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221867A1 - 거울을 이용한 투명한 안경형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거울을 이용한 투명한 안경형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221867A1
WO2018221867A1 PCT/KR2018/005238 KR2018005238W WO2018221867A1 WO 2018221867 A1 WO2018221867 A1 WO 2018221867A1 KR 2018005238 W KR2018005238 W KR 2018005238W WO 2018221867 A1 WO2018221867 A1 WO 201822186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isplay
mirror
transparent
polarization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523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문기
Original Assignee
이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기 filed Critical 이문기
Priority to JP2019565245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0522737A/ja
Priority to US16/617,822 priority patent/US11022803B2/en
Priority to CN201880049617.9A priority patent/CN110959132B/zh
Publication of WO201822186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22186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9Beam shaping, e.g.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B27/0938Using specific optical elements
    • G02B27/095Refractive optical elements
    • G02B27/0955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4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 G02B27/142Coating structures, e.g. thin films multi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10Mirrors with curved 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 for genereting colour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23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increasing the field of view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27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increasing the depth of fiel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a combiner of particular shape, e.g. curva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2B2027/0187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slaved to mo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body of the user, e.g. head, ey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arent spectacle display having a wide viewing angl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arent eyeglass display capable of outputting a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image.
  • VR glasses such as Oculus Rift are available.
  • Such spectacle displays have the disadvantage that the viewing angle is large, but the device is bulky and opaque.
  • Microsoft has launched a transparent eyeglass display called HoloLens, but has a narrow viewing angle.
  • US Patent Application No. US 14 / 749,568 Head Mounted Augmented Reality Display
  • the U.S. patent application technology is a display technology in which light emitted from a semi-trasnparent display DS is reflected from a concave half mirror (CM) as shown in FIG.
  • the quasi-transparent display DS is a transparent display which emits light only toward the concave half mirror (viewing direction) without emitting light toward the eyes.
  •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oncave half mirror is fix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image and the eye reflected by the concave half mirror is fixed.
  • the convergence angle of the two eyes and the focal length of the eyes are inconsistent (this is called a vergence-accommodation conflict), which causes the eye fatigue (this is called problem 1 in the present inventio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1 by providing a spectacle display that can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eye and the image reflected by the concave mirror of the US patent technology.
  • the U.S. patent also uses circularly polarized light sources in the display to prevent direct radiation of light toward the eye, or increases the interpixel distance of the opaque display and forms a number of fine holes that allow the eye to see concave mirrors between them. have.
  • the circularly polarized light source is difficult to obtain the display and forms a minute hole, the density of the pixel is lowered, thereby lowering the resolution of the image. (This is called problem 2 in the present inventio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2 by providing a technique for increasing the resolution of the semi-transparent display of the US patent technology.
  • the present invention adds a convex lens to the concave surface (eye side) of the concave half mirror and adds a concave lens to the convex surface (viewing direction) of the concave half mirror to solve the problem 1, but overlaps the convex lens and the concave lens.
  • the two lenses are anisotropic lenses having the same focal length and opposite signs, and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ccording to the type of polarization so that the lens effect disappears.
  • a polarization axis rotation means for rotating the polarization film and the polarization axis between the semi-transparent display and the convex lens is added, and only the specific polarization of the light emitted toward the concave mirror in the semi-transparent display passes through the polarization film and then the polarization axis rotation means.
  • the polarization axis rotates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vex lens.
  • the convergence refractive index of the convex lens is different from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polarization axis of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refore, the degree of convergence of the convex lens can be adjusted by electrically adjusting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polarization axis. You can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m.
  •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chroic color filter, a liquid crystal shutter, or a mems that can reflect light emitted toward the eye toward the concave mirror on the side facing the ey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semi-transparent display comprising a shutter.
  • Dichroic color filters refer to filters that reflect a particular color and pass other colors.
  • the transparent spectacle display using the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parent, when the augmented reality image is outpu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augmented reality image may be overlapped.
  • a liquid crystal shutter outside the concave semi-transparent mirror when you close the shutter, you can not see the surroundings, so it can be used as a conventional virtual reality glasses type display.
  • convex lenses to the concave surface inside the concave mirror also reduces the volume of the device by reduc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parent display and the concave mirror and reducing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oncave mirror.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prior art
  • Figure 3 is a conventional transparent spectacle display configuration
  • Figure 4 shows the refractive properties of the polarization of the anisotropic lens
  • Figure 6 is a detailed view of the polarizing film and the polarization axis rotation means
  • Figure 7 is a detailed view of the polarizing film and the polarization axis rotation means
  • FIG. 8 is a virtual reality head wearing display configuration including a varifocal lens
  • FIG. 9 is a schematic view of adding an index matching concave lens to the apparatus of FIG. 8;
  • the U.S. patent application technology is a display technology in which light emitted from a semi-trasnparent display DS is reflected from a concave half mirror CM as shown in FIG.
  • a semi-transparent display is a display that emits light only toward a concave half mirror, not to light toward the eyes.
  •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oncave half mirror is fix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image and the eye reflected by the concave half mirror is fixed so that the convergence angle of the two eyes and the focal length of the eyes are inconsistent. (This is called a vergence-accommodation conflict.)
  • Half-mirror means a mirror that reflects part of light and passes part of i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ectacle-type display that can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eye and the image reflected by the concave mirror of the US patent technology.
  • the present invention adds a convex lens CX to the concave half mirror MR or the concave surface (eye side) of the mirror and concave lens on the convex surface (viewing direction) of the concave half mirror as shown in FIG. (CC) is added, but when the convex lens and the concave lens are overlapped, the two lenses have the same focal length and opposite signs, and the two lenses have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ccording to the type of polarization so that the lens effect disappears as if seen through transparent glass. It is characterized by that.
  • only convex lenses may be anisotropic lenses, and concave lenses may be ordinary lenses. You can also use a flat mirror instead of a concave mirror.
  • the anisotropic lens can be constructed by, for example, processing a flat calcite plate such as a glass plate in the form of a convex lens and a concave lens of FIG. Such lenses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Fresnel lenses to reduce weight.
  • calcite liquid crystals or anisotropic materials aligned in a specific direction may be processed to form a lens.
  • See-through optical combiner for augmented reality head-mounted display index-matched anisotropic crystal lens
  • IMACL optical module
  • first polarization and second polarization the two kinds of different polarizations may be vertical polarization and horizontal polarization.
  • these two types of linear flat light are referred to as first polarization and second polarization.
  • a calcite is a material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for two kinds of first and second polarizations.
  • the same material as one of the refractive indices (for example, the refractive index felt by the second polarization) is called a material that is index matched to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polarized light, and the index matching material is filled on the front and back of the calcite convex lens as shown in FIG.
  • the first polarized light converges and refracts when passing through the optical module IMACL, but the second polarized light passes through the glass without being refracted as it passes through the glass plate.
  • ISSN 1226-4776 (Print) / ISSN: 2093-6885 (Online)
  • 4 is an excerpt from the above paper. 4 shows that when different polarizations pass through an optical module in which a horizontally aligned liquid crystal convex lens and a concave lens made of an index matching material overlap in a flat plate shape, one polarization converges and the other polarization passes without refracting like a glass plate. It is shown.
  • a polarization axis rotation first means RO capable of rotating the first linearly polarizing film PO and the linear polarization axis is added between the semi-transparent display OL and the convex lens CX, and thus the concave mirror of the semi-transparent display ( Of the light emitted toward MR, only a specific polarized light (eg, the first polarized light) passes through the polarizing film, and then passes through the polarization axis rotating means and the polarization axis rotates to pass through the convex lens.
  • a specific polarized light eg, the first polarized light
  • the convergence refractive index of the convex lens (CX) composed of anisotropic materials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polarization axis of the light passing through, so if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polarization axis is electrically controlled, the degree of convergence of the convex lens can be adjusted. You can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eye and the image on the semi-transparent display through the mirror.
  • the polarization axis rotation first means RO may be configured by removing the color filter and the polarizing plate from the liquid crystal display, or removing the polarizing film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lens from the shutter spectacle lens worn when viewing the shutter spectacle 3d display.
  • Shutter spectacle lenses are filled with twisted nematic liquid crystals between the two transparent plates, and the inner surfaces of the two plates have an alignment film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coated with a transparent electrode. If no electric signal is applied to the transparent electrode, the polarization axis of the polarized light passing through the shutter spectacle lens is rotated 90 degrees by the twisted liquid crystal, and when the electric signal is applied to the transparent electrode, the polarization axis of the polarized light passing through is not changed.
  • the first polarizing film, the first means for rotating the polarization axis, and the anisotropic lens can be used to configure a variable focus lens capable of varying the focal length
  • the variable focus lens is a semi-transparent display (OL) and a semi-transparent concave mirror (MR). It can be installed in between to make the object image displayed on the quasi-transparent display OL appear to be far or near.
  • the concave lens (CC)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anisotropic convex lens or the index matching material and installed in the visual direction outside the concave mirror as shown in FIG. 2, the external object can be seen as if seen through a transparent glass window.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 can be output.
  • a second polarization filter PO2 and a second polarization axis rotation second means RO2 for passing only a specific polarization (first polarization or second polarization) toward the eye, as shown in FIG. 2. .
  • the reason is that light EL reflected from an external object and incident on the spectac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ixed with the first polarization and the second polarization, so that the two polarizations are different when the two polarizations simultaneously pass through the anisotropic convex lens CX. This is because the image may be divided into two parts to be refracted.
  • the reason why the polarization axis rotation second means RO2 is required is as follows. If there is no polarization axis rotation second means RO2, the specific polarization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polarization filter PO2 among the light EL incident from the outside passes through the polarization axis rotation first means RO, and the polarization axis rotates. The rotation angle changes from time to time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rotating means RO. Then, since the amount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polarizing film PO changes from time to time,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brightness of an external object is not constant.
  • This problem may be achieved by adding the second polarization axis rotation means (RO2) and applying an appropriate voltage to rotate the polarization axis in advance at an angle opposite to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polarization axis rotation first means (RO). That is, it is preferable to apply an appropriate voltage to the second means for rotating the polarization axis so that the light EL incident from the outside can always pass through the first polarizing film PO as much as possible.
  • FIG. 6 illustrates this principle of operation in detail.
  • both polarizing films PO and PO2 are polarizing films which allow only vertical polarization to pass, and the first means RO of the polarization axis rotates perpendicularly through the first polarizing film PO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OL.
  • the polarization axis of polarization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y an angle AN.
  • the vertically polarized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polarization film PO2 among the light EL incident from the outside rotates by the angle AN in the clockwise direc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means RO2.
  •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re directions of rotation when viewed from the light source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ght is advanced.
  • the light passes through the polarization axis rotating first means RO, and becomes vertically polarized light. You can reach through the snow. That is, if the device having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6 rotates the vertically polarized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polarization axis rotation means and the second rotation polarization axis means having the same angle but different directions, the external light EL passes through the first polarization film as much as possible. So that external objects can look as bright as possible.
  • the first or second polarized light passes through the concave lens, the concave mirror, and the convex lens without being refracted as if it passes through a transparent glass plate, and reaches the eye. Can be.
  • the second polarization axis rotating device RO2 may rotate the incident polarized light of the horizontally polarized light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an angle of 90-AN.
  • the polarization axis rotation means (RO, RO1) for applying an electric signal can be configured very thin, so that the polarization axis rotation means can be driven at high speed at low voltage.
  • This embodiment aims to solve the problem (problem 2) of low resolution of the US Patent Application No. US 14 / 749,568 (Head Mounted Augmented Reality Display) display as follows.
  • the polarizing films PO and PO2 of Example 1 may serve to pass only specific polarizations, and may use absorbing polarizing films or reflective polarizing films.
  • Reflective polarizing films are films that pass certain polarizations and reflect other polarizations and can be made by aligning fine metal wires. If such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is used for the first polarizing film PO of Fig. 2, the quasi-transparent display may be transparent oled, for example, and the light of the color emitted by the pixel is directed toward the eye of each pixel. It is desirable to have a dichroic reflecting coating (RC) that reflects. In this case, each pixel of the transparent oled is configured to emit light of one of the three primary colors, for example.
  • RC dichroic reflecting coating
  • This dichroic reflective coating on the face of the eye ensures that light emitted from the pixels of the transparent oled toward the eye is reflected by the dichroic coating toward the concave mirror, so there is no glare.
  • an absorbent color coating may be formed on the eye side of the transparent display that absorbs the color of light emitted from the pixels of the transparent display toward the eye.
  • the transparent display OL is shown with pixels including three kinds of light sources and a dichroic color reflection filter or a color absorption filter.
  • PR is a pixel that contains a red light source
  • PG is the pixel containing the green light source
  • PB is a pixel containing a blue light source.
  • RR is a filter that reflects or absorbs red
  • RG is a filter that reflects or absorbs green
  • RB is a filter that reflects or absorbs blue.
  • RR is a filter that passes light other than red
  • RG is a filter that passes light other than green
  • RB is a filter that passes light other than blue.
  • the polarizing film PO of FIG. 2 is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light loss is reduced than that of the absorbing polarizing film, thereby increasing energy efficiency. In other words, the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which increases the battery life of driving the glasses display.
  • Such a reflective or absorptive color filter has a disadvantage of blocking a part of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EL in FIG. 2) to darken the field of view.
  • liquid crystal shutters or mems (mcro electromechanical systems) shutters may be formed on the eye facing side of each pixel of the transparent display to close the shutter to block light from the pixels on the transparent display toward the eye.
  • an image is output to the pixels of the first group to emit light, and in parallel, a liquid crystal shutter or a MEMS shutter that is in contact with a pixel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that is, between the pixels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and the eyes). Close and open the liquid crystal shutter or MEMS shutter that is in contact with the pixels belonging to the second group (ie, present between the pixels belonging to the second group and the eye).
  • the image is output to the pixels of the second group to emit light, and in parallel, the liquid crystal shutters contacting the pixels belonging to the second group by closing the liquid crystal shutters or MEMS shutters contacting the pixels belonging to the second group. Or open the MEMS shutter and repeat this process quickly.
  • 5 shows that the shutter of the first group G1 of the transparent display OL is closed and the shutter of the second group G2 is open.
  • the liquid crystal shutter may be configured, for example,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lens of the shutter eyeglasses worn when viewing the shutter eyeglasses 3d display.
  • the MEMS shutter also refers to a shutter that passes or blocks light with a fine plate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an electric signal.
  • the liquid crystal shutter or the MEMS shutter may be configured for each pixel or may be configured for a plurality of neighboring pixels (for example, two rows and two columns of pixels adjacent to each other). For example, if a shutter is configured for every two rows and two columns of pixels, opening and closing the shutters can simultaneously block or pass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four pixel areas that constitute the two rows and two columns. In this way, if a color filter, a liquid crystal shutter, or a MEMS shutter is installed between the pixels and the eyes, the interval between the pixels can be narrowed, thereby increasing the resolution of the image.
  • This embodiment relates to the application of the variable focus lens technique of Example 1 to a virtual reality head mount display such as Oculus CV1.
  • the convex lens in front of the eye of the current virtual reality head wearing display has a problem that the convergence angle of the two eyes and the focal length of the eyes are inconsistent (this is called vergence-accommodation conflict) because the focal length is fixed. Aims to solve this problem.
  • the present embodiment replaces the convex lens of the conventional virtual reality head wearing display with the convex lens (VLN) of the anisotropic material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ccording to the polarization type as shown in FIG. 8 (or isotropic to the existing lens). And adding convex lenses of the material) and polarizing film rotation means for rotating the polarization axis of the polarization film (VPO) passing only the specific polarization toward the eye in front of the display (VDS) such as OLED. It includes.
  • the polarizing film is preferably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in order to minimize the loss of light.
  • the voltage applied to the polarization axis rotation means (VRO)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polarization axis of the polarization passing through the polarization axis rotation means (VRO) as desired, and this polarization passes through the convex lens (VLN) of the anisotropic material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polarization axis
  • the voltage applied to the polarization axis rotation means VRO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entire polarization axis rotation means VRO, and the polarization axis rotation means VRO may be minutely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eg, For example, different voltages may be applied to each area by dividing the area into pixels of the display, for example, if a far object and a near object are simultaneously output to the display, the polarization axis rotating means (VRO) overlapped with the far object.
  • the voltage applied to the region of the polarization axis rotation means (VRO) superimposed on a nearby object is different from the voltage applied to the region.
  • VRO polarization axis rotation means
  • VDS is a transparent display such as a transparent OLED and no image is output to the transparent display, external light may reach the eye.
  • VLN convex lens
  • a concave lens (VCC) made of a refractive index matching material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or rear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convex lens VLN of the anisotropic material as shown in FIG. 9.
  • the refractive index matched material herein refers to a material having a refractive index equal to one of a refractive index of one of a first refractive index for the first polarization and a second refractive index for the second polarization of the anisotropic convex lens.
  • the second polarized light may pass through without being refracted like a transparent glass plate. That is, when the image is output to the transparent display, the first electric signal is applied to the polarization axis rotation means VRO to rotate the polarization axis so that the first polarized light reaches the eye.
  • the second polarized light reaches the eye by applying a second electric signal to the polarization axis rotating means VRO, the eye can see an image of an external object.
  • VST liquid crystal shut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Optical Filter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하고 부피가 작고 시야각이 넓은 안경형 디스플레이에 대한 것으로 편광축의 회전 정도에 대응하는 수렴 굴절율을 가지는 이방성 볼록렌즈를 사용하여 오목 거울에 반사되어 맺히는 영상과 눈 사이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거울을 이용한 투명한 안경형 디스플레이
본 발명은 시야각이 넓은 투명한 안경형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상 현실 또는 증강현실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투명한 안경형 디스플레이에 관한 기술이다.
현재 오큘러스 리프트와 같은 가상현실용 안경형 디스플레이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안경형 디스플레이는 시야각은 넓은 대신 장치의 부피가 크고 불투명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달리 마이크로 소프트사에서 홀로렌즈라는 투명한 안경형 디스플레이를 출시했지만 시야각이 좁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기술의 좁은 시야각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기술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US 14/749,568(Head Mounted Augmented Reality Display) 가 있다. 상기 미국 특허 출원 기술은 도1과 같이 준투명(semi trasnparent) 디스플레이(DS)에서 방사된 빛이 오목한 반거울(half mirror) (CM)에서 반사된 것을 눈으로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술이다. 준투명 디스플레이(DS)는 눈쪽으로는 빛을 방출하지 않고 오목한 반거울쪽(시선 방향쪽)으로만 빛을 방출하는 투명 디스플레이이다.
이러한 기술은 오목한 반거울의 곡률 반경이 고정되어있어서 오목한 반거울에 반사되어 맺히는 영상의 상과 눈 사이 거리가 고정된다. 이처럼 영상과 눈 사이 거리가 고정되면 두 눈의 수렴 각도와 눈의 초점 거리가 불일치하여 (이를 vergence-accommodation conflict라고 한다.) 눈에 피로를 유발하는 문제(이를 본 발명에서는 문제1이라 한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미국 특허 기술의 오목한 거울에 반사되어 맺힌 영상과 눈 사이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안경형 디스플레이를 제공하여 문제1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국 특허는 눈쪽으로 빛을 직접 방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에 원편광 광원을 사용하거나 불투명한 디스플레이의 픽셀간 거리를 넓히고 그 사이에 눈으로 오목 거울을 볼 수 있는 미세한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원편광 광원이 디스플레이는 구하기 어렵고 미세한 구멍을 형성하면 픽셀의 밀도가 낮아져서 영상이 해상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본 발명에서는 문제2라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미국 특허 기술의 준투명 디스플레이의 해상도를 높이는 기술을 제공하여 문제2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1를 해결하기 위하여 오목한 반거울 의 오목한 면(눈쪽)에 볼록 렌즈를 추가하고 오목한 반거울의 볼록한 면(시선 방향)에 오목렌즈를 추가하되 상기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를 겹쳐서 보면 마치 투명한 유리를 통해 보듯이 렌즈 효과가 사라지도록 두 렌즈의 초점 거리는 같고 부호가 반대이고 두 렌즈는 편광의 종류에 따라 굴절율이 다른 이방성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준 투명 디스플레이와 상기 볼록렌즈 사이에는 편광 필름과 편광축을 회전 시킬 수 있는 편광축 회전 수단이 추가되어 준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오목한 거울 쪽으로 방출된 빛 중에서 특정 편광만 상기 편광 필름을 통과한 후 상기 편광축 회전 수단을 통과하면서 편광축이 회전하여 볼록렌즈를 통과한다. 이때 통과하는 빛의 편광축의 회전 정도에 볼록렌즈의 수렴 굴절율이 다르므로 편광축을 회전시키는 정도를 전기적으로 조절하면 볼록렌즈의 수렴 정도를 조절 할 수 있어서 볼록 렌즈와 오목 거울을 통과해 맺히는 영상과 눈 사이 거리를 조절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2를 해결하기 위하여 투명 디스플레이의 눈을 향하는 쪽 면에는 그 면에서 눈쪽을 향해 방사되는 빛을 오목 거울 쪽으로 반사시킬 수 있는 이색성 칼라 필터 ,액정 셔터 또는 멤스(mems) 셔터를 포함하는 준 투명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이색성 칼라 필터는 특정 색을 반사하고 그외의 색은 통과시키는 필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의한 거울을 이용한 투명한 안경형 디스플레이는 투명하므로 증강 현실 영상을 출력하면 주변 환경과 증강현실 영상을 겹쳐서 볼 수 있다. 또한 오목한 반투명 거울 바깥쪽에 액정 셔터를 추가하여 셔터를 닫으면 주변을 볼 수 없어서 기존의 가상 현실용 안경형 디스플레이로도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오목한 거울 안쪽 오목한 면에 볼록렌즈를 추가함으로써 투명 디스플레이와 오목 거울 사이 거리를 줄이고 오목 거울의 곡률 반경을 줄여서 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기술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구성도
도3은 기존의 투명한 안경형 디스플레이 구성도
도4는 이방성 렌즈의 편광에 대한 굴절 성질을 나타낸 것
도5는 셔터 배열의 평면도
도6은 편광필름과 편광축 회전 수단의 상세도
도7은 편광필름과 편광축 회전 수단의 상세도
도8은 가변 초점 렌즈를 포함하는 가상현실용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 구성도
도9는 도8의 장치에 인덱스 매칭 오목렌즈를 추가한 구성도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미국 특허 출원 번호 US 14/749,568(Head Mounted Augmented Reality Display) 의 오목 거울의 곡률 반경이 고정되어있어서 두 눈의 수렴 각도와 눈의 초점 거리가 불일치하여 (이를 vergence-accommodation conflict라고 한다.) 눈에 피로를 유발하는 문제(이를 본 발명에서는 문제1이라 한다)를 해곃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미국 특허 출원 기술은 도1과 같이 준투명(semi trasnparent) 디스플레이(DS)에서 방사된 빛이 오목한 반거울(half mirror)(CM) 에서 반사된 것을 눈으로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술이다. 준투명 디스플레이는 눈쪽으로는 빛을 방출하지 않고 오목한 반거울쪽으로만 빛을 방출하는 디스플레이이다.
상기한 미국 특허 기술은 오목한 반거울(half mirror)의 곡률 반경이 고정되어있어서 오목한 반거울에 반사되어 맺히는 영상의 상과 눈 사이 거리가 고정되어 두 눈의 수렴 각도와 눈의 초점 거리가 불일치하여 (이를 vergence-accommodation conflict라고 한다.) 눈에 피로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반거울은 빛의 일부는 반사시키고 일부는 통과시키는 거울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 미국 특허 기술의 오목한 거울에 반사되어 맺힌 영상과 눈 사이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안경형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2와 같이 오목한 반거울(MR) 또는 거울의 오목한 면(눈쪽)에 볼록 렌즈(CX)를 추가하고 오목한 반거울의 볼록한 면(시선 방향)에 오목렌즈(CC)를 추가하되 상기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를 겹쳐서 보면 마치 투명한 유리를 통해 보듯이 렌즈 효과가 사라지도록 두 렌즈의 초점 거리는 같고 부호가 반대이고 두 렌즈는 편광의 종류에 따라 굴절율이 다른 이방성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볼록 렌즈만 이방성 렌즈이고 오목 렌즈는 일반 렌즈라도 무방하다. 그리고 오목한 거울 대신 편평한 거울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방성 렌즈는 예를 들면 유리판과 같은 편평한 방해석판을 도2의 볼록렌즈와 오목렌즈 형태로 가공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렌즈는 무게를 줄이기위해 프레넬 렌즈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방해석 대신 특정 방향으로 정렬된 액정 또는 이방성 물질을 렌즈 형태로 가공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방성 렌즈를 사용한 안경형 디스플레이에 대한 기술은 다음 논문에 개시되어있다.
참고 문헌1:
See-through optical combiner for augmented reality head-mounted display: index-matched anisotropic crystal lens
(Scientific Reports | 7: 2753 | DOI:10.1038/s41598-017-03117-w)
도3은 상기 논문에서 발췌한 것으로 눈 앞의 방해석 렌즈와 인덱스 매칭 물질로 된 광학 모듈(IMACL)에 두 종류의 서로 다른 편광이 통과하는 경우 한 편광은 수렴 굴절하지만 다른 편광은 굴절되지 않고 마치 편평한 유리판을 통과하듯 통과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상기 두 종류의 서로 다른 편광은 수직 편광과 수평 편광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두 종류의 선평광을 제1 편광과 제2 편광이라 한다.
방해석은 두 종류의 제1,제2 편광에 대해 서로 다른 굴절율을 가진 물질이다. 이중 한 굴절율(예를들면 제2 편광이 느끼는 굴절율)과 동일한 물질을 제2편광의 굴절율에 인덱스 매칭된 물질이라 하고 방해석 볼록 렌즈 앞뒷면에 도3과 같이 이러한 인덱스 매칭 물질을 채워서 편평한 유리판과 같은 광학 모듈(IMACL)로 가공하면 제1 편광은 이러한 광학 모듈(IMACL)을 통과하면 수렴 굴절 하지만 제2 편광은 유리판을 통과하듯 굴절되지 않고 그대로 통과한다.
액정을 이용해서 이방성 렌즈를 제작하는 기술은 다음 논문에 게시되어있다.
참고 문헌2:
Polarization-Dependent Microlens Array Using Reactive Mesogen Aligned by Top-Down Nanogrooves for Switchable Three-Dimensional Applications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Vol. 19, No. 3, June 2015, pp. 265-271,
ISSN: 1226-4776(Print) / ISSN: 2093-6885(Online)
DOI: http://dx.doi.org/10.3807/JOSK.2015.19.3.265)
도4는 상기 논문에서 발췌한 것이다. 도4에는 수평 방향으로 정렬된 액정 볼록 렌즈와 인덱스 매칭 물질로된 오목 렌즈가 편평한 판 형태로 겹쳐진 광학 모듈에 서로 다른 편광이 통과하면 한 편광은 수렴하고 다른 편광은 유리판처럼 굴절됨 없이 통과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2에서 준투명 디스플레이(OL)와 상기 볼록렌즈(CX) 사이에는 제1 선편광 필름(PO)과 선편광축을 회전 시킬 수 있는 편광축 회전 제1 수단(RO)이 추가되어 준투명 디스플레이에서 오목한 거울(MR) 쪽으로 방출된 빛 중에서 특정 편광(예를들면 제1편광)만 상기 편광 필름을 통과한 후 상기 편광축 회전 수단을 통과하면서 편광축이 회전하여 볼록렌즈를 통과한다. 이때 통과하는 빛의 편광축의 회전 정도에 따라 이방성 물질로 구성된 볼록렌즈(CX)의 수렴 굴절율이 다르므로 편광축을 회전시키는 정도를 전기적으로 조절하면 볼록렌즈의 수렴 정도를 조절 할 수 있어서 볼록 렌즈와 오목 거울을 통과해 맺히는 준 투명 디스플레이의 영상과 눈 사이 거리를 조절 할 수 있다.
편광축 회전 제1수단(RO)은 액정 디스플레이에서 컬러 필터와 편광판을 제거하거나 또는 셔터 안경식 3d 디스플레이를 볼 때 착용하는 셔터 안경렌즈에서 렌즈 양쪽 면에 부착된 편광 필름을 제거하여 구성될 수 있다.
셔터 안경 렌즈는 투명한 두 판 사이에 비틀린 네마틱 액정(twisted nematic liquid crystal)이 채워져 있고 두 판 안쪽 면에는 서로 수직 방향으로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고 투명 전극이 코팅되어있다. 투명 전극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지 않으면 이러한 셔터 안경 렌즈를 통과하는 편광의 편광 축은 비틀린 액정에의해 90도 회전하게 되고 투명 전극에 전기신호를 인가하면 통과하는 편광의 편광축은 변화가 없다.
인가하는 전압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면 편광축의 회전 각도를 연속적으로 조절 할 수 있다. 이러한 셔터 안경 렌즈에 인가하는 전압을 조절하면 편광축의 회전 정도를 조절 할 수 있다.
이처럼 제1편광필름,편광축 회전 제1수단 그리고 이방성 렌즈를 사용하여 초점 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는 가변 초점 렌즈를 구성할 수 있고 이러한 가변 초점 렌즈를 준투명 디스플레이(OL)와 반투명 오목 거울(MR)사이에 설치해서 준투명 디스플레이(OL)에 출력된 사물 영상이 멀리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할 수도 있고 가까이 이는 것처럼 보이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이방성 볼록렌즈와 동일 재질로 또는 인덱스 매칭 물질로 오목렌즈(CC)를 구성하여 오목 거울의 밖에 시선 방향 쪽에 도2와 같이 설치하면 외부 사물을 마치 투명한 유리창을 통해 보듯 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면 증강현실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목 렌즈 바깥쪽에는 도2와 같이 특정편광(제1 편광 또는 제2 편광)만 눈쪽으로 통과시키는 제2편광 필터(PO2)와 편광축 회전 제2 수단(RO2)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외부 사물에서 반사되어 본 발명의 안경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사되는 빛(EL)에는 제1편광과 제2 편광이 섞여 있어서 이 두 편광이 동시에 이방성 볼록 렌즈(CX)를 통과하면 두 편광이 다르게 굴절되어 영상이 2중으로 분리되어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편광축 회전 제2 수단(RO2)이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만약 편광축 회전 제2 수단(RO2)이 없다면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EL)중에서 제2편광 필터(PO2)를 통과한 특정 편광은 편광축 회전 제1수단(RO)을 통과하면서 편광축이 회전하게되는데 편광축 회전 제1 수단(RO)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회전각도가 수시로 변하게 된다. 그러면 제1편광 필름(PO)을 통과하는 빛의 양이 수시로 변하게 되므로 외부 사물의 밝기가 일정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는 편광축 회전 제2 수단(RO2)을 추가하고 적당한 전압을 인가하여 편광축 회전 제1수단(RO)이 회전시키는 각도의 반대 방향의 각도로 미리 편광축을 회전시키면 된다. 즉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EL)이 제1편광 필름(PO)을 항상 최대한 통과할 수 있도록 편광축 회전 제2 수단에 적당한 전압을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은 이러한 동작 원리를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6에서 두 편광 필름(PO,PO2)는 모두 수직 편광만 통과시키는 편광 필름이고 편광축 회전 제1 수단(RO)은 투명 디스플레이로(OL)부터 제1편광필름(PO)을 통과해서 입사하는 수직 편광의 편광 축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각도(AN)만큼 회전시킨다.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EL)중에서 제2편광필름(PO2)를 통과한 수직 편광은 편광축 회전 제2 수단(RO2)를 통과하면서 시계방향으로 상기 각도(AN)만큼 회전한다. (여기서 시계방향과 시계 반대 방향은 광원에서 빛이 전진하는 방향을 향해 보았을 때의 회전 방향이다) 그러면 이 빛은 편광축 회전 제1수단(RO) 를 통과하면 수직 편광이 되어 제1편광 필름(PO)를 통과해서 눈에 도달 할 수 있다. 즉 도6과 같은 구성의 장치라면 편광축 회전 제1 수단과 편광축 회전 제2 수단은 통과하는 수직 편광을 각도 크기는 같고 방향만 다르게 회전시키면 외부 빛(EL)이 최대한 제1편광 필름을 통과해 눈에 도달하므로 외부 사물이 최대한 밝게 보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또는 제2 편광은 오목렌즈,오목 거울,볼록렌즈를 마치 투명한 유리판을 통과하듯 굴절됨 없이 통과하여 눈에 도달하므로 본 장치를 착용하면 외부 사물을 볼 수 있는 동시에 투명 디스플레이의 영상도 볼 수 있다.
도 7과 같이 만약에 제2 편광 필름이 수평 편광만 통과시키는 필름이라면 편광축 회전 제2수단(RO2)은 입사되는 수평 편광의 편광축을 각도 90-AN 만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또한 이방성 볼록렌즈가 아무리 두껍더라도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편광축 회전 수단(RO,RO1)은 매우 얇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저전압으로 고속으로 편광축 회전 수단을 구동 할 수 있다.
이러한 편광축 회전 수단으로 편광축을 회전시켜서 가까운 물체의 영상과 먼 물체의 영상을 번갈아 빠르게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2
본 실시예는 상기 미국 특허 출원 번호 US 14/749,568(Head Mounted Augmented Reality Display) 디스플레이의 해상도가 낮다는 문제(문제2)를 다음과 같이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실시예1의 편광 필름(PO,PO2)은 특정 편광만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흡수형 편광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고 반사형 편광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반사형 편광 필름은 특정 편광은 통과시키고 그외의 다른 편광은 반사시키는 필름으로 미세 금속선(wire grid)을 정렬하여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반사형 편광 필름을 도2의 제1편광 필름(PO)에 사용한다면 준투명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투명 oled일 수 있고 그 각 픽셀의 안구를 향하는 쪽에는 그 픽셀이 방출하는 빛의 색의 빛을 반사하는 이색성 반사 코팅(RC)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투명 oled의 각 픽셀은 예를 들면 삼원색 중 한 색의 빛을 방출하도록 구성한다. 이처럼 눈쪽면에 이색성 반사 코팅을 하면 투명 oled의 픽셀에서 눈쪽으로 방출된 빛이 이색성 코팅에의해 오목 거울 쪽으로 반사되므로 눈부심이 없다. (눈부심을 제거하기 위하여 투명 디스플레이의 픽셀에서 눈 쪽으로 방출하는 빛의 색을 흡수하는 흡수 칼라 코팅을 투명디스플레이의 눈쪽 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도2에서 투명 디스플레이(OL)에는 3종류의 광원을 포함하는 펙셀들과 이색성 칼라 반사 필터 또는 칼라 흡수 필터가 표시되어있다.
예를 들어서 PR은 빨강 광원을 포함하는 픽셀이고
PG는 녹색 광원을 포함하는 픽셀이고
PB는 파랑 광원을 포함하는 픽셀이다.
그리고
RR은 빨강을 반사 또는 흡수하는 필터이고
RG은 녹색을 반사 또는 흡수하는 필터이고
RB은 파랑을 반사 또는 흡수하는 필터이다.
이 경우
RR은 빨강이외의 빛은 통과시키는 필터이고
RG은 녹색 이외의 빛은 통과시키는 필터이고
RB은 파랑 이외의 빛은 통과시키는 필터이다.
이 경우 도2의 편광필름(PO)가 반사형 편광 필름이면 흡수형 편광 필름보다 손실되는 빛이 줄어들어서 에너지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즉 전력 소비량이 줄어들어 안경형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배터리 사용 시간이 늘어난다.
이러한 반사형 또는 흡수형 칼라 필터는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도2의 EL)의 일부를 차단하여 시야를 어둡게 하는 단점이 있다. 시야를 밝게 하려면 액정 셔터 또는 멤스(mems: mems, mcro electromechanical systems) 셔터를 투명 디스플레이의 각 픽셀의 눈을 향하는 면에 형성하여 셔터를 닫아서 투명 디스플레이의 픽셀에서 눈으로 향하는 빛을 차단할 수 도 있다.
멤스 셔터에 대한 기술은 다음 논문에 게시되어있다.
참고 문헌3:
투명 OLED 디스플레이를 위한 광대역 반사 마이크로셔터 블라인드 패널
(제18회 한국MEMS학술대회 논문집 4월7일-9일에 논문)
이 경우 각 셔터를 모두 동시에 닫으면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오목 거울쪽으로 방출된 빛(DL)이 오목 거울(RM)에 반사된 후 눈으로 향할 때 모두 차단되므로 투명 디스플레이의 픽셀들을 2개 또는 다수의 그룹으로 나눠 그룹 별로 순차적으로 빛을 방출하고 빛을 방출하는 픽셀에 접하는 셔터만 닫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서 도5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의 짝수 번째 픽셀들을 제1 그룹(G1)으로 나눌 수 있고 홀수번째 픽셀들을 제2그룹(G2)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경우 제1 그룹의 픽셀들에 영상을 출력하여 빛을 방출하게 하고 그에 병행하여 제1그룹에 속하는 픽셀에 접하는(즉 제1 그룹에 속하는 픽셀과 눈 사이에 존재하는) 액정 셔터 또는 멤스 셔터를 닫고 제2 그룹에 속하는 픽셀에 접하는(즉 제2그룹에 속하는 픽셀과 눈 사이에 존재하는) 액정 셔터 또는 멤스 셔터를 연다.
다음 순간에는 그와 반대로 제2 그룹의 픽셀들에 영상을 출력하여 빛을 방출하게 하고 그에 병행하여 제2그룹에 속하는 픽셀에 접하는 액정 셔터 또는 멤스 셔터를 닫고 제1 그룹에 속하는 픽셀에 접하는 액정 셔터 또는 멤스 셔터를 연다.이러한 과정을 빠르게 반복한다. 도5는 투명 디스플레이(OL)의 제1 그룹(G1)의 셔터는 닫고 제2 그룹(G2)의 셔터는 연 것을 나타낸 것이다. 액정 셔터는 예를 들어서 셔터 안경식 3d 디스플레이를 볼 때 착용하는 셔터 안경의 렌즈와 같은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멤스 셔터는 전기 신호에의해 열리고 닫히는 미세한 판으로 빛을 통과 또는 차단시키는 셔터를 의미한다.
이러한 액정 셔터나 멤스 셔터는 각각의 픽셀 마다 구성될 수도 있고 이웃한 다수의(예를 들면 서로 인접한 2행 2열 픽셀들)픽셀들 마다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서 2행 2열 픽셀들마다 셔터를 구성하면 그 셔터를 열고 닫으면 2행 2열을 구성하는 4개의 픽셀영역을 통과하는 빛을 동시에 차단 하거나 통과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픽셀과 눈 사이에 칼라 필터,액정 셔터 또는 멤스 셔터를 설치하면 픽셀간 간격을 좁힐 수 있어서 영상의 해상도를 높일 수 있다.
실시예3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1의 가변 초점 렌즈 기술을 오큘러스 cv1과같은 가상현실용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head mount display)에 적용한 것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가상현실용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의 눈 앞의 볼록렌즈는 초점 거리가 고정되어 있어서 두 눈의 수렴 각도와 눈의 초점 거리가 불일치하는 (이를 vergence-accommodation conflict라고 한다.)문제가 있는데 본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는 도8과 같이 기존의 가상현실용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의 볼록 렌즈를 편광 종류에 따라 굴절율이 다른 이방성 물질의 볼록렌즈(VLN)로 대체하고(또는 기존 렌즈에 이방성 물질의 볼록렌즈를 추가하여 겹쳐 설치하고) OLED 와 같은 디스플레이(VDS) 앞에는 특정 편광만 눈쪽으로 통과시키는 편광 필름(VPO)과 상기 편광 필름을 통과한 편광의 편광축을 회전시키는 편광축 회전 수단(VRO)을 포함한다. 상기 편광 필름은 빛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반사형 편광 필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축 회전 수단(VRO)에 인가하는 전압을 변화시키면 편광축 회전 수단(VRO)을 통과하는 편광의 편광축을 원하는 만큼 회전 시킬 수 있고 이러한 편광은 이방성 물질의 볼록렌즈(VLN를 통과하면서 그 편광축 회전 정도에 대응하는 정도로 수렴 굴절 하여 눈에 도달한다. 이러한 편광축 회전 수단(VRO)에 인가하는 전압을 편광축 회전 수단(VRO) 전체에 동일하게 인가할 수도 있고 편광축 회전 수단(VRO)을 미세한 다수의 영역(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의 픽셀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나눠 각 영역마다 다른 전압을 인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서 디스플레이에 멀리 있는 사물과 가까이 있는 사물을 동시에 출력한다면 멀리 있는 사물에 겹친 편광축 회전 수단(VRO) 영역에 인가하는 전압과 가까이 있는 사물에 겹친 편광축 회전 수단(VRO) 영역에 인가하는 전압을 다르게 함으로써 두 영역에서 방출된 빛이 렌즈(VLN)에서 서로 다른 정도로 수렴 굴절하게 하여 두 물체의 영상과 눈 사이 거리가 다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VDS)를 투명 OLED와 같은 투명 디스플레이로 하고 투명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출력하지 않으면 외부의 빛이 눈에 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외부의 빛이 이방성 물질의 볼록렌즈(VLN)에의해 수렴 굴절되어 외부 영상이 망막에 초점을 맺지 못하는 문제 가 있다.
외부 물체를 선명하기 보려면 이방성 물질의 볼록렌즈(VLN) 앞 또는 뒷면 또는 양쪽 면에 도 3과 유사하게 도9와 같이 굴절율 매칭 물질로된 오목렌즈(VCC)를 부착하면 된다. 여기서 굴절율 매칭된 물질은 이방성 볼록렌즈의 제1 편광에 대한 제1 굴절율과 제2 편광에 대한 제 2 굴절율중 어느 한 굴절율과 동일한 굴절율의 물질을 의미한다. 이처럼 굴절율 매칭 물질로된 오목렌즈(VCC)를 부착한 이방성 물질의 볼록렌즈(VLN)를 통해 제1편광이 통과하면 수렴 굴절하지만 제2 편광은 마치 투명한 유리판처럼 굴절됨 없이 통과할 수 있다. 즉 투명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출력할 때는 편광축 회전 수단(VRO)에 제1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편광축을 회전시켜 제1편광이 눈에 도달하게 하면 눈은 디스플레이 영상을 볼 수 있다. 그리고 편광축 회전 수단(VRO)에 제2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편광축을 회전시켜 제2편광이 눈에 도달하게 하면 눈은 외부 사물의 영상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출력하는 상태와 출력하지 않는 상태를 번갈아 빠르게 반복하면 외부 사물과 디스플레이 영상을 겹쳐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선명하게 보기 위히여 디스플레이 바깥쪽에는 셔터 수단(예를 들면 액정 셔터)(VST)를 추가하여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출력하는 동안에는 셔터를 닫아 외부 의 빛이 눈에 도달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16)

  1. 안경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눈 앞에 위치하고 시선 방향으로만 빛을 방출하는 준투명 디스플레이;
    상기 준투명 디스플레이에서 방출된 빛 중에서 제1 편광만 시선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제1편광 필터;
    상기 제1편광 필터를 통과한 제1 편광의 편광축을 회전시키는 편광축 회전 제1수단;
    상기 편광축 회전 제1수단에의해 편광축이 회전된 편광을 편광축의 회전 정도에 대응하는 굴절율로 수렴 굴절시키는 이방성 볼록렌즈;
    상기 이방성 볼록렌즈를 통과한 빛을 다시 상기 이방성 볼록렌즈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거울을 이용한 투명한 안경형 디스플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준투명 디스플레이의 각 픽셀은 삼원색중 한 색의 빛을 방출하고 상기 픽셀의 눈쪽 면에는 상기 삼원색 중 한 색의 빛을 반사수단 쪽으로 반사하는 이색성 반사 코팅 또는 상기 삼원색 중 한 색의 빛을 흡수하는 칼라 흡수 코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거울을 이용한 투명한 안경형 디스플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반사수단은 눈을 향하는 쪽이 오목한 반거울 또는 편평한 반거울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거울을 이용한 투명한 안경형 디스플레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형 디스플레이는 상기 오목 반거울 또는 편평한 거울의 시선 방향 쪽에 오목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거울을 이용한 투명한 안경형 디스플레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형 디스플레이는
    상기 오목 렌즈의 시선 방향 쪽에 제1 또는 제2편광만 눈쪽으로 통과시키는 제2편광 필터와
    상기 제2 편광 필터를 통과한 편광의 편광 축을 회전시키는 편광축 회전 제2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거울을 이용한 투명한 안경형 디스플레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형 디스플레이는
    상기 준투명 디스플레이의 각 픽셀의 눈쪽 면에는 각 픽셀 마다 또는 다수의 인접한 픽셀들 마다 빛을 통과 또는 차단시킬 수 있는 셔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거울을 이용한 투명한 안경형 디스플레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수단은 액정 셔터 또는 멤스(mems) 셔터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거울을 이용한 투명한 안경형 디스플레이
  8. 안경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눈 앞에 위치하고 시선 방향으로만 빛을 방출하는 준투명 디스플레이;
    상기 준투명 디스플레이에서 시선 방향으로 방출된 빛을 눈쪽으로 반사시키는 광학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준투명 디스플레이의 각 픽셀은 삼원색중 한 색의 빛을 방출하고 상기 픽셀의 눈쪽 면에는 상기 삼원색 중 한 색의 빛을 광학 모듈 쪽으로 반사하는 이색성 반사 코팅 또는 상기 삼원색 중 한 색의 빛을 흡수하는 칼라 흡수 코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거울을 이용한 투명한 안경형 디스플레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모듈은 반거울을 포함하고
    반거울의 눈을 향하는 쪽에는 볼록렌즈가 포함되고
    반거울의 시선 방향 쪽에는 오목 렌즈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거울을 이용한 투명한 안경형 디스플레이
  10. 안경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눈 앞에 위치하고 시선 방향으로만 빛을 방출하는 준투명 디스플레이;
    상기 준투명 디스플레이에서 시선 방향으로 방출된 빛을 눈쪽으로 반사시키는 광학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준투명 디스플레이의 각 픽셀의 눈쪽 면에는 각 픽셀 마다 또는 다수의 인접한 픽셀들 마다 빛을 통과 또는 차단시킬 수 있는 셔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거울을 이용한 투명한 안경형 디스플레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모듈은 반거울을 포함하고
    반거울의 눈을 향하는 쪽에는 볼록렌즈가 포함되고
    반거울의 시선 방향에는 오목 렌즈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거울을 이용한 투명한 안경형 디스플레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수단은 액정 셔터 또는 멤스 셔터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거울을 이용한 투명한 안경형 디스플레이
  13. 안경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눈 앞의 편광의 종류에 따라 굴절율이 다른 이방성 볼록렌즈;
    상기 볼록렌즈 쪽으로 빛을 방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방출된 빛의 제1편광만 눈쪽으로 통과시키는 편광 필터;
    상기 편광 필터를 통과한 편광의 편광 축을 회전 시키는 편광축 회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가변 초점 안경형 디스플레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축 회전 수단은 다수 영역으로 나뉘어져서 각 영역에 인가된 각각의 전기 신호에 따라 각 영역마다 다른 정도로 편광축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가변 초점 안경형 디스플레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형 디스플레이는 이방성 볼록렌즈의 제2 편광에 대한 굴절율과 동일한 굴절율의 물질로된 오목렌즈가 이방성 볼록렌즈 앞면 또는 뒷면 또는 앞 뒷면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안경형 디스플레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형 디스플레이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시선 방향쪽 면에는 빛을 차단 시키거나 통과시킬 수 있는 셔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초점 안경형 디스플레이
PCT/KR2018/005238 2017-05-27 2018-05-05 거울을 이용한 투명한 안경형 디스플레이 WO2018221867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565245A JP2020522737A (ja) 2017-05-27 2018-05-05 鏡を利用した透明なめがね型ディスプレイ
US16/617,822 US11022803B2 (en) 2017-05-27 2018-05-05 Eye glasses-type transparent display using mirror
CN201880049617.9A CN110959132B (zh) 2017-05-27 2018-05-05 眼镜型显示器及可变焦距眼镜型显示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748 2017-05-27
KR20170065748 2017-05-27
KR20180050301 2018-04-30
KR10-2018-0050301 2018-04-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21867A1 true WO2018221867A1 (ko) 2018-12-06

Family

ID=64455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5238 WO2018221867A1 (ko) 2017-05-27 2018-05-05 거울을 이용한 투명한 안경형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22803B2 (ko)
JP (2) JP2020522737A (ko)
KR (1) KR102044628B1 (ko)
CN (1) CN110959132B (ko)
WO (1) WO2018221867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3320A (zh) * 2019-02-20 2019-04-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和显示方法
WO2020258063A1 (zh) * 2019-06-26 2020-12-30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光学透镜组、成像系统及穿戴式显示设备
US11372247B2 (en) 2019-09-17 2022-06-28 Facebook Technologies, Llc Display device with diffusive display and see-through lens assembly
US11391948B2 (en) 2019-09-10 2022-07-19 Facebook Technologies, Llc Display illumination using a grating
US11467332B2 (en) 2019-09-10 2022-10-11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Display with switchable retarder array
US11579425B1 (en) 2019-08-05 2023-02-14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Narrow-band peripheral see-through pancake lens assembly and display device with same
US11586024B1 (en) 2019-08-05 2023-02-21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Peripheral see-through pancake lens assembly and display device with same
US11726336B2 (en) 2019-09-10 2023-08-15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Active zonal display illumination using a chopped lightgui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9018B1 (en) 2019-05-28 2023-09-05 Apple Inc. Eye enrollment for head-mounted enclosure
US11822083B2 (en) * 2019-08-13 2023-11-21 Apple Inc. Display system with time interleaving
JP2021033173A (ja) * 2019-08-28 2021-03-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US11448803B1 (en) * 2020-01-06 2022-09-20 Facebook Technologies, Llc Pancake lens including diffuser
US11668932B2 (en) 2020-01-06 2023-06-06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Switchable Pancharatnam-Berry phase grating stack
US11294184B2 (en) 2020-01-06 2022-04-05 Facebook Technologies, Llc Foveated display system
CN113835223A (zh) * 2020-06-08 2021-12-24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头戴式显示器
WO2022085873A1 (ko) * 2020-10-21 2022-04-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얇은 광시야각 근안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방법
CN112946895B (zh) * 2021-02-02 2022-09-20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头戴式显示装置
TWI777637B (zh) * 2021-06-29 2022-09-11 宏達國際電子股份有限公司 頭戴式顯示裝置
KR20230004293A (ko) * 2021-06-30 2023-01-06 이문기 원편광을 이용한 착용형 디스플레이
KR102524150B1 (ko) * 2022-05-31 2023-04-2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대화면 직시형 증강현실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4994926B (zh) * 2022-07-18 2022-11-22 京东方艺云(杭州)科技有限公司 显示调节装置和显示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3311A1 (en) * 2006-08-02 2010-03-04 Swiss Medical Technology Gmbh Eyewear with Segmented Look-Through Elements
KR101298874B1 (ko) * 2010-07-13 2013-08-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 안경
KR20150102552A (ko) * 2014-02-28 2015-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중 이미지 타입의 안경 장치
US20160282639A1 (en) * 2016-05-19 2016-09-29 Maximilian Ralph Peter von und zu Liechtenstein Apparatus and method for augmenting human vision by means of adaptive polarization filter grids
KR101672707B1 (ko) * 2015-08-05 2016-11-16 이승종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광학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0690A (ja) * 1984-04-17 1985-11-05 Tanigaki Suzuyo 画像表示撮像装置
US20060033992A1 (en) * 2002-12-02 2006-02-16 Solomon Dennis J Advanced integrated scanning focal immersive visual display
US5206749A (en) * 1990-12-31 1993-04-27 Kopin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essentially single crystal transistors pixels and driving circuits
US7075501B1 (en) * 1990-12-31 2006-07-11 Kopin Corporation Head mounted display system
JPH07504764A (ja) * 1992-03-13 1995-05-25 コピン・コーポレーシヨン 頭部取り付け表示系
US5572343A (en) * 1992-05-26 1996-11-05 Olympus Optical Co., Ltd. Visual display having see-through function and stacked liquid crystal shutters of opposite viewing angle directions
JP3413885B2 (ja) * 1993-07-29 2003-06-09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る眼鏡型映像表示装置
DE4328785A1 (de) * 1993-08-26 1995-03-02 Consortium Elektrochem Ind Optische Elemente mit abbildender farb- und polarisationsselektiver Reflexion enthaltend cholesterische Flüssigkristalle sowie Herstellung und Verwendung dieser Elemente
US5684497A (en) * 1994-12-21 1997-11-04 Siliscape, Inc. Twice folded compound magnified virtual image electronic display
US6215532B1 (en) * 1998-07-27 2001-04-10 Mixed Reality Systems Laboratory Inc. Image observing apparatus for observing outside information superposed with a display image
JP2000105348A (ja) * 1998-07-27 2000-04-11 Mr System Kenkyusho:Kk 画像観察装置
GB0016326D0 (en) * 2000-07-03 2000-08-23 Seos Displays Ltd A display device for mobile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JP2002229012A (ja) * 2001-02-02 2002-08-14 Tks Rabo:Kk 液晶表示装置
US6999649B1 (en) 2001-10-26 2006-02-14 Kent Optronics Inc. Optical switches made by nematic liquid crystal switchable mirrors, and apparatus of manufacture
JP3748406B2 (ja) * 2001-12-18 2006-02-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
IL148804A (en) * 2002-03-21 2007-02-11 Yaacov Amitai Optical device
KR100728158B1 (ko) * 2002-05-13 2007-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US20040017347A1 (en) * 2002-07-29 2004-01-29 Hougham Gareth G. Method for fabricating color pixels without light filters
JP3825414B2 (ja) * 2003-03-27 2006-09-2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三次元表示装置
US6879443B2 (en) * 2003-04-25 2005-04-12 The Microoptical Corporation Binocular viewing system
GB0400370D0 (en) * 2004-01-09 2004-02-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isplay device for volumetric imaging using a birefringent optical path length adjuster
WO2005106563A2 (de) * 2004-05-05 2005-11-10 Spielberger Juergen System zum betrachten von stereoskopischen bildern
WO2006024481A1 (de) * 2004-08-31 2006-03-09 X3D Technologies Gmbh Anordnung zur dreidimensional wahrnehmbaren darstellung
US7241014B2 (en) * 2004-12-02 2007-07-10 Bose Corporation Microdisplay projection
US20080304151A1 (en) * 2007-06-08 2008-12-11 Arisawa Mfg. Co., Ltd. Stereoscopic image display
JP5154183B2 (ja) * 2007-09-28 2013-02-2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20100149073A1 (en) * 2008-11-02 2010-06-17 David Chaum Near to Eye Display System and Appliance
US8441731B2 (en) * 2008-09-04 2013-05-14 Innovega, Inc. System and apparatus for pixel matrix see-through display panels
JP2010091895A (ja) * 2008-10-10 2010-04-22 Toppoly Optoelectronics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ディスプレイ装置
CN102804039A (zh) * 2009-06-30 2012-11-28 惠普开发有限公司 全彩色反射式显示器
US20110075257A1 (en) * 2009-09-14 2011-03-31 The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Arizona 3-Dimensional electro-optical see-through displays
EP2509490B1 (en) * 2009-12-10 2014-04-23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An ophthalmic lens arrangement and an apparatus for demonstrating a plurality of optical functions and a method for demonstrating a plurality of optical functions
KR101171660B1 (ko) * 2010-03-01 2012-08-09 이문기 증강현실의 포인팅 장치
GB201005965D0 (en) * 2010-04-09 2010-05-26 The Technology Partnership Plc Optical device
WO2012062681A1 (de) * 2010-11-08 2012-05-18 Seereal Technologies S.A. Anzeigegerät, insbesondere ein head-mounted display, basierend auf zeitlichen und räumlichen multiplexing von hologrammkacheln
US9292973B2 (en) * 2010-11-08 2016-03-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matic variable virtual focus for augmented reality displays
JP2012252188A (ja) * 2011-06-03 2012-12-20 Japan Display East Co Ltd 表示装置
JP2013033175A (ja) * 2011-08-03 2013-02-14 Sony Corp 表示装置
JP2013044836A (ja) * 2011-08-23 2013-03-04 Canon Inc 映像表示装置
CN102402929B (zh) * 2011-09-16 2013-12-25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提高点阵显示屏分辨率的装置及点阵显示屏系统
JP5496166B2 (ja) * 2011-11-02 2014-05-21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2402005B (zh) * 2011-12-06 2015-11-25 北京理工大学 自由曲面双焦面单目立体头盔显示器装置
US9385808B2 (en) * 2011-12-31 2016-07-05 Moon Key Lee Flicker-free col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US9335541B2 (en) * 2012-01-17 2016-05-10 Imax Theatres International Limited Stereoscopic glasses using dichroic and absorptive layers
JP6003903B2 (ja) * 2012-01-24 2016-10-05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KR20130117302A (ko) * 2012-04-18 2013-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안경형 디스플레이
US20130300634A1 (en) * 2012-05-09 2013-11-1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epresentations of displayed information based on focus distance
US9841537B2 (en) * 2012-07-02 2017-12-12 Nvidia Corporation Near-eye microlens array displays
US9703101B2 (en) * 2012-10-23 2017-07-11 Lusospace, Projectos Engenharia Lda See-through head or helmet mounted display device
JP2014092744A (ja) * 2012-11-06 2014-05-19 Japan Display Inc 立体表示装置
WO2014080129A1 (fr) * 2012-11-21 2014-05-30 Laster Module optique de réalité augmentée
US9874749B2 (en) * 2013-11-27 2018-01-23 Magic Leap, Inc.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systems and methods
KR20140020338A (ko) * 2014-01-23 2014-02-18 김영철 복안형 표시장치
KR102561425B1 (ko) * 2014-03-05 2023-07-28 아리조나 보드 오브 리전츠 온 비해프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아리조나 웨어러블 3d 증강 현실 디스플레이
WO2015134958A1 (en) * 2014-03-07 2015-09-11 Magic Leap, Inc.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systems and methods
US10289070B2 (en) * 2014-05-01 2019-05-14 Cell-Optic, Inc. Holograms using birefringent lenses
WO2015174794A1 (ko) * 2014-05-15 2015-11-19 이준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광학 시스템
US9581821B2 (en) * 2014-06-24 2017-02-28 Fakespace Labs, Inc. Head mounted augmented reality display
US9507066B2 (en) * 2014-06-30 2016-11-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yepiece for near eye display system
KR20160029245A (ko) * 2014-09-04 2016-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WO2016117326A1 (ja) * 2015-01-20 2016-07-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装置
US10061129B2 (en) * 2015-03-15 2018-08-28 Kessler Optics and Photonics Solutions Ltd. Birefringent ocular for augmented reality imaging
TWI569040B (zh) * 2015-05-07 2017-02-01 尚立光電股份有限公司 自動調焦頭戴式顯示裝置
WO2017039718A1 (en) * 2015-09-03 2017-03-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agnifying device
US10070105B2 (en) * 2016-02-26 2018-09-04 Christie Digital Systems Usa, Inc. OR-function illumination in phased bitplanes in a high dynamic range projector
KR102530558B1 (ko) * 2016-03-16 202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투시형 디스플레이 장치
WO2018013307A1 (en) * 2016-06-21 2018-01-18 Ntt Docomo, Inc. An illuminator for a wearable display
KR102664388B1 (ko) * 2017-01-23 2024-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JP6767584B2 (ja) * 2017-06-30 2020-10-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ウェアラブル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
KR102485447B1 (ko) * 2017-08-09 2023-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윈도우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투시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26922B1 (ko) * 2018-09-21 2024-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투시형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3311A1 (en) * 2006-08-02 2010-03-04 Swiss Medical Technology Gmbh Eyewear with Segmented Look-Through Elements
KR101298874B1 (ko) * 2010-07-13 2013-08-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 안경
KR20150102552A (ko) * 2014-02-28 2015-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중 이미지 타입의 안경 장치
KR101672707B1 (ko) * 2015-08-05 2016-11-16 이승종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광학 시스템
US20160282639A1 (en) * 2016-05-19 2016-09-29 Maximilian Ralph Peter von und zu Liechtenstein Apparatus and method for augmenting human vision by means of adaptive polarization filter grids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73419B2 (en) 2019-02-20 2023-02-07 Beijing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CN109683320A (zh) * 2019-02-20 2019-04-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和显示方法
WO2020258063A1 (zh) * 2019-06-26 2020-12-30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光学透镜组、成像系统及穿戴式显示设备
US11586024B1 (en) 2019-08-05 2023-02-21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Peripheral see-through pancake lens assembly and display device with same
US11579425B1 (en) 2019-08-05 2023-02-14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Narrow-band peripheral see-through pancake lens assembly and display device with same
US11391948B2 (en) 2019-09-10 2022-07-19 Facebook Technologies, Llc Display illumination using a grating
US11467332B2 (en) 2019-09-10 2022-10-11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Display with switchable retarder array
US11592608B2 (en) 2019-09-10 2023-02-28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Switchable polarization retarder array for active zonal illumination of display
US11726336B2 (en) 2019-09-10 2023-08-15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Active zonal display illumination using a chopped lightguide
US11448885B2 (en) 2019-09-17 2022-09-20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Lens assembly including a volume Bragg grating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422375B2 (en) 2019-09-17 2022-08-23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Curved see-through pancake lens assemb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372247B2 (en) 2019-09-17 2022-06-28 Facebook Technologies, Llc Display device with diffusive display and see-through lens assembly
US11835722B2 (en) 2019-09-17 2023-12-05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Display device with transparent emissive display and see-through lens assembly
US11852814B2 (en) 2019-09-17 2023-12-26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Display device with holographic diffuser display and see-through lens assembly
US11960090B2 (en) 2019-09-17 2024-04-16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Curved see-through pancake lens assemb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46990B2 (ja) 2022-10-04
KR102044628B1 (ko) 2019-11-13
CN110959132B (zh) 2022-06-14
US11022803B2 (en) 2021-06-01
JP2020522737A (ja) 2020-07-30
US20200089002A1 (en) 2020-03-19
JP2021103321A (ja) 2021-07-15
KR20180129639A (ko) 2018-12-05
CN110959132A (zh) 2020-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221867A1 (ko) 거울을 이용한 투명한 안경형 디스플레이
CN105009583B (zh) 透明自动立体显示器
CN100549763C (zh) 定向显示装置
TWI463218B (zh) 顯示裝置
US9772500B2 (en) Double-layered liquid crystal lens and 3D display apparatus
US20080284844A1 (en) Switchable Lens
US11543565B2 (en)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WO2012048485A1 (zh) 2d/3d切换的液晶透镜组件及显示装置
CN101320133A (zh) 立体图像显示装置
US20180231832A1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hav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method thereof
CN101114055A (zh) 2d-3d可转换自动立体显示装置
WO2017161656A1 (zh) 显示眼镜及其驱动方法
CN101169519A (zh) 显示装置
CN101387758A (zh) 2d-3d可转换立体显示装置
CN104950544A (zh) 裸眼3d显示装置
WO2018199614A1 (ko) 투과율 가변 장치
CN204903922U (zh) 裸眼3d显示装置
CN112596311A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2346252A (zh) 近眼显示装置
CN107728363A (zh) 立体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CN104020625B (zh) 3d分光器及立体显示装置
JPH075325A (ja) 立体表示偏光フィルムおよび立体表示装置
KR100250808B1 (ko) 박막형 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편광방식 입체 영상장치
RU2658151C1 (ru) Оптический переключатель и использующая его система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JPH0996780A (ja) 投射型立体画像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088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565245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088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