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7498A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7498A
KR20170027498A KR1020150124200A KR20150124200A KR20170027498A KR 20170027498 A KR20170027498 A KR 20170027498A KR 1020150124200 A KR1020150124200 A KR 1020150124200A KR 20150124200 A KR20150124200 A KR 20150124200A KR 20170027498 A KR20170027498 A KR 20170027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short
battery
case member
circui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2448B1 (ko
Inventor
이철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124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448B1/ko
Priority to PL16842105T priority patent/PL3252845T3/pl
Priority to PCT/KR2016/007523 priority patent/WO2017039139A1/ko
Priority to JP2017562555A priority patent/JP6505259B2/ja
Priority to CN201680015533.4A priority patent/CN107408658B/zh
Priority to EP16842105.5A priority patent/EP3252845B1/en
Priority to US15/554,887 priority patent/US10586972B2/en
Publication of KR20170027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current, e.g. fuses
    • H01M2/101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9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heat storage or buffering, e.g. heat capacity or liquid-solid phase changes or transition
    • H01M2/0217
    • H01M2/022
    • H01M2/1094
    • H01M2/20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3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전류 시 발생하는 안전 문제로부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셀, 상기 단위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과전류에 의해 단락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에 마련되어 상기 버스바의 단락 발생 시 스파크를 흡수하는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과전류 시 발생하는 안전 문제로부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디지털카메라, 휴대 전화, 랩탑(lap-top) PC, 파워 툴,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대용량 전력저장장치 등의 개발에 따라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리튬 이차전지는 종래의 납축전지, 니켈카드뮴전지, 니켈수소전지, 니켈아연전지 등 다른 이차전지에 비해, 단위 무게당 에너지 밀도가 높고, 급속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작동 전압이 3.6 V이상으로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으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다수의 전지를 직렬또는 병렬로 연결하고 고출력을 필요로 하는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파워 툴, 전기 자전거, 전력저장장치, UPS 등에 사용된다.
리튬 이차전지는 니켈카드뮴전지나 니켈수소화금속 전지에 비해 작동 전압이 3배 높고, 단위 무게당 에너지 밀도의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그 사용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전해질의 종류에 의해서,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와 고분자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로 나눌 수 있다.
또,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는 고분자 고체 전해질의 종류에 의해서, 전해액이 전혀 포함되지 않은 완전 고체형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와 전해액을 포함하고 있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로 나눌 수 있다.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경우, 대부분이 원통형이나 각형 금속캔을 용기로 해 용접 밀봉한 형태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금속캔을 용기로서 사용하는 이차전지는 그 형태가 고정되므로, 그것을 전원으로서 사용하는 전기 제품의 디자인이 제약된다고 하는 단점이 있고, 체적을 줄이기 어렵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와 전해질을 필름으로 제조한 파우치 포장재에 넣어 밀봉한 파우치형 이차전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리튬 이차전지가 과열된 경우는 폭발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안전성 확보가 중요한 과제의 하나이다.
리튬이차전지의 과열은 다양한 원인으로 생기지만, 그 하나로서 리튬 이차전지를 통해서 한계 이상의 과전류가 흐른 경우를 들 수 있다.
과전류가 흐르면, 리튬 이차전지가 줄열(Joule's Heat)에 의해서 발열하기 때문에, 전지의 내부온도가 급속히 상승한다.
또한, 급속한 온도 상승은 전해액의 분해 반응을 일으켜 열폭주 현상(thermal running)을 일으켜, 결국은 전지의 폭발에까지 이르게 된다.
과전류는 날카로워진 금속 물체가 리튬 이차전지를 관통하거나,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한 세퍼레이터의 수축에 의해,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절연이 파괴되거나, 또는 외부에 연결된 충전 회로나 부하의 이상에 의해서 돌입전류(rush current)가 전지에 인가된 경우 등에 발생한다.
따라서, 과전류 발생과 같은 이상 상황으로부터 전지를 보호하기 위해 리튬 이차전지는 보호 회로와 결합되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보호 회로에는, 과전류가 발생했을 때, 충전 또는 방전 전류가 흐르는 선로를 비가역적으로 단선시키는 퓨즈 소자가 포함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0023호에는 종래의 배터리 팩 및 이에 적용되는 커넥팅 바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커넥팅 바는 배터리 팩의 외부 단락 발생 시 발생하는 스파크(spark)에 의해 배터리 팩이 손상되고 발화가 유발되는 등의 안전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과전류 시 발생하는 스파크에 의한 데미지를 축소 또는 흡수할 수 있는 배터리 팩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단위셀, 상기 단위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과전류에 의해 단락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에 마련되어 상기 버스바의 단락 발생 시 스파크를 흡수하는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부는 상기 버스바가 단락되는 부위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는 상기 버스바를 감싸며 스파크를 흡수하는 흡수부재와 상기 흡수부재를 내부에 밀폐하며, 상기 버스바의 일부를 보호하는 케이스부재와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부에 주입되어 상기 흡수부재와 상기 케이스부재 사이 공간에 수용되는 흡열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바에는 과전류에 의해 단락되는 노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흡수부재는 상기 노치부를 감쌀 수 있다.
상기 흡수부재는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 세라믹 섬유(ceramic fiber), 탄화규소 섬유(silicon carbide fiber)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흡열제는 실리카(silica)와 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부재는 다각형 또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스부재는 플라스틱, 강화유리, 고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비전도 소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바에 아라미드 섬유가 포함된 보호부를 설치하여 버스바의 단락 시 발생하는 스파크에 의한 손상을 흡수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바에 아라미드 섬유와 흡열제가 포함된 보호부를 설치하여 버스바의 단락 시 발생하는 스파크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바에 흡열제가 포함된 보호부를 설치하여 버스바의 단락 시 발생하는 발열을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바에 비도전성 케이스부재가 포함된 보호부를 설치하여 버스바의 노치부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중요부를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커버를 제거하여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버스바 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버스바에 보호부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중요부를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커버를 제거하여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은 단위셀(10), 상기 단위셀(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과전류에 의해 단락되는 버스바(20) 및 상기 버스바(20)에 마련되어 상기 버스바(20)의 단락 발생 시 스파크(spark)를 흡수하는 보호부(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1)은 사용 용도에 따라 서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10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 1에서는 2개의 배터리 모듈(100)이 상호 직렬로 연결된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개수의 배터리 모듈(100)이 서로 간에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배터리 모듈(100)은 적어도 하나의 단위 셀(10) 및 단위 셀(10)을 감싸는 배터리 커버(120)로 구성된다.
상기 단위 셀(10)은 외장재에 수용된 전극 조립체(미도시) 및 상기 전극 조립체의 제1 전극판의 무지부, 제2 전극판의 무지부와 각각 연결되어 외장재의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각각 인출되는 제1 전극 리드(111) 및 제2 전극 리드(1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전극판, 제2 전극판이 각각 양극판 및 음극판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이에 따라 제1 전극리드(111), 제2 전극 리드(112)는 각각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인 경우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양극판인 제1 전극판은 알루미늄(Al) 재질이고, 음극판인 제2 전극판은 구리(Cu) 재질로 이루어짐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 전극판과 전극 리드(111,112) 사이의 용접성 및 전기 저항 최소화의 측면에서 상기 양극 리드(111)는 양극판과 동일한 알루미늄(Al) 재질로 이루어지며, 음극 리드(112)는 음극판과 동일한 구리(Cu) 재질 또는 니켈(Ni)이 코팅된 구리(Cu)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위 셀(10)이 복수 개인 경우에 있어서, 단위 셀(10) 상호간의 연결은 배터리의 용도에 따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이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직렬 연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단위 셀(10) 상호간의 연결은 하나의 단위 셀(10)의 양극 리드(111)와 인접한 단위 셀(10)의 음극 리드(112)가 서로 결합 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경우, 후면부 최 외측에 위치하는 단위 셀(10)의 양극 리드(111)와 전면부 최 외측에 위치하는 단위 셀(10)의 음극 리드(112)는 각각 상기 버스바(20)와 결합된다.
한편, 단위 셀(10)의 개수는 도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그 개수는 이차전지의 사용 용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서 버스바 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20)는 얇은 판상의 합금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버스바(20)는 양측에 각각 결합홀(23)이 천공되고, 중앙에 노치부(21)가 형성된다.
노치부(21)는 버스바(20) 중앙의 두께 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일정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노치부(21)가 형성된 깊이만큼 버스바(20)의 단면적이 줄어들어 노치부(21)가 형성된 부분의 전기 저항이 커진다.
따라서, 상기 노치부(21)가 형성된 버스바(20)는 과전류가 흐를 때 용이하게 파단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배터리 모듈(100)의 최외곽에 위치한 단위 셀(10)의 양극 리드(111) 및 전면부 최외곽에 위치한 단위 셀(10)의 음극 리드(112)에는 각각 외부 단자(11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20)를 배터리 모듈(100)에 설치할 시 버스바(20)의 결합홀(23)에 외부 단자(113)를 끼움 결합하여 설치한다.
즉, 하나의 배터리 모듈(100)의 양극 리드(111)에 형성된 외부 단자(113)에 버스바(20)의 일측에 천공된 결합홀(23)을 결합하고, 다른 하나의 배터리 모듈(100)의 음극 리드(112)에 형성된 외부 단자(113)에 버스바(20)의 타측에 천공된 결합홀(23)을 결합하여 두개의 배터리 모듈(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버스바(20)를 설치한다.
도 4는 도 3의 버스바에 보호부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20)에는 보호부(30)가 설치되는데, 상기 보호부(30)는 버스바(20)의 노치부(21)를 감싸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보호부(30)가 노치부(21)에 설치되는 이유는 보호부(30)가 버스바(20)의 단락 시 버스바(20)의 단락에서 발생되는 스파크를 흡수 및 제거하여 배터리 모듈(100)의 손상 및 발화 등을 방지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배터리 팩(1)에 과전류가 발생할 시 버스바(20)에서 노치부(21)가 단락되어 과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이때, 노치부(21)가 단락되면서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보호부(30)가 이러한 스파크를 흡수 및 제거하여 베터리 팩(1)의 안전성을 보장하게 된다.
상기 보호부(30)는 버스바(20)의 노치부(21)를 감싸며 노치부(21)의 단락 시 발생하는 스파크를 흡수하는 흡수부재(31)와 흡수부재(31)를 내부에 밀폐하며 상기 버스바(20)의 노치부(21)를 보호하는 케이스부재(32)와 케이스부재(32)의 내부에 주입되어 흡수부재(31)와 케이스부재(32) 사이 공간에 수용되어 노치부(21)의 단락 시 발생하는 발열을 제어하고 스파크를 제거하는 흡열제(33)를 포함한다.
흡수부재(31)는 내열성이 우수한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 세라믹 섬유(ceramic fiber), 탄화규소 섬유(silicon carbide fiber)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효과적으로 노치부(21)의 단락 시 발생하는 스파크를 흡수 및 제거하고 발열을 방지한다.
흡열제(33)는 실리카(silica)와 물로 이루어지게 하여 효과적으로 노치부(21)의 단락 시 발생하는 발열을 제어하고 스파크를 제거한다.
상기 흡열제(33)를 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흡열제(33)의 전체 함유량에서 실리카를 10%, 물을 90%의 비율로 만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흡열제(33)에서 실리카와 물의 함유량 비율을 변경할 수도 있다.
케이스부재(32)는 다각형 또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버스바(20)의 노치부(21)를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면서 노치부(21)를 감싸는 흡수부재(31)를 내부에 밀폐하고 내부에 수용된 흡열제(33)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할 수 있다면 그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케이스부재(32)의 소재는 플라스틱, 강화유리, 고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비전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소재 이외의 공지된 비전도 소재로도 형성될 수 있다.
보호부(30)를 버스바(20)에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내부가 개방된 케이스부재(32) 속에 흡수부재(31)를 말아 넣는다.
그리고 버스바(20)를 흡수부재(31) 안에 넣어 흡수부재(31)가 버스바(20)의 노치부(21)를 감싸도록 한다.
그리고 케이스부재(32)의 내부에 흡열제(33)를 채워넣어 케이스부재(32)와 흡수부재(31)의 사이에 흡열제(33)가 채워지게 한다.
그리고 케이스부재(32)의 내부가 밀폐되도록 케이스부재(32)를 폐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버스바에 아라미드 섬유가 포함된 보호부를 설치하여 버스바의 단락 시 발생하는 스파크에 의한 손상을 흡수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바에 아라미드 섬유와 흡열제가 포함된 보호부를 설치하여 버스바의 단락 시 발생하는 스파크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바에 흡열제가 포함된 보호부를 설치하여 버스바의 단락 시 발생하는 발열을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바에 비도전성 케이스부재가 포함된 보호부를 설치하여 버스바의 노치부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을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 배터리 팩
10: 단위셀
20: 버스바
21: 노치부
23: 결합홀
30: 보호부
31: 흡수부재
32: 케이스부재
33: 흡열제
100: 배터리 모듈
111: 제1 전극 리드
112: 제2 전극 리드
113: 외부 단자
120: 배터리 커버

Claims (8)

  1. 단위셀(10);
    상기 단위셀(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과전류에 의해 단락되는 버스바(20); 및
    상기 버스바(20)에 마련되어 상기 버스바(20)의 단락 발생 시 스파크를 흡수하는 보호부(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30)는 상기 버스바(20)가 단락되는 부위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30)는
    상기 버스바(20)를 감싸며 스파크를 흡수하는 흡수부재(31)와
    상기 흡수부재(31)를 내부에 밀폐하며, 상기 버스바(20)의 일부를 보호하는 케이스부재(32)와
    상기 케이스부재(32)의 내부에 주입되어 상기 흡수부재(31)와 상기 케이스부재(32) 사이 공간에 수용되는 흡열제(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20)에는 과전류에 의해 단락되는 노치부(21)가 형성되며, 상기 흡수부재(31)는 상기 노치부(21)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재(31)는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 세라믹 섬유(ceramic fiber), 탄화규소 섬유(silicon carbide fiber)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흡열제(33)는 실리카(silica)와 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32)는 다각형 또는 원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32)는 플라스틱, 강화유리, 고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비전도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KR1020150124200A 2015-09-02 2015-09-02 배터리 팩 KR102002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200A KR102002448B1 (ko) 2015-09-02 2015-09-02 배터리 팩
PL16842105T PL3252845T3 (pl) 2015-09-02 2016-07-11 Pakiet akumulatorów
PCT/KR2016/007523 WO2017039139A1 (ko) 2015-09-02 2016-07-11 배터리 팩
JP2017562555A JP6505259B2 (ja) 2015-09-02 2016-07-11 バッテリーパック
CN201680015533.4A CN107408658B (zh) 2015-09-02 2016-07-11 电池组
EP16842105.5A EP3252845B1 (en) 2015-09-02 2016-07-11 Battery pack
US15/554,887 US10586972B2 (en) 2015-09-02 2016-07-11 Battery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200A KR102002448B1 (ko) 2015-09-02 2015-09-02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498A true KR20170027498A (ko) 2017-03-10
KR102002448B1 KR102002448B1 (ko) 2019-07-23

Family

ID=58187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200A KR102002448B1 (ko) 2015-09-02 2015-09-02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86972B2 (ko)
EP (1) EP3252845B1 (ko)
JP (1) JP6505259B2 (ko)
KR (1) KR102002448B1 (ko)
CN (1) CN107408658B (ko)
PL (1) PL3252845T3 (ko)
WO (1) WO201703913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551A (ko) 2018-03-26 2019-10-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WO2020105967A1 (ko) * 2018-11-19 2020-05-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KR20200078188A (ko) * 2018-12-21 2020-07-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WO2024080501A1 (ko) * 2022-10-14 2024-04-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고장 배터리 셀의 연결을 단선시키는 배터리 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36058B2 (ja) * 2017-06-28 2021-09-15 矢崎総業株式会社 吸熱体付き導体及び電池パック
CN111864166B (zh) 2018-06-20 2023-01-31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输出极片及电池模组
KR20220023504A (ko) * 2020-08-21 2022-03-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무버블 퓨즈 어셈블리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23224125A1 (ja) * 2022-05-19 2023-11-23 イビデン株式会社 バス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蓄電装置
CN115663407B (zh) * 2022-10-25 2023-06-02 安徽平耀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pack和模组电连接件及其制造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2795A (ja) * 2009-06-03 2010-12-16 Sony Corp 電池パック
KR20110060480A (ko) * 2009-11-30 2011-06-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JP2011258481A (ja) * 2010-06-11 2011-12-22 Hitachi Ltd リチウムイオン電池
KR20120050799A (ko) * 2010-11-11 2012-05-21 주식회사 루비 방열판이 부착된 배터리 셀 어셈블리
JP2014110233A (ja) * 2012-12-04 2014-06-12 Gs Yuasa Corp 蓄電装置
KR20140136246A (ko) * 2013-05-20 2014-1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96686A (en) * 1964-10-27 1967-12-29 Oldham & Son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ulti-cell electric storage batteries
JP4134532B2 (ja) 2001-06-04 2008-08-20 オムロン株式会社 端子構造、接続装置、電子部品および機器
US20070099073A1 (en) * 2005-10-31 2007-05-03 White Daniel J Cell connection straps for battery cells of a battery pack
CN200993978Y (zh) * 2005-10-31 2007-12-19 布莱克和戴克公司 用于电池组的单元电池的电池连接带
ES2269009B1 (es) * 2006-09-15 2007-12-01 Rury Finance Inc. Formulacion ignifuga y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correspondiente.
KR20080025437A (ko) * 2006-09-18 2008-03-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단자의 위치조절이 가능하고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US20090189730A1 (en) * 2008-01-30 2009-07-30 Littelfuse, Inc. Low temperature fuse
JP5139203B2 (ja) 2008-08-27 2013-02-06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吸熱シート
WO2010114311A2 (ko) * 2009-04-01 2010-10-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WO2010133176A1 (en) * 2009-05-21 2010-11-25 Byd Company Limited Current fuse device and battery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KR200471376Y1 (ko) 2010-02-18 2014-02-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퓨즈
DE102010038401B4 (de) * 2010-07-26 2013-11-14 Vishay Bccomponents Beyschlag Gmbh Thermosicherung sowie Verwendung einer solchen
JP5771057B2 (ja) * 2011-04-22 2015-08-26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
KR101278503B1 (ko) * 2011-06-17 2013-07-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및 상기 부품을 사용하여 제조된 이차전지와 멀티 전지 시스템
JP5772312B2 (ja) * 2011-07-06 2015-09-0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池配線モジュール
JP2013073929A (ja) * 2011-09-29 2013-04-22 Gs Yuasa Corp 電池パック
JP2015505126A (ja) * 2011-12-06 2015-02-16 ジェネラル・ケーブル・テクノロジーズ・コーポレーション 不燃性材料を用いたケーブル構成要素
JP2014519153A (ja) 2012-01-03 2014-08-07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それに適用されるコネクティングバー
JP6045802B2 (ja) * 2012-03-21 2016-12-14 株式会社東芝 二次電池装置
DE102012205021A1 (de) * 2012-03-28 2013-10-02 Robert Bosch Gmbh Zellverbinder für ein Batteriesystem oder für eine Batteriezelle eines elektrischen Energiespeichers, Batterie und Kraftfahrzeug
DE102012017348A1 (de) * 2012-08-31 2014-03-06 Daimler Ag Stromschiene als Sicherung
ES2745218T3 (es) 2012-10-11 2020-02-28 Cadenza Innovation Inc Batería de iones de litio
KR101693290B1 (ko) * 2013-04-18 2017-01-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JP2015103274A (ja) * 2013-11-20 2015-06-04 株式会社東芝 電池モジュール
US10953625B2 (en) * 2014-01-23 2021-03-23 Spartan Acquisition Llc Unidirectional fiber composite system for structural repairs and reinforcement
KR101937942B1 (ko) * 2015-07-13 2019-0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버스 바 구조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2795A (ja) * 2009-06-03 2010-12-16 Sony Corp 電池パック
KR20110060480A (ko) * 2009-11-30 2011-06-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JP2011258481A (ja) * 2010-06-11 2011-12-22 Hitachi Ltd リチウムイオン電池
KR20120050799A (ko) * 2010-11-11 2012-05-21 주식회사 루비 방열판이 부착된 배터리 셀 어셈블리
JP2014110233A (ja) * 2012-12-04 2014-06-12 Gs Yuasa Corp 蓄電装置
KR20140136246A (ko) * 2013-05-20 2014-1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551A (ko) 2018-03-26 2019-10-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US11658367B2 (en) 2018-03-26 2023-05-23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pack
WO2020105967A1 (ko) * 2018-11-19 2020-05-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US11302985B2 (en) 2018-11-19 2022-04-12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KR20200078188A (ko) * 2018-12-21 2020-07-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WO2024080501A1 (ko) * 2022-10-14 2024-04-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고장 배터리 셀의 연결을 단선시키는 배터리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39139A1 (ko) 2017-03-09
EP3252845A4 (en) 2017-12-13
JP2018509744A (ja) 2018-04-05
EP3252845A1 (en) 2017-12-06
US20180047970A1 (en) 2018-02-15
CN107408658A (zh) 2017-11-28
EP3252845B1 (en) 2018-11-28
PL3252845T3 (pl) 2019-05-31
KR102002448B1 (ko) 2019-07-23
US10586972B2 (en) 2020-03-10
JP6505259B2 (ja) 2019-04-24
CN107408658B (zh)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2448B1 (ko) 배터리 팩
JP5575761B2 (ja) 安全性を改良した中型又は大型バッテリーパック
KR101370264B1 (ko) 솔더링 커넥터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US11717713B2 (en)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safety
JP4730705B2 (ja) 電池パック
KR101979371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00004186A (ko) 열수축성 튜브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180091446A (ko) 배터리팩 및 이에 적용되는 버스바
JP2020515002A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自動車
KR20150034498A (ko) 벤팅 커버를 구비하는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CN114902482A (zh) 电池模块、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以及汽车
KR20200086958A (ko) 절연 튜브를 포함한 배터리 팩
KR102234223B1 (ko) 열팽창성 테이프를 포함하는 안전성이 개선된 배터리 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19319A (ko)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 셀
KR101539584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CN114175376A (zh) 电池及其相关装置、制备方法和制备设备
KR20150062688A (ko) 배터리 셀,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KR20150062694A (ko) 이차전지용 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JP2021524136A (ja) 安全性が改善された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該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該バッテリーパックを含む自動車
KR101787633B1 (ko) 안전성이 강화된 배터리 팩
KR20170134270A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KR100709835B1 (ko) 이차 전지
KR20110061901A (ko) 배터리 셀의 스웰링 현상을 감지하여 배터리 팩을 보호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308168B1 (ko)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0808380B1 (ko) 전지단자에 안전소자가 구비된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