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755B1 - 그리스트랩 - Google Patents

그리스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755B1
KR101897755B1 KR1020180054139A KR20180054139A KR101897755B1 KR 101897755 B1 KR101897755 B1 KR 101897755B1 KR 1020180054139 A KR1020180054139 A KR 1020180054139A KR 20180054139 A KR20180054139 A KR 20180054139A KR 101897755 B1 KR101897755 B1 KR 101897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ltration
filter
main body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종구
Original Assignee
강종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종구 filed Critical 강종구
Priority to KR1020180054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7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755B1/ko
Priority to PCT/KR2019/005030 priority patent/WO201921658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동식물성 유지분 및 미세찌꺼기의 포집 및 수거효율을 향상시켜 여과성능을 극대화하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일측에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바닥면 일측부위에 오수가 배출되는 배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수구를 각각 가지는 공간부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서 상기 탈부착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오수에 함유된 고형물을 여과하여 상기 배수구로 오수를 배수하도록 된 여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그리스트랩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단은,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서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수구의 사이를 공간적으로 각각 분할구획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흡착포가 내장되며 다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들을 통해 이동되는 오수에서 유지분과 미세찌꺼기를 흡착 포집하도록 된 '판(板;plate)' 형상의 흡착판과;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배치되어 내부에 상기 흡착판이 수직상으로 끼움결합하도록 된 한 쌍의 고정프레임틀과, 상기 고정프레임틀들의 양단에서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는 지지프레임들을 가지는 여과틀과; 상기 여과틀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오수에 함유된 유지분과 미세찌꺼기를 여과하여 상기 여과틀의 외측으로 유지분과 미세찌꺼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된 걸름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그리스트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그리스트랩{GREASE TRAP}
본 발명은, 주방에서 발생하는 오수에 포함된 음식쓰레기를 여과시키는 그리스트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동식물성 유지분 및 미세찌꺼기의 포집 및 수거효율을 향상시켜 여과성능을 극대화하도록 됨은 물론, 특히,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된 그리스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가정 및 식당의 주방에서의 조리, 식기세척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수에는 음식물찌꺼기, 동식물성 유지분이 포함된다.
이러한 오수는 배수관으로 배수하는 과정에서 배수관의 관벽에 동식물성 유지분 및 미세찌꺼기들이 흡착(점착)되어 관로가 좁아져 배수가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은 물론, 최종적으로 관로를 폐쇄하여 배수가 불가능한 상태를 초래한다.
아울러, 배수관의 관벽에 흡착된 유지분 등이 부패되면서 악취가 발생함과 더불어, 각종 병원균의 서식처가 되어 비위생적인 환경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근자에는 주방 오수로 인한 악취, 병원균의 서식과 같은 부작용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관에 대하여 흡착력이 큰 유지분 및 초미세 찌꺼기가 배수관으로 흘러나가지 못하게 철저히 방지할 수 있는 그리스트랩들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에서 그리스트랩은, 싱크대 내 폐음식물의 고형분, 유지분을 거르고 흡착하는 데 적용되는 수단의 하나로, 내식성이 우수하고 강성이 큰 스테인레스강판제 흡착판을 근간으로 하고, 여기에 여과망, 흡착포 등을 추가 내장하여 효율높게 유지분, 미세찌꺼기가 흡착 또는 여과되도록 된 구조를 가진다.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3-0023543호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1차로 주방 오폐수에 포함된 음식물 찌꺼기를 걸러내고, 2차로 오폐수에 함유된 유지분을 분리하여 배수관으로 배출되도록 한 그리스트랩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07-0112595호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케이스 내의 배수구측에 비치된 흡착시트로 하수에 포함된 유지분을 흡착해 제거하도록 한 그리스트랩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1-0004139호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유지분과 음식물 찌꺼기가 포함된 하수를 걸름망과 격벽으로 이뤄진 분리조에 일시 저장하여 1차로 고형물 찌꺼기를 분리하고, 2차로 비중차를 이용하여 물과 유지분을 분리하되 상기 분리조 내에 수표면으로 떠오른 유지분을 접촉식으로 걸러내는 전동식 유지분 회수기를 구비한 그리스트랩이 기재되어 있다.
아울러,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40184호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유지분과 고형 음식물 찌꺼기가 포함된 하수를 걸름망과 격벽이 설치된 분리조에 일시 저장하다가 1차적으로는 걸름망으로 고형물 찌꺼기를 분리하고, 2차적으로는 비중차를 이용하여 물과 유지분이 분리하며, 분리조에는 수표면으로 떠오른 유지분을 접촉식으로 걸러내는 유지분 회수기와 오존발생기, 폭기장치를 설치하여 분리조내 하수의 살균과 탈취, 물과 유지분을 분리 수거토록 된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07-0112595호 한국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1-0004139호 한국특허공개번호 10-2013-0023543호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40184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그리스트랩들은, 장비가 워낙 고가인 데다 유지보수비도 감당키 어려워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동식물성 유지분 및 미세찌꺼기의 포집 및 수거효율을 향상시켜 여과성능을 극대화하도록 됨은 물론, 특히,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된 그리스트랩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그리스트랩은, 상부가 개방되며 일측에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바닥면 일측부위에 오수가 배출되는 배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수구를 각각 가지는 공간부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탈부착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오수에 함유된 고형물을 여과하여 상기 배수구로 오수를 배수하도록 된 여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그리스트랩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단은,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서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수구의 사이를 공간적으로 각각 분할구획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흡착포가 내장되며 다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들을 통해 이동되는 오수에서 유지분과 미세찌꺼기를 흡착 포집하도록 된 '판(板;plate)' 형상의 흡착판과;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배치되어 내부에 상기 흡착판이 수직상으로 끼움결합하도록 된 한 쌍의 고정프레임틀과, 상기 고정프레임틀들의 양단에서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는 지지프레임들을 가지는 여과틀과; 상기 여과틀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오수에 함유된 유지분과 미세찌꺼기를 여과하여 상기 여과틀의 외측으로 유지분과 미세찌꺼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된 걸름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그리스트랩은,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동식물성 유지분 및 미세찌꺼기를 흡착판 및 걸름망을 통해 각각 포집 및 수거하여 여과성능을 극대화함으로써, 오수의 여과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에 적용되는 여과수단을 구성하는 여과틀을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에 적용되는 여과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에 적용되는 여과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에 적용되는 여과수단의 또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에 적용되는 여과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에 적용되는 여과수단의 또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1)은, 주방에서 발생되는 오수를 공급받아 배수하는 과정에서 오수의 이동경로 중에 오수에 함유된 유지분 및 미세찌꺼기를 걸름여과하여 배수관로의 내부에 이물질이 점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주방환경에 대한 위생을 도모하는 것에 적용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1)은, 상부가 개방되며 일측에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1)가 구비되고 바닥면 일측부위에 오수가 배출되는 배수구(22)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21)와 상기 배수구(22)를 각각 가지는 공간부가 구비된 본체(2)를 가진다.
즉, 상기 유입구(21)를 통해 오수가 유입된 후 상기 배수구(22)로 배출된다.
상기에서 본체(2)의 상부 내주연에 단턱지게 형성된 턱받이가 형성되어 미 도시된 덮개가 안착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1)은, 상기 본체(2)의 공간부에 탈부착되며 상기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 오수에 함유된 고형물을 여과하여 상기 배수구(22)로 오수를 배수하도록 된 여과수단(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여과수단(3)을 통해 상기 본체(2)의 공간부에서 이동되는 오수에 함유된 고형물을 여과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1)에서, 상기 여과수단(3)은, 상기 본체(2)의 공간부에서 상기 유입구(21)와 상기 배수구(22)의 사이를 공간적으로 각각 분할구획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흡착포가 내장되며 다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들을 통해 이동되는 오수에서 유지분과 미세찌꺼기를 흡착 포집하도록 된 '판(板;plate)' 형상의 흡착판(31)과;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배치되어 내부에 상기 흡착판(31)이 수직상으로 끼움결합하도록 된 한 쌍의 고정프레임틀(321)과, 상기 고정프레임틀(321)들의 양단에서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는 지지프레임(322)들을 가지는 여과틀(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여과틀(32)의 고정프레임틀(321)들의 사이 간격에 상기 흡착판(31)이 수직상으로 직립되게 끼움결합하여 상기 본체(2)의 공간부를 구획분할하며, 상기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 오수가 상기 배수구(22)로 배수되는 과정에서 상기 흡착판(31)의 관통공들을 통해 이동되면서 상기 흡착포에 유지분 및 미세찌꺼기가 여과된다.
상기에서 2개 1조의 고정프레임틀(321)들은, 또 다른 2개 1조의 고정프레임틀(321)들과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연결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4개 2조의 고정프레임틀(321)들의 각각에 2개의 흡착판(31)들이 각각 끼움결합하여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평행한 방향성을 가지면서 배치되어, 오수를 2단으로 여과하여 여과효율을 향상시키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여과틀(32)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된 손잡이(323)들이 구비되어, 상기 여과틀(32)의 탈부착작업을 간편하게 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1)에서, 상기 여과수단(3)은, 상기 여과틀(32)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오수에 함유된 유지분과 미세찌꺼기를 여과하여 상기 여과틀(32)의 외측으로 유지분과 미세찌꺼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된 걸름망(33);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되는 오수가 상기 여과틀(32)에 고정된 상기 걸름망(33)에 의해 유지분과 미세찌꺼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동식물성 유지분 및 미세찌꺼기를 상기 흡착판(31) 및 상기 걸름망(33)을 통해 각각 포집 및 수거하여 여과성능을 극대화하게 된다.
아울러,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오수에 함유된 유지분 및 미세찌꺼기가 상기 여과틀(32)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본체(2)의 내벽 및 바닥면에 유지분 및 미세찌꺼기가 점착되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에서 걸름망(33)의 상단에는 상기 여과틀(32)의 상단외주연에 밴딩되어 탈부착되도록 된 다수의 고정밴드(331)가 구비되어 탈부착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흡착판(31)에 의해 분할구획된 본체(2)의 공간부에서 상기 유입구(21)측 공간에는, 내벽과 바닥에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물은 걸러지고 미세찌꺼기와 유지분 및 오수만 빠져나가는 다수의 통공들이 형성된 걸름조(34)가 배치되어, 부피가 큰 고형물을 여과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걸름조(34)는, 물기에 강하고 내유성도 함께 지닌 스테인레스강 타공판제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상단 외주연에는,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외향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걸름조(34)는,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유지분 수거 또는 흡착과 탈수가 이뤄진 후, 상기 본체(2)에서 꺼내 후, 고형물을 비우고 재장전하여 후속 음식물쓰레기 처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탈착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1)에서, 상기 걸름조(34)는, 상기 여과틀(32)의 지지프레임(322)들 중에서 상기 유입구(21)측의 지지프레임(322)의 상부에 거치되어 상기 유입구(21)에서 공급되는 오수가 자유낙하하면서 수용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걸름조(34)의 내주연 및 외주연에는 별도의 미세망이 감싸져 미세고형물을 여과할 수도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1)에서, 상기 본체(2)의 배수구(22)에는, 종래의 공지된 기술이 적용되어 구성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된 여과필터(35)가 결합되어 외부로 배수되는 오수중에 함유된 초미세고형물을 여과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1)은, 일반가정의 싱크대 또는 식당의 배수설비에 설치되어 오수를 외부로 배수하기 전에 여과하여 배수관로의 훼손을 방지함은 물론, 환경을 보호하는 것에 적용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1)은, 상기 본체(2)의 유입구(21)를 통해 발생된 오수를 공급받아 여과하게 되며, 상기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 오수는 자유낙하하면서 상기 걸름조(34)의 내부로 수용되어, 상기 걸름조(34)에 형성된 통공보다 큰 부피의 고형물을 여과한 후, 그 하부로 유도하게 된다.
이와 같이 1차적으로 고형물이 여과된 오수는, 상기 흡착판(31)의 관통공들을 통해 상기 배수구(22)측 방향으로 유도되며; 상기 흡착판(31)의 내부에 구비된 흡착포를 통해 유지분 및 미세찌꺼기가 2차적으로 걸려지며, 여과된 오수는 상기 흡착판(31)을 통과한 후, 상기 배수구(22)에 구비된 상기 여과필터(35)에 의해 3차적으로 여과된 후, 외부로 배수된다.
상기와 같이 오수가 여과되는 중에, 상기 걸름망(33)에 의해 오수에 함유된 유지분 및 미세찌꺼기가 상기 여과수단(3)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본체(2)의 내벽 및 바닥면에 유지분 및 미세찌꺼기가 점착되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1)을 구성하는 여과수단(3)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으로, 상기 유입구(21)측 방향에 배치된 상기 지지프레임(322)은, 상기 걸름조(34)가 상부에 안치되되 상기 걸름조(34)의 상단이 상기 유입구(2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이루어진다.
즉, 상기 걸름조(34)가 상기 본체(2)의 내부에서 안정된 위치를 확보하면서 설치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1)에서, 상기 배수구(22)측 방향에 배치된 상기 지지프레임(322)은, 상기 배수구(22)에 결합된 상기 여과필터(35)가 위치되는 공간을 사이간격으로 하여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분할지지틀들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분할지지틀의 사이에 상기 여과필터(35)가 안정적으로 배치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1)에서, 상기 걸름망(33)은, 상기 분할지지틀들의 하부와 외측 및 상측을 포함하면서 감싸도록 덧씌워지면서 설치되어 적용될 수 있으며;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름망(33)은, 각각의 상기 분할지지틀의 하부와 외측을 폐쇄하면서 상기 여과필터(35)를 포위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 및 도 1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1)을 구성하는 여과수단(3)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도면으로, 상기 여과틀(32)에서, 상기 4개 2조의 고정프레임틀(321)들의 하단부 일측에는,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너트관(5)이 구비되고, 상단에 상기 체결너트관(5)에 나사결합하는 나사봉(6)이 구비된 받치다리(4)가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여과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1)을 구성하는 여과수단(3)은, 종래의 그리스트랩 본체 내부에 형성된 안착턱이 있는 상태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며, 그리스트랩 본체를 새롭게 가공할 경우 상기 안착턱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가공성 향상과 비용절감은 물론 생산성과 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게 될 수 있는 것으로, 기존에 설치된 모든 제품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3 및 도 14는, 상기 여과수단(3)을 구성하는 상기 받침다리(4)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으로, 상기 나사봉(5)의 길이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그리스트랩(1)을 구성하는 여과수단(3)에서, 상기 여과틀(32)의 상부 테두리 부분에는, 패킹을 장착하여 상기 본체(2) 내부 공간에 긴밀하게 삽입 안착되게 하여 상기 본체(2)와 여과틀(32)의 틈새로 오수가 흘러들어가 오수에 포함된 미세찌꺼기가 본체의 벽면에 흡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그리스트랩 2 : 본체
21 : 유입구 22 : 배수구
3 : 여과수단 31 : 흡착판
32 : 여과틀 321 : 고정프레임틀
322 : 지지프레임 323 : 손잡이
33 : 걸름망 331 : 고정밴드
34 : 걸름조 35 : 여과필터
4 : 받침다리 5 : 체결너트관
6 : 나사봉

Claims (7)

  1. 상부가 개방되며 일측에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1)가 구비되고, 바닥면 일측부위에 오수가 배출되는 배수구(22)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21)와 상기 배수구(22)를 각각 가지는 공간부가 구비된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공간부에 탈부착되며 상기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 오수에 함유된 고형물을 여과하여 상기 배수구(22)로 오수를 배수하도록 된 여과수단(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여과수단(3)은, 상기 본체(2)의 공간부에서 상기 유입구(21)와 상기 배수구(22)의 사이를 공간적으로 각각 분할구획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흡착포가 내장되며 다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들을 통해 이동되는 오수에서 유지분과 미세찌꺼기를 흡착 포집하도록 된 '판(板;plate)' 형상의 흡착판(31)과;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배치되어 내부에 상기 흡착판(31)이 수직상으로 끼움결합하도록 된 한 쌍의 고정프레임틀(321)과, 상기 고정프레임틀(321)들의 양단에서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는 지지프레임(322)들을 가지는 여과틀(32)과; 상기 여과틀(32)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오수에 함유된 유지분과 미세찌꺼기를 여과하여 상기 여과틀(32)의 외측으로 유지분과 미세찌꺼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된 걸름망(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그리스트랩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22)측 방향에 배치된 상기 지지프레임(322)은,
    상기 배수구(22)에 결합된 여과필터(35)가 위치되는 공간을 사이간격으로 하여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분할지지틀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트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틀(32)에서,
    상기 고정프레임틀(321)들은,
    2개 1조로 이루어지며;
    또 다른 2개 1조의 고정프레임틀(321)들과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연결되게 구비되어;
    4개 2조의 고정프레임틀(321)들에 흡착판(31)들이 각각 끼움결합하되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평행한 방향성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트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틀(32)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된 손잡이(323)들이 구비되며;
    상기 걸름망(33)의 상단에는,
    상기 여과틀(32)의 상단외주연에 밴딩되어 탈부착되도록 된 다수의 고정밴드(33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트랩.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31)에 의해 분할구획된 상기 본체(2)의 공간부에서 상기 유입구(21)측 공간에는,
    내벽과 바닥에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물은 걸러지고 미세찌꺼기와 유지분 및 오수만 빠져나가는 다수의 통공들이 형성된 걸름조(34)가 배치되며;
    상기 여과틀(32)에서,
    상기 유입구(21)측 방향에 배치된 상기 지지프레임(322)은,
    상기 걸름조(34)가 상부에 안치되되 상기 걸름조(34)의 상단이 상기 유입구(2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트랩.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름망(33)은,
    상기 분할지지틀들의 하부와 외측 및 상측을 포함하면서 감싸도록 덧씌워지면서 설치되되;
    각각의 상기 분할지지틀들의 하부와 외측을 폐쇄하면서 상기 여과필터(35)를 포위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트랩.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틀(32)에서,
    상기 고정프레임틀(321)의 하단부 일측에는,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너트관(5)이 구비되고,
    상단에 상기 체결너트관(5)에 나사결합하는 나사봉(6)이 구비된 받침다리(4)가 결합되어, 상기 본체(2)의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여과틀(3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트랩.
KR1020180054139A 2018-05-11 2018-05-11 그리스트랩 KR101897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139A KR101897755B1 (ko) 2018-05-11 2018-05-11 그리스트랩
PCT/KR2019/005030 WO2019216581A1 (ko) 2018-05-11 2019-04-25 그리스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139A KR101897755B1 (ko) 2018-05-11 2018-05-11 그리스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7755B1 true KR101897755B1 (ko) 2018-10-31

Family

ID=64099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139A KR101897755B1 (ko) 2018-05-11 2018-05-11 그리스트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7755B1 (ko)
WO (1) WO20192165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447B1 (ko) * 2019-05-10 2019-11-27 강종구 그리스트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72509B (zh) * 2019-06-14 2021-08-31 浙江树人学院(浙江树人大学) 一种操作简易的洗菜盆
CN114538636A (zh) * 2020-11-27 2022-05-27 宁波绿欣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餐饮污水隔油池
CN115155864B (zh) * 2022-06-24 2023-06-16 安徽天沃重工机械有限公司 柴油发动机生产用一体化喷涂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1933A (ja) * 1999-06-28 2001-01-16 Takiron Co Ltd グリーストラップ
JP2003245507A (ja) * 2002-02-25 2003-09-02 Yamatoyo Sangyo Kk グリストラップ用生ゴミ類捕集ネットの装着枠
JP2005218913A (ja) * 2004-02-03 2005-08-18 Kowa Shokusan Kk グリース廃棄装置
KR101836064B1 (ko) * 2017-04-01 2018-04-19 강종구 그리스트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647Y1 (ko) * 2006-03-07 2006-07-05 한우정 주방용 오물걸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1933A (ja) * 1999-06-28 2001-01-16 Takiron Co Ltd グリーストラップ
JP2003245507A (ja) * 2002-02-25 2003-09-02 Yamatoyo Sangyo Kk グリストラップ用生ゴミ類捕集ネットの装着枠
JP2005218913A (ja) * 2004-02-03 2005-08-18 Kowa Shokusan Kk グリース廃棄装置
KR101836064B1 (ko) * 2017-04-01 2018-04-19 강종구 그리스트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447B1 (ko) * 2019-05-10 2019-11-27 강종구 그리스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16581A1 (ko) 2019-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755B1 (ko) 그리스트랩
CN108423890A (zh) 一种家用废水分类处理器
KR101836064B1 (ko) 그리스트랩
JP2010284578A (ja) 排水用濾過器
KR200410765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US20060237362A1 (en) Wastewater solids strainer apparatus for plumbing drain systems in commercial kitchen facilities
KR101792113B1 (ko) 탈수기능이 구비된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
JP3196914U (ja) 水中ポンプ濾過カバー
EP0736316A1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Abtrennen von fetthaltigen Speiseresten aus diese enthaltenden Spülwässern
EP1731683A1 (en) Separating device
KR200459877Y1 (ko) 식용기름 및 음식찌꺼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오수처리트랩
KR102041447B1 (ko) 그리스트랩
KR100662947B1 (ko) 싱크대의 음식쓰레기 간편 수거장치
JP4270554B2 (ja) シンクシステム
KR20120068652A (ko) 냄새 역류 방지부와 봉투 적치대가 구성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N218516238U (zh) 一种污水处理器
JP2010184205A (ja) グリストラップの排液処理方法とその排液処理装置
JP2003082755A (ja) グリーストラップ
KR200410766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225625Y1 (ko) 오수 여과장치
JPH08260539A (ja) 厨芥処理装置
KR20180126204A (ko) 씽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커버
KR20130002511A (ko) 음식물 쓰레기봉투 및 음식물 쓰레기통
JPH0686945A (ja) 厨芥処理装置
KR200475656Y1 (ko) 싱크대용 기름제거 배수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