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39139A1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39139A1
WO2017039139A1 PCT/KR2016/007523 KR2016007523W WO2017039139A1 WO 2017039139 A1 WO2017039139 A1 WO 2017039139A1 KR 2016007523 W KR2016007523 W KR 2016007523W WO 2017039139 A1 WO2017039139 A1 WO 201703913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us bar
battery pack
case member
short
over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752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철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P16842105.5A priority Critical patent/EP3252845B1/en
Priority to CN201680015533.4A priority patent/CN107408658B/zh
Priority to US15/554,887 priority patent/US10586972B2/en
Priority to JP2017562555A priority patent/JP6505259B2/ja
Priority to PL16842105T priority patent/PL3252845T3/pl
Publication of WO201703913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391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current, e.g.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9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heat storage or buffering, e.g. heat capacity or liquid-solid phase changes or tran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3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pack that can improve the stability from the safety problems that occur during overcurrent.
  •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rapidly increasing in use because they have higher energy density per unit weight and are capable of rapid charging than other secondary batteries such as lead acid batteries, nickel cadmium batteries, nickel hydrogen batteries, and nickel zinc batteries. .
  • Lithium secondary battery has an operating voltage of 3.6 V or more, and is used as a power sour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or an electric vehicle, a hybrid vehicle, a power tool, an electric bicycle, electric power that requires a high power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ies in series or in parallel. Used for storage, UPS, etc.
  • Lithium secondary batteries have three times higher operating voltages than nickel cadmium batteries and nickel metal hydride batteries, and have excellent energy density per unit weight.
  • Lithium secondary batteries can be classified into lithium ion batteries using liquid electrolytes and lithium ion polymer batteries using polymer solid electrolytes, depending on the type of electrolyte.
  • Lithium ion polymer batteries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type of polymer solid electrolyte, an all solid lithium ion polymer battery containing no electrolyte solution and a lithium ion polymer battery using a gel polymer electrolyte containing electrolyte solution.
  • lithium ion batteries using a liquid electrolyte most of them are used in the form of a welded seal using a cylindrical or rectangular metal can as a container.
  • the secondary battery using the metal can as a container has a disadvantage that the design of the electric product using the metal can as a power source is restricted and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volume.
  •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and an electrolyte are put into a pouch packaging material made of a film and sealed is developed and used.
  • overheating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caused by various causes, one example is the case where an overcurrent exceeding a limit flows through a lithium secondary battery.
  •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When the overcurrent flows,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generates heat by Joule's Heat, so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battery rises rapidly.
  • Overcurrent may be caused by a sharpened metal object penetrating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traction of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breakdown of insulation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or an abnormality in a charging circuit or load connected to the outside. This occurs when a rush current is applied to the battery.
  •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 protection circuit to protect the battery from an abnormal situation such as overcurrent.
  • a protection circuit includes the fuse element which irreversibly disconnects the line through which a charge or discharge current flows, when an overcurrent generate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80023 discloses a conventional battery pack and a connecting bar applied thereto.
  • the conventional connecting bar has a safety problem such that the battery pack is damaged and ignition is caused by a spark generated when an external short circuit occurs in the battery pack.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pack that can reduce or absorb the damage caused by sparks generated during overcurrent.
  •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unit cell, a bus ba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nit cell and short-circuited by an overcurrent, and a protection unit provided on the bus bar to absorb sparks when a short circuit occurs in the bus bar.
  • the protection part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bus bar is shorted.
  • the protection unit encloses the bus bar and absorbs the absorbing member and the absorbing member therein, and is inserted into the case member and the case member to protect a part of the bus bar, and between the absorbing member and the case member. It may include a heat absorbing agent accommodated in the space.
  • the busbar may have a notch portion shorted by an overcurrent, and the absorbing member may surround the notch portion.
  • the absorbing member may be any one or more of aramid fibers, ceramic fibers, and silicon carbide fibers.
  • the heat absorbing agent may be made of silica and water.
  • the case member may have a polygonal or cylindrical shape.
  • the case member may be a non-conductive material of any one or more of plastic, tempered glass, and rubber.
  • a protective part containing aramid fibers in the bus bar has an effect of absorbing the damage caused by the spark generated when the bus bar short-circuited.
  •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mportant part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the battery module of FIG. 1 by removing the battery cover.
  • FIG. 3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only the bus bar in FIG. 1.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tection unit installed in the bus bar of FIG. 3.
  •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mportant part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battery pack of FIG. 1 by removing the battery cover.
  • the battery pack 1 is a bus ba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nit cell 10 and the unit cell 10 and short-circuited by an overcurrent ( 20 and a protection part 30 provided on the bus bar 20 to absorb a spark when a short circuit occurs in the bus bar 20.
  • the battery pack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100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 use purpose.
  • FIG. 1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wo battery modules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obvious that an appropriate number of battery modules 1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or in parallel as necessary.
  • the battery module 100 includes at least one unit cell 10 and a battery cover 120 surrounding the unit cell 10.
  • the unit cell 10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not shown) accommodated in the packaging material and the uncoated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uncoated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of the electrode assembly, respectively, and is drawn out in one and the other directions of the packaging material, respectively.
  • the first electrode lead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lead 112 are included.
  •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re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 first electrode lead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lead 112 are the positive electrode lead and the negative electrode, respectively. This will be described as a lead case.
  • the first electrode plate which is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is made of aluminum (Al)
  • the second electrode plate which is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is generally made of copper (Cu).
  • the anode lead 111 is made of the same aluminum (Al) material as the anode plate, and the cathode lead 112 is the same copper as the cathode pl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terial is made of (Cu) material or nickel (Ni) coated copper (Cu) material.
  • connection between the unit cells 10 can b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battery,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of series connec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
  • the unit cells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mbining the positive lead 111 of one unit cell 10 and the negative lead 112 of the adjacent unit cell 10 with each other.
  • the positive lead 111 of the unit cell 10 positioned at the outermost rear portion and the negative lead 112 of the unit cell 10 positioned at the outermost front portion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busbar 20. .
  • the number of unit cells 10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the number will be apparent that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 of the secondary battery.
  • FIG. 3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only the bus bar in FIG. 1.
  • the busbar 20 is formed of a thin plate-shaped alloy.
  • bus bars 20 are perforated with coupling holes 23 at both sides thereof, and a notch 21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 the notch portion 21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out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bus bar 20 to the inside.
  •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us bar 20 is reduced by the depth at which the notch 21 is formed, so that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portion where the notch 21 is formed is increased.
  • the bus bar 20 in which the notch 21 is formed has an effect of easily breaking when an overcurrent flows.
  • the external terminal 113 protrudes from the positive lead 111 of the unit cell 10 located at the outermost part of the battery module 100 and the negative lead 112 of the unit cell 10 located at the outermost part of the front part. Is formed.
  • the coupling hole 23 drilled on one side of the bus bar 20 is coupled to the external terminal 113 formed on the positive lead 111 of one battery module 100, and the other battery module 100 is connected.
  • the bus bar 20 is coupled to the external terminal 113 formed on the negative electrode lead 112 of the bus bar 20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wo battery modules 100. Install.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tection unit installed in the bus bar of FIG. 3.
  • the bus bar 20 is provided with a protection unit 30, the protection unit 30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notch portion 21 of the bus bar 20.
  • the reason why the protection part 30 is installed in the notch part 21 is because the protection part 30 absorbs and removes the spark generated in the short circuit of the bus bar 20 when the bus bar 20 is short-circuited. This is to prevent the damage and fire of (100).
  • the notch part 21 may be short-circuited and sparks may occur, and the protection part 30 may absorb and remove the sparks to ensure the safety of the battery pack 1.
  • the protection part 30 surrounds the notch 21 of the bus bar 20 and seals the absorbing member 31 and the absorbing member 31 therein to absorb sparks generated when the notch 21 is shorted. It is injected into the case member 32 and the case member 32 which protects the notch portion 21 of the bus bar 20 and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absorbing member 31 and the case member 32 so that the notch portion ( And a heat absorbing agent 33 for controlling the heat generated during the short circuit of 21) and removing the spark.
  • Absorbing member 31 is made of any one or more of aramid fiber (ceramic fiber), ceramic fiber (ceramic fiber), silicon carbide fiber (silicon carbide fiber)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effectively occurs when the notch 21 is short-circuited Absorbs and removes sparks and prevents fever.
  • the heat absorbing agent 33 is made of silica and water to effectively control the heat generated during the short circuit of the notch 21 and to remove the sparks.
  • the content of the heat absorbing agent 33 may be 10% silica and 90% wat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ntent ratio of silica and water may be changed.
  • the case member 32 may have a polygonal or cylindrical shape, but the absorbing member 31 surrounding the notch 21 is sealed therein while receiving and protecting the notch 21 of the bus bar 20 therein.
  • the shape is not limited as long as the heat absorbing agent 33 accommodated in it can be sealed so as not to leak to the outside.
  • the material of the case member 32 may be formed of any one or more non-conductive materials such as plastic, tempered glass, and rubb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bsorbing member 31 is rolled into the case member 32 which is opened inside.
  • the bus bar 20 is inserted into the absorbing member 31 so that the absorbing member 31 surrounds the notch 21 of the bus bar 20.
  • the heat absorbent 33 is filled in the case member 32 to fill the heat absorbent 33 between the case member 32 and the absorbent member 31.
  • the case member 32 is closed to seal the inside of the case member 32.
  •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n effect of absorbing damage caused by a spark generated when a bus bar is shorted by installing a protection part including aramid fibers in the bus b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전류 시 발생하는 안전 문제로부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셀, 상기 단위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과전류에 의해 단락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에 마련되어 상기 버스바의 단락 발생 시 스파크를 흡수하는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
관련출원과의 상호인용
본 출원은 2015년 9월 02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5-0124200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과전류 시 발생하는 안전 문제로부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디지털카메라, 휴대 전화, 랩탑(lap-top) PC, 파워 툴,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대용량 전력저장장치 등의 개발에 따라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리튬 이차전지는 종래의 납축전지, 니켈카드뮴전지, 니켈수소전지, 니켈아연전지 등 다른 이차전지에 비해, 단위 무게당 에너지 밀도가 높고, 급속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작동 전압이 3.6 V이상으로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으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다수의 전지를 직렬또는 병렬로 연결하고 고출력을 필요로 하는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파워 툴, 전기 자전거, 전력저장장치, UPS 등에 사용된다.
리튬 이차전지는 니켈카드뮴전지나 니켈수소화금속 전지에 비해 작동 전압이 3배 높고, 단위 무게당 에너지 밀도의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그 사용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전해질의 종류에 의해서,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와 고분자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로 나눌 수 있다.
또,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는 고분자 고체 전해질의 종류에 의해서, 전해액이 전혀 포함되지 않은 완전 고체형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와 전해액을 포함하고 있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로 나눌 수 있다.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경우, 대부분이 원통형이나 각형 금속캔을 용기로 해 용접 밀봉한 형태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금속캔을 용기로서 사용하는 이차전지는 그 형태가 고정되므로, 그것을 전원으로서 사용하는 전기 제품의 디자인이 제약된다고 하는 단점이 있고, 체적을 줄이기 어렵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와 전해질을 필름으로 제조한 파우치 포장재에 넣어 밀봉한 파우치형 이차전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리튬 이차전지가 과열된 경우는 폭발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안전성 확보가 중요한 과제의 하나이다.
리튬이차전지의 과열은 다양한 원인으로 생기지만, 그 하나로서 리튬 이차전지를 통해서 한계 이상의 과전류가 흐른 경우를 들 수 있다.
과전류가 흐르면, 리튬 이차전지가 줄열(Joule's Heat)에 의해서 발열하기 때문에, 전지의 내부온도가 급속히 상승한다.
또한, 급속한 온도 상승은 전해액의 분해 반응을 일으켜 열폭주 현상(thermal running)을 일으켜, 결국은 전지의 폭발에까지 이르게 된다.
과전류는 날카로워진 금속 물체가 리튬 이차전지를 관통하거나,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한 세퍼레이터의 수축에 의해,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절연이 파괴되거나, 또는 외부에 연결된 충전 회로나 부하의 이상에 의해서 돌입전류(rush current)가 전지에 인가된 경우 등에 발생한다.
따라서, 과전류 발생과 같은 이상 상황으로부터 전지를 보호하기 위해 리튬 이차전지는 보호 회로와 결합되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보호 회로에는, 과전류가 발생했을 때, 충전 또는 방전 전류가 흐르는 선로를 비가역적으로 단선시키는 퓨즈 소자가 포함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0023호에는 종래의 배터리 팩 및 이에 적용되는 커넥팅 바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커넥팅 바는 배터리 팩의 외부 단락 발생 시 발생하는 스파크(spark)에 의해 배터리 팩이 손상되고 발화가 유발되는 등의 안전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과전류 시 발생하는 스파크에 의한 데미지를 축소 또는 흡수할 수 있는 배터리 팩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단위셀, 상기 단위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과전류에 의해 단락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에 마련되어 상기 버스바의 단락 발생 시 스파크를 흡수하는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부는 상기 버스바가 단락되는 부위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는 상기 버스바를 감싸며 스파크를 흡수하는 흡수부재와 상기 흡수부재를 내부에 밀폐하며, 상기 버스바의 일부를 보호하는 케이스부재와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부에 주입되어 상기 흡수부재와 상기 케이스부재 사이 공간에 수용되는 흡열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바에는 과전류에 의해 단락되는 노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흡수부재는 상기 노치부를 감쌀 수 있다.
상기 흡수부재는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 세라믹 섬유(ceramic fiber), 탄화규소 섬유(silicon carbide fiber)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흡열제는 실리카(silica)와 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부재는 다각형 또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스부재는 플라스틱, 강화유리, 고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비전도 소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바에 아라미드 섬유가 포함된 보호부를 설치하여 버스바의 단락 시 발생하는 스파크에 의한 손상을 흡수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바에 아라미드 섬유와 흡열제가 포함된 보호부를 설치하여 버스바의 단락 시 발생하는 스파크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바에 흡열제가 포함된 보호부를 설치하여 버스바의 단락 시 발생하는 발열을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바에 비도전성 케이스부재가 포함된 보호부를 설치하여 버스바의 노치부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중요부를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커버를 제거하여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버스바 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버스바에 보호부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중요부를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커버를 제거하여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은 단위셀(10), 상기 단위셀(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과전류에 의해 단락되는 버스바(20) 및 상기 버스바(20)에 마련되어 상기 버스바(20)의 단락 발생 시 스파크(spark)를 흡수하는 보호부(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1)은 사용 용도에 따라 서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10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 1에서는 2개의 배터리 모듈(100)이 상호 직렬로 연결된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개수의 배터리 모듈(100)이 서로 간에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배터리 모듈(100)은 적어도 하나의 단위 셀(10) 및 단위 셀(10)을 감싸는 배터리 커버(120)로 구성된다.
상기 단위 셀(10)은 외장재에 수용된 전극 조립체(미도시) 및 상기 전극 조립체의 제1 전극판의 무지부, 제2 전극판의 무지부와 각각 연결되어 외장재의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각각 인출되는 제1 전극 리드(111) 및 제2 전극 리드(1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전극판, 제2 전극판이 각각 양극판 및 음극판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이에 따라 제1 전극리드(111), 제2 전극 리드(112)는 각각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인 경우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양극판인 제1 전극판은 알루미늄(Al) 재질이고, 음극판인 제2 전극판은 구리(Cu) 재질로 이루어짐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 전극판과 전극 리드(111,112) 사이의 용접성 및 전기 저항 최소화의 측면에서 상기 양극 리드(111)는 양극판과 동일한 알루미늄(Al) 재질로 이루어지며, 음극 리드(112)는 음극판과 동일한 구리(Cu) 재질 또는 니켈(Ni)이 코팅된 구리(Cu)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위 셀(10)이 복수 개인 경우에 있어서, 단위 셀(10) 상호간의 연결은 배터리의 용도에 따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이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직렬 연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단위 셀(10) 상호간의 연결은 하나의 단위 셀(10)의 양극 리드(111)와 인접한 단위 셀(10)의 음극 리드(112)가 서로 결합 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경우, 후면부 최 외측에 위치하는 단위 셀(10)의 양극 리드(111)와 전면부 최 외측에 위치하는 단위 셀(10)의 음극 리드(112)는 각각 상기 버스바(20)와 결합된다.
한편, 단위 셀(10)의 개수는 도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그 개수는 이차전지의 사용 용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서 버스바 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20)는 얇은 판상의 합금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버스바(20)는 양측에 각각 결합홀(23)이 천공되고, 중앙에 노치부(21)가 형성된다.
노치부(21)는 버스바(20) 중앙의 두께 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일정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노치부(21)가 형성된 깊이만큼 버스바(20)의 단면적이 줄어들어 노치부(21)가 형성된 부분의 전기 저항이 커진다.
따라서, 상기 노치부(21)가 형성된 버스바(20)는 과전류가 흐를 때 용이하게 파단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배터리 모듈(100)의 최외곽에 위치한 단위 셀(10)의 양극 리드(111) 및 전면부 최외곽에 위치한 단위 셀(10)의 음극 리드(112)에는 각각 외부 단자(11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20)를 배터리 모듈(100)에 설치할 시 버스바(20)의 결합홀(23)에 외부 단자(113)를 끼움 결합하여 설치한다.
즉, 하나의 배터리 모듈(100)의 양극 리드(111)에 형성된 외부 단자(113)에 버스바(20)의 일측에 천공된 결합홀(23)을 결합하고, 다른 하나의 배터리 모듈(100)의 음극 리드(112)에 형성된 외부 단자(113)에 버스바(20)의 타측에 천공된 결합홀(23)을 결합하여 두개의 배터리 모듈(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버스바(20)를 설치한다.
도 4는 도 3의 버스바에 보호부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20)에는 보호부(30)가 설치되는데, 상기 보호부(30)는 버스바(20)의 노치부(21)를 감싸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보호부(30)가 노치부(21)에 설치되는 이유는 보호부(30)가 버스바(20)의 단락 시 버스바(20)의 단락에서 발생되는 스파크를 흡수 및 제거하여 배터리 모듈(100)의 손상 및 발화 등을 방지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배터리 팩(1)에 과전류가 발생할 시 버스바(20)에서 노치부(21)가 단락되어 과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이때, 노치부(21)가 단락되면서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보호부(30)가 이러한 스파크를 흡수 및 제거하여 베터리 팩(1)의 안전성을 보장하게 된다.
상기 보호부(30)는 버스바(20)의 노치부(21)를 감싸며 노치부(21)의 단락 시 발생하는 스파크를 흡수하는 흡수부재(31)와 흡수부재(31)를 내부에 밀폐하며 상기 버스바(20)의 노치부(21)를 보호하는 케이스부재(32)와 케이스부재(32)의 내부에 주입되어 흡수부재(31)와 케이스부재(32) 사이 공간에 수용되어 노치부(21)의 단락 시 발생하는 발열을 제어하고 스파크를 제거하는 흡열제(33)를 포함한다.
흡수부재(31)는 내열성이 우수한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 세라믹 섬유(ceramic fiber), 탄화규소 섬유(silicon carbide fiber)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효과적으로 노치부(21)의 단락 시 발생하는 스파크를 흡수 및 제거하고 발열을 방지한다.
흡열제(33)는 실리카(silica)와 물로 이루어지게 하여 효과적으로 노치부(21)의 단락 시 발생하는 발열을 제어하고 스파크를 제거한다.
상기 흡열제(33)를 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흡열제(33)의 전체 함유량에서 실리카를 10%, 물을 90%의 비율로 만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흡열제(33)에서 실리카와 물의 함유량 비율을 변경할 수도 있다.
케이스부재(32)는 다각형 또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버스바(20)의 노치부(21)를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면서 노치부(21)를 감싸는 흡수부재(31)를 내부에 밀폐하고 내부에 수용된 흡열제(33)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할 수 있다면 그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케이스부재(32)의 소재는 플라스틱, 강화유리, 고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비전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소재 이외의 공지된 비전도 소재로도 형성될 수 있다.
보호부(30)를 버스바(20)에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내부가 개방된 케이스부재(32) 속에 흡수부재(31)를 말아 넣는다.
그리고 버스바(20)를 흡수부재(31) 안에 넣어 흡수부재(31)가 버스바(20)의 노치부(21)를 감싸도록 한다.
그리고 케이스부재(32)의 내부에 흡열제(33)를 채워넣어 케이스부재(32)와 흡수부재(31)의 사이에 흡열제(33)가 채워지게 한다.
그리고 케이스부재(32)의 내부가 밀폐되도록 케이스부재(32)를 폐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버스바에 아라미드 섬유가 포함된 보호부를 설치하여 버스바의 단락 시 발생하는 스파크에 의한 손상을 흡수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바에 아라미드 섬유와 흡열제가 포함된 보호부를 설치하여 버스바의 단락 시 발생하는 스파크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바에 흡열제가 포함된 보호부를 설치하여 버스바의 단락 시 발생하는 발열을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바에 비도전성 케이스부재가 포함된 보호부를 설치하여 버스바의 노치부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을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Claims (8)

  1. 단위셀(10);
    상기 단위셀(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과전류에 의해 단락되는 버스바(20); 및
    상기 버스바(20)에 마련되어 상기 버스바(20)의 단락 발생 시 스파크를 흡수하는 보호부(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30)는 상기 버스바(20)가 단락되는 부위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30)는
    상기 버스바(20)를 감싸며 스파크를 흡수하는 흡수부재(31)와
    상기 흡수부재(31)를 내부에 밀폐하며, 상기 버스바(20)의 일부를 보호하는 케이스부재(32)와
    상기 케이스부재(32)의 내부에 주입되어 상기 흡수부재(31)와 상기 케이스부재(32) 사이 공간에 수용되는 흡열제(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20)에는 과전류에 의해 단락되는 노치부(21)가 형성되며, 상기 흡수부재(31)는 상기 노치부(21)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재(31)는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 세라믹 섬유(ceramic fiber), 탄화규소 섬유(silicon carbide fiber)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흡열제(33)는 실리카(silica)와 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32)는 다각형 또는 원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32)는 플라스틱, 강화유리, 고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비전도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PCT/KR2016/007523 2015-09-02 2016-07-11 배터리 팩 WO2017039139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842105.5A EP3252845B1 (en) 2015-09-02 2016-07-11 Battery pack
CN201680015533.4A CN107408658B (zh) 2015-09-02 2016-07-11 电池组
US15/554,887 US10586972B2 (en) 2015-09-02 2016-07-11 Battery pack
JP2017562555A JP6505259B2 (ja) 2015-09-02 2016-07-11 バッテリーパック
PL16842105T PL3252845T3 (pl) 2015-09-02 2016-07-11 Pakiet akumulatoró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200A KR102002448B1 (ko) 2015-09-02 2015-09-02 배터리 팩
KR10-2015-0124200 2015-09-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39139A1 true WO2017039139A1 (ko) 2017-03-09

Family

ID=58187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7523 WO2017039139A1 (ko) 2015-09-02 2016-07-11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86972B2 (ko)
EP (1) EP3252845B1 (ko)
JP (1) JP6505259B2 (ko)
KR (1) KR102002448B1 (ko)
CN (1) CN107408658B (ko)
PL (1) PL3252845T3 (ko)
WO (1) WO20170391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09090A (ja) * 2017-06-28 2019-01-17 矢崎総業株式会社 吸熱体付き導体及び電池パッ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406B1 (ko) 2018-03-26 2022-10-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CN108649175B (zh) 2018-06-20 2023-11-2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输出极片及电池模组
KR20200058136A (ko) * 2018-11-19 2020-05-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KR102179991B1 (ko) * 2018-12-21 2020-11-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KR20220023504A (ko) 2020-08-21 2022-03-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무버블 퓨즈 어셈블리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23224125A1 (ja) * 2022-05-19 2023-11-23 イビデン株式会社 バス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蓄電装置
KR20240052546A (ko) * 2022-10-14 2024-04-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고장 배터리 셀의 연결을 단선시키는 배터리 팩
CN115663407B (zh) * 2022-10-25 2023-06-02 安徽平耀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pack和模组电连接件及其制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2795A (ja) * 2009-06-03 2010-12-16 Sony Corp 電池パック
KR20110060480A (ko) * 2009-11-30 2011-06-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KR20120050799A (ko) * 2010-11-11 2012-05-21 주식회사 루비 방열판이 부착된 배터리 셀 어셈블리
JP2014110233A (ja) * 2012-12-04 2014-06-12 Gs Yuasa Corp 蓄電装置
KR20140136246A (ko) * 2013-05-20 2014-1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96686A (en) * 1964-10-27 1967-12-29 Oldham & Son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ulti-cell electric storage batteries
JP4134532B2 (ja) * 2001-06-04 2008-08-20 オムロン株式会社 端子構造、接続装置、電子部品および機器
CN200993978Y (zh) * 2005-10-31 2007-12-19 布莱克和戴克公司 用于电池组的单元电池的电池连接带
US20070099073A1 (en) * 2005-10-31 2007-05-03 White Daniel J Cell connection straps for battery cells of a battery pack
ES2269009B1 (es) * 2006-09-15 2007-12-01 Rury Finance Inc. Formulacion ignifuga y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correspondiente.
KR20080025437A (ko) * 2006-09-18 2008-03-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단자의 위치조절이 가능하고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US20090189730A1 (en) * 2008-01-30 2009-07-30 Littelfuse, Inc. Low temperature fuse
JP5139203B2 (ja) * 2008-08-27 2013-02-06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吸熱シート
EP2416438B1 (en) * 2009-04-01 2015-02-25 LG Chem, Ltd.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safety
JP5416835B2 (ja) * 2009-05-21 2014-02-12 ビーワイディ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電流ヒューズ装置及びそれを含む電池アセンブリ
KR200471376Y1 (ko) 2010-02-18 2014-02-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퓨즈
JP5378305B2 (ja) 2010-06-11 2013-12-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リチウムイオン電池
DE102010038401B4 (de) * 2010-07-26 2013-11-14 Vishay Bccomponents Beyschlag Gmbh Thermosicherung sowie Verwendung einer solchen
JP5771057B2 (ja) * 2011-04-22 2015-08-26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
EP2672549B1 (en) * 2011-06-17 2017-11-15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and multi-battery system having a connecting component
JP5772312B2 (ja) * 2011-07-06 2015-09-0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池配線モジュール
JP2013073929A (ja) 2011-09-29 2013-04-22 Gs Yuasa Corp 電池パック
AU2012347924A1 (en) * 2011-12-06 2014-06-12 General Cable Technologies Corporation Cable component with non-flammable material
EP2698847B1 (en) 2012-01-03 2020-03-04 LG Chem, Ltd. Battery pack and connecting bar applied thereto
JP6045802B2 (ja) * 2012-03-21 2016-12-14 株式会社東芝 二次電池装置
DE102012205021A1 (de) * 2012-03-28 2013-10-02 Robert Bosch Gmbh Zellverbinder für ein Batteriesystem oder für eine Batteriezelle eines elektrischen Energiespeichers, Batterie und Kraftfahrzeug
DE102012017348A1 (de) * 2012-08-31 2014-03-06 Daimler Ag Stromschiene als Sicherung
KR20150060849A (ko) * 2012-10-11 2015-06-03 클로팀, 엘엘씨 리튬 이온 배터리
KR101693290B1 (ko) * 2013-04-18 2017-01-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JP2015103274A (ja) * 2013-11-20 2015-06-04 株式会社東芝 電池モジュール
EP3097142A1 (en) * 2014-01-23 2016-11-30 Neptune Research, Inc. Unidirectional fiber composite system for structural repairs and reinforcement
KR101937942B1 (ko) * 2015-07-13 2019-0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버스 바 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2795A (ja) * 2009-06-03 2010-12-16 Sony Corp 電池パック
KR20110060480A (ko) * 2009-11-30 2011-06-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KR20120050799A (ko) * 2010-11-11 2012-05-21 주식회사 루비 방열판이 부착된 배터리 셀 어셈블리
JP2014110233A (ja) * 2012-12-04 2014-06-12 Gs Yuasa Corp 蓄電装置
KR20140136246A (ko) * 2013-05-20 2014-1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252845A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09090A (ja) * 2017-06-28 2019-01-17 矢崎総業株式会社 吸熱体付き導体及び電池パ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52845B1 (en) 2018-11-28
CN107408658A (zh) 2017-11-28
KR20170027498A (ko) 2017-03-10
PL3252845T3 (pl) 2019-05-31
US10586972B2 (en) 2020-03-10
EP3252845A1 (en) 2017-12-06
EP3252845A4 (en) 2017-12-13
JP6505259B2 (ja) 2019-04-24
JP2018509744A (ja) 2018-04-05
CN107408658B (zh) 2020-04-07
US20180047970A1 (en) 2018-02-15
KR102002448B1 (ko) 201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39139A1 (ko) 배터리 팩
WO2018021680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17065496A1 (ko) 배터리 팩
WO2020009484A1 (ko) 열수축성 튜브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WO2015046878A1 (ko) 이차전지 및 이에 적용되는 전극 리드 조립체
WO2013081375A1 (ko)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모듈에 적용되는 버스 바
WO2017104878A1 (ko) 배터리 팩
WO2013103244A1 (ko) 배터리 팩 및 이에 적용되는 커넥팅 바
WO2019050152A1 (ko) 벤팅 가스를 이용하여 커넥터를 파단시키는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WO2009157676A2 (ko) 안전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WO2013058558A2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WO2019009625A1 (ko)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12134108A2 (ko) 가스배출장치를 포함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가스배출 제어방법
WO2012173451A2 (ko) 솔더링 커넥터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WO2014185662A1 (ko) 과전류 차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시스템
WO2022031056A1 (ko) 배터리 모듈, 그것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1125469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18216870A1 (ko)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WO2015046725A1 (ko) 전기 절연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0145531A1 (ko) 절연 튜브를 포함한 배터리 팩
WO2018217040A1 (ko)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1112655A1 (ko)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19117455A1 (ko)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 팩
WO2018151415A1 (ko) 열팽창성 테이프를 포함하는 안전성이 개선된 배터리 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199425A1 (ko)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 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421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562555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8421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54887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