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064B1 - 그리스트랩 - Google Patents

그리스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064B1
KR101836064B1 KR1020170042410A KR20170042410A KR101836064B1 KR 101836064 B1 KR101836064 B1 KR 101836064B1 KR 1020170042410 A KR1020170042410 A KR 1020170042410A KR 20170042410 A KR20170042410 A KR 20170042410A KR 101836064 B1 KR101836064 B1 KR 101836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grease
frame
filtering
grease 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2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종구
Original Assignee
강종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종구 filed Critical 강종구
Priority to KR1020170042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0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 타공판제 그리스트랩 본체에 장착한 탈착형 흡착포에 의한 동식물성 유지분의 수거 효율성 개선과 초미세망에 의한 미세찌꺼기 제거효율성 제고, 유지분과 초미세찌꺼기의 수거 시간 단축 및 수거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그리스트랩을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상부 내주연에 덮개용 턱받이가 형성되고, 내부에 걸름통실과 상기 걸름통실의 후방에 걸름판 거치용 홈레일이 설치된 걸름판실을 가진 그리스트랩 본체와;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물을 걸러내는 탈착형 타공판제 걸름통과; 상기 홈레일에 장전되는 타공판제 탈착형 걸름판으로 이뤄진 그리스트랩에 있어서, 걸름통실 내에 자 형태의 받침테가 추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테의 하부와 내측 모서리 부분에 각각 고리가 형성된 그리스트랩 본체와, 상기 받침테의 상부에 안착되는 걸름통의 외주연에 감싸듯이 덧씌워져 상기 걸름통을 빠져나오는 오수에 섞인 유지분과 미세찌꺼기를 포집하는 초미세망이 더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그리스트랩{GREASE TRAP}
본 발명은 주방에서 발생하는 오수에 포함된 음식쓰레기를 여과시키는 그리스트랩에 관한 것이며, 특히 고강도 내식성 타공강판제 그리스트랩 본체에 장착한 탈착형 흡착포에 의한 동식물성 유지분의 수거효율성 개선과 초미세망에 의한 더 작은 유지분 및 미세찌꺼기까지 제거할 수 있고, 유지분과 미세찌꺼기의 포집 및 수거 시간의 단축, 그리고 수거 편의를 도모한 그리스트랩에 관한 것이다.
주방에서의 조리, 식기세척 과정에서 발생하는 하수에는 음식물찌꺼기, 동식물성 유지분이 포함되기 마련인 데, 이런 하수를 배수관으로 그냥 흘려보내면 시간이 지날수록 배수관의 관벽에 흡착되어 관로가 좁아져서 배수가 곤란해지고, 최악의 경우에는 관로가 막혀 배수불능상태에 직면하기도 한다. 배수관의 관벽에 흡착된 유지분 등이 부패되면서 악취도 발생하며, 병원균의 서식처가 되기도 한다.
주방 하수로 인한 악취, 병원균의 서식과 같은 부작용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려면 그리스트랩과 싱크대 및 배수관에 대하여 흡착력이 큰 유지분, 초미세 찌꺼기가 배수관으로 흘러나가지 못하게 철저히 방지할 수 있는 그리스트랩이 필요하다.
그리스트랩은 싱크대 내 폐음식물의 고형분, 유지분을 거르고 흡착하는 데 유용한 수단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스트랩은 내식성이 우수하고 강성이 큰 스테인레스강판제 걸름통을 근간으로 하고, 여기에 여과망, 흡착포 등을 추가 내장하여 효율높게 유지분, 미세찌꺼기가 흡착 또는 여과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스트랩은 구성 요소와 부가기능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으며, 아래에 부가기능별 선행기술 몇 가지를 소개한다.
공개특허 10-2013-0023543호의 그리스트랩은 1차로 주방 오폐수에 포함된 음식물 찌꺼기를 걸러내고, 2차로 오폐수에 함유된 유지분을 분리하여 배수관으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고, 공개특허 제10-2007-0112595호는 케이스 내의 배수구측에 비치된 흡착시트로 하수에 포함된 유지분을 흡착해 제거하도록 한 그리스트랩인 데, 초미세찌기는 걸러내 수거할 수 없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4139호는 유지분과 음식물 찌꺼기가 포함된 하수를 걸름망과 격벽으로 이뤄진 분리조에 일시 저장하여 1차로 고형물 찌꺼기를 분리하고, 2차로 비중차를 이용하여 물과 유지분을 분리하되 상기 분리조 내에 수표면으로 떠오른 유지분을 접촉식으로 걸러내는 전동식 유지분 회수기를 구비한 그리스트랩으로서, 유지분 회수기와 폭기장치를 이용하여 물에 에멀젼 상태로 녹아 있는 유지분을 세제잔류물과 혼합해 분해하고 폐지방을 수표면으로 떠오르게 해 유지분의 회수율을 높이고, 폭기장치에는 OH라디칼발생기를 설치하여 OH라디칼이 함유된 공기로 폭기시켜 하수의 살균과 수중 용존산소량을 높히는 자정력으로 BOD수치를 낮추고, 유수분리를 용이하는 기계식 그리스트랩이고, 등록실용신안 제0340184호는 유지분과 고형 음식물 찌꺼기가 포함된 하수를 걸름망과 격벽이 설치된 분리조에 일시 저장하다가 1차적으로는 걸름망으로 고형물 찌꺼기를 분리하고, 2차적으로는 비중차를 이용하여 물과 유지분이 분리하며, 분리조에는 수표면으로 떠오른 유지분을 접촉식으로 걸러내는 유지분 회수기와 오존발생기, 폭기장치를 설치하여 분리조내 하수의 살균과 탈취, 물과 유지분을 분리 수거토록 한 것인 데, 장비가 워낙 고가인 데다 유지보수비도 감당키 어렵기 때문에 영세한 요식업주에겐 시설비와 유지보수관리비 부담에 설치공간확보에 어려움이 따른 등의 이유로 매우 부적합하고, 구조 상 초미세찌기를 걸러내 수거할 수가 없다.
공개특허 제10-2007-0112595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4139호 공개특허 10-2013-0023543호 등록실용신안 제0340184호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 타공판제 그리스트랩 본체에 장착한 탈착형 흡착포에 의한 동식물성 유지분의 수거효율성 개선과 초미세망에 의한 초미세찌꺼기 제거효율성 제고, 유지분과 초미세찌꺼기의 수거 시간 단축 및 수거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그리스트랩을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이 과제는, 상부 내주연에 덮개용 턱받이가 형성되고, 내부에 걸름통실과 상기 걸름통실의 후방에 걸름판 거치용 홈레일이 설치된 걸름판실을 가진 그리스트랩 본체와;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물을 걸러내는 탈착형 타공판제 걸름통과; 상기 홈레일에 장전되는 타공판제 탈착형 걸름판으로 이뤄진 그리스트랩에 있어서, 걸름통실 내에 "ㄷ"자 형태의 받침테가 추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테의 하부와 내측 모서리 부분에 각각 고리가 형성된 그리스트랩 본체와, 상기 받침테의 상부에 안착되는 걸름통의 외주연에 감싸듯이 덧씌워져 상기 걸름통을 빠져나오는 오수에 섞인 유지분과 미세찌꺼기를 포집하는 초미세망이 더해진 그리스트랩으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테의 상부에 상기 초미세망이 장착된 사각틀 형태로 구비되는 사각테를 안착시키고, 상기 사각테의 내부로 상기 걸름통을 삽입 안착시켜 미세찌꺼기가 걸러질 수 있도록 한 그리스트랩으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홈레일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장착되는 걸름판의 내부에는 흡착포를 내장하여 상기 초미세망를 통과한 고운 유지분과 고운 미세찌꺼기를 마저 흡착 포집할 수 있는 그리스트랩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타공판제 걸름통은 음식물 쓰레기 중의 고형물을 걸러내고, 걸름통의 여과공을 통과한 미세찌꺼기와 유지분은 초미세망에 완벽에 가까울 정도로 포집 또는 흡착된다. 그 결과, 미세찌꺼기와 유지분으로 인하여 그리스트랩의 내주면과 바닥에 유지분이 흡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고, 그리스트랩의 바닥으로 침전돼 달라붙는 미세찌꺼기도 현저히 감소돼 세척 수고도 덜어진다.
초미세망이 씌워진 걸름통의 후위에 배치되는 타공판제 걸름판에 흡착포를 장전하여 그리스트랩에 적용하면 아주 고운 유지분 및 미세찌꺼기까지도 걸러낼 수 있으므로 유지분 및 미세찌꺼기의 흡착, 침전으로 인한 그리스트랩의 내부 세척 불편이 덜어지는 것은 물론 유지분과 미세찌꺼기의 흡착으로 인한 배수관의 관경 축소, 배수 장애와 같은 불이익은 물론 악취도 대폭 감소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트랩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트랩의 걸림통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단면 예시도.
도 3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트랩의 걸림통이 설치된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트랩의 걸름판을 도시해 보인 측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트랩의 측단면을 도시해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트랩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측단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서, 유지분/미세찌꺼기 수거용 그리스트랩 본체(1)는 실용성을 고려하여 내부를 편의상 걸름통실(2)과 걸름판실(3)로 구분한다. 걸름통실(2)은 스테인레스강판제 타공판으로 설계된 걸름통(10)을 안치하는 공간이고, 걸름판실(3)은 앞면에 흡착포(50)가 장전된 스테인레스강판제 타공판으로 이루어지는 걸름판(40)을 거치하는 공간이다. 상기 본체(1)의 상부 내주연에 단턱지게 형성된 턱받이(4)는 덮개(도시하지 않음)가 안착된다.
걸름통실(2)에는 걸름통(10)의 상단에 형성된 외향턱(12)을 걸터앉히거나 사각테가 안착되는 받침테(7)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름통(10)과 받침테(7) 또는 사각테(30)와 받침테(7) 사이에 초미세망(20)이 끼워져 고정된다.
걸름판실(3)에는 걸름통실(2)에서 배수공을 바라보고 양측벽의 내면에 종형 홈레일(5)이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홈레일(5)은 걸름판(40)의 설치수에 비례한다. 홈레일(5)을 복수로 부착할 경우 오수가 흘러나가는 방향을 따라 앞뒤간에 거리차를 둬 여러 차례에 걸쳐 유지분과 미세찌꺼기를 반복적으로 흡착할 수 있게 한다.
도면 부호 (9)는 유지분과 미세찌꺼기가 걸리진 후의 오수가 빠져나갈 배수관을 표시한다.
도 2에서, 내벽과 바닥에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물은 걸러지고 미세찌꺼기와 유지분 및 오수만 빠져나가는 구멍(11)이 숭숭 뚫린 걸름통(10)의 외측으로 초미세망(20)을 덧씌운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걸름통(10)은 물기에 강하고 내유성도 함께 지닌 스테인레스강 타공판제이며, 상단에는 그리스트랩 본체(1)의 받침테(7)에 걸터앉는 외향턱(12)이 형성되어 있다.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유지분 수거 또는 흡착과 탈수가 이뤄진 후 걸름통실(2)에서 꺼내 비우고 재장전하여 후속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활용할 수 있게 한 탈착형이다. 이후에 설명할 걸름통(10)도 마찬가지다.
초미세망(20)은 음식물 쓰레기에 섞인 유지분과 미세한 입자의 쓰레기를 거르는 데 적합한 것으로, 소숫점 이하의 망목을 가진 합성수지망 또는 그만한 크기에 준하는 아주 작은 구멍이 촘촘히 뚫린 질긴 비닐봉지 또는 이에 준하는 기능을 가진 얇은 부직포 등으로 이뤄져 유지분을 흡착하거나 걸러내는 데 적합한 자재이다.
본 실시예는 음식물 쓰레기에 섞인 동식물성 유지분을 미세찌꺼기를 고형분과 함께 거르거나 흡착되도록 할 때 적합하다. 초미세망(20)의 가장자리(21)는 걸름통(10)의 외부를 포위할 수 있게 여유를 둬 걸름통실(2)에 안치되는 과정에서 받침테(7)와 외향턱(12)의 하단 사이에 찡겨 물리게 함으로써 걸름통(10)에 대한 초미세망(20)의 장전의 안정을 꾀한다.
이때, 상기 초미세망(20)의 상단을 말아서 재봉한 다음 고무밴드(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하여 신축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걸름통(10)에 씌워진 상태의 초미세망(20)의 상단이 고무밴드의 탄성에 의해 오므라들면서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초미세망(20)은 상기 걸름통(10)의 외부에 씌워서 장전할 수도 있으나, 상기 걸름통(10)의 내부에 장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에서, 사각테(30) 안에 초미세망(20)을 넣고, 초미세망(20)의 상단부를 사각테(30) 위로 올려 바깥 쪽으로 휘감은 다음에 받침테(7)에 걸터 앉혀서 사각테(30)의 저면으로 접힌 초미세망(20)의 상단부 끝 부분이 받침테(7)의 상면과 사각테(30)의 저면 사이에 끼어 물리게 함으로써 초미세망(20)의 장전상태를 안정시킨 다른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는 걸름통(10)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의 선 고형분 걸러내기와 후 유지분 흡착 및 미세찌꺼기 수거에 임할 경우 요긴하다. 또, 걸름통(10)에 걸러진 음식물 쓰레기의 양이 많아 수시로 수거할 필요가 있을 때 초미세망(20)은 그대로 두고 걸름통(10)만 들어 내서 거둔 음식물 쓰레기 고형물을 폐기하고 세척 한 후 초미세망(20) 속으로 재장전하여 후속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분 걸러내기와 유지분 및 미세찌꺼기 포집에 임하는 요령으로 초미세망(20)에 걸러진 미세찌꺼기 폐기 시까지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각테(30)는 걸름통(10)을 여유있게 내리끼울 수 있을 정도의 규모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 상기 걸름통(10)의 후방에 배치하여 걸름통(10)의 초미세망(20)의 틈으로 빠져 나오는 오수에 섞인 고운 유지분과 아주 작은 미세찌꺼기를 흡착, 수거하는 걸름판(40)의 내부에 흡착포(50)를 삽입, 장전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걸름판(40)은 스테인레스 타공판제로서, 그리스트랩 본체(1)의 걸름판실(3) 내에 설치된 홈레일(5)에 내리끼워서 유지분과 미세찌꺼기를 흡착하고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처리를 마친 후 꺼내서 유지분과 미세찌꺼기로 오염된 흡착포(50)를 제거하고 새흡착포를 장전하여 후속 유지분 및 미세찌꺼기 흡착에 활용하는 탈착형이며, 흡착포(50)는 폐유수거에 널리 쓰이는 부직포이다.
흡착포(50)는 타공부의 하반부 내지는 중반부 이하 부위를 감당하는 데 적합한 크기가 제격이다. 걸름통(10)을 통과한 오수는 양이 적어 수위가 대체로 걸름판(40)의 타공부 보다 높지 않고, 그 오수의 수표면으로 떠오른 유지분도 그만한 높이의 흡착포라면 충분히 흡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그 정도 크기의 흡착포이면 중력에 의해 걸름판실의 바닥으로 침전되거나 내면을 타고 흘러나가는 미세찌꺼기를 걸러내는 데도 적합하다.
도 5에서, 걸름통실(2)에 초미세망(20)이 장전된 걸름통(10)을 내장하고, 홈레일(5)에 흡착포(50)가 장착된 걸름판(40)을 내리끼워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에 대비한다.
걸름통실(2)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면 음식물 쓰레기 중의 오수는 걸름통(10)의 구멍(11)과 초미세망(20)의 아주 작은 망목 또는 구멍으로 빠져나가고, 고형물은 걸러진다.
초미세망(20)만으로 유지분과 미세찌꺼기의 수거가 이뤄진 것으로 판단되면 걸름통(10)을 끄집어 내 쓰레기통에 비우고, 초미세망(20)은 벗겨서 흡착 또는 걸러진 유지분과 미세찌꺼기를 털어버리고 재사용하거나, 재사용이 불가능할 정도로 오염되었으면 폐기한다.
걸름통(10)에 의존하는 것으로는 덩어리가 아주 작은 고운 유지분과 초미립자상의 미세찌꺼기가 흡족하리만치 걸러지지 아니한 경우에는 걸름통(10)을 통과한 오수가 걸름판(40)의 흡착포(50)를 통과할 때 마저 흡착되도록 방치했다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작업을 마친 후 홈레일(5)에서 걸름판(40)을 뽑아 흡착포(50)를 폐기하고 수세한 후 새로운 흡착포(50)를 교체하여 재장전, 후속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대비한다. 걸름판(40)을 적어도 1개 이상 다중으로 설치하면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은 자명하다.
도 6에서는, 초미세망(20)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각 모서리에 고정링(22)이 형성된 초미세망(20')을 별도로 구비하여 상기 받침테(7)의 하부와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고리(8)에 상기 고정링(22)을 걸어 고정시킨 다음 상기 걸름판(40)을 홈레일(5)에 수직으로 삽입, 장착하여 상기 걸름통(10) 또는 사각테(30)에 설치된 초미세망(20)을 통과한 미세찌꺼기를 이중으로 걸러 본체(1) 바닥면에 미세찌꺼기가 침전되지 않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초미세망(20')은 걸름통실(2)과 걸름판실(3)을 커버하도록 넓게 구성하여 걸름통(10)과 걸름판(40)이 공유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그리스트랩은 주방에서 사용된 오수와 함께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걸름통(10)에 의해 1차적으로 걸러지게 하고, 상기 걸름통(10)의 씌워지거나 또는 사각테(30)에 장전된 초미세망(20)에 의해 미세찌꺼기가 2차적으로 걸러지도록 하며, 상기 걸름판(40)에 장전된 흡착포(50)에 의해 동식물성 유지와 고운 미세찌꺼기가 3차적으로 걸러지게 하고, 마지막으로 고리(8)에 고정되어 본체(1) 내부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는 초미세망(20')에 의해 4차적으로 걸러지도록 함으로써, 미세찌꺼기와 유지분으로 인하여 그리스트랩의 내주면과 바닥에 유지분이 흡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고, 그리스트랩의 바닥으로 침전돼 달라붙는 미세찌꺼기도 현저히 감소돼 세척 수고를 덜 수 있어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유지분과 미세찌꺼기의 흡착으로 인한 배수관의 관경 축소, 배수 장애와 같은 불이익은 물론 악취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발명인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그리스트랩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그리스트랩 본체 2: 걸름통실
3: 걸름판실 5: 홈레일
7: 받침테 8: 고리
10: 걸름통 20,20': 초미세망
22: 고정링 30: 사각테
40: 걸름판 50: 흡착포

Claims (5)

  1. 상부 내주연에 덮개용 턱받이(4)가 형성되고, 내부에 "ㄷ"자 형태의 받침테(7)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테(7)의 상부에 사각틀 형태로 구비되는 사각테(30)를 안착시키고 상기 사각테(30)의 내부로 식물 쓰레기의 고형물을 걸러내는 탈착형 타공판제 걸름통(10)을 삽입 안착시켜 미세찌꺼기가 걸러지도록 된 걸름통실(2)과, 상기 걸름통실(2)의 후방에 구비된 홈레일(5)에 장전되며 내부에 흡착포(50)를 내장하여 고운 유지분과 고운 미세찌꺼기를 흡착 포집하도록 된 타공판제 탈착형 걸름판(40)에 의해 공간이 분할되는 걸름판실(3)을 가지는 그리스트랩 본체(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그리스트랩에 있어서;
    상기 사각테(30) 안에 소숫점 이하의 망목을 가진 합성수지망으로 이루어지는 초미세망(20)을 넣고, 상기 초미세망(20)의 상단부를 상기 사각테(30) 위로 올려 바깥 쪽으로 휘감은 다음에 상기 받침테(7)에 걸터 앉혀서 상기 사각테(30)의 저면으로 접힌 상기 초미세망(20)의 상단부 끝 부분이 상기 받침테(7)의 상면과 상기 사각테(30)의 저면 사이에 끼어 물리도록 배치하고;
    상기 받침테(7) 하부와 상기 그리스트랩 본체(1)의 모서리 부분에는, 고리(8)가 구비되며;
    각 모서리에 고정링(22)이 형성된 초미세망(20')을 상기 고리(8)에 상기 고정링(22)을 걸어 고정시킨 다음, 상기 걸름판(40)을 상기 홈레일(5)에 수직으로 삽입 장착하여 상기 걸름통실(2)과 상기 걸름판실(3)을 커버하도록 넓게 구성하여 상기 사각테(30)에 설치된 상기 초미세망(20)을 통과한 미세찌꺼기를 이중으로 걸러 상기 그리스트랩 본체(1) 바닥면에 미세찌꺼기가 침전되지 않도록 하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트랩.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42410A 2017-04-01 2017-04-01 그리스트랩 KR101836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410A KR101836064B1 (ko) 2017-04-01 2017-04-01 그리스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410A KR101836064B1 (ko) 2017-04-01 2017-04-01 그리스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6064B1 true KR101836064B1 (ko) 2018-04-19

Family

ID=62087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410A KR101836064B1 (ko) 2017-04-01 2017-04-01 그리스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0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755B1 (ko) * 2018-05-11 2018-10-31 강종구 그리스트랩
KR102041447B1 (ko) * 2019-05-10 2019-11-27 강종구 그리스트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1857B2 (ja) 1994-06-28 1998-09-21 鹿島建設株式会社 グリーストラップ
JP2003245506A (ja) * 2002-02-25 2003-09-02 Yamatoyo Sangyo Kk グリストラップ用生ゴミ類捕集ネットの装着具
KR200420647Y1 (ko) * 2006-03-07 2006-07-05 한우정 주방용 오물걸름장치
JP2007040030A (ja) 2005-08-04 2007-02-15 Ryonetsu Kogyo Kk グリーストラップ用残渣捕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1857B2 (ja) 1994-06-28 1998-09-21 鹿島建設株式会社 グリーストラップ
JP2003245506A (ja) * 2002-02-25 2003-09-02 Yamatoyo Sangyo Kk グリストラップ用生ゴミ類捕集ネットの装着具
JP2007040030A (ja) 2005-08-04 2007-02-15 Ryonetsu Kogyo Kk グリーストラップ用残渣捕集装置
KR200420647Y1 (ko) * 2006-03-07 2006-07-05 한우정 주방용 오물걸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755B1 (ko) * 2018-05-11 2018-10-31 강종구 그리스트랩
WO2019216581A1 (ko) * 2018-05-11 2019-11-14 Kang Jong Goo 그리스트랩
KR102041447B1 (ko) * 2019-05-10 2019-11-27 강종구 그리스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755B1 (ko) 그리스트랩
KR101836064B1 (ko) 그리스트랩
CN207511943U (zh) 一种市政污水固液分离装置
KR101404144B1 (ko)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
JP2010284578A (ja) 排水用濾過器
KR20130027790A (ko) 폐식용유 정제장치
JP2009285589A (ja) 水処理装置
CN210711066U (zh) 一种离心式雨水收集过滤器
JP2001062347A (ja) 排水処理装置
US3201346A (en)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cleaner's solvent
CN109851073A (zh) 一种灵活可抽出的多层组合式污水过滤装置
CN207891149U (zh) 一种洗舱废水收集罐
CN209636001U (zh) 一种用于污水处理池的滤网
KR102041447B1 (ko) 그리스트랩
JP2003082755A (ja) グリーストラップ
JP2010184205A (ja) グリストラップの排液処理方法とその排液処理装置
CN218516238U (zh) 一种污水处理器
KR200225625Y1 (ko) 오수 여과장치
JPH04235702A (ja) ろ過器
CN209097472U (zh) 一种垃圾分离处理装置
JP2606248Y2 (ja) 汚水処理装置
CN210825675U (zh) 一种生活污水隔油处理设备
CN209652019U (zh) 一种喷水织机水循环装置
CN213141576U (zh) 一种工业污水过滤装置
JP3974958B2 (ja) 油分処理装置及び排水中の油分の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