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2801A - 항균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항균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2801A
KR20210062801A KR1020190150895A KR20190150895A KR20210062801A KR 20210062801 A KR20210062801 A KR 20210062801A KR 1020190150895 A KR1020190150895 A KR 1020190150895A KR 20190150895 A KR20190150895 A KR 20190150895A KR 20210062801 A KR20210062801 A KR 20210062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
present
antibacteri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4838B1 (ko
Inventor
이진영
김민수
김문수
이진동
Original Assignee
이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영 filed Critical 이진영
Priority to KR1020190150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838B1/ko
Publication of KR20210062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5Lactobacillus plantar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YG1102(수탁번호: KCCM 11838P)와, 상기 균주 또는 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 또는 그 배양액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유해 세균에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다양한 세균 감염증에 적용 가능하며, 췌장 리파아제 효소의 활성을 직접 억제하여 우수한 항비만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은 가공 홍삼에서 분리된 균주로 인체에 매우 안전할 뿐만 아니라, 안정성도 매우 탁월하여 식품, 및 의약품 분야에서 항균 및 항비만의 목적으로 유용하게 이용 가능하다.

Description

항균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 및 이의 용도{Lactobacillus Plantarum YG1102 Strain Having Antimicrobial and Anti-Obesity Activity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항균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유산균은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며 탄수화물을 혐기적으로 이용하여 유산을 생산한다. 유산균이 발견되는 자연환경은 다양한데, 사람이나 동물의 장내에 존재할 뿐 아니라, 다양한 채소와 과일에서도 발견되며 우리나라의 김치나 요구르트, 독일의 사우어크라우트와 같은 발효식품에서 그 발효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들 유산균은 장내로 유입된 후 장내 상피세포에 착생하게 되어 유해 미생물의 장 정착을 방지하고 항균물질을 분비함으로써 유해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고 설사와 변비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면역 활성 증진, 항암 작용,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 등의 작용을 수행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이들 유산균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식품에 첨가되어 이들의 대사산물인 유산에 의해 식품의 저장성을 향상시키며 식품의 향미와 조직을 개선한다고 알려져 있다.
유산균은 생균제의 일종으로, 크게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락토코커스(Lactococcus),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루코노스톡(Leuconostoc),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으로 구분하며, 장관 및 비뇨생식기의 미생물 오염방지 및 장 건강 유지, 변비완화, 유해균 증식억제, 항암, 면역증강, 콜레스테롤 감소, 공액 리놀레산(CLA, Conjugated linoleic acid) 생산, 헬리코박터 피롤리 억제 기능 등의 역할을 함으로써 인체 건강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생균제로 사용 가능한 미생물은 위산 및 담즙산에 대한 저항성(J. Dairy Sci. (1999) 82: 23-31), 숙주 소장 표피세포의 정착능력 및 증식능력(Appl. Environ. Microbiol. (2000) 66: 1152-1157; Appl. Environ. Microbiol. (1997) 63: 513-518), 안전성 등의 특징을 갖추어야 한다(Selection of strains for probioticuse, (1992) pp. 209-224, Chapmann & Hall, London).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0443254호에는 내산성, 내담즙성 및 항생제 내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가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0464642호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케이와이 1032 균주가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0-2033067호에는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애니말리스 SWLA-1 균주 등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유산균은 생균제로서 섭취가 용이한 식품 첨가제 등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체내 유익한 유산균들이 체내에 흡수되어 체내 지방 흡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활성이 우수한 유산균을 발굴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다면, 장내 미생물 환경 개선과 더불어 체중 증가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대사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건강한 식생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므로 식품의 기능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유산균 중에서 체내 지방 흡수 감소에 우수한 활성을 갖는 유산균을 분리동정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가 위장관에서의 소화를 위한 체류 시간 동안 강산성의 위액에도 생존할 수 있는 충분한 내산성을 보유하고 있고, 유해 미생물 7종의 성장을 모두 억제하는 뛰어난 항균 효능을 나타내는 등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동시에, 동 균주가 생성한 발효 산물이 췌장 리파아제 효소의 활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하여 체내 지방 흡수를 감소하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내산성, 항균 활성 등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동시에 췌장 리파아제 효소의 활성을 직접 억제하여 체내 지방 흡수를 감소하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를 이용한 항균 및 비만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항균 활성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YG1102(수탁번호: KCCM 11838P)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YG1102"은 본 발명자들에 의해 홍삼에서 새롭게 분리 동정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로서, "YG1102 균주" 또는 "YG1102"와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항비만 활성을 갖는 신규 프로바이오틱 유산균 제제의 개발을 위해 홍삼에서 분리된 유용 미생물의 항균 효과에 대해 수년간 조사 분석하였고, 그 결과 가공 홍삼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가 위장관에서의 소화를 위한 체류 시간 동안 강산성의 위액에도 생존할 수 있는 충분한 내산성을 보유하고 있고, 유해 미생물 7종의 성장을 모두 억제하는 뛰어난 항균 효능을 나타내는 등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동시에, 동 균주가 생성한 발효 산물이 췌장 리파아제 효소의 활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하여 체내 지방 흡수를 감소하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고, 또한 인체에 적용시 안전성에도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는 서열번호 1의 16s rDNA 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유전자 서열을 종래 공지된 균주들의 유전자 서열들과 비교 분석한 결과, 본 발명의 균주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에 속하는 새로운 균주임을 확인하여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로 명명하였고,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기탁하고, 수탁번호 KCCM 11838P를 부여받았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는 다양한 유해균에 대해 항균 활성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는 그람 양성균, 그람 음성균 및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스타필로코코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에스체리치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살모넬라 파라티피에이(Salmonella paratyphi),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m), 클레브시엘라 뉴모니애(Klebsiella pneumoniae) 및 클레브시엘라 옥시토카(Klebsiella oxytoca)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병원성 균주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는 췌장 리파아제 효소 억제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로 대두와 곡물을 발효하여 제조한 발효 산물이 10,000ppm 농도에서는 췌장 리파아제 효소의 활성을 30.5% 억제하고, 인체 내에서 직접적으로 억제하여 체내 지방 흡수를 감소시키고, 이를 통해 몸무게를 줄여주는 다이어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는 제니스틴(genistin) 및 다이진(daidzin)을 제니스테인(genistein) 및 다제인(dadzein)으로 전환하는 이소플라본 배당체 전환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가 비교 균주들에 비해 기능성과 영양성이 풍부한 제니스테인과 다제인과 같은 아글리콘 성분으로의 전환율이 10배 내지 30배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고, 대두와 같은 콩과 작물의 발효 효율을 제고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YG1102(수탁번호: KCCM 11838P), 또는 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항균 및 항비만용 조성물은 스타필로코코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에스체리치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살모넬라 파라티피에이(Salmonella paratyphi),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m), 클레브시엘라 뉴모니애(Klebsiella pneumoniae) 및 클레브시엘라 옥시토카(Klebsiella oxytoca)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병원성 균주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 및 항비만용 조성물은 췌장 리파아제 효소 억제를 통해 항비만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YG1102(수탁번호: KCCM 11838P), 또는 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비만용 조성물은 항균 활성 및 항비만 효과가 우수하므로, 유해성 병원균에 대한 감염을 치료 및 예방하고, 비만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YG1102(수탁번호: KCCM 11838P), 또는 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은 스타필로코코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에스체리치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살모넬라 파라티피에이(Salmonella paratyphi),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m), 클레브시엘라 뉴모니애(Klebsiella pneumoniae) 및 클레브시엘라 옥시토카(Klebsiella oxytoca)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병원성 균주에 대해 항균 활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YG1102(수탁번호: KCCM 11838P), 또는 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은 췌장 리파아제 효소 억제를 통해 항비만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YG1102(수탁번호: KCCM 11838P) 균주 또는 그 배양액은 식용 가능한 홍삼에서 분리된 유산균의 일종으로 임상투여시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신균주 YG1102 또는 그 배양액은 실제로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리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균주 YG1102 또는 그 배양액은 생리식염수 또는 유기용매와 같이 약제로 허용된 여러 전달체(carrier)와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안정성이나 흡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글루코스, 수크로스 또는 덱스트란과 같은 카보하이드레이트, 아스코르브 산(ascorbic acid) 또는 글루타치온과 같은 항산화제(antioxidants), 킬레이트화제(chelating agents), 저분자 단백질 또는 다른 안정화제(stabilizers)들이 약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균주 YG11027 또는 그 배양액의 유효용량은 0.01 내지 10 ㎎/㎏이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 이며, 하루 1회 내지 3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서 또는 그 배양액은 총 유효량은 볼루스(bolus) 형태 혹은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 주입(infusion) 등에 의해 단일 투여량(single does)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es)이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농도는 약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나이 및 건강상태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의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신균주 NIBR97 또는 그 배양액의 약학적 조성물로서의 특정한 용도에 따른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YG1102(수탁번호: KCCM 11838P), 또는 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비만용 조성물은 항균 및 항비만 효과가 우수하므로, 유해성 병원균에 대한 감염을 예방하고, 비만 질환의 예방을 위한 식품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YG1102(수탁번호: KCCM 11838P)과, 항균 및 항비만 활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YG1102(수탁번호: KCCM 11838P), 또는 그 배양액의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의 가공물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보조첨가제"란 식품에 보조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보조첨가제의 예로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상기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식품보조첨가제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건강기능식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제조 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세균성 질환을 예방하고 비만을 개선하는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이 취할 수 있는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의미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기능성 식품 등 당업계에 알려진 용어와 혼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식품에 포함될 수 있는 적절한 기타 보조 성분과 공지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한 즙, 차, 젤리 및 주스 등에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동물을 위한 사료로 이용되는 식품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YG1102(수탁번호: KCCM 11838P),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물 및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효용 스타터(starter)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효용 스타터란 발효에 관여하는 유산균을 포함하는 미생물, 이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 및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제 또는 조성물을 의미하며, 발효용 스타터는 발효식품 등의 생산시 첨가하여 발효식품에서 생장할 수 있는 미생물 또는 우점종으로 생장할 수 있는 미생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발효용 스타터를 사용하여 발효식품을 제조하는 경우, 상기 발효용 스타터에 포함된 미생물에 의하여 발효식품의 품질을 일정하게 조절하거나, 발효의 속도 또는 단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특정한 목적을 달성한 발효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효용 스타터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YG1102(수탁번호: KCCM 11838P) 균주는 각종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하며, 췌장 리파아제 효소 억제를 통해 항비만 활성이 있으며, 홍삼에서 분리되어 인체에 무해하므로, 다이어트 및 항균 활성이 있는 안전한 발효식품 제조에 있어서 발효용 스타터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YG1102(수탁번호: KCCM 11838P)와, 상기 균주 또는 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 또는 그 배양액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유해 세균에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다양한 세균 감염증에 적용 가능하며, 췌장 리파아제 효소의 활성을 직접 억제하여 우수한 항비만 효과가 있다.
(c) 또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은 가공 홍삼에서 분리된 균주로 인체에 매우 안전할 뿐만 아니라, 안정성도 매우 탁월하여 식품, 및 의약품 분야에서 항균 및 항비만의 목적으로 유용하게 이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와 비교 균주들을 pH 3.0 조건에서 1시간 경과 후 생균수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와 비교 균주들을 pH 3.0 조건에서 2시간 경과 후 생균수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로 대두와 현미를 발효하여 제조한 발효 산물에 대한 동결건조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시간 경과에 따라 췌장 리파아제 저해 활성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의 동결건조 분말(위 그래프)과 배양여액(아래 그래프)을 3T3-L1세포에 처리한 후 세포 생존률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의 배양여액을 CCD-18CO 세포에 처리한 후 세포 생존률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균주 분리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는 가공 홍삼에서 분리되었다.
홍삼에 천착한 유산균 균주의 분리를 위해 멸균 식염수에 편취한 홍삼의 일부를 넣고 호모게나이저로 30초간 균질화한 후, MRS agar 고체배지(Difco社, USA)에 도말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노란색 집락을 백금이로 취하여 액상 MRS 배지에 배양하기를 10회 반복하는 실험을 거쳐 단일 균주로 순수 분리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순수 분리된 균주를 글리세린과 함께 -70℃에서 냉동 보관하였다.
실시예 2. API kit를 통한 생리학적 특성 규명
API 50 CHL kit를 이용하여 순수 분리된 균주의 생리학적 특성을 검사하였다.
먼저, 순수 분리된 균주를 MRS agar plate에 도말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매우 높은 탁도를 유지하기 위해 백금이로 콜로니를 수득하여 2ml 멸균 생리식염수에 고농도로 현탁하였다. 이를 5ml 멸균 생리식염수에 n 방울 떨어뜨려 Mcfarland 2로 맞추었다. 다시 n 방울을 API 50 CHL 배지에 부유시켜 스트립 큐브에 분주하고 미네랄 오일을 첨가하여 혐기적 상태로 35℃에서 24시간과 48시간 양성과 음성반응을 검사하고, 하기 [표 1] 및 [표 2]에 정리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2]
Figure pat00002
API kit 검사결과, 순수 분리된 균주는 총 49종의 검사대상 기질 중 L-Arabinose, Ribose, D-glucose, D-fructose, D-manose 등 26개 기질에 대해 양성반응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rRNA 염기서열 분석을 이용한 균주 동정
분리된 균주의 동정을 위하여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균주의 16s rRNA에 대한 시퀀싱 프라이머(Sequencing primer)로 785F 5'(CGA TTA GAT ACC CTG GTA) 및 907R 5'(CCT TCA ATT CMT TTR AGT TT) 프라이머를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NCBI-DB, SILVA-DB 모두를 사용하여 계통 발생학적으로 동정하였다.
분리 균주의 염기서열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공시균주 Lactobacillus plantarum(gi:636559545) 균주와 99% 염기서열 상동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로 동정하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Lactobacillus plantarum YG1102)으로 명명하였으며,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특허균주로 2016년 5월 17일자로 기탁하였다(기탁번호 KCCM11838P).
실시예 4.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의 내산성 평가
실시예 3에서 동정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를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였다.
상기 동결건조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를 멸균 생리식염수에 3회 희석하여 실험 균체수를 1.0X108 CFU/g 농도로 9ml 시험관에 1N-HCl 용액을 pH 3.0으로 조절하여, 희석된 각기 다른 동결 건조된 유산균을 1ml 씩 분주하여, 37℃ 100rpm으로 진탕배양 하였다. 1시간 및 2시간 경과 후, 샘플을 MRS agar 배지에 50㎕ 도말하여 생존한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비교 실험을 위해 엔테로코코스 훼시엄(E. faecium), 페디오코커스 에시디락티시(P. acidilactici),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 brevis)의 3종 유산균 균주를 사용하여 같은 조건에서 처리하였다.
pH 3.0 조건에서 1시간 경과 후 MRS 플레이트에서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플란타룸 YG1102 균주와 엔테로코코스 훼시엄 균주는 생균수가 10,000개 이상으로 측정되었으며, 나머지 2종 유산균 균주는 100개 정도의 콜로니 수만이 관찰되었다(도 2). 또한, 2시간이 경과 후에는 생균수가 급격히 줄어 엔테로코코스 훼시엄 균주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 모두 생균수가 1,000개 정도로 측정되었고, 나머지 2종의 유산균 균주는 0 내지 50개 수준으로 측정되었다(도 3).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는 호모 형태의 발효양상을 보이는 유산균 균주들과 유사하게 동등 이상의 내산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반대로 이형(헤테로형) 발효 유산균들은 내산성이 그리 높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는 위장관에서의 소화를 위한 체류 시간 동안 강산성의 위액에도 생존할 수 있는 충분한 내산성을 지닌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살아서 장에 도달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5.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의 항균 활성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를 항균 활성을 평가하였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와 함께 김치에서 분리된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CTC 3188 균주를 사용하였다.
2종 균주 모두 MRS(Difco, USA)를 4% 첨가하여 조제된 배지를 멸균하고 37℃에서 18시간 배양하여 균주배양액을 원심분리(3,000xg, 15분)하고, 회수한 상등액을 0.45㎛ 멤브레인 필터로 제균하여 배양액을 준비하였다.
병원성 공시균주 7종을 1.0 X 105 CFU/g 농도로 분주한 후, 병원성 균주가 있는 60㎕ 용액을 nutrient agar(Difco, USA) 배지에 도말하였다. 도말한 용액을 건조하고 살균된 paper disc(φ6mm, Whatman, UK)를 올려놓고, 준비된 배양 상등액을 paper disc에 30㎕ 첨가한 다음,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억제환의 지름을 측정하고, [표 3]에 정리하였다.
[표 3]
Figure pat00003
실험 결과,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의 배양액은 유해 미생물 7종의 성장을 모두 억제하는 뛰어난 항균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6.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 발효 산물의 췌장 리파아제 효소 억제 활성
췌장 리파아제는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를 2-모노아실글리세롤(2-monoacylglycerol)과 지방산(fatty acid)으로 분해하는 지방분해효소로, 섭취된 지방을 50% 내지 70% 정도 분해하는 효소이다. 이러한 췌장 리파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면 음식물로부터 흡수된 지방의 분해가 감소하게 되며, 체내 지방 흡수가 감소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칼로리 섭취량을 감소시켜 몸무게를 줄여주는 다이어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산물의 췌장 리파아제 효소 억제 활성을 아래와 같이 평가하였다.
먼저, 대두와 현미곡물을 중량비 1:1로 하여 15시간 수침하고 118℃까지 승온하여 30분간 뜸을 들인 후, 무균상자에서 40℃까지 곡물을 냉각하였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를 각각 37℃ 90rpm으로 MRS 배지에 17시간 배양하였고, 상기 냉각된 곡물에 0.1%(v/v) 농도로 접종하였으며, 37℃에서 20시간 발효시켜 건조한 후 분쇄하여 발효 산물을 제조하였다.
췌장 리파아제(Pancreatic lipase) 효소 저해 활성의 측정은 효소 버퍼(enzyme buffer)(10mM MOPS, 1mM EDTA, pH 6.8)에 췌장 리파아제(porcine pancreatic lipase)를 0.5g/200㎖의 농도로 4℃를 유지하며 용해한 후, 4000rpm에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사용하였다. 효소 버퍼 6㎕에 169㎕ Tris buffer(100mM Tris-HCl, 5mM CaCl2, pH 7.0)를 혼합하였으며, 기질로 ρ-NPB(ρ-nitriphenyl butyrate)를 다이메틸폼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용액에 10mM 농도로 녹인 뒤 사용하였다. 상기 효소와 농도별 시료를 첨가하여 37℃에서 15분 반응시킨 뒤 기질을 첨가하여 37℃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405nm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상기 시료는 유산균 발효처리 없이 대두와 현미를 증자한 대조군과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로 대두와 현미곡물을 발효하여 제조한 발효 산물 2종류를 시료로 사용하였다. 증류수 200ml에 각 시료 30g을 현탁한 후, 5,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고형물을 제거하고, 여과 후 동결건조하여 제조한 대조군과 시험군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췌장 리파아제 저해 활성은 시료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값을 비교하여 감소율로 측정하였다(도 4).
실험 결과, 발효처리하지 않은 시료를 사용한 대조군은 농도에 따른 변화가 없었으며,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산물을 시료로 처리한 시험군 1은 5,000ppm 농도까지 췌장 리파아제 효소 억제 활성이 미비하게 나타났으나, 10,000ppm 농도에서는 췌장 리파아제 효소의 활성을 30.5%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와 같은 실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를 곡물과 같이 섭취하는 경우, 실제 인체의 소화기관에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를 통해 생성된 발효 산물이 췌장 리파아제 효소의 활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하여 체내 지방 흡수를 감소시키고, 이를 통해 몸무게를 줄여주는 다이어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의 이소플라본 배당체 전환능
대두는 단백질 함량이 35% 이상의 영양학적으로 매우 우수한 작물이나 발효 가공 중에 바실러스 속 균주의 작용으로 이취나 불쾌취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를 통하여 대두의 이취나 불쾌취를 제거하고, 발효 이용성을 높일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실험하였다. 실험은 대두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이소플라본인 제니스틴(genistin) 또는 다이진(daidzin)과 같은 배당체를 유산균 균주의 단일균 배양으로 베타 글루코시다아제(β-glucosidase) 활성에 의해 당잔기가 가수분해되고 아글리콘(aglycone)인 제니스테인(genistein)이나 다제인(dadzein) 형태로의 전환되는지 여부를 실험하였다.
먼저 대두를 30℃ 이하에서 30μm 미만으로 열변성 없이 미분쇄하였고, 증류수와 혼합비율을 10% 중량비로 하여 총 부피가 2,500ml가 되도록 대두 미분쇄 용액을 조성하였다. 이를 121℃에서 30분간 멸균하였고, 다시 35℃로 냉각하였다. 멸균한 MRS 배지에 미리 배양하여 준비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와 비교균주인 L. casei KCTC 3188 및 L. lactics KCTC 2181 균주를 중량비 3% 범위로 각각 대두 미분쇄 용액에 접종하였고, 37℃, 105rpm 조건으로 48시간 발효하였으며, 마지막 온도를 30℃로 세팅하고 4일간 동결건조하여 대두 미분쇄물 발효 산물에 대한 시료를 준비하였다.
제니스테인과 다제인 함량 분석은 Gr
Figure pat00004
n IU 등의 방법(J. Agric. Food Chem. 2001, 49, 2839-2843., Changes in the Profile of Genistein, Daidzein, and Their Conjugates during Thermal Processing of Tofu)을 변형하여 아래 [표 4]와 같이 진행하였으며, 제니스테인과 다제인의 표준물질은 Sigma(USA) 제품을 사용하였다.
[표 4]
Figure pat00005
실험 결과, 비교 균주인 L. casei KCTC 3188 균주는 제니스테인과 다제인 함량이 각각 1.5ppm 및 1.0ppm 농도로 검출되었고, L. lactics KCTC 2181 균주도 제니스테인과 다제인 함량이 각각 2.1ppm 및 2.3ppm 농도로 검출되어 제니스틴 또는 다이진 성분의 제니스테인과 다제인 성분으로의 전환율이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5]
Figure pat00006
한편,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는 제니스테인과 다제인 함량이 각각 43ppm 및 57ppm 농도로 검출되어, 비교 균주들에 비해 기능성과 영양성이 풍부한 제니스테인과 다제인과 같은 아글리콘 성분으로의 전환율이 10배 내지 30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는 대두와 같은 콩과 작물의 발효효율을 높이는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대두 발효의 불쾌취는 패널 5인을 대상으로 관능적인 후각 평가를 하였으며, 불쾌취의 농도가 작은 것을 순차적으로 1로 하고 강한 불쾌취는 5로 하였을 때, 동일한 발효조건으로 38℃, 48시간으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를 대두 중량비 0.1% 접종한 것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0.1%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를 0.1% 공발효하여 비교하였을 때, 바실러스 단독 배양한 대두발효물의 경우에는 5점, 공배양한 대두발효물은 더 낮은 점수인 평균 1.6점(1점 2명, 2점 3명)으로 각각 평가되었다(표 6 참조).
[표 6]
Figure pat00007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는 바실러스 속 균주와 공발효하여 콩과 작물의 발효효율을 높이는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8. 섬유아세포와 대장세포에서 MTT assay 실험을 통한 안전성 평가
실험에 사용한 마우스 엠브리오(mouse embryo) 유래 3T3-L1 세포는 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A, USA)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CCD-18CO(인체 대장 세포) 세포는 한국 세포주 은행으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3T3-L1 세포는 10% FBS와 100units/ml의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이 함유된 DMEM(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를 사용하였고, CCD-18CO 세포는 10% FBS와 100units/ml의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함유된 MEM(Minimum essential medium)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조건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96-웰 세포배양 플레이트에 5×104 cells/ml이 되도록 100μl씩 분주하여 37℃, 5%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배지는 제거하였고, 각 시료를 배지로 희석하여 각 웰당 100μl씩 첨가하였다.
대조군에는 시료 대신 배지만 100μl로 첨가하였다. 시료가 첨가된 플레이트를 다시 37℃, 5%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MTT assay를 위하여 MTT[3-(4,5-dimethylthiazole)-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시약 4mg을 PBS로 녹인 후, 배지 부피의 1/10인 10μl씩 첨가하였고 3~4시간 동안 더 배양하여 MTT가 환원되도록 하였다. 배양종료 후 생성된 포마잔(formazan) 결정을 가라앉힌 후 각 웰에 형성된 결정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반응 후 남은 MTT 시약이 처리된 배지를 제거하였다. 배지가 제거된 각 well에 포마잔 결정을 용해시키기 위하여 DMSO를 100μl씩 분주하여 5~10분간 반응시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 EL808, BIO-TEK instrument Inc, Winooski VT, USA)로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 흡광도는 MTT가 세포에 의해서 환원된 양을 나타내며, 따라서 각 웰에 존재하는 세포의 생존 수와 비례한다. 세포 생존율은 다음의 식에 따라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도 5 및 도 6에 정리하였다.
[Cell viability(%)] = ABSsample / ABScontrol × 100
실험 결과,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YG1102의 동결건조 분말(도 5 위 그래프)과 원심분리기 5,000rpm 회전시켜 균체를 제거한 상등액인 배양여액(도 5 아래 그래프) 모두 3T3-L1세포에 독성을 일으키지 않았고, CCD-18CO 세포(도 6)에서도 독성을 일으키지 않으며 안전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는 위장관에서의 소화를 위한 체류 시간 동안 강산성의 위액에도 생존할 수 있는 충분한 내산성을 보유하고 있고, 유해 미생물 7종의 성장을 모두 억제하는 뛰어난 항균 효능을 나타내며, 대두와 같은 콩과 작물에 함유된 제니스틴 또는 다이진 성분을 제니스테인과 다제인 성분으로의 전환하여 발효 효율을 제고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인체에 어떠한 독성을 일으키지 않으며 안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를 통해 생성된 발효 산물이 췌장 리파아제 효소의 활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하여 체내 지방 흡수를 감소시키고, 이를 통해 몸무게를 줄여주는 다이어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LEE, Jinyoung <120> Lactobacillus Plantarum YG1102 Strain Having Antimicrobial and Anti-Obesity Activity and Uses thereof <130> PN190068AN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991 <212> DNA <213> Lactobacillus plantarum <400> 1 tggctttcta tgatgctagt gttggagggt ttccgccctt cagtgctgca gctaacgcat 60 taagcattcc gcctggggag tacggccgca aggctgaaac tcaaaggaat tgacgggggc 120 ccgcacaagc ggtggagcat gtggtttaat tcgaagctac gcgaagaacc ttaccaggtc 180 ttgacatact atgcaaatct aagagattag acgttccctt cggggacatg gatacaggtg 240 gtgcatggtt gtcgtcagct cgtgtcgtga gatgttgggt taagtcccgc aacgagcgca 300 acccttatta tcagttgcca gcattaagtt gggcactctg gtgagactgc cggtgacaaa 360 ccggaggaag gtggggatga cgtcaaatca tcatgcccct tatgacctgg gctacacacg 420 tgctacaatg gatggtacaa cgagttgcga actcgcgaga gtaagctaat ctcttaaagc 480 cattctcagt tcggattgta ggctgcaact cgcctacatg aagtcggaat cgctagtaat 540 cgcggatcag catgccgcgg tgaatacgtt cccgggcctt gtacacaccg cccgtcacac 600 catgagagtt tgtaacaccc aaagtcggtg gggtaacctt ttaggaacca gccgcctaag 660 gtgggacaga tgattagggt gaagtcgtaa cagggtaacc cgtaaaatag cggggcggtg 720 ccaacttggt atgcgggagg aagcatccgg ttcccgggag atatcccccc gcctccgggc 780 cgggttttcc taccttcttt cgccctcgct cgcccccatc accagatgca aatacgcggt 840 ggtcggcccc ctgccgtttc caccggttcg cgtttgtttg ttgtgtttat ttgtttctct 900 tttgtttttt gtctgccgtg ttggggtgtc ttctaagagg tgtgtttggg ggtccgtctg 960 ttgtcgtggg tctgtgttcg gcttctgcgg t 991

Claims (11)

  1. 항균 활성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YG1102(수탁번호: KCCM 11838P).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의 16s rDNA 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YG1102(수탁번호: KCCM 11838P).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스타필로코코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에스체리치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살모넬라 파라티피에이(Salmonella paratyphi),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m), 클레브시엘라 뉴모니애(Klebsiella pneumoniae) 및 클레브시엘라 옥시토카(Klebsiella oxytoca)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병원성 균주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YG1102(수탁번호: KCCM 11838P).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췌장 리파아제 효소 억제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YG1102(수탁번호: KCCM 11838P).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제니스틴(genistin) 및 다이진(daidzin)을 제니스테인(genistein) 및 다제인(dadzein)으로 전환하는 이소플라본 배당체 전환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YG1102(수탁번호: KCCM 11838P).
  6.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YG1102(수탁번호: KCCM 11838P), 또는 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비만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타필로코코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에스체리치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살모넬라 파라티피에이(Salmonella paratyphi),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m), 클레브시엘라 뉴모니애(Klebsiella pneumoniae) 및 클레브시엘라 옥시토카(Klebsiella oxytoca)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병원성 균주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비만용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췌장 리파아제 효소 억제를 통해 항비만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비만용 조성물.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비만용 조성물.
  10.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비만용 조성물.
  11.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YG1102(수탁번호: KCCM 11838P),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물 및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효용 스타터(starter).
KR1020190150895A 2019-11-22 2019-11-22 항균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344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895A KR102344838B1 (ko) 2019-11-22 2019-11-22 항균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895A KR102344838B1 (ko) 2019-11-22 2019-11-22 항균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801A true KR20210062801A (ko) 2021-06-01
KR102344838B1 KR102344838B1 (ko) 2021-12-28

Family

ID=76376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895A KR102344838B1 (ko) 2019-11-22 2019-11-22 항균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48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366B1 (ko) * 2022-08-16 2023-03-09 (주)지에이치바이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u15120 균주 또는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838B1 (ko) * 2022-05-27 2023-02-16 (주)헥토헬스케어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갖는 인체 유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2611A1 (ko) * 2015-02-10 2017-05-18 주식회사 지니스 비만 억제능을 갖는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20190077714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항비만 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28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90090409A (ko) * 2017-12-26 2019-08-02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항비만 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3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90090407A (ko) * 2017-12-26 2019-08-02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항비만 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10 균주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2611A1 (ko) * 2015-02-10 2017-05-18 주식회사 지니스 비만 억제능을 갖는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20190077714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항비만 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28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90090409A (ko) * 2017-12-26 2019-08-02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항비만 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3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90090407A (ko) * 2017-12-26 2019-08-02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항비만 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10 균주 및 이의 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366B1 (ko) * 2022-08-16 2023-03-09 (주)지에이치바이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u15120 균주 또는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4838B1 (ko) 202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bdel-Hamid et al. Bioactive properties of probiotic set-yogurt supplemented with Siraitia grosvenorii fruit extract
KR100878799B1 (ko) 항생제 내성 병원성 미생물 또는 장내 유해 미생물의생장을 억제하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 k317
KR102028744B1 (ko) 면역증강 활성, 항산화 활성 및 소화액 내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hy7717 균주 및 그의 용도
KR101825836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b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5162212B2 (ja) 新規乳酸菌、乳酸菌組成物及び植物エキス、並びに、植物エキス及び低分子ポリフェノールの製造方法
KR101868517B1 (ko) 다양한 생리활성과 열 안정성이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pl9119
KR20160132050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KR101381547B1 (ko)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김치에서 분리한 신규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344838B1 (ko) 항균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394322B1 (ko)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cnu 9169 균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균제 조성물
KR101825837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n4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55849B1 (ko)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과 유산 생성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rcm102369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001074B1 (ko) 충치 억제 활성을 갖는 유산균 조성물
KR102183841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n4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24594B1 (ko) 항염 활성 및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okbl-l.fe 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313770B1 (ko) 제주산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102190239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b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13769B1 (ko) 제주산 방울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6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101014872B1 (ko)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56439B1 (ko) 신규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19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미선나무 발효 추출물
KR20190029938A (ko)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식중독 원인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80087568A (ko) 장내 정착성이 우수한 신규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및이들이 생산하는 생균제
KR20180040899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n4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040894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b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81721A (ko) 락토바실러스 프란타룸 g72 균주를 포함하는 위장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