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050A -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 Google Patents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050A
KR20160132050A KR1020167027538A KR20167027538A KR20160132050A KR 20160132050 A KR20160132050 A KR 20160132050A KR 1020167027538 A KR1020167027538 A KR 1020167027538A KR 20167027538 A KR20167027538 A KR 20167027538A KR 20160132050 A KR20160132050 A KR 20160132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microorganism
activity
polyamin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7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0196B1 (ko
Inventor
다케시 이케나가
츠네유키 노다
요시토 다지리
히로키 노구치
아츠시 우에다
노리유키 고우다
Original Assignee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32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1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5Paracasei
    • A23Y2220/63
    • C12R1/225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besity (AREA)
  • Diabet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유기체(특히, 사람) 내에서의 폴리아민 합성을 촉진하는 데 유효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유기체 내에서 폴리아민 생성 촉진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actobacillus paracasei).

Description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NOVEL LACTOBACILLUS PARACASEI STRAIN}
본 발명은 유기체 내에서 폴리아민 생성 촉진 활성을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Lactobacillus paracasei strain)(균주 WON0604: FERM BP-11468)뿐만 아니라 이 균주의 응용 및 관련 기술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민은 두 개 이상의 일급 아미노기를 갖는 지방족 탄화수소의 일반명이다. 폴리아민의 통상적인 예에는 푸트레신(putrescine), 스퍼미딘(spermidine), 스퍼민(spermine) 등이 포함된다. 폴리아민은 모든 유기체의 세포에서 합성되며, 세포 분화 또는 증식에 관여한다. 이들 활성 이외에 폴리아민은 여러 가지 유익한 생리 활성을 나타낸다는 최근 보고가 있는데, 노화방지 효과(비특허문헌 1), 동맥경화 진행 지연 활성(비특허문헌 2), 급성 및 만성 염증 억제 활성(비특허문헌 3), 중성 지방 저감 활성, 인슐린 저항성 개선 활성, 항비만 활성, 콜레스테롤 수치 저감 활성, 기초대사 상향 활성(비특허문헌 4), 및 항알러지 활성(비특허문헌 5)이 그에 포함된다.
폴리아민 생합성은 사람을 포함한 모든 동물에서 일어난다; 그러나 폴리아민 합성 능력은 나이가 들면서 쇠퇴한다. 따라서, 평생 동안 폴리아민의 유익한 생리 활성을 향유하기 위해, 폴리아민의 외부 투여 또는 섭취나 유기체 내에서의 폴리아민 합성 능력의 활성화에 관하여 논의가 있어 왔다.
지금까지, 폴리아민을 함유한 몇몇의 식품 및 음료들이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여러 가지 식물성/동물성 원료로부터 추출된 폴리아민을 함유한 식품 및 음료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식품 및 음료들은 유기체(특히, 사람) 내에서 폴리아민 합성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에 따라 상기된 여러 가지 유익한 생리 활성, 예를 들어, 노화방지 효과, 동맥경화 진행 지연 활성, 급성 및 만성 염증 억제 활성, 중성 지방 저감 활성, 인슐린 저항성 개선 활성, 항비만 활성, 콜레스테롤 수치 저감 활성, 기초대사 상향 활성 또는 항알러지 활성을 제공한다. 또한, 이와 같은 식품 및 음료들은, 예를 들어, 상기 생리 활성과 관련된 바이오마커 등의 개선, 유지 또는 항상성에 작용하거나 질환 진전의 예방에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JP2010-263816A
Eisenberg T. et al., Nat Cell Biol 2009; 11 (11): 1305-1314 Soda K., Med. Hypotheses, 2010; 75 (3): 299-301 Lagishetty C.V. et al., Indian J. Pharmacol. 2008; 40 (3): 121-125 Koponen T. et al., Amino Acids 2012; 42 (2-3): 427-40 Peulen O. et al., Public Health Nutr. 1998; 1 (3): 181-184
본 발명에 의해 달성하려는 목적은 유기체(특히, 사람 유기체) 내에서 폴리아민 합성을 촉진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시도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actobacillus paracasei)에 속하는 미생물 중에서, 사람 또는 동물 유기체 내에서 폴리아민 생성을 촉진할 수 있는 미생물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 미생물이 소장 내에서 폴리아민 생성 촉진 활성뿐만 아니라 간 중성 지방 저감 활성 및/또는 에너지 대사 촉진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예는 아래에 자세히 기술된다.
항목 1.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WON0604 (FERM BP-11468).
항목 2. 간 중성 지방 저감 활성을 추가로 갖는, 항목 1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WON0604.
항목 3. 에너지 대사 촉진 활성을 추가로 갖는, 항목 1 또는 2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WON0604.
항목 4. 항목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WON0604가 첨가된 조성물.
항목 5. 조성물이 폴리아민 생성 촉진제인, 항목 4에 따른 조성물.
항목 6. 지방간, 비알콜성 지방성간염 및 간경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질환의 예방제 또는 치료제로서, 항목 2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를 포함하는 제제.
항목 7. 항목 2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를 포함하는, 간 중성 지방의 저감제.
항목 8. 폴리아민 생성의 증강을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항목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WON0604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사람에게서 폴리아민 생성을 촉진하는 방법.
항목 9. 지방간 환자에게 항목 2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WON0604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방간 환자를 치료하거나 완화시키는 방법.
항목 10. 지방간의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를 제조하기 위한 항목 2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의 용도.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WON0604(FERM BP-11468)(이 균주는 이하에서 "본 발명의 미생물"로도 언급될 수 있다)는 사람 또는 다른 동물 유기체 내에서 폴리아민 생성 촉진 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이 활성은 "폴리아민 생성 촉진 활성"으로 언급된다. 본 발명의 미생물을 사용함으로써(예를 들면, 섭취 또는 투여를 통해), 사람 또는 동물 유기체 내에서 폴리아민 생성을 촉진할 수 있다. 이의 결과로서, 본 발명은 사람 또는 동물이 폴리아민의 유익한 생리 활성(예를 들어, 노화방지 효과, 동맥경화 진행 지연 활성, 급성 및 만성 염증 억제 활성, 중성 지방 저감 활성, 인슐린 저항성 개선 활성, 항비만 활성, 콜레스테롤 수치 저감 활성, 기초대사 상향 활성, 항알러지 활성 및/또는 면역자극 활성 등)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의 미생물은 간 중성 지방 저감 활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생물을 사용함으로써, 간 중성 지방 수치(예를 들어, 간에 축적된 중성 지방의 양)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생물은 간 지질 대사의 유지 또는 개선 또는 지방간, 비알콜성 지방성간염(NASH) 및/또는 간경변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미생물은 이들 질환이 간암으로 진행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 또는 심혈관 질환의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미생물은 유기체 내에서 에너지 대사 촉진 활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생물의 사용은 체중 증가 억제, 비만 억제, 체지방 감소, 내장 지방 감소 및/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을 포함하여 사람 또는 동물의 건강 유지에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미생물은 상기 생리 활성과 관련된 바이오마커의 개선 또는 유지에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추가로, 본 발명의 미생물은 식품 분야에 응용되어 온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에 속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미생물이 식품 조성물용 첨가제로서 충분히 안전할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따라 명백하게, 본 발명의 미생물은 사람 또는 다른 동물을 위한 식품 및 음료 및/또는 제약 분야에 적합하다.
1. 미생물
1-1. 폴리아민 생성 촉진 활성
본 발명의 미생물은 폴리아민 생성 촉진 활성을 갖는다. 상술된 바와 같이, "폴리아민 생성 촉진 활성"은 사람 또는 다른 동물 유기체 내에서 폴리아민 생성을 촉진하는 작용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폴리아민"은, 폴리아민으로 인식되는 물질인 둘 이상의 일급 아미노기를 갖는 지방족 탄화수소를 일반적으로 통칭하는 명칭이다. 폴리아민의 예는 푸트레신, 스퍼미딘 및 스퍼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미생물의 폴리아민 생성 촉진 활성은 적어도 하나 또는 두 종류의 폴리아민, 더 바람직하게는 모든 종류의 폴리아민의 생성을 촉진한다. 폴리아민 생성(즉, 유기체 내에서의 폴리아민 합성)이 본 발명의 미생물에 의해 촉진되는 세포, 조직 및 기관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기관의 예는 경구 투여된 미생물이 직접 효과를 나타내는 기관인 구강, 식도, 위, 십이지장, 맹장, 소장 및 대장을 포함한다. 소장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의 폴리아민 생성 촉진 활성은 공지된 분석 기술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의 폴리아민 생성 촉진 활성은 모델 동물(예를 들어, 마우스)을 사용하여 다음의 방식으로 측정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마우스에게 본 발명의 미생물을 일정 기간 동안 섭취시킨 다음, 마우스의 내장 조직을 적출하고, 조직 내의 폴리아민 양을 측정한다. 또한, 측정된 폴리아민 양을 본 발명의 미생물을 섭취하지 않은 마우스로부터 적출한 내장 조직 내의 폴리아민 양과 비교하고, 그럼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에 의한 상대적인 증가를 측정한다. 이러한 측정에서, 폴리아민 양의 측정을 위해 사용한 시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소장 조직 및 맹장 내용물 중의 폴리아민 양을 측정하고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측정 결과가 소장 내의 폴리아민 양은 증가한 반면, 맹장 내용물 중의 폴리아민 양은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경우, 미생물은 유기체 내에서 폴리아민 생성을 촉진하는 작용을 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유기체 내의 폴리아민 양은 사람 또는 다른 동물에 본 발명의 미생물을 투여하기 전과 비교하여 투여 후 1.1배 내지 1.5배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예를 들어, 유기체 내에서 과다한 지질 축적을 억제하거나 지질 대사를 촉진함으로써 간 중성 지방의 증가를 저감하는 효과를 향유하는 것이다.
1-2. 균학적 특징
본 발명의 미생물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에 속한다. 아래 표 1은 상기 미생물의 바람직한 균학적 특성을 보여준다.
Figure pct00001
1-3. 콜로니 형성에 관한 특징
본 발명의 미생물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생물이 아래 조성을 갖는 한천 배지(Lactobacilli MRS Agar#288210)에서 혐기 조건하에 37℃에서 16시간 동안 배양할 때 하기의 특징을 갖는 콜로니를 형성한다.
- 배지 조성(pH 6.5 ± 0.2)
프로테오스 펩톤 3번 10 g
우육추출물 10 g
효모추출물 5 g
글루코스 20 g
폴리솔베이트 80 1 g
암모늄 시트레이트 2 g
나트륨 아세테이트 5 g
황산마그네슘 0.1 g
황산망간 0.05 g
인산 이칼륨 15 g
한천 15 g
물 1000 ml
- 콜로니 형태
직경: 1 내지 2 mm
색상: 백색
형상: 원형
고도 상태: 볼록
가장자리 모양: 둥근형
표면 형태: 평활
투명도: 반투명
점도: 버터상태
1-4. 탄화수소 동화성에 관한 특징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의 탄화수소 동화성은, 바람직하게는, 아래 표 2에 제시된 바와 같다.
Figure pct00002
상기 표에서 "+"는 양성을 의미하고, "-"는 음성을 의미한다.
1-5. 간 중성 지방 저감 활성
본 발명의 미생물은, 바람직하게는, 인간 또는 다른 동물에 의해 섭취되거나 투여될 때 간 중성 지방 저감 활성을 갖는다. 중성 지방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트리글리세라이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의 간 중성 지방 저감 활성은 이미 간에 축적되어 있던 중성 지방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미생물은, 예를 들어, 지방간 증상을 보이는 사람의 치료 또는 완화에 유용할 뿐만 아니라 지방간의 위험성이 있는 사람에게 지방간 진행의 예방 또는 건강 유지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미생물은 간 중성 지방 축적으로 인한 NASH, 간경화, 간암 및/또는 심장 질환으로의 진행을 예방하는데 또한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의 간 중성 지방 저감 활성은 공지된 분석 기술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래의 절차에 따라 모델 동물(예를 들어, 마우스)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간 중성 지방 저감 활성을 측정할 수 있다. 마우스에 본 발명의 미생물을 일정 기간 동안 섭취시킨다; 그런 후, 마우스의 간을 적출하고, Folch 등의 방법(J. Biol. Chem. 1957; 226(1): 497-509)에 따라 중성 지방을 추출한다. 상업적 공급자로부터 입수된 키트를 사용하여 중성 지방의 양을 측정한다. 동일한 절차에 따라, 본 발명의 미생물이 섭취되지 않은 마우스로부터 적출한 간에서 중성 지방의 양을 측정한다. 그런 다음, 본 발명의 미생물이 섭취된 마우스의 중성 지방 양을 본 발명의 미생물이 섭취되지 않은 마우스의 중성 지방 양과 비교함으로써 간 중성 지방 저감 활성을 측정한다.
1-6. 에너지 대사 촉진 활성
본 발명의 미생물은, 바람직하게는, 사람 또는 다른 동물에 의해 섭취되거나 사람 또는 다른 동물에게 투여된 경우 유기체 내에서 에너지 대사 촉진 활성을 갖는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미생물은 장 조직(특히, 소장 조직) 및/또는 간 내에서 에너지 대사를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미생물을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대사 촉진을 필요로 하는 사람 또는 다른 동물의 체질을 개선시킬 수 있거나 대사 증후군 및/또는 비만 등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의 에너지 대사 촉진 활성은,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에너지 대사-관련 효소를 인코딩하는 mRNA의 발현 양에서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Kondo et al.,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91, E1092-E1099, 2006).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의 에너지 대사 촉진 활성은 본 발명의 미생물의 섭취 전후에 사람 또는 다른 동물의 열량을 측정하고/하거나(Sasaki, Measurement of resting energy expenditure and substrates expenditure using Indirect Calorimetry, 24, 5, 1021-1025; Kaiyala et al., Comparative Biochemistry and Physiology, Part A 158, 252-264, 2011), 산소섭취량과 이산화탄소배출량을 측정하고/하거나(Klaus et al.,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29, 615-623, 2005), 대사-관련 효소의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1-7. 기타 활성
상기한 것에 더하여, 본 발명의 미생물은, 바람직하게는, 혈당치 저감 활성, 혈중 중성 지방 수치 저감 활성, 혈중 내독소 수치 저감 활성, 선택적 포화 지방산 저감 활성, 소장 및 간에서의 지방산 β 산화 촉진 활성 및/또는 소장에서의 TLR-2m RNA 발현 촉진 활성 등을 또한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생물은 이의 혈당치 저감 활성을 기초로 하여 당뇨환자의 치료에 유용하며, 또한, 그의 혈중 내독소 수치 저감 활성을 기초로 하여 패혈증의 치료에도 유용하다. 추가로, 소장 및 간에서의 지방산 β 산화 촉진 활성은 상기 언급된 에너지 대사 촉진에 기여한다. 또한, 소장에서의 TLR-2m RNA 발현은 소장 점막의 방어능을 증가시켜 주며, 그럼으로써 면역자극 활성을 일으키기 때문에(Cario et al., Gastroenterology, 132, 4, 1359-1374, 2007), 염증성 장 질환, 세균 감염증, 바이러스 감염증, 내독소혈증, 심장 질환,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식품알러지, 아토피성 피부염 등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기대된다.
1-8. 대표 균주
본 발명의 대표 미생물은 균주 WON0604이다. 이 균주는 2012년 2월 20일에 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종합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305-8566 일본국 이바라끼현 츠꾸바시 히가시 1-1-1 중앙 제6) 국제특허생물기탁기관에 국제기탁되었고 기탁번호는 FERM BP-11468이다. 균주 WON0604는 상기된 특징 1-1 내지 1-7 모두를 충족한다. 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소속 국제특허생물기탁기관은 2012년 4월에 독립행정법인 제품평가기술기반기구(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and Evaluation, NITE) 소속 국제특허생물기탁기관과 통합되었고, 특허생물 기탁에 관한 책임은 독립행정법인 제품평가기술기반기구의 생물자원센터 소속 국제특허생물기탁기관(NITE-IPOD)(292-0818 일본국 치바현 키사라즈시 카스사 카마따리 2-5-8 120호실)으로 넘겨졌다.
본 발명의 미생물은 분리된 상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된 폴리아민 생성 촉진 활성, 간 중성 지방 저감 활성 및 에너지 대사 촉진 활성이 보장되는 한, 본 발명의 미생물은 생세포이거나 사세포일 수 있고, 정제된 세포, 대충 정제된 세포, 미정제 배지와 혼합된 세포 또는 세포추출물의 상태일 수 있다. 생세포는 유기체 내에서 폴리아민 생성 촉진 활성을 계속적이면서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때문에, 본 발명의 미생물은 생세포가 바람직하다. 추가로, 생세포에 통상 사용되는 동결건조 보존제를 첨가하여 세포를 동결건조시키고, 이에 생성된 동결건조된 세포를 냉장 또는 냉동 보존함으로써, 생세포는 장기간 동안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미생물은 동결건조된 상태로 존재한다.
1-9. 본 발명의 미생물 수득 방법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의 분리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미생물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가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식품(예를 들어, 다양한 일본산 피클, 한국산 피클, 우유, 치즈 등)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WON0604(즉, 본 발명의 미생물)는 분리원으로서 붕어 초밥을 사용하여 분리하였기 때문에, 본 발명의 미생물은, 예를 들어, 분리원으로서 붕어 초밥을 사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붕어 초밥은 일본의 비와(Biwa) 호수 주변에서 생산된 쌀과 물고기의 젖산 발효에 의해 생산된 식품을 가리킨다. 붕어 초밥으로부터의 젖산균 분리는, 예를 들어, Tuda 등(Food Sci. Technol. Res., 18(1), 77-82, 2012)에 의해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생물의 분리는 상술된 폴리아민 생성 촉진 활성, 간 중성 지방 저감 활성 및 에너지 대사 촉진 활성을 지표로서 이용하는 공지된 스크리닝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 분리원으로서 사용된 식품 등이 폴리아민 생성 촉진 활성을 갖고 있는 지를 확인하고, (2) 폴리아민 생성 촉진 활성을 가진 것으로 확인된 분리원을 적절한 완충액으로 희석한 다음, 희석된 분리원을 한천 배지에 도말하고 세포들을 콜로니들로 배양하고, (3) 형성된 콜로니 가운데 폴리아민 생성 촉진 활성을 가진 콜로니 또는 콜로니들을 동정하고, (4) 콜로니로부터 16Sr DNA를 추출한 다음, 이의 서열을 결정하여 분리원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에 속하는 지를 판단함으로써 본 발명의 미생물을 분리할 수 있다.
2. 조성물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미생물이 첨가된 조성물이다. 조성물의 유형 및 형태는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의 폴리아민 생성 촉진 활성 및, 바람직하게는, 간 중성 지방 저감 활성 및 에너지 대사 촉진 활성이 억제되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들 기능을 동물, 특히 사람 유기체 내에서 바람직하게 발휘한다는 관점에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이거나 약학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미생물이 첨가되어, 폴리아민 생성 촉진 활성, 간 중성 지방 저감 활성 및/또는 에너지 대사 촉진 활성을 갖는다. 따라서,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폴리아민 생성 촉진제, 간 중성 지방 저감제 및/또는 에너지 대사 촉진제로 사용할 수 있다. 비록 상기된 폴리아민 생성 촉진제 등이 조성물의 형태일 수 있을지라도, 이 촉진제는 단지 본 발명의 미생물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미생물의 폴리아민 생성 촉진 활성 등이 저해되지 않는 한 그의 형태와 목적에 따라 임의의 다른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미생물의 생육을 유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탈지유, 덱스트린 등과 같은 본 발명의 미생물의 생육에 적합한 영양 성분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되는 본 발명의 미생물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미생물의 폴리아민 생성 촉진 활성 등이 동물, 특히 사람 유기체 내에서 발휘되는 한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생세포를 기준으로, 조성물 1 그램 당 약 1.0 x 104 내지 1.0 x 106 CFU,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1 그램 당 1.0 x 106 내지 1.0 x 1014 CFU, 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1 그램 당 1.0 x 108 내지 1.0 x 1012 CFU 양의 미생물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생물이 첨가되는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의 유형 또는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일반 식품 및 음료 이외에 다양한 기능성 식품(예를 들어, 특정 보건용 식품, 영양보조 식품, 보충제, 환자용 식품 및 건강 식품)이 포함된다. 이러한 식품에 본 발명의 미생물을 첨가함으로써, 폴리아민 생성 촉진 활성 등을 추가로 향상시키고, 그 결과로서, 유기체 내에서 폴리아민 생성을 더 효율적으로 촉진하는 개량된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량된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은 또한 유기체 내에서 항상성 제어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인 경우, 조성물의 형태는, 본 발명의 미생물의 폴리아민 생성 촉진 활성 등이 억제되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식품 조성물의 예로는 과립, 세립, 분말, 캡슐, 정제, 검, 젤리, 거미 캔디(gummy candy), 바, 칩, 플레이크(flake) 및 기타 일반 식품이 포함된다. 일반 식품의 예로는 쵸콜릿, 비스켓, 캔디, 쿠키, 타정과자류, 아이스크림, 셔벗, 우동(밀)국수, 소바(메밀)국수, 파스타 및 소면(얇은 밀)국수가 포함된다. 음료 조성물의 예로는 분말음료, 청량음료, 유음료, 영양음료, 탄산음료 및 젤리음료와 같은 다양한 음료가 포함된다. 기능성 식품의 형태의 예로는 분말, 과립, 캡슐, 시럽, 정제, 당의정 및 설하정이 포함된다.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에 본 발명의 미생물을 첨가하는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의 제조 단계, 가공 단계 동안 또는 최종 단계에서 첨가, 혼합, 침투 등의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미생물을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생물은 식품 또는 음료를 섭취할 때에 분말, 과립, 캡슐, 시럽, 정제 등의 형태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학 조성물인 경우는, 본 발명의 미생물을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하여 다양한 약물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본 발명의 미생물의 폴리아민 생성 촉진 활성 등이 억제되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는 의약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보습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활탁제 및 희석제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미생물이 첨가된 약학 조성물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한 형태의 예로는 정제, 환제, 산제, 액제, 현탁제, 유제, 과립제 및 캡슐이 포함된다. 약물 형태는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에 적합한 형태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의 미생물을 함유함으로써 폴리아민 생성 촉진 활성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간 중성 지방 저감 활성 및 에너지 대사 촉진 활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유기체 내에서 폴리아민 생성을 촉진하는 약학 조성물, 간 중성 지방을 저감하는 약학 조성물 및/또는 에너지 대사를 촉진하는 약학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의 미생물의 간 중성 지방 저감 활성에 기초하여,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또는 NASH, 간경화 및/또는 간암의 진행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의 미생물의 에너지 대사 촉진 활성에 기초하여, 대사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첨가되는 본 발명의 미생물의 양은 일반 조성물에 대해 상기 규정된 양과 유사하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용량은 조성물을 섭취하는 사람 또는 동물의 증세, 연령, 체중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형태는, 본 발명의 미생물의 폴리아민 생성 촉진 활성 등이 체내에서 발휘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투여형태는 바람직하게 경구 투여이다.
3. 치료 및 완화 방법
본 발명의 미생물은 동물, 특히 사람 유기체 내에서 폴리아민 생성 촉진 활성을 갖는다. 폴리아민은 노화방지 효과, 동맥경화 진행 지연 활성, 급성 및 만성 염증 억제 활성, 중성 지방 저감 활성, 인슐린 저항성 개선 활성, 항비만 활성, 콜레스테롤 수치 저감 활성, 기초대사 상향 활성, 항알러지 활성, 면역자극 활성 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생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들 활성을 이용한 다양한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완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추가로,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미생물은 간 중성 지방 저감 활성을 갖는다. 따라서, 간 중성 지방의 저감이 필요한 사람 또는 동물에 본 발명의 미생물을 투여함으로써 간 중성 지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유기체 내에서 에너지 대사 촉진 활성을 갖는다. 따라서, 에너지 대사 촉진이 필요한 사람 또는 동물에 본 발명의 미생물을 투여함으로써, 체중 증가를 억제하거나, 비만을 억제하거나, 체지방을 저감하거나, 내장 지방을 저감하거나, 대사증후군을 예방, 완화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미생물의 용량 또는 본 발명의 미생물이 첨가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용량은 환자의 증세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량은 1.0 x 105 내지 1.0 내지 1015 CFU/kg/일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미생물의 분리
0.8 내지 1.0 g의 균질화된 붕어 초밥을 15 ml 원심분리 튜브에 넣고, 10배량의 생리식염수를 첨가하여 교반하였다. 1 ml의 교반된 현탁액을 취하고, 9 ml의 생리식염수와 함께 15 ml 원심분리 튜브에 넣은 다음 단계별로 희석하였다. 100 ㎕의 각 희석액을 수득하고, MRS 한천 배지에 접종하여 혐기 조건하에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단일 콜로니가 될 때까지 세포를 정제하였다. 이들 과정은 무균 조작으로 수행되었다.
분리된 균주 WON0604는 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국제특허생물기탁기관(305-8566 일본국 이바라끼현 츠꾸바시 히가시 1-1-1)에 기탁되었고, 기탁번호는 FERM BP-11468이다.
실시예 2
폴리아민 생성 촉진 활성
4주령의 KK-Ay 마우스(2형 당뇨병 모델, 수컷)를 16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꼬리 정맥의 단일 모세혈관으로부터 채혈하였다(약 75 ㎕). 원심분리(12,000 rpm(15,000 x g) x 5분)하여 혈장을 수득하고, 혈중 포도당 농도와 혈중 중성 지방 농도를 측정하였다. 건강 상태에 이상이 확인되지 않은 마우스를, 체중(군분류 전일)과 혈중 포도당 농도에서 편차를 없애면서, SAS 소프트웨어(R9.1, SAS Institute Japan)를 이용하여 층별무작위추출법에 의해 대조군과 시험군으로 분류하였다. 28일 동안, 대조군에게 대조식(AIN-93G)을 자유급식하고, 시험군에게는 균주 WON0604가 1.0 x 109 CFU/일(생세포)의 비율로 혼합된 시험식을 자유급식하였다. 그런 후, 맹장과 소장 조직을 해부하고, 맹장 내용물 및 소장 조직 내의 폴리아민 농도를 측정하였다. 표 3은 대조군의 폴리아민 농도를 1로 가정하고 이에 대한 각 시험군의 상대치를 보여준다. n은 맹장 내용물과 소장 조직 모두 3이다. 맹장 내용물 중의 폴리아민 농도는 O-프탈알데하이드를 이용한 온-컬럼 유도체화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소장 조직 내의 폴리아민 농도는 CE-TOFMS 시스템(Agilent Technologies)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유의차 검정은 Welch's t-검정에 따라 수행하였다.
Figure pct00003
*P<0.01
Figure pct00004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맹장 내의 폴리아민 농도는 균주 WON0604의 섭취에 의해 증가되지 않았다. 대조적으로,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푸트레신은 소장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또한, 스퍼미딘과 스퍼민도 소장에서 증가하는 성향이 있었다. 따라서, 이들 결과로부터 소장 내의 폴리아민은 균주 WON0604의 섭취에 의해 증가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해 볼 때, 본 발명의 미생물은 소장 내에서 폴리아민 합성능 자체를 촉진하는 작용(즉, 폴리아민 합성 촉진 활성)을 가진다는 것이 명백하다.
실시예 3
에너지 대사 촉진 활성
실시예 2와 유사하게, 4주령의 KK-Ay 마우스(2형 당뇨병 모델, 수컷)를 대조군과 시험군으로 분류하였다; 28일 동안, 대조군에게 대조식(AIN-93G)을 자유급식하고, 시험군에게는 균주 WON0604가 1.0 x 109 CFU/일(생세포)의 비율로 혼합된 시험식을 자유급식하였다. 그런 후, 간 및 소장 내에 다양한 에너지 대사-관련된 효소의 mRNA 발현 수치를 측정하였다. mRNA 추출 및 정제는 RiboPure® 키트(Ambion)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표 5는 그 결과들, 즉 대조군의 값을 1로 가정하고 이에 대한 시험군의 상대치를 보여준다. 이 시험에서, n은 13이고, 상대치는 평균치를 이용하여 계산되었다.
Figure pct00005
*P<0.05
Figure pct00006
*P<0.05
표 5 및 6에 제시된 결과는 본 발명의 미생물의 섭취가 간장 및 소장 내에 Acox1, Ucp2 및 Acot2의 mRNA 발현량을 증가시켰음을 확인해 준다. 이들 유전자의 발현과 에너지 대사 촉진의 연관성은 Kondo 등에 의해 보고되었다(Kondo H, et al.,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006; 291(5): E1092-9). 이 결과는 본 발명의 미생물의 섭취에 의해, 폴리아민 생성 촉진 효과에 더하여, 간 및 소장 내에서의 에너지 대사의 촉진 가능성이 또한 확인되었음을 확인해 준다.
실시예 4
간 중성 지방 저감 활성
실시예 2와 유사하게, 4주령의 KK-Ay 마우스(2형 당뇨병 모델, 수컷)를 대조군과 시험군으로 분류하였다; 28일 동안, 대조군에게 대조식(AIN-93G)을 자유급식하고, 각 시험군에게는 28일 동안 균주 WON0604, 균주 WON1052, 균주 WON1081 또는 균주 WON1033을 1.0 x 109 CFU/일(생세포)의 비율로 함유하는 3%의 시험식과 혼합된 시험식을 자유 급식하였다. 균주 WON0604 이외에 이들 젖산균 균주는 위산 및 담즙산에 내성적인 균주를, 시험관내 시험을 통해 선별한 다음, 추가로, 혈중 중성 지방 및 간 중성 지방에 대하여 잠재적 효능을 가진 균주를, KK-Ay 마우스를 이용한 탐색적 동물 시험을 통해, 선별함으로써 수득하였다. 그런 후, 절식 상태의 각 마우스로부터 간을 적출하였다. 간장 좌엽(lobus hepatis sinister)의 외측 영역의 중량을 잰 다음, Folch 등의 방법(Folch J. et al., J. Biol. Chem. 1957; 226(1):497-509)을 이용하여 지질 분획을 추출하고, 이소프로판올을 이용하여 가용화하였다; 그런 후, 상업적 공급자로부터 입수된 측정 키트(Triglyceride E-test Wako;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를 이용하여 중성 지방 농도를 측정하였다. 표 7은 측정 결과의 평균치를 보여준다. 각 시험군의 마우스는 8마리였다. 유의차 검정은 t-검정에 따라 수행하였다.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균주 WON0604를 섭취한 마우스에서만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차로 간 TG 농도가 저감되었고; 균주 WON0604 이외에 다른 젖산균을 섭취한 비교시험군에서 간 TG 농도 저감 활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결과는 본 발명의 미생물의 폴리아민 생성 촉진 효과에 더하여 간 중성 지방 저감 활성의 가능성을 확인해 준다.
Figure pct00007
*p<0.05
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특허생물기탁센터 FERMBP-11468 20120220

Claims (2)

  1.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actobacillus paracasei) 균주 WON0604(FERM BP-11468).
  2. 제1항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WON0604가 첨가된 조성물.
KR1020167027538A 2014-03-24 2015-03-23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KR1022401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60010 2014-03-24
JPJP-P-2014-060010 2014-03-24
PCT/JP2015/058750 WO2015146916A1 (ja) 2014-03-24 2015-03-23 新規ラクトバチラス・パラカゼイ株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050A true KR20160132050A (ko) 2016-11-16
KR102240196B1 KR102240196B1 (ko) 2021-04-15

Family

ID=54195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7538A KR102240196B1 (ko) 2014-03-24 2015-03-23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20170137902A1 (ko)
EP (1) EP3135753B1 (ko)
JP (1) JP6479768B2 (ko)
KR (1) KR102240196B1 (ko)
CN (1) CN106103696B (ko)
ES (1) ES2768960T3 (ko)
PH (1) PH12016501777A1 (ko)
SG (1) SG11201607557WA (ko)
TW (1) TWI673057B (ko)
WO (1) WO20151469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85141B2 (ja) * 2016-12-09 2020-11-18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基礎代謝亢進剤
TWI645854B (zh) 2017-03-20 2019-01-01 大江生醫股份有限公司 胚芽乳酸桿菌tci378及其於減脂及改善腸胃功能之應用
TWI651412B (zh) * 2017-11-01 2019-02-21 葡萄王生技股份有限公司 用於改善代謝症候群的新穎副乾酪乳桿菌gks6、其培養基、培養方法、用途、醫藥組合物及可食用組合物
JP7309212B2 (ja) * 2018-01-05 2023-07-18 ベネド バイオメディカ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新規な乳酸菌およびその応用
JP7206623B2 (ja) * 2018-04-23 2023-01-18 キリ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糖代謝異常の予防および改善用組成物
TWI739078B (zh) * 2018-04-25 2021-09-11 日商曾根農場股份有限公司 脂肪累積抑制用組成物
SG11202010944RA (en) 2018-05-09 2020-12-30 Ko Biolabs Inc Lactobacillus paracasei strain and use thereof
CN108813262A (zh) * 2018-07-02 2018-11-16 杭州相生相成科技有限公司 一种含dha藻油的复合益生菌固体饮料
JP2021020944A (ja) * 2020-10-26 2021-02-18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基礎代謝亢進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9973A (ja) * 2006-01-20 2007-08-02 Nissin Food Prod Co Ltd 血中コレステロール低減作用を有する新規乳酸菌
WO2009138092A1 (en) * 2008-05-13 2009-11-19 OÜ Tervisliku Piima Biotehnoloogiate Arenduskeskus Isolated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 inducia dsm 21379 as probiotic that enhances natural immunity and food products and medicinal preparations comprising it
JP2010263816A (ja) 2009-05-13 2010-11-25 Lotte Co Ltd ポリアミンを含有する飲食品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2559A (ja) * 2003-09-29 2005-04-21 Domer Inc 新菌株及び該菌株によるγ−アミノ酪酸(GABA)の大量生産方法
JP2009102270A (ja) * 2007-10-24 2009-05-14 Tsujido Kagaku Kk 脂肪代謝抑制剤
ATE537707T1 (de) * 2008-05-16 2012-01-15 Nestec Sa Lactobacillus paracasei und gewichtskontrolle
WO2010103132A1 (es) * 2009-03-10 2010-09-16 Hero España, S.A. Aislamiento, identificación y caracterización de cepas con actividad probiótica a partir de heces de lactantes alimentados exclusivamente con leche matern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9973A (ja) * 2006-01-20 2007-08-02 Nissin Food Prod Co Ltd 血中コレステロール低減作用を有する新規乳酸菌
WO2009138092A1 (en) * 2008-05-13 2009-11-19 OÜ Tervisliku Piima Biotehnoloogiate Arenduskeskus Isolated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 inducia dsm 21379 as probiotic that enhances natural immunity and food products and medicinal preparations comprising it
JP2010263816A (ja) 2009-05-13 2010-11-25 Lotte Co Ltd ポリアミンを含有する飲食品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isenberg T. et al., Nat Cell Biol 2009; 11 (11): 1305-1314
Journal of Microbiology, Vol.51, pp.633-638(2013.) *
Koponen T. et al., Amino Acids 2012; 42 (2-3): 427-40
Lagishetty C.V. et al., Indian J. Pharmacol. 2008; 40 (3): 121-125
Peulen O. et al., Public Health Nutr. 1998; 1 (3): 181-184
Soda K., Med. Hypotheses, 2010; 75 (3): 299-3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73057B (zh) 2019-10-01
EP3135753A1 (en) 2017-03-01
US20190055613A1 (en) 2019-02-21
CN106103696A (zh) 2016-11-09
PH12016501777A1 (en) 2017-02-06
CN106103696B (zh) 2020-01-17
KR102240196B1 (ko) 2021-04-15
ES2768960T3 (es) 2020-06-24
EP3135753A4 (en) 2017-11-01
TW201542216A (zh) 2015-11-16
WO2015146916A1 (ja) 2015-10-01
JPWO2015146916A1 (ja) 2017-04-13
JP6479768B2 (ja) 2019-03-06
US20170137902A1 (en) 2017-05-18
SG11201607557WA (en) 2016-10-28
EP3135753B1 (en) 2019-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0196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EP1923065B1 (en) Cholesterol absorption inhibitor
US11566219B2 (en) Bifidobacterium bacteria and composition including novel bifidobacterium bacteria
KR101825836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b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9387228B2 (en) Agent for prevention or amelioration of obesity
JP6339526B2 (ja) 筋肉の分解抑制剤
JP6649539B1 (ja) 脂肪蓄積抑制用組成物
KR102543494B1 (ko) 신규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의 용도
EP3722413A1 (en) Novel bifidobacterium bacteria and composition including novel bifidobacterium bacteria
JP6557605B2 (ja) 乳酸菌を含む腸管バリア機能亢進剤
CN111065274A (zh) 用于促进血液中的氨基酸浓度提高的发酵乳
WO2017159647A1 (ja) フィーカリバクテリウム属細菌増殖剤
KR20180040894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b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17834B1 (ko) 케피어 유래 유산균의 사균체 및 포도씨 분말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Molan et al. Blueberries: Genotype-dependent variation in antioxidant, free-radical scavenging, and prebiotic activities
KR20160039095A (ko)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19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210096552A (ko) 케피어 유래 유산균의 세포표면단백질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77715A (ko) 항비만 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259 균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