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82611A1 - 비만 억제능을 갖는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만 억제능을 갖는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82611A1
WO2017082611A1 PCT/KR2016/012791 KR2016012791W WO2017082611A1 WO 2017082611 A1 WO2017082611 A1 WO 2017082611A1 KR 2016012791 W KR2016012791 W KR 2016012791W WO 2017082611 A1 WO2017082611 A1 WO 201708261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strain
kctc
obesity
lactococc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279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현진
홍성출
유재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니스
Priority to ES16864537T priority Critical patent/ES2839216T3/es
Priority to US15/774,328 priority patent/US11273188B2/en
Priority to EP16864537.2A priority patent/EP3375448B1/en
Priority to PL16864537T priority patent/PL3375448T3/pl
Publication of WO201708261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8261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73Reuter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2035/11Medicinal preparations comprising living procariotic cells
    • A61K2035/115Probio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ain having an obesity inhibiting ability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ain having an obesity inhibiting ability by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fatty acids dissolved in gut fluid content and the obesity or obesity containing the same. It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metabolic diseases caused by.
  • Obesity is a chronic disease that is a global problem. There is no effective treatment, and it is a serious disease that continues to increase. Obesity is characterized by metabolic syndrome, hypertension, diabetes, hyperlipidemia, arteriosclerosis, ischemic heart disease, fatty liver, cholelithiasis and other diseases.
  • Obesity is a serious disease in itself, but it also causes cosmetic problems. In the meantime, various obesity treatments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countries. Obesity drugs developed to date are largely divided into obesity drugs of appetite lowering and obesity drugs of lipolytic inhibitors.
  • Appetite lowering drugs include fenfluramine, sibutramine, rimonabant, and phentermine as mechanisms to reduce food intake by reducing appetite by acting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 Obesity treatments of the appetite suppressant class have the advantage of excellent weight loss efficacy, but these appetite suppressant classes of obesity treatments have a decisive problem that causes serious side effects in the long-term us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ubstances acting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Most of them were left out in the bay
  • the market-leading obesity drug fenfluramine was discontinued in 1997 due to side effects of heart disease and blood pressure, and sibutramine (Abbott's Meridia ® , Reductil ® ) was also discontinued in 2009 due to side effects such as increased heart attack.
  • Rimonabant (Acomplia ® from Sanfifi-Aventis), which was commercialized in Europe, was discontinued in 2008 due to serious side effects such as depression and suicide.
  • the US FDA recently approved another appetite suppressant class of obesity drugs, phentermine / topiramate (Qsymia ® ) and lorcaserin (Belviq ® ), but these drugs can't avoid side effects on their mechanism of action, so how long can they be on the market? Is unknown (Diabetes Metab J 2012; 36: 13-25).
  • Orlistat (Roche's Xenical ® and Alli ® ) is the only drug that successfully enters the market after clinical trials among the lipolysis inhibitors. Orlistat is an inhibitor of pancreatic lipase, a lipolytic enzyme secreted by the small intestine. Therefore, taking orlistat inhibits lipolysis, and the fat consumed as food is not absorbed into the body and is discharged. Therefore, the amount of fat absorbed by the human body decreases, thereby reducing weight. However, when orlistat is taken, undigested fat moves along the gastrointestinal tract (gut), causing diarrhea and fatty stools. In addition, serious liver damage has been reported in some of the long-term orlistat doses, and the US FDA is reviewing the safety of orlistat.
  • Obesity is caused by an imbalance between food intake and energy consumption, which has been thought to be due to excessive intake of food and lack of exercise.
  • the mutual metabolic activity of human intestinal microorganisms is a major cause of obesity (Nature 444: 1027-31, Nature 474: 327-36).
  • 10 14 microorganisms about 10 times the number of human cells, stay and interact with human cells. This process affects the weight and obesity of the host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food absorbed into the body. That is, the intestinal microorganisms have a tremendous advantage in theory because they are not absorbed into the body but remain in the intestinal space and symbiotic with the human body. Therefore, researches to develop intestinal microorganisms as anti-obesity agents with new mechanism of action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Current Pharmaceutical Design, 2009, 15: 1546-1558).
  • US Pat. No. 8257695 to Dupont discloses anti-obesity agents as Lactobacillus acidophilus PTA_4797, Bacillus lactis 420, Bacillus lactis HN019 and Lactobacillus salivarius Ls-33 with satiety modulating ability.
  • Patent No. 8454949 to Nestec Lactobacillus helveticus CNCM I-4095, US Patents 8440178 and 8318151, Lactobacillus rhamnosus NCC4007, US Patent No. 8318150, Lactobacillus rhamnosus CNCM I-4096
  • Patent 8637000 discloses Lactobacillus rhamnosus strain (ATCC53103) and European Patent 2123168 discloses Lactobacillus paracasei CNCM I-2116 as an anti-obesity agent, respectively.
  • US Patent No. 8440179 to Megmilk Snow Brand discloses Lactobacillus gasseri SBT2055 and Lactobacillus helveticus SBT2171 as agents for reducing visceral fat.
  • US Patent No. 7001756 to Genmont Niotech discloses Lactobacillus rhamnosus GM-020 as an anti-obesity agent
  • US Patent Publication No. 2009-0181437 to Yakult discloses methods and strains for converting linoleic acid to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 CLA conjugated linoleic acid
  • CJ International Publication Nos. 2006-019222, European Patent No. 1789531, and US Publication No. 2008-0267932 disclose Lactobacillus rhamnosus PL60 (KCCM-10654P) for converting linoleic acid to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 Patent 2008-0057044 discloses Lactobacillus plantarum PL62 (KCCM-10655P), respectively, as an anti-obesity agent.
  • Korean Patent No. 0543114 of Yakult of Korea has known Bacillus subtilis KY912 (KACC-91056) as an anti-obesity strain, characterized in that it produces a metabolite that inhibits ⁇ -glucosidase.
  • Acetobacter characterized by converting intestinal low-saccharides to polysaccharides sp .
  • BC-Y009 is known as an agent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abetes and obesity
  • Korean Patent No. 094701 discloses a polysaccharide-producing strain Lactobacillus reuteri (KCTC-10301BP), Korean Patent No.
  • 0794702 discloses the polysaccharide substance producing strain Lactobacillus fermentum NM316 (KCTC-10458BP), and Korean Patent No. 1108428 discloses the polysaccharide substance producing strain Lactobacillus gasseri BNR17 (KCTC 10902BP).
  • the applicant has known the Lactobacillus acidophilus FARM1 (KCTC 11513BP), FARM2 (KCTC 11514BP) and FARM3 (KCTC 11515BP) having a free fatty acid absorption in Korea Patent No. 1292714 as an anti-obesity strain.
  • anti-obesity microorganisms have only been partially proved to have anti-obesity or related efficacy in animal experiments, and clinical trials have not been successfully proved as an anti-obesity treatment and preventive effect, and thus not commercialized.
  • Orlistat is the only long-term treatment for obesity that health care agencies around the world have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in treating obesity.
  • orlistat is a family of inhibitors that inhibit the activity of pancreatic lipase secreted into the intestinal contents. Therefore, when orlistat is taken, orlistat decreases the activity of intestinal pancreatic lipase and inhibits lipolysis, thus producing less fatty acids in the intestine,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fatty acids dissolved in gut fluid content. By doing so, obesity can be treated.
  • the present inventors have recognized that the use of intestinal microorganisms can reduce obesity as effectively as orlistat by lowering the concentration of fatty acids dissolved in the liquid phase of gut fluid content.
  • Orlistat cannot be free from side effects due to the inherent limitations of chemicals.
  • the intestinal microorganism is free from side effects because it is a symbiotic substance in the human intestine.
  • orlistat causes problems of indigestion because it inhibits lipolysis, but by selectively removing fatty acids dissolved in intestinal contents using intestinal microorganisms, orlistat is free from side effects of indigestio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stinal strain having the function of reducing the "fatty acid concentration dissolved in gut fluid content" of a mammal.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stinal strain having the ability to inhibit obesity by reducing the "fatty acid concentration dissolved in gut fluid content"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mammal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intestinal strain having an obesity inhibiting ability or a culture of the intestinal strain as an active ingredient by reducing the "fatty acid concentration dissolved in gut fluid content"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a mammal.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intestinal strain having an obesity inhibiting ability or a culture of the intestinal strain as an active ingredient by reducing the "fatty acid concentration dissolved in gut fluid content"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a mammal.
  • Functional foods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obesity or metabolic diseases caused by obesity are provided.
  • the enteric strai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actobacillus species (Lactobacillus sp.), Streptococcus species (Streptococcus sp.) And a Lactococcus species (Lactococcus sp.).
  • the Lactobacillus sp . ( Lactobacillus sp . ) Is Lactobacillus luuteri ( Lactobacillus reuteri ),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casei ( Lactobacillus casei ), Lactobacillus paracasei ( Lactobacillus paracasei) ), Lactobacillus Ali Men Taree Earth (Lactobacillus alimentarius), Lactobacillus del Brew ekiyi sub-species lactis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 Lactobacillus lactis Lactobacillus Panther lease (Lactobacillus pantheris), Lactobacillus flops momentum (Lactobacillus fermentum), Lactobacillus Lactobacillus rhamnosus , Lactobacillus salivarius subcicipes salicynus subsp . salicinius ) and Lactobacillus mali , the Streptococcus sp . is Streptococcus lutetiensis , and the Lactococcus sp . Lactococcus lactis subsp.Lactis .
  • the Lactobacillus sp . ( Lactobacillus sp . ) Is Lactobacillus luuteri ( Lactobacillus reuteri ) JBD301 strain (KCTC 12606BP),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plantarum ) JBD302 strain (KCTC 12918BP), Lactobacillus cassia ( Lactobacillus casei ) JBD303 strain (KCTC 12919BP), Lactobacillus casei JBD304 strain (KCTC 12920BP), Lactobacillus paracasei JBD305 strain (KCTC 12921BP), Lactobacillus alimentaryus ) JBD306 strain (KCTC 12922BP), Lactobacillus delbrueckii,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
  • Lactis ) JBD307 strain (KCTC 12923BP), Lactobacillus pantheris JBD308 strain (KCTC 12924BP), Lactobacillus fermentum JBD309 strain (KCTC 12925BP), Lactobacillus rhamnosus (strain Lactobacillus r311) KCTC 12926BP), Lactobacillus salivarius (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 salicinius ) JBD312 strain (KCTC 12927BP) and Lactobacillus mali JBD313 strain (KCTC 12928BP) and the Streptococcus sp .
  • Streptococcus lutetiensis JBD314 strain (KCTC 12929BP), and the Lactococcus sp . Is Lactococcus lactis subsp . Lactis ) JBD315 strain (KCTC 12930BP) is characterized in that.
  • Intestinal strains having the ability to inhibit obesity by reducing the "fatty acid concentration dissolved in gut fluid content"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the mamm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no side effects in both animal experiments and clinical trials. In addition, it showed a similar effect of obesity as orlistat, a representative obesity treatment agent widely used.
  • Example 1 and 2 are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A) and the weight change (B) of the fatty acids dissolved in the liquid phase of the gut fluid content of the host ingested and screened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gram staining photograph (A)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high magnification observation photograph (B) of Lactobacillus reuteri JBD301 strain (KCTC 12606B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hylogenetic tree of Lactobacillus reuteri JBD301 strain (KCTC 12606BP) having an obesity inhibitory activity screened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in vitro fatty acid concentration reduction ability of the intestinal strain having the ability to inhibit obe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photograph of the small intestine and large intestine used to measure the fatty acid concentration of gut fluid content of the host ingested Lactobacillus reuteri JBD301 strain (KCTC 12606B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fatty acids in gut fluid content of the host ingested Lactobacillus reuteri JBD301 strain (KCTC 12606B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te: control, black: JBD301).
  • Figure 9 i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body uptake of dietary fat-derived fatty acids when ingesting Lactobacillus reuteri JBD301 strain (KCTC 12606B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te: control, black: JBD301).
  • Figure 10 i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in vitro emissions of dietary fat-derived fatty acids upon ingestion of Lactobacillus reuteri JBD301 strain (KCTC 12606B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te: control, black: JBD301).
  • Figure 11 i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weight change of rats when ingesting the Lactobacillus ruuteri ( Lactobacillus reuteri ) JBD301 strain (KCTC 12606BP) performed according to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 ⁇ : control, ⁇ : JBD301, ⁇ : orlistat ).
  • Example 12 is a clinical trial design of Lactobacillus reuteri JBD301 strain (KCTC 12606BP) performed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drawing of a subject recruited from a clinical trial of Lactobacillus reuteri JBD301 strain (KCTC 12606BP) performed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trol group and a test group thereof.
  • Figure 14 is a clinical trial results of Lactobacillus reuteri JBD301 strain (KCTC 12606BP)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nti-obesity agents developed to date have side effects on the use of the drug or long-term safety issues.
  • the present inventors recognize that the existing obesity treatment agents are absorbed into the body and cause various side effects due to decreased appetite and inhibited lipolysis, and use intestinal microorganisms that can reduce the fat absorption of the host while coexisting in the body.
  • the goal was to reduce calorie intake and treat obesity.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stinal strain having an obesity inhibiting ability by reducing the "fatty acid concentration dissolved in gut fluid content"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a mammal.
  • the intestinal strain may include all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has an ability to inhibit obesity by reducing "fatty acid concentration dissolved in gut fluid content" in gastrointestinal tract of a mammal. , Lactobacillus sp . , Streptococcus sp . , Lactococcus sp .
  • the Lactobacillus sp . ( Lactobacillus sp . ) Is Lactobacillus luuteri ( Lactobacillus reuteri ) JBD301 strain (KCTC 12606BP),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plantarum ) JBD302 strain (KCTC 12918BP), Lactobacillus cassia ( Lactobacillus casei ) JBD303 strain (KCTC 12919BP), Lactobacillus casei JBD304 strain (KCTC 12920BP), Lactobacillus paracasei JBD305 strain (KCTC 12921BP), Lactobacillus alimentaryus ) JBD306 strain (KCTC 12922BP), Lactobacillus delbrueckii,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
  • Lactis ) JBD307 strain (KCTC 12923BP), Lactobacillus pantheris JBD308 strain (KCTC 12924BP), Lactobacillus fermentum JBD309 strain (KCTC 12925BP), Lactobacillus rhamnosus (strain Lactobacillus r311) KCTC 12926BP), Lactobacillus salivarius (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 salicinius ) JBD312 strain (KCTC 12927BP) and Lactobacillus mali JBD313 strain (KCTC 12928BP) and the Streptococcus sp .
  • Streptococcus lutetiensis JBD314 strain (KCTC 12929BP), and the Lactococcus sp . Is Lactococcus lactis subsp . Lactis ) JBD315 strain (KCTC 12930BP) is characterized in that.
  • the strain is derived from the microorganism or human intestinal tract constituting the human intestinal flora, and can live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a mammal, and in the gutintestinal tract, the "gut fluid content" Reducing the amount of fatty acid dissolved into the host,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fatty acid absorbed into the host.
  • the intestinal strain has four characteristics as follows, which has the advantage of fundamentally solving the side effect problem of the existing obesity treatment.
  • the intestinal microorganisms do not absorb into the body but form colonies in the intestine, there are no side effects of chemical-based obesity treatment agents absorbed into the body.
  • it is a microbe beneficial to mammals and a safe intestinal microorganism belonging to the GRAS category.
  •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intestinal strain or culture of the intestinal strain having the ability to inhibit obesity by reducing the "fatty acid concentration dissolved in gut fluid content"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mammals It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 or metabolic disease caused by obesity contained as a compon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reducing intestinal strains or cultures of the intestinal strains having an obesity inhibitory effect by reducing the "fatty acid concentration dissolved in gut fluid content"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mammal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food for preventing or improving metabolic diseases caused by obesity or obesity contained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strain contain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unctional food or the culture of the strain may lower the "fatty acid concentration dissolved in gut fluid content" by 5% or more, and the intestine exemplifies the stomach, the small intestine, the large intestine, and the like. can do.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unctional fo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preferably includes a strain of 10 3 ⁇ 10 12 cfu / gram.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an enteric strain having an inhibitory effect on obesity by reducing the "fatty acid concentration dissolved in gut fluid content"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an active mammal for administration;
  • the culture of the intestinal strain may be preferably formulated in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cluding one or mor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functional food” is a food added with a specific functionality in addition to the original purpose of food, it is meant to include all health food, health functional food, dietary supplements and the like.
  • the desired functionality of the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obesity.
  • the functional food may be exemplified by dairy products (milk, soy milk, processed milk), fermented milk (liquid yogurt, staple yogurt), drink, beverage,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unctional food may be various as needed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It may further contain an auxiliary component.
  • plant creamer, skim milk powder, sugar, vitamin A, vitamin B1, vitamin B2, vitamin B3, vitamin B6, vitamin B12, folic acid, vitamin C, vitamin D3, vitamin E and the like Vitamins and minerals such as copper, calcium, iron, magnesium, potassium, zinc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beverage may include various flavors or natural carbohydrates and the like as additional components, as in general beverages.
  • Flavoring agents include natural sweeteners such as taumartin and stevia extract, and synthetic sweeteners such as saccharin and aspartame.
  • natural carbohydrate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and fructos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and sucrose,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 and cyclodextrin,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the functional f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n intestinal strain having a fatty acid-reducing ability, it can reduce the energy absorption in the host when ingested, thereby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eases caused by effective obesity and obesity. .
  • MRS broth containing 0.5% (w / v) Brij TM 58 and 0.25 mM sodium palmitate was prepared and 250 ⁇ l was added to each well of a 96-well plate, followed by inoculation with 10 ⁇ l of strain culture. After anaerobic incubation at 37 ° C. for 15 hours in an anaerobic jar, the supernatant was obtained by centrifugation at 4 ° C. for 10 minutes at 4,000 rpm. The amount of fatty acid in the obtained culture wa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absorbance at 570 nm using EnzyChrom TM FFA Assay Kit (Bio-Assay Systems).
  • mice All anim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Ten six-week-old females of C57BL / 6 mice (Joongang Experimental Animal Co., Seoul, Korea) were placed in cages and fed for the first week (10% fat; D12450B; Research Diets Inc., New Brunswick, NJ, USA). ) And water. During the experiment, the illumination was changed day and night every 12 hours, and the temperature was kept constant at 22 ° C. and humidity at 55 ⁇ 5%. One week later,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control or experimental groups.
  • the control group was fed high fat diet (HFD containing 45% kcal as fat, D12451, Research Diets Inc.),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fed high fat diet by adding 1 ⁇ 10 7 CFU / day of intestinal microbial cell powder. The rats were then freely given their diet for four weeks and weighed weekly.
  • HFD high fat diet
  • the experimental group was fed high fat diet by adding 1 ⁇ 10 7 CFU / day of intestinal microbial cell powder.
  • the rats were then freely given their diet for four weeks and weighed weekly.
  • Figure 1 (A) shows the concentration of fatty acids (mM) dissolved in gut fluid content (mM) in rats fed the excavated strain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G1,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tendency to be markedly decreased, and in particular, G5-1 decreased to 66.8% of the control group.
  • Figure 1 (B) i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weight change of the host when ingested strains discovere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G1,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tendency to suppress the weight gain clearly, especially G5-1. In other words, the ability of reducing fatty acid concentration (mM) dissolved in gut fluid content and weight loss in the host were found to be proportional.
  • mM reducing fatty acid concentration
  • 16S rRNA gene analysis was performed by extracting DNA from G5-1 strain culture in anaerobic culture in MRS medium, followed by denaturation at 95 ° C for 5 minutes in PCR for 16s rDNA amplification, followed by 95 ° C 30 seconds, 52 ° C 45 seconds, 72 ° C. After amplification 30 times in a 2 minute condition was treated for 10 minutes at 72 °C, it was confirmed by sequencing.
  • PCR primers universal primers (SEQ ID NOs: 1 and 2) were used as the PCR primers.
  • Figure 4 is a phylogenetic tree of Lactobacillus reuteri JBD301 strain having an obesity inhibitory activity screened by screening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Lactobacillus reuteri ( Lactobacillus reuteri ) JBD301 strain as a novel species As of July 3, 2014, it was deposited with KCTC 12606BP at the Korea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 Lactis ) JBD307 strain (KCTC 12923BP), Lactobacillus pantheris JBD308 strain (KCTC 12924BP), Lactobacillus fermentum JBD309 strain (KCTC 12925BP), Lactobacillus rhamnosus (strain Lactobacillus r311) KCTC 12926BP), Lactobacillus salivarius (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
  • JBD312 strain (KCTC 12927BP), Lactobacillus mali (Lactobacillus mali) JBD313 strain (KCTC 12928BP), Streptococcus Lou teti N-Sys (Streptococcus lutetiensis) JBD314 strain (KCTC 12929BP) and sub-species of Lactococcus lactis lactis (Lactococcus lactis subsp . Lactis ) JBD315 strain (KCTC 12930BP) was deposited on October 13, 2015 to the Korea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 JBD301 Representative strains of JBD301 were typically inoculated in 100 ml of skim milk (10%) containing aseptic glucose (2%) and fermented at 37 ° C. The pH change was measured at 24 hours, 48 hours, and 72 hours in order to measure lactic ability during fermentation with yogurt. The measured values of 10 samples were expressed as the mean value ⁇ standard deviation,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 JBD301 strains were inoculated in MRS agar and anaerobically cultured at 37 ° C. in an anaerobic jar (Gas-Pack anaerobic systems, BBL). After 48 hours of incubation, colonies grown in MRS agar were transferred to a 96-well plate containing MRS broth and anaerobicly cultured at 37 ° C.
  • the amount of fatty acid in the obtained culture solution wa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absorbance at 570 nm using the EnzyChrom TM Free Fatty Acid Assay Kit (Bio-Assay Systems) according to the method of Example 1. That is, the fatty acid concentration reducing ability of JBD301 was calculated from the amount of fatty acids in the culture solution, and is shown in FIG. 5.
  • Lactobacillus forms a flora in the small intestine, which is where the fatty acids, the fat breakdown products, are absorbed.
  • the amount of fatty acids in the small intestine where most fatty acids are absorbed, decreases the amount of fatty acids that can be absorbed by the body, thereby reducing the caloric intake of the host.
  • the concentration and amount of fatty acids in gut fluid content were measured.
  • mice Six-week-old females of C57BL / 6 mice were purchased (Joongang Experimental Animal Co., Seoul, Korea) and placed in cages of seven animals and fed for the first week (10% fat; D12450B; Research Diets Inc., New Brunswick). , NJ, USA) and water. During the experiment, the illumination was changed day and night every 12 hours, and the temperature was kept constant at 22 ° C. and humidity at 55%. After more than a week, each experiment was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s.
  • the control group was fed high fat diet (HFD containing 45% kcal as fat, D12451, Research Diets Inc.), and the JBD301 group was fed by adding 1 ⁇ 10 7 CFU of JBD301 powder to the high fat diet daily.
  • the rats were then freely ingested for 3 weeks and anesthetized and sacrificed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 the small intestine and the large intestine were separated from the rats of each group, and the intestinal contents were recovered by sterile saline.
  • the intestinal contents were centrifuged at 10,000 g for 30 minutes to obtain a supernatant, and the concentration and amount of fatty acids were measured by EnzyChrom TM Free Fatty Acid Assay Kit (Bio-Assay System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Indicated.
  • Figure 6 is a photograph of the small intestine (a, b) and large intestine (c, d) used to measure the amount of fatty acids in gut fluid content of rats.
  • Figure 10 i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amount of radioactivity of feces over time to determine whether the extracorporeal excretion of dietary fat when ingesting JBD301.
  • mice All animal experiment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of the 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Six-week-old females of C57BL / 6 mice (Joongang Experimental Animal Co., Seoul, Korea) were placed in cages and fed for 10 weeks (10% fat; D12450B; Research Diets Inc., New Brunswick, NJ, USA). ) And water. During the experiment, the illumination was changed day and night at 12 hour intervals, and the temperature was kept constant at 22 ° C and humidity at 55 ⁇ 5%. After more than a week, each experiment was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s.
  • Metabolic syndrome was induced by feeding 12-week high-fat diet (HFD containing 45% kcal as fat, D12451, Research Diets Inc.), and rats were randomly divided and added to the control group without JBD301 (1 ⁇ 10 7 CFU per day). ), orlistat group (50 mg / kg diet, Xenical ® , Roche). During the next four weeks, the rats were monitored for weight change while freely ingesting the corresponding diet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11.
  • HFD high-fat diet
  • orlistat group 50 mg / kg diet, Xenical ® , Roche
  • JBD301 was observed in obesity-induced rats at 1 ⁇ 10 7 CFU daily, which showed a marked weight loss effect, which is as good as the anti-obesity effect when ingested Oristat, a drug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 Enrolled subjects were trained to maintain their usual diet and then randomized groupings of 450 mg placebo capsules or JBD301 powder capsules (10 9 CFU), one tablet for 12 weeks.
  • 450 mg of powder capsules contained 12% JBD301 powder or vegetable creamer, 40% skim milk powder, 40% sucrose, and 8% ascorbic acid.
  • Figure 13 is a picture of the subjects recruited in the clinical trial of JBD301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assignment. The final enrollment was 40, of which 37 were completed, and their baseline characteristics are shown in Table 2 below.
  • Body weight was measured as an efficacy endpoint, and body fat was also measured by computerized tomography and Dual-Emission X-ray Absorptiometry. Clinical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using SAS (Version 9.2) and MedCalc (Version 11.6.0).
  • the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percentage change of the efficacy endpoint. The percentage change over 12 weeks was calculated as the percentage after dividing the value at week 0 by the value at week 0. It was.
  • the weight between the starting point and the ending point showed 1.46% (1.24kg) between-group difference.
  • Figure 14 is a clinical trial results of JBD301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FIG. 14,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body weight difference with the control group when JBD301 was ingested through the clinical trial.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is a very important result, considering that weight or body fat is greatly influenced by factors that are frequently changed by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food intake or exercise lifesty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besit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abet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만 억제능을 갖는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 내용액(gut fluid content)에 녹아 있는 지방산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비만 억제능을 갖는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유동물의 장관계(gastrointestinal tract)에서 "장 내용액(gut fluid content)에 녹아 있는 지방산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비만 억제능을 갖는 장내 균주는 동물실험과 임상시험에서 모두 부작용이 전혀 없으면서도 널리 이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비만치료제인 orlistat과 비슷한 정도의 비만치료 효능을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포유동물의 장관계(gastrointestinal tract)에서 "장 내용액(gut fluid content)에 녹아 있는 지방산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비만 억제능을 갖는 장내 균주를 이용할 경우, 현재 비만으로 고통 받고 있는 환자들이 보편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비만 치료제로 개발되어 인류의 보건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비만 억제능을 갖는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본 발명은 비만 억제능을 갖는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 내용액(gut fluid content)에 녹아 있는 지방산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비만 억제능을 갖는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만성질환으로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없고 또한 계속 증가추세에 있는 심각한 질환이다. 비만은 다른 질환과 다르게 대사성증후군,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허혈성 심장질환, 지방간, 담석증 등 관련질환이 동반되는 특징이 있다.
비만은 그 자체로 심각한 질병이지만 미용상 문제도 야기하기 때문에 그동안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비만치료제들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여, 여러 비만치료제를 개발하였다. 현재까지 개발된 비만치료제는 크게 식욕저하제 계열의 비만치료제와 지방분해저해제 계열의 비만치료제로 나뉜다.
식욕저하제 계열의 비만치료제들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식욕을 떨어트림으로써 음식물의 섭취량을 줄여주는 작용기전으로 fenfluramine, sibutramine, rimonabant, phentermine 등이 있다. 식욕억제제 계열의 비만치료제는 체중감소 효능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들 식욕억제제 계열의 비만치료제들은 중추신경계(CNS)에 작용하는 물질이라는 특성상 장기 사용시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하는 결정적인 문제가 있어 제품화 이후 수년 만에 대부분 퇴출되었다. 초기 시장을 이끌던 비만치료제 fenfluramine은 심장질환과 혈압상승 부작용으로 1997년 판매중단되었으며, sibutramine (Abbott사의 Meridia®, Reductil®) 역시 심장마비 증가 등의 부작용으로 인해 2009년 판매중단되었다. 유럽에서 제품화되었던 rimonabant (Sanofi-Aventis사의 Acomplia®)는 우울증, 자살 등 심각한 정신질환 부작용 문제로 인해 2008년 판매중단되었다. 최근 미국 FDA에서 식욕억제제 계열의 비만치료제 phentermine/topiramate (Qsymia®)과 lorcaserin(Belviq®)을 또다시 승인하였으나, 이 약물들도 그 작용기전상 부작용을 피할 수 없어 이들이 시장에서 얼마동안 판매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Diabetes Metab J 2012;36:13-25).
지방분해 저해제 계열의 비만치료제 중 임상시험을 거쳐 성공적으로 시장에 진출한 약물은 orlistat(Roche사의 Xenical® 및 Alli®)이 유일하다. orlistat은 소장에서 분비되는 지방분해 효소인 pancreatic lipase의 저해제로서 지방의 분해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orlistat을 복용하면 지방분해가 억제되어 음식물로 섭취된 지방이 체내로 흡수되지 않고 배출되게 되어 인체로 흡수되는 지방의 양이 줄어들어 체중이 감소한다. 하지만 orlistat을 복용하면 소화되지 않은 지방이 위장관 (gastrointestinal tract, gut)을 따라 이동하면서 설사, 지방변 등을 일으키는데 이는 불편할 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사회생활이 어려운 수준의 부작용들이다. 또한 orlistat 장기 복용시 일부에서 심각한 간 손상이 발생된다고 보고되고 있어 미국 FDA에서는 orlistat의 안전성에 대한 재검토 논의를 진행 중이다.
결론적으로, 현재 시판중인 모든 비만치료제는 모두 심각한 부작용이 있어, 부작용이 없으면서 비만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비만치료제에 관한 사회적 수요가 매우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세계 각국의 연구팀에서는 부작용 없이 비만을 치료할 수 있는 비만 치료제 개발을 위해 다양한 연구들을 진행하고 있다. 신개념의 비만치료제를 개발하려는 다양한 연구들 중 최근 각광받고 있는 연구는 장내 미생물을 이용한 비만치료제 개발 연구들이다.
비만은 식품 섭취량과 에너지 소모량의 불균형에 의해 나타나므로 음식물의 과다섭취와 운동부족이 원인으로 생각되어왔다. 그러나 인간의 장내 미생물들의 상호 대사활동이 비만의 주요 원인이 된다는 사실이 최근 새롭게 규명되었다 (Nature 444:1027-31, Nature 474:327-36). 사람의 장에는 인체 세포 수의 약 10배인 1014개의 엄청난 수의 미생물들이 머무르면서 인체의 세포와 상호작용을 한다. 이 과정에서 음식물이 체내로 흡수되는 양을 조절함으로써 숙주의 체중과 비만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장내 미생물의 경우 체내로 흡수되지 않고 장 내 공간에 머무르면서 인체와 공생하는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안전성이 탁월하다는 엄청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장내 미생물을 새로운 작용기전의 항비만 치료제로 개발하려는 연구가 매우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Current Pharmaceutical Design, 2009, 15:1546-1558).
Dupont의 미국등록특허 제8257695호는 포만감 조절능이 있는 Lactobacillus acidophilus PTA_4797, Bacillus lactis 420, Bacillus lactis HN019 및 Lactobacillus salivarius Ls-33를 항비만 제제로 공지하였다.
Nestec의 미국등록특허 제8454949호는 Lactobacillus helveticus CNCM I-4095를, 미국등록특허 제8440178호 및 제8318151호는 Lactobacillus rhamnosus NCC4007를, 미국등록특허 제8318150호는 Lactobacillus rhamnosus CNCM I-4096를, 미국등록특허 제8637000호는 Lactobacillus rhamnosus 균주(ATCC53103)를, 유럽특허 제2123168호는 Lactobacillus paracasei CNCM I-2116을 각각 항비만 제제로 공지하였다.
Megmilk Snow Brand의 미국등록특허 제8440179호는 Lactobacillus gasseri SBT2055 및 Lactobacillus helveticus SBT2171를 내장지방 감소용 제제로 공지하였다.
Genmont Niotech의 미국등록특허 제7001756호는 Lactobacillus rhamnosus GM-020을 항비만 제제로 공지하였고, Yakult의 미국공개특허 제2009-0181437호는 linoleic acid를 conjugated linoleic acid (CLA)로 전환시키는 방법 및 균주들을 공지하였다.
CJ의 국제공개특허 제2006-019222호, 유럽특허 제1789531호 및 미국공개특허 제2008-0267932호는 linoleic acid를 conjugated linoleic acid (CLA)로 전환시키는 Lactobacillus rhamnosus PL60(KCCM-10654P)를, 미국공개특허 제2008-0057044호는 Lactobacillus plantarum PL62(KCCM-10655P)를 각각 항비만 제제로 공지하였다.
한국야쿠르트의 한국등록특허 제0543114호는 α-glucosidase를 억제하는 대사산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acillus subtilis KY912(KACC-91056)를 항비만 균주로 공지하였고, 바이오니아의 한국등록특허 제0404236호는 장내의 저당류 물질을 다당류 물질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etobacter sp. BC-Y058 및 Lactobacillus sp. BC-Y009를 당뇨병 및 비만증 예방치료용 제제로 공지하였고, 한국등록특허 제0794701호는 다당류 물질 생성 균주 Lactobacillus reuteri (KCTC-10301BP)를, 한국등록특허 제0794702호는 다당류 물질 생성 균주 Lactobacillus fermentum NM316(KCTC-10458BP)를, 한국등록특허 제1108428호는 다당류 물질 생성 균주 Lactobacillus gasseri BNR17(KCTC 10902BP)를 공지하였다.
또한, 본 출원인은 한국등록특허 제1292714호에서 자유지방산 흡수능이 있는 Lactobacillus acidophilus FARM1(KCTC 11513BP), FARM2(KCTC 11514BP) 및 FARM3(KCTC 11515BP)를 항비만 균주로 공지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항비만 미생물들은 동물실험에서 항비만 또는 관련효능이 일부 입증되었을 뿐, 임상시험에서는 비만치료 및 예방 효과가 성공적으로 입증되지 못하여, 상업화되지 못하였다.
현재 시판중인 모든 종류의 비만치료제들은 화학물질에 의존한 비만치료제이지만, 이들 비만치료제들은 모두 심각한 부작용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세계 각국의 연구팀에서는 장내 미생물을 이용한 비만치료제들을 개발중에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장내 미생물들을 이용한 비만치료제들이 부작용 없이 비만을 치료할 수 있다는 가능성만 입증했을 뿐, 효과적으로 비만을 치료할 수 있는 장내 미생물들을 이용한 비만치료제 개발은 이루지 못한 실정이다.
기존 장내 미생물을 이용한 비만치료제 연구들은 장내 미생물에 의해 인체에서 포만감을 조절하거나, 항비만 효능이 있는 특정 대사산물을 과다생산 시키거나, 일반 영양성분을 항비만 물질로 전환시키거나 (bioconversion), 당분해과정을 억제시키거나, 저당류를 다량류로 전환시키거나, 다당류 생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등과 같은 방법으로 비만을 치료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 방법으로는 비만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없다는 사실이 기존에 수행된 수많은 동물 및 임상시험에서 입증되었다.
전 세계 각국 보건의료 담당 정부기관에서 비만치료 효능이 가장 우수하다고 인정한 장기 복용 비만치료제는 orlistat이 유일하다. orlistat은 장 내용액으로 분비되는 췌장 리파제(pancreatic lip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억제제 계열의 화학물질이다. 따라서 orlistat을 복용하면, orlistat이 장내 췌장 리파제(pancreatic lipase)의 활성을 떨어트려 지방 분해가 억제되므로, 장내에서 지방산이 덜 생성되어, 장 내용액 (gut fluid content)에 녹아 있는 지방산의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비만을 치료할 수 있다. 이러한 과학적 사실에 근거하여 본 발명자들은 장내 미생물을 이용하여 장 내용액 (gut fluid content)의 액상에 녹아 있는 지방산 농도를 낮추어주면 orlistat처럼 매우 효과적으로 비만을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였다. 그러나, Orlistat은 화학물질이라는 본질적 한계 때문에 부작용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지만, 장내 미생물은 인체의 장에 공생하는 물질이기 때문에 부작용 문제에서 자유롭다는 결정적인 장점이 있다. 더욱이 orlistat은 지방분해를 억제하기 때문에 소화불량이라는 문제를 유발시키지만, 장내 미생물을 이용하여 장 내용액에 녹아 있는 지방산만 선택적으로 제거하면 소화불량이라는 부작용에서도 자유롭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유동물의 "장 내용액(gut fluid content)에 녹아 있는 지방산 농도"를 감소시키는 기능이 있는 장내 균주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함유한 비만 또는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포유동물의 장관계(gastrointestinal tract)에서 "장 내용액(gut fluid content)에 녹아 있는 지방산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비만 억제능을 갖는 장내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포유동물의 장관계(gastrointestinal tract)에서 "장 내용액(gut fluid content)에 녹아 있는 지방산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비만 억제능을 갖는 장내 균주 또는 상기 장내 균주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포유동물의 장관계(gastrointestinal tract)에서 "장 내용액(gut fluid content)에 녹아 있는 지방산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비만 억제능을 갖는 장내 균주 또는 상기 장내 균주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내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종(Lactobacillus sp .), 스트렙토코커스 종(Streptococcus sp .) 및 락토코커스 종(Lactococcus sp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종(Lactobacillus sp .)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알리멘타리어스(Lactobacillus alimentarius),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이 서브스피시즈 락티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 Lactis), 락토바실러스 팬터리스(Lactobacillus pantheris),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어스 서브시피시즈 살리시니어스(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 salicinius) 및 락토바실러스 말리(Lactobacillus mali)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종(Streptococcus sp .)은 스트렙토코커스 루테티엔시스(Streptococcus lutetiensis)이며, 상기 락토코커스 종(Lactococcus sp .)은 락토코커스 락티스 서브스피시즈 락티스(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종(Lactobacillus sp .)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JBD301 균주(KCTC 12606BP),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JBD302 균주(KCTC 12918BP),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JBD303 균주(KCTC 12919BP),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JBD304 균주(KCTC 12920BP),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JBD305 균주(KCTC 12921BP), 락토바실러스 알리멘타리어스(Lactobacillus alimentarius) JBD306 균주(KCTC 12922BP),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이 서브스피시즈 락티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 Lactis) JBD307 균주(KCTC 12923BP), 락토바실러스 팬터리스(Lactobacillus pantheris) JBD308 균주(KCTC 12924BP),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BD309 균주(KCTC 12925BP),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JBD311 균주(KCTC 12926BP),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어스 서브시피시즈 살리시니어스(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 salicinius) JBD312 균주(KCTC 12927BP) 및 락토바실러스 말리(Lactobacillus mali) JBD313 균주(KCTC 12928BP)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종(Streptococcus sp .)은 스트렙토코커스 루테티엔시스(Streptococcus lutetiensis) JBD314 균주(KCTC 12929BP)이며, 상기 락토코커스 종(Lactococcus sp .)은 락토코커스 락티스 서브스피시즈 락티스(Lactococcus lactis subsp . Lactis) JBD315 균주(KCTC 12930BP)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유동물의 장관계(gastrointestinal tract)에서" 장 내용액(gut fluid content)에 녹아 있는 지방산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비만 억제능을 갖는 장내 균주는 동물실험과 임상시험에서 모두 부작용이 전혀 없으면서도 널리 이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비만치료제인 orlistat과 비슷한 정도의 비만치료 효능을 보였다.
1 및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스크리닝하여 발굴된 항비만 균주들을 섭취한 숙주의 gut fluid content의 액상에 녹아있는 지방산의 농도(A)와 체중변화 (B)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JBD301 균주(KCTC 12606BP)의 그람 염색 사진(A)과 투과전자현미경(TEM) 고배율 관찰 사진 (B)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스크리닝하여 발굴된 비만 억제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JBD301 균주(KCTC 12606BP)의 계통수(phylogenic tree)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만 억제능을 갖는 장내 균주의 in vitro 지방산 농도 감소능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JBD301 균주(KCTC 12606BP)를 섭취시킨 숙주의 gut fluid content의 지방산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소장과 대장의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JBD301 균주(KCTC 12606BP)을 섭취시킨 숙주의 gut fluid content에서 지방산 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white: 대조군, black: JBD301).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JBD301 균주(KCTC 12606BP)을 섭취시킨 숙주의 gut fluid content에서 지방산 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white: 대조군, black: JBD301).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JBD301 균주(KCTC 12606BP)의 섭취시 식이지방 유래 지방산의 체내 흡수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white: 대조군, black: JBD301).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JBD301 균주(KCTC 12606BP)의 섭취시 식이지방 유래 지방산의 체외 배출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white: 대조군, black: JBD301).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수행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JBD301 균주(KCTC 12606BP)의 섭취시 쥐의 체중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 대조군, ●: JBD301, △: orlistat).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라 수행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JBD301 균주(KCTC 12606BP)의 임상시험 디자인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라 수행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JBD301 균주(KCTC 12606BP)의 임상시험에서 모집된 피험자와 이의 대조군 및 실험군 배정 그림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라 수행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JBD301 균주(KCTC 12606BP)의 임상시험 결과이다.
현재까지 개발된 비만 치료제는 복용상의 부작용 또는 장기 복용시의 안전성 문제를 가지고 있다. 특히 오용과 남용이 심각한 비만 치료제의 특성상 안전한 비만 치료제의 개발이 매우 시급하지만, 기존에 식욕저하 물질이나 지방분해 저해물질을 이용한 시도는 모두 실패해왔다.
본 발명자는 기존 비만치료제들은 항비만 성분이 체내에 흡수되어 식욕저하 및 지방분해 저해에 따른 각종 부작용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체내에 공생하면서 숙주의 지방 흡수를 줄여줄 수 있는 장내 미생물을 이용하면 칼로리 섭취량을 줄여 비만을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1) 섭취시 위장관계에 서식하는 장내 미생물을 스크리닝하여 신규 항비만 균주들을 발굴하였으며, 2) 항비만 균주들은 섭취되어 숙주의 장에 군락을 형성하고, 3) 숙주의 장 내용액 (gut fluid content)의 지방산 농도를 감소시키고, 4) 숙주의 식이지방 흡수를 감소시키면서 반대로 식이지방 배출은 증가시킴으로서, 5) 숙주의 체중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포유동물의 장관계(gastrointestinal tract)에서 "장 내용액(gut fluid content)에 녹아 있는 지방산 농도"를 감소시켜 비만 억제능을 갖는 장내 균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내 균주는 포유동물의 장관계(gastrointestinal tract)에서 "장 내용액(gut fluid content)에 녹아 있는 지방산 농도"를 감소시켜 비만 억제능을 갖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락토바실러스 종(Lactobacillus sp .), 스트렙토코커스 종(Streptococcus sp .), 락토코커스 종(Lactococcus sp.)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종(Lactobacillus sp .)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JBD301 균주(KCTC 12606BP),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JBD302 균주(KCTC 12918BP),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JBD303 균주(KCTC 12919BP),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JBD304 균주(KCTC 12920BP),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JBD305 균주(KCTC 12921BP), 락토바실러스 알리멘타리어스(Lactobacillus alimentarius) JBD306 균주(KCTC 12922BP),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이 서브스피시즈 락티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 Lactis) JBD307 균주(KCTC 12923BP), 락토바실러스 팬터리스(Lactobacillus pantheris) JBD308 균주(KCTC 12924BP),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BD309 균주(KCTC 12925BP),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JBD311 균주(KCTC 12926BP),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어스 서브시피시즈 살리시니어스(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 salicinius) JBD312 균주(KCTC 12927BP) 및 락토바실러스 말리(Lactobacillus mali) JBD313 균주(KCTC 12928BP)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종(Streptococcus sp .)은 스트렙토코커스 루테티엔시스(Streptococcus lutetiensis) JBD314 균주(KCTC 12929BP)이며, 상기 락토코커스 종(Lactococcus sp .)은 락토코커스 락티스 서브스피시즈 락티스(Lactococcus lactis subsp . Lactis) JBD315 균주(KCTC 12930BP)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균주는 사람의 장내 세균총을 구성하는 미생물 또는 사람의 장관으로부터 유래된 것으로서, 포유류의 위장관 내에서 서식할 수 있으며, 포유동물의 장관계(gastrointestinal tract)에서 "장 내용액(gut fluid content)에 녹아 있는 지방산 농도"를 감소시켜, 숙주로 흡수되는 지방산의 양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내 균주는 다음과 같은 4가지 특성이 있어 기존의 비만 치료제가 가지고 있는 부작용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첫째, 장내 미생물은 체내로 흡수되지 않고 장에서 군락을 형성하면서 작용하기 때문에 체내로 흡수되어 작용하는 화학물질 기반의 비만치료제들의 부작용 문제가 전무하다. 둘째, 기존 식욕저하제 계열의 비만치료제들과는 달리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 복용이나 남용에 따른 부작용이 없다. 셋째, 기존 지방분해저해제 계열의 비만치료제와는 달리 지방 분해에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소장관 내에서 설사, 지방변, 소화불량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다. 넷째, 포유동물에 유익한 미생물이자 GRAS 카테고리에 속하는 안전한 장내 미생물이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포유동물의 장관계(gastrointestinal tract)에서 "장 내용액(gut fluid content)에 녹아 있는 지방산 농도"를 감소시켜 비만 억제능을 갖는 장내 균주 또는 상기 장내 균주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포유동물의 장관계(gastrointestinal tract)에서 "장 내용액(gut fluid content)에 녹아 있는 지방산 농도"를 감소시켜 비만 억제능을 갖는 장내 균주 또는 상기 장내 균주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에 함유된 균주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물은 "장 내용액 (gut fluid content)에 녹아 있는 지방산 농도"를 5% 이상 낮출 수 있으며, 상기 장은 위, 소장, 대장 등을 예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103~1012 cfu/gram의 균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유효성분인 포유동물의 장관계(gastrointestinal tract)에서 "장 내용액(gut fluid content)에 녹아 있는 지방산 농도"를 감소시켜 비만 억제능을 갖는 장내 균주 또는 상기 장내 균주의 배양물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기능성 식품”은 식품 본래 목적 외에 특정한 기능성이 부가된 식품으로, 건강식품, 건강기능성식품, 식이보조제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이 목적하는 기능성은 비만 예방 및 개선이다.
상기 기능성 식품은 유제품 (우유, 두유, 가공우유), 발효유 (액상 요구르트, 호상 요구르트), 드링크제, 음료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기능성 식품에는 상기 유효성분 외에도 필요에 따라 다양한 보조성분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의 경우, 식물성 크리머, 탈지분유, 당,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3, 비타민 B6, 비타민 B12, 엽산 (folic acid), 비타민 C, 비타민 D3, 비타민 E 등의 비타민류 및 구리, 칼슘, 철, 마그네슘, 칼륨, 아연 등의 미네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중, 음료는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향미제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들 수 있다. 천연 탄수화물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단당류,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의 이당류,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다당류,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은 지방산 감소능이 있는 장내 균주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이를 섭취시 숙주에서의 에너지 흡수량을 줄여줄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비만 및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성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다.
비만치료에 관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포유류의 위장관 내에서 서식할 수 있고, "장 내용액 (gut fluid content)에 녹아 있는 지방산 농도"를 감소시켜, 숙주로의 에너지 흡수량을 줄여주는 균주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항비만 장내미생물 스크리닝
항비만 장내 미생물을 얻기 위한 스크리닝 실험은 다음과 같이 수행되었다. 마른 체격의 자원자로부터 얻어진 대변 시료를 Man-Rogosa-Sharpe (MRS, Difco.) broth를 이용하여 희석한 후 MRS agar에 접종한 후 anaerobic jar (Gas-Pack anaerobic systems, BBL)에서 37℃ 혐기배양하였다. 48시간 배양한 후 MRS agar에서 자라난 colony들을 MRS broth가 들어있는 96-well plate로 옮긴 후 37℃에서 혐기 배양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colony를 EnzyChrom™ FFA Assay Kit (Bio-Assay Systems)를 사용하여 high-throughput screening하였다. 이를 위해 0.5% (w/v) Brij™ 58 및 0.25 mM sodium palmitate이 들어있는 MRS broth를 준비하여 250 ㎕을 96-well plate의 각 well에 넣은 후 균주 배양액 10 ㎕씩 접종하였다. anaerobic jar에서 37℃로 15시간 혐기배양한 후 4,000 rpm으로 10분간 4℃에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얻어냈다. 얻어진 배양액 안의 지방산 양은 EnzyChrom™ FFA Assay Kit (Bio-Assay Systems)를 이용하여 570nm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계산하였다.
스크리닝을 통해 얻어진 상위 후보 균주들의 항비만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동물실험을 위한 균체 분말을 준비하기 위해 후보 균주들의 MRS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회수한 후 여기에 탈지분유와 설탕을 10%씩 첨가하여 동결건조시켜 준비하였다.
모든 동물실험은 동물관리 및 이용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의 규정에 따라 수행하였다. 6주령의 C57BL/6 mice 암컷(Joongang Experimental Animal Co., Seoul, Korea) 열 마리씩 우리(cage)에 넣고 처음 1주일 동안 사료 (10% fat; D12450B; Research Diets Inc., New Brunswick, NJ, USA)와 물을 자유 급이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12시간 간격으로 밤낮 조명을 바꾸었으며 온도는 22℃, 습도는 55 ± 5%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일주일 후 쥐들을 무작위로 분리하여 대조군 또는 실험군으로 나누었다. 대조군에는 고지방 사료 (HFD containing 45% kcal as fat, D12451, Research Diets Inc.)를 급이 하였고, 실험군은 고지방사료에 장내 미생물 균체 분말을 각각 1×107 CFU/day을 추가하여 급이하였다. 이후 쥐들은 각자 해당하는 식이를 4주간 자유롭게 섭취하였으며, 주별로 체중을 측정하였다.
실험 종료 후 각 군의 동물들은 마취하여 sacrifice 시키고, 장을 분리하여 무게를 잰 후 멸균 식염수로 장내 내용물을 회수하였다. 장내 내용물은 10,000g로 3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얻어내어 지방산 양을 EnzyChrom™ FFA Assay Kit (Bio-Assay Systems)로 측정한 후 장내 지방산 농도를 계산하였다.
도 1의 (A)는 발굴된 균주들을 섭취시킨 쥐에서의 장 내용액 (gut fluid content)에 녹아있는 지방산 농도(mM)를 보여주고 있다. 대조군인 G1에 비해 실험군의 경우 뚜렷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G5-1의 경우 대조군의 66.8%로 감소하였다.
도 1의 (B)는 발굴된 균주들의 섭취시 숙주의 체중 변화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대조군인 G1에 비해 실험군의 경우 뚜렷이 체중증가가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G5-1가 가장 뚜렷하였다. 즉, 장 내용액 (gut fluid content)에 녹아있는 지방산 농도(mM) 감소능과 숙주에서의 체중 감소능이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기재한 스크리닝 방법을 통해 20,000개 이상의 균주들을 high-throughput screening하여, 지방산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능이 우수한 장내 균주들을 추가적으로 발굴한 다음, 발굴된 균주들을 12주간 섭취시킨 쥐에서의 장 내용액 (gut fluid content)에 녹아있는 지방산 농도(mM) 및 실험동물의 체중증가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비만 억제능을 갖는 장내 균주 발굴
실시예 1의 스크리닝 방법을 통해 지방산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능이 우수한 장내 미생물인 G5-1(JBD301), JBD302~JBD309, JBD311~JBD315 균주들을 형태학적으로 관찰하고, 16S rRNA 유전자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계통분류 하였다.
형태학적 관찰은 그람 염색 후 광학현미경 및 투과전자현미경(TEM, H7650)을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그중 G5-1(JBD301)에 대한 결과를 대표적으로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G5-1 균주는 형태학적으로 그람 양성 간균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16S rRNA 유전자 분석은 MRS 배지에서 혐기 배양한 G5-1 균주 배양액에서 DNA를 추출한 후, 16s rDNA 증폭을 위하여 PCR에서 95℃ 5분 동안 denaturation시킨 다음, 95℃ 30초, 52℃ 45초, 72℃ 2분 조건으로 30회 증폭시킨 후 72℃에서 10분 처리한 후, 시퀀싱하여 확인하였다. PCR 프라이머로는 universal primers(서열번호 1 및 2)를 사용하였다.
[서열번호 1] 27 F: 5'-AGA GTT TGA TCC TGG CTC AG - 3'
[서열번호 2] 1492R: 5'-GGT TAC CTT GTT ACG ACT T- 3'
시퀀싱으로 확인된 G5-1(JBD301), JBD302~JBD309, JBD311~JBD315 균주들의 16s rDNA sequence(서열번호 3~16)로 NCBI GenBank, DNA data bank of Japan, European Nucleotide Archive를 검색한 결과, 상기 균주들은 모두 신규한 종임을 확인하고 그중 G5-1(JBD301)를 NCBI GenBank에 Accession number KJ957189로 등록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스크리닝하여 발굴된 비만 억제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JBD301 균주의 계통수(phylogenic tree)로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JBD301 균주는 신규한 종으로 확인되어, 이를 2014년 7월 3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 수탁번호 KCTC 12606BP로 기탁하였다.
이와 마찬가지로 JBD302~JBD309, JBD311~JBD315 균주에 대해서도 각각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JBD302 균주(KCTC 12918BP),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JBD303 균주(KCTC 12919BP),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JBD304 균주(KCTC 12920BP),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JBD305 균주(KCTC 12921BP), 락토바실러스 알리멘타리어스(Lactobacillus alimentarius) JBD306 균주(KCTC 12922BP),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이 서브스피시즈 락티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 Lactis) JBD307 균주(KCTC 12923BP), 락토바실러스 팬터리스(Lactobacillus pantheris) JBD308 균주(KCTC 12924BP),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BD309 균주(KCTC 12925BP),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JBD311 균주(KCTC 12926BP),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어스 서브시피시즈 살리시니어스(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 salicinius) JBD312 균주(KCTC 12927BP), 락토바실러스 말리(Lactobacillus mali) JBD313 균주(KCTC 12928BP), 스트렙토코커스 루테티엔시스(Streptococcus lutetiensis) JBD314 균주(KCTC 12929BP) 및 락토코커스 락티스 서브스피시즈 락티스(Lactococcus lactis subsp . Lactis) JBD315 균주(KCTC 12930BP)로 2015년 10월 13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 기탁하였다.
실험예 2. 비만 억제능을 갖는 장내 균주의 유산능 평가
발굴된 균주들중 대표적으로 JBD301 균주를 무균상태의 glucose (2%)를 함유한 탈지우유 (10%) 100㎖에 접종하고 37℃에서 발효시켰다. 요구르트로 발효되는 과정에서 유산능을 측정하기 위해 24시간, 48시간, 72시간이 될 때 pH 변화를 측정하였다. 10개 시료의 측정값은 평균값 ± 표준편차로 표시하였고, 표 1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Time (hr) JBD 301-fermented yogurt pH
24 4.404 ± 0.034
48 4.092 ± 0.059
72 4.048 ± 0.012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산능 생성에 따른 pH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비만 억제능을 갖는 장내 균주에 의한 지방산 농도 감소능 in vitro 평가
JBD301 균주를 MRS agar에 접종한 후 anaerobic jar (Gas-Pack anaerobic systems, BBL)에서 37℃ 혐기배양하였다. 48시간 배양한 후 MRS agar에서 자라난 colony들을 MRS broth가 들어있는 96-well plate로 옮긴 후 37℃에서 혐기 배양하였다. 얻어진 배양액 안의 지방산 양은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EnzyChrom™ Free Fatty Acid Assay Kit (Bio-Assay Systems)를 이용하여 570nm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계산하였다. 즉, 배양액 안의 지방산 양으로부터 JBD301의 지방산 농도 감소능을 계산하고,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JBD301 실험군은 배지의 지방산 농도가 대조군의 55%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고(p=0.01), 나머지 JBD302~JBD309, JBD311~JBD315 균주가 배양된 배지의 지방산 농도 또한 대조군보다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비만 억제능을 갖는 장내 균주에 의한 장 내용액 지방산 농도 소능 in vivo 평가
유산균은 소장에서 균총을 형성하는데, 소장은 체내에서 지방 분해물인 지방산이 주로 흡수되는 곳이다. 대부분의 지방산이 흡수되는 소장에서 지방산의 양이 감소하면 이는 인체로 흡수 가능한 지방산을 줄여주게 되므로 숙주의 칼로리 섭취량을 줄여주게 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장(소장 및 대장) 내용액 (gut fluid content)에서의 지방산 농도 및 양을 측정하였다.
6주령의 C57BL/6 mice 암컷을 구입하여 (Joongang Experimental Animal Co., Seoul, Korea) 7 마리씩 우리(cage)에 넣고, 처음 1주일 동안 사료 (10% fat; D12450B; Research Diets Inc., New Brunswick, NJ, USA)와 물을 자유 급이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12시간 간격으로 밤낮 조명을 바꾸었으며, 온도는 22℃, 습도는 55%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일주일 이상이 지난 후 실험군으로 나누어 각 실험을 시작하였다.
대조군에는 고지방 사료 (HFD containing 45% kcal as fat, D12451, Research Diets Inc.)를 급이 하였고, JBD301 첨가군은 고지방사료에 JBD301 분말을 매일 1×107 CFU 씩 추가하여 급이 하였다. 이후 쥐들은 각자 해당하는 식이를 3주간 자유롭게 섭취하였으며 실험 종료 후 마취하여 sacrifice 시켰다. 각 군의 쥐들로부터 소장과 대장을 분리하여 무게를 잰 후 멸균 식염수로 장내 내용물을 회수하였다. 장내 내용물은 10,000g로 3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얻어내어 지방산의 농도 및 양을 EnzyChrom™ Free Fatty Acid Assay Kit (Bio-Assay Systems)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7 및 도 8에 각각 나타내었다.
참고로, 도 6는 쥐의 장 내용액 (gut fluid content)의 지방산 양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소장 (a, b)과 대장(c, d)의 사진이다.
도 7은 고지방 사료만 섭취한 대조군과 JBD301을 섭취시킨 실험군의 장 내용액 (gut fluid content)의 지방산 농도를 측정한 결과로서, JBD301 실험군의 경우 소장의 장 내용액 (gut fluid content) 지방산 농도는 대조군의 69%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감소하였으나 (p=0.022), 대장의 경우는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158).
도 8은 고지방 사료만 섭취한 대조군과 JBD301을 섭취시킨 실험군의 장 내용액 (gut fluid content)의 지방산의 양을 측정한 결과로서, JBD301 실험군의 경우 소장의 장 내용액 (gut fluid content) 지방산 함량은 대조군의 59%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감소하였으나 (p=0.01), 대장의 경우는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153).
실험예 5. 비만 억제능을 갖는 장내 균주에 의한 식이지방 흡수감소 및 배출증가 in vivo 평가
JBD301을 섭취한 동물에서 식이지방 흡수가 줄어드는지를 평가하기 위해서 실험예 4와 같이 고지방식이 또는 JBD301 첨가 고지방식이를 쥐에게 3주간 섭취시킨 후 14C 방사능표지 된 지방 triolein을 경구투여하였다. 시간별(2시간~96시간)로 채혈된 혈액을 리퀴드 신틸레이션 칵테일(liquid scintillation cocktail)과 섞은 후, 14C 방사능을 Microplate Scintillation Counter (PerkinElmer)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JBD301 실험군의 경우 고지방식이 대조군에 비해 혈액의 방사능이 모든 시간대에서 감소하였는데 특히 경구투여 후, 4시간째에서는 대조군의 62% 수준으로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48).
또한 JBD301을 섭취한 동물에서 식이지방의 배출량이 줄어드는지를 평가하기 위해서 시간별로 얻어진 대변을 Solvable™ (PerkinElmer)에 첨가하고 60℃에서 1시간동안 섞은 후 bead homogenizer로 잘 갈아서 13,000 rpm으로 5분 원심분리하였다. 다음으로 얻어진 상층액에 H2O2를 1/10 (v/v) 첨가하고 50℃에서 다시 10분간 섞어준 후 13,000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다음으로 얻어진 상층액에 리퀴드 신틸레이션 칵테일(liquid scintillation cocktail)을 섞은 후, Microplate Scintillation Counter (PerkinElmer)로 14C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도 10은 JBD301의 섭취시 식이지방의 체외 배출이 늘어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시간별로 대변의 방사능 양을 측정한 결과이다. JBD301 실험군의 경우 고지방식이 대조군에 비해 3일간 대변의 방사능이 증가하였는데 특히 day 1의 경우에서는 대조군의 177% 수준으로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37).
실시예 2. 비만 억제능을 갖는 장내 균주에 의한 체중 조절 효능 in vivo 평가
모든 동물실험은 동물관리 및 이용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의 규정에 따라 수행되었다. 6주령의 C57BL/6 mice 암컷을 구입하여 (Joongang Experimental Animal Co., Seoul, Korea) 열 마리씩 우리에 넣고 처음 1주일 동안 사료 (10% fat; D12450B; Research Diets Inc., New Brunswick, NJ, USA)와 물을 자유 급이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12시간 간격으로 밤낮 조명을 바꾸었으며 온도는 22℃, 습도는 55 ± 5%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일주일 이상이 지난 후 실험군으로 나누어 각 실험을 시작하였다.
고지방 사료 (HFD containing 45% kcal as fat, D12451, Research Diets Inc.)를 12주 급이하여 대사증후군을 유발한 후 쥐들을 무작위로 분리하여 무첨가 대조군, JBD301 첨가군 (1×107 CFU per day), orlistat 첨가군 (50 mg/kg diet, Xenical®, Roche)으로 나누었다. 이후 4주 동안 쥐들은 각자 해당하는 식이를 자유롭게 섭취시키면서 체중변화를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JBD301을 비만 유도 쥐에게 1×107 CFU씩 매일 섭취시켰을 때 뚜렷한 체중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비만 치료용 의약품인 오리스탓을 섭취시켰을 때만큼 우수한 항비만 효과이다.
실시예 3. 비만 억제능을 갖는 장내 균주에 의한 체중 조절 효능 평가 임상 시험
비만 억제능을 갖는 JBD301의 효능을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검증하기 위해 임상시험 2상을 수행하였다(Clinical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of Korea as KCT0000452). 이는 과체중 또는 비만인을 대상으로 JBD301의 섭취가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에 효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JBD301의 임상시험 디자인을 도 12에 나타내었다.
임상시험심사위원회(IRB) 승인을 거친 임상시험 프로토콜에 따라 참가 피험자를 모집하였으며, 모집된 피험자가 선정 기준, 즉 서면 동의서 제출, 25세 이상 65세 이하의 남녀, 체중지수 25~35 kg/m2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피험자로 등록하였다. 또한 피험자 제외 기준으로 최근 12주 간 항생제를 사용한 자, 만성적인 변비 또는 설사가 있는 자, 체중에 영향을 미치는 비만치료제(흡수저해제, 항우울제, 식욕억제제 등), 이뇨제, 피임약, 스테로이드제제, 여성호르몬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 최근 12주 이내에 비만 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또는 다이어트 식품을 지속적으로 섭취/복용한 경우, 조절되지 않는 당뇨나 고혈압 환자, 심장, 신장, 간, 갑상선, 뇌혈관 질환 등이 있는 경우, 우울증, 정신분열증, 알코올중독, 약물중독 등의 질환이 있거나 병력이 있는 자, 최근 5년 이내 암의 진단 및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경우, 시험식품이나 시험식품에 함유된 성분에 대한 과민증이 있는 자, 시험기간동안 음식물과 운동으로 체중을 줄이려는 계획이 있는 자, 임산부 및 수유부를 적용하여 이에 해당시 피험자 등록에서 제외시켰다.
등록된 피험자는 평소 식단을 유지하도록 교육시킨 후 무작위로 그룹핑하여 450mg의 위약 캡슐 또는 JBD301 분말 캡슐 (109 CFU)을 한 알씩 12주간 복용시켰다. 분말 캡슐 450 mg에는 JBD301 분말 또는 식물성 크리머가 12%, 탈지분유 40%, sucrose 40%, ascorbic acid 8% 중량으로 함유되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라 수행된 JBD301의 임상시험에서 모집된 피험자와 이의 대조군 및 실험군 배정 그림이다. 최종 등록된 피험자는 40명이었고, 이중 임상이 완료된 피험자는 37명이었으며, 이들의 baseline characteristics는 다음 표 2와 같다.
classification Group P value
Variable L. reuteri JBD301 Control
All participants 18 (48.6) 19 (51.4)
Sex, male 7 (38.9) 13 (68.4) 0.103
Sex, female 11 (61.1) 6 (31.6)
Age mean ± SEM 39.4 ± 2.7 42.1 ± 3.1 0.578
Height mean ± SEM 165.0 ± 2.4 169.0 ± 2.3 0.233
Weight mean ± SEM 79.6 ± 3.4 80.1 ± 3.0 0.822
BMI mean ± SEM 29.0 ± 0.7 27.9 ± 0.5 0.150
유효성 평가변수로는 체중을 측정하였고, 체지방 역시 computerized tomography와 Dual-Emission X-ray Absorptiometry로 측정하였다. 임상 데이터는 SAS (Version 9.2) 및 MedCalc (Version 11.6.0)를 이용하여 Mann-Whitney U test와 Wilcoxon Signed Rank test에 의해 통계분석되었다.
유효성 평가변수의 percentage change를 비교하기 위하여 Mann-Whitney U test를 사용하였는데, 12주간의 percentage change는 (12주에서의 값-0주에서의 값)을 0주에서의 값으로 나눈 후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식이 조절 및 운동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위약을 복용한 대조군 (n=19)의 체중 변화는 1.77% (1.45kg)이었으나 JBD301을 복용한 시험군 (n=18)의 체중 변화는 0.31% (0.21kg)이었다. 즉 시작점과 종료점 간 체중은 1.46% (1.24kg)의 그룹간 차이 (between-group difference)를 보였다. Mann-Whitney U test 통계처리 분석방법에 의하면 위약 대조군과 JBD301 시험군 간의 percentage change는 체중 (P = 0.026)과 BMI (P = 0.036)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Unit: %)
classification L. reuteri JBD301 Control P value
% change in Variable n Mean ± SEM n Mean ± SEM
Total abdominal Fat area (cm2) 18 1.64 ± 4.26 19 3.45 ± 4.23 1.000
Body fat mass (g) 18 -0.38 ± 2.09 19 3.41 ± 1.17 0.053
Weight (kg) 18 0.31 ± 0.71 19 1.77 ± 0.40 0.026*
BMI (kg/m2) 18 0.32 ± 0.76 19 1.65 ± 0.46 0.036*
Hip circumstance (cm) 18 -0.20 ± 0.45 19 0.76 ± 0.31 0.126
HbA1c (%) 18 -1.61 ± 1.02 19 1.39 ± 1.16 0.118
* P values는 Mann-Whitney U test로부터 얻었으며, P 값이 0.05 이하인 경우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
유효성 평가변수의 percentage difference를 비교하기 위하여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사용하였다. 12주간의 percentage difference는 시험군의 값을 대조군의 값으로 나눈 후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Wilcoxon Signed Rank test 통계처리 분석방법에 의하면 위약 대조군 (n=19)의 체중이 100%일 때 JBD301를 12주간 복용한 시험군 (n=18)의 체중은 대조군의 97.94%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P = 0.028)를 보였다.
(Unit: %)
0 week 12 week P value
% control in body weight 99.45 ± 4.26 97.94 ± 4.21 0.028*
* P values는 Wilcoxon signed rank test로부터 얻었으며, P 값이 0.05 이하인 경우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 Values는 mean ± SEM.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라 수행된 JBD301의 임상시험 결과이다. 도 14로부터, 임상시험을 통해 JBD301을 섭취한 경우,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체중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체중 또는 체지방은 음식물 섭취량이나 운동량 생활습관 등 외부 환경요인에 의해 수시로 변동하는 요인들에 의해 크게 영향 받는다는 점을 감안할 때 대조군과 실험군 간의 차이는 매우 중요한 결과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유동물의 장관계(gastrointestinal tract)에서 "장 내용액(gut fluid content)에 녹아 있는 지방산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비만 억제능을 갖는 장내 균주를 이용할 경우, 현재 비만으로 고통 받고 있는 환자들이 보편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비만치료제로 개발하여 인류의 보건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6.11.2016] 
Figure WO-DOC-FIGURE-128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6.11.2016] 
Figure WO-DOC-FIGURE-129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6.11.2016] 
Figure WO-DOC-FIGURE-130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6.11.2016] 
Figure WO-DOC-FIGURE-131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6.11.2016] 
Figure WO-DOC-FIGURE-132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6.11.2016] 
Figure WO-DOC-FIGURE-133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6.11.2016] 
Figure WO-DOC-FIGURE-134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6.11.2016] 
Figure WO-DOC-FIGURE-135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6.11.2016] 
Figure WO-DOC-FIGURE-136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6.11.2016] 
Figure WO-DOC-FIGURE-137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6.11.2016] 
Figure WO-DOC-FIGURE-138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6.11.2016] 
Figure WO-DOC-FIGURE-139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6.11.2016] 
Figure WO-DOC-FIGURE-140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6.11.2016] 
Figure WO-DOC-FIGURE-141

Claims (12)

  1. 포유동물의 장관계(gastrointestinal tract)에서 "장 내용액(gut fluid content)에 녹아 있는 지방산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비만 억제능을 갖는 장내 균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내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종(Lactobacillus sp .), 스트렙토코커스 종(Streptococcus sp .) 및 락토코커스 종(Lactococcus sp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내 균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종(Lactobacillus sp .)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알리멘타리어스(Lactobacillus alimentarius),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이 서브스피시즈 락티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 Lactis), 락토바실러스 팬터리스(Lactobacillus pantheris),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어스 서브시피시즈 살리시니어스(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 salicinius) 및 락토바실러스 말리(Lactobacillus mali)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종(Streptococcus sp .)은 스트렙토코커스 루테티엔시스(Streptococcus lutetiensis)이며, 상기 락토코커스 종(Lactococcus sp.)은 락토코커스 락티스 서브스피시즈 락티스(Lactococcus lactis subsp . Lacti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종(Lactobacillus sp .)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JBD301 균주(KCTC 12606BP),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JBD302 균주(KCTC 12918BP),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JBD303 균주(KCTC 12919BP),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JBD304 균주(KCTC 12920BP),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JBD305 균주(KCTC 12921BP), 락토바실러스 알리멘타리어스(Lactobacillus alimentarius) JBD306 균주(KCTC 12922BP),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이 서브스피시즈 락티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 Lactis) JBD307 균주(KCTC 12923BP), 락토바실러스 팬터리스(Lactobacillus pantheris) JBD308 균주(KCTC 12924BP),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BD309 균주(KCTC 12925BP),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JBD311 균주(KCTC 12926BP),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어스 서브시피시즈 살리시니어스(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 salicinius) JBD312 균주(KCTC 12927BP) 및 락토바실러스 말리(Lactobacillus mali) JBD313 균주(KCTC 12928BP)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종(Streptococcus sp .)은 스트렙토코커스 루테티엔시스(Streptococcus lutetiensis) JBD314 균주(KCTC 12929BP)이며, 상기 락토코커스 종(Lactococcus sp .)은 락토코커스 락티스 서브스피시즈 락티스(Lactococcus lactis subsp . Lactis) JBD315 균주(KCTC 12930B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5. 포유동물의 장관계(gastrointestinal tract)에서 "장 내용액(gut fluid content)에 녹아 있는 지방산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비만 억제능을 갖는 장내 균주 또는 상기 장내 균주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내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종(Lactobacillus sp .), 스트렙토코커스 종(Streptococcus sp .) 및 락토코커스 종(Lactococcus sp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종(Lactobacillus sp .)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알리멘타리어스(Lactobacillus alimentarius),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이 서브스피시즈 락티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 Lactis), 락토바실러스 팬터리스(Lactobacillus pantheris),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어스 서브시피시즈 살리시니어스(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 salicinius) 및 락토바실러스 말리(Lactobacillus mali)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종(Streptococcus sp .)은 스트렙토코커스 루테티엔시스(Streptococcus lutetiensis)이며, 상기 락토코커스 종(Lactococcus sp.)은 락토코커스 락티스 서브스피시즈 락티스(Lactococcus lactis subsp . Lacti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종(Lactobacillus sp .)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JBD301 균주(KCTC 12606BP),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JBD302 균주(KCTC 12918BP),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JBD303 균주(KCTC 12919BP),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JBD304 균주(KCTC 12920BP),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JBD305 균주(KCTC 12921BP), 락토바실러스 알리멘타리어스(Lactobacillus alimentarius) JBD306 균주(KCTC 12922BP),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이 서브스피시즈 락티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 Lactis) JBD307 균주(KCTC 12923BP), 락토바실러스 팬터리스(Lactobacillus pantheris) JBD308 균주(KCTC 12924BP),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BD309 균주(KCTC 12925BP),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JBD311 균주(KCTC 12926BP),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어스 서브시피시즈 살리시니어스(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 salicinius) JBD312 균주(KCTC 12927BP) 및 락토바실러스 말리(Lactobacillus mali) JBD313 균주(KCTC 12928BP)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종(Streptococcus sp .)은 스트렙토코커스 루테티엔시스(Streptococcus lutetiensis) JBD314 균주(KCTC 12929BP)이며, 상기 락토코커스 종(Lactococcus sp .)은 락토코커스 락티스 서브스피시즈 락티스(Lactococcus lactis subsp . Lactis) JBD315 균주(KCTC 12930B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9. 포유동물의 장관계(gastrointestinal tract)에서 "장 내용액(gut fluid content)에 녹아 있는 지방산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비만 억제능을 갖는 장내 균주 또는 상기 장내 균주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내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종(Lactobacillus sp .), 스트렙토코커스 종(Streptococcus sp .) 및 락토코커스 종(Lactococcus sp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종(Lactobacillus sp .)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알리멘타리어스(Lactobacillus alimentarius),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이 서브스피시즈 락티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 Lactis), 락토바실러스 팬터리스(Lactobacillus pantheris),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어스 서브시피시즈 살리시니어스(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 salicinius) 및 락토바실러스 말리(Lactobacillus mali)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종(Streptococcus sp .)은 스트렙토코커스 루테티엔시스(Streptococcus lutetiensis)이며, 상기 락토코커스 종(Lactococcus sp.)은 락토코커스 락티스 서브스피시즈 락티스(Lactococcus lactis subsp . Lacti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종(Lactobacillus sp .)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JBD301 균주(KCTC 12606BP),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JBD302 균주(KCTC 12918BP),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JBD303 균주(KCTC 12919BP),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JBD304 균주(KCTC 12920BP),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JBD305 균주(KCTC 12921BP), 락토바실러스 알리멘타리어스(Lactobacillus alimentarius) JBD306 균주(KCTC 12922BP),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이 서브스피시즈 락티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 Lactis) JBD307 균주(KCTC 12923BP), 락토바실러스 팬터리스(Lactobacillus pantheris) JBD308 균주(KCTC 12924BP),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JBD309 균주(KCTC 12925BP),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JBD311 균주(KCTC 12926BP),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어스 서브시피시즈 살리시니어스(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 salicinius) JBD312 균주(KCTC 12927BP) 및 락토바실러스 말리(Lactobacillus mali) JBD313 균주(KCTC 12928BP)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종(Streptococcus sp .)은 스트렙토코커스 루테티엔시스(Streptococcus lutetiensis) JBD314 균주(KCTC 12929BP)이며, 상기 락토코커스 종(Lactococcus sp .)은 락토코커스 락티스 서브스피시즈 락티스(Lactococcus lactis subsp . Lactis) JBD315 균주(KCTC 12930B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PCT/KR2016/012791 2015-02-10 2016-11-08 비만 억제능을 갖는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WO2017082611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S16864537T ES2839216T3 (es) 2015-02-10 2016-11-08 Cepa que tiene la capacidad de inhibir la obesidad y composición farmacéutica que contiene la misma
US15/774,328 US11273188B2 (en) 2015-02-10 2016-11-08 Strain having ability to inhibit obesity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same
EP16864537.2A EP3375448B1 (en) 2015-02-10 2016-11-08 Strain having ability to inhibit obesity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same
PL16864537T PL3375448T3 (pl) 2015-02-10 2016-11-08 Szczep posiadający zdolność do hamowania otyłości i zawierająca go kompozycja farmaceutycz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20316 2015-02-10
KR1020150156733A KR102125548B1 (ko) 2015-02-10 2015-11-09 비만 억제능을 갖는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15-0156733 2015-11-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82611A1 true WO2017082611A1 (ko) 2017-05-18

Family

ID=56874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2791 WO2017082611A1 (ko) 2015-02-10 2016-11-08 비만 억제능을 갖는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73188B2 (ko)
EP (1) EP3375448B1 (ko)
KR (2) KR102125548B1 (ko)
ES (1) ES2839216T3 (ko)
PL (1) PL3375448T3 (ko)
WO (1) WO20170826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2801A (ko) * 2019-11-22 2021-06-01 이진영 항균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548B1 (ko) 2015-02-10 2020-06-24 주식회사 지니스 비만 억제능을 갖는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101992537B1 (ko) * 2016-09-30 2019-06-25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TWI645854B (zh) * 2017-03-20 2019-01-01 大江生醫股份有限公司 胚芽乳酸桿菌tci378及其於減脂及改善腸胃功能之應用
KR101873239B1 (ko) * 2017-10-13 2018-07-04 주식회사 지놈앤컴퍼니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m1010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80527B1 (ko) 2018-03-26 2019-05-21 주식회사 지놈앤컴퍼니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lm1016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심혈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43740B1 (ko) * 2018-11-19 2019-11-12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hy7014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CN110205261B (zh) * 2019-05-10 2020-08-04 湖南菲勒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母乳来源罗伊氏乳杆菌降脂及调节脂代谢节律的应用
WO2021107500A1 (ko) * 2019-11-29 2021-06-03 주식회사 지니스 혈중 암모니아 수치 저하능을 갖는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KR102128098B1 (ko) * 2020-03-23 2020-06-30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CKDB00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36335B1 (ko) * 2020-03-24 2020-07-22 (주)메디톡스 간기능 개선 또는 지방축적 억제 미생물 및 그의 용도
KR102191487B1 (ko) * 2020-06-19 2020-12-15 (주)메디톡스 간기능 개선 또는 지방축적 억제 미생물 및 그의 용도
TWI783379B (zh) * 2021-02-19 2022-11-11 豐華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抗肥胖的乳酸菌菌株組成物及其應用
CN115449520A (zh) * 2021-06-09 2022-12-09 杭州芳韵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抗虫基因和耐草甘膦基因表达载体及其应用
AU2022302837B2 (en) * 2021-06-30 2024-06-13 Gi Biome Inc. Composition comprising three lactobacillus sp. strains, and use thereof
CN117431189B (zh) * 2023-12-08 2024-03-15 千禾味业食品股份有限公司 一株副干酪乳杆菌副干酪亚种菌株qh-20029及其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180A (ko) * 2002-09-27 2004-04-01 (주)바이오니아 비만 또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 유산균발효 유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22764A (ko) * 2009-03-10 2012-03-12 주식회사 지니스 미생물을 이용한 비만 및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
KR101426275B1 (ko) * 2014-04-04 2014-08-06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지방합성 억제 및 지방산화 촉진에 의한 체지방 감소 효능을 갖는 5종의 유산균 복합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160098955A (ko) * 2015-02-10 2016-08-19 주식회사 지니스 비만 억제능을 갖는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64854A1 (fr) 1999-04-27 2000-11-02 Kabushiki Kaisha Yakult Honsha Esters d'acides gras conjugues
KR100794702B1 (ko) 2003-07-21 2008-01-14 (주)바이오니아 비만증 또는 당뇨병 예방 및/또는 치료용 미생물
KR100794701B1 (ko) 2002-08-09 2008-01-14 (주)바이오니아 비만 또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미생물
KR100543114B1 (ko) 2003-09-15 2006-01-20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케이와이 912
US7001756B1 (en) 2004-02-19 2006-02-21 Genmont Biotech Inc. Microorganism strain of GM-020 of Lactobacillus rhamnosus and its use for treating obesity
KR100686557B1 (ko) * 2004-08-16 2007-02-23 씨제이 주식회사 체지방 저하 기능성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와 이를 함유한 식품
KR100686558B1 (ko) 2004-09-02 2007-02-23 씨제이 주식회사 체지방 저하 기능성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륨와 이를 함유한 식품
CN101233231B (zh) * 2005-07-26 2011-06-29 内斯特克有限公司 抗肥胖剂及抗肥胖食品
CN101410128A (zh) 2006-01-27 2009-04-15 丹尼斯科公司 益生微生物用于治疗和预防肥胖及相关病症的用途
US8309076B2 (en) 2006-08-04 2012-11-13 Bioneer Corporation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mother's milk with probiotic activity an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body weight augmentation
JP2008214253A (ja) 2007-03-02 2008-09-18 Snow Brand Milk Prod Co Ltd 内臓脂肪減少剤
EP2022502A1 (en) 2007-08-10 2009-02-11 Nestec S.A. Lactobacillus rhamnosus and weight control
US9113641B2 (en) * 2007-12-06 2015-08-25 Arla Foods Amba Probiotic bacteria and regulation of fat storage
ATE537707T1 (de) 2008-05-16 2012-01-15 Nestec Sa Lactobacillus paracasei und gewichtskontrolle
EP2216036A1 (en) 2009-02-10 2010-08-11 Nestec S.A. Lactobacillus rhamnosus NCC4007, a probiotic mixture and weight control
EP2216035A1 (en) 2009-02-10 2010-08-11 Nestec S.A. Lactobacillus rhamnosus CNCM I-4096 and weight control
EP2216034A1 (en) 2009-02-10 2010-08-11 Nestec S.A. Lactobacillus helveticus CNCM I-4095 and weight contro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180A (ko) * 2002-09-27 2004-04-01 (주)바이오니아 비만 또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 유산균발효 유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22764A (ko) * 2009-03-10 2012-03-12 주식회사 지니스 미생물을 이용한 비만 및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
KR101426275B1 (ko) * 2014-04-04 2014-08-06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지방합성 억제 및 지방산화 촉진에 의한 체지방 감소 효능을 갖는 5종의 유산균 복합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160098955A (ko) * 2015-02-10 2016-08-19 주식회사 지니스 비만 억제능을 갖는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UNG, H. -J. ET AL.: "Intestinal Removal of Free Fatty Acids from Hosts by Lactobacilli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FEBS OPEN BIO, vol. 6, no. 1, 18 January 2016 (2016-01-18), pages 64 - 76, XP055382291 *
KANG, HYUN GYU: "42) Bio Venture Company, JINIS, CEO KI1VI, Hyeon Jin], Rising Company in Biotechnologie field", THE JEONBUK ILBO ARTICLE, 26 October 2014 (2014-10-26), pages 1 - 3,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528383>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2801A (ko) * 2019-11-22 2021-06-01 이진영 항균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344838B1 (ko) 2019-11-22 2021-12-28 이진영 항균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375448T3 (pl) 2022-01-10
EP3375448B1 (en) 2020-09-30
KR20160098955A (ko) 2016-08-19
EP3375448A1 (en) 2018-09-19
KR102125548B1 (ko) 2020-06-24
ES2839216T3 (es) 2021-07-05
US11273188B2 (en) 2022-03-15
US20200061132A1 (en) 2020-02-27
EP3375448A4 (en) 2019-04-24
KR20180088353A (ko) 2018-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82611A1 (ko) 비만 억제능을 갖는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US10471111B2 (en) Lactobacillus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degenerative brain diseases or cognitive function disorders
WO2019199094A1 (ko)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신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US8642318B2 (en) Anti-fatty liver agent
WO2020091166A1 (ko)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WO2018062914A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611834B1 (ko) 비만 및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락토바실루스 플란타룸 cbt lp3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22145807A1 (ko) 신규한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멀리스 락티스 hem20-01 균주, 및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치료용 조성물
JP2018520677A (ja) たとえば、細菌性膣炎の治療のためのLactobacillus rhamnosus(ラクトバチルス・ラムノサス)細菌
WO2018030732A1 (ko) 바실러스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EP3342853A1 (en) Intestinal bacteriabutyribacterintestini
KR20210156445A (ko) 들쭉나무 열매 분말 또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장내 환경 개선용 조성물
KR101611837B1 (ko) 비만 및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 cbt lr5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401535B1 (ko) 간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045972A1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인체 유래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엠지4231 또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엠지4244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20128260A (ko) 혼합 유산균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WO2021020923A1 (ko) 간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간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방법
WO2021015514A1 (ko) 엔테로코쿠스 락티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171256A1 (ko)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성장 억제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균주
CA3121419A1 (en) Phascolarctobacterium faecium for us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 and its comorbidities
KR101611832B1 (ko) 비만 및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말리스 락티스 cbt bl3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24029670A1 (ko)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 bcc-lh-04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23229263A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nchbl-004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611830B1 (ko) 비만 및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cbt br3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434006B1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유산균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6453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864537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