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03372A1 -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03372A1
WO2019103372A1 PCT/KR2018/013665 KR2018013665W WO2019103372A1 WO 2019103372 A1 WO2019103372 A1 WO 2019103372A1 KR 2018013665 W KR2018013665 W KR 2018013665W WO 2019103372 A1 WO2019103372 A1 WO 201910337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ead
pouch
adhesive
high voltage
decompositio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366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경호
최정석
오송택
박종필
김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CN201880043100.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0870101B/zh
Priority to PL18880825.7T priority patent/PL3627591T3/pl
Priority to US16/631,329 priority patent/US11404755B2/en
Priority to EP18880825.7A priority patent/EP3627591B1/en
Priority to ES18880825T priority patent/ES2969689T3/es
Priority to JP2019565869A priority patent/JP7045579B2/ja
Publication of WO201910337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0337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5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1Methods or arrangement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8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adhesiveness or hardn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Definitions

  • Secondary batteries which are widely used in various digital devices and vehicles such as vehicle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can be repeatedly charged and discharged. In addi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continuously carried out to increase efficiency and improve safety. That is, secondary batteries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notebook computers, mobile phones, and automobiles should be secured not only in performance but also in safety.
  • the electrode assembly 30 and the electrolytic solution are embedded in the pouch 10 and the tab connection portion 31 of the electrode assembly 30 is inserted into the pouch 10 through the leads 21 and 22 And is configured to charge and discharge the current through the lead.
  • the first lead 21 and the second lead 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sealing portion 22 so that the sealing portion 22 is sealed by the sealing member 22 when the pressure in the pouch 10 is increased due to overcharging
  • the portion connected by the adhesive 60 is broken in a state where it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thereby cutting off the current supply (refer to a state broken in Fig. 3).
  •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pouch; An electrode assembly mounted in the pouch and formed by alternately laminating electrodes and separators, wherein the electrode tabs extended from the respective ends of the electrodes overlap each other to form a tab connection part; A first lead connected to the tab connecting portion, and a second lea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lea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pouch, wherein each of the first lead and the second lead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ouch lead; And bonding means for bonding the first lead and the second lead to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lead and the second lea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gas pressure inside the pouch is increased and expanded, And a high-voltage decomposition material which decomposes and generates gas when a high voltage equal to or higher than a certain level is applied so as to promote the rise of the pressure.
  • the adhes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metal particles for imparting conductivity; An adhesive material for imparting adhesiveness; And a high voltage decomposition material which generates a gas when a high voltage is applied.
  • the high voltage decomposition material is a polymer decomposed at a high voltage.
  • the polymer may be a material containing a fluorine-substituted aromatic compound.
  • the high voltage decomposition material may be a material containing Li 2 Co 3 .
  • the adhesive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high voltage decomposition material in the range of 0.1 wt% to 5 wt%, the metal particles in the range of 20 wt% to 90 wt%, and the adhesive material in the range of 5 wt% to 40 wt% .
  • the second adhesive means for fixing the first lead and the second lead to the pouch may contain the high voltage decomposition material.
  • the high-voltage decomposition material contained in the second adhesive means is determin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adhesive force of the second adhesive means is formed larger than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means.
  • the high voltage decomposition material when a high voltage is input due to overcharging, the high voltage decomposition material is decomposed to generate additional gas, so that the current supply is cut off more quickly than the conventional structure, and the possibility of ignition is further reduced.
  •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 general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 FIG. 1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ID is formed at a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shown in FIG. 1A.
  • FIG. 1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ID is formed at a sealing portion of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shown in FIG. 1A.
  •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ID is configur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ID is activated (the first lead and the second lead are separated) in the structure of FIG. 2 to interrupt the current supply.
  • FIG. 4 is an enlarged side view of a portion where a first lead and a second lead are connected.
  • the electrode assembly 30 and the electrolyte solution are contained in the pouch 10 and the pouch 10 is formed with a sealing portion around the pouch 10.
  • the electrode assembly 30 is conn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ead passing through the sealing por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which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charged and discharged,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CID is applied. That is, the leads are constructed such that the first leads 21 and the second leads 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leads 21 and the second leads 22 are broken when the internal pressure is increased.
  • the electrode assembly 30 embedded in the pouch 10 together with the electrolytic solu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electrodes (cathode, anode) and separators are alternately stacked, and electrode tabs extended from each end of the electrodes are gathered to one side A tab connecting portion 31 is formed.
  • the tab connecting portion 31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lead 21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lead 21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lead 22 through the bonding means 40.
  •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edge 2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uch 10 sealing portion.
  •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lead 21 is bon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ouch 10 through the second bonding means 50.
  •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lead 22 is bonded to the pouch 10, Is bon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sealing part through the second adhesive means (50).
  • the adhesive force of the second adhesive means 50 has a greater adhesive force than the adhesive means 40 for attaching the first and second leads 21 and 22 (i.e., the first and second leads are coupled).
  • the adhesive force is formed so that the first lead and the second lead are lower than the bonding force, respectively, bon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ouch).
  • the bonding means 40 applied so as to adhere the first lead 21 and the second lead 22 is conductive so as to allow current flow.
  • the electrode assembly 30 has a structure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electricity to the outside of the pouch 10 through the first lead 21 and the second lead 22, The first lead 21 and the second lead 2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30 is cut off when the internal gas pressure of the pouch 10 is increased due to decomposition and generation of heat of the battery.
  • the bonding means 40 includes an adhesive material 43 for imparting conductivity with metal particles 42 for imparting conductivity, and a high-voltage decomposition And contains substance (41).
  • the high voltage decomposition material 41 is a polymer decomposed at a high voltage.
  • the polymer may be a material containing a fluorine-substituted aromatic compound.
  • the high-voltage decomposition material 41 may be a material containing Li 2 Co 3 .
  • the metal particles 42 may not be added. 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conductivity and lower the resistance, it is preferable that an appropriate amount of the metal particles 42 is further added.
  • the adhesive means 40 includes the metal particles 42 in the range of 20 wt% to 90 wt%, and the adhesive material 43 may be included in the range of 5 wt% to 40 wt%.
  • the high-voltage decomposition material 41 is preferably contained in the range of 0.1 wt% to 5 wt%.
  • the high voltage decomposition material 41 is preferably included in the range of 0.1 wt% to 5 wt%.
  • [Table 1] is a table comparing the increase / decrease of resistance and adhesion according to the content of Li 2 Co 3 , which is a high voltage decomposition material 41, added to the bonding means 40.
  • the adhesive means 40 in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high voltage decomposition material 41 in an amount of 0.1 wt% to 5 wt% %. ≪ / RTI >
  • the second adhesive means 50 for fixing the first lead 21 and the second lead 22 to the pouch 10 also contains the high voltage decomposition material 41.
  • the high voltage decomposition material 41 when the high voltage decomposition material 41 is contained in not only the adhesion means 40 but also the second adhesion means 50, the content of the high voltage decomposition material 41 contained in the adhesion means 40 is reduced, Degradation and resistance increase can be reduced.
  • the high voltage decomposition material 41 contained in the second adhesive means 50 is set within a range in which the adhesive force of the second adhesive means 5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means 40 .
  • the high voltage decomposition material 41 when a high voltage is input due to overcharging, the high voltage decomposition material 41 is decomposed and further generates gas, so that the supply of current is cut off more quickly than the conventional structure, .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써, 파우치; 상기 파우치 내에 장착되며, 전극들과 분리막들이 교대로 적층되어 구성되되 상기 전극들 각 끝단에서 확장된 전극탭들이 일측으로 모아진 상태로 겹쳐져 탭연결부를 형성하는 전극조립체; 일단이 탭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리드와 상기 제1리드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파우치 외부로 이어지는 제2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리드와 제2리드 각각은 파우치의 내부면에 고정된 리드; 및 도전성을 갖되 상기 제1리드와 제2리드를 결합시키는 접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 내부 가스압력이 상승하여 팽창하면 제1리드와 제2리드의 분리가 이뤄지되, 상기 접착수단에는 가스압력의 상승을 촉진하도록 일정이상의 고전압이 가해지면 분해되어 가스를 발생시키는 고전압분해물질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차전지
본 출원은 2017년 11월 24일자 한국특허출원 제10-2017-0158265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특허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파우치 내에 전극조립체 및 전해액이 내장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CID(Current Interrupt Device: 전류차단장치)의 작동시점이 단축되어 보다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디지털 기기 및 차량과 같은 운송수단에서도 널리 사용되는 이차전지는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효율을 증대시키고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즉, 노트북, 휴대 전화,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이차전지는 성능 뿐만 아니라 안전성이 담보되어야 한다.
하지만, 고용량/고에너지로 갈수록 이차전지의 안전성은 더 취약해지기 때문에 제품 개발 시 안전성 향상에 중점을 두고 개발이 이뤄진다. 특히, 이차전지는 과도한 충전이 이뤄지면 발화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과충전의 차단은 안전성 설계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할 항목이다.
이에 따라 과충전에 따른 발화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다양한 첨가제 및 발화 방지 물질 등을 전해액에 첨가하여 셀레벨(Cell level)에서 안전성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CID(Current interrupt Device)를 이차전지에 내장하여(혹은 내부에 구성하여) 과충전 상황에서 내압이 상승하면 CID가 작동함으로써 전류공급을 차단시키고 있다.
즉, 도 1a 와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10) 내에는 전극조립체(30)와 전해액이 내장되며 상기 전극조립체(30)의 탭연결부(31)는 리드(21, 22)를 통하여 외부로 연결되도록 제조되며 상기 리드를 통해 전류를 충방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리드는 파우치(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실링부에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되되, CID 가 적용된 구조로써, 일단이 탭연결부(31)와 연결되는 제1리드(21)와 상기 제1리드(2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파우치(10) 외부로 이어지는 제2리드(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리드(21)와 제2리드(22) 각각은 실링부의 내부면 각각에서 제2접착수단(50)을 통해 접착되고 각각의 일부분은 접착제(60)를 통해 접합이 이뤄진다.
그리고, 과충전이 이뤄져서 파우치(10) 내부에 압력이 상승하면(즉, 과충전에 의해 전해액의 기화가 발생하여 파우치가 부풀게 되면), 제1리드(21)와 제2리드(22)는 실링부의 내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접착제(60)에 의해 연결된 부분이 파단되어 전류공급을 차단하게 된다(도 3 에 파단된 상태 참조).
하지만, 과충전 시 발화하지 않은 배터리라도 열 배출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면 과충전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위와 같은 CID 구조가 적용되었을지라도 낮은 SOC(status of charging)에서 과충전을 막을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CID 가 적용되었더라도 CID 의 작동 시점이 늦어져(제1리드와 제2리드의 분리가 늦게 이뤄져) 발화가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제1리드와 제2리드의 분리 시점을 앞당겨 발화 발생 가능성을 더욱 낮출 수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주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는, 파우치; 상기 파우치 내에 장착되며, 전극들과 분리막들이 교대로 적층되어 구성되되 상기 전극들 각 끝단에서 확장된 전극탭들이 일측으로 모아진 상태로 겹쳐져 탭연결부를 형성하는 전극조립체; 일단이 탭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리드와 상기 제1리드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파우치 외부로 이어지는 제2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리드와 제2리드 각각은 파우치의 내부면에 고정된 리드; 및 도전성을 갖되 상기 제1리드와 제2리드를 결합시키는 접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 내부 가스압력이 상승하여 팽창하면 제1리드와 제2리드의 분리가 이뤄지되, 상기 접착수단에는 가스압력의 상승을 촉진하도록 일정이상의 고전압이 가해지면 분해되어 가스를 발생시키는 고전압분해물질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수단은, 도전성을 부여하는 금속입자; 접착성을 부여하는 접착물질; 고전압이 가해지면 가스를 발생시키는 고전압분해물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고전압분해물질은 고전압에서 분해되는 폴리머이다. 상기 폴리머는 불소-치환 방향족 화합물을 함유하는 물질이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전압분해물질은 Li2Co3 을 함유하는 물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접착수단은 고전압분해물질이 0.1wt% 내지 5wt% 범위로 포함되고, 금속입자는 20wt% 내지 90wt% 범위로 포함되며, 접착물질은 5wt% 내지 40wt%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제1리드와 제2리드를 파우치에 고정시키는 제2접착수단에 상기 고전압분해물질이 함유될 수 도 있다. 하지만, 이때, 상기 제2접착수단에 함유되는 고전압분해물질은 상기 제2접착수단의 접착력이 상기 접착수단의 접착력 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범위 내에서 정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과충전에 의해 고전압이 입력되면 고전압분해물질이 분해되어 추가적으로 가스를 발생시키므로 종래 구조 보다 더 신속하게 전류공급을 차단하여 발화 가능성을 더욱 낮출 수 있다.
도 1a 는 일반적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외부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
도 1b 는 도 1a 에 도시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실링부에서 CID 가 구성된 모습이 도시된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CID 가 구성된 모습이 도시된 단면도.
도 3 은 도 2 의 구조에서 CID 가 작동하여(제1리드와 제2리드가 분리되어) 전류공급이 차단된 모습이 도시된 단면도.
도 4 는 제1리드와 제2리드가 연결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파우치(10) 내에 전극조립체(30) 및 전해액이 내장되되, 상기 파우치(10)는 둘레를 따라 실링부가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를 관통하는 리드를 통해 상기 전극조립체(30)가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방전이 이뤄질 수 있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써,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1
도 2 와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CID 가 적용된 구조를 갖는다. 즉, 리드는 제1리드(21)와 제2리드(22)가 연결되어 구성되되 상기 제1리드(21)와 제2리드(22) 접합은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파단되도록 구성된다.
전해액과 함께 파우치(10) 내에 내장되는 전극조립체(30)는 전극들(음극, 양극)과 분리막들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전극들 각 끝단에서 확장된 전극탭들이 일측으로 모아진 상태로 겹쳐져 탭연결부(31)가 형성된다.
상기 탭연결부(31)는 제1리드(21)의 일단에 접합되고, 상기 제1리드(21)의 타단은 접착수단(40)을 통해 제2리드(22)의 일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2리(22)드의 타단은 파우치(10) 실링부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제1리드(21)의 상면은 파우치(10) 실링부 윗쪽부분의 내부면에 제2접착수단(50)을 통해 접착되고, 상기 제2리드(22)의 하면은 파우치(10) 실링부 아랫쪽부분의 내부면에 제2접착수단(50)을 통해 접착된다. 상기 제2접착수단(50)의 접착력은 제1리드(21)와 제2리드(22)를 부착시키는 접착수단(40) 보다 더 큰 접착력을 갖는다(즉, 제1리드와 제2리드가 결합된 접착력은 제1리드와 제2리드 각각이 파우치 내부면에 접합된 결합력 보다 낮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리드(21)와 제2리드(22)를 부착시키도록 도포되는 접착수단(40)은 전류흐름이 허용되도록 도전성(導電性)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전극조립체(30)는 제1리드(21)와 제2리드(22)를 통해 파우치(10) 외부로 전기를 충방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되, (과충전에 따른 전압 상승으로 인한 전해액 분해와 배터리의 발열 발생에 의해) 파우치(10) 내부 가스압력이 상승하여 팽창하면 제1리드(21)와 제2리드(22)의 분리가 이루어져서 전극조립체(30)의 전기적 연결은 차단된다.
이때, 이 실시예에서는 가스압력의 상승을 촉진하여 CID 의 작동시점이 빨라질 수 있도록(제1리드와 제2리드가 보다 신속히 파단될 수 있도록) 상기 접착수단(40)에는 일정이상의 고전압이 가해지면 분해되어 가스를 발생시키는 고전압분해물질(41)이 함유된다.
즉,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수단(40)은, 도전성을 부여하는 금속입자(42)와 접착성을 부여하는 접착물질(43) 및 고전압이 가해지면 분해되어 가스를 발생시키는 고전압분해물질(41)을 함유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고전압분해물질(41)은 고전압에서 분해되는 폴리머이다. 상기 폴리머는 불소-치환 방향족 화합물을 함유하는 물질이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전압분해물질(41)은 Li2Co3 을 함유하는 물질이 될 수 있다.
상기 접착물질(43) 자체가 적당한 도전성을 갖는다면 금속입자(42)는 첨가되지 않아도 될 수 있을 것이나, 도전성을 높여 저항을 낮게 형성하려면 적당량의 금속입자(42)가 추가적으로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접착수단(40)은 금속입자(42)는 20wt% 내지 90wt% 범위로 포함되며, 접착물질(43)은 5wt% 내지 40wt%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전압분해물질(41)은 0.1wt% 내지 5wt%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전압분해물질(41)이 많이 함유될수록 가스 발생량을 증가시켜 보다 신속하고 제1리드(21)와 제2리드(22)를 분리시킬 수 있으나, 고전압분해물질(41)이 많이 함유될수록 접착물질(43) 및/또는 금속입자(42)의 첨가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상기의 범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접착물질(43)의 첨가량이 감소하면 제1리드(21)와 제2리드(22)의 결합력이 저하되고 금속입자(42)의 첨가량이 감소하면 도전성이 저하되어 저항이 증가하게 되므로 이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상기 고전압분해물질(41)은 0.1wt% 내지 5wt%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교 실험1 실험2 실험3 실험4 실험5
고전압분해물질(wt%) 0 0.05 0.1 1 5 10
제2리드의 저항(mohm) 0.14 0.14 0.15 0.16 0.19 0.31
전체 초기저항(%) 100 100 101 102 105 116
제1리드와 제2리드의 접착력(kgf/cm) 3.0 3.0 2.9 2.7 2.1 1.3
과충전결과(제1리드와 제2리드 단락 발생시 pass) Fail Fail Pass Pass Pass Pass
위의 [표 1] 은 고전압분해물질(41)인 Li2Co3 가 접착수단(40)에 첨가되는 함량에 따라 저항 및 접착력의 증감관계를 실험한 비교한 표이다.
표 1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고전압분해물질(41)이 0.1wt% 이상 접착수단(40)에 함유되는 경우에는 CID 작동 시험을 모두 Pass 한다. 하지만, 상기 고전압분해물질(41)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제2리드(22)에서 발생하는 저항 및 배터리 전체저항은 점차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제1리드(21)와 제2리드(22)의 접착력은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리드(21)와 제2리드(22)의 접착력과 저항 증가에 따른 발열량을 고려하여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접착수단(40)에는 고전압분해물질(41)이 0.1wt% 내지 5wt%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서는 상기 제1리드(21)와 제2리드(22)를 파우치(10)에 고정시키는 제2접착수단(50)도 상기 고전압분해물질(41)이 함유된다.
즉, 상기 접착수단(40) 뿐만아니라 제2접착수단(50)에도 고전압분해물질(41)이 함유되면 상기 접착수단(40)에 함유되는 고전압분해물질(41)의 함유량을 감소시켜 위와 같은 접착력저하 및 저항 증가에 따른 문제를 감경할 수 있다.
다만, 이때 상기 제2접착수단(50)에 함유되는 고전압분해물질(41)은 상기 제2접착수단(50)의 접착력이 상기 접착수단(40)의 접착력 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범위 내에서 정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과충전에 의해 고전압이 입력되면 고전압분해물질(41)이 분해되어 추가적으로 가스를 발생시키므로 종래 구조 보다 더 신속하게 전류공급을 차단하여 발화 가능성을 더욱 낮출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Claims (9)

  1. 파우치;
    상기 파우치 내에 장착되며, 전극들과 분리막들이 교대로 적층되어 구성되되 상기 전극들 각 끝단에서 확장된 전극탭들이 일측으로 모아진 상태로 겹쳐져 탭연결부를 형성하는 전극조립체;
    일단이 탭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리드와 상기 제1리드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파우치 외부로 이어지는 제2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리드와 제2리드 각각은 파우치의 내부면에 고정된 리드; 및
    도전성을 갖되 상기 제1리드와 제2리드를 결합시키는 접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 내부 가스압력이 상승하여 팽창하면 제1리드와 제2리드의 분리가 이뤄지되, 상기 접착수단에는 가스압력의 상승을 촉진하도록 일정이상의 고전압이 가해지면 분해되어 가스를 발생시키는 고전압분해물질이 함유된 이차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단은,
    도전성을 부여하는 금속입자;
    접착성을 부여하는 접착물질;
    고전압이 가해지면 가스를 발생시키는 고전압분해물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분해물질은 고전압에서 분해되는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불소-치환 방향족 화합물을 함유하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분해물질은 Li2Co3 을 함유하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단에서 고전압분해물질은 0.1wt% 내지 5wt% 범위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단에서 금속입자는 20wt% 내지 90wt% 범위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단에서 접착물질은 5wt% 내지 40wt% 범위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드와 제2리드를 파우치에 고정시키는 제2접착수단에 상기 고전압분해물질이 함유되되, 상기 제2접착수단에 함유되는 고전압분해물질은 상기 제2접착수단의 접착력이 상기 접착수단의 접착력 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범위 내에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PCT/KR2018/013665 2017-11-24 2018-11-09 이차전지 WO2019103372A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80043100.9A CN110870101B (zh) 2017-11-24 2018-11-09 二次电池
PL18880825.7T PL3627591T3 (pl) 2017-11-24 2018-11-09 Bateria akumulatorowa
US16/631,329 US11404755B2 (en) 2017-11-24 2018-11-09 Secondary battery
EP18880825.7A EP3627591B1 (en) 2017-11-24 2018-11-09 Secondary battery
ES18880825T ES2969689T3 (es) 2017-11-24 2018-11-09 Batería secundaria
JP2019565869A JP7045579B2 (ja) 2017-11-24 2018-11-09 二次電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265A KR102270866B1 (ko) 2017-11-24 2017-11-24 이차전지
KR10-2017-0158265 2017-11-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3372A1 true WO2019103372A1 (ko) 2019-05-31

Family

ID=66631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3665 WO2019103372A1 (ko) 2017-11-24 2018-11-09 이차전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404755B2 (ko)
EP (1) EP3627591B1 (ko)
JP (1) JP7045579B2 (ko)
KR (1) KR102270866B1 (ko)
CN (1) CN110870101B (ko)
ES (1) ES2969689T3 (ko)
PL (1) PL3627591T3 (ko)
WO (1) WO20191033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54115A (ja) * 2019-11-01 2022-12-28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電極リードの製造方法及び加圧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5019B1 (ko) 2018-06-04 2023-08-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가스 발생 물질을 포함하는 접착부가 구비된 원통형 이차전지
KR20210062139A (ko) 2019-11-20 2021-05-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리드 제조 방법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CN111900272B (zh) * 2020-06-30 2022-12-27 东莞新能安科技有限公司 电化学装置和电子装置
DE102021104722A1 (de) * 2021-02-26 2022-09-0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atteriezelle mit Trennvorrichtung, Batteriesystem und Kraftfahrzeug
DE102021104716A1 (de) * 2021-02-26 2022-09-0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atteriezelle mit Klemmkontakt, Batteriesystem und Kraftfahrzeug
KR20230000367A (ko) * 2021-06-24 2023-01-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탭 보호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23058735A1 (ja) * 2021-10-06 2023-04-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付き金属端子、蓄電デバイス、及び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605A (ko) * 2009-04-01 2010-10-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KR20110048470A (ko) * 2009-11-02 2011-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를 이용한 전지 팩
KR20120139590A (ko) * 2011-06-17 2012-1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및 상기 부품을 사용하여 제조된 이차전지와 멀티 전지 시스템
KR20130089375A (ko) * 2012-02-02 2013-08-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용 부품
KR101734703B1 (ko) * 2015-11-04 2017-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셀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16898C (en) 1997-09-26 2005-03-22 Moli Energy (1990) Limited Improved additives for overcharge protection in non-aqueous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JP4132588B2 (ja) * 2000-06-16 2008-08-13 Tdk株式会社 電気化学デバイス
JP2005044523A (ja) * 2003-07-22 2005-02-17 Toyota Motor Corp 二次電池の電流遮断構造およびその構造を備えた二次電池
US20110104520A1 (en) 2009-11-02 2011-05-05 Changbum Ahn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KR101404704B1 (ko) 2011-09-19 2014-06-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부피 팽창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KR101595607B1 (ko) 2011-12-07 2016-0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CN104081578B (zh) * 2012-01-25 2017-03-22 丰田自动车株式会社 非水电解质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
KR20140147412A (ko) 2013-06-19 2014-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부피 팽창성 물질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용 외장재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JP6442966B2 (ja) 2013-10-31 2018-12-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二次電池、電池パック、電動車両、電力貯蔵システム、電動工具および電子機器
US20150180013A1 (en) * 2013-12-19 2015-06-25 Hyundai Motor Company High voltage battery for vehicles
JP6079696B2 (ja) * 2014-05-19 2017-02-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2016081681A (ja) * 2014-10-15 2016-05-16 凸版印刷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1704162B1 (ko) * 2015-01-20 2017-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과충전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 전지
PL3267512T3 (pl) 2015-04-22 2021-09-20 Lg Chem, Ltd. Bateria akumulatorowa mająca ulepszone bezpieczeństwo
CN208819975U (zh) * 2018-02-27 2019-05-03 创科(澳门离岸商业服务)有限公司 具有安全保护功能的软包电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605A (ko) * 2009-04-01 2010-10-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KR20110048470A (ko) * 2009-11-02 2011-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를 이용한 전지 팩
KR20120139590A (ko) * 2011-06-17 2012-1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및 상기 부품을 사용하여 제조된 이차전지와 멀티 전지 시스템
KR20130089375A (ko) * 2012-02-02 2013-08-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용 부품
KR101734703B1 (ko) * 2015-11-04 2017-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54115A (ja) * 2019-11-01 2022-12-28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電極リードの製造方法及び加圧機
JP7399543B2 (ja) 2019-11-01 2023-12-18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電極リードの製造方法及び加圧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45579B2 (ja) 2022-04-01
EP3627591B1 (en) 2024-01-03
EP3627591A4 (en) 2020-08-12
KR102270866B1 (ko) 2021-07-01
US11404755B2 (en) 2022-08-02
ES2969689T3 (es) 2024-05-22
JP2020522101A (ja) 2020-07-27
CN110870101A (zh) 2020-03-06
PL3627591T3 (pl) 2024-03-25
US20200212416A1 (en) 2020-07-02
CN110870101B (zh) 2022-10-04
KR20190060244A (ko) 2019-06-03
EP3627591A1 (en) 202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03372A1 (ko) 이차전지
WO2019054619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16032092A1 (ko) 전지모듈
WO2018093038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40049748A (ko) 전극 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19045310A1 (ko) 파우치 형 이차 전지
WO2017039139A1 (ko) 배터리 팩
KR101082135B1 (ko) 배터리 팩
WO2015080380A1 (ko) 단락 방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WO2019050177A1 (ko) 파우치 형 이차 전지
WO2020122386A1 (ko) 전지 모듈
WO2013083029A1 (zh) 用于替代干电池的充电电池及其结构组件以及相应的电池仓
WO2019112197A1 (ko) 원통형 이차전지 모듈
CN109616608A (zh) 电池、电子设备及电池组
WO2016039503A1 (ko)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
WO2018199511A1 (ko) 전도성 폴리머를 이용한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WO2012169793A2 (ko) 전지팩 안전장치
WO2019009519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23059139A1 (ko)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JP2002184369A (ja) 活電部保護ケース
CN217589073U (zh) 电池和电子设备
WO2021162288A1 (ko) 접착부 및 스팟 용접으로 결합된 전극리드 결합부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KR100420149B1 (ko) 안전 장치를 채용한 이차 전지
WO2021187717A1 (ko)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WO2024029684A1 (ko) 이차전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808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565869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8808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1220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