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39503A1 -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39503A1
WO2016039503A1 PCT/KR2014/010544 KR2014010544W WO2016039503A1 WO 2016039503 A1 WO2016039503 A1 WO 2016039503A1 KR 2014010544 W KR2014010544 W KR 2014010544W WO 2016039503 A1 WO2016039503 A1 WO 201603950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ead
secondary battery
overcurrent
overcurrent blocking
blocking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1054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경준
김인중
김유신
정택주
Original Assignee
(주) 루트제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루트제이드 filed Critical (주) 루트제이드
Publication of WO201603950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3950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6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current, e.g. f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provided with an overcurrent blocking mea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condary battery provided with an overcurrent blocking means configured to protect the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nic devices from overcharge, overdischarge, overcurrent, and the like.
  • a secondary battery is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unlike a primary battery that cannot be charged.
  • a high output secondary battery using a non-aqueous electrolyte of high energy density has been developed, and one battery cell is a pack type.
  •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notebook computer, or a camcorder is used.
  • the battery cells may have several dozens of battery cells.
  • the secondary batteries ar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nd representative shapes include an electrode group (or jelly-roll, jelly-roll) between a strip-shaped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by sandwiching a separator, which is an insulator, and winding it in a vortex. type), and a stack type in which an electrode group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anode plates, cathode plates, and separators in a casing.
  • an electrode group or jelly-roll, jelly-roll
  • jelly-roll between a strip-shaped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by sandwiching a separator, which is an insulator, and winding it in a vortex. type
  • a stack type in which an electrode group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anode plates, cathode plates, and separators in a casing.
  • the secondary battery is composed of a positive electrode plate, a negative electrode plate, a separator and an electrolyte, and is charged / discharged by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when ions are transferr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through an electrochemical reaction. Since the secondary battery has a high operating potential of the battery, high energy may flow momentarily, and the positive electrode material reacts rapidly with the electrolyte because chemical activation is greatly increased due to overcharge, over discharge, or short. Generates a large amount of gas. As a result, the pressure or temperature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is rapidly increased, leading to an explosion of the battery, which may damage the peripheral device or damage the human body. Accordingly, various types of safety measures have been proposed for secondary batteries to prevent explosions.
  • the secondary battery has a protection circuit that blocks current during overcharge, over discharge, and overcurrent, a PTC element (Postive Temperature Coefficient Element) that blocks current by greatly increasing resistance when temperature rises, and blocks current when pressure rises due to gas generation. Or a safety vent such as a safety vent for exhausting the gas.
  • a PTC element Postive Temperature Coefficient Element
  • a PTC element and a safety vent are normally installed on an electrode assembly embedded in a cylindrical can.
  • a protective circuit module or a PTC element is generally mounted in a rectangular or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
  • the safety means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electrode assembly, the overall size of the secondary battery also increases as much as the space occupied by the safety means.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secondary battery having an overcurrent blocking means for blocking the flow of overcurrent by temporarily increasing the resistance when an overcurrent flows in the secondary battery.
  • a secondary battery provided with an overcurrent blocking means includes: an electrode body including at least on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A battery case accommodating the electrode body; A lead connected to the electrode tab of the electrode body; And an overcurrent blocking region formed in a portion of the lea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lead.
  • the secondary battery provided with an overcurrent block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de body including at least on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A battery case accommodating the electrode body; A lead connected to the electrode tab of the electrode body; And an overcurrent blocking region formed in the lead and having a greater resistance than other portions.
  •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vertical walls formed along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leads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one surface of the lead, and a horizontal wall connecting one end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walls to each other.
  •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may be formed in the entire widthwise length of the lead or a portion of the widthwise length of the lead.
  •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ea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lead.
  • the thickness direction length or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lead portion in which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is formed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r width of the lead portion in which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is not formed.
  •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may include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r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lead.
  •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center portion or the thickness direction center portion of the lead.
  • a conductive tape may be wound around a portion of the lead where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is formed.
  • a notch may be formed on the vertical wall or the horizontal wall of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 the notch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a V shape, a C shape, or an arc shape.
  • the secondary battery provided with the overcurrent block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tecting the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nic devices from the risk of explosion by quickly blocking the current flow of the secondary battery at the time of overcurrent flow or overcharge, overdischarge or short circuit In addition,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 the overcurrent safety means does not have to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secondary battery, the secondary battery and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electrically stabilized while reducing the overall size of the secondary battery.
  •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lead in a structure that can withstand the secondary battery is subjected to a lot of shock or vibra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afety of the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 secondary battery is us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minated structure of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battery provided with an overcurrent block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b is a side view of the secondary battery provided with the overcurrent blocking means shown in Figure 2a.
  • 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shown in Figure 2a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lead.
  • Figure 3b is a side view of the secondary battery provided with the overcurrent blocking means shown in Figure 3a.
  •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battery provided with an overcurrent block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b is a side view of the secondary battery provided with the overcurrent blocking means shown in Figure 4a.
  • 5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battery provided with overcurrent blocking means showing an overcurrent blocking region formed along a thickness direction of a l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B is a side view of the secondary battery provided with the overcurrent blocking means shown in FIG. 5A.
  • Figure 6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battery having an overcurrent blocking mean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otch is formed in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b is a side view of the secondary battery provided with the overcurrent blocking means shown in Figure 6a.
  • Figure 7a is a plan view showing a notch formed in the horizontal wall of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in the U-shape.
  • 7B is a plan view showing notches formed in the horizontal wall of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in the shape of an arc;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lication state of the jelly roll type secondary battery is an overcurrent block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condary battery 100 including the overcurrent blocking means includes an electrode body including at least one positive electrode plate 11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12. 10, a battery case 20 (see FIGS. 2A and 2B) in which the electrode body 10 is accommodated, a lead 30 and the lead connected to the electrode tab 15 of the electrode body 10.
  • 30 may include an overcurrent blocking region 40 formed in a longitudinal portion of the lead 30 and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lead 30.
  • the electrode body to the electrode assembly 10 are formed by alternately stacking at least one positive electrode plate 11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12, an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2. Separators 13 may be located.
  • electrode tabs 15 may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2, respectively.
  • the electrode tabs 15 protruding from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the electrode tabs 15 protruding from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2 are stacked. Can also be stacked to match one another.
  • electrode tabs 15 protruding from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2 may be connected to the lead 30.
  • the electrode tab 15 protruding from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 is connected to the lead 30 in order to prevent the drawing from being complicated,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2 is shown.
  • the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of the electrode tab 15 protruding from the lead 30 are the same as the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of the electrode tab 15 protruding from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 to the lead 30.
  • the electrode tab 15 to be described below is defined as an electrode tab 15 protruding from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
  • the electrode tab 15 and the lead 3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bonding method such as laser welding or ultrasonic welding.
  • the battery case 20 may include a pouch shape, and as long as the battery case 20 has a siz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electrode body 10, the shape or material of the battery case 20 is not limited.
  •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vertical walls formed along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lead 30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one surface of the lead 30. 41 and a horizontal wall 42 connecting one end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walls 41 to each other.
  •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40 reduce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ead 30 in a part of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ead 30 when overcurrent flows in the lead 30 so that disconnection is induced. That is,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40 serves as a resistance according to the overcurrent, and accordingly, the lead 30 is partially melted or melted in a part of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ead 30 so that the lead 30 is disconnected. That is, to break.
  •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40 is biased toward one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lead 30 to excessively reduce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lead 30.
  • the lead 30 may be structurally weak and easily deformed or broken by external force.
  •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40 is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ead 30 at regular intervals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lead 30, respectively. Can be formed.
  •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40 is formed in a plurality of the leads 30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so as not to be biased to one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lead 30, so that the leads generated by an external force Durability can be improved by reducing the strain of 30.
  • the ratio of reduc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ead 30 by reducing the thickness and width of the lead 30 to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40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apacity of the batter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40 may be applied to redu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ead 30. That i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40 is formed by forming a recessed groove in the lead 30 by the vertical wall 41 and the horizontal wall 42. 4A and 5B,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40 may include a through hole 43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r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lead 30.
  • the through hole 43 may also be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center portion or the width direction center portion of the lead 30 for structural stability of the lead 30.
  •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40 is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center portion or the width direction center portion of the lead 30, the portion of the lead 30 in which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40 is formed has a cross-sectional area (thickness or Since it is inevitable to have a fragile structure as the width) decreases, a taping operation for winding a conductive tape (not shown) is performed on a portion where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40 is formed to compensate for the structural weakness of the lead 30. It is desirable to.
  • notches 44 may be formed in the vertical wall 41 or the horizontal wall 42 of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40, as shown in FIGS. 6A and 6B. 6A and 6B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tch 44 is formed only on the horizontal wall 42 to reduce the width of the lid 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as shown in FIG. 3A, when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40 is formed in plural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ead 30, the lead is formed on the vertical wall 41 to form the lead. The thickness of 30 can also be reduced.
  • the notch 44 has a V-shape as shown in FIGS. 6A and 6B so that the vertical wall 41 or the horizontal wall 42 of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40 can be easily broken by overcurrent. It may be form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notch 44 is cut along the width direction or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rtical wall 41 or the horizontal wall 42 at a portion of the vertical wall 41 or the horizontal wall 4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arious shapes may be applied as long as the height of the 41 or the shape of the horizontal wall 42 can be reduced.
  •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40 which should be cut only by overcurrent, is likely to be easily broken by external force,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40 may be removed. You may not be able to perform the function.
  • the notch 44 is, as shown in Figs. 7a and 7b, to prevent the vertical wall 41 or the horizontal wall 42 is easily broken by an external force and can be broken only by overcurrent Or it is preferable to form in circular arc or curved shape.
  •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40 formed in the lead 30 may be applied in any shape as long as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40 is recessed in the lead 30.
  • it may be formed in a curved surface when view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lead 30. That is, in the case where the overcurrent flows, the overcurrent blocking means or the blocking region 40 may be any shape or structure as long as it has a larger resistance than other portions of the lead 30.
  • the lead 30 is increased in resistance by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40 even in the overcurrent generated from the electrode body 10, thereby causing disconnection. Since the secondary battery and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protected from the risk of explosion,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 the overcurrent blocking region 40 is directly formed in the lead 30, the secondary battery and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electrically and stably protected while reducing the overall size of the secondary battery.
  • the secondary battery provided with the overcurrent safety mea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tacked electrode group, but also as shown in FIG. 8. It can also be applied to a secondary battery of a battery including a winding-type electrode group or a battery including an electrode group formed by folding on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one negative electrode plate.

Abstract

본 발명은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과충전, 과방전, 과전류 등으로부터 이차전지 및 전자기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과전류 차단 수단을 구비한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극판 및 음극판을 포함하는 전극체; 상기 전극체가 수납되는 전지 케이스; 상기 전극체의 전극탭과 연결되는 리드; 및 상기 리드의 길이방향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리드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과전류 차단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
본 발명은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과충전, 과방전, 과전류 등으로부터 이차전지 및 전자기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과전류 차단 수단을 구비한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로, 최근 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이차 전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하나의 전지 셀이 팩 형태로 포장된 저 용량 전지의 경우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 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의 경우에는 상기 전지 셀을 수십 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이차 전지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이차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띠 상의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절연체인 분리막(separator)을 개재(介在)하여 이를 와류 상으로 감아 전극군(또는 젤리롤, jelly-roll type)을 형성한 원통형과, 양극판과 음극판 및 분리막을 복수개로 적층하여 전극군을 형성한 후 이를 케이스에 내장 설치한 스택형(stack type)이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양극판, 음극판, 분리막 및 전해질로 이루어지며,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서 이온이 이동될 때 발생되는 기전력에 의해 충전/방전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이차전지는 전지의 작동 전위가 높기 때문에 고에너지가 순간적으로 흐를 수 있고, 양극 물질은 과충전, 과방전 또는 단락(쇼트, short)에 의하여 화학적인 활성화가 크게 증대되기 때문에 전해질과 급격히 반응하여 다량의 가스를 발생시킨다. 그 결과 이차전지 내부의 압력이나 온도가 급격히 상승되고 전지의 폭발로 이어져, 주변 장치가 파손되거나 인체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에는 폭발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안전 수단이 제안되고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에는 과충전, 과방전, 과전류시 전류를 차단하는 보호회로, 온도 상승시 저항이 크게 증가하여 전류를 차단하는 PTC 소자(Postive Temperature Coefficient Element), 가스 발생에 따른 압력 상승시 전류를 차단하거나 가스를 배기하는 안전벤트 등의 안전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원통형의 이차전지에서는 원통형 캔에 내장되어 있는 전극 조립체 상부에 PTC 소자 및 안전벤트가 통상 설치되어 있고, 각형 또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에서는 보호회로모듈, PTC 소자 등이 일반적으로 탑재되어 있다.
하지만, 전지에 과전류가 흐르거나, 과충전 또는 과방전시 전지 내부의 온도와 안전 수단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차이가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전극 조립체를 제대로 보호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안전수단은 전극 조립체와 별도로 마련되기 때문에 안전수단이 차지하는 공간만큼 이차전지의 전체 크기도 커져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개발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1-0075789호의 '폭발방지수단을 구비하는 이차전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차전지에 과전류가 흐를 시에 일시적으로 저항을 증가시켜 과전류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전류 차단 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극판 및 음극판을 포함하는 전극체; 상기 전극체가 수납되는 전지 케이스; 상기 전극체의 전극탭과 연결되는 리드; 및 상기 리드의 길이방향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리드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과전류 차단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극판 및 음극판을 포함하는 전극체; 상기 전극체가 수납되는 전지 케이스; 상기 전극체의 전극탭과 연결되는 리드; 및 상기 리드에 형성되며, 다른 부위 보다 큰 저항을 가지는 과전류 차단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전류 차단 영역은, 상기 리드의 일면에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리드의 두께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수직벽과, 상기 복수개의 수직벽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전류 차단영역은, 상기 리드의 폭방향 길이 전체 또는 폭방향 길이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전류 차단영역은, 상기 리드의 두께방향 및 폭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리드의 상면 및 하면에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전류 차단영역이 형성된 리드 부위의 두께방향 길이 또는 폭방향 길이는 상기 과전류 차단영역이 형성되지 않은 리드 부위의 두께 또는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전류 차단 영역은, 상기 리드의 폭방향 또는 두께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리드의 폭방향 중앙부 또는 두께방향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전류 차단 영역이 형성된 상기 리드의 부위에는 도전성 테이프가 감겨질 수 있다.
상기 과전류 차단 영역의 수직벽 또는 수평벽에는 노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치는 V자 형상, ㄷ자 형상 또는 원호의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는, 이차전지에 과전류가 흐르거나 과충전, 과방전 또는 쇼트시에 이차전지의 전류 흐름을 신속히 차단하여 이차전지 및 전자기기를 폭발의 위험에서 보호하고, 또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과전류 안전수단을 이차전지와 별도로 마련하지 않아도 되므로, 이차전지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이면서 이차전지 및 전자기기를 전기적으로 안정되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전류 차단영역은 이차전지가 충격이나 진동을 많이 받는 환경에서도 견딜 수 있는 구조로 상기 리드에 형성되기 때문에, 이차전지가 사용되는 전자기기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양극판과 음극판의 적층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의 사시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의 측면도.
도 3a는 도 2a에 도시된 과전류 차단영역이 리드의 두께방향 양면에 각각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의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의 측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차단영역이 리드의 두께방향을 따라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의 사시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의 측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차단영역에 노치가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의 사시도.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의 측면도.
도 7a는 ㄷ자 형상으로 과전류 차단영역의 수평벽에 형성된 노치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7b는 원호의 형상으로 과전류 차단영역의 수평벽에 형성된 노치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차단수단이 젤리롤 타입 이차전지의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극판(11) 및 음극판(12)을 포함하는 전극체(10)와, 상기 전극체(10)가 수납되는 전지 케이스(20, 도2a 및 도 2b 참조)와, 상기 전극체(10)의 전극탭(15)과 연결되는 리드(30) 및 상기 리드(30)의 길이방향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리드(30)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과전류 차단 영역(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체 내지 전극조립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극판(11)과 음극판(12)이 교대로 적층되어 형성되며, 상기 양극판(11)과 음극판(12) 사이에는 분리막(separator, 13)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양극판(11) 및 음극판(12)의 일측에는 전극탭(15)이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극판(11)과 상기 음극판(12)이 교대로 적층되면, 상기 양극판(11)에서 돌출된 전극탭(15)은 서로 일치되어 적층되고, 상기 음극판(12)에서 돌출된 전극탭(15)도 서로 일치되어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극판(11) 및 음극판(12)에서 각각 돌출된 전극탭(15)은 상기 리드(30)와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면이 복잡하게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양극판(11)에서 돌출된 전극탭(15)만 리드(30)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하였으며, 상기 음극판(12)에서 돌출된 전극탭(15)이 상기 리드(30)와 연결되는 구조 및 연결방식은 상기 양극판(11)에서 돌출된 전극탭(15)이 상기 리드(30)에 연결되는 구조 및 연결방식과 동일하며,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극탭(15)은 상기 양극판(11)에서 돌출된 전극탭(15)으로 정의한다.
상기 전극탭(15)과 상기 리드(30)는 레이저용접이나 초음파용접 등과 같은 접합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지 케이스(20)는, 파우치(pouch)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극체(1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면 그 형상 또는 재질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과전류 차단영역(40)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30)의 일면에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리드(30)의 두께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수직벽(41)과, 상기 복수개의 수직벽(41)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벽(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전류 차단영역(40)은, 상기 리드(30)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에, 상기 리드(30)의 길이방향 일부에서 상기 리드(30)의 단면적을 감소시켜 단선이 유도되도록 한다. 즉, 상기 과전류 차단영역(40)은, 과전류에 따른 저항의 역할을 하고, 이에 따라 상기 리드(30)의 길이방향 일부에서 부분적으로 리드(30)가 녹거나 용융되어 상기 리드(30)가 단선 즉, 끊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과전류 차단영역(40)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30)의 두께방향 일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되어 상기 리드(30)의 두께방향에서의 단면적을 과도하게 감소시킬 경우, 즉, 상기 리드(30)의 두께를 과도하게 감소시킬 경우에는 상기 리드(30)가 구조적으로 취약하게 되어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거나 부러질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과전류 차단영역(40)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30)의 두께방향 및 폭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리드(3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전류 차단영역(40)은, 상기 리드(30)의 두께방향 및 폭방향에서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게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리드(30)에 복수개로 형성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리드(30)의 변형률을 감소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과전류 차단영역(40)으로 상기 리드(30)의 두께 및 폭을 줄여 상기 리드(30)의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비율은 전지의 용량과 재료의 특성 등을 감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과전류 차단영역(40)으로 상기 리드(30)의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 에서는, 상기 수직벽(41) 및 수평벽(42)에 의해 상기 리드(30)에 음각의 홈을 형성시켜 상기 과전류 차단영역(40)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4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과전류 차단영역(40)은, 상기 리드(30)의 폭방향 또는 두께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구멍(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구멍(43)도 상기 리드(30)의 구조적 안정을 위하여 상기 리드(30)의 두께방향 중앙부 또는 폭방향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과전류 차단영역(40)이 상기 리드(30)의 두께방향 중앙부 또는 폭방향 중앙부에 형성된다고 하여도, 상기 과전류 차단영역(40)이 형성된 상기 리드(30)의 부위는 단면적(두께 또는 폭)이 감소됨에 따라 취약한 구조를 가지는 것은 어쩔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리드(30)의 구조적 취약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과전류 차단영역(40)이 형성된 부위에 도전성 테이프(미도시)를 감는 테이핑 작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과전류 차단영역(40)의 수직벽(41) 또는 수평벽(42)에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notch, 44)가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명세서 도 6a 및 도 6b에는 상기 노치(44)가 상기 수평벽(42)에만 형성되어 상기 리드(30)의 폭을 줄이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과전류 차단영역(40)이 상기 리드(30)의 폭방향에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되었을 시에는, 상기 수직벽(41)에 형성되어 상기 리드(30)의 두께를 줄일 수도 있다.
상기 노치(44)는 상기 과전류 차단영역(40)의 수직벽(41) 또는 수평벽(42)이 과전류에 의해 용이하게 끊어질 수 있도록,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노치(44)는 상기 수직벽(41) 또는 수평벽(42)의 길이방향 일부에서 상기 수직벽(41) 또는 수평벽(42)의 폭 방향 또는 높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상기 수직벽(41)의 높이 또는 상기 수평벽(42)의 폭을 줄일 수 있는 형상이라면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노치(44)가 V자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과전류에 의해서만 끊어져야 하는 상기 과전류 차단영역(40)이 외력에 의해서도 쉽게 끊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상기 과전류 차단영역(40)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노치(44)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벽(41) 또는 수평벽(42)이 외력에 의해 쉽게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과전류에 의해서만 끊어질 수 있도록 ㄷ자 또는 원호 또는 만곡(彎曲)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리드(30)에 형성되는 과전류 차단영역(40)은 리드(30)에 함몰지게 형성된 것이면 어떠한 모양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드(30)의 두께 방향에서 볼 때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과전류가 흐를 경우에 리드(30)의 다른 부분 보다 큰 저항을 가지는 것이면 어떠한 모양, 구조라도 과전류 차단수단 또는 차단영역(40)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과전류 차단수단을 구비한 이차전지는, 상기 전극체(10)에서 발생되는 과전류에도 상기 리드(30)가 상기 과전류 차단영역(40)에 의해 저항이 증가되어 단선될 수 있으므로, 이차전지 및 전자기기를 폭발의 위험에서 보호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드(30)에 직접적으로 과전류 차단영역(40)을 형성하기 때문에, 이차전지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이면서 이차전지 및 전자기기를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보호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안전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는, 적층형 전극군을 가지는 이차전지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형태(예를 들면, 젤리롤 타입의 권선형 전극군을 포함하는 전지 또는 하나의 양극판과 하나의 음극판을 접어서 형성된 전극군을 포함하는 전지 등)의 이차전지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1)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극판 및 음극판을 포함하는 전극체;
    상기 전극체가 수납되는 전지 케이스;
    상기 전극체의 전극탭과 연결되는 리드; 및
    상기 리드의 길이방향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리드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과전류 차단 영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
  2.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극판 및 음극판을 포함하는 전극체;
    상기 전극체가 수납되는 전지 케이스;
    상기 전극체의 전극탭과 연결되는 리드; 및
    상기 리드에 형성되며, 다른 부위 보다 큰 저항을 가지는 과전류 차단 영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차단 영역은,
    상기 리드의 일면에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리드의 두께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수직벽과, 상기 복수개의 수직벽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차단영역은,
    상기 리드의 폭방향 길이 전체 또는 폭방향 길이 일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차단영역은,
    상기 리드의 두께방향 및 폭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리드의 상면 및 하면에서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차단영역이 형성된 리드 부위의 두께방향 길이 또는 폭방향 길이는 상기 과전류 차단영역이 형성되지 않은 리드 부위의 두께 또는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차단 영역은,
    상기 리드의 폭방향 또는 두께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리드의 폭방향 중앙부 또는 두께방향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차단 영역이 형성된 상기 리드의 부위에는 도전성 테이프가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차단 영역의 수직벽 또는 수평벽에는 노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V자 형상, ㄷ자 형상 또는 원호의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
PCT/KR2014/010544 2014-09-11 2014-11-05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 WO201603950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164A KR20160030688A (ko) 2014-09-11 2014-09-11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
KR10-2014-0120164 2014-09-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39503A1 true WO2016039503A1 (ko) 2016-03-17

Family

ID=55459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10544 WO2016039503A1 (ko) 2014-09-11 2014-11-05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030688A (ko)
WO (1) WO201603950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22862A (ja) * 2017-10-23 2020-07-30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二次電池
US11978926B2 (en) * 2017-06-21 2024-05-07 Lg Energy Solution, Ltd. Current blocking structure applied to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347B1 (ko) 2017-06-15 2021-01-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2201342B1 (ko) 2017-07-06 2021-01-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6814A (ko) * 2006-05-01 2007-1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과전류의 인가시 파괴되는 파단부가 형성되어 있는전극단자를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JP2009283218A (ja) * 2008-05-21 2009-12-03 Nec Tokin Corp 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20110075789A (ko) 2009-12-29 2011-07-06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폭발방지수단을 구비하는 이차전지
KR20130058345A (ko) * 2011-11-25 2013-06-04 세방전지(주) 파단홈을 가지는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
KR20130121423A (ko) * 2012-04-27 2013-1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단자간 연결 부위의 단면적이 감소된 이차전지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486B1 (ko) * 2013-11-11 2016-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퓨즈가 구비된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6814A (ko) * 2006-05-01 2007-1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과전류의 인가시 파괴되는 파단부가 형성되어 있는전극단자를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JP2009283218A (ja) * 2008-05-21 2009-12-03 Nec Tokin Corp 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20110075789A (ko) 2009-12-29 2011-07-06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폭발방지수단을 구비하는 이차전지
KR20130058345A (ko) * 2011-11-25 2013-06-04 세방전지(주) 파단홈을 가지는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
KR20130121423A (ko) * 2012-04-27 2013-1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단자간 연결 부위의 단면적이 감소된 이차전지 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8926B2 (en) * 2017-06-21 2024-05-07 Lg Energy Solution, Ltd. Current blocking structure applied to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JP2020522862A (ja) * 2017-10-23 2020-07-30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二次電池
JP7045587B2 (ja) 2017-10-23 2022-04-01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二次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0688A (ko) 2016-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56324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18021680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EP2410594B1 (en) Rechargeable battery
WO2019074193A1 (ko) 원통형 이차전지 모듈 및 원통형 이차전지 모듈 생산 방법
KR101106324B1 (ko) 파우치형 전지
WO2019050152A1 (ko) 벤팅 가스를 이용하여 커넥터를 파단시키는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WO2018105847A1 (ko) 원통형 이차전지 모듈
US8815439B2 (en) Secondary battery pack
WO2009157676A2 (ko) 안전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EP2482361A1 (en) Battery pack
KR100814853B1 (ko) 전지 모듈
WO2018093038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15167046A1 (ko) 이차 전지용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12053688A1 (ko) 캡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WO2017061709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19009625A1 (ko)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CN109983598B (zh) 电池组
WO2011037335A2 (ko)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WO2016039503A1 (ko)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
WO2017061707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60144325A (ko) 전극 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19212134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17099347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19103393A1 (ko) 최외곽 전극의 구조 및 집전체의 재질에 의해 사용 안전성이 향상된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갖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WO2019112197A1 (ko) 원통형 이차전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59286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59286

Country of ref document: EP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5928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