit 20 and the repulsive force generation unit 30 are alternately installed on the non-contact plate 10 so as to discharge the fluid to the bottom 11,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on unit 20 and the repulsion force generation unit ( 30 are arranged in plurality in at least one of the same kind.
  • an arrangement structure or repulsive force generating unit 30 in which two manpower generating units 20 are installed, and then two repulsive force generating units 30 are installed, and then two manpower generating units 20 are installed.
  • an arrangement structure in which three are installed, next, three attraction force generation units 20 are installed, and then three repulsion force generation units 30 are installed.
  •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on unit 20 and the repulsive force generation unit 30 are alternately installed, the attraction object and the repulsion force alternately act on the transfer object 50.
  • the non-contact distance with the 50 can be stably maintained, as well as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on unit 20 and the repulsion force generation unit 30, sinc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ame type are installed.
  • the attraction force and repulsive force acting on the object to be conveyed 50 is improved as compared to when installed one by one alternately it can be more stable suction gripping the object to be conveyed (50).
  • the same type of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on unit 20 and the repulsion force generation unit 30 are arrang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arrangement. Stable gripping of the transfer object 50 can be made. That is, if two manpower generating units 20 are installed in the middle, the two repulsive force generating units 30 are arranged at opposite ends thereof, and if three middle repulsive force generating units 30 are installed, three manpower at each end thereof is installed.
  • the generator 20 i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 the attraction object and the repulsive force are simultaneously generated by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ng unit 20 and the repulsive force generating unit 30 arranged on the non-contact plate 10 to suction the transfer object 50.
  • the conveying means 40 is installed to convey the object to be conveyed 50 while being pinged.
  • the transfer means 40 discharges the fluid in one direction through the Coanda nozzle 422 to transfer the transfer object 50 by the flow of the fluid.
  • the transfer means 40 when the transfer means 40 is installed in the non-contact plate 10 side by side in the same arrangement of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on unit 20 and the repulsion force generation unit 30 in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on unit 20 and the repulsion force generation unit 30 Since the discharged fluid and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conveying means 40 may collide and affect the generation of attraction and repulsive force, as shown in FIG. 1, the arrangement and arrangement of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on unit 20 and the repulsion force generation unit 30 are arranged.
  • FIG. 3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ng unit 20 generating the attraction force and the repulsive force generating unit 30 generating the repulsive force are arranged and discharged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transfer object 50.
  • the non-contact plate 10 provided with the conveying means 40 for conveying 50 is inclinedly installed.
  • the upper surface 12 of the non-contact plate 10 is inclined so as to form an inclination angle of the horizontal plane with an acute angle to either one of the left and right so that the bottom surface 11 from which the fluid is discharged faces the conveying object 50.
  • Lifting the transfer object 50 in an inclined state to be in parallel with the non-contact plate 10 by the attraction force and the repulsive force generated toward the bottom surface 11 of the non-contact plate 10 from the generating unit 20 and the repulsive force generating unit 30 To transfer the transfer object (50).
  • the feed roller 60 is installed to guide the transfer of the transfer object 50 while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transfer object 50.
  • the transfer roller 60 supporting the bottom 11 of the non-contact plate 10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transfer object 50 forms a right angle for smooth transfer of the transfer object 50.
  •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ng unit 2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vacuum pad, and has a coupling hole 21 arranged in the non-contact plate 10 and non-contacting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hole 21. It is composed of a fluid supply path 22 is installed in the plate 10 and the nozzle member 23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1 inside.
  • the coupling hole 21 is a vertic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11 of the non-contact plate 10 forming a closed curved surface when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transfer object 50, such as steel or a flexible object having a flat curved surface. It consists of an arc section 212 connecting the vertical section 211 and the bottom surface 11 and the vertical section 211 of the non-contact plate 10 to be formed.
  • the nozzle member 23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upling hole 21, the nozzle portion 231 having a funnel shape is installed at intervals through which the fluid can pass along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hole 21.
  • the Coanda effect is the bottom surface 11 of the non-contact plate 10, the arc section 212, the vertical section 211 and the nozzle member 23, the non-contact plate 10 Bottom 11 forms a closed curved surface with one surface of the transfer object (50).
  • the nozzle portion 231 is located above the bottom surface 11 of the non-contact plate 10 in order to apply the attraction force to the transfer object 50 in the closed curved surface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11 of the non-contact plate 10.
  • the space is formed by the arc section 212, the vertical section 211 and the nozzle member (23).
  • the nozzle unit 231 is installed at a position closer to the vertical section 211 based on the boundary point between the arc section 212 and the vertical section 211 of the coupling hole 21. Be sure to
  • the fluid supplied to the fluid supply path 22 communicating with the coupling hole 21 flows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nozzle part 231 and passes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nozzle part 231 and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hole 21.
  • the coanda effect is exhibited by flowing along the arc section 212 to the bottom of the non-contact plate 10.
  • the coanda effect refers to an effect that the fluid flows along the curved surface
  • the attraction unit 20 uses the coanda effect to supply the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passage 22 to the arc section of the coupling hole 21 ( By inducing flow along 212), attraction and repulsive force are generated in the transfer object 50.
  • the attraction force and the repulsive force are transferred to the transfer object 50 using the fluid injected through the fluid injection hose 70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passage 22. It can be generated to lift the transfer object 50 in a non-contact state.
  • FIG. 5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ng unit of FIGS.
  •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on unit 20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on unit 20 of FIG. 4 except that an acute inclination section 213 is further formed.
  • the contact hole 21 arranged in the non-contact plate 10 and the contact hole 21 so as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coupling hole 21 to supply fluid to the coupling hole 21 are not in contact. It consists of a fluid supply passage 22 which is perforated in the plate 10 and a nozzle member 23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upling hole 21.
  • the coupling hole 21 is formed in a vertic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11 of the non-contact plate 10 in parallel with the transfer object 50 to form a closed curved surfac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transfer object 50.
  • the upper section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section 211 in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of the vertical section 211 and the attraction force unit 2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vertical section 211 toward the upper surface 11 of the non-contact plate 10 is increased upward.
  • a circular arc formed of an acute inclined section 213 formed of an acute inclined surface that is narrow and forms an acute angle with the center line, and an arc surface connecting the acute inclined section 213 and the bottom surface 11 of the non-contact plate 10. Section 212.
  • the nozzle member 23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21, and the periphery of the nozzle member 23 is installed to face the arc section 212 to form a Coanda nozzle 232 through which the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passage 22 passes. And a nozzle neck 233 extending upward from the nozzle part 231.
  • An acute inclined section 213 is an acute inclined surface that forms an acute angle when the center line is vertically drawn from the center of the coupling hole 21 to form an acute angle smaller than a right angle, and the fluid supplied to the fluid supply passage 22 is a coanda effect.
  • the acute inclined section 213, the arc section 212, and the bottom surface 11 of the non-contact plate 10 flow. Since the angle formed with the center line of the coupling hole 21 is inclined at an acute angle of 90 ° or less, the acute angle inclination section 213 is formed in the vertical sec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hole 21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ttraction force unit 20.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fluid is shorter than that of the structure of 211), thereby minimizing the loss of the fluid.
  • FIG. 6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ng unit of FIGS. 1 to 3; As shown in the drawing, the third embodiment of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on unit 20 forms a threaded portion 235 in the nozzle neck 233 of the nozzle member 23 so as to be screwed onto the corresponding coupling hole 21. do.
  • the screw head 234 is formed on the nozzle neck 233 of the nozzle member 23 so that the nozzle member 23 can be coupled from the upper surface 12 of the non-contact plate 10 toward the coupling hole 21.
  • Under the screw head 234 is formed a screw portion 235 to be screwed corresponding to the screw hol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hole (21).
  • a spot facing corresponding to the screw head 234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2 of the non-contact plate 10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21 to be stably placed.
  • a threaded hole communicating with the coupling hole 21 is formed to allow the threaded portion 235 of the nozzle member 23 to be screwed together.
  • FIG. 7 is a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ng unit of FIGS. 1 to 3.
  •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attraction force unit 20 forms a thread 235 on the nozzle neck 233 of the nozzle member 23 to be coupled with the fastening nut.
  • the screw 235 formed on the nozzle neck 233 of the nozzle member 23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21 penetrating through the bottom surface 11 of the non-contact plate 10 so that the non-contact plate 10
  • the screw portion 235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12, and then, the fastening nut is coupled to the screw portion 235 to fix the nozzle member 23.
  • the upper surface 12 of the non-contact plate 10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21 drills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coupling hole 21, so that the threaded portion 235 of the nozzle neck 233 is connected to the non-contact plate 10. It is exposed from the upper surface 12 so that the fastening nut corresponding to the screw portion 235 can be coupled.
  • the fifth embodiment of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ng unit 20 forms teeth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nozzle unit 231 so as to form a tooth 236 whose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hole 21.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flui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236) and the tooth (236). At this time, as the space area between the teeth 236 and the teeth 236 increases, the flow rat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increases, and as the space area between the teeth 236 and the teeth 236 decreases, the flow rate of the passing fluid decreases. The flow rate of the fluid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pace area between the tooth 236 and the tooth 236.
  • a tooth 236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ner wall around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hole 21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nozzle 231 so that the end of the tooth 23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nozzle 231.
  • the flow rate of the fluid may be adjuste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tooth 236 and the tooth 236.
  • FIG. 9 is a sixth embodiment of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ng part of FIGS. 1 to 3,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ing part according to FIG. 9.
  • a support part 24 closely contacting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hole 2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nozzle neck 233 of the nozzle member 23 so that the nozzle member 23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hole 21. .
  • the support part 24 is to be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hole 21 of the nozzle member 23.
  • the support part 24 may be provided at any part of the nozzle neck 233, but the support part 24 is shown in FIG. )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nozzle neck 233 directly above the nozzle unit 231, or is installed on the nozzle neck 233 upper portion.
  • a tooth 24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part 24 so that the nozzle member 23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hole 21 and the space area of the tooth 241 and the tooth 241 is formed.
  • the flow rate of the fluid can be adjusted accordingly.
  • the shape of the tooth 241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triangular shape, a square shape, a trapezoidal shap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end as shown in FIG.
  • FIG. 11 is a seventh embodiment of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ng unit of FIGS. 1 to 3; As shown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hole 21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hole 21 is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214 extending downward to couple the nozzle member 23 to the coupling portion 214.
  • Coupling portion 214 may be formed in a bivalent type, the first is that the coupling portion 214 is form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hole 21 to the bottom and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upling portion 214 and , Second, the coupling part 214 extends from the upper part of the coupling hole 21 to the lower part, and a screw hole is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part 214.
  • the nozzle member 23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214 may use a screw part 235 formed on the nozzle neck 233, wherein the nozzle member 23 is
  • the coupling method is such that the through-holes of the nozzle neck 233 and the coupling part 214 coincide through the coupling hole 21, and then the screw part 235 of the upper part of the nozzle neck 233 is not in contact with the plate 10.
  • the fastening nut is coupled to the threaded portion 235 by the protrusion.
  • the nozzle member 23 that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214 is formed by using a threaded part 235 formed thereon while the nozzle neck 233 is short.
  • the coupling method of (23) is made to match the screw hole of the screw portion 235 and the coupling portion 214 of the nozzle neck 233 through the coupling hole 21 and then screwing.
  • the width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acute inclination section 213 becomes wider as it goes down and becomes narrower as it goes upward. If the lowering in the acute inclined section 213, the gap between the acute inclined section 213 and the nozzle portion 231 is widened to allow a large amount of fluid to pass through, and tighten the screw portion 235 to acute the nozzle portion 231. Ascending in the inclined section 213, the gap between the acute inclined section 213 and the nozzle portion 231 is narrowed to pass a small amount of fluid.
  • the fluid supply path 22 may be square, such as a circle or a square, as needed.
  • the first embodiment of the repulsive force generating unit has a pinhole shape and discharges the fluid supplied through the pinhole to one surface of the transfer object 50 so as not to be in contact with the transfer object 50 when suction gripping the transfer object 50.
  • the gap can be kept stable.
  •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repulsive force generating unit 30 has a structure of a pinhole and another repulsive force forming unit,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nsfer object 50 is parallel to the transfer direction and forms a non-contact gap with the transfer object 50.
  • a coanda bar 31 having a portion 311 and having a lower circumference formed by a round portion 312, an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anda bar 31 above the round portion 312 of the coanda bar 31.
  • the nozzle block which allows the fluid supplied to the coanda nozzle 322 formed by being installed to be discharged to the transfer object 50 along the round portion 312 of the coanda bar 31 through the coanda nozzle 322. It consists of 32.
  • the supplied fluid flows along the round portion 312 of the coanda bar 31 through the coanda nozzle 322, and at this time, a repulsive force for pushing the transfer object 50 is provided in the area of the bottom flat portion 311. It can be generated to maintain a stable non-contact interval with the transfer object (50).
  • FIG. 14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nveying means of FIGS. 1 to 3, and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veying means according to FIG. 14.
  • the conveying means 40 has an input end 411 formed in a norm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ing object 5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input end 411 is formed as a round part 412 over the entire section.
  • the lower end is formed along the input end 411 above the bottom of the transfer block 41 so as to form a normal coanda nozzle 422 with respect to the transfer block 41 and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transfer object 50.
  • the nozzle block 42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transfer block 41.
  • the transfer block 41 is horizontally installed along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transfer object 50 and has a horizontal bottom surface.
  • the lower part of the input terminal 411 is formed as a round portion 412. The curvature of the round portion 412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repulsive force and the transfer force for the transfer object (50).
  • the nozzle block 42 is a block having a horizontal bottom surface, the lower end of which is disposed closer to the input end 411 of the transfer block 41 than the bottom of the transfer block 41 with respect to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transfer object 50.
  • a normal coanda nozzle 422 is formed.
  • the coanda nozzle 422 is connected to a fluid supply means such as a blower for supplying a fluid.
  • the fluid supplied by the fluid supply means is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contact with the input end 411 through the coanda nozzle 422.
  • the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coanda nozzle 422 flow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nsfer block 41 along the round portion 412 of the input terminal 411 by the Coanda effect and in this process the transfer block ( 41)
  • a resilient fluid layer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top surface of the transfer object 50, and a repulsive force and a transfer force are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transfer object 50.
  • the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coanda nozzle 422 flows horizontally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nsfer block 41 due to the coanda effect, so that the transfer object 50 under the transfer block 41 Impact does not occur.
  • the attraction block and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transfer block 41 and the transfer object 50 is always maintained a constant non-contact interval can be transferred to the transfer object 50 in a stable non-contact state.
  • a bottom surface of the transfer block 41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fluid suction port for discharging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coanda nozzle 422 to the outside while being formed in parallel with the coanda nozzle 422.
  • the fluid suction port is connected to a fluid suction means such as a blower capable of sucking the fluid, and the repulsive force by the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Coanda nozzle 422 acts on the transfer object 50 being transferred and at the same time the transfer object 50 ),
  • the attraction force by the fluid exit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fluid inlet acts so that the transfer object 50 has a non-contact interval in a very stable state as a whole.
  •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on unit 20 and the repulsion force generation unit 30 are arranged in the non-contact plate 10 and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on unit 20 and By installing the conveying means 40 between the arrangement and the arrangement of the repulsive force generating unit 30, the suction and grip the transfer object 50 while maintaining the non-contact distance by generating a manpower and repulsive force on the bottom of the non-contact plate 10
  • the operation of the non-contact transfer device using the vacuum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elow. same.
  • the attraction force and the repulsive force are simultaneously generated by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on unit 20 and the repulsion force generation unit 30 arranged inside the non-contact plate 10. Since it occurs, the non-contact distance with the lifting object 50 to be lifted is stably maintained so that there is no fear that the transport object 50 may collide with the non-contact plate 10.
  • the manpower generating unit 20 and the repulsive force generating unit 30 alternately installed in the non-contact plate 10 and the manpower pulling the transfer object 50 and the repulsive force pushing the transfer object 50 alternately transfer object Since it works evenly on the front surface of the 50, there is no fear of collision with the non-contact plate 10 while the transfer object 50 is inclined to either side when suction gripping the transfer object 50.
  • the transfer object 50 can be maintained in parallel with the non-contact plate 10 to maintain a stable non-contact distance.
  • the conveying object 50 is safely transported in the conveying direction.
  •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luid is supplied to the attractive force generating unit 20 and the repulsive force generating unit 30 of the bottom surface 11 of the inclined non-contact plate 10.
  • the attraction and retraction force is generated by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on unit 20 and the repulsion force generation unit 30 so that the transfer object 50 is supported in parallel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clined non-contact plate 10.
  • the fluid is discharged from the conveying means 40 to convey the conveying object 50 in an inclined state.
  • the lower surface of the conveying object 50 is provided with a conveying roller 60, the conveying object 50 is moved while sliding the conveying roller 60.
  • FIGS. 4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ng unit of FIGS.
  • the fluid when the fluid is supplied into the coupling hole 21 through the fluid supply passage 22, the fluid flows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arc section 212 and the non-contact plate 10 through the Coanda nozzle 232.
  • the fluid since the fluid moves the arc section 212 at a high speed, a vacuum state is form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nozzle unit 231 to generate an attraction force for pulling the transfer object 50. Therefore, the transfer object 50 can be attracted by this coanda effect.
  • FIG. 5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ng unit of FIGS.
  • the fluid when the fluid is supplied into the coupling hole 21 through the fluid supply path 22,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coanda nozzle 232 and the acute inclined section 213 and the arc section 212. It flows along the bottom face 11 of the non-contact plate 10.
  • the fluid since the fluid moves the arc section 212 at a high speed, a vacuum state is form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nozzle unit 231 to generate an attraction force for pulling the transfer object 50. Therefore, the transfer object 50 can be attracted by this coanda effect.
  • the acute inclination section 213 serves to minimize the loss of the fluid by shorten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fluid.
  • FIG. 6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ng unit of FIGS. 1 to 3; As shown in FIG. 1, the attraction force to pull the transfer object 50 upward by the Coanda effect is generated.
  • the nozzle member 23 When the nozzle member 23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1, i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2 of the non-contact plate 10. The nozzle member 23 is pushed into the screw hole at the center of the spot facing and the screw hole 235 of the nozzle neck 233 coincides with each other.
  • the nozzle member 23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1. .
  • the screw head 234 After coupling the nozzle member 23 to the coupling hole 21, the screw head 234 is located inside the spot facing there is no fear of interference with other devices.
  • the coupling hole is formed by drilling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coupling hole 21 on the upper surface 12 of the non-contact plate 10 as a force capable of pulling upward the transfer object 50 by the Coanda effect.
  • the nozzle member 23 is combined with the nozzle member 23, the nozzle member 23 is push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coupling hole 21 so that the screw part 235 of the upper part of the nozzle neck 233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hen the screw part 235.
  • the coupling nut is coupled to the nozzle member 23 to complete the coupling.
  • a tooth 236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nozzle unit 231 of the nozzle member 23 to closely contact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hole 21 to adjust the flow rate of the fluid. That is, when the space area between the tooth 236 and the tooth 236 is large, the flow rate of the fluid increases, and when the space area between the tooth 236 and the tooth 236 is narrow, the flow rate of the fluid decreases.
  • FIG. 9 is a sixth embodiment of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ng part of FIGS. 1 to 3,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ing part according to FIG. 9.
  • the nozzle member 23 in order for the nozzle member 23 to generate a high-quality attraction through the Coanda effect,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nozzle member 23 so that the nozzle unit 231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hole 21. For example, when a certain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nozzle unit 231 is biased to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hole 21, the flow rate of the fluid is different.
  • the support part 24 is formed at one end of the nozzle neck 233 so that the end of the support part 24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1 when the nozzle member 23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1.
  • the nozzle unit 231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hole 21.
  • the teeth 241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part 24 so that the end of the teeth 24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hole 21, so that the nozzle part 231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hole 21. And at the same time the fluid flow rate can be adjuste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tooth 241 and the tooth 241.
  • FIG. 11 is a seventh embodiment of the attraction force generating unit of FIGS. 1 to 3; As shown, the coupling part 214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hole 21 to allow the nozzle neck 233 to be coupled thereto.
  • the coupling method of the nozzle neck 233 forms a threaded portion 235 on the nozzle neck 233 so that the threaded portion 235 protrudes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214 to the upper surface 12 of the non-contact plate 10.
  • a method of coupling the fastening nut to the threaded portion 235 and a method of forming a threaded hole corresponding to the threaded portion 235 formed on the nozzle neck 233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214, whereby The nozzle neck 233 is made short so that the nozzle part 231 may be located in the coupling hole 21.
  • the repulsive force generating unit 3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ole of a pinhole to discharge the fluid through the pinhole, thereby generating a repulsive force to push the transfer object 50.
  • the repulsive force generating unit 30 may be formed as a repulsive force forming unit to discharge the fluid to the transfer object 50, thereby generating repulsive force for pushing the transfer object 50.
  • the supplied fluid passes through the coanda nozzle 322 between the coanda bar 31 and the nozzle block 32 and the round portion 312 of the coanda bar 31.
  • the bottom flat portion 311 to act to generate a repulsive force to push the transfer object (50).
  • FIG. 14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nveying means of FIGS. 1 to 3, and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veying means according to FIG. 14.
  • the fluid When the fluid is supplied to the transfer means 40 as shown, the fluid flows through the coanda nozzle 422 along the round portion 412 of the input end 411 to the bottom of the transfer block 41.
  • the transfer object 50 moves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 the attraction object and the repulsive force generating unit are arranged inside the non-contact plate so that the attraction and repulsive force are simultaneously generated for the object to be conveyed. It is possible to safely transport the object by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conveying means without parallelism to the parallel and without the tilt phenomenon will be widely used in the field of non-contact conveying apparatus using a vacuum p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면이 이송대상물의 상면과 평행으로 설치되는 비접촉 플레이트와; 상기 비접촉 플레이트 내부에 배열설치되는 것으로서 토출되는 유체에 의해 이송대상물 쪽으로 인력과 척력을 동시에 발생하여 이송대상물의 비접촉 이송시 이송대상물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 지지않고 비접촉 플레이트와 평행을 이룬 상태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인력발생부 및 척력발생부와; 상기 비접촉 플레이트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력발생부의 인력발생과 척력발생부의 척력발생에 지장을 주지않도록 인력발생부와 척력발생부가 배열설치되는 배열과 배열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토출하는 유체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이송대상물을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
본 발명은 비접촉 플레이트 내부에 인력발생부 및 척력발생부를 배열설치하여 이송대상물에 대해 인력과 척력이 동시에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이송대상물의 비접촉 이송시 이송대상물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없이 평행을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이송대상물의 떨림 현상 없이 이송수단에서 토출된 유체에 의해 이송대상물을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한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라인 검사장비(In-Line FPD Automatic Optical Inspection)는 TFT LCD 패널이나 PDP, 컬러필터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등을 안내하면서 광학렌즈와 CCD 카메라를 사용하여 검사 대상물의 이미지를 캡쳐한 후 이미지 프로세싱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찾아내고자 하는 각종 결함을 검출해 내는 장비이다. 이러한 인라인 검사장비는 크게 불량을 검출하는 스캔섹션(scan section), 리뷰섹션(review section) 및 언로딩 섹션(unlaod section)으로 분할된다. 이러한 검사장비는 검사시스템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검출한 결함의 위치와 크기를 정확하게 알아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스캔섹션에서부터 언로딩 섹션까지 피 운반체를 안내하는 반송수단의 역할 또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최근 피 운반체를 안내하는 반송수단으로 엘씨디(LCD), 피디피(PDP), 디엘피(DLP), 에프피디(FPD) 등과 같은 평판패널을 공기부양시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공기부양식 평판패널 이송장치가 실용화되고 있다.
관련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76337호에는 『챔버가 형성된 하판과, 상기 하판의 상부면상에 겹쳐지며 상기 챔버와 연통되는 다수의 결합공을 갖는 중판과, 상기 중판의 상부면상에 겹쳐지며 상기 결합공들과 연통되는 에어분출공을 갖는 상판과, 상기 에어분출공으로 삽입 고정되고 상기 챔버의 에어를 수용하여 상기 에어분출공과의 사이 틈새로 유도하는 에어분출볼트를 포함하는 흡입력을 갖는 비접촉식 반송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출볼트의 상단에는 상기 에어가 상측 사선방향으로 분출되도록 머리부가 형성되되, 상기 머리부의 하부면은 상측으로 연장될수록 벌어지는 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분출공의 상단은 라운딩되며, 상기 에어분출볼트의 상부면상에는 오목한 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력을 갖는 비접촉식 반송 플레이트』에 관한 기술이 게시된바 있다.
또한, 관련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13298호에는 『상부면상 가운데에는 길이방향으로 진공챔버가 형성되고, 그 양쪽에는 이격되게 분출챔버가 형성되어 상기 진공챔버에는 외부의 진공펌프에서 흡입력을 인가받으며, 상기 분출챔버에는 외부의 콤푸레샤에서 압축공기를 인가받는 베이스; 상기 분출챔버 위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상기 분출챔버와 연통되는 다수의 분출로가 밀폐되게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분출로에는 상측으로 관통되어 압축공기를 분출시키는 분사공이 형성되는 분출플레이트; 및 상기 진공챔버위에 양측이 상기 분출플레이트와 맞닿게 장착되어 틈새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상기 진공챔버와 연통되는 다수의 흡입로가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틈새로 흡입력이 작용되는 진공플레이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플레이트』에 관한 기술이 게시된바 있다.
또한, 관련기술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86532에는 『공기흡입박스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송풍기에서 송풍하면 필터체를 거쳐 공기송풍박스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공기부양식 평판패널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송풍박스의 전방측면을 이루는 경사면을 따라 다수의 공기분사노즐을 구비하면서 다수의 이송구동롤러를 상기 경사면의 하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공기흡입박스의 상부에 구비하되, 공기분사노즐은 경사면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평판패널을 공기부양하고, 이송구동롤러는 그 중심축이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각을 이루면서 그 외주면에 지지턱을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부양식 평판패널 이송장치』에 관한 기술이 게시된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송장치는 유체의 토출방향으로 척력을 발생하여 이송대상물을 부양한 다음 이상대상물에 손상을 주지않도록 비접촉 방식으로 이송대상물을 이송하는 장치로서, 이송대상물의 하부에서 척력을 발생하여 이송대상물을 부상하므로 이송대상물이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부양된 이송대상물에 떨림 현상이 발생하는 등 이송대상물의 이송이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비접촉 플레이트 내부에 인력발생부 및 척력발생부를 배열설치하여 이송대상물에 대해 인력과 척력이 동시에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이송대상물의 비접촉 이송시 이송대상물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없이 평행을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이송대상물의 떨림 현상 없이 이송수단에서 토출된 유체에 의해 이송대상물을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한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경사지게 설치하여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의 설치공간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이송대상물의 일면과 접할 경우 폐곡면을 형성하도록 이송대상물과 평행한 비접촉 플레이트의 저면과 직각을 이루는 수직면으로 형성되는 수직구간과 상기 비접촉 플레이트의 저면과 수직구간 사이를 연결하는 원호면으로 이루어지는 원호구간으로 구성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도록 비접촉 플레이트 내부에 천공되는 유체공급로와, 상기 결합공에 삽입설치되는 것으로서 둘레가 원호구간과 서로 대향설치되어 유체공급로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통과하는 코안다 노즐을 형성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노즐목으로 이루어지는 노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력발생부를 비접촉 플레이트 내부에 배열설치함으로써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대상물의 일면과 접할 경우 폐곡면을 형성하도록 이송대상물과 평행한 비접촉 플레이트의 저면과 직각을 이루는 수직면으로 형성되는 수직구간과 상기 비접촉 플레이트의 저면에 대해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의 폭이 좁아지고 중심선과 예각을 이루는 예각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예각 경사구간과 상기 예각 경사구간과 비접촉 플레이트의 저면 사이를 연결하는 원호면으로 이루어지는 원호구간으로 구성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도록 비접촉 플레이트 내부에 천공되는 유체주입구와, 상기 결합공에 삽입설치되는 것으로서 둘레가 원호구간과 서로 대향설치되어 유체공급로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통과하는 코안다 노즐을 형성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노즐목으로 이루어지는 노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력발생부를 비접촉 플레이트 내부에 배열설치함으로써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노즐목 상부에는 나사머리가 구비되고 이의 바로 아래에 결합공 상부에 형성된 나사공과 대응 결합되는 나사부를 형성하여 노즐부재를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노즐목 상부에는 비접촉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체결너트에 의해 결합되는 나사부를 형성하여 노즐부재를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노즐부 하부 둘레에는 끝단이 결합공의 내벽에 밀착되는 톱니를 형성하여 톱니와 톱니 사이의 공간면적을 통해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노즐목의 일단에는 노즐부재가 결합공의 정중앙에 설치되도록 외주 끝단이 결합공의 내벽에 밀착되는 지지부를 설치하여 노즐부재를 결합공 정중앙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지지부의 외주에는 끝단이 결합공 내벽에 밀착되는 톱니를 형성하여 노즐부재를 결합공 정중앙에 설치함은 물론 톱니와 톱니 사이의 공간면적을 통해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결합공의 중앙에는 결합공의 상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부를 형성하여 이 결합부 내부에 노즐부재의 노즐목을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핀홀 또는 척력형성부로 척력발생부를 구성하여 이송대상물에 유체를 토출하여 척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한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척력형성부는 이송대상물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고 이송대상물과 비접촉 간격을 형성하는 저면 평탄부를 가지며 상부 둘레가 라운드부로 형성되는 코안다 바와, 상기 코안다 바의 라운드부보다 위에서 코안다 바 외주를 따라 근접하게 설치됨으로 인해 형성되는 코안다 노즐로 공급된 유체가 이 코안다 노즐을 통해 코안다 바의 라운드부를 따라 이송대상물에 토출되도록 하는 노즐블록으로 구성되어 이송대상물에 대하여 척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한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이송수단은 이송대상물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법선 방향으로 형성된 입력단을 가지며 이 입력단의 하부가 전 구간에 걸쳐 라운드부로 형성되는 이송블록과, 상기 이송대상물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법선의 코안다 노즐을 형성하도록 하단이 이송블록의 저면 보다 위에서 입력단을 따라 근접형성되고 상기 코안다 노즐을 통해 입력단 외측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유체를 토출하여 유체가 입력단의 라운드부를 따라 이송블록의 저면으로 흐르도록 유도함으로써 이송블록에 대향하는 이송대상물에 척력과 이송력을 동시에 부여하는 노즐블록으로 구성되어 이송대상물을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한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면이 이송대상물의 상면과 평행으로 설치되는 비접촉 플레이트와; 상기 비접촉 플레이트 내부에 배열설치되는 것으로서 토출되는 유체에 의해 이송대상물 쪽으로 인력과 척력을 동시에 발생하여 이송대상물의 비접촉 이송시 이송대상물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 지지않고 비접촉 플레이트와 평행을 이룬 상태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인력발생부 및 척력발생부와; 상기 비접촉 플레이트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력발생부의 인력발생과 척력발생부의 척력발생에 지장을 주지않도록 인력발생부와 척력발생부가 배열설치되는 배열과 배열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토출하는 유체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이송대상물을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력발생부와 척력발생부를 교대로 배열설치하되, 인력발생부 또는 척력발생부는 같은 종류끼리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반복설치되며 인력발생부 및 척력발생부의 배열 양쪽 끝에는 인력발생부 또는 척력발생부 중 서로 같은 종류가 대응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는, 비접촉 플레이트의 상면이 수평의 지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좌, 우중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로 설치되어 인력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인력과 척력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척력에 의해 이송대상물을 비접촉 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기울어진 상태로 부양함과 동시에 이송수단에서 유체를 토출하여 이송대상물을 유체 토출방향으로 이송하며 이송대상물의 하단 부위에는 이송대상물의 하단면을 지지하면서 이송대상물의 이송을 돕는 이송롤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력발생부는, 상기 이송대상물의 일면과 접할 경우 폐곡면을 형성하도록 이송대상물과 평행한 비접촉 플레이트의 저면과 직각을 이루는 수직면으로 형성되는 수직구간과, 상기 비접촉 플레이트의 저면과 수직구간 사이를 연결하는 원호면으로 이루어지는 원호구간으로 구성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도록 비접촉 플레이트 내부에 천공되는 유체공급로와; 상기 결합공에 삽입설치되는 것으로서 둘레가 원호구간과 서로 대향설치되어 유체공급로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통과하는 코안다 노즐을 형성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노즐목으로 이루어지는 노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력발생부는, 상기 이송대상물의 일면과 접할 경우 폐곡면을 형성하도록 이송대상물과 평행한 비접촉 플레이트의 저면과 직각을 이루는 수직면으로 형성되는 수직구간과, 상기 비접촉 플레이트의 저면에 대해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의 폭이 좁아지고 중심선과 예각을 이루는 예각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예각 경사구간과, 상기 예각 경사구간과 비접촉 플레이트의 저면 사이를 연결하는 원호면으로 이루어지는 원호구간으로 구성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도록 비접촉 플레이트 내부에 천공되는 유체주입구와; 상기 결합공에 삽입설치되는 것으로서 둘레가 원호구간과 서로 대향설치되어 유체공급로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통과하는 코안다 노즐을 형성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노즐목으로 이루어지는 노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목 상부에는 나사머리가 구비되고 이의 바로 아래에 결합공 상부에 형성된 나사공과 대응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목 상부에는 비접촉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체결너트에 의해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부 하부 둘레에는 끝단이 결합공의 내벽에 밀착되는 톱니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목의 일단에는 노즐부재가 결합공의 정중앙에 설치되도록 외주 끝단이 결합공의 내벽에 밀착되는 지지부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외주에는 끝단이 결합공 내벽에 밀착되는 톱니가 형성됨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공의 중앙에는 결합공의 상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부를 형성하여 이 결합부 내부에 노즐부재의 노즐목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척력발생부는, 이송대상물에 유체를 토출하여 척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핀홀 또는 척력형성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척력형성부는, 상기 이송대상물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고 이송대상물과 비접촉 간격을 형성하는 저면 평탄부를 가지며, 하부 둘레가 라운드부로 형성되는 코안다 바와; 상기 코안다 바의 라운드부보다 위에서 코안다 바 외주를 따라 근접하게 설치됨으로 인해 형성되는 코안다 노즐로 공급된 유체가 이 코안다 노즐을 통해 코안다 바의 라운드부를 따라 이송대상물에 토출되도록 하는 노즐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이송대상물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법선 방향으로 형성된 입력단을 가지며 이 입력단의 하부가 전 구간에 걸쳐 라운드부로 형성되는 이송블록과; 상기 이송대상물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법선의 코안다 노즐을 형성하도록 하단이 이송블록의 저면 보다 위에서 입력단을 따라 근접형성되고, 상기 코안다 노즐을 통해 입력단 외측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유체를 토출하여 유체가 입력단의 라운드부를 따라 이송블록의 저면으로 흐르도록 유도함으로써 이송블록에 대향하는 이송대상물에 척력과 이송력을 동시에 부여하는 노즐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는 비접촉 플레이트 내부에 인력발생부 및 척력발생부를 배열설치하여 이송대상물에 대해 인력과 척력이 동시에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이송대상물의 비접촉 이송시 이송대상물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없이 평행을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이송대상물의 떨림 현상 없이 이송수단에서 토출된 유체에 의해 이송대상물을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경사지게 설치하여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의 설치공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이송대상물의 일면과 접할 경우 폐곡면을 형성하도록 이송대상물과 평행한 비접촉 플레이트의 저면과 직각을 이루는 수직면으로 형성되는 수직구간과 상기 비접촉 플레이트의 저면과 수직구간 사이를 연결하는 원호면으로 이루어지는 원호구간으로 구성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도록 비접촉 플레이트 내부에 천공되는 유체공급로와, 상기 결합공에 삽입설치되는 것으로서 둘레가 원호구간과 서로 대향설치되어 유체공급로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통과하는 코안다 노즐을 형성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노즐목으로 이루어지는 노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력발생부를 비접촉 플레이트 내부에 배열설치함으로써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대상물의 일면과 접할 경우 폐곡면을 형성하도록 이송대상물과 평행한 비접촉 플레이트의 저면과 직각을 이루는 수직면으로 형성되는 수직구간과 상기 비접촉 플레이트의 저면에 대해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의 폭이 좁아지고 중심선과 예각을 이루는 예각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예각 경사구간과 상기 예각 경사구간과 비접촉 플레이트의 저면 사이를 연결하는 원호면으로 이루어지는 원호구간으로 구성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도록 비접촉 플레이트 내부에 천공되는 유체주입구와, 상기 결합공에 삽입설치되는 것으로서 둘레가 원호구간과 서로 대향설치되어 유체공급로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통과하는 코안다 노즐을 형성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노즐목으로 이루어지는 노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력발생부를 비접촉 플레이트 내부에 배열설치함으로써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노즐목 상부에는 나사머리가 구비되고 이의 바로 아래에 결합공 상부에 형성된 나사공과 대응 결합되는 나사부를 형성하여 노즐부재를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노즐목 상부에는 비접촉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체결너트에 의해 결합되는 나사부를 형성하여 노즐부재를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노즐부 하부 둘레에는 끝단이 결합공의 내벽에 밀착되는 톱니를 형성하여 톱니와 톱니 사이의 공간면적을 통해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노즐목의 일단에는 노즐부재가 결합공의 정중앙에 설치되도록 외주 끝단이 결합공의 내벽에 밀착되는 지지부를 설치하여 노즐부재를 결합공 정중앙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의 외주에는 끝단이 결합공 내벽에 밀착되는 톱니를 형성하여 노즐부재를 결합공 정중앙에 설치함은 물론 톱니와 톱니 사이의 공간면적을 통해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결합공의 중앙에는 결합공의 상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부를 형성하여 이 결합부 내부에 노즐부재의 노즐목을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핀홀 또는 척력형성부로 척력발생부를 구성하여 이송대상물에 유체를 토출하여 척력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척력형성부는, 상기 이송대상물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고 이송대상물과 비접촉 간격을 형성하는 저면 평탄부를 가지며 상부 둘레가 라운드부로 형성되는 코안다 바와, 상기 코안다 바의 라운드부보다 위에서 코안다 바 외주를 따라 근접하게 설치됨으로 인해 형성되는 코안다 노즐로 공급된 유체가 이 코안다 노즐을 통해 코안다 바의 라운드부를 따라 이송대상물에 토출되도록 하는 노즐블록으로 구성되어 이송대상물에 대하여 척력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송수단은, 상기 이송대상물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법선 방향으로 형성된 입력단을 가지며 이 입력단의 하부가 전 구간에 걸쳐 라운드부로 형성되는 이송블록과, 상기 이송대상물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법선의 코안다 노즐을 형성하도록 하단이 이송블록의 저면 보다 위에서 입력단을 따라 근접형성되고 상기 코안다 노즐을 통해 입력단 외측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유체를 토출하여 유체가 입력단의 라운드부를 따라 이송블록의 저면으로 흐르도록 유도함으로써 이송블록에 대향하는 이송대상물에 척력과 이송력을 동시에 부여하는 노즐블록으로 구성되어 이송대상물을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
도 4는 도 1 내지 3의 인력발생부의 제1실시예.
도 5는 도 1 내지 3의 인력발생부의 제2실시예.
도 6은 도 1 내지 3의 인력발생부의 제3실시예.
도 7은 도 1 내지 3의 인력발생부의 제4실시예.
도 8은 도 1 내지 3의 인력발생부의 제5실시예.
도 9는 도 1 내지 3의 인력발생부의 제6실시예.
도 10은 도 9에 따른 지지부의 사시도.
도 11은 도 1 내지 3의 인력발생부의 제7실시예.
도 12는 도 1 내지 3의 척력발생부의 제1실시예.
도 13은 도 1 내지 3의 척력발생부의 제2실시예.
도 14는 도 1 내지 3의 이송수단의 확대도 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따른 이송수단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비접촉 플레이트 11:저면 12:상면
20:인력발생부 21:결합공 22:유체공급로
23:노즐부재 24:지지부 30:척력발생부
31:코안다 바 32:노즐블록 40:이송수단
41:이송블록 42:노즐블록 50:이송대상물
60:이송롤러 70:유체주입호스 211:수직구간
212:원호구간 213:예각 경사구간 214:결합부
231:노즐부 232:코안다 노즐 233:노즐목
234:나사머리 235:나사부 236:톱니
241:톱니 311:저면 평탄부 312:라운드부
322:코안다 노즐 411:입력단 412:라운드부
422:코안다 노즐
본 발명은 저면이 이송대상물의 상면과 평행으로 설치되는 비접촉 플레이트와; 상기 비접촉 플레이트 내부에 배열설치되는 것으로서 토출되는 유체에 의해 이송대상물 쪽으로 인력과 척력을 동시에 발생하여 이송대상물의 비접촉 이송시 이송대상물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 지지않고 비접촉 플레이트와 평행을 이룬 상태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인력발생부 및 척력발생부와; 상기 비접촉 플레이트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력발생부의 인력발생과 척력발생부의 척력발생에 지장을 주지않도록 인력발생부와 척력발생부가 배열설치되는 배열과 배열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토출하는 유체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이송대상물을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력발생부와 척력발생부를 교대로 배열설치하되, 인력발생부 또는 척력발생부는 같은 종류끼리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반복설치되며 인력발생부 및 척력발생부의 배열 양쪽 끝에는 인력발생부 또는 척력발생부 중 서로 같은 종류가 대응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는, 비접촉 플레이트의 상면이 수평의 지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좌, 우중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로 설치되어 인력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인력과 척력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척력에 의해 이송대상물을 비접촉 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기울어진 상태로 부양함과 동시에 이송수단에서 유체를 토출하여 이송대상물을 유체 토출방향으로 이송하며 이송대상물의 하단 부위에는 이송대상물의 하단면을 지지하면서 이송대상물의 이송을 돕는 이송롤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력발생부는, 상기 이송대상물의 일면과 접할 경우 폐곡면을 형성하도록 이송대상물과 평행한 비접촉 플레이트의 저면과 직각을 이루는 수직면으로 형성되는 수직구간과, 상기 비접촉 플레이트의 저면과 수직구간 사이를 연결하는 원호면으로 이루어지는 원호구간으로 구성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도록 비접촉 플레이트 내부에 천공되는 유체공급로와; 상기 결합공에 삽입설치되는 것으로서 둘레가 원호구간과 서로 대향설치되어 유체공급로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통과하는 코안다 노즐을 형성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노즐목으로 이루어지는 노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력발생부는, 상기 이송대상물의 일면과 접할 경우 폐곡면을 형성하도록 이송대상물과 평행한 비접촉 플레이트의 저면과 직각을 이루는 수직면으로 형성되는 수직구간과, 상기 비접촉 플레이트의 저면에 대해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의 폭이 좁아지고 중심선과 예각을 이루는 예각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예각 경사구간과, 상기 예각 경사구간과 비접촉 플레이트의 저면 사이를 연결하는 원호면으로 이루어지는 원호구간으로 구성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도록 비접촉 플레이트 내부에 천공되는 유체주입구와; 상기 결합공에 삽입설치되는 것으로서 둘레가 원호구간과 서로 대향설치되어 유체공급로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통과하는 코안다 노즐을 형성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노즐목으로 이루어지는 노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목 상부에는 나사머리가 구비되고 이의 바로 아래에 결합공 상부에 형성된 나사공과 대응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목 상부에는 비접촉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체결너트에 의해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부 하부 둘레에는 끝단이 결합공의 내벽에 밀착되는 톱니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목의 일단에는 노즐부재가 결합공의 정중앙에 설치되도록 외주 끝단이 결합공의 내벽에 밀착되는 지지부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외주에는 끝단이 결합공 내벽에 밀착되는 톱니가 형성됨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공의 중앙에는 결합공의 상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부를 형성하여 이 결합부 내부에 노즐부재의 노즐목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척력발생부는, 이송대상물에 유체를 토출하여 척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핀홀 또는 척력형성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척력형성부는, 상기 이송대상물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고 이송대상물과 비접촉 간격을 형성하는 저면 평탄부를 가지며, 하부 둘레가 라운드부로 형성되는 코안다 바와; 상기 코안다 바의 라운드부보다 위에서 코안다 바 외주를 따라 근접하게 설치됨으로 인해 형성되는 코안다 노즐로 공급된 유체가 이 코안다 노즐을 통해 코안다 바의 라운드부를 따라 이송대상물에 토출되도록 하는 노즐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이송대상물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법선 방향으로 형성된 입력단을 가지며 이 입력단의 하부가 전 구간에 걸쳐 라운드부로 형성되는 이송블록과; 상기 이송대상물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법선의 코안다 노즐을 형성하도록 하단이 이송블록의 저면 보다 위에서 입력단을 따라 근접형성되고, 상기 코안다 노즐을 통해 입력단 외측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유체를 토출하여 유체가 입력단의 라운드부를 따라 이송블록의 저면으로 흐르도록 유도함으로써 이송블록에 대향하는 이송대상물에 척력과 이송력을 동시에 부여하는 노즐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는, 저면(11)이 평면, 곡면을 갖는 강철 또는 유연성 물체 등의 이송대상물(50)의 일면과 대향하도록 이송대상물(50)의 위쪽에 설치되는 비접촉 플레이트(10)와, 비접촉 플레이트(10)의 저면(11)으로 유체를 토출할 수 있도록 저면(11) 쪽으로 연통되면서 비접촉 플레이트(10) 내부에 배열설치되는 인력발생부(20) 및 척력발생부(30)와 이들의 배열과 배열 사이에 위치하도록 비접촉 플레이트(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이송수단(40)으로 구성된다.
구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비접촉 플레이트(10)는 평판형태로 형성되면서 비접촉 이송시 인력과 척력에 의해 저면(11)이 이송대상물(50)의 상면과 떨어진 상태로 평행을 이룬다. 이때, 비접촉 플레이트(10) 내부에는 유체의 토출 방향이 비접촉 플레이트(10)의 저면(11)을 향하도록 인력발생부(20) 및 척력발생부(30)가 배열설치된다.
인력발생부(20) 및 척력발생부(30)는 유체를 이송대상물(50)의 상부면에 토출하여 인력과 척력을 동시에 발행함으로써 이송대상물(50)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비접촉 플레이트(10)와 평행을 이루도록 끌어당김과 동시에 비접촉 플레이트(10)와 이송대상물(50) 사이의 간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송수단(40)은 인력발생부(20)의 인력발생 및 척력발생부(30)의 척력발생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도 1과 같이 인력발생부(20) 및 척력발생부(30)의 배열과 배열 사이에 위치하도록 비접촉 플레이트(10) 내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인력발생부(20) 및 척력발생부(30)는 유체를 저면(11)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비접촉 플레이트(10)에 교대로 배열설치하되, 인력발생부(20)와 척력발생부(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같은 종류끼리 복수로 배열설치된다. 예를 들면 인력발생부(20)를 2개 설치하고 다음에 척력발생부(30)를 2개 설치하고 그 다음에 인력발생부(20)를 2개 설치하는 배열구조 또는 척력발생부(30)를 3개 설치하고 다음에 인력발생부(20)를 3개 설치하고 그 다음에 척력발생부(30)를 3개 설치하는 배열구조를 예로 들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는 인력발생부(20)와 척력발생부(30)가 교대로 배열설치되어 이송대상물(50)에 인력과 척력이 교대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송대상물(50)과의 비접촉 거리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인력발생부(20) 또는 척력발생부(30)가 같은 종류끼리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므로 인력발생부(20) 및 척력발생부(30)를 교대로 하나씩 배열설치할 때에 비하여 이송대상물(50)에 작용하는 인력과 척력이 향상되어 이송대상물(50)을 더욱 안정적으로 석션 그립핑 수 있다.
또한, 인력발생부(20) 및 척력발생부(30)를 배열설치함에 있어서, 배열의 양쪽 끝에는 인력발생부(20) 및 척력발생부(30) 중 서로 같은 종류가 대응하여 배열설치되게 함으로써, 이송대상물(50)의 안정적인 석션 그립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가운데 2개의 인력발생부(20)가 설치되면 양쪽 끝에는 각 2개의 척력발생부(30)가 대향되도록 배열설치되고, 가운데 3개의 척력발생부(30)가 설치되면 양쪽 끝에는 각 3개의 인력발생부(20)가 대향되도록 배열설치한다.
이와 같이 배열의 양쪽 끝에 인력발생부(20) 및 척력발생부(30) 중 같은 종류끼리 대향설치할 경우 이송대상물(50)의 양쪽 가장자리에 이송대상물(50)을 당기는 인력 또는 밀어내는 척력 등 동일한 힘이 작용하도록 하므로 이송대상물(50)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평행을 유지할 수 있다. 만일 인력발생부(20) 및 척력발생부(30) 배열의 양쪽 끝 중 한쪽에는 인력발생부(20)를 두고 다른 한쪽에는 척력발생부(30)를 둘 경우 이송대상물(50)의 한쪽 가장자리에는 이송대상물(50)을 당기는 인력이 작용하고 이송대상물(50)의 다른 쪽 가장자리에는 이송대상물(50)을 밀어내려는 척력이 작용하는 등 서로 반대되는 힘이 작용하므로 이송대상물(50)의 안정적인 평행 이송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는 비접촉 플레이트(10)에 배열설치된 인력발생부(20) 및 척력발생부(30)에 의해 인력과 척력을 동시발생하여 이송대상물(50)을 석션 그립핑함과 동시에 이송대상물(50)을 이송하기 위해 이송수단(40)이 설치된다. 이 이송수단(40)은 코안다 노즐(422)을 통해 유체를 한쪽 방향으로 토출하여 유체의 흐름에 의해 이송대상물(50)을 이송한다.
여기서, 이송수단(40)을 비접촉 플레이트(10)에 설치시 인력발생부(20) 및 척력발생부(30)의 동일 배열에 나란히 설치할 경우 인력발생부(20) 및 척력발생부(30)에서 토출되는 유체와 이송수단(40)에서 토출되는 유체가 충돌하여 인력과 척력의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도 1과 같이 인력발생부(20) 및 척력발생부(30)가 배열설치된 배열과 배열 사이 사이에 이송수단(40)을 설치하여 인력발생부(20) 및 척력발생부(30)와 이송수단(40)에서 토출되는 유체 간에 충돌이 일어나지 않으면서 이송대상물(50)을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과 동일한 구조의 인력을 발생하는 인력발생부(20)와 척력을 발생하는 척력발생부(30)를 배열설치하고 유체를 이송대상물(50)의 이송방향으로 토출하여 이송대상물(50)을 이송하는 이송수단(40)이 구비된 비접촉 플레이트(10)를 경사지게 설치한다.
즉, 유체가 토출되는 저면(11)이 이송대상물(50) 쪽을 향하도록 비접촉 플레이트(10)의 상면(12)을 좌우 중 어느 한쪽으로 수평의 지면과 예각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기울어지게 설치하여 인력발생부(20) 및 척력발생부(30)에서 비접촉 플레이트(10) 저면(11) 쪽으로 발생하는 인력과 척력에 의해 이송대상물(50)을 비접촉 플레이트(10)와 평행을 이루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부양하여 이송대상물(50)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기울어진 이송대상물(50) 하단 면에는 힘이 집중적으로 작용하므로 이송대상물(50)의 하단을 받쳐주면서 이송대상물(50)의 이송을 유도하는 이송롤러(60)를 설치한다. 물론 비접촉 플레이트(10)의 저면(11) 경사면과 이송대상물(50) 하단을 받쳐주는 이송롤러(60)는 이송대상물(50)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직각을 이룬다.
도 4는 도 1 내지 3의 인력발생부의 제1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력발생부(20)의 제1실시예는 진공패드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비접촉 플레이트(10)에 배열형성되는 결합공(21)과, 이 결합공(21) 상부와 연통되도록 비접촉 플레이트(10) 내부에 천공설치되는 유체공급로(22)와 결합공(21) 내부에 결합되는 노즐부재(23)로 구성된다.
즉, 결합공(21)은, 평면 곡면을 갖는 강철 또는 유연성 물체 등의 이송대상물(50)의 일면과 접할 경우 폐곡면을 형성하는 비접촉 플레이트(10)의 저면(11)과 직각을 이루는 수직면으로 형성되는 수직구간(211)과 비접촉 플레이트(10)의 저면(11)과 수직구간(211)을 연결하는 원호구간(212)으로 구성된다.
또한, 결합공(21)의 내부에 결합되는 노즐부재(23)는, 대략 깔때기(funnel) 형상의 노즐부(231)가 결합공(21)의 내벽을 따라 유체가 지나갈 수 있는 간격으로 설치되어 유체가 흐르는 코안다 노즐(232)을 형성하고 노즐부(231)의 상부로부터 상향으로 노즐목(233)이 연장형성된다.
한편,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를 가져오는 것은 비접촉 플레이트(10)의 저면(11)), 원호구간(212), 수직구간(211) 및 노즐부재(23) 이며, 비접촉 플레이트(10)의 저면(11)은 이송대상물(50)의 일면과 폐곡면을 이룬다.
또한, 비접촉 플레이트(10)의 저면(11)에 의해 형성되는 폐곡면에서 이송대상물(50)에 인력이 인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노즐부(231)를 비접촉 플레이트(10)의 저면(11) 보다 위쪽에 위치시켜 원호구간(212), 수직구간(211) 및 노즐부재(23)에 의해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코안다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구현하기 위해 노즐부(231)를 결합공(21)의 원호구간(212)과 수직구간(211)의 경계지점을 기준으로 수직구간(211)에 더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도록 한다.
결합공(21)과 연통되는 유체공급로(22)로 공급된 유체는 노즐부(231) 상부의 경사면을 따라 흐르다가 노즐부(231) 외주와 결합공(21)의 내벽 사이를 통과한 후 원호구간(212)을 따라 비접촉 플레이트(10)의 저면으로 흐름으로써 코안다 효과를 나타낸다.
코안다 효과란 유체가 만곡면을 따라 흐르는 효과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인력발생부(20)는 이러한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여 유체공급로(22)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결합공(21)의 원호구간(212)을 따라 흐르도록 유도함으로써 이송대상물(50)에 인력과 척력을 발생시킨다.
유체공급로(22)로부터 결합공(21)에 공급된 유체가 흐르면 이송대상물(50)과 결합공(21) 및 노즐부(231)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압력은 주위의 압력보다 낮게 형성되어 이 영역에서는 이송대상물(50)을 인력발생부(20)로 당기는 인력이 발생한다. 한편, 원호구간(212)을 거쳐 비접촉 플레이트(10)의 저면(11)으로 흐르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 이 부분의 압력은 주위의 압력보다 높게 형성된다. 즉, 유체가 원호구간(212)을 지나 비접촉 플레이트(10)의 저면(11)을 통과할 때 이 영역에서는 이송대상물(50)을 비접촉 플레이트(10)의 저면으로부터 밀어내려는 척력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는, 도 1과 같이 유체공급로(22)와 연결되는 유체주입호스(70)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를 이용하여 이송대상물(50)에 인력과 척력을 발생시켜 이송대상물(50)을 비접촉 상태에서 들어올려 수 있다.
도 5는 도 1 내지 3의 인력발생부의 제2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력발생부(20)의 제2실시예는 예각 경사구간(213)이 더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4의 인력발생부(20)의 제1실시예 구성과 동일하다.
즉 인력발생부(20)의 제2실시예는, 비접촉 플레이트(10) 내부에 배열설치되는 결합공(21)과 유체를 결합공(21)에 공급할 수 있도록 결합공(21)과 연통되도록 비접촉 플레이트(10) 내부에 천공되는 유체공급로(22)와 결합공(21)의 내부에 결합되는 노즐부재(23)로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결합공(21)은 이송대상물(50)의 일면과 접할 경우 폐곡면을 형성하도록 이송대상물(50)과 평행한 비접촉 플레이트(10)의 저면(11)과 직각을 이루는 수직면으로 형성되는 수직구간(211)과, 인력발생부(20)의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으로 상부가 수직구간(211)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비접촉 플레이트(10)의 저면(11)에 대해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의 폭이 좁아지고 중심선과 예각을 이루는 예각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예각 경사구간(213)과, 이 예각 경사구간(213)과 비접촉 플레이트(10)의 저면(11) 사이를 연결하는 원호면으로 이루어지는 원호구간(212)으로 구성된다.
노즐부재(23)는, 결합공(21)에 삽입설치되는 것으로서 둘레가 원호구간(212)과 서로 대향설치되어 유체공급로(22)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통과하는 코안다 노즐(232)을 형성하는 노즐부(231)와, 노즐부(231)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노즐목(233)으로 이루어진다.
예각 경사구간(213)은 결합공(21)의 중심에서 수직으로 중심선을 그었을 때 중심선과 이루는 각도가 직각보다 작은 예각을 이루는 예각 경사면으로서, 유체공급로(22)로 공급된 유체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예각 경사구간(213)과 원호구간(212)과 비접촉 플레이트(10)의 저면(11)을 따라 흐르게 된다. 예각 경사구간(213)은 결합공(21) 중심선과 이루는 각도가 90°이하의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인력발생부(20)의 제1실시예와 같이 결합공(21) 내벽이 수직구간(211)으로 이루는 구조일 때보다 유체의 이동거리가 짧아져 유체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도 1 내지 3의 인력발생부의 제3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력발생부(20)의 제3실시예는 노즐부재(23)의 노즐목(233)에 나사부(235)를 형성하여 이에 대응하는 결합공(21) 상부에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비접촉 플레이트(10)의 상면(12)에서 결합공(21) 쪽으로 노즐부재(23)를 결합할 수 있도록 노즐부재(23)의 노즐목(233) 상부에 나사머리(234)를 형성하고 이 나사머리(234) 아래에는 결합공(21)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공에 대응하여 나사결합되는 나사부(235)가 형성된다.
이때, 결합공(21)에 대응하는 비접촉 플레이트(10)의 상면(12)에 나사머리(234)가 안정적으로 안치될 수 있도록 나사머리(234)에 부합되는 스폿 페이싱(spot facing)이 형성되며 이 스폿 페이싱 중앙에는 결합공(21)과 연통되는 나사공을 형성하여 노즐부재(23)의 나사부(235)를 나사 결합할 수 있게 한다.
도 7은 도 1 내지 3의 인력발생부의 제4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력발생부(20)의 제4실시예는 노즐부재(23)의 노즐목(233) 상부에 나사부(235)를 형성하여 체결너트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비접촉 플레이트(10)의 저면(11)으로 관통되는 결합공(21) 속으로 노즐부재(23)의 노즐목(233) 상부에 형성되는 나사부(235)를 집어넣어 비접촉 플레이트(10)의 상면(12)으로부터 나사부(235)가 돌출되게 한 다음 나사부(235)에 체결너트를 결합하여 노즐부재(23)를 고정설치한다. 물론 결합공(21)에 대응하는 비접촉 플레이트(10)의 상면(12) 부위에는 결합공(21)과 연통되는 관통공을 뚫어 노즐목(233)의 나사부(235)가 비접촉 플레이트(10)의 상면(12)으로부터 노출되게 하여 나사부(235)에 대응하는 체결너트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도 1 내지 3의 인력발생부의 제5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력발생부(20)의 제5실시예는, 노즐부재(23)의 노즐부(231) 외주에 끝단이 결합공(21)의 내벽에 밀착되는 톱니(236)를 형성하여 톱니(236)와 톱니(236)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톱니(236)와 톱니(236) 사이의 공간면적이 넓을수록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이 증가하고, 톱니(236)와 톱니(236) 사이의 공간면적이 좁을수록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이 감소하는 등 톱니(236)와 톱니(236) 사이의 공간면적에 따라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반대로 노즐부(231) 외주에 대응하는 위치의 결합공(21) 내벽 둘레에 내벽과 일체로 형성되는 톱니(236)를 형성하여 톱니(236)의 끝단이 노즐부(231)에 외주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톱니(236)와 톱니(236)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도 9는 도 1 내지 3의 인력발생부의 제6실시예이고, 도 10은 도 9에 따른 지지부의 사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재(23)의 노즐목(233) 일단에 결합공(21) 내벽에 밀착되는 지지부(24)를 형성하여 노즐부재(23)가 결합공(21)의 정중앙에 설치되게 한다.
지지부(24)는, 노즐부재(23)의 결합공(21)의 정중앙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지지부(24)를 노즐목(233)의 어느 부위에 설치하여도 관계없으나 도 9와 같이 지지부(24)를 노즐부(231)의 바로 위의 노즐목(233) 하단부위에 설치하거나, 노즐목(233) 상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부(24)의 외주에는 도 10과 같이 톱니(241)를 형성하여 노즐부재(23)를 결합공(21)의 정중앙에 설치되게 함과 아울러 톱니(241)와 톱니(241)의 공간면적에 따라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때, 톱니(241)의 형상은 도 10과 같이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삼각 형태, 사각형태, 사다리꼴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 내지 3의 인력발생부의 제7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공(21)의 상부 중앙에 결합공(21)의 상부에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결합부(214)를 형성하여 이 결합부(214)에 노즐부재(23)를 결합한다.
결합부(214)는 2가 타입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결합부(214)가 결합공(21)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형성되면서 결합부(214)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타입과, 두 번째는 결합부(214)가 결합공(21)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형성되면서 결합부(214) 하단 내부에 나사공이 형성되는 타입이다.
첫 번째 타입의 결합부(214)일 경우 결합부(214)에 결합되는 노즐부재(23)는 노즐목(233) 상부에 나사부(235)가 형성된 것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노즐부재(23)의 결합방식은 결합공(21) 아래를 통해 노즐목(233)과 결합부(214)의 관통공이 일치되게 한 다음 노즐목(233) 상부의 나사부(235)가 비접촉 플레이트(10) 상면(12)으로 돌출되게 하여 나사부(235)에 체결너트를 결합한다.
두 번째는 타입의 결합부(214)일 경우 결합부(214)에 결합되는 노즐부재(23)는 노즐목(233)이 짧으면서 상부에 나사부(235)가 형성된 것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노즐부재(23)의 결합방식은 결합공(21) 아래를 통해 노즐목(233)의 나사부(235)와 결합부(214)의 나사공이 일치되게 한 다음 나사결합 한다. 이와 같이 나사방식으로 체결된 구조일 경우 노즐목(233)의 나사부(235)를 회전시켜 풀어주면 노즐부재(23)의 노즐부(231)가 하강하게 되고 노즐목(233)의 나사부(235)를 회전시켜 쪼여주면 노즐부재(23)의 노즐부(231)가 상승하는 등 노즐부(23)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예각 경사구간(213)이 구비된 결합공(21)일 경우 예각 경사구간(213)의 내경의 폭이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고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조이므로 나사부(235)를 풀어 노즐부(231)를 예각 경사구간(213) 내에서 하강하면 예각 경사구간(213)과 노즐부(231) 사이의 간격이 벌어져 많은 량의 유체가 통과하게 되고, 나사부(235)를 조여 노즐부(231)를 예각 경사구간(213) 내에서 상승하면 예각 경사구간(213)과 노즐부(231)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적은 량의 유체가 통과하게 된다.
한편, 결합공(21)에 결합부(214)가 형성되는 인력발생부(20)일 경우에는 결합부(214)의 양측으로 유체공급로(22)를 대향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유체공급로(22)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원형 또는 사각 등과 같은 각형일 수 있다.
도 12는 도 1 내지 3의 척력발생부의 제1실시예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척력발생부의 제1실시예는 핀홀 형태로서 핀홀을 통해 공급된 유체를 이송대상물(50)의 일면에 토출하여 이송대상물(50)의 석션 그립핑시 이송대상물(50)과의 비접촉 간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 내지 3의 척력발생부의 제2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척력발생부(30)의 제2실시예는 핀홀과 다른 척력형성부의 구조로서, 이송대상물(50)을 이송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고 이송대상물(50)과 비접촉 간격을 형성하는 저면 평탄부(311)를 가지며 하부 둘레가 라운드부(312)로 형성되는 코안다 바(31)와, 이 코안다 바(31)의 라운드부(312)보다 위에서 코안다 바(31) 외주를 따라 근접하게 설치됨으로 인해 형성되는 코안다 노즐(322)로 공급된 유체가 코안다 노즐(322)을 통해 코안다 바(31)의 라운드부(312)를 따라 이송대상물(50)에 토출되도록 하는 노즐블록(3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공급된 유체는 코안다 노즐(322)을 통해 코안다 바(31)의 라운드부(312)를 따라 흐르게 되고 이때 저면 평탄부(311)의 영역에는 이송대상물(50)을 밀어내는 척력이 발생하여 이송대상물(50)과의 비접촉 간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 내지 3의 이송수단의 확대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따른 이송수단의 사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수단(40)은 이송대상물(50)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법선 방향으로 형성된 입력단(411)을 가지며 이 입력단(411)의 하부가 전 구간에 걸쳐 라운드부(412)로 형성되는 이송블록(41)과, 이송대상물(50)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법선의 코안다 노즐(422)을 형성하도록 하단이 이송블록(41)의 저면 보다 위에서 입력단(411)을 따라 근접형성되고 코안다 노즐(422)을 통해 입력단(411) 외측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유체를 토출하여 유체가 입력단(411)의 라운드부(412)를 따라 이송블록(41)의 저면으로 흐르도록 유도함으로써 이송블록(41)에 대향하는 이송대상물(50)에 척력과 이송력을 동시에 부여하는 노즐블록(42)으로 구성된다.
노즐블록(42)은 이송블록(41)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송블록(41)은 이송대상물(50)의 이송방향을 따라 수평 설치되며 수평의 저면을 가진다. 또한, 이송블록(41) 중에서 유체가 토출되는 전단을 입력단(411)이라 할 때, 입력단(411)의 하부는 전구간이 라운드부(412)로 형성된다. 라운드부(412)의 곡률은 이송대상물(50)에 대한 척력과 이송력을 감안하여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노즐블록(42)은 수평의 저면을 가진 블록으로서, 하단이 이송블록(41)의 저면보다 위에서 이송블록(41)의 입력단(411)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이송대상물(50)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법선의 코안다 노즐(422)을 형성한다.
즉, 코안다 노즐(422)에는 유체를 공급하는 송풍기와 같은 유체공급수단이 연결된다. 유체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유체는 코안다 노즐(422)를 통해 입력단(411)에 접하는 방향으로 토출된다. 이때, 코안다 노즐(422)을 통해 토출되는 유체는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의해 입력단(411)의 라운드부(412)를 따라 이송블록(41)의 저면으로 흐르고 이 과정에서 이송블록(41) 저면과 이송대상물(50)의 상면 사이에 방향성을 가진 유체 층이 형성되면서 이송대상물(50)에 대하여 척력과 이송력이 동시에 부여된다.
*따라서, 코안다 노즐(422)을 통해 토출되는 유체가 코안다 효과에 의해 이송블록(41)의 저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흐르게 되므로 이송블록(41)의 아래의 이송대상물(50)에는 유체에 의한 충격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이송블록(41)과 이송대상물(50) 사이에는 인력과 척력이 작용하여 항상 일정한 비접촉 간격이 유지되어 안정된 비접촉 상태에서 이송대상물(50)을 이송할 수 있다.
도면상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이송블록(41)의 저면에는 코안다 노즐(422)과 평행하게 형성되면서 코안다 노즐(422)로부터 토출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유체흡입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체흡입구는 유체를 흡입할 수 있는 송풍기 등과 같은 유체흡입수단과 연결되어 이송중인 이송대상물(50)에는 코안다 노즐(422)을 통해 토출되는 유체에 의한 척력이 작용함과 동시에 이송대상물(50)에는 유체흡입구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유체에 의한 인력이 작용하므로 이송대상물(50)은 전체적으로 매우 안정된 상태에서 비접촉 간격을 갖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는, 비접촉 플레이트(10) 내부에 인력발생부(20) 및 척력발생부(30)를 배열설치하고 이 인력발생부(20) 및 척력발생부(30)의 배열과 배열 사이에 이송수단(40)을 설치함으로써, 비접촉 플레이트(10) 저면으로 인력과 척력을 발생하여 비접촉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송대상물(50)을 석션 그립핑함과 동시에 이송수단(40)으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에 의해 이송대상물(50)을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는 비접촉 플레이트(10) 내부에 배열설치된 인력발생부(20) 및 척력발생부(30)에 의해 인력과 척력이 동시에 발생하므로 들어 올려지는 이송대상물(50)과의 비접촉 간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이송대상물(50)이 비접촉 플레이트(10)와 충돌할 염려가 전혀 없다.
즉, 비접촉 플레이트(10) 내부에 교대로 배열설치된 인력발생부(20) 및 척력발생부(30)에서 이송대상물(50)을 당기는 인력과 이송대상물(50)을 밀어내는 척력이 교대로 이송대상물(50)의 전면에 고르게 작용하므로 이송대상물(50)을 석션 그립핑할 경우 이송대상물(50)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면서 비접촉 플레이트(10)와 충돌할 염려가 전혀 없다.
또한, 인력발생부(20)와 척력발생부(30)가 교대로 설치되면서 같은 종류끼리 1개 이상이 설치되기 때문에 더욱 강력한 인력과 척력을 발생할 수 있으며 인력발생부(20) 및 척력발생부(30)의 양쪽 끝에는 같은 종류가 설치되므로 이송대상물(50)이 비접촉 플레이트(10)와 평행으로 이루면서 안정적인 비접촉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대상물(50)이 석션 그립핑된 상태에서 이송수단(40)에서 유체가 토출되므로 이송대상물(50)이 이송방향으로 안전하게 이송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가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에서 경사진 비접촉 플레이트(10) 저면(11)의 인력발생부(20) 및 척력발생부(30)로 유체가 공급되면 인력발생부(20) 및 척력발생부(30)로 인력과 척력이 발생하여 경사진 비접촉 플레이트(10)의 저면과 평행을 이룬 상태로 이송대상물(50)이 부양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이송수단(40)에서 유체를 토출하여 이송대상물(50)을 경사진 상태로 이송한다. 이때 이송대상물(50)의 하단 면에는 이송롤러(60)가 설치되어 있어 이송대상물(50)이 이송롤러(60)를 미끄러지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를 경사지게 설치할 경우 수평으로 설치할 때의 설치 폭을 절반 이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도 1 내지 3의 인력발생부의 제1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공급로(22)를 통해 결합공(21) 내부로 유체가 공급되면 유체는 코안다 노즐(232)을 통해 원호구간(212)과 비접촉 플레이트(10)의 저면을 따라 흐르게 된다. 이때, 유체는 빠른 속도로 원호구간(212)을 이동하므로 노즐부(231)의 아래 영역에서는 진공상태가 이루어져 이송대상물(50)을 당기는 인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코안다 효과에 의해 이송대상물(50)을 끌어당길 수 있다.
도 5는 도 1 내지 3의 인력발생부의 제2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공급로(22)를 통해 결합공(21) 내부로 유체가 공급되면 유체는 코안다 노즐(232)을 통해 예각 경사구간(213)과 원호구간(212)과 비접촉 플레이트(10)의 저면(11)을 따라 흐르게 된다. 이때, 유체는 빠른 속도로 원호구간(212)을 이동하므로 노즐부(231)의 아래 영역에서는 진공상태가 이루어져 이송대상물(50)을 당기는 인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코안다 효과에 의해 이송대상물(50)을 끌어당길 수 있다. 이때, 예각 경사구간(213)은 유체의 이동거리가 짧게 하여 유체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도 1 내지 3의 인력발생부의 제3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코안다 효과에 의해 이송대상물(50)을 상향으로 당기는 인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결합공(21)에 노즐부재(23)를 결합시 비접촉 플레이트(10) 상면(12)에 형성된 스폿 페이싱 중앙의 나사공에 노즐부재(23)를 밀어넣어 나사공과 노즐목(233)의 나사부(235)를 일치시켜 체결한다.
이와 같이 노즐부재(23)의 노즐목(233) 상부에 나사머리(234)를 만들고 그 아래에 나사부(235)를 형성할 경우 노즐부재(23)를 결합공(21)에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다.
결합공(21)에 노즐부재(23)를 결합 후 나사머리(234)는 스폿 페이싱 내부에 위치되므로 다른 장치와의 간섭의 우려가 전혀 없다.
도 7은 도 1 내지 3의 인력발생부의 제4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코안다 효과에 의해 이송대상물(50)을 상향으로 당기는 인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비접촉 플레이트(10) 상면(12)에 결합공(21)과 연통되는 관통공을 천공하여 결합공(21)에 노즐부재(23)를 결합시 노즐부재(23)를 결합공(21) 하부로 밀어넣어 노즐목(233) 상부의 나사부(235)가 관통공을 통과하게 한 다음 나사부(235)에 체결너트를 결합하여 노즐부재(23)의 결합을 완성한다.
도 8은 도 1 내지 3의 인력발생부의 제5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재(23)의 노즐부(231) 외주에 끝단이 결합공(21) 내벽에 밀착되는 톱니(236)를 형성하여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톱니(236)와 톱니(236) 사이의 공간면적이 넓을 경우 유체의 통과 유량이 많아지고 톱니(236)와 톱니(236) 사이의 공간 면적이 좁을 경우 유체의 통과 유량이 적어진다.
도 9는 도 1 내지 3의 인력발생부의 제6실시예이고, 도 10은 도 9에 따른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재(23)가 코안다 효과를 통해 양질의 인력을 발생하기 위해서는 결합공(21) 정중앙에 노즐부(231)가 위치하도록 노즐부재(23)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노즐부(231)의 외주중 어느 일정 부위가 결합공(21) 내벽에 치우치면 유체의 통과 유량이 다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즐목(233) 일단에 지지부(24)를 형성하여 결합공(21)에 노즐부재(23)를 결합시 지지부(24)의 끝단이 결합공(21) 내벽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노즐부(231)가 결합공(21)의 정중앙에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지지부(24)의 외주에 톱니(241)를 형성하여 톱니(241)의 끝단이 결합공(21) 내벽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노즐부(231)가 결합공(21)의 정중앙에 위치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톱니(241)와 톱니(241)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체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 내지 3의 인력발생부의 제7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공(21) 중앙에 결합부(214)를 형성하여 여기에 노즐목(233)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노즐목(233)의 결합방식은 노즐목(233) 상부에 나사부(235)를 형성하여 이 나사부(235)가 결합부(214) 내부를 지나 비접촉 플레이트(10) 상면(12)으로 돌출되게 한 다음 나사부(235)에 체결너트를 결합하는 방식과, 결합부(214) 하단 내부에 노즐목(233) 상부에 형성되는 나사부(235)에 대응하는 나사공을 형성하여 결합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때에는 노즐부(231)가 결합공(21) 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노즐목(233)을 짧게 제작한다.
도 12는 도 1 내지 3의 척력발생부의 제1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척력발생부(30)를 핀홀의 구멍 형태로 형성하여 핀홀을 통해 유체를 토출함으로써 이송대상물(50)을 밀어내는 척력을 발생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 내지 3의 척력발생부의 제2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척력발생부(30)를 척력형성부로 형성하여 이송대상물(50)에 유체를 토출함으로써 이송대상물(50)을 밀어내는 척력을 발생할 수 있다.
즉, 척력형성부 내부로 유체가 공급되면 공급된 유체는 코안다 바(31)와 노즐블록(32) 사이의 코안다 노즐(322)을 통과하여 코안다 바(31)의 라운드부(312)를 따라 저면 평탄부(311) 아래로 작용하여 이송대상물(50)을 밀어내는 척력을 발생한다.
도 14는 도 1 내지 3의 이송수단의 확대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따른 이송수단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수단(40)으로 유체가 공급되면 유체는 코안다 노즐(422)을 통해 입력단(411)의 라운드부(412)를 따라 이송블록(41) 저면으로 흐른다.
이와 같은 유체의 흐름에 따라 이송대상물(50)이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는, 비접촉 플레이트 내부에 인력발생부 및 척력발생부를 배열설치하여 이송대상물에 대해 인력과 척력이 동시에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이송대상물의 비접촉 이송시 이송대상물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없이 평행을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이송대상물의 떨림 현상 없이 이송수단에서 토출된 유체에 의해 이송대상물을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어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 분야에 널리 활용될 것이다.

Claims (14)

  1. 저면이 이송대상물의 상면과 평행으로 설치되는 비접촉 플레이트와;
    상기 비접촉 플레이트 내부에 배열설치되는 것으로서 토출되는 유체에 의해 이송대상물 쪽으로 인력과 척력을 동시에 발생하여 이송대상물의 비접촉 이송시 이송대상물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 지지않고 비접촉 플레이트와 평행을 이룬 상태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인력발생부 및 척력발생부와;
    상기 비접촉 플레이트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력발생부의 인력발생과 척력발생부의 척력발생에 지장을 주지않도록 인력발생부와 척력발생부가 배열설치되는 배열과 배열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토출하는 유체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이송대상물을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력발생부와 척력발생부를 교대로 배열설치하되, 인력발생부 또는 척력발생부는 같은 종류끼리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반복설치되며 인력발생부 및 척력발생부의 배열 양쪽 끝에는 인력발생부 또는 척력발생부 중 서로 같은 종류가 대응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는, 비접촉 플레이트의 상면이 수평의 지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좌, 우중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로 설치되어 인력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인력과 척력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척력에 의해 이송대상물을 비접촉 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기울어진 상태로 부양함과 동시에 이송수단에서 유체를 토출하여 이송대상물을 유체 토출방향으로 이송하며 이송대상물의 하단 부위에는 이송대상물의 하단면을 지지하면서 이송대상물의 이송을 돕는 이송롤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력발생부는,
    상기 이송대상물의 일면과 접할 경우 폐곡면을 형성하도록 이송대상물과 평행한 비접촉 플레이트의 저면과 직각을 이루는 수직면으로 형성되는 수직구간과, 상기 비접촉 플레이트의 저면과 수직구간 사이를 연결하는 원호면으로 이루어지는 원호구간으로 구성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도록 비접촉 플레이트 내부에 천공되는 유체공급로와;
    상기 결합공에 삽입설치되는 것으로서 둘레가 원호구간과 서로 대향설치되어 유체공급로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통과하는 코안다 노즐을 형성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노즐목으로 이루어지는 노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력발생부는,
    상기 이송대상물의 일면과 접할 경우 폐곡면을 형성하도록 이송대상물과 평행한 비접촉 플레이트의 저면과 직각을 이루는 수직면으로 형성되는 수직구간과, 상기 비접촉 플레이트의 저면에 대해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의 폭이 좁아지고 중심선과 예각을 이루는 예각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예각 경사구간과, 상기 예각 경사구간과 비접촉 플레이트의 저면 사이를 연결하는 원호면으로 이루어지는 원호구간으로 구성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도록 비접촉 플레이트 내부에 천공되는 유체주입구와;
    상기 결합공에 삽입설치되는 것으로서 둘레가 원호구간과 서로 대향설치되어 유체공급로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통과하는 코안다 노즐을 형성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노즐목으로 이루어지는 노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노즐목 상부에는 나사머리가 구비되고 이의 바로 아래에 결합공 상부에 형성된 나사공과 대응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
  7.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노즐목 상부에는 비접촉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체결너트에 의해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
  8.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 하부 둘레에는 끝단이 결합공의 내벽에 밀착되는 톱니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
  9.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노즐목의 일단에는 노즐부재가 결합공의 정중앙에 설치되도록 외주 끝단이 결합공의 내벽에 밀착되는 지지부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외주에는 끝단이 결합공 내벽에 밀착되는 톱니가 형성됨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
  11.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의 중앙에는 결합공의 상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부를 형성하여 이 결합부 내부에 노즐부재의 노즐목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척력발생부는, 이송대상물에 유체를 토출하여 척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핀홀 또는 척력형성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척력형성부는,
    상기 이송대상물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고 이송대상물과 비접촉 간격을 형성하는 저면 평탄부를 가지며, 하부 둘레가 라운드부로 형성되는 코안다 바와;
    상기 코안다 바의 라운드부보다 위에서 코안다 바 외주를 따라 근접하게 설치됨으로 인해 형성되는 코안다 노즐로 공급된 유체가 이 코안다 노즐을 통해 코안다 바의 라운드부를 따라 이송대상물에 토출되도록 하는 노즐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이송대상물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법선 방향으로 형성된 입력단을 가지며 이 입력단의 하부가 전 구간에 걸쳐 라운드부로 형성되는 이송블록과;
    상기 이송대상물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법선의 코안다 노즐을 형성하도록 하단이 이송블록의 저면 보다 위에서 입력단을 따라 근접형성되고, 상기 코안다 노즐을 통해 입력단 외측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유체를 토출하여 유체가 입력단의 라운드부를 따라 이송블록의 저면으로 흐르도록 유도함으로써 이송블록에 대향하는 이송대상물에 척력과 이송력을 동시에 부여하는 노즐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
PCT/KR2010/004314 2010-06-04 2010-07-02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 WO201115258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817A KR101293289B1 (ko) 2010-06-04 2010-06-04 비접촉식 이송장치
KR10-2010-0052817 2010-06-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52587A1 true WO2011152587A1 (ko) 2011-12-08

Family

ID=45066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4314 WO2011152587A1 (ko) 2010-06-04 2010-07-02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93289B1 (ko)
WO (1) WO201115258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31068A (zh) * 2014-12-24 2016-07-06 炭研轴封精工有限公司 非接触输送装置和非接触吸附盘
TWI562945B (en) * 2015-11-23 2016-12-21 Mirle Automation Corp Transportation jig for transporting a plate member
TWI562947B (en) * 2015-05-11 2016-12-21 Mirle Automation Corp Transportation jig for transporting a plate memb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25251B (zh) * 2019-12-20 2023-12-11 由田新技股份有限公司 具有吸附滾輪的真空輸送設備、以及其光學檢測設備、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7155A1 (fr) * 2000-12-05 2002-06-13 Nippon Pneumatics/Fluidics System Co., Ltd. Support
JP2006264804A (ja) * 2005-03-22 2006-10-05 Daiichi Shisetsu Kogyo Kk 大型フラットパネルの浮上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非接触搬送装置
KR20070037741A (ko) * 2004-07-09 2007-04-06 오씨 외를리콘 발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가스 베어링 기판-로딩 기구 프로세스
KR20070109222A (ko) * 2006-05-10 2007-11-15 이기선 공기부양식 평판 이송장치
KR20100058149A (ko) * 2008-11-24 2010-06-03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수직형 기판 이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290B1 (ko) * 2005-11-23 2006-11-27 (주)넥스트인스트루먼트 비접촉 반송플레이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7155A1 (fr) * 2000-12-05 2002-06-13 Nippon Pneumatics/Fluidics System Co., Ltd. Support
KR20070037741A (ko) * 2004-07-09 2007-04-06 오씨 외를리콘 발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가스 베어링 기판-로딩 기구 프로세스
JP2006264804A (ja) * 2005-03-22 2006-10-05 Daiichi Shisetsu Kogyo Kk 大型フラットパネルの浮上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非接触搬送装置
KR20070109222A (ko) * 2006-05-10 2007-11-15 이기선 공기부양식 평판 이송장치
KR20100058149A (ko) * 2008-11-24 2010-06-03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수직형 기판 이송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31068A (zh) * 2014-12-24 2016-07-06 炭研轴封精工有限公司 非接触输送装置和非接触吸附盘
CN105731068B (zh) * 2014-12-24 2019-05-21 炭研轴封精工有限公司 非接触输送装置和非接触吸附盘
TWI562947B (en) * 2015-05-11 2016-12-21 Mirle Automation Corp Transportation jig for transporting a plate member
TWI562945B (en) * 2015-11-23 2016-12-21 Mirle Automation Corp Transportation jig for transporting a plate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212A (ko) 2011-12-12
KR101293289B1 (ko) 201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27395A1 (ko) 이차 전지 제조 설비 및 이를 사용한 이차 전지 제조 방법
WO2020226316A1 (en)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icro led display using the same
WO2019212117A1 (ko) 케미컬 용기 자동이송장치 및 자동이송방법
WO2011152587A1 (ko) 진공패드를 이용한 비접촉 이송장치
WO2012124952A2 (ko) 사막기후 환경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
WO2020242055A1 (ko) 하이브리드 스틱 마스크와 이의 제조 방법, 하이브리드 스틱 마스크를 포함하는 마스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222445A1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WO2020141652A1 (ko) 잉크젯 프린팅 장치, 쌍극자 정렬 방법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WO2018084430A1 (ko) 관정용 이음매와 파이프의 용접 시스템
WO2015167276A1 (ko) 필름부착장치
WO2018088622A1 (ko) 가변기능을 갖는 종이판재용 접이 시스템 및 가변방법
WO2017078433A1 (ko)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코팅 강판의 제조장치
WO2018074735A1 (ko) 케이싱 및 드릴파이프의 자동교체 방법 및 이를 포함한 시추기
WO2014182088A9 (ko) 가스 공급 장치
WO2019194327A1 (ko) 웨이퍼 수납용기
WO2019066126A1 (en) CURVED DISPLAY PANEL CONNECTING APPARATUS
WO2021167172A1 (ko) 잉크젯 프린팅 장치, 이를 이용한 잉크젯 헤드의 검사 방법
WO2018199363A1 (ko) 물품 검사 방법 및 물품 검사 장치
WO2022005033A1 (ko) 잉크젯 프린팅 장치
WO2020122310A1 (ko) 케미컬 공급을 위한 록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케미컬 자동공급장치
WO2022240069A1 (ko) 모터 고정자 함침 장치 및 시스템
WO2021242009A1 (ko) 매트리스 자동 살균 장치
WO2010137810A2 (ko) 싱글볼 가공장치의 수평방식의 헤드부
WO2019194326A1 (ko) 웨이퍼 수납용기
WO2013191471A1 (ko) 원자층 증착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525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2/02/2013)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8525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