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2139A - 전극 리드 제조 방법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전극 리드 제조 방법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2139A
KR20210062139A KR1020190149920A KR20190149920A KR20210062139A KR 20210062139 A KR20210062139 A KR 20210062139A KR 1020190149920 A KR1020190149920 A KR 1020190149920A KR 20190149920 A KR20190149920 A KR 20190149920A KR 20210062139 A KR20210062139 A KR 20210062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ead
electrode
metal plate
manufactur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형
최용수
김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149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2139A/ko
Priority to EP20889790.0A priority patent/EP4043614A4/en
Priority to JP2022523338A priority patent/JP2022552731A/ja
Priority to CN202080071654.7A priority patent/CN114556686A/zh
Priority to PCT/KR2020/011473 priority patent/WO2021101028A1/ko
Priority to US17/770,187 priority patent/US20220393316A1/en
Publication of KR20210062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1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01Process or apparatus
    • C23C18/1603Process or apparatus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 C23C18/1605Process or apparatus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by mas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01Process or apparatus
    • C23C18/1633Process of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89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22/05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 C23C22/06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 C23C22/24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containing hexavalent chrom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30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 C23C28/34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material layer, e.g. metal carbide, nitride, boride, silicide layer and their mixtures, enamels, phosphates and sul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02Electroplating of selected surface a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02Electroplating of selected surface areas
    • C25D5/022Electroplating of selected surface areas using mask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48After-treatment of electroplated surfa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3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Other Surface Treatments For Metallic Materi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리드 제조 방법은 제1 전극 리드 및 제2 전극 리드를 각각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극 리드 및 상기 제2 전극 리드를 서로 접착시켜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전극 리드를 제조하는 단계는, 제1 금속 릴에서 제1 금속 판을 권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금속 판에서, 상기 연결부가 형성될 제1 연결 영역에 제1 테이프를 부착하여 마스킹하는 단계; 상기 제1 금속 판에 도금 및 표면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테이프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 리드를 제조하는 단계는, 제2 금속 릴에서 제2 금속 판을 권출하는 단계; 상기 제2 금속 판에서, 상기 연결부가 형성될 제2 연결 영역에 제2 테이프를 부착하여 마스킹하는 단계; 상기 제2 금속 판에 도금 및 표면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테이프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극 리드 제조 방법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The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Lead And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전극 리드 제조 방법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단의 전극 리드를 형성하여 전지 케이스의 내부에 발생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러한 2단의 전극 리드 사이의 저항을 감소시켜 발열량을 저하시키는 전극 리드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 형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의 종류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리튬 이온 전지 및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등이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디지털 카메라, P-DVD, MP3P, 휴대폰, PDA, Portable Game Device, Power Tool 및 E-bike 등의 소형 제품뿐만 아니라,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고출력이 요구되는 대형 제품과 잉여 발전 전력이나 신재생 에너지를 저장하는 전력 저장 장치와 백업용 전력 저장 장치에도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해, 양극(Cathode), 분리막(Separator) 및 음극(Anode)을 제조하고, 이들을 적층한다. 구체적으로, 양극 활물질 슬러리를 양극 집전체에 도포하고,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음극 집전체에 도포하여 양극(Cathode)과 음극(Anode)을 제조한다. 그리고 상기 제조된 양극 및 음극의 사이에 분리막(Separator)이 개재되어 적층되면 단위 셀(Unit Cell)들이 형성되고, 단위 셀들이 서로 적층됨으로써, 전극 조립체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극 조립체가 특정 케이스에 수용되고 전해액을 주입하면 이차 전지가 제조된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의 재질에 따라, 파우치 형(Pouch Type) 및 캔 형(Can Type) 등으로 분류된다. 파우치 형(Pouch Type)은 형태가 일정하지 않은 유연한 폴리머 재질로 제조된 파우치에 전극 조립체를 수용한다. 그리고, 캔 형(Can Type)은 형태가 일정한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제조된 케이스에 전극 조립체를 수용한다.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는, 유연성을 가지는 파우치 필름에 드로잉(Drawing) 성형을 하여, 컵부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리고 컵부가 형성되면, 상기 컵부의 수용 공간에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고 전지 케이스를 폴딩한 후 실링부를 실링하여 이차 전지를 제조한다.
한편, 이차 전지는 내부 단락, 과충전, 과방전 등에 의해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스는 이차 전지의 내부 압력을 상승시켜 부품간의 결합력 약화, 이차 전지의 케이스 파손, 보호회로의 조기 작동, 전극의 변형, 내부 단락, 폭발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캔 형(Can Type)의 이차 전지의 경우에는, CID 필터 및 안전 벤트와 같은 보호 부재가 마련되어, 케이스의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면 전기적 연결을 물리적으로 차단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파우치 형(Pouch Type)의 이차 전지의 경우에는, 이러한 보호 부재가 충분히 마련되지 않았다.
한국공개공보 제2019-006024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2단의 전극 리드를 형성하여 전지 케이스의 내부에 발생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러한 2단의 전극 리드 사이의 저항을 감소시켜 발열량을 저하시키는 전극 리드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 형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리드 제조 방법은 제1 전극 리드 및 제2 전극 리드를 각각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극 리드 및 상기 제2 전극 리드를 서로 접착시켜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전극 리드를 제조하는 단계는, 제1 금속 릴에서 제1 금속 판을 권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금속 판에서, 상기 연결부가 형성될 제1 연결 영역에 제1 테이프를 부착하여 마스킹하는 단계; 상기 제1 금속 판에 도금 및 표면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테이프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 리드를 제조하는 단계는, 제2 금속 릴에서 제2 금속 판을 권출하는 단계; 상기 제2 금속 판에서, 상기 연결부가 형성될 제2 연결 영역에 제2 테이프를 부착하여 마스킹하는 단계; 상기 제2 금속 판에 도금 및 표면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테이프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전극 리드는, 일단이 전극 탭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 영역은, 상기 제1 전극 리드의 타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결 영역은, 상기 제2 전극 리드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 리드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테이프를 제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금속 판을 일정 간격으로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 리드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테이프를 제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금속 판을 일정 간격으로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 리드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테이프를 부착하여 마스킹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금속 판을 일정 간격으로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 리드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테이프를 부착하여 마스킹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2 금속 판을 일정 간격으로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금 및 표면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하면, 상기 제1 금속 판의 외면에는 제1 피막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금속 판의 외면에는 제2 피막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금 및 표면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는, 크로메이트 처리, 지르코니아 처리 및 티타늄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형 이차 전지는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하는 전극과, 분리막이 적층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파우치 형태의 전지 케이스; 상기 전극과 연결되며 상기 전극 조립체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전극 탭; 일단이 상기 전극 탭과 연결되는 제1 전극 리드; 일단이 상기 제1 전극 리드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지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2 전극 리드; 및 상기 제1 전극 리드 및 상기 제2 전극 리드를 서로 접착시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전극 리드는, 외면에 제1 피막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가 형성되는 제1 연결 영역에는 상기 제1 피막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2 전극 리드는, 외면에 제2 피막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가 형성되는 제2 연결 영역에는 상기 제2 피막이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피막 또는 상기 제2 피막은, 크로메이트 피막, 지르코니아 피막 및 티타늄 피막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전극 리드의 일부를 포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전극 리드를 상기 전지 케이스에 접착시키는 절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전극 리드와 상기 연결부 간의 접착력은, 상기 제1 및 제2 전극 리드와 상기 절연부 간의 접착력보다 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 리드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연결된 부분을 포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는,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열경화성, 광경화형 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도전재 및 전도성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두께가 1 내지 500 μ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전극 리드를 복수로 마련하여 2단의 전극 리드를 형성함으로써, 전지 케이스의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여 내부 압력이 증가하더라도,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 리드와 제2 전극 리드에 도금 및 표면처리를 수행하더라도, 서로가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 영역에는 피막이 형성되지 않아,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조립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형 이차 전지의 부피가 팽창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형 이차 전지를 도 2의 A-A'로 절단한 단면도의 일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형 이차 전지의 부피가 팽창한 모습을 도 2의 A-A'로 절단한 단면도의 일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 리드 또는 제2 전극 리드를 제조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릴에서 권출된 금속 판에 테이프를 부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릴에서 권출된 금속 판에 테이프를 박리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 리드 및 제2 전극 리드를 접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 리드 및 제2 전극 리드가 접착되어 2단의 전극 리드의 제조가 완료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 리드 또는 제2 전극 리드를 제조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의 조립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형 이차 전지(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 음극 등의 전극 및 분리막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전극 조립체(10) 및 상기 전극 조립체(10)를 내부에 수용하는 파우치 형의 전지 케이스(13)를 포함한다.
파우치 형 이차 전지(1)를 제조하기 위해, 먼저 전극 활물질과 바인더 및 가소제를 혼합한 슬러리를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에 도포하여 양극과 음극 등의 전극을 제조한다. 이를 분리막(Separator)의 양 측에 적층함으로써 소정 형상의 전극 조립체(10)를 형성한 다음에, 전극 조립체(10)를 전지 케이스(13)에 삽입하고 전해액 주입 후 실링한다.
구체적으로, 전극 조립체(Electrode Assembly, 10)는 양극 및 음극 두 종류의 전극과, 전극들을 상호 절연시키기 위해 전극들 사이에 개재되거나 어느 하나의 전극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는 분리막을 구비한 적층 구조체일 수 있다. 상기 적층 구조체는 소정 규격의 양극과 음극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적층될 수도 있고, 젤리 롤(Jelly Roll) 형태로 권취될 수 있는 등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두 종류의 전극, 즉 양극과 음극은 각각 알루미늄과 구리를 포함하는 금속 포일 또는 금속 메쉬 형태의 전극 집전체에 활물질 슬러리가 도포된 구조이다. 슬러리는 통상적으로 입상의 활물질, 보조 도체, 바인더 및 가소제 등이 용매가 첨가된 상태에서 교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용매는 후속 공정에서 제거된다.
전극 조립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탭(Electrode Tab, 11)을 포함한다. 전극 탭(11)은 전극 조립체(10)의 양극 및 음극과 각각 연결되고, 전극 조립체(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전극 조립체(10)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전자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가 된다. 전극 조립체(10)의 전극 집전체는 전극 활물질이 도포된 부분과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말단 부분, 즉 무지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극 탭(11)은 무지부를 재단하여 형성되거나 무지부에 별도의 도전부재를 초음파 용접 등으로 연결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전극 탭(1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조립체(10)의 일측으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히 돌출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각각 다른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전극 조립체(10)의 전극 탭(11)에는 이차 전지(1)의 외부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극 리드(Electrode Lead, 12)가 스팟(Spot) 용접 등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리드(12)는 복수로 마련되어, 2단의 전극 리드(12)를 형성한다. 그리고, 2단의 전극 리드(12) 중에서, 제1 전극 리드(123, 도 4에 도시됨)는 전극 조립체(10)의 전극 탭(11)과 연결되고, 제2 전극 리드(124, 도 4에 도시됨)는 전지 케이스(Battery Case, 13)의 외부로 돌출된다. 2단의 전극 리드(12)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전극 리드(12)의 일부는 절연부(14)로 주위가 포위된다. 절연부(14)는 전지 케이스(13)의 상부 케이스(131)와 하부 케이스(132)가 열 융착되는 실링부(134)에 한정되어 위치하여, 전극 리드(12)를 전지 케이스(13)에 접착시킨다. 그리고, 전극 조립체(10)로부터 생성되는 전기가 전극 리드(12)를 통해 전지 케이스(13)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며, 전지 케이스(13)의 실링을 유지한다. 따라서, 이러한 절연부(14)는 전기가 잘 통하지 않는 비전도성을 가진 부도체로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절연부(14)로는, 전극 리드(12)에 부착하기 용이하고, 두께가 비교적 얇은 절연테이프를 많이 사용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극 리드(12)를 절연할 수 있다면 다양한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전극 리드(12)는 양극 탭(111)에 일단이 연결되고, 양극 탭(111)이 돌출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극 리드(121) 및 음극 탭(112)에 일단이 연결되고, 음극 탭(112)이 돌출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음극 리드(122)를 포함한다. 한편, 양극 리드(121) 및 음극 리드(1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타단이 전지 케이스(13)의 외부로 돌출된다. 그럼으로써, 전극 조립체(10)의 내부에서 생성된 전기를 외부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양극 탭(111) 및 음극 탭(112)이 각각 다양한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므로, 양극 리드(121) 및 음극 리드(122)도 각각 다양한 방향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양극 리드(121) 및 음극 리드(122)는 서로 그 재질이 다를 수 있다. 즉, 양극 리드(121)는 양극 집전체와 동일한 알루미늄(Al) 재질이며, 음극 리드(122)는 음극 집전체와 동일한 구리(Cu) 재질 또는 니켈(Ni)이 코팅된 구리 재질일 수 있다. 그리고 전지 케이스(13)의 외부로 돌출된 전극 리드(12)의 일부분은 단자부가 되어, 외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지 케이스(13)는 전극 조립체(10)를 내부에 수납하는, 연성의 재질로 제조된 파우치이다. 이하, 전지 케이스(13)는 파우치인 것으로 설명한다. 펀치 등을 이용하여 유연성을 가지는 파우치 필름(135)을 드로잉(Drawing) 성형하면, 일부가 연신되어 주머니 형태의 수용 공간(1331)을 포함하는 컵부(133)가 형성됨으로써, 전지 케이스(13)가 제조된다. 전지 케이스(13)는 전극 리드(12)의 일부, 즉 단자부가 노출되도록 전극 조립체(10)를 수용하고 실링된다. 이러한 전지 케이스(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31)와 하부 케이스(132)를 포함한다. 하부 케이스(132)에는 컵부(133)가 형성되어 전극 조립체(1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1331)이 마련되고, 상부 케이스(131)는 상기 전극 조립체(10)가 전지 케이스(13)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용 공간(1331)을 상부에서 커버한다. 그리고 실링부(134)가 실링됨으로써 상기 수용 공간(1331)을 밀폐한다. 이 때, 상부 케이스(131)에도 수용 공간(1331)이 마련된 컵부(133)가 형성되어, 전극 조립체(10)를 상부에서 수용할 수도 있다. 상부 케이스(131)와 하부 케이스(13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서로 연결되어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서로 분리되어 별도로 제조되는 등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전극 조립체(10)의 전극 탭(11)에 전극 리드(12)가 연결되고, 전극 리드(12)의 일부분에 절연부(14)가 형성되면, 하부 케이스(132)의 컵부(133)에 마련된 수용 공간(1331)에 전극 조립체(10)가 수용되고, 상부 케이스(131)가 상기 공간을 상부에서 커버한다. 그리고,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고 상부 케이스(131)와 하부 케이스(132)의 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실링부(134)를 실링한다. 전해액은 이차 전지(1)의 충, 방전 시 전극의 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리튬 이온을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리튬염과 고순도 유기 용매류의 혼합물인 비수질계 유기 전해액 또는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한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 형 이차 전지(1)가 제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형 이차 전지(1)의 부피가 팽창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파우치 형 이차 전지(1)는 전극 조립체(10)의 외부 충격에 의한 내부 단락, 과충전, 과방전 등에 의한 발열과 이로 인한 전해질 분해, 열폭주 현상 등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많은 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또는 고온에서 보관하거나 저장하는 경우, 높은 온도가 전해질 및 전극 활물질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빠르게 촉진하여 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13)를 제조하기 위해, 펀치 등을 이용하여 유연성을 가지는 파우치 필름(135)을 드로잉(Drawing) 성형하여, 하부 케이스(132)에 컵부(133)를 함몰 형성한다. 이러한 드로잉 성형은 프레스에 파우치 필름(135)을 삽입하고 펀치로 파우치 필름(135)에 압력을 인가하여, 파우치 필름(135)을 연신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이와 같이 파우치 필름(135)을 연신시켜 컵부(133)를 형성함으로써, 전지 케이스(13)가 제조된다. 이러한 파우치 필름(135)은 주로 나일론(Nylon)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머로 제조되는 표면 보호층(Surface Protection Layer), 주로 알루미늄 박막(Al Foil)으로 제조되는 가스 배리어층(Gas Barrier Layer) 및 주로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 등의 폴리머로 제조되는 실란트층(Sealant Layer)을 적층하여 형성한다.
만약 전지 케이스(13) 내부에서 기체가 발생한다면, 전지 케이스(13)는 각 층들이 모두 유연성을 가지므로, 상기 발생한 기체가 이차 전지(1)의 내부 압력을 상승시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 전지(1)의 부피가 팽창한다. 그리고, 부품간의 결합력 약화, 이차 전지(1)의 케이스 파손, 보호회로의 조기 작동, 전극의 변형, 내부 단락, 폭발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형 이차 전지(1)를 도 2의 A-A'로 절단한 단면도의 일부이다.
전지 케이스(13)의 내부에서 기체가 발생하면 이차 전지(1)의 내부 압력을 상승시켜 부품간의 결합력 약화, 이차 전지(1)의 케이스 파손, 보호회로의 조기 작동, 전극의 변형, 내부 단락, 폭발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 전지(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리드(12)가 2단으로 형성된다. 즉, 전극 리드(12)는 전극 조립체(10)의 전극 탭(11)과 연결되는 제1 전극 리드(123) 및 전지 케이스(13)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2 전극 리드(12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전극 리드(1230)의 타단과 제2 전극 리드(1240)의 일단은 각각 일면이 연결부(15)를 통해 접착됨으로써, 서로 연결된다.
전지 케이스(13)가 정상일 때에는 제1 및 제2 전극 리드(123, 124)가 서로 안정적으로 연결되어야 하고, 전지 케이스(13)가 팽창하면 제1 및 제2 전극 리드(123, 124)는 서로 용이하게 탈착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전극 리드(123, 124)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여 측면이 연결되는 것보다는, 서로 다른 평면상에 위치하여 상하면이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전극 리드(123) 및 제2 전극 리드(124)를 서로 접착시키는 연결부(15)는, 두께가 1 내지 500 μm로 매우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전극 리드(123) 및 제2 전극 리드(124)가 단차를 형성하더라도, 단차의 크기가 과도하게 크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전극 리드(12)의 일부는 절연부(14)로 주위가 포위된다. 그리고 절연부(14)를 통해, 전극 리드가 전지 케이스에 접착된다. 상부 케이스(131)와 하부 케이스(132)가 실링되는 과정에서, 전극 리드(12)와 접촉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으므로, 전지 케이스(13)의 실란트층이 파손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실란트층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전극 조립체(1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므로 절연성을 가진다. 그러나, 실란트층이 파손된다면, 전극 리드(12)를 통해서 전지 케이스(13)로 전기가 흐를 수 있다. 특히, 전지 케이스(13)의 가스 배리어층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되므로, 실란트층이 조금이라도 파손되어 가스 배리어층이 노출된다면, 전극 리드(12)와 접촉하여 전기가 용이하게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절연부(14)는 전기가 잘 통하지 않는 비전도성을 가진 부도체로 제조된다. 또한, 절연부(14)는 높은 기계적 강도와 내열성을 가진다. 이에 절연부(14)에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폴리프로필렌(PP)은 인장강도, 강성, 표면경도, 내마모성, 내열성 등의 기계적 물성과 내식성 등의 화학적 물성이 뛰어나, 절연부(14)를 제조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나아가, 절연부(14)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산처리된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산처리된 폴리프로필렌과 노멀 폴리프로필렌을 혼합할 수도 있고, 폴리 에틸렌을 더 혼합할 수도 있으며, 단순히 산처리된 폴리프로필렌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산처리된 폴리프로필렌은 MAH PP(말레익 안하이드라이드 폴리프로필렌)일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케이스(131)와 하부 케이스(132)가 열 융착될 때 절연부(14)는 형태를 유지하여, 실란트 층이 일부 파손되어 가스 배리어층이 노출되더라도 전극 리드(12)와 가스 배리어층의 접촉을 차단한다. 그럼으로써 전극 조립체(10)로부터 생성되는 전기가 전극 리드(12)를 통해 전지 케이스(13)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절연부(14)는 높은 접착성을 가진다. 따라서, 전지 케이스(13)의 상부 케이스(131)와 하부 케이스(132)가 열 융착되는 실링부에 한정되어 위치하여, 전극 리드(12)를 전지 케이스(13)에 접착시킨다. 이러한 절연부(14)는 고분자 수지로서, 전기 절연성을 지니는 열가소성, 열경화성, 광경화형 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절연부(14)로는, 전극 리드(12)에 부착하기 용이하고, 두께가 비교적 얇은 절연테이프를 많이 사용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극 리드(12)를 절연할 수 있다면 다양한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부(14)는 제1 전극 리드(123), 연결부(15) 및 제2 전극 리드(124)를 모두 포위한다. 만약, 제1 전극 리드(123) 또는 연결부(15)를 포위하지 않는다면, 전지 케이스(13)가 팽창하더라도 제1 전극 리드(123)와 제2 전극 리드(124)에 척력을 인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척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형 이차 전지(1)의 부피가 팽창한 모습을 도 2의 A-A'로 절단한 단면도의 일부이다.
상기 기술한 바,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13)의 내부에서 압력이 증가한다면, 파우치 형 이차 전지(1)의 부피가 팽창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 케이스(13)의 외벽이 외측을 향해 이동한다. 이 때, 전지 케이스(13)의 외벽 중에 상벽 및 하벽은 면적이 넓고 실링이 되어 있지 않아, 연성이 더욱 크다. 따라서, 전지 케이스(13)의 상벽은 상방으로, 하벽은 하방으로 이동한다. 한편, 전지 케이스(13)의 외벽이 외측을 향해 이동하면서, 절연부(14)를 통해 연결된 제1 전극 리드(123)와 제2 전극 리드(124)에 척력을 인가한다. 따라서, 전지 케이스(13)의 내부 압력이 점점 증가하면 전지 케이스(13)의 외벽이 이동하려는 힘이 더욱 커지고, 제1 전극 리드(123)와 제2 전극 리드(124)에 인가되는 척력의 크기도 더욱 증가한다.
제1 전극 리드(123)와 제2 전극 리드(124)간의 접착력보다 상기 척력의 크기가 더 커지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 리드(123)와 제2 전극 리드(124)는 결국 탈착된다. 따라서, 전기적 연결이 물리적으로 차단되어, 전기가 더 이상 흐를 수가 없다. 여기서 탈착이란 흡착 또는 부착된 것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이 때 제1 전극 리드(123) 및 제2 전극 리드(124)와 연결부(15) 간의 접착력은, 제1 전극 리드(123) 및 제2 전극 리드(124)와 절연부(14) 간의 접착력보다 약하다. 따라서, 제1 전극 리드(123)와 제2 전극 리드(124)에 척력이 인가되면, 제1 전극 리드(123) 및 제2 전극 리드(124)와 절연부(14) 사이의 접착력은 유지되어 전지 케이스(13)의 실링이 유지되고, 제1 전극 리드(123) 및 제2 전극 리드(124)가 서로 탈착된다.
한편, 이러한 전극 리드(12)를 제조할 때, 추후에 절연부(14)가 전극 리드(12)에 용이하게 접착되기 위해, 금속 판에 도금 및 표면처리를 수행하여, 외면에 피막을 형성한다. 그런데, 제1 전극 리드(123)와 제2 전극 리드(124)를 서로 접착하기 전에 도금 및 표면처리를 수행한다면, 서로 접착한 후에는 외면에 형성된 피막끼리 접착되므로 접착면에서 저항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1 전극 리드(123)와 제2 전극 리드(124)를 서로 접착한 후에 도금 및 표면처리를 수행한다면, 제1 전극 리드(123)와 제2 전극 리드(124) 사이에서 서로를 연결하는 연결부(15)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 리드(123) 또는 제2 전극 리드(124)를 제조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극 리드(123)와 제2 전극 리드(124)에 도금 및 표면처리를 수행하더라도, 서로가 연결부(15)를 통해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 영역(1231, 1241)에는 피막이 형성되지 않아,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리드(12) 제조 방법은 제1 전극 리드(123) 및 제2 전극 리드(124)를 각각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극 리드(123) 및 상기 제2 전극 리드(124)를 서로 접착시켜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전극 리드(123)를 제조하는 단계는, 제1 금속 릴(21)에서 제1 금속 판(211)을 권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금속 판(211)에서, 상기 연결부가 형성될 제1 연결 영역(1231)에 제1 테이프(31)를 부착하여 마스킹하는 단계; 상기 제1 금속 판(211)에 도금 및 표면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테이프(31)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 리드(124)를 제조하는 단계는, 제2 금속 릴(22)에서 제2 금속 판(221)을 권출하는 단계; 상기 제2 금속 판(221)에서, 상기 연결부가 형성될 제2 연결 영역(1241)에 제2 테이프(32)를 부착하여 마스킹하는 단계; 상기 제2 금속 판(221)에 도금 및 표면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테이프(32)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전극 리드(12)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형 이차 전지(1)는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하는 전극과, 분리막이 적층되는 전극 조립체(10); 상기 전극 조립체(10)를 수용하는 파우치 형태의 전지 케이스; 상기 전극과 연결되며 상기 전극 조립체(1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전극 탭(11); 일단이 상기 전극 탭(11)과 연결되는 제1 전극 리드(123); 일단이 상기 제1 전극 리드(123)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지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2 전극 리드(124); 및 상기 제1 전극 리드(123) 및 상기 제2 전극 리드(124)를 서로 접착시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전극 리드(123)는, 외면에 제1 피막(1232)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가 형성되는 제1 연결 영역(1231)에는 상기 제1 피막(1232)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2 전극 리드(124)는, 외면에 제2 피막(1242)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가 형성되는 제2 연결 영역(1241)에는 상기 제2 피막(1242)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하, 도 6의 흐름도에 도시된 각 단계를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릴(21, 22)에서 권출된 금속 판(211, 221)에 테이프(31, 32)를 부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2단의 전극 리드(12)를 제조하기 위해, 먼저 제1 전극 리드(123)와 제2 전극 리드(124)를 각각 별도로 제조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1 전극 리드(123)와 제2 전극 리드(124)를 서로 접착시켜 연결부를 형성한다.
제1 전극 리드(123)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 금속 릴(21)에서 제1 금속 판(211)을 권출한다(S601). 제1 금속 릴(21)은 제1 금속 판(211)이 권취된 릴이며, 제1 금속 릴(21)로부터 제1 금속판이 일정한 속도로 권출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1 금속 판(211)은 제1 전극 리드(123)의 원재료가 된다.
제1 금속 판(211)이 권출되면, 제1 연결 영역(1231)에 제1 테이프(31)를 부착하여 마스킹을 한다(S602).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제1 전극 리드(123)는 일단이 전극 탭(11)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2 전극 리드(124)의 일단과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연결 영역(1231)은 추후에 제2 전극 리드(124)와 연결될, 제1 전극 리드(123)의 타단에 형성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금속 판(211)에서는, 제1 연결 영역(1231)은 제1 금속 판(211)의 일측 모서리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제1 테이프(31)를 여러 조각으로 절단하여 여러 번 부착할 필요가 없이, 하나의 제1 테이프(31)를 제1 연결 영역(1231)에 한 번에 부착할 수 있다.
제1 테이프(31)의 마스킹 공정이 완료되면, 제1 금속 판(211)에 도금 및 산화, 피막처리 등의 표면처리를 수행한다(S603). 만약 전극 리드(12)가 양극 리드(121)라면,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금속 판(211, 221)은 양극 집전체와 동일한 알루미늄(Al) 재질일 수 있다. 그리고 만약 전극 리드(12)가 음극 리드(122)라면, 금속 판(211, 221)은 음극 집전체와 동일한 구리(Cu) 재질일 수 있다. 이러한 금속 판(211, 221)에 니켈(Ni) 등의 금속으로 도금 공정을 수행한다. 도금 공정은 전해도금, 무전해도금 등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금 공정이 완료되면, 금속 판(211, 221)의 산화를 방지하고, 절연부(14)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표면처리는 크롬을 이용한 크로메이트(Chromate) 처리일 수 있다. 크로메이트 처리란 화성피막처리의 일종으로서, 금속의 표면에 크롬 성분을 포함하는 불용성의 크로메이트(크롬산염) 피막이 얇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금속 판(211, 221)을 크롬 이온이 포함된 수용액에 침지한다. 그러면, 크롬 이온이 산화반응을 하여 금속 판(211, 221)의 외면에 불용성의 크롬 산화물이 생성됨으로써 크로메이트 피막이 형성된다. 여기서 크롬 이온은 6가 이온 또는 3가 이온 등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이온일 수 있다. 그리고 크롬 이온이 포함된 수용액으로는, 무수크롬산, 질산크롬, 황산크롬, 초산크롬 및 염화크롬 등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면처리는 크롬이 아닌 물질을 이용한 비크로메이트(Non-Chromate) 처리일 수 있다. 여기서 크롬이 아닌 물질로는, 예를 들어 지르코늄일 수 있다. 만약 지르코늄을 이용하는 지르코니아 처리를 한다면, 상기 금속 판(211, 221)을 지르코늄 이온이 포함된 수용액에 침지한다. 그러면, 지르코늄 이온이 산화반응을 하여 금속 판(211, 221)의 외면에 지르코늄 산화물이 생성됨으로써 지르코니아 피막이 형성된다. 비크로메이트 처리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티타늄을 이용한 티타늄 처리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금속 판(211, 221)의 표면처리는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릴(21, 22)에서 권출된 금속 판(211, 221)에 테이프(31, 32)를 박리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1 금속 판(211)의 표면처리가 완료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킹된 제1 테이프(31)를 박리하여 제거한다(S604).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제1 금속 판(211)의 표면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제1 금속 판(211)의 외면에는 제1 피막(1232)이 형성되나, 제1 테이프(31)로 마스킹되었던 제1 연결 영역(1231)에만 외면에 제1 피막(1232)이 형성되지 않는다. 한편, 제1 테이프(31)는 표면 처리를 수행하는 동안, 부식되거나 변형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내식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상기 제1 금속 판(211)을 일정 간격으로 절단한다(S605). 그럼으로써, 제1 전극 리드(123)의 제조가 완료될 수 있다.
한편, 제2 전극 리드(124)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전극 리드(123)를 제조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한다. 이하, 상기 기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다.
구체적으로 먼저, 제2 금속 릴(22)에서 제2 금속 판(221)을 권출한다(S601). 그리고 제2 금속 판(221)이 권출되면, 제2 연결 영역(1241)에 제2 테이프(32)를 부착하여 마스킹을 한다(S602).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제2 전극 리드(124)는 일단이 제1 전극 리드(123)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전지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제2 연결 영역(1241)은 추후에 제1 전극 리드(123)와 연결될, 제2 전극 리드(124)의 일단에 형성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금속 판(221)에서는, 제2 연결 영역(1241)은 제2 금속 판(221)의 일측 모서리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테이프(32)의 마스킹 공정이 완료되면, 제2 금속 판(221)에 도금 및 산화, 피막처리 등의 표면처리를 수행한다(S603). 제2 금속 판(221)의 표면처리가 완료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킹된 제2 테이프(32)를 박리하여 제거한다(S604).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제2 금속 판(221)의 표면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제2 금속 판(221)의 외면에는 제2 피막(1242)이 형성되나, 제2 테이프(32)로 마스킹되었던 제2 연결 영역(1241)에만 외면에 제2 피막(1242)이 형성되지 않는다. 한편, 제2 테이프(32)는 표면 처리를 수행하는 동안, 부식되거나 변형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내식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상기 제2 금속 판(221)을 일정 간격으로 절단한다(S605). 그럼으로써, 제2 전극 리드(124)의 제조가 완료될 수 있다.
제1 전극 리드(123)와 제2 전극 리드(124)는 모두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추후에 서로 용이하게 접착되기 위해, 폭이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금속 판(211)을 절단하는 일정 간격과, 제2 금속 판(221)을 절단하는 일정 간격은 동일할 수 있다.
금속 판(211, 221)을 절단할 때에는 프레스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고, 레이저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제1 전극 리드(123) 및 제2 전극 리드(124)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금속 판(211, 221)을 절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 리드(123) 및 제2 전극 리드(124)를 접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 리드(123) 및 제2 전극 리드(124)가 접착되어 2단의 전극 리드(12)의 제조가 완료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상기 제조된 제1 전극 리드(123)의 일단의 제1 연결 영역(1231) 및 제2 전극 리드(124)의 타단의 제2 연결 영역(1241) 중 적어도 하나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151)를 도포한다. 그리고, 제1 연결 영역(1231)과 제2 연결 영역(1241)을 서로 접착시켜 리드 적층체를 형성한다.
접착제(151)는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한다. 그럼으로써, 전극 조립체(10)로부터 생성된 전기를 용이하게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접착제(151)는 도전재 및 폴리머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재는 천연 또는 인조 등의 흑연;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섬유 또는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카본, 알루미늄, 니켈, 금, 은, 구리 분말 등의 금속 분말; 1종의 금속 위에 이종의 금속으로 코팅된 Core/Shell 구조를 가지는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커;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및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특히 은을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착제(151)에 포함되는 도전재는 70 내지 80 wt%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머는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로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수지, CPE(Chlorinated Polyethylene) 수지, 실리콘, 폴리우레탄,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페놀수지 및 불포화에스테르 수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이미드(Polyimide) 및 폴리아미드(Polyami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특히 에폭시 또는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착제(151)에 포함되는 폴리머는 20 내지 30 wt%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151)가 도포된 후, 상기 리드 적층체에 열을 인가하면, 접착제(151)가 건조하여 경화됨으로써 연결부(15)가 형성되고, 이러한 연결부(15)는 도전재 및 전도성 폴리머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 리드(123)와 제2 전극 리드(124)가 서로 연결된 2단의 전극 리드(12)의 제조가 완료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 리드(123) 또는 제2 전극 리드(124)를 제조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극 리드(123) 또는 제2 전극 리드(124)를 제조하기 위해, 제1 금속 판(211) 또는 제2 금속 판(221)을 절단하는 단계는, 제1 테이프(31) 또는 제2 테이프(32)를 박리하여 제거한 이후에 수행하였다. 그럼으로써, 금속 판(211, 221)이 여러 조각으로 절단되지 않고 하나로 연속되어 형성되므로, 테이프(31, 32)를 여러 조각으로 절단하여 여러 번 부착할 필요가 없이, 하나의 테이프(31, 32)를 제1 및 제2 연결 영역(1231, 1241)에 한 번에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극 리드(123) 또는 제2 전극 리드(124)를 제조하기 위해, 제1 금속 판(211) 또는 제2 금속 판(221)을 절단하는 단계는, 제1 테이프(31) 또는 제2 테이프(32)를 부착하여 마스킹하는 단계 이전에 수행한다. 즉, 제1 금속 릴(21) 또는 제2 금속 릴(22)에서 제1 금속 판(211) 또는 제2 금속 판(221)이 권출되면, 제1 금속 판(211) 또는 제2 금속 판(221)을 여러 조각으로 절단한다. 구체적으로 먼저, 금속 릴(21, 22)에서 금속 판(211, 221)을 권출한다(S1101). 금속 판(211, 221)이 권출되면, 상기 금속 판(211, 221)을 일정 간격으로 절단한다(S1102). 그 후, 제1 또는 제2 연결 영역(1231, 1241)에 제1 또는 제2 테이프(31, 32)를 부착하여 마스킹을 한다(S1103). 테이프(31, 32)의 마스킹 공정이 완료되면, 금속 판(211, 221)에 도금 및 산화, 피막처리 등의 표면처리를 수행한다(S1104). 금속 판(211, 221)의 표면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마스킹된 테이프(31, 32)를 박리하여 제거한다(S1105). 그럼으로써, 제1 전극 리드(123) 또는 제2 전극 리드(124)의 제조가 완료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을 수행하면, 제1 테이프(31) 또는 제2 테이프(32)를 여러 조각으로 절단하므로, 제1 테이프(31) 또는 제2 테이프(32)의 크기가 감소한다. 따라서, 부착하고자 하는 제1 연결 영역(1231) 또는 제2 연결 영역(1241)에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이미 금속 판(211, 221)을 절단한 이후에도, 마스킹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공정 순서를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이차 전지 10: 전극 조립체
11: 전극 탭 12: 전극 리드
13: 전지 케이스 14: 절연부
15: 연결부 21: 제1 금속 릴
22: 제2 금속 릴 31: 제1 테이프
32: 제2 테이프 111: 양극 탭
112: 음극 탭 121: 양극 리드
122: 음극 리드 123: 제1 전극 리드
124: 제2 전극 리드 131: 상부 케이스
132: 하부 케이스 133: 컵부
134: 실링부 151: 접착제
211: 제1 금속 판 221: 제2 금속 판
1231: 제1 연결 영역 1232: 제1 피막
1241: 제2 연결 영역 1242: 제2 피막
1331: 수용 공간

Claims (15)

  1. 제1 전극 리드 및 제2 전극 리드를 각각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극 리드 및 상기 제2 전극 리드를 서로 접착시켜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전극 리드를 제조하는 단계는,
    제1 금속 릴에서 제1 금속 판을 권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금속 판에서, 상기 연결부가 형성될 제1 연결 영역에 제1 테이프를 부착하여 마스킹하는 단계;
    상기 제1 금속 판에 도금 및 표면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테이프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 리드를 제조하는 단계는,
    제2 금속 릴에서 제2 금속 판을 권출하는 단계;
    상기 제2 금속 판에서, 상기 연결부가 형성될 제2 연결 영역에 제2 테이프를 부착하여 마스킹하는 단계;
    상기 제2 금속 판에 도금 및 표면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테이프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 리드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리드는,
    일단이 전극 탭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 영역은,
    상기 제1 전극 리드의 타단에 형성되는 전극 리드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영역은,
    상기 제2 전극 리드의 일단에 형성되는 전극 리드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리드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테이프를 제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금속 판을 일정 간격으로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 리드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테이프를 제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금속 판을 일정 간격으로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극 리드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리드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테이프를 부착하여 마스킹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금속 판을 일정 간격으로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 리드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테이프를 부착하여 마스킹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2 금속 판을 일정 간격으로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극 리드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 및 표면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하면,
    상기 제1 금속 판의 외면에는 제1 피막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금속 판의 외면에는 제2 피막이 형성되는 전극 리드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 및 표면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는,
    크로메이트 처리, 지르코니아 처리 및 티타늄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극 리드 제조 방법.
  8.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하는 전극과, 분리막이 적층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파우치 형태의 전지 케이스;
    상기 전극과 연결되며 상기 전극 조립체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전극 탭;
    일단이 상기 전극 탭과 연결되는 제1 전극 리드;
    일단이 상기 제1 전극 리드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지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2 전극 리드; 및
    상기 제1 전극 리드 및 상기 제2 전극 리드를 서로 접착시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전극 리드는,
    외면에 제1 피막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가 형성되는 제1 연결 영역에는 상기 제1 피막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2 전극 리드는,
    외면에 제2 피막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가 형성되는 제2 연결 영역에는 상기 제2 피막이 형성되지 않는 파우치 형 이차 전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막 또는 상기 제2 피막은,
    크로메이트 피막, 지르코니아 피막 및 티타늄 피막 중 적어도 하나인 파우치 형 이차 전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 리드의 일부를 포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전극 리드를 상기 전지 케이스에 접착시키는 절연부를 더 포함하는 파우치 형 이차 전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 리드와 상기 연결부 간의 접착력은,
    상기 제1 및 제2 전극 리드와 상기 절연부 간의 접착력보다 약한, 파우치 형 이차 전지.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 리드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연결된 부분을 포위하는, 파우치 형 이차 전지.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열경화성, 광경화형 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파우치 형 이차 전지.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도전재 및 전도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파우치 형 이차 전지.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두께가 1 내지 500 μm인, 파우치 형 이차 전지.
KR1020190149920A 2019-11-20 2019-11-20 전극 리드 제조 방법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KR20210062139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920A KR20210062139A (ko) 2019-11-20 2019-11-20 전극 리드 제조 방법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EP20889790.0A EP4043614A4 (en) 2019-11-20 2020-08-27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WIRE AND POCKET-TYPE SECONDARY BATTERY
JP2022523338A JP2022552731A (ja) 2019-11-20 2020-08-27 電極リードの製造方法およびパウチ型二次電池
CN202080071654.7A CN114556686A (zh) 2019-11-20 2020-08-27 用于制造电极引线以及袋型二次电池的方法
PCT/KR2020/011473 WO2021101028A1 (ko) 2019-11-20 2020-08-27 전극 리드 제조 방법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US17/770,187 US20220393316A1 (en) 2019-11-20 2020-08-27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Lead and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920A KR20210062139A (ko) 2019-11-20 2019-11-20 전극 리드 제조 방법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139A true KR20210062139A (ko) 2021-05-31

Family

ID=75981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920A KR20210062139A (ko) 2019-11-20 2019-11-20 전극 리드 제조 방법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93316A1 (ko)
EP (1) EP4043614A4 (ko)
JP (1) JP2022552731A (ko)
KR (1) KR20210062139A (ko)
CN (1) CN114556686A (ko)
WO (1) WO202110102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244A (ko) 2017-11-24 2019-06-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4548A (ja) * 1994-10-26 1996-05-17 Yuasa Corp リチウム電池用シート状正極板の製造方法
JPH10312788A (ja) * 1997-05-14 1998-11-24 Ricoh Co Ltd 扁平型電池
JP4696457B2 (ja) * 2004-03-18 2011-06-08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及び電池の製造方法
KR100995886B1 (ko) * 2008-07-16 2010-11-22 주식회사 엘티케이 니켈 도금된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단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11216343A (ja) * 2010-03-31 2011-10-27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池タブの製造方法と電池タブ及びそれを備えるフープ材
KR101029821B1 (ko) * 2010-07-22 2011-04-18 (주)케이비티 이차전지용 양극단자의 제조 방법
KR102292159B1 (ko) * 2017-04-24 2021-08-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도성 폴리머를 이용한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2268402B1 (ko) * 2017-08-29 2021-06-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파우치 형 이차 전지
KR102288121B1 (ko) * 2017-09-07 2021-08-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파우치 형 이차 전지
KR102264635B1 (ko) * 2017-11-23 2021-06-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파우치 형 이차 전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244A (ko) 2017-11-24 2019-06-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43614A4 (en) 2022-12-14
CN114556686A (zh) 2022-05-27
US20220393316A1 (en) 2022-12-08
WO2021101028A1 (ko) 2021-05-27
EP4043614A1 (en) 2022-08-17
JP2022552731A (ja) 202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8402B1 (ko) 파우치 형 이차 전지
KR102264635B1 (ko) 파우치 형 이차 전지
EP3544089B1 (en) Pouch-type secondary battery
EP4002569A1 (en) Battery case for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gas discharge part
US20220263166A1 (en) Battery Case Fo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JP7399543B2 (ja) 電極リードの製造方法及び加圧機
EP4044293A1 (en)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3989306A1 (en) Battery case fo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EP3758133B1 (en) Pouch for secondary battery and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EP404361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lead, and pouch-type secondary battery
JP2023502614A (ja) 二次電池およびシールブロック
JP7463017B2 (ja) 電極リード、その製造方法およびパウチ型二次電池
KR20210120381A (ko) 전극 리드, 그의 제조 방법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KR20210113457A (ko) 전극 리드, 그의 제조 방법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KR20190126617A (ko) 벤팅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