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44024A1 - 탈염 용암해수 및 목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핵심물질 제조공정 - Google Patents

탈염 용암해수 및 목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핵심물질 제조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44024A1
WO2018044024A1 PCT/KR2017/009406 KR2017009406W WO2018044024A1 WO 2018044024 A1 WO2018044024 A1 WO 2018044024A1 KR 2017009406 W KR2017009406 W KR 2017009406W WO 2018044024 A1 WO2018044024 A1 WO 201804402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oak
hangover
composition
lava sea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940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원희
황성욱
정지영
조범근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804402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4402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4Wat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4Membrane proces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a hangover, including larvae extract, oak extract and demineralized lava seawater.
  • Alcohol dehydrogenase ADH
  • MEOS 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
  • Ethanol metabolism in the liver is mainly performed by NAD-linked enzymes,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These enzymes produce acetaldehyde and acetate, respectively, and acetate is converted to acetyl-CoA to generate energy through the TCA cycle or to synthesize cholesterol and fatty acids.
  • ADH and MEOS of the gastrointestinal and liver metabolize alcohol to oxidize acetaldehyde in the first step, so that the amount of acetaldehyde produced increases as the alcohol is metabolized by these enzymes.
  • Acetaldehyde binds to vital active substances, including proteins, in vivo, causing symptoms such as increased pulse, sweating, nausea and vomiting.
  • acetaldehyde dehydrogenase ADH
  • ALDH acetaldehyde dehydrogenase
  • the above symptoms may result from the accumulation of acetaldehyde when drinking.
  • a hangover refers to headache, diarrhea, anorexia, nausea, vomiting, chills and cold sweating after drinking alcohol.
  • Objective symptoms can be defined as perception, decreased exercise ability, hematologic changes, and hormonal changes.
  • Alcohol is known to have various effects on liver metabolism depending on the amount of intake. Acetaldehyde and NADH produced during the oxidation process damage liver cells rather than alcohol itself. Alcohol absorbed into the body reacts with NAD ions by ADH (alchol dehydrogenase) to convert NADPH and acetaldehyde and then reacts with NAD ions to convert acetaldehyde into NADPH and acetate by ALDH (aldehyde dehydrogenase). The hangover is caused by acetaldehyde, and both ADH and ALDH can be used to resolve the hangover.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find drugs that can reduce hangovers. Recently, research and experiments on substances that can reduce the toxicity or inhibit the toxicity of ethanol have been conducted. Various health supplements containing artificial or artificial ingredients are being developed. However, there is not much that shows a significant hangover effect so far.
  • Wood a natural biological resource, is a porous biomaterial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fiber, such as glucose, xylan, glocomannan, galactan, etc., which have pharmacological components made by the sun's catalytic action by carbon dioxide and water in the air. It is a report of biological materials such as polysaccharides and monosaccharides. These components, which are polymer materials, are decomposed into low molecules by heat and pressure conditions, and the pharmacological ingredients are well known to have many pharmacological ingredients effective for the growth of humans, animals and even plants.
  • Lava seawater is a subterranean seawater that flows into the basement of the sea while the seawater is naturally filtered by a permeable volcanic rock bed. It is mainly buried in the eastern part of Jeju, and is known to flow through the volcanic rock bed up to 8km from the coast. The lava seawater does not mix with each other due to the difference in density from the freshwater groundwater, and exists under the freshwater layer.
  • Jeju Island refers to Gujwa-eup, Seongsan-eup, and Pyoseon-myeon in Jeju
  • saline groundwater refers to groundwater containing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salt.
  • Low salt groundwater electrical conductivity 1,700 ⁇ s / cm ⁇ 17,350 ⁇ s / cm
  • brine groundwater accordinging to the criteria classified by Jeju Island groundwater based on the salt concentration used in the study of hydrologic geology in the region (II), 2003, Kyungwon University
  • the electrical conductivity can be understood as including all of 17,350 kW / cm or more, preferably,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s 17,350 kW / cm or more or the salt concentration is 30 ⁇ (permilliage) or more (normally, the salt concentration of seawater is 32). To 35 ⁇ ).
  • Lava seawater is very clean because it is naturally purified as it passes through the basalt layer. Unlike deep seawater, which is taken from deep seas, it is cost effective because it can be taken from land, and lava seawater produced on Jeju Island is very rare. As a material, it will be very useful for making Jeju's own branded products, and it is a major material that is expected to be able to leap into a globalized product for a large number of tourists.
  • the lava seawater contains a large amount of various minerals not found in normal saltwater or seawater, in particular, vanadium contained in trace amounts in lava seawater is known to stabilize the secretion of insulin, germanium is blood It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promoting circulation, enhancing immunity and anticancer activity, and selenium has been reported to inhibit fat oxidation, antioxidant activity, anticancer, infertility, anti-aging, and improve cholesterol levels. There is no situation.
  •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nducted research to relieve hangover,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bark tree extract, oak extract and demineralized lava seawater as an active ingredient to reduce the alcohol content in the blood after drinking, alcohol dehydrogenase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y It confirmed that it could increase and completed this invention.
  •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ngover relief composition comprising the bark extract, oak extract and desalted lava seawater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a hangover comprising a liana extract, oak extract and demineralized lava seawater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for preventing or improving a hangover containing the bark extract, oak extract and desalted lava seawater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gover for the beverage containing the bark extract, oak extract and desalted lava seawater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bark extract, oak extract and demineralized lava sea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for preventing or improving hangovers by reducing human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nd alleviating hangover symptoms.
  •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oak extract.
  •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the component analysis of the larvae extract through GC / MS spectrum.
  •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the component analysis of the gallium extract through the GC / MS spectrum.
  •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the component analysis of turmeric extract through the GC / MS spectrum.
  •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the component analysis of the larvae extract through the GC / MS spectrum.
  •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acetaldehyde degrading enzyme activity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alcohol concentration in the breath of the clinical subjects ingested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alcohol intake.
  • FIG. 8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btained by dividing the alcohol concentration in the breath of the clinical subjects who consumed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ingesting alcohol.
  •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alcohol concentration in the breath of the clinical subjects ingest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alcohol intak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a hangover, which comprises a liana extract, oak extract and demineralized lava seawater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mposition compris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a food composition.
  • the bark tree extract and the oak extract can be used to extract and separate from the wood using the extraction and separation methods known in the art, respectively, the 'extract'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ropriate It includes both crude extract, polar solvent soluble extract or nonpolar solvent soluble extract extracted using solvent.
  • the Oriental raisin tree (Hovenia dulcis) is a deciduous tree of the buckthorn family, also called the earth tree, and the oak (Oak) refers to the deciduous hardwoods belonging to the oak family, and oak tree, oak tree, oyster oak, and oak tree It may include oak, or prunus oak, preferably may be red oak.
  • the bark extract and oak extract may mean that it is obtained by extracting from various organs or parts such as leaves, flowers, roots, stems, branches, bark and fruit, preferably woody parts, more preferably bark (that is, Extract from the bark).
  • any suitable solvent for extraction may be used as water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organic solvent.
  • the solvent includes water, methanol, acetone, and ether having 1 to 4 carbon atoms such as methanol, ethanol, propanol, isopropanol and butanol, and the like.
  • hot water extraction cold extraction, reflux cooling extraction, solvent extraction, steam distillation, ultrasonic extraction, elution, compression, etc.
  • hot water extraction is used.
  • the desired extract may be further subjected to a conventional fractionation process, it may be purified using conventional purification methods.
  • the bark tree extract and the oak extract which are active ingredients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a powder state by an additional process such as distillation under reduced pressure and freeze drying or spray drying.
  • the primary extract may be further purified using a variety of chromatography such as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thin layer chromatograph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the like. Can also be obtained.
  • the extrac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ept including all the extracts, fractions and purified products obtained in each step of extraction, fractions or purification, their dilutions, concentrates or dried products.
  • the bark tree extract and oak extract wood and water o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in order to obtain the bark tree extract and oak extract wood and water o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preferably hot water extraction for 0.1 to 3 hours at 50 ⁇ 200 °C preferably filtered and The oak extract was obtained through concentration under reduced pressure.
  • the step of immersing wood chips in water and then dewatering Heating the dehydrated wood chips at 70-150 ° C. for 0.5-3 hours; Reacting and softening the heated wood chips and water vapor at a temperature of 120 to 300 ° C. and a pressure of 10 to 40 kgf / cm 2 for 0.1 to 1 hour; Releasing the softened wood chips into the atmosphere to expand; Hot water extraction of the expanded wood chips at 50 ⁇ 200 °C; And extracting, purifying and concentrating the extract under reduced pressure.
  • the oak extract may further include a pre-treatment process before the dehydration process, after the peeling operation to remove the bark by felling the wood, cutting the chip with a chip maker and a physical, chemical, biological pretreatment process.
  • the pretreatment process may include an explosion method, an alkali treatment method, a sulfur dioxide treatment method, a hydrogen peroxide treatment method, a supercritical ammonia treatment method, a weak acid extraction treatment method, an ammonia explosion method, an ionic liquid treatment method, and the like.
  • the crushing method is a kind of fiberboard manufacturing method called the masonite process, the gun method, etc., and dissociates the chips by treating the wood chips with high pressure steam at high temperature and rapidly releasing them into the atmosphere. High pressures can break down the wood into small pieces.
  • the liana extract and oak extrac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1 to 95% by weight, preferably 1 to 80%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1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01% by weight may be less effective in taking, when it exceeds 95% by weight may be difficult to formulate.
  • desalted lava seawater is a result obtained by desalting lava seawater, which may be a part of a dehydrated (dehydrated) concentrated liquid phase or a completely dehydrated powder.
  • This desalted lava seawater can be understood as a composition of mineral components whose phas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lava seawater” is an underground seawater flowing into the basement of the sea while the sea water is naturally filtered by a volcanic rock bed with good permeability, and is mainly buried in Jeju Island, preferably in the eastern part of Jeju (Gujeup-eup, Seongsan-eup, and Pyoseon-myeon), It is said to flow up to 8km from the coast and pass through the volcanic rock bed.
  • Jeju Mountain-eup, Seongsan-eup, and Pyoseon-myeon
  • Desalting lava seawater to obtain desalted lava seawater may be performed by applying any technique known in the art,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reverse osmosis, ion exchange resin, or electrodialysis.
  • the desalted lava seawater is the result itself obtained by desalting lava seawater, and when dehydrated lava seawater is used, the desalted lava seawater is added based on the amount of water dehydrated.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xtract of Melotus japonicus.
  • the Yedeok tree is a deciduous arborescent of the dicotyledon plant Lipanhwa group Ratsipuk Daegeuk and grows mainly on the beach, and preferably may be Jeju Island.
  • the wood extract is obtained by extracting from various organs or parts such as leaves, flowers, roots, stems, branches, bark and fruits, preferably stem, branches, bark or root, more preferably bark (ie , Bark).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browning, Eochocho, Yeoju, turmeric, oleander, pogongyoung, locust or P. aerugosa extract.
  • the browning (Puerarialo bata) is a material that is widely used to dry the flowers of ⁇ thirst, anorexia, bloating, vomiting.
  • the Houttuynia cordata Thunb is a perennial herbaceous plant belonging to the three hundreds (Saururaceae) is known to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hemostasis, diuresis, diuresis, swelling, youngsim, detoxification, bruises, bleeding, bloody stool, heart system and edema.
  • the bitter gourd (Momordica charantia) is widely used for edible, ornamental, medicinal, etc., as a vine of perennial herbaceous herb, gourd, and is known to be effective for liver protection, anti-tumor ac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 Curcuma longa L. is a perennial herbaceous herbaceous plant belonging to the family Ginger, which has been dried and dried by removing the bark of turmeric as it is, or has been used for medicinal herbs, spices, and foods. It is known to be effective in mutagenicity, anti-inflammatory and antimicrobial activity.
  • the foliar leaf is used in perilla frutescens perspiration, hemostasis, antipyretic, analgesic, soothing and skin diseases, and is known to be effective in preventing food poisoning and fatigue.
  • the pogongyoung (Taraxacum platycarpum)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for treating liver diseases and female diseases, improves the function of the liver, pancreas, stomach, and mainly serves as a diuretic.
  • Cornus walteri wagner belongs to the dogwood family and is known to be effective in detoxification, antipyretic and diuretic effects.
  • the birch (Lespedeza bicolor) is a deciduous shrub belonging to the legume has the effect of antipyretic, diuretic, is known to benefit the lungs.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liana extract, oak extract, and desalted lava seawater, reduced human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nd alleviated hangover symptoms.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at least one known active ingredient having a hangover elimination effect together with the bark extract, oak extract and desalted lava seawater.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suitabl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commonly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composition. It may also be used in the form of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and the like in the form of conventional formulation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able solutions. Suitable formulations known in the art are preferably those disclosed in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recently,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included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 benzoate, propylhydroxy 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ting agents, and surfactants are usually used.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and the solid preparations include at least one excipient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lactose, It is prepared by mixing gelatin.
  • excipients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lactose, It is prepared by mixing gelatin.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are also used.
  • Oral liquid preparations include suspensions, solvents, emulsions, and syrups, and may include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and preservatives, in addition to commonly used simple diluents such as water and liquid paraffin. .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preparations,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 and suspending agent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can be used.
  • base of the suppository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butter, glycero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term "administration" means providing a subject with any of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suitable manner.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y depending on the condition and weight of the individual, the extent of the disease, the form of the drug, th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the duration,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daily dose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in an amount of 1 mg / kg to 10000 mg / kg and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may be divided several times.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to a subject by various routes. All modes of administration can be expected, for example, by oral, rectal or intravenous, intramuscular, subcutaneous, intrauterine dural or cerebrovascular injections, alone or in other ways to relieve hangovers. I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for preventing or improving a hangover containing the bark extract, oak extract and desalted lava seawater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gover to drink containing the bark extract, oak extract and desalted lava seawater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bark extract, oak extract and demineralized lava sea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ed in the health functional food or beverage, the bark extract, oak extract and demineralized lava seawater may be added as they are or may be used together with other food or food ingredients. It can be suitably used according to the phosphorus method.
  • the mixed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prevention, health or therapeutic treatment).
  • the desalted lava sea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in an amount of up to 15% by weight, preferably up to 10% by weight relative to the raw materials.
  •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used in an amount above the above range because there is no problem in terms of safety.
  • foods to which the substance may be added include meat, sausage, bread, chocolate, candy,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dairy products including gum, ice cream, various soups, beverages, teas, drinks, Beverages and vitamin complexes, and the like and include all foods in the conventional sense.
  • the beverage may include various flavors, natural carbohydrates, and the like as additional ingredients, as in general beverages.
  • the natural carbohydrates described above may be used as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and fructos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and sucrose, and natural sweeteners such as dextrin and cyclodextrin, and synthetic sweeteners such as saccharin and aspartame.
  • the proportion of the natural carbohydrate is generally about 0.01 to 10 g, preferably about 0.01 to 0.1 g per 100 ml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nutrients, vitamins, electrolytes, flavors, colorants, pectic acid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salts thereof,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adjusting agent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s, It may include a carbonation agent used in the carbonated beverage.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ulp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 fruit juice drinks and vegetable drinks. These components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he proportion of such additives is not critical but is generally selected in the range of 0.01 to 0.1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preparing the bark extract is schematically shown in FIG.
  • the wood chip was cut by a chip maker. Thereafter, the wood chips were immersed in 5 to 20 times the volume of water and impregnated for 10 to 48 hours and then dehydrated. The dehydrated wood chips were heated at a temperature of 70 to 150 ° C. for 30 minutes to 3 hours. Turned on. The heated wood chips were placed in an airtight container with water vapor and kept saturated and softened for 0.1-1 hour at a temperature of 120-300 ° C. and a pressure of 10-40 kgf / cm 2.
  • the softened wood chips were released into the air to expand the wood chips, and the expanded wood chips were extracted in 0.1 to 3 hours in a volume of 5 to 20 times in a hot water extractor at 50 to 200 ° C.
  • the residues and filtrates produced in the extraction process were separated from the pharmacological components by using a centrifuge, and then filtered under reduced pressure using a filter paper to remove the residues. Rotavapor R-205, BUCHI, Postfach, Switzerl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preparing the oak extract is schematically shown in FIG. 1.
  • the wood chip was produced by cutting with a chip maker. Thereafter, the wood chips were immersed in 5-20 times the volume of water and impregnated for 10 to 48 hours, and then dehydrated. The dehydrated wood chips were heated with a hot plate chest at a temperature of 70-150 ° C. for 30 minutes to 3 hours. Heated. The heated wood chips were placed in an airtight container with water vapor and kept saturated and softened for 0.1-1 hour at a temperature of 120-300 ° C. and a pressure of 10-40 kgf / cm 2.
  • the softened wood chips were released into the air to expand the wood chips, and the expanded wood chips were extracted in 0.1 to 3 hours in a volume of 5 to 20 times in a hot water extractor at 50 to 200 ° C.
  • the residues and filtrates produced in the extraction process were separated from the pharmacological components by using a centrifuge, and then filtered under reduced pressure using a filter paper to remove the residues. Rotavapor R-205, BUCHI, Postfach, Switzerl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 Jeju lava seawater which is an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CP Spectrophotometer Being a calcium (Ca), magnesium (Mg), sodium (Na), potassium (K), phosphorus (P), copper (Cu), zinc (Zn), iron (Fe), manganese (Mn), lead (Pb) ), Cadmium (Cd), aluminum (Al), arsenic (As) content of 13 elements were investigated.
  • General tap water was used as a control,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 lava seawater was found to have a much higher content of minerals such as calcium, magnesium, sodium, and potassium compared to tap water. Jeju lava seawater had 4.7 times higher calcium, 214 times magnesium, 37 times higher sodium, and 10 times higher potassium. It was estimated that the tap water was highly purified while going through the water purification plant, while the lava seawater had a very high mineral content due to the nature of the raw water. No heavy metals were detected in both lava seawater and tap water.
  • the lava seawater was desalted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alted lava seawater obtained through the above process was used in the following experiment.
  • a gas chromatograph mass spectrometer (GC / MS) (Agilent, 7890A-5975C GC / MSD) was used. At this time, the column was used DB-5ms (30m ⁇ 250m ⁇ 0.25m), the temperature of the column was raised to 5 / min from 50 °C to 300 °C.
  • the detector was a mass selective detector (MS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and FIG. 2.
  • acetic acid acetic acid
  • furaneol was also identified as a volatile fragrance component.
  • the bark and oak extracts prepared in Examples 1 and 2 were dried at -85 ° C. in a freeze-dryer to prepare a powder, and then mixed with desalted lava seawater obtained in Example 3 to prepare a mixed beverage.
  • the bark tree extract and oak extract prepared in Examples 1 and 2 were dried to -85 ° C. in a freeze-dryer and prepared in powder form, Yeok-Tak extract, browned, eoseongcho, Yeoju, turmeric, jasminoides, pogongyoung and prunus
  • the extracts were also prepared in powder form in the same manner, and mixed with the demineralized lava seawater obtained in Example 3 to prepare a mixed beverage.
  • acetaldehyde dehydrogenase ADH
  • an acetaldehyde assay kit Megazyme Co., Ltd., Wicklow, Germany
  • 2.1 mL (100 mg / mL) of the mixed beverage prepared in Example 5 was mixed with 0.2 mL of sodium azide buffer (pH 9.0) and NAD + 0.2 mL, and reacted for 2 minutes, followed by UV-spectral Absorbance was measured at 340 nm using a photometer (A1).
  • the ALDH activity of the control group was found to be 100%, browning 111%, Eoseongcho 224%, Yeoju 202%, barley lobe 129%, pogongyeong 232%, pelican 114% and mixed drink 290% It was confirmed that the mixed beverag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LDH activity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particular, the mixed beverage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ed about two times or more activity compared to browning, cotyledon and locust tree, and was determined to be effective for ALDH removal and hangover.
  • the bark extract, oak extract and demineralized lava sea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a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hangover by reducing human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nd alleviating hangover symptoms.
  • the above ingredients are mixed and filled in an airtight cloth to prepare a powder.
  • tablets are prepared by tableting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for preparing tablets.
  • the above ingredients are mixed and filled into gelatin capsules to prepare capsules.
  • the amount of the above ingredient is prepared per ampoule (2 ml).
  • Vitamin B6 0.5 mg
  • composition ratio of the above-mentioned vitamin and mineral mixtures is mixed with a component suitable for a health food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mpounding ratio may be arbitrarily modified, and the above ingredients are mix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health food manufacturing method.
  • the granules may be prepared and used for preparing a health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the resulting solution is filtered and obtained in a sterilized 2 l container, sealed sterilization and refrigerated Used to prepare the healthy beverage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 composition ratio is mixed with a component suitable for a favorite beverage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mposition ratio may be arbitrarily modified according to regional and ethnic preferences such as demand hierarchy, demand country, and us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헛개나무 추출물, 참나무 추출물 및 탈염 용암해수를 포함하는 숙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헛개나무 추출물, 참나무 추출물 및 탈염 용암해수는 인체 혈중 알코올 농도를 감소시키고, 숙취 증상을 완화시킴으로써 숙취 예방 또는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탈염 용암해수 및 목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핵심물질 제조공정
본 발명은 헛개나무 추출물, 참나무 추출물 및 탈염 용암해수를 포함하는 숙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음주문화의 특성으로 나타나는 과음과 빈번한 음주로 인하여 숙취를 제거할 수 있는 약물에 대한 관심도가 매우 높다. 다른 식품과 달리 조직 내에 저장되지 못하는 알코올은 인체가 섭취한 알코올은 위장 점막의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alcohol dehydrogenase) 및 마이크로좀 에탄올 산화계(MEOS : 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에 의해 약 30%가 대사된다. 간에서의 에탄올 대사는 주로 NAD-linked enzymes, 즉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alcohol dehydrogenase)와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 Acetaldehyde dehydrogenase)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들 효소는 각각 아세트알데히드와 아세테이트를 생성하며 아세테이트는 acetyl-CoA로 전환되어 TCA 회로를 거쳐 에너지를 발생하거나 또는 콜레스테롤과 지방산 합성하는데 이용된다. 위장과 간의 ADH와 MEOS는 모두 알코올을 제 1단계 대사하여 아세트알데히드로 산화시키므로, 알코올이 이들 효소에 의해 대사됨에 따라 생성된 아세트알데히드 양이 증가하게 된다.
아세트알데히드는 생체 내에서 단백질을 비롯한 중요 활성물질과 결합하여 맥박의 증가, 발한,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알코올 대사의 제 2단계는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 : acetaldehyde dehydrogenase)가 아세트알데히드를 아세테이트로 산화시켜 아세트알데히드의 축적과 그에 따른 부작용을 막을 수 있으나 한국인의 15% 이상이 ALDH의 불활성형을 가지고 있어 음주 시 아세트알데히드의 축적으로 인한 상기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다.
숙취는 술을 마신 후에 나타나는 두통, 설사, 식욕부진, 오심, 구토, 오한, 식은땀을 뜻하며 객관적인 증상으로는 인식, 운동 능력 저하, 혈액학적 변화 및 호르몬 변화로 정의할 수 있다.
알코올은 섭취량에 따라 간 대사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알코올 그 자체보다도 산화과정에서 생성된 아세트알데히드와 NADH가 간세포에 손상을 가져오게 된다. 체내에 흡수된 알코올이 ADH(alchol dehydrogenase)에 의해 NAD이온과 반응하여 NADPH와 아세트알데히드로 전환되고 이어서 다시 NAD 이온과 함께 반응하여 ALDH(aldehyde dehydrogenase)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가 NADPH와 아세테이트로 전환된다. 숙취는 아세트알데히드로 인해 생기는 것이고 ADH와 ALDH 모두가 있어야 숙취 해소과정이 이뤄질 수 있다. 숙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약물을 찾는 연구들이 이미 많이 이루어졌으며, 최근 들어 에탄올의 독성을 경감시키거나 독성의 발현을 저해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연구와 실험이 진행된 결과 천연식품이나 한약재료로부터 추출한 성분이나 인공제재를 함유한 다양한 건강보조식품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현저한 숙취 해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많지 않은 실정이다.
한편, 천연의 생물자원인 목재는 다량의 섬유질을 함유한 다공성 생물재료로서 공기중의 이산화탄소와 물에 의해 태양의 촉매작용으로 만들어지는 약리성분을 가진 포도당이나 자일란, 글로코만난, 갈락탄 등의 다당류와 단당류 등의 생물재료의 보고이다. 고분자재료인 이들 성분은 일전한 열과 압력조건에 의해 저분자로 분해되며, 그 약리성분은 사람이나 동물, 심지어 식물의 성장에도 유효한 약리성분이 많은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용암해수는 바닷물이 투수성이 좋은 화산 암반층에 의해 자연 여과되면서 육지 지하로 흘러든 지하 해수로서, 제주 동부지역에 주로 매장되어 있으며, 연안으로부터 최대 8km까지 흘러 화산 암반층을 통과해 들어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용암해수는 담수 지하수와의 밀도 차이에 의해 서로 섞이지 않으며, 담수층 아래에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제주도 동부지역은 행정구역상 제주도 구좌읍, 성산읍 및 표선면을 의미하며, "염지하수"는 일정량 이상 염분이 함유된 지하수를 의미하는데, 구체적으로는 고기원 등의 논문(고기원 등, 제주도 동부지역의 수문지질에 관한 연구(Ⅱ), 2003, 경원대학교)에서 사용한 염분 농도에 의거 제주도 지하수를 분류한 기준에 따라 저염지하수(전기전도도가 1,700㎲/cm ~17,350㎲/cm)와 염수지하수(전기전도도가 17,350㎲/cm 이상)를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전기전도도가 17,350 ㎲/cm 이상 또는 염의 농도가 30‰(permilliage) 이상(통상 해수의 염분 농도가 32 내지 35‰임)인 염수지하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용암해수는 현무암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자연 정화되기 때문에 매우 청정하고, 깊은 바다에서 취수되는 해양심층수와는 달리, 육지에서 취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비용 효율이 우수하며, 제주도에서 생산되는 용암해수는 매우 희귀한 소재로서 제주도만의 브랜드제품을 만드는데 있어서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므로, 수많은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세계화 제품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주요 소재이다.
또한, 상기 용암해수는 일반 염지하수나 해수에서 볼 수 없는 다양한 미네랄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용암해수 내 미량으로 포함되어 있는 바나듐은 인슐린 분비를 안정시키는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고, 게르마늄은 혈액순환 촉진, 면역력 증강, 항암 작용 등에 효과가 있고, 셀레늄은 지방의 산화작용 억제, 항산화 활성, 항암, 불임, 노화 억제, 및 콜레스테롤 수치의 개선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으나, 숙취해소제에 관한 것은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숙취를 해소하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헛개나무 추출물, 참나무 추출물 및 탈염 용암해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이 음주 후 혈중 내 알코올 함량을 감소시키고, 알코올 탈수소효소 및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 활성을 증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문헌은 하기와 같다.
Study of the antioxidant and alcohol-degrading enzyme activities of soybean sprout sugar solu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46(5) : 581-587, Kim KM, Jung HJ, Sung HM, Wee JH, Kim TY and Kim KM (2014)
Protective effects of branched-chain amino acid (BCAA)-enriched corn gluten hydrolysates on ethanol-induced hepatic injury in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706-711, Chung YI, Bae IY, Lee JY, Chun HS and Lee HG (2009)
Effect of a soy-sprout beverage prepared with high-concentrated oxygen water on alcohol metabolism in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6(5) : 616-621, Sung HM, Jung HJ, Yun SK, Kim TY, Kim KM and Wee JH (2014)
Effect of flower of pueraria lobata on lipid peroxidation and activities of alcohol metabolic enzymes in alcohol- treat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5) : 935-942, Lee Js, Kim NY, Lee KH, Kim GS, Park HJ, Choi JW and Kim SH (2000)
The effect of mildronate on serum alcohol concentration and hangover syndro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 168-174, Park SM, Kang BK and Chung TH (1998)
Effect of dandelion juice supplementation on alcohol-Induced oxidative stress and hangover in healthy male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6) : 683-693, Noh KH, Jang JH, Kim JJ, Shin JH, Kim DK and Song YS (2009)
본 발명의 목적은 헛개나무 추출물, 참나무 추출물 및 탈염 용암해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헛개나무 추출물, 참나무 추출물 및 탈염 용암해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헛개나무 추출물, 참나무 추출물 및 탈염 용암해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헛개나무 추출물, 참나무 추출물 및 탈염 용암해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음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헛개나무 추출물, 참나무 추출물 및 탈염 용암해수는 인체 혈중 알코올 농도를 감소시키고, 숙취 증상을 완화시킴으로써 숙취 예방 또는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참나무 추출물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헛개나무 추출물의 성분 분석 결과를 GC/MS 스펙트럼을 통해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갈화 추출물의 성분 분석 결과를 GC/MS 스펙트럼을 통해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울금 추출물의 성분 분석 결과를 GC/MS 스펙트럼을 통해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헛개나무 추출물의 성분 분석 결과를 GC/MS 스펙트럼을 통해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아세트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알코올 섭취 전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섭취한 임상대상자들의 호흡 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알코올 섭취 전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섭취한 임상대상자들의 호흡 중 알코올 농도를 흡연 유무로 구분하여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알코올 섭취 전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섭취한 임상대상자들의 호흡 중 알코올 농도를 성별로 구분하여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헛개나무 추출물, 참나무 추출물 및 탈염 용암해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헛개나무 추출물 및 참나무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 목재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 '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헛개나무(Oriental raisin tree; Hovenia dulcis)는 갈매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서 지구자나무라고도 하며, 상기 참나무(Oak)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수를 말하는 것으로, 신갈나무, 떡갈나무, 굴참나무, 갈참나무, 상수리나무, 또는 졸참나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신갈나무일 수 있다.
상기 헛개나무 추출물 및 참나무 추출물은 잎, 꽃, 뿌리, 줄기, 가지, 껍질 및 과실 등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목질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껍질(즉, 수피)로부터 얻은 추출물일 수 있다.
추출을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용매로서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기 용매로는 물,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및 부탄올(butanol)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이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수추출법을 이용한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헛개나무 추출물 및 참나무 추출물은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으로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헛개나무 추출물 및 참나무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하여 목재를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물로 바람직하게는 50~200℃에서 0.1~3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후 여과 및 감압 농축과정을 거쳐 참나무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목재 칩을 물에 침지시킨 후 탈수시키는 공정; 상기 탈수된 목재 칩을 70~150℃에서 0.5~3시간 동안 가열하는 공정; 상기 가열된 목재 칩과 수증기를 120~300℃의 온도 및 10~40kgf/㎠의 압력에서 0.1~1시간 동안 반응시켜 연화하는 공정; 상기 연화된 목재 칩을 대기중에 방출하여 팽창시키는 공정; 상기 팽창된 목재 칩을 50~200℃에서 열수추출하는 공정; 및 상기 추출물을 분리, 정제 및 감압 농축하는 공정;을 통해 수득하였다.
또한, 상기 참나무 추출물은 상기 탈수 공정 전에, 목재를 벌채하여 수피를 제거하는 박피 작업 후, 칩 제조기로 잘라 목재 칩을 제조하는 공정 및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전처리 공정을 전처리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 공정은 폭쇄법(explosion), 알칼리 처리법, 이산화황 처리법, 과산화수소 처리법, 초임계 암모니아 처리법, 약산 추출 처리법, 암모니아 폭쇄법, 이온성 액체 처리법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폭쇄법일 수 있다.
폭쇄법은 마소나이트법(Masonite process), 건법(gun) 등으로 불리는 섬유판 제조법의 일종으로, 목재칩을 고온에서 고기압의 증기로 처리하고 대기 중에 급격히 방출시켜 칩을 해리하는 방법이다. 고압이 작용하여 목재를 작은 조각으로 분해시킬 수 있다.
상기 헛개나무 추출물 및 참나무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95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8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복용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9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형화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유효성분인 "탈염 용암해수"는 용암해수를 탈염시켜 얻어진 결과물로서 이 결과물은 일부 탈수된(수분이 일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성상이거나 완전히 탈수된 분말상의 성상일 수 있다. 이 탈염 용암해수는 그 상(phase)이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는 미네랄 성분들의 조성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용암해수"는 바닷물이 투수성이 좋은 화산 암반층에 의해 자연 여과되면서 육지 지하로 흘러든 지하 해수로서, 제주도, 바람직하게는 제주 동부지역(제주도 구좌읍, 성산읍 및 표선면)에 주로 매장되어 있으며, 연안으로부터 최대 8km까지 흘러 화산 암반층을 통과해 들어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용암해수는 담수 지하수와의 밀도 차이에 의해 서로 섞이지 않으며, 담수층 아래에 존재한다.
용암해수를 탈염시켜 탈염 용암해수를 얻는 방법은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기술을 적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그 기술로서 역삼투압법, 이온교환수지법 또는 전기투석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탈염 용암해수는 용암해수를 탈염시켜 얻어진 결과물 자체이며, 탈수시킨 탈염 용암해수를 이용할 경우 탈수된 양만큼의 물이 첨가된 탈염 용암해수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덕나무(Mallotus japonicus)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덕나무는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쥐손이풀 대극과의 낙엽 소교목으로서 주로 바닷가에서 자라며, 바람직하게는 제주도산일 수 있다.
상기 예덕나무 추출물은 잎, 꽃, 뿌리, 줄기, 가지, 껍질 및 과실 등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줄기, 가지, 껍질 또는 뿌리, 보다 바람직하게는 껍질(즉, 수피)로부터 얻은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갈화, 어성초, 여주, 울금, 자소엽, 포공영, 빼빼목 또는 싸리나무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갈화(Puerarialo bata)는 칡의 꽃을 건조시킨 것으로 갈증, 식욕부진, 복부팽만, 구토 등에 널리 사용되는 재료이다.
상기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는 삼백초과(Sauru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한방에서 지혈, 이뇨, 이습, 소종, 영심, 해독, 타박상, 출혈, 혈변, 심계 및 부종 치료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여주(Momordica charantia)는 박목, 박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로서 식용, 관상용, 약용 등으로 널리 쓰이며, 특히 약용으로서 간 보호, 항종양 작용, 항산화 작용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울금(Curcuma longa L., turmeric)은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숙근 초본 식물로 울금의 덩이뿌리를 그대로 또는 수피를 제거하고 쪄서 말린 것으로 한약재, 향신료 및 식용으로 사용되어져 왔으며, 항산화, 항암성, 항돌연변이성, 항염증 및 항균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자소엽은 차조기(Perilla frutescens)의 잎으로 발한, 지혈, 해열, 진통, 진정 및 피부질환에 사용되며, 식중독 예방 및 피로회복 등에도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포공영(Taraxacum platycarpum)은 간질환 및 여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전통적인 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며, 간, 췌장, 위장의 기능을 개선하고, 주로 이뇨제의 역할을 한다.
상기 빼빼목(Cornus walteri wagner)은 층층나무과에 속하며, 해독작용, 해열작용 및 이뇨작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싸리나무(Lespedeza bicolor)는 콩과에 속하는 낙엽성 관목으로 해열, 이뇨의 효능이 있으며, 폐에 이롭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는 헛개나무 추출물, 참나무 추출물 및 탈염 용암해수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인체 혈중 알코올 농도를 감소시키고, 숙취 증상을 완화시킴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헛개나무 추출물, 참나무 추출물 및 탈염 용암해수와 함께 숙취 해소 효과를 갖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종 이상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는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최근,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이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개체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일일투여량은 1 mg/ kg 내지 10000 mg/kg의 양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 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체에게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으며, 숙취 해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다른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헛개나무 추출물, 참나무 추출물 및 탈염 용암해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헛개나무 추출물, 참나무 추출물 및 탈염 용암해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음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헛개나무 추출물, 참나무 추출물 및 탈염 용암해수를 건강기능식품 또는 음료에 사용할 경우, 상기 헛개나무 추출물, 참나무 추출물 및 탈염 용암해수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탈염 용암해수는 원료에 대하여 15중량 %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음료는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0.1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중량부 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헛개나무 추출물의 제조
헛개나무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과정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헛개나무 목재를 벌채하여 수피를 제거하는 박피작업을 수행한 후, 칩 제조기로 잘라 목재 칩을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목재 칩을 5~20배 부피의 물에 침지시키고 10~48시간 동안 함침 처리한 후 이를 탈수시켰으며, 탈수된 목재 칩을 70~150℃의 온도에서 30분~3시간 동안 가열하켰다. 가열된 목재 칩은 수증기와 함께 밀폐된 용기 내에 넣고 포화 상태를 유지시키며 120~300℃의 온도 및 10 ~ 40kgf/㎠의 압력에서 0.1~1시간 동안 연화하였다. 그 후 연화된 목재 칩을 대기중에 방출하여 목재 칩을 팽창시키고, 팽창된 목재 칩을 50~200℃의 열수추출기에서 5~20배 부피의 물에 넣어 0.1~3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 공정에서 생성된 잔사와 여액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약리성분을 분리한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감압 여과하여 잔사를 제거하였으며, 50℃에서 회전진공농축기(Rotavapor R-205, BUCHI, Postfach, Switzerland)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실시예 2. 참나무 추출물의 제조
참나무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과정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참나무 목재를 벌채하여 수피를 제거하는 박피작업을 수행한 후, 칩 제조기로 잘라 목재 칩을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목재 칩을 5~20배 부피의 물에 침지시키고 10~48시간 동안 함침 처리한 후 이를 탈수시켰으며, 탈수된 목재 칩을 열판 체스트기로 70~150℃의 온도에서 30분~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가열된 목재 칩은 수증기와 함께 밀폐된 용기 내에 넣고 포화 상태를 유지시키며 120~300℃의 온도 및 10 ~ 40kgf/㎠의 압력에서 0.1~1시간 동안 연화하였다. 그 후 연화된 목재 칩을 대기중에 방출하여 목재 칩을 팽창시키고, 팽창된 목재 칩을 50~200℃의 열수추출기에서 5~20배 부피의 물에 넣어 0.1~3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 공정에서 생성된 잔사와 여액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약리성분을 분리한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감압 여과하여 잔사를 제거하였으며, 50℃에서 회전진공농축기(Rotavapor R-205, BUCHI, Postfach, Switzerland)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실시예 3. 제주 용암해수의 성분 분석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제주 용암해수의 성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제주도 동부지역 북제주군 구좌읍에서 용암해수를 수득한 후 유도결합플라즈마 원자방출분광광도계(ICP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먹는 물의 품질을 검사할 때 기준이 되는 칼슐(Ca), 마그네슘(Mg), 나트륨(Na), 칼륨(K), 인(P), 구리(Cu), 아연(Zn), 철(Fe), 망간(Mn), 납(Pb), 카드뮴(Cd), 알루미늄(Al), 비소(As) 등 13개 원소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이때 일반 수돗물을 대조군으로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성 성분 용암해수 수돗물
칼슘(Ca) 13.35 2.86
마그네슘(Mg) 1179.46 5.52
나트륨(Na) 606.31 16.34
칼륨(K) 209.48 21.63
인(P) N.D* N.D
구리(Cu) N.D N.D
아연(Zn) N.D N.D
철(Fe) N.D N.D
망간(Mn) N.D N.D
납(Pb) N.D N.D
카드뮴(Cd) N.D N.D
알루미늄(Al) N.D N.D
비소(As) N.D N.D
단위 : ppm(mg/L), *N.D는 0.1ppm 이하의 결과이거나 검출되지 않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암해수는 수돗물에 비해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과 같은 미네랄 성분의 함량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돗물 대비 제주 용암해수의 칼슘은 4.7배, 마그네슘은 214배, 나트륨은 37배, 칼륨은 10배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는 수돗물의 경우 정수장을 거치면서 고도로 정제된 반면, 용암해수는 해수를 원수로 하는 특성으로 인해 미네랄 함량이 매우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용암해수와 수돗물 모두에서 중금속 성분들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상기 용암해수를 본 발명에 이용하기 위하여 탈염하였으며, 이상의 과정을 통해 수득한 탈염 용암해수를 이하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시예 4. 헛개나무 추출물의 성분 분석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헛개나무 추출물의 성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질량분석기(gas chromatograph mass spectrometer; GC/MS)(Agilent사, 7890A-5975C GC/MSD)를 이용하였다. 이때 컬럼은 DB-5ms(30m×250m×0.25m)를 사용하였고, 컬럼의 온도는 50℃에서 300℃까지 5/min로 승온하였다. 검출기는 MSD(Mass Selective Detector)를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Retentiontime(min) Compound Peak area(%) Molecular formula
7.00 Hydroxyacetone; 2-Propanone, 1-hydroxy- 8.13 C3H6O2
7.29 Methyl formate; Formic acid, methyl ester 4.77 C2H4O2
9.77 Acetic acid 17.78 C2H4O2
10.97 Formic acid 4.54 HCOOH
11.30 1,3-Butanediol 0.68 C4H10O2
11.37 Propanoic acid 0.99 C3H6O2
11.94 2,3-Butanediol 0.43 C4H10O2
13.00 Butyrolactone 0.47 C4H6O2
13.44 Furfuryl alcohol; 2-Furanmethanol 1.04 C5H6O2
15.23 2-Hydroxy-2-cyclopenten-1-one 1.90 C5H6O2
19.16 Furaneol 1.73 C6H8O3
22.33 4H-Pyran-4-one, 2,3-dihydro-3,5-dihydroxy-6-methyl- 2.54 C6H8O4
22.81 Diglycerol 1.93 C6H14O5
25.18 5-Hydroxymethylfurfural 1.40 C6H6O3
34.03 21-CROWN-7; 1,4,7,10,13,16-Hexaoxacyclooctadecane 4.66 C14H28O7
표 2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세트산(acetic acid)이 가장 높은 피크면적을 나타내었으며, 휘발성 향기 성분으로서 furaneol도 확인되었다.
실시예 5. 추가 식물 추출물의 성분 분석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갈화, 울금, 여주 및 포공영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4-1. 갈화
갈화의 GC/MS 분석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Retentiontime(min) Compound Peak area(%) Molecular formula
7.03 Hydroxyacetone; 2-Propanone, 1-hydroxy- 3.05 C3H6O2
9.80 Acetic acid 20.99 C2H4O2
13.45 Furfuryl alcohol; 2-Furanmethanol 0.63 C5H6O2
15.24 2-Hydroxy-2-cyclopenten-1-one 5.10 C5H6O2
16.69 Guaiacol; Phenol, 2-methoxy- 1.19 C7H8O2
17.70 Acrylamide 0.74 C3H5NO
18.20 Maltol 1.26 C6H6O3
18.63 Glutaconic anhydride; 2H-Pyran-2,6(3H)-dione 1.02 C5H4O3
21.45 2-Methoxy-4-vinylphenol 0.96 C9H10O2
22.34 4H-Pyran-4-one, 2,3-dihydro-3,5-dihydroxy-6-methyl- 3.44 C6H8O4
22.82 Glycerin 3.50 C3H8O3
24.48 Benzoic acid 6.80 C7H6O2
32.40 21-CROWN-7 5.20 C14H28O7
표 3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세트산(acetic acid)을 비롯하여 Guaiacol 및 Maltol 등이 확인되었다.
4-2. 울금
울금의 GC/MS 분석 결과를 하기 표 4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Retentiontime(min) Compound Peak area(%) Molecular formula
5.06 Eucalyptol 1.36 C10H18O
7.02 Hydroxyacetone; 2-Propanone, 1-hydroxy- 6.54 C3H6O2
9.80 Acetic acid 23.69 C2H4O2
11.31 2,3-Butanediol 2.93 C4H10O2
11.95 2,3-Butanediol, [R-(R*,R*)]- 8.83 C4H10O2
15.24 alpha-Angelica lactone 3.14 C5H6O2
32.40 21-CROWN-7; 1,4,7,10,13,16-Hexaoxacyclooctadecane 13.90 C14H28O7
표 4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칼리프톨(Eucalyptol) 등이 확인되었다.
4-3. 여주
여주의 GC/MS 분석 결과를 하기 표 5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Retentiontime(min) Compound Peak area(%) Molecular formula
7.02 Hydroxyacetone; 2-Propanone, 1-hydroxy- 3.36 C3H6O2
9.80 Acetic acid 14.37 C2H4O2
11.01 Formic acid 4.62 HCOOH
13.00 Butyrolactone 0.79 C4H6O2
13.44 Furfuryl alcohol; 2-Furanmethanol 1.56 C5H6O2
15.23 2-Hydroxy-2-cyclopenten-1-one 38.67 C5H6O2
18.63 Glutaconic anhydride; 2H-Pyran-2,6(3H)-dione 2.67 C5H4O3
19.90 Dihydroxyacetone; 1,3-Dihydroxyacetone dimer 8.21 C3H6O3
20.28 Octane 2.27 C8H18
22.34 4H-Pyran-4-one, 2,3-dihydro-3,5-dihydroxy-6-methyl- 3.52 C6H8O4
26.31 18-CROWN-6; 1,4,7,10,13,16-Hexaoxacyclooctadecane 1.02 C12H24O6
32.40 21-CROWN-7; 1,4,7,10,13,16-Hexaoxacyclooctadecane 13.90 C14H28O7
4-4. 포공영
포공영의 GC/MS 분석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Retentiontime(min) Compound Peak area(%) Molecular formula
7.02 Hydroxyacetone; 2-Propanone, 1-hydroxy- 10.25 C3H6O2
9.79 Acetic acid 26.19 C2H4O2
11.07 Formic acid 3.81 HCOOH
12.42 Octamethylsilsesquioxane;Pentacyclo[9.5.1.1(3,9).1(5,15).1(7,13)]octasiloxane, octamethyl- 0.99 C8H24O12Si8
15.23 2-Hydroxy-2-cyclopenten-1-one 2.54 C5H6O2
22.33 4H-Pyran-4-one, 2,3-dihydro-3,5-dihydroxy-6-methyl- 2.42 C6H8O4
22.81 Glycerin 7.20 C3H8O3
32.40 21-CROWN-7; 1,4,7,10,13,16-Hexaoxacyclooctadecane 20.64 C14H28O7
실시예 5. 혼합음료의 제조 1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헛개나무 추출물 및 참나무 추출물을 동결건조기에서 -85℃로 건조하여 분말상태로 제조한 후 상기 실시예 3에서 수득한 탈염 용암해수와 혼합하여 혼합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혼합음료의 제조 2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헛개나무 추출물 및 참나무 추출물을 동결건조기에서 -85℃로 건조하여 분말 상태로 제조하고, 예덕나무 추출물, 갈화, 어성초, 여주, 울금, 자소엽, 포공영 및 빼빼목 추출물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 분말 상태로 제조하였으며, 이를 상기 실시예 3에서 수득한 탈염 용암해수와 혼합하여 혼합음료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혼합음료의 ALDH(aldehyde dehydrogenase) 활성 측정
본 발명의 혼합음료의 아세트알데히드 분해 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의 활성측정을 위하여 아세트알데히드 분석키트(Megazyme Co., Ltd., Wicklow, Germany)를 사용하여 키트의 권장 절차에 따라 측정하였다. 먼저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한 혼합음료 2.1 mL(100 mg/mL)에 소듐 아자이드(sodium azide) 완충액(pH 9.0) 0.2 mL과 NAD+ 0.2 mL을 혼합하여, 2분간 반응시킨 후 UV-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A1). 그 후 ALDH 효소 0.05 mL을 가하여 3~4분간 반응시킨 후 UV-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A2). 이때 대조군으로서 증류수를 사용하였고, ALDH의 활성은 하기와 같은 수학식 1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17009406-appb-M000001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의 ALDH의 활성은 100%로 나타났고, 갈화 111%, 어성초 224%, 여주 202%, 자소엽 129%, 포공영 232%, 빼빼목 114% 및 혼합음료 290%로 확인되어, 본 발명의 혼합음료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할 때, 유의적으로 높은 ALDH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발명의 혼합음료는 갈화, 자소엽 및 빼빼목에 비하여 약 2배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어 ALDH 제거 및 숙취해소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2. 혼합음료의 숙취해소 효과 임상 실험
본 발명의 혼합음료의 숙취해소 효과를 임상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시판되는 호흡용 알코올 측정기(DA-5000, Datech Co., Korea)를 사용하여 호흡 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임상실험을 위하여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환경재료과학과 학생 중 평균 주량이 소주 1병 이상으로 술을 즐겨 마시고, 연구에 흥미를 가지고 참여를 원하는 대학생 16명을 조사대상자로 하였으며, Park et al(1998)이 실시한 실험 방법을 응용하였다.
먼저 조사대상자들의 음주 전 식품 섭취 상태를 유사하게 하기 위해서 음주시작 2시간 전에 가벼운 식사를 하도록 하고, 오후 7시에 음주를 시작하였다. 임상실험은 두 그룹으로 나누어 대조군 그룹에서는 음주 30분 전 물 200 mL를 섭취하였고, 숙취음료 섭취군 그룹에서는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한 혼합음료를 200 mL씩 음용하게 하였다. 각각의 시료 음용 30분 후 알코올(16.5%) 360 mL를 30분 안에 일정한 속도로 나누어 마시도록 하였으며, 소량의 안주를 일정량 제공하였다. 모든 피실험자는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담배를 피우지 못하게 하였고, 물도 마실 수 없었으며, 화장실은 자유로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후 음주가 끝난 시점을 기점으로 하여 30분, 60분, 90분 및 120분에 호흡 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코올 섭취 30분 경과 후 대조군에서는 0.084%, 숙취해소 혼합음료 섭취군에서는 0.059%, 60분 경과 후 대조군에서는 0.068%, 숙취해소 혼합음료 섭취군에서는 0.053%, 90분 경과 후 대조군에서는 0.084%, 숙취해소 혼합음료 섭취군에서는 0.065%, 120분 경과 후 대조군에서는 0.068%, 숙취해소 혼합음료 섭취군에서는 0.048%로 대조군에 비해 숙취해소 혼합음료 섭취군에서 낮은 알코올 농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숙취해소 혼합음료 섭취군의 호흡 중 알코올 농도를 흡연 유무로 구분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코올 섭취 30분 경과 후 비흡연자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0.055%, 흡연자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0.047%, 60분 경과 후 비흡연자 숙취해소 혼합음료 섭취군에서 0.050%, 흡연자 숙취해소 혼합음료 섭취군에서 0.047%, 90분 경과 후 비흡연자 숙취해소 혼합음료 섭취군에서 0.050%, 흡연자 숙취해소 혼합음료 섭취군에서 0.050%, 120분 경과 후 비흡연자 숙취해소 혼합음료 섭취군에서 0.025%, 흡연자 숙취해소 혼합음료 섭취군에서 0.043%로, 알코올 농도 변화에 있어서 비흡연자 및 흡연자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120분 경과 후, 흡연자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 비해 비흡연자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낮은 알코올 농도를 나타내어 흡연자에 비해 비흡연자에게 숙취해소 음료 섭취가 더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숙취해소 혼합음료 섭취군의 호흡 중 알코올 농도를 성별로 구분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코올 섭취 30분 경과 후 남성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0.073%, 여성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0.050%, 60분 경과 후 남성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0.060%, 여성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0.048%, 90분 경과 후 남성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0.090%, 여성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0.050%, 120분 경과 후 남성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0.067%, 여성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서 0.036%로, 남성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은 시간경과에 따라 알코올 농도 변화에 유의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여성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은 시간경과에 따라, 알코올 농도가 안정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90분 및 120분 경과 시, 남성 숙취해소 음료 섭취군에 비해 낮은 알코올 농도를 나타내어 숙취해소 음료의 섭취는 남성에 비해 여성에게 더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기 결과에 따라, 본 발명의 헛개나무 추출물, 참나무 추출물 및 탈염 용암해수는 인체 혈중 알코올 농도를 감소시키고, 숙취 증상을 완화시킴으로써 숙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
1-1. 산제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20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1-2.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1-3.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1-4. 주사제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1-5. 액제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식품 제제
2-1. 건강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g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g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g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g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2-2. 건강음료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g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 g
물 적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14)

  1. 헛개나무 추출물, 참나무 추출물 및 탈염 용암해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나무는 신갈나무, 떡갈나무, 굴참나무, 갈참나무, 상수리나무, 또는 졸참나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헛개나무 및 참나무는 목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헛개나무 추출물 또는 참나무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용액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헛개나무 추출물 또는 참나무 추출물은 열수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나무 추출물은
    (a) 목재 칩을 물에 침지시킨 후 탈수시키는 공정;
    (b) 상기 탈수된 목재 칩을 70~150℃에서 0.5~3시간 동안 가열하는 공정;
    (c) 상기 가열된 목재 칩과 수증기를 120~300℃의 온도 및 10~40kgf/㎠의 압력에서 0.1~1시간 동안 반응시켜 연화하는 공정;
    (d) 상기 연화된 목재 칩을 대기중에 방출하여 팽창시키는 공정;
    (e) 상기 팽창된 목재 칩을 50~200℃에서 열수추출하는 공정; 및
    (f) 상기 추출물을 분리, 정제 및 감압 농축하는 공정;을 통해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암해수는 제주도에서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염 용암해수는 역삼투압법, 이온교환수지법 또는 전기투석법을 통해 탈염된 용암해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헛개나무 추출물 및 참나무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2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예덕나무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예덕나무는 제주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갈화, 어성초, 여주, 울금, 자소엽, 포공영, 빼빼목 및 싸리나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13. 헛개나무 추출물, 참나무 추출물 및 탈염 용암해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4. 헛개나무 추출물, 참나무 추출물 및 탈염 용암해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PCT/KR2017/009406 2016-08-30 2017-08-29 탈염 용암해수 및 목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핵심물질 제조공정 WO201804402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591A KR101896520B1 (ko) 2016-08-30 2016-08-30 탈염 용암해수 및 목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핵심물질 제조공정
KR10-2016-0110591 2016-08-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44024A1 true WO2018044024A1 (ko) 2018-03-08

Family

ID=61301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9406 WO2018044024A1 (ko) 2016-08-30 2017-08-29 탈염 용암해수 및 목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핵심물질 제조공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6520B1 (ko)
WO (1) WO20180440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0443A1 (ko) * 2021-05-25 2022-12-01 (주)산하바이오 약용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482449B1 (ko) * 2021-05-25 2022-12-29 (주)산하바이오 약용식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436259B1 (ko) * 2021-09-30 2022-08-26 에코클린플랫폼(주) 천연물 유래 조성물이 적용된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유해물질 흡착부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7572A (ko) * 2008-01-11 2009-07-15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용암해수 탈염 미네랄수를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KR100944042B1 (ko) * 2007-10-05 2010-02-24 (주)이원희바이오매스인스티튜트 항당뇨 활성을 갖는 수목추출액
KR20100080972A (ko) * 2009-01-05 2010-07-14 김선일 나무수액 발효물과 그 이용방법.
KR101114439B1 (ko) * 2008-11-06 2012-08-23 정윤석 산겨릅나무, 상수리나무, 잣나무, 소나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042B1 (ko) * 2007-10-05 2010-02-24 (주)이원희바이오매스인스티튜트 항당뇨 활성을 갖는 수목추출액
KR20090077572A (ko) * 2008-01-11 2009-07-15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용암해수 탈염 미네랄수를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KR101114439B1 (ko) * 2008-11-06 2012-08-23 정윤석 산겨릅나무, 상수리나무, 잣나무, 소나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KR20100080972A (ko) * 2009-01-05 2010-07-14 김선일 나무수액 발효물과 그 이용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AN, SEUNG CHEO L: "Lava Seawater Industrialization, Isn't It a Challenging Area?", THE SOUND OF JEJU, 20 April 2011 (2011-04-20), pages 1 - 3,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www.jejusori.net/?re_page=1&mod=news&act=articleView&re_total=2&idxno=9858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421A (ko) 2018-03-08
KR101896520B1 (ko) 2018-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83027A1 (ko)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Fatima et al. Antioxidant potential and health benefits of cumin
WO2018044024A1 (ko) 탈염 용암해수 및 목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핵심물질 제조공정
KR101978336B1 (ko) 아로니아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2141609B1 (ko) 양파즙 제조 방법
WO2012115469A2 (ko) 항염증성의 경구 투여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상기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948332B1 (ko) 큰까치수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1706017B1 (ko) 멀꿀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콜성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 기능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KR100825432B1 (ko) 독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KR20050062453A (ko) 목초·죽초 증류액을 함유하는 항알레르기 조성물
KR20090075481A (ko)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KR20150088223A (ko)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0684435B1 (ko) 항산화, 지질과산화 억제에 따른 항노화, 항염증 및 거담 활성을 갖는 단풍마 및 겨우살이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68891B1 (ko) 멀꿀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중알콜농도 저감 촉진용 조성물
KR101350222B1 (ko)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773318B1 (ko) 멀꿀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콜성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 기능을 갖는 건강 기능성 식품조성물
JP2011184381A (ja) アデノシン三リン酸産生促進剤及びアデノシン三リン酸産生量低下に起因する疾患の予防・治療剤
KR100684436B1 (ko) 항산화, 지질과산화 억제에 따른 항노화, 항염증 및 거담 활성을 갖는 단풍마 및 가시오가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0912290B1 (ko) 신규6,8-디(γ,γ-디메틸알릴)-3,5,7,2&#39;,4&#39;,6&#39;-헥사히드록시플라바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KR102575784B1 (ko) 유자 외과피를 이용한 술 제조방법 및 이의 방법으로 제조된 유자술
WO2022055017A1 (ko) 산양삼이 포함된 한우 육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한우 육포
KR101596006B1 (ko)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50043092A (ko) 산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성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70076564A (ko) 독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개선용 건강보조식품
KR101886314B1 (ko)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4694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4694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