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216581A1 - 그리스트랩 - Google Patents

그리스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216581A1
WO2019216581A1 PCT/KR2019/005030 KR2019005030W WO2019216581A1 WO 2019216581 A1 WO2019216581 A1 WO 2019216581A1 KR 2019005030 W KR2019005030 W KR 2019005030W WO 2019216581 A1 WO2019216581 A1 WO 201921658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ilter
frame
inlet
spac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503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종구
Original Assignee
Kang Jong Goo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Kang Jong Goo filed Critical Kang Jong Goo
Publication of WO201921658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21658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te lab for filtering food waste contained in sewage generated in a kitchen,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the collection and collection efficiency of animal fats and oils and fine debris contained in food waste, thereby improving filtration performance.
  • it is related to the gratelab, which is simple in structure and can realize economic benefits by improving productivity.
  • sewage generated during cooking and dishwashing in kitchens of ordinary households and restaurants includes food waste and animal and vegetable fats and oils.
  • Such sewage is adsorbed (adhered) to animal and vegetable oils and fine debris on the pipe wall of the drain pipe in the process of drainage to the drain pipe, so that the pipe is narrowed and the drainage is not made smoothly. Results in.
  • gratelabs are proposed to thoroughly prevent oils and oils having high adsorption to drain pipes from flowing into drain pipes. It's happening.
  • the gratelab is one of the means to filter and adsorb the solids and fats and oils of the waste food in the sink, and is based on a stainless steel adsorption plate with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high rigidity, and adds a filtering network and an adsorption cloth to it.
  • Built-in structure has a structure to be adsorbed or filtered fat, debris efficiently.
  •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3-0023543 as is known in the publication, the food waste contained in the kitchen waste water is first filtered out, and the oil contained in the waste water is secondly separated and discharged to the drain pipe.
  • the strap is described.
  •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7-0112595 as known in the publication, a grate lab is described in which a fat or oil contained in sewage is adsorbed and removed by an adsorption sheet provided at a drain port side in a case.
  •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1-0004139 the sewage containing the fat and food waste is temporarily stored in a separation tank consisting of a strainer and a partition to separate the solid residue first,
  • a separation tank consisting of a strainer and a partition to separate the solid residue first
  • There is a gratelab having an electric fat and oil recovery machine that separates water and fats and oils by using a specific gravity difference in a second way and touches the fats and oils which have floated on the water surface in the separation tank.
  •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40184 as is known in the publication, the sewage containing fats and solid food wastes is temporarily stored in a separation tank provided with a strainer and a bulkhead, and the solid wastes are first stored in the strainer.
  • Water and fats and oils are separated by using a specific gravity difference, and oil and fat recovery unit, ozone generator, and aeration system are installed in the separation tanks by contact-type filtering of fats and oils.
  • a device for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and separate collection of water and fats and oils is described.
  • Patent Document 000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112595
  • Patent Document 0002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1-0004139
  • Patent Document 0003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23543
  • Patent Document 0004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40184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collection and collection efficiency of animal and vegetable fats and oils contained in food waste to maximize the filtration performance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collection and collection efficiency of animal and vegetable fats and oils contained in food waste to maximize the filtration performance
  • it is, in particular, to provide a gratelab in which the structure is simple so that economic productivity can be realized by improving productivity.
  • the inlet is provid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the top is open and the sewage is introduced into one side, the drainage outle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inlet and the A main body provided with a space portion each having a drainage port;
  • the grate wrap comprising a filtration means detachable to the space portion of the main body to filter the solids contained in the sewag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to drain the sewage to the drain;
  • the filtration means is arranged so as to separately partition the space between the inlet and the drain in the space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adsorption cloth is embedded therei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to maintain in the sewage that is moved through the through holes
  • An adsorption plate having a 'plate' shape for adsorbing and collecting powder and fines;
  • a filter frame having a pair of fixed frame frames disposed therebetween with a gap therebetween such that the suction plates are vertically fitted therein,
  • the grate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us achieved has the effect of implementing economical benefits by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improving productivity.
  • FIG. 1 is a schematic illustration showing a grate wr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schematic illustration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grate wra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ration frame constituting the filtration means applied to the grate wra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FIG. 4 and 5 is a schematic illustration showing a filtration means applied to the grate wra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6 to 9 is a schematic illustration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iltering means applied to the grate wra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FIG. 10 is a schematic illustration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filtration means applied to the grate wra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11 and 12 are schematic illustration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iltering means applied to the grate wra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FIG. 13 and 14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filtration means applied to the grate wra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nlet 21 through which the upper part is opened and the sewage flows in one side, and a drain hole 22 through which the sewage is discharged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inlet 21 and the drain port 22 are formed.
  • a main body 2 having a space portion each having; It comprises a filtration means (3) detachably attached to the space portion of the main body (2) to filter the solids contained in the sewag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1) to drain the sewage to the drain (22);
  • the filtering means 3 is arranged to spatially partition the space between the inlet 21 and the drain 22 in the space of the main body 2, and the suction cloth is embedd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 An 'plate' shaped suction plate 31 formed to adsorb and collect fats and oils from sewage that is formed and moved through the through holes;
  • a pair of fixed frame frames 321 are disposed to have a space therebetween, and the suction plate 31 is vertically fitted therein, and extends out
  • the support frame 322 dis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drain port 22 has a pair of split paper fram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space between the filter filters 35 coupled to the drain port 22.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s of.
  •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shap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more clea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members in each drawing are sometimes shown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are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 1 to 5 is a view showing a grate wr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te wrap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d draining sewage generated in the kitchen It is applied to promote hygiene for the kitchen environment by filtering foreign matter and fine debris contained in the sewage during the movement path of the sewage to prevent adhesion of foreign substances to the inside of the drainage pipe.
  • the grate wrap 1 has an inlet 21 through which an upper portion is opened and sewage is introduced into one side thereof, and a drain hole 22 through which the sewage is discharged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thereof. ) And a main body 2 provided with a space portion each having the drain port 22.
  • a bib formed to be stepped on the upper inn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2 is seated so that a cover not shown is seated.
  • the grate wrap 1 which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space part of the main body 2 and filters the solids contained in the sewag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1 to sewage to the drain 22. It comprises a filtering means (3) to drain the.
  • the filtration means (3) to filter the solids contained in the sewage that is mov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main body (2).
  • the filtering means 3 is spaced between the inlet port 21 and the drain port 22 in the space of the main body 2.
  • Adsorbent plate 31 is arranged to be divided into a partition and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plate' shaped adsorption plate 31 to collect and collect the fat and oil from the sewage that is moved through the through holes and;
  • a pair of fixed frame frames 321 are disposed to have a space therebetween, and the suction plate 31 is vertically fitted therein, and extends outwardly from both ends of the fixed frame frames 321, respectively. It comprises a; filter frame 32 having a support frame 322 to be.
  • the suction plate 31 is vertically fitted into the vertical space between the fixing frame 321 of the filter frame 32 to partition the space portion of the main body 2, the inlet 21
  • the oil and fine particles are filtered through the adsorption cloth while being moved through the through-holes of the adsorption plate 31.
  • two adsorption plates 31 are fitted to each of the four sets of two fixed frame frames 321 and are arranged while having a parallel direction with the interval therebetween. It is most desirable to improve this.
  • the handle 323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hold by hand, it is preferable to facilitate the detachable operation of the filter frame (32).
  • the filtration means 3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ration frame 32 to filter the fat and oil contained in the sewage to filter the filtration frame 32 It further comprises a filter net (33) that is not discharged fats and oils to the outside of the).
  • the sewag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1 does not leak oil and fines to the outside by the strainer 33 fixed to the filter frame 32.
  • animal and vegetable fats and oils contained in food waste are collected and collected through the adsorption plate 31 and the strainer 33, respectively, to maximize filtration performance.
  • the structure is simple and has the effect of realizing economic benefits by improving productivity.
  • the upper end of the strainer (33)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xing bands 331, which are banded to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frame 32 to be detachable.
  • the solids of the food waste are filtered out on the inner wall and the bottom, and only the fines, fats and oils and sewage flow out. It is preferred that a trough 34 formed with a plurality of apertures is arranged to filter bulky solids.
  • the catching tank 34 is most preferably formed of a stainless steel perforated plate having strong water resistance and oil resistance, and an outwardly extending jaw extending in the outward direction is preferably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end.
  • the catching tank 34 is detachable so that it can be used for subsequent food waste treatment by emptying and reloading the solids after the oil is collected or adsorbed and dehydrated for food waste, and taken out of the main body 2. It is preferably formed.
  • the trapping tank 34 is the support frame 322 on the inlet 21 side among the support frames 322 of the filter frame 32. It is preferable that the sewage supplied from the inlet 21 is accommodated while freely falling.
  • the inner periphery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tank 34 is wrapped in a separate fine mesh may be to filter the fine solids, it is most preferably applied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 the drain hole 22 of the main body 2 includes a filtration filter 35 configured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by applying a conventionally known technique.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filter the ultrafine solids contained in the sewage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grate wrap 1 which is made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a drainage facility of a general household sink or a restaurant and is filtered before draining sewage to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drainage pipe and protecting the environment. Applies to
  • the grate wrap 1 is filtered by receiving the wastewater generated through the inlet 21 of the main body 2, and the sewag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1 is freely dropped. It is accommodated in the trap tank 34, after filtering the solids of a volume larger than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filter tank 34, it is led to the lower portion.
  • the sewage in which the solids are filtered first is guided toward the drain port 22 through the through holes of the suction plate 31; After the adsorption cloth provided in the adsorption plate 31, the fat and oil are secondarily caught, and the filtered sewage passes through the adsorption plate 31, and then the filtration filter provided in the drain 22. After tertiary filtration by 35, it is drained to the outside.
  • the oils and fines contained in the sewage ar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ing means 3 by the strainer 33, so that the inner wall and the bottom of the main body 2 are prevented. Oils and debris adhere to the cotton to prevent contamination.
  • FIG. 6 to 9 show another example of the filtration means 3 constituting the grate wrap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rein the support frame 322 disposed in the inlet 21 side direction is
  • the trapping tank 34 is placed on the upper end of the trapping tank 34 is made to have a height to be located below the inlet 21.
  • the trap 34 is installed while ensuring a stable position inside the main body 2.
  • the support frame 322 disposed in the drain outlet 22 side direction has a space in which the filtration filter 35 coupled to the drain outlet 22 is located. It consists of a pair of divided support frames formed spaced apart by the interval.
  • the filtration filter 35 is stably disposed between the divided support frames.
  • the strainer (33) can be installed and applied while covering to cover the bottom, outer and upper sides of the divided support frame;
  • the strainer 33 may be installed to surround the filtration filter 35 while closing the bottom and the outside of each split support frame. It is preferable to apply accordingly.
  • FIG. 11 and 12 show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filtration means 3 constituting the grate wrap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the filtration frame 32 the four sets of two fixed frame frames On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321), a fastening nut tube (5) having a thread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is provided, and a support leg (4) provided with a screw rod (6) screwed to the fastening nut tube (5) at the upper end thereof. Is coupled, it can b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filter frame relativ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 the filtration means 3 constituting the grate wrap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installed even when there is a seating jaw formed in the conventional grate wrap body, and when the grate wrap body is newly processed, It does not need to form a jaw, which can improve workability and cost, as well as increase productivity and work efficiency, and can be applied to all existing products.
  • FIG. 13 and 14 are views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upport leg 4 constituting the filtering means 3, it is preferable to apply the length of the screw rod 5,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
  • a packing is attached to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filter frame (32) to be closely inserted into the main body (2) inner space So that the filthy water flows into the gap between the main body 2 and the filter frame 32 to prevent the fine debris contained in the filthy water is not adsorbed on the wall of the main body, it is preferable to apply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
  • the grate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and improves productivity, thereby realizing economic benefits, and collecting animal and vegetable fats and fines contained in food waste through suction plates and strainers, respectively. And by maximizing the filtration performance by collecting,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iltration quality of sewage is an invention of high industrial applic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동식물성 유지분 및 미세찌꺼기의 포집 및 수거효율을 향상시켜 여과성능을 극대화하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일측에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바닥면 일측부위에 오수가 배출되는 배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수구를 각각 가지는 공간부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서 상기 탈부착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오수에 함유된 고형물을 여과하여 상기 배수구로 오수를 배수하도록 된 여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그리스트랩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단은,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서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수구의 사이를 공간적으로 각각 분할구획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흡착포가 내장되며 다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들을 통해 이동되는 오수에서 유지분과 미세찌꺼기를 흡착 포집하도록 된 '판(板;plate)' 형상의 흡착판과;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배치되어 내부에 상기 흡착판이 수직상으로 끼움결합하도록 된 한 쌍의 고정프레임틀과, 상기 고정프레임틀들의 양단에서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는 지지프레임들을 가지는 여과틀과; 상기 여과틀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오수에 함유된 유지분과 미세찌꺼기를 여과하여 상기 여과틀의 외측으로 유지분과 미세찌꺼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된 걸름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그리스트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그리스트랩
본 발명은, 주방에서 발생하는 오수에 포함된 음식쓰레기를 여과시키는 그리스트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동식물성 유지분 및 미세찌꺼기의 포집 및 수거효율을 향상시켜 여과성능을 극대화하도록 됨은 물론, 특히,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된 그리스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가정 및 식당의 주방에서의 조리, 식기세척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수에는 음식물찌꺼기, 동식물성 유지분이 포함된다.
이러한 오수는 배수관으로 배수하는 과정에서 배수관의 관벽에 동식물성 유지분 및 미세찌꺼기들이 흡착(점착)되어 관로가 좁아져 배수가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은 물론, 최종적으로 관로를 폐쇄하여 배수가 불가능한 상태를 초래한다.
아울러, 배수관의 관벽에 흡착된 유지분 등이 부패되면서 악취가 발생함과 [0004] 더불어, 각종 병원균의 서식처가 되어 비위생적인 환경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근자에는 주방 오수로 인한 악취, 병원균의 서식과 같은 부작용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관에 대하여 흡착력이 큰 유지분 및 초미세 찌꺼기가 배수관으로 흘러나가지 못하게 철저히 방지할 수 있는 그리스트랩들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에서 그리스트랩은, 싱크대 내 폐음식물의 고형분, 유지분을 거르고 흡착하는 데 적용되는 수단의 하나로, 내식성이 우수하고 강성이 큰 스테인레스강판제 흡착판을 근간으로 하고, 여기에 여과망, 흡착포 등을 추가 내장하여 효율높게 유지분, 미세찌꺼기가 흡착 또는 여과되도록 된 구조를 가진다.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3-0023543호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1차로 주방 오폐수에 포함된 음식물찌꺼기를 걸러내고, 2차로 오폐수에 함유된 유지분을 분리하여 배수관으로 배출되도록 한 그리스트랩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07-0112595호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케이스 내의 배수구측에 비치된 흡착시트로 하수에 포함된 유지분을 흡착해 제거하도록 한 그리스트랩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1-0004139호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유지분과 음식물 찌꺼기가 포함된 하수를 걸름망과 격벽으로 이뤄진 분리조에 일시 저장하여 1차로 고형물 찌꺼기를 분리하고, 2차로 비중차를 이용하여 물과 유지분을 분리하되 상기 분리조 내에 수표면으로 떠오른 유지분을 접촉식으로 걸러내는 전동식 유지분 회수기를 구비한 그리스트랩이 기재되어 있다.
아울러,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40184호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유지분과 고형 음식물 찌꺼기가 포함된 하수를 걸름망과 격벽이 설치된 분리조에 일시 저장하다가 1차적으로는 걸름망으로 고형물 찌꺼기를 분리하고, 2차적으로는 비중차를 이용하여 물과 유지분이 분리하며, 분리조에는 수표면으로 떠오른 유지분을 접촉식으로 걸러내는 유지분 회수기와 오존발생기, 폭기장치를 설치하여 분리조내 하수의 살균과 탈취, 물과 유지분을 분리 수거토록 된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선행기술 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07-0112595호
(특허문헌 0002) 한국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1-0004139호
(특허문헌 0003) 한국특허공개번호 10-2013-0023543호
(특허문헌 0004)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40184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그리스트랩들은, 장비가 워낙 고가인 데다 유지보수비도 감당키 어려워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동식물성 유지분 및 미세찌꺼기의 포집 및 수거효율을 향상시켜 여과성능을 극대화하도록 됨은 물론, 특히,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된 그리스트랩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그리스트랩은, 상부가 개방되며 일측에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바닥면 일측부위에 오수가 배출되는 배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수구를 각각 가지는 공간부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탈부착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오수에 함유된 고형물을 여과하여 상기 배수구로 오수를 배수하도록 된 여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그리스트랩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단은,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서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수구의 사이를 공간적으로 각각 분할구획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흡착포가 내장되며 다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들을 통해 이동되는 오수에서 유지분과 미세찌꺼기를 흡착 포집하도록 된 '판(板;plate)' 형상의 흡착판과;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배치되어 내부에 상기 흡착판이 수직상으로 끼움결합하도록 된 한 쌍의 고정프레임틀과, 상기 고정프레임틀들의 양단에서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는 지지프레임들을 가지는 여과틀과; 상기 여과틀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오수에 함유된 유지분과 미세찌꺼기를 여과하여 상기 여과틀의 외측으로 유지분과 미세찌꺼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된 걸름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그리스트랩은,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동식물성 유지분 및 미세찌꺼기를 흡착판 및 걸름망을 통해 각각 포집 및 수거하여 여과성능을 극대화함으로써, 오수의 여과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에 적용되는 여과수단을 구성하는 여과틀을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에 적용되는 여과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에 적용되는 여과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에 적용되는 여과수단의 또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에 적용되는 여과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에 적용되는 여과수단의 또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며 일측에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1)가 구비되고, 바닥면 일측부위에 오수가 배출되는 배수구(22)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21)와 상기 배수구(22)를 각각 가지는 공간부가 구비된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공간부에 탈부착되며 상기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 오수에 함유된 고형물을 여과하여 상기 배수구(22)로 오수를 배수하도록 된 여과수단(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여과수단(3)은, 상기 본체(2)의 공간부에서 상기 유입구(21)와 상기 배수구(22)의 사이를 공간적으로 각각 분할구획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흡착포가 내장되며 다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들을 통해 이동되는 오수에서 유지분과 미세찌꺼기를 흡착 포집하도록 된 '판(板;plate)' 형상의 흡착판(31)과;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배치되어 내부에 상기 흡착판(31)이 수직상으로 끼움결합하도록 된 한 쌍의 고정프레임틀(321)과, 상기 고정프레임틀(321)들의 양단에서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는 지지프레임(322)들을 가지는 여과틀(32)과; 상기 여과틀(32)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오수에 함유된 유지분과 미세찌꺼기를 여과하여 상기 여과틀(32)의 외측으로 유지분과 미세찌꺼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된 걸름망(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그리스트랩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22)측 방향에 배치된 상기 지지프레임(322)은, 상기 배수구(22)에 결합된 여과필터(35)가 위치되는 공간을 사이간격으로 하여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분할지 지틀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을 보인 도면으로, [0020]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1)은, 주방에서 발생되는 오수를 공급받아 배수하는 과정에서 오수의 이동경로 중에 오수에 함유된 유지분 및 미세찌꺼기를 걸름여과하여 배수관로의 내부에 이물질이 점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주방환경에 대한 위생을 도모하는 것에 적용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1)은, 상부가 개방되며 일측에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1)가 구비되고 바닥면 일측부위에 오수가 배출되는 배수구(22)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21)와 상기 배수구(22)를 각각 가지는 공간부가 구비된 본체(2)를 가진다.
즉, 상기 유입구(21)를 통해 오수가 유입된 후 상기 배수구(22)로 배출된다.
상기에서 본체(2)의 상부 내주연에 단턱지게 형성된 턱받이가 형성되어 미 도시된 덮개가 안착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1)은, 상기 본체(2)의 공간부에 탈부착되며 상기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 오수에 함유된 고형물을 여과하여 상기 배수구(22)로 오수를 배수하도록 된 여과수단(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여과수단(3)을 통해 상기 본체(2)의 공간부에서 이동되는 오수에 함유된 고형물을 여과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1)에서, 상기 여과수단(3)은, 상기 본체(2)의 공간부에서 상기 유입구(21)와 상기 배수구(22)의 사이를 공간적으로 각각 분할구획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흡착포가 내장되며 다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들을 통해 이동되는 오수에서 유지분과 미세찌꺼기를 흡착 포집하도록 된 '판(板;plate)' 형상의 흡착판(31)과;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배치되어 내부에 상기 흡착판(31)이 수직상으로 끼움결합하도록 된 한 쌍의 고정프레임틀(321)과, 상기 고정프레임틀(321)들의 양단에서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는 지지프레임(322)들을 가지는 여과틀(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여과틀(32)의 고정프레임틀(321)들의 사이 간격에 상기 흡착판(31)이 수직상으로 직립되게 끼움결합하여 상기 본체(2)의 공간부를 구획분할하며, 상기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 오수가 상기 배수구(22)로 배수되는 과정에서 상기 흡착판(31)의 관통공들을 통해 이동되면서 상기 흡착포에 유지분 및 미세찌꺼기가 여과된다.
상기에서 2개 1조의 고정프레임틀(321)들은, 또 다른 2개 1조의 고정프레임틀(321)들과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연결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4개 2조의 고정프레임틀(321)들의 각각에 2개의 흡착판(31)들이 각각 끼움결합하여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평행한 방향성을 가지면서 배치되어, 오수를 2단으로 여과하여 여과효율을 향상시키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여과틀(32)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된 손잡이(323)들이 구비되어, 상기 여과틀(32)의 탈부착작업을 간편하게 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1)에서, 상기 여과수단(3)은, 상기 여과틀(32)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오수에 함유된 유지분과 미세찌꺼기를 여과하여 상기 여과틀(32)의 외측으로 유지분과 미세찌꺼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된 걸름망(33);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되는 오수가 상기 여과틀(32)에 고정된 상기 걸름망(33)에 의해 유지분과 미세찌꺼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동식물성 유지분 및 미세찌꺼기를 상기 흡착판(31) 및 상기 걸름망(33)을 통해 각각 포집 및 수거하여 여과성능을 극대화하게 된다.
아울러,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오수에 함유된 유지분 및 미세찌꺼기가 상기 여과틀(32)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본체(2)의 내벽 및 바닥면에 유지분 및 미세찌꺼기가 점착되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에서 걸름망(33)의 상단에는 상기 여과틀(32)의 상단외주연에 밴딩되어 탈부착되도록 된 다수의 고정밴드(331)가 구비되어 탈부착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흡착판(31)에 의해 분할구획된 본체(2)의 공간부에서 상기 유입구(21)측 공간에는, 내벽과 바닥에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물은 걸러지고 미세찌꺼기와 유지분 및 오수만 빠져나가는 다수의 통공들이 형성된 걸름조(34)가 배치되어, 부피가 큰 고형물을 여과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걸름조(34)는, 물기에 강하고 내유성도 함께 지닌 스테인레스강 타공판제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상단 외주연에는,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외향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걸름조(34)는,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유지분 수거 또는 흡착과 탈수가 이뤄진 후, 상기 본체(2)에서 꺼낸 후, 고형물을 비우고 재장전하여 후속 음식물쓰레기 처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탈착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1)에서, 상기 걸름조(34)는, 상기 여과틀(32)의 지지프레임(322)들 중에서 상기 유입구(21)측의 지지프레임(322)의 상부에 거치되어 상기 유입구(21)에서 공급되는 오수가 자유낙하하면서 수용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걸름조(34)의 내주연 및 외주연에는 별도의 미세망이 감싸져 미세고형물을 여과할 수도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1)에서, 상기 본체(2)의 배수구(22)에는, 종래의 공지된 기술이 적용되어 구성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된 여과필터(35)가 결합되어 외부로 배수되는 오수중에 함유된 초미세고형물을 여과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1)은, 일반가정의 싱크대 또는 식당의 배수설비에 설치되어 오수를 외부로 배수하기 전에 여과하여 배수관로의 훼손을 방지함은 물론, 환경을 보호하는 것에 적용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1)은, 상기 본체(2)의 유입구(21)를 통해 발생된 오수를 공급받아 여과하게 되며, 상기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 오수는 자유낙하하면서 상기 걸름조(34)의 내부로 수용되어, 상기 걸름조(34)에 형성된 통공보다 큰 부피의 고형물을 여과한 후, 그 하부로 유도하게 된다.
이와 같이 1차적으로 고형물이 여과된 오수는, 상기 흡착판(31)의 관통공들을 통해 상기 배수구(22)측 방향으로 유도되며; 상기 흡착판(31)의 내부에 구비된 흡착포를 통해 유지분 및 미세찌꺼기가 2차적으로 걸려지며, 여과된 오수는 상기 흡착판(31)을 통과한 후, 상기 배수구(22)에 구비된 상기 여과필터(35)에 의해 3차적으로 여과된 후, 외부로 배수된다.
상기와 같이 오수가 여과되는 중에, 상기 걸름망(33)에 의해 오수에 함유된 유지분 및 미세찌꺼기가 상기 여과수단(3)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본체(2)의 내벽 및 바닥면에 유지분 및 미세찌꺼기가 점착되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1)을 구성하는 여과수단(3)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으로, 상기 유입구(21)측 방향에 배치된 상기 지지프레임(322)은, 상기 걸름조(34)가 상부에 안치되되 상기 걸름조(34)의 상단이 상기 유입구(2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이루어진다.
즉, 상기 걸름조(34)가 상기 본체(2)의 내부에서 안정된 위치를 확보하면서 설치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1)에서, 상기 배수구(22)측 방향에 배치된 상기 지지프레임(322)은, 상기 배수구(22)에 결합된 상기 여과필터(35)가 위치되는 공간을 사이간격으로 하여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분할지지틀들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분할지지틀의 사이에 상기 여과필터(35)가 안정적으로 배치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1)에서, 상기 걸름망(33)은, 상기 분할지지틀들의 하부와 외측 및 상측을 포함하면서 감싸도록 덧씌워지면서 설치되어 적용될 수 있으며;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름망(33)은, 각각의 상기 분할지지틀의 하부와 외측을 폐쇄하면서 상기 여과필터(35)를 포위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 및 도 1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1)을 구성하는 여과수단(3)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도면으로, 상기 여과틀(32)에서, 상기 4개 2조의 고정프레임틀(321)들의 하단부 일측에는,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너트관(5)이 구비되고, 상단에 상기 체결너트관(5)에 나사결합하는 나사봉(6)이 구비된 받치다리(4)가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여과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1)을 구성하는 여과수단(3)은, 종래의 그리스트랩 본체 내부에 형성된 안착턱이 있는 상태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며, 그리스트랩 본체를 새롭게 가공할 경우 상기 안착턱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가공성 향상과 비용절감은 물론 생산성과 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게 될 수 있는 것으로, 기존에 설치된 모든 제품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3 및 도 14는, 상기 여과수단(3)을 구성하는 상기 받침다리(4)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으로, 상기 나사봉(5)의 길이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1)을 구성하는 여과수단(3)에서, 상기 여과틀(32)의 상부 테두리부분에는, 패킹을 장착하여 상기 본체(2) 내부 공간에 긴밀하게 삽입 안착되게 하여 상기 본체(2)와 여과틀(32)의 틈새로 오수가 흘러들어가 오수에 포함된 미세찌꺼기가 본체의 벽면에 흡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트랩은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하는 효과가 있고,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동식물성 유지분 및 미세찌꺼기를 흡착판 및 걸름망을 통해 각각 포집 및 수거하여 여과성능을 극대화함으로써, 오수의 여과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상부가 개방되며 일측에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1)가 구비되고, 바닥면 일측부위에 오수가 배출되는 배수구(22)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21)와 상기 배수구(22)를 각각 가지는 공간부가 구비된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공간부에 탈부착되며 상기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 오수에 함유된 고형물을 여과하여 상기 배수구(22)로 오수를 배수하도록 된 여과수단(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여과수단(3)은, 상기 본체(2)의 공간부에서 상기 유입구(21)와 상기 배수구(22)의 사이를 공간적으로 각각 분할구획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흡착포가 내장되며 다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들을 통해 이동되는 오수에서 유지분과 미세찌꺼기를 흡착 포집하도록 된 '판(板;plate)' 형상의 흡착판(31)과;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배치되어 내부에 상기 흡착판(31)이 수직상으로 끼움결합하도록 된 한 쌍의 고정프레임틀(321)과, 상기 고정프레임틀(321)들의 양단에서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는 지지프레임(322)들을 가지는 여과틀(32)과; 상기 여과틀(32)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오수에 함유된 유지분과 미세찌꺼기를 여과하여 상기 여과틀(32)의 외측으로 유지분과 미세찌꺼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된 걸름망(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그리스트랩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22)측 방향에 배치된 상기 지지프레임(322)은,
    상기 배수구(22)에 결합된 여과필터(35)가 위치되는 공간을 사이간격으로 하여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분할지지틀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트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틀(32)에서,
    상기 고정프레임틀(321)들은,
    2개 1조로 이루어지며;
    또 다른 2개 1조의 고정프레임틀(321)들과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연결되게 구비되어;
    4개 2조의 고정프레임틀(321)들에 흡착판(31)들이 각각 끼움결합하되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평행한 방향성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트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틀(32)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된 손잡이(323)들이 구비되며;
    상기 걸름망(33)의 상단에는,
    상기 여과틀(32)의 상단외주연에 밴딩되어 탈부착되도록 된 다수의 고정밴드(33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그리스트랩.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31)에 의해 분할구획된 상기 본체(2)의 공간부에서 상기 유입구(21)측 공간에는,
    내벽과 바닥에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물은 걸러지고 미세찌꺼기와 유지분 및 오수만 빠져나가는 다수의 통공들이 형성된 걸름조(34)가 배치되며;
    상기 여과틀(32)에서,
    상기 유입구(21)측 방향에 배치된 상기 지지프레임(322)은,
    상기 걸름조(34)가 상부에 안치되되 상기 걸름조(34)의 상단이 상기 유입구(2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트랩.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름망(33)은,
    상기 분할지지틀들의 하부와 외측 및 상측을 포함하면서 감싸도록 덧씌워지면서 설치되되;
    각각의 상기 분할지지틀들의 하부와 외측을 폐쇄하면서 상기 여과필터(35)를 포위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트랩.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틀(32)에서,
    상기 고정프레임틀(321)의 하단부 일측에는,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너트관(5)이 구비되고,
    상단에 상기 체결너트관(5)에 나사결합하는 나사봉(6)이 구비된 받침다리(4)가 결합되어, 상기 본체(2)의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여과틀(3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트랩.
PCT/KR2019/005030 2018-05-11 2019-04-25 그리스트랩 WO201921658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139A KR101897755B1 (ko) 2018-05-11 2018-05-11 그리스트랩
KR10-2018-0054139 2018-05-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16581A1 true WO2019216581A1 (ko) 2019-11-14

Family

ID=64099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5030 WO2019216581A1 (ko) 2018-05-11 2019-04-25 그리스트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7755B1 (ko)
WO (1) WO201921658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72509A (zh) * 2019-06-14 2020-10-16 浙江树人学院(浙江树人大学) 一种操作简易的洗菜盆
CN114538636A (zh) * 2020-11-27 2022-05-27 宁波绿欣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餐饮污水隔油池
CN115155864A (zh) * 2022-06-24 2022-10-11 安徽天沃重工机械有限公司 柴油发动机生产用一体化喷涂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447B1 (ko) * 2019-05-10 2019-11-27 강종구 그리스트랩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1933A (ja) * 1999-06-28 2001-01-16 Takiron Co Ltd グリーストラップ
JP2003245507A (ja) * 2002-02-25 2003-09-02 Yamatoyo Sangyo Kk グリストラップ用生ゴミ類捕集ネットの装着枠
JP2005218913A (ja) * 2004-02-03 2005-08-18 Kowa Shokusan Kk グリース廃棄装置
KR200420647Y1 (ko) * 2006-03-07 2006-07-05 한우정 주방용 오물걸름장치
KR101836064B1 (ko) * 2017-04-01 2018-04-19 강종구 그리스트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1933A (ja) * 1999-06-28 2001-01-16 Takiron Co Ltd グリーストラップ
JP2003245507A (ja) * 2002-02-25 2003-09-02 Yamatoyo Sangyo Kk グリストラップ用生ゴミ類捕集ネットの装着枠
JP2005218913A (ja) * 2004-02-03 2005-08-18 Kowa Shokusan Kk グリース廃棄装置
KR200420647Y1 (ko) * 2006-03-07 2006-07-05 한우정 주방용 오물걸름장치
KR101836064B1 (ko) * 2017-04-01 2018-04-19 강종구 그리스트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72509A (zh) * 2019-06-14 2020-10-16 浙江树人学院(浙江树人大学) 一种操作简易的洗菜盆
CN111772509B (zh) * 2019-06-14 2021-08-31 浙江树人学院(浙江树人大学) 一种操作简易的洗菜盆
CN114538636A (zh) * 2020-11-27 2022-05-27 宁波绿欣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餐饮污水隔油池
CN115155864A (zh) * 2022-06-24 2022-10-11 安徽天沃重工机械有限公司 柴油发动机生产用一体化喷涂装置
CN115155864B (zh) * 2022-06-24 2023-06-16 安徽天沃重工机械有限公司 柴油发动机生产用一体化喷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7755B1 (ko) 2018-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16581A1 (ko) 그리스트랩
KR101194813B1 (ko) 쓰레기 및 기름의 회수 봉투
DE212020000184U1 (de) Wasserreinigungsvorrichtung
CN107857385A (zh) 一种方便清理用于厨房污水油水分离处理装置
CN108423890A (zh) 一种家用废水分类处理器
JP2010284578A (ja) 排水用濾過器
KR20130027790A (ko) 폐식용유 정제장치
KR101836064B1 (ko) 그리스트랩
KR20100032218A (ko) 생활폐수의 기름 제거장치
US20060237362A1 (en) Wastewater solids strainer apparatus for plumbing drain systems in commercial kitchen facilities
CN209113675U (zh) 用于分离固液气的废水处理装置
JP2022537906A (ja) 油脂類回収装置
JP2004105939A (ja) 残滓・浮上油・沈殿汚泥回収装置
KR102041447B1 (ko) 그리스트랩
CN208726857U (zh) 一种便于清除滤渣的污水杂质清除装置
WO2016117773A1 (ko) 음식물 수거 및 배수가 용이한 싱크대의 배수구조
CN209411850U (zh) 一种油水分离及污物提升一体化设备
JP2003082755A (ja) グリーストラップ
CN218516238U (zh) 一种污水处理器
KR101026201B1 (ko) 음식물 처리가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구
KR100449496B1 (ko) 하수 및 오수의 여과 정화장치
KR200225625Y1 (ko) 오수 여과장치
CN219376276U (zh) 一种市政污水处理装置
CN211706152U (zh) 一种环保型生活污水过滤装置
CN211328317U (zh) 一种具备自动残渣滤干功能的油水分离器前置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006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006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