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31452A1 - 입자 분리 장치 및 입자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입자 분리 장치 및 입자 분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31452A1
WO2017131452A1 PCT/KR2017/000918 KR2017000918W WO2017131452A1 WO 2017131452 A1 WO2017131452 A1 WO 2017131452A1 KR 2017000918 W KR2017000918 W KR 2017000918W WO 2017131452 A1 WO2017131452 A1 WO 201713145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fluid
particles
input flow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091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홍종욱
신수정
한대영
김성훈
박민철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BR112018015316-8A priority Critical patent/BR112018015316B1/pt
Priority to US16/073,135 priority patent/US10710072B2/en
Priority to CN201780019562.2A priority patent/CN109070080B/zh
Priority to EP17744573.1A priority patent/EP3409363A4/en
Priority to JP2018540023A priority patent/JP7029175B2/ja
Publication of WO201713145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3145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01L3/502753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characterised by bulk separation arrangements on lab-on-a-chip devices, e.g. for filtration or centrifu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47Handling flowable solids, e.g. microscopic beads, cells, particles
    • B01L2200/0652Sorting or classification of particles or molec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0Integrating sample preparation and analysis in single entity, e.g. lab-on-a-chip concep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48Specific forms of parts of containers
    • B01L2300/0858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61Configuration of multiple channels and/or chambers in a single devices
    • B01L2300/0864Configuration of multiple channels and/or chambers in a single devices comprising only one inlet and multiple receiving wells, e.g. for separation, spli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61Configuration of multiple channels and/or chambers in a single devices
    • B01L2300/0867Multiple inlets and one sample wells, e.g. mixing, dil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03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 B01L2400/0457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passive flow or gravi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2015/0288Sorting the particl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particle separation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particles are not damaged in a separation process.
  • connection flow path may include a substrate, a first side surface formed on the substrate and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flow path, and a second side surface facing the first side surface on the substrate and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flow path.
  • the first side surface may have a flat plate shape.
  • the first side surface may have a step shape.
  • connection flow path 2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separating particles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flow path.
  • the plurality of particles may be nanoparticles, quantum dots, or organelles.
  • the nanoparticles refer to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several nanometers, and the particles applied to the particl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use various nanoparticles having a size of several nanometers.
  • the first angle ⁇ 1 and the second angle ⁇ 2 may be 90 degrees.
  • the first angle ⁇ 1 and the second angle ⁇ 2 may be 35 degrees to 55 degrees.
  • particles included in the first fluid W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ide surface W1 in order of particle size.
  • a plurality of discharge passages Ex ar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CP.
  • the plurality of discharge passages Ex may separate and discharge the plurality of particles exited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CP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articles.
  • the second fluid L2 containing no particles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input flow path In_P2.
  • the second fluid L2 is made of only liquid.
  • the first input flow path In_P1 and the second input flow path In_P2 form a constant angle with each other and are coupled to the inlet of the connection flow path CP.
  • the first input flow path In_P1 and the second input flow path In_P2 are dispos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are not coupl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flow path CP. That is, the second input flow path In_P2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input flow path In_P1 and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flow path CP.
  • the plurality of particles included in the first fluid L1 may have a first side surface of the connection flow path CP. Can be moved along W1.
  • the first side surface W1 represents one side of the connection flow path CP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flow path In_P1.
  • the second side surface W2 may also be disposed to be inclined at a second angle ⁇ 2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Su.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side surface W2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substrate Su, as shown in the first modification of FIG. 4. This is because the plurality of particles A, B, C, and D move along the first side W1 by the second fluid L2 and do not move along the second side W2.
  • a branch flow path (DP) for discharging a part of the fluid flowing out through the connection flow path (CP) is disposed on the outlet side of the connection flow path (CP), A plurality of particles discharged through the connection channel CP can be easily separated for each particle siz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Zo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 분리 장치는,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입자들을 포함하는 제1 유체가 투입되는 제1 입력 유로,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제2 유체가 투입되는 제2 입력 유로,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입력 유로 및 상기 제2 입력 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유체 및 제2 유체가 혼합된 제3 유체가 이동하는 연결 유로, 상기 연결 유로의 타측 단부를 통해 나온 상기 복수의 입자들이 입자의 크기에 따라 분리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 유로 및 상기 연결 유로의 상기 타측 단부를 통해 나온 상기 제3 유체 중 적어도 일부가 배출되는 분기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자 분리 장치 및 입자 분리 방법
본 발명은 입자 분리 장치 및 입자 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미소량의 물질을 이용한 진단 및 합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랩온어칩(lab-on-a-chip) 등의 마이크로 스케일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미소량의 물질을 분리하고 제어하는 기술은 특히 의료, 화학, 및 생물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
랩온어칩은 칩 속의 실험실 또는 칩 위의 실험실을 의미하며, 주로 유리, 고분자 수지, 실리콘 등으로 제조된 기판에 나노리터 이하의 미세 채널을 만들고, 미세 채널을 통해 수 나노리터 정도의 액체 시료를 이동시킴으로써 기존의 실험이나 연구 과정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다.
이러한 랩온어칩 기술에 기반한 입자 분리 시스템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입자 분리 시스템들은 복잡한 구조와 복잡한 분리 매커니즘을 가지고 있으며, 분리 정밀도가 낮은 한계가 있다.
또한, 입자 분리 시스템을 통해 분리된 입자의 구조가 흐트러져 분리 후 기능을 잃는 경우가 발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발명은 복수의 입자들이 분리 과정에서 손상되지 않는 입자 분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 분리 장치는,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입자들을 포함하는 제1 유체가 투입되는 제1 입력 유로,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제2 유체가 투입되는 제2 입력 유로,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입력 유로 및 상기 제2 입력 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유체 및 제2 유체가 혼합된 제3 유체가 이동하는 연결 유로, 상기 연결 유로의 타측 단부를 통해 나온 상기 복수의 입자들이 입자의 크기에 따라 분리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 유로 및 상기 연결 유로의 상기 타측 단부를 통해 나온 상기 제3 유체 중 적어도 일부가 배출되는 분기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로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입력 유로와 연결된 제1 측면 및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며 상기 제2 입력 유로와 연결된 제2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입자는 상기 제1 측면에 슬라이딩되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기판에 대해 상기 제2 측면 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기판이 이루는 각도는 90도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은 평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은 계단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기판에 대해 상기 제1 측면 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과 상기 기판이 이루는 각도는 90도 미만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배출 유로는, 상기 연결 유로의 상기 타측 단부 측에, 상기 제3 유체의 유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배출 유로 중 인접한 한 쌍의 배출 유로 사이의 간격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입력 유로와 상기 제2 입력 유로에 각각 유입되는 상기 제1 유체 및 상기 제2 유체의 유량비는, 0.1:99.9 내지 50:50일 수 있다.
상기 분기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제3 유체의 유량을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분기 유로릍 통해 배출되는 상기 제3 유체의 유량은, 상기 연결 유로를 통해 나오는 상기 제3 유체의 70% ∼ 95%일 수 있다.
상기 제2 입력 유로는 상기 제1 입력 유로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입자들은 나노 입자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입자들은 세포소 기관(organelle)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유체는, 폴리에테르아민(polyetheramine), 헥산 및 톨루엔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 유기 용제, 증류수, tween 20을 포함한 수용액, 식염수, 배양배지 및 PBS(Phosphate Buffer Salin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자 분리 장치는 혈액 분석칩, DNA 어레이 및 마이크로 센서 중 어느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 분리 방법은, 입자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입자들을 포함하는 제1 유체를 제1 입력 유로로 투입시키는 단계,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제2 유체를 제2 입력 유로로 투입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유체 및 상기 제2 유체를 상기 제1 입력 유로 및 상기 제2 입력 유로의 출구 측에 연결된 연결 유로로 통과시키는 단계, 상기 연결 유로를 통과한 상기 복수의 입자들을 입자 크기별로 복수의 배출 유로 각각으로 통과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유로를 통과한 상기 제1 유체 및 상기 제2 유체가 혼합된 제3 유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연결 유로의 출구 측에 위치한 분기 유로로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로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입력 유로와 연결된 제1 측면 및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며 상기 제2 입력 유로와 연결된 제2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기판에 대해 상기 제2 측면 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기판이 이루는 각도는 90도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제1 입력 유로와 상기 제2 입력 유로에 각각 유입되는 상기 제1 유체 및 상기 제2 유체의 유량비는, 0.1:99.9 내지 50:50 일 수 있다.
상기 분기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제3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분기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제3 유체의 유량은, 상기 연결 유로를 통해 나오는 상기 제3 유체의 70% ∼ 95%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입자 분리 장치 및 입자 분리 방법에 의하면, 크기가 서로 다른 입자들을 입자 크기별로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자 분리 장치 및 입자 분리 방법에 의하면, 마이크로 입자와 나노 입자들을 서로 분리할 수 있으며, 또한 크기가 다른 나노 입자들을 서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물리적, 화학적, 전기적 에너지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입자를 분리 과정에서 입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입자 분리 장치 및 입자 분리 방법은 반도체 나노 입자의 분리, 바이오 나노 입자의 분리, 혈액, 제대혈, 엑소좀, 미세 먼지 등의 나노 입자를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 분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연결 유로를 통과한 입자가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을 따라 자른 연결 유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연결 유로의 제1 변형예이다.
도 5는 도 3의 연결 유로의 제2 변형예이다.
도 6은 도 3의 연결 유로의 제3 변형예이다.
도 7은 분기 유로의 유량 변화에 따른 입자 분리의 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제1 및 제2 입력 유로의 유량 변화에 따른 입자 분리의 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배출 유로를 통해 입자가 분리되는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입자 분리 장치를 이용한 엑소좀(Exosome)과 아폽토시스소체(Apoptotic body)를 분리한 결과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 분리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 분리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2는 연결 유로를 통과한 입자가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을 따라 자른 연결 유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 분리 장치는, 제1 입력 유로(In_P1), 제2 입력 유로(In_P2), 연결 유로(CP), 복수의 배출 유로(EX1∼EX9) 및 분기 유로(DP)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입력 유로(In_P1, In_P2)에 연결된 연결 유로(CP)를 통과한 복수의 입자들(A, B, C, D)은 입자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배출 유로(Ex)로 분리 배출된다. 이때, 연결 유로(CP)를 통해 나오는 유체의 일부가 분기 유로(DP)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고, 분기 유로(DP)가 분기 유로(DP)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복수의 입자들이 입자 크기별로 복수의 배출 유로(Ex) 통해 분리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입력 유로(In_P1)를 통해 제1 유체(L1)가 투입된다. 이때, 제1 유체(L1)에는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입자들이 포함되어 있다. 즉, 제1 입력 유로(In_P1)를 통해 복수의 입자들이 포함된 제1 유체(L1)가 투입된다. 상기 제1 입력 유로(In_P1)를 통해 유입된 복수의 입자들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입자 분리 장치를 통과하여 입자 크기별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입자들은 나노 입자, 양자점(Quantum dot), 세포소 기관(organelle) 등일 수 있다. 여기에서, 나노 입자는 입자의 크기가 수 나노인 입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입자 분리 장치에 적용되는 입자는 수 나노 크기의 다양한 입자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양자점은 화학적 합성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나노 미터 크기의 반도체 결정체를 나타낸다. 이때, 양자점은 물질 종류의 변화 없이 입자 크기별로 다른 길이의 빛 파장을 발생시켜 다양한 색을 발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입력 유로(In_P2)에는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제2 유체(L2)가 투입된다. 전술한 제1 유체(L1)와 달리, 제2 유체(L2)는 액체로만 이루어진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입자 분리 장치의 입구 측에는 제1 입력 유로(In_P1) 및 제2 입력 유로(In_P2)가 배치된다. 이때, 하나의 입력 유로, 즉 제1 입력 유로(In_P1)에는 분리하려는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의 입자들이 제1 유체(L1)을 통해 투입되고, 다른 하나의 입력 유로, 즉 제2 입력 유로(In_P2)에는 입자가 포함되지 않는 제2 유체(L2)가 투입된다.
이때, 제1 유체(L1) 및 제2 유체(L2)는 폴리에테르아민(polyetheramine), 헥산 및 톨루엔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 유기 용제, 증류수, tween 20을 포함한 수용액, 식염수, 배양배지 및 PBS(Phosphate Buffer Salin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입자들을 배양배지에 포함시켜 제1 입력 유로(In_P1)에 투입시킬 수 있다.제1 입력 유로(In_P1) 및 제2 입력 유로(In_P2)는 연결 유로(CP)에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입력 유로(In_P1) 및 제2 입력 유로(In_P2)가 연결 유로(CP)의 일측 단부에 결합된 다.
이때, 제1 입력 유로(In_P1)와 제2 입력 유로(In_P2)는 서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연결 유로(CP)의 일측 단부에 결합된다. 제1 입력 유로(In_P1)와 제2 입력 유로(In_P2)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연결 유로(CP)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지 않는다. 즉, 제2 입력 유로(In_P2)는 제1 입력 유로(In_P1)를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연결 유로(CP)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입력 유로(In_P1)는 연결 유로(CP)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2 입력 유로(In_P2)가 제1 입력 유로(In_P2)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입력 유로(In_P1)와 제2 입력 유로(In_P2)가 서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 제1 유체(L1)에 포함된 복수의 입자들이 연결 유로(CP)의 제1 측면(W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측면(W1)은 제1 입력 유로(In_P1)와 연결된 연결 유로(CP)의 일 측면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1 유체(L1)에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입자(A, B, C, D)가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제1 연결 유로(In_P1)를 통과한 제1 유체(L1)는 제2 유체(L2)에 의해 연결 유로(CP)의 제1 측면(W1)에 슬라이딩되어 연결 유로(CP)를 따라 이동한다.
제1 입력 유로(In_P1)와 제2 입력 유로(In_P2)가 만나는 지점에서는, 제2 입력 유로(In_P2)의 제2 유체(L2)에 의해 제1 유체(L1)의 복수의 입자들(A, B, C, D)은 연결 유로(CP)의 제1 측면(W1) 쪽으로 이동한다. 이는, 연결 유로(CP)에 투입되는 제2 유체(L2)가 제1 유체(L1)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투입되기 때문이다. 즉, 제2 유체(L2)에 의해, 연결 유로(CP)에 유입되는 복수의 입자들(A, B, C, D)이 연결 유로(CP)의 제1 측면(W1)에 슬라이딩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유로(CP)의 제1 측면(W1)은 기판(Su)에 대해 제1 각도(θ1)로 기울어져 배치된다. 이때, 제1 측면(W1)은 제1 측면(W1)과 서로 마주보는 제2 측면(W2) 측으로 기울어진다. 여기에서, 제2 측면(W2)은 제2 입력 유로(In_P2)와 연결된 연결 유로(CP)의 일 측면을 나타낸다.
그리고, 제2 측면(W2)도 기판(Su)에 대해 제2 각도(θ2)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측면(W2)은 도 4의 제1 변형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Su)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입자들(A, B, C, D)은 제2 유체(L2)에 의해 제1 측면(W1)을 따라 이동하고, 제2 측면(W2)을 따라 이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때, 제1 각도(θ1) 및 제2 각도(θ2)는 90도 미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는, 제1 각도(θ1) 및 제2 각도(θ2)는 35도 ∼ 55도일 수 있다. 제1 측면(W1)이 제1 각도(θ1)로 기울어지면, 제1 유체(W1)에 포함된 입자들이 입자 크기 순으로 제1 측면(W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입자(A, B, C, D)는 제1 측면(W1)으로부터 입자 크기 순으로 이격된다. 예를 들어, 입자 크기가 큰 순서인, 입자(A), 입자(B), 입자(C), 입자(D) 순으로 제1 측면(W1)으로부터 이격된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입자(A, B, C, D)는 구 형상이며, 입자의 크기는 입자(A, B, C, D)의 지름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결국, 지름의 크기가 큰 순서인 입자(A), 입자(B), 입자(C), 입자(D) 순으로 제1 측면(W1)으로부터 이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측면(W1)이 제2 측면(W2) 측으로 기울어짐으로써, 제1 측면(W1)이 기울어지지 않고 기판(Su)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입자들(A, B, C, D) 간의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입자들(A, B, C, D) 간의 거리는 상기 입자들(A, B, C, D)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이에 의해, 연결 유로(CP)를 통과한 입자들(A, B, C, D)이 입자의 크기에 따라 서로 분리되어 복수의 배출 유로(EX1∼EX9)로 투입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때, 제1 측면(W1)은 평판 형상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면(W1)이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입자들(A, B, C, D)은 기판(Su) 및 평판인 제1 측면(W1)에 접하면서 연결 유로(CP) 내에 위치한다.
한편, 제1 측면(W1)은 도 5의 제2 변형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측면(W1)이 계단 형상으로 이루어지면,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에 비해, 복수의 입자들(A, B, C, D) 간의 거리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측면(W2)도 제1 측면(W1)과 마찬가지로 계단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입자들(A, B, C, D)은 제1 유체(L1) 및 제2 유체(L2)가 혼합된 제3 유체(L3)에 포함되어 연결 유로(CP)를 통과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입자들(A, B, C, D)은 제1 측면(W1)을 슬라이딩하며 이동한다. 그리고 나서, 연결 통로(CP)를 통과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자 크기별로 서로 분리되어 이동한다.
도 2에서, 복수의 입자들(A, B, C, D)은 제2 유체(L2)에 의해 제1 측면(W1)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관성력에 의해 연결 통로(CP)를 통과했을 때 제1 측면(W1) 측으로 비스듬하게 이동하게 된다.
이때, 입자(A, B, C, D)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보다 자세히, 복수의 입자들(A, B, C, D) 각각은 경로(P1, P2, P3, P4)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입자(A)는 경로(P1)를 따라, 입자(B)는 경로(P2)를 따라, 입자(C)는 경로(P3)를 따라, 그리고 입자(D)는 경로(P4)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제1 측면(W1) 측으로 많이 휘어진다. 따라서, 입자 크기가 작은 순서인 입자(D), 입자(C), 입자(B) 및 입자(A) 순으로 제1 측면(W1) 측으로 많이 휘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측면(W1)이 제2 측면(W2) 측으로 기울어지면, 입자들(A, B, C, D) 간의 거리가 증가되고, 이에 의해 연결 유로(CP)를 통과한 입자들(A, B, C, D)이 이동하는 경로(P1, P2, P3, P4) 사이의 거리가 증가된다. 경로(P1, P2, P3, P4) 중 인접한 한 쌍의 경로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면, 상기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입자들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P1)를 따라 이동하는 입자(A)와 경로(P2)를 따라 이동하는 입자(B)를 살펴보면, 제1 측면(W1)이 기울어지지 않은 경우에 비해 제1 측면(W1)이 기울어지는 경우가 경로(P1)와 경로(P2) 사이의 거리가 더욱 증가된다. 이는, 제1 측면(W1)이 기울어져 연결 유로(CP) 내에서 입자(A)와 입자(B)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기 때문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연결 유로(CP)의 타측 단부에 복수의 배출 유로(Ex)가 배치된다. 복수의 배출 유로(Ex)는 연결 유로(CP)를 통해 나온 복수의 입자들을 입자의 크기에 따라 분리 배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유로(CP)의 타측 단부에는 복수의 배출 유로(Ex1, Ex2, Ex3, Ex4, Ex5, Ex6, Ex7, Ex8, Ex9)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9개의 배출 유로가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배출 유로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9개 보다 적거나, 더 많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입자 크기에 따라 복수의 배출 유로(Ex1, Ex2, Ex3, Ex4, Ex5, Ex6, Ex7, Ex8, Ex9)로 각각 분리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배출 유로(Ex1, Ex2, Ex3, Ex4, Ex5, Ex6, Ex7, Ex8, Ex9)는 연결 유로(CP)에서 나오는 제3 유체(L3)의 유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배출 유로(Ex1, Ex2, Ex3, Ex4, Ex5, Ex6, Ex7, Ex8, Ex9)는 상기 유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배출 유로(Ex1, Ex2, Ex3, Ex4, Ex5, Ex6, Ex7, Ex8, Ex9)는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교차 방향으로 배치된다. 보다 자세히, 복수의 배출 유로(Ex1, Ex2, Ex3, Ex4, Ex5, Ex6, Ex7, Ex8, Ex9) 중 인접한 한 쌍의 배출 유로 사이의 간격은 서로 동일하다. 예를 들어, 배출 유로(Ex1)와 배출 유로(Ex2) 사이의 간격과 배출 유로(Ex2)와 배출 유로(Ex3) 사이의 간격은 서로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배출 유로(Ex2)와 배출 유로(Ex3) 사이의 간격과 배출 유로(Ex3)와 배출 유로(Ex4) 사이의 간격은 서로 동일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유로(CP)를 통해 나온 제3 유체(L3) 중 적어도 일부가 배출되는 분기 유로(DP)가 배치된다. 분기 유로(DP)는 연결 유로(CP)의 출구 측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배출 유로(Ex)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때, 분기 유로(DP)는 제3 유체(L3) 중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켜, 복수의 입자들이 입자 크기별로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배출 유로(Ex)로 분리 배출되게 한다. 분기 유로(DP)가 제3 유체(L3) 중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키면, 전술한 입자들 각각이 이동하는 경로 간의 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서로 크기가 다른 입자들을 입자 크기별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분기 유로(DP)를 통해 배출되는 제3 유체(L3)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분기 유로(DP)를 통해 배출되는 제3 유체(L3)의 유량을 조절하면, 연결 유로(CP)를 통해 배출되는 복수의 입자들을 입자 크기별로 더욱 용이하게 분리 배출할 수 있다.
도 7은 분기 유로의 유량 변화에 따라 입자가 분리되는 정도를 나타낸 도면으로, 분기 유로(DP)를 통해 유출되는 제3 유체의 유량이 연결 유로(CP)를 통해 나오는 제3 유체에 대해 일정 비율 이상이면 입자가 용이하게 분리됨을 알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분기 유로(DP)를 통해 유출되는 제3 유체의 유량의 비율이 증가하면, 연결 유로(CP)를 통해 나오는 제3 유체가 유출되는 배출 유로(Ex)가 증가된다. 여기에서, 도 7에 표시된 비율(%)은 연결 유로(CP)를 통해 나오는 제3 유체에 대한 분기 유로(DP)를 통해 배출되는 제3 유체의 비율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7에 적색으로 나타난 경로는, 연결 유로(CP)를 통해 배출된 제3 유체가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분기 유로(DP)로 배출되는 유량이 연결 유로(CP)의 0%인 경우, 즉 분기 유로(DP)로 유출되는 유량이 전혀 없는 경우에는 제3 유체가 하나의 배출 유로(Ex)를 따라 배출된다. 반면에, 분기 유로(DP)로 배출되는 유량의 비율(%)이 증가되면, 제3 유체가 배출되는 경로인 배출 유로(Ex)의 개수가 증가됨을 알 수 있다. 특히, 분기 유로(DP)로 배출되는 유량이 연결 유로(CP)의 70% ∼ 95%인 경우, 제3 유체가 배출되는 경로인 배출 유로(Ex)의 개수가 최대가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입력 유로(In_P1)와 제2 입력 유로(In_P2)에 각각 유입되는 제1 유체(L1) 및 제2 유체(L2)의 유량비는 서로 다르다. 특히, 제1 유체(L1) 및 제2 유체(L2)의 유량비는 0.1:99.9 내지 50:50인 경우에 연결 유로(CP)를 통해 유출되는 복수의 입자들이 입자의 크기에 따라 용이하게 분리 배출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유체(L1) 및 제2 유체(L2)의 유량비가 5:95인 경우에, 복수의 입자들이 복수의 배출 유로를 통해 입자의 크기별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도 8은 제1 및 제2 입력 유로의 유량 변화에 따른 입자 분리의 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제1 입력 유로(In_P1)와 제2 입력 유로(In_P2)를 통과하는 유량의 상대적 변화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입자 분리 장치의 복수의 배출 유로(Ex1, Ex2, Ex3, Ex4, Ex5, Ex6, Ex7, Ex8, Ex9)로 분리 배출되는 정도를 나타낸 실험 결과이다. 도 8의 실험 결과는 엑소좀(Exosome)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엑소좀의 마커로 신테닌(Syntenin)을 사용하였다.
한편, 복수의 배출 유로(Ex1, Ex2, Ex3, Ex4, Ex5, Ex6, Ex7, Ex8, Ex9)에 위치하는 엑소좀을 검출하기 하기 웨스턴 블로팅(Western Blott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본 실험에서 제1 입력 유로(In_P1)와 제2 입력 유로(In_P2)에 유체를 투입하기 위해 실린지 펌프(Syringe Pump)를 사용하였다.
도 8 (1)을 참조하면,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제2 유체(L2)의 유량이 입자를 포함하는 제1 유체(L1)의 유량에 비해 클 경우, 예를 들어 제1 유체(L1)의 유량과 제2 유체(L2)의 유량 비가 1:99인 경우에는, 엑소좀이 복수의 배출 유로(Ex1, Ex2, Ex3, Ex4, Ex5, Ex6, Ex7, Ex8, Ex9)에서 고루 검출되지 않는다.
반면에, 제1 유체(L1)의 유량과 제2 유체(L2)의 유량 비가 5:95 또는 10:90인 경우에는, 엑소좀이 복수의 배출 유로(Ex1, Ex2, Ex3, Ex4, Ex5, Ex6, Ex7, Ex8, Ex9) 각각에서 고루 검출되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유체(L1) 및 제2 유체(L2)의 유량비가 5:95인 경우에, 엑소좀이 복수의 배출 유로(Ex1, Ex2, Ex3, Ex4, Ex5, Ex6, Ex7, Ex8, Ex9) 각각으로 고루 분리됨을 알 수 있다.
도 8은, 제1 유체(L1) 및 제2 유체(L2)의 유량비를 조절함에 따라, 제3 유체가 복수의 배출 유로(Ex1, Ex2, Ex3, Ex4, Ex5, Ex6, Ex7, Ex8, Ex9) 각각으로 유출되는 것을 확인한 실험 결과이다.
도 9는 배출 유로를 통해 입자가 분리되는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1 ㎛ 와 10 ㎛ 폴리스티렌(polystyrene) 입자를 18:1의 무게비로 혼합한 후, 본 실시예에 따른 입자 분리 장치를 이용하여 분리한 결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본 실험은 상기 입자를 증류수 또는 tween 20이 혼합된 증류수에 혼합하여 실시하였으며, 제1 유체(L1)와 제2 유체(L2)의 유량비는 5:95, 분기 유로(DP)로 배출되는 유량은 연결 유로(CP)의 70%인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배출 유로에서 폴리스티렌(polystyrene) 입자를 확인하기 위해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입자의 크기가 작은 1 ㎛ 폴리스티렌(polystyrene) 입자는 주로 앞쪽 배출 유로에서 검출되고, 입자의 크기가 큰 10 ㎛ 폴리스티렌 입자는 주로 뒤쪽 배출 유로에서 검출되었다. 여기에서, 앞쪽 배출 유로는 배출 유로의 번호가 작은 것을 의미하고(예를 들어, Ex1, Ex2, Ex3, Ex4), 뒤쪽 배출 유로는 배출 유로의 번호가 큰 것을 의미한다(예를 들어, Ex5, Ex6, Ex7, Ex8, Ex9). 도 9의 사진에 기재된 Drain_1, Drain_2,.. 등은 각각 배출 유로(Ex1, Ex2, ..)에 해당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입자 분리 장치를 이용한 엑소좀(Exosome)과 아폽토시스소체(Apoptotic body)를 분리한 결과이다.
도 10은 입자 크기가 대략 100 ㎚ ∼ 200 ㎚인 엑소좀(Exosome)과 입자 크기가 대략 1 ㎛ ∼ 5 ㎛인 아폽토시스소체(Apoptotic body)가 혼합된 유체를 본 실시예에 따른 입자 분리 장치를 사용하여 분리한 실험 결과이다.
본 실험은 엑소좀과 아폽토시스소체는 배양배지 또는 PBS(Phosphate Buffer Saline)에 혼합하여 입력 유로에 투입하였으며, 제1 유체(L1)와 제2 유체(L2)의 유량비는 10:90, 분기 유로(DP)로 배출되는 유량은 연결 유로(CP)의 75%인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복수의 배출 유로(Ex1, Ex2, Ex3, Ex4, Ex5, Ex6, Ex7, Ex8, Ex9)에 위치하는 입자들을 검출하기 하기 웨스턴 블로팅(Western Blott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엑소좀의 마커로 신테닌(Syntenin)을 사용하고, 아폽토시스소체의 마커로는 칼레티쿨린(calreticulin)을 사용하였다.
도 9에서와 유사하게, 도 10에서도 입자의 크기가 작은 엑소좀은 주로 앞쪽 배출 유로에서 검출되고, 입자의 크기가 큰 아폽토시스소체는 주로 뒤쪽 출 유로에 서 검출되었다. 여기에서, 앞쪽 배출 유로는 배출 유로의 번호가 작은 것을 의미하고(예를 들어, Ex1, Ex2, Ex3, Ex4), 뒤쪽 배출 유로는 배출 유로의 번호가 큰 것을 의미한다(예를 들어, Ex5, Ex6, Ex7, Ex8, Ex9).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 분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입자 분리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입자 분리 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제1 유체(L1)를 제1 입력 유로(In_P1)로 투입시킨다. 이때, 제1 유체(L1)에는 입자 크기별로 분리하려는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입자들이 포함되어 있다. 즉, 제1 입력 유로(In_P1)를 통해 복수의 입자들이 포함된 제1 유체(L1)를 투입시킨다.
한편,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제2 유체(L2)를 제2 입력 유로(In_P2)로 투입시킨다. 전술한 제1 유체(L1)와 달리, 제2 유체(L2)는 액체로만 이루어진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입자를 포함하는 제1 유체(L1)과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제2 유체(L2)를 서로 다른 입력 유로(In_P1, In_P2)로 투입시킨다. 이때, 제1 유체(L1)와 제2 유체(L2)는 동시에 투입될 수 있다.
이때, 제1 입력 유로(In_P1)와 제2 입력 유로(In_P2)는 서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연결 유로(CP)의 입구에 결합된다. 제1 입력 유로(In_P1)와 제2 입력 유로(In_P2)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연결 유로(CP)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지 않는다. 즉, 제2 입력 유로(In_P2)는 제1 입력 유로(In_P1)를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연결 유로(CP)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입력 유로(In_P1)는 연결 유로(CP)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2 입력 유로(In_P2)는 제1 입력 유로(In_P2)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입력 유로(In_P1)와 제2 입력 유로(In_P2)에 각각 유입되는 제1 유체(L1) 및 제2 유체(L2)의 유량비는 서로 다르다. 특히, 제1 유체(L1) 및 제2 유체(L2)의 유량비는 0.1:99.9 내지 50:50인 경우에 연결 유로(CP)를 통해 유출되는 복수의 입자들이 입자의 크기에 따라 용이하게 분리 배출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유체(L1) 및 제2 유체(L2)의 유량비가 5:95인 경우에, 복수의 입자들이 복수의 배출 유로를 통해 입자의 크기별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유체(L1)와 제2 유체(L2)가 투입된 후, 제1 유체(L1)와 제2 유체(L2)는 각각의 제1 입력 유로(In_P1) 및 제2 입력 유로(In_P2)를 통과한 후 연결 유로(CP)로 유입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입력 유로(In_P1)와 제2 입력 유로(In_P2)가 서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 제1 유체(L1)에 포함된 복수의 입자들이 연결 유로(CP)의 제1 측면(W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측면(W1)은 제1 입력 유로(In_P1)와 연결된 연결 유로(CP)의 일 측면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1 유체(L1)에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입자(A, B, C, D)가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제1 연결 유로(In_P1)를 통과한 제1 유체(L1)는 제2 유체(L2)에 의해 연결 유로(CP)의 제1 측면(W1)에 슬라이딩되어 연결 유로(CP)를 따라 이동한다.
제1 입력 유로(In_P1)와 제2 입력 유로(In_P2)가 만나는 지점에서는, 제2 입력 유로(In_P2)의 제2 유체(L2)에 의해 제1 유체(L1)의 복수의 입자들(A, B, C, D)은 연결 유로(CP)의 제1 측면(W1) 쪽으로 이동한다. 이는, 연결 유로(CP)에 투입되는 제2 유체(L2)가 제1 유체(L1)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투입되기 때문이다. 즉, 제2 유체(L2)에 의해, 연결 유로(CP)에 유입되는 복수의 입자들(A, B, C, D)이 연결 유로(CP)의 제1 측면(W1)에 슬라이딩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에서와 같이, 연결 유로(CP)의 제1 측면(W1)은 기판(Su)에 대해 제1 각도(θ1)로 기울어져 배치된다. 이때, 제1 측면(W1)은 제1 측면(W1)과 서로 마주보는 제2 측면(W2) 측으로 기울어진다. 여기에서, 제2 측면(W2)은 제2 입력 유로(In_P2)와 연결된 연결 유로(CP)의 일 측면을 나타낸다.
그리고, 제2 측면(W2)도 기판(Su)에 대해 제2 각도(θ2)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측면(W2)은 도 4의 제1 변형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Su)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입자들(A, B, C, D)은 제2 유체(L2)에 의해 제1 측면(W1)을 따라 이동하고, 제2 측면(W2)을 따라 이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때, 제1 각도(θ1) 및 제2 각도(θ2)는 90도 미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각도(θ1) 및 제2 각도(θ2)는 35도 ∼ 55도일 수 있다. 제1 측면(W1)이 제1 각도(θ1)로 기울어지면, 제1 유체(W1)에 포함된 입자들이 입자 크기 순으로 제1 측면(W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복수의 입자(A, B, C, D)는 제1 측면(W1)으로부터 입자 크기 순으로 이격된다. 예를 들어, 입자 크기가 큰 순서인, 입자(A), 입자(B), 입자(C), 입자(D) 순으로 제1 측면(W1)으로부터 이격된다. 편의상 입자(A, B, C, D)는 구 형상이며, 입자의 크기는 입자(A, B, C, D)의 지름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결국, 지름의 크기가 큰 순서인 입자(A), 입자(B), 입자(C), 입자(D) 순으로 제1 측면(W1)으로부터 이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측면(W1)이 제2 측면(W2) 측으로 기울어짐으로써, 제1 측면(W1)이 기울어지지 않고 기판(Su)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입자들(A, B, C, D) 간의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입자들(A, B, C, D) 간의 거리는 상기 입자들(A, B, C, D)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연결 유로(CP)를 통과한 입자들(A, B, C, D)이 입자의 크기에 따라 서로 분리되어 복수의 배출 유로(EX1∼EX9)로 투입될 수 있다. 이때, 연결 유로(CP)의 타측 단부에 복수의 배출 유로(Ex)가 배치된다. 복수의 배출 유로(Ex)는 연결 유로(CP)를 통해 나온 복수의 입자들을 입자의 크기에 따라 분리 배출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유로(CP)의 타측 단부에는 복수의 배출 유로(Ex1, Ex2, Ex3, Ex4, Ex5, Ex6, Ex7, Ex8, Ex9)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9개의 배출 유로가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배출 유로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9개 보다 적거나, 더 많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입자 크기에 따라 복수의 배출 유로(Ex1, Ex2, Ex3, Ex4, Ex5, Ex6, Ex7, Ex8, Ex9)로 각각 분리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유로(CP)를 통해 나온 제3 유체(L3) 중 적어도 일부를 분기 유로(DP)로 통과시킨다. 분기 유로(DP)는 연결 유로(CP)의 출구 측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배출 유로(Ex)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분기 유로(DP)는 제3 유체(L3) 중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켜, 복수의 입자들이 입자 크기별로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배출 유로(Ex)로 분리 배출되게 한다. 분기 유로(DP)가 제3 유체(L3) 중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키면, 전술한 입자들 각각이 이동하는 경로 간의 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서로 크기가 다른 입자들을 입자 크기별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분기 유로(DP)를 통해 배출되는 제3 유체(L3)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분기 유로(DP)를 통해 배출되는 제3 유체(L3)의 유량을 조절하면, 연결 유로(CP)를 통해 배출되는 복수의 입자들을 입자 크기별로 더욱 용이하게 분리 배출할 수 있다.
분기 유로(DP)를 통해 배출되는 제3 유체(L3)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분기 유로(DP)를 통해 배출되는 제3 유체(L3)의 유량을 조절하면, 연결 유로(CP)를 통해 배출되는 복수의 입자들을 입자 크기별로 더욱 용이하게 분리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기 유로(DP)로 배출되는 유량이 연결 유로(CP)의 0%인 경우, 즉 분기 유로(DP)로 유출되는 유량이 전혀 없는 경우에는 제3 유체가 하나의 배출 유로(Ex)를 따라 배출된다. 반면에, 분기 유로(DP)로 배출되는 유량의 비율(%)이 증가되면, 제3 유체가 배출되는 경로인 배출 유로(Ex)의 개수가 증가됨을 알 수 있다. 특히, 분기 유로(DP)로 배출되는 유량이 연결 유로(CP)의 70% ∼ 95%인 경우, 제3 유체가 배출되는 경로인 배출 유로(Ex)의 개수가 최대가 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 분리 장치 및 입자 분리 방법에서는, 연결 유로(CP)의 출구 측에 연결 유로(CP)를 통해 유출되는 유체의 일부를 배출시키는 분기 유로(DP)가 배치되어, 연결 유로(CP)를 통해 배출되는 복수의 입자들을 입자 크기별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입자 분리 장치 및 입자 분리 방법에 의하면, 마이크로 입자와 나노 입자들 서로 분리할 수 있으며, 또한 서로 크기가 다른 나노 입자들을 서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비파괴 고효율 엑소좀 정밀 분리 시스템, 혈액 분석칩, DNA 어레이, 마이크로 센서 또는 정밀 분리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비파괴 고효율 엑소좀 정밀 분리 시스템, 혈액 분석칩, DNA 어레이, 마이크로 센서 또는 정밀 분리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27)

  1.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입자들을 포함하는 제1 유체가 투입되는 제1 입력 유로;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제2 유체가 투입되는 제2 입력 유로;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입력 유로 및 상기 제2 입력 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유체 및 제2 유체가 혼합된 제3 유체가 이동하는 연결 유로;
    상기 연결 유로의 타측 단부를 통해 나온 상기 복수의 입자들이 입자의 크기에 따라 분리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 유로; 및
    상기 연결 유로의 상기 타측 단부를 통해 나온 상기 제3 유체 중 적어도 일부가 배출되는 분기 유로를 포함하는, 입자 분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로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입력 유로와 연결된 제1 측면 및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며 상기 제2 입력 유로와 연결된 제2 측면을 포함하는, 입자 분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자는 상기 제1 측면에 슬라이딩되어 이동하는, 입자 분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기판에 대해 상기 제2 측면 측으로 기울어진, 입자 분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기판이 이루는 각도는 90도 미만인, 입자 분리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은 평판 형상인, 입자 분리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은 계단 형상인, 입자 분리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기판에 대해 상기 제1 측면 측으로 기울어진, 입자 분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과 상기 기판이 이루는 각도는 90도 미만인, 입자 분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출 유로는,
    상기 연결 유로의 상기 타측 단부 측에, 상기 제3 유체의 유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입자 분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출 유로 중 인접한 한 쌍의 배출 유로 사이의 간격은 서로 동일한, 입자 분리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유로와 상기 제2 입력 유로에 각각 유입되는 상기 제1 유체 및 상기 제2 유체의 유량비는, 0.1:99.9 내지 50:50 인, 입자 분리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제3 유체의 유량이 조절되는, 입자 분리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유로릍 통해 배출되는 상기 제3 유체의 유량은, 상기 연결 유로를 통해 나오는 상기 제3 유체의 70% ∼ 95%인, 입자 분리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 유로는 상기 제1 입력 유로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도로 기울어진, 입자 분리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자들은 나노 입자인, 입자 분리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자들은 세포소 기관(organelle)인, 입자 분리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자들은 양자점(Quantum dot)인, 입자 분리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체는, 폴리에테르아민(polyetheramine), 헥산 및 톨루엔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 유기 용제, 증류수, tween 20을 포함한 수용액, 식염수, 배양배지 및 PBS(Phosphate Buffer Salin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 입자 분리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 분리 장치는 혈액 분석칩, DNA 어레이 및 마이크로 센서 중 어느 하나에 적용되는, 입자 분리 장치.
  21. 입자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입자들을 포함하는 제1 유체를 제1 입력 유로로 투입시키는 단계;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제2 유체를 제2 입력 유로로 투입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유체 및 상기 제2 유체를 상기 제1 입력 유로 및 상기 제2 입력 유로의 출구 측에 연결된 연결 유로로 통과시키는 단계;
    상기 연결 유로를 통과한 상기 복수의 입자들을 입자 크기별로 복수의 배출 유로 각각으로 통과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유로를 통과한 상기 제1 유체 및 상기 제2 유체가 혼합된 제3 유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연결 유로의 출구 측에 위치한 분기 유로로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자 분리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로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입력 유로와 연결된 제1 측면 및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며 상기 제2 입력 유로와 연결된 제2 측면을 포함하는, 입자 분리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기판에 대해 상기 제2 측면 측으로 기울어진, 입자 분리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기판이 이루는 각도는 90도 미만인, 입자 분리 방법.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유로와 상기 제2 입력 유로에 각각 유입되는 상기 제1 유체 및 상기 제2 유체의 유량비는, 0.1:99.9 내지 50:50 인, 입자 분리 방법.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제3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입자 분리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제3 유체의 유량은, 상기 연결 유로를 통해 나오는 상기 제3 유체의 70% ∼ 95%인, 입자 분리 방법.
PCT/KR2017/000918 2016-01-26 2017-01-25 입자 분리 장치 및 입자 분리 방법 WO2017131452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R112018015316-8A BR112018015316B1 (pt) 2016-01-26 2017-01-25 Aparelho de separação de partículas e método para separar partículas
US16/073,135 US10710072B2 (en) 2016-01-26 2017-01-25 Particle separation apparatus and particle separation method
CN201780019562.2A CN109070080B (zh) 2016-01-26 2017-01-25 颗粒分离装置和颗粒分离方法
EP17744573.1A EP3409363A4 (en) 2016-01-26 2017-01-25 PARTICLE SEPARATION APPARATUS AND PARTICLE SEPARATION METHOD
JP2018540023A JP7029175B2 (ja) 2016-01-26 2017-01-25 粒子分離装置及び粒子分離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559 2016-01-26
KR1020160009559A KR101807256B1 (ko) 2016-01-26 2016-01-26 입자 분리 장치 및 입자 분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31452A1 true WO2017131452A1 (ko) 2017-08-03

Family

ID=59398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0918 WO2017131452A1 (ko) 2016-01-26 2017-01-25 입자 분리 장치 및 입자 분리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10072B2 (ko)
EP (1) EP3409363A4 (ko)
JP (1) JP7029175B2 (ko)
KR (1) KR101807256B1 (ko)
CN (1) CN109070080B (ko)
BR (1) BR112018015316B1 (ko)
WO (1) WO20171314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437B1 (ko) 2017-12-28 2021-06-0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결정성 나노셀룰로오스의 길이별 분리장치
KR102327920B1 (ko) 2017-12-28 2021-11-1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결정성 나노셀룰로오스의 길이별 분리장치
KR102487734B1 (ko) * 2018-09-21 2023-0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입자 분배기
KR102491618B1 (ko) * 2018-09-21 2023-0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입자 분배기
KR102491617B1 (ko) * 2018-09-21 2023-0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입자 분배기
KR102491149B1 (ko) * 2018-09-21 2023-01-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입자 분배기
JP7304649B2 (ja) 2019-05-24 2023-07-07 ソル バイオ コーポレーション スイッチ性付着反応を用いた親和分離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323361B1 (ko) 2019-05-24 2021-11-09 솔바이오 주식회사 스위치 성 부착반응을 이용한 친화 분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23360B1 (ko) 2019-12-02 2021-11-09 솔바이오 주식회사 엑소좀 차아집단 액체생검 샘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498862B1 (ko) 2020-06-29 2023-02-13 솔바이오 주식회사 엑소좀 액체생검 샘플 분석방법
KR102439514B1 (ko) * 2020-07-27 2022-09-02 울산과학기술원 미세 대상물 분리장치 및 그 분리장치를 이용한 미세 대상물 분리방법
KR20220095646A (ko) 2020-12-30 2022-07-07 솔바이오 주식회사 엑소좀 차아집단 액체생검 샘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240096257A (ko) 2022-12-19 2024-06-26 주식회사 지앤아이솔루션 연속흐름반응기를 이용한 양자점 제조 장치
KR20240096259A (ko) 2022-12-19 2024-06-26 주식회사 지앤아이솔루션 연속흐름반응기를 이용한 양자점 제조 방법
WO2024144205A1 (ko) * 2022-12-26 2024-07-04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입자 분리 장치 및 입자 분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3693A (ja) * 2005-03-22 2006-10-05 Minoru Seki 微粒子の連続分離機構及び装置
KR101138904B1 (ko) * 2010-05-10 2012-05-14 한국과학기술원 입자 분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입자 분리 시스템
KR20120113533A (ko) * 2011-04-05 2012-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타겟 분자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겟 분자 분리 방법
JP2012239449A (ja) * 2011-05-23 2012-12-10 Nagoya Univ がん細胞自動分離装置およびがん細胞自動分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2058B2 (ja) * 2004-09-22 2010-05-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微粒子の分級方法、及び微粒子の分級装置
ATE442904T1 (de) * 2005-07-07 2009-10-15 Fraunhofer Ges Forschun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kustischen manipulation von partikeln, zellen und viren
EP1795894A1 (en) * 2005-12-06 2007-06-13 Roche Diagnostics GmbH Plasma separation on a disk like device
EP2156178B1 (en) * 2007-04-02 2011-12-21 Acoustic Cytometry Systems, Inc. Methods for enhanced analysis of acoustic field focused cells and particles
EP2145687B1 (en) * 2007-05-15 2014-12-03 Panasonic Corporation Component separation device
FR2931141B1 (fr) * 2008-05-13 2011-07-01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Systeme microfluidique et procede pour le tri d'amas de cellules et de preference pour leur encapsulation en continu suite a leur tri
US8387803B2 (en) * 2008-08-26 2013-03-05 Ge Healthcare Bio-Sciences Ab Particle sorting
US20100140185A1 (en) * 2008-12-05 2010-06-10 John Hill Wastewater treatment
US9821310B2 (en) * 2011-03-31 2017-11-21 The University Of Akron Two-stage microfluidic device for acoustic particle manipulation and methods of separation
WO2013048323A1 (en) * 2011-09-28 2013-04-04 Acousort Ab System and method to separate cells and/or particles
WO2013148865A1 (en) * 2012-03-27 2013-10-0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ontinuous whole-chip 3-dimensional dep cell sorter and related fabrication method
KR101360135B1 (ko) * 2012-08-16 2014-02-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경사진 채널 벽면을 갖는 미세유체칩
US9757726B2 (en) * 2013-03-14 2017-09-12 Inguran, Llc System for high throughput sperm sorting
US10705008B2 (en) * 2013-03-15 2020-07-07 Iris International, Inc. Autofocus systems and methods for particle analysis in blood samples
WO2015063552A2 (en) * 2013-10-30 2015-05-07 Premium Genetics (Uk) Ltd. Microfluidic system and method with focused energy apparatus
KR102365795B1 (ko) * 2014-01-20 2022-02-21 핼시언 바이오메디컬, 인코퍼레이티드 입자의 분리 및 농축
WO2017181186A1 (en) * 2016-04-15 2017-10-19 Vortex Biosciences, Inc. Microfluidic chips and cartridges and systems utilizing microfluidic chips and cartridges
US20180015455A1 (en) * 2016-07-12 2018-01-18 Emulate Inc. Additive channel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3693A (ja) * 2005-03-22 2006-10-05 Minoru Seki 微粒子の連続分離機構及び装置
KR101138904B1 (ko) * 2010-05-10 2012-05-14 한국과학기술원 입자 분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입자 분리 시스템
KR20120113533A (ko) * 2011-04-05 2012-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타겟 분자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겟 분자 분리 방법
JP2012239449A (ja) * 2011-05-23 2012-12-10 Nagoya Univ がん細胞自動分離装置およびがん細胞自動分離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409363A4 *
STEIGERT, J. ET AL.: "Rapid Prototyping of Microfluidic Chips in COC", JOURNAL OF MICROMECHANICS AND MICROENGINEERING, vol. 17, no. 2, February 2007 (2007-02-01), pages 333 - 341, XP02012000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30534A1 (en) 2019-01-31
CN109070080A (zh) 2018-12-21
US10710072B2 (en) 2020-07-14
KR101807256B1 (ko) 2017-12-08
JP7029175B2 (ja) 2022-03-03
JP2019512378A (ja) 2019-05-16
BR112018015316B1 (pt) 2023-01-31
EP3409363A1 (en) 2018-12-05
KR20170089303A (ko) 2017-08-03
EP3409363A4 (en) 2019-07-17
BR112018015316A2 (ko) 2018-12-18
CN109070080B (zh) 2021-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31452A1 (ko) 입자 분리 장치 및 입자 분리 방법
US11001896B2 (en) System and method to synthesize a target molecule within a droplet
WO2011005050A2 (ko) 다기능 미세유체 유동 제어 장치 및 다기능 미세유체 유동 제어 방법
JP6620269B2 (ja) 細胞捕捉装置
WO2022098065A1 (ko) 현장진단용 다중 초고속 핵산 추출 및 증폭이 가능한 통합칩
WO2014112671A1 (ko) 핵산 추출용 미세유동 칩, 이를 포함하는 핵산 추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핵산 추출 방법
WO2013180495A1 (ko) 다-채널 하향 액체 주입 장치, 이를 포함하는 핵산 추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핵산 추출 방법
WO2017030408A1 (ko) 비침습적 산전 진단을 위한 산모 혈액 내 유핵 적혈구의 농축 분리 방법
WO2017164636A1 (ko) 미세 입자 제조 장치
WO2019107763A1 (ko) 다공성 박막을 이용하여 채널 내 미세 버블의 제거가 가능한 마이크로 플루이딕 디바이스와 버블 유입 방지용 시료주입 장치 및 이형필름을 이용한 미세유체 소자의 패널 본딩방법
WO2020106004A1 (ko) 박막을 이용하여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는 마이크로 플루이딕 디바이스
KR100788458B1 (ko) 유체영동기반 세포분리용 미세유체칩 및 이를 이용한혈액분리방법
WO2018074779A2 (ko) 고압 균질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래핀의 제조방법
WO2011065729A2 (ko) 바이오 센서
WO2016076551A1 (ko) 미세유체 칩의 실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3068684A1 (ko) 일회용 분리칩
WO2017155170A1 (ko) 미세 유체 소자, 및 이를 이용한 단일 세포 처리 방법
WO2011111908A1 (ko) 미소입자 선택적 포획-회수 장치
WO2022265427A1 (ko) 기포형성 방지 미세유체 칩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4035167A1 (ko) 히터 유닛이 반복 배치된 열 블록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적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pcr 칩, 이를 포함하는 pcr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pcr 방법
WO2022098064A1 (ko) 마이크로 칩 및 이의 실링 방법
WO2016163587A1 (ko) 분리 가능한 복수의 패널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 분리 장치 어셈블리
WO2022215817A1 (ko) 액적의 크기 제어가 가능한 능동형 액적 생성장치, 이를 이용한 액적 크기 제어방법 및 액적 생성 자가진단 장치
WO2014084545A1 (ko) 미세 유체칩을 이용한 나노입자 분리 및 이를 이용한 생체물질분석방법
WO2020055152A1 (ko) 다양한 종류의 박막을 이용하여 압력의 변화에 일정한 민감도를 갖는 일회용 유속측정장치와 다공성 박막에 돌출된 서포트 패턴을 이용하여 채널 내 미세 버블의 제거가 가능한 마이크로 플루이딕 디바이스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74457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54002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REG Reference to national code

Ref country code: BR

Ref legal event code: B01A

Ref document number: 112018015316

Country of ref document: BR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74457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74457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80827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18015316

Country of ref document: BR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ffective date: 2018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